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439A -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 - Google Patents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439A
KR20220148439A KR1020210055465A KR20210055465A KR20220148439A KR 20220148439 A KR20220148439 A KR 20220148439A KR 1020210055465 A KR1020210055465 A KR 1020210055465A KR 20210055465 A KR20210055465 A KR 20210055465A KR 20220148439 A KR20220148439 A KR 20220148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rungji
rice
sap
prepared
concen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운
Original Assignee
정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운 filed Critical 정성운
Priority to KR1020210055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8439A/ko
Publication of KR20220148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쇠 나무로부터 채취한 고로쇠 수액의 농축액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고로쇠 수액의 당분과 영양 성분이 농축된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되 그 당도가 일정 범위의 수준이 되도록 제조한 후, 그 농축액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단계별로 당도가 다르게 제조된 고로쇠 농축액을 누룽지용 밥과 혼합한 누룽지 최종재를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함으로써, 단계별로 각각 당도가 다른 여러 종류의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Method of manufacturing nurungji using concentrated acer mono sap and nurungji manufactured by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로쇠 나무로부터 채취한 고로쇠 수액을 농축하여 제조된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로쇠 수액의 당분과 영양 성분이 누룽지에 충분히 포함되도록 하기 위해 고로쇠 수액을 농축한 농축액을 제조하되, 고로쇠 농축액의 당도가 단계적으로 각각 다른 농축액을 제조한 후, 누룽지용 밥과 고로쇠 농축액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누룽지 최종재를 제조하고, 그 누룽지 최종재를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함으로써, 당도의 단계가 다른 여러 종류의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는,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지역에서 고로쇠 수액을 채취하여 이용하고 있다. 고로쇠 수액은 늦겨울과 초봄 사이(주로 2월에서 3월 중)에 단풍나무과의 고로쇠 나무에서 추출하게 되며, 채취 후 직접 음용하거나 소비자를 대상으로 판매를 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고로쇠 수액에는 여러 가지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16.01.27. 국립산림과학원 보도자료, ‘수액 당도·무기물 함량 높은’우산고로쇠나무‘-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올해 첫 우산고로쇠 수액 채취’ 참조).
통상적인 고로쇠 수액에는 당분의 일종인 천연자당이 2브릭스(brix) 내외(1.5 ~ 2.5브릭스)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고, 또한, 칼슘, 칼륨, 망간, 마그네슘, 아연, 철분 등과 같이 다양한 미네랄 성분 또는 무기물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로쇠 수액에 포함되어 있는 천연자당과 미네랄 등 다양한 무기물은 인체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인체에 유용한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는 고로쇠 수액을 이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고로쇠 수액을 농축시켜서 영양 성분 및 당분의 농도가 크게 높아진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한 후, 농축액과 밥을 혼합한 혼합물과 밥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에 관한 것이다.
쌀을 가장 중요한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누룽지에 대한 선호가 높은 편이며, 특히, 근래에 누룽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누룽지의 재료관련 기술 또는 누룽지의 제조방법 등에 관한 다양한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 공지되어 있는 기술 중에서 일부 선행기술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3194호(2007.09.18.)는 ’고로쇠 수액을 함유하는 누룽지‘라는 명칭의 발명으로서, 고로쇠 수액을 이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이 선행발명에 있어서,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련된 내용은 단락<7>에 기재되어 있는 “고로쇠 수액을 함유하는 누룽지는 쌀 100중량부를 고로쇠 수액 110-130중량부와 혼합하여 1시간 동안 불리고 가열하여 밥을 지은 후, 팬에 판판하게 편 상태로 2-5분 동안 구워서 제조한다.”는 것과, 단락 <10>에 기재되어 있는 “물로 세척한 쌀 1kg을 고로쇠 수액 1.2L와 함께 솥에 넣어 1시간 동안 불리고 가열하여 밥을 지은 후, 팬에 판판하게 펴고 3분간 구워서 제조하였다.”는 것이 그 전부이다.
이 선행발명은 물 대신 고로쇠 수액을 사용하여 밥을 짓되, 밥을 짓는 과정이 가정 등에서 통상적으로 밥을 짓는 방법과 동일하고, 지은 밥을 솥이나 압력밥솥 또는 냄비의 바닥면에 눌러펴서 가열함으로써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누룽지를 제조하도록 한 것이다.
