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269A - 아이라이너 화장료 - Google Patents

아이라이너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269A
KR20220161269A KR1020227028804A KR20227028804A KR20220161269A KR 20220161269 A KR20220161269 A KR 20220161269A KR 1020227028804 A KR1020227028804 A KR 1020227028804A KR 20227028804 A KR20227028804 A KR 20227028804A KR 20220161269 A KR20220161269 A KR 20220161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referable
eyeliner
cosmetic according
eyeliner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사코 군지
요스케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ublication of KR20220161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26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 지속성이 우수하면서도, 화장료를 지울 때에 온수로 지우기 쉽고, 막의 유연성, 조막성, 도포했을 때의 끊김 없음도 우수한 아이라이너 화장료의 개발을 과제로 한다. 해당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아이라이너 화장료는, 다음 성분 (A) 내지 (D); (A) (A-1) 비수용매를 분산매로 하는 (A-2) 아크릴산 알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분산액; (B)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 (C) 소수화 표면처리분체; 및 (D) 휘발성 유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이라이너 화장료
본 발명은 아이라이너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아이라이너 화장료는, 눈의 윤곽에 라인(line)을 넣음으로써 눈을 강조시켜서 크게 보이기 위한 화장료이다. 눈의 윤곽에 그린다고 하는 사용 방법으로부터, 끊김 없이 매끄러운 모양으로 라인을 넣을 수 있는 그리기 쉬움, 순시에 말라서 막이 되는 조막성, 눈물이나 피지에 의한 번짐에 대한 화장 지속성, 눈꺼풀의 연속 운동에 의해 갈라지지 않는 유연한 화장막이 요구되고 있다. 또 눈의 윤곽은 대단히 델리케이트한 부위이기 때문에, 강하게 문지르는 일 없이 간단히 화장막을 지우는 것(제거하기 쉬움)도 중요하다.
아이라이너 화장료에는 유성 타입과 수계 타입이 있다. 여기에서는 유성 타입이란, 비수 또는 W/O형의 아이라이너 화장료를 나타내고, 수계 타입이란 O/W 또는 수용성 성분만으로 구성된 아이라이너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유성 타입은 화장 유지가 우수하고, 수계 타입은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유성 타입, 수계 타입 모두, 각각의 이점을 살리면서 더 한층의 품질향상을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휘발성 실리콘에 중합체가 분산된 비수계 폴리머 분산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에 의해, 땀, 눈물, 피지 등으로 화장이 지워지지 않는 화장 유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술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코어셸형 폴리머 에멀션과, 포수성(抱水性) 유제와, 미세결정질 왁스를 함유하고, 포수성 유제와 미세결정질 왁스의 질량비가 1:1 내지 1:5이며, 또한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밀랍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에 의해, 워터프루프(waterproof) 타입이면서, 온수로 씻어내는 것이 가능한 기술도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또한, 눈가용 화장료 조성물을, 눈가용 화장료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서, 실리콘계 피막제를 10.01 내지 30질량% 및 휘발성 오일 성분을 25 내지 70질량% 함유하고, 휘발성 오일 성분 전체량에 대해서 휘발성 실리콘계 기름 성분이 25질량% 이상이며, 경도가 30 이상 100 이하로 함으로써, 화장 유지가 우수한 제제도 개발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JP H10-087435 A JP 2010-265225 A JP 2017-218413 A
본 발명은, 화장 지속성이 우수하면서도, 화장료를 지울 때에 온수로 지우기 쉽고, 또한, 막의 유연성, 조막성, 도포했을 때의 끊김 없음도 우수한 아이라이너 화장료의 개발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아크릴산 알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분산액과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 소수화 표면처리분체, 휘발성 유제를 조합시킴으로써, 화장 지속성이 우수하면서도 온수로 지우기 쉽고, 또한 막의 유연성, 조막성, 도포했을 때의 끊김 없음이 우수한 아이라이너 화장료를 개발하였다.
즉, 본 발명은, 다음 성분 (A) 내지 (D);
(A) (A-1) 비수용매를 분산매로 하는 (A-2) 아크릴산 알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분산액;
(B)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
(C) 소수화 표면처리분체; 및
(D) 휘발성 유제
를 함유하는 아이라이너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화장 지속성이 우수하면서도, 화장료를 지울 때에 온수로 지우기 쉬운 아이라이너 화장료이며, 또한, 막의 유연성, 조막성, 도포했을 때의 끊김 없음도 우수한 아이라이너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내지"는 그 전후의 수치를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하고, 특별히 기재가 없을 경우의 "%"는 질량%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균입자직경"이란, 화상해석장치(LUZEX AP, 니레코사(Nireco Corp.) 제품)에 의한 측정에 의해 구한 중앙직경 D50값이다. 또, 비대칭 형상의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장 큰 입자직경의 분포로부터 구한 중앙직경 D50을 평균입자직경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성분 (A)는, 비수용매 (A-1) 중에 아크릴산 알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A-2)를 분산시킨 분산액이다.
