KR20220164524A - 태반추출물 유래 마이크로 rna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태반추출물 유래 마이크로 rna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524A
KR20220164524A KR1020227037510A KR20227037510A KR20220164524A KR 20220164524 A KR20220164524 A KR 20220164524A KR 1020227037510 A KR1020227037510 A KR 1020227037510A KR 20227037510 A KR20227037510 A KR 20227037510A KR 20220164524 A KR20220164524 A KR 20220164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na
cov
sars
antiviral composition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효
한혜정
임민주
정경수
백대현
김도연
김석준
Original Assignee
(주)녹십자웰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녹십자웰빙 filed Critical (주)녹십자웰빙
Publication of KR20220164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0Placenta; Placental stem cells; Amniotic fluid; Amnion; Amniotic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Derm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반 추출물 유래 마이크로 RNA(miRN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태반 추출물 유래 엑소좀에서 분리한 마이크로 RNA(miRN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반추출물 유래 마이크로 RNA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본 발명은 태반 추출물 유래 마이크로 RNA(miRN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태반 추출물 유래 엑소좀에서 분리한 마이크로 RNA(miRN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 태반 추출물(Human placenta extract, HPE)은 다양한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및 기타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며, 피로의 경감, 항산화 등의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Lee KK, et al.,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vol. 2012,(2012) p.130875). 또한, 인간 태반 추출물은 동물을 이용한 연구에서 간 재생을 통해 간 기능 향상을 유도하고, TGF-β및 VEGF를 생산함으로써 상처 치료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인간 태반 추출물에 대한 많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인간 태반 추출물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완전히 연구되지 않았으며, 특히 바이러스 감염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또한 인간을 비롯하여 동물의 태반에는 여러 종류의 세포와 중간엽 줄기세포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의학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이 특징이다.
한편, 최근 세포 분비물(secretome)에 세포의 거동을 제어하는 다양한 생체활성인자가 포함되어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세포 분비물 내에는 많은 기능을 가지는 '엑소좀(exosome)' 또는 '세포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가 포함되어 있어 그 성분과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세포는 세포외 환경에 다양한 막(membrane) 유형의 소포체를 방출하는데, 통상 이러한 방출 소포체들을 세포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 EV)라고 부르고 있다. 세포외 소포체는 세포막 유래 소포체, 엑토좀(ectosomes), 쉐딩 소포체(shedding vesicles), 마이크로파티클(microparticles), 엑소좀 등으로 불려지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엑소좀과는 구별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엑소좀은 세포 내 엔도좀 트래피킹 과정을 통해 생성된 후기 엔도좀과 원형질막의 융합을 통해 생성된다. 엑소좀은 해당 세포에서 발현하고 있는 특정 단백질과 mRNA 전사체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요하게도 RNA 자체로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다양한 small non-coding RNA (microRNA, piRNA 등)들도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엑소좀은 기원한 해당 세포의 유전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엑소좀 구성 물질 중 small non-coding RNA (ncRNA)는 매우 적은 양으로도 다양한 유전자 발현조절 효과를 보일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ncRNA가 매우 다양한 신호전달 경로에 관여할 수 있어 그 영향력이 매우 크다. ncRNA는 RNA 전사체의 일종으로 단백질로 번역 (translation)되지는 않지만 다양한 유전자의 안정성, 전사 및 번역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인간 유전체로부터 전사되는 RNA들 가운데 97%는 단백질로 번역되지 않는 ncRNA다. 따라서 ncRNA는 생체 내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이에 대한 연구는 생명과학분야의 핫이슈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ncRNA 중 microRNA는 약 19~24 뉴클레오티드 (nucleotide)의 크기를 갖는 small RNA로 염기서열 상보적인 mRNA를 분해하거나 단백질로의 번역을 억제함으로써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RNA 간섭현상을 유발한다. RNA 간섭은 생체의 발생 및 생리, 세포의 분화, 증식 및 사멸, 그리고 유전체의 안정성 등 거의 모든 생물학적 과정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또한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 및 다양한 인간 질병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RNA 간섭과 질병과의 연관성을 토대로 인간 질병 치료제의 개발을 위한 경쟁적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한편,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는 1937년 닭에서 처음 발견된 뒤 개, 돼지, 조류 등의 동물을 거쳐 1965년에는 사람에게서도 발견되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에게 감염될 때에는 감기, 상기도감염, 호흡기 질환, 어린이의 설사, 기타 장질환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은 신종 또는 변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질환으로, 2002년 11월에서 2003년 6월 사이 중국에서 크게 유행하여 8,096명의 감염자가 발생하고 774명이 사망한 바 있다. 또한, 중동 호흡기 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은 2012년 사우디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요르단, 카타르, 아랍에미레이트 연합 및 쿠웨이트에서도 감염자가 확인되었는데,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2014년 5월 15일 기준 572명의 사람이 감염되었으며 그 중 173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개, 돼지 등 동물의 경우에는 이미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 나와 있으나, 2019년에 발생하여 2020년도 초반에 WHO가 판데믹(Pandemic, 대유행)으로 지정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또는 Corona-19)에 대한 백신 개발이 속속 완료되고 있는 상황이고, 치료제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확실한 효과를 내는 치료제는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바이러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등에 대한 우수한 예방 및 치료 효능을 갖는 예방 및/또는 치료제에 대한 수요는 절실한 상황이며,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남아있다.
