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518A - 밸브 - Google Patents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518A
KR20220149518A KR1020227028560A KR20227028560A KR20220149518A KR 20220149518 A KR20220149518 A KR 20220149518A KR 1020227028560 A KR1020227028560 A KR 1020227028560A KR 20227028560 A KR20227028560 A KR 20227028560A KR 20220149518 A KR20220149518 A KR 20220149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avity
blocking
guide body
val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헬무트 헤르만
슈테판 뵈스트만
슈테판 지켈리
필립 자우너
마이클 롱긴
Original Assignee
아우로테크 게엠베하
노드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로테크 게엠베하, 노드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우로테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149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and linearly movable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16K11/0853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having all the connecting conduits situated in a single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16K11/085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having all the connecting conduits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16K3/2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 F16K3/246Combination of a sliding valve and a lift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 Sliding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하우징(2) 및 차단 요소(3)를 포함하는 밸브(1)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밸브 하우징(2)은 상기 차단 요소(3)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4), 유체가 공동(4) 내로 흐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5) 및 유체가 공동(4)으로부터 흐르기 위한 적어도 3개의 출구 개구들(6)을 갖고, 상기 차단 요소(3)는 가이드 본체(7)를 갖고 상기 밸브 하우징(2)의 공동(4)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차단 요소(3)는 상기 출구 개구들(6)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출부(8)를 갖는다.

Description

밸브
본 발명은 밸브 하우징 및 차단 요소를 포함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밸브 하우징은 차단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 공동 내로 유체가 흐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 및 유체가 공동 외부로 흐르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들을 포함하고, 차단 요소는 가이드 본체를 포함하고 입구 개구와 출구 개구 사이의 밸브 하우징의 공동에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유체를 수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기술적인 제조 공정에서 연속적으로 전체 및/또는 부분적으로 채워진 재료 공급 라인을 사용하여 연속 흐름 기반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예는 재생 가능한 원료 셀룰로오스에서 섬유, 호일, 필름과 같은 형성된 셀룰로오스 제품의 제조이다. 이 제조 공정에서 형성된 셀룰로오스 물품은 유기 용매에서 셀룰로오스 용액을 형성하고 섬유 또는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셀룰로오스/용액 용융물을 방사함으로써 제조된다. 용매의 바람직한 형태는 3차 아민-N-옥사이드, 전형적으로 N-메틸 모르폴린 N-옥사이드(NMMO)이다. 이들 셀룰로오스 용액은 보통 전형적으로 50,000 내지 100,000,000 mPas의 점도를 갖는, 고점성이다. 이러한 셀룰로오스 용액 제조 공정은 EP 0 356 419 B1 호에 기재되어 있다. 셀룰로오스 용액의 가공의 문제는 요구되는 높은 가공 온도(보통 80 ℃ 내지 130 ℃) 및 이들 온도에서의 셀룰로오스 용액의 불안정성이다. 따라서 데드 스페이스와 정체가 없는 상태에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형태의 밸브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DE 38 15 897 C2 호는 압출 도구로 확장되는 배출 채널을 갖는 시작 밸브 스로틀 유닛(starting valve throttle unit)을 개시하고 있다. 시작 밸브 스로틀 유닛의 하우징에는 시작 밸브와 스로틀 바디가 배출 채널의 축을 가로지르는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는 가이드 및 시작 보어(guide and starting bore)가 제공된다. 시작 및 스로틀 바디는 스로틀 바디가 배열되는 두 개의 폐쇄 섹션을 갖는다. 내부 폐쇄 섹션에서 시작 밸브 바디는 스로틀 바디에서 멀어지게 대면하는 측면에 형성된다. 이것은 밸브 스로틀 하우징으로부터 외향으로 이어지는 보어(bore)의 시작 출구 개구를 한편으로는 밀봉하여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유롭게 남겨두어야 한다. 추가적인 밸브는, 예를 들어, DE 2751225 호, DE 102007047726 호 및 DE 102005037268 호에 공지되어 있다.
추가로, US 3,817,668 호 및 US 3,746,481 호는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어 휠들을 사용하는 용융물 펌프를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뜨거운 액체의 플럭스, 특히 뜨거운 플라스틱 액체 용융물의 도입, 분배, 제어에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지 않았고 전환 및/또는 편향 분배기 밸브로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적어도 개별적인 단점들을 개선하거나 제거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유체 흐름이 개선되고 출구 개구가 선택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 밸브 및 유체를 수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처음에 명시된 밸브에 의해 달성되며, 차단 요소는 출구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 목적은 유체를 수송하는 방법에 의해 추가로 달성되며, 여기서 유체 흐름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에서 조절 및/또는 제어된다.
따라서, 밸브의 차단 요소는 출구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출부를 포함한다. 유체는 밸브 하우징에 의해 획정되는 입구 개구를 거쳐 밸브 하우징의 공동 내로 흐를 수 있다. 차단 요소는 공동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고, 차단 요소는 밸브의 밸브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차단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출부는 이것이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 결과, 차단 요소의 위치에 따라 유체는 차단 출구 개구들을 거쳐 밸브로부터 흘러 나올 수 없거나 제한된 정도로만 흐를 수 있거나 완전히 방해받지 않고 흐를 수 있다. 공동에서 차단 요소를 이동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들의 차단은 차단될 출구 개구가 0 % 내지 100 %에서 다양하게 차단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출부의 도움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 결과, 출구 개구들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연속적인 조절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출구 개구들이 완전히 차단된 위치에서,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출구 개구들이 완전히 개방된다.
차단 요소의 차단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설형부(tongue)의 형태를 갖는다. 이 경우, 차단 돌출부는 차단 돌출부의 설형부 형상을 통해 유체 흐름이 제어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유체가 차단 돌출부로 흐르고 여기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개방된 출구 개구의 방향으로 편향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유체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된 출구 개구, 특히 적어도 2개의 개방된 출구 개구들로 이송될 수 있고, 차단 돌출부에 의해 차단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들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작동을 위한 추가적인 가능성은 차단이 데드 스페이스 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설형부 형상으로 단 하나의 공급 및 하나의 배출을 갖는 밸브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출구 개구들을 통해 흐르는 유체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차단 돌출부는 출구 개구들 중 첫번째 것이 차단 돌출부에 의해 차단되고 입구 개구 및 출구 개구들 중 두번째 것이 유체의 흐름을 위해 개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차단 돌출부의 일 에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출구 개구들 중 두번째 것의 둘레부(circumference)를 따르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차단 돌출부는 출구 개구들 중 하나가 차단되는 차단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출구 개구들 중 적어도 2개가 개방되는, 특히 완전히 개방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차단 돌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출부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와 출구 개구들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관통 리세스(flow-through recess)와 동일시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관통 리세스는 유체가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로부터 관통 리세스를 거쳐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출구 개구들로 흐를 수 있는 방식으로 공동을 거쳐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출구 개구들에 연결되는 차단 요소 내의 리세스이다.