아크릴산 알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A-2)는, INCI명(International Nomenclature Cosmetic Ingredient labeling names)으로, ACRYLATES/VA COPOLYMER로서 수록되는 성분에 상당한다. 성분 (A)는, (메타)아크릴산알킬과, 아세트산비닐을 공중합해서 얻어지는 것이며, (메타)아크릴산알킬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4, 8 또는 12인 (메타)아크릴산알킬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이용된다. 성분 (A)를 구성하는 (메타)아크릴산알킬과 아세트산비닐의 질량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30:70 내지 95:5((메타)아크릴산알킬:아세트산비닐)가 바람직하고, 40:60 내지 70:3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화장 지속성,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 막의 유연성, 조막성,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A-2)의 수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화장 지속성의 관점에서 5만 내지 50만이 바람직하고, 5만 내지 30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평균 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폴리스타이렌 환산값이다. 또 성분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중, (메타)아크릴산알킬만을 중합한 중합체의 Tg는,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의 관점에서, 하한값으로서,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1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는,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A)의 분산매인 비수용매 (A-1)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유기용매, 실리콘계 용매 등이 포함되고, 이들 중에서도, 조막성,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으로부터,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 지방산 에스터, 지방산, 실리콘 오일 등이 바람직하고,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이 보다 바람직하다.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이란, 상압에 있어서의 비점이 260℃ 이하인 탄화수소이며, 예를 들어, 아이소옥탄, 아이소도데칸, 아이소헥사데칸, 아이소에이코사엔 등의 측쇄를 갖는 탄화수소, 아이소파라핀, 혹은 이들의 혼합물, 아이소부텐, n-부텐 등을 중합 혹은 공중합(중합도는 4 내지 6이 바람직함)한 후, 수소첨가한 것 등을 들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이소도데칸이 바람직하다.
지방산 에스터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의 관점에서, 구성하는 지방산의 알킬기가 2 내지 18인 것이 바람직하고, 4 내지 1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 내지 12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지방산 에스터로서, 예를 들어, 다이2-에틸헥산산 네오펜틸글리콜, 석신산 다이에틸헥실, 팔미트산 에틸헥실, 미리스트산 아이소프로필, 다이머 다이리놀레일 수첨 로진 축합물, 트라이(카프릴/카프르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다이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 다이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아이소노난산 아이소트라이데실, 트라이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말산 다이아이소스테아릴,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살리실산 에틸헥실,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트리톨, 데카에틸헥산산 폴리글리세릴-10,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에틸헥실, 트라이멜리트산 트라이트라이데실, 헥사아이소노난산 다이펜타에리트리틸, 트라이아이소스테아르산 다이글리세릴 등이 예시되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 다이2-에틸헥산산 네오펜틸글리콜, 석신산 다이에틸헥실, 팔미트산 에틸헥실, 미리스트산 아이소프로필, 다이머 다이리놀레일 수첨 로진 축합물, 트라이(카프릴/카프르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 세틸, 다이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 다이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아이소노난산 아이소트라이데실, 트라이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말산 다이아이소스테아릴,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살리실산 에틸헥실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방산으로서는, 아이소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라우르산, 팔미트산 등이 예시된다. 또 실리콘 오일로서는,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다이페닐다이메티콘,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메틸트라이메티콘, 카프릴릴트라이메티콘, 다이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등의 휘발성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A)에 있어서, 아크릴산 알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A-2)는 수지입자로서 비수용매 (A-1) 중에 분산되어서 함유된다. 그 평균입자직경은, 화장 지속성,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 막의 유연성,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의 관점에서 0.1 내지 2㎛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입자의 평균입자직경은, 레이저 회절법을 이용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성분 (A)를, 세로 5㎜, 가로 65㎜ 및 높이 80㎜ 각형의 유리 셀 중에 파스퇴르 피펫(Pasteur Pipette)을 이용해서 5㎖ 채취하고, 이것을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분포 측정장치[호리바세이사쿠쇼사(HORIBA, Ltd.) 제품인 LA-910A]에 세트한다. 레이저광(적색)의 투과율이 80% 내지 90%가 되도록, 성분 (A)의 농도를 조정한 후, 측정 온도 25℃±1℃의 조건으로 측정한 결과를 컴퓨터 처리하는 것에 의해, 비수분산액 중의 수지의 입자의 평균입자직경을 구하고, 체적평균(D50)의 값을 평균입자직경이라 한다.