즉, 이 선행발명은 물을 사용하여 밥을 짓는 통상적인 방법에 비해 고로쇠 수액을 사용하여 밥은 짓는다는 점만 다를 뿐 전체적인 내용이 통상의 누룽지 제조방법과 동일한 것이며, 결국 그 특허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거절결정되었다.
둘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0276호(2012.10.10.)는 ’피톤치드가 존재하는 비타민누룽지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으로서, 피톤치드(phytoncide) 성분이 풍부한 솔잎가루가 함유된 누룽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선행발명은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해 쌀 또는 쌀과 혼합된 곡물류 등으로 밥을 지을 때 분말형태의 솔잎가루를 소량 투입하여 밥알 등에 솔잎의 약효성분과 맛이 충분히 스며들도록 밥을 지은 다음, 구움 공정을 실행하여 누룽지를 제조함으로써 솔잎이 갖는 효능 및 향기에 의해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솔잎에 풍부한 피톤치드(phytoncide) 성분의 천연방부재 원리를 이용한 누룽지에 관한 것이다.
이 선행기술에서는 백미와 흑미 등으로 혼합 및 세척된 혼합쌀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말형태의 솔잎가루 약 1~5%중량부를 1차적으로 첨가 하고, 완성된 취반단계에서 구움 공정으로 진행하기 직전에, 취반으로 완성된 혼합쌀밥 100%중량부(약 1kg 기준)에 대하여 솔잎 희석액 약 10~30g을 2차적으로 분사기를 이용하여 골고루 분사, 혼합 첨가한 후, 구움 공정과 자연건조 공정을 진행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셋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8430호(2017.09.27.)는 ’머루즙과 천마가 함유된 누룽지의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에 관한 것이며, 세척한 쌀을 물에 불린 다음 탈수하는 단계; 상기 탈수된 쌀에 머루즙과 천마 분말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머루즙과 천마 분말을 투입한 쌀을 밥으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머루즙과 천마 분말이 첨가된 밥을 정량한 후 팽화시켜 누룽지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루즙과 천마가 함유된 누룽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선행발명은 이용가치와 영양가치가 충분하고 자양강장 효과가 탁월한 머루즙과, 면역력을 높여주며 독특한 향미를가진 천마 분말을 구수한 맛의 누룽지에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머루와 천마의 소비를 촉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머루즙과 천마의 효능을 포함한 맛과 건강 기능성을 높인 누룽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넷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24425호(2019.11.05.)는 ’키토산 누룽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키토산 누룽지‘라는 명칭의 발명으로서, (1) 물에 키토산을 첨가하여 밥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쌀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밥물을 첨가한 후 증자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증자한 밥을 성형한 후 굽고 식히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토산 누룽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키토산 누룽지에 관한 것이다.
이 선행기술은 기존의 누룽지는 백미만 사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맛과 영양이 단조로운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밥물 제조 시 키토산 숙성액을 적정량 첨가함으로써, 키토산 및 함초 유래 영양성분을 포함하여 품질이 우수한 이점이 있고, 구수한 맛과 식감이 증진되면서 나트륨 함량은 감소하여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누룽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섯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39769호(2021.04.12.)는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 천년초 줄기, 열매, 뿌리의 혼합물을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농축하여 천년초 점액질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천년초 점액질에서 알콜을 제거하여 천년초 액상즙을 제조하는 단계; 3) 현미를 겉껍질만 벗겨 쌀눈이 그대로 있도록 1분도로 도정하고 물에 담구고 불려 연화시키는 단계; 4) 상기 연화된 현미를 물이 빠지도록 체에 밭쳐 두어 자연 팽윤시키는 단계; 5) 상기 팽윤된 현미와 상 2) 단계의 천년초 액상즙을 혼합하여, 상기 현미의 표면에 둥굴게 천년초 액상즙을 코팅하는 단계; 6) 상기 코팅된 현미로 밥을 짓고, 다시 천년초 액상액으로 1시간 동안 숙성 시키는 단계; 7) 상기 숙성된 현미를 금속판 위에 얇게 펴서, 160 내지 170℃에서 구워 누룽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8) 상기 누룽지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한 누룽지에 관한 것이다.
이 선행발명은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과 같은 생리활성 효능을 유지하고, 천년초 특유의 떫은맛을 없애고, 맛, 향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우수한 누룽지 및 화학첨가물이 전혀 첨가하지 않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고, 저장성이 증진되는 누룽지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3194호(2007.09.18.)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0276호(2012.10.10.)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8430호(2017.09.27.)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24425호(2019.11.05.)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39769호(2021.04.12.)