바람직하게는, 출구 개구들 및 유리하게는 입구 개구는 공동의 특히 프리즘-형상의 측부 표면(lateral surface)을 획정(delimit)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고점성 액체 및/또는 용융물의 데드 스페이스 없는 공급, 제거, 전환 및/또는 이송 제한에 사용될 수 있다. 차단 요소의 특별한 구성의 결과로서, 밸브는 대응하는 제조 공정에서 PEK(폴리에테르 케톤), PPEK(폴리프탈라진 에테르 케톤),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와 같은 부분 결정질 고성능 열가소성 수지 또는 PAI(폴리아미드 이미드), PPSU(폴리페닐 설폰), PSU(폴리설폰) 또는 PES(폴리에테르 설폰)와 같은 비정질 고성능 열가소성 수지의 영역에서 고점도 액체 및 용융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또한 PA(폴리아미드), PA6(폴리아미드 6; 카프로락탐으로부터의 폴리아미드), PA66(폴리아미드 66; 헥사메틸렌 디아민으로부터의 폴리아미드),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M(폴리옥시메틸렌),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부분 결정질 및 비정질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및 제조 공정은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합성 섬유, 플라스틱 호스, 플라스틱 호일 및 필름뿐만 아니라 전기적 도전체 와이어를 위한 보호 및/또는 절연 코팅의 제조와 같은 압출, 사출 성형, 취입 성형, 코팅 및 스프레이 기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셀룰로오스의 제조에 또는 셀룰로오스 용액을 수송하기 위한 라인에서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성형 공정을 위한 압출 매질로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용액을 수송하는데 사용된다. 이 경우, 셀룰로오스 농도는 리오셀(Lyocell) 공정을 위한 일반적인 크기로 선택된다. 따라서, 셀룰로오스 용액 중 셀룰로오스 농도는 4 % 내지 23 %, 바람직하게는 6 % 내지 20 %, 특히 8 % 내지 18 % 또는 10 % 내지 16 %일 수 있다(모든 % 정보는 질량 %이다).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용액의 용매는 3차 아미녹사이드(아민-N-옥사이드), 특히 바람직하게는 N-메틸모르폴린 N-옥사이드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는 이온성 용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는 이온성 용매일 수 있다. 이러한 이온성 용매는 예를 들어 WO 03/029329 호; WO 2006/000197 A1 호; Parviainen 등, RSC Adv., 2015, 5, 69728-69737; Liu 등, Green Chem. 2017, DOI: 10.1039/c7gc02880f; Hauru 등, Cellulose (2014) 21:4471-4481; Fern
Figure pct00001
ndez 등. J Membra Sci Technol 2011, p:4; 등에 기재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암모늄, 피리미듐 또는 이미다졸륨 양이온과 같은 유기 양이온,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물과 같은 1,3-디알킬 이미다졸륨 염을 함유한다. 여기서 물도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의 비용매로서 사용된다. 셀룰로오스 및 부틸-3-메틸 이미다졸륨(BMIM), 예컨대 카운터이온(counterion)으로서 클로라이드(BMIMCl), 또는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또한 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 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틸 포스페이트로서) 또는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 또는 1-헥실-1-메틸피롤리디늄[바람직하게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설포닐)아미드 음이온 포함]을 가짐, 및 물의 용액이 특히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이온성 용매는 1,5-디아자비시클로[4.3.0]논-5-에늄, 바람직하게는 아세테이트로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아세테이트, 1,3-디메틸이미다졸륨 아세테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 아세테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디에틸 포스페이트, 1-메틸-3-메틸이미다졸륨 디메틸 포스페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포르메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옥타노에이트, 1,3-디에틸이미다졸륨 아세테이트 및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프로피오네이트이다.
가이드 본체가 가이드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홈(groove)을 갖고 그리고/또는 밸브 하우징이 출구 개구로부터 입구 개구의 방향으로 이어지는 홈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홈은 가이드 본체의 변위 방향으로 이어진다. 이 홈을 거쳐, 시작 시 압력의 완화가 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본체의 베이스 표면에 차단 돌출부가 배열되고 홈이 베이스 표면으로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홈은 차단 돌출부의 방향으로 가이드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하거나 또는 하나의 출구 개구로부터 입구 개구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단면을 갖는다. 이를 통해 압력의 보다 부드러운 완화가 달성된다.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출구 개구들이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며, 여기서 출구 개구들은 특히 공동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평면에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돌출부는 출구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인접하기 위한 만곡된 인접 표면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인접 표면은 출구 개구를 덮고 이를 차단하기 위해 인접 표면이 만곡된 출구 개구에 대해 실질적으로 단단히 인접할 수 있도록 출구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만곡된 인접 표면은 차단 요소의 회전 동안 인접 표면이 일정한 거리에서(특히 인접하는 방식으로) 출구 개구를 지나 이동되도록 일정한 곡률 반경으로 단순히 만곡된다. 예를 들어, 출구 개구의 예시적인 곡률은 예를 들어 원통체일 수 있는 공동의 획정 벽으로부터의 리세스로 인해 후속된다.
공동에서 차단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밸브가 이동, 특히 차단 요소의 회전 및/또는 선형 이동을 위한 구동부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차단 요소의 자동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차단 요소는 출구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를 연속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구동부의 도움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된다. 유리하게는 차단 요소는 출구 개구가 차단되는(특히 완전히) 각각의 경우에 구동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요소의 가이드 본체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의 베이스 표면 상에 배열된다. 이 경우, 차단 돌출부는 가이드 본체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유리하게는 차단 요소는 밸브 하우징의 공동에서 회전될 수 있다. 차단 요소의 회전의 결과로서, 차단 돌출부는 공동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동(회전)될 수 있으므로 차단 돌출부가 출구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로 이동되어 이를 덮고 차단할 수 있고 회전 운동으로 인해 출구 개구에서 멀리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해제 및 개방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차단 요소는 개별적인 출구 개구가 차단되는 출구 개구 당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은 원통형이고, 원통형 공동의 길이방향 축은 차단 요소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의 길이방향 축과 일치한다. 그 결과, 밸브 하우징의 공동에서의 차단 요소의 최적 수용이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에서의 차단 요소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차단 요소의 가이드 본체와 밸브 하우징 사이의 공동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허용오차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밸브에의 유체의 영구적인 퇴적(deposition)이 감소되거나 심지어 회피될 수 있다. 간극을 통해 정의된 유체 흐름은 차단 요소의 가이드 본체 주위로 흐를 수 있으므로 유체가 퇴적될 수 있는 데드 스페이스가 공동에 형성되지 않는다. 데드 스페이스가 없는 결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에서 유체의 긴 체류 시간이 방지된다. 유리하게는 차단 돌출부는 이것이 유체의 흐름 및 편향 동안 어떠한 데드 스페이스도 형성하지 않고 유체의 최적의 운반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추가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하우징에 대해 차단 요소를 밀봉하는 공동과 차단 요소의 가이드 본체 사이에 밀봉부(seal)가 배치된다. 이것은 차단 요소의 완전한 밀봉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파이프라인에 대한 밸브의 간단한 연결을 위해, 밸브 하우징이 개별적으로 출구 개구들 중 하나를 통해 공동들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공동들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에,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들은 공동에 인접하는 밸브 하우징의 하나 이상의 내측 표면에 배열되는 개구들이다. 따라서, 출구 개구들은 공동에 직접 배열된다.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를 거쳐 공동 내로 흐르는 유체는 차단 돌출부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출구 개구들을 거쳐 유출될 수 있고 이들 위로 분배되어 본 발명에 따른 밸브가 바람직하게 분배기 밸브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공동들은 원통형이다. 하나의 차단 돌출부 또는 차단 돌출부들은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들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차단한다. 차단 돌출부의 변위에 의해, 다른 출구 개구들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예컨대, 회전 운동에 의해) 공동을 통해 다른 출구 개구들로 흐르는 유체의 다른 분배가 가능하다 - 심지어 작동 동안 입구를 통한 유체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도.
하나의 입구 개구가 원통형 공동의 베이스 표면에 배열되고, 특히 원통형 공동의 베이스 표면과 합동인 경우(여기서 출구 개구들 중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는 베이스 표면에서 돌출하는 공동의 측부 표면에 배열된다)가 더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입구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차단 요소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차단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출부가 입구 개구에 대면하는 가이드 본체의 베이스 표면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공동에 배열된다. 그 결과, 유체는 입구 개구로부터 공동 내로 더 잘 흐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은 밸브 하우징을 관통하는 원통형 보어이고, 여기서 보어는 밸브 하우징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에 제1 및 제2 구멍을 형성한다. 그 결과, 밸브 하우징은 보어를 통해 공동을 생성함으로써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 요소는 밸브 하우징의 공동에 간단하게 배치될 수 있고 유지 관리 목적을 위해 공동으로부터 다시 제거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멍은 입구 개구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유체는 입구 개구를 거쳐 제1 구멍을 거쳐 공동 내로 흐를 수 있고 그런 후 차단 요소의 도움으로 분배될 수 있다.
공동에서 차단 요소의 더 나은 안내를 위해, 보어의 직경은 차단 요소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의 직경과 동일하고 차단 요소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는 차단 요소가 제2 구멍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보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대안적으로, 가이드 본체는 또한 제2 구멍과 같은 높이일 수 있고 가이드 본체의 내부에서의 이동을 위한 대응하는 수용 장치를 가질 수 있다.