성분 (A)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서 얻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비수용매 중에서, (메타)아크릴산알킬과 아세트산비닐을 중합 반응시키는 방법 이외에, 조제한 아크릴산 알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비수용매 중에 분산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성분 (A)에 있어서의 비수용매 (A-1)과 아크릴산 알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A-2)의 함유 질량비율((A-2)/(A-1))은, 조막성,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의 관점에서,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A)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Nisetsu U-3712A(닛폰카바이드코교사(Nippon Carbide Industries, Ltd.) 제품) 등을 들 수 있고, 이것에 함유되는 아크릴산 알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A-2)의 수평균 분자량 및 평균입자직경은, 상기 수평균 분자량 및 평균입자직경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아이라이너 화장료에 있어서의 성분 (A-2)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한값으로서는, 0.8% 이상이 바람직하고, 1%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특히 3%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는,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8%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고, 6%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화장 지속성,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 막의 유연성, 조막성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B)는, 지방산과 덱스트린의 에스터이다. 본 발명의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는, 통상 화장료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에 이용되는 지방산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조막성, 막의 유연성의 관점에서, 지방산의 탄소수가, 하한값은 12 이상이 바람직하고, 1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6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은 22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8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방산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에틸헥산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이소스테아르산, 베헨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에 이용되는 지방산은 직쇄·분기를 막론하고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지만, 조막성의 관점에서, 직쇄 지방산인 것이 바람직하고, 포화·불포화를 막론하고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지만, 조막성의 관점에서, 포화 지방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덱스트린의 수산기에 대한 지방산의 치환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한값은 1 이상이 바람직하고, 1.7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은 3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 (B)는, 예를 들어, 라우르산 덱스트린, 미리스트산 덱스트린, 팔미트산 덱스트린, (팔미트산/에틸헥산산) 덱스트린, 스테아르산 덱스트린, 아이소스테아르산 덱스트린, 베헨산 덱스트린, 야자유 지방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미리스트산 덱스트린, 팔미트산 덱스트린, (팔미트산/에틸헥산산) 덱스트린, 스테아르산 덱스트린 및 아이소스테아르산 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미리스트산 덱스트린, 팔미트산 덱스트린 및 (팔미트산/에틸헥산산) 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팔미트산 덱스트린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분 (A)와 성분 (B)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다른 성분 (C), (D)와도 더불어,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 막의 유연성, 조막성을 각각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성분 (B)는 성분 (A)와 마찬가지로 친수부와 소수부를 가지고 있고, 성분 (A)끼리가 융착하는 프로세스에 있어서 성막조제로서 작용하고, 이 결과, 조막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 성분 (A)와 (B)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연한 막이 되고, 온수로 지울 때에도 막으로서 간단히 벗겨지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성분 (B)에 이용되는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의 시판품으로서, "Rheopearl KL2", "Rheopearl ISL", "Rheopearl TT", "Rheopearl TL2"(이상, 치바세이훈사(Chiba Flour Milling Co., Ltd.)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B)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한값으로서는, 1% 이상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6%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는,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4%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12%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화장 지속성, 막의 유연성, 조막성,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성분 (A-2)와 성분 (B)의 함유 질량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함유하는 질량비율을 특정함으로써, 보다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 (A-2) 및 (B)의 함유 질량비율 (A-2)/(B)는, 하한값으로서는, 0.08 이상이 바람직하고, 0.1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0.3 이상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는, 2.5 이하가 바람직하고, 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1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화장 지속성,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 막의 유연성, 조막성,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C)는, 소수화 표면처리분체는, 분체에 소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분체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소수화 표면처리제에 의해 피복 처리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수화 표면처리분체는,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분체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분체 표면의 부착성이 약해지고, 분체끼리의 응집이 저감되므로, 성분 (B)와 조합시켰을 때에, 보다 균일한 화장막을 형성하고, 화장 지속성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C)에 이용되는 표면처리제로서, 불소화합물, 실란 화합물, 유기티타네이트, 실리콘 화합물, 유제, 겔화제, 에멀션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화장 지속성 등이 우수한 점에서 불소화합물, 실란 화합물 및 실리콘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불소화합물 또는 실란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화장 지속성, 막의 유연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불소화합물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면처리제에 있어서, 불소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터 다이에탄올아민염, 퍼플루오로옥틸트라이에톡시실란, 퍼플루오로폴리에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퍼플루오로옥틸트라이에톡시실란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실란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실란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라이알콕시알킬실란을 들 수 있다. 트라이알콕시알킬실란은, 규소원자에 3개의 알콕시기와 1개의 알킬기가 결합한 화합물이며, 해당 알콕시기가 분체 표면의 수산기 등과 반응하는 것에 의해, 분체 표면을 화학적으로 수식하는 화합물이다. 해당 트라이알콕시알킬실란에 있어서의, 알콕시기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트라이알콕시알킬실란에 있어서의, 알킬기는 탄소수 6 내지 18의 알킬기인 헥실기, 옥틸기, 데실기, 옥타데실기 등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트라이알콕시알킬실란은, 예를 들어, 트라이메톡시헥실실란, 트라이메톡시옥틸실란, 트라이메톡시데실실란, 트라이메톡시옥타데실실란, 트라이에톡시헥실실란, 트라이에톡시옥틸실란, 트라이에톡시데실실란, 트라이에톡시옥타데실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트라이알콕시알킬실란 중에서도, 트라이메톡시옥틸실란, 트라이에톡시옥틸실란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분 (C) 소수화 표면처리분체에 있어서의 소수화 표면처리제의 처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한값으로서는, 0.1% 이상이 바람직하고, 0.