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080A -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080A
KR20220158080A KR1020227039435A KR20227039435A KR20220158080A KR 20220158080 A KR20220158080 A KR 20220158080A KR 1020227039435 A KR1020227039435 A KR 1020227039435A KR 20227039435 A KR20227039435 A KR 20227039435A KR 20220158080 A KR20220158080 A KR 20220158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emote monitoring
control device
function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7834B1 (ko
Inventor
아키히코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5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감시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원격 감시 기능의 적정한 이용을 실현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를 원격 감시하는 원격 감시 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감시를 행하는 감시 제어 처리를 행하는 프로세서와 기억 장치를 구비한다. 기억 장치에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서버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통신 기능과, 감시 제어 처리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원격 감시 기능과, 보수 단말과의 접속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보수 단말 기능이 격납된다. 원격 감시 기능은 암호화되어 기억 장치에 격납된다. 암호화된 원격 감시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원격 감시 기능의 복호키를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복호키를 이용하여 원격 감시 기능을 복호하여, 감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
본 개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는, 보수 계약에 기초하는 엘리베이터의 감시 및 진단을 행하기 위한 원격 감시 기능에 관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원격 감시 기능의 적정한 이용을 실현하기 위해, 보수 계약 기간이 종료됐을 경우에 제어 프로그램을 삭제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보수 계약 중의 제어 프로그램의 오(誤)소거를 방지하기 위해, 보수 계약 기간 중에 원격 감시 서버와 마지막으로 통신 접속이 성립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제1 시간 임계값 이상이 되고, 또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 마지막으로 작업원이 보수 작업을 행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보수 작업에 이용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삭제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6-216151호 공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에 따라서는, 통신 네트워크의 안정성 및 긴급시의 보수 체제에 과제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엘리베이터 장치와 원격 감시 서버의 통신이 의도하지 않게 단절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원격 감시 기능의 제어 프로그램의 소거 조건이 성립해 버려,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과제가 있다.
본 개시는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감시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원격 감시 기능의 적정한 이용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엘리베이터를 원격 감시하는 원격 감시 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적용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감시를 행하는 감시 제어 처리를 행하는 프로세서와,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서버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통신 기능과, 감시 제어 처리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원격 감시 기능과, 보수 단말과의 접속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보수 단말 기능이 격납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한다. 원격 감시 기능은 암호화되어 기억 장치에 격납된다. 프로세서는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원격 감시 기능의 복호키를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복호키를 이용하여 원격 감시 기능을 복호하여, 감시 제어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 본 개시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를 행하는 원격 감시 서버와, 원격 감시 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 적용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감시 제어 처리를 행하는 프로세서와,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서버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통신 기능과, 감시 제어 처리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원격 감시 기능과, 보수 단말과의 접속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보수 단말 기능이 격납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한다. 원격 감시 기능은 암호화되어 기억 장치에 격납된다. 원격 감시 서버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원격 감시 기능의 복호키의 요구를 받고, 복호키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송신한다. 프로세서는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복호키를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복호키를 이용하여 원격 감시 기능을 복호하여, 감시 제어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 본 개시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를 행하는 원격 감시 서버와, 원격 감시 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에 적용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서버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통신 기능과, 엘리베이터의 감시 제어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원격 감시 기능과, 보수 단말과의 접속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보수 단말 기능이 격납된다. 원격 감시 기능은 암호화되어 격납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암호화된 원격 감시 기능을 이용하여 감시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부터 원격 감시 서버에 대해서 원격 감시 기능의 복호키를 요구하고, 원격 감시 서버가 복호키를 생성하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 송신된 복호키를 수신하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복호키를 이용하여 원격 감시 기능을 복호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감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본 개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원격 감시 기능이 암호화되어 있다.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키는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 수신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 수신한 복호키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원격 감시 기능을 복호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원격 감시 기능의 적정한 이용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기억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의 복호화 처리 및 암호화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시퀀스도이다.
