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964A - 동백 잎의 덖음 방법 및 덖은 동백 잎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 - Google Patents

동백 잎의 덖음 방법 및 덖은 동백 잎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964A
KR20220154964A KR1020210062577A KR20210062577A KR20220154964A KR 20220154964 A KR20220154964 A KR 20220154964A KR 1020210062577 A KR1020210062577 A KR 1020210062577A KR 20210062577 A KR20210062577 A KR 20210062577A KR 20220154964 A KR20220154964 A KR 20220154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llia
leaves
leaf extract
minutes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유진
오득실
김현우
정다혜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210062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4964A/ko
Publication of KR20220154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백 잎의 덖음 방법 및 덖은 동백 잎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어린 동백 잎을 덖음하는 방법 및 덖은 어린 동백 잎 추출물의 항염, 항산화, 항암 등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항산화, 항염증, 항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동백 잎의 덖음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에 의해 덖음된 동백 잎을 추출하여 항염증 조성물, 항산화 조성물, 항암 조성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백 잎의 덖음 방법 및 덖은 동백 잎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Method of roasting camellia leaves and various uses of roasted camellia leaf extract}
본 발명은 동백 잎의 덖음 방법 및 덖은 동백 잎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어린 동백 잎을 덖음하는 방법 및 덖은 어린 동백 잎 추출물의 항염, 항산화, 항암 등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면역계 과정의 활성화를 포함하는 신체의 주요 보호 반응이다. 염증 반응은 침입하는 병원균을 확인 및 파괴하고, 정상적인 조직 구조와 기능을 복원하기 위한 과정이다. 그러나 과도한 염증 반응은 만성 염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람-음성 박테리아 내 독소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를 비롯한 대식세포가 염증성 자극제에 의해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세포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 및 프로스타글란딘 E2(PGE2)을 포함하는 염증 매개체의 생성 및 핵 요인-카파 B(nuclear factor-kappa B, NF-κB) 및 미토젠-활성 단백질 키나아제(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신호 전달과 같은 여러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와 함께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유도한다. 상기의 염증성 매개체 및 사이토카인의 과도한 생산은 많은 염증성 질환의 발병 기전을 악화시킨다. 염증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 및 생물학적 시스템의 제거 능력 사이의 불균형을 반영하는 산화 스트레스이다. 활성화된 대식 세포에 의해 과잉 생산된 ROS는 염증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LPS-자극 대식세포에서의 염증 매개체의 생산에도 관여한다. 결과적으로, 대식세포 활성을 차단하여 염증 인자의 생산을 억제하는 것은 염증 및 산화 장애의 진행을 완화시키는 잠재적 치료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동백나무는 차나무와 동일 속으로 지금까지 주로 관상용 같은 원예자원으로 이용되어 왔고, 부위별로는 고품질 지방이 함유되어 있는 종실이 전통적으로 식용유와 화장유 자원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줄기는 고급 숯의 원료로 활용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식용 및 약용자원으로 이용되고 있지 않고 일부 연구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동백에 포함된 유효성분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천연 유래의 약학 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1705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백 잎에 포함된 유효 성분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백 잎 덖음 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덖음된 동백 잎의 추출물을 항염, 항산화, 항암 등 다양한 용도로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백 잎 덖음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덖음된 동백 잎, 덖음된 동백 잎 추출물의 항염, 항산화, 항암 등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덖음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a) 동백 잎 건조 단계;
(b) 건조된 동백 잎을 덖음하는 단계.
상기 (a) 동백 잎 건조 단계는 세척된 동백잎을 건조시키는 단계로, 25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30℃에서 2 내지 7일,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일간 건조시켜 준다. 상기 온도 및 기간 범위 미만이면 동백 잎이 제대로 건조되지 않고, 상기 온도 및 기간을 초과하면 잎이 너무 건조되어 이후의 찌는 단계, 덖음 단계에서 잎이 부서질 수 있다.
상기 동백 잎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1cm 이상 18cm 미만의 어린 잎일 수 있으며, 어린 잎을 사용할 때 항산화, 항염, 항암 효과 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건조된 동백 잎을 덖음하는 단계로, 180 내지 26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40℃에서 1 내지 10분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분간 덖음하고, 이후 덖음된 동백 잎을 상온(20 내지 25℃)에서 3 내지 5분간 식혀준다. 이때, 햇빛이 들지 않는 그늘에서 식혀줘야 한다.
