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882A - 적층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적층 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882A
KR20220148882A KR1020227034028A KR20227034028A KR20220148882A KR 20220148882 A KR20220148882 A KR 20220148882A KR 1020227034028 A KR1020227034028 A KR 1020227034028A KR 20227034028 A KR20227034028 A KR 20227034028A KR 20220148882 A KR20220148882 A KR 20220148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thickness
coating
draw ratio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가와카미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48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일 형태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은, 제1 광학 필름과, 제1 광학 필름에 적층되어 있으며 수지로 형성된 수지층을 구비하고, 수지층의 두께의 표준편차를 σ1로 하고, 제1 광학 필름의 두께의 표준편차를 σ2로 했을 때, σ1 및 σ2가 σ1/σ2≤0.45를 만족한다.

Description

적층 광학 필름
본 발명은 적층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적층 광학 필름으로서, 광학 필름(제1 광학 필름)과, 광학 필름에 적층된 수지층을 갖는 필름이 있다. 이러한 적층 광학 필름은, 예컨대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를 광학 필름 상에 도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도공 방법에는, 수지를 도공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0-024565호 공보
광학 필름 상에 수지를 도공하여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 광학 필름의 두께 분포에 따라서 수지층의 두께에도 불균일이 생기기 때문에, 적층 광학 필름의 품질이 저감하는 경우가 있었다. 예컨대 수지층의 재료가 접착제이면, 수지층을 통해 광학 필름을 다른 부재에 맞붙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수지층의 두께에 불균일이 있어, 적층 광학 필름의 외관 불량이나 광학 특성 불량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품질이 향상된 적층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은, 제1 광학 필름과, 상기 제1 광학 필름에 적층되어 있고, 수지로 형성된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층의 두께의 표준편차를 σ1로 하고, 상기 제1 광학 필름의 두께의 표준편차를 σ2로 했을 때, σ1 및 σ2가 식 (A)를 만족한다.
σ1/σ2≤0.45 ··· (A)
상기 적층 광학 필름은, 식 (A)를 만족하기 때문에, 제1 광학 필름에 두께 분포가 생겼다고 해도, 수지층의 두께에 불균일이 저감되고 있기 때문에, 외관 불량이나 광학 특성 불량이 생기기 어렵다. 그 결과, 적층 광학 필름의 품질이 향상되고 있다.
상기 제1 광학 필름 및 상기 수지층은 장척물(長尺物)이라도 좋다. 이 경우, 제1 광학 필름에 두께 분포가 생기기 쉽다. 그러나, 상기 식 (A)를 만족하는 상기 적층 광학 필름에서는, 제1 광학 필름에 두께 분포가 생겼다고 해도, 수지층의 두께 불균일이 저감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광학 필름 및 상기 수지층은, 장척물인 경우에, 적층 광학 필름에 대하여 본 발명은 유효하다.
상기 수지층은 도공층이라도 좋다.
상기 σ1이 이하의 식 (B)를 만족하며 또한 상기 σ2가 식 (C)를 만족하여도 좋다.
0.014≤σ1≤0.020 ··· (B)
0.066≤σ2≤0.088 ··· (C)
상기 수지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라도 좋다. 이 경우, 수지층은 접착층 또는 점착층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적층 광학 필름을 예컨대 다른 부재에 맞붙일 수 있다.
상기 수지층 상에 제2 광학 필름을 더 구비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품질이 향상된 적층 광학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도공 드로우비(draw ratio)를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도공 드로우비를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도공 드로우비를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6은 도 3∼도 5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두께 tave 및 드로우비 조정값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3∼도 5에 있어서의 도공 드로우비 및 수지층 두께 t1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적층 광학 필름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실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험에 있어서의 복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σ1/σ2의 평균값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의 치수 비율은 설명하는 것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적층 광학 필름(10)은 광학 필름(제1 광학 필름)(11)과 광학 필름(11) 상에 적층된 수지층(12)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학 필름(11) 및 수지층(12)은 장척물이다. 적층 광학 필름(10)의 길이 방향의 길이의 예는 20 m 이상이며, 200 m 이상이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학 필름(11)은 적층 광학 필름(10)에 있어서의 기재이다. 광학 필름(11)은 수지층(12)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이기도 하다. 광학 필름(11)은 예컨대 수지 필름이다. 이 경우, 광학 필름(11)은 예컨대 압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된다. 광학 필름(11)은, 유연성을 갖는 것이라도 좋으며, 단층의 수지 필름이라도 좋고, 수지 필름의 적층체라도 좋다. 광학 필름(11)의 예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시클로올레핀(COP)을 포함한다. 광학 필름(11)은, 편광판, 위상차판, 위상차판과 편광판이 접착층으로 접합된 원편광판(타원편광판을 포함한다),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에 보호 필름 등을 적층시킨 적층체 등과 같은 광학 적층체라도 좋다. 상기 편광판은, 예컨대 편광 필름(편광자층)과 보호 필름이 적층된 적층체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상기 위상차판은, 예컨대 수지 필름 상에 액정 경화층이 형성된 적층체라도 좋고, 위상차 필름(위상차자층)과 보호 필름이 적층된 적층체라도 좋다. 광학 필름(11)의 두께의 예는 10 ㎛∼200 ㎛이다.
수지층(12)은 광학 필름(11) 상에 적층되어 있다. 수지층(12)의 두께의 예는 0.1 ㎛∼10 ㎛, 바람직하게는 0.5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3 ㎛이다.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수지층(12)은 도공제(12a)에 의해서 형성된 도공층이다. 도공제(12a)의 예는,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이하, 「수지 접착제」라고 부른다) 또는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이하, 「수지 점착제」라고 부른다)라도 좋다. 수지접착제 또는 수지 점착제는 본 개시에 관한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재료라도 좋다. 수지 접착제의 예는, 자외선(UV) 경화 수지 등의 활성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 등의 수계 접착제를 포함한다. 수지 점착제의 예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도공제(12a)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이라도 좋다.