도 5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이 복호화 처리 및 암호화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루틴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이 복호화 처리 및 암호화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루틴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실행되는 제어 루틴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1. 실시 형태 1.
1-1.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100)은 1 또는 복수의 고객 빌딩(10)에 개별로 마련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감시 센터(70)로부터 원격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고객 빌딩(10)에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대상 기기(20)를 제어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 및 감시 장치(40)가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 및 감시 장치(40)는, 통신 네트워크(80)를 통해서 감시 센터(70)와 접속된다. 통신 네트워크(80)는 전화 회선, IP(Internet Protocol)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고객 빌딩(10)의 입지 및 수에 한정은 없다. 예를 들면, 감시 센터(70)와 접속되는 고객 빌딩(10)은, 감시 센터(70)가 설치되어 있는 제1국과는 상이한 제2국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 대상 기기(2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에 의해서 제어되는 기기류이다. 제어 대상 기기(20)에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하는 권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 장치 등이 포함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대상 기기(20)를 제어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프로세서(32)와, 기억 장치(34)와, 입출력 인터페이스(36)를 구비하고 있다.
프로세서(32)는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세서(32)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기억 장치(34)에는 각종 정보가 격납된다. 기억 장치(34)로서는, 휘발성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등이 예시된다. 프로세서(32)가 컴퓨터 프로그램인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프로세서(32)에 의한 각종 처리가 실행된다. 제어 프로그램은 기억 장치(34)에 격납되어 있다, 혹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프로세서(32)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대상 기기(20)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32)는 권상기의 동작,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의 개폐 동작 등을 제어한다.
또, 프로세서(32)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감시 데이터를 취득하는 감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감시 데이터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제어 대상 기기(20)의 동작 데이터 또는 호출 데이터이다. 동작 데이터는, 예를 들면 주행 상태, 도어의 개폐 상태, 엘리베이터 칸 부하, 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포함한다. 호출 데이터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호출의 할당, 또는 호출에 대한 응답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취득된 감시 데이터는 기억 장치(34)에 격납된다.
도 2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것처럼, 입출력 인터페이스(36)는 외부 기기와의 입출력 포트로서, 엘리베이터 기구 접속부(361)와, 감시 장치 접속부(362)와, 보수 단말 접속부(363)를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기구 접속부(361)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대상 기기(20)와 접속되어, 제어 대상 기기(20)의 운전 제어 처리를 위한 지령값을 송신함과 아울러, 감시 제어 처리를 위한 감시 데이터를 수신한다. 보수 단말 접속부(363)는 보수 및 관리를 위한 작업원이 소지하는 보수 단말(60)을 접속하기 위한 포트이다. 감시 장치 접속부(362)는 감시 장치(40)가 접속되는 포트이다.
감시 장치(4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과 아울러, 통신 네트워크(80)를 통해서 감시 센터(7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 감시 장치(4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로부터 송신되는 감시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 감시 장치(40)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의 화상 데이터 등, 엘리베이터의 감시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한다. 감시 장치(40)는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감시하고, 그 감시 결과를 감시 정보로서 감시 센터(70)에 정기적으로 송신한다.
또, 감시 장치(40)는 감시 센터(70)에 대해서 정기적으로 헬스 체크 요구를 송신한다. 여기서의 헬스 체크는, 감시 장치(40)가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는지 여부의 검사이다. 감시 센터(70)로부터 헬스 체크 응답을 수신했을 경우, 감시 장치(40)는 수신한 헬스 체크 응답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에 송신한다. 또, 감시 센터(70)로부터 후술하는 암호키 및 복호키를 수신했을 경우, 감시 장치(40)는 수신한 암호키 및 복호키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에 송신한다.
감시 센터(70)는 1 또는 복수의 고객 빌딩(10)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를, 고객과의 엘리베이터 보수 계약에 기초하여 원격 감시한다. 감시 센터(70)는 원격 감시 서버(72)와, 기억 장치(74)와, 통신 장치(76)를 구비한다. 원격 감시 서버(72)는 감시 장치(40)로부터 송신된 헬스 체크 요구에 따라 헬스 체크 응답을 생성한다. 또, 원격 감시 서버(72)는 감시 장치(40)로부터 송신된 후술하는 복호키 요구에 따라 복호키 및 암호키를 생성한다.