상기 (b) 단계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2회 반복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를 2회를 초과하여 반복하는 경우 시료가 열에 의해 까맣게 변화해서 탄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덖음 방법은 상기 (b) 단계 전에 추가적으로 (b’) 건조된 동백 잎을 찌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를 거쳐 건조된 동백 잎을 찌는 단계로, 9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10 내지 120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분간 쪄준다. 상기 온도 범위 및 시간을 벗어나는 경우 항염, 항산화 또는 항암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덖음된 동백 잎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덖음된 동백 잎을 추출한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정제수를 용매로 하여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동백 잎을 60 내지 80℃에서 3 내지 10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5분 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및 시간 미만으로 추출될 경우 유효성분이 충분하게 추출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온도 및 시간을 초과할 경우, 오히려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덖음된 동백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암은 흉선종, 뇌척수종양, 담도암, 유방암, 대장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나팔림프종, 관암, 난소암, 위암, 뇌암, 직장암, 결장암, 식도암, 임파선암, 담낭암, 폐암, 피부암(또는 흑색종), 신장암, 방광암, 혈액암, 췌장암, 전립선암, 고환암, 생식세포종, 갑상선암, 내분비선암, 구강암, 간암, 림프종, 급성 백혈병, 만성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육종, 두경부암 등 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두경부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덖음된 동백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덖음된 동백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백 잎 추출물을 100ug/mg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ug/mg,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ug/mg이상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등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알지네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말토덱스트린, 이산화규소,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제제화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정제, 캡슐, 서방형 제제, 엘릭서,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단위 투약 주사제 앰플, 현탁액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경구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동맥내 투여, 골수내 투여, 경막내 투여, 심장내 투여, 경피 투여, 피하 투여, 복강내 투여, 비강내 투여, 장관 투여, 구강 및 설하는 포함하는 국소 투여, 직장 투여, 국소 투여, 진피 투여, 점막 투여, 척추내 투여 등의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투여 시 각 투여 방식에 절절한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 있으며, 제제화는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 대상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배출율, 유효성분의 함량, 예방 또는 치료될 특정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투여 횟수는 1일 1회 또는 2회, 격일마다, 격주마다, 격월 등의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식품을 제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향미제, 풍미제, 안정화제, 증점제, 방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알지네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말토덱스트린, 이산화규소,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용매, 안정화제, 용해화제, 유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담체 등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영양에센스, 팩, 메이컵베이스, 파운데이션, 바디오일, 헤어오일, 샴프, 린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분말, 과립, 정제, 캡슐,과자,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섭취 대상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투여시간, 유효성분의 함량,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섭취 횟수는 1일 1회 또는 2회, 격일마다, 격주마다, 격월 등의 방식으로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염증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건선, 부비동염, 비염, 결막염, 천식, 피부염, 사구체신염, 뇌염, 염증성 장염, 과민성 대장 증후군, 만성 폐쇄성 폐질환, 패혈증, 패혈성 쇼크증,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 감염에 의한 만성 염증 질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항산화는 산화를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활성산소종(ROS) 제거, ABTS 및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산화질소 생성 억제 작용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항산화, 항염증, 항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동백 잎의 덖음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에 의해 덖음된 동백 잎을 추출하여 항염증 조성물, 항산화 조성물, 항암 조성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백 잎 추출물은 일상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점, 건조 잎을 사용하기 때문에 보관 및 재료 수급이 용이한 점, 짧은 시간동안 추출 또는 우려내어도 항산화, 항염, 항암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사용성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 추출물의 항염 효과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 추출물의 세포 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 추출물의 두경부암에 대한 항암 효과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 제조
18cm 미만 크기의 어린 동백 잎을 준비하여 30℃에서 3 내지 5일간 건조시켰다. 건조된 동백 잎을 200 내지 240℃에서 3 내지 5분간 덖음하고, 이후 덖음된 동백 잎을 상온(20 내지 25℃)에서 3 내지 5분간 식혀줬다. 이때, 햇빛이 들지 않는 그늘에서 식혀줬고 덖음을 2회 반복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백 잎을 덖음하되, 덖음 전에 건조된 동백 잎을 100℃에서 30 내지 60분간 찌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였다.
<실시예 3, 4>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 및 2에 의해 덖음된 동백 잎 1g을 준비하여 80℃의 물 100ml에서 각각 5분, 10분간 우려내었다.
<비교예 1> 덖음되지 않은 건조된 동백 잎 추출물 제조
18cm 미만 크기의 어린 동백 잎을 준비하여 30℃에서 3 내지 5일간 건조시켰고, 건조된 동백 잎 1g을 준비하여 80℃의 물 100ml에서 10분간 우려내었다. 비교예로는 현미녹차와 보성녹차를 준비하여 같은 방법으로 5분간 우려내었다.
