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608A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608A
KR20220162608A KR1020220031251A KR20220031251A KR20220162608A KR 20220162608 A KR20220162608 A KR 20220162608A KR 1020220031251 A KR1020220031251 A KR 1020220031251A KR 20220031251 A KR20220031251 A KR 20220031251A KR 20220162608 A KR20220162608 A KR 20220162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concave outer
concave
cylindrical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요히코 마츠모토
타카히로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2016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심금(芯金)을 따라, 오목상(狀)으로 움푹 파인 오목상 외표면(外表面)과, 오목상 외표면을 따라 내측으로 볼록상(狀)으로 돌출하는 볼록상 내표면(內表面)을 가지는 복잡한 형상의 낚싯대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제1 통상부(筒狀部)(1)를 가지는 장대를 구비한 낚싯대이고, 상기 제1 통상부(1)는, 경(徑)방향 내측으로 오목상으로 움푹 파인 제1 오목상 외표면과, 상기 제1 오목상 외표면을 따라 경방향 내측으로 볼록상으로 돌출하는 제1 볼록상 내표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방향 언더부(13)를 가지고, 상기 제1 통상부(1)는, 상기 제1 오목상 외표면에, 제1 평활부(15)를 가지고, 상기 제1 통상부(1)는, 상기 제1 오목상 외표면을 제외하는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2 평활부(16)를 가진다.

Description

낚싯대{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낚싯대에는, 밸런스나 휨새, 잡기 쉬움이나, 릴의 재치(載置)의 용이성 등에 의하여, 단면 형상이 타원이나 대략 역삼각형, 대략 역오각형 등, 또한, 축 방향으로의 갑작스러운 확경(擴徑), 팽대부(膨大部)의 성형 등, 시장에 있어서 여러 요구가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대하여,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낚싯대의 제조 방법에서는, 요구되는 형상(비원형의 팽대부를 가진다)의 심금(芯金)에, 수지 재료에 일정 방향으로 섬유가 혼합 배치된 낚싯대 성형용 프리프레그(prepreg) 시트를 수회 권회(捲回)하고, 심금의 팽대 부분에 있어서의 낚싯대 성형용 프리프레그 권회 부분에 열 수축 튜브를 피감(被嵌)한 후, 낚싯대 성형용 프리프레그 권회 부분 전체 길이에 걸쳐 긴박(緊縛) 테이프를 일부 중합하도록 나선상(螺旋狀)으로 긴박하여 심금의 외형을 따르도록 성형하여, 가열 소성(燒成) 등의 열경화 처리를 행하고, 열경화 처리 후, 긴박 테이프를 벗기고, 심금을 뽑아내는 것에 의하여, 심금의 외형을 따른 형상의 낚싯대를 성형하여, 요구에 응하고 있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낚싯대의 제조 방법에서는, 실리콘 고무 시트 혹은 불소 수지 시트를 이용하여, 외표면(外表面)에 오목부를 설치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보 제2542352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52813호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낚싯대 성형용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고, 열경화 처리하여 성형할 때에는, 심금의 형상을 따르도록, 긴박 테이프로 긴박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특허 문헌 1과 같이 심금에 팽대부를 설치하고, 그것을 따른 형상의 팽대부를 가지는 낚싯대를 성형할 수는 있지만, 오목상(狀)을 따른 형상의 낚싯대를 성형할 수는 없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제3도 또는 제6도에 도시된 관상체(管狀體)의 단면을 도 16에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낚싯대 등의 관상체의 두께를 변화시키고, 외표면 상에만 오목부(500)를 설치하는 것은 가능하였지만, 외표면에 성형된 오목부(500)를 따라, 내주(內周)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볼록상(狀) 내표면(內表面)을 설치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심금을 따라, 오목상으로 움푹 파인 오목상 외표면과 오목상 외표면을 따라 내측으로 볼록상으로 돌출하는 볼록상 내표면을 가지는 복잡한 형상의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제1 통상부(筒狀部)를 가지는 장대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상부는, 오목상으로 움푹 파인 오목상 외표면과, 상기 오목상 외표면을 따라 볼록상으로 돌출하는 볼록상 내표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언더부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제1 통상부를 가지는 장대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상부는, 경(徑)방향 내측으로 오목상으로 움푹 파인 제1 오목상 외표면과, 상기 제1 오목상 외표면을 따라 경방향 내측으로 볼록상으로 돌출하는 제1 볼록상 내표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방향 언더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통상부는, 상기 제1 오목상 외표면에, 제1 평활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통상부는, 상기 제1 오목상 