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821B1 -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821B1
KR102379821B1 KR1020200051675A KR20200051675A KR102379821B1 KR 102379821 B1 KR102379821 B1 KR 102379821B1 KR 1020200051675 A KR1020200051675 A KR 1020200051675A KR 20200051675 A KR20200051675 A KR 20200051675A KR 102379821 B1 KR102379821 B1 KR 102379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loroglucinol
formula
plasma
epigallocatechin gallate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3022A (ko
Inventor
김태훈
박승일
김성봉
Original Assignee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51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82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3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및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의 혼합물에 플라즈마를 처리하여 4종의 신규 화합물을 획득하였으며, 상기 4종의 신규 화합물은 EGCG 및 플로로글루시놀에 비해 췌장 리파아제(pancreatic lipase)의 활성을 저해하고, 지방세포의 분화 시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현저하므로,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한 화합물은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플라즈마를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시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청정화학의 방법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novel compound obtained by plasma-treating mixture of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phloroglucinol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로, 비만인 경우 일반적으로 체중이 많이 나가지만, 비만이 아니더라도 근육이 많은 사람도 체중이 많이 나갈 수 있기 때문에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비만으로 정의한다. 오랜 기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 섭취할 경우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비만이 유도되며, 이 외에도 호르몬의 변화, 유전, 정신 건강 문제 및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전세계적으로 비만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로, 최근 성인병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목받으며 비만의 심각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비만을 예방 및 개선하고, 건강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균형잡힌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을 통하여 평생 동안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지방세포는 한번 만들어지면 크기는 줄일 수 있으나, 자연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영구적으로 인체에 남아있게 되므로 처음부터 비만이 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해서 섭취하는 칼로리를 줄이고, 활동 및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지방 흡수를 감소시키는 등의 약물을 복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는 치료제로는 세로토닌 신경계를 저해하는 펜플루라민,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를 통한 에페드린 및 카페인,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에 동시에 작용하는 시부트라민 및 췌장에서 생성되는 리파아제를 저해하여 지방의 흡수를 줄여주는 오르리스타트 등의 약물이 있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어온 약물 중 펜플루라민 등은 원발성 폐고혈압이나 심장 판막 병변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켜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다른 약물들도 혈압 감소나 유산혈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심부전, 신질환 등의 환자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적은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물질의 개발이 요구된다.
녹차에 함유된 주요 카테킨은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EGC(epigallocatechin), ECG(epicatechin gallate), EC(epicatechin), GCG(gallocatechingallate)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EGCG는 녹차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있는 카테킨으로서, 항바이러스, 충치 예방, 구취 감소 등의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은 다시마목(Laminariales) 미역과(Alariaceae)에 속하는 갈조류인 감태(Ecklonia cava)의 주요 성분이며, 면역조절(immunomodulation) 및 면역활성(immune activation), 항산화 효과(antioxidant activity), 항염 효과(anti-inflammatory effect)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플라즈마는 물질의 네 번째 상태인 이온화(전리)되 기체로 전자, 양이온, 음이온, UV, 활성종 등의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식품 살균 기술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비열 플라즈마 처리기술이 주목을 끌고 있다. 