적층 광학 필름(10)에 있어서, 수지층(12)의 두께 t1의 표준편차를 σ1로 하고, 광학 필름(11)의 두께 t0의 표준편차를 σ2로 한다. σ1 및 σ2는 이하의 식 (1)을 만족한다. σ1 및 σ2는 폭 방향(장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어느 위치(예컨대 중앙 위치)에 있어서, 장척 방향을 따르는 두께 t1 및 두께 t0 각각의 표준편차라도 좋다.
σ1/σ2≤0.45 ··· (1)
σ1/σ2는 바람직하게는 0.29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4 이하이다.
상기 식 (1)을 만족하는 경우, 또한 σ1이 이하의 식 (2)를 만족하며 또한 σ2가 식 (3)을 만족하여도 좋다.
0.014≤σ1≤0.020 ··· (2)
0.066≤σ2≤0.088 ··· (3)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한 적층 광학 필름(10)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는 적층 광학 필름(10)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적층 광학 필름(10)의 제조 방법은, 도공 공정(S01)과 두께 취득 공정(S02)과 산출 공정(S03)과 변경 공정(S04)을 갖는다. 두께 취득 공정(S02), 산출 공정(S03) 및 변경 공정(S04)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층(12)의 두께 관리 방법을 구성한다. 도공 공정(S01)과 두께 취득 공정(S02)와 산출 공정(S03)과 변경 공정(S04)을 기본 사이클(기본 주기)로 하여, 상기 기본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적층 광학 필름(10)을 제조한다. 도 2에서는 상기 기본 사이클에 포함되는 공정을 도시하고 있다. 각 공정을 설명한다.
[도공 공정]
도공 공정(S01)에서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장척의 광학 필름(11)을 반송한다. 예컨대 미리 제조된 장척의 광학 필름(11)의 롤체로부터 광학 필름(11)을 풀어내어 반송하여도 좋다. 혹은 광학 필름(11)의 제조 공정에서 제조된 광학 필름(11)을 직접 반송하여도 좋다. 예컨대 광학 필름(11)이 수지 필름인 경우, 압출 성형에 의해서 광학 필름(11)을 형성하면서 반송하면 된다. 도공 공정(S01)에서는, 반송되고 있는 광학 필름(11)에, 도공 장치(20)에 의해서 도공제(12a)를 도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도공 장치(20)가 갖는 도공제 공급부(21) 내의 도공제(12a)를 도공 롤(22)에 의해서 광학 필름(11)에 도공한다. 도공 장치(20)의 예는 공지된 그라비아 도공 장치이다. 이 경우, 도공 롤(22)은 그라비아 롤이다. 도공 롤(22)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예컨대 광학 필름(11)의 반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공 공정(S01)에서는, 제어 장치(30) 내에서 설정되어 있는(혹은 보존되어 있는) 도공 드로우비(%)에 기초하여 도공제(12a)를 광학 필름(11)에 도공한다. 도공 드로우비는, 도공 롤(22)의 회전 속도 V1 및 광학 필름(11)의 반송 속도 V2의 비(V1/V2)이다. 예컨대 회전 속도 V1이 60 m/분이고, 반송 속도 V2가 30 m/분인 경우, 도공 드로우비는 200%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30)가 도공 롤(22)의 회전 속도 V1을 제어함으로써 도공 드로우비를 조정한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변경 공정(S04)에 의해서 도공 드로우비는 적절하게 변경된다. 적층 광학 필름(10)의 제조 시작 시의 초기 도공 드로우비는, 미리 사용자에 의해서 제어 장치(30)에 입력되어 있으면 된다.
[두께 취득 공정]
두께 취득 공정(S02)에서는, 수지층(12)의 두께 tave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의 두께 취득 공정(S02)에서 취득하는 수지층(12)의 두께 tave는, 광학 필름(11)의 지정 범위에 있어서의 수지층(12)의 평균 두께이다. 지정 범위는, 광학 필름(11)의 반송 방향을 따르는 일정 길이를 갖는 영역(혹은 측정기 M1 또는 측정기 M2의 아래를 통과하는 일정한 길이 영역)으로서 설정된다.
두께 취득 공정(S02)에서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광학 필름(11)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도공 장치(20)의 상류 및 하류에 배치된 측정기 M1 및 측정기 M2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30)가 수지층(12)의 두께 tave를 취득한다. 측정기 M1 및 측정기 M2를 설명한다.
측정기 M1은 광학 필름(11)의 두께 t0을 측정한다. 측정기 M2는 수지층(12)을 포함하는 적층 광학 필름(10)의 두께 t2를 측정한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10)의 제조 방법은, 도공 공정(S01)보다 전에 광학 필름(11)의 두께를 취득하는 공정을 갖고, 도공 공정(S01) 후에 적층 광학 필름(10)의 두께를 측정하는 공정을 갖더라도 좋다.
측정기 M1 및 측정기 M2는, 측정 대상(광학 필름(11) 및 적층 광학 필름(10))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으면 한정되지 않는다. 측정기 M1 및 측정기 M2의 예는 분광 간섭 레이저 변위계(예컨대 기엔스 제조 SI-T 시리즈)이다. 측정기 M1 및 측정기 M2는 제어 장치(30)에 측정 결과(두께 t0, 두께 t2)를 입력한다. 입력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측정 결과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제어 장치(30)에 입력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30)가 측정기 M1 및 측정기 M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30)는, 측정기 M1 및 측정기 M2 각각이 소정 간격으로 측정을 실시하도록 측정기 M1 및 측정기 M2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측정기 M1 및 측정기 M2의 측정 결과가 순차 제어 장치(30)에 입력된다. 상기 소정 간격은, 후술하는 차 Δd1을 지정 간격으로 산출할 수 있도록 지정 간격과 동일하여도 좋고, 지정 간격보다 작은 간격이라도 좋다. 소정 간격은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제어 장치(30)에 입력된 간격이다.