한국특허 제1919081호 (2018.11.0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발행 '보건복지 Issue & Focus' 제373호(2020-04) 발행일 2020.03.05. ISSN 2092-7117
발명의 요약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수한 항 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마이크로 RN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백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거나 바이러스 감염 후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연구,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하던 중, 태반 추출물 유래 RNA를 바이러스 감염시킨 세포에 처리할 경우, 바이러스 증식이 억제되어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태반 추출물 유래 RNA 중 코로나 바이러스의 RNA와 결합하여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가지는 마이크로 RNA의 서열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태반 추출물 유래 마이크로 RNA(miRN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상기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 제조를 위한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사용을 제공한다.
도 1은 태반 유래 total RNA의 바이러스 억제효과 확인을 위한 바이러스 101TCID50 조건에서 CPE inhibition 어세이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SARS-CoV-2 바이러스의 유전자 지도를 나타낸 것이다(Kim et al., Cell, 181: 914-921.e10, 2020).
도 3의 A는 마이크로 RNA의 타게팅 룰을 나타낸 것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RNA의 Context 스코어 기준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마이크로 RNA 동정을 위한 NGS 분석 파이프라인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마이크로 RNA의 Context 스코어 기준 및 본 발명에서 사용한 TargetScan 프로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태반 가수분해물 유래 엑소좀 내의 miRNA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파이프라인 m17과 m20에서 동정된 마이크로 RNA 들의 비교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마이크로 RNA 후보와 SARS-CoV-2 바이러스의 타겟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RNA 타겟 예측을 시각화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도 10D는 SARS-CoV-2 유전자의 각각의 3' UTR region에서 붙을 수 있는 top 13 miRNA 타겟 사이트를 표시한 것이다(8mer, 7mer-m8, 7mer-A1, 6mer에 따라 색깔을 다르게 표기).
도 11은 SARS-CoV-2 바이러스에서 마이크로 RNA와의 context 스코어가 가장 좋은 10종의 타겟 사이트를 선별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SARS-CoV-2 바이러스의 ORF에서 마이크로 RNA 타겟을 예측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 A~도 13C는 바이러스의 ORF에서 마이크로 RNA 타겟을 예측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구현예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태반 가수분해물의 엑소좀 유래 total RNA가 COVID-19 바이러스(SARS-CoV-2)가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total RNA 중 SARS-CoV-2에 결합하여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miRNA를 확인하기 위하여, SARS-CoV-2 3'UTR 타겟 예측을 수행하여, SARS-CoV-2 의 3'UTR과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항바이러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miRNA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서열번호 1~13 중 어느 하나의 서열을 포함하는 태반가수분해물 유래 miRN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서열번호 1~13 중 어느 하나의 서열은 SARS-CoV-2의 RNA에 결합하는 서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자세하게는 SARS-CoV-2에 존재하는 RNA의 5'-UTR을 타겟하는 서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마이크로 RNA는 서열번호 14~26 중 어느 하나의 서열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RNA는 태반 가수분해물에서 추출된 엑소좀에 존재하는 마이크로 RNA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태반"은 임신과 함께 생성되는 장기로서, 모체에서 태아로 영양물과 효소의 공급, 태아에서 생기는 노폐물과 탄산가스 등을 모체로 배출, 생체에 있어서 이물질인 병원균이나 약물의 태아로의 이행저지 및 태아의 내분비조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태반에는 아미노산류, 단백질류, 당류, 핵산류, 지질류, 무기물, 효소류, 호르몬류 등을 함유한다. 이때, 아미노산류는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루이신, 라이신, 글리신, 알라닌, 세린, 스레오닌, 페닐알라닌, 타이로신, 메치오닌, 히스티딘 등이 있다. 단백질 및 효소류는 알부민, 글로불린, 산성 및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하알로니다제 등을 포함한다. 당류는 글루코스, 갈락토스, 리보스 등을 포함한다. 핵산류는 우라실, 크산틴, 히포크산틴 등을 포함하며, 지질류는 라우린산, 팔미틸산, 리놀레인산 등이 있다. 무기물은 Na, K, Ca, P, Fe, Cl 등을 포함하며, 호르몬류에는 고나도트롬빈, 락토겐, 스테로이드 호르몬 등이 있다.