기억 장치(74)는 감시 장치(40)로부터 수신한 각종 데이터를 격납한다. 또, 기억 장치(74)는 원격 감시 서버(72)에서 생성한 헬스 체크 응답, 복호키 및 암호키를 격납한다.
통신 장치(76)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통신 장치(76)는 통신 네트워크(80)를 통해서 감시 장치(40)와 통신한다.
도 3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의 기억 장치(34)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기억 장치(34)에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기본 통신 기능(341), 원격 감시 기능(342), 및 보수 단말 기능(343)이 격납되어 있다. 또, 기억 장치(34)에는, 암호키와, 상술한 감시 데이터가 적절히 격납된다.
기본 통신 기능(341)은 감시 장치(40)를 경유하여 감시 센터(70)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기본 통신 기능(341)은 암호화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기본 통신 기능(341)은 상시 이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의 프로세서(32)는, 기억 장치(34)에 격납된 기본 통신 기능(341)의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감시 장치(40)와 감시 센터(70) 사이의 통신이 행해진다.
원격 감시 기능(342)은 엘리베이터의 감시 및 진단을 행하는 감시 제어 처리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원격 감시 기능(342)은 보수 계약에 기초하는 적정한 이용을 담보하기 위해서 암호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의 프로세서(32)는, 후술하는 복호화 처리에 있어서 복호키를 취득하여, 원격 감시 기능(342)을 복호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의 프로세서(32)는, 원격 감시 기능(342)의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감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보수 단말 기능(343)은 보수 단말(60)과 데이터의 송수를 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보수 단말 기능(343)은 암호화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보수 단말 기능(343)은 보수 단말(60)의 접속 중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상시 이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의 프로세서(32)는, 보수 단말 기능(343)의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보수 단말 기능(343)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를 행한다.
암호키는 복호화된 원격 감시 기능(342)을 재차 암호화하기 위한 것이다. 암호키는 감시 센터(70)의 원격 감시 서버(72)에서 생성되어, 복호키와 함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에 송신된다. 수신한 암호키는 기억 장치(34)에 격납되고, 후술하는 암호화 처리시에 읽어내진다.
1-2.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의 동작
다음에,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100)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것처럼, 원격 감시 기능(342)은 미리 암호화되어 있다. 이에,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100)은, 보수 계약에 기초하여 감시 장치(40)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에 적정하게 접속되었을 경우에, 복호키를 이용하여 원격 감시 기능(342)을 복호화하는 복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또, 복호화된 원격 감시 기능(342)의 목적 외 이용을 방지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100)은 미리 정해진 암호화 조건이 성립했을 경우, 원격 감시 기능(342)을 재차 암호화하는 암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도 4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의 복호화 처리 및 암호화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시퀀스도이다. 또, 도 5 및 도 6은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이 복호화 처리 및 암호화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루틴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 4도 참조하면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어 루틴의 구체적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제어 루틴의 스텝 S100에서는, 먼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감시 장치(40)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감시 장치(40)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판정이 성립할 때까지 스텝 S100의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된다. 스텝 S100에 있어서, 판정의 성립이 인정되면, 처리는 다음의 스텝 S102로 진행한다.
스텝 S102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원격 감시 기능(342)이 암호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원격 감시 기능(342)이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복호화 처리는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처리는 도 6에 나타내는 제어 루틴의 스텝 S112로 이행한다. 한편, 원격 감시 기능(342)이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스텝 S104에서부터 스텝 S110에 나타내는 복호화 처리로 진행한다.