제어 장치(30)에 의한 두께 tave의 산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제어 장치(30)는 측정기 M2의 측정 결과와 측정기 M1의 측정 결과의 차 Δd1을 산출한다. 차 Δd1은 광학 필름(11)에 있어서의 동일한 개소(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측정 위치 x」라고 부른다)의 측정기 M2의 측정 결과와 측정기 M1의 측정 결과의 차이다. 차 Δd1은, 측정기 M1 및 측정기 M2 각각의 측정 결과 중, 측정기 M1과 측정기 M2의 설치 거리와, 광학 필름(11)의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측정 위치 x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산출되면 된다. 차 Δd1은 광학 필름(11)의 측정 위치 x에서의 수지층(12)의 두께 t1이다. 제어 장치(30)는 지정 간격마다 차 Δd1을 산출한다. 지정 간격은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제어 장치(30)에 입력된 간격이다. 제어 장치(30)는, 적층 광학 필름(10)의 제조 시작에서부터 순차 산출된 차 Δd1 중, 지정 범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차 Δd1을 평균함으로써, 두께 tave를 얻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정 범위는,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제어 장치(30)에 입력된 일정한 길이(광학 필름(11)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는 영역이다. 평균에 사용하는 차 Δd1의 수는, 지정 범위의 길이 및 차 Δd1의 갱신 횟수(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정 간격에 상당)에 의해서 결정된다.
[산출 공정]
산출 공정(S02)에서는, 제어 장치(30)가 두께 tave와 목표 두께(소정의 두께)의 차 Δd2를 산출한다. 산출 공정(S02)은 예컨대 두께 취득 공정(S02)의 실시마다 실시된다.
[변경 공정]
변경 공정(S04)에서는, 제어 장치(30)가, 차 Δd2에 기초하여 두께 tave가 목표 두께에 일치하도록, 도공 공정(S01)에 있어서의 도공 드로우비를 변경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30)는, 차 Δd1을 산출하는 지정 간격보다 큰 주기(이하, 「보정 주기」라고 부른다)로 변경 공정(S04)을 실시한다. 예컨대 상기 보정 주기는, 상기 지정 간격의 2 이상의 자연수배(예컨대 3배, 4배 등)라도 좋다. 상기 보정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제어 장치(30)에 입력되어 있으면 된다. 변경 공정(S04)은 예컨대 산출 공정(S03)이 실시될 때마다 실시되어도 좋다.
예컨대 제어 장치(30)는, 차 Δd2에, 미리 설정된 보정 게인(조정 비율)을 곱셈함으로써 얻어지는 드로우비 조정값에 기초하여, 두께 tave가 목표 두께에 일치하도록 도공 공정(S01)에 있어서의 도공 드로우비를 변경하여도 좋다. 상기 보정 게인은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제어 장치(30)에 입력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보정 게인은, 적층 광학 필름(10)의 제조 중에 제조 상황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서 변경되어도 좋다. 보정 게인은 1배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10∼7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0배, 더욱 바람직하게 30∼40배이다.
상기 드로우비 조정값을 이용한 도공 드로우비의 변경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제N회째(N은 2 이상의 정수)의 변경 공정(S04)에서는, 제(N-1)회째까지의 변경 공정(S04)에서 산출한 (N-1)개의 드로우비 조정값 및 N회째의 변경 공정에서 산출한 드로우비 조정값의 합을 보정값로서 또한 산출하고, 상기 보정값과 초기 도공 드로우비(제1회째의 도공 공정(S01)을 실시하기 위해서 설정된 도공 드로우비)의 합으로서 새로운 도공 드로우비를 설정한다.
상기 드로우비 조정값을 이용한 도공 드로우비의 변경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변경 전의 도공 드로우비를 제1 도공 드로우비라고 부르고, 변경 후의 도공 드로우비를 제2 도공 드로우비라고 부른다. 이 예에서는, 제어 장치(30)는 드로우비 조정값과 제1 도공 드로우비의 합을 제2 도공 드로우비로서 설정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제조된 적층 광학 필름(10)은, 예컨대 다른 부재에 맞붙여지더라도 좋고, 혹은 수지층(12)을 더욱 경화시킴으로써 제품으로서 판매되어도 좋다.
상기 제어 장치(30)는, 도공 공정(S01)에서부터 변경 공정(S04)에서 설명한 제어 장치(30)의 각 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제어 장치(30)는, 측정기 M1 및 측정기 M2로부터의 측정 결과 및 사용자에 의한 각종 데이터 등의 입력을 접수하는 기능, 각종 데이터(두께 tave, 차 Δd2, 드로우비 조정값 등)를 표시하는 기능 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데이터의 예는, 목표 두께 및 상술한 각종 파라미터(예컨대 지정 간격, 보정 주기, 보정 게인 등)이다. 제어 장치(30)는 적층 광학 필름(10)을 제조하기 위한 전용 장치일 수 있다. 혹은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 상술한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퍼스널 컴퓨터를 제어 장치(30)로서 기능시키더라도 좋다.
도 3∼도 5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30)에 있어서의 도공 드로우비의 변경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10)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도공 드로우비를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3∼도 5에 도시한 데이터는, 다음의 조건으로 적층 광학 필름(10)을 제조하는 경우를 상정한 가상 사례의 데이터이며, 도 3∼도 5에서는 가상 사례에 있어서의 경과 시간 60초까지의 데이터를 발췌하고 있다.
