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7408A -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7408A
KR20240097408A KR1020220179433A KR20220179433A KR20240097408A KR 20240097408 A KR20240097408 A KR 20240097408A KR 1020220179433 A KR1020220179433 A KR 1020220179433A KR 20220179433 A KR20220179433 A KR 20220179433A KR 20240097408 A KR20240097408 A KR 20240097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drum
tub
contamination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찬우
차승철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9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740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3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ing machine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전방 외주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 상기 드럼의 외주면의 오염을 감지하는 오염감지부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 감지단계;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세탁 조건을 가변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단계;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헹굼하는 헹굼단계; 헹굼이 완료된 세탁물의 세탁수를 탈수하는 탈수단계; 및 상기 오염감지부에서 상기 드럼 외주면의 오염정도를 판단하는 오염도 판단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염도 판단단계는 상기 드럼의 오염도가 설정 오염도를 초과할 경우 드럼 외주면과 터브 외주면을 세척하는 통세척 단계를 진행하며, 상기 드럼의 오염도가 설정 오염도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세탁과정을 종료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오염도를 판단하고, 오염도에 따라 세탁기의 세탁조를 세척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세탁조 내에 세탁물 및 세제를 투입하여 세탁을 시작하는 세탁장치이다. 세탁기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움직이는 드럼과, 드럼을 감싸고 있는 터브로 구성된다. 세탁기를 사용하면 세탁 또는 탈수 후 오염물이 세탁조에 잔존하여 쌓이게 되며, 세탁기를 사용하는 횟수, 사용하는 세제량, 세탁기 설치 환경, 사용자의 생활 습관에 따라 드럼과 터브의 오염이 되는 정도가 다르다. 여기서, 드럼과 터브에서 발생하는 오염의 경우 물때, 바이오필름 등과 같이 드럼과 터브의 표면에 장시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물때의 경우 세탁기의 장시간 사용시 세탁물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과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세제 등이 드럼과 터브의 표면에 고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물때의 경우 사용자가 인지할 경우 시각적으로 좋이 않은 영향을 발생하며, 세탁시 장시간 고착된 물때가 탈락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바이오필름은 미생물에 의하여 형성된 미생물 복합체를 이루는 막으로 생물막 또는 균막이라고도 불리우며, 균들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바이오필름은 각종 균들의 집합체임과 동시에, 균 집단의 보호막 기능을 하기 때문에, 균으로 인한 각종 질병의 직/간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34396호(공개일 1999년05월15일, 명칭: 세탁기의 세탁조 오염표시 제어 시스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에는 세탁조(23)의 내/외벽의 오염상태를 감지할수 있도록 저수조(23)의 소정부위측에 설치시킨 광센서를 포함한 청결감지부(12)와, 사용자의 세탁조 청결감지 모드키 입력이 있을 때 청결감지부(12)로 부터 감지된 세탁조 내외벽의 청결 상태를 감지하여 오염 상태에 따라 그 상태를 표시부(14)에 표시하고 필요에 따라 청결수 공급 구동부(15)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3)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3)의 제어하에 오염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4) 및 샤워급수 등을 구동하는 청결수 공급 구동부(15)를 포함하는 세탁기가 게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르면 세탁조의 내/외주벽에 붙어있는 각종 오염층들을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가 알리며, 세탁조의 청소를 수행하는 것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경우 청결감지부(12)를 구성하는 광센서에 의해 세탁조의 오염도를 온/오프 기능만으로 판별하고, 온/오프 판별에 따라 세탁조를 세탁하는 것으로, 연속적인 오염의 판단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경우 세탁조의 오염부위가 특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경우 국부적인 온/오프 감지만으로 세탁조의 세척을 진행함으로 다양한 형태의 오염에 대응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경우 세탁조의 다양한 부위에 오염이 발생함에 따른 특정 오염부위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방법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세탁조의 오염 형태에 따른 세척방법의 필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탁기의 드럼의 오염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탁기의 드럼의 오염 정도에 따라 세탁 후 통세척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전방 외주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 상기 드럼의 외주면의 오염을 감지하는 오염감지부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 감지단계;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세탁 조건을 가변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단계;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헹굼하는 헹굼단계; 헹굼이 완료된 세탁물의 세탁수를 탈수하는 탈수단계; 및 상기 오염감지부에서 상기 