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321A -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321A
KR20220156321A KR1020210064198A KR20210064198A KR20220156321A KR 20220156321 A KR20220156321 A KR 20220156321A KR 1020210064198 A KR1020210064198 A KR 1020210064198A KR 20210064198 A KR20210064198 A KR 20210064198A KR 20220156321 A KR20220156321 A KR 20220156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rum
washing
washing machi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우
문찬우
김영호
이상준
양정빈
김동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4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6321A/ko
Publication of KR20220156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3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ing machine parts, e.g. of tub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세탁수가 저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와, 세탁물이 수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터브 내부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 또는 상기 드럼의 오염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터브 내면상에 설치되는 오염감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오염도를 판단하고, 오염도에 따라 세탁기의 세탁조를 세척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조가 자유로이 회전 가능한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세탁조 내에 세탁물 및 세제를 투입하여 세탁을 시작하는 세탁기이며, 세탁기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움직이는 드럼과, 드럼을 감싸고 있는 터브로 구성된다. 세탁기를 사용하면 세탁 또는 탈수 후 오염물이 세탁조에 잔존하여 쌓이게 되며, 세탁기를 사용하는 횟수, 사용하는 세제량, 세탁기 설치 환경, 사용자의 생활 습관에 따라 드럼과 터브의 오염이 되는 정도가 다르다. 여기서, 드럼과 터브에서 발생하는 오염의 경우 물때, 바이오필름 등과 같이 드럼과 터브의 표면에 장시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물때의 경우 세탁기의 장시간 사용시 세탁물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과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세제 등이 드럼과 터브의 표면에 고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물때의 경우 사용자가 인지할 경우 시각적으로 좋이 않은 영향을 발생하며, 세탁시 장시간 고착된 물때가 탈락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바이오필름은 미생물에 의하여 형성된 미생물 복합체를 이루는 막으로 생물막 또는 균막이라고도 불리우며, 균들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바이오필름은 각종 균들의 집합체임과 동시에, 균 집단의 보호막 기능을 하기 때문에, 균으로 인한 각종 질병의 직/간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9150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고 함)는 드럼 내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 강화 노즐과, 도어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도어 세척 노즐을 구비한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세척 강화 노즐을 통한 분사 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상기 드럼 내면에서 세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영역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세척 강화 노즐로부터 분사된 물이 상기 드럼 내에만 미치기 때문에, 상기 드럼의 외측면이나 상기 드럼을 감싸는 터브의 내측면을 세척하기 어렵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8930호(이하, "선행기술 2"이라고 함)의 세탁기는, 측판에 윈도우부가 형성된 세탁기 본체, 상기 세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윈도우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투명 부재로 구성된 투명 영역을 구비하는 외조,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외조의 내부에 배치된 탈수조 및 상기 외조와 상기 탈수조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윈도우부 및 상기 투명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탈수조의 외면에 접촉 가능한 통세척 유닛을 구비하였다.
여기서, 선행기술 2의 세탁기는 통세척을 알리기 위한 오염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통세척에 필요한 시기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하였다. 선행기술 2의 세탁기는 사용자의 육안확인이 필요하고 사용자가 통세척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수동적으로 통세척 유닛을 작동시키는 것이므로, 세탁물이 얼마나 오염되어 있는지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없고,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오염도 여부가 결정되었다. 또한, 기계적인 통세척을 위한 통세척 유닛을 추가로 세탁조에 구비하였므로, 세탁기의 구성요소가 늘어가게 되어 별도의 유지 보수가 필요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4210호(이하 "선행기술 3"라고 함)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물이 담기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배치되어 상기 외조와의 사이에 물이 교류되며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조를 구비하고, 이전 통세척 코스가 실시된 이후, 매 세탁 사이클이 실시될 때마다 상기 세탁 사이클의 실시 횟수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세척 코스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세탁 사이클의 누적 실시 횟수에 따라, 상기 통세척 코스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설정에 따라 통세척 코스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였다. 선행기술 3의 세탁기는 PROM에서 읽은 통세척 알림 카운트 값이 특정횟수 이상이면 통세척 시기 알림 모드로 진입하게 하였다. 선행기술 3의 세탁기도 또한 통세척을 알리기 위한 오염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세탁조의 오염도를 알 수 없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경우 통상적으로 통세척알림 카운트 동작은 세탁, 헹굼, 탈수 기본 행정을 모두 동작하고 행정 종료시 통세척 알림 카운트를 카운트 증가시킨 추이를 누적한다. 통세척 설정값이 특정 횟수 이상이면 디스플레이에 통살균알림 메시지를 표시한다. 통살균 코스를 동작시키면 행정 종료시 통세척 시기 알림 카운트를 초기화 한다. 종래 세탁기의 통세척 시기 알림은 진입조건이 만족되면 실행되고 해제 조건이 만족되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세탁기에 따르면 통세척을 위한 별도의 노즐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효과적인 통세척이 진행이 어려우며, 드럼의 외측면이나 드럼을 감싸는 터브의 내측면을 세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에 따르면 육안으로 통세척시기를 확인하거나, 사용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이 되면 통세척 시기 알림을 표시하거나, 세탁이 진행되는 동안 첫번째 헹굼에서 자동 통세척을 진행하도록 설계되어 자동 통세척을 진행하는 동안 거품이 넘치거나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에 따르면 드럼의 외주면 또는 터브의 내주면에 고착되는 물때 및 바이오필름의 경우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으며 물때 또는 바이오필름의 탈락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위생상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탁기의 통세척 진행시 드럼의 외주면과 터브의 내주면의 세척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세척노즐을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탁기의 통세척 진행시 드럼의 외주면과 터브의 내주면의 세척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세척노즐을 이용하여 통세척을 진행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터브 내부에 드럼 또는 터브 표면의 오염을 감지할 수 있는 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세탁기의 통세척 진행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터브 내부에 드럼 또는 터브 표면의 오염을 감지할 수 있는 오염감지수단 및 드럼 또는 터브 표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을 이용하여 통세척을 진행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세탁수가 저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와, 세탁물이 수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터브 내부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 또는 상기 드럼의 오염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터브 내면상에 설치되는 오염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오염감지부는 상기 터브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 내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전원선이 연결되는 제 1전극과, 상기 제 1전극에 대하여 소정간격 이격되며, 신호선이 연결되는 제 2전극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터브의 내면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브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터브의 사출시 인서트되어 사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전극과 상기 제 2전극은 서로 이격되는 평행한 