먼저, 스텝 S104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로부터 감시 장치(40)에 대해서, 원격 감시 기능(342)을 복호하기 위한 복호키를 요구한다. 지시를 받은 감시 장치(40)는, 감시 센터(70)에 대해서 복호키를 요구한다. 감시 센터(70)는 수신한 복호키 요구가 보수 계약에 기초하는 적절한 요구인지를 확인한 다음, 복호키를 생성하여 감시 장치(40)에 송신한다. 또, 이 때, 감시 센터(70)는 원격 감시 기능(342)을 재차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키를 생성하고, 복호키와 함께 감시 장치(40)에 송신한다. 복호키 및 암호키를 수신한 감시 장치(40)는, 수신한 복호키 및 암호키를 추가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로 송신한다.
다음의 스텝 S106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가 복호키 및 암호키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가 복호키 및 암호키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해당 복호키 및 암호키를 수신할 때까지 스텝 S106의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된다. 스텝 S106에 있어서, 판정의 성립이 인정되면, 처리는 다음의 스텝 S108로 진행한다.
스텝 S108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수신한 복호키를 이용하여 원격 감시 기능(342)의 제어 프로그램을 복호화한다. 다음의 스텝 S110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수신한 암호키를 기억 장치(34)에 격납한다. 스텝 S110의 처리가 종료되면, 복호화 처리는 종료되고, 처리는 도 6에 나타내는 제어 루틴의 스텝 S112에서부터 스텝 S122에 나타내는 암호화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112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수명 타이머를 개시시킨다. 수명 타이머는 복호화한 원격 감시 기능(342)의 유효 시간을 설정한 타이머이다. 다음의 스텝 S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원격 감시 기능(342)의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감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의 스텝 S116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헬스 체크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감시 장치(40)는 감시 센터(70)에 대해서 정기적으로, 예를 들면 1일 1회, 헬스 체크 요구를 송신하고 있다. 헬스 체크 요구를 받은 감시 센터(70)는 헬스 체크 응답을 감시 장치(40)에 송신한다. 헬스 체크 응답을 수신한 감시 장치(40)는, 수신한 헬스 체크 응답을 제어 장치에 송신한다.
스텝 S116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가 헬스 체크를 수신했을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와 감시 센터(70) 사이의 통신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는 다시 스텝 S112로 돌아가, 재차 수명 타이머가 리셋되어 초기값인 제로(0)에서부터 개시된다. 이 처리는 「초기화 처리」라고도 불린다. 초기화 처리에 의해서, 복호화한 원격 감시 기능(342)의 유효 시간이 갱신된다.
한편, 스텝 S116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가 헬스 체크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다음의 스텝 S118로 진행한다. 스텝 S118에서는, 암호화 조건의 성립이 판정된다. 여기서의 암호화 조건은, 수명 타이머가 타임 아웃됐을 때 성립하는 조건이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수명 타이머에 의해서 카운트되는 연속 시간이 미리 규정된 규정 시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규정 시간은 적어도 헬스 체크 요구의 송신 간격보다도 긴 시간이 된다.
스텝 S118에 있어서, 수명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지 않은 경우, 암호화 조건의 불성립이 판정되어, 처리는 다시 스텝 S114로 돌아가, 감시 제어 처리가 계속해서 실행된다. 한편, 스텝 S118에 있어서, 수명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었을 경우, 헬스 체크 요구에 대한 헬스 체크 응답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예를 들면, 감시 장치(40)의 접속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로부터 단절되는 등에 의해서, 감시 장치(40)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 사이의 통신이 불통(不通)인 경우, 감시 장치(40)와 감시 센터(70) 사이의 통신이 불통인 경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호화한 원격 감시 기능(342)이 적정하게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서 암호화 조건의 성립이 판정되어, 다음의 스텝 S12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20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기억 장치(34)에 격납되어 있는 암호키를 이용하여 원격 감시 기능(342)의 제어 프로그램을 암호화한다. 다음의 스텝 S122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기억 장치(34)에 격납되어 있는 암호키를 삭제한다.