드럼 외주면의 오염정도를 판단하는 오염도 판단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염도 판단단계는 상기 드럼의 오염도가 설정 오염도를 초과할 경우 드럼 외주면과 터브 외주면을 세척하는 통세척 단계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세탁물을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한 도어와,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며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오염도 판단단계 이후에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상기 통세척 단계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도어개방 감지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어개방 감지단계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지 않거나, 상기 도어가 개방된 후 폐쇄되지 않을 경우 상기 통세척단계를 진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개방 감지단계는 상기 도어가 개방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폐쇄될 경우 상기 통세척단계를 진행하며, 상기 도어가 개방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고 폐쇄될 경우 상기 통세척단계를 진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 개방부는 상기 통세척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오염도 판단단계는 상기 드럼의 오염도가 설정 오염도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세탁과정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포량 감지단계의 진행 중 상기 오염감지부에서 상기 드럼의 오염도를 판단하며, 상기 세탁단계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예비 오염도 판단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예비 오염도 판단단계에서 상기 드럼의 오염정도가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세탁과정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예비 오염도 판단단계에서 상기 드럼의 오염정도가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컨트롤패널 또는 알람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알림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세척단계는 상기 세척노즐을 통하여 상기 드럼의 전방 외주면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드럼 외주면을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세척단계는 상기 세척노즐에서 세척수가 분사됨과 동시에 상기 드럼을 일정속도로 가속 및 감속을 반복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따르면, 세탁기의 드럼의 오염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따르면, 세탁기의 드럼의 오염정도에 따라 세탁 후 통세척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통세척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의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척노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세탁기(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120)와, 터브(12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130)과, 터브(120)로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부(140)와, 급수부(140)에서 공급되는 물과 세제를 혼합하여 터브(120)로 공급하는 세제 디스펜서(150)와, 급수부(140)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터브(120)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160) 세탁을 완료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부(170), 터브의 공기를 가열하여 공급/순환시키는 건조장치(18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세탁기는 캐비닛(110)과 터브(120) 사이에는 개스킷(190)이 구비된다. 개스킷(190)은 터브(120)에 저수된 물이 터브(120)와 캐비닛(110)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개스킷(190)의 상부에는 상기 급수원(HW, CW)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드럼(130)의 내부로 공급함과 동시에 개스킷(190)의 내면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노즐(191)을 구비되며, 개스킷(190)의 양측에는 터브(120)로 급수된 세탁수가 배수부(170)에 의해 순환되어 다시 터브(120)로 순환 공급되기 위한 순환노즐(19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세탁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세탁기(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캐비닛(115)과, 세탁기(100)의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7)와,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출입홀(112)이 형성되고 측면 캐비닛(115)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캐비닛(111)과, 측면 캐비닛(115)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면 캐비닛(116) 및 전면 캐비닛(111)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세탁물 출입홀(112)을 개폐하는 도어(113)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면 캐비닛(111)의 상부에는 컨트롤 패널(114)이 구비된다. 컨트롤 패널(114)은 사용자로부터 코스 선택을 입력받는 코스 선택부(114a)와,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고 세탁기(100)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1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113)는 세탁기(100) 외부에서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글래스(113a)가 구비될 수 있다. 