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501A -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501A
KR20220157501A KR1020227038063A KR20227038063A KR20220157501A KR 20220157501 A KR20220157501 A KR 20220157501A KR 1020227038063 A KR1020227038063 A KR 1020227038063A KR 20227038063 A KR20227038063 A KR 20227038063A KR 20220157501 A KR20220157501 A KR 20220157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weight
lubricant composition
compound
moi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샹탈 보이어
베누아 티바우트
Original Assignee
토탈에너지스 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탈에너지스 원테크 filed Critical 토탈에너지스 원테크
Publication of KR20220157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10M135/12Thio-acids; Thiocyanates; Derivatives thereof
    • C10M135/14Thio-acids; Thiocyanates; Derivatives thereof having a carbon-to-sulfur double bond
    • C10M135/18Thio-acids; Thiocyanates; Derivatives thereof having a carbon-to-sulfur double bond thiocarbamic type, e.g. containing th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41/08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at least one of them being an organic 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10M135/32Heterocyclic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 C10M135/36Heterocyclic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 ring containing sulfur and carbon with nitrogen or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9/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9/06Thio-acids; Thiocyanates; Derivatives thereof
    • C10M2219/062Thio-acids; Thiocyanates; Derivatives thereof having carbon-to-sulfur double bonds
    • C10M2219/066Thiocarbamic type compounds
    • C10M2219/068Thiocarbamate metal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9/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9/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in the ring
    • C10M2219/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in the ring containing sulfur and carbon with nitrogen or oxygen in the ring
    • C10M2219/106Thiad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3/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3/02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s
    • C10M2223/04Phosphate esters
    • C10M2223/045Metal containing thio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7/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f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0M2203/00, C10M2207/00, C10M2211/00, C10M2215/00, C10M2219/00 or C10M2223/00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7/06Organic compounds derived from inorganic acids or metal salts
    • C10M2227/066Organic compounds derived from inorganic acids or metal salts derived from Mo or W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10/00Metal present as such or in compounds
    • C10N2010/06Groups 3 or 13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6Oiliness; Film-strength; Anti-wear; Resistance to extrem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54Fuel econom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5Internal-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윤활유 첨가제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
본 발명은 윤활제 조성물 분야, 특히 윤활제 조성물의 연료 절약 (fuel economy) (FE 또는 "연료 에코 (fuel eco)") 특성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시간 경과에 따라 윤활제 조성물의 연료 절약 특성을 유지하는 것 (FE 보유 또는 "연료 에코 보유")을 가능하게 하는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 조성물의 윤활제 조성물 및 생성된 윤활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엔진 개발과 엔진 윤활제 조성물의 성능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엔진 설계가 복잡할수록, 효율성 및 연료 소비 최적화가 더 높아지고, 윤활제 조성물의 성능이 더 많이 개선되어야 한다.
가솔린 및 디젤 엔진의 작동 조건은 매우 짧은 경로와 긴 경로를 모두 포함한다. 실제로, 서유럽 자동차 경로의 80 %는 12 km 미만이며, 일부 차량은 연간 최대 300,000 km를 주행한다.
오일 교환 주기도 매우 다양하여, 일부 소형 디젤 엔진의 경우 5,000 km부터 최신 상업용 디젤 엔진의 경우 최대 100,000 km까지 매우 다양하다.
자동차용 윤활제 조성물은 이러한 모든 사용 조건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하며, 따라서 개선된 특성 및 성능을 가져야 한다.
엔진 윤활제 조성물은 많은 목적을 달성해야 한다.
서로 미끄러지는 부품의 윤활은, 특히 이러한 부품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마모 및 손상을 감소시키고, 연료를 절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엔진 윤활제 조성물의 필수 요건은 환경적 측면이다. CO2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연료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수적이 되었다.
자동차 엔진 윤활제 조성물의 특성은 연료 소비에 영향을 미친다. 연료 절약형 자동차 엔진 윤활제 조성물은 종종 "연료 에코" (FE)로 지칭된다.
연료 에코 성능 수준을 개선시키는 것은 자동차 윤활제의 제제에서 끊임없이 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성능 개선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윤활제 조성물의 사용을 통해 수득된 이러한 수준의 연료 에코 성능의 유지 또는 보존이 시간 경과에 따라 동반되어야 한다.
엔진을 노화를 유발하는 엔진에 윤활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가능한 한 연료 에코 성능을 유지해야 한다. 실제로, 연료 에코 성능의 감소는 이점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높은 수준의 연료 에코 성능을 달성해야 할 필요성에 더하여, 예를 들어 두 번의 오일 교환 주기 사이 또는 일정 수 킬로미터를 주행한 이후에, 시간 경과에 따라 윤활제 조성물의 연료 에코 성능의 이러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보존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엔진, 특히 차량 엔진의 양호한 연료 절약을 유지하는 윤활제 조성물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유기몰리브덴 화합물과 같은 마찰 조정제는 마찰 계수를 낮추기 위해 윤활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합물을 추가는 연료를 절약하고 윤활제에 FE 특성이 부여한다. 사용된 마찰 조정제 중 MoDTC (몰리브덴 디티오카르바메이트)는 마찰 계수를 낮추어 연료를 절약에 도달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첨가제 중 하나이다.