외표면을 제외하는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2 평활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통상부는, 상기 제1 오목상 외표면을 제외하는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1 나선상 요철부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제1 통상부를 가지는 장대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상부는, 축선 방향의 장대 손잡이 쪽으로 오목상으로 움푹 파인 제2 오목상 외표면과, 상기 제2 오목상 외표면을 따라 축선 방향의 장대 손잡이 쪽으로 볼록상으로 돌출하는 제2 볼록상 내표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축선 방향 언더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통상부는, 상기 제2 오목상 외표면에, 제3 평활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통상부는, 상기 제2 오목상 외표면을 제외하는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4 평활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통상부는, 상기 제2 오목상 외표면을 제외하는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2 나선상 요철부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제1 통상부를 가지는 장대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상부는, 경방향 내측으로 오목상으로 움푹 파인 제1 오목상 외표면과, 상기 제1 오목상 외표면을 따라 경방향 내측으로 볼록상으로 돌출하는 제1 볼록상 내표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방향 언더부와, 축선 방향의 장대 손잡이 쪽으로 오목상으로 움푹 파인 제2 오목상 외표면과, 상기 제2 오목상 외표면을 따라 축선 방향의 장대 손잡이 쪽으로 볼록상으로 돌출하는 제2 볼록상 내표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축선 방향 언더부를 가진다.
상기 제1 통상부와 축선 방향으로 이웃하고, 외표면에 제3 나선상 요철부를 가지는 제2 통상부를 더 가진다.
이상과 같이, 심금을 따라, 오목상으로 움푹 파인 오목상 외표면과, 오목상 외표면을 따라 내측으로 볼록상으로 돌출하는 볼록상 내표면을 가지는 복잡한 형상의 낚싯대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要部)를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단면도(斷面圖).
도 2(a)는 도 1의 A-A 단면도(端面圖), (b)는 도 1의 B-B 단면도(端面圖), (c)는 도 1의 C-C 단면도(端面圖).
도 3은 도 1의 D부 확대도.
도 4(a) 내지 (c)는, 동(同) 낚싯대의 요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5(a) 내지 (c)는, 동 낚싯대의 요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동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실리콘 튜브를 도시하는 단면도(斷面圖).
도 7은 도 4(c)의 E-E 단면도(端面圖).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단면도(斷面圖).
도 10(a) 내지 (c)는, 동 낚싯대의 요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a) 내지 (c)는, 동 낚싯대의 요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동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실리콘 튜브를 도시하는 단면도(斷面圖).
도 13(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斷面圖).
도 15(a) 내지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종래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斷面圖).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대에 관하여 도 1 ~ 도 7을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덧붙여, 낚싯대의 축선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장대 초리 쪽을 앞쪽, 장대 손잡이 쪽을 뒤쪽으로 한다. 낚싯대는, 장대를 구비하고 있다. 장대에는, 도시하지 않는 낚시줄 가이드가 설치되어도 무방하고, 낚시줄 가이드가 설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장대는, 예를 들어 섬유 강화 수지제이다. 장대는,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중공(中空)이고, 섬유 강화 수지를 시트 형상으로 한 프리프레그로 형성된다. 장대는, 하나 또는 복수의 통상부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제1 통상부(1)를 도시하고 있다. 제1 통상부(1)는, 장대 중 가장 뒤쪽, 즉 장대 손잡이 쪽에 위치하고 있는 통상부이다. 제1 통상부(1)는, 그 전체가 통상이고, 중공상(中空狀)이다. 제1 통상부(1)는, 외표면(1a)과 내표면(1b)을 가지고 있다. 제1 통상부(1)는, 앞쪽으로부터 뒤쪽에 걸쳐 순서대로, 소경부(小徑部)(10)와 확경부(11)와 대경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소경부(10)는, 도 2(a)와 같이 단면으로부터 볼 때 원형이고, 원통상(圓筒狀)이다. 대경부(12)는, 도 2(c)와 같이, 단면으로부터 볼 때 역삼각형이고, 리어 그립부로서 기능하고, 낚시꾼에 의하여 파지(把持)된다. 확경부(11)는, 도 2(b)와 같이, 뒤쪽을 향하여 서서히 확경하여 가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과 함께, 뒤쪽을 향하여 서서히 단면으로부터 볼 때 원형으로부터 단면으로부터 볼 때 역삼각형으로 변형하여 간다.