글래스(113a)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어(113)가 닫힌 상태에서 글래스(113a)의 선단이 드럼(130) 내측까지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10)에는 도어(113)를 소정 간격 개방하기 위한 도어 개방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어 개방부는 세탁물의 세탁완료, 건조완료 또는 통세척 완료 이후에 도어(113)를 일정 간격으로 개방함으로써 세탁이 완료된 상태를 사용자게 알릴 수 있으며, 세탁물의 건조완료후 터브(120) 내부에 잔류하는 열기 및 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어 통세척이 완료된 이후에 도어(113)를 일정 간격 개방함으로써 세척이 완료된 터브(120) 내부의 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방부는 도어(113)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도어 개방부는 도어(113) 개폐에 따라 세탁과정의 완료 후 사용자가 세탁물을 세탁기 내부에서 인출하기위하여 도어(113)를 개방감지하고, 도어(113)의 개방 이후에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사용자가 도어(113)를 폐쇄함에 따라 사용자가 세탁물을 인출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터브(120)는 캐비닛(110)의 내부에 매달리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120)의 후방에는 상기 드럼(130)을 회전시키 위한 모터(121)와 회전축(122)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드럼(130)은 모터(121)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드럼(130)에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직접구동방식과 간접구동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구동방식은 모터의 회전축이 드럼(130)과 직접 체결되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축과 드럼(130)의 중심이 동일 선상에 정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이러한 직접구동방식을 따른 것으로, 터브(120)의 후방에 구비된 모터(121)에 의해 드럼(130)이 회전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후술하는 간접구동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간접구동방식은 모터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전달하는 밸트(belt)나 풀리(pully) 등의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하여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축과 드럼(130)의 중심이 반드시 동일 선상에 정렬될 필요는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터브(120)는 드럼(130)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이 완충될 수 있도록, 터브(120)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캐비닛(110)에 매달릴 수 있고, 또한 터브(12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댐퍼(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터브(120) 내부에는 터브(120) 내에 저수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1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터브(120)의 전방에는 터브(120) 자체의 중량을 증가시켜 터브의 진동 한계를 상향시키는 웨이트(11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터브(120)의 전방 외주면에는 드럼(130)의 외주면 및 터브(120)의 내주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별도의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노즐(127, 128)들이 구비될 수 있다. 세척노즐(127, 128)은 터브(12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130)의 외주면에 직접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드럼(130)의 외주면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여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드럼(130)의 외주면에 세척수가 분사될 때 드럼(130)은 고속으로 회전되어 질 수 있다. 드럼(130)의 외주면에 세척수사 분사됨과 동시에 드럼(130)이 고속으로 회전될 경우 드럼(13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드럼(130)의 외주면에 잔류하는 세척수가 비산되면서 터브(120)의 내주면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여 터브(120) 내주면의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터브(120)에 구비되는 세척노즐(127, 128)들은 터브(120) 전방 외주면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세척노즐(128)과, 터브(120) 전방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세척노즐(127)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세척노즐(128)은 바람직하게는 터브(120)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터브(120) 외주면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세척노즐(128)은 하부 세척노즐(128)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드럼(130)의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형태로 분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세척노즐(128)은 후술할 배수부(170)의 배수펌프(172)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세척노즐(128)과 배수펌프(172)의 연결은 배수부(170)의 설명시 하도록 한다.
상부 세척노즐은 바람직하게는 터브(120)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터브(120) 외주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세척노즐(127)은 상부 세척노즐(127)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드럼(130)의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형태로 분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세척노즐(127)은 후술할 급수부(140)의 전방 급수호스(146)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세척노즐(127)과 전방 급수호스(146)의 연결은 급수부(140)의 설명시 하도록 한다.