본 발명은 건강식 또는 대용식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누룽지를 제조하되, 고로쇠 수액을 농축한 농축액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여, 고로쇠 수액 중의 건강에 유용한 성분들이 누룽지에 포함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로쇠의 유용성분을 농축시킨 농축액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조된 누룽지의 당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어 당도가 각각 다른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도 고로쇠 수액을 이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기술이 있었다(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3194호 참조, 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 그러나 이 선행기술1은 단순히 고로쇠 수액을 이용하여 밥을 짓는다는 점 외에는 별다른 기술적 특징이 없는 것이었다.
한편, 앞에서 살펴본 다른 선행기술에는, 밥을 지을 때 솔잎가루를 소량 투입하여 밥알 등에 솔잎의 약효성분과 맛이 스며들도록 밥을 지은 다음 구움 공정을 실행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피톤치드가 존재하는 비타민누룽지 제조방법, 또는 밥을 지을 쌀에 머루즙과 천마분말을 투입하여 밥을 제조한 후 밥을 누룽지로 성형하는 방법, 밥을 짓기 위한 물에 키토산을 첨가하여 밥물을 제조하고 그 밥물을 사용하여 밥을 지은 후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 그리고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다.
위의 선행기술들은 누룽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의 성분 또는 특징을 이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출된 것들이었다.
앞의 선행기술들과는 달리, 본 발명은 고로쇠 수액을 농축시킨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선행기술1에는 고로쇠 수액을 사용하여 밥을 짓는 내용이 나타나 있기는 하나, 선행기술1과는 달리, 본 발명은 고로쇠 수액을 농축시켜서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한 후 누룽지용 밥을 짓고, 지은 누룽지용 밥에 고로쇠 농축액을 일정 비율로 혼합시켜서 누룽지 최종재를 제조하고, 제조된 누룽지 최종재를 성형 및 가열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함에 있어서, 단계별로 당도가 상이한 복수의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한 후, 누룽지용 밥에 고로쇠 농축액을 일정량 혼합한 누룽지 최종재를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함으로써, 제조된 누룽지에 고로쇠의 영양 성분이 충분히 함유되어 있고, 특히, 다양한 단계의 당도를 갖는 누룽지를 제조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누룽지 제품을 제조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고로쇠 수액 중에는 다양한 미네랄 등의 무기물이 포함되어 있고, 또한, 인체에 유용한 당분인 천연자당이 포함되어 있다. 자당은 당분 중에서도 인체에 부담이 적은 성분인데, 본 발명은 고로쇠 수액에 포함되어 있는 천연자당을 농축시킨 후 그 농축액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하면서도 선호도가 높은 맛과 향을 갖는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누룽지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여 농축하되, 당도가 일정 범위가 되도록 농축된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당도가 3브릭스(Brix) 이상 20브릭스 이하인 여러 단계의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고, 그와 같이 제조된 농축액을 사용하여 단계별로 당도가 다른 여러 종류의 누룽지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제조된 누룽지의 당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소비자의 다양한 선호도에 맞출 수 있는 다양한 당도를 갖는 여러 종류의 누룽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첫째, 고로쇠 수액을 채취 및 수집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고로쇠 수액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단계에 해당되는 것이다.
둘째, 수집된 고로쇠 수액을 농축시켜서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여러 가지 농축방법 중에서 선택된 방법으로 고로쇠 수액을 농축시켜서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고, 특히 그 당도가 일정 수준의 범위가 되도록 농축하여 제조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상기 일정 수준의 범위 내에서 당도가 단계별로 다른 여러 종류의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한다.
셋째, 쌀과 물 또는 쌀과 고로쇠 수액을 사용하여 누룽지용 밥을 짓는 단계이다.