목표 두께: 1.5 ㎛
초기 도공 드로우비: 200%
지정 범위의 길이: 1.4 m
지정 간격: 1초
반송 속도: 21 m/분(0.35 m/초)
보정 주기: 15초(5.25 m의 길이에 상당)
보정 게인: 35
도 3∼도 5에 도시한 두께 t1은,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측정기 M1 및 측정기 M2를 사용하여 두께 t0 및 두께 t2를 측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두께 t2와 두께 t1의 차로서 산출되는 수지층(12)의 두께이다.
지정 범위로서 1.4 m를 상정하며 또한 반송 속도로서 21 m/분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데이터 No. 5까지의 데이터가 얻어진 시점에서, 데이터 No. 1∼No. 5까지의 차 Δd1의 평균값으로서 두께 tave가 산출된다. 지정 범위의 길이가 1.4 m이므로,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데이터 No. 2∼No. 6에 상당하는 광학 필름(11)의 영역을 다음 지정 범위로 하여 두께 tave를 산출하고 있다. 그 후, 순차 지정 범위를 0.35 m(경과 시간 1초에 상당)씩 변위시키면서 두께 tave를 산출한다. 두께 tave를 산출할 때마다 차 Δd2를 산출함과 더불어 드로우비 조정값을 산출한다. 도 6은 도 3∼도 5에 있어서의 두께 tave 및 드로우비 조정값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의 횡축은 광학 필름(11)의 반송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좌측의 종축은 두께 tave(㎛)를 나타내고 있고, 우측의 종축은 드로우비 조정값을 나타내고 있다.
보정 주기가 15초이므로,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데이터 No. 15의 데이터가 얻어진 시점에서, 드로우비 조정값에 기초하여 새로운 도공 드로우비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No. 15의 데이터가 얻어진 시점에서는 제1회째의 변경 공정(S04)이기 때문에, 드로우비 조정값이 보정값에 상당한다. 그 때문에, 데이터 No. 15까지의 도공 드로우비인 200%에, 보정값(드로우비 조정값에 상당)인 -22.4를 가산함으로써 산출된 177.6을, 다음의 도공 드로우비로서 설정한다. 그 후,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데이터 No. 30의 데이터가 얻어진 시점에서, 드로우비 조정값에 기초하여 새로운 도공 드로우비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회째의 변경 공정(S04)을 실시하는 데이터 No. 30가 얻어졌을 때에 있어서의 드로우비 조정값은 -7이므로, 상기 제1회째의 변경 공정(S04)에서 산출한 보정값인 -22.4에 -7을 가산한 -29.4를 보정값로서 산출한다. 초기 도공 드로우비인 200%에 -29.4를 가산함으로써 산출된 170.6을 다음의 도공 드로우비로서 설정한다. 이하, 같은 식으로 도공 드로우비를 설정한다.
도 7은 도 3∼도 5에 있어서의 도공 드로우비 및 도공층의 두께 t1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의 좌측의 종축은 도공 드로우비(%)를 나타내고 있고, 우측의 종축은 수지층(12)의 두께 t1을 나타내고 있다.
도 3∼도 5 및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공 드로우비는 반송 거리 5.25 m마다 변경된다. 이에 따라, 수지층(12)의 두께 t1도 변화되어, 두께 t1이 목표 두께인 1.5 ㎛로 수렴된다.
도 3∼도 5에 예시한 데이터에 기초한 설명에서는, 보정값을 이용하여 도공 드로우비를 조정하는 형태를 설명했다. 그러나, 도 3∼도 5에 도시한 보정값을 이용하지 않고서 도공 드로우비를 조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의 도공 드로우비의 조정 방법을 설명한다.
최초의 변경 공정(S04)을 실시하는 데이터 No. 15가 얻어진 시점에서의 드로우비 조정값은 -22.4이므로, 초기 도공 드로우비인 200%에 -22.4를 가산하여 산출된 177.6을 다음의 도공 드로우비로서 설정한다. 제2회째의 변경 공정(S04)을 실시하는 데이터 No. 30이 얻어졌을 때에 있어서의 드로우비 조정값은 -7이기 때문에, 177.6에 -7을 가산함으로써 산출된 170.6을 다음의 도공 드로우비로서 설정한다. 이하, 같은 식으로 도공 드로우비를 설정한다.
적층 광학 필름(10)에서는, σ1 및 σ2가 식 (1)을 만족한다. 그 때문에, 적층 광학 필름(10)은, 광학 필름(11)의 두께 t0의 불균일에 대하여 수지층(12)의 두께 t1의 불균일이 저감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적층 광학 필름(10)에서는, 외관이나 광학 특성이 양호하여, 적층 광학 필름(10)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σ1/σ2가 작은 쪽이 적층 광학 필름(10)의 외관, 광학 특성 등이 양호하므로, σ1/σ2는 바람직하게는 0.29 이하이다.
식 (1)을 만족하는 점은, 광학 필름(11) 및 수지층(12)이 장척물(예컨대 장척 방향의 길이가 예컨대 2 m 이상, 5 m 이상, 10 m 이상 또는 20 m 이상인 장척물)인 경우에 한층 더 유효하다.
수지층(12)이 수지로 형성된 접착제 또는 점착제인 경우, 수지층(12)은 접착층 또는 점착층으로서 기능한다. 그 때문에, 적층 광학 필름(10)을 다른 부재에 맞붙일 수 있다.
σ1이 식 (2)를 만족하며 또한 σ2가 식 (3)을 만족하는 경우, 두께 t0의 불균일에 대하여 두께 t1의 불균일이 보다 작다. 따라서, 적층 광학 필름(10)의 외관이나 광학 특성이 보다 양호하다.