상기 드럼(130)은 터브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모터(12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드럼(130)의 내주면에는 터브(120)에 저수되는 세탁수가 드럼(13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홀(131)이 형성된다. 또한 드럼(130)의 내부면에는 드럼(130) 내부로 투입된 세탁물이 드럼(130)의 회전에 의해 유동될 수 있도록 드럼(130)의 내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리프터(13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120)와 드럼(130)은 수평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다르게는 터브(120)와 드럼(130)의 후방부가 전방부보다 밑으로 내려오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40)는 외부 급수원(HW, CW)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제를 터브(120), 세제 디스펜서(150), 스팀발생장치(160) 등으로 공급하도록 다수의 급수밸브(143)와, 다수의 급수호스(144, 145, 146)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급수부(140)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급수원(HW)과,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급수원(CW)에 각각 온수호스(141)와 냉수호스(142)를 통해 연결되고, 온수호스(141)와 냉수호스(142)를 통해 유입된 물은 급수밸브(143)의 적절한 제어를 통해 세제 디스펜서(150), 스팀발생장치(160) 및/또는 급수노즐(191)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급수부(140)는 세제 디스펜서(150)로 물을 안내하기 위한 디스펜서 급수호스(144)와, 스팀발생장치(160)로 물을 안내하기 위한 스팀 급수호스(145)와, 급수노즐(191)로 물을 안내하기 위한 전방 급수호스(14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방 급수호스(146)에는 상부 세척노즐(127)과 연결되기 위한 상부 세척호스(147)가 분지될 수 있다. 상부 세척호스(147)는 전방 급수호스(146)로 세탁수가 공급됨에 따라 상부 세척노즐(127)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부 세척호스(127)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냉수호스(142), 디스펜서 급수호스(144) 등에 분지되어 상부 세척노즐(127)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공급밸브(미도시)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상부 세척노즐(127)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세제 디스펜서(150)는 예비 또는 본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표백제 등의 첨가제를 임시 저장하며, 급수부(140)의 급수에 따라 공급되는 세탁수와 첨가제를 혼합하여 터브(120)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세제 디스펜서(150)는 수용되는 첨가제들이 서로 섞이지 않고 분리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구획된 수용공간(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각 수용공간에는 개별적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제 디스펜서(150)는 캐비닛(110)의 내부로 함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세제 디스펜서 하우징(151)을 구비하며, 세제 디스펜서 하우징(151)에서 캐비닛(110)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드로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세제 디스펜서 하우징(151)은 급수 벨로우즈(152)를 통해 터브(120)와 연통된다. 따라서 급수부(140)에 의해 급수된 물이 세제 디스펜서(150)를 경유하며 첨가제와 혼합된 후, 세제 디스펜서 하우징(151)에 연결된 급수 벨로우즈(152)를 따라 터브(120)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60)는 급수부(140)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시키는 장치이다. 스팀발생장치(160)는 생성되는 스팀을 드럼(130)의 전방에서 공급하여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의 살균, 주름제거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70)는 터브(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터브(120)에서 세탁을 완료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것이다. 배수부(170)는 터브(120) 하부에 연결되는 배수 벨로우즈(171)와, 배수 벨로우즈(171)를 통해 배수되는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172)와, 배수펌프(172)에 의해 이동되는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호스(173) 및 배수펌프(172)에 의해 이동되는 세탁수를 터브로 순환 시키는 순환호스(17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호스(173)는 세탁기(100)의 외부에 구비되는 배수호스(173)에 트랩을 형성하여 연장될 수 있다. 순환호스(174)는 적어도 2개 이상 분기될 수 있으며 개스킷(190)의 양측에 형성되는 순환노즐(194)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펌프(172)가 작동되면 배수호스(173)를 통해 터브(120)의 세탁탁수가 배수되거나, 순환노즐(194)을 통해 터브(120)의 세탁수가 다시 터브(120)로 공급되어 질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수펌프(172)에는 배수펌프(172)에 의해 이동되는 물이 배수호스(173) 또는 순환호스(174)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유로를 설정하는 별도의 3방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수펌프(172)에는 하부 세척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하부 세척호스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세척호스는 배수펌프의 작동에 따라 하부 세척호스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다르게는 하부 세척호스(148)는 순환호스(174)에서 분지되어 하부 세척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공급밸브(미도시)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급수부(140)로부터 하부 세척노즐(128)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펌프(172)가 배수펌프의 기능과 순환펌프의 기능을 겸하도록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배수를 위한 펌프와 순환을 위한 펌프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건조장치(180)는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가열 순환하여 다시 터브(120) 내부로 안내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안내한다. 