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589A -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및 사상 점착제 첩부 방법 - Google Patents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및 사상 점착제 첩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589A
KR20220160589A KR1020227033459A KR20227033459A KR20220160589A KR 20220160589 A KR20220160589 A KR 20220160589A KR 1020227033459 A KR1020227033459 A KR 1020227033459A KR 20227033459 A KR20227033459 A KR 20227033459A KR 20220160589 A KR20220160589 A KR 20220160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amentous
separator
nozzle
filamentous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다카시마
도모히로 다루노
히로미츠 모리시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60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65H35/0033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affixing it to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0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said adhesive tape,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3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said adhesive tape, threads or the like being in thread form, i.e. in the form of a single filament, e.g. in the form of a single coated fila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 B29C65/52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by applying the adhesive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art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6Applying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2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65H51/08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 B65H51/10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with opposed coacting surfaces, e.g. providing n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2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26Supports for gu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f the release l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2Roll
    • B65H2301/4127Roll with interleaf layer, e.g. l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60Damping means, 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1/00Presence of unspecified rubber
    • C09J2421/005Presence of unspecified rubber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5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5Presence of polyester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09J2475/005Presence of polyurethane in the release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Fuel Cell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는, 세퍼레이터와 함께 롤상으로 권취된 사상 점착제를 조출하면서 대상물에 세게 누르는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로서, 상기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된 상기 사상 점착제를 상기 대상물에 세게 누르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퍼레이터의 압축 탄성률이 1.5 MPa 이하이다.

Description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및 사상 점착제 첩부 방법
본 발명은, 사상 (絲狀) 점착제 첩부 (貼付) 장치 및 사상 점착제 첩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착 시트나 점착 테이프와 같은 점착제가, 금속, 유리, 목재, 종이, 골판지, 플라스틱 재료 등의 각종 피착체의 접착 등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롤상의 점착 테이프와 같은 감겨진 형태인 경우에는, 되감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점착면이 접촉되는 배면에 박리 처리를 실시한 기재가 사용되고 있다.
점착 테이프의 첩부 장치로서, 롤상 점착 테이프를 수납하는 홀더의 선단으로부터 인출한 점착 테이프를, 선단에 형성된 롤러 또는 선단에 있어서의 구멍을 포위하는 둘레벽에 의해, 피착체에 가압하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 3 참조). 이 첩부 장치는, 선단의 롤러 또는 둘레벽을 피착체에 닿게 하면서 홀더를 이동시킴으로써, 점착 테이프를 인출하면서 피착체에 첩부한다.
또한, 점착 테이프의 첩착 장치로서, 이형 테이프에 점착 테이프가 첩착된 테이프상 부재를, 릴형상의 부재로 가이드하여 기판 상에 공급하고, 가압 헤드로 가압하여 첩착시키고, 박리된 이형 테이프를 배출하는 것도 있다 (특허문헌 4 참조). 또한, 사상의 심재 (芯材) 에 점착제를 부착시킨 사상 접착구 (接着具) (사상 점착제) 의 수납 케이스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5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4446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7453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19083호 일본 특허공보 제65779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231980호
그러나, 상기 장치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 대신에, 세퍼레이터없이 릴에 권취된 사상 점착제를 사용하고자 하면, 세퍼레이터없이 권취된 사상 점착제는, 자착력 (自着力) 이 강하기 때문에, 특허문헌 1 ∼ 4 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잘 조출 (繰出) 되지 않아 피착체에 첩부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1 ∼ 4 에 기재된 점착 테이프용 세퍼레이터를 사상 점착제에 사용하면, 평면상의 세퍼레이터에 눌려서, 사상 점착제의 형태가 무너져 버린다. 이 때문에, 규정된 첩부 경로로부터 밀려 나오거나, 사상 점착제의 첩부 폭이 규정의 폭에 미치지 못하거나 하여, 사상 점착제의 첩부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사상 점착제는 평면상의 세퍼레이터 상에서 구르는 등 하여, 세퍼레이터로부터 탈락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5 에 기재된 수납 케이스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한쪽 손으로 수납 케이스를 유지하고, 다른 쪽 손으로 실 입구를 잡고 사상 접착구를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하여, 인출된 사상 접착구의 양단을 끌어 당기면서 피착면에 가압하여, 사상 접착구를 첩부한다. 즉, 특허문헌 5 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수납 케이스를 유지하고 이동시키면서 사상 접착구를 원하는 경로에 첩부하는 것은 상정되어 있지 않다. 가령 이 수납 케이스를 유지하고 이동시키면서 사상 접착구를 첩부하고자 하면, 릴에 감겨진 사상 접착구끼리의 자착력의 강도에 의해, 사상 접착구가 박리되거나, 끊어지거나, 재부착되어 얽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5 에 있어서는, 사상 접착구를 이형지를 사용하지 않고서 릴에 감은 것을 특징 중 하나로 하고 있어, 사상 접착구에 세퍼레이터를 사용하는것은 상정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에 있어서의 사상 점착제의 찌부러짐 및 탈락을 억제 내지 방지하여, 첩부 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첩부 가능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및 사상 점착제 첩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는, 세퍼레이터와 함께 롤상으로 권취된 사상 점착제를 조출하면서 대상물에 세게 누르는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로서, 상기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된 상기 사상 점착제를 상기 대상물에 세게 누르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퍼레이터의 압축 탄성률이 1.5 MPa 이하이다.
본 발명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세퍼레이터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상 점착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릿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는, 세퍼레이터와 함께 롤상으로 권취된 사상 점착제를 조출하면서 대상물에 세게 누르는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로서, 상기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된 상기 사상 점착제를 상기 대상물에 세게 누르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퍼레이터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상 점착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릿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슬릿이, 상기 세퍼레이터 상에 있어서 상기 사상 점착제가 배치되는 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사상 점착제가, 상기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릴에, 소정 길이의 폭에 걸쳐 트래버스 권취되고, 상기 세퍼레이터가, 적어도 상기 소정 길이의 폭과, 적어도 상기 릴의 외주의 길이를 갖는 크기의 시트이다.
본 발명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는, 예를 들면, 통상 (筒狀) 의 내부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벽면과, 상기 내벽면의 일단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이 외부로 통하는 선단 개구를 갖는 선단을 갖는 노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선단 개구로부터 상기 외부로 도출된 상기 사상 점착제를 상기 대상물에 세게 누르고, 상기 선단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 개구를 둘러싸는 둘레부 중 복수 지점이, 상기 가압부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세퍼레이터와 함께 권취된 상기 사상 점착제에 대하여, 조출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어시스트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가, 조출되고 상기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된 상기 사상 점착제를, 상기 대상물에 세게 누른다.
본 발명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가압부에 장착되고, 가압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상기 가압부를 변위시키는 변위부와, 상기 가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변위부의 변위에 대한, 상기 가압부의 변위를 흡수하는 흡수 기구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사상 점착제 첩부 방법은, 본 발명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사상 점착제를 상기 대상물에 첩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의 찌부러짐 및 탈락을 억제 내지 방지하여, 첩부 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사상 점착제를 첩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에 있어서의 사상 점착제의 반송 경로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 (1) 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에 있어서의 사상 점착제의 반송 경로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 (2) 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에 있어서의 사상 점착제의 반송 경로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 (3) 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에 있어서의 사상 점착제의 반송 경로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 (4) 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에 있어서의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 은, 노즐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 은, 사상 점착제를 절단할 때의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 는, 노즐의 선단 부분과 사상 점착제의 점착제면과의 동마찰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 은, 노즐 선단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 은,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의 노즐이 이동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 는, 조출 어시스트 기구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 은, 조출 어시스트 기구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 는, 조출 어시스트 기구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 는, 조출 어시스트 기구의 제 4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 은, 조출 어시스트 기구의 제 5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 은, 조출 어시스트 기구의 제 6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 는, 선단 개구의 측에서 본 선단부의 단면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원형 단면의 선단부, (b) 는 직사각형상 단면의 선단부이다.
도 20 은, 제 3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 은, 제 4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의 주요부를 정면에서 보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2 는, 여분 길이가 짧은 경우의 첩부 시작점 작성의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3 은, 여분 길이가 짧은 경우의 첩부 시작점 작성에 있어서의 노즐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4 는, 제 5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 는, 제 5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에 있어서 개폐 프레임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6 은, 제 5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를 사용한 첩부 동작 종료시에 사상 점착제를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7 은, 제 6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8 은,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사상 점착제의 모식도이다.
도 29 는,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의 감는 방법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0 은,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의 감는 방법의 다른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1(a) 는, 제 7 실시형태의 일 구성예에 관한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가 롤상으로 감겨진 상태 (롤상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 의 개략도, 도 31(b) 는, 그 구성예에 관한 롤상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에 있어서의, 감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32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일 구성예에 관한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가 릴에 감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a)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단면도, 도 33(b) 는, 당해 구성예에 관한 롤상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에 있어서의, 감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34(a) 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단면도, 도 34(b) 는, 당해 구성예에 관한 롤상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에 있어서의, 감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35(a) 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점착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단면도이고, 도 35(b) 는, 당해 구성예에 관한 롤상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점착체에 있어서의, 감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이고, 도 2 ∼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에 있어서의 사상 점착제의 반송 경로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 및 도 4 는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를 배면측에서 본 도, 도 3 및 도 5 는 좌측면측에서 본 도이다. 또한, 도 2 ∼ 도 8 에 나타내는 화살표는,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의 전후, 좌우, 상하의 각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전후 방향을 X 축 방향, 좌우 방향 (폭 방향) 을 Y 축 방향, 상하 방향 (높이 방향) 을 Z 축 방향이라고도 부른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는, 사상 점착제 (2) 를 대상물 (피착체) 에 세게 눌러 첩부하는 것으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부 (AU) 와, 가압 기구 (BU) (노즐) 와, 반송부 (CU) 와, 위치 결정부 (DU) 를 주로 구비한다. 공급부 (AU) 는, 롤상으로 권취된 사상 점착제 (2) 를 공급한다. 가압 기구 (BU) 는, 공급된 사상 점착제 (2) 를 피착체에 가압한다. 반송부 (CU) 는, 사상 점착제 (2) 를 공급부 (AU) 로부터 가압 기구 (BU) 까지 반송한다. 위치 결정부 (DU) 는, 대상물에 대하여 가압 기구 (BU) 를 상대적으로 위치 결정한다.
(위치 결정부 (DU))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는, 위치 결정부 (DU) 의 일례를 구성하는 일부로서, 기대 (基臺) 에 배치된 테이블과, 테이블 상에 있어서 X 축 방향 (전후 방향) 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스테이지를 구비한다. 스테이지의 상면에는, 대상물이 올려지고 흡착 등에 의해 장착된다. 스테이지가 구동 수단에 의해 X 축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대상물이 X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는, 예를 들어 테이블의 좌우측에 기립하여 형성된 한 쌍의 지주 (支柱) 와, 한 쌍의 지주의 상방에 있어서, 한 쌍의 지주 사이에 Y 축 방향 (좌우 방향) 을 따라 가설된 수평 아암을 구비한다.
수평 아암에는, Y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수평 이동 유닛 (105) (도 5 참조) 이 장착된다. 수평 이동 유닛 (105) 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Y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수평 이동 유닛 (105) 은, 대략 직방체형상을 갖고, 하방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승강체가, Z 축 방향 (상하 방향) 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된다. 이 승강체에는, 장착 플레이트 (106) 를 통하여 노즐 (107) 이 장착된다. 즉, 수평 이동 유닛 (105) 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노즐 (107) 이 Z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노즐 (107) 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는, 스테이지와 수평 이동 유닛 (105) 에 의해, 대상물에 대하여 노즐 (107) 을 XY 평면 내에서 상대적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수평 이동 유닛 (105) 의 승강체를 승강함으로써, 노즐 (107) 을 Z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스테이지 및 수평 이동 유닛 (105) 은, 위치 결정부 (DU) 로서 기능한다.
(공급부 (AU))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는, 공급부 (AU) 의 일례로서, 권취체와, 권취체 유지부를 갖는다. 권취체는, 릴, 지관, 보빈과 같이 원통형상을 갖고, 그 외주면에 있어서, 사상의 심재에 점착제를 부착시킨 사상 점착제 (2) 가 감겨져 있다. 권취체는, 금속, 수지, 박리 용이재 등에 의해 구성 가능하다. 권취체 유지부는, 사상 점착제 (2) 가 감겨진 권취체의 양단 근방에 있어서, 권취체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또한, 사상 점착제 (2) 가 반송되는 (조출되는) 것에 수반하여 권취체가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권취체를 유지한다. 사상 점착제 (2) 는, 사상의 심재의 표면이 점착제층으로 피복된 점착체이다. 사상 점착제 (2) 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는, 권취체와 권취체 유지부에 의해, 롤상으로 권취된 사상 점착제 (2) 를 공급할 수 있다. 즉, 권취체 및 권취체 유지부는, 공급부 (AU) 로서 기능한다.
(반송부 (CU))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는, 반송부 (CU) 의 일례로서, 롤러 (122) 와, 각 한 쌍의 롤러 (123, 124, 125, 128) 를 갖고, 공급부 (AU) (권취체) 로부터 조출된 사상 점착제 (2) 를 노즐 (107) 까지 반송한다. 롤러 (122) 및 각 한 쌍의 롤러 (123, 124, 125, 128) 는, 적어도 사상 점착제 (2) 에 접촉하는 외주면 (회전면) 이, 비점착면으로 되어 있다. 즉, 각 롤러의 적어도 사상 점착제 (2) 에 접촉하는 외주면은, 예를 들면,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는, 각 롤러의 적어도 사상 점착제 (2) 에 접촉하는 외주면은, 예를 들면, 불소 코트, 실리콘 코트, 장쇄 알킬 코트, 및 토시칼 (등록상표) 코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비점착 처리된다. 또한, 불소 코트에 의한 처리는, 불소 수지 열수축 튜브, 불소 수지 패브릭 시트에 의한 처리를 포함한다. 또는, 각 롤러의 적어도 사상 점착제 (2) 에 접촉하는 외주면은, 기재에 다양한 비점착 처리가 행해져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재에 블라스트 가공에 의해 요철이 부여되고, 오목부에 비점착 물질이 코팅되어도 되고, PEEK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코팅, 불소 복합 무전해 니켈 도금 (무전해 니켈 도금의 피막 중에 불소 수지의 미립자를 분산 공석시킨다), 바이세람 (미세화한 세라믹 입자를 함유시킨 불소 수지 코팅),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 섬유 강화 플라스틱) 라이닝, 초고분자 PE (폴리에스테르) 라이닝 등에 의해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롤러 (122) 및 각 한 쌍의 롤러 (123, 124) 는, 프레임 (111) 의 배면측에 장착된다. 프레임 (111) 은, 기대에 있어서, 권취체 유지부 (121) 의 좌측 및 테이블의 우측에 각각 기립하여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Y 축 방향을 따라 가설된다.
롤러 (122) 는, 프레임 (111) 의 좌측 단부 근방에 있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의 장착부 (111a) 에, 연직면 (YZ 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롤러 (122)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에 플랜지를 갖는 보빈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체로부터 사상 점착제 (2) 를 조출할 때, 롤러 (122) 의 동체의 폭방향으로 사상 점착제 (2) 가 움직이는데, 양단의 플랜지에 의해, 사상 점착제 (2) 가 롤러 (122) 로부터 탈락되기 어려워진다. 한 쌍의 롤러 (123) 는, 프레임 (111) 에 있어서의, 장착부 (111a) 의 우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의 장착부 (111b) 에, 수평면 (XY 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장착부 (111b) 상에 있어서, 한 쌍의 롤러 (123) 는, 서로의 사이를 사상 점착제 (2) 가 한 쌍의 롤러 (123) 의 회전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통과 가능하게 될 정도로, 이간하여 전후에 인접 배치된다 (도 3 참조). 권취체로부터 상방으로 조출되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122) 의 좌측 및 상측의 회전면 (외주면) 을 통과한 사상 점착제 (2)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롤러 (123) 의 사이를 통과하여 한 쌍의 롤러 (124) 에 도달한다.
