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195A -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휴대형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휴대형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195A
KR20110064195A KR1020090120689A KR20090120689A KR20110064195A KR 20110064195 A KR20110064195 A KR 20110064195A KR 1020090120689 A KR1020090120689 A KR 1020090120689A KR 20090120689 A KR20090120689 A KR 20090120689A KR 20110064195 A KR20110064195 A KR 20110064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medium
portable storage
time information
host terminal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정기모
이강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4195A/ko
Publication of KR20110064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using time-dependent keys, e.g. periodically changing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a plurality of keys or algorith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휴대형 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 인증값을 이용하여 휴대형 저장매체와 인증서버간의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인증서버로부터 오프라인 상에서의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고, 휴대형 저장매체 내부의 타이머를 이용해 휴대형 저장매체의 이용 시간을 카운트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휴대형 저장매체의 이용 가능한 시간을 관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임의로 타이머의 시간을 변경하여 불법적인 휴대형 저장매체의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휴대형 저장매체, 오프라인, 타이머, 인증

Description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휴대형 저장매체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off-line time of port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을 통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휴대형 저장매체가 인터넷 오프라인 시 이용 가능한 시간을 관리하는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휴대형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USB(Universal Serial Bus) 저장 장치와 같은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휴대형 저장매체는 종래의 CD, 플로피 디스크 등을 대체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저장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휴대형 저장매체는 저장용량이 크면서도 휴대가 간편하고,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종래의 다른 저장 수단에서와 같은 별도의 하드웨어를 구비하지 않아도 컴퓨터와 같은 다른 기기와의 연결이 용이하여 최근 그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컴퓨터에서 이러한 휴대형 저장매체를 별도의 구동 드라이버의 없이도 곧바로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이 운영체제 내에 지원되면서 보다 편 리한 사용환경과 호환성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형 저장매체는 사용 및 휴대가 매우 간편한 이점이 있으나, 휴대형 저장매체를 불법 복제하는 등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보안 기능에 약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인증서버와 인증키를 공유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인증을 행하고, 휴대형 저장매체가 접속된 컴퓨터가 오프라인 상태인 경우 컴퓨터 내부에 구비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휴대형 저장매체의 사용기한을 관리하였다. 즉, 사용자의 컴퓨터의 시간 정보를 휴대형 저장매체로 전달하여 일정 시간만 사용하도록 허용하였다.
그러나, 컴퓨터 내부에 있는 타이머를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컴퓨터의 시간을 변경하는 것이 너무나 쉬워 해커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도 컴퓨터의 시간을 변경하여 오프라인 상태에서 계속 휴대형 저장매체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 상태에서의 사용 시간을 관리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휴대형 저장매체 내부에서 오프라인 상에서의 사용 시간을 측정하여, 누적된 사용 시간이 일정 시간을 넘으면 더 이상 휴대형 저장매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휴대형 저장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내부에 기 저장된 오프라인상에서 소정의 유효시간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전송하는 인증서버 및 접속된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 경우 상기 인증요청신호를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오프라인 상에서의 사용 시간을 카운트하여 사용시간 정보를 생성해 저장하며, 상기 생성한 사용시간 정보를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와 비교해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휴대형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의 휴대형 저장매체는, 호스트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부, 사용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접속된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 경우 인증요청신호를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이용해 인증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거쳐 오프라인상에서 소정의 유효시간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오프라인상에서의 사용 시간을 카운트하여 사용시간 정보를 생성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생성한 사용시간 정보를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와 비교해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의 휴대형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제2 인증키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된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2 인증키를 이용하여 생성한 인증값 정보를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인증값 정보와 상기 인증서버 내부에 저장된 제1 인증키를 이용하여 생성한 서버인증값 정보를 비교하는 사용자 인증을 거쳐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오프라인상에서의 사용 시간을 카운트하여 사용시간 정보를 생성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생성한 사용시간 정보를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와 비교해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의 휴대형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지 여부를 주기적 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의 휴대형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에서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내부 타이머를 활성화하여 오프라인상에서의 사용 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의 휴대형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시간정보가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호스트 단말기로 만료신호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의 휴대형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시간정보가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호스트 