<비교예 2 내지 4> 동백 생잎 추출물 제조
18cm 미만 크기의 동백 생잎을 건조시키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각각 5분, 10분간 우려내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1>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의 폴리페놀 함량 증대 효과 평가
실시예 3, 4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의 총 폴리페놀 함량 증대 효과를 평가하여 표 1에 나타내었고, 평가방법은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약간 변형된 Folin-ciocalteau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검량선을 위한 표준물질로서 gallic acid를 선택하였고, 0, 2.5, 5, 10, 20, 40 μg/mL로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96-well plate에 250 μg/mL농도의 시료용액 및 각 농도 별 gallic acid를 0.1 mL 씩 넣고 여기에 0.1 mL 0.04 N Folin-Ciocalteu’sreagent와 0.1 mL 1% Na2CO3를 가한 후 암실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UV/VIS spectrophotometer (OASYS UVM 340, biochrom, chambridge, England)를 이용하여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 값들은 gallic acid 표준곡선으로 부터 시료 별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구하였다.
평가결과, 덖음 없이 건조처리만 된 동백 잎 추출물 대비 본 발명에 따라 덖음 처리가 된 동백잎을 5분간 우려낸 추출물의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이 10% 이상 증가하였으나, 10분간 추출한 추출물은 총 폴리페놀 함량 증대효과가 크지 않았다. 또한, 동백 잎을 건조시킨 이후에 1시간 동안 찌고 덖음 처리한 경우에도 5분간 추출한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10분간 추출한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 증대 효과가 낮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동백 잎 추출물은 5분간 추출한 녹차 추출물 대비 총 폴리페놀 함량이 적게는 10% 이상, 많게는 30%이상 높게 나타났다.
원료 시료 샘플상태 우려낸 시간 총 폴리페놀
(mg/g extract)
동백 신엽 건조조 10min 326.5±6.62
동백 신엽 건조조/5분덖음2회 5min 351.9±19.14
동백 신엽 건조조/5분덖음2회 10min 344.1±24.74
동백 신엽 건조조/찜1시간/5분덖음2회 5min 347.2±12.30
동백 신엽 건조조/찜1시간/5분덖음2회 10min 320.3±18.05
녹차 현미녹차 5min 223.8±9.68
녹차 보성녹차 5min 301.9±5.32
<실험예 1-2>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의 폴리페놀 성분 및 함량 분석
실시예 3, 4 및 비교예 2 내지 4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의 폴리페놀 성분 및 함량의 증대 효과를 평가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는 LC-MS/MS를 이용한 페놀성 화합물 분석을 이용하였고,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각 시료에 함유된 페놀성 화합물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대표적인 페놀류 16 종 (bergenin, protocatechuic acid, 4-hydroxy benzoic acid, caffeic acid, syringic acid, vanillic acid, coumaric acid, rutin, ferulic acid, oxyresveratrol, narignenin, resveratrol, benzoic acid, nicotinic acid, gallic acid, tannic acid)에 대해 LC-MS/MS(API 4000 Q-TRAP, Prominence 20A series, AB SCIEX, Shimadzu)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LC 조건은 컬럼 Gemini 3μm, C18 110A 50mm×2.0mm이고, 컬럼 오븐 온도는 40℃, 자동샘플러의 온도는 15℃로 하였다. 이동상은 gradient 방식으로 0.1% 포름산 용액(A)와 0.1% 포름산이 포함된 아세토나이트릴 (B)가 사용되었으며, B용액을 0%에서 시작하여 0.5분에 20%까지, 2분에 80%까지 증가시키고 2.5분까지 유지한 다음, 2.6분까지 20%로 다시 낮추고 6분까지 유지시켰다. 유속은 0.3 mL/min이고, 시료주입량은 10μL였다. MS/MS의 조건은 Turbo Ion Spray방식으로, 검출기 온도는 400℃, Negative mode로 spray voltage는 -4500V이고, 커튼가스(curtain gas)는 30psi, Gas 1 그리로 Gas 2 모두 50psi였다.