구동부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차단 요소의 회전을 위한 것이고 여기서 구동부가 제2 구멍으로부터 돌출하는 차단 요소의 단부에서 결합하는 것이라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차단 요소는 밸브 하우징의 공동에 부분적으로 공간 절약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가이드 본체가 밸브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구멍의 구역에서, 밀봉 링, 바람직하게는 누설 링이 가이드 본체 내로 가공된 홈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밀봉 링은 바람직하게는 유체에 저항하는 가요성 플라스틱 링으로 그리고 커버 링으로부터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밀봉 링은 이들이 유체 누출에 대항하여 밸브 하우징과 차단 요소의 가이드 본체 사이의 공동 내의 간극을 밀봉하도록 제2 구멍에서 공동의 제2 섹션에 있는 밸브 하우징 상에 배열된다.
밸브 하우징과 가이드 본체 사이의 간극을 구성하여 선택된 끼워맞춤으로 인해 밀봉부를 사용하지 않고 간극이 유체 매체의 특정 누출 흐름을 갖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간극에서 매체의 임의의 영구적인 퇴적이 방지되고 데드 스페이스 없음이 생성된다.
밸브에서 수송되는 유체의 점도에 따라, 밸브 하우징과 가이드 본체 사이의 공동에서의 간극을 통해 밸브 하우징으로부터 나오는 유체의 양이 너무 많은 시나리오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 경우 밀봉 링이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은 밸브 하우징의 밀봉 링을 체결하는 체결 나사를 조임으로써 가이드 본체의 방향으로 공동 내에서 내향으로 불룩하게 만들어질 수 있어 가이드 본체와 밸브 하우징 사이의 공동에서의 유체 흐름이 감소된다. 이를 통해 누출 흐름이 원하는 양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하우징은 적어도 2개의 출구 개구들을 갖고 적어도 2개의 출구 개구들은 공동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평면에 배열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리하게는 출구 개구들은 차단 요소를 회전시킴으로써 차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구 개구들에 대한 법선은 입구 개구에 대한 법선에 직교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출부는 차단 요소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의 측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의 연장부(extension)를 형성한다. 그 결과, 차단 돌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출구 개구를 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차단 요소가 차단 요소의 변위 방향으로 이어지는 홈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밸브 하우징이 출구 개구로부터 입구 개구의 방향으로 이어지는 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밸브 하우징 내부의 과도한 압력이 방지되거나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출구 개구들이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에 수직으로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유리하게는 입구 개구가 그렇게 함으로써 영구적으로 개방되고 여기서 출구 개구들은 바람직하게는 차단 요소를 회전시킴으로써 차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단 돌출부는 일 위치에서 입구 개구가 완전히 또는 적어도 50 % 개방되고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들가 개방되고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들이 차단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밸브의 용이한 제조를 위해서는 밸브 하우징이 프리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밸브 하우징은 입방체이고 여기서 베이스 표면은 특히 정사각형이다. 유리하게는 결과적으로 4개의 출구 개구들이 밸브 하우징 상에 배열될 수 있고,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으로 하나의 출구 개구가 측부 표면의 4개의 측면의 각각에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가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표면에 배열되고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들이 프리즘형 밸브 하우징의 측부 표면에 배열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들이 결과적으로 단순히 차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하우징은 적어도 2개의 출구 개구들을 갖고 차단 돌출부는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2개의 출구 개구들을 차단하기에 적합하다. 그 결과, 유리하게는 2개의 출구 개구들은 차단 돌출부의 도움으로 동시에 차단될 수 있다. 그러나, 차단 돌출부는 3개, 4개, 5개 또는 그 이상의 출구 개구들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밸브 하우징의 4개의 출구 개구들의 경우에 2개의 인접한 출구 개구들을 차단하기 위해, 차단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의 측부 표면의 180°의 가상적인 연장부를 형성하는 L-형상의 설형부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차단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프리즘-형상의) 밸브 하우징의 케이싱의 각각의 측면에 n개의 측면과 하나의 출구 개구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프리즘-형상의) 밸브 하우징의 m개의 인접하는 출구 개구들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차단 돌출부는 m/n * 360°의 각도를 덮는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하우징은 적어도 2개의 출구 개구들을 갖고 차단 요소는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2개의 출구 개구들을 차단하기 위한 2개의 차단 돌출부를 갖는다. 2개의 차단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그 결과, 바람직하게는 2개의 출구 개구들은 2개의 차단 돌출부에 의해 차단될 수 있고, 여기서 직사각형 베이스 표면 및 4개의 출구 개구들를 갖는 프리즘-형상의 밸브 하우징의 경우 차단 돌출부는 서로에 대해 90° 또는 180° 만큼 오프셋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직사각형 베이스 표면을 갖는 프리즘-형상의 밸브 하우징의 경우,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각각 90° 오프셋되어 있고 3개의 출구 개구들을 차단하기 위한 3개의 차단 돌출부가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더 쉬운 제조를 위해 인접한 차단 돌출부를 서로 연결하여 예를 들어 270°를 차단하는 차단 돌출부를 생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밸브 하우징의 4개의 출구 개구들의 경우에 2개의 대향하는 출구 개구들을 차단하기 위해, 차단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의 측부 표면의 90°의 가상적인 연장부(imaginary extension)를 형성하는 설형부를 각각 형성한다. 상이한 형태를 갖는 밸브 하우징의 경우에, 출구 개구들은 상이한 각도만큼 서로에 대해 오프셋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각형 프리즘의 형상과 3개의 출구 개구들을 갖는 밸브 하우징의 경우, 출구 개구들은 서로에 대해 120° 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육각 프리즘의 형태를 갖는 밸브 하우징은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60° 만큼 오프셋된 6개의 출구 개구들을 가질 수 있다. n개의 측면 및 프리즘의 케이싱의 각각의 측면에 개별적으로 하나의 출구 개구를 갖는 프리즘-형상의 밸브 하우징의 경우, 하나 이상의 차단 돌출부는 동시에 차단될 m개의 출구 개구들의 경우 m/n * 360°의 각도를 전체적으로 덮는다.
밸브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밸브 하우징이 가열 및/또는 냉각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밸브 하우징은 가열 및/또는 냉각 매체를 수송하기 위한 채널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하우징은 출구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에 홈을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체가 홈을 거쳐 입구 개구로부터 출구 개구로 흐를 수 있기 때문에 밸브 하우징의 과도한 압력이 회피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요소는 홈을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체가 홈을 거쳐 입구 개구로부터 출구 개구로 흐를 수 있기 때문에 밸브 하우징의 과도한 압력이 또한 회피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하우징의 홈 및/또는 차단 요소의 홈은 노치를 갖고 여기서 노치는 특히 삼각형 또는 포물선 단면을 갖는다. 밸브 하우징의 홈 및/또는 차단 요소의 홈은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3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3 mm 내지 20 mm의 길이이다.