상기 적층 광학 필름(10)의 제조 방법에서는, 수지층(12)의 두께를 취득하고, 이것과 목표 두께의 차 Δd2에 기초하여 도공 드로우비를 변경한다. 상기 적층 광학 필름(10)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공 공정(S01), 두께 취득 공정(S02), 산출 공정(S03) 및 변경 공정(S04)을 반복하면서, 도공 공정(S01), 두께 취득 공정(S02), 산출 공정(S03) 및 변경 공정(S04)을, 제어 장치(3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즉, 도공 드로우비의 변경에 필요한 데이터의 취득, 산출 등을 제어 장치(30)가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지층(12)의 두께(실제의 두께 또는 평균 두께)를 자동적으로 감시할 수 있고, 취득된 수지층(12)의 두께(본 실시형태에서는, 두께 tave)에 기초하여 도공 드로우비를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수지층(12)의 두께 t2가 목표 두께에 수렴되도록 도공 드로우비가 자동적으로 변경된다. 그 결과, 목표 두께를 갖는 수지층(12)을 갖춘 적층 광학 필름(10)을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자동적으로 수지층(12)의 두께를 목표 두께로 하도록 도공 드로우비가 조정되기 때문에, 수지층(12)의 두께 불균일도 저감된다. 그 때문에, 상술한 식 (1)을 만족하는 적층 광학 필름(10)을 제조할 수 있다. 그 결과, 적층 광학 필름(1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적층 광학 필름(10)의 제조 방법에서는, 경험적으로 도공 드로우비를 변화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수지층(12)의 두께 t1을 목표 두께에 보다 빠르게 수렴할 수 있기 때문에, 생력화(省力化)를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재료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동일한 도공 드로우비인 경우라도 현실적으로는 수지층(12)의 두께에 약간의 불균일이 생긴다. 그 때문에, 수지층(12)의 두께로서 평균 두께인 두께 tave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불균일의 영향을 저감하면서 도공 드로우비를 조정할 수 있다. 두께의 측정 간격인 지정 간격보다 긴 주기로 변경 공정(S04)을 실시함으로써, 새로운 도공 드로우비로 변경한 후, 안정적인 상태에 있어서의 수지층(12)의 두께에 기초하여 도공 드로우비를 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지정 범위의 길이, 지정 간격 및 보정 주기 등은, 상술한 안정성 및 추종성 등을 고려하여, 목표 두께의 수지층(12)을 얻을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를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범위가 포함됨과 더불어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예컨대 변경 공정을 실시하는 주기(보정 주기)는, 상기 지정 간격과 동일하여도 좋고, 드로우비 조정값의 산출에 사용하는 도공층의 두께는 실제의 도공층의 두께(도 1의 두께 t1)라도 좋다. 도공층의 재료는 접착제 및 점착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차 Δd2, 드로우비 조정값 등을 한 번 산출한 후에, 변경해야 할 도공 드로우비를 산출하는 형태를 설명했다. 그러나, 제어 장치(30)는, 측정기 M1 및 측정기 M2로부터 입력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직접 새로운 도공 드로우비를 산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라도, 새로운 도공 드로우비의 산출은 차 Δd2, 드로우비 조정값 등에 기초하고 있다.
수지층(12)의 두께를 얻기 위해서, 측정기 M1 및 측정기 M2를 사용하는 형태를 설명했다. 그러나, 예컨대 하나의 두께 측정기로 도공층의 두께를 직접 측정하여도 좋다. 혹은 미리 설정해 놓은 기재의 두께와 측정기 M2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수지층(12)의 두께를 산출하여도 좋다.
도공 드로우비는 예컨대 기재의 반송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변경되어도 좋다.
수지층(12)은 수지 접착제 또는 수지 점착제에 의해서 형성된 층에 한하지 않는다. 수지층(12)은 도공층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수지층(12)은 수지제 보호 필름이라도 좋다. 광학 필름(11) 및 수지층(12)은, 장척물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매엽상(枚葉狀)이라도 좋다.
적층 광학 필름은 도 8에 도시한 적층 광학 필름(10A)이라도 좋다. 적층 광학 필름(10A)은 광학 필름(11)과 수지층(12)과 광학 필름(제2 광학 필름)(13)을 갖는다. 수지층(12) 및 광학 필름(13)은 광학 필름(11) 상에 수지층(12) 및 광학 필름(13)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광학 필름(13)의 예는 광학 필름(11)과 마찬가지다. 적층 광학 필름(10A)은,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적층 광학 필름(10)이 갖는 수지층(12) 상에 광학 필름(13)이 맞붙여진 적층 광학 필름이다. 적층 광학 필름(10A)의 예로서는, 편광판, 위상차판, 위상차판과 편광판이 접착층으로 접합된 원편광판(타원편광판을 포함한다), 편광판이나 위상차판에 보호 필름 등을 적층시킨 적층체 등과 같은 광학 적층체를 들 수 있다. 위상차판은 액정 경화층을 갖는 적층체라도 좋다. 광학 필름(11) 및 광학 필름(13)은 적층 광학 필름(10A)의 광학 특성에 따라서 선택되면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의 「%」 및 「부」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질량% 및 질량부를 의미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와 함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비교예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요소와 대응하는 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기재층 구비 제1 액정층 및 기재층 구비 제2 액정층의 준비〕
(광배향층 형성용 조성물(1)의 조제)
하기 성분을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온도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광배향층 형성용 조성물(1)을 얻었다.