평가결과, 건조시키지 않은 동백 잎을 사용하여 덖음 처리한 것보다 본 발명에 따라 건조 후 덖음 또는 건조, 찜, 덖음 처리가 모두된 동백 잎에서 폴리페놀 성분의 함량이 증대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떫은 맛을 내는 탄닌산과 카테킨 성분은 오히려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백 잎을 식품, 특히 음료로서 이용하는 경우 음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료 샘플상태/
우려낸시간
농도(ug/mg)
4-hydroxy
benzoic Acid
Gallic
acid
Protocatechuic acid Tannic acid Catechin
동백 신엽 생 생잎 덖음 /5분 0.031 10.47 0.507 653 20.6
동백 신엽 생 생잎 덖음 /10분 0.020 9.45 0.358 505 21.7
동백 신엽 건조 건조/ 5분 0.026 1.58 0.154 832 7.74
동백 신엽 건조 건조, 덖음/5분 0.089 13.71 0.846 639 3.57
동백 신엽 건조 건조, 찜, 덖음/5분 0.065 27.28 0.630 246 1.17
동백 신엽 건조 건조10분 0.021 1.28 0.142 783 6.3
동백 신엽 건조 건조, 덖음/10분 0.082 11.94 1.041 472 2.93
동백 신엽 건조 건조, 찜덖음/10분 0.059 24.26 0.851 228 1.27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 추출물의 항염 효과 평가
실험예 1 결과를 근거로 실시예 3의 동백 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염증 인자 감소 효과를 평가하였다(도 1). 평가방법은 구체적으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여부로 평가하였고,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hTERT-hNOF 세포를 웰당 3×105 밀도로 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밤새 배양하였다. P.gingivalis KCOM 2804 LPS (최종 농도, 100 ng/ml)는 세포가 80%정도 채워졌을 때 배양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인간 치은 섬유아 세포의 LPS에 대한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 200ng/ml CD14 (R&D 시스템, 미국 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 및 50ng/ml LPS 결합 단백질 (LBP, R&D 시스템)을 함께 첨가하였다. 30분 배양 후 추출물을 첨가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배양 상층액으로부터 샘플을 채취하였다. 인간 IL-6 ELISA 키트 (BioLegend, San Diego, CA, USA)를 동봉된 프로토콜에 따라 염증성 사이토 카인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다. 각 반응은 세 번 반복하였다. 모든 실험 결과는 대조군의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평가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을 100 ug/mg 이상 처리하였을 때 IL-6 발현량이 감소되었으므로, 염증 개선 효과가 인정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 추출물의 세포 독성 평가
실시예 3, 4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평가하였고, 구체적으로는 세포배양 및 세포 독성 시험에 의해 평가하였고,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각 추출물에 의한 세포 독성 시험을 위해 사람 배아 신장 세포주 293T를 배양하였다. 293T 세포에 DMEM 배지를 사용하였고, 배지에는 10% 송아지 혈청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하였으며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독성 시험은 MTT 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48-well plate에 5×104 개씩 세포를 분주하였고, 16시간 후에 각 추출물을 농도별 (0, 100, 200, 300 μg/mL)로 처리하여 24시간 후의 독성 반응을 확인하였다. 24시간 처리 후 MTT 용액 (5 mg/mL) 50 μL를 각 well에 가하고 4시간 후에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DMSO 200 μL를 넣어주고 난 뒤 30분간 암실에서 반응시키고, 생성된 formazan 용출 용액을 570 nm에서 microplate reader (OASYS UVM 340, biochrom, chambridge, England)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 비교예 1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4 모두 세포 독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
<실험예 4>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 추출물의 항암 효과 평가
실시예 3, 4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 추출물의 두경부암에 대한 항암 효과를 평가하였고, 세포배양 및 세포 독성 시험을 통해 평가하였고,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각 추출물에 의한 항암 효과 평가를 위해 두경부암세포주인 FaDu를 배양하였다. FaDu 세포에 MEM 배지를 사용하였고, 배지에는 10% 송아지 혈청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하였으며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항암 효과 평가를 위해 MTT 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48-well plate에 5×104 개씩 세포를 분주하였고, 16시간 후에 각 추출물을 농도별 (0, 100, 200, 300 μg/mL)로 처리하여 24시간 후의 독성 반응을 확인하였다. 24시간 처리 후 MTT 용액 (5 mg/mL) 50 μL를 각 well에 가하고 4시간 후에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DMSO 200 μL를 넣어주고 난 뒤 30분간 암실에서 반응시키고, 생성된 formazan 용출 용액을 570 nm에서 microplate reader (OASYS UVM 340, biochrom, chambridge, England)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 비교예 1은 300ug/mg 이상일 때에 유의미한 항암 효과가 나타났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4는 비교예 1 대비 낮은 농도에서 항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3).