비열 플라즈마 기술은 식품의 미생물을 저해하는 기술 이외에 환경, 의료 분야에서 살균 및 소독기술로 개발되고 있으나, 식품의 성분에 화학적, 기능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5570호에는 '항비만 활성 플로로글루시놀 유도체'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992808호에는 '플라즈마 처리된 플로리진 유래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및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혼합물에 플라즈마를 처리하여 신규 화합물 4종을 획득하였고, 상기 4종의 신규 화합물이 EGCG 및 플로로글루시놀에 비해 현저하게 췌장 리파아제(pancreatic lipase)의 활성을 저해하고,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및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의 혼합물에 25~1000W 범위의 플라즈마를 30~180분 동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및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의 혼합물에 플라즈마를 처리하여 4종의 신규 화합물을 획득하였으며, 상기 4종의 신규 화합물은 EGCG 및 플로로글루시놀에 비해 췌장 리파아제(pancreatic lipase)의 활성을 저해하고, 지방세포의 분화 시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현저하므로,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한 화합물은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플라즈마를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시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청정화학의 방법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화합물 1 내지 4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1은 신규 화합물인 triphloroegcg이고, 2는 신규 화합물인 diphloroegcg이고, 3은 신규 화합물인 phloroegcg이고, 4는 신규 화합물인 isophloroegcg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인 triphloroegcg(1), diphloroegcg(2), phloroegcg(3) 및 isophloroegcg(4)의 수소와 탄소의 상호 작용 관계를 나타내는 HMBC 수행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에 의한 지방축적 억제효과를 지방의 생성 정도(A) 및 오일-레드-오 염색 사진(B)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MDI[IBMX(3-isobutyl-1-methylxanthi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인슐린(insulin)의 혼합물]는 분화 유도 물질이다. Control은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이고, Ph는 플로로글루시놀을 처리한 군이고, EGCG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를 처리한 군이며, 1은 triphloroegcg 화합물을 처리한 군이고, 2는 diphloroegcg 화합물을 처리한 군이며, 3은 phloroegcg 화합물을 처리한 군이고, 4는 isophloroegcg 화합물을 처리한 군이다. *은 동일 농도의 EGCG 처리군 및 플로로글루시놀 처리군 대비 신규 화합물 1 내지 4 처리군의 지방세포 분화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5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20043974407-pat00001
Figure 112020043974407-pat00002
Figure 112020043974407-pat00003
Figure 112020043974407-pat00004
화학식 1은 triphloroegcg 화합물로 명명하였고, 화학식 2는 diphloroegcg 화합물로 명명하였으며, 화학식 3은 phloroegcg 화합물로 명명하였고, 화학식 4는 isophloroegcg 화합물로 명명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췌장 리파아제(pancreatic lipase)의 활성을 저해하고, 지방세포의 분화시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류,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 등과 같은 무독성 유기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의 종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다이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발포정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인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및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의 혼합물에 25~1000W 범위의 플라즈마를 30~180분 동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의 혼합물에 플라즈마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고, 상기 플라즈마는 유전체장벽방전(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코로나 방전, 마이크로파 방전 또는 아크 방전 등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전체장벽방전의 방식으로 공기, 질소, 아르곤, 혼합가스 등의 방전 가스 제어가 가능한 25~1000W 범위의 전력 조건에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의 혼합물에 30~180분 동안 처리하는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유전체장벽방전의 방식으로 45~120W 전력 조건에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의 혼합물에 90~150분 동안 처리하는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전체 장벽 방전의 방식으로 65W 전력 조건에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의 혼합물에 120분 동안 처리하는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을 1~10:1~10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7:1~7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4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신규 화합물의 제조 및 분리