단말기로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에서 상기 사용시간정보를 뺀 유효시간정보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의 휴대형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만료신호를 전송한 후에,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값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시간정보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방법은, 휴대형 저장매체가, 접속된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 경우 인증요청신호를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이용해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거쳐 오프라인상에서 소정의 유효시간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수신한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오프라인 상에서의 사용 시간을 카운트하여 사용시간정보를 생성해 저장하는 카운트단계,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사용시간정보를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와 비교해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접속된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 경우 내부에 기 저장된 제2 인증키를 이용해 인증값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인증값 정보와 상기 인증서버 내부에 저장된 제1 인증키를 이용하여 생성한 서버인증값 정보를 비교하는 사용자 인증을 거쳐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방법은, 상기 카운트단계 이전에,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단계는,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내부 타이머를 활성화하여 오프라인상에서의 사용 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방법은, 상기 판단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사용시간정보가 상기 오프라인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면 상기 호스트 단말기로 만료신호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만료신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방법은, 상기 판단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사용시간정보가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호스트 단말기로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에서 상기 사용시간정보를 뺀 유효시간정보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유효시간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방법은, 상기 만료신호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인증키를 이용해 상기 인증값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재전송단계,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수신한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사용시간정보를 초기화하는 초기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된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형 저장매체 내부에서 오프라인 상에서의 사용 시간을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불법적으로 사용자 컴퓨터의 시간을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저장매체가 접속된 컴퓨터에 따라 오프라인 시간 정보가 변경되지 않아 정확히 시간을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은 인증서버(10), 호스트 단말기(20), 휴대형 저장매체(30), 네트워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네트워크(40)는 인증서버(10), 호스트 단말기(20)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40)는 인터넷, 인트라넷, 익스트라넷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유선, 무선 또는 이들의 결합망을 포함한다.
인증서버(1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 시간관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호스트 단말기(20)와 네트워크(40)로 연결되는 서버이며, 본 발명의 인증서버(10)는 네트워크(40)를 통하고 호스트 단말기(20)를 이용하여 휴대형 저장매체(3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호스트 단말기(20)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가능한 독립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가진 컴퓨팅 장치, 예컨대 PC, 노트북, 워크스테이션 등을 통칭한다. 또한 호스트 단말기(20)는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접속이 가능해야 하며, 호스트 단말기(20)와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접속은 물리적 장착에 의한 접속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무선 방식에 의한 접속도 가능하다.
휴대형 저장매체(30)는 USB 저장 장치와 같은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각종 이동식, 휴대식 저장장치를 통칭한다.
본 발명의 호스트 단말기(20)는 휴대형 저장매체(30)가 접속되면 호스트 단말기(20)와 인증서버(10)간에 네트워크(40)을 통하여 자동으로 세션을 설정하게 되는데, 인증서버(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40)에 연결되면 온라인 상태임을 감지하고, 네트워크(40)에 연결되지 않으면 오프라인 상태임을 감지하여, 네트워크 연결 상태 신호를 휴대형 저장매체(30)로 전송한다.
휴대형 저장매체(30)는 호스트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판단하여, 온라인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인증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증요청신호를 호스트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인증서버(10)로 전송한다.
인증요청신호는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정당한 사용자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인증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전송하는 신호로, 정당한 사용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정보를 담고 있는 신호를 말한다. 인증과정은 사용자 ID(identification) 및 패스워드 방식, 대칭적 암호방법을 이용한 방식, 공개키 암호방법을 이용한 방식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증서버(10)는 인증요청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정당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정당 사용자임을 확인하게 되면, 내부에 저장된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호스트 단말기(20)를 이용하여 휴대형 저장매체(30)로 전송한다.
이용가능 시간정보는 휴대형 저장매체(30)를 오프라인상에서 소정의 유효시간 동안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 정보를 말한다.
또한, 휴대형 저장매체(30)는 내부에 저장된 인증키를 이용하여 인증값 정보를 생성하고 호스트 단말기(20)를 이용해 인증서버(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인증값 정보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인증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생성한 정보이며, 인증키는 인증서버(10)와 휴대형 저장매체(30) 간에 공유하는 키 값이다. 인증서버(10)와 휴대형 저장매체(40)는 대칭키 알고리즘과 같이 동일한 값을 가지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비대칭키 알고리즘과 같이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인증서버(10) 내부에 저장된 인증키를 제1 인증키라 하고, 휴대형 저장매체(40) 내부에 저장된 인증키를 제2 인증키라 하며, 휴대형 저장매체(30)에서 내부에 저장된 제2 인증키를 이용하여 생성한 인증 값을 인증값 정보라 하고, 인증서버(10)에서 내부에 저장된 제1 인증키를 이용하여 생성한 인증 값을 서버인증값 정보라 한다.