넷째, 앞의 둘째 단계에서 제조된 고로쇠 농축액과 앞의 셋째 단계에서 지은 누룽지용 밥을 혼합하여 누룽지 최종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다섯째, 앞의 넷째 단계에서 제조된 누룽지 최종재를 소정의 크기 및 형태로 만든 후, 누룽지 제조장치에 투입하고, 장치를 가열하여 누룽지를 성형 및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섯째, 제조된 누룽지를 선별 및 포장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단계를 거치면서 고로쇠 수액의 맛과 향 및 영양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특히 단계별로 다른 당도를 갖는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누룽지를 제조할 경우, 인체에 유익한 고로쇠 수액의 다양한 성분이 누룽지 내에 함유되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누룽지에는 고로쇠 수액 특유의 향과 맛이 남아 있게 되어, 소비자의 선호가 크게 높아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더 강화된 고로쇠의 맛과 향 및 영양성분을 인체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다양한 단계별 당도를 갖는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제조되는 누룽지의 당도 수준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그로인해 당도의 수준에 따른 소비자의 다양한 선호도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누룽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인체에 유용한 다양한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는 고로쇠 수액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되, 고로쇠의 유용성분을 농축시킨 농축액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고로쇠 수액을 농축시킨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함으로써 누룽지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소비자로 하여금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는 누룽지를 섭취하도록 하여, 맛있는 누룽지를 먹는 기쁨과 함께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누룽지에 관한 것이다.
고로쇠 수액 중에는, 앞에 기재한 국립산림과학원의 보도자료 내용 등과 같이,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또한, 고로쇠나무의 종류나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나 고로쇠 수액에는 2브릭스(Brix) 내외 즉 1.5 ~ 2.5브릭스 범위의 당분이 포함되어 있다.
위와 같이 고로쇠 수액에 함유되어 있는 당분은 천연자당으로서 여러 종류의 당분 중에서도 인체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당분이며, 본 발명은 특히 이 당분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로쇠 수액을 채취한 상태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공지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선택된 방법을 이용하여 고로쇠 수액을 농축시킨 후, 그 농축된 고로쇠 수액인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것과, 단계별로 당도가 다른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누룽지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단계에 관한 것이며, 이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누룽지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첫째, 고로쇠 수액을 채취 및 수집하는 단계(S10)이다.
둘째, 수집된 고로쇠 수액을 농축시켜서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S20)이다.
셋째, 쌀과 물 또는 쌀과 고로쇠 수액을 사용하여 누룽지용 밥을 제조하는 단계(S30)이다.
넷째, 앞의 단계에서 제조된 고로쇠 농축액과 누룽지용 밥을 특정 비율로 혼합하여 누룽지 최종재를 제조하는 단계(S40)이다.
다섯째, 누룽지 최종재를 소정의 크기 및 형태로 만든 후, 누룽지 제조장치의 성형가열부에 투입하고, 투입된 누룽지 최종재를 가열하여 성형된 누룽지를 제조하는 단계(S50)이다.
여섯째, 누룽지 제조장치에서 제조된 누룽지를 선별 및 포장하는 단계(S60)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누룽지 제조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구성하는 상기 6가지 단계(S10 내지 S60)에서는 각각 다음과 같은 내용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첫째 단계(S10)인 고로쇠 수액을 채취 및 수집하는 단계는, 통상적인 고로쇠 수액의 채취 및 수집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고로쇠 수액은 주로 단풍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들로부터 채취할 수 있으며. 늦겨울에서 초봄(2월, 3월) 사이에 주로 채취하게 된다. 고로쇠나무의 군락지 또는 재배지 등에서 채취, 수집된 고로쇠 수액은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한다.