한 쌍의 롤러 (124) 는, 프레임 (111) 에 있어서의, 한 쌍의 롤러 (123) 의 우측에 있어서, 연직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 쌍의 롤러 (124) 는, 서로의 사이를 사상 점착제 (2) 가 한 쌍의 롤러 (124) 의 회전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통과 가능하게 될 정도로, 이간하여 좌우에 인접 배치된다 (도 2, 도 3 참조). 한 쌍의 롤러 (123) 사이를 통과한 사상 점착제 (2)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롤러 (124) 의 하측 회전면을 거쳐 우측의 롤러 (124) 의 상측 회전면을 통과하여, 한 쌍의 롤러 (125) 에 도달한다. 한 쌍의 롤러 (123) 및 한 쌍의 롤러 (124) 에 의해, 권취체로부터 조출된 사상 점착제 (2) 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지만, 이들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며, 롤러 (123, 124) 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한 쌍의 롤러 (125) 는, 대략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일 댐퍼 (126) 의 하방측에, 연직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오일 댐퍼 (126) 는, 상측의 단부가 대략 직사각형상의 댐퍼 장착부에 연직면 내에서 회동 (回動) 가능하게 고정된다. 댐퍼 장착부는, 프레임 (111) 의 Y 축 방향 대략 중앙에 있어서 하방측으로 돌출된다. 한 쌍의 롤러 (125) 는, 서로의 사이를 사상 점착제 (2) 가 한 쌍의 롤러 (125) 의 회전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통과 가능하게 될 정도로, 이간하여 오일 댐퍼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인접 배치된다 (도 4 참조). 한 쌍의 롤러 (124) 사이를 통과한 사상 점착제 (2)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롤러 (125) 의 우측 및 하측의 회전면을 통과하고, 하측 롤러 (125) 의 상측 및 좌측의 회전면을 통과하여, 한 쌍의 롤러 (128) 에 도달한다. 한 쌍의 롤러 (125) 에 가이드되는 사상 점착제 (2) 는, 오일 댐퍼 (126) 의 하방이 좌우로 천천히 요동함으로써, 처짐이 방지된다. 또한, 한 쌍의 롤러 (125) 및 오일 댐퍼 (126) 는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권취체가 놓여지는 장소나 위치 결정부 (DU) 의 이동 스피드를 변경함으로써, 사상 점착제 (2) 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아, 한 쌍의 롤러 (125) 및 오일 댐퍼 (126) 에 의한 처짐 방지 기능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이다.
한 쌍의 롤러 (128) 는, 수평 이동 유닛 (105) 의 전면에 배치된 장착 플레이트 (106) 의 롤러 장착부 (106a) 에, 연직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 쌍의 롤러 (128) 는, 서로의 사이를 사상 점착제 (2) 가 한 쌍의 롤러 (128) 의 회전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통과 가능하게 될 정도로, 이간하여 좌우에 인접 배치된다. 한 쌍의 롤러 (125) 사이를 통과한 사상 점착제 (2)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롤러 (128) 사이를 통과하여 노즐 (107) 에 도달한다. 한 쌍의 롤러 (128) 는, 장착 플레이트 (106) 에 장착된 노즐 (107) 의 바로 위에 형성되기 때문에, 사상 점착제 (2) 는, 노즐 (107) 의 위치에 관계없이, 한 쌍의 롤러 (128) 에 의해 가이드되어, 노즐 (107) 의 통상 내부 공간 (107s) (도 7 참조) 에 곧바로 진입한다. 또한, 한 쌍의 롤러 (128) 는, 상하로 인접 배치되어, 사상 점착제 (2) 를 S 자 형상으로 통과시켜 노즐 (107) 의 위치로 가이드해도 되며, 다른 구성에 의해 사상 점착제 (2) 를 노즐 (107) 의 위치로 가이드해도 된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는, 롤러 (122) 와, 각 한 쌍의 롤러 (123, 124, 125, 128) 에 의해, 사상 점착제 (2) 를 공급부 (AU) 로부터 가압 기구 (BU) 까지 반송한다. 즉, 롤러 (122) 및 각 한 쌍의 롤러 (123, 124, 125, 128) 는, 반송부 (CU) 로서 기능한다. 또한, 반송부 (CU) 는, 가압 기구 (BU) 이외의, 예를 들어 사상 점착제 (2) 를 롤러로 피착체에 가압하는 가압부에, 사상 점착제 (2) 를 반송해도 된다.
(가압 기구 (BU))
도 6 ∼ 도 8 을 참조하여,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가 구비하는 가압 기구 (BU) 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 도 8 은,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의 노즐 (107) 주변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은 노즐 (107) 주변을 정면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7 은 사상 점착제 (2) 를 따른 YZ 평면에 있어서의 노즐 (107) 의 단면을 포함하는 도, 도 8 은 사상 점착제 (2) 를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는, 가압 기구 (BU) 의 일례를 구성하는 일부로서, 장착 플레이트 (106) 와 노즐 (107) 을 구비한다. 장착 플레이트 (106) 는, 수평 이동 유닛 (105) 의 전면측에 있어서, 수평 이동 유닛 (105) 에 대하여 Z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장착 플레이트 (106) 는, 대략 U 자 형상으로 형성된 얇은 금속 평판으로, 롤러 장착부 (106a), 노즐 장착부 (106b) (노즐 변위부) 및, Z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상의 접속부를 갖는다. 롤러 장착부 (106a) 는, 접속부의 상방에 있어서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상 부분이고, 전면측에 한 쌍의 롤러 (128) 가 장착된다. 노즐 장착부 (106b) 는, 접속부의 하방에 있어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상 부분이고, 전면측에 노즐 (107), 에어 척 (108) 및 에어 가위 (109) 가 장착된다.
노즐 (107) 은, 입방체의 하면에 원추의 바닥면을 접속한 형상을 갖는 알루미늄 등의 부재이다. 노즐 (107) 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상 내부 공간 (107s) 을 구획 형성하는 내벽면 (107b) 과, 내벽면 (107b) 의 하방측 단부에 있어서 통상 내부 공간 (107s) 이 외부로 통하는 선단 개구 (107c) 를 갖는 선단 (107d) 을 갖는다. 노즐 (107) 은 금속 등의 부재이지만, 내벽면 (107b), 선단 (107d) 을 포함하는 노즐 (107) 의 표면에는, 미끄러짐성 향상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또한, 노즐 (107) 은, 내벽면 (107b) 의 상방측 단부에 있어서 통상 내부 공간 (107s) 이 외부로 통하는 삽입측 개구 (107e) 를 갖는다. 내벽면 (107b) 은, 통상 내부 공간 (107s) 이, 선단 개구 (107c) 와 동일 직경의 원통이 선단 개구 (107c)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점차 직경이 확장되는 깔때기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삽입측 개구 (107e) 가 선단 개구 (107c) 보다 확경된 깔때기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내벽면 (107b) 은, 통상 내부 공간을 구획 형성하면 되고, 예를 들어 상부가 깔때기형상이 아니라 동일 직경의 원통 등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노즐 (107) 의 통상 내부 공간 (107s) 에는, 노즐 (107) 의 상단에서부터 하단 (선단 (107d)) 의 하방에 이르는 중공 원통 형상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등의 난접착성 수지제 튜브 (107a)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미끄러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튜브 (107a) 는, 하측 개구의 직경이 예를 들면 약 1 mm 정도에 대하여, 사상 점착제 (2) 의 직경은 예를 들면 0.45 mm 가 바람직하다. 즉, 튜브 (107a) 의 하측 개구의 단면적은, 사상 점착제 (2) 의 단면적의 약 4.9 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튜브 (107a) 는, 내벽면 (107b) 의 하단보다 약간 (예를 들면 0.5 ∼ 1 mm 정도) 돌출되어 있다. 사상 점착제 (2) 가 튜브 (107a) 내에 삽입됨으로써, 사상 점착제 (2) 의 미끄러짐성 (조출성) 이 좋아진다. 또한, 삽입측 개구 (107e) 가 확경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 (107) 내에 대한 사상 점착제 (2) 의 삽입이 용이하다. 또한, 노즐 (107) 자체의 재질을 PTFE 등의 난접착성 수지로 함으로써, 노즐 (107) 에 대한 사상 점착제 (2) 의 점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노즐 (107) 로부터 사상 점착제 (2) 가 걸리지 않고서, 잘 미끄러져 조출할 수 있기 때문에, 튜브 (107a) 는 불필요해진다. 또한, 노즐 (107) 은, 통상의 내부 공간과, 이 내부 공간이 외부로 통하는 선단 개구를 갖는 선단을 가지면 되며,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노즐 (107) 은, 선단 개구 (107c) (또는 튜브 (107a) 의 하측 개구) 의 형상이, 원형 또는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 (107) 은, 튜브 (107a) (통상 내부 공간 (107s)) 를 통과하여 튜브 (107a) 의 하측 개구 (선단 개구 (107c)) 로부터 외부로 도출된 사상 점착제 (2) 를, 대상물에 세게 누른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 (107) 의 선단 개구 (107c) 를 둘러싸는 둘레부인 튜브 (107a) 의 하측 단부 중 전체 둘레 또는 임의의 복수 지점이, 사상 점착제 (2) 를 대상물에 세게 누르는 가압부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가압부로서 롤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노즐 (107) 을 임의의 복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사상 점착제를 첩부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로 점착제를 가압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롤러 폭 내에서 점착제가 이동하기 때문에 첩부 정밀도가 나쁘고, 첩부 경로에 따라서는 점착제가 롤러로부터 탈륜하는 등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여, 사상 점착제를 양호한 정밀도로 첩부할 수 있다.
(노즐 (107) 공경과 사상 점착제 (2) 의 직경의 관계)
노즐 (107) 의 공경 (내측의 직경 (내경), 튜브 (107a) 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튜브 (107a) 의 공경) 은, 사상 점착제 (2) 가 직경 0.45 mm (0.3 MPa 정도의 압축에 의해 0.6 mm 폭) 인 경우, 직경 0.7 ∼ 1 ㎜ 가 바람직하다. 노즐 (107) 의 공경이 0.7 mm 보다 작으면, 노즐 (107) 내부에 접촉하는 사상 점착제 (2) 의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사상 점착제 (2) 가 피착체에 첩부되지 않는다. 한편, 노즐 (107) 의 공경은 1 mm 를 초과하여 지나치게 크면, 노즐 (107) 내부에서 사상 점착제 (2) 가 움직이기 때문에, 첩부 속도가 올라가지 않고, 첩부 정밀도가 나빠진다. 따라서, 사상 점착제 (2) 의 직경과 노즐 (107) 의 공경의 비율이, 0.45 : 0.7 ∼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 (107) 은, 튜브 (107a) 의 하측 개구 (또는 선단 개구 (107c)) 가 사상 점착제 (2) 의 점착제면에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사상 점착제 (2) 를 대상물에 세게 누른다. 구체적으로는, 노즐 (107) 의 선단 (107d) (또는 튜브 (107a) 의 선단, 적어도 점착제면에 접촉하는 부분) 은,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노즐 (107) 의 선단 (107d) (또는 튜브 (107a) 의 선단, 적어도 점착제면에 접촉하는 부분) 은, 불소 코트, 실리콘 코트, 및 장쇄 알킬 코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처리된다. 또는, 이하에 나타내는 각종 미끄러짐성 향상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불소 코트에 의한 처리는, 불소 수지 열수축 튜브, 불소 수지 패브릭 시트에 의한 처리를 포함한다.
노즐 (107) 의 선단 부분은, 기재에 다양한 미끄러짐성 향상 처리가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재가, PEEK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코팅, 불소 복합 무전해 니켈 도금 (무전해 니켈 도금의 피막 중에 불소 수지의 미립자를 분산 공석시킨다), 바이세람 (미세화한 세라믹 입자를 함유시킨 불소 수지 코팅),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섬유 강화 플라스틱) 라이닝, 초고분자 PE (폴리에스테르) 라이닝 등에 의해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사상 점착제 (2) 를 대상물에 원활하게 첩부할 수 있다.
사상 점착제 (2) 의 점착제면에 접촉하는 노즐 (107) 이 난접착성이 아닌 경우에는, 미끄러짐성 향상 코트/처리된 선단 (107d) 과, 점착제면과의 동마찰력이 3 N/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 (107) 에 난접착성의 수지제 튜브 (107a) 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튜브 (107a) 의 하측 개구와 사상 점착제 (2) 의 점착제면과의 동마찰력이 3 N/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 (107) 자체가 PTFE 등 (실리콘, 올레핀 등) 의 난접착성 수지제인 경우, 선단 개구 (107c) 와 사상 점착제 (2) 의 점착제면과의 동마찰력이 3 N/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노즐 (107) 의 선단 부분의 형상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재질/표면 처리에 의해, 사상 점착제 (2) 의 점착제면에 접촉하는 노즐 (107) 의 선단 부분이 점착제면에 대하여 저마찰력이 된다. 또한, 노즐 (107) 의 선단 부분은 요철이 적어지는 재질로 되거나/표면 처리가 되기 때문에, 그 위를 유연한 사상 점착제 (2) 가 미끄러질 때, 깎임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원활하게 사상 점착제 (2) 를 첩부할 수 있다. 또한, 노즐 (107) 의 선단 부분과 사상 점착제 (2) 의 점착제면과의 동마찰력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107) 을, 통상 내부 공간 (107s) 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수평면 상에 올려 놓고, 삽입측 개구 (107e) 로부터 삽입한 사상 점착제 (2) 를 선단 개구 (107c) 로부터 인출한다. 사상 점착제 (2) 를, 통상 내부 공간 (107s) 을 통과한 사상 점착제 (2) 와 선단 개구 (107c) 로부터 인출된 사상 점착제 (2) 가 이루는 각이 60 도가 되도록 세팅한다. 이와 같이 세팅함으로써, 확실하게 노즐 (107) 의 선단 부분에 사상 점착제 (2) 가 접촉한다. 삽입측 개구 (107e) 측에 있어서, 사상 점착제 (2) 에 10 g 의 추로 텐션을 부여해 둔다. 이 상태에서, 선단 개구 (107c) 로부터 인출한 사상 점착제 (2) 를 1 mm/초로 연직 방향 상향으로 끌어올리고, 응력 (안정되었을 때의 값) 을 측정한다. 이 때, 도 9 의 원 표시로 나타내는, 노즐 선단에 가압된 사상 점착제 (2) 의 폭 (굵기) 이, 예를 들어 0.4 mm 이다. 이와 같이 사상 점착제 (2) 가 움직이고 있을 때의 응력의 값을, 사상 점착제 (2) 의 폭으로 나눈 것을 동마찰력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즐 (107) 의 선단 부분은, 사상 점착제 (2) 의 점착제면과의 동마찰력이 3 N/mm 이하이므로, 원활하게 사상 점착제 (2) 를 첩부할 수 있다. 또한, 노즐 (107) 의 선단 부분과 사상 점착제 (2) 의 점착제면과의 동마찰력은, 1 N/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의 선단 부분과 사상 점착제 (2) 의 점착제면과의 동마찰력은, 노즐 선단에 가압된 사상 점착제 (2) 의 폭 (굵기) 이 0.4 mm 인 경우에 한하지 않고, 0.2 ∼ 0.45 ㎜ 인 경우, 또는 다른 사이즈라도 마찬가지로, 3 N/mm 이하가 된다.
또한, 노즐 (107) 은, 선단 개구 (107c) (또는 튜브 (107a) 의 하측 개구) 의 형상이 원형 또는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인 경우에는, 첩부 방향의 전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0 은, 노즐 (107) 의 선단 (107d) 의 확대 단면도이고, 전술한 것과 상이한 형상의 노즐 (107) 의 예를 나타낸다. 노즐 (107) 은, 불소 등과 같은 난접착성의 수지제여도 되고, 금속제로 표면에 미끄러짐성 향상 처리가 이루어진 것이어도 된다. 도 10(a) 는 선단 (107d) 에 모서리가 있기 때문에, 사상 점착제 (2) 가 걸리거나, 깎이거나 끊어지는 등의 경우가 있다. 도 10(b) 는 선단 (107d) 이 둥근, 즉, 사상 점착제 (2) 를 가압하는 부분이 곡면이기 때문에, 사상 점착제 (2) 가 걸리지 않고서, 양호하게 첩부할 수 있다. 또한, 도 10(b) 에 나타내는 노즐 (107) 이 불소 등의 수지제인 경우에는, 이 노즐 (107) 을 스테인리스강 (SUS) 의 가이드에 통과시켜, 노즐 (107) 을 보호해도 된다.
노즐 (107) 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노즐 (107) 이 장착된 토대의 상하 방향의 변위에 대한 노즐 (107) 의 변위를 흡수하는 흡수 기구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지만, 노즐의 변위에 관한 구성은, 이하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노즐 (107) 은, 슬라이드 레일 (133) 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 (132) 에 고정된다. 슬라이더 (132) 는, 대략 직방체형상을 갖고, 좌우의 측면의 각 일부가 좌우측으로 각각 돌출된 팽출부 (132a) 를 갖는다.
슬라이드 레일 (133) 은, 노즐 장착부 (106b) 의 전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장착된다. 슬라이드 레일 (133) 의 좌우측에는, 각각 상하 방향을 따라, 2 개의 볼트 (134) 와, 2 개의 볼트 (134)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136, 137) 이 형성된다. 볼트 (134) 는, 가로로 긴 볼트 삽입 관통부 (131) 의 좌우측 단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삽입 관통된다. 볼트 삽입 통과부 (131) 는, 노즐 장착부 (106b) 의 상변 및 하변으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측의 볼트 삽입 통과부 (131) 의 상하에는 너트 (135a, 135b) 가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볼트 (134) 와 나사 결합된다. 하측의 볼트 삽입 관통부 (131) 의 상하에는 너트 (135c, 135d) 가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볼트 (134) 와 나사 결합된다.