·광배향성 재료(5 부):
Figure pct00001
·용제(95 부): 시클로펜타논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2)의 조제)
시판되는 배향성 폴리머인 산에바 SE-610(닛산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에 2-부톡시에탄올을 가하여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2)을 얻었다. 얻어진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2)은, 이 조성물 전량에 대한 고형분의 함유 비율이 1%이며, 상기 조성물 전량에 대한 용제의 함유 비율이 99%였다. 산에바 SE-610의 고형분량은 납품사양서에 기재된 농도로부터 환산했다.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A-1)의 조제)
하기 성분을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A-1)을 얻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A1 및 중합성 액정 화합물 A2는 일본 특허공개 2010-3122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A1(80 부):
Figure pct00002
·중합성 액정 화합물 A2(20 부):
Figure pct00003
·중합개시제(6 부): 2-디메틸아미노-2-벤질-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이르가큐어 369; 치바스페샬티케미칼즈사 제조)
·용제(400 부): 시클로펜타논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B-1)의 조제)
하기 성분을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B-1)을 얻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LC242(BASF사 제조)(19.2%):
Figure pct00004
·중합개시제(0.5%): 이르가큐어(등록상표) 907(BASF 재팬사 제조)
·반응 첨가제(1.1%): Laromer(등록상표) LR-9000(BASF 재팬사 제조)
·용제(79.1%): 프로필렌글리콜 1-모노메틸에테르 2-아세테이트
(위상차판 A의 제조)
두께 100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코로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출력 0.3 kW, 처리 속도 3 m/분의 조건으로 처리했다.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표면에, 광배향층 형성용 조성물(1)을 바코터 도포하고, 80℃에서 1분간 건조하고, 편광 UV 조사 장치(SPOT CURE SP-7; 우시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여, 100 mJ/cm2의 적산 광량으로 편광 UV 노광을 실시하여 광배향층을 얻었다. 얻어진 광배향층의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LEXT, 올림푸스가부시키가이샤 제조)으로 측정한 바, 100 nm였다.
이어서, 광배향층 상에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A-1)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120℃에서 1분간 건조한 후, 고압 수은 램프(유니큐어 VB-15201BY-A, 우시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질소 분위기 하, 파장: 365 nm, 파장 365 nm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 1000 mJ/cm2)함으로써, 위상차층으로서의 액정층을 형성하여, 위상차판 A를 얻었다. 액정층의 두께는 2 ㎛였다.
(위상차판 B의 제조)
두께 8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을, 코로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출력 0.3 kW, 처리 속도 3 m/분의 조건으로 처리했다.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표면에,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2)을 바코터 도포하고, 90℃에서 1분간 건조하여, 배향층을 얻었다. 얻어진 배향층의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LEXT, 올림푸스가부시키가이샤 제조)으로 측정한 바, 34 nm였다.
이어서, 배향층 상에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B-1)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여, 90℃에서 1분간 건조한 후, 고압 수은 램프(유니큐어 VB-15201BY-A, 우시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질소 분위기 하, 파장: 365 nm, 파장 365 nm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 1000 mJ/cm2)함으로써, 위상차층으로서의 액정층을 형성하여, 위상차판 B를 얻었다. 액정층의 두께는 1 ㎛였다.
(실시예 1)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실험 E1>
위에서 준비한 위상차판 A를 광학 필름(11)으로서 이용하여 적층 광학 필름(10)을 제조하는 실험을 했다. 구체적으로는 위에서 준비한 위상차판 A의 액정층 측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800 W, 10 m/min)를 실시했다. 이 코로나 처리한 면에, 상기 도 1, 도 2에서 설명한 장치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UV 경화 수지(점도: 44 mPa·s, 굴절률(589 nm): 1.51)를 목표 두께가 1.5 ㎛가 되도록 도공하여 적층 광학 필름(10)을 얻었다. 「굴절률(589 nm)」은 파장 589 nm에 대한 굴절률을 의미한다. 이하의 굴절률에 있어서도 같은 표기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점도는 25℃에 있어서의 값이다(이하, 마찬가지).
지정 간격: 1초
지정 범위의 길이: 1.3 m
반송 속도: 20 m/min
보정 주기: 15초
보정 게인: 35
도 1에 도시한 측정기 M1, M2를 이용하여 위상차판 A(광학 필름(11))의 두께와 적층 광학 필름(10)의 두께를 측정하여, 얻어진 결과로부터 위상차판 A의 두께 t0의 표준편차 σ2 및 수지층(12)의 두께 t1(측정기 M2의 측정 결과와 측정기 M1의 측정 결과의 차)의 표준편차 σ1을 산출했다.
실시예 1에서는, 위상차판 A를 5장 준비하여, 각각에 대하여 상기한 것과 같은 식으로 상기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실험 E1을 행했다. 즉, 실시예 1에서는,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실험 E1을 5회 행했다. 각 제조 실험 E1에 있어서, 표준편차σ2 및 표준편차 σ1을 산출했다.
(실시예 2)
점도 104 mPa·s, 굴절률(589 nm) 1.54의 UV 경화 수지를 사용하고, 목표 두께가 1.5 ㎛가 되도록 도공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실험 E1을 행했다. 실시예 2에서는, 위상차판 A(광학 필름(11))를 7장 준비하여, 각각에 대하여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실험 E1을 행했다. 각 제조 실험 E1에 있어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식으로, 위상차판 A의 두께 t0의 표준편차 σ2 및 수지층(12)의 두께 t1의 표준편차 σ1을 산출했다.
(실시예 3)
위에서 준비한 위상차판 B를 광학 필름(11)으로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실험 E1을 행했다. 실시예 3에서는, 위상차판 B(광학 필름)를 10장 준비하여, 각각에 대하여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실험 E1을 행했다. 각 제조 실험 E1에 있어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식으로, 위상차판 B의 두께 t0의 표준편차 σ2 및 수지층(12)의 두께 t1의 표준편차 σ1을 산출했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얻어진 적층 광학 필름의 전체 길이 중, 초기 도공분 30 m 만큼을 슬릿에 의해 제거하여, 적층 광학 필름(10)을 얻었다. 실시예 4에서는, 위상차판 B(광학 필름)를 8장 준비하여, 각각에 대하여 상기한 것과 같은 식으로 적층 광학 필름(10)을 제조하는 실험을 행했다. 실시예 4의 실험은, 상기한 것과 같이 실시예 3과 같은 조작을 행하여 얻어진 적층 광학 필름의 전체 길이 중, 초기 도공분 30 m 만큼을 슬릿에 의해 제거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식의 실험이기 때문에, 실시예 4의 실험도 제조 실험 E1이라고 부른다. 각 제조 실험 E1에 있어서, 실시예 3의 경우와 같은 식으로, 위상차판 B(광학 필름)의 두께 t0의 표준편차 σ2 및 수지층(12)의 두께 t1의 표준편차 σ1을 산출했다.