둘째 단계(S20)인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첫째 단계에서 수집된 고로쇠 수액을 농축시켜서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로쇠 수액은 보통 2브릭스 내외의 당도를 가지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고로쇠 농축액의 당도가 3브릭스 이상 20브릭스 이하가 되도록 고로쇠 수액을 농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고로쇠 수액을 농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가열농축방식, 비가열농축방식, 진공저온농축방식 또는 급속냉동농축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열농축방식은 통상의 가열농축장치를 사용하여 고로쇠 수액을 가열하여 고로쇠 수액의 당도를 높이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열농축장치에는 수액수용부, 가열부 및 당도측정 센서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고로쇠 수액을 가열하여 그 당도를 높여가는 과정에서 상기 당도측정 센서를 통해 가열 중인 고로쇠 수액의 당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로쇠 농축액의 당도는 3브릭스 이상 20브릭스 이하이므로, 가열 도중에 고로쇠 수액의 당도가 위 범위 중 제조하고자 하는 어느 수준에 도달하면 장치관리자는 장치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수액수용부 내부의 농축된 수액을 모두 외부로 배출시켜서, 냉각시킨 후 냉장시설에 저장한다. 다양한 단계의 당도를 갖는 농축액을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단계의 수만큼 위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가열농축방식으로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할 경우, 장치에 대한 가열이 진행됨에 따라 수액수용부 내부의 고로쇠 수액의 당도가 점차 높아지게 되는데,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다양한 수준의 당도를 갖는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농축동작의 진행 도중에 수액수용부 내부 고로쇠 수액의 당도가 소정의 당도에 이를 때마다 장치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그 내부의 수액을 필요량만큼 배출시켜서, 다양한 단계별 당도를 갖는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한 번의 농축과정에서 단계별로 당도가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비가열농축방식은 고로쇠 수액에 열을 가하지 않고 역삼투압 원리를 이용하여 고로쇠 수액 중의 물을 분리하여 당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경우에도 비가열농축장치 중에 고로쇠 수액을 수용하는 수액수용부가 구비되고, 수액수용부의 일측에 당도측정센서를 구비하도록 하여, 고로쇠 수액을 농축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비가열농축방식에 따라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도, 앞의 가열농축방식에서와 같이, 농축동작의 진행 중에 수액수용부 내부의 고로쇠 수액의 당도가 소정의 당도에 이를 때마다 그 내부의 수액을 배출시켜서, 다양한 단계별 당도를 갖는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의 고로쇠 수액이 일정 수준의 당도에 도달하였을 때, 그 전체를 배출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비가열농축방식의 경우에도, 농축장치의 수액수용부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고로쇠 수액은 고로쇠 농축액으로 변하게 된다.
진공저온농축방식은 가열농축방식과 유사하게 가열을 통해 농축하는 방식이지만, 가열농축방식과는 달리 고로쇠 수액이 수용되는 수액수용부를 진공상태로 함으로써,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고로쇠 수액(액체)의 비등점은 낮추어서,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고로쇠 수액을 비등시켜서 수액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고로쇠 수액을 농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의 경우에도 농축장치에는 고로쇠 수액을 수용하는 수액수용부가 구비되고, 수액수용부의 일측에 당도측정센서를 구비하도록 하여, 고로쇠 수액을 농축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진공 저온농축방식을 사용하여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여 그 농축액의 당도를 높일 경우에도 앞의 방식들에서와 같이, 농축동작의 진행 중에 수액수용부 내부의 고로쇠 수액의 당도가 소정의 당도에 이를 때마다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내부의 수액을 배출시켜서, 다양한 단계별 당도를 갖는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진공 저온농축방식의 경우에는 수액수용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상태에서 농축동작이 진행되게 된다. 따라서 농축동작의 진행 중에 장치를 정지시키고 농축액의 일부를 배출한 후, 또다시 그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서 농축동작을 계속하기 위한 과정이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따라서 이 방식의 경우에는 수액수용부 내부의 고로쇠 수액이 일정 수준의 당도에 도달하였을 때,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농축된 전체 수액을 배출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급속냉동농축방식은 고로쇠 수액을 급속하게 냉각, 동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고로쇠 수액은 물보다 빙점이 상당히 낮다. 따라서 고로쇠 수액을 낮은 온도의 냉동장치 내부에 수용하여 급속냉각시킬 경우, 고로쇠 수액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물이 점차 얼게 되면서, 고로쇠 수액 중 얼지 않은 부분의 농도 즉 당도가 점차 높아지게 된다. 이와같이 고로쇠 수액을 급속냉동방식으로 냉각시킬 경우, 고로쇠 수액 중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 및 당분의 농도가 상승하게 된다.