스프링 (136) 은, 너트 (135b) 와 팽출부 (132a) 상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스프링 (137) 은, 팽출부 (132a) 의 하부와 너트 (135c) 의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 (136) 의 상측에는, 상측의 볼트 (134) 의 하단부가 삽입되고, 스프링 (136) 의 하측은 팽출부 (132a) 에 고정되어, 스프링 (136) 의 이탈이 방지된다. 스프링 (137) 의 상측은 팽출부 (132a) 에 고정되고, 스프링 (137) 의 하측에는 하측의 볼트 (134) 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스프링 (137) 의 이탈이 방지된다.
노즐 (107) 이 슬라이더 (132) 에 고정되고, 슬라이더 (132) 의 상하 방향의 변위에 수반하여 노즐 (107) 이 변위한다. 상세하게는, 수평 이동 유닛 (105) 의 승강체가 승강 (변위) 됨에 따라서, 승강체에 고정된 노즐 장착부 (106b) 가 승강 (변위) 한다. 여기서, 노즐 장착부 (106b) 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더 (132) 는, 스프링 (136, 137) 이 상하에 장착되어, 노즐 (107) 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하지 않고, 노즐 장착부 (106b) 에서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다. 한편, 노즐 (107) 이 사상 점착제 (2) 를 개재하여 대상물에 가압되면, 스프링 (136, 137) 에 가압 방향과 역방향의 탄성력이 발생한다. 즉, 노즐 장착부 (106b) 의 변위에 대한, 노즐 (107) 의 변위를, 스프링 (136, 137) 이 흡수한다. 이로써, 노즐 (107) 이 대상물에 대하여 사상 점착제 (2) 를 가압하는 힘 (가압력) 을 컨트롤하여, 가압력이 과잉으로 또는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력이 지나치게 강함으로써, 사상 점착제 (2) 의 큰 변형, 즉, 풀의 밀려 나옴 (첩부 폭 정밀도의 저하) 또는 사상 점착제 (2) 의 높이의 불균일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 사상 점착제의 점착력을 적절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노즐 (107) 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 (136, 137) 은, 노즐 장착부 (106b) 의 변위에 대한, 노즐 (107) 의 변위를 흡수하는 흡수 기구로서 기능하여, 가압력을 완만하게 변화시킨다. 따라서, 대상물의 피착면의 높이가 정밀도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나, 대상물의 피착면이 평활하지 않고 요철을 갖는 경우에도, 상기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첩부 경로에 있어서 사상 점착제 (2) 가 겹치는 지점에 있어서도, 스프링 (136, 137) 의 기능에 의해, 붙어 있는 사상 점착제 (2) 를 넘어서 원활하게 사상 점착제 (2) 를 첩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136, 137) 대신에, 노즐 장착부 (106b) 와 노즐 (107) 사이에, 오일 댐퍼 또는 에어 실린더를 장착하여, 흡수 기구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상기 서술한 가압 기구 (BU) 는,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가압 기구 (BU) 는, 노즐 (107) 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노즐 (107) 이 장착된 토대의 상하 방향의 변위에 대한 노즐 (107) 의 변위를 흡수하는 흡수 기구를 구비하도록, 다른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노즐 장착부 (106b) 에는, 에어 척 (108) 및 에어 가위 (109) 가, 노즐 (107) 의 좌우측에 각각 장착된다 (도 6, 도 7 참조). 에어 척 (108) 및 에어 가위 (109) 는, 사상 점착제 (2) 의 첩부가 완료되면, 구동 수단에 의해,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통상시의 위치로부터 도 8 에 나타내는 위치로 각각 이동된다. 에어 척 (108) 은, 통상시의 위치로부터 비스듬한 우측 아래로 이동되고, 노즐 (107) 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사상 점착제 (2) 를 척킹한다. 에어 가위 (109) 는, 통상시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된 후, 좌측으로 이동되어, 에어 척 (108) 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척킹된 사상 점착제 (2) 를 절단한다. 에어 척 (108) 및 에어 가위 (109) 는, 노즐 (107) 과 동일하게 장착 플레이트 (106) 를 개재하여 수평 이동 유닛 (105) 의 승강체에 장착되기 때문에, 노즐 (107) 에 대한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로, 노즐 (107) 과 함께 이동 가능하다. 또한, 에어 척 (108), 에어 가위 (109) 는, 각각 사상 점착제 (2) 를 소정 위치에서 유지, 절단할 수 있으면 되고, 형상, 구동 방법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에어 가위 (109) 대신에, 히트 커터 등의 열 절단에 의해, 사상 점착제 (2) 를 달구어서 끊을 수도 있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는, 노즐 (107), 스프링 (136, 137), 수평 이동 유닛 (105) 의 승강체 및 장착 플레이트 (106) 에 의해, 공급부 (AU) 로부터 공급된 사상 점착제 (2) 를 피착체로 가압한다. 즉, 노즐 (107), 스프링 (136, 137), 수평 이동 유닛 (105) 의 승강체 및 장착 플레이트 (106) 는, 가압 기구 (BU) 로서 기능한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의 동작, 사상 점착제 첩부 방법)
이상과 같이 구성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를 사용하여, 사상 점착제 (2) 를 대상물에 첩부하는 작업자는, 먼저, 스테이지 상에 대상물을 배치한다. 작업 개시시에 있어서, 권취체로부터 노즐 (107) 에 공급된 사상 점착제 (2) 는, 노즐 (107) 의 선단 (107d) 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고, 작업자에 의해, 대상물의 소정 위치로 선단이 가압된다. 대상물에 대한 노즐 (107) 의 상대 위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 (이동 제어부) 에 의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이동 제어된다. 프로그램에는, 노즐 (107) 의 XY 평면에 있어서의 이동 경로, 이동 속도, Z 방향의 이동량 (가압력의 크기) 등의 지시가 포함된다. 프로그램에 따라서 노즐 (107) 의 이동이 개시되면, 사상 점착제 (2) 의 대상물에 대한 점착력에 의해, 권취체로부터 사상 점착제 (2) 가 조출된다. 조출된 사상 점착제 (2) 의 점착제면을 노즐 (107) 이 누르고, 점착제면을 미끄러지면서, 소정의 경로를 따라 사상 점착제 (2) 가 대상물에 가압되어 첩부된다 (압착된다). 첩부가 완료된 후, 에어 척 (108) 및 에어 가위 (109) 에 의해, 사상 점착제 (2) 가 소정 위치에서 절단된다.
도 11 은, 노즐 (107) 이 대상물 상을 이동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노즐 (107) 이 화살표 L1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진하는 경우에는 물론, 화살표 L2 로 나타내는 곡선의 휨이 매우 큰 (급각도로 휘어지는) 경우라도,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는, 양호한 정밀도로 사상 점착제 (2) 를 첩부할 수 있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는, 노즐 (107) 의 선단 (107d) 에 있어서의 선단 개구 (107c) 를 둘러싸는 전체 둘레 (둘레부 중 임의의 복수 지점) 가, 사상 점착제 (2) 를 대상물에 세게 누르는 가압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이동 방향을 용이하게 변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는, 사상 점착제 (2) 를 소정의 첩부 경로를 따라, 양호한 정밀도로 첩부할 수 있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는, 가압부로서 롤러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롤러로 점착제를 가압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롤러 폭 내에서 점착제가 이동하기 때문에 첩부 정밀도가 나쁘고, 첩부 경로에 따라서는 점착제가 롤러로부터 탈륜한다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이동 제어부) 는, 사상 점착제 (2) 를 소정 경로를 따라 대상물에 첩부할 때, 원하는 지점에 있어서, 보다 강하게 노즐 (107) 을 대고 누르는, 즉, 노즐 장착부 (106b) 의 Z 축 방향 하향의 변위량을 증가 (대상물에 근접) 시켜도 된다. 노즐 장착부 (106b) 가 순간적으로 강하된 경우라도, 스프링 (136, 137) (흡수 기구) 에 의해 노즐 (107) 은 완만하게 강하하기 때문에, 노즐 (107) 이 사상 점착제 (2) 를 가압하는 힘을 적절히 상승시켜, 원하는 지점에 있어서의 사상 점착제 (2) 의 점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이동 제어부) 는, 원하는 지점에 있어서, 수 초간 노즐 (107) 을 누르면서, XY 평면 내에서의 이동을 멈추어도 (대상물에 대한 노즐 (107) 의 위치를 고정시켜도) 된다. 노즐 (107) 을 누르면서 노즐 (107) 의 평면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음으로써, 사상 점착제 (2) 의 가압 시간을 늘려, 원하는 지점에 있어서의 사상 점착제 (2) 의 점착력을 높일 수 있다. 사상 점착제 (2) 를 권취체 (120) 로부터 조출하면서 첩부하는 경우, 소정 경로의 개시점 (첩부 초기), 소정 경로에 포함되는 곡선의 시작점 또는 종점, 소정 경로에 포함되는 모서리의 정점 등에 있어서, 사상 점착제 (2) 가 박리되기 쉽다. 따라서, 이들 지점에 있어서, 노즐 (107) 을 강하시키거나, 노즐 (107) 을 누르면서 수 초간 정지시킴으로써, 사상 점착제 (2) 의 점착력을 높여,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조출 어시스트 기구)
도 12 ∼ 도 17 을 참조하여, 공급부 (AU) 에 조출 어시스트 기구를 형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조출 어시스트 기구는, 권취체 (120) 로부터 조출되는 사상 점착제 (2) 에 대해, 조출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것이다. 조출 어시스트 기구가 조출 방향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사상 점착제가 세퍼레이터를 갖지 않은 경우라도, 권취체 (120) 에 감겨진 사상 점착제 (2) 끼리의 자착력에 대항하여 사상 점착제 (2) 를 권취체 (120) 로부터 원활하게 조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상 점착제 (2) 의 장력을 저감한 상태에서, 사상 점착제 (2) 를 대상물에 세게 누를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에 세게 눌린 사상 점착제 (2) 가, 장력에 의해 박리되거나, 끊어지거나, 재부착되어 얽히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여, 사상 점착제 (2) 를 원활하게 첩부할 수 있다.
도 12 ∼ 도 15 에 나타내는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A, 150B, 150Ba, 및 150C) 는, 사상 점착제 (2) 를 권취체 (120) 로부터 가압 기구 (BU) 까지 반송하는 경로에 형성되고, 사상 점착제 (2) 를 사이에 끼우고 조출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인장력 (화살표 F1 ∼ F3) 을 사상 점착제 (2) 에 대해서 가한다.
도 12 에 나타내는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A) 는, 롤러 (151) (제 1 롤러), 롤러 (152) (제 2 롤러) 와, 스프링 (153) (탄성체) 과, 스프링 장착부 (154) 를 갖는다. 롤러 (151) 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조출 롤러이다. 롤러 (152) 는, 롤러 (151) 와의 사이에 사상 점착제 (2) 를 끼우고, 롤러 (151) 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어, 사상 점착제 (2) 를 사이에 끼워 화살표 F1 의 방향 (회전 방향) 으로 잡아당겨 끌어낸다. 롤러 (151) 와 스프링 장착부 (154) 사이에는 스프링 (153) 이 장착되고, 스프링 장착부 (154) 가 장치 내에 고정된다. 스프링 (153) 에 의해, 롤러 (151, 152) 에 의한 인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롤러 (151) 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첩부 거리 (노즐 (107) 의 이동 거리) 에 맞추어 사상 점착제 (2) 를 조출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153) 을 형성하지 않고, 롤러 (151, 152) 가 좌우 방향 (화살표 F1 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13 에 나타내는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B) 는, 롤러 (155) (제 3 롤러), 롤러 (156) (제 4 롤러), 롤러 (157) (제 5 롤러) 를 갖는다. 롤러 (155, 156) 는, 사상 점착제 (2) 를 서로의 사이에서 척킹 및 척킹 해제 가능하다. 롤러 (157) 는, 권취체 (120) 와 롤러 (155, 156) 의 사이에 배치되고, 권취체 (120) 로부터 롤러 (157) 를 거쳐 롤러 (155, 156) 에 이르는 경로를 길게 하도록 변위 가능하다. 롤러 (157) 가 이 경로를 길게 하도록 변위함으로써, 사상 점착제 (2) 가 권취체 (120) 로부터 화살표 F2 의 방향으로 끌어 당겨져 조출된다. 조출된 사상 점착제 (2) 는, 롤러 (155, 156) 에 척킹되어 가압 기구 (BU) (노즐 (107)) 에 공급된다. 그리고, 롤러 (155, 156) 에 의한 척킹이 해제되면, 가압 기구 (BU) 가 사상 점착제 (2) 를 대상물에 세게 누른다. 롤러 (155, 156) 에 의한 척킹이 해제되어 있는 동안에, 롤러 (157) 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롤러 (157) 의 변위를 제어함으로써, 첩부 거리 (노즐 (107) 의 이동 거리) 에 맞추어 사상 점착제 (2) 를 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상 점착제 (2) 의 첩부 중에 사상 점착제 (2) 가 부족하게 된 경우에는, 롤러 (155, 156) 에 의해 재차 사상 점착제 (2) 를 척킹하고 롤러 (157) 를 변위시켜, 사상 점착제 (2) 를 조출할 수 있다.
도 14 에 나타내는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Ba) 는, 롤러 (165, 166, 167, 168) 와, 아암 (169) 을 갖는다. 롤러 (165) 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조출 롤러이다. 롤러 (166) 는, 롤러 (165) 와의 사이에 사상 점착제 (2) 를 끼우고, 롤러 (165) 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어, 사상 점착제 (2) 를 사이에 끼워 화살표 F2a 의 방향으로 잡아당겨 끌어낸다. 롤러 (167, 168) 는, 롤러 (165, 166) 와 가압 기구 (BU) 의 사이에 형성되고, 롤러 (165, 166) 에 의해 끌어내어진 사상 점착제 (2) 를 가압 기구 (BU) 로 안내한다. 아암 (169) 은, 일단에 롤러 (167) 가 장착되고, 타단이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의 케이싱에 축지지되고, 롤러 (167) 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포텐시오미터가 장착된다. 롤러 (167) 가 도 14 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면 (롤러 (165, 166) 로부터 롤러 (168) 에 이르는 경로를 길게 하도록 변위하면), 사상 점착제 (2) 의 반송 속도가 내려간다. 이와 같이, 롤러 (165, 166) 에 의해 사상 점착제 (2) 를 조출하고, 롤러 (167) 의 변위에 의해, 조출된 사상 점착제 (2) 의 급격한 속도 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5 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A) 에 있어서,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C) 를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A) 는,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형상의 케이싱 (K1) 내에, 공급부 (AU) (권취체 (120)) 와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C) 를 구비하고, 케이싱 (K1) 의 선단에 노즐 (107A) 을 갖는다.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C) 는, 롤러 (158) (제 1 롤러), 롤러 (159) (제 2 롤러) 와, 스프링 (160) (탄성체) 과, 스프링 장착부 (161) 를 갖는다. 롤러 (158) 는, 그 일부가 케이싱 (K1) 에 있어서 절결된 지점으로부터 케이싱 (K1) 의 외부에 노출되고, 작업자의 손가락 (M) 으로 회전 조작된다. 롤러 (159) 는, 롤러 (158) 와의 사이에 사상 점착제 (2) 를 끼우고, 롤러 (158) 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어, 사상 점착제 (2) 를 사이에 끼우고 화살표 F3 의 방향 (회전 방향) 으로 잡아당겨 끌어낸다. 롤러 (159) 와 스프링 장착부 (161) 사이에는 스프링 (160) 이 장착되고, 스프링 장착부 (161) 가 케이싱 (K1) 의 내벽에 고정된다. 스프링 (160) 에 의해, 사상 점착제 (2) 에 대한 압축력 (찌부러짐 정도) 을 조정할 수 있다.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C) 에 의해 끌어내어져 조출된 사상 점착제 (2) 는, 저장력으로, 케이싱 (K1) 선단의 노즐 (107A) 의 통상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케이싱 (K1) 의 외부로 도출된다. 노즐 (107A) 은, 노즐 (107) 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고, 선단 개구가 원형 또는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이 된다. 또한, 노즐 (107A) 은, 통상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외부로 도출된 사상 점착제 (2) 를, 선단 개구를 둘러싸는 둘레부 중 전체 둘레 또는 임의의 복수 지점에서, 대상물에 세게 누른다. 즉, 케이싱 (K1) 을 파지한 작업자는, 손가락 (M) 으로 롤러 (158) 를 회전시키면서, 노즐 (107A) 을 대상물에 세게 눌러, 펜과 같은 필기구를 조작하는 감각으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A) 를 사용하여, 사상 점착제 (2) 를 임의의 경로로 대상물에 첩부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내는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D 및 150E) 는, 권취체 (120) 를 조출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사상 점착제 (2) 를 내보내는 압출력을, 사상 점착제 (2) 에 대하여 가한다.