제1 통상부(1)는, 경방향 언더부(13)를 가지고 있다. 제1 통상부(1)의 외표면(1a)에, 경방향 언더부(13)의 제1 오목상 외표면(13a)이 설치되어 있다. 경방향 언더부(13)의 제1 오목상 외표면(13a)은, 경방향 내측으로 오목상으로 움푹 파여 있다. 제1 통상부(1)의 내표면(1b)에, 경방향 언더부(13)의 제1 볼록상 내표면(13b)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볼록상 내표면(13b)은, 제1 오목상 외표면(13a)을 따라, 경방향 내측으로 볼록상으로 돌출하고 있다. 경방향 언더부(13)는, 확경부(11) 및 대경부(12)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통상부(1)의 외표면(1a)에는, 제1 나선상 요철부(14)와 제1 평활부(15)와 제2 평활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나선상 요철부(14)는, 제1 통상부(1)를 소성할 때의 체박(締縛) 테이프(103)(성형 테이프)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고, 테이프 자국이다. 제1 나선상 요철부(14)는, 소경부(10)에 설치된다. 소경부(10)의 외표면 중 앞쪽 부분에 설치된다.
제1 평활부(15)와 제2 평활부(16)는, 테이프 자국이 실질상 존재하지 않는 평활한 면이다. 제1 평활부(15)와 제2 평활부(16)는, 소경부(10)의 뒤쪽 부분과, 확경부(11)와, 대경부(12)의 적어도 앞쪽 부분(확경부(11)에 연속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평활부(15)는, 소경부(10)의 뒤쪽 부분과 확경부(11) 및 대경부(12)의 외표면(1a) 중, 경방향 언더부(13)의 제1 오목상 외표면(13a)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평활부(16)는, 소경부(10)의 뒤쪽 부분과 확경부(11) 및 대경부(12)의 외표면(1a) 중, 제1 오목상 외표면(13a)을 제외한 외표면(1a)의 전체에 설치되어 있다. 즉, 소경부(10)의 뒤쪽 부분과 확경부(11) 및 대경부(12)의 외표면(1a)은, 제1 평활부(15)와 제2 평활부(16)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통상부(1)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된다. 제1 통상부(1)의 제법의 개요를 도 4 ~ 도 7에 도시하고 있다. 도 4(a)에 도시되는 맨드릴(mandrel)(100)에,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맨드릴(100)에 프리프레그(101)를 권회한다.
덧붙여, 맨드릴(100)은, 제1 통상부(1)의 형상을 따라, 앞쪽으로부터 뒤쪽에 걸쳐 순서대로, 심금 소경부(110)와 심금 확경부(111)와 심금 대경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심금 확경부(111)와 심금 대경부(112)에는, 경방향 언더부(13)의 제1 볼록상 내표면(13b)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의 심금 언더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4(c) 및 도 5(a)와 같이 프리프레그(101)의 경방향 외측에 실리콘 튜브(102)를 끼운다. 실리콘 튜브(102)는 통상이고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다. 실리콘 튜브(102)의 전단부(前端部) 외주면(外周面)과 후단부(後端部) 외주면에는 각각 제1 플랜지(102a)와 제2 플랜지(10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튜브(102)의 내주면에는 경방향 언더부(13)의 제1 오목상 외표면(13a)에 대응한 혹(121)이 형성되어 있다. 실리콘 튜브(102)를 소경부(10)의 뒤쪽 부분으로부터 대경부(12)에 대응한 범위에 장착한다. 도 5(b)와 같이 실리콘 튜브(102)를 포함하는, 맨드릴(100)에 권회된 프리프레그(101)의 전체에 체박 테이프(103)를 권회한다. 체박 테이프(103)는, 앞쪽으로부터 뒤쪽을 향하여 권회하여 간다. 가열 소성한 후, 도 5(c)와 같이 체박 테이프(103)를 제거하고, 가열 소성된 프리프레그(101)를 맨드릴(100)로부터 떼어내고, 실리콘 튜브(102)도 떼어내진다. 프리프레그(101)의 외표면 중, 실리콘 튜브(102)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체박 테이프(103)의 긴박에 의하여 성형된 제1 나선상 요철부(14)가 되고, 실리콘 튜브(102)가 장착되어 있던 영역은 제1 평활부(15) 및 제2 평활부(16)가 된다.