급속냉동농축방식을 이용하는 농축장치의 경우에도 고로쇠 수액을 수용하는 수액수용부와, 수액수용부의 일측에 당도측정센서를 구비하도록 하여, 고로쇠 수액을 농축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금속냉동농축방식을 사용하여 고로쇠 농축액의 당도를 높일 경우에도 앞의 방식들에서와 같이, 농축동작의 진행 중에 수액수용부 내부 고로쇠 수액이 소정의 당도에 이를 때마다 그 내부의 수액을 배출시켜서, 다양한 단계별 당도를 갖는 고로쇠 농축액을 각각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내부의 고로쇠 수액이 일정 수준의 당도에 도달하였을 때, 그 전체를 배출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고로쇠 농축액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 중에서 어느 한 방법의 농축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농축장치를 동작시켜서 농축작업을 수행하면, 고로쇠 수액의 농도 즉, 당도가 점점 높아지게 되는데, 그 당도가 소정의 수준에 도달하면 농축장치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농축된 수액 전체를 수액수용부로부터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여러번 반복하되, 당도의 수준을 달리하여 반복하면, 여러 단계의 당도를 갖는 고로쇠 농축액을 각각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농축장치를 동작시키면 동작시간의 경과에 따라 장치의 수액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고로쇠 수액의 농도 및 당도가 점차 높아지게 되는데, 고로쇠 수액의 당도가 소정 수준에 도달할 때마다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켜서 수액(농축된 수액)의 일부를 추출한 후, 다시 농축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반복하면, 여러 단계의 당도를 갖는 고로쇠 농축액을 각각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로쇠 농축액의 당도는 3브릭스 이상 20브릭스 이하이며, 각각의 당도(브릭스)별로 농축액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고로쇠 농축액의 당도 차이가 근소한 경우에는 최종 제조된 누룽지에서 느껴지는 당도의 차이가 매우 약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계별로 3브릭스 또는 5브릭스의 차이가 있는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여, 누룽지 최종재의 재료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계별 당도의 차이가 3브릭스가 되도록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당도가 각각 5, 8, 11, 14, 17 및 20브릭스인 고로쇠 농축액을 각각 별도로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당도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여러 단계의 당도를 갖는 고로쇠 농축액 중에서 하나 이상 또는 전체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계별 당도의 차이가 5브릭스인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당도가 각각 5, 10, 15, 및 20브릭스인 고로쇠 농축액을 각각 별도로 제조한 후, 이를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당도의 차이가 더 있는 여러 종류의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당도의 차이가 3브릭스인 경우와 동일하게, 이 경우에도 여러 단계의 당도를 갖는 고로쇠 농축액 중에서 하나 이상 또는 전체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당도의 단계별 차이가 3브릭스 또는 5브릭스가 되도록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여 누룽지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고로쇠 농축액의 단계별 당도의 차이는 위보다 더 작게 할 수도 있고, 더 크게 할 수도 있다. 다만, 그 차이를 3브릭스 보다 더 세분화할 경우, 인접 단계의 당도를 갖는 농축액을 사용하여 제조된 누룽지의 당도 차이가 매우 적게 되므로, 고로쇠 농축액의 단계별 당도 차이가 3브릭스 또는 그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차이가 5브릭스가 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로쇠 농축액의 당도를 위와 같이 각각 단계별로 다르게 제조한 후, 이를 누룽지용 밥(이하 셋째 단계에서 설명함)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핵심적 구성요소 중 하나에 해당되는 것이다.
셋째 단계(S30)인 누룽지용 밥을 제조하는 단계는, 누룽지의 주원료인 쌀과 물 또는 고로쇠 수액을 사용하여 누룽지의 제조에 사용될 밥을 짓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밥을 짓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하나는, 통상적으로 밥을 짓는 것과 동일하게 물과 쌀을 사용하여 밥을 짓는 방법이다. 즉, 쌀의 상태에 따라 쌀과 물의 양을 조절하여 밥을 짓되, 보통의 밥을 지으려면 쌀과 물의 양을 1 : 1의 비율로 하고, 밥을 질게 하려면 그 비율을 1 : 2 정도로 할 수 있다. 된 밥을 지으려면 보통 밥 보다 물을 덜 사용하면 된다.
다른 하나는, 앞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밥을 짓되 물 대신 고로쇠 수액을 사용하여 밥을 짓는 방법이다. 이 경우에도 쌀과 수액의 비율은 물을 사용하여 밥을 짓는 방법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누룽지용 밥을 짓기 위한 재료로는 일반 백미, 현미, 찹쌀 또는 5곡쌀(백미, 현미, 찹쌀, 현미찹쌀, 귀리 등 5가지 곡물이 혼합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밥을 짓는 방법 중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밥을 짓는 방법과 동일한 것이다. 고로쇠 수액을 사용하여 밥을 짓는 경우, 물을 사용하는 경우와는 차이가 있지만, 그 경우에도 통상적으로 밥을 짓는 방법과 차이가 없는 방법으로 밥을 짓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누룽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쌀을 도정한 직후에 밥을 짓도록 함으로써, 가장 신선한 상태의 쌀을 사용하여 지은 밥을 누룽지용 밥으로 사용한다.