엔진 작동 중에, MoDTC와 같은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마찰을 감소시키는 MoS2 (라멜라 이황화 몰리브덴), 및 마모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는 삼산화 몰리브덴 (MoO3)의 두 개의 화합물을 형성한다.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의 일부를 형성하는 몰리브덴은 산화되어, 이는 시간 경과에 따라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의 성능 손실 및 시간 경과에 따라 연료 에코 윤활제 조성물 (및 이에 따른 연료 절약)의 성능 손실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유기 마찰 조정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덜 효과적이다.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의 양의 증가도 고려되었다. 그러나, 높은 몰리브덴 함량은 상당한 추가적인 제제 비용을 나타낸다. 한편, 통상적으로 1,500 ppm 초과의 높은 수준에서, 윤활제 조성물은 더 이상 안정하지 않으며, 이러한 안정성 문제는 특히 구리 엔진에서, 엔진 오염 및/또는 엔진 부식의 높은 위험을 초래한다.
따라서, 선행 기술의 윤활제 조성물의 문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할 수 있는 엔진 윤활제 조성물, 특히 차량 엔진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 경과에 따라 연장된 연료 절약 특성을 갖는 윤활제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에 의해 시간 경과에 따라 연료 소비의 감소를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시간 경과에 따라 낮은 마찰 계수를 유지하는 윤활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시간 경과에 따라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의 효율 감소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특히 산화에 의한 시간 경과에 따른 분해로부터 윤활제 조성물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을 보호하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목적은 본 발명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먼저 하기를 포함하는 윤활유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적어도 하나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 적어도 하나의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2,5-dimercapto-1,3,4-thiadiazole alkyl (poly)carboxylate) 화합물.
본 발명은 또한 하기를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오일, 및
- 상기에 정의되고 하기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 조성물.
본 발명은 마지막으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오일 및 바람직하게는 이핵 유기몰리브덴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에서,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은 시간 경과에 따른 내연 기관의 연료 절약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유리하게는,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사이의 질량비가 1:100 내지 100:1,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0:1,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1 범위이다.
유리하게는,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이핵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몰리브덴 디티오카르바메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유리하게는,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R'는 적어도 하나의 C1-C34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C1-C34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로 치환된 C1-C34 알킬 모이어티임.
바람직하게는, 모이어티 R'는 C1-C30, 바람직하게는 C1-C20, 보다 바람직하게는 C1-C10, 통상적으로 C1-C5 알킬 모이어티이고, 예를 들어 에틸 모이어티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들)가 독립적으로 C1-C30, 바람직하게는 C1-C20, 보다 바람직하게는 C1-C10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 예를 들어 2-에틸헥실 모이어티로부터 선택된다.
더 유리하게는,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V)를 갖는다:
Figure pct00002
.
바람직하게는, 윤활제 조성물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 중량% 내지 99.5 중량%의 베이스 오일(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윤활제 조성물 중 원소 몰리브덴의 함량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 내지 1,500 중량ppm,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중량ppm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윤활제 조성물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2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내지 0.9 중량%, 예를 들어 0.5 중량%의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윤활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0.5 중량% 범위의 황 함량을 갖는다.
어떠한 이론에도 구속되지 않고,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은 폴리설파이드 화합물 또는 인-황 화합물과 같은 윤활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다른 황 화합물보다 열적으로 더 안정적이다. 따라서, MoDTC라고도 하는 몰리브덴 디티오카르바메이트와 같은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에서 화합물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폴리)카르복실레이트의 존재는, 몰리브덴의 산화를 감소시키거나, 산화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하고,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의 황화 및 몰리브덴의 황화된 부산물을 촉진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MoDTC와 같은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의 특성을 유지한다.
어떠한 이론에도 구속되지 않고,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과 MoDTC와 같은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의 조합은, 시간 경화에 따라 낮은 마찰 계수를 유지하고, 윤활제의 FE 특성을 유지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연료 절약을 유지한다.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윤활유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적어도 하나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 적어도 하나의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본 발명은 또한 하기를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오일,
- 적어도 하나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 적어도 하나의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본 발명에 따른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임의의 지용성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화학 원소 몰리브덴 (Mo),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화학 원소 몰리브덴 (Mo), 및 카르복실레이트 리간드, 에스테르 리간드, 아미드 리간드, 디티오포스페이트 리간드, 디티오카르바메이트 리간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리간드를 포함하는 유기몰리브덴 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리브덴과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테르 및 아미드의 유기 착물은 산화 몰리브덴 또는 몰리브덴산 암모늄을 지방, 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또는 지방산 유도체 (에스테르, 아민, 아미드 등)와 반응시켜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카르복실레이트 리간드, 에스테르 리간드 및 아미드 리간드는 황 및 인이 없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몰리브덴과 아미드 리간드의 착물로부터 선택되고, 이는 주로 예를 들어 삼산화 몰리브덴일 수 있는 몰리브덴 공급원과 아민 유도체, 및 예를 들어 4 개 내지 36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 예컨대 예를 들어 식물성 또는 동물성 오일에 함유된 지방산을 반응시켜 제조된다.