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는,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화장 지속성이 우수하면서도, 화장료를 지울 때에 온수로 지우기 쉽고, 또한, 도포했을 때의 끊김 없음도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C)에 이용되는 분체로서는, 통상 화장료에 이용되는 것이면, 구형, 판상, 침상 등의 형상, 미립자, 안료급 등의 평균입자직경, 다공질, 무공질 등의 입자 구조 등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무기분체류, 광휘성분체류, 색소 분체류, 금속 분체류, 복합 분체류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황산바륨 등의 백색 무기 안료, 산화철, 카본블랙, 티타늄·산화티타늄 소결물,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감청, 군청 등의 유색 무기 안료, 실리카, 탤크, 백운모, 금운모, 홍운모, 흑운모, 합성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합성 세리사이트, 카올린, 탄화규소,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산화안티몬, 규조토, 규산알루미늄, 메타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바륨, 규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질화붕소 등의 백색 체질 분체, 산화티타늄 피복 운모, 산화티타늄 피복 옥시염화 비스무트, 산화철운모 티타늄, 감청처리 운모 티타늄, 카민처리 운모 티타늄, 옥시염화 비스무트, 어린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알루미늄·에폭시 적층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올레핀 적층 필름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적층 필름말 등의 광휘성 분체,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라우르산아연, 라우르산알루미늄, 라우르산마그네슘 등의 금속비누,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5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청색 404호, 황색 401호,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오렌지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녹색 3호, 청색 1호 등의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안료분체 혹은 더욱 알루미늄 분말, 금가루, 은가루 등의 금속 분체, 미립자 산화티타늄 피복 운모 티타늄, 미립자 산화아연 피복 운모 티타늄, 황산바륨 피복 운모 티타늄, 산화티타늄 함유 이산화규소, 산화아연 함유 이산화규소 등의 복합분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C)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한값으로서는, 1% 이상이 바람직하고, 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는,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화장 지속성, 막의 유연성,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성분 (B)와 성분 (C)의 함유 질량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함유하는 질량비율을 특정하는 것에 의해, 보다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 (B) 및 (C)의 함유 질량비율 (B)/(C)는, 하한값으로서는, 0.1 이상이 바람직하고, 0.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3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는, 2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특히 0.7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화장 지속성, 막의 유연성, 조막성,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D) 휘발성 유제는, 25℃에 있어서 휘발성을 갖는 유제이다. 본 발명의 성분 (D)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성분 (A)의 비수용매 (A-1)과 마찬가지 성분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고, 통상 화장료에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 휘발성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이소도데칸, 경질 유동 아이소파라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메틸트라이메티콘, 카프릴릴트라이메티콘, 다이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조막성,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의 관점에서,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이 바람직하고, 아이소도데칸 또는 경질 유동 아이소파라핀이 보다 바람직하고, 아이소도데칸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D)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한값으로서는, 20%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는, 80% 이하가 바람직하고, 7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조막성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성분 (A-1)이 휘발성 유제일 경우, 휘발성 유제의 (A-1)과 성분 (D)의 총함유량 [(A-1)+(D)]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한값으로서는, 20%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는, 80% 이하가 바람직하고, 7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70% 이하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조막성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 (E)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 (E)를 함유함으로써, 성분 (C)의 아이라이너 화장료 중에서의 분산성이 향상되고, 화장 지속성이 우수하면서도, 화장료를 지울 때에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E)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HLB가 하한값으로서는, 1 이상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는, 18 이하가 바람직하고, 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HLB(친수성-친유성 밸런스; Hydrophile-Lipophile Balance)값은 그리핀(Griffin)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E)는, HLB를 특정함으로써, 화장 지속성이 우수하면서도, 화장료를 지울 때에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이 보다 우수하다. 또한, 구조를 특정함으로써, 끊김 없음도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지방산과 알코올의 에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스터에 이용되는 지방산으로서는, 탄소수의 하한값은 12 이상이 바람직하고, 1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6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탄소수의 상한값은 22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8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지방산의 탄소사슬이 분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코올로서는, 다가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2가 이상의 알코올, 글리콜, 당, 당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글리콜, 당, 및 당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당 또는 당 알코올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당 또는 당 알코올로서는, 글루코스, 수크로스, 말토스, 소르비톨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한, 수크로스 또는 소르비톨이 보다 바람직하고, 소르비톨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 (E)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터,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에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콜레스테릴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콜레스탄올에터,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에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터, 솔비탄지방산 에스터, 세스퀴올레산 솔비탄,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톨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터,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터의 산화 에틸렌 유도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의 산화에틸렌 유도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터,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알칸올아마이드, 지방산알칸올아마이드,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유기폴리실록산, 알킬 함유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유기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솔비탄지방산 에스터 및 수크로스지방산 에스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모노아이소스테아르산솔비탄, 세스퀴아이소스테아르산솔비탄, 모노팔미트산솔비탄, 올레산솔비탄, 세스퀴올레산솔비탄, 트라이스테아르산솔비탄, 스테아르산수크로스, 테트라아이소스테아르산수크로스, 펜타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수크로스, 폴리스테아르산 수크로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세스퀴아이소스테아르산솔비탄(HLB4), 모노팔미트산솔비탄(HLB6.7), 세스퀴올레산솔비탄(HLB4), 폴리스테아르산수크로스(HLB1) 등이 바람직하고, 세스퀴아이소스테아르산솔비탄, 세스퀴올레산솔비탄, 폴리스테아르산수크로스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E)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한값으로서는, 0.01% 이상이 바람직하고, 0.0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는, 5% 이하가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화장 지속성,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이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더욱 성분 (F) 유기 분체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유기 분체는, 통상, 화장료에 이용되는 유기 분체이면, 구형, 판상 등의 형상이나, 입자직경, 다공질, 무공질 등의 입자 구조 등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구형이 바람직하다.