플라즈마 처리를 위해 유전체장벽방전(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65W, 2.5kHz, ambient air) 플라즈마 기기(150×150×275mm)를 사용하였다. 방전 가스로 공기, 질소, 아르곤, 헬륨, 혼합가스(아르곤 + 질소 등) 등을 사용하였고, 100mg의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및 400mg의 플로로글루시놀을 메탄올(MeOH) 1ℓ에 녹인 후, DBD 플라즈마 기기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한 후 즉시 농축하였다. 플라즈마가 처리된, (-)-EGCG 및 플로로글루시놀의 혼합 농축물을 10%(v/v) 메탄올 50㎖에 현탁하고, 현탁액을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분획하여, 플라즈마가 2시간 동안 처리된, (-)-EGCG 및 플로로글루시놀의 혼합물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을 401.7mg 얻었다. 상기 (-)-EGCG 및 플로로글루시놀의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 물질의 생성을 역상 HPLC(reversed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통하여 모니터링하였다.
HPLC 분석의 이동상 용매로는 1% 포름산(formic acid, A)과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B)을 사용하였다. 물질 분석은 0-5분 동안은 95%(v/v)의 A 용매와 5%(v/v)의 B 용매 조성으로, 5-10분 동안은 85%(v/v)의 A 용매와 15%(v/v)의 B 용매 조성으로, 10-15분 동안은 70%(v/v)의 A 용매와 30%(v/v)의 B 용매 조성으로, 15-20분 동안은 50%(v/v)의 A 용매와 50%(v/v)의 B 용매 조성으로, 20-30분 동안은 100%(v/v) B 용매 조성으로 물질 분석을 하였으며, 이동상의 유속은 분당 1.0㎖를 유지하였고, 280nm의 파장에서 화합물을 검출하였다. HPLC 분석용 칼럼은 YMC-Pack ODS A-302 컬럼(4.6mm i.d.×150mm; YMC Co., Ltd., Tokyo, Japan)을 사용하였다.
플라즈마를 2시간 동안 처리한 후 생성된 EGCG 및 플로로글루시놀의 반응물을 건조하고, 메탄올(MeOH)에 용해시킨 후, YMC GEL ODS AQ 120-50S 컬럼(1.0㎝ i.d.× 41㎝) 상에서 단계적 구배를 통해 신규 화합물 1(3.9mg, t R 16.4분), 신규 화합물 2(18.0mg, t R 15.0분), 신규 화합물 3(62.9mg, t R 14.8분) 및 신규 화합물 4(42.4mg, t R 13.1분)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2.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 화합물의 구조 분석
실시예 1에서 획득한 신규 화합물 1 내지 4의 구조를 분석하고, 도 1에 개시하였다.
신규 화합물 1: 황색의 무정형 분말. [α]25 D-52.5°(c0.1, MeOH); UV(MeOH) λmax(logε): 210(4.00), 275(2.13)nm. CD(MeOH)λmax(△ε): 212(-23.3), 278(-4.1)nm. FABMS m/z 871[M-H]-, HRFABMS m/z 871.1715[M-H]-(C43H35O20, 871.1722). 1H NMR(CD3OD, 600MHz) 및 13C NMR(CD3OD, 150MHz) 결과는 하기 표 1에 개시한 바와 같다.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주요 HMBC 상관 관계의 존재로부터 3개의 메틸렌의 결합 위치가 명확하게 확인되었다.
상기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신규 화합물 1을 Triphloroegcg로 명명하였다.
신규 화합물 2: 황색의 무정형 분말. [α]25 D-62.4°(c0.1, MeOH); UV(MeOH) λmax(logε): 209(3.95), 275(2.10)nm. CD(MeOH)λmax(△ε): 212(-13.7), 279(-3.3)nm. FABMS m/z 733[M-H]-, HRFABMS m/z 733.1410[M-H]-(C36H29O17, 733.1405). 1H NMR(CD3OD, 600MHz) 및 13C NMR(CD3OD, 150MHz) 결과는 하기 표 1에 개시한 바와 같다.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메틸렌의 결합 위치가 CH2-그룹과 방향족 탄소 사이의 주요 HMBC 교차 피크에 의해 명확하게 확인되었다.
상기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신규 화합물 2를 Diphloroegcg로 명명하였다.
신규 화합물 3: 황색의 무정형 분말. [α]25 D-55.1°(c0.1, MeOH); UV(MeOH) λmax(logε): 209(4.02), 280(2.13)nm. CD(MeOH)λmax(△ε): 213(-15.1), 279(-3.1)nm. FABMS m/z 595[M-H]-, HRFABMS m/z 595.1088[M-H]-(C29H23O14, 595.1088). 1H NMR(CD3OD, 600MHz) 및 13C NMR(CD3OD, 150MHz) 결과는 하기 표 1에 개시한 바와 같다.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주요 HMBC 상관 관계의 존재로부터 C-6에서 메틸렌을 통한 플로로글루시놀의 결합 위치가 명확하게 확인되었다.
상기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신규 화합물 3을 Phloroegcg로 명명하였다.
신규 화합물 4: 황색의 무정형 분말. [α]25 D-91.3°(c0.1, MeOH); UV(MeOH) λmax(logε): 209(4.01), 274(2.13)nm. CD(MeOH)λmax(△ε): 214(-29.0), 278(-5.3)nm. FABMS m/z 595[M-H]-, HRFABMS m/z 595.1089[M-H]-(C29H23O14, 595.1088). 1H NMR(CD3OD, 600MHz) 및 13C NMR(CD3OD, 150MHz) 결과는 하기 표 1에 개시한 바와 같다.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주요 HMBC 상관 관계의 존재로부터 C-8에서 메틸렌을 통한 플로로글루시놀의 결합 위치가 명확하게 확인되었다.