이러한 화합물의 합성은 예를 들어 특허 US4889647, EP0546357, US5412130 또는 EP1770153에 설명되어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이핵 유기몰리브덴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이핵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핵에 2개의 몰리브덴 원자를 갖는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들은 또한 이량체 유기몰리브덴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하기 성분들의 반응에 의해 수득된 아미드 리간드와 몰리브덴의 유기 착물로부터 선택된다:
(i) 모노-, 디-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지방 또는 지방산,
(ii) 화학식 (A)의 아미노 공급원:
Figure pct00003
여기서:
- X1 은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 X2 는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 X1 또는 X2 가 각각 산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n 또는 m은 1을 나타내고,
- X1 또는 X2 가 각각 질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n 또는 m은 2를 나타내고,
(iii) 삼산화 몰리브덴 또는 몰리브덴산염, 바람직하게는 몰리브덴산 암모늄으로부터 선택되는 몰리브덴 공급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유기몰리브덴 착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5 중량%의 몰리브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하기 화학식 (I) 또는 (II)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몰리브덴 착물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4
여기서:
X1 은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X2 는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X1 이 산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n은 1을 나타내고, X2 가 산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m은 1을 나타내고;
X1 이 질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n은 2를 나타내고, X2 가 질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m은 2를 나타내고;
R1 은 4 내지 36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유리하게는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05
여기서:
X1 은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X2 는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X1 이 산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n은 1을 나타내고, X2 가 산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m은 1을 나타내고;
X1 이 질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n은 2를 나타내고, X2 가 질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m은 2를 나타내고;
R1 은 4 내지 36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유리하게는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내고;
R2 는 4 내지 36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유리하게는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낸다.
유리하게는, 화학식 (I) 또는 (II)의 유기몰리브덴 착물은 하기 성분들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i) 모노-, 디-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지방 또는 지방산,
(ii) 디에탄올아민 또는 2-(2-아미노에틸)아미노에탄올,
(iii) 삼산화 몰리브덴 또는 몰리브덴산염, 바람직하게는 몰리브덴산 암모늄으로부터 선택되는 몰리브덴 공급원.
보다 유리하게는, 화학식 (I)의 유기몰리브덴 착물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화학식 (I-a) 또는 (I-b)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Figure pct00006
여기서 R1 은 4 내지 36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유리하게는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07
여기서, R1 은 4 내지 36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유리하게는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무황(sulphur-free) 몰리브덴 착물의 예는 Vanderbilt 사에서 판매하는 Molyvan 855®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몰리브덴과 디티오포스페이트 리간드의 유기 착물, 또는 몰리브덴과 디티오카르바메이트 리간드의 유기 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몰리브덴과 디티오포스페이트 리간드의 유기 착물은 또한 몰리브덴 디티오포스페이트 또는 Mo-DTP 화합물로 지칭되고, 몰리브덴과 디티오카르바메이트 리간드의 유기 착물은 몰리브덴 디티오카르바메이트 또는 Mo-DTC 화합물로도 지칭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몰리브덴 디티오카르바메이트로부터 선택된다.
Mo-DTC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리간드에 결합된 몰리브덴 금속 코어에 의해 형성된 착물이며, 리간드는 알킬 디티오카르바메이트 모이어티이다. 이들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Mo-DTC 화합물은, Mo-DTC 화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8 중량%, 유리하게는 4 내지 15 중량%의 몰리브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Mo-DTC 화합물은, Mo-DTC 화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8 중량%, 유리하게는 4 내지 15 중량%의 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Mo-DTC 화합물은 이량체 Mo-DTC 화합물이다.
이량체 Mo-DTC 화합물의 예는, EP 0757093, EP 0719851, EP 0743354 또는 EP 1013749에 설명된 바와 같은 화합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이다.
이량체 Mo-DTC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에 해당한다:
Figure pct00008
여기서:
R3, R4, R5, R6 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알킬, 알케닐, 아릴, 사이클로알킬 또는 사이클로알케닐 모이어티로부터 선택되는 탄화수소 모이어티를 나타내고,
X3, X4, X5 및 X6 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산소 원자 또는 황 모이어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알킬 모이어티"는 1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탄화수소 모이어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알킬 모이어티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이소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헥사데실, 스테아릴, 이코실, 도코실, 테트라코실, 트리아콘틸, 2-에틸헥실, 2-부틸옥틸, 2-부틸데실, 2-헥실옥틸, 2-헥실데실, 2-옥틸데실, 2-헥실도데실, 2-옥틸도데실, 2-데실테트라데실, 2-도데실헥사데실, 2-헥사데실옥타데실, 2-테트라데실옥타데실, 미리스틸, 팔미틸 및 스테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알케닐 모이어티"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고, 2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모이어티를 의미한다. 알케닐 모이어티는 비닐, 알릴, 프로페닐, 부테닐, 이소부테닐, 펜테닐, 이소펜테닐, 헥세닐, 헵테닐, 옥테닐, 노네닐, 데세닐, 운데세닐, 도데세닐, 테트라데세닐 및 올레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아릴 모이어티"는 알킬 모이어티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방향족 모이어티를 의미한다. 아릴 모이어티는 6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아릴 모이어티는 페닐, 톨루일, 자일릴, 쿠메닐, 메시틸, 벤질, 페네틸, 스티릴, 신나밀, 벤즈히드릴, 트리틸, 에틸페닐, 프로필페닐 부틸페닐, 펜틸페닐, 헥실페닐, 헵틸페닐, 옥틸페닐, 노닐페닐, 데실페닐, 운데실페닐, 도데실페닐, 페닐페닐, 벤질페닐, 페닐스티렌, p-쿠밀페닐 및 나프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사이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알킬 모이어티에 의해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다환식 또는 환식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사이클로알케닐 모이어티"는 알킬 모이어티에 의해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다환식 또는 환식 탄화수소를 의미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중 결합을 포함한다.