건조장치(180)는 터브(120)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덕트(181)와 이동되는 공기를 터브(120)로 안내하는 공급덕트(18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흡기덕트(181)와 공급덕트(182) 사이에는 공기를 이동시키는 압력을 형성하는 송풍팬(183)이 구비된다. 흡기덕트(181)는 터브(120)의 후방 외주면과 송풍팬(183)을 연결하고, 공급덕트(182)는 송풍팬(183)과 개스킷(190)을 연결한다. 또한, 공급덕트(182)의 내부에는 공급덕트(182)를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스킷(190)은 일측은 전면 캐비닛(111)과 결합되고, 타측은 터브(120)의 개구된 전면부의 둘레를 따라 결합된다. 이러한 개스킷(190)은 터브(120)의 진동에 따라 탄성적으로 접철됨으로써 진동을 완충시키는 벨로우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스킷(190)은 다소 간의 탄력성을 갖는 변형 가능한 또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개스킷(190)의 상부 후방에는 건조장치(180)의 공급덕트(182)가 연결되는 덕트 연결부(191)가 형성된다. 또한, 개스킷(190)의 상부 전방에는 급수노즐(191)이 위치하고, 내주면 하부 양측에는 드럼(130) 내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순환노즐(194)이 형성될 수 있다. 각 순환노즐(194)은 배수부(170)에서 연장되는 순환호스(174)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개스킷(190)의 내주면 상부 양측에는 대칭되는 형태로 끼임 방지돌기(193)가 개스킷(19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끼임 방지돌기(193)는 드럼(130) 회전의 영향으로 세탁물이 드럼(130)으로부터 이탈되어 개스킷(190)과 캐비닛(110), 특히 전면 캐비닛(111) 사이에 끼거나, 세탁 완료 후 도어(113) 개방 시 세탁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끼임 방지돌기(193)는 개스킷(190)의 내주면에서 세탁물 출입홀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끼임 방지돌기(193)는 복수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개스킷(190)의 수직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순환노즐(194)은 개스킷(190)의 하부에서 드럼(130)의 후방으로 세탁수를 분사함으로써 드럼 내부에 투입되는 세탁물을 고르게 적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120) 및 드럼(130)에는 세탁수, 세제, 오염물질 등으로 인한 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드럼(130)의 내주면은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터브(120)의 내주면 및 드럼(130)의 외주면은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없어 오염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세탁기(100)에는, 세탁기(100) 내부의 오염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오염감지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감지부(210)는 터브(120)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터브(120) 전방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오염감지부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드럼의 오염감지를 할 수 있는 위치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드럼(130)의 경우 터브(12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드럼(130)의 내주면에는 드럼(130)의 회전에 따라 세탁물의 유동시 세탁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의 중앙 또는 사이에 관통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럼(130)의 전방 외주면 또는 후방 외주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 평면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평명부는 오염감지부(210)의 감지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오염감지부(210)는 터브(120) 내부면에 구비되어 드럼(130) 외면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오염에 따라 변화되는 표면조도에 따라 드럼(130) 외면의 오염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오염감지부(210)는 터브(120) 내주면에 위치하여 드럼(130)의 외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미도시)와 터브(120) 내주면에 위치하여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드럼(130)의 외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미도시)와, 발광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수광부에 연결되어 수광부에서 수광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로 구비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설정된 파장값 또는 파장영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수광부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로 구비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상대적으로 반응시간이 짧은 특성을 가지며, 드럼(130)의 회전에 따라 드럼(130)의 회전시 반사되는 광를 효과적으로 수광할 수 있다.