도 16 에 나타내는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D) 는, 서페이스 드라이브 (SD) 와, 권취체 유지 막대 (162) 를 갖고,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의 권취체 유지부를 대신하여, 권취체 (120) 를 유지한다. 서페이스 드라이브 (SD) 는, 권취체 (120) 에 감겨진 사상 점착제 (2) 또는 권취체 (120) 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권취체 (120) 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다. 서페이스 드라이브 (SD) 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화살표 F4 로 나타내는 조출 방향으로, 권취체 (120) 를 회전시킨다. 권취체 유지 막대 (162) 는, 권취체 (120) 의 양단측에 배치되어, 서페이스 드라이브 (SD) 에 유지된 권취체 (120) 를 회전 가능하도록, 또한 서페이스 드라이브 (SD) 로부터 탈락을 방지하도록 유지한다. 권취체 (120) 를 회전시켜 사상 점착제 (2) 에 압출력을 가하는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D) 에 의해, 사상 점착제 (2) 는 저장력으로 가압 기구 (BU) 에 공급된다.
도 17 은, 작업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B) 에 있어서,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E) 를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B) 는,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형상의 케이싱 (K2) 내에, 공급부 (AU) (권취체 (120)) 와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E) 를 구비하고, 케이싱 (K2) 의 선단에 노즐 (107B) 을 갖는다.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E) 는, 기어 (163) 와, 롤러 (164) 를 갖는다. 기어 (163) 는, 공급부 (AU) (권취체 (120)) 에 장착되어, 권취체 (120) 와 함께 회전한다. 기어 (163) 는, 그 일부가 케이싱 (K2) 에 있어서 절결된 지점 (K21) 로부터 케이싱 (K2) 의 외부에 노출되고, 작업자의 손가락 (M) 으로 회전 조작된다. 기어 (163) 가 손가락 (M) 으로 회전됨으로써, 사상 점착제 (2) 에 압출력이 가해진다. 압출된 사상 점착제 (2) 는, 롤러 (164) 에 가이드되어 노즐 (107B) 에 도달하고, 저장력으로, 노즐 (107B) 의 통상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케이싱 (K2) 의 외부로 도출된다. 노즐 (107B) 은, 노즐 (107A) 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노즐 (107B) 은, 통상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외부로 도출된 사상 점착제 (2) 를, 선단 개구를 둘러싸는 둘레부 중 전체 둘레 또는 임의의 복수 지점에서, 대상물에 세게 누른다. 이로 인해, 케이싱 (K2) 을 파지한 작업자는, 손가락 (M) 으로 기어 (163) 를 회전시키면서, 노즐 (107B) 을 대상물에 세게 눌러 임의의 경로를 그릴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펜과 같은 필기구를 조작하는 감각으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B) 를 사용하여, 사상 점착제 (2) 를 임의의 경로로 (여러가지 형상으로) 대상물에 첩부할 수 있다. 또한, 도 17 에 나타내는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E) 대신에, 노즐 (107B) 의 움직임 (노즐 (107) 에 의한 사상 점착제 (2) 의 가압) 을 고무로 만든 벨트 등에 의해 권취체 (120) 의 심 (회전축) 에 전달하여, 사상 점착제 (2) 의 조출을 어시스트해도 된다. 또, 권취체 (120) 의 심을 직접 회전시켜, 사상 점착제 (2) 의 조출을 어시스트해도 된다.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A, 150B, 150Ba, 150C, 150D, 150E) 와, 가압 기구 (BU) (노즐 (107)), 노즐 (107A, 107B) 사이에 있어서의, 사상 점착제 (2) 를 반송하는 경로에는, 사상 점착제 (2) 에 장력을 가하는 롤러 등의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에 있어서, 사상 점착제 (2) 를 반송하는 경로에 장력 검출기를 형성하고, 검출된 장력값에 따라서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A, 150B, 150D) 를 제어하여, 일정한 장력이 되도록 사상 점착제 (2) 를 조출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지 상에 재치된 피착체에 대하여 사상 점착제 (2) 를 첩부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6 축의 자유도를 갖는 다관절 로봇 아암에 노즐 (107) 을 장착함으로써, 곡면 등의 입체 형상을 갖는 피착체에 사상 점착제 (2) 를 첩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8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0) 는, 축 형상을 나타내는 본체 (1) 와, 그 양단에 제거 가능하게 형성된 선단부 (4)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체 (1) 에는, 수지 등에 의해 구성된 그립 (3) 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가 그립 (3) 의 부분에 있어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0) 를 파지하고, 선단부 (4) 를 사상 점착제 (2) 의 피착체인 대상물에 가압하여, 일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상 점착제 (2) 가 송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작업자는 축 형상의 가늘고 긴 본체 (1) (의 그립 (3)) 를 파지하면서, 펜과 같은 필기구를 조작하는 감각으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0) 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장애물이 많은 좁은 장소 등에서도 생각한 대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0) 를 조작하여, 다양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체 (1) 는, 1 축 방향으로 연장된 축 형상을 나타냄과 함께, 그 내부에는,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형상의 내부 공간 (S) 이 획정되어 있다. 본체 (1) 의 일단 (선단) 에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선단부 (4) 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선단부 (4) 의 형상은, 샤프 펜슬의 끝과 같이, 테이퍼 형상의 끝에 통상의 파이프를 갖는 형상이어도 된다. 선단부 (4) 의 선단에는 선단 개구 (4a) 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 (1) 의 내부 공간 (S) 이 선단 개구 (4a) (통상 내부 공간) 에 의해 외부로 통하고 있다. 선단부 (4) 는, 본체 (1) 보다 단면적이 작아지는 위치 (P1) (도 18) 로부터 선단 개구 (4a) 까지의 영역에 의해 정의된다. 본체 (1) 의 타단 (후단) 에는, 사상 점착제 (2) 를 권취 가능한 권취체가 내부에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단부 (4) 는 선단을 향할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짐으로써, 좁은 장소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선단부 (4) 가 테이퍼 형상의 끝에 통상의 파이프를 갖는 경우, 파이프가 가늘고 길수록, 좁은 장소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19 는, 선단 개구 (4a) 의 측에서 본 선단부 (4) 의 단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원형 단면의 선단부 (4), (b) 는 오각형상 단면의 선단부 (4) 를 각각 나타낸다. 원형 또는 오각형 이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선단 개구 (4a) 의 둘레부 중 복수 지점이 가압부로서 기능하므로, 첩부 방향의 전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선단부 (4) 의 전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로서 원추 형상, 사각추 형상, 만년필의 펜끝 형상 (받침 접시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선단부 (4) 의 전체 형상은, 극단적으로 가늘고 긴 스트로우형이어도 된다.
도 18 에 나타내는 선단부 (4) 의 길이는 3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 에 나타내는 선단부 (4) 의 폭 (W) 은, 선단부 (4) 의 가장 단면적이 작은 위치에 의해 정의되지만, 폭 (W) 은 선단부 (4) 의 내경 (직경) 에 상당하는 것이기도 하다. 선단부 (4) 의 최소 단면적은, 사상 점착제 (2) 의 단면적의 1.2 ∼ 9 배까지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사상 점착제 (2) 의 단면이 직경 0.3 mm 의 원형인 경우, 선단부 (4) 의 폭 (W) 의 크기는, 약 0.32 ∼ 0.9 mm 까지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러한 크기이면, 작업성의 향상이 기대된다. 또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0) 에 있어서는, 사상 점착제 (2) 가 선단부 (4) 의 선단 개구 (4a) 에 의해 불필요한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가압부로서 롤러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 작업자가 그립 (3) 의 부분에 있어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0) 를 파지하고, 선단부 (4) 를 임의의 복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사상 점착제 (2) 를 첩부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로 점착제를 가압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롤러 폭 내에서 점착제가 이동하기 때문에 첩부 정밀도가 나쁘고, 첩부 경로에 따라서는 점착제가 롤러로부터 탈륜하는 등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 사상 점착제를 양호한 정밀도로 첩부할 수 있다. 또한, 선단부 (4) 가 테이퍼 형상의 끝에 통상의 파이프를 갖는 경우에는, 파이프가 가늘고 길수록, 좁은 장소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제 3 실시형태)
도 20 은, 제 3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0) 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 (1) 의 타단 (후단) 에 있어서, 사상 점착제 (2) 를 권취 가능한 권취체 (5) 가 본체 (1) 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사상 점착제 (2) 는 내부 공간 (S) 을 통과하여 선단 개구 (4a) 로부터 밖으로 나오므로 불필요한 움직임이 규제된다. 또한, 선단 개구 (4a) 의 둘레부 중 복수 지점이 가압부로서 기능하므로, 첩부 방향의 전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21 은, 제 4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 의 주요부를 정면에서 보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 는, 가압 기구 (BU) 및 반송부 (CU) 의 구성, 그리고 절단시에 있어서의 사상 점착제 (2) 의 여분 길이 저감을 위한 구성이, 제 1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와 상이하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 는, 가압 기구 (BU) 와 반송부 (CU) 의 주요부가, 대략 직사각형상의 장착 플레이트 (201) 의 전면에 장착되고, 위치 결정부 (DU) 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 의 반송부 (CU))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 는, 반송부 (CU) 의 일례로서, 롤러 (122) (도 5 참조) 와, 롤러 (202, 203, 204), 이동부 (205), 아암 (206), 롤러 (207, 208, 209), 이동부 (210), 롤러 (211) 및 이동부 (212) 를 갖고, 공급부 (AU) (권취체) 로부터 조출된 사상 점착제 (2) 를 노즐 (107) 까지 반송한다.
롤러 (202, 203, 204, 207, 208, 209, 211) 는, 전술한 롤러 (122) 등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장착 플레이트 (201) 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직면 (YZ 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롤러 (202, 203, 204, 207, 208, 209, 211) 는, 일례로서, 각각의 회전하는 위치가, 장착 플레이트 (201) 의 전면측 (도 21 에 있어서의 지면 앞쪽) 으로부터의 거리가 대략 동일해지도록 배치된다.
롤러 (202) 는, 장착 플레이트 (201) 의 좌측 상부 구석에 장착되어, 사상 점착제 (2) 를 롤러 (203, 204) 로 안내한다. 롤러 (202) 의 좌측에는, 권취체 유지부 (121) 의 좌측에 기립하여 형성된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롤러 (122) 의 우측에, 반송하는 사상 점착제 (2) 의 장력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롤러 및 이 롤러의 우측 상방에 형성된 롤러 (모두 도시 생략) 가 배치되어도 된다. 이들 롤러에 의해, 롤러 (202) 에 공급하는 사상 점착제 (2) 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롤러 (203) 는, 장착 플레이트 (201) 에 있어서, 롤러 (202) 의 우측 약간 하방에 장착된다. 롤러 (203) 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조출 롤러이다.
롤러 (204) 는, 롤러 (203) 의 우측 위에 배치되고, 장착 플레이트 (201) 에 대하여 화살표 D1 의 방향 (우측 위 및 좌측 아래 방향) 으로 이동 (슬라이드) 하는 에어 실린더 등의 이동부 (205) 의, 좌측 아래쪽 단부에 장착된다. 롤러 (204) 는, 가장 좌측 아래에 위치했을 때에, 롤러 (203) 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어, 롤러 (203) 와의 사이에 사상 점착제 (2) 를 끼우고, 화살표 F5 의 방향으로 잡아당겨 끌어낸다.
아암 (206) 은, 롤러 (202, 203) 및 이동부 (205) 의 하방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체이다. 아암 (206) 은, 우측 단부에 롤러 (207) 가 장착되고, 회전축 (206a) 에 의해 좌측 단부 근방이 장착 플레이트 (201) 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롤러 (207) 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포텐시오미터가 회전축 (206a) 에 장착된다. 아암 (206) 은, 예를 들어 장착 플레이트 (201) 의 배면측에 형성된 모터 등의 구동부에 의해 화살표 D2 의 방향 (대략 상하 방향) 으로 회동된다. 즉, 롤러 (207) 는, 아암 (206) 의 회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아암 (206) 의 좌측 단부에는, 아암 (206) 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선상의 돌조 (突條) 가 형성된 샤프트 (206b) 가 돌출 형성된다. 샤프트 (206b) 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추 (206c) 가 장착된다. 추 (206c) 는, 대략 원반형상을 갖고, 중심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샤프트 (206b) 의 돌조와 나사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다. 샤프트 (206b) 에 있어서의 추 (206c) 의 위치를 옮겨서, 추 (206c) 와 회전축 (206a) (아암 (206) 의 좌측 단부) 의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아암 (206) 의 움직이기 용이한 정도를 컨트롤 가능하다.
롤러 (208) 는, 장착 플레이트 (201) 에 있어서, 롤러 (207) 의 우측 상부, 또한 롤러 (204) 의 우측에 장착된다. 롤러 (208) 는, 롤러 (203, 204) 에 의해 끌어당겨 나와, 롤러 (207) 를 경유한 사상 점착제 (2) 를, 롤러 (208) 의 바로 아래에 형성된 가압 기구 (BU) (노즐 (107)) 로 안내한다.
롤러 (207) 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롤러 (203, 204) 로부터 롤러 (208) 에 이르는 경로를 길게 하도록 변위하면), 사상 점착제 (2) 의 반송 속도가 내려간다. 이와 같이, 롤러 (203, 204) 에 의해 사상 점착제 (2) 를 조출하고, 롤러 (207) 의 변위에 의해, 조출된 사상 점착제 (2) 의 급격한 속도 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즉, 롤러 (203, 204, 207, 208) 및 아암 (206) 은, 도 14 에 나타낸 조출 어시스트 기구 (150Ba) 로서 기능한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 에 있어서의 여분 길이 저감)
롤러 (208) 의 우측, 즉 노즐 (107) 의 상방에는, 장착 플레이트 (201) 에 대하여 화살표 D3 의 방향 (좌우 방향) 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210) 의 좌측 단부에 장착된 롤러 (209) 가 배치된다. 롤러 (209) 는, 가장 왼쪽에 위치했을 때에 롤러 (208) 와의 사이에 사상 점착제 (2) 를 닙 가능해지도록, 롤러 (203) 에 인접 배치된다. 노즐 (107) 의 상류에 형성된 롤러 (209) 는, 사상 점착제 (2) 의 첩부가 종료되고 노즐 (107) 이 상승하면, 롤러 (208) 와의 사이에 사상 점착제 (2) 를 닙 (척킹) 한다. 이 상태에서, 피착체 (H) 에 근접한 위치에서 사상 점착제 (2) 를 절단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에어 척 (108) 에 의해, 노즐 (107) 의 하방 (하류) 에서 사상 점착제 (2) 를 척킹하고 있었던 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107) 의 상류에 롤러 (209) 를 형성하여, 사상 점착제 (2) 를 반송하는 롤러 (208) 와의 사이에서 사상 점착제 (2) 를 척킹한다. 이 구성에 의해, 노즐 (107) 하방에 있어서의 에어 척 (108) 용의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절단시 (종점) 의 여분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롤러 (211) 는, 롤러 (208, 209) 및 이동부 (210) 의 하방, 즉 노즐 (107) 의 상방에 배치되고, 장착 플레이트 (201) 에 대하여 화살표 D4 의 방향 (좌우 방향) 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212) 의 좌측 단부에 장착된다. 롤러 (211) 는, 일례로서, 우측에 위치할 때에는, 사상 점착제 (2) 를 통과시켜 노즐 (107) 내로 안내하고, 사상 점착제 (2) 가 절단되면,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사상 점착제 (2) 를 좌측 방향으로 밀어, 사상 점착제 (2) 의 절단된 선단부 (하단부) 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사상 점착제 (2) 의 절단 후에, 사상 점착제 (2) 의 하단부를 상승시킴으로써, 다음 회의 사상 점착제 (2) 첩부 개시시 (시작점) 의 여분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롤러 (211) 의 우측을 사상 점착제 (2) 가 통과하는 경우에는, 롤러 (211) 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사상 점착제 (2) 를 우측 방향으로 당기고, 사상 점착제 (2) 의 하단부를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사상 점착제 (2) 의 여분 길이 저감에 대해서는, 롤러 (203) 등을 역회전시켜 실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역회전에 의해 사상 점착제 (2) 가 롤러 (203) 등에 감겨 붙어, 권취체로 잘 감을 수 없다는 등의 문제가 우려된다. 이 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롤러 (208, 209) 로 사상 점착제 (2) 를 닙하여 절단하고, 그 후, 롤러 (211) 로 사상 점착제 (2) 의 하단부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한 문제없이, 종점 및 시작점의 여분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롤러 (211) 의 하방에, 장착 플레이트 (201) 의 전면에 기립하여 형성된 가이드 막대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도 된다. 가이드 막대는, 표면 (외주면) 이 비점착면이 되고, 사상 점착제 (2) 의 좌측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 의 가압 기구 (BU))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 는, 가압 기구 (BU) 의 일례로서, 노즐 (107), 슬라이더 (213), 고정부 (214) 및 스프링 (215) 을 갖고, 반송부 (CU) 로 반송된 사상 점착제 (2) 를 피착체 (H) 에 첩부한다. 가압 기구 (BU) 는, 장착 플레이트 (201) 에 있어서, 롤러 (211) 및 이동부 (212) 의 하방에 형성된다.