사이클로알킬 모이어티 및 사이클로알케닐 모이어티는 3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사이클로알킬 모이어티 및 사이클로알케닐 모이어티는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메틸사이클로펜틸, 메틸사이클로헥실, 메틸사이클로헵틸, 사이클로펜테닐, 사이클로헥세닐, 사이클로헵테닐, 메틸사이클로펜테닐, 메틸사이클로헥세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R3, R4, R5 및 R6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고, 독립적으로 1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 또는 2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케닐 모이어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X3, X4, X5 및 X6은 동일할 수 있고, 황 원자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X3, X4, X5 및 X6은 동일할 수 있고, 산소 원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X3 및 X4는 황 원자를 나타낼 수 있고, X5 및 X6은 산소 원자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X3 및 X4는 산소 원자를 나타낼 수 있고, X5 및 X6은 황 원자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Mo-DTC 화합물의 산소 원자의 수(S/O)에 대한 황 원자의 수의 비는 (1/3) 내지 (3/1)로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의 Mo-DTC 화합물은 대칭 Mo-DTC 화합물, 비대칭 Mo-DTC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칭 Mo-DTC 화합물"은 모이어티 R3, R4, R5 및 R6이 동일한 화학식 (V)의 Mo-DTC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 Mo-DTC 화합물"은 모이어티 R3 및 R4가 동일하고, 모이어티 R5 및 R6이 동일하고, 모이어티 R3 및 R4가 모이어티 R5 및 R6와 상이한 화학식 (V)의 Mo-DTC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Mo-DTC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대칭 Mo-DTC 화합물과 적어도 하나의 비대칭 Mo-DTC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R3 및 R4는 동일하고, 5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내고, 동일한 R5 및 R6은 동일하고, 5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내고, 모이어티 R3 및 R4는 모이어티 R5 및 R6과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R3 및 R4는 동일하고, 6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동일하고, 10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내며, 모이어티 R3 및 R4는 모이어티 R5 및 R6과 상이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R3 및 R4는 동일하고, 10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동일하고, 6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내며, 모이어티 R3 및 R4는 모이어티 R5 및 R6과 상이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R3, R4, R5 및 R6은 동일하고, 5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낸다.
유리하게는, Mo-DTC 화합물은 화학식 (III)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 X3 및 X4는 산소 원자를 나타내고,
- X5 및 X6은 황 원자를 나타내고,
- R3은 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 또는 1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내고,
- R4는 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 또는 1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내고,
- R5는 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 또는 1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를나타내고,
- R6은 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 또는 1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낸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Mo-DTC 화합물은 화학식 (III-a)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며:
Figure pct00009
(III-a)
여기서, 모이어티 R3, R4, R5 및 R6은 화학식 (II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다.
보다 유리하게는, Mo-DTC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혼합물이다:
- 화학식 (III-a)의 Mo-DTC 화합물, 여기서 R3, R4, R5 및 R6은 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냄,
- 화학식 (III-a)의 Mo-DTC 화합물, 여기서 R3, R4, R5 및 R6은 1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냄, 및/또는
- 화학식 (III-a)의 Mo-DTC 화합물, 여기서 R3, R4는 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1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냄.
Mo-DTC 화합물의 예는 R.T.Vanderbilt Company®에서 판매하는 Molyvan L®, Molyvan 807® 또는 Molyvan 822®, 또는 Adeka사가 판매하는 제품 Sakura-lube 200®, Sakura-lube 165®, Sakura-lube 525® 또는 Sakura-lube 600®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 중량ppm 내지 1,500 중량ppm, 바람직하게는 100 중량ppm 내지 1,000 중량ppm의 원소 몰리브덴을 포함한다.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은 티올 모이어티 중 적어도 하나는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에 의해 치환되는, 2,5-디메르캅토-1,3,4 티아디아졸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는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에 의해 치환된 알킬 모이어티를 의미한다. 단일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로 치환되는 경우,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라고 한다. 2개 이상의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로 치환되는 경우,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라고 한다.
바람직하게는, 티올 모이어티 중 하나만이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로 치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10
여기서, R'는 적어도 하나의 C1-C34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로 치환된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C1-C34 알킬 모이어티이다.
바람직하게는, 모이어티 R'는 적어도 하나의 C1-C34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에 의해 치환된 C1-C30, 보다 바람직하게는 C1-C2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C1-C10, 유리하게는 C1-C5 알킬 모이어티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이어티 R'는 적어도 하나의 C1-C34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로 치환된, 메틸, 에틸, 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및 네오펜틸 모이어티로부터 선택된다.
