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570A - 동백나무꽃, 쑥잎 및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동백나무꽃, 쑥잎 및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570A
KR20220162570A KR1020210071158A KR20210071158A KR20220162570A KR 20220162570 A KR20220162570 A KR 20220162570A KR 1020210071158 A KR1020210071158 A KR 1020210071158A KR 20210071158 A KR20210071158 A KR 20210071158A KR 20220162570 A KR20220162570 A KR 20220162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mixed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mugw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582B1 (ko
Inventor
배준태
장준환
오경식
조항의
나인영
고훈
김가경
차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07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582B1/ko
Priority to CN202111324822.1A priority patent/CN115429725B/zh
Publication of KR20220162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 진정에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백나무꽃, 쑥잎,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함유하여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항알러지 효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백나무꽃, 쑥잎 및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skin calming effects which comprise mixed extract of Common camellia flower, mugwort, Lingzhi mushroom}
본 발명은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에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백나무꽃, 쑥잎,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침투력이 우수하고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항알러지, 항아토피 효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환경에 직접 노출되는 표면으로 각종 대기 오염물질이나 자외선등에 노출되었을 때 피부 자극 및 염증반응 또는 홍반등이 유발된다. 이러한 반응에 의해 부분적 색소침착 및 피부 탄력붕괴등을 촉진시켜 피부 노화를 빠르게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민감성 피부는 피지 분비량은 적당하나 외부의 자극에 민감해 염증 등을 일으키기 쉬운 피부로 작은 물리적, 화학적인 변화나 자극, 환경적인 외부 요인, 생리적인 내부의 변화에 대해 정상적인 피부보다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피부를 말한다. 이러한 민감성 피부의 질환으로 습진, 주사형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질환으로 아토피성 피부염을 들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피부 질환의 일종으로 매우 간지러운 만성염증성 피부염이며 주로 신생아나 유아기에 많이 발생하고 대부분 9세 내지 10세가 되면 자연 치유되나 최근에는 성인이 되어서도 아토피가 지속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두 돌 이내에 없어지는 경우가 50% 정도이고 25%는 청소년기에 없어지고 나머지 25%는 성인이 되어서도 없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최근에는 환경적인 요인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성인이 되어 아토피가 처음 발병하는 경우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 의학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국민의 약 15% 정도가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다고 한다.
피부의 수분이 보호되지 않음으로서 피부건조증으로 시작되며 극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하고 붉게 변하며 피부가 부어오르면 가렵게 된다. 이에 따라서 자꾸 피부를 긁게 되면 손톱 사이의 세균들에 의해서 염증성 질환으로 발전하게 되어 심한 경우 진물이 나고 딱지가 질 수 있는 병이다.
염증 반응은 생체나 조직에 물리적 작용이나 화학적 물질, 세균 감염 등의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이 가해질 때 그 손상부위를 수복 재생하려는 기전이며, 일단 자극이 가해지면 국소적으로 히스타민, 세로토닌, 브라디키닌, 프로스타글란딘, 하이드록실에이코사테트라에논산(HETE), 류코트리엔과 같은 혈관 활성물질이유리되어 혈관 괴성이 증대되면서 염증을 유발한다.
대부분의 질환과 마찬가지로 피부 질환 역시 염증 반응을 동반하는데 대표적인 피부 질환인 알레르기 접촉피부염,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등은 면역세포인 T세포가 매개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따라서 주요 피부 질환에 대한 관리 및 치료에는 반드시 항염증제가 응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스테로이드성항염증 제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스테로이드성 제제들은 여러 가지 많은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어 그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 제제도 천연 항균제와 마찬가지로 천연 식물 자원에서 얻어낼 수 있으며 한의학 및 중의학에서 뿐만 아니라 양의학에서도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손상된 세포나 조직에서 유도되는 면역 반응의 하나로 국소의 혈관과 체액의 각종 면역 세포들이 상호 작용하여 효소의 활성화, 매개물질의 분비, 체액의 침윤, 세포의 이동, 조직파괴 등을 유발하는 복잡한 일련의 생체 방어 반응이다.