성분 (F)로서는, 나일론 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아크릴로나이트릴-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파우더, 염화비닐리덴-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파우더, PET수지 파우더, 폴리에틸렌 파우더, 폴리스타이렌 파우더, 유기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파우더,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파우더, 폴리우레탄 파우더, 울 파우더, 실크 파우더, 결정 셀룰로스, N-아실리진 등의 유기 분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유기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파우더,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파우더, 폴리우레탄 파우더, 및 결정 셀룰로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유기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파우더,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파우더, 및 결정 셀룰로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유기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파우더 및 결정 셀룰로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기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파우더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KSP-100, KSP-101, KSP-102(모두 신에츠카가쿠코교사(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성분 (F)의 평균입자직경은, 화장 지속성,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하한값으로서는, 0.1㎛ 이상이 바람직하고, 1㎛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7㎛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는,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F)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한값으로서는, 1% 이상이 바람직하고, 3%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는,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7%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도포했을 때의 끊김 없음이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이라이너 화장료는, 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수돗물을 이용해도 되고, 증류 등으로 정제한 정제수, 온천수, 심층수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 알로에베라, 위치하젤(witch hazel), 하마멜리스(Hamamelis), 오이, 레몬, 라벤더, 장미수 등의 식물 추출액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한값으로서는, 0.0001% 이상이 바람직하고, 0.001%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는,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이라이너 화장료는, 통상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이라이너 화장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말 형태, 고형 형태, 액상, 겔 형태 등의 성상을 취할 수 있고, 붓형 도포체를 사용했을 때의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의 관점에서 액상 또는 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아이라이너 화장료는, 유성 타입, 수계 타입의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이 중 유성 타입이 바람직하다. 유성 타입에는 비수 타입, W/O형의 것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비수 타입이란 물의 함유량이 5%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인 것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유성 타입의 아이라이너 화장료는, 유성 타입이면서, 수계 타입의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겸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이라이너 화장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점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하한값으로서는, 25℃에서 250mPa·s 이상이 바람직하고, 500mPa·s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mPa·s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값으로서는, 25℃에서 20000mPa·s 이하가 바람직하고, 18000mPa·s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000mPa·s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25℃의 점도는, 브룩필드형 점도계를 이용한 화장품 원료기준·점도측정법 제2법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라이너 화장료를 1일 25℃에 정치시키고, 브룩필드형 점도계(에코세이키사(EKO INSTRUMENTS CO., LTD.) 제품)를 이용하고, 측정 조건은, 25℃에 있어서 회전자 제4호를 이용해서, 측정 시간 6rpm, 측정 시간 1분에서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들은 본 발명을 하등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본 발명품 1 내지 27) 및 비교예(비교품 1 내지 6): 아이라이너
표 1 내지 4에 나타낸 아이라이너를 조제하고, ㄱ. 화장 지속성, ㄴ.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 ㄷ. 막의 유연성, ㄹ. 조막성, ㄹ. 도포했을 때의 끊김 없음에 대해서 하기의 평가 방법으로 평가해서 판정하였다. 그 결과도 아울러서 표 1 내지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1: Nisetsu U-3712A(닛폰카바이드코교사 제품 고형분 45% 아이소도데칸 용매)
(메타)아크릴산알킬(Tg 30℃):아세트산비닐 50:50
※2: 공중합체의 구성 성분은 ※1과 같음(고형분 45% 아이소도데칸 용매)
(메타)아크릴산알킬(Tg 30℃):아세트산비닐=70:30
※3: 공중합체의 구성 성분은 ※1과 같음(고형분 45% 아이소도데칸 용매)
(메타)아크릴산알킬(Tg30℃):아세트산비닐=30:70
※4: Rheopearl KL2(치바세이훈사 제품): 치환도 2
※5: Rheopearl TL2(치바세이훈사 제품): 치환도 1.5
※6: Rheopearl MKL2(치바세이훈사 제품): 치환도: 2
※7: Rheopearl TT2(치바세이훈사 제품): 치환도 1.5
※8: KF-96L-2CS(신에츠카가쿠코교사 제품)
※9: KSP-100(신에츠카가쿠코교사 제품)
※10: KSP-101(신에츠카가쿠코교사 제품)
※11: KSP-102(신에츠카가쿠코교사 제품)
※12: CELLULOBEADS D-10(다이도카세이사(Daido Kasei Co., Ltd.) 제품)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제조 방법)
A.성분 (1) 내지 (22), (27)을 80℃로 가열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B.A를, 롤러에서 처리를 한다.