유리하게는, 모이어티 R'는 적어도 하나의 C1-C34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에 의해 치환된 에틸 모이어티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는 C1-C30, 보다 바람직하게는 C1-C2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C5-C10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로부터 선택된다.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의 알킬 모이어티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의 알킬 모이어티는 분지형 알킬 모이어티로부터 선택된다.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의 알킬 모이어티가 포화된 또는 불포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의 알킬 모이어티는 포화된다.
유리하게는,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는 2-에틸헥실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이다.
일 구현예에서, 모이어티 R'는 적어도 2개의 C1-C34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로 치환된다.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구현예에 따르면,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는 동일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는 모두 2-에틸헥실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V)를 갖는다:
Figure pct00011
이러한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고, 예를 들어, Vanlube® 871 (CAS no.12610453-53-8) 하에 Vanderbilt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은 1:100 내지 100:1,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0:1,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1 범위의 중량비로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 조성물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 조성물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2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내지 0.9 중량%, 예를 들어 0.5 중량%의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한다.
베이스 오일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베이스 오일은 API 분류 (또는 ATIEL 분류에 따른 등가물) (표 1)에 정의된 분류에 따라, 그룹 I 내지 V에 속하는 미네랄 또는 합성 기원의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Figure pct00012
본 발명에 따른 미네랄 베이스 오일은 원유의 상압 및 진공 증류한 후, 용매 추출, 탈알칼리화, 용매 탈납, 수소화처리, 수소화분해, 수소이성질화 및 수소화정제와 같은 정제 작업에 의해 수득된 모든 유형의 베이스 오일을 포함한다.
합성 및 미네랄 오일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의 베이스 오일은 또한 카르복실산 및 알코올의 특정 에스테르와 같은 합성 오일, 및 폴리알파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베이스 오일로 사용되는 폴리알파올레핀은, 예를 들어 4 내지 3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단량체, 예를 들어 옥텐 또는 데센으로부터 수득되며, 이의 100 ℃에서의 점도는 ASTM D445에 따라 1.5 내지 15mm2.s-1이다. 이들의 평균 몰 중량은 일반적으로 ASTM D5296에 따라 250 내지 3,000 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을 포함한다.
보다 특히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 중량% 내지 99.5 중량%의 베이스 오일,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내지 99.5 중량%의 베이스 오일을 포함한다.
선택적 첨가제
많은 선택적 첨가제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을 위한 바람직한 첨가제는, 세제 첨가제, 상기 정의된 몰리브덴 화합물 이외의 마찰 조정 첨가제, 극압 첨가제, 분산제, 유동점 강하제, 소포제, 증점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극압 첨가제 또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내마모 첨가제 및 극압 첨가제는 표면에 흡착된 보호막을 형성하여 표면 마찰을 보호한다.
다양한 내마모 첨가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에 대해, 내마모 첨가제는 인 및 황을 포함하는 첨가제, 예컨대 알킬티오포스페이트 금속, 특히 아연 알킬티오포스페이트, 및 보다 정확하게는 아연 디알킬디티오포스페이트 또는 ZnDTP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화학식 Zn((SP(S)(OR)(OR'))2이고, 여기서 R 및 R'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알킬 모이어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모이어티를 나타낸다.
아민 포스페이트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내마모 첨가제이다. 그러나, 이러한 첨가제가 재 발생기이므로, 이러한 첨가제가 제공하는 인 원자는 자동차 촉매 시스템의 독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아민 포스페이트를 폴리설파이드, 특히 황-함유 올레핀과 같은 비인 첨가제로 부분적으로 치환함으로써 최소화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6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4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의 내마모 첨가제 및 극압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6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4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의 내마모 첨가제 (또는 내마모성 화합물)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몰리브덴 화합물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마찰 조정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 조정제 첨가제는 금속 원소를 제공하는 화합물 및 무회분(ash-free)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금속 원소를 제공하는 화합물 중에서, Mo, Sb, Sn, Fe, Cu, Zn과 같은 전이 금속 착물을 언급할 수 있으며, 이들의 리간드는 산소, 질소, 황 또는 인 원자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화합물일 수 있다. 무회분 마찰 조정제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유기 기원이거나, 폴리올의 지방산 모노에스테르, 알콕실화 아민, 알콕실화 지방 아민, 지방 에폭시드, 지방 에폭시드 보레이트, 지방 아민 또는 글리세롤 산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방 화합물은 10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화수소 모이어티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 또는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2 중량% 범위의 양으로 내마모 첨가제 및 극압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항산화제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윤활제 조성물의 분해를 지연시킨다. 이러한 분해는 침전물의 형성, 슬러지의 존재 또는 윤활제 조성물의 점도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항산화제 첨가제는 라디칼 억제제 또는 과산화수소 파괴 억제제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는 페놀계 항산화제, 아민 항산화제, 황- 및 인-함유 항산화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항산화제 중 일부, 예를 들어 황 및 인을 함유한 항산화제는 재를 생성할 수 있다. 페놀계 항산화제 첨가제는 무회분이거나, 중성 또는 염기성 금속염 형태일 수 있다. 항산화제 첨가제는, 특히 입체 장애 페놀, 입체 장애 페놀 에스테르 및 티오에테르 브릿지를 포함하는 입체 장애 페놀, 디페닐아민, 적어도 하나의 C1-C12알킬 모이어티로 치환된 디페닐아민, N,N'-디알킬-아릴-디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입체 장애 페놀은 알코올 작용기를 갖는 탄소 원자 부근의 탄소 원자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C1-C10알킬 모이어티, 바람직하게는 C1-C6 알킬 모이어티, 바람직하게는 C4 알킬 모이어티, 바람직하게는 ter-부틸 모이어티로 치환된 페놀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아미노 화합물은 선택적으로 페놀계 항산화제 첨가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항산화제 첨가제다이다. 아미노 화합물의 예는, 방향족 아민, 예를 들어 화학식 NRaRbRc의 방향족 아민이고, 여기서 Ra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지방족 모이어티 또는 방향족 모이어티를 나타내고, Rb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방향족 모이어티를 나타내고, Rc는 수소 원자, 알킬 모이어티, 아릴 모이어티 또는 화학식 RdS(O)zRe의 모이어티이며, 여기서 Rd는 알킬렌 모이어티 또는 알케닐렌 모이어티를 나타내고, Re는 알킬 모이어티, 알케닐 모이어티 또는 아릴 모이어티를 나타내고, z는 0, 1 또는 2를 나타낸다.