태반 유래 물질인 세포외 소포체, 엑소좀, miRNA 또는 마이크로 파티클 은 엑소좀 분리 장비나 기타 고전적인 초원심분리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태반 추출물(placenta extract)"은 인간 또는 동물의 태반에서 수득된 물질을 의미하며, 태반을 가수분해(hydrolysis)하여 수득된 태반 가수분해물(placenta hydrolysates) 및, 물이나 유기 용매 등을 이용하여 태반 또는 태반 가수분해물로부터 추출된 물질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태반 가수분해물은 태반을 효소 처리, 산 처리 및/또는 열 처리하여 가수분해하여 수득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태반 가수분해물은 한국등록특허 제1919081호 등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으로는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태반을 아세톤 처리하여 탈지한 후, 불완전 가수분해물이 생성되지 않도록 펩신 및 염산 처리로 충분히 가수분해하여 수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 태반은 포유동물 유래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인간, 소, 말, 양, 또는 돼지 유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로나 19 감염증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SARS-CoV-2는 RNA 바이러스로서, SARS-CoV-2는 RNA의 합성 과정에서는 ORF1a와 ORF1b가 코딩하는 RDRP (RNA dependent RNA polymerase) 복합체가 사용된다(도 2). 즉, SARS-CoV-2는 전사(transcription) 시에 숙주세포의 전사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인 전사 시스템을 사용하며, RNA 주형에 기반하여 RNA를 합성하게 된다.
SARS-CoV-2 게놈의 3' 말단에 TRS-B라고 하는 6-핵산 모티브 서열과 5' UTR 의 70번째 핵산 위치에 동일한 서열 모티브로 구성된 TRS-L이 존재한다. RDRP가 RNA를 합성해오다가 TRS-B를 증폭하는 순간 5'의 TRS-L과 역상보적(reverse complementary)이 되어 루프형태로 결합하게 된다. 그 이후 RDRP가 끝까지 RNA를 합성하게 되는데 이 현상이 항상 일정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3’말단의 모티브들이 랜덤하게 루핑(looping)되어 전사를 종료하게 된다. 각 구간에서 합성이 완료되면 그 뒷부분은 모두 3'UTR이 되어 그 길이가 모두 다르며 업스트림에 위치한 유전자일수록 3'UTR의 길이가 길다.
한편, 마이크로 RNA(MicroRNA, miRNA)는 식물, 동물, 바이러스 등에서 발견되는, 약 22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작은 비발현 RNA 분자로, RNA 침묵과 전사 이후의 유전자 발현 조절 등의 기능을 한다. 마이크로 RNA는 식물과 동물 등 진핵 생물의 핵에 있는 DNA와, 게놈이 DNA에 기초한 특정 바이러스에 있는 바이러스성 DNA에 의해 암호화되면서, mRNA 분자에 있는 상호보완적인 염기쌍을 통해 기능을 한다. 마이크로 RNA는 짧은 헤어핀을 형성하기 위해 스스로 꺾여 접히는 RNA 전사체의 영역으로부터 나온 마이크로 RNA를 제외하고는 간섭 RNA(RNAi)경로의 작은 간섭 RNA(siRNA)와 유사하고, 반면 siRNA는 이중가닥 RNA의 더 긴 영역으로부터 나온다. 인간의 게놈은 아마 많은 포유류의 세포에 풍부한 마이크로 RNA를 약 1000개 이상 암호화하며, 이들은 인간과 다른 포유류의 유전자의 약 60%를 표적으로 할 것이다.
동물의 마이크로 RNA는 5'말단에 있는 6~8개 정도의 적은 뉴클레오타이드를 써서 그들의 표적을 인식할 수 있다. 결합 조절은 동물의 마이크로 RNA 조절의 특징이다. 하나의 마이크로 RNA는 수백 가지의 다른 표적 mRNA를 조절하고, 하나의 표적은 다수의 마이크로 RNA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동물세포에서의 마이크로 RNA의 생생성(biogeneisis) 과정을 살펴보면, 동물세포 핵에서 RNA 폴리머레이즈 II에 의해 miRNA 유전자가 전사되면 헤어핀 구조의 pri-miRNA (primary miRNA)가 생성된다. pri-miRNA에 Drosha (RNA III 효소 중 하나)와 DGCR8 단백질이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후 Drosha가 pri-miRNA 밑부분을 절단하게된다. RNA III 효소는 전사체의 3' 말단에 2- 뉴클레오타이드가 돌출된 오버헹(overhang) 구조를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전사체를 pre-miRNA (precursor miRNA) 라고 한다. 이후 pre-miRNA가 세포질로 이송되고 Dicer (RNA III 효소 중 하나)가 2-뉴클레오티드 오버헹을 인식하여 절단하게 된다. Dicer가 miRNA의 크기를 결정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miRNA는 평균 22 뉴클레오티드 길이를 가지고 있다. miRNA가 아르고너트(Argonaute) 단백질과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고, 아르고너트(Argonaute) 단백질-miRNA 복합체는 타겟 mRNA와 결합하여 타겟 mRNA의 단백질 합성과 유전자 발현을 침묵시킨다.