노즐 (107) 은, 슬라이더 (213) 의 전면에 고정되고, 장착 플레이트 (201) 의 하단으로부터 선단 개구 (107c) 가 돌출 가능하게 된다. 슬라이더 (213) 는, 리니어 가이드 등에 의해 장착 플레이트 (201)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장착 플레이트 (201) 에 있어서 슬라이더 (213) 의 상방에는 고정부 (214) 가 고정된다. 고정부 (214) 는, 내부에 샤프트가 삽입 관통된 스프링 (215) 을, 슬라이더 (213) 의 상면과의 사이에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노즐 (107) 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노즐 (107) 이 장착된 토대의 상하 방향의 변위에 대한 노즐 (107) 의 변위를 흡수하는 흡수 기구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장착 플레이트 (201) 에 있어서의 가압 기구 (BU) 의 우측에는, 에어 가위 (109) (니퍼) 가 배치된다. 에어 가위 (109) 는, 구동 수단에 의해, 통상시의 위치로부터 비스듬한 좌측 아래로 이동되고, 노즐 (107) 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사상 점착제 (2) 를 절단한다. 이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사상 점착제 (2) 가 노즐 (107) 의 상방에서 (롤러 (208, 209) 에 의해) 척킹되기 때문에, 에어 척 (108) 이 불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노즐 선단 (107c) 과, 피착체 (H) 에 첩부된 사상 점착제 (2) 의 거리를 저감하여, 절단시 (종점) 의 여분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짧은 여분 길이에서의 첩부에 관한 연구)
도 22 및 도 23 을 참조하여, 여분 길이가 짧은 경우의 첩부 시작점 작성에 있어서의 노즐 (107) 의 움직임을 설명한다. 사상 점착제 (2) 의 첩부 개시시에 있어서, 여분 길이가 짧은 경우, 도 22(a) 에 나타내는 화살표 N1 의 방향으로, 노즐 (107) 을 수직으로 강하시키면, 도 2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상 점착제 (2) 가 노즐 (107) 의 내부에 숨어 들어가, 시작점이 피착체 (H) 에 첩부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도 23(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노즐 (107) 을 경사 방향 (화살표 N2 의 방향) 으로 강하시키면, 도 2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상 점착제 (2) 가 노즐 (107) 내로 숨어 들어가지 않고 시작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 는, 조출 어시스트 기구 (롤러 (203, 204, 207, 208) 및 아암 (206)) 및 여분 길이 저감을 위한 구성 (노즐 (107) 의 상류에서 사상 점착제 (2) 를 척킹하는 롤러 (208, 209), 절단된 사상 점착제 (2) 를 노즐 (107) 의 상류에서 누르고/당기는 롤러 (211)) 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에 추가하여, 저텐션으로 사상 점착제 (2) 의 반송이 가능해지고, 또한, 첩부 개시시 및 종료시의 여분 길이 저감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상 점착제 (2) 의 첩부를 고속으로 또한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24 는, 제 5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A)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5 는, 제 5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A) 에 있어서 개폐 프레임 (235) 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A) 는, 본체 프레임 (230), 파지부 (231) 및 사상 점착제 (2) 를 권취 가능한 권취체 (240) 가 유지되는 개폐 프레임 (235) 을 주로 구비한다.
본체 프레임 (230) 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판재의 하부가 비스듬한 방향으로 굴곡되고 끝이 가늘게 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 (230) 의 굴곡된 지점에는 노즐 (107) 이 고정되고, 끝이 가늘게 된 하단에는 누름 롤러 (232) 를 갖는다. 노즐 (107) 은,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 (230) 의 축선 방향을 따라 장착된다. 또한, 노즐 (107) 의 선단 개구 (107c) 의 전측에 있어서의 선단 개구 (107c) 보다 약간 상방 위치에, 누름 롤러 (232) 가 배치된다. 누름 롤러 (232) 는, 수직면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본체 프레임 (230) 에 장착된다. 누름 롤러 (232) 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체 프레임 (230) 의 대략 중앙에는, 모터 (233) 및 모터 (233) 로 구동되는 롤러 (234) 가 장착된다. 롤러 (234) 는, 수직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개폐 프레임 (235) 에 장착되고, 롤러 (234) 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롤러 (236) 와의 사이에 사상 점착제 (2) 를 끼우고, 사상 점착제 (2) 를 권취체 (240) 로부터 조출한다. 즉, 롤러 (234, 236) 는, 조출 어시스트 기구로서 기능한다. 모터에는, 모터 (233) 의 회전 속도를 조정, 즉 사상 점착제 (2) 의 조출 속도를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스피드 볼륨 (도시 생략) 이 형성된다.
본체 프레임 (230) 의 중앙보다 약간 하방에는, 대략 직사각형 판상의 파지부 (231) 가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파지부 (231) 는 작업자에 의해 파지된다. 파지부 (231) 에는, 모터 (233) 의 온/오프를 전환하고, 사상 점착제 (2) 의 조출을 개시/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 (231A) 가 형성된다. 스위치 (231A) 는, 일례로서, 작업자가 파지부 (231) 를 파지한 상태에서 검지로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형성되고, 눌려 있는 동안에는 모터 (233) 를 온으로 하고, 눌림이 해제된 경우 (즉, 눌려 있지 않은 경우) 에 모터 (233) 를 오프로 한다.
개폐 프레임 (235) 은 롤러 (236) 를 수직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롤러 유지부 (237) 와, 권취체 (240) 를 연직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권취체 유지부 (238) 를 갖는다. 개폐 프레임 (235) 은, 하단측의 후방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 (230) 에 축지지되고, 본체 프레임 (230) 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된다.
작업자는, 도 25 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에 있어서, 권취체 (240) 를 권취체 유지부 (238) 에 세팅하고, 사상 점착제 (2) 를 롤러 (236) 의 회전면을 경유하여 노즐 (107) 의 내부에 삽입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권취체 (240) 가 세팅된 개폐 프레임 (235) 을 후방으로 회동시켜서 닫고, 상단을 본체 프레임 (230) 에 걸어맞춤시켜, 도 24 에 나타내는 폐쇄 상태로 한다.
작업자는,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 (231) 를 파지하고, 노즐 (107) 의 선단 (선단 개구 (107c)) 을 피착체에 근접시킨다. 이 때, 사상 점착제 (2) 의 여분 길이가 짧은 경우, 작업자는,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듬한 방향으로 노즐 (107) 을 강하시킴으로써, 사상 점착제 (2) 가 노즐 (107) 내에 숨어 들어가지 않고, 확실하게 시작점을 제작할 수 있다.
작업자가 스위치 (231A) 를 조작하면 모터 (233) 가 회전하고, 모터 (233) 의 회전에 의해 롤러 (234, 236) 가 사상 점착제 (2) 를 권취체 (240) 로부터 조출한다. 작업자가 피착체 상에서 노즐 (107) 을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권취체 (240) 로부터 조출된 사상 점착제 (2) 를 임의의 경로로 피착체에 첩부한다.
도 26 은,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A) 를 사용한 첩부 동작 종료시에 사상 점착제 (2) 를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작업자는, 첩부 동작이 종료되면, 스위치 (231A) 를 조작 (누름 해제) 하여 모터 (233) 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종점 위치에 있어서,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 (230) 을 수직 방향에 대하여 기울이고, 누름 롤러 (232) 로 사상 점착제 (2) 를 피착체에 대하여 가압한다. 누름 롤러 (232) 로 사상 점착제 (2) 를 누름으로써, 첩부된 지점 (사상 점착제 (2) 의 종점) 이 들어 올려져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종점을 누름 롤러 (232) 로 누른 상태에서, 종점 근방의 사상 점착제 (2) 를 가위 (241) 로 절단한다. 누름 롤러 (232) 는 노즐 (107) 의 근방에 형성되므로, 작업자는,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A) (본체 프레임 (230)) 를 파지한 채 기울이기만 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사상 점착제 (2) 의 종점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A) 에 의하면, 좁은 장소에서의 작업성은 제 2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0) 쪽이 우수하지만,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노즐 (107) 의 선단 개구 (107c) 의 둘레부 중 복수 지점이 가압부로서 기능하므로, 첩부 방향의 전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파지부 (231) 를 파지하면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사상 점착제 (2) 를 첩부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도 27 은, 제 6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B)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B) 는, 장착판 (250) 과, 장착판 (250) 에 형성된 롤러 (251, 252) 및 노즐 (107) 을 구비하고, 사상 점착제 (2) 를 권취 가능한 권취체 (260) 가, 수직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판 (250) 에 유지된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B) 는, 예를 들어 장착판 (250) 이 지지 프레임에 의해 탁상에 고정 배치되어 사용되는, 거치형 첩부 장치이다.
장착판 (250) 의 정면측에 있어서, 권취체 (260) 의 측방 (도 27 에 있어서의 우측) 에는 롤러 (251, 252) 가 배치된다. 롤러 (251) 는, 장착판 (250) 의 배면측에 형성된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롤러 (252) 는, 롤러 (251) 와의 사이에 사상 점착제 (2) 를 끼우고, 롤러 (251) 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롤러 (251, 252) 의 회전에 의해, 사상 점착제 (2) 가 권취체 (260) 로부터 조출된다. 장착판 (250) 의 하단에 있어서의 롤러 (251, 252) 의 하방 (바로 아래) 에는, 노즐 (107) 이 고정된다.
작업자는, 모터를 구동시켜 사상 점착제 (2) 를 조출하고, 노즐 (107) 의 선단 개구 (107c) 에 피착체 (H) 를 대고, 피착체 (H) 를 움직이면서, 임의의 경로로 사상 점착제 (2) 를 첩부한다. 첩부 종료시에는, 모터 구동을 정지시키고, 사상 점착제 (2) 를 가위 등으로 절단한다.
이와 같이, 제 6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00B) 에 의하면, 작업자는, 피착체 (H) 를 파지하여 노즐 (107) 의 선단 개구 (107c) 에 닿게 하면서 피착체 (H) 를 움직임으로써, 평면 또는 입체 형상을 갖는 피착체 (H) 에, 임의의 경로로 사상 점착제 (2) 를 첩부할 수 있다.
(사상 점착제 (2) 의 상세)
도 28 은, 제 1 ∼ 제 6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0, 101)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사상 점착제 (2) 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사상 점착제 (2) 는, 선상의 심재 (2a) 와, 심재 (2a) 의 길이 방향의 표면을 피복하는 점착제층 (2b) 으로 이루어지는 선상의 점착체에 의해 구성된다.
사상 점착제 (2) 는, 장척상 (長尺狀) 의 점착체로서 선상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말하는 선상이란, 직선상, 곡선상, 꺾은선상 등 외에도, 실처럼 다양한 방향, 각도로 구부릴 수 있는 상태 (즉, 사상) 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은, 선상의 것도 포함한다.
또한, 본 구성예의 점착체 (2) 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이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단면의 형상으로는, 원형 외에도, 타원형, 사각형 등의 직사각형 등을 취할 수 있다.
점착제층 (2b) 은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를 포함한다. 점착제로는, 상기 겔 분율, 및 겔 분율의 변화량을 만족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접착성의 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는,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는, 상온에서 점착성을 갖고, 점착제의 표면과 피착체의 표면과의 접촉시에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피착체를 그 표면에 첩부할 수 있는 감압형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형 점착제이면, 가열을 필요로 하지 않아, 열에 약한 피착체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점착제로는, 용제형의 점착제와 수분산형의 점착제 중 어느 타입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점착제 조성물의 건조 (용매 휘발) 에 의해 가교가 진행되고, 건조 후에 가교가 신속하게 완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표면이 서로 접촉한 후에 새로운 가교를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고속 도공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이고, 용제에 의한 기재나 심재로의 영향 (팽윤, 용해) 이 적은 면에서, 수분산형 점착제가 바람직하고, 수분산형의 아크릴계 점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심재를 갖는 점착체에 있어서, 점착제층은 심재 표면 (길이 방향의 표면) 의 전부를 피복하고 있어도 되지만, 심재 표면의 일부만을 피복하고 있어도 된다. 또, 점착제층은 전형적으로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점상, 스트라이프상 등의 규칙적 혹은 랜덤한 패턴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심재의 단면은 점착제층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도 되고 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점착체가 제조 과정이나 사용시에 절단되는 경우에는, 심재의 단면은 점착제층에 의해 피복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사상 점착제 (2) 에 사용되는 심재로는, 예를 들면, 수지, 고무, 발포체, 무기 섬유, 이들의 복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 염화비닐 수지 ; 아세트산비닐 수지 ; 폴리이미드 수지 ; 폴리아미드 수지 ; 불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고무의 예로는, 천연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의 합성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발포체의 예로는,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클로로프렌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섬유의 예로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금속 섬유, 화학 섬유 (재생 섬유, 반합성 섬유, 합성 섬유 등), 천연 섬유 (식물 섬유, 동물 섬유, 기타) 등을 들 수 있다. 또, 심재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점착체의 단면 형상에 따른 단면 형상을 갖는다.
또, 사상 점착제 (2) 에 사용될 수 있는 사상의 심재의 재질로는, 레이온, 큐프라, 아세테이트, 프로믹스, 나일론, 아라미드, 비닐론, 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크랄, 폴리락트산 등의 각종 고분자 재료, 유리, 탄소 섬유, 천연 고무나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고무 등의 각종 고무, 면, 울 등의 천연 재료, 금속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사상의 심재의 형태로는, 예를 들어, 모노 필라멘트 외에, 멀티 필라멘트, 스펀 얀, 권축 가공이나 벌크 가공 등을 실시한 일반적으로 텍스처드 얀, 벌키 얀, 스트레치 얀으로 불리는 가공사, 혹은 이들을 서로 꼬거나 하여 조합한 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면 형상도, 원형뿐만 아니라, 사각형상 등의 직사각형상의 실이나, 별형 형상, 타원 형상, 중공 등일 수 있다.
또한, 심재에는, 필요에 따라, 충전제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등),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활제, 가소제, 착색제 (안료, 염료 등)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심재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하도제의 도포 등의, 공지 또는 관용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심재의 단면의 사이즈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원형의 단면 형상인 경우, 핸들링성 (굴곡성, 끊어지기 어려움) 의 관점에서는, 그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 ㎛ ∼ 20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 1000 ㎛ 이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성의 관점에서는, 예를 들어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두께 불균일, 건조성의 관점에서는, 예를 들어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함으로써 용도에 따라 두껍게 할 수도 있다.
특히 사상 점착제 (2) 는, 점착제층 (2b) 을 형성하는 점착제가 상온에서 점착성을 갖고, 점착제의 표면과 피착체의 표면과의 접촉시에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피착체를 그 표면에 첩부할 수 있는 감압형 점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형 점착제이면, 가열을 필요로 하지 않아, 열에 약한 피착체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상 점착제 (2)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사상 점착제 (2) 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단축 (단면의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축 중 가장 짧은 축) 의 길이에 대한 장축 (단면의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축 중 가장 긴 축) 의 길이의 비율 (장축/단축) 이 클수록 사상 점착제 (2) 는 편평한 형상이 된다. 한편, 당해 비율이 작을수록 사상 점착제 (2) 의 단면 형상은 원형에 가까워지고, 당해 비율은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 최소값인 1 이 된다. 최소값 1 의 경우에는, 삼각형, 별형 등과 같은 특수한 형상도 포함된다.
사상 점착제 (2) 가 세퍼레이터를 가져도 된다. 사상 점착제 (2) 가 세퍼레이터를 갖는 경우에는, 사상 점착제 (2) 가 노즐 (107) 등에 도달하기 전에 있어서 세퍼레이터를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하여, 점착체를 대상물에 첩부한다. 사상 점착제 (2) 가 세퍼레이터를 가짐으로써, 점착제의 자착력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사상 점착제 (2) 의 장력을 저감한 상태에서, 사상 점착제 (2) 를 대상물에 세게 누를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에 눌려진 사상 점착제 (2) 가, 장력에 의해 박리되거나, 끊어지거나, 재부착되어 얽히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여, 사상 점착제 (2) 를 원활하게 첩부할 수 있다.