간극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극은 일전한 간격을 갖는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염감지부는 상기 터브의 전방 내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오염감지부는 상기 터브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의 외면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터브 내주면에 상기 발광부에 대하여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 중앙부에는 탈수공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외주면 전방 또는 후방에는 평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평면부에 광을 조사하며, 상기 수광부는 상기 평면부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광부는 상기 평면부에 소정의 입사각을 갖도록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광부는 상기 입사각에 대응되는 반사각으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따르면 세탁기의 통세척 진행시 드럼의 외주면과 터브의 내주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별도의 세척노즐을 구비함으로써 드럼과 터브의 세척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세탁기의 통세척 진행시 드럼의 외주면과 터브의 내주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별도의 세척노즐을 이용하여 통세척을 진행함으로써 드럼과 터브의 세척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따르면 터브 내부에 드럼 또는 터브 표면의 오염을 감지할 수 있는 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세탁기의 통세척 진행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따르면 터브 내부에 드럼 또는 터브 표면의 오염을 감지할 수 있는 오염감지수단 및 드럼 또는 터브 표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을 이용하여 통세척을 진행함으로써 드럼과 터브의 세척시기를 정확히 판단함과 동시에 통체척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척노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 1오염감지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 1오염감지부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 2오염감지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 2오염감지부를 나타낸 부분간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척노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세탁기(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120)와, 터브(12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130)과, 터브(120)로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부(140)와, 급수부(140)에서 공급되는 물과 세제를 혼합하여 터브(120)로 공급하는 세제 디스펜서(150)와, 급수부(140)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터브(120)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160) 세탁을 완료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부(170), 터브의 공기를 가열하여 공급/순환시키는 건조장치(18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세탁기는 캐비닛(110)과 터브(120) 사이에는 개스킷(190)이 구비된다. 개스킷(190)은 터브(120)에 저수된 물이 터브(120)와 캐비닛(110)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개스킷(190)의 상부에는 상기 급수원(HW, CH)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드럼(130)의 내부로 공급함과 동시에 개스킷(190)의 내면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노즐(191)을 구비되며, 개스킷(190)의 양측에는 터브(120)로 급수된 세탁수가 배수부(170)에 의해 순환되어 다시 터브(120)로 순환 공급되기 위한 순환노즐(19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세탁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세탁기(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캐비닛(115)과, 세탁기(100)의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7)와,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출입홀(112)이 형성되고 측면 캐비닛(115)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캐비닛(111)과, 측면 캐비닛(115)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면 캐비닛(116) 및 전면 캐비닛(111)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세탁물 출입홀(112)을 개폐하는 도어(113)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면 캐비닛(111)의 상부에는 컨트롤 패널(114)이 구비된다. 컨트롤 패널(114)은 사용자로부터 코스 선택을 입력받는 코스 선택부(114a)와,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고 세탁기(100)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1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113)는 세탁기(100) 외부에서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글래스(113a)가 구비될 수 있다. 글래스(113a)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어(113)가 닫힌 상태에서 글래스(113a)의 선단이 드럼(130) 내측까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터브(120)는 캐비닛(110)의 내부에 매달리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120)의 후방에는 상기 드럼(130)을 회전시키 위한 모터(121)와 회전축(122)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드럼(130)은 모터(121)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드럼(130)에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직접구동방식과 간접구동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구동방식은 모터의 회전축이 드럼(130)과 직접 체결되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축과 드럼(130)의 중심이 동일 선상에 정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이러한 직접구동방식을 따른 것으로, 터브(120)의 후방에 구비된 모터(121)에 의해 드럼(130)이 회전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후술하는 간접구동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간접구동방식은 모터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전달하는 밸트(belt)나 풀리(pully) 등의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하여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축과 드럼(130)의 중심이 반드시 동일 선상에 정렬될 필요는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터브(120)는 드럼(130)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이 완충될 수 있도록, 터브(120)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캐비닛(110)에 매달릴 수 있고, 또한 터브(12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댐퍼(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터브(120) 내부에는 터브(120) 내에 저수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1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터브(120)의 전방에는 터브(120) 자체의 중량을 증가시켜 터브의 진동 한계를 상향시키는 웨이트(11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터브(120)의 전방 외주면에는 드럼(130)의 외주면 및 터브(120)의 내주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별도의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노즐(127, 128)들이 구비될 수 있다. 세척노즐(127, 128)은 터브(12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130)의 외주면에 직접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드럼(130)의 외주면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여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드럼(130)의 외주면에 세척수가 분사될 때 드럼(130)은 고속으로 회전되어 질 수 있다. 드럼(130)의 외주면에 세척수사 분사됨과 동시에 드럼(130)이 고속으로 회전될 경우 드럼(13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드럼(130)의 외주면에 잔류하는 세척수가 비산되면서 터브(120)의 내주면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여 터브(120) 내주면의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터브(120)에 구비되는 세척노즐(127, 128)들은 터브(120) 전방 외주면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세척노즐(128)과, 터브(120) 전방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세척노즐(127)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세척노즐(128)은 바람직하게는 터브(120)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터브(120) 외주면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세척노즐(128)은 하부 세척노즐(128)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드럼(130)의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형태로 분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세척노즐(128)은 후술할 배수부(170)의 배수펌프(172)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세척노즐(128)과 배수펌프(172)의 연결은 배수부(170)의 설명시 하도록 한다.