성숙 miRNA의 5' 말단이 무엇인지에 따라 타겟부위가 달라지게 된다. 성숙 miRNA의 5' 말단의 두번째 뉴클레오티드에서부터 타겟 mRNA와 Watson-crick 쌍을 이루게 되며, 5'말단이 하나만 시프트(shift)가 되어도 타겟풀(target pool)이 완전히 달라지게된다. 이미 알려진 마이크로 RNA는 1000종 이상으로 각각의 마이크로 RNA가 타겟팅하는 mRNA pool이 약 200~400개 정도(총 20만 개 조합 이상)이다. 인간 단백질 코딩 유전자의 60% 이상이 마이크로 RNA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이크로 RNA가 타겟 mRNA와 결합할 때 성숙 miRNA의 5' 말단의 2번째 뉴클레오티드부터 7번째 뉴클레오티드까지의 결합은 최소 헥사머(hexamer, 6개)를 이루며, 여기에 추가적으로 첫번째 뉴클레오티드에 A가 있으면(7mer-A1 site) 더 높은 효율을 가진다. 또한 8번째 뉴클레오티드에 Watson-crick 쌍이 있으면 7mer-m8 site 라고 하며, 위 2가지를 다 가지고 있으면 가장 효율이 높은 8 mer site 라고한다(도 3A). 일반적으로 8 mer > 7 mer-m8 > 7 mer-A1 > 6 mer site 순으로 타겟 mRNA와의 결합 효율이 좋지만, 이 외에도 local AU content와 같은 생물학적 요인들이 결합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mRNA의 3' UTR 타겟 사이트가 강한 헤어핀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면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게 되고, 반면에 선형으로(linear하게) 풀려 있는 경우에는 잘 동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타겟 사이트 주변에 수소결합을 2개만 이루고있는 A-U가 많으면 높은 결합 효율을 나타내며, 이는 헤어핀 구조를 이루고 있더라도 G-C 결합보다 상대적으로 잘 떨어지기 때문이며, 이는 타겟 사이트에 아르고너트(Argonaute) 복합체가 얼마나 접근가능한지에 대한 지표가 된다(도 3B).
타겟 사이트 abundance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3' UTR은 A, U가 풍부하게 존재하고, G/C rich 할수록 타겟팅이 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ow abundance 할수록).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특징들을 하나로 모은 context 점수를 기반으로 TargetScan을 개발하였다(도 3B). Context 점수는 negative 값일수록 좋은 것이며 값이 0이면 동작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태반 유래 엑소좀 내에 존재하는 miRNA를 동정하기 위하여, NGS 분석 파이프라인을 활용하여, 엑소좀 내 miRNA들을 동정, 높은 발현량을 보이는 miRNA들을 SARS-CoV-2 제어 miRNA 후보군으로 선정하였다(도 4).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코로나바이러스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SARS-CoV, SARS-CoV-1, SARS-CoV-2, 중동코로나바이러스(MERS-CoV) 및 COVID-19 바이러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엔데믹(endemic), 프리-판데믹(prepandemic) 또는 판데믹(pandemic, 전세계 대유행)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조치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바이러스[anti-virus] 활성" 또는 "항바이러스 (효)능"이란 상기 예시된 바이러스의 다양한 아형과 변이형 바이러스 입자가 숙주세포에 감염되는 것을 억제하는 능력, 즉 숙주세포의 세포막에 바이러스 입자가 달라 붙어 세포 내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로 바이러스는 숙주세포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입자를 복제 또는 증식하는 데에 필요한 기작을 방해하게 되며 이를 통해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진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조성물 또는 백신 조성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담체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보조제 및 비히클을 포함하며 총괄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온 교환,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예, 사람 혈청 알부민), 완충 물질(예, 여러 인산염, 글리신, 소르브산, 칼륨 소르베이트, 포화 식물성 지방산의 부분적인 글리세라이드 혼합물), 물, 염 또는 전해질(예, 프로타민 설페이트,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칼륨, 염화나트륨 및 아연 염), 교질성 실리카,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폴리비닐 피롤리돈, 셀룰로즈-계 기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폴리아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차단 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양모지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비내, 비강내,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피내, 복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 투여 형태로 투여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되거나, 비내 또는 비강내 투여될 수 있으며, 특히 비내 또는 비경구 투여시에는 스프레이(spray) 또는 에어로솔(aerosol) 형태로의 투여, 또는 흡입(inhalation) 투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내 또는 비강내 투여용 조성물은 약제의 분야에 잘 알려진 기술에 따라 제조하며 벤질 알코올 또는 다른 적합한 보존제, 생체이용율을 증강시키기 위한 흡수 촉진제,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기타 본 분야에 알려진 가용화제 또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염수중의 용액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으로서 멸균 주사용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이 현탁액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예, 트윈 80)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본 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형될 수 있다. 