황 또는 이들의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함유하는 알킬 페놀도 항산화제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종류의 항산화제 첨가제는 구리를 포함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구리 티오- 또는 디티오-포스페이트, 카르복실산의 구리 염, 디티오카르바메이트, 술포네이트, 페네이트,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이다. 구리 I 및 II 염, 숙신산 또는 무수물 염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유형의 항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윤활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무회분 항산화제 첨가제를 포함한다.
동등하게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세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산화 및 연소 부산물을 용해시켜 금속 부품 표면의 침전물 형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세제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세제 첨가제는 긴 친유성 탄화수소 사슬 및 소수성 헤드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화합물일 수 있다. 결합된 양이온은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 양이온일 수 있다.
세제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산, 술포네이트, 살리실레이트, 나프테네이트, 및 페네이트 염의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으로부터 선택된다.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은 바람직하게는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또는 바륨이다.
이들 금속염은 일반적으로 화학양론적 양 또는 과량으로, 즉 화학양론적 양보다 많은 양으로 금속을 함유한다. 이들은 과염기화된 세제 첨가제이다; 세제에 과염기화된 특성을 부여하는 과잉 금속은 일반적으로 지용성 금속염의 형태이고, 예를 들어 카보네이트, 하이드록사이드, 옥살레이트, 아세테이트, 글루타메이트, 바람직하게는 카보네이트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5 중량% 내지 8 중량% 또는 2 중량% 내지 4 중량%의 과염기화된 세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동등하게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유동점 강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파라핀 결정의 형성을 늦춤으로써, 유동점 강하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의 저온 거동을 개선한다.
유동점 강하제의 예는, 알킬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릴아미드, 폴리알킬페놀, 폴리알킬나프탈렌, 알킬 폴리스티렌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제는 만니히 염기, 숙신이미드 및 이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2 중량% 내지 10 중량%의 분산제(들)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점도 지수를 개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점도 지수 개선 중합체의 예는, 중합체성 에스테르, 수소화된 또는 비수소화된 단독중합체 또는 스티렌, 부타디엔 및 이소프렌의 공중합체, 폴리메타크릴레이트(PMA)이다. 동등하게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15 중량%의 점도 지수를 개선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소포제 및 해유화제(demuls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윤활제 조성물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 50 중량% 내지 99.5 중량%의 베이스 오일,
- 0.1 중량% 내지 1.5 중량%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 0.2 중량% 내지 1.0 중량%의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 선택적으로, 0.1 중량% 내지 45 중량%의 첨가제,
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 60 중량% 내지 99.5 중량%의 베이스 오일,
- 0.1 중량% 내지 1 중량%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 0.2 중량% 내지 0.9 중량%의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 선택적으로, 0.5 중량% 내지 40 중량%의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윤활제 조성물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0.5 중량% 범위의 황 함량을 갖는다.
용도
본 발명은 또한,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예를 들어 MoDTC를 분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예를 들어 MoDTC를 산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오일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예를 들어, 디티오카바메이트 리간드와 몰리브덴의 유기 착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에서,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시간 경과에 따라 윤활제 조성물의 연료 절약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오일 및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예를 들어 MoDTC를 포함하는 윤활 조성물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예를 들어 MoDTC의 분해, 특히 산화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윤활 조성물에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의 첨가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오일 및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예를 들어 MoDTC를 포함하는 윤할 조성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연료 절약 특성을 유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윤활 조성물에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의 첨가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에 대한 하기에 상세히 설명된 변형 및 구현예는 또한 상기 정의된 상이한 용도에 적용된다.
윤활제 조성물의 연료 절약 특성의 유지는 전형적으로 테스트되는 조성물로 윤활된 엔진의 작동 동안 조성물의 마찰 계수의 변화를 결정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엔진 작동 중 및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윤활제 조성물의 샘플을 채취한다.