인증서버(10)는 휴대형 저장매체(30)로부터 인증값 정보를 수신하면, 내부에 저장된 제1 인증키를 이용하여 서버인증값 정보를 생성하고, 수신한 인증값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인증키와 제2 인증키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경우 비대칭키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인증키와 제2 인증키가 서로 같은 값을 가지는 경우 대칭키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서버(10)는 인증값 정보에 의해 인증에 성공한 경우, 내부에 저장된 이 용가능 시간정보를 호스트 단말기(20)를 이용하여 휴대형 저장매체(30)로 전송한다.
또한, 인증서버(10)는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 인증부정신호를 호스트 단말기(20)로 전송하여 인증실패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호스트 단말기(20) 상에 출력된 인증실패메시지로 인증이 실패한 것을 인지하게 된다.
휴대형 저장매체(30)는 인증서버(10)로부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면,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휴대형 저장매체(30) 내부에 저장한다.
이후, 호스트 단말기(20)는 네트워크(40)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호스트 단말기(20)가 온라인 상태에서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하게 되면 휴대형 저장매체(30)로 오프라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한다.
휴대형 저장매체(30)는 호스트 단말기(20)가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되면 오프라인 상에서의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사용 시간을 카운트하여 사용시간 정보를 생성하고 내부에 저장한다.
휴대형 저장매체(30)는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오프라인상에서의 사용 시간을 카운트한다.
휴대형 저장매체(30)의 내부 타이머는 RTC(Real Time Clock), PIT(Periodic Interval Timer)와 같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서 내의 클럭 신호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호스트 단말기(20)는 온라인 상태인지 오프라인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휴대형 저장매체(30)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휴대형 저장매체(30)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주기적으로 호스트 단말기(20)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휴대형 저장매체(30)는 사용시간 정보와 인증서버(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시간 정보가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사용시간 정보가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게 되면, 휴대형 저장매체(30)는 자동으로 잠궈지고, 사용자는 다시 유효하게 인증을 거치지 않는 한 휴대형 저장매체(30)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 때, 휴대형 저장매체(30)는 호스트 단말기(20)로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이용 가능한 시간이 만료됨을 나타내는 만료신호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호스트 단말기(20)는 이용가능시간 만료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저장매체(3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저장매체(30)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형 저장매체(30)는 통신부(31), 저장부(33), 제어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31)는 휴대형 저장매체(30)가 호스트 단말기(20)와 접속될 때, 호스트 단말기(20)의 통신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저장부(33)는 제어부(35)의 제어에 따라 휴대형 저장매체(3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저장부(33)는 인증키와 사용시간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35)는 통신부(31), 저장부(33)를 포함한 휴대형 저장매체(3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어부(35)는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오프라인 상에서의 이용 시간을 카운트한다.
호스트 단말기(20)는 휴대형 저장매체(30)가 접속되면 호스트 단말기(20)와 인증서버(10)간에 네트워크(40)을 통하여 자동으로 세션을 설정하게 되는데, 인증서버(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40)에 연결되면 온라인 상태임을 감지하고, 네트워크(40)에 연결되지 않으면 오프라인 상태임을 감지한다.
호스트 단말기(20)는 네트워크(40)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형 저장매체(30)로 온라인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오프라인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35)는 통신부(31)를 통해 호스트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판단하여, 온라인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인증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증요청신호를 통신부(31)를 통해 호스트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인증서버(10)로 전송한다.
인증서버(10)는 인증요청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정당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정당 사용자임을 확인하게 되면, 내부에 저장된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호스트 단말기(20)를 이용하여 휴대형 저장매체(3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35)는 저장부(33)에 저장된 제2 인증키를 수집하고 제2 인증키를 이용하여 인증값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31)를 통해 호스트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인증서버(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증서버(10)는 내부에 저장된 제1 인증키를 이용하여 서버인증값 정보를 생성하고 인증값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 때, 제1 인증키와 제2 인증키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경우 비대칭키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인증키와 제2 인증키가 서로 같은 값을 가지는 경우 대칭키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서버(10)는 인증값 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내부에 저장된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호스트 단말기(20)를 이용하여 휴대형 저장매체(30)로 전송한다.
제어부(35)는 통신부(31)를 통해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저장부(33)에 저장한다.