일반적으로 염증반응에는 염증반응을 촉진시키는 cytokine 인 pro-inflammatory cytokine의 과다발현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이에 따른 pro & anti inflammatory cytokine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여러 형태의 염증 질환이 유발된다. 초기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pro-inflammatory cytokine들의 분비 및 생성은 면역세포의 성장 및 분화 과정에서 세포 내의 유전자 발현 프로그래밍과 세포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의해 결정되어지며, 이렇게 생성된 pro-inflammatory cytokine들은 NF-kb와 AP-1같은 전사 인자를 활성화시켜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 염증반응의 방지를 위해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pro-inflammatory cytokine의 과다발현을 막음으로써 피부 손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고, 이미 손상된 세포는 활발한 신진대사를 통해 재생 및 증식시켜 회복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항알러지, 항아토피 등의 기능을 가진 화장료 개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염증반응을 막아 염증방지, 진정효과 등을 향상시킬수 있는 연구를 거듭한 결과, 동백나무꽃 추출물, 쑥잎추출물, 영지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때 이들 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훨씬 우수한 항산화, 항염, 진정, 항알러지,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318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31876호
기존에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는 쑥잎 추출물관련 특허 발명(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31876호)의 아토피피부염 개선 효과를 증대시키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특정 천연 식물 유래의 추출물을 혼합사용하면 부작용이 없거나 최소화하면서 아토피피부염 및 진정, 항염 효과를 증대시킬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동백나무꽃, 쑥잎,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염, 진정, 항알러지, 항아토피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항염, 진정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동백나무꽃, 쑥잎,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염, 진정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동백나무꽃, 쑥잎, 영지버섯의 혼합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추출물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효과적인 성능 발휘 한계의 문제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제형화 및 제형 안정화에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동백나무꽃, 쑥잎, 영지버섯을 이루는 혼합비율(중량%)은 동백나무꽃 , 쑥잎, 영지버섯 =1:1:1(중량%) ~ 2:1:2(중량%)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의 제형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동백나무꽃, 쑥잎,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진정, 항알러지,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염, 진정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동백나무꽃, 쑥잎,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손상을 막아 건강한 피부로 만드는 항염, 피부진정 효능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염, 진정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동백나무꽃, 쑥잎,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손상을 막아 노화방지 및 건강한 피부로 만드는 항염, 진정효능과 함께 항알러지,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는 차나무과의 상록활엽수 교목으로, 흰 줄기에서 잔가지가 많이 나와 장 타원형 또는 반구형의 수형을 이루며, 수피는 회백색으로 평활하고,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잔 톱니가 있다. 길이 5~12c m, 넓이 3~7c m로 표면은 짙은 녹색이다. 꽃은 꽃잎 5매의 선홍색 또는 흰색, 일반적으로 홍차색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11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피고 종실은 10월 말경에 성숙된다.
이러한 동백나무 꽃에는 탄닌(tannin), 카멜린(camelliin)과 류코시아니딘(leucocyanidin)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씨에는 기름이 66% 존재하며 그 주성분은 올레익산의 글리세라이드이다. 또한, 씨에 배당체 카멜린(C18H34O7), 카멜리아사포닌(C58H92O25)이 존재한다(과학백과사전출판사,약초의 성분과 이용, 1999). 카멜린은 강심작용이 있고, 카멜리아 사포닌은 용혈작용이 알려져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백기름은 유성연고 기초제로 쓰인다. 또한 동백나무꽃(山茶花:본초명)은 민간에서 토혈증, 장풍하혈의 지혈제로서 붉은 꽃을 사용하며, 분말로 해서 동뇨, 생강의 즙 및 술과 함께 복용, 항원충작용 및 진경작용(Namba et al.,Shoyakugaku Zasshi, 38(3), pp.263-264, 1984), 치석형성 억제효과(Yoshikawaet al.,Chem. Pharm. Bull. 42(3), p.742, 1994), 알콜흡수억제(Mori and Nishimiya, 일본공개특허공보 63-303910,12, Dec., 1988), 미백 작용(Sakata et al., Mem. Fac. Agr. Kagoshima Univ., 17, pp.79-94, 1981)등의 생리활성이 보고 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수렴효능이 있는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의 꽃을 이용하여 모공수축 효과, 피지분비량 조절 및 강력한 항균효과와 항세균효과로 피부의 유해한 각종 균들의활성을 억제시켜주는 수렴 진정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에 포함되는 영지버섯은 Ganoderma lucidum을 포함한 영지 속(Ganaderma)버섯으로 아시아, 유럽 북미주 등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약용버섯으로 항암, 항종양, 고혈압, 당뇨등과 관련된 여러 약효와 유효성분이 보고되었다 영지 버섯에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항염증, 항산화, 항당강하, 면역, 항종양 등의 효과가 보고되었다.
