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741A -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741A
KR20220152741A KR1020210060037A KR20210060037A KR20220152741A KR 20220152741 A KR20220152741 A KR 20220152741A KR 1020210060037 A KR1020210060037 A KR 1020210060037A KR 20210060037 A KR20210060037 A KR 20210060037A KR 20220152741 A KR20220152741 A KR 20220152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bar link
bush
mounting hole
ou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0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2741A/ko
Publication of KR20220152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7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2Aluminium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4Thermo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9Joining by deformation
    • B60G2206/82092Joining by deformation by press-fi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는: 로드부와, 로드부의 양단부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장착홀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부; 및 장착홀부에 장착되는 부시부를 포함하고, 로드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로드몸체부; 및 중공형의 로드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리브가 배치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STABILIZER BAR LIN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에 관한 것이다.
스테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는 재료의 회전강성을 이용하여 좌우차륜의 상대 변위를 억제하는데 사용된다. 즉 스테빌라이저 바는 양쪽 차륜이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할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다가 좌우륜이 반대방향으로 움직일 때(특히 차가 회전할 때), 비틀리면서 좌우차륜의 상대변위를 줄여주어 차량 자세를 안정시키며 차량 구동력 및 회전력을 향상시켜 준다.
스테빌라이저 바는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Stabilizer Bar Link)를 통해 휠과 결합되는 너클이나 상부암 또는 쇽옵서버와 볼조인트 결합을 한다.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는 케이스, 케이스에 장착되고 회전을 담당하는 베어링, 서스펜션 부품과 연결하고 베어링에 조립되어 회전을 하는 볼스터드(Ball Stu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볼스터드와 베어링 사이에는 원활한 회전을 위해 그리스(Grease)를 도포한다.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는 스틸 로드의 양끝단이 케이스에 볼조인트 또는 부시로 이루어진다. 스테빌라이저 링크는 구조에 따라 볼조인트-볼조인트 구조, 볼조인트-부시 구조, 부시-부시 구조로 구별된다.
종래 기술에서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는 스틸 로드와 스틸 케이스를 이용하여 구성되므로 중량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0752호(2004.10.27 공개, 발명의 명칭: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스테빌라이저 바 부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양단부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장착홀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장착홀부에 장착되는 부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 상기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로드몸체부; 및 중공형의 상기 로드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리브가 배치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착홀부는, 상기 로드몸체부의 양단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부시부가 장착되는 장착홀몸체부; 상기 장착홀몸체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브릿지부; 및 상기 브릿지부의 단부에서 곡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시부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시부는, 상기 접촉부와 외측면이 접촉되고, 상기 브릿지부에 걸리는 외파이프부; 상기 외파이프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파이프부; 및 상기 외파이프부와 상기 내파이프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파이프부는, 내측면이 상기 탄성부와 접하고,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외파이프몸체부; 및 상기 외파이프몸체부의 단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부에 걸리는 단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파이프부는, 상기 외파이프몸체부의 표면에 복수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포켓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파이프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부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파이프부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시부는 상기 장착홀부에 압입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부의 리브는 상기 로드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트러스(truss)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에 의하면, 중공형의 케이스부에 부시부가 장착되어, 제품의 중량이 감소되고 생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부가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부시부의 외파이프부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제품의 중량이 감소되고 생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시부의 외파이프부가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케이스부의 장착홀부에 압입 결합 시 이격된 외파이프부가 오무라지면서 탄성부와의 접촉 면적이 향상되고, 케이스부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며 부시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는 케이스부(100)와 부시부(20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00)는 로드부(110)와 장착홀부(120)를 포함한다. 로드부(110)는 중공형으로 설정 길이로 형성된다. 로드부(110)는 로드몸체부(111)와 보강부(113)를 포함한다.
로드몸체부(111)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설정 길이를 구비하며, 양단부에 장착홀부(120)가 형성된다. 보강부(113)는 중공형의 로드몸체부(111)의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리브(rib)가 배치된다.
로드몸체부(111)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제품의 중량이 감소되고 생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보강부(113)는 중공형의 로드몸체부(111)의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리브(rib)가 배치되어, 로드몸체부(111)의 강도와 경도를 보강할 수 있다.