이후, 호스트 단말기(20)는 네트워크(40)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호스트 단말기(20)가 온라인 상태에서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하게 되면 휴대형 저장매체(30) 로 오프라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35)는 통신부(31)를 통해 오프라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오프라인 상에서의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이용시간을 카운트하여 사용시간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부(33)에 저장한다.
이 때, 제어부(35)는 오프라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내부의 타이머를 활성화하여 오프라인 상에서의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이용시간을 카운트 할 수도 있으며, 휴대형 저장매체(30)와 호스트 단말기(20)가 접속하게 되면 내부의 타이머를 활성화하고 오프라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오프라인 상태에서의 사용시간만을 카운트할 수도 있다.
또한, 호스트 단말기(20)는 온라인 상태인지 오프라인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휴대형 저장매체(30)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제어부(35)는 호스트 단말기(20)로부터 통신부(31)를 통해 호스트 단말기(20)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주기적으로 호스트 단말기(20)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 때, 호스트 단말기(20)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오프라인 상태에 온라인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즉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에서 휴대형 저장매체(30)를 사용하다 온라인 상태로 전환된 경우, 제어부(35)는 앞서 설명한 온라인 인증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온라인 상태에서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하게 되면, 제어부(35)는 저장부(33)에 저장된 사용시간 정보를 수집하고,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사용 시간을 카운트하여 사용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갱신하는 과정을 거친다.
제어부(35)는 저장부(33)에 저장된 사용시간 정보와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집하여 비교하고, 사용시간 정보가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사용시간 정보가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게 되면, 제어부(35)는 휴대형 저장매체(30)를 사용할 수 없도록 잠그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다시 유효하게 인증을 거치지 않는 한 휴대형 저장매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 때, 제어부(35)는 통신부(31)를 통해 호스트 단말기(20)로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이용 가능한 시간이 만료됨을 나타내는 만료신호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만료신호를 수신한 호스트 단말기(20)는 이용가능시간 만료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는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사용가능 시간이 만료됨을 인지하게 된다.
이 후, 만료신호를 전송한 후에, 호스트 단말기(20)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온라인 상태인 경우, 제어부(35)는 앞서 설명한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때, 제어부(35)는 통신부(31)를 통해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저장부(33)에 저장하며, 저장부(33)에 저장된 사용시간 정보를 초기화한다.
반면, 사용시간 정보가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지 않으면, 제어부(35)는 통신부(31)를 통해 호스트 단말기(20)로 이용가능 시간정보에서 사용시간정보를 뺀 사용 가능한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유효시간정보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유효시간정보를 수신한 호스트 단말기(20)는 잔여시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태인 경우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형 저장매체(30)를 호스트 단말기(20)에 접속시키면, 인증서버(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40)에 연결되면 온라인 상태임을 감지하고, 네트워크(40)에 연결되지 않으면 오프라인 상태임을 감지하여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S41).
단계(S41)에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한 호스트 단말기(20)는 온라인 상태임을 감지한 경우 휴대형 저장매체(30)로 온라인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고, 오프라인 상태임을 감지한 경우 오프라인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한다(S43).
단계(S43)에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휴대형 저장매체(30)는 수신한 신호를 판단하여(S45), 오프라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단계(S41)이전으로 분기하여, 호스트 단말기(20)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단계(S45)에서, 온라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휴대형 저장매체(30)는 인증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증요청신호를 호스트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인증서버(10)로 전송한다(S49).
이 때, 내부에 저장된 제2 인증키를 수집하고 인증키를 이용하여 생성한 인증값 정보를 호스트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인증서버(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S49)에서 인증요청신호를 수신한 인증서버(10)는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S53).
이 때, 인증서버(10)는 내부에 저장된 제1 인증키를 이용하여 서버인증값 정보를 생성하고, 인증값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계(S53)에서 판단한 결과,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 인증서버(10)는 호스트 단말기(20)로 인증부정신호를 전송한다(S55).
단계(S55)에서 인증부정신호를 수신한 호스트 단말기(20)는 인증실패메시지를 출력하고(S57), 사용자는 호스트 단말기(20) 상에 출력된 인증실패메시지로 인증이 실패한 것을 인지하게 된다.
단계(S53)에서 판단한 결과,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인증서버(10)는 내부에 저장된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호스트 단말기(20)를 이용하여 휴대형 저장매체(30)로 전송한다(S59).
단계(S59)에서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한 휴대형 저장매체(30)는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내부에 저장한다(S60).