또한 영지버섯은 영양공급 뿐만 아니라 약리효과도 가지고 있어, 오랜시간 동안 건강보조식품으로 여겨졌다. 특히 아시아 대부분의 나라에서 약용식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리고 영지버섯에는 polysaccharide이외에 tritepene, nucleoside, steroid, fatty acid, alkaloid, 단백질, 아미노산, 무기염류 등 다양한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고 이 중 고분자 물질 (polysaccharide 등)과 저분자물질(tritepene 등)이 다양하다. 저분자물질은 항염증, 항산화, 간세포보호, 항알레르기, 항고혈압, 콜레스테롤 저하 및 혈소판 응집 저해 등의 활성이 있고, 고분자 물질에 포함된 혈압강하, 정혈, 고지혈증개선, 혈당강하, 면역, 그리고 항종양 등의 효과가 보고되었다.
영지에는 에르코스테롤 0.3~0.4% 진균분해효소, 산성 단백분해효소, 다당류, 유기산, 수지, 쿠마린, 만니톨, 알카로이드 등이 있다. 동의치료에서 강장, 진정약으로 신경쇠약증, 불면증, 소화불량에 쓴다. 옛 동의문헌에 의하면 영지를 오래 먹으면 몸이 튼튼하게 되고 늙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정기를 돕고 부러진 뼈를 굳게 하며 얼굴색을 좋게 한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쑥잎의 애엽은 쑥의 잎 및 어린줄기를 말린 약재를 말하며 쑥을 뜻하는 애(艾)는 질병을 벨 수 있다는 뜻으로 벤다는 뜻을 가진 예(乂)자를 사용하였다고 하며, 또한 얼음을 깎아 돋보기를 만들어 들고 해를 향하게 한 뒤 쑥을 그 빛 안에 넣으면 불을 붙일 수 있다고 하여 빙대(氷臺)라고도 하였다. 뜸의 주요 재료가 되어 모든 병을 치료하므로 구초(灸草)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애엽은 기혈(氣血)과 경맥(經脈)을 따듯하게 하므로 자궁과 하복부가 허약하고 차서 생기는 자궁 출혈, 임신 중 출혈, 토혈, 코피, 각혈에 지혈 반응을 나타낸다. 또한 하초(下焦)가 허약하고 차며 복부에 냉감과 동통이 있는 증상 및 생리불순, 생리통, 대하(帶下)등에 사용하며, 습진, 피부가려움증에도 효과가 있다.