멸균 주사용 제제는 또한 무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중의 멸균 주사용액 또는 현탁액(예, 1,3-부탄디올중의 용액)일 수 있다. 허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비히클 및 용매로는 만니톨, 물, 링겔 용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멸균 불휘발성 오일이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화 매질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자극성이 적은 어떠한 불휘발성 오일도 사용할 수 있다. 올레산 및 이의 글리세라이드 유도체와 같은 지방산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천연 오일(예, 올리브유 또는 피마자유), 특히 이들의 폴리옥시에틸화된 것과 마찬가지로 주사 제제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캡슐, 정제 및 수성 현탁액 및 용액을 포함하여 경구적으로 허용되는 어떠한 용량형으로도 경구 투여될 수 있다. 경구용 정제의 경우, 흔히 사용되는 담체로는 락토스 및 옥수수 전분이 포함된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가 또한 전형적으로 첨가된다. 캡슐형으로 경구 투여하는 경우 유용한 희석제로는 락토스 및 건조된 옥수수 전분이 포함된다. 수성 현탁액이 경구 투여될 때 활성 성분은 유화제 및 현탁화제와 배합된다. 필요한 경우, 감미제 및/또는 풍미제 및/또는 착색제가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실온에서 고형이지만 직장 온도에서는 액상인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와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코코아 버터, 밀랍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환제, 당의정, 캡슐, 액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제로 제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로서, 구강내 투여를 위한 의약 조성물은 고체상의 부형제와 함께 활성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며 정제 또는 당의정 형태로 제조하기 위해 과립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로는 락토스, 수크로스, 만니톨 및 소비톨과 같은 슈가 형태 또는 옥수수, 밀가루, 쌀, 감자 또는 다른 식물로부터 전분,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로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또는 나트륨 카복시메틸세룰로스와 같은 세룰로스, 아라빅 검, 타가칸쓰 검을 포함하는 검류와 같은 카보하이드레이트 또는 젤라틴, 콜라겐과 같은 단백질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교차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아가 및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긴산과 같은 각각의 염 형태의 붕해제 또는 용해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바람직하게는 SARS-CoV, SARS-CoV-1, SARS-CoV-2, 중동코로나바이러스(MERS-CoV) 및 COVID-19 바이러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상기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 제조를 위한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태반 유래 물질의 제조 및 태반유래 엑소좀 확인
1-1. 태반 유래 물질의 제조
2- 인간 또는 동물의 태반을 NaCl과 증류수 등으로 세척하고 아세톤 처리하여 탈지 및 건조시켜 건조 태반을 얻었다. 불완전 가수분해물이 생성되지 않도록 건조 태반에 펩신 또는 염산 처리로 충분히 가수분해 과정을 거치고 적절한 효소 처리와 멸균 과정을 통해 태반 조직 유래 세포외소포체를 얻는다. 엑소좀, miRNA 또는 마이크로 파티클을 얻는 과정은 엑소좀 분리 장비를 이용하거나 전통적인 초원심분리 방법으로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초원심분리 5회 반복으로 얻어진 total RNA의 양은 표 1과 같다.
Figure pct00001
No.1과 No.2의 시료는 No.3~5의 2배 농축 시료에 해당하며, 본 발명에서는 5회 얻어진 total RNA를 모두 pooling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태반유래 total RNA의 바이러스 101TCID50 결과
실험을 위해 적정량의 PBS, corona-19 바이러스(SARS-CoV-2, NIH), Vero 세포(ATCC), 태반 유래 엑소좀 유래 total RNA, 96 well plate (flat bottom), Crystal violet 염료, 10% Formalin을 준비하였다.
96 well plate에 각 well 당 1 Х 104으로 Vero 세포를 분주하였다(37℃ 5% CO2, 24h 배양). 1 단계 시험에서 결정된 MNTD 농도와 한 단계 이후 희석 배수 농도로 각 시료가 함유된 접종용 배양액 각 50 μL, corona-19 바이러스 50 μL 를 세포에 접종하였다. 정상세포 및 바이러스만 접종한 세포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1 시간 후, 상층액을 제거한 다음 새 배양액으로 갈아주었다. 72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상층액 제거 후, PBS로 세포를 세척하고 10% 포르말린으로 세포를 고정하였다. PBS로 세포를 세척한 다음 1% crystal violet으로 세포를 염색하였다. CPE(세포병리효과, Cytopathic effect)를 확인하여, 태반유래 엑소좀과 태반 유래 miRNA에 의한 CPE 억제효과를 비교 관찰하여 Positive well수 / total well수로 산정하여 판정하였다.
다음과 같이 세포 염색 방법으로 TCID50 값을 확인하여 바이러스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바이러스 역가가 101TCID50 조건일 경우, 100ng RNA 처리군 (2/3)에서만 바이러스에 의한 CPE가 보이지 않는 것을 관찰하였고, 나머지 RNA 처리군에서는 모두 CPE를 관찰하였다(도 1).