도 4는 도 3의 온라인 상태인 경우에서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된 때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호스트 단말기(20)는 네트워크(40)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온라인 상태인지 오프라인 상태인지 확인한다(S61).
단계(S61)에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한 호스트 단말기(20)는 온라인 상태에서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하게 되면 휴대형 저장매체(30)로 오프라인 상태 신호 를 전송한다(S63).
단계(S63)에서 오프라인 상태 신호를 수신한 휴대형 저장매체(30)는 오프라인 상에서의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이용시간을 카운트하여 사용시간 정보를 생성한다(S69).
이 때, 휴대형 저장매체(30)는 오프라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내부의 타이머를 활성화하여 오프라인 상에서의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이용시간을 카운트 할 수 있으며, 휴대형 저장매체(30)와 호스트 단말기(20)가 접속하게 되면 내부의 타이머를 활성화하고 오프라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오프라인 상태에서의 사용시간만을 카운트할 수도 있다.
휴대형 저장매체(30)는 단계(S69)에서 생성한 사용시간 정보와 인증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시간 정보가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1).
단계(S71)에서 판단한 결과, 사용시간 정보가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게 되면, 휴대형 저장매체는 자동으로 잠궈지고, 사용자는 다시 유효하게 인증을 거치지 않는 한 휴대형 저장매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되고, 휴대형 저장매체(30)는 호스트 단말기(20)로 이용가능 시간이 만료됨을 나타내는 만료신호를 전송한다(S73).
단계(S71)에서 판단한 결과, 사용시간 정보가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단계(S61)이전으로 분기하여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확인하고, 오프라인 사용 시간을 카운트하여 사용시간 정보를 생성하고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 때, 이용가능 시간정보에서 사용시간 정보를 뺀 사용 가능한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유효시간정보를 호스트 단말기(20)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호스트 단말기(20)에 출력된 잔여시간을 나타내는 메시지로 잔여 시간을 인지하게 된다.
단계(S73)에서 만료신호를 수신한 호스트 단말기(20)는 만료 메시지를 출력한다(S75). 사용자는 만료메시지를 보고 이용가능 시간이 만료됨을 인지하게 된다.
또한, 호스트 단말기(20)는 온라인 상태인지 오프라인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휴대형 저장매체(30)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휴대형 저장매체(30)는 호스트 단말기(20)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주기적으로 호스트 단말기(20)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 때, 호스트 단말기(20)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오프라인 상태에 온라인 상태로 전환하게 되는 경우, 즉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에서 휴대형 저장매체(30)를 사용하다 온라인 상태로 전환된 경우, 도 3 및 도 4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다만, 단계(S69)에서 휴대형 저장매체(30)는 내부에 저장된 사용시간 정보를 수집하고,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사용 시간을 카운트하여 사용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갱신하는 과정을 거치며, 단계(S71)에서 갱신된 사용시간 정보가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용가능 시간이 만료된 이후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이용가능 시간이 만료되어 더 이상 사용을 할 수 없게 된 경우, 호스트 단말기(20)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온라인 상태라면 사용자 인증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단계(S81) 내지 단계(S100)은 단계(S41) 내지 단계(S60)과 동일한 과정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100)에서 수신한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저장한 휴대형 저장매체(30)는 내부에 저장된 사용시간 정보를 초기화한다.
이후 도 4에서 설명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휴대형 저장매체(30)의 오프라인 상에서의 이용가능 시간을 관리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 상에서의 이용 시간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휴대형 저장매체 내에서 오프라인 이용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타이머의 시간을 변경해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불법 사용으로 인한 금전적 피해를 줄일 수 있어 그 활용도가 적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저장매체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태인 경우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온라인 상태인 경우에서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된 때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용가능 시간이 만료된 이후의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증서버 20: 호스트 단말기
30: 휴대형 저장매체 31: 통신부
33: 저장부 35: 제어부
40: 네트워크

Claims (16)

  1.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내부에 기 저장된 오프라인상에서 소정의 유효시간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전송하는 인증서버;
    접속된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 경우 상기 인증요청신호를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오프라인 상에서의 사용 시간을 카운트하여 사용시간 정보를 생성해 저장하며, 상기 생성한 사용시간 정보를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와 비교해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휴대형 저장매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시스템.