밸브의 차단 요소가 밸브 하우징과 차단 요소의 가이드 본체 사이의 공동의 간극을 플러싱(flushing)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진동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 결과, 간극의 플러싱이 개선될 수 있고 간극 내의 유체의 임의의 크래킹(cracking)이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한 운동 유형에 따라, 차단 요소는 원통형 공동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선형 운동으로 또는 원통형 공동에 대해 축 방향으로 회전 운동으로 진동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진동 운동의 진폭은 선형 운동의 경우 3 mm 내지 20 mm,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10 mm 또는 회전 운동의 경우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도 1a는 밸브 하우징 및 차단 요소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에 따른 밸브를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c는 도 1b에 따른 밸브를 통한 수직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d는 도 1b에 따른 밸브를 통한 수평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개별적으로 사시도 및 측면도로 도 1a에 따른 밸브의 밸브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c 및 도 2d는 각각 도 2b에 따른 밸브 하우징을 통한 수직 및 수평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a에 따른 밸브의 차단 요소를 개별적으로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개별적으로 사시도 또는 측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c 및 도 4d는 개별적으로 도 4b에 따른 밸브를 통한 수직 및 수평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a에 따른 밸브의 차단 요소를 개별적으로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개별적으로 사시도 및 측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c 및 도 6d는 개별적으로 도 6b에 따른 밸브를 통한 수직 및 수평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a에 따른 밸브의 밸브 하우징을 개별적으로 사시도 및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c 및 도 7d는 개별적으로 도 7b에 따른 밸브 하우징을 통한 수직 및 수평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는 개별적으로 사시도 및 측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밸브의 밸브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c 및 도 8d는 개별적으로 도 8b에 따른 밸브 하우징을 통한 수직 및 수평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개별적으로 사시도 및 측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c 및 도 9d는 개별적으로 도 9b에 따른 밸브를 통한 수직 및 수평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개별적으로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로 도 9a에 따른 밸브의 차단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개별적으로 사시도 및 측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c 및 도 11d는 개별적으로 도 11b에 따른 밸브를 통한 수직 및 수평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개별적으로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로 도 11a에 따른 밸브의 차단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개별적으로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밸브의 차단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개별적으로 사시도 및 측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c 및 도 14d는 개별적으로 도 14b에 따른 밸브를 통한 수직 및 수평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9에 따른 밸브 및 도 14a에 따른 2개의 밸브를 갖는 밸브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a는 밸브 하우징 및 차단 요소가 차단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b는 개방 상태에서 도 16a에 따른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a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밸브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밸브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개별적으로 평면도 및 사시도로 도 17a에 따른 밸브의 차단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개별적으로 평면도 및 사시도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차단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밸브 하우징(2) 및 차단 요소(3)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1)를 도시하며, 여기서 밸브 하우징(2)은 차단 요소(3)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4), 공동(4) 내로의 유체의 흐름을 위한 입구 개구(5) 및 공동(4)으로부터의 유체의 흐름을 위한 4개의 출구 개구들(6)을 갖는다. 밸브 하우징(2)은 프리즘 형상이고, 프리즘의 베이스 표면은 정사각형이다. 밸브 하우징(2)의 공동(4)은 밸브 하우징(2)을 관통하는 원통형 보어이며, 여기서 보어는 밸브 하우징(2)의 대향하는 2개의 측면에 제1 구멍(12) 및 제2 구멍(13)을 형성하며, 이는 프리즘 형상의 밸브 하우징(2)의 정사각형 베이스 표면과 정사각형 상부 표면을 형성한다. 이 경우, 제1 구멍(12)은 밸브 하우징(1)의 입구 개구(5)를 형성하여 입구 개구(5)가 원통형 공동(4)의 베이스 표면과 합동이고 프리즘-형상의 밸브 하우징(2)의 정사각형 상부 표면에 배열된다. 그 결과, 제1 구멍(12)은 상부 표면에 배열되고 제2 구멍(13)은 프리즘-형상의 밸브 하우징(2)의 베이스 표면에 배열된다. 공동(4)을 형성하고 프리즘-형상의 밸브 하우징(2)의 베이스 및 상부 표면에 수직으로 배열되는 보어의 직경은 차단 요소(3)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직경과 동일하다. 입구 개구(5)는 상부 표면에 정렬되고 4개의 출구 개구들(6)은 각각 프리즘-형상의 밸브 하우징(2)의 측부 표면의 4개의 측면 중 하나를 거쳐 접근 가능하다. 그 결과, 4개의 출구 개구들(6)은 입구 개구(5)에 수직으로 그리고 각각의 경우에 서로에 대해 90° 만큼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더욱이, 4개의 출구 개구들(6)은 공동(4)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평면에 배열된다.
가이드 본체(7)는 차단 요소(3)가 제2 구멍(13)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보어에 수용된다. 차단 요소(3)는 가이드 본체(7)와 출구 개구들(6) 중 하나를 개별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단 돌출부(8)를 포함하고, 여기서 차단 요소(3)는 밸브 하우징(2)의 공동(4)에 이동 가능하게 그리고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차단 돌출부(8)는 출구 개구들(6)을 차단할 때 출구 개구들(6)에 인접하도록 만곡된 인접 표면(9)을 갖는다. 차단 돌출부(8)는 데드 스페이스 없이 공동(4) 내에서 운반될 매체를 편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출부(8)의 수와 배열은 밸브 하우징(2)과 함께 기능에 따라 일치되어야 한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요소(3)의 가이드 본체(7)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여기서 차단 돌출부(8)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베이스 표면(10)에 배열된다. 이 경우, 차단 돌출부(8)는 차단 요소(3)의 가이드 본체(7)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측부 표면의 일부의 가상적인 연장부를 형성한다. 그 결과, 만곡된 인접 표면(9)은 가이드 본체(7)의 측부 표면의 일부의 가상적인 연장부이다. 공동(4)은 원통형이고, 여기서 원통형 하우징(4)의 길이방향 축은 차단 요소(3)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길이방향 축과 일치한다.
도 1a 내지 도 1d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에서, 밸브 하우징(2)은 4개의 추가적인 공동들(11)을 가지며, 여기서 추가적인 공동들(11)은 원통형이고 출구 개구들(6) 중 하나를 개별적으로 거쳐 공동(4)에 연결된다. 그 결과, 4개의 원통형 추가적인 공동들(11)의 길이방향 축은 원통형 공동(4)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평면에 배열되고 프리즘-형상의 밸브 하우징(2)의 측부 표면의 4개의 측면 중 하나에 각각 배열되는 4개의 보어들을 형성한다.
밸브(1)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차단 요소(3)를 회전시키기 위한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drive)를 갖고 여기서 구동부는 제2 구멍(13)으로부터 돌출하는 차단 요소(3)의 단부에 결합한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돌출부(8)는 4개의 출구 개구들(6) 중 하나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차단 돌출부(8)의 만곡된 인접 표면(9)은 차단 요소(3)의 회전에 의해 덮인 출구 개구(6)를 통해 어떠한 유체도 흐를 수 없도록 개별적으로 하나의 출구 개구들(6)을 덮을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차단 요소(3)가 90° 만큼 추가 회전하면, 차단 출구 개구(6)가 다시 개방되고 90° 만큼 오프셋 배치된 인접한 출구 개구(6)가 차단 돌출부(8)에 의해 차단된다. 그 결과, 차단 돌출부(8)의 위치에 따라, 4개의 출구 개구들(6) 중 개별적으로 하나가 차단될 수 있고 다른 3개의 출구 개구들(6)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입구 개구(5)를 거쳐 유입되는 유체는 3개의 개방된 출구 개구들(6)을 거쳐 밸브(1)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출구 개구들(6)은 각각 서로에 대해 90° 만큼 오프셋되어 배열되기 때문에, 차단 돌출부(8)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를 덮는다. 차단 요소를 0°내지 90°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차단 출구 개구(6)는 점진적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시에 인접한 출구 개구(6)는 지속적으로 점진적으로 폐쇄된다. 더욱이, 제2 구멍(13)으로부터 원통형 공동(4)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의 차단 요소(3)의 선형 이동에 의해, 모든 출구 개구들(6)이 개방될 수 있다. 차단 요소(3)가 대향하는 방향, 즉 입구 개구(5)의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경우, 모든 출구 개구들(6)이 차단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가이드 본체(7)가 4개의 출구 개구들(6)을 덮어 차단한다.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2)은 가열 및/또는 냉각 매체를 안내하기 위한 가열 및/또는 냉각 채널(14)을 갖는다. 가열 및/또는 냉각 매체의 도움으로, 밸브(1) 및 결과적으로 밸브(1)를 통해 흐르는 유체가 가열되거나 냉각될 수 있다. 다음의 유체가 가열 및/또는 냉각 매체로 사용될 수 있다:
- 수성 가열 또는 냉각 매체, 예를 들어 물 또는 예를 들어 글리콜과 같은 물-알코올 혼합물
- 예를 들어, 디젤 오일과 같은 예를 들어 광유와 같은 써멀 오일(thermal oils)
- 냉각 매체로서의 공기
- 가열 매체로서의 수증기
- 적용 및 공정 조건에 적합한 모든 다른 액체 또는 기체.
더욱이, 가열은 또한 예를 들어 가열 용기 또는 가열 벨트를 사용하는 전기적일 수 있다.