상부 세척노즐은 바람직하게는 터브(120)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터브(120) 외주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세척노즐(127)은 상부 세척노즐(127)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드럼(130)의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형태로 분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세척노즐(127)은 후술할 급수부(140)의 전방 급수호스(146)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세척노즐(127)과 전방 급수호스(146)의 연결은 급수부(140)의 설명시 하도록 한다.
상기 드럼(130)은 터브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모터(12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드럼(130)의 내주면에는 터브(120)에 저수되는 세탁수가 드럼(13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홀(131)이 형성된다. 또한 드럼(130)의 내부면에는 드럼(130) 내부로 투입된 세탁물이 드럼(130)의 회전에 의해 유동될 수 있도록 드럼(130)의 내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리프터(13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120)와 드럼(130)은 수평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다르게는 터브(120)와 드럼(130)의 후방부가 전방부보다 밑으로 내려오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드럼(13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드럼(130)의 회전에 따라 세탁물의 유동시 세탁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31)은 돌출부의 중앙 또는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럼(130)의 전방 외주면 또는 후방 외주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 평면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평명부는 후술할 오염감지부(210, 220)의 감지 대상이 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40)는 외부 급수원(HW, CW)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제를 터브(120), 세제 디스펜서(150), 스팀발생장치(160) 등으로 공급하도록 다수의 급수밸브(143)와, 다수의 급수호스(144, 145, 146)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급수부(140)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급수원(HW)과,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급수원(CW)에 각각 온수호스(141)와 냉수호스(142)를 통해 연결되고, 온수호스(141)와 냉수호스(142)를 통해 유입된 물은 급수밸브(143)의 적절한 제어를 통해 세제 디스펜서(150), 스팀발생장치(160) 및/또는 급수노즐(191)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급수부(140)는 세제 디스펜서(150)로 물을 안내하기 위한 디스펜서 급수호스(144)와, 스팀발생장치(160)로 물을 안내하기 위한 스팀 급수호스(145)와, 급수노즐(191)로 물을 안내하기 위한 전방 급수호스(14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방 급수호스(146)에는 상부 세척노즐(127)과 연결되기 위한 상부 세척호스(147)가 분지될 수 있다. 상부 세척호스(147)는 전방 급수호스(146)로 세탁수가 공급됨에 따라 상부 세척노즐(127)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부 세척호스(127)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냉수호스(142), 디스펜서 급수호스(144) 등에 분지되어 상부 세척노즐(127)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공급밸브(미도시)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상부 세척노즐(127)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세제 디스펜서(150)는 예비 또는 본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표백제 등의 첨가제를 임시 저장하며, 급수부(140)의 급수에 따라 공급되는 세탁수와 첨가제를 혼합하여 터브(120)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세제 디스펜서(150)는 수용되는 첨가제들이 서로 섞이지 않고 분리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구획된 수용공간(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각 수용공간에는 개별적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제 디스펜서(150)는 캐비닛(110)의 내부로 함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세제 디스펜서 하우징(151)을 구비하며, 세제 디스펜서 하우징(151)에서 캐비닛(110)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드로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세제 디스펜서 하우징(151)은 급수 벨로우즈(152)를 통해 터브(120)와 연통된다. 따라서 급수부(140)에 의해 급수된 물이 세제 디스펜서(150)를 경유하며 첨가제와 혼합된 후, 세제 디스펜서 하우징(151)에 연결된 급수 벨로우즈(152)를 따라 터브(120)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60)는 급수부(140)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시키는 장치이다. 스팀발생장치(160)는 생성되는 스팀을 드럼(130)의 전방에서 공급하여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의 살균, 주름제거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70)는 터브(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터브(120)에서 세탁을 완료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것이다. 배수부(170)는 터브(120) 하부에 연결되는 배수 벨로우즈(171)와, 배수 벨로우즈(171)를 통해 배수되는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172)와, 배수펌프(172)에 의해 이동되는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호스(173) 및 배수펌프(172)에 의해 이동되는 세탁수를 터브로 순환 시키는 순환호스(17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호스(173)는 세탁기(100)의 외부에 구비되는 배수호스(173)에 트랩을 형성하여 연장될 수 있다. 