이어서, 조성물의 마찰 계수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이는 예를 들어 왕복 볼-온-플랫 트리보미터(ball-on-flat tribometer)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시간 경과에 따른 마찰 계수가 낮을수록 윤활제 조성물의 연료 절약 특성에 대한 효과가 시간 경과에 따라 더 많이 유지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이핵 유기몰리브덴 화합물과 조합된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의 사용은 다음을 가능하게 한다:
- 시간 경과에 따라, 특히 윤활제로서, 바람직하게는 윤활 조정제로서,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예를 들어 MoDTC의 특성의 확장;
-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오일 및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예를 들어 MoDTC를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연료 절약 특성을 유지; 및/또는
- 시간 경과에 따라 연료 절약을 유지.
본 발명에 따른 조합 사용의 특정, 유리한 또는 바람직한 특징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특정, 유리한 또는 바람직한 조합을 정의한다.
도 1은 엔진 작동 시간의 함수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대조 조성물의 마찰 계수의 변화를 도시한다.
실시예:
하기 상세한 조성물은 하기 화합물로부터 제조되었다:
- 베이스 오일: 0 W-12 등급의 제제화된 베이스 오일.
이러한 베이스 오일은 다음을 포함한다:
베이스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해,
- 81.7 중량%의 베이스 오일,
- 17.8 중량%의 통상의 첨가제 (4.4 %의 점도지수 개선제, 0.5 %의 산화 첨가제, 0.20 %의 유동점 강하제 및 12.7 %의 첨가제 패키지), 및
- 0.05 중량%의 몰리브덴 디티오카르바메이트 (이하 MoDTC).
- 화합물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상기 정의된 화학식 (V)의 화합물, 이하 티아디아졸.
실시예 1: 조성물의 제조
C0 및 C1 조성물이 하기 표 2에 나타낸 양으로 상이한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조성물 C0은 대조 조성물 (첨가제-미첨가 베이스 오일)이다.
조성물 C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다.
Figure pct00013
실시예 2: 엔진 테스트
C0 및 C1 윤활제 조성물의 마찰 계수는 다음 방법에 따라 엔진 테스트 조건에서 측정된다.
각각의 윤활제 조성물 (10Kg)이 터보차저 가솔린 엔진의 청정도 테스트에서 평가된다. 엔진은 4 기통에 대해 1.6 L의 배출을 갖는다. 전력은 115 kW이다. 테스트 주기 시간은 공회전 속도 (500 내지 750 rpm)와 트래픽이 많은 속도 (2,500 내지 5,800 rpm)를 번갈아 가며, 30 시간이다. 윤활제 조성물의 온도는 50 내지 150 ℃이어야 하고, 냉각 시스템의 물 온도는 50 내지 97 ℃이어야 한다. 테스트 중에 윤활제 조성물의 배수 또는 보충이 수행되지 않는다. E10 연료가 사용된다.
테스트 동안, T = 0 h, 48 h, 72 h, 96 h, 120 h, 144 h 및 168 h에서, 윤활제 조성물의 2-3 mL 샘플을 채취하고, 이러한 조성물의 마찰 계수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 회전하는 3-플랫 볼 접촉(three-flat ball contact)이 있는 마찰계를 통해 측정된다:
- 볼 직경: 5 mm,
- 온도: 100 ℃,
- 주파수: 5 Hz,
- 최대 접촉 압력: 700 MPa
- 트레이스 길이: 5 mm
- 지속 시간: 1시간.
그 결과가 하기 표 3과 도 1에 도시된다.
Figure pct00014
이들 결과 (표 3) 및 도 1의 커브는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에 존재할 때,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의 사용이 유기 몰리브덴 화합물만을 포함하는 비교 조성물과 대조적으로 엔진 시험에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이 낮은 마찰 계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예컨대 MoDTC를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의 사용은 시간 경과에 따른 산화로부터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을 보호하고, 결과적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윤활 조성물에 대한 낮은 마찰 계수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 엔진에서 윤활제 사용의 실제 조건을 시뮬레이션하는 엔진 테스트를 통해 입증된다. 시간 경과에 따른 마찰 계수가 낮을수록 윤활제 조성물의 연료 절약 특성에 대한 효과가 시간 경과에 따라 더 많이 유지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5)

  1. 윤활유 첨가제 조성물로서,
    - 적어도 하나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 적어도 하나의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을 포함하는, 첨가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이 이핵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몰리브덴 디티오카르바메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pct00015

    여기서 R'는, 적어도 하나의 C1-C34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C1-C34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로 치환된 C1-C34 알킬 모이어티인, 첨가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R'가 C1-C30, 알킬 모이어티, 바람직하게는 C1-C20, 보다 바람직하게는 C1-C10, 통상적으로 C1-C5 알킬 모이어티이고, 예를 들어 에틸 모이어티인, 첨가제 조성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들)가 독립적으로 C1-C30, 바람직하게는 C1-C20, 보다 바람직하게는 C1-C10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모이어티, 예를 들어 2-에틸헥실 모이어티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V)를 갖는, 첨가제 조성물:
    Figure pct00016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사이의 중량비가 1:100 내지 100:1,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0:1,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1 범위인, 첨가제 조성물.
  8. 윤활제 조성물로서,
    -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오일; 및
    - 적어도 하나의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첨가제 조성물
    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 중량% 내지 99.5 중량%의 베이스 오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원소 몰리브덴의 함량이,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 내지 1,500 중량ppm,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중량ppm 범위인, 윤활제 조성물.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2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내지 0.9 중량%, 예를 들어, 0.5 중량%의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0.5 중량% 범위의 황 함량을 가지는, 윤활제 조성물.