쑥(Artemisia, Mugwort)은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산과 들에 흔하게 자라며 번식력이 강한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쑥은 음식에 넣어 특유의 맛과 함께 색과 향을 좋게 할 뿐 아니라 미네랄이 풍부하여 알칼리성 식품이며, 클로로필에 의한 항암작용,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훈증에 사용되고, 지혈작용, 혈압강하작용, 항알레르기 작용(Sung, 2009)과 함께 항균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ung, 2005; Lee, 2010; Park & Park, 1994). 쑥은 색소로 청록색의 클로로필과 노랑색의 플라보노이드등을 함유한다. 클로로필은 청록색의 클로로필 a와 황록색의 클로로필 b가 약 2 ~ 3:1의 비율로 존재하며 중성에서는 녹색, 산성에서는 Mg2+원자를 잃으며 올리브색, 알칼리에서는 메틸과 피톨 에스테르가 제거되어 밝은 녹색으로 되며 클로로필은 피톨과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지용성이다. 쑥은 노란색의 플라보노이드도 함유하는데, 플라보노이드는 페놀류에 속하고 벤젠환 2개를 3개의 탄소원자가 연결하며 케톤을 가지는 화합물의총칭으로 플라본, 플라보놀, 안토시아닌 등으로 분류되고 각각에도 매우 많은 유도체가 있고 항균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동백나무꽃, 쑥잎,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동백나무꽃, 쑥잎, 영지버섯의 혼합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한정되기로는, 0.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추출물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효과적인 성능 발휘 한계의 문제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제형화 및 제형 안정화에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동백나무꽃, 쑥잎, 영지버섯을 이루는 혼합비율(중량%)은 동백나무꽃 , 쑥잎, 영지버섯이 1:1:1(중량%) ~ 2:1:2(중량%)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염, 진정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의 제형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동백나무꽃, 쑥잎,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진정, 항알러지,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10: 혼합 추출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시료 혼합 비율(동백나무꽃:애엽:영지버섯)로 한 시료를 혼합한 원물 100g에 50% 에탄올 1kg을 넣고 혼합한 추출물을 60 ℃에서 3시간 추출하고 냉각하여 0.45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감압농축 및 진공건조하여 분말을 얻었다.
원물 혼합 비율
(동백나무꽃:애엽:영지버섯, 중량비)
수율(g)
실시예 1 1:1:8 25.8
실시예 2 1:1:3 25.1
실시예 3 1:8:1 25.4
실시예 4 1:3:1 25.3
실시예 5 8:1:1 24.6
실시예 6 3:1:1 24.8
실시예 7 1:1:1 23.5
실시예 8 2:1:2 25.4
실시예 9 1:6:3 25.4
실시예 10 1:7:2 25.3
실험예 1 :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1내지 10에서 제조한 각 혼합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DPPH법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법은 DPPH(2,2-Di(4-tert-octylphenyl)-1-1picrylhydrazyl free radical)라는 유리기를 사용하여 환원력에 의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다. 피검물질에 의해 DPPH가 환원되어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공시험액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파장 560nm에서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하였다.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측정을 위하여 0.5% 농도의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농도의 추출물을 96웰 플레이트에 각각 넣고, 여기에 100uM 메탄올용액으로 제조된 DPPH를 첨가하여 용액의 총 부피가 200㎕가 되도록 하였다. 이것을 37℃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1>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100-(B/A)}X100
A: 본 발명의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웰의 흡광도,
B: 본 발명의 시료를 처리한 실험군 웰의 흡광도,
시료명 항산화효과(%)
실시예 1 31.6
실시예 2 39.1
실시예 3 67.7
실시예 4 59.4
실시예 5 49.4
실시예 6 51.0
실시예 7 68.8
실시예 8 70.2
실시예 9 57.2
실시예 10 62.5
상기 표 2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7, 8에서 자유라디컬 소거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시료의 세포독성
상기 실시예 1내지 10에서 제조한 각 혼합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진행하였다. 먼저 96 well plate에는 5 × 10⁴cell/well 되도록 분주 후 24시간 뒤에 각 농도에 맞도록 DMSO에 녹인 sample을 첨가하였다. 24 시간 뒤에 배지를 제거한 후 MTT 시약 (in PBS 2.5 mg/mL) well에 40 μL씩 가하고 incubator에 4시간 반응 후 다시 상층액을 제거한다. DMSO를 100 μL씩 분주하여 완전히 녹인다.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 540 nm에서 측정하였다.
시료명 세포 생존 농도(%)
실시예 1 97
실시예 2 95
실시예 3 85
실시예 4 87
실시예 5 88
실시예 6 90
실시예 7 96
실시예 8 98
실시예 9 90
실시예 10 87
시료의 세포 생존 농도 역시 실시예 7, 8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2의 경우 실시예 3의 경우 자유활성 소거능이 실시예 7,8과 비슷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표 3에서는 세포 생존 농도가 실시예 7, 8과 같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지 못했다.