사상 점착제 (2) 의 실시형태 및 사용 방법은, 대략 이하의 4 개의 패턴으로 분류된다. 여기에서의 비점착층은, 점착체의 표면 (길이 방향의 표면) 을 피복하는 층으로, 예를 들어 연신 전의 초기 상태에서는 점착체를 피복하지만, 점착체를 연신함으로써 파단되어, 점착체의 점착성이 발현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나, 비점착층의 종류, 소재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1) 비점착층이 없는 점착체를 그대로 압착
2) 비점착층이 없는 점착체 +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는 압착 전에 박리된다)
3) 비점착층에 의해 피복된 점착체
4) 비점착층에 의해 피복된 점착체 +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는 압착 전에 박리된다)
이하, 제 7 및 제 8 실시형태로서, 상기 서술한 제 1 ∼ 제 6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0, 101, 101A, 101B, 200, 200A, 200B) 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와 함께 롤상으로 권취된 사상 점착제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 를 조출하면서 대상물에 세게 누르는 예를 설명한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0) 등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와 함께 롤상으로 권취된 사상 점착제 (2) 는, 사상 점착제 (2) 가 노즐 (107) 등에 도달하기 전에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되어, 대상물에 세게 눌려진다. 세퍼레이터와 함께 롤상으로 감겨진 사상 점착제 (2) 를 사용함으로써, 사상 점착제 (2) 끼리 자착하지 않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조출시에 있어서의 사상 점착제 (2) 의 장력을 저감한 상태에서, 사상 점착제 (2) 를 대상물에 세게 누를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에 세게 눌린 사상 점착제 (2) 가, 장력에 의해 박리되거나, 끊어지거나, 재부착되어 얽히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여, 사상 점착제 (2) 를 원활하게 첩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는, 사상 점착제와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세퍼레이터의 압축 탄성률이 1.5 MPa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한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는, 사상 점착제와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세퍼레이터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사상 점착제의 적어도 일부가 슬릿 내에 배치되어 있다.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는, 일례로서, 다음과 같이 롤상으로 감겨진다. 도 29 는,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의 감는 방법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상 점착제 (2) 는, 권취기 (WM) 의 가이드 (G) 가 릴 (14) (지관, 권심) 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릴 (14) 에 소정 길이의 폭에 걸쳐 트래버스 권취 (능권 (綾捲)) 된다. 도 2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상 점착제 (2) 가 릴 (14)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우측 (또는 좌측) 단에 왔을 때에, 세퍼레이터 (SP) 를 끼워 넣는다. 세퍼레이터 (SP) 는, 적어도 상기 소정 길이의 폭과, 적어도 릴 (14) 의 외주의 길이를 갖는 크기의 시트 (매엽) 이다. 세퍼레이터 (SP) 의 길이의 상한으로는, 감을 때의 최외주, 즉 사상 점착제 (2) 및 세퍼레이터 (SP) 를 릴 (14) 에 감은 상태의 최외주의 2 배 정도가, 편리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2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G) 가 폭 방향으로 이동하면, 사상 점착제 (2) 가 릴 (14) 에 세퍼레이터 (SP) 를 개재하여 롤상으로 권취된다. 도 29(a) 에 나타내는 세퍼레이터 (SP) 의 끼워 넣기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행해진다. 이와 같이 롤상으로 권취된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는, 조출되면 자연스럽게 세퍼레이터 (SP) 가 박리된다 (떨어진다). 따라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200, 200A, 200B) 에 있어서, 이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사용하면,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된 사상 점착제 (2) 가 가압 기구 (BU) 에 공급되고, 노즐 (107) 에 의해 대상물에 세게 눌리기 때문에, 원활하게 첩부할 수 있다. 또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0, 101A, 101B) 에 있어서는, 케이싱 내에 세퍼레이터 (SP) 가 떨어지는 스페이스를 마련하거나, 또는 케이싱에 형성한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세퍼레이터 (SP) 가 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이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의 권취에는, 도 29 에 나타낸 권취기 (WM) 대신에, 도 30 에 나타내는 권취기 (WM2) 를 사용해도 된다. 권취기 (WM2) 는, 권취기(WM) 에 터치 롤부 (TR) 를 부가한 것이다. 터치 롤부 (TR) 는, 릴 (14) 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가이드 (G) 의 하방에 있어서 릴 (14) 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릴 (14) 의 표면을 (사상 점착제 (2) 및 세퍼레이터 (SP) 를 개재하여) 가압한다. 사상 점착제 (2) 가 릴 (14)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우측 (또는 좌측) 단에 왔을 때에, 화살표 I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세퍼레이터 (SP) 를 삽입하여, 릴 (14) 과 터치 롤부 (TR) 사이에 세퍼레이터 (SP) 를 위치시켜, 세퍼레이터 (SP) 를 끼워 넣는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 (G) 가 폭 방향으로 이동하면, 사상 점착제 (2) 가 릴 (14) 에 세퍼레이터 (SP) 를 개재하여 롤상으로 권취된다. 권취할 때, 터치 롤부 (TR) 에 의해 세퍼레이터 (SP) 를 릴 (14) 에 가압함으로써,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느슨한 부분 없이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1, 200, 200A, 200B) 에 있어서, 후술하는 도 31(a) 나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긴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 (10) 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노즐 (107) (가압부) 의 직전에서, 세퍼레이터 (12) 를 박리하여 권취하고, 사상 점착제 (11) 를 노즐 (107) 에 의해 대상물에 세게 누른다.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0, 101A, 101B) 에 있어서도, 가압부의 직전에서 수정 테이프와 같이 세퍼레이터 (12) 를 박리하여 권취함으로써,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 (10) 로부터 박리된 사상 점착제 (11) 를 대상물에 세게 눌러, 원활하게 첩부할 수 있다. 또한, 거치형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에 있어서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사용할 때에는, 세퍼레이터를 자동기로 권취해도 된다.
(제 7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는, 사상 점착제와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세퍼레이터의 압축 탄성률이 1.5 MPa 이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의 압축 탄성률은, 1.2 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M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세퍼레이터의 압축 탄성률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절한 강도를 얻는 관점에서는, 예를 들어 0.001 MPa 이상이다.
또한, 압축 탄성률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의 압축 탄성률은, 예를 들면 오토그래프 (시마즈 제작소 제조 소형 탁상 시험기 Extest) 를 사용한 하기 압축 시험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온도 23 ℃ 의 실내에서, 아크릴제의 대 (臺) 위에 세퍼레이터 (세로 4 cm×가로 4 cm) 를 올려놓고, 원통상의 압자 (SUS 제, 압자 면적 : 100 mm2) 를 세퍼레이터의 중심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압축 속도 0.1 mm/min 으로 가압하면서 압축 응력을 측정하여, 하기 식으로부터 압축 탄성률 E (MPa) 를 산출한다.
E (MPa) = (σ2-σ1)/(ε2-ε1)
압축 응력 σ1 : 0.005 (MPa)
압축 응력 σ2 : 0.01 (MPa)
압축 변형값 ε1 : 압축 응력 σ1 에 있어서의 압축 변형값
압축 변형값 ε2 : 압축 응력 σ2 에 있어서의 압축 변형값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는, 압축 탄성률이 1.5 MPa 이하이기 때문에 쿠션성이 우수하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에 있어서, 사상 점착제는 찌부러짐 및 탈락이 억제 내지 방지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보호된다.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1(a) 는, 본 실시형태의 일 구성예에 관한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가 롤상으로 감겨진 상태 (롤상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 의 개략도이다. 또한, 도 31(b) 는, 그 구성예에 관한 롤상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에 있어서의, 감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단면도이다. 본 구성예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 (12) 는 압축 탄성률이 1.5 MPa 이하이고, 쿠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사상 점착제 (11) 와 함께 감겨졌을 때에, 도 3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상 점착제 (11) 의 형상에 따라서 변형한다. 이것에 의해, 사상 점착제 (11) 가 세퍼레이터 (12) 로부터 받는 응력이 완화되기 때문에, 사상 점착제 (11) 의 찌부러짐이 억제 내지 방지되어, 점착체로서의 형태가 유지된다. 또한, 도 3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구성예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 (10) 에 있어서, 사상 점착제 (11) 는 세퍼레이터 (12) 에 의해 감싸지도록 끼워지기 때문에, 구르기 어려워, 세퍼레이터 (12) 로부터 잘 탈락되지 않는다. 또한, 도 31(b)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사상 점착제 (11) 와 세퍼레이터 (12) 의 사이에 일부 공극이 존재하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상 점착제 (11) 와 세퍼레이터 (12) 사이에는 공극이 없어도 된다.
또한, 도 31(a) 에는 사상 점착제 (11) 가 배치되는 측이 내측이 되도록 감겨진 예를 나타냈지만, 사상 점착제 (11) 가 배치되는 측이 외측이 되도록 감겨져 있어도 된다. 또한,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 (10) 는 릴 (14) 등에 감겨져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에 있어서도, 후술하는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세퍼레이터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사상 점착제의 적어도 일부가 슬릿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3(a) 에 슬릿 (23) 이 형성된 세퍼레이터 (22) 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단면도를, 도 33(b) 에 슬릿 (23) 이 형성된 세퍼레이터 (22) 를 구비하는,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 (20) 가 감겨진 롤 (롤상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 (20)) 에 있어서의, 감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사상 점착제(21) 의 적어도 일부는 슬릿 (23)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감겨졌을 때에 사상 점착제 (21) 가 세퍼레이터 (22) 로부터 받는 응력은 한층 더 완화되어, 한층 더 찌부러지기 어렵다. 또한, 사상 점착제 (21) 는 슬릿 (23) 내에 유지되기 때문에, 한층 더 구르기 어렵다.
슬릿 (23) 의 바람직한 형태는, 후술하는 제 8 실시형태의 란에 있어서 설명하는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의 재질도 상기 압축 탄성률을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높은 쿠션성을 얻기 쉬운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는, 다공질 재료를 주체로 하는 세퍼레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공질 재료를 주체로 하는 세퍼레이터이다」란, 다공질 재료만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인 것, 또는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과 다른 층의 적층체인 것을 의미한다.
다공질 재료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1) ∼ (3) 등을 들 수 있다.
(1) 종이, 직포, 부직포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 부직포 등).
(2)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 나일론, 사란 (상품명),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아이오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수지를 성분으로 하는 중실 (中實) 의 필름에 기계적으로 천공 처리를 실시한 재료.
(3) 폴리올레핀 발포체 (예를 들면, 비가교 폴리에틸렌 발포체, 가교 폴리에틸렌 발포체, 폴리프로필렌 발포체, 폴리에틸렌 (PE) 및 폴리프로필렌 (PP) 을 성분으로 하는 발포체 등), 폴리에스테르 발포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발포체 등), 우레탄 발포체 (예를 들면, 연질 우레탄폼, 경질 우레탄폼, 우레탄 변성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폼,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폼 등), 또는 고무계 발포체 등의 발포체 재료.
그 중에서도, 쿠션성이 양호한 점에서 발포체 재료가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 발포체 재료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공질 재료는, JIS K 7222 (2005) 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겉보기 밀도가 900 kg/m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kg/m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공질 재료가 이러한 겉보기 밀도를 갖는 것이면, 쿠션성이 특히 우수한 세퍼레이터 (22) 가 얻어진다.
한편, 강도의 관점에서는, 다공질 재료의 겉보기 밀도는 15 kg/m3 이상이 바람직하고, 25 kg/m3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공질 재료가 발포체 재료인 경우, 미세 구멍의 평균 장경이 10 ∼ 1000 ㎛ 의 범위에 있고, 평균 단경이 10 ∼ 1000 ㎛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체 재료의 개공률은, 유연성의 관점에서 50 ∼ 99 % 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 98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개공률」이란, 발포체 재료의 두께 방향과 수직인 평면에서의 재료의 면적 중에서 차지하는 미세 구멍의 면적률을 의미한다.
또한, 세퍼레이터가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 이외에 다른 층을 구비해도 되고, 다른 층으로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수지제의 중실 필름, 스킨층, 이형층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또는 수지제의 중실 필름이란, 기계적으로 천공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무공 필름으로, 세퍼레이터의 신장 억제 등을 위해 형성해도 된다. 세퍼레이터의 신장이 억제되면, 반송하기 쉬워지고, 이형 처리제를 균일하게 도포하기 쉬워지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금속 또는 수지를 필름화하는 제조 단계에서 불가피적으로 발생하는 미세 구멍을 가지고 있어도, 그러한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필름은 「중실 필름」에 포함된다. 수지제의 중실 필름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N) 등) ; 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나일론 등) ; 폴리염화비닐 (PVC) ; 폴리아세트산비닐 (PVAc) ; 폴리염화비닐리덴 ;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리액터 TPO,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등) ; 폴리이미드 (PI) ; 불소계 수지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 ; 셀로판 및 아이오노머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유닛 (E) 과 아크릴산 유닛 (A) 을 갖는 폴리머를 금속 (M) 으로 가교한 수지 등)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수지로 형성된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금속제의 중실 필름으로는, 알루미늄박, 동박, 스테인리스박 등을 들 수 있다.
중실 필름은, 수지제의 중실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수지로 형성된 필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수지로 형성된 필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금속 또는 수지제의 중실 필름의 두께는, 세퍼레이터의 쿠션성의 유지와, 후술하는 이형층의 안정 형성의 관점에서 3 ∼ 80 ㎛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50 ㎛ 이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0 ∼ 50 ㎛ 이다.
중실 필름의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으로의 라미네이트는, 열 프레스기에 의한 열 프레스 가공, 롤·투·롤에 의한 연속 열 라미네이트 가공 등의 적층 필름의 통상적인 방법의 제법에 의해 실시된다.
「스킨층」이란,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의 표면에 형성된,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의 개공률보다 작은 개공률의 다공질의 박층으로, 세퍼레이터의 신장 억제 등을 위해 형성해도 된다. 또한, 「개공률」이란,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의 두께 방향과 수직인 평면에서의 박층의 면적 중에서 차지하는 미세 구멍의 면적률이다. 스킨층의 개공률은,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의 쿠션성의 유지와, 후술하는 이형층의 안정 형성의 관점에서 10 % 이하가 바람직하고, 5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스킨층의 두께는 세퍼레이터의 쿠션성의 유지와, 후술하는 이형층의 안정 형성의 관점에서 3 ∼ 50 ㎛ 가 바람직하고, 3 ∼ 2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스킨층은, 예를 들어,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의 표층 부분을 용융함으로써 형성된다. 예를 들면, 다공질 재료의 융점보다 5 ∼ 20 ℃ 정도 낮은 온도로 설정한 가열 롤을 사용하여, 가열 롤의 회전 속도를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의 주행 속도보다 저감시킴으로써,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의, 가열 롤과의 접촉면측에 스킨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형층이란, 세퍼레이터와 점착체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점착체에 의해 점착되기 어려운 층으로, 세퍼레이터와 점착체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해도 된다. 이형층은, 예를 들면, 세퍼레이터의 표면에 이형 처리제 (박리제) 를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형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이형 처리제 (박리제) 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불소계 박리제, 장쇄 알킬아크릴레이트계 박리제, 실리콘계 박리제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실리콘계 박리제가 바람직하고, 경화 방법으로는, 자외선 조사나 전자선 조사 등의 경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계 박리제 중에서도 카티온 중합성의 자외선 경화형 실리콘계 박리제가 바람직하다. 카티온 중합성의 자외선 경화형 실리콘계 박리제는, 카티온 중합형의 실리콘 (분자 내에 에폭시 관능기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과 오늄염계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이지만, 오늄염계 광개시제가 붕소계 광개시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이러한 오늄염계 광개시제가 붕소계 광개시제로 이루어지는 카티온 중합성의 자외선 경화형 실리콘계 박리제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양호한 박리성 (이형성) 이 얻어진다. 카티온 중합형의 실리콘 (분자 내에 에폭시 관능기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은, 1 분자 중에 적어도 2 개의 에폭시 관능기를 갖는 것으로서, 직사슬형의 것, 분기사슬형의 것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폴리오르가노실록산에 함유되는 에폭시 관능기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데, 오늄염계 광 개시제에 의해 개환 카티온 중합이 진행되는 것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γ-글리시딜옥시프로필기,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기, β-(4-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실)프로필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카티온 중합형의 실리콘 (분자 내에 에폭시 관능기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은 시판되고 있으며,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바 실리콘사 제조의 UV9315, UV9430, UV9300, TPR6500, TPR6501 등,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의 X-62-7622, X-62-7629, X-62-7655, X-62-7660, X-62-7634A 등, 아라카와 화학사 제조의 Poly200, Poly201, RCA200, RCA250, RCA251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실리콘계 박리제에는, 열경화성 부가형 실리콘계 박리제 (열경화성 부가형 폴리실록산계 박리제) 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열경화성 부가형 실리콘계 박리제는, 분자 중에 관능기로서 알케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알케닐기 함유 실리콘) 및 분자 중에 관능기로서 하이드로실릴기를 함유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필수 구성 성분으로 한다.
상기 분자 중에 관능기로서 알케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으로는, 그 중에서도, 분자 중에 알케닐기를 2 개 이상 갖고 있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케닐기로는, 예를 들면, 비닐기 (에테닐기), 알릴기 (2-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펜테닐기, 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케닐기는, 통상, 주사슬 또는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규소 원자 (예를 들면, 말단의 규소 원자나, 주사슬 내부의 규소 원자 등) 에 결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주사슬 또는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에틸실록산, 폴리메틸에틸실록산 등의 폴리알킬알킬실록산 (폴리디알킬실록산) 이나, 폴리알킬아릴실록산 외에, 규소 원자 함유 모노머 성분이 복수 종 사용되고 있는 공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산-디에틸실록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디메틸실록산이 바람직하다. 즉, 분자 중에 관능기로서 알케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으로는, 구체적으로는, 비닐기, 헥세닐기 등을 관능기로서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상기 분자 중에 관능기로서 하이드로실릴기를 함유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가교제는, 분자 중에 규소 원자에 결합하고 있는 수소 원자 (특히, Si-H 결합을 갖는 규소 원자) 를 가지고 있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이며, 특히 분자 중에 Si-H 결합을 갖는 규소 원자를 2 개 이상 가지고 있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Si-H 결합을 갖는 규소 원자로는, 주사슬 중의 규소 원자, 측사슬 중의 규소 원자 중 어느 것이어도 되며, 즉 주사슬의 구성 단위로서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측사슬의 구성 단위로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Si-H 결합의 규소 원자의 수는, 2 개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분자 중에 관능기로서 하이드로실릴기를 함유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가교제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메틸하이드로젠실록산이나 폴리(디메틸실록산-메틸하이드로젠실록산) 등이 바람직하다.