이상과 같은 복호화 처리에 의하면, 감시 센터(70)로부터 취득하는 복호키를 이용하여 원격 감시 기능(342)의 복호화가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감시 센터(70)를 개재하지 않고 원격 감시 기능(342)을 이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암호화 처리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가 감시 센터(70)로부터 송신되는 헬스 체크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원격 감시 기능(342)의 암호화가 행해진 다음 암호키가 삭제된다. 이것에 의해, 감시 장치(40) 또는 감시 센터(70)와의 통신이 단절된 상태에서 원격 감시 기능(342)이 계속 이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암호화 처리에 의하면, 원격 감시 기능(342)은 기억 장치(34)로부터 삭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정전 등에 의해서 감시 센터(70)와 감시 장치(40)의 통신이 장시간 차단되었을 경우, 원격 감시 기능(342)은 삭제되지 않고 암호화된다. 이것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원격 감시 기능(342)의 정지에 대해서, 원격 감시 기능(342)을 기억 장치(34)에 재차 격납하는 것 같은 수고를 들이지 않고, 원격 감시 기능(342)을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1-3.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100)은, 이하와 같이 변형한 양태를 적용해도 된다.
1-3-1. 감시 장치(40)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감시 장치(4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의 기능의 일부가, 감시 장치(40)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1-3-2.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
도 7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32), 기억 장치(34), 및 전용 하드웨어(35)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31)를 구비한다. 도 7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35)에 의해서 실현하는 예를 나타낸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가 가지는 기능의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35)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전용 하드웨어(35)로서,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들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의 변형예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2-1.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은,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100)과 같은 시스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은, 실시 형태 1의 설명을 참조하는 것으로 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2-2.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의 특징
보수 단말(60)을 이용한 작업원에 의한 보수 작업은, 감시 센터(70)와의 통신이 단절되어 있는 상황에서도 실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기억 장치(34)에 격납되어 있는 보수 단말 기능(343)의 제어 프로그램은, 감시 센터(70)가 생성한 암호키에 의한 암호화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입출력 인터페이스(36)의 보수 단말 접속부(363)는, 보수 계약 외의 용도에 이용될 우려 또는 보수 계약의 해제 후에 이용될 우려가 있다.
이에,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보수 단말(60)이 입출력 인터페이스(36)의 보수 단말 접속부(363)에 연속하여 접속되어 있는 연속 접속 시간을 카운트한다. 예를 들면, 그리고, 카운트 한 연속 접속 시간이 미리 규정한 규정 접속 시간에 도달했을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접속된 보수 단말(60)과의 통신을 제한하는 통신 제한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의 규정 접속 시간은, 보수 단말(60)을 접속하여 통상의 보수 작업을 행할 때 필요로 하는 접속 시간보다도 긴 시간으로 설정된다. 또, 여기서의 통신 제한 처리는, 보수 단말(60)로부터의 데이터 송수 요구에 대해서 응답하지 않은 것에 의해 보수 단말(60)로의 데이터 송수를 정지하는 처리, 혹은 보수 단말(60)에 대해서 의도적으로 대량의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것에 의해 보수 단말(60)로부터의 데이터 송수를 제한하는 처리 등이 예시된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통신 제한 처리를 실행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시간을 「제한 시간」이라고 칭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카운트한 제한 시간이 미리 규정한 규정 제한 시간에 도달했을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실행하고 있는 통신 제한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은 통신 제한 처리에 의하면, 보수 단말 접속부(363)로부터의 부적절한 데이터 통신을 제한할 수 있다. 또, 통신 제한 처리는 규정 제한 시간의 경과에 의해서 종료하기 때문에, 보수 단말(60)의 적절한 이용에 대해서 통신 제한 처리가 행해졌을 경우의 구제의 여지를 남길 수 있다.
2-3.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의 구체적 처리
도 8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실행되는 제어 루틴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제어 루틴은, 미리 정해진 제어 주기로 반복하여 실행된다. 도 8에 나타내는 제어 루틴의 스텝 S130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보수 단말(60)이 입출력 인터페이스(36)의 보수 단말 접속부(363)에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판정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 본 루틴은 종료된다. 한편, 스텝 S130에 있어서 판정이 성립했을 경우, 처리는 다음의 스텝 S132로 진행한다.