또, 표 3의 경우 실시예 1의 경우 세포 생존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표 2의 경우 자유활성 소거능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실시예 7, 8이 자유활성 소거능 및 세포 생존 농도가 우수한 예라 하겠다.
이에 상기 표 2와 3에 나타낸 결과에 따라 이후의 실험은 실시예 7, 8을 가지고 실험하였다.
실험예 3: NO생성량 측정
상기 실시예 7과 8에서 얻어진 혼합추출물의 항염 활성 효과를 확인해 보기 위해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NO생성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았다. Nitric Oxide 측정은 cell의 supernatant에서의 NO의 양을 nitrite와 nitrate로서 측정하였다. Nitrite에 대한 nitrate로 환원된 후의 안전한 형태인 griess reagent를 사용하였으며, 96 well plate (5 × 10⁴cells/well)에 RAW264.7 세포의 confluence가 80%일 때, PBS로 2번 washing한 후에 무혈청 배지를 사용하여 18 시간 이상 배양시킨 후에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1 시간 동안 배양한 후 lipopolysacchride (LPS) 1 μg/mL 처리하고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의 상층액을 취하여 griess 시약과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NO 생성율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염증반응의 대표적인 인자인 NO의 생성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RAW264.7 세포에 lipopolysaccharide (LPS)를 1 μg/mL 처리한 다음 2 시간 뒤에 추출물을 각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18 시간 동안 배양 후 배양액 내의 NO양을 측정하였다.
시료명 NO 생성량(%)
Control 19
Blank 100
실시예 7 100 ppm 96.2
250 ppm 85.1
500 ppm 70.1
실시예 8 100 ppm 92.46
250 ppm 87.7
500 ppm 77.2
상기 표 4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시료 농도가 낮은 경우 NO 생성량이 높고, 농도가 높을 경우 NO 생성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β-hexosaminidase release 저해량 측정
상기 실시예 7과 8에서 얻어진 혼합추출물의 항알러지 활성 효과를 확인해 보기 위해 Histamine과 함께 중요한 매개체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β-hexosaminidase을 측정하였다. RBL-2H3 cell을 10% FBS를 함유한 DMEM(Dulbecco modified Eagle's medium)에 현탁시킨 후 24 well plate에 각 well당 2 x 105 cell이 들어가도록 처리한 다음 각 well당 100ng/ml의 mouse monoclonal IgE로 감작시킨 후 5% CO2 incubator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well당 Tyrode buffer 500ul를 사용하여 헹구어내고, 농도별로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15분간 배양하고, 한 시간 동안 DNP-BSA 100ng/ml을 처리한다. 상층액에 substrate (1mM p-nitrophenyl-N-acetyl-β-D-glucosaminide) 50ul 처리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한 시간 동안 incubation 한 후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명 β-hexosaminidase release inhibition activity (%)
실시예 7 100 ppm 6.4
250 ppm 12.7
500 ppm 30.5
실시예 8 100 ppm 7.9
250 ppm 15.8
500 ppm 35.1
표 5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혼합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농도의 증가에 따라 β-hexosaminidase의 방출양이 감소하여 그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샴푸 제조
하기 표 6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8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1 95%에탄올 5
2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5
3 코실베타인 5
4 알킬에테르셀페이트 0.5
5 실리콘 0.5
6 폴리쿼터 0.2
7 향료 0.2
8 보존제 0.02
9 글리세린 5
10 혼합추출물(실시예8) 5
11 정제수 73.58
합계 100
제조예 2 :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수 제조
하기 표 7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8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1 95%에탄올 8
2 폴리피로리돈 0.05
3 올레일알콜 0.1
4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0.2
5 향료 0.2
6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0.1
7 글리세린 5
8 혼합추출물(실시예8) 10
9 정제수 76.35
합계 100
제조예 3 :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유액 제조
하기 표 8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8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수중유(O/W)형의 유액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1 세틸알콜 1.2
2 스쿠알란 10
3 바세린 2
4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2
5 글리세린모노에스테아레이드 1
6 폴리옥시에틸렌(20몰 부가)
모노올레이트
1
7 향료 0.1
8 디프로필렌글리콜 5
9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2
트리에탄올아민 0.2
10 혼합추출물(실시예8) 0.1
11 정제수 77.2
합계 100

Claims (5)