상기 실시예 1∼4의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표 1에서의 「No.」는, 실시예 1∼4 각각에 있어서의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실험 E1을 구별하기 위한 번호이다. 표 1에서는, 각 제조 실험 E1에 있어서, 표준편차 σ2 및 표준편차 σ1에 기초하여 산출한 σ2/σ1을 나타내며 또한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모든 제조 실험 E1의 σ2/σ1의 평균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5
(비교예 1)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실험 E2>
위에서 준비한 위상차판 A(광학 필름(11))의 액정층 측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800 W, 10 m/min)를 실시했다. 이 코로나 처리한 면에, 하기의 조건으로 UV 경화 수지(점도: 44 mPa·s, 굴절률(589 nm): 1.51)를 목표 두께가 1.5 ㎛가 되도록 도공하여 적층 광학 필름(10)을 얻었다. 이때,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를 사용했지만, 사용자(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담당자)가 측정기 M1 및 측정기 M2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경험적으로 도공 드로우비를 조정했다.
비교예 1에서는, 위상차판 A(광학 필름(11))를 3장 준비하여, 각각에 대하여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실험 E2를 행했다. 각 제조 실험 E2에서는,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식으로, 위상차판 A의 두께 t0의 표준편차 σ2 및 수지층(12)의 두께 t1의 표준편차 σ1을 산출했다.
(비교예 2)
점도 104 mPa·s, 굴절률(589 nm) 1.54의 UV 경화 수지를 사용하여, 목표 두께가 1.5 ㎛로 도공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실험 E2를 행했다. 비교예 2에서는, 위상차판 A(광학 필름(11))를 2장 준비하여, 각각에 대하여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실험 E2를 행했다. 각 제조 실험 E2에서는, 비교예 1의 경우와 같은 식으로, 위상차판 A의 두께 t0의 표준편차 σ2 및 수지층(12)의 두께 t1의 표준편차 σ1을 산출했다.
(비교예 3)
위에서 준비한 위상차판 B(광학 필름(11))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실험 E2를 행했다. 비교예 3에서도 비교예 1의 경우와 같은 식으로, 위상차판 B의 두께 t0의 표준편차 σ2 및 수지층(12)의 두께 t1의 표준편차 σ1을 산출했다.
(비교예 4)
두께 13 ㎛의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필름을 광학 필름(11)으로서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실험 E2를 행했다. 비교예 4에서는, COP 필름(광학 필름(11))을 3장 준비하여, 각각에 대하여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실험 E2를 행했다. 각 제조 실험 E2에서는, 비교예 1의 경우와 같은 식으로, COP 필름의 두께 t0의 표준편차 σ2 및 수지층(12)의 두께 t1의 표준편차 σ1을 산출했다.
상기 비교예 1∼4의 결과는 표 2와 같았다. 표 2에서의 「No.」는, 비교예 1∼4 각각에 있어서의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실험 E2를 구별하기 위한 번호이다. 표 2에서는, 각 제조 실험 E2에 있어서, 표준편차 σ2 및 표준편차 σ1에 기초하여 산출한 σ2/σ1을 나타내며 또한 비교예 1∼4에 있어서의 모든 제조 실험 E2의 σ2/σ1의 평균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6
도 9는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에서는, 표 1에 나타낸 실시예 1∼4에서의 각 제조 실험 E1 및 표 2에 나타낸 비교예 1∼4에서의 각 제조 실험 E2에 있어서의 σ2에 대하여 σ1을 플롯하고 있다. 광학 필름(11)의 두께 t0에 두께 분포가 생겼으면, 수지층(12)의 두께 t1의 두께 분포에 영향을 준다. 그 때문에, 도 9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광학 필름(11)의 두께 t0의 표준편차 σ2에 대하여, 수지층(12)의 두께 t1의 표준편차 σ1을 플롯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라인 L1 및 라인 L2는 각각 다음의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라인이다.
라인 L1: σ1/σ2=0.45
라인 L2: σ1/σ2=0.29
도 9에 있어서 해칭으로 나타낸 영역(이하, 「해칭 영역」이라고 부른다)은 상술한 식 (2) 및 식 (3)을 만족하는 영역이다. 식 (2) 및 식 (3)을 만족하는 영역에서는, 초기 도공 드로우비로부터의 변경량이 특히 작았다.
도 9에 있어서, 우측 아래 영역(σ1이 크며 또한 σ2가 작은 영역)에서는 σ1/σ2가 작다. 따라서, 도 9로부터, 자동적으로 도공 드로우비를 조정하는 실시예 1∼4 쪽이 수지층(12)의 두께 불균일이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자동적으로 도공 드로우비를 조정함으로써, 보다 높은 품질의 적층 광학 필름(10)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더욱이, 초기 도공 드로우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수지층(12)의 두께 불균일이 작은 적층 광학 필름(10)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은, 표 1에 나타낸 실시예 1∼4에서 행한 모든 제조 실험 E1에 있어서의 σ1/σ2의 평균값 및 표 2에 나타낸 비교예 1∼4에서 행한 모든 제조 실험 E2에 있어서의 σ1/σ2의 평균값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에 있어서의 그래프에서의 오차 막대 B1은, 표 1에 나타낸 실시예 1∼4 중의 각 제조 실험 E1에 대응하는 σ1/σ2의 평균값으로부터의 어긋남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있어서의 그래프에서의 오차 막대 B2는, 표 2에 나타낸 비교예 1∼4 중의 각 제조 실험 E2에 대응하는 σ1/σ2의 평균값으로부터의 어긋남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및 도 10으로부터,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 의해서 식 (1)을 만족하는 적층 광학 필름(10)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로서 이하의 실험을 추가로 실시했다. 두께 13 ㎛의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필름을 광학 필름(11)으로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제조 실험 E1을 행하여 적층 광학 필름(10)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광학 필름(10)에 대한 σ1/σ2는 0.33이었다. 실시예 5에서도 식 (1)을 만족하고 있었다.