순환호스(174)는 적어도 2개 이상 분기될 수 있으며 개스킷(190)의 양측에 형성되는 순환노즐(194)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펌프(172)가 작동되면 배수호스(173)를 통해 터브(120)의 세탁탁수가 배수되거나, 순환노즐(194)을 통해 터브(120)의 세탁수가 다시 터브(120)로 공급되어 질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수펌프(172)에는 배수펌프(172)에 의해 이동되는 물이 배수호스(173) 또는 순환호스(174)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유로를 설정하는 별도의 3방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수펌프(172)에는 하부 세척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하부 세척호스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세척호스는 배수펌프의 작동에 따라 하부 세척호스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다르게는 하부 세척호스(148)는 순환호스(174)에서 분지되어 하부 세척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공급밸브(미도시)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급수부(140)로부터 하부 세척노즐(128)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펌프(172)가 배수펌프의 기능과 순환펌프의 기능을 겸하도록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배수를 위한 펌프와 순환을 위한 펌프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건조장치(180)는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가열 순환하여 다시 터브(120) 내부로 안내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안내한다. 건조장치(180)는 터브(120)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덕트(181)와 이동되는 공기를 터브(120)로 안내하는 공급덕트(18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흡기덕트(181)와 공급덕트(182) 사이에는 공기를 이동시키는 압력을 형성하는 송풍팬(183)이 구비된다. 흡기덕트(181)는 터브(120)의 후방 외주면과 송풍팬(183)을 연결하고, 공급덕트(182)는 송풍팬(183)과 개스킷(190)을 연결한다. 또한, 공급덕트(182)의 내부에는 공급덕트(182)를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스킷(190)은 일측은 전면 캐비닛(111)과 결합되고, 타측은 터브(120)의 개구된 전면부의 둘레를 따라 결합된다. 이러한 개스킷(190)은 터브(120)의 진동에 따라 탄성적으로 접철됨으로써 진동을 완충시키는 벨로우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스킷(190)은 다소 간의 탄력성을 갖는 변형 가능한 또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개스킷(190)의 상부 후방에는 건조장치(180)의 공급덕트(182)가 연결되는 덕트 연결부(191)가 형성된다. 또한, 개스킷(190)의 상부 전방에는 급수노즐(191)이 위치하고, 내주면 하부 양측에는 드럼(130) 내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순환노즐(194)이 형성될 수 있다. 각 순환노즐(194)은 배수부(170)에서 연장되는 순환호스(174)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개스킷(190)의 내주면 상부 양측에는 대칭되는 형태로 끼임 방지돌기(193)가 개스킷(19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끼임 방지돌기(193)는 드럼(130) 회전의 영향으로 세탁물이 드럼(130)으로부터 이탈되어 개스킷(190)과 캐비닛(110), 특히 전면 캐비닛(111) 사이에 끼거나, 세탁 완료 후 도어(113) 개방 시 세탁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끼임 방지돌기(193)는 개스킷(190)의 내주면에서 세탁물 출입홀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끼임 방지돌기(193)는 복수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개스킷(190)의 수직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순환노즐(194)은 개스킷(190)의 하부에서 드럼(130)의 후방으로 세탁수를 분사함으로써 드럼 내부에 투입되는 세탁물을 고르게 적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의 오염감지부(210, 22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120) 및 드럼(130)에는 세탁수, 세제, 오염물질 등으로 인한 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드럼(130)의 내주면은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터브(120)의 내주면 및 드럼(130)의 외주면은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없어 오염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세탁기(100)에는, 세탁기(100) 내부의 오염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오염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오염감지부(210, 220)는 오염감지부(210, 220)의 감지 대상에 따라 2가지의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각각의 오염감지부(210, 220)에 대하여 분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각각의 오염감지부(210, 220)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오염감지부(210, 220)가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먼저,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 1오염감지부(2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 1오염감지부(210)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 1오염감지부(210)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오염감지부(210)는 터브(120) 내부면에 구비되어 터브(120) 내면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오염에 따라 변화되는 임피던스를 감지하여 터브(120) 내면의 오염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오염감지부(210)는 터브(120) 내면에 고정되어 터브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212)와, 베이스(212)의 표면에 형성되며 터브(120) 내면의 오염에 따라 변화되는 임피던스를 감지하는 다수의 전극(213a, 213b)과, 각 전극(213a, 213b) 중 일측 전극에 연결되는 전원선(214a)과 타측 전극(213a, 213b)에 연결되어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214b)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212)에는 전원선(214a) 및 신호선(214b)이 연결되는 다수의 전극(213a, 213b)이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12)는 그 형상이 터브(120)의 내면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베이스(212)의 크기가 터브(120) 내면의 곡률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경우 단순 평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베이스(212)가 단순 평면상으로 형성될 경우 터브(120) 내면에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연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 1오염감지부(210)는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베이스(212)가 연성을 갖지 않는다면 터브(120) 내면에 부착될 때 또는 세탁기(100)의 작동시 진동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212)가 연성을 가지면, 터브(120)의 반복적인 물리적 진동에도 높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베이스(212)는 터브(120) 내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터브(120)가 합성수지로 사출되어 제조될 경우 터브(120)의 사출시 터브(120)의 내면에 인서트되어 터브(120)와 함께 사출되어 제조될 수도 있다.