상기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신규 화합물 4를 Isophloroegcg로 명명하였다.
1H NMR(CD3OD, 600MHz) 및 13C NMR(CD3OD, 150MHz) 결과
2 3 4
δb J n zδ, utδH b(J in Hz) δH b(J in Hz) δH b(J in Hz)
9r 75.21(br s) 4.96(br s) 5.18(br s)
54bs6.5.48(br s) 5.40(br s) 5.45(br s)
0d..63.04(dd, 17.4, 4.8) 3.00(dd, 17.4, 4.8) 3.03(dd, 17.4, 4.8)
9d..2.97(dd, 17.4, 2.4) 2.89(dd, 17.4, 2.8) 2.96(dd, 17.4, 2.4)
9.- - -
5.- 5.- 5.-
0.6.08(s) - 6.10(s)
5.- 5.- 5.-
- 6.12(s) -
- - -
- - -
.s56.80(s) 6.60(s) 6.77(s)
- - -
- - -
- - -
.s56.80(s) 6.60(s) 6.77(s)
- - -
.s97.11(s) 6.96(s) 7.09(s)
- - -
- - -
- - -
.s97.11(s) 6.96(s) 7.09(s)
- - -
3(63.71(s) 3.62(s) 3.59(s)
5.- 5.- 5.-
5(5- 5.97(s) 5.94(s)
5.- 5.- 5.-
0.5.99(s) 5.97(s) 5.94(s)
5.- 5.- 5.-
0.- 0.- 0.-
3(63.64(s)
5.- 5.
65.97(s)
7-
.8s9.5.97(s)
7-
6-
.5s1.
5
.0s9.
2
.0s9.
5
5
실시예 3.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 화합물의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 측정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 측정은 Kim 등이 행한 방법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즉, 효소 완충용액(10mM MOPS, 1mM EDTA, pH 6.8)에 돼지 췌장 리파아제(porcine pancreatic lipase)를 0.5g/200㎖의 농도로 4℃를 유지하면서 용해하고, 상기 용해물을 4000rpm으로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에 트리스 완충용액(100mM Tris-HCl, 5mM CaCl2, pH 7.0)과 효소 완충용액(enzyme buffer)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1에서 획득한 신규 화합물 1 내지 4는 DMSO로 용해하여 최종 농도가 3%(w/v)가 되도록 각각 제조한 후, 37℃에서 15분 동안 상기의 돼지 췌장 리파아제 효소와 함께 교반하였다. 그 후, 10mM이 되게 DMF에 용해한 기질용액 p-NPB(p-nitrophenyl butyrate)를 첨가하여 37℃에서 35분 동안 재반응시켰다. 반응물은 진탕한 후,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오르리스타트(orlistat)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 화합물 1 내지 4의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을 때, (-)-EGCG 및 플로로글루시놀에 비해 triphloroegcg(화합물 1), diphloroegcg(화합물 2), phloroegcg(화합물 3) 및 isophloroegcg(화합물 4)의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특히 triphloroegcg 화합물의 IC50값이 19.5±1.0μM으로 가장 우수한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신규 화합물 1 내지 4의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
화합물 IC50 값(μM)
(-)-EGCG 97.9±6.3
Phloroglucinol >500
신규 화합물 1(triphloroegcg) 19.5±1.0
신규 화합물 2(diphloroegcg) 29.2±1.5
신규 화합물 3(phloroegcg) 46.4±3.1
신규 화합물 4(isophloroegcg) 51.9±3.6
오르리스타트 0.6±0.2
실시예 4.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 화합물의 지방축적 억제효과 측정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 화합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3T3-L1 지방전구세포를 분화시켜 지방세포 내의 지방축적 정도를 오일-레드-오(Oil-red-O) 염색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3T3-L1 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에 웰당 5×104개의 세포 수로 분주한 후, 웰이 세포로 100% 채워지는 시점이 된 이후에, 2일 동안 더 유지시켰다. 세포는 MDI(0.5mM 3-isobutyl-1-methylxanthine(IBMX), 1μM 덱사메타손, 1μM 인슐린)를 포함하는 10% FBS DMEM 배지로 지방세포 분화를 2일 동안 유도하였고, 배양 48시간 후, 2μM 인슐린이 함유된 10% FBS DMEM으로 이틀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2일 마다 총 4일 동안 10% FBS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하였다.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는 동안 실시예 1에서 획득한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 1 내지 4를 1.5μM 및 3μM의 농도로 각 배양액에 처리하였고, 분화가 완성되는 시점인 8일째에 지방의 축적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오일-레드-오 염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EGCG 및 플로로글루시놀에 비해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 1(triphloroegcg), 신규 화합물 2(diphloroegcg), 신규 화합물 3(phloroegcg) 및 신규 화합물 4(isophloroegcg)에 의한 지방축적 억제효과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특히 화합물 1(triphloroegcg)의 지방축적 억제효과가 모든 농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Claims (8)