스텝 S132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감시 타이머를 개시시킨다. 여기서의 감시 타이머는, 보수 단말 기능(343)을 이용한 보수 단말 처리의 유효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이다. 다음의 스텝 S134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보수 단말 기능(343)의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보수 단말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의 스텝 S136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보수 단말(60)이 입출력 인터페이스(36)의 보수 단말 접속부(363)로부터 단절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판정이 성립했을 경우, 본 루틴은 종료된다. 한편, 스텝 S136에 있어서, 판정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 다음의 스텝 S138로 진행한다.
스텝 S138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감시 타이머가 타임 아웃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감시 타이머에 의해서 계측되는 연속 접속 시간이 규정 접속 시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감시 타이머가 아직 타임 아웃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다시 스텝 S134로 돌아가, 보수 단말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스텝 S138에 있어서 감시 타이머가 타임 아웃됐을 경우, 보수 단말(60)이 보수 이외의 용도로 연속하여 접속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예를 들면, 보수 단말(60)이 보수 단말 접속부(363)로부터 엘리베이터의 감시 데이터를 상시 읽어내고 있는 등의 이용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수 단말(60)과의 통신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다음의 스텝 S14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40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제한 타이머를 개시시킨다. 여기서의 제한 타이머는, 통신 제한 처리가 실행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인 제한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이다. 다음의 스텝 S142에서는, 통신 제한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의 스텝 S144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제한 타이머가 타임 아웃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는, 제한 타이머에 의해서 계측된 제한 시간이 규정 제한 시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44의 판정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 처리는 스텝 S142로 돌아간다. 즉,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스텝 S144의 판정이 성립할 때까지 통신 제한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한편, 스텝 S144에 있어서 판정이 성립했을 경우, 통신 제한 처리는 종료되고, 본 루틴은 종료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보수 단말(60)이 규정 접속 시간을 초과하여 보수 단말 접속부(363)로부터 데이터의 송수를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고객 빌딩 20: 제어 대상 기기
30: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31: 처리 회로
32: 프로세서 34: 기억 장치
35: 전용 하드웨어 36: 입출력 인터페이스
40: 감시 장치 60: 보수 단말
70: 감시 센터 72: 원격 감시 서버
74: 기억 장치 76: 통신 장치
80: 통신 네트워크 100: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341: 기본 통신 기능 342: 원격 감시 기능
343: 보수 단말 기능 361: 엘리베이터 기구 접속부
362: 감시 장치 접속부 363: 보수 단말 접속부

Claims (16)

  1. 엘리베이터를 원격 감시하는 원격 감시 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감시를 행하는 감시 제어 처리를 행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서버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통신 기능과, 상기 감시 제어 처리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원격 감시 기능과, 보수 단말과의 접속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보수 단말 기능이 격납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 감시 기능은 암호화되어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 감시 기능의 복호키를 상기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복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감시 기능을 복호하여,
    상기 감시 제어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복호키를 상기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복호화된 상기 원격 감시 기능을 재차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키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암호키를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하며,
    미리 정해진 암호화 조건이 성립했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감시 기능을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키를 삭제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조건은, 상기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지 않고 경과한 연속 시간이 미리 규정된 규정 시간에 이르렀을 경우에 성립하는 조건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의 응답은, 정기적으로 실시되는 헬스 체크 요구에 대한 응답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감시 기능을 복호했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타이머에 의해서 상기 연속 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하고, 카운트된 상기 연속 시간이 상기 규정 시간에 이르렀을 경우, 상기 암호화 조건의 성립을 판정하고,
    상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했을 경우, 상기 타이머를 초기값으로 리셋하는 초기화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기 보수 단말을 접속하기 위한 보수 단말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수 단말 기능은 암호화되지 않고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되고,