한편, 발광부는 터브(120)의 벽면에서 드럼(130)의 외주면을 향하여 소정 파장의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술한 드럼(130)의 전방 외주면 또는 후방 외주면에 형성되는 평면부에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수광부는 발광부에서 조사되어 드럼(130)의 외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와 수광부의 배치 상태는 터브(120) 및 드럼(130)의 지름에 관계될 수 있으며,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확산각도 및 세기에 따라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광부는 발광부에서 조사되어 드럼(130)의 평면부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할 수 있으며, 수광부에서 수광되는 광은 드럼(130) 외주면의 오염정도에 따라 반사되는 세기가 다르게 감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오염감지부(210)에서 감지되는 드럼(130) 전방 및 후방의 오염정도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후술할 통세척 과정을 통하여 드럼(130)의 외면의 오염을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오염감지부(220)는 드럼(130)의 평면부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어 터브(12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130)의 평면부는 통상적으로 드럼의 전방 또는/ 및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 전방 또는/ 및 후방 내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작동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척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세탁기는 통세척과정이 포함된 세탁행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세탁기의 일반적인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건조행정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행정은 드럼에 투입된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 감지단계(S110), 세탁물의 세탁 이전에 드럼(130)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제 1오염도 판단단계(S120), 세탁물의 세탁을 진행하는 세탁단계(S130),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의 헹굼을 진행하는 헹굼단계(S140), 헹굼이 완료된 세탁물의 세탁수를 탈수하는 탈수단계(S150), 탈수가 완료된 드럼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제 2오염도 판단단계(S160), 제 2오염도 판단단계(S160)에 따라 통세척단계(S18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1오염도 판단단계(S120)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드럼(130)의 오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알림단계(S125), 제 2오염도 판단단계(S160)의 결과에 따라 도어(113)의 개방을 감지하여 세탁물이 인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통세척단계(S180)의 진행여부를 결정하는 도어개방 감지단계(S170) 및 통세척단계(S180)가 완료된 이후에 도어(113)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단계(S1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량 감지단계(S110)는 드럼(130)에 투입된 세탁물의 구동모터(121)에 의해 드럼(130)을 일정시간/일정속도로 회전시키면서 구동모터(121)에서 소모되는 전류량을 감지하고, 구동모터(12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 후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 드럼(130)이 관성 회전될 때 구동모터(121)에 구비되는 홀센서(미도시)를 통하여 드럼(130)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여기서, 검출된 구동모터(121)의 전류량과 드럼(130)의 관성회전수를 기 설정된 건포 테이블(미도시)과 비교하여 드럼(130)에 투입된 세탁물의 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 1오염도 판단단계(S120)는 상술한 포량 감지단계에서 포량의 감지를 위하여 드럼(130)을 회전시킬 때 오염감지부(210)에서 드럼(130)의 외면에 광을 조사하여 드럼의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오염감지부(210)는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광이 드럼(130)의 외주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부에서 수광되며, 수광부에서 감지되는 광량에 따라 드럼(130)의 오염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오염도 판단단계(S120)에서 감지되는 드럼(130)의 오염정도가 설정된 제 1설정값과 비교하여 제 1설정값보다 클 경우 세탁과정의 진행을 중지할 수 있다. 여기서, 드럼(130)의 오염정도가 제 1설정값보다 클 경우 세탁과정을 중지하기 이전에 컨트롤 패널(114)의 표시부(114b)를 통하여 사용자에 드럼(130)에 오염이 발생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세탁단계(S130)는 세탁세제가 혼합된 물을 세탁물에 적신 후 드럼(130)을 회전하여 세탁물로부터 오염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세탁단계(D130)는 세탁수 급수, 포처리, 세탁수 배수, 포분산 및 간이탈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수 급수는 외부수원으로부터 물을 터브(120) 내로 공급하고 세탁물에 세탁세제가 혼합된 물을 적시는 과정이다. 세탁수의 급수 시 급수되는 세탁수의 양은 포량 감지단계(D110)에서 판단되는 세탁물의 포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포처리는 드럼(130)을 다양한 속도 및/또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세탁물에 굴신력 마찰력 또는 충격력 등 기계력을 가하여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이이다. 세탁수 배수는 세탁이 완료된 세탁수의 터브(120) 내의 물을 케비닛(110)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이다. 포분산은 드럼(130)의 가속과 감속을 반복하여 세탁물을 분산하여 탈수단계(S150)시 세탁물의 편심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과정이다. 간이탈수는 세탁물에 적셔진 세탁수와 세제가 빠져 나가도록 드럼(130)을 고속으로 회전하는 단계이다.