In vitro에서 태반 유래 엑소좀 및 태반 유래 total RNA가 각각 COVID-19 바이러스에 대해 항바이러스 효능이 있는지 확인한 결과, 태반 유래 엑소좀의 경우, 바이러스 역가 101TCID50 에서 5μg 처리군, 2.5μg 처리군에서 바이러스 감염 세포가 100% 생존하는 결과를 관찰하였으며, 12.5μg 처리군 66% 세포 생존율을 관찰하였다. 102TCID50 바이러스 감염 조건에서 5μg 처리군 66%, 2.5μg 처리군에서 33% 정도 세포 생존을 관찰하였다(data not shown). 따라서, 엑소좀 5ug 처리군이 101TCID50과 102TCID50 두 가지 바이러스 감염조건에서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태반 유래 total RNA의 경우, 바이러스 감염세포에 처리한 결과, 바이러스 역가 101TCID50 조건에서 100ng 처리군에서 세포가 66% 생존한 결과를 관찰하였으므로, 태반 유래 total RNA 100ng 처리군이 101TCID50 바이러스 조건에서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NGS 데이터 분석을 통한 엑소좀 내 miRNA 동정
태반 유래 엑소좀 내에 존재하는 total RNA 중 SARS-CoV-2를 제어하는 miRNA를 동정하기 위하여, NGS 분석 파이프라인을 활용하여, 엑소좀 내 miRNA들을 동정, 높은 발현량을 보이는 miRNA들을 SARS-CoV-2 제어 miRNA 후보군으로 선정하였다(도 4).
3.1. 타겟스캔(TargetScan)을 활용한 miRNA 타겟 예측
SARS-CoV-2의 mRNA는 각각의 게놈(genomic) 및 서브게놈(subgenomic) 전사체 마다 서로 다른 서열의 3'UTR을 가지고 있으며, SARS-CoV-2의 특수한 게놈 구조를 이해하고, 동정할 miRNA가 각각의 전사체의 3'UTR에 대해 미칠 영향에 대한 정교하고 세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TargetScan miRNA 표적 예측 프로그램(Gracia, DM and Baek, D., Nature structural & molecular biology, 18:1139, 2011; Agarwal et al., eLife 2015(DOI: 10.7554/eLife.05005))은 현재 miRNA 분야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가장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고 있으며 염기서열 조성, 결합 안정성 등의 생물학적 인자를 바탕으로 miRNA의 표적 저해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을 하나로 모은 context 스코어는 음(negative)의 값일수록 좋은 것이며 값이 0이면 동작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이 보유한 TargetScan 예측 파이프라인을 사용하여, 생물정보학적 분석을 통해 miRNA 후보군의 SARS-CoV-2 transcript 제어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mRNA의 3’UTR 외에 ORF 표적에 대해서도 기능적으로 mRNA의 발현을 저해는 사례가 보고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분석하였다.
아르고너트(Argonaute) 단백질과 결합된 miRNA들은 안정적인 반면에 결합되지 않은 miRNA들은 매우 빨리 분해된다. SBI에서는 기준을 m16 (16 nucleotides)까지 완화하여 확인한 것으로 추측되지만 일반적으로는 m20 미만은 분해산물(degradation product)이라고 판단하여 제외시켰다.
NGS 분석을 통해 제공된 data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총 2,100만개 raw read 서열을 확보하였으며 miRNA 맵핑(mapping)에 의하여, m16 기준으로 1,786개, m20 기준으로 455개가 동정되었다(표 2).
Figure pct00002
miRNA seed region을 기준으로 클러스터링을 진행하였으며 m16, m17 및 m20 각각의 top 20 miRNA 후보를 동정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m17 과 m20 각각의 miRNA 후보의 seed region top 10을 비교하였을 때, 총 7개가 겹쳤으며 m17과 m20의 seed region top 20을 비교하였을 때, 총 17개가 겹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7 참조).
태반 가수분해물 유래 엑소좀에서 miRNA를 시퀀싱한 후 read count에 따른 top 20를 선별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선별된 Top 20 모두 발현 수준(expression level)이 일반적인 상황보다 훨씬 낮은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위 7 종은 read count가 1이므로 제외를 하였으며 top 13을 가지고 각각의 SARS-CoV-2의 3’UTR과 어떤 타겟 상호작용을(target interaction)을 하는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3.2: SARS-CoV-2의 3’ UTR과 상화작용하는 miRNA 타겟 사이트 확인
타겟스캔 알고리즘(TargetScan algorithm)을 사용하여 top 13 miRNA가 SARS-CoV-2의 3’ UTR과 타겟 상호작용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13개 miRNA 중 has-miR-191-5p는 SARS-CoV-2의 N 유전자의 3’ UTR에서 7m8 site 1개를 가지고 있으며 context score가 매우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has-miR-15a-5p는 SARS-CoV-2의 ORF8의 3’ UTR에 결합하는 site가 3개, E 유전자의 3’ UTR에서 4개, S 유전자의 3’ UTR에서 5개가 존재하였다. 이는 업스트림 유전자일수록 길이가 길고 오버랩(overlap)(일부분이므로) 되기 때문에 나오는 결과이다. 단, has-miR-15a-5p의 경우 발현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Context score가 양의(positive) 값인 경우 (보통 업스트림에 존재) 실제로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업스트림에 존재한다는 것은 3’ UTR이 길다는 것을 의미하며 3’ UTR이 길면 무작위(random chance)에 의한 발생 확률이 높아지므로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도 9에는 miRNA의 타겟 부위와 context score 결과를 각각의 케이스로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SARS-CoV-2의 N 유전자의 3’ UTR은 약 370 뉴클레오티드로 miRNA가 결합할 것으로 예상한 7mer-m8 site를 시각화한 것이다. ORF8의 3’ UTR은 1,700 뉴클레오티드로 7mer-m8 site를 3개 가지고 있다.