적용에 따라, 온도 제어는 0 내지 35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70 ℃,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 ℃의 범위에서 일어날 수 있다. 밀봉된 데드 스페이스를 회피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차단 요소(3)는 원통형 공동(4)에 적절한 정의된 허용오차로 구현된다. 밸브(1)의 작동 상태(유체 압력, 온도)와 운반 매체에 최적화되어, 차단 요소(3)와 밸브 하우징(2) 사이에 정의된 간격이 생성되어 차단 요소(3)를 따라 정의된 흐름을 초래한다. 간극은 이 흐름에 의해 규칙적으로 플러싱되고 밸브 하우징(2) 내의 재료의 영구적인 퇴적이 방지되고 따라서 데드 스페이스 없음이 보장된다. 유체 흐름은 밸브 하우징(2)의 베이스 표면 외부에서 압력 밀봉부(press seal)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입구 개구(5)의 방향으로 원통형 공동(4)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차단 요소(3)가 규칙적으로 반복적으로, 진동하는 선형 운동의 결과로서, 차단 요소의 밸브 하우징(2)과 가이드 본체(7) 사이의 공동(4) 내의 간극의 플러싱(flushing)이 향상될 수 있고 간극에서 유체의 임의의 크래킹이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1)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아미녹사이드 용액의 제조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차단 요소(3)의 구성의 결과로서, 방사 질량(spinning mass)이 시스템의 데드 스페이스에 축적 및 분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밸브(1)에 방사 질량을 상당히 오랫동안 보관하는 경우에도, 차단 요소(3)가 주기적으로 움직이도록 설정되고 플러싱될 수 있기 때문에, 차단 요소(3)는 밸브 하우징(2)에 고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셀룰로오스/아미녹사이드 용액의 안전한 배출, 분배 및 안전한 수송이 가능한 것을 보장하기 위해, 밸브 하우징(2) 내의 셀룰로오스 용액의 유속이 주기적으로 조정되고 변화될 수 있는 밸브(1)를 통해 수성 3차 아미녹사이드 중의 셀룰로오스의 용액을 수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차단 요소(3) 및 밸브 하우징(2)의 제조를 위해 특히 다음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차단 요소(3) 및 밸브 하우징(2)은 상이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 강, 공구강, 비합금강, DIN EN 10088-3에 따른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크롬 니켈강, 예를 들어 X5CrNi18-10 (1.4301) 또는
- 알루미늄, 예를 들어 경화성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콘 합금, 예를 들어 EN AW-6060 또는
- 플라스틱,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PTFE 또는
- 요구되는 공정 조건을 견디는 모든 다른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재료.
도 2a 내지 도 2d는 가열 및/또는 냉각 채널(14)이 없는 도 1a 내지 도 1d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하우징(2)을 도시한다. 4개의 출구 개구들(6) 및 4개의 원통형 추가적인 공동들(11)은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안내되는 2개의 보어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밸브 하우징(2)은 프리즘-형상의 밸브 하우징(2)의 케이싱의 2개의 서로 수직인 측면을 통해 천공된다. 따라서 십자가-형상의 공동이 형성된다. 이 십자가에 수직으로, 공동(4) 및 입구 개구(5)는 물론 제1 구멍(12) 및 제2 구멍(13)이 추가적인 보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밸브(1)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 요소(3)를 도시한다. 이 차단 요소(3)는 또한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것 이외의 밸브(1)의 실시예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차단 요소(3)의 가이드 본체(7)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여기서 차단 돌출부(8)는 차단 돌출부(8)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실질적으로 원형인 베이스 표면(10)에 배열된다. 차단 돌출부(8)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베이스 표면(10)에 수직인 가이드 본체(7)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측방 표면의 일부의 가상적인 연장부를 형성한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돌출부(8)는 원통형 가이드 본체(7)의 측부 표면의 연장부 및 실질적으로 원형인 베이스 표면(10)의 중심점을 통과하고 이 베이스 표면(10)을 분할하고 예컨대 이등분하고 베이스 영역(7)(D1)과 개구(11)(D2)의 비율에 비례하는 각도(α): αf(D2/D1)를 원통형 가이드 본체(7)로 둘러싸는 획정 평면(limiting plane)에 의해 실질적으로 획정된다. 더욱이, 차단 돌출부(8)는 차단 돌출부(8)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에 배열되고 획정 평면, 베이스 표면(10) 및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측부 표면의 연장부에 의해 획정되는 2개의 리세스(15)를 갖는다. 더욱이, 리세스(15)는 출구 개구(6)를 차단할 때 차단 출구 개구(6)에 인접한 2개의 출구 개구들(6)의 윤곽에 인접하는 원형 세그먼트-형상의 획정 라인(16)을 갖는다. 리세스(15)는 입구 개구(5)로부터 출구 개구들(6)로 흐르는 유체의 최적 흐름을 위해 사용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a 내지 도 2d에 따른 밸브 하우징(2) 및 2개의 출구 개구들(6)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요소(3)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밸브(1)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차단 돌출부(8)는 180°의 각도를 덮어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90°로 배열된 2개의 인접한 출구 개구들(6)이 차단 요소(3)의 도움으로 동시에 차단될 수 있다. 그 결과, 서로 인접하고 서로에 대해 90°로 배열된 총 4개의 출구 개구들 중 2개의 추가적인 출구 개구들(6)이 개방되어 밸브(1)로부터 이들 2개의 출구 개구들(6)을 통해 유체가 흐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a 내지 도 4d에 따른 밸브(1)의 차단 요소(3)를 도시한다. 차단 돌출부(8)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실질적으로 원형인 베이스 표면(10)의 3/4을 덮는다. 실질적으로 원형인 베이스 표면(10)은 차단 돌출부(8)의 2개의 리세스(15)에 의해 인접하여 리세스(15)가 서로에 대해 90°만큼 오프셋된다. 리세스(15)는 공동(4)으로부터 차단 돌출부(8)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따라서 개방되는 출구 개구들(6)로의 개선된 유체 흐름을 위해 사용된다. 차단 돌출부(8)의 도움으로, 이 경우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밸브 하우징(2)에서, 총 4개의 출구 개구들 중 90°만큼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 2개의 인접한 출구 개구들(6)은 차단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3a 내지 도 3d에 따른 차단 요소(3)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밸브(1)를 도시한다. 밸브 하우징(2)은 정사각형 베이스 및 상부 표면을 갖는 프리즘 형상이고, 여기서 입구 개구(5)는 프리즘 형상의 밸브 하우징(2)의 상부 표면에 배열된다. 도 6a 내지 도 6d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에서, 밸브 하우징(2)은 추가적인 공동(11)을 가지며, 여기서 추가적인 공동(11)은 비스듬한 원통체(skew cylinder)의 형태를 가지며 프리즘 형상의 밸브 하우징(2)의 케이싱의 일 측면에 배열된다. 추가적인 공동(11)은 출구 개구(6)를 거쳐 밸브 하우징(2)의 공동(4)에 연결되고, 여기서 출구 개구(6)는 입구 개구(5)에 수직으로 배열된다. 추가적인 공동(11)은 프리즘 형상의 밸브 하우징(2)의 케이싱의 일 측면을 통해 밸브 하우징(2)이 천공되는 보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밸브 하우징(2)에서 차단 요소(3)를 회전시킴으로써, 하나의 출구 개구(6)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연속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차단 돌출부(8)가 출구 개구(6)에 대향하는 공동(4)의 측면에 배열되는 개방 출구 개구(6)로부터 시작하여, 여기서 출구 개구(6) 및 차단 돌출부(8)는 동일한 높이에서 원통형 공동(4)의 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차단 요소(3)는 차단 돌출부(8)가 출구 개구(6)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회전된다. 차단 돌출부(8)의 회전으로 인해 차단 돌출부(8)가 출구 개구(6)를 부분적으로 덮자마자, 차단 돌출부(8)에 의해 덮이지 않고 따라서 개방된 출구 개구(6)의 단면은 작아지게 되어 출구 개구(6)를 통한 유체 흐름은 감소된다. 차단 요소(3)의 추가적인 회전 동안, 출구 개구(6)의 자유 단면이 추가로 감소되어 출구 개구(6)를 통한 유체 흐름이 추가로 감소된다. 그 결과, 밸브(1)로부터 출구 개구(6)를 통한 유체 흐름의 연속적인 흐름 조절이 가능하다. 