이와 같이 실리콘 튜브(102)의 위로부터 체박 테이프(103)를 권회하는 것에 의하여, 체박 테이프(103)에 의한 조임력이 실리콘 튜브(102)를 통하여 프리프레그(101)에 작용한다. 그 때문에, 맨드릴(100)에 심금 언더부(113)가 설치되어 있었다고 하여도, 실리콘 튜브(102)의 내주면에 설치된 혹(121)에 의하여, 조임력이 걸리고, 가열 소성 후의 프리프레그(101)의 외주면에는, 실리콘 튜브(102)의 내주면에 설치된 혹(121)의 형상을 따른 제1 오목상 외표면(13a)이 성형되는 것과 함께, 심금 언더부(113)의 형상을 따른 제1 볼록상 내표면(13b)이 성형되고, 경방향 언더부(13)를 가지는 제1 통상부(1)가 성형된다.
그리고, 제1 통상부(1)에 경방향 언더부(13)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그곳을 파지하면, 둘레 방향의 큰 걸림력이 얻어져, 그립력이 높아진다. 또한, 제1 평활부(15)와 제2 평활부(16)가 설치되어 있으면, 그 부분에 있어서의 도장이 용이하게 되고, 양호한 미감이 얻어지고, 연마 공정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제1 나선상 요철부(14)와 제1 평활부(15) 및 제2 평활부(16)가 설치되어 있으면, 제1 나선상 요철부(14)와 제1 평활부(15) 및 제2 평활부(16)와의 사이에 있어서 콘트라스트가 생겨, 특유의 미감이 얻어진다.
덧붙여, 제1 통상부(1)의 앞쪽 혹은 뒤쪽에 제2 통상부(2)가 접합되어도 무방하다. 도 8에, 제1 통상부(1)의 앞쪽에 제2 통상부(2)가 접합된 구성을 일례로서 도시하고 있다. 제2 통상부(2)는, 제1 통상부(1)에 접착 고정되어도 무방하고, 제1 통상부(1)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즉 제1 통상부(1)에 수용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제2 통상부(2)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단면 원형으로 할 수 있고, 또한, 그 외표면에는 제3 나선상 요철부(40)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대에 관하여 도 9 ~ 도 12를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통상부(1)는, 도 9와 같이, 앞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소경부(10)와 대경부(12)와 축선 방향 언더부(20)를 가지고 있다. 제1 통상부(1)의 단면 형상은 전체 길이에 걸쳐 원형이다. 축선 방향 언더부(20)는, 소경부(10)와 대경부(12)의 경계부에 위치하고 있다. 대경부(12)는, 소경부(10)에 대하여 일단(一段) 대경이고, 축선 방향 언더부(20)에 있어서 단차상(段差狀)으로 되어 있다. 축선 방향 언더부(20)의 제2 오목상 외표면(20a)은, 축선 방향의 장대 손잡이 쪽을 향하여 오목상으로 움푹 파여 있다. 축선 방향 언더부(20)의 제2 볼록상 내표면(20b)은, 제2 오목상 외표면(20a)을 따라, 축선 방향의 장대 손잡이 쪽을 향하여 볼록상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1 통상부(1)의 외표면(1a)에는, 제2 나선상 요철부(21)와 제3 평활부(22)와 제4 평활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나선상 요철부(21)는, 제1 나선상 요철부(14)와 마찬가지의 테이프 자국이다. 제3 평활부(22) 및 제4 평활부(23)는, 제1 평활부(15) 및 제2 평활부(16)와 마찬가지로 평활한 면이다.
제2 나선상 요철부(21)는, 소경부(10)와 대경부(12)에 설치되고, 상세하게는, 소경부(10)의 앞쪽 부분과 대경부(12)의 뒤쪽 부분에 설치된다. 제3 평활부(22)는, 축선 방향 언더부(20)의 제2 오목상 외표면(20a)에 설치된다. 제4 평활부(23)는, 소경부(10)의 외표면(1a) 중 제2 나선상 요철부(2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 전체에 설치되는 것과 함께, 대경부(12)의 외표면(1a) 중 제2 나선상 요철부(2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 전체에 설치된다. 즉, 제4 평활부(23)는, 소경부(10)의 뒤쪽 부분에 설치되는 것과 함께, 대경부(12)의 앞쪽 부분에 설치된다.