특히, ORF1a의 경우 3’ UTR이 약 17kb이기 때문에 타겟팅이 일어나기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 10A~도 10D에는 SARS-CoV-2 유전자의 각각의 3’ UTR region에서 붙을 수 있는 top 13 miRNA 타겟 사이트를 모두 표시하였다. (8mer, 7mer-m8, 7mer-A1, 6mer에 따라 색깔을 다르게 표기). 3’ UTR 길이가 짧아질수록 효율적인 miRNA target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포함하고 있는 타겟 사이트 개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효과가 상쇄되는 측면이 있다. ORF10의 3’ UTR에서는 miRNA 타겟 사이트가 존재하지 않았다.
3.3: context score가 우수한 10종의 타겟 사이트 선별
개별 사이트(Individual site)를 기준으로 context score가 가장 좋은 10종의 타겟 사이트를 선별하여, 도 11에 나타내었다.
그 중에서 has-miR-191-5p가 N 3’ UTR을 targeting하는 site가 가장 좋은 context score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miRNA가 5’ UTR을 타겟팅 한다는 연구가 일부 있지만 이는 근거가 많지 않다. 반면에 ORF는 타겟팅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3’ UTR에 존재하는 동일한 서열에 비해 효율이 1/10 정도로 낮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가능은 하지만 동일한 사이트가 3’ UTR에 존재한다면 3’ UTR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ARS-CoV-2의 ORF에서는 8mer, 7mer site를 합친 개수로 분류하여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2 및 도 13A~도 13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당연하게도 길이가 긴 ORF1a, ORF1b에서 좋은 타겟 사이트가 많이 도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태반 추출물 유래 마이크로 RNA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코로나바이러스의 타겟 부위에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코로나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코로나바이러스를 비롯하여 RNA 바이러스 및/또는 다른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바이러스 감염 후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전자파일 첨부하였음.
<110> GREEN CROSS WellBeing <120> Anti-viarl Composition Containing Micro RNA from Placenta Extract <130> PP-B2572 <150> US 63/009,640 <151> 2020-04-14 <150> KR 2020-0066577 <151> 2020-06-02 <150> US 63/088,700 <151> 2020-10-07 <160> 26 <170> KoPatentIn 3.0 <210> 1 <211> 7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ed of hsa-miR-221-3p <400> 1 gcuacau 7 <210> 2 <211> 7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ed of hsa-miR-320a <400> 2 aaagcug 7 <210> 3 <211> 7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ed of hsa-miR-92a-3p <400> 3 auugcac 7 <210> 4 <211> 7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ed of hsa-miR-22-3p <400> 4 agcugcc 7 <210> 5 <211> 7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ed of hsa-let-7b-5p <400> 5 gagguag 7 <210> 6 <211> 7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ed of hsa-miR-486-5p <400> 6 ccuguac 7 <210> 7 <211> 7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ed of hsa-miR-30d-5p <400> 7 guaaaca 7 <210> 8 <211> 7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ed of hsa-miR-101-3p <400> 8 acaguac 7 <210> 9 <211> 7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ed of hsa-miR-141-3p <400> 9 aacacug 7 <210> 10 <211> 7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ed of hsa-miR-191-5p <400> 10 aacggaa 7 <210> 11 <211> 7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ed of hsa-miR-27b-3p <400> 11 ucacagu 7 <210> 12 <211> 7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ed of hsa-miR-15a-5p <400> 12 agcagca 7 <210> 13 <211> 7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ed of hsa-miR-423-5p <400> 13 gaggggc 7 <210> 14 <211> 23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221-3p <400> 14 agcuacauug ucugcugggu uuc 23 <210> 15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320a <400> 15 aaaagcuggg uugagagggc ga 22 <210> 16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92a-3p <400> 16 uauugcacuu gucccggccu gu 22 <210> 17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22-3p <400> 17 aagcugccag uugaagaacu gu 22 <210> 18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let-7b-5p <400> 18 ugagguagua gguugugugg uu 22 <210> 19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486-5p <400> 19 uccuguacug agcugccccg ag 22 <210> 20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30d-5p <400> 20 uguaaacauc cccgacugga ag 22 <210> 21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101-3p <400> 21 uacaguacug ugauaacuga a 21 <210> 22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141-3p <400> 22 uaacacuguc ugguaaagau gg 22 <210> 23 <211> 23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191-5p <400> 23 caacggaauc ccaaaagcag cug 23 <210> 24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27b-3p <400> 24 uucacagugg cuaaguucug c 21 <210> 25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15a-5p <400> 25 uagcagcaca uaaugguuug ug 22 <210> 26 <211> 23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423-5p <400> 26 ugaggggcag agagcgagac uuu 23

Claims (9)

  1. 서열번호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서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RN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서열은 SARS-CoV-2의 RNA에 결합하는 서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RNA는 서열번호 14 내지 26 중 어느 하나의 서열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감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SARS-CoV, SARS-CoV-1, SARS-CoV-2, 중동코로나바이러스(MERS-CoV) 및 COVID-19 바이러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엔데믹(endemic), 프리-판데믹(prepandemic) 또는 판데믹(pandemic, 전세계 대유행)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조치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정맥내 투여, 근육내, 피내 투여 또는 피하투여, 비내 투여, 비강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8. 제1항의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신 조성물.