유체가 입구 개구(5)를 거쳐 공동(4) 내로 흐르고 차단 요소(3)의 도움으로 출구 개구(6)로 추가로 운반되기 때문에, 밸브 하우징(2)에는 데드 스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가이드 본체(7)가 밸브 하우징(2)과 가이드 본체(7) 사이의 공동(4)의 간극으로 흐르는 유체로 플러싱되기 때문에, 가동 차단 요소(3)와 정적 밸브 하우징(2) 사이에 데드 스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밸브(1)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밸브 하우징(2)을 도시한다. 원통형 공동(4)의 길이방향 축과 비스듬한 원통형의 추가적인 공동(11)은 대략 75°의 각도를 둘러싼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밸브의 밸브 하우징(2)을 도시한다.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밸브 하우징(2)과 대조적으로, 밸브 하우징(2)은, 밸브 하우징(2)이 5개의 출구 개구들(6)을 거쳐 밸브 하우징(2)의 공동(4)에 연결되는 총 5개의 추가적인 공동들(11)을 가지도록 케이싱의 일 측면에서 겹쳐서 배열된 2개의 추가적인 공동들(11)을 갖는다. 차단 요소(3)를 회전시킴으로써, 겹쳐서 배열된 2개의 출구 개구들(6)은 함께 차단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공동(4) 내에서 차단 요소(3)의 선형 이동의 결과로서, 입구 개구(5)에 더 가깝게 배열된 겹쳐서 배열된 2개의 출구 개구들(6) 중 하나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반면 다른 하나는 차단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밸브(1)를 도시하고, 여기서 밸브 하우징(2)은 프리즘-형상이다. 프리즘의 베이스 및 상부 표면은 등변 삼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밸브 하우징(2)과 비슷하게, 밸브(1)는 3개의 출구 개구들(6) 및 3개의 추가적인 공동들(11)을 가지며, 여기서 추가적인 공동들(11)은 원통형이고 출구 개구들(6) 중 개별적으로 하나를 거쳐 공동(4)에 연결된다. 그 결과, 3개의 원통형 추가적인 공동들(11)의 길이방향 축은 원통형 공동(4)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평면에 배열되고 프리즘 형상의 밸브 하우징(2)의 측부 표면의 3개의 측면 중 하나에 각각 배열되는 3개의 보어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3개의 보어들은 각각 120°의 각도를 둘러싼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9a 내지 도 9d에 따른 밸브(1)의 차단 요소(3)를 도시한다. 차단 돌출부(8)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실질적으로 원형인 베이스 표면(10)의 2/3를 덮는다. 차단 돌출부(8)의 2개의 리세스(15)는 리세스(15)가 서로에 대해 120° 만큼 오프셋되도록 실질적으로 원형인 베이스 표면(10)에 인접한다. 그 결과,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밸브 하우징(2)의 3개의 출구 개구들(6) 중 하나가 차단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밸브(1)를 도시하고, 여기서 밸브 하우징(2)은 프리즘 형상이다. 프리즘의 베이스 및 상부 표면은 육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밸브 하우징(2)과 유사하게, 밸브(1)는 6개의 출구 개구들(6) 및 6개의 추가적인 공동들(11)을 가지며, 여기서 추가적인 공동들(11)은 원통형이고 출구 개구들(6) 중 개별적으로 하나를 거쳐 공동(4)에 연결된다. 그 결과, 6개의 원통형 추가적인 공동들(11)의 길이방향 축은 원통형 공동(4)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평면에 배열되고 프리즘 형상의 밸브 하우징(2)의 측부 표면의 6개 측면 중 하나에 각각 배열되는 6개의 보어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6개의 보어들은 각각 60°의 각도를 둘러싼다.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단 요소(3)는 2개의 차단 돌출부(8)를 가지며 2개의 대향하는 출구 개구들(6)을 차단하는 데 사용된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도 11a 내지 도 11d에 따른 밸브(1)의 차단 요소(3)를 도시한다. 2개의 차단 돌출부(8)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실질적으로 원형인 베이스 표면(10)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에 배열되고 각각은 설형부의 형태를 갖는다. 이 경우, 차단 돌출부(8)는 각각 가이드 본체(7)의 연장된 측부 표면의 60°를 덮어서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육각형 베이스 표면을 갖는 프리즘-형상의 밸브 바디(2)의 경우에 2개의 대향하는 출구 개구들(6)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차단 요소(3)의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2개의 차단 돌출부(8)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 요소(3)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도 3a 내지 도 3d에 따른 차단 요소(3)의 차단 돌출부(8)에 추가하여, 하나의 차단 돌출부(8)가 원통형 가이드 본체(7)의 길이방향 축 중심으로 미러링된 다른 차단 돌출부(8)의 거울상이 되도록 실질적으로 원형인 베이스 표면(10)의 대향하는 측면에 추가적인 차단 돌출부(8)가 제공된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1)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밸브 하우징(2)은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밸브 하우징(2)의 실시예에 따라 겹쳐서 배열된 2개의 밸브 하우징(2)에 대응하고, 여기서 입구 개구(5)로부터 더 멀리 있는 도 2a 내지 도 2d에 따라 겹쳐서 배열된 2개의 밸브 하우징(2) 중 하부의 것은 4개의 출구 개구들(6) 대신에 3개를 갖는다. 따라서, 도 14a 내지 도 14d에 따른 프리즘 형상의 밸브 하우징(2)의 케이싱의 3개의 측면에, 원통형 공동(4)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오프셋된 2개의 추가적인 공동들(11)이 제공되고 케이싱의 일 측면에 추가적인 공동(11)이 제공된다. 그 결과, 밸브 하우징은 4개의 상부 및 3개의 하부 출구 개구들(6)을 가지며, 여기서 상부 출구 개구들(5)은 하부 출구 개구들(5)보다 입구 개구(6)에 더 가깝다. 차단 돌출부(8)가 4개의 상부 출구 개구들(6)와 동일한 높이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차단 요소(3)가 공동(4)에 위치설정되면, 3개의 하부 출구 개구들(6)은 차단된다. 추가적으로, 4개의 상부 출구 개구들(6) 중 하나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차단 요소(3)가 제2 구멍(13)의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이동되어 차단 돌출부(8)가 3개의 하부 출구 개구들(6)과 동일한 높이에 배열되면, 4개의 상부 출구 개구들(6)이 개방된다. 추가적으로, 3개의 하부 출구 개구들(6) 중 하나는 차단 돌출부(8)의 도움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다른 2개의 하부 출구 개구들은 개방된다.
도 15a 및 15b는,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개별적으로 하나의 밸브(1)가 프리즘 형상의 밸브 하우징(2)의 케이싱의 2개의 측면에 배열되는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밸브(1)를 도시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밸브 하우징(2) 및 차단 요소(3)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1)를 추가로 도시하며, 여기서 밸브 하우징(2)은 차단 요소(3)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4), 공동(4) 내로의 유체의 흐름을 위한 입구 개구(5) 및 공동(4)으로부터의 유체의 흐름을 위한 출구 개구(6)를 갖는다. 차단 요소(3)는 가이드 본체(7) 및 출구 개구(6)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 돌출부(8)를 포함하고 밸브 하우징(2)의 공동(4)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차단 돌출부(8)는 출구 개구(6)에 인접하기 위한 만곡된 인접 표면(9)을 갖는다. 도 16a 및 도 16b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에서, 만곡된 인접 표면(9)은 출구 개구(6)에 인접하기 위하여 원호 형상이다. 입구 개구(5)는 원통형의 추가적인 공동(11)의 측부 표면에 배열된다. 입구 개구(5)는 공동(4)과 공동(4)에 수직인 추가적인 공동(11)을 연결한다. 차단 요소(3)의 가이드 본체(7)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여기서 차단 돌출부(8)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베이스 표면(10)에 배열된다. 공동(4)은 원통형 제1 섹션(17) 및 제1 섹션(17)과 추가적인 공동(11) 사이에 배열되는 제2 섹션(18)을 갖는다. 이 경우에, 원통형의 추가적인 공동(11)은 공동(4)의 원통형 제1 섹션(17)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고, 여기서 원통형의 추가적인 공동(11)의 길이방향 축은 원통형 제1 섹션(17)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이다. 차단 돌출부(8)는 공동(4)의 제2 섹션(18)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차단 요소(3)는 공동(4)의 원통형 제1 섹션(17)의 길이방향 축이 차단 요소(3)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길이방향 축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공동(4)에 배열된다.