각 전극(213a, 213b)은 베이스(212)의 표면에 소정의 팬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전극(213a, 213b)은 전원선(214a)이 연결되는 제 1전극(213a)과, 신호선(214b)이 연결되는 제 2전극(213b)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전극(213a)과 제 2전극(213b)은 전원선(214a)과 신호선(214b)으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각 전극(213a, 213b)들 각각은 LC Tank 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LC tank 회로는 정전용량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진동 주파수량을 이용하여 정전용량 변화를 유추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LC Tank 회로를 이용하면 터브(120) 표면에 형성되는 오염 정도에 따라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전극(213a)과 제 2전극(213b)은 터브(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오염의 한 종류인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감지할 수 있다. 제 1전극(213a)과 제 2전극(213b)의 간격은 바이오필름을 감지하기위한 분해능에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전극(213a)과 제 2전극(213b) 사이의 간격은 터브(120) 내면에 형성되는 바이오필름의 조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전극(213a)과 제 2전극(213b)은 각각 마주하는 면이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전극(213a)의 제 2전극(213b)을 마주하는 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제 2전극(213b)의 제 1전극을 마주하는 면에는 제 1전극(213a)의 요철부에 대응되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전극(213a)의 요철부와 제 2전극(213b)의 요철부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됨으로써 제 1전극(213a)과 제 2전극(213b)의 감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전극(213a)과 제 2전극(213b) 사이의 임피던스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제 1전극(213a)에 전압을 인가됨에 따라 제 1전극(213a)과 제 2전극(213b) 사이의 임피던스가 제 2전극(213b)을 통하여 측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오염감지부(210)에서 감지되는 터브(120) 내면의 오염정도에 따라 제어부는 후술할 통세척 과정을 통하여 터브(120)의 내면의 오염을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오염감지부(210)는 터브(120)의 전방 내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터브(12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20a)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터브(120)의 전면부(120a)에는 제 1오염감지부(210)의 전원선(214a)과 신호선(214b)이 관통하여 터브(120)의 외부로 연장되기 위한 관통홀(129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 1오염감지부(210)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터브(120) 내면의 오염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 1전극(213a) 및 제 2전극(213b)에 의해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여 터브(120) 내면의 오염정도를 판단한다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 2오염감지부(2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 2오염감지부(220)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 2오염감지부(220)를 나타낸 부분간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오염감지부(220)는 터브(120) 내부면에 구비되어 드럼(130) 외면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오염에 따라 변화되는 표면조도에 따라 드럼(130) 외면의 오염을 감지할 수 있다.
제 2오염감지부(220)는 터브(120) 내주면에 위치하여 드럼(130)의 외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223a)와 발광부(223a)에 연결되어 발광부(223a)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224a)과, 터브(120) 내주면에 위치하여 드럼(130)의 외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223b)와, 수광부(223b)에 연결되어 수광부(223b)에서 수광되는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신호선(224b)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터브(120)의 내벽면에는 발광부(223a)와 수광부(223b)를 설치하기 위한 발광부 장착홀(129b)과, 수광부 장착홀(129c)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223a)와 수광부(223b)는 발광부 장착홀(129b)과, 수광부 장착홀(129c)을 관통하여 터브(120)의 외부에서 터브(120)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광부(223a)와 수광부(223b)가 터브(120) 벽면을 관통하지 않고 터브(120) 내벽면에 부착되거나, 고정되어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발광부(223a)는 터브(120)의 벽면에서 드럼(130)의 외주면을 향하여 소정 파장의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223a)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술한 드럼(130)의 평면부에 조사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223a)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로 구비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설정된 파장값 또는 파장영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수광부(223b)는 발광부(223a)에서 조사되어 드럼(130)의 외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223a)와 수광부(223b)의 배치 상태는 터브(120) 및 드럼(130)의 지름에 관계될 수 있으며, 발광부(223a)에서 조사되는 광의 확산각도 및 세기에 따라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광부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로 구비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상대적으로 반응시간이 짧은 특성을 가지며, 드럼(130)의 회전에 따라 드럼(130)의 회전시 반사되는 광를 효과적으로 수광할 수 있다.
따라서, 수광부(223b)는 발광부(223a)에서 조사되어 드럼(13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수광할 수 있으며, 수광부(223b)에서 수광되는 광은 드럼(130) 외주면의 오염정도에 따라 반사되는 세기가 다르게 감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오염감지부(220)에서 감지되는 드럼(130) 외면의 오염정도에 따라 제어부는 후술할 통세척 과정을 통하여 드럼(130)의 외면의 오염을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오염감지부(220)는 드럼(130)의 평면부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어 터브(12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130)의 평면부는 통상적으로 드럼의 전방 또는/ 및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 전방 또는/ 및 후방 내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제 2오염감지부(220)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드럼(130) 외면의 오염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발광부(223a) 및 수광부(223b)에 의해 드럼(130) 방사정도를 감지하여 드럼(130) 외면의 오염정도를 판단한다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작동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후술할 통세척과정은 제 1오염감지부(210)의 터브(120) 내면 오염감지 및 제 2오염감지부(220)의 드럼(130) 외면 오염감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르게는 사용자의 컨트롤패널의 조작을 통하여 오염감지와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되는 그래프들은 드럼의 회전속도(a), 터브(31)에 담긴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 주파수(b, 수위가 높을수록 수위 주파수 값은 낮음.), 프리밸브 작동(c), 온수밸브 작동(d), 냉수밸브 작동(e), 아토마이징(f), 스팀공급(g), 히터 작동(h), 스팀히터 작동(i), 순환펌프 작동(j), 배수 작동(k), 터브에 담긴 물의 온도(l), 터브로 급수된 물의 총량(m)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통세척 방법은, 크게 통세척을 위하여 터브(120) 내부를 예열하는 예비단계(S110)와, 터브(120) 내부의 온도를 통세척 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단계(S120)와, 드럼(130)을 회전시켜 터브(120) 내면과 드럼(130) 내외면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130)와, 터브(120)와 드럼(130)에 잔류하는 오염물을 분리하는 헹굼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비단계(S110)는 터브(120) 내로 드럼(130)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도록 급수를 하는 제 1급수단계(S111)와, 히터(123)를 작동하여 터브(120) 내에 담긴 물을 가열하는 제 1가열단계(S112)와, 세척노즐(127, 128)의 분사와 함께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제 1회전분사단계(S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급수단계(S111)는 급수부(140)의 급수밸브(143)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급수밸브(143)가 개방되어 전방 급수호스(146)를 통하여 급수가 이루어진다. 제어부는 수위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수위 주파수를 바탕으로 제 1설정 급수량(예를 들어, 3~4L) 만큼 급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급수부(140)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설정 급수량 만큼 급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터브(120) 내의 수위는 드럼(130)이 최하단보다 낮은 수위일 수 있다.