  9. 제1항의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20227037510A 2020-04-14 2021-04-09 태반추출물 유래 마이크로 rna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202201645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09640P 2020-04-14 2020-04-14
US63/009,640 2020-04-14
KR20200066577 2020-06-02
KR1020200066577 2020-06-02
US202063088700P 2020-10-07 2020-10-07
US63/088,700 2020-10-07
PCT/KR2021/004466 WO2021210853A1 (ko) 2020-04-14 2021-04-09 태반추출물 유래 마이크로 rna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524A true KR20220164524A (ko) 2022-12-13

Family

ID=7808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510A KR20220164524A (ko) 2020-04-14 2021-04-09 태반추출물 유래 마이크로 rna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64524A (ko)
WO (1) WO20212108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052B1 (ko) * 2020-05-04 2021-10-25 주식회사 티에스셀바이오 태반 유래의 세포외 소포의 항염증 항바이러스 효과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081B1 (ko) 2017-05-11 2018-11-16 (주)녹십자웰빙 인간 태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위축증 또는 근육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근육 기능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6035A1 (en) * 2001-05-29 2004-01-08 Dennis Macejak Nucleic acid mediated disruption of HIV fusogenic peptide interactions
WO2004092383A2 (en) * 2003-04-15 2004-10-28 Sirna Therapeutics, Inc. RNA INTERFERENCE MEDIATED INHIBITION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VIRUS GENE EXPRESSION USING SHORT INTERFERING NUCLEIC ACID (siNA)
US8691965B2 (en) * 2007-06-14 2014-04-08 Mirx Therapeutics Aps Oligonucleotides for modulating target RNA activity
KR101070654B1 (ko) * 2008-06-11 2011-10-0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cv)에 대한 저해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US20140363469A1 (en) * 2012-01-19 2014-12-11 Alnylam Pharmaceuticals, Inc. Viral attenuation and vaccine produ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081B1 (ko) 2017-05-11 2018-11-16 (주)녹십자웰빙 인간 태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위축증 또는 근육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근육 기능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발행 '보건복지 Issue & Focus' 제373호(2020-04) 발행일 2020.03.05. ISSN 2092-71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0853A1 (ko)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2232B2 (en) Modulation of human cytomegalovirus replication by micro-RNA 132 (miR132), micro-RNA 145 (miR145) and micro-RNA 212 (miR212)
JP5749651B2 (ja) 多形核細胞の動員および/または遊走を減少させる化合物および方法
KR20220164524A (ko) 태반추출물 유래 마이크로 rna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US20170189442A1 (en) Peptide nucleic acid of subgroup j avian leukosis virus and uses thereof
CN101880677B (zh) 针对2009新甲型流感病毒多聚酶基因和核蛋白基因的siRNA序列及其应用
JP6286050B2 (ja) トリ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のmiRNAとその同定、検出および使用
Yu et al. Recombinant human Thymosin Beta-4 protects against mouse coronavirus infection
CN112587663A (zh) 长链非编码RNA-lncIVRL在防治甲型流感病毒感染中的应用
CN115161321B (zh) ssc-miR-30c-3p在制备抗PDCoV增殖药物中的应用
CN111575289A (zh) 干扰非洲猪瘟病毒基因表达的siRNA及其应用
CN110592085B (zh) 一种h9n2亚型禽流感病毒抑制物及其应用
CN115068611A (zh) ssc-miR-374b-3p在制备抗PDCoV增殖药物中的应用
CN107096015A (zh) 一种新型抗病毒分子Kdm6a的抗病毒作用及其应用
CN114457072B (zh) 一种具有抗病毒活性的多核苷酸及其用途
WO2020023776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cancers and viruses
CN117442732B (zh) lncRNA SCARNA2在抗病毒中的新用途
CN111073889B (zh) 人cspg5基因的用途及相关产品
CN117343932B (zh) 靶向抑制MS4A7基因表达的siRNA及其应用
US20140341908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to modulate antiviral and immune activity responses
Qi et al. Effects of MicroRNA-24 on Myocardial Fibrosis in Rat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by Targeting Wnt Family Member 4/Dvl-1/β-Catenin Signaling Pathway
JP2023013932A (ja) SARS-CoV-2 RNA配列に基づく新規siRNA及びその利用
US20100286238A1 (en) Suppression of viruses involved in respiratory infection or disease
CN113930423A (zh) 保护心肌细胞免受应激损伤的saRNA及其应用
CN117025607A (zh) 一种用于抑制病毒的miRNA及其应用
KR20160038190A (ko) 마이크로rna-192에 대한 길항제를 포함하는 간 섬유화 억제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