<실험예 5>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평가
실시예 1 및 2의 방법으로 동백 잎을 덖음, 또는 찜/덖음 처리하여 실시예 3, 4의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DPPH assay를 통하여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고,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반응성이 매우 크며 상당히 불안정한 free radical에 대한 소거능을 확인하는 실험으로 변형된 Blois방식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법을 이용하였다. 물과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0, 62.5, 125, 250 μg/mL로 준비하고 96-well plate에 0.1 mL씩 넣고 여기에 0.5 mM DPPH 0.1 mL을 가한 후 실온, 암실 환경 하에서 30분간 반응을 시켰다. 이후 UV/VIS spectrophotometer (OASYS UVM340, biochrom, chambridge, England)를 이용하여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넣지 않은 군을 대조군(control)로 하여 free radical 소거능을 구하였다. 비교예로는 덖음 처리하지 않은 건조 어린잎을 실시예 3, 4의 방법으로 5분, 10분 우려낸 것과 현미녹차, 보성녹차를 각각 5분 우려낸 것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BHA를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 본 발명에 따라 덖음된 동백 잎 추출물은 BHA와 유사한 수준의 DPPH 라디컬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현미 녹차 또는 보성녹차를 우려낸 것보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이 20~30%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덖음되지 않은 건어린잎 대비 DPPH 라디컬 소거능이 10~20%이상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도 4).

Claims (13)

  1. (a) 25 내지 35℃에서 3 내지 5일간 동백 잎을 건조시키는 단계;
    (b) 건조된 동백 잎을 200 내지 240℃에서 3 내지 5분간 덖음하고, 이후 덖음된 동백 잎을 상온에서 3 내지 5분간 식히는 덖음 단계;
    를 포함하는 동백 잎 덖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 잎은 1cm 이상 18cm 미만의 어린 잎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 잎 덖음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2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 잎 덖음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전에 (b’) 건조된 동백 잎을 90 내지 110℃에서 30 내지 60분간 찌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동백 잎 덖음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덖음된 동백 잎.
  6. 제5항의 동백 잎을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동백 잎 추출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 잎은 60 내지 80℃에서 5 내지 10분간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 잎 추출물.
  8. 제6항 또는 제7항의 동백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경부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6항 또는 제7항의 동백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6항 또는 제7항의 동백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1. 제6항 또는 제7항의 동백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6항 또는 제7항의 동백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13. 제6항 또는 제7항의 동백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62577A 2021-05-14 2021-05-14 동백 잎의 덖음 방법 및 덖은 동백 잎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 KR20220154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577A KR20220154964A (ko) 2021-05-14 2021-05-14 동백 잎의 덖음 방법 및 덖은 동백 잎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577A KR20220154964A (ko) 2021-05-14 2021-05-14 동백 잎의 덖음 방법 및 덖은 동백 잎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964A true KR20220154964A (ko) 2022-11-22

Family

ID=84236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577A KR20220154964A (ko) 2021-05-14 2021-05-14 동백 잎의 덖음 방법 및 덖은 동백 잎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49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766B1 (ko) * 2022-12-06 2024-02-28 주식회사 섬섬바이오 동백나무 덖음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산화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055B1 (ko) 2013-07-10 2018-01-11 주식회사 웰파이토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055B1 (ko) 2013-07-10 2018-01-11 주식회사 웰파이토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766B1 (ko) * 2022-12-06 2024-02-28 주식회사 섬섬바이오 동백나무 덖음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산화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04252A1 (ko) 로즈마리 잎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KR101749497B1 (ko) 섬기린초에서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20154964A (ko) 동백 잎의 덖음 방법 및 덖은 동백 잎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
KR20180115916A (ko) Hesperet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신경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230036758A (ko) 수면유도 및 불면증 치료용 효소처리 초고압 혼합추출물
KR101422189B1 (ko) 신규한 로테논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0787174B1 (ko)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50122933A (ko) 고욤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65875B1 (ko) 국내자생식물을 이용한 전립선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267548B1 (ko) 오스테놀을 포함하는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79821B1 (ko)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20068522A (ko) 맥문동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KR101640037B1 (ko) 흰말채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471026B1 (ko) 시페루스 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또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39131B1 (ko) 오보바톨을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JP2001233889A (ja) 新規フラボノイド配糖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KR20180060169A (ko) 갈퀴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85024A (ko) 솔방울고랭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20220160170A (ko) 세이지 추출물 및 서양고추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EP3172191B1 (en) A novel compound isolated from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containing abundant amount of active ingredient,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y disease, inflammatory disease, asthma 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the use thereof
KR20230036757A (ko) 흑모 유발 및 백모방지용 증숙 초음파 추출물
KR20230171329A (ko) 홍차 생물전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항산화 및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6995A (ko) 물박달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20230085023A (ko) 참개싱아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