제 1가열단계(S112)는 히터(123)가 작동되어 터브(120)에 담긴 물이 가열된다. 여기서 제 1가열단계(S112)에서는 세척수를 제 1설정온도로 가열한다. 제 1설정온도는 약 40℃이다. 이때, 드럼(130)이 상기 제 1설정속도로 일정시간 동안 회전되었다가 정지하는 것이 복수회 반복된다. 상기 제 1설정속도는 60 내지 80rpm이고, 바람직하게는 70rpm이다.
여기서, 터브(120) 내에 담긴 물이 드럼(130)과의 마찰 작용에 의해 터브(120)의 내측면을 따라 상승된다. 이때, 수류는 드럼(130)의 회전방향으로 휘감어지는 형태를 이루며, 따라서, 드럼(130)의 외측면과 터브(120)의 내측면이 수류에 의해 적셔지게 된다.
제 1회전분사단계(S113)는 드럼(13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세척노즐(127, 128)을 통해 드럼(130)의 외주면에 세척수를 분사함과 동시에 드럼(130)을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세척노즐(127, 128)은 상부 세척노즐(127) 또는 하부 세척노즐(128)을 통해 동시 선택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세척노즐(128)을 통하여 히터(123)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 1가열단계(S112)에서 가열된 세척수는 배수되지 않은 상태이며 배수펌프(172)의 작동에 따라 하부 세척호스(148)를 통하여 가열된 세척수가 하부 세척노즐(128)을 통하여 드럼(130)의 외면으로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세척노즐(128)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드럼(130)의 외주면에 충돌하여 비산되면서 드럼(130)의 외주면을 일부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드럼(130)은 제 2설정속도로 고속 회전되면서 드럼의 외주면에 충돌되는 세척수를 비산시켜 터브의 내주면에 충돌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 2설정속도는 상기 제 1설정속도 보다는 높게 형성되며, 700rpm에서 800rp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750rpm까지 속도가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제 1회전분사단계(S113)에서 드럼(130)의 회전속도가 제 2설정속도로 증가될 때 적어도 1회 이상으로 일정속도를 유지하는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2설정속도로의 증가될 때 400~500rpm 사이 또는/및 550~650rpm 사이의 구간에 소정시간 동안 일정속도로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70rpm 또는/및 600rpm에서 소정시간 동안 일정속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럼(130)의 회전속도가 제 2설정속도로 증가될 때 특정구간에서 소정시간 동안 일정속도로 유지할 경우 드럼(130)의 회전시 드럼에서 발생되는 편심에 의한 진동, 공진, 소음 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1회전분사단계(S113)는 드럼(130)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으로의 회전과, 시계반대반향으로 회전이 반복되도록 적어도 1회 이상 회전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드럼(130)의 회전방향의 변경은 하부 세척노즐(128)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드럼(130)의 외면에 다른 각도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여 드럼(130) 표면의 세척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세척노즐(127, 128)을 통해 강한 수압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드럼(130)에 의해 튕겨지면서 드럼(130)의 내측면을 강력하게 세척할 뿐만 아니라, 드럼(130)의 회전에 의해, 드럼(130)의 외측으로 비산된 세척수가 터브(120)의 내측면을 강력하게 세척하게 된다.
상기 가열단계(S120)는 터브(120) 내로 추가로 세척수를 급수를 하는 제 2급수단계(S121)와, 급수된 세척수를 비교적 고온으로 가열하는 제 2가열단계(S122), 가열되는 세척수를 혼합함과 동시에 드럼(130) 및 터브(120) 외주면에 고르게 적시는 제 1회전단계(S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급수단계(S121)는 터브(120) 내부로 급수되는 세척수의 양을 증가시켜, 제 1회전단계(S123)에서 드럼(130)이 회전될 때 터브(120)에 투입된 세척수가 터브(120)의 전방 및 후방으로 확산될 수 있는 양이 급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8~12L의 세척수가 추가 급수될 수 있다.