10, 10A: 적층 광학 필름, 11: 광학 필름(제1 광학 필름), 12: 수지층, 12a: 도공제, 13: 광학 필름(제2 광학 필름), 22: 도공 롤, 30: 제어 장치.

Claims (6)

  1. 제1 광학 필름과,
    상기 제1 광학 필름에 적층되어 있으며 수지로 형성된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층의 두께의 표준편차를 σ1로 하고, 상기 제1 광학 필름의 두께의 표준편차를 σ2로 했을 때, σ1 및 σ2가 식 (1)을 만족하는 적층 광학 필름.
    σ1/σ2≤0.45 ··· (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필름 및 상기 수지층은 장척물인 적층 광학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도공층인 적층 광학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σ1이 이하의 식 (2)를 만족하며, 또한 상기 σ2가 식 (3)을 만족하는 적층 광학 필름.
    0.014≤σ1≤0.020 ··· (2)
    0.066≤σ2≤0.088 ··· (3)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인 적층 광학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 상에 제2 광학 필름을 더 구비하는 적층 광학 필름.
KR1020227034028A 2020-03-10 2021-02-18 적층 광학 필름 KR202201488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41260 2020-03-10
JP2020041260 2020-03-10
PCT/JP2021/006063 WO2021182055A1 (ja) 2020-03-10 2021-02-18 積層光学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882A true KR20220148882A (ko) 2022-11-07

Family

ID=7767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4028A KR20220148882A (ko) 2020-03-10 2021-02-18 적층 광학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67679B2 (ko)
KR (1) KR20220148882A (ko)
CN (1) CN115243894B (ko)
TW (1) TW202140278A (ko)
WO (1) WO2021182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119A1 (ja) * 2022-02-25 2023-08-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WO2023188689A1 (ja) * 2022-03-31 2023-10-05 住友化学株式会社 透明樹脂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565A (ja) 1998-07-14 2000-01-25 Toray Eng Co Ltd 回転ロール型塗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9021A (ja) * 1992-04-13 1993-11-05 Minolta Camera Co Ltd フィルタ切換式投影光学系
JP4214797B2 (ja) * 2003-02-25 2009-01-2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用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12988A (ja) * 2005-02-04 2006-08-17 Nippon Zeon Co Ltd 積層フィルム
JP2007003790A (ja) * 2005-06-23 2007-01-11 Sony Corp 塗布型光学膜およびその作製方法、光学多層膜、反射型スクリーン、並びに浸漬塗布装置
CN101678641B (zh) * 2007-06-11 2012-11-28 帝人化成株式会社 光学部件用层叠膜
JP5186991B2 (ja) * 2008-04-24 2013-04-24 Jsr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積層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0052329A (ja) * 2008-08-29 2010-03-11 Toray Ind Inc 液晶反射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073845B1 (ko) * 2009-12-22 2011-10-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2파장 반사 다층필름
JP5011444B2 (ja) * 2010-09-03 2012-08-2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5068948A (ja) * 2013-09-27 2015-04-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2015194640A (ja) * 2014-03-31 2015-11-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JP6619934B2 (ja) * 2015-01-07 2019-12-11 日東電工株式会社 多層光学膜の膜厚制御方法、多層光学膜の製造方法および多層光学膜のスパッタ装置
JP5947428B2 (ja) * 2015-08-05 2016-07-0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6145560B1 (ja) * 2016-12-28 2017-06-1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着色粘着テープ及び着色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JP2019163545A (ja) * 2019-05-20 2019-09-26 日東電工株式会社 多層光学膜の膜厚制御方法、多層光学膜の製造方法および多層光学膜のスパッ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565A (ja) 1998-07-14 2000-01-25 Toray Eng Co Ltd 回転ロール型塗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67679B2 (ja) 2021-11-17
CN115243894A (zh) 2022-10-25
JP2021144210A (ja) 2021-09-24
CN115243894B (zh) 2024-05-28
TW202140278A (zh) 2021-11-01
WO2021182055A1 (ja)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8882A (ko) 적층 광학 필름
KR20220138842A (ko) 장척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CN105378519B (zh) 光学膜、偏振片、图像显示装置及光学膜的制造方法
CN104062701B (zh) 偏光板的制造方法
CN106716236B (zh) 背光单元、液晶显示装置及波长转换部件
KR102426386B1 (ko) 패턴 편광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6125480A1 (ja) 波長変換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波長変換部材の製造方法
KR102223121B1 (ko) 장척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7062458A (ja) 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および量子ドット含有重合性組成物
CN110869827A (zh) 椭圆偏光板
JP2016145269A (ja) 重合性組成物、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2329698B1 (ko) 장척 원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장척 원편광판
JP6224016B2 (ja) 波長変換層用組成物、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60052353A (ko) 광학 이방성 필름 및 광학 이방성 필름의 제조 방법
WO2018230395A1 (ja) 液晶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機能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3054673A1 (ja) 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264409A (zh) 贴合光学部件及其制造方法
JP6823919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1247418A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er
JP2023080141A (ja) 偏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08001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WO2021033634A1 (ja) 光学フィルム
JP6446810B2 (ja) 位相差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70019865A (ko)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JP7287896B2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フィル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