  1.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20043974407-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20043974407-pat00006

    [화학식 3]
    Figure 112020043974407-pat00007

    [화학식 4]
    Figure 112020043974407-pat00008
  2.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2017850953-pat00012

    [화학식 2]
    Figure 112022017850953-pat00013

    [화학식 3]
    Figure 112022017850953-pat00014

    [화학식 4]
    Figure 112022017850953-pat00015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췌장 리파아제(pancreatic lipase)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지방세포의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2017850953-pat00016

    [화학식 2]
    Figure 112022017850953-pat00017

    [화학식 3]
    Figure 112022017850953-pat00018

    [화학식 4]
    Figure 112022017850953-pat00019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발포정 및 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및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의 혼합물에 25~1000W 범위의 플라즈마를 30~180분 동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을 1~10:1~1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00051675A 2020-04-28 2020-04-28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379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675A KR102379821B1 (ko) 2020-04-28 2020-04-28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675A KR102379821B1 (ko) 2020-04-28 2020-04-28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022A KR20210133022A (ko) 2021-11-05
KR102379821B1 true KR102379821B1 (ko) 2022-03-30

Family

ID=7850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675A KR102379821B1 (ko) 2020-04-28 2020-04-28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8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66673A (ja) 2019-10-18 2021-04-30 株式会社ニチレイバイオサイエンス アレルギー性の鼻炎症状抑制剤
JP2021136906A (ja) 2020-03-04 2021-09-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緑茶抽出物含有組成物、機能性食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8553B2 (ja) * 2004-05-27 2011-04-1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リパーゼ阻害活性および/または抗酸化活性を有するエピガロカテキン二量体および三量体
KR100601080B1 (ko) * 2004-08-26 2006-07-1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류마티스성 관절염 치료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66673A (ja) 2019-10-18 2021-04-30 株式会社ニチレイバイオサイエンス アレルギー性の鼻炎症状抑制剤
JP2021136906A (ja) 2020-03-04 2021-09-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緑茶抽出物含有組成物、機能性食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022A (ko)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7183A (ko)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경련용 조성물
KR20140072307A (ko)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KR20120053450A (ko) 테로카판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845265B1 (ko) 솔잎착즙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379821B1 (ko)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플로로글루시놀 혼합물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획득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992808B1 (ko) 플라즈마 처리된 플로리진 유래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787600B1 (ko) 청국장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및 항균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면역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03317A (ko) 아실 코에이:콜레스테롤 아실트랜스퍼라제 저해활성을 갖는 고수씨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리나로올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115916A (ko) Hesperet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신경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731152B1 (ko) 다래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1530652B1 (ko) 참오동나무 유래 제라닐레이티드 플라보노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
KR102034183B1 (ko)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고춧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422189B1 (ko) 신규한 로테논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42291B1 (ko) 징콜릭산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154964A (ko) 동백 잎의 덖음 방법 및 덖은 동백 잎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
KR20180053014A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15170B1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67261B1 (ko) 메이스리그난 또는 육두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손상 개선용 조성물
KR102221248B1 (ko) 플라즈마 처리된 카테킨 유래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535526B1 (ko) 벌개미취에서 분리된 신규한 화합물
KR101991746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KR20120068522A (ko) 맥문동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KR102226992B1 (ko)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
KR102134376B1 (ko) 칠피 추출물 중 피세틴 성분을 포함하는 자궁근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912290B1 (ko) 신규6,8-디(γ,γ-디메틸알릴)-3,5,7,2&#39;,4&#39;,6&#39;-헥사히드록시플라바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