    상기 보수 단말이 연속하여 접속되어 있는 연속 접속 시간이 미리 규정된 규정 접속 시간에 이르렀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수 단말과의 통신을 제한하는 통신 제한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한 처리는, 상기 보수 단말로의 데이터의 송수를 정지하는 처리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한 처리가 개시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미리 규정된 규정 제한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제한 처리를 종료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접속됨으로써, 적어도 상기 통신 기능의 일부를 담당하는 감시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감시 장치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접속되었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시 장치의 상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복호키 요구를 상기 원격 감시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복호키 요구를 받고 생성된 상기 복호키를 상기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10.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를 행하는 원격 감시 서버와, 상기 원격 감시 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감시 제어 처리를 행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서버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통신 기능과, 상기 감시 제어 처리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원격 감시 기능과, 보수 단말과의 접속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보수 단말 기능이 격납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 감시 기능은 암호화되어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되고,
    상기 원격 감시 서버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원격 감시 기능의 복호키의 요구를 받고, 상기 복호키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복호키를 상기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복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감시 기능을 복호하여,
    상기 감시 제어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 서버는,
    상기 복호키의 요구를 받고, 복호화된 상기 원격 감시 기능을 재차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키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암호키를 상기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암호키를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암호화 조건이 성립했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감시 기능을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키를 삭제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조건은, 상기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지 않고 경과한 연속 시간이 미리 규정된 규정 시간에 이르렀을 경우에 성립하는 조건인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의 응답은, 정기적으로 실시되는 헬스 체크 요구에 대한 응답인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복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감시 기능을 복호했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타이머에 의해서 상기 연속 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하고, 카운트된 상기 연속 시간이 상기 규정 시간에 이르렀을 경우, 상기 암호화 조건의 성립을 판정하고,
    상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했을 경우, 상기 타이머를 초기값으로 리셋하는 초기화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16.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를 행하는 원격 감시 서버와, 상기 원격 감시 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서버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통신 기능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감시 제어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원격 감시 기능과, 보수 단말과의 접속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보수 단말 기능이 격납되고,
    상기 원격 감시 기능은 암호화되어 격납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암호화된 상기 원격 감시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감시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 감시 서버에 대해서 상기 원격 감시 기능의 복호키를 요구하고,
    상기 원격 감시 서버가 상기 복호키를 생성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상기 원격 감시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복호키를 수신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상기 복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감시 기능을 복호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상기 감시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
KR1020227039435A 2020-06-19 2020-06-19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 KR102497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24222 WO2021255932A1 (ja) 2020-06-19 2020-06-19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エレベーター監視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監視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080A true KR20220158080A (ko) 2022-11-29
KR102497834B1 KR102497834B1 (ko) 2023-02-08

Family

ID=7926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435A KR102497834B1 (ko) 2020-06-19 2020-06-19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45688B2 (ko)
JP (1) JP7151941B2 (ko)
KR (1) KR102497834B1 (ko)
CN (1) CN115734930A (ko)
DE (1) DE112020007335T5 (ko)
WO (1) WO202125593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1283A (ja) * 2002-07-18 2004-02-1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JP2005035759A (ja) * 2003-07-17 2005-02-10 Mitsubishi Electric Corp 昇降機の保守管理システム
JP2006124119A (ja) * 2004-10-29 2006-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遠隔制御装置
KR20060059875A (ko) * 2005-11-02 2006-06-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승강기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JP2016216151A (ja) 2015-05-15 2016-12-2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監視装置、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制御プログラムの消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29650A (zh) 2004-05-21 2006-09-06 三菱电机株式会社 升降机的远程监视控制系统