C.B에 성분 (23) 내지 (26)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붓형 도포체 부착 용기에 충전하고, 아이라이너를 얻었다.
(평가 항목)
ㄱ. 화장 지속성
ㄷ. 막의 유연성
ㄹ. 도포했을 때의 끊김 없음
(평가 방법)
화장료 평가 전문 패널 20명에게 실시예 1(본 발명품 1 내지 27), 비교예(비교품 1 내지 6)를 사용하게 하고, "ㄱ"에 대해서는, 8시간 후까지 화장막이 변화되지 않고 남아있는지의 여부, "ㄴ"에 대해서는 눈을 깜박였을 때의 부담감 없음(깜박임의 움직임에 추종해서 화장막도 유연하게 움직여 부담감을 느끼지 않는 것이 막의 유연성을 지닌다고 판정함)을, "ㄷ"에 대해서는, 붓형 도포체를 사용했을 때에 끊김 없이 그려지는지의 여부를, 패널 각자가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4단계 평가하여 평점을 부여하고, 전체 패널의 평점의 평균점을 이하의 판정 기준에 따라서 판정하였다.
(평가 기준)
(평점): (평가)
4: 매우 양호
3: 양호
2: 나쁨
1: 매우 나쁨
(판정 기준)
(판정): (평점의 평균점)
◎: 3.5점 이상
○: 3.0점 이상 3.5점 미만
△: 2.0점 이상 3.0점 미만
×: 2.0점 미만
(평가 항목)
ㄴ.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
(평가 방법)
화장료 평가 전문 패널 20명에게 실시예 1(본 발명품 1 내지 27), 비교예(비교품 1 내지 6)를 사용하게 하여, 화장 지속성의 평가를 마친 후에, 40℃의 온수로 5회 이상 문질러 씻어내어,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을 평가하게 하고, 하기 판정 기준에 따라서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
(판정): (온수로 씻었을 때의 상황)
◎: 40℃의 온수로 5회 문질러 씻었을 때, 완전히 지워짐
○: 40℃의 온수로 6 내지 10회 문질러 씻었을 때, 완전히 지워짐
△: 40℃의 온수로 11 내지 15회 문질러 씻었을 때, 완전히 지워짐
×: 40℃의 온수로 16회 이상 문질러 씻었을 때, 화장막이 남는다
(평가 항목)
2: 조막성
(평가 방법)
실시예 1(본 발명품 1 내지 27), 비교예(비교품 1 내지 6) 0.2g을 유리판에 면적 3㎝×3㎝, 두께 12.5㎛로 그어서, 도막이 건조되어, 조막된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막 표면을 손가락으로 접촉했을 때에 벌크(bulk)가 손가락에 붙지 않게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하기 판정 기준에 따라서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
(판정): (도막이 건조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
◎: 도포 후 1분30초 미만에서 도막이 건조됨
○: 도포 후 1분30초 이상 2분30초 미만에서 도막이 건조됨
△: 도포 후 2분30초 이상 3분30초 미만에서 도막이 건조됨
×: 도포 후 3분30초 이상에서 도막이 건조됨
표 1 내지 4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1(본 발명품 1 내지 27)의 아이라이너는, 비교예에 비해서, 화장 지속성,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 막의 유연성, 조막성, 도포했을 때의 끊김 없음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우수한 것이었다. 한편, 성분 (A)를 다른 폴리머나 수지로 치환한 비교품 1 및 2에서는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 막의 유연성, 조막성이 결여되는 것이었다. 또한, 성분 (B)를 다른 증점제로 치환하고, 본 발명품 3과 같은 정도의 점도(25℃, 15000mPa·s)로 조정한 비교품 3, 4 및 5에서는, 화장 지속성, 막의 유연성, 조막성,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이 결여되는 것이었다. 표면 처리되어 있지 않은 분체를 이용한 비교품 6에서는, 화장 지속성, 막의 유연성, 조막성이 결여되는 것이었다.