  13.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오일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에서의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의 용도.
  14. 제13항에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른 내연 기관의 연료 절약을 유지하기 위한, 용도.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이 이핵 유기몰리브덴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KR1020227038063A 2020-04-01 2021-03-29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 KR202201575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003253A FR3108914B1 (fr) 2020-04-01 2020-04-01 Composition lubrifiante comprenant un composé 2,5-dimercapto-1,3,4-thiadiazole alkyl polycarboxylate
FR2003253 2020-04-01
PCT/EP2021/058073 WO2021198131A1 (fr) 2020-04-01 2021-03-29 Composition lubrifiante comprenant un composé 2,5-dimercapto-1,3,4-thiadiazole alkyl polycarboxy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501A true KR20220157501A (ko) 2022-11-29

Family

ID=7080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8063A KR20220157501A (ko) 2020-04-01 2021-03-29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20294A1 (ko)
EP (1) EP4127112A1 (ko)
JP (1) JP2023519736A (ko)
KR (1) KR20220157501A (ko)
CN (1) CN115362243B (ko)
FR (1) FR3108914B1 (ko)
WO (1) WO202119813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9647A (en) 1985-11-14 1989-12-26 R. T. Vanderbilt Company, Inc. Organic molybdenum complexes
US5137647A (en) 1991-12-09 1992-08-11 R. T. Vanderbilt Company, Inc. Organic molybdenum complexes
US6017858A (en) * 1993-01-19 2000-01-25 R.T. Vanderbilt Co., Inc. Synergistic organomolybdenum compositions and lubric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JPH07197068A (ja) 1993-12-30 1995-08-01 Tonen Corp 潤滑油組成物
US5412130A (en) 1994-06-08 1995-05-02 R. T. Vanderbilt Company, Inc. Method for preparation of organic molybdenum compounds
JP3454593B2 (ja) 1994-12-27 2003-10-06 旭電化工業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JPH0931483A (ja) 1995-07-20 1997-02-04 Tonen Corp 潤滑油組成物
JP4201902B2 (ja) 1998-12-24 2008-12-24 株式会社Adeka 潤滑性組成物
WO2003027215A2 (en) * 2001-09-21 2003-04-03 R.T. Vanderbilt Company, Inc. Improved antioxydant additive compositions and lubric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CN100412178C (zh) * 2003-10-10 2008-08-20 R.T.范德比尔特公司 含合成的酯基础油、钼化合物及基于噻二唑的化合物的润滑组合物
US7205423B1 (en) 2005-09-23 2007-04-17 R.T. Vanderbilt Company, In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rgano-molybdenum compounds
FR2961823B1 (fr) * 2010-06-25 2013-06-14 Total Raffinage Marketing Compositions lubrifiantes pour transmissions automobiles
FR2998303B1 (fr) * 2012-11-16 2015-04-10 Total Raffinage Marketing Composition lubrifiante
JP6606500B2 (ja) * 2013-09-17 2019-11-13 ヴァンダービルト ケミカルズ、エルエルシー E85燃料を燃料とするエンジンに適したエマルション組成物における水の分離を低減する方法
JP6872299B2 (ja) * 2016-10-11 2021-05-19 株式会社Adeka 摩擦低減方法及び摺動機構
JP2018076411A (ja) * 2016-11-08 2018-05-17 株式会社Adeka 潤滑油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62243B (zh) 2023-08-25
EP4127112A1 (fr) 2023-02-08
WO2021198131A1 (fr) 2021-10-07
CN115362243A (zh) 2022-11-18
US20230220294A1 (en) 2023-07-13
FR3108914A1 (fr) 2021-10-08
JP2023519736A (ja) 2023-05-12
FR3108914B1 (fr)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233B1 (ko) 윤활유 조성물
CN111094523B (zh) 包含二酯的润滑组合物
JP6889175B2 (ja) 中和されたアミンおよびモリブデンを基にした潤滑剤組成物
JPH0699701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作動流体組成物
KR102647800B1 (ko) 장기간동안 연료 절감 특성을 갖는 윤활 조성물
RU2659785C2 (ru) Смазочн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простого полиглицеринового эфира
KR20190142771A (ko) 4-행정 차량 엔진의 청정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윤활제 조성물의 용도
KR20220157501A (ko)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알킬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
JPH03106995A (ja) 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JPH11323371A (ja) ギヤ油組成物
JP2018500434A (ja) 相変化材料を含む潤滑組成物
US11739281B2 (en) Use of a lubricant composition for transmission
US11499115B2 (en) Lubricant composition
US20100292113A1 (en) Lubricant formulations and methods
US11572522B2 (en) Dinuclear molybdenum complex and use of same in lubricating compositions
US2795547A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CN1271184C (zh) 用于润滑剂的噻二唑烷添加剂
JPH06220475A (ja) ギヤ油組成物
CN115836119A (zh) 二亚烷基二醇酯用于增加润滑剂组合物的抗氧化性的用途
US20200102522A1 (en) Lubricant composition in particular for limiting friction
US20230383210A1 (en) Use of dialkylene glycol ester to reduce friction in vehicles with hybrid engines
JPH07197061A (ja) 潤滑油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