상기 헹굼단계(S140)는 세탁물을 세탁수에 적신 후 드럼(130)을 회전하여 세탁물의 잔류 세탁세제를 제거하기 위한 행정이다. 여기서, 헹굼단계(S140)는 헹굼수 급수, 포처리, 헹굼수 배수, 포분산 및 헹굼 간이탈수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헹굼단계(S140)에서의 헹굼수 급수, 포처리, 헹굼수 배수, 포분산은 세탁단계(S130)에서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탈수단계(S150)는 드럼(130)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세탁물을 최종적으로 탈수하는 행정이다. 탈수단계(S150)는 터브(120) 내의 물을 케비닛(110)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와, 드럼(130)의 가속과 감속을 반복하여 세탁물을 분산하는 포분산과, 드럼(130)을 고속으로 회전하여 세탁물을 탈수하는 최종탈수의 단계로 진행된다. 최종탈수에서 드럼(130)의 최고 회전속도는 세탁 간이탈수 또는 헹굼 간이탈수에서의 드럼(130) 최고 회전속도보다 높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오염도 판단단계(S160)는 세탁과정(세탁단계(S130), 헹굼단계(S140), 탈수단계(S150))가 완료된 상태에서의 드럼(130)의 오염도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제 1오염도 판단계(S120)에서의 오염도는 세탁과정이 진행되면서 세탁물의 세탁에 따라 드럼(130)의 오염이 일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과정의 진행 전 및 진행 후의 드럼(130) 오염도를 판단하여 통세척 단계(S180)의 진행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오염도 판단단계(S160)는 상술한 제 1오염도 판단단계(S120)와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드럼(130)의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오염도 판단단계(S160)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제 2오염도 판단단계(S160)에서 감지되는 드럼(130)의 오염정도가 설정된 제 2설정값과 비교하여 제 2설정값보다 클 경우 통세척 단계(S180)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오염도 판단단계(S160)에서 감지되는 드럼(130)의 오염정도가 설정된 제 2설정값과 비교하여 제 2설정값보다 작을 경우 통세척 단계(S180)를 진행하지 않고 세탁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오염도 판단단계(S160) 이후에는 사용자가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의 인출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세탁물의 인출은 도어(113)의 개방 및 폐쇄를 감지하는 도어개방 감지단계(S170)를 통하여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세탁과정이 완료된 이후 별도의 알림(표시부(114b) 또는 알람)을 통하여 세탁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세탁과정가 완료됨에 따라 도어(113)를 개방하고 세탁물을 인출한 다음 도어(113)를 폐쇄한다.
따라서, 도어개방 감지단계(S170)는 세탁과정 이후에 도어(113)가 개방되는 시점과 도어(113)가 개방된 이후에 일정시간(즉, 사용자가 세탁물을 인출하는 소정 시간 이상)이 경과된 이후에 도어(113)가 폐쇄될 경우 사용자가 세탁물을 인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어개방 감지단계(S170)에서 세탁과정 이후 도어(113)의 개방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고 도어(113)가 폐쇄된 경우 세탁물이 인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통세척단계(S180)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세탁과정 이후 도어(113)의 개방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고 도어(113)가 폐쇄된 경우, 도어(113)의 개방 후 도어가 폐쇄되지 않은 경우, 또는 도어(113)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 세탁물이 인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세탁물 인출을 대기할 수 있다.
상기 통세척단계(S180)는 드럼(130)의 외주면에 발생된 오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드럼(13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드럼(130)의 외주면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드럼(130) 외주면에 발생된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통세척단계(S180)는 세척수를 드럼(130)의 하부가 잠길 정도로 급수하는 세척 급수단계와, 드럼(130)을 일정속도까지 가속 및 감속 시키는 드럼 회전단계와, 드럼(130)의 외주면에 세척노즐(127, 128)을 통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척수 급수단계의 진행과 동시에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드럼 회전단계는 드럼(130)의 하부가 세척수에 잠긴 상태에서 드럼(130)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는 드럼(130)의 원심력에 의해 드럼(130)의 외주면과 터브(120)의 내주면 사이 공간으로 급수된 세척수가 유동되면서 드럼(130) 외주면과 터브(120) 내주면의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세척 급수단계는 터브(120)에 구비되는 상부 세척노즐(127)과 하부 세척노즐(128)을 이용하여 드럼(130) 외주면에 직접 세척수가 급수되어 드럼(130) 외주면을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세척노즐(127)과 하부 세척노즐(128)을 이용한 세척수의 급수와 동시에 드럼(130)을 일정속도로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통세척 단계(S180)에서의 드럼(130) 회전은 일정속도로의 가속과 감속을 반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130)의 회전속도는 200~450rpm을 유지하도록 하며, 가속과 감속을 반복적으로 진행하며, 가속과 감속을 일정시간(3~5분) 간격으로 회전과 정지 및 정역회전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드럼 회전단계는 통세척단계(S180)의 종료 이전에 드럼(130)의 회전 속도를 450~700rpm으로 가속하여 드럼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원심력에 의해 이탈 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단계(S190)는 통세척단계(S180)가 완료된 이후에 드럼(130) 및 터브(120)에 잔류하는 세척수가 증발되어 배출되도록 도어를 일부 개방하는 것이다. 도어 개방단계(S190)는 도어 개방부의 작동에 의해 통세척단계(S180)가 완료된 이후에 도어(113)가 개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세탁기 110: 캐비닛