보강부(113)의 리브는 로드몸체부(111)의 내부 공간에 트러스(truss)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강부(113)의 리브는 로드몸체부(111)에 복수개의 삼각 또는 사각의 트러스 구조로 배치되어, 로드몸체부(111)가 강도와 경도가 향상되고, 중실형의 강도와 경도에 비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보강부(113)의 리브는 허니콤(honeycomb)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강부(113)의 리브는 복수개의 벌집 형상의 육각형으로 이루어져, 강도와 경도가 향상되고, 중실형의 강도와 경도에 비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장착홀부(120)는 로드부(110)의 로드몸체부(111)의 양단부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부시부(200)가 삽입 장착된다. 장착홀부(120)는 장착홀몸체부(121), 브릿지부(123), 접촉부(125)를 포함한다.
장착홀몸체부(121)는 로드부(110)의 로드몸체부(111)의 양단부에 관통 형성된다. 장착홀몸체부(121)는 내부 공간에 부시부(200)가 삽입 장착된다.
브릿지부(123)는 장착홀몸체부(121)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 3에서 브릿지부(123)는 장착홀몸체부(121)에서 내측으로 한 쌍이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브릿지부(123)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착홀몸체부(121)의 내측에 균등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25)는 브릿지부(123)의 단부에서 곡형으로 형성되고, 부시부(200)의 외측면과 접촉된다. 접촉부(125)의 곡형은 부시부(200)의 외파이프부(210)의 곡형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접촉부(125)의 길이는 이격된 외파이프부(210) 사이의 공간부(B)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부시부(200)는 케이스부(100)의 장착홀부(120)에 장착된다. 부시부(200)는 장착홀부(120)에 압입 결합된다. 부시부(200)는 외파이프부(210), 내파이프부(220), 탄성부(230)를 포함한다.
외파이프부(210)는 접촉부(125)와 외측면이 접촉되고, 브릿지부(123)에 걸린다. 외파이프부(210)가 브릿지부(123)에 걸려서 이탈이 방지된다. 외파이프부(210)는 외파이프몸체부(211)와 단차부(213)를 포함한다. 외파이프부(210)는 장착홀부(120)에 압입 결합된다.
외파이프몸체부(211)는 내측면이 탄성부(230)와 접하고,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외파이프몸체부(211)는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이격된 외파이프몸체부(211) 사이에 공간부(B)가 형성된다.
단차부(213)는 외파이프몸체부(211)의 단부에서 탄성부(230) 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단차부(213)는 외파이프몸체부(211)의 양단부에 각각 단차지게 형성된다.
단차부(213)는 브릿지부(123)에 걸린다. 외파이프부(2101)의 단차부(213)는 브릿지부(123)에 걸리고, 회전이 제한되면서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외파이프부(210)는 포켓부(215)를 더 포함한다. 포켓부(215)는 외파이프몸체부(211)의 표면에 복수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포켓부(215)는 외파이프몸체부(211)의 표면에 와플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외파이프몸체부(211)에 복수개의 포켓부(215)가 형성되어, 중량을 감소시키면서 강도와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5에서 포켓부(215)는 사각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 오각, 육각,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포켓부(215)는 외파이프몸체부(211)에 관통된 홀부로 형성될 수 있다.
내파이프부(220)는 외파이프부(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내파이프부(220)는 원통형 중에서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내파이프부(22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중량이 감소되고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탄성부(230)는 외파이프부(210)와 내파이프부(220) 사이에 개재된다. 탄성부(330)는 외측면이 외파이프부(210)와 접하고, 내측면이 내파이프부(220)와 접한다.
탄성부(23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외부 충격 등을 흡수, 완충 시킬 수 있다. 탄성부(33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고무,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230)는 외파이프부(210)의 외파이프몸체부(211)와 내파이프부(220) 사이에 고온으로 배치된다. 고온의 탄성부(230)는 냉각되면서 외파이프부(210)의 외파이프몸체부(211)와 내파이프부(220)를 일체로 이루게 한다.
부시부(200)의 외파이프부(210)가 장착홀부(120)에 압입 결합 시, 외파이프부(210)의 단차부(213)가 브릿지부(123)에 삽입되어 걸린다. 절개된 외파이프부(210)의 공간부(B)에서 오무라지게 되면서 탄성부(230)가 탄성 변형되면서 외파이프부(210)와 탄성부(230)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면서 스웨이징(swaging)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에서 케이스부(100)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외파이프부(21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부(100)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설정 강도와 경도를 유지하면서 제품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외파이프부(210)는 플라스틱 재질로,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섬유강화플라스틱), PA6(Polyamide 6, Nylon 6), PA66(Polyamide 66, Nylon 66)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파이프부(2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설정 강도와 경도를 유지하면서 제품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부시부(200)가 케이스부(100)의 장착홀부(120)에 삽입된다. 부시부(200)는 장착홀부(120)에 압입 결합된다.