도 16a 내지 도 16b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에서, 입구 개구(5)는 공동(4)의 원통형 제1 섹션(17)의 측부 표면에 배열된다. 공동(4)의 제1 섹션(17)은 공동(4)의 제2 섹션(18)에 대향하는 측면에 제2 구멍(13)을 형성하는 밸브 하우징(2)을 관통하는 원통형 보어이다. 가이드 본체(7)는 차단 요소(3)가 제2 구멍(13)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보어에 수용된다. 밸브(1)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의 차단 요소(3)의 선형 이동을 위한 구동부(19)를 가지며, 여기서 구동부(19)는 제2 구멍(13)으로부터 돌출하는 차단 요소(3)의 단부에 결합한다.
도 16a에서 밸브(1)는 폐쇄 상태에 있고 여기서 차단 돌출부(8)의 만곡된 인접 표면(9)이 입구 개구(5)에 대해 인접한다. 추가적으로, 차단 요소(3)의 가이드 본체(7)는 출구 개구(5)와 인접하여 이를 차단하여 어떠한 유체도 입구 개구(5)로부터 밸브(1)의 공동(4) 내로 그리고 더 나아가 출구 개구(6)로 흐를 수 없도록 한다. 이 위치에서, 차단 돌출부(8)는 공동(4)의 제2 섹션(18)에 배치되고 가이드 본체(7)는 공동(4)의 제1 섹션(17)에 배열된다. 밸브(1) 내 유체의 데드 스페이스를 회피하기 위해, 유체가 입구 개구(5)를 통해 간극을 거쳐 공동(4) 내로 그리고 나아가 출구 개구(6) 및 추가적인 공동(11)으로 흐를 수 있도록 밸브 하우징(2)과 가이드 본체(7) 사이의 공동(4)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밸브(1) 내의 유체의 긴 체류 시간이 회피될 수 있다. 제2 구멍(13)의 방향으로 공동(4)의 원통형 제1 섹션(17)의 길이방향으로의 차단 요소(3)의 선형 이동 동안, 차단 요소(3)의 가이드 본체(7)는 입구 개구(5)를 지나 이동한다. 가이드 본체(7)의 이러한 통과 동안, 유체가 부분적으로 개방된 입구 개구(5)를 통해 공동(4) 내로 그리고 더 나아가 출구 개구(6) 및 추가적인 공동(11)으로 흐를 수 있도록 입구 개구(5)가 연속적으로 개방된다. 이 경우, 공동(4) 내의 유체는 공동(4) 내의 유체의 흐름이 개선되는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베이스 표면(10) 및 차단 돌출부(8)의 만곡된 인접 표면(9)에 의해 안내된다. 제2 구멍(13)의 방향으로의 차단 요소(3)의 추가적인 선형 이동 동안, 입구 개구(5)는 가이드 본체(7)가 더 이상 입구 개구(5)를 덮지 않을 때까지 그리고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개구(5)가 완전히 개방될 때까지 추가로 개방된다. 이 경우에,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베이스 표면(10)은 출구 개구(6)로부터 멀어지게 대면하는 측면의 입구 개구(5)와 접촉한다. 차단 돌출부(8)의 베이스 표면(10)과 만곡된 인접 표면(9)의 도움으로, 유체는 출구 개구(6)의 방향으로 공동(4)에서 안내되고, 여기서 유체의 흐름은 차단 돌출부(8)가 없는 차단 요소에 비해 향상된다.
밸브 하우징(2) 내부의 과도한 압력을 피하기 위해,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2)은 출구 개구들(6) 중 적어도 하나에 홈(20)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홈(20)은 입구 개구(5)에 대면하는 출구 개구(6)의 측면에 배열된다.
대안적으로,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2) 내부의 과도한 압력을 피하기 위해, 차단 요소(3)는 홈(20)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홈(20)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측부 표면과 베이스 표면(10) 사이의 에지에 배치되며, 차단 돌출부(8)는 동일한 베이스 표면(10)에 배열된다.
도 18a 및 도 18b는 도 17b에 도시된 밸브(1)의 차단 요소(3)를 도시한다. 차단 요소(3)의 홈(20)은 삼각형 단면을 갖고 차단 돌출부(8)에 대향하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베이스 표면(10)의 측면에 배열되는 사면체 노치이다. 홈(20)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정렬되고 베이스 표면(10) 내로 돌출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밸브(1)의 차단 요소(3)를 도시한다. 차단 요소(3)는 차단 돌출부(8) 및 포물선 단면을 갖는 홈(20)을 갖는다. 홈(20)은 차단 돌출부(8)에 대향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실질적으로 원형인 베이스 표면(10)의 측면에 배열된다. 홈(20)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가이드 본체(7)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정렬되고 베이스 표면(10) 내로 돌출한다.

Claims (18)

  1. 밸브 하우징(2) 및 차단 요소(3)를 포함하는, 밸브(1)로서,
    상기 밸브 하우징(2)은 차단 요소(3)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4), 유체가 상기 공동(4) 내로 흐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5) 및 유체가 상기 공동(4)으로부터 흐르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들(6)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요소(3)는 가이드 본체(7)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하우징(2)의 상기 공동(4)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고,
    상기 차단 요소(3)는 상기 출구 개구들(6)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출부(8)를 포함하는,
    밸브(1).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7)는 가이드 본체(7)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홈(20)을 가지며 그리고/또는 상기 밸브 하우징(2)은 상기 출구 개구(6)로부터 상기 입구 개구(5)의 방향으로 이어지는 홈(20)을 갖는,
    밸브(1).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돌출부(8)는 상기 가이드 본체(7)의 베이스 표면(10)에 배열되고, 상기 홈(20)은 상기 베이스 표면(10)으로 이어지는,
    밸브(1).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홈(20)은 상기 차단 돌출부(8)의 방향으로 가이드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하거나 또는 상기 하나의 출구 개구(6)로부터 상기 입구 개구(5)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단면을 갖는,
    밸브(1).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출구 개구들이 제공되고, 상기 출구 개구들(6)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동(4)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평면에 배열되는,
    밸브(1).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돌출부(8)는 상기 출구 개구들(6)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인접하기 위해 만곡된 인접 표면(9)을 갖는,
    밸브(1).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요소(3)를 이동시키기 위한, 특히 회전 및/또는 선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9)를 특징으로 하는,
    밸브(1).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요소(3)의 상기 가이드 본체(7)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출부(8)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상기 가이드 본체(7)의 베이스 표면(10)에 배열되는,
    밸브(1).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4)은 원통형이고, 상기 원통형 공동(4)의 길이방향 축은 상기 차단 요소(3)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상기 가이드 본체(7)의 길이방향 축과 일치하는,
    밸브(1).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2)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공동들(11)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공동들(11)은 원통형이고 상기 출구 개구들(6) 중 하나를 개별적으로 거쳐서 상기 공동(4)에 연결되는,
    밸브(1).
  11. 제9 항에 있어서,
    입구 개구(5)가 상기 원통형 공동(4)의 베이스 표면에 배열되고, 특히 상기 원통형 공동(4)의 베이스 표면과 합동인,
    밸브(1).
  12. 제9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4)은 상기 밸브 하우징(2)을 관통하는 원통형 보어(bore)이고, 상기 보어는 상기 밸브 하우징(2)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제1 구멍(12) 및 제2 구멍(13)을 형성하는,
    밸브(1).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12)은 입구 개구(5)를 형성하는,
    밸브(1).
  14.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의 직경은 상기 차단 요소(3)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상기 가이드 본체(7)의 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차단 요소(3)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상기 가이드 본체(7)는 상기 차단 요소(3)가 상기 제2 구멍(13)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보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밸브(1).
  15. 제7 항 및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9)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상기 가이드 본체(7)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차단 요소(3)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구동부(19)는 상기 제2 구멍(13)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차단 요소(3)의 단부에 결합되는,
    밸브(1).