111: 전면 캐비닛 112: 출입홀
113: 도어 114: 컨트롤 패널
115: 측면 캐비닛 116: 상면 캐비닛
117: 베이스 120: 터브
123: 히터 127: 상부 세척노즐
128: 하부 세척노즐 130: 드럼
140: 급수부 143: 급수밸브
146: 전방 급수호스 147: 하부 세척호스
148: 상부 세척호스 150: 세제 디스펜서
170: 배수부 172: 배수펌프
173: 배수호스 174: 순환호스
180: 건조장치 182: 공급덕트
190: 개스킷 191: 급수노즐
194: 순환노즐 210: 오염감지부

Claims (11)

  1.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전방 외주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 상기 드럼의 외주면의 오염을 감지하는 오염감지부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 감지단계;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세탁 조건을 가변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단계;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헹굼하는 헹굼단계;
    헹굼이 완료된 세탁물의 세탁수를 탈수하는 탈수단계; 및
    상기 오염감지부에서 상기 드럼 외주면의 오염정도를 판단하는 오염도 판단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염도 판단단계는 상기 드럼의 오염도가 설정 오염도를 초과할 경우 드럼 외주면과 터브 외주면을 세척하는 통세척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을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한 도어와,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며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오염도 판단단계 이후에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상기 통세척 단계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도어개방 감지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 감지단계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지 않거나, 상기 도어가 개방된 후 폐쇄되지 않을 경우 상기 통세척단계를 진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세탁기의 제어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 감지단계는 상기 도어가 개방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폐쇄될 경우 상기 통세척단계를 진행하며, 상기 도어가 개방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고 폐쇄될 경우 상기 통세척단계를 진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부는 상기 통세척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 판단단계는 상기 드럼의 오염도가 설정 오염도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세탁과정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량 감지단계의 진행 중 상기 오염감지부에서 상기 드럼의 오염도를 판단하며, 상기 세탁단계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예비 오염도 판단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오염도 판단단계에서 상기 드럼의 오염정도가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세탁과정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오염도 판단단계에서 상기 드럼의 오염정도가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컨트롤패널 또는 알람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알림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세척단계는 상기 세척노즐을 통하여 상기 드럼의 전방 외주면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드럼 외주면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세척단계는 상기 세척노즐에서 세척수가 분사됨과 동시에 상기 드럼을 일정속도로 가속 및 감속을 반복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220179433A 2022-12-20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40097408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7408A true KR20240097408A (ko) 2024-06-2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8843B2 (ja) 洗濯機
US9982381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789834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US20110100070A1 (en) Washing machine
JP2008054826A (ja) ドラム式洗濯機
CN108603320B (zh) 滚筒洗衣机和用于清洁滚筒洗衣机的桶的方法
JP5860793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6075065B2 (ja) 洗濯機
JP6998179B2 (ja) 洗濯乾燥機
JP2012080928A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WO2020003760A1 (ja) 洗濯機
KR100739611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KR20240097408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40092284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528673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JP6890440B2 (ja) 洗濯乾燥機
KR20240092283A (ko) 오염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WO2012147434A1 (ja) 洗濯機
KR20220156321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US11193230B2 (en)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JP6840060B2 (ja) 洗濯機
JP6135977B2 (ja) 洗濯機
KR102537194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KR102493159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93158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