  1. 동백나무꽃, 쑥잎 및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동백나무꽃, 쑥잎, 영지버섯을 1:1:1 ~ 2:1:2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나무꽃, 쑥잎 및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이 에탄올 또는 함수에탄올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나무꽃, 쑥잎 및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0.1 내지 10.0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나무꽃, 쑥잎 및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의 제형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나무꽃, 쑥잎 및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71158A 2021-06-01 2021-06-01 동백나무꽃, 쑥잎 및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2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158A KR102642582B1 (ko) 2021-06-01 2021-06-01 동백나무꽃, 쑥잎 및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CN202111324822.1A CN115429725B (zh) 2021-06-01 2021-11-10 用于抗氧化、抗炎、皮肤镇静的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158A KR102642582B1 (ko) 2021-06-01 2021-06-01 동백나무꽃, 쑥잎 및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570A true KR20220162570A (ko) 2022-12-08
KR102642582B1 KR102642582B1 (ko) 2024-03-04

Family

ID=8424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158A KR102642582B1 (ko) 2021-06-01 2021-06-01 동백나무꽃, 쑥잎 및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2582B1 (ko)
CN (1) CN1154297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23270B (zh) * 2023-11-29 2024-03-19 江西康一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炎症多功效的人参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876B1 (ko) 2014-12-30 2018-02-27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1883B1 (ko) 2015-05-26 2018-04-16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85024A (zh) * 2002-09-28 2004-03-31 戚海波 一种蜂蜜及在美容化妆品中的应用
JP5826171B2 (ja) * 2010-05-27 2015-12-02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
WO2016067688A1 (ja) * 2014-10-29 2016-05-06 昭和電工株式会社 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及び皮膚バリア機能改善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876B1 (ko) 2014-12-30 2018-02-27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1883B1 (ko) 2015-05-26 2018-04-16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레아라 다이아포스 컨투어 아이크림 및 3X딥 미네랄 머드 폼클린저’ 관련 네이버 블로그(https://blog.naver.com/3370aaaa/222053303241)(2020.08.06.)* *
‘미샤 M 시그니처 리얼 커믈릿 비비크림’ 관련 네이버 블로그(https://blog.naver.com/dsfafadf34/220958533945)(2017.03.1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582B1 (ko) 2024-03-04
CN115429725A (zh) 2022-12-06
CN115429725B (zh)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150125542A1 (en) TIE2 Activator,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hibitor, Angiogenesis Inhibitor, Vascular Maturing Agent, Vascular Normalizing Agent and Vascular Stabilizing Agen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KR100633380B1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KR101986186B1 (ko)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KR101412500B1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44025B1 (ko) 하늘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1302222B1 (ko)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식물성 혼합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4238B1 (ko) 혼합 식물 추출물
KR102002894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400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20050073918A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723792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42582B1 (ko) 동백나무꽃, 쑥잎 및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0927B1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1705354B1 (ko) 고사리삼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55238B1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KR20180053005A (ko)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CN113350232B (zh) 含马齿苋、艾叶及红景天的混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护及刺激缓解用化妆品组合物
KR101587446B1 (ko)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il-s를 포함하는 항균, 보습, 가려움개선, 세라마이드증가, 항염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KR100644086B1 (ko) 피부자극이 없는 한방입욕제의 제조방법
KR101594034B1 (ko) 덤불쑥, 알꽈리 및 동백나무잎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피부알러지, 항염증및 노인성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100589667B1 (ko)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23B1 (ko)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질환 케어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