한편, 제 2가열단계(S122)는 급수되는 세척수를 제 2설정온도로 가열한다. 제 2설정온도는 드럼(130)의 표면 및 터브(120)의 표면에 세균, 바이오필름 등을 살균 세척하기 위한 온도이다. 제 2설정온도는 세척수를 적어도 60~80℃의 범위에서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가열단계(S122)에서 세척수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70℃이상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회전단계(S123)는 드럼(130)을 약 150rpm 및 약 200rpm으로 반복하여 회전시키는 과정을 하나의 주기로 하여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반복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회전단계(S123)의 초기에는 드럼(130)의 회전속도를 약 150rpm 및 약 200rpm을 주기를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드럼(13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터브(120)에 추가 투입된 세척수가 터브(120) 전방에 위치하는 개스킷(190) 또는 터브(120) 후방면으로 확산되어 개스킷(190) 또는 터브(120) 후방면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제 1회전단계(S123)의 후기에는 드럼(130)의 회전속도를 약 150rpm 및 약 200rpm을 주기를 일정시간을 두고 반복하여 드럼(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드럼(13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터브(120)에 추가 투입된 세척수가 터브(120)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드럼(130)의 회전이 정지되었을 때 하중에 의해 터브(120) 하부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러한 세척수의 복귀에 의해 드럼(130)의 회전에 의해 세척수가 닫지 못하던 위치에 세척수가 반복적으로 이동되면서 드럼(130) 및 터브(120)를 세척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가열단계(S122)는 제 2급수단계(S121), 제 1회전단계(S123)가 진행되는 동안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며, 제 2급수단계(S121)와 제 1회전단계(S123)의 진행됨에 따라 세척수의 온도를 점차적으로 제 2설정온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세척단계(S130)는 드럼(130)을 일정간격, 일정속도로 반복하여 회전시켜 드럼(130)과 터브(120)의 표면에 세척수와의 물리적인 마찰로 세척을 진행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세척단계(S130)는 드럼(130)을 일정간격, 일정속도로 반복하여 회전시키는 제 2회전단계(S1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회전단계(S131)는 세척단계(S130)의 진행과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회전단계(S131)는 드럼(130)의 회전속도를 약 150rpm 및 약 200rpm을 주기를 반복하여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드럼(13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터브(120)에 추가 투입된 세척수가 터브(120)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드럼(130)의 회전이 정지되었을 때 하중에 의해 터브(120) 하부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러한 세척수의 복귀에 의해 드럼(130)의 회전에 의해 세척수가 닫지 못하던 위치에 세척수가 반복적으로 이동되면서 드럼(130) 및 터브(120)를 세척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회전단계(S131의 경우 드럼(130)의 회전 속도를 일정 시간동안(즉, 세척단계(S130)의 진행 중) 반복적으로 진행함으로써 드럼(130)의 회전에 의해 세척수가 터브(120) 내부에서 요동하여 드럼(130)과 터브(120) 외면에 물리적인 충격을 줄 수 있다. 이에 세척수에 의한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드럼(130)과 터브(120) 표면의 세척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헹굼단계(S140)는 예비단계(S110)와 가열단계(S120)에서 급수된 세척수를 배수하는 제 1배수단계(S141)와, 터브(120) 내부에 깨끗한 세척수를 급수하는 제 3급수단계(S142)와, 세척노즐(127, 128)의 분사와 함께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제 2회전분사단계(S143)와, 드럼(130) 및 터브(120)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을 헹구는 제 3회전단계(S144)와, 순환수를 공급하여 드럼(130) 및 터브(120)를 헹굼하는 투과헹굼단계(S145) 및 터브(120)에 저수된 세척수를 배수하는 제 2배수단계(S14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배수단계(S141)는 터브(120) 내부의 잔류하는 세척수를 배수부(170)를 통하여 배수될 수 있다. 한편, 터브(120) 내부에는 예비단계(S110), 가열단계(S120), 세척단계(S130)를 진행하면서 드럼(130)과 터브(120) 표면에서 이탈되는 오염물질 및 바이오필름들이 체류하는 상태이며 제 1배수단계(S141)는 이를 배수하는 것이다.
한편, 제 3급수단계(S142)는 터브(120) 내부에 새로운 세척수를 급수여 드럼과 터브 표면을 헹굼하기 위한 과정이다. 제 3급수단계(S142)는 급수부(140)의 급수밸브(143)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급수밸브(143)가 개방되어 전방 급수호스(146)를 통하여 급수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어부는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 주파수를 바탕으로 제 3설정 급수량(예를 들어, 3~4L) 만큼 급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급수부(140)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설정 급수량 만큼 급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터브(120) 내의 수위는 드럼(130)이 최하단보다 낮은 수위일 수 있다.
제 2회전분사단계(S143)는 드럼(13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세척노즐(127, 128)을 통해 드럼(130)의 외주면에 세척수를 분사함과 동시에 드럼(130)을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세척노즐(127, 128)은 상부 세척노즐(127) 또는 하부 세척노즐(128)을 통해 동시 선택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세척노즐(127)을 통하여 급수부(140)에서 공급되는 깨끗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세척노즐(127)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드럼(130)의 외주면에 충돌하여 비산되면서 드럼(130)의 외주면을 일부 헹굼할 수 있다. 또한, 드럼(130)은 제 2설정속도로 고속 회전되면서 드럼의 외주면에 충돌되는 세척수를 비산시켜 터브(120)의 내주면에 충돌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 2설정속도는 700rpm에서 800rp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750rpm까지 속도가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제 2회전분사단계(S143)에서 드럼(130)의 회전속도가 제 2설정속도로 증가될 때 적어도 1회 이상으로 일정속도를 유지하는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2설정속도로의 증가될 때 400~500rpm 사이 또는/및 550~650rpm 사이의 구간에 소정시간 동안 일정속도로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70rpm 또는/및 600rpm에서 소정시간 동안 일정속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럼(130)의 회전속도가 제 2설정속도로 증가될 때 특정구간에서 소정시간 동안 일정속도로 유지할 경우 드럼(130)의 회전시 드럼에서 발생되는 편심에 의한 진동, 공진, 소음 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세척노즐(127, 128)을 통해 강한 수압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드럼(130)에 의해 튕겨지면서 드럼(130)의 내측면을 강력하게 헹굼할 뿐만 아니라, 드럼(130)의 회전에 의해, 드럼(130)의 외측으로 비산된 세척수가 터브(120)의 내측면을 강력하게 헹굼하게 된다.