  16. 제8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차단 돌출부(8)는 상기 차단 요소(3)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상기 가이드 본체(7)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상기 가이드 본체(7)의 측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의 연장부를 형성하는,
    밸브(1).
  17. 제1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밸브(1)에서 유체 흐름이 조절 및/또는 제어되는,
    유체를 수송하는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의 상기 차단 요소(3)는 상기 밸브 하우징(2)과 상기 차단 요소(3)의 상기 가이드 본체(7) 사이의 상기 공동(4)의 간극을 플러싱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진동하는,
    유체를 수송하는 방법.
KR1020227028560A 2020-01-21 2021-01-21 밸브 KR202201495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52892.4 2020-01-21
EP20152892.4A EP3855051A1 (de) 2020-01-21 2020-01-21 Ventil
PCT/EP2021/051231 WO2021148487A1 (de) 2020-01-21 2021-01-21 Vent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518A true KR20220149518A (ko) 2022-11-08

Family

ID=6918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560A KR20220149518A (ko) 2020-01-21 2021-01-21 밸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036121A1 (ko)
EP (2) EP3855051A1 (ko)
JP (1) JP7472293B2 (ko)
KR (1) KR20220149518A (ko)
CN (1) CN115362324A (ko)
BR (1) BR112022014348A2 (ko)
CA (1) CA3165670A1 (ko)
WO (1) WO2021148487A1 (ko)
ZA (1) ZA202208097B (ko)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8826A (en) * 1920-03-01 1922-09-12 Bittel Edward Faucet
US2887072A (en) * 1956-03-30 1959-05-19 Roger W Watkins Discharge valve for ice cream machines
US3099430A (en) * 1960-02-03 1963-07-30 Jacobsen Rolf Arrangement in regulating valves for heating units
CH400700A (de) * 1961-10-07 1965-10-15 Grohe Armaturen Friedrich Durchlass-Organ für Hähne, Mischbatterien und dergleichen
US3233630A (en) * 1962-05-07 1966-02-08 Du Pont Multiple port valve with selective closing operator
US3817668A (en) 1969-05-28 1974-06-18 K Mayer Gear wheel pump with feed passage of constant hydraulic cross section
DE1941673A1 (de) 1969-08-16 1971-02-18 Barmag Barmer Maschf Zahnradpumpe mit keilfoermig verjuengten Einzugskammern
US3783900A (en) * 1972-06-05 1974-01-08 Medex Inc Stop cock
US3815871A (en) * 1972-08-30 1974-06-11 Celotex Corp Hollow poppet valve
US3957082A (en) * 1974-09-26 1976-05-18 Arbrook, Inc. Six-way stopcock
US4011889A (en) * 1975-12-11 1977-03-15 Chemetron Corporation Piston valve
US4146055A (en) * 1977-03-21 1979-03-27 Ryder International Corporation Valve structure
DE2751225C3 (de) 1977-11-16 1981-08-13 Werner & Pfleiderer, 7000 Stuttgart Vorrichtung mit einer nach dem Siebpaket eines Schneckenextruders angeordneten Schmelzindex-Meß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Regeln der Viskosität von aufgeschmolzenem und auszuformendem Kunststoff
US4330011A (en) * 1980-06-19 1982-05-18 Stanadyne, Inc. Faucet valve with early shutoff
US4699358A (en) * 1986-08-15 1987-10-13 Stanadyne, Inc. Faucet valve with noise reduction structure
DE3815897C2 (de) 1988-05-10 1995-05-04 Werner & Pfleiderer Schneckenmaschine mit Anfahrventil und Drossel
US4854545A (en) * 1988-06-27 1989-08-08 Pezzarossi John J Faucet valve with diagonal sealing ring
AT392972B (de) 1988-08-16 1991-07-25 Chemiefaser Lenzin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oesungen von cellulose sowie ein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5095950A (en) * 1991-04-16 1992-03-17 Hallberg John E Fluid mixing apparatus with progressive valve means
US6824599B2 (en) 2001-10-03 2004-11-30 The University Of Alabama Dissolution and processing of cellulose using ionic liquids
DE102004031025B3 (de) 2004-06-26 2005-12-29 Thüringisches Institut für Textil- und Kunststoff-Forschung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aus Cellulose
DE102005037268A1 (de) 2004-08-19 2006-02-23 Maag Pump Systems Textron Gmbh Verfahren zum Filtrieren eines Fluids sowie Vorrichtung und Filter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07047726A1 (de) 2007-10-05 2009-04-09 Rieter Automatik Gmbh Extrusionsvorrichtung mit einem Anfahrventil und Heizeinsatz dafür
SE535882C2 (sv) * 2011-10-10 2013-01-29 Micael Toernblom Ventil för administrering av ett flertal läkemedelsvätskor
WO2014042827A2 (en) * 2012-09-17 2014-03-20 Hyclone Laboratories, Inc. Fluid manifold system with rotatable port assembly
US9605765B1 (en) * 2016-02-01 2017-03-28 Jui-Yuan Cheng Rotary hydraulic valve
GB201713461D0 (en) * 2017-08-22 2017-10-04 Cummins Ltd Valve system
US10865668B2 (en) * 2017-11-03 2020-12-15 Nio Usa, Inc. Four-way hydraulic valve flow control body
US10655534B2 (en) * 2018-02-06 2020-05-19 Garrett Transportation I Inc. Rotary axial valve
US10677140B1 (en) * 2019-04-04 2020-06-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port exhaust gas diverter val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ystem
US20210080016A1 (en) * 2019-09-12 2021-03-18 Nio Usa, Inc. Six-way hydraulic proportional valve
US11867356B2 (en) * 2020-12-10 2024-01-09 Patriot Research Center, LLC Rotary multi-port greasing valve
US11492965B1 (en) * 2021-08-31 2022-11-08 Garrett Transportation I Inc. Turbocharger turbine rotary bypass valve providing waste gate regulation and full turbine bypass fun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65670A1 (en) 2021-07-29
WO2021148487A1 (de) 2021-07-29
JP2023511888A (ja) 2023-03-23
JP7472293B2 (ja) 2024-04-22
US20230036121A1 (en) 2023-02-02
ZA202208097B (en) 2023-12-20
EP3855051A1 (de) 2021-07-28
CN115362324A (zh) 2022-11-18
EP4093998A1 (de) 2022-11-30
BR112022014348A2 (pt)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1637A (en) Flow forming member that reduces the disadvantageous effects of thermal degradation in the boundary layers
US10415718B2 (en) Stabilized valve with guide
US11772105B2 (en) Spray attachment for bringing out fluid substances in a jet-like manner
CN111712140B (zh) 用于挤出机的冷却喷嘴
KR20220149518A (ko) 밸브
CN100431712C (zh) 用于高压清洁装置的喷嘴部件
KR20090091723A (ko) 가열 또는 냉각 채널 분배기 내의 채널 섹션의 폐쇄 장치
US20230036365A1 (en) Valve
US3481365A (en) Flow diverting apparatus for viscous liquids
JP4810570B2 (ja) 液体容器のための分配用キャップ
JP5771387B2 (ja) 溶融物がノズルプレートから無制御に流出することを防止する装置
JP2006116970A (ja) 射出成形金型用の通路加熱形ノズル
CN109109267B (zh) 分配机构、注塑喷嘴和带注塑喷嘴和分配机构的注塑模具
KR100637356B1 (ko) 테프론을 이용한 압력조절밸브
US20090309058A1 (en) Precision dispense valve
US20170361341A1 (en) Rotor nozzle for a high-pressure cleaning apparatus
US6419474B1 (en) Injection-molding nozzle assembly
JP7460449B2 (ja) 樹脂製パイプの製造方法
JP7058295B2 (ja) バルブゲートシステム
KR20020065591A (ko) 열가소성 재료를 분사하기 위한 자기 밀봉 분사 장치
JPS6216108A (ja) 少なくとも2種類のプラスチツク成分から成る混合物を製造する装置
CA1048008A (en) Shut-off valve for control of flow of molten plastic material
KR920001351B1 (ko) 밸브조립체
JP2018100697A (ja) 液体制御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