실시예 2 아이라이너 액상
(성분) (%)
1. (아크릴산 알킬/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1 10
2. 카르나우바 왁스 2
3. 수소 첨가 대두인지질 0.5
4. 무수 규산 0.1
5. 팔미트산덱스트린※5 10
6. 퍼플루오로옥틸트라이에톡시실란 3% 처리 흑산화철
10
7. 탤크 5
8. 아이소도데칸 잔량
9. 세스퀴아이소스테아르산솔비탄(HLB:4.0) 0.3
10. 말산다이아이소스테아릴 1
11. 트라이에틸헥사노인 1
12. 수첨폴리아이소부텐 1
13. 메틸파라벤 0.1
14. 치자나무 추출물 0.01
15. 장미 추출액 0.01
16. 향료 0.01
17.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 평균입자직경 ㎛ 10
(제조 방법)
A.성분 (1) 내지 (15)를 80℃로 가열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B.A를, 롤러에서 처리를 한다.
C.B에 성분 (16), (17)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붓형 도포체 부착 용기에 충전해서, 아이라이너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얻어진 액상 아이라이너는, 화장 지속성,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 막의 유연성, 조막성,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3 아이라이너 겔 형태
(성분) (%)
1. (아크릴산 알킬/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1 10
2. 칸데릴라 왁스 3
3. 미세결정질 왁스 1
4. 팔미트산덱스트린※4 15
5. 퍼플루오로옥틸트라이에톡시실란 3% 처리 흑색산화철
30
6. 마이카 5
7. 아이소도데칸 잔량
8. 세스퀴아이소스테아르산솔비탄(HLB:4.0) 0.3
9. 레시틴 0.01
10. 광유 0.01
11. 계혈등(Spatholobus suberectus) 추출액 0.01
12.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0.01
13. 메틸파라벤 0.1
14.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 평균입자직경 12㎛ 10
(제조 방법)
A.성분 (1) 내지 (13)을 80℃로 가열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B.A를, 롤러에서 처리를 한다.
C.B에 성분 (14)를 첨가하고, 혼합한 후, 붓형 도포체 부착 용기에 충전해서, 아이라이너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얻어진 겔 형태 아이라이너는, 화장 지속성,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 막의 유연성, 조막성,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4 아이라이너 고형
(성분) (%)
1. 폴리에틸렌 왁스 10
2. (아크릴산 알킬/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1 10
3. 팔미트산덱스트린※5 10
4. 퍼플루오로옥틸트라이에톡시실란 3% 처리 흑색산화철
10
5. 아이소도데칸 잔량
6. 세스퀴아이소스테아르산솔비탄(HLB:4.0) 0.3
7. 클로로페네신 0.1
8. 유용성 로즈메리 추출물 0.01
9. 살구씨유 0.01
10. 정제 올리브유 0.01
11. 정제 호호바 오일 0.01
12. 홍화유 0.01
13. 정제 시어버터 0.01
14. 참기름 0.01
15. 스쿠알란 0.01
16.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 평균입자직경 12㎛ 10
A.성분 (1) 내지 (15)를 균일하게 100℃에서 용해시킨다.
B.A에 성분 (16)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C.B를 금속접시에 90℃에서 용해 충전해서 냉각 고형화시켜 고형 아이라이너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얻어진 금속접시 충전 아이라이너는, 화장 지속성,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 막의 유연성, 조막성,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5 아이라이너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성분) (%)
1. (아크릴산 알킬/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1 10
2. 팔미트산덱스트린※4 10
3. 퍼플루오로옥틸트라이에톡시실란 3% 처리 흑색산화철 10
4. 아이소도데칸 잔량
5.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HLB:4.0) 0.3
6. 다이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HLB:5.0) 0.1
7. PEG-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HLB:4.0) 0.1
8. 라우릴PEG-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HLB:3.0) 0.1
9. 메틸파라벤 0.01
11. 페녹시 에탄올 0.01
12. 에탄올 0.5
13. 라벤더수 0.01
14. 작약꽃 추출물 0.01
15. 다마스크 장미(Rosa damascena) 추출액 0.01
16. 마돈나 백합 뿌리(Lilium Candidum Bulb) 추출물 0.01
17. DPG 0.1
18. EDTA-2Na 0.01
19.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 평균입자직경 30㎛ 10
A.성분 (1) 내지 (8)을 균일하게 80℃에서 용해시킨다.
B.A에 성분 (9) 내지 (18)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유화시킨다.
C.B에 성분 (19)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붓형 도포체 부착 용기에 충전해서, 아이라이너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얻어진 아이라이너는, 화장 지속성, 온수에서의 지우기 쉬움, 막의 유연성, 조막성, 붓형 도포체를 사용한 때의 끊김 없음이 우수한 것이었다.