한편, 제 3회전단계(S144)는 드럼(130)을 약 150rpm 및 약 200rpm으로 1~2회 반복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3회전단계(S144)의 초기에는 드럼(130)의 회전속도를 약 200rpm으로 1~2회 간헐 회전시키고, 150rpm으로 1~2회 간헐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드럼(13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터브(120)에 투입된 세척수가 터브(120) 전방에 위치하는 개스킷(190) 또는 터브(120) 후방면으로 확산되어 개스킷(190) 또는 터브(120) 후방면을 헹굼할 수 있다.
한편, 투과헹굼단계(S145)는 개스킷(190)에 구비되는 순환노즐(194)을 통하여 드럼(130)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고, 드럼(130)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드럼(130) 내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드럼(130)의 관통홀(131)을 통과하여 터브(120)의 내벽을 헹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투과헹굼단계(S145)는 제 3급수단계(S142)에서 급수되는 세척수가 배수펌프(172)의 작동에 의해 순환호스(174)를 통하여 순환노즐(194)로 공급된다. 여기서 순환노즐(194)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드럼(130)의 내주면으로 확산되면서 분사되고 드럼(130)의 내주면을 헹굼하게 된다.
여기서, 드럼(130)은 제 2설정속도로 고속 회전되면서 드럼(130)의 내주면에 충돌되는 세척수가 원심력에 의해 드럼(130) 관통공(131)을 통과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 2설정속도는 700rpm에서 800rp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750rpm까지 속도가 상승될 수 있다.
한편, 드럼(130)의 원심력에 의해 관통공(131)을 통과한 세척수는 드럼(130)의 외주면 표면에서 비산되어 터브(120)의 내주면에 충돌하게 되며, 터브(120)의 내면은 세척수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헹굼이 진행될 수 있다.
제 2배수단계(S146)는 헹굼단계(S140)에서 투입되어 드럼(130)과 터브(120)를 헹굼한 세척수를 배수부(170)의 배수펌프(172)를 이용하여 배수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세탁기 110: 캐비닛
111: 전면 캐비닛 112: 출입홀
113: 도어 114: 컨트롤 패널
115: 측면 캐비닛 116: 상면 캐비닛
117: 베이스 120: 터브
123: 히터 127: 상부 세척노즐
128: 하부 세척노즐 130: 드럼
131: 관통홀 140: 급수부
141: 온수호스 142: 냉수호스
143: 급수밸브 144: 디스펜서 급수호스
146: 전방 급수호스 147: 하부 세척호스
148: 상부 세척호스 160: 스팀 발생장치
170: 배수부 172: 배수펌프
173: 배수호스 174: 순환호스
180: 건조장치 182: 공급덕트
190: 개스킷 191: 급수노즐
194: 순환노즐 210: 제 1오염감지부
212: 베이스 213a: 제 1전극
213b: 제 2전극 220: 제 2오염감지부
223a: 발광부 223b: 수광부

Claims (10)

  1.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세탁수가 저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와,
    세탁물이 수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터브 내부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 또는 상기 드럼의 오염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터브 내면상에 설치되는 오염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감지부는
    상기 터브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 내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전원선이 연결되는 제 1전극과,
    상기 제 1전극에 대하여 소정간격 이격되며, 신호선이 연결되는 제 2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터브의 내면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터브의 사출시 인서트되어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극과 상기 제 2전극은 서로 이격되는 평행한 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일전한 간격을 갖는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감지부는 상기 터브의 전방 내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감지부는
    상기 터브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의 외면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터브 내주면에 상기 발광부에 대하여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 중앙부에는 탈수공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외주면 전방 또는 후방에는 평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평면부에 광을 조사하며, 상기 수광부는 상기 평면부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평면부에 소정의 입사각을 갖도록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광부는 상기 입사각에 대응되는 반사각으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210064198A 2021-05-18 2021-05-18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20156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198A KR20220156321A (ko) 2021-05-18 2021-05-18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198A KR20220156321A (ko) 2021-05-18 2021-05-18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321A true KR20220156321A (ko) 2022-11-25

Family

ID=8423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198A KR20220156321A (ko) 2021-05-18 2021-05-18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63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4200B2 (en) Washing machine
JP4448843B2 (ja) 洗濯機
KR100763386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EP1111119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with turbidity sensor
JP2008054826A (ja) ドラム式洗濯機
CN109750443B (zh) 洗衣干燥机
JP2004057821A (ja) 洗濯機
KR102522794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JP2011056193A (ja) ドラム式洗濯機
US9121122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41415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70041416A (ko) 세탁물 처리기기
JP5077378B2 (ja) 洗濯機
JP2017029248A (ja) 洗濯機
KR102528673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20156321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08054825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4100428A (ja) 洗濯機
JP4460557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95716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6890440B2 (ja) 洗濯乾燥機
JP5198621B2 (ja) 洗濯機
JP5537514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3099393A (ja) 洗濯機
JP2012245020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