제1 통상부(1)의 제법의 개요를 도 10 ~ 도 12에 도시하고 있다. 도 10(a) 및 (b)와 같이 맨드릴(100)에 프리프레그(101)를 권회한다. 도 10(a)와 같이 맨드릴(100)은, 제1 통상부(1)의 형상을 따라, 앞쪽으로부터 뒤쪽에 걸쳐 순서대로, 심금 소경부(110)와 심금 대경부(112)를 구비하고 있고, 심금 소경부(110)와 심금 대경부(112)와의 사이에는, 축선 방향 언더부(20)의 제2 볼록상 내표면(20b)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의 심금 언더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c) 및 도 11(a)와 같이 맨드릴(100)에 권회된 프리프레그(101)의 경방향 외측에 실리콘 튜브(102)를 끼운다. 실리콘 튜브(102)의 내주면에는 축선 방향 언더부(20)의 제2 오목상 외표면(20a)에 대응한 혹(221)이 형성되어 있다. 실리콘 튜브(102)를 소경부(10)의 뒤쪽 부분으로부터 대경부(12)의 앞쪽 부분에 걸친 범위에 장착한다. 도 11(b)와 같이 실리콘 튜브(102)의 위에 체박 테이프(103)를 권회한다. 가열 소성 후, 도 11(c)와 같이, 체박 테이프(103)를 제거하고, 가열 소성된 프리프레그(101)를 맨드릴(100)로부터 떼어내고, 실리콘 튜브(102)도 떼어낸다. 프리프레그(101)의 외표면 중, 실리콘 튜브(102)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제2 나선상 요철부(21)가 되고, 실리콘 튜브(102)가 장착된 영역은 제3 평활부(22) 및 제4 평활부(23)가 된다.
이와 같이 실리콘 튜브(102)의 위로부터 체박 테이프(103)를 권회하는 것에 의하여, 체박 테이프(103)에 의한 조임력이 실리콘 튜브(102)를 통하여 프리프레그(101)에 작용한다. 그 때문에, 맨드릴(100)에 심금 언더부(213)가 설치되어 있었다고 하여도, 실리콘 튜브(102)의 내주면에 설치된 혹(221)에 의하여, 조임력이 걸리고, 가열 소성 후의 프리프레그(101)의 외주면에는, 실리콘 튜브(102)의 내주면에 설치된 혹(221)의 형상을 따른 제2 오목상 외표면(20a)이 성형되는 것과 함께, 심금 언더부(213)의 형상을 따른 제2 볼록상 내표면(20b)이 성형되고, 축선 방향 언더부(20)를 가지는 제1 통상부(1)가 성형된다. 축선 방향 언더부(20)가 설치되어 있으면, 그 부분에 있어서 예를 들어 손이 걸리고, 손의 축선 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큰 그립력이 얻어진다.
덧붙여, 도 13(a)와 같이, 프리프레그(10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실리콘 튜브(102)를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도 13(b)와 같이 제1 통상부(1)의 외표면(1a)의 전체가 평활한 면이 되고, 제1 통상부(1)의 외표면(1a)은, 제3 평활부(22)와 제4 평활부(23)로 구성되게 된다.
도 14에, 제1 통상부(1)에 통상의 릴 시트(90)를 장착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릴 시트(90)는 소경부(10)에 장착된다. 릴 시트(90)의 후단부가 축선 방향 언더부(20)에 당접(當接)하고, 바람직하게는, 계합(係合)한다. 축선 방향 언더부(20)가 스토퍼로서 기능하여, 릴 시트(90)의 뒤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릴 시트(90)를 제1 통상부(1)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릴 시트(90)의 뒤쪽에 대경부(12)가 위치하기 때문에, 릴 시트(90)의 뒤쪽의 위치에, 별도, EVA 등으로 이루어지는 그립체를 장착하지 않아도, 양호하게 파지할 수 있다.
덧붙여, 도 15와 같이, 제1 통상부(1)가, 경방향 언더부(13)와 축선 방향 언더부(20)의 쌍방을 구비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축선 방향 언더부(20)는, 경방향 언더부(13)보다도 앞쪽에 설치되어 있지만, 반대의 배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통상부(1)는, 앞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소경부(10)와 축선 방향 언더부(20)와 전방 대경부(30)와 확경부(11)와 후방 대경부(31)를 가지고 있다.