부시부(200)가 장착홀부(120)에 압입 결합되면서, 외파이프부(210)의 단차부(213)가 브릿지부(123)에 삽입되어 걸린다.
절개된 외파이프부(210)의 공간부(B)에서 오무라지게 되면서 탄성부(230)가 탄성 변형되면서 외파이프부(210)와 탄성부(230)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면서 스웨이징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에 의하면, 중공형의 케이스부(100)에 부시부(200)가 장착되어, 제품의 중량이 감소되고 생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부(100)가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부시부(200)의 외파이프부(210)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제품의 중량이 감소되고 생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시부(200)의 외파이프부(210)가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케이스부(100)의 장착홀부(120)에 압입 결합 시 이격된 외파이프부(310)가 오무라지면서 탄성부(230)와의 접촉 면적이 향상되고, 케이스부(10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며 부시부(2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케이스부 110: 로드부
111: 로드몸체부 113: 보강부
120: 장착홀부 121: 장착홀몸체부
123: 브릿지부 125: 접촉부
200: 부시부 210: 외파이프부
211: 외파이프몸체부 213: 단차부
215: 포켓부 220: 내파이프부
230: 탄성부

Claims (10)

  1.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양단부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장착홀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장착홀부에 장착되는 부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 상기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로드몸체부; 및
    중공형의 상기 로드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리브(rib)가 배치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부는,
    상기 로드몸체부의 양단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부시부가 장착되는 장착홀몸체부;
    상기 장착홀몸체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브릿지부; 및
    상기 브릿지부의 단부에서 곡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시부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부는,
    상기 접촉부와 외측면이 접촉되고, 상기 브릿지부에 걸리는 외파이프부;
    상기 외파이프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파이프부; 및
    상기 외파이프부와 상기 내파이프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파이프부는,
    내측면이 상기 탄성부와 접하고,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외파이프몸체부; 및
    상기 외파이프몸체부의 단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부에 걸리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파이프부는,
    상기 외파이프몸체부의 표면에 복수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포켓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파이프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파이프부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부는 상기 장착홀부에 압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리브는 상기 로드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트러스(truss)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KR1020210060037A 2021-05-10 2021-05-10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KR202201527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037A KR20220152741A (ko) 2021-05-10 2021-05-10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037A KR20220152741A (ko) 2021-05-10 2021-05-10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741A true KR20220152741A (ko) 2022-11-17

Family

ID=8423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037A KR20220152741A (ko) 2021-05-10 2021-05-10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27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1241B1 (en) Single-shaft damping joint for connecting vehicle chassis parts
JP3602377B2 (ja) トルクロッド軸受組立体の改良
US8973931B2 (en) Wheel strut for vehicle suspension
JP5435148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7140767B2 (ja) ブッシュ配置構造
JP4740818B2 (ja) 防振ブッシュを備えたリンク部材
MXPA02008543A (es) Eje de ruedas flexibles para un automovil, con dispositivo antibalanceo perfeccionado.
KR200487124Y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CN110481255B (zh) 后轮悬架装置和汽车
US20060220420A1 (en) Reinforcing member for vehicle
KR20220152741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JP2006347496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WO1995023725A1 (en) Arrangement for suspension of a sprung vehicle cab on a vehicle frame
KR20180066517A (ko) 조절식 트레일링암
KR101328715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JP2742081B2 (ja) 非線形弾性ブッシュ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サスペンション
KR100629330B1 (ko) 커플드 토션빔
KR20220152738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KR20230007744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및 이의 제작 방법
KR0165192B1 (ko)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KR100412858B1 (ko) 현가장치의 어퍼암
WO2018023203A1 (zh) 轻量化空心汽车横向稳定杆
KR101104614B1 (ko)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
CN216708952U (zh) 后稳定杆连接杆和具有其的车辆
JPH06286444A (ja) ツイストアクスル式リアサスペン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