Claims (12)

  1. 아이라이너 화장료로서,
    다음 성분 (A) 내지 (D):
    (A) (A-1) 비수용매를 분산매로 하는 (A-2) 아크릴산 알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분산액;
    (B)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
    (C) 소수화 표면처리분체; 및
    (D) 휘발성 유제
    를 함유하는, 아이라이너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2) 아크릴계 알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가, (메타)아크릴산알킬과 아세트산비닐을 질량비 30:70 내지 95:5의 범위로 공중합시킨 것인, 아이라이너 화장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A-2) 아크릴산 알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메타)아크릴산알킬의 중합체의 Tg가 10℃ 이상 50℃ 이하인, 아이라이너 화장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2) 아크릴산 알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이 5만 내지 50만인, 아이라이너 화장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2)의 함유량이 0.8 내지 20질량%인, 아이라이너 화장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가 팔미트산덱스트린인, 아이라이너 화장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C)가 불소화합물 표면처리분체인, 아이라이너 화장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2) 및 (B)의 함유 질량비율 (A-2)/(B)가 0.08 내지 2.5인, 아이라이너 화장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E)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하는, 아이라이너 화장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F) 유기 분체를 더 함유하는, 아이라이너 화장료.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E)가 탄소수 16 내지 20인 분기 지방산과 당 알코올의 에스터인, 아이라이너 화장료.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F)가 유기 구형 분체인, 아이라이너 화장료.
KR1020227028804A 2020-03-30 2021-03-23 아이라이너 화장료 KR202201612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61624 2020-03-30
JP2020061624 2020-03-30
PCT/JP2021/011885 WO2021200370A1 (ja) 2020-03-30 2021-03-23 アイライナー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269A true KR20220161269A (ko) 2022-12-06

Family

ID=7792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804A KR20220161269A (ko) 2020-03-30 2021-03-23 아이라이너 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1200370A1 (ko)
KR (1) KR20220161269A (ko)
CN (1) CN115297834A (ko)
TW (1) TW202214210A (ko)
WO (1) WO20212003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3588A1 (en) * 2022-06-30 2024-01-04 L'oreal Water-in-oil emulsions suitable as eyelin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7435A (ja) 1995-11-21 1998-04-07 Shiseido Co Ltd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10265225A (ja) 2009-05-15 2010-11-25 Pola Chem Ind Inc 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2017218413A (ja) 2016-06-08 2017-12-14 株式会社 資生堂 目元用化粧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5014A (ja) * 2007-03-30 2008-10-23 Kose Corp 油性化粧料
JP5933941B2 (ja) * 2010-08-24 2016-06-15 株式会社コーセー アイライナー化粧料
JP7065667B2 (ja) * 2018-03-27 2022-05-12 株式会社コーセー 油性アイライナー化粧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7435A (ja) 1995-11-21 1998-04-07 Shiseido Co Ltd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10265225A (ja) 2009-05-15 2010-11-25 Pola Chem Ind Inc 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2017218413A (ja) 2016-06-08 2017-12-14 株式会社 資生堂 目元用化粧料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200370A1 (ko) 2021-10-07
TW202214210A (zh) 2022-04-16
CN115297834A (zh) 2022-11-04
WO2021200370A1 (ja)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6646A (zh) 用在化妆品中的粉末用的表面处理剂及含有用该表面处理剂处理的粉末的化妆品
KR20150050387A (ko) 실리콘 고무 입자의 수분산액, 실리콘 고무 입자 및 화장료
US10398638B2 (en) Powder dispersant, and powder dispersion composition and cosmetic product containing the same
JP4799939B2 (ja) 粉末化粧料
CN109071824A (zh) 弹性体
JP5214863B2 (ja) アイ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5558669B2 (ja) 油中水乳化型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5687028B2 (ja) 油性口唇化粧料
KR20220161269A (ko) 아이라이너 화장료
JP5769913B2 (ja) 油中水乳化型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2003113024A (ja) 油性化粧料
US20180028414A1 (en) Method for producing solid powder cosmetic material and solid powder cosmetic material
CN112969443A (zh) 油包水型组合物
JPH11246354A (ja) 油中水型化粧料
JP2013082649A (ja) スイゼンジノリ由来糖誘導体被覆処理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粧料
JP5767000B2 (ja) 油中水型化粧料
JP7401434B2 (ja) 油性化粧料
JP6920168B2 (ja) 粉末化粧料
CN114901240A (zh) 水包油型乳化化妆品
WO2023276782A1 (ja) 口唇化粧料
JP2020164462A (ja) 化粧料
JP6072576B2 (ja) 睫用化粧料
WO2022177011A1 (ja) 油性化粧料
JP4705316B2 (ja) 化粧料
JP7208067B2 (ja) 油中水型メイクアップ化粧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