맨드릴(100)은, 제1 통상부(1)의 형상을 따라, 앞쪽으로부터 뒤쪽에 걸쳐 순서대로, 심금 소경부(110)와 심금 전방 대경부(112a)와 심금 확경부(111)와 심금 후방 대경부(112b)를 구비하고 있다. 심금 소경부(110)와 심금 전방 대경부(112a)와의 사이에는, 축선 방향 언더부(20)에 대응하여 심금 언더부(313)가 형성되고, 심금 확경부(111)와 심금 후방 대경부(112b)에는, 경방향 언더부(13)에 대응하여 심금 언더부(413)가 형성되어 있다. 실리콘 튜브(102)의 내주면에는, 축선 방향 언더부(20)에 대응한 혹(321)과, 경방향 언더부(13)에 대응한 혹(421)이 형성되어 있다.
1: 제1 통상부
1a: 외표면
1b: 내표면
2: 제2 통상부
10: 소경부
11: 확경부
12: 대경부
13: 경방향 언더부
13a: 제1 오목상 외표면
13b: 제1 볼록상 내표면
14: 제1 나선상 요철부
15: 제1 평활부
16: 제2 평활부
20: 축선 방향 언더부
20a: 제2 오목상 외표면
20b: 제2 볼록상 내표면
21: 제2 나선상 요철부
22: 제3 평활부
23: 제4 평활부
30: 전방 대경부
31: 후방 대경부
40: 제3 나선상 요철부
90: 릴 시트
100: 맨드릴
101: 프리프레그
102: 실리콘 튜브
102a: 제1 플랜지
102b: 제2 플랜지
103: 체박 테이프
110: 심금 소경부
111: 심금 확경부
112: 심금 대경부
112a: 심금 전방 대경부
112b: 심금 후방 대경부
113: 심금 언더부
213: 심금 언더부
313: 심금 언더부
413: 심금 언더부
121: 혹
221: 혹
321: 혹
421: 혹
500: 오목부

Claims (11)

  1. 제1 통상부(筒狀部)를 가지는 장대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상부는, 오목상(狀)으로 움푹 파인 오목상 외표면(外表面)과, 상기 오목상 외표면을 따라 볼록상(狀)으로 돌출하는 볼록상 내표면(內表面)에 의하여 형성되는 언더부를 가지는, 낚싯대.
  2. 제1 통상부를 가지는 장대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상부는, 경(徑)방향 내측으로 오목상으로 움푹 파인 제1 오목상 외표면과, 상기 제1 오목상 외표면을 따라 경방향 내측으로 볼록상으로 돌출하는 제1 볼록상 내표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방향 언더부를 가지는, 낚싯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상부는, 상기 제1 오목상 외표면에, 제1 평활부를 가지는, 낚싯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상부는, 상기 제1 오목상 외표면을 제외하는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2 평활부를 가지는, 낚싯대.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상부는, 상기 제1 오목상 외표면을 제외하는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1 나선상(螺旋狀) 요철부를 가지는, 낚싯대.
  6. 제1 통상부를 가지는 장대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상부는, 축선 방향의 장대 손잡이 쪽으로 오목상으로 움푹 파인 제2 오목상 외표면과, 상기 제2 오목상 외표면을 따라 축선 방향의 장대 손잡이 쪽으로 볼록상으로 돌출하는 제2 볼록상 내표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축선 방향 언더부를 가지는, 낚싯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상부는, 상기 제2 오목상 외표면에, 제3 평활부를 가지는, 낚싯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상부는, 상기 제2 오목상 외표면을 제외하는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4 평활부를 가지는, 낚싯대.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상부는, 상기 제2 오목상 외표면을 제외하는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2 나선상 요철부를 가지는, 낚싯대.