열경화형 실리콘계 이형 처리제에는, 상기 열경화형 실리콘계 수지와 함께, 실온에 있어서의 보존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반응 억제제 (반응 지연제) 가 사용되고 있어도 된다. 그 반응 억제제로는, 예를 들어, 박리제로서 열경화성 부가형 실리콘계 박리제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 3,5-디메틸-1-헥신-3-올, 3-메틸-1-펜텐-3-올, 3-메틸-3-펜텐-1-인, 3,5-디메틸-3-헥센-1-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열경화형 실리콘계 이형 처리제에는, 상기 성분 외에도 필요에 따라, 박리 컨트롤제 등이 사용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MQ 레진 등의 박리 컨트롤제, 알케닐기 또는 하이드로실릴기를 갖지 않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트리메틸실록시기 말단 봉쇄 폴리디메틸실록산 등) 등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성분의 이형 처리제 중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형분 전체에 대하여, 1 ∼ 30 질량% 가 바람직하다.
열경화형 실리콘계 이형 처리제는 통상 경화 촉매를 포함한다. 경화 촉매는 열경화성 부가형 실리콘용의 촉매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백금계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염화백금산, 백금의 올레핀 착물, 염화백금산의 올레핀 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개의 백금계 촉매가 바람직하다. 경화 촉매는 그대로, 또는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경화 촉매의 배합량 (고형분) 은, 열경화형 실리콘계 수지 100 질량부 (수지분) 에 대하여, 0.05 ∼ 0.5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6 ∼ 0.50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 촉매의 배합량이 0.05 질량부 미만이면 경화 속도가 느려지고, 0.55 질량부를 초과하면 포트라이프가 현저하게 짧아진다.
이형층을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이형 처리제를 포함하는 도공액에는, 도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통상 유기 용제가 사용된다. 그 유기 용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시클로헥산, 헥산, 헵탄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계 용제 ;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메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유기 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혼합 사용해도 된다.
이형층의 두께는, 우수한 박리성 (이형성) 및 두께 불균일의 억제 (이형층의 안정 형성) 의 관점에서 0.001 ∼ 10 ㎛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 5 ㎛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 1 ㎛ 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로는, 요철 처리를 실시한 필름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철 처리를 실시한 필름의 표면 조도 (Ra) 는, 사상 점착제의 형상 유지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 ㎛ 이상이다. 또, 그 표면 조도 (Ra) 는, 사상 점착제가 보관시에 움직이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또한, 요철 처리를 실시한 필름의 표면 조도 (Ra) 의 정의는, JIS B 0601 (1994 년판) 에 기초하여, 촉침식 표면 조도 측정기 (예를 들어, 코사카 연구소 제조, 고정밀도 미세 형상 측정기, 상품명 「서프코더 ET4000」)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요철 처리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엠보스 가공, 블라스트 가공 등을 들 수 있다. 또, 바인더 수지와 입자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임시 지지체에 도포하고, 그 후 당해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임시 지지체에 요철면을 형성해도 된다. 그 밖에도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나 그라비아 인쇄, 나노 임프린트에 의한 전사 등을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엠보스 가공이 원하는 박리성을 얻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요철 처리를 실시하는 필름의 재질은, 상기 서술한 압축 탄성률을 만족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박리성, 경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종이나 수지 필름, 금속박 등에 요철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파이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불소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은, 이와 같은 수지의 1 종류를 단독으로 함유하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이 블렌드된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수지 필름은, 무연신이어도 되고, 연신 (1 축 연신 또는 2 축 연신) 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요철 처리를 실시한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서 이형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이형 처리로는, 상기 서술한 다공질 재료를 주체로 하는 세퍼레이터에 적용되는 이형 처리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상기한 압축 탄성률을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핸들링성의 관점에서는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의 두께의 상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0000 ㎛ 이하여도 되지만, 비용의 관점에서는 1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상 점착제의 단면 형상은 도 31(b) 에 있어서는 원형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외에도, 타원형, 사각형 등의 직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상 점착제의 굵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바람직한 굵기를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은 0.01 ∼ 3 mm 정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상 점착제의 길이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바람직한 길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상 점착제는, 심재와 심재를 피복하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층 (점착제층) 을 구비해도 된다. 또한 심재를 구비하지 않고 점착제만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상 점착제를 구성하는 점착제 및 심재는, 도 20 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상 점착제는, 케이블 등의 다른 선상 부재에 비해 가늘고,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세퍼레이터는, 예를 들면 압축 응력이 0.01 MPa 와 같은 저응력에서도 변형이 생기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압축 응력 σ2 : 0.01 MPa 에 있어서의 압축 변형값 ε2 는,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심재와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사상 점착제에 있어서, 점착제의 부착량 (단위 길이 당 점착제층의 중량)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첩착되는 부재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하면 되지만, 점착성의 관점에서는, 예를 들면 2 mg/m 이상이 바람직하고, 5 mg/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 mg/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점착제의 부착량이 과잉이면, 제조 공정에 있어서 심재에 점착제를 복수 회 도포할 필요가 있거나, 도포한 점착제의 건조에 시간이 걸리거나 하기 때문에, 제조 효율이 낮다. 따라서, 점착제의 부착량은 200 mg/m 이하가 바람직하고, 180 mg/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60 mg/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심재의 굵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첩착되는 부재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되는데, 예를 들면 20 ∼ 2000 dtex 정도이다.
심재를 구비하지 않는 사상 점착제는, 예를 들면, 점착제를 준비하여, 세퍼레이터에 디스펜서를 사용해서 선상으로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가열 건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심재를 구비하는 사상 점착제는, 예를 들면, 심재에 점착제를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등의 관용되는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적절히 건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한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 (30) 는, 사상 점착제 (31) 와 세퍼레이터 (32) 를 구비하고, 세퍼레이터 (32) 에는 슬릿 (33) 이 형성되어 있고, 사상 점착제 (31) 의 적어도 일부가 슬릿 (33)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34(a) 에 본 실시형태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 (30) 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단면도를, 도 34(b) 에 본 실시형태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 (30) 가 감겨진 롤 (롤상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 (30)) 에 있어서의, 감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 (30) 에 있어서는, 사상 점착제 (31) 의 적어도 일부는 슬릿 (33)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감겨져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세퍼레이터 (32) 로부터의 압력을 잘 받지 않아, 찌부러지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상 점착제 (31) 의 적어도 일부는 슬릿 (33)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탈락되기 어렵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슬릿의 형상, 폭, 깊이 등은, 사상 점착제의 적어도 일부를 슬릿 내에 배치할 수 있는 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감는 경우에는, 세퍼레이터 (SP) 상에 있어서 사상 점착제 (2) 가 배치되는 경로를 따라, 슬릿을 형성하면 된다.
세퍼레이터로부터 사상 점착제에 가해지는 압력을 한층 더 감소시켜, 사상 점착제를 한층 더 찌부러지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는, 슬릿의 형상, 폭, 깊이 등은, 슬릿에 사상 점착제의 전체를 격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형태의 슬릿 (33) 은, 사상 점착제 (31) 를 격납한 상태 (권회 등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 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단면도에 있어서, 도 34(a) 및 도 34(b) 에 나타내는 구성예와 같이, 세퍼레이터 (32) 의 슬릿 (33) 이 형성된 측의 면 (32a) 으로부터 사상 점착제 (31) 가 밀려 나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릿의 단면 형상으로는, 예를 들면, V 자 형상, U 자 형상, 원호 형상, 오목형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4(a) 에 나타내는 구성예에 있어서는, 슬릿 (33) 의 단면 형상은 V 자 형상이고, 도 35(a) 에 나타내는 구성예에 있어서는, 슬릿 (43) 의 단면 형상은 오목형이다. 도 35(a) 및 도 35(b) 에 나타내는 구성예에 있어서도,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 (40) 는, 세퍼레이터 (42) 의 슬릿 (43) 이 형성된 측의 면 (42a) 으로부터 사상 점착제 (41) 가 밀려 나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릿의 단면 형상은, 직선이나 곡선에 한정되지 않고, 지그재그선이나 파선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생산성의 관점에서는, 슬릿은 예를 들어 도 3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순한 절입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에 형성되는 슬릿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 개여도 되고, 2 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세퍼레이터의 편면에만 슬릿이 형성되어도 되고, 양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의 압축 탄성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상 점착제가 세퍼레이터로부터 받는 응력을 한층 더 완화하여, 사상 점착제를 한층 더 찌부러지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세퍼레이터의 쿠션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도,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압축 탄성률이 1.5 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의 재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높은 쿠션성을 얻기 쉬운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는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다공질 재료를 주체로 하는 세퍼레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 재료로는, 예를 들어 제 4 실시형태의 란에 있어서 예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세퍼레이터는 제 5 실시형태의 세퍼레이터와 동일하게 금속 또는 수지제의 중실 필름, 스킨층, 이형층 등의 다른 층을 구비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상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 5 실시형태의 란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사상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형태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세퍼레이터로부터 사상 점착제를 박리하고 피착체에 첩부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혹은,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세퍼레이터째 피착체에 첩부한 후에 세퍼레이터를 박리하는 형태로, 즉 사상 점착제를 피착체에 전사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 세퍼레이터에 첩부한 사상 점착제 (2) 를 피착체에 전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세퍼레이터에, 상기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및 사상 점착제 첩부 방법에 의해, 사상 점착제 (2) 를 첩부한다. 피착체에 원하는 형상으로 첩부하기 위해, 세퍼레이터 상에는, 원하는 형상을 반전시킨 형상으로, 사상 점착제 (2) 를 첩부 (묘화) 한다.
다음으로, 세퍼레이터에 첩부된 사상 점착제 (2) 의 점착제면을 피착체에 접촉시켜, 세퍼레이터를 통하여 사상 점착제 (2) 를 피착체에, 롤러나 손가락 등에 의해 가압하여 접착한다.
그 후, 피착체에 접착된 사상 점착제 (2) 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 제거하여, 사상 점착제 (2) 를 노출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피착체에 원하는 형상으로 사상 점착제 (2) 를 첩부한다.
사상 점착제를 확실하게 전사하기 위해, 즉 사상 점착제가 피착체로부터 박리되어 세퍼레이터에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착체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 제거할 때는 필 박리로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의 박리 각도는 5°이상이 바람직하고, 10°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0°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필 박리로 박리할 때에는, 세퍼레이터를 변형시키면서 박리해도 되고, 피착체를 변형시키면서 박리해도 되며, 세퍼레이터 및 피착체의 양방을 변형시키면서 박리해도 된다. 세퍼레이터 및 피착체의 경도 (변형되기 쉬움) 에 따라 적절히 바람직한 박리 방법을 선택하면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사상 점착제 (2) 를 세퍼레이터 상에 원하는 형상을 반전시킨 형상으로 성형 (묘화) 하고 나서 전사함으로써, 피착체에 사상 점착제 (2) 를 원하는 형상으로 첩부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피착체에 대한 사상 점착제 (2) 의 첩부를, 첩부 형상이 복잡한 경우라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부터, 전사에 의한 사상 점착제의 첩부 방법은 예를 들어, 전선이나 광 파이버 등의 케이블, LED 파이버 라이트, FBG (Fiber Bragg Gratings, 파이버 브래그 그레이팅) 등의 광 파이버 센서, 실, 끈, 와이어 등의 각종 선재 (선상 부재) 나 세폭 (細幅) 의 부재를, 원하는 형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사상 점착체의 첩부 방법으로서 바람직하다. 선재나 세폭의 부재를 복잡한 형상으로 다른 부재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전사에 의한 사상 점착제의 첩부 방법이면, 선재나 세폭의 부재가 첩부되는 부재에, 선재나 세폭의 부재가 가져야 할 복잡한 형상에 맞추어, 용이하게 사상 점착제를 첩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의복, 구두, 가방, 모자 등의 섬유 제품이나 피혁 제품 등을 봉제할 때의 가고정 (임시 고정) 용도에 사상 점착제를 사용하면, 봉제 부분을 피하여 가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여, 점착제가 바늘에 부착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봉제되는 물품이 복잡한 형상이거나 변형되기 쉽거나 하면, 사상 점착제의 첩부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서술한 사상 점착제의 전사를 사용한 첩부 방법에 의하면, 용이하게 사상 점착제를 첩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제 7 및 제 8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점착제의 조제)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이온 교환수 40 질량부를 넣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60 ℃ 에서 1 시간 이상 교반하여 질소 치환을 실시하였다. 이 반응 용기에, 2,2'-아조비스[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 n 수화물 (중합 개시제) 0.1 질량부를 첨가하였다. 계를 60 ℃ 로 유지하면서, 여기에 모노머 에멀션 A 를 4 시간에 걸쳐 서서히 적하하여 유화 중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모노머 에멀션 A 로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98 질량부, 아크릴산 1.25 질량부, 메타크릴산 0.75 질량부, 라우릴메르캅탄 (연쇄 이동제) 0.05 질량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KBM-503」) 0.02 질량부 및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유화제) 2 질량부를, 이온 교환수 30 질량부에 첨가하여 유화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모노머 에멀션 A 의 적하 종료 후, 다시 3 시간 60 ℃ 로 유지하고, 계를 실온까지 냉각한 후, 10 % 암모니아수의 첨가에 의해 pH 를 7 로 조정하여, 아크릴계 중합체 에멀션 (수분산형 아크릴계 중합체) 을 얻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에멀션에 함유되는 아크릴계 중합체 100 질량부 당, 고형분 기준으로 20 질량부의 점착 부여 수지 에멀션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E-865NT」) 을 첨가하였다. 또한, pH 조정제로서의 10 질량% 암모니아수 및 증점제로서의 폴리아크릴산 (토아 합성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아론 B-500」) 을 사용하여, pH 를 7.2, 점도를 10 Pa·s 로 조정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를 얻었다.
(사상 점착제의 제조)
폴리에스테르사 (필라멘트) 48 개에 150 회/m 의 꼬임을 가한 멀티필라멘트사 (280 dtex) 를 심재로 하였다. 이 심재에 상기에서 얻어진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를, 얻어지는 점착체에 있어서의 점착제의 부착량이 22 mg/m 가 되도록 딥핑으로 도공한 후, 80 ℃ 에서 5 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시키고, 점착체 (사상 점착제) 를 얻었다.
<실시예 1>
세퍼레이터로서, 세로 4 cm×가로 4 cm×두께 0.5 mm 의 폴리에틸렌제 폼 기재 (PE 닛토덴코 주식회사 제조) 를 준비하였다. 이 세퍼레이터의 1 변에서부터 대향하는 1 변에 걸쳐서, 상기와 같이 제조한 길이 4 cm 의 사상 점착제를 첩합 (貼合) 하여, 실시예 1 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얻었다.
<실시예 2>
세퍼레이터로서, 세로 4 cm×가로 4 cm×두께 0.3 mm 의 엠보스 처리 폴리우레탄 필름 (표면 조도 (Ra) : 0.2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 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얻었다.
<실시예 3>
세퍼레이터로서, 세로 4 cm×가로 4 cm×두께 10 mm 의 발포 폴리에틸렌 P1005 (후지 고무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3 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얻었다.
<실시예 4>
세퍼레이터로서, 세로 4 cm×가로 4 cm×두께 5 mm 의 고무 스폰지 NR33 (이노악 주식회사 제조)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3 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얻었다.
<실시예 5>
세퍼레이터로서, 세로 4 cm×가로 5 cm×두께 0.5 mm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을 준비하였다. 이 세퍼레이터의 5 cm 의 변에서부터 대향하는 5 cm 의 변에 걸쳐, TAMIYA CRAFT TOOLS FINEENGRAVING BLADE (세선 그레이빙 초경 블레이드 0.4 mm 주식회사 타미야) 에 의해 가는 선을 새김으로써, 깊이 0.2 mm, 폭 0.4 mm 의 도 3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오목형의 슬릿을 형성하였다. 형성한 슬릿에, 상기와 같이 제조한 길이 4 cm 의 사상 점착체를 격납하여, 실시예 5 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얻었다.
<실시예 6>
슬릿의 형상을 깊이 0.4 mm, 폭 0.4 mm 의 도 3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V 자 형상의 슬릿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6 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얻었다.
V 자 형상의 슬릿은, 세퍼레이터의 5 cm 의 변에서부터 대향하는 5 cm 의 변에 걸쳐, 5 cm 의 면도날을 세퍼레이터 표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대고 해머를 서서히 내려침으로써 형성하였다.