  2. 호스트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사용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접속된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 경우 인증요청신호를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이용해 인증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거쳐 오프라인상에서 소정의 유효시간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오프라인 상 태로 전환되는 경우 오프라인상에서의 사용 시간을 카운트하여 사용시간 정보를 생성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생성한 사용시간 정보를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와 비교해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제2 인증키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된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2 인증키를 이용하여 생성한 인증값 정보를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인증값 정보와 상기 인증서버 내부에 저장된 제1 인증키를 이용하여 생성한 서버인증값 정보를 비교하는 사용자 인증을 거쳐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오프라인상에서의 사용 시간을 카운트하여 사용시간 정보를 생성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생성한 사용시간 정보를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와 비교해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매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매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에서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내부 타이머를 활성화하여 오프라인상에서의 사용 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매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시간정보가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호스트 단말기로 만료신호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매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시간정보가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호스트 단말기로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에서 상기 사용시간정보를 뺀 유효시간정보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매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만료신호를 전송한 후에,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값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시간정보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매체.
  9. 휴대형 저장매체가, 접속된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 경우 인증요청신호를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이용해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거쳐 오프라인상에서 소정의 유효시간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수신한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오프라인 상에서의 사용 시간을 카운트하여 사용시간정보를 생성해 저장하는 카운트단계;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사용시간정보를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와 비교해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접속된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 경우 내부에 기 저장된 제2 인증키를 이용해 인증값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인증값 정보와 상기 인증서버 내부에 저장된 제1 인증키를 이용하여 생성한 서버인증값 정보를 비교하는 사용자 인증을 거쳐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단계 이전에,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단계는,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내부 타이머를 활성화하여 오프라인상에서의 사용 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사용시간정보가 상기 오프라인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면 상기 호스트 단말기로 만료신호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만료신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 리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사용시간정보가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호스트 단말기로 상기 이용가능 시간정보에서 상기 사용시간정보를 뺀 유효시간정보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유효시간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만료신호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호스트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인증키를 이용해 상기 인증값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재전송단계;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수신한 이용가능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휴대형 저장매체가 상기 사용시간정보를 초기화하는 초기화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방법.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90120689A 2009-12-07 2009-12-07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휴대형 저장매체 KR20110064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689A KR20110064195A (ko) 2009-12-07 2009-12-07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휴대형 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689A KR20110064195A (ko) 2009-12-07 2009-12-07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휴대형 저장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195A true KR20110064195A (ko) 2011-06-15

Family

ID=4439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689A KR20110064195A (ko) 2009-12-07 2009-12-07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휴대형 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41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6158A (zh) * 2017-05-03 2017-12-01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安全性信息交互方法及设备
EP3272063A4 (en) * 2015-08-12 2018-12-05 Hewlett-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Host-storage authentic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72063A4 (en) * 2015-08-12 2018-12-05 Hewlett-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Host-storage authentication
US10735195B2 (en) 2015-08-12 2020-08-0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Host-storage authentication
CN107426158A (zh) * 2017-05-03 2017-12-01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安全性信息交互方法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8792B2 (en) Method, device, system for authenticating an accessing terminal by server,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84386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management of debugging processes within communication devices
CN102597960B (zh) 数据保护装置
CN102438013A (zh) 基于硬件的证书分发
CN105262773B (zh) 一种物联网系统的验证方法及装置
CN104823196A (zh) 基于硬件的设备验证
KR101756692B1 (ko) 다이나믹 보안모듈 단말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11355684B (zh) 一种物联网数据传输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介质
JPWO2008035450A1 (ja) ワンタイムidによる認証
CN109818742B (zh) 一种设备调试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090063734A (ko) 원 타임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관리 서버 예약 접속 방법,클라이언트 및 시스템
US10298065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with improved device identification and signaling link security
CN104320389A (zh) 一种基于云计算的融合身份保护系统及方法
KR20200102213A (ko) 차량 내 네트워크에서 보안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6176866B2 (ja) 通信及び操作の認証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CN112669104B (zh) 租赁设备的数据处理方法
WO2020179706A1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EP2232402B1 (en) Method for moving rights object and method for managing rights of issuing rights object and system thereof
KR20110064195A (ko) 휴대형 저장매체의 오프라인시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휴대형 저장매체
JP2017187963A (ja) 電子機器およびシステム
CN102822840B (zh) 使用管理系统和使用管理方法
US1193451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6610060B2 (ja) 中継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50139405A (ko) 보안 접속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05357670B (zh) 一种路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