  10. 제1 통상부를 가지는 장대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상부는,
    경방향 내측으로 오목상으로 움푹 파인 제1 오목상 외표면과, 상기 제1 오목상 외표면을 따라 경방향 내측으로 볼록상으로 돌출하는 제1 볼록상 내표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방향 언더부와,
    축선 방향의 장대 손잡이 쪽으로 오목상으로 움푹 파인 제2 오목상 외표면과, 상기 제2 오목상 외표면을 따라 축선 방향의 장대 손잡이 쪽으로 볼록상으로 돌출하는 제2 볼록상 내표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축선 방향 언더부
    를 가지는, 낚싯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상부와 축선 방향으로 이웃하고, 외표면에 제3 나선상 요철부를 가지는 제2 통상부를 더 가지는, 낚싯대.
KR1020220031251A 2021-06-01 2022-03-14 낚싯대 KR202201626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92247A JP2022184414A (ja) 2021-06-01 2021-06-01 釣竿
JPJP-P-2021-092247 2021-06-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608A true KR20220162608A (ko) 2022-12-08

Family

ID=8419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251A KR20220162608A (ko) 2021-06-01 2022-03-14 낚싯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78028A1 (ko)
JP (1) JP2022184414A (ko)
KR (1) KR20220162608A (ko)
CN (1) CN115428776A (ko)
TW (1) TW20224776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352B2 (ja) 1990-09-07 1996-10-0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製造法
JP2010252813A (ja) 2010-08-16 2010-11-11 Isamu Tokuda テーパー状管状体及びプリプレ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1985A (en) * 1931-06-03 1932-08-16 Walter F Grossenbach Fishing rod ferrule
US2153550A (en) * 1937-01-28 1939-04-11 American Fork & Hoe Co Golf shaft
US3067537A (en) * 1961-04-06 1962-12-11 Donald R Gregory Line keeper for fishing rods
DE1578728A1 (de) * 1967-08-17 1971-11-04 Franz Brueckl Sicherheits-Skistock
US4014129A (en) * 1975-03-26 1977-03-29 Theodore Capra Fishing rod stabilizing handle
US5231783A (en) * 1990-12-11 1993-08-03 Shimano, Inc. Method of making fishing rod and fishing rod made by the method
US5159775A (en) * 1991-04-26 1992-11-03 Sutula Jr Daniel P Support handle for a fishing rod
JP2727538B2 (ja) * 1992-08-05 1998-03-1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及び釣竿製造用マンドレル
JP2807970B2 (ja) * 1994-08-10 1998-10-08 株式会社シマノ 中通し竿及びその製造方法
US6145237A (en) * 1998-03-26 2000-11-14 Charles C. Worth Corporation Unitary fishing rod with integral features
CN203986477U (zh) * 2014-06-05 2014-12-10 绍兴市博雅伞业有限公司 一种伞杆
CN207341329U (zh) * 2017-09-22 2018-05-11 汪绍华 一种对称不等边伞杆
CN108851407B (zh) * 2018-09-03 2020-03-31 杨胜岚 折叠伞中棒的限位组件、折叠伞中棒以及折叠伞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352B2 (ja) 1990-09-07 1996-10-0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製造法
JP2010252813A (ja) 2010-08-16 2010-11-11 Isamu Tokuda テーパー状管状体及びプリプレ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78028A1 (en) 2022-12-01
TW202247764A (zh) 2022-12-16
CN115428776A (zh) 2022-12-06
JP2022184414A (ja)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11516A1 (ja) 釣竿
US6460285B2 (en) Fishing rod butt and reel seat assembly
US20230263146A1 (en) Reel seat
KR20210019590A (ko) 릴시트 및 낚싯대
US4839981A (en) Fishing rod
KR900003964Y1 (ko) 통형릴시트
US4864764A (en) Fishing reel fixture
KR20220162608A (ko) 낚싯대
JP6691842B2 (ja)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リールシート本体並びに釣竿
JP2006204261A (ja) 釣竿
JP2007020498A (ja) 穂先竿
JP2009178131A (ja) 釣り竿
JP5984299B2 (ja)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2009131200A (ja) 釣竿
JP7378351B2 (ja) 釣竿
CN210106339U (zh) 抽芯铆钉
JP3978122B2 (ja) リールシート
JP2008271814A (ja) 釣り具
JPS6239668Y2 (ko)
JP2005185214A (ja) 釣竿
JP3942839B2 (ja) 釣竿
JP2007125046A (ja) 釣竿
JP4446381B2 (ja) リールシートのフード用の化粧カバー及び釣り竿
JP6345003B2 (ja) 釣竿
JP5688616B2 (ja) 釣竿用口栓並びに釣竿用玉口金具及び釣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