<실시예 7>
슬릿의 형상을 깊이 0.2 mm, 폭 0.4 mm 의 도 3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V 자 형상의 슬릿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7 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얻었다.
V 자 형상의 슬릿은, 세퍼레이터의 5 cm 의 변에서부터 대향하는 5 cm 의 변에 걸쳐, 5 cm 의 면도날을 세퍼레이터 표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대고 해머를 서서히 내려침으로써 형성하였다.
<실시예 8>
세퍼레이터로서, 세로 4 cm×가로 5 cm×두께 0.5 mm 의 폴리에틸렌제 폼 기재 (닛토덴코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8 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얻었다.
<실시예 9>
세퍼레이터로서, 세로 4 cm×가로 5 cm×두께 0.5 mm 의 폴리에틸렌제 폼 기재 (닛토덴코 주식회사 제조) 를 준비하였다. 이 세퍼레이터의 1 변에서부터 대향하는 1 변에 걸쳐, 깊이 0.2 mm 의 도 3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절입 형상의 슬릿을 형성하였다. 형성한 슬릿에, 상기와 같이 제조한 길이 4 cm 의 사상 점착체를 격납하여, 실시예 9 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얻었다.
절입 형상의 슬릿은, 세퍼레이터의 5 cm 의 변에서부터 대향하는 5 cm 의 변에 걸쳐, 5 cm 의 면도날을 세퍼레이터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대고, 해머를 서서히 내려침으로써 형성하였다.
<비교예 1>
세퍼레이터로서, 세로 4 cm×가로 4 cm×두께 0.5 mm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 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얻었다.
(압축 탄성률)
세퍼레이터의 압축 탄성률은, 오토그래프 (시마즈 제작소 제조 소형 탁상 시험기 Extest) 를 사용한 하기 압축 시험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온도 23 ℃ 의 실내에서, 아크릴제의 대 위에 각 실시예에서 사용한 세퍼레이터 (세로 4 cm×가로 4 cm) 를 올려놓고, 원통상의 압자 (SUS 제, 압자 면적 : 100 mm2) 를 세퍼레이터의 중심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압축 속도 0.1 mm/min 으로 가압하면서 압축 응력을 측정하여, 하기 식으로부터 압축 탄성률 E (MPa) 를 산출하였다.
E (MPa) = (σ2-σ1)/(ε2-ε1)
압축 응력 σ1 : 0.005 (MPa)
압축 응력 σ2 : 0.01 (MPa)
압축 변형값 ε1 : 압축 응력 σ1 에 있어서의 압축 변형값
압축 변형값 ε2 : 압축 응력 σ2 에 있어서의 압축 변형값
(사상 점착제의 형상 유지성)
각 실시예에서 제조한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를 세로 4 cm×가로 4 cm 의 제 1 아크릴판 상에,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의 점착제를 구비하는 측의 표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올려놓고, 또한 그 위에 제 2 아크릴판을 올려놓았다 (제 1 아크릴판/사상 점착제/세퍼레이터/제 2 아크릴판). 그 위에서부터 2 kg 의 하중을 20 분간 가하고, 하중을 제거한 후에 사상 점착제의 형상이 유지되어 있는지에 대해,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다.
◎ : 하중을 가하기 전과 변함없는 형상이 유지되어 있다
○ : 하중을 가하지 전과 거의 변함없는 형상이 유지되어 있다
△ : 사상 점착제가 찌부러져 옆으로 퍼져 있지만, 사상 점착제의 형상은 유지되어 있었다
× : 사상 점착제가 찌부러져 옆으로 퍼지고, 사상 점착제의 형상이 유지되지 않았다
Figure pc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의 압축 탄성률이 1.5 MPa 이하인 실시예 1 ∼ 4 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에 의하면, 하중이 가해진 후에도 사상 점착제의 찌부러짐이 억제 내지 방지되어, 점착체의 형상이 유지되어 있었다. 한편, 세퍼레이터의 압축 탄성률이 1.5 MPa 초과인 비교예 1 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점착체에 의하면, 하중이 가해진 후에 사상 점착제가 찌부러져, 사상 점착제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었다.
Figure pct00002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에 슬릿이 형성되고 사상 점착제가 슬릿 내에 배치된 실시예 5 ∼ 9 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에 의하면, 하중이 가해진 후에도 점착체의 찌부러짐이 억제 내지 방지되어, 사상 점착제의 형태가 유지되고 있었다.
세퍼레이터의 압축 탄성률이 1.5 MPa 초과인 실시예 5 ∼ 7 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이어도, 세퍼레이터에 형성한 슬릿에 의해 사상 점착제의 변형 찌부러짐을 억제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보다 슬릿이 얕은 실시예 7 은 사상 점착제가 찌부러져 옆으로 퍼져 있었지만, 사상 점착제의 형상은 유지되어 있었다.
세퍼레이터의 압축 탄성률이 1.5 MPa 이하인 실시예 8 은 사상 점착제의 변형이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9 는, 하중을 가하기 전과 거의 변함없는 형상이 유지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 7 및 제 8 실시형태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에 의하면, 사상 점착제의 찌부러짐 및 탈락이 억제 내지 방지되어 보호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에 의하면, 점착력이 높은 사상 점착제라도 찌부러짐 및 탈락이 억제 내지 방지되어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제 1 내지 제 8 실시형태의 사상 점착제 (2) 는, 가곡성 (可曲性) 을 갖고, 실처럼 다양한 방향, 각도로 구부릴 수 있다. 가곡성을 갖는 사상 점착제에 의하면, 상기한 효과에 추가하여, 곡선이나 곡면, 요철 등의 복잡한 형상에도 적용시키기 쉽다는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곡선이나 곡면, 요철 등의 복잡한 형상 부분을 갖는 피착체에 점착 테이프를 첩부하고자 하면,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에 주름이나 겹침이 생기고, 밀려 나오는 것을 억제하여 깔끔하게 첩부하는 것은 곤란하고, 또, 주름이나 겹침이 생긴 부분은 점착력이 저하되는 요인도 될 우려가 있다. 또, 주름이나 겹침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점착 테이프를 첩부하려면, 점착 테이프를 잘게 절단하면서 첩부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작업성이 대폭 악화되게 된다. 한편, 가곡성을 갖는 점착체, 특히 사상인 점착체이면, 곡선이나 곡면, 요철 등의 복잡한 형상 부분에 첩부할 때에도, 주름이나 겹침을 발생하지 않고서 강고하게 첩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점착체는, 첩부하고자 하는 부분에 한 번에, 즉 하나의 공정으로 첩부 가능한 점에서, 작업성도 우수하고, 자동화 라인에도 적용 가능하다.
사상의 점착체의 구체적 용도의 일례로는, 예를 들어, 전선이나 광 파이버 등의 케이블, LED 파이버 라이트, FBG (Fiber Bragg Gratings, 파이버 브래그 그레이팅) 등의 광 파이버 센서, 실, 끈, 와이어 등의 각종 선재 (선상 부재) 나 세폭의 부재를, 원하는 형태로 고정시키는 용도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재나 세폭의 부재를 복잡한 형상으로 다른 부재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사상의 점착체라면, 선재나 세폭의 부재가 가져야 하는 복잡한 형상에 맞춰, 밀려 나옴이나 주름, 겹침을 억제하면서, 우수한 작업성으로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선재나 세폭의 부재를 다른 부재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다른 부재의 표면에 있어서의 선재나 세폭의 부재가 고정되어야 할 형태에 맞춰, 사상의 점착체를 미리 첩부한 후에, 다른 부재 표면에 첩부된 점착체에 맞춰 선재나 세폭의 부재를 첩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혹은, 사상의 점착체를 선재나 세폭의 부재에 첩부한 후에, 선재나 세폭의 부재를 원하는 형태로 다른 부재에 고정시켜도 된다.
또, 사상의 점착체는, 하나의 물품을 다른 물품의 표면에 가고정 (임시 고정) 시키기 위한, 물품의 가고정 (임시 고정) 용도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상의 점착체는, 예를 들어, 의복, 신발, 가방, 모자 등의 섬유 제품이나 피혁 제품 등을 제조할 때의 가고정 (임시 고정) 용도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단, 그 용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고정 (임시 고정) 이 소망되는 각종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물품을 다른 물품의 표면에 고정시킬 때에, 그 하나의 물품을 그 다른 물품의 표면에 사상의 점착체를 사용하여 미리 가고정시켜 위치 결정한 후에, 양 물품을 열압착이나 봉제 등의 고정 방법에 의해 고정 (본 고정) 시킨다. 이 경우에 있어서, 사상의 점착체라면, 양 물품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피해 가고정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예를 들어, 섬유 제품이나 피혁 제품을 봉제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상의 점착체에 의해 가고정을 실시하면, 봉제 부분을 피해 가고정시키는 것이 용이하여, 점착제가 바늘에 부착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상의 점착체이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양 물품의 형상이 곡선이나 곡면, 요철 등의 복잡한 형상이라도, 밀려 나오는 것이나 주름, 겹침을 억제하면서 양호하게 첩부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공정으로 첩부 가능하여,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 예를 들어, 섬유 제품 내지 피혁 제품을 구성하는 생지, 천, 피혁 등과 같은 변형되기 쉬운 부재라도, 사상의 점착체에 의한 가고정을 실시함으로써, 잡아 당김에 의한 부재의 변형을 억제 내지 방지할 수 있어, 고정 (본 고정) 후의 의장성이 양호해진다.
나아가서는, 사상의 점착체이면, 양 물품의 고정 (본 고정) 후에, 필요에 따라서 고정 (본 고정) 된 양 물품 사이로부터 사상의 점착체를 빼내어 제거하는 것도 용이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점착제가 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잔존하는 점착제의 경시적 변색에서 유래하는 의장성의 열화를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상의 점착체이면, 점착체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실과 함께 꼬아서 조합한 실로 하거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실이나 천 (부직포, 시트를 포함한다) 과 함께 직조하거나 함으로써, 기능의 복합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그 밖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재질, 형상, 치수, 수치, 형태, 수, 배치 지점 등은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적이며,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및 사상 점착제 첩부 방법에 의하면,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의 찌부러짐 및 탈락을 억제 내지 방지하여, 첩부 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사상 점착제를 첩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서의 접착 작업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형 및 치환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2020년 3월 3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특원 2020-064050호) 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내용은 본 출원 중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1 : 본체
2, 11, 21, 31, 41 : 사상 점착제
3 : 그립
4 : 선단부
5, 120 : 권취체
10, 20, 30, 40 : 세퍼레이터를 갖는 사상 점착제
12, 22, 32, SP, 42 : 세퍼레이터
14 : 릴
23, 33, 43 : 슬릿
100, 101, 101A, 101B, 200, 200A, 200B :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105 : 수평 이동 유닛
106, 201 : 장착 플레이트
106a : 롤러 장착부
106b : 노즐 장착부
107 : 노즐
107d : 선단
136, 137, 215 : 스프링
150A ∼ 150E : 조출 어시스트 기구
AU : 공급부
BU : 가압 기구
CU : 반송부
DU : 위치 결정부

Claims (9)

  1. 세퍼레이터와 함께 롤상으로 권취된 사상 점착제를 조출하면서 대상물에 세게 누르는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로서,
    상기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된 상기 사상 점착제를 상기 대상물에 세게 누르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퍼레이터의 압축 탄성률이 1.5 MPa 이하인,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상 점착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릿 내에 배치되어 있는,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3. 세퍼레이터와 함께 롤상으로 권취된 사상 점착제를 조출하면서 대상물에 세게 누르는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로서,
    상기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된 상기 사상 점착제를 상기 대상물에 세게 누르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퍼레이터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상 점착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릿 내에 배치되어 있는,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세퍼레이터 상에 있어서 상기 사상 점착제가 배치되는 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 점착제는, 상기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릴에, 소정 길이의 폭에 걸쳐 트래버스 권취되고,
    상기 세퍼레이터는, 적어도 상기 소정 길이의 폭과, 적어도 상기 릴의 외주의 길이를 갖는 크기의 시트인,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상의 내부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내벽면과, 상기 내벽면의 일단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이 외부로 통하는 선단 개구를 갖는 선단을 갖는 노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선단 개구로부터 상기 외부로 도출된 상기 사상 점착제를 상기 대상물에 세게 누르고,
    상기 선단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 개구를 둘러싸는 둘레부 중 복수 지점이, 상기 가압부로서 기능하는,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와 함께 권취된 상기 사상 점착제에 대하여, 조출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어시스트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는, 조출되고 상기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된 상기 사상 점착제를, 상기 대상물에 세게 누르는,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 장착되고, 가압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상기 가압부를 변위시키는 변위부와,
    상기 가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변위부의 변위에 대한, 상기 가압부의 변위를 흡수하는 흡수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사상 점착제를 상기 대상물에 첩부하는, 사상 점착제 첩부 방법.
KR1020227033459A 2020-03-31 2021-03-26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및 사상 점착제 첩부 방법 KR202201605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64050 2020-03-31
JP2020064050 2020-03-31
PCT/JP2021/013146 WO2021200762A1 (ja) 2020-03-31 2021-03-26 糸状粘着剤貼付装置及び糸状粘着剤貼付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589A true KR20220160589A (ko) 2022-12-06

Family

ID=7792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459A KR20220160589A (ko) 2020-03-31 2021-03-26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및 사상 점착제 첩부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58754A1 (ko)
JP (1) JP2021161407A (ko)
KR (1) KR20220160589A (ko)
CN (1) CN115335478A (ko)
TW (1) TW202144515A (ko)
WO (1) WO20212007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5936A1 (ja) * 2022-10-31 2024-05-10 日東電工株式会社 糸状粘着剤貼付装置及び糸状粘着剤貼付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4463A (ja) 1983-08-18 1985-03-09 Nippon Koki Kk 基板用テ−プの貼着装置
JPH03119083A (ja) 1989-10-02 1991-05-21 Nichiban Co Ltd 修正テープホルダー
JPH03231980A (ja) 1990-02-07 1991-10-15 Ishizaki Shizai Kk 糸状接着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74538A (ja) 2014-10-09 2016-05-12 マルゴ工業株式会社 テープ貼付ユニット、テープ貼付方法及びテープ貼付装置
JP6577915B2 (ja) 2015-07-07 2019-09-18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の貼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08874B1 (ko) * 1962-02-26 1965-05-08
JPS519772Y2 (ko) * 1971-03-05 1976-03-16
JPS50106874U (ko) * 1974-02-08 1975-09-02
JPS63170492U (ko) * 1987-04-27 1988-11-07
JPH0232801A (ja) * 1988-07-23 1990-02-02 Fuji Sangyo Kk ベニヤ単板の横矧機における接着糸供給装置
JPH0476080A (ja) * 1990-07-17 1992-03-10 Kao Corp ホットメルト接着材
JP2514386Y2 (ja) * 1992-04-23 1996-10-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ケ―ブル積層巻き構造
WO2016170776A1 (ja) * 2015-04-21 2016-10-27 早川ゴム株式会社 粘着剤の塗布方法及び接合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4463A (ja) 1983-08-18 1985-03-09 Nippon Koki Kk 基板用テ−プの貼着装置
JPH03119083A (ja) 1989-10-02 1991-05-21 Nichiban Co Ltd 修正テープホルダー
JPH03231980A (ja) 1990-02-07 1991-10-15 Ishizaki Shizai Kk 糸状接着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74538A (ja) 2014-10-09 2016-05-12 マルゴ工業株式会社 テープ貼付ユニット、テープ貼付方法及びテープ貼付装置
JP6577915B2 (ja) 2015-07-07 2019-09-18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の貼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0762A1 (ja) 2021-10-07
CN115335478A (zh) 2022-11-11
JP2021161407A (ja) 2021-10-11
TW202144515A (zh) 2021-12-01
US20230158754A1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60586A (ko)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및 사상 점착제 첩부 방법
EP2106338B1 (en) Backing film removal system and method using a passive (non powered) take up roller for fiber placement machine
KR20220160588A (ko)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및 사상 점착제 첩부 방법
JP2020019923A (ja) 粘着性物品
KR20220160589A (ko)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및 사상 점착제 첩부 방법
WO2018012476A1 (ja) 粘着フィルム収納箱、粘着フィルム収納装置及び感染予防フィルム
KR20220160587A (ko) 사상 점착제 첩부 장치 및 사상 점착제 첩부 방법
JP6695734B2 (ja) 感染予防フィルム
WO2023054277A1 (ja) 粘着剤案内装置、粘着剤貼付装置、及び粘着剤貼付方法
KR20220156846A (ko) 세퍼레이터를 갖는 점착체
KR20240073871A (ko) 점착제 안내 장치, 점착제 첩부 장치, 및 점착제 첩부 방법
WO2021060299A1 (ja) 糸状粘着体の貼付方法および仮支持体付き糸状粘着体
TWI813843B (zh) 黏著體送出裝置及黏著體送出方法
JP2021116177A (ja) ケース、ディスペンサ及び接着剤シート
JP2004339444A (ja) 両面接着テープ接着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