JP4665495B2 (ja) 2004-12-02 2011-04-0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2007039166A (ja) 2005-08-01 2007-02-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8273732A (ja) 2007-05-07 2008-11-1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トランク室解錠・施錠制御装置、エレベータートランク室解錠・施錠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トランク室解錠・施錠制御システム
WO2010069347A1 (en) 2008-12-18 2010-06-24 Otis Elevator Company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for a people conveyor control system
JP2010150016A (ja) 2008-12-26 2010-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5332805B2 (ja) * 2009-03-30 2013-11-0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保守システム
JP5495819B2 (ja) 2010-01-28 2014-05-2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基板の照合方法
CN107111901B (zh) * 2014-11-12 2019-12-10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对人员运送设备或运输单元的运输加以监控的系统和方法
JP5996699B1 (ja) * 2015-03-30 2016-09-2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5976894B1 (ja) 2015-07-01 2016-08-2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CN205087727U (zh) 2015-10-12 2016-03-16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通过识别加密二维码召梯的控制系统
WO2018134110A1 (en) 2017-01-20 2018-07-26 Inventio Ag Method and devices for authenticated controlling of safety relevant actions in a passenger transport system
EP3392191B1 (en) 2017-04-21 2021-06-23 Inventio AG Elevator control system
US11718502B2 (en) 2017-10-27 2023-08-08 Inventio Ag Safety system for building-related passenger transportation system
EP3511280B1 (en) * 2018-01-11 2022-08-24 Otis Elevator Company Rescue operation in an elevator system
DE102018211776A1 (de) 2018-07-16 2020-01-16 Vestner Aufzüge GmbH Aufzugsteuerungs- und überwachungssystem
EP3626664B1 (en) 2018-09-21 2022-05-18 Inventio AG Method and elevator group configured for establishing a secure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controllers in each of a plurality of elevators of the elevator group
US20220407848A1 (en) * 2019-11-21 2022-12-22 Inventio Ag Method for secure data communication in a computer network
US11671251B1 (en) * 2019-11-29 2023-06-06 Amazon Technologies, In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to generate data key pai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1283A (ja) * 2002-07-18 2004-02-1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JP2005035759A (ja) * 2003-07-17 2005-02-10 Mitsubishi Electric Corp 昇降機の保守管理システム
JP2006124119A (ja) * 2004-10-29 2006-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遠隔制御装置
KR20060059875A (ko) * 2005-11-02 2006-06-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승강기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JP2016216151A (ja) 2015-05-15 2016-12-2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監視装置、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制御プログラムの消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45688B2 (en) 2024-04-02
CN115734930A (zh) 2023-03-03
KR102497834B1 (ko) 2023-02-08
JPWO2021255932A1 (ko) 2021-12-23
WO2021255932A1 (ja) 2021-12-23
JP7151941B2 (ja) 2022-10-12
TW202218970A (zh) 2022-05-16
US20230192443A1 (en) 2023-06-22
DE112020007335T5 (de)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4882B2 (en) Agent device, image-forming-device management system, image-forming-device management method, image-forming-device management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5472276B2 (ja) 車両用通信制御装置
JP4550704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管理方法
ES2737703T3 (es) Reinyección de un lote de comandos seguros en un canal seguro
US94259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firmware or software to a plurality of devices
US20080126796A1 (en) Node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improving security of packet communications
CN102257536A (zh) 人员输送机控制系统的访问控制系统和访问控制方法
US11882100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10400040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497834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
US20020087619A1 (en) Method and sysem for server management platform instrumentation
KR20120128158A (ko) 라이센스 발행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서버, 및 라이센스 발행 방법
TWI842975B (zh) 升降梯控制裝置、升降梯監視系統以及升降梯監視方法
CZ301928B6 (cs) Zpusob a zarízení pro zajištení integrity a pravosti souboru dat
JP2019202865A (ja) 遠隔監視用プログラムの自動消去方法
CN113169865B (zh) 控制装置、工业用控制系统及加密密钥寿命延长方法
CN106713295B (zh) 一种医学影像传输方法及其装置
US20210400027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10400028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KR20110064195A (ko)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휴대형 저장매체
WO2023187896A1 (ja) 通信システム、送信機、及び受信機
KR102083794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폐쇄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
JP2007026020A (ja) フィールド機器システム
KR100462986B1 (ko) 프로세스 고유 정보를 사용한 프로세스 상태 관리 방법
CN105553860B (zh) 一种具有WIFIKey的路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