넷째 단계(S40)인 누룽지 최종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앞의 둘째 단계에서 제조한 고로쇠 농축액과, 앞의 셋째 단계에서 지은 누룽지용 밥을 본 발명 특유의 비율로 혼합하여 누룽지 최종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누룽지 최종재는 앞의 단계에서 제조된 누룽지용 밥과, 고로쇠 농축액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며, 밥의 상태에 따라 농축액의 양을 조절하여야 한다.
누룽지용 밥이 질은 상태일 경우에는 고로쇠 농축액의 양을 줄이고, 된 밥일 경우에는 그 양을 더 늘려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누룽지용 밥 200g에 대하여 고로쇠 농축액 15 내지 30ml를 혼합하여 누룽지 최종재를 제조한다. 밥이 질은 경우에는 15ml를 혼합하고, 된 밥의 경우에는 30ml, 보통의 밥인 경우에는 그 중간인 20ml 내지 25ml를 혼합한다. 누룽지용 밥의 양이 더 많아질 경우에는, 그 중량의 증가에 맞추어 고로쇠 농축액의 양을 조절하면 된다.
누룽지 최종재를 성형, 가열하여 최종적으로 누룽지가 제조되게 되며, 그 결과, 본 발명으로부터 기대되는 유익한 효과를 갖는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누룽지 최종재는 5분 이상 3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상온 또는 냉장 보관하여 고로쇠 농축액이 누룽지용 밥의 내부로 잘 스며들게 한 후, 다음 단계에서 누룽지 제조에 사용하게 된다,
누룽지 최종재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핵심적 기술을 이루는 구성요소에 해당되는 것이다,
다섯째 단계(S50)인 누룽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앞의 단계에서 제조된 누룽지 최종재를 소정의 크기 및 형태로 만든 후, 누룽지 제조장치의 성형가열부에 투입하고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하여 성형된 누룽지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누룽지 제조장치의 성형가열부에 투입하는 누룽지 최종재의 중량 및 형태는 장치의 크기 및 형상에 맞추어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누룽지 최종재의 형상은 원구형, 원통형, 정육면체형, 직육면체형, 럭비공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위 이외에도 누룽지 최종재의 중량 및 형상은 적용대상 누룽지 제조장치의 규격에 맞추어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는 위와 같이 누룽지 제조장치의 규격에 따른 형상 및 중량으로 만들어진 누룽지 최종재를 누룽지 제조장치의 성형가열부에 투입하고, 200℃ 내지 270℃ 범위의 온도에서 2분 내지 5분 동안 가열하여 누룽지를 제조한다. 누룽지 제조장치 성형가열부의 형상은 생산하고자 하는 누룽지 제품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형가열부는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달걀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계별로 당도 차이가 있는 여러 종류의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함으로써, 당도가 다른 여러 종류의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사용되는 고로쇠 농축액의 종류별로 이 단계(누룽지를 제조하는 다섯째 단계)를 진행하거나, 또는 당도가 다른 여러 종류의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하여 제조한 여러 종류의 누룽지 최종재를 누룽지 가공장치 내에 동시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여러 종류의 당도를 갖는 누룽지를 동시에 제조할 수도 있다.
여섯째 단계(S60)인 누룽지를 선별 및 포장하는 단계는 앞의 단계들을 거치면서 제조된 누룽지를 선별하고 포장하는 단계이다.
쌀을 주재료로 하여 제조되는 누룽지는 누룽지 제조장치의 성형가열부에서 누룽지 최종재가 가열되는 과정 및 제조장치에서 배출되는 과정 등에서 그 형태가 변하거나 일부가 분쇄되는 등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누룽지 제품의 경우, 출시를 위한 선별과정이 필요하며, 또한, 제품 보관 및 유통과정에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하게 포장되어야 한다. 완성된 누룽지 제품은 통상의 밀봉이나 진공포장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포장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단계들을 거치면서 본 발명 특유의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한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게 되며,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제조된 누룽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누룽지는 누룽지 자체의 맛과 미감 외에 고로쇠 특유의 맛과 향 및 미네랄 등의 영양 성분을 더 포함하고 있어서, 소비자의 기호를 더 높일 수 있고 그와 동시에 누룽지를 섭취하는 소비자에게 유익한 영양 성분을 더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누룽지는 고로쇠 수액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 성분과 당분의 농도를 크게 높인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어서, 단순히 고로쇠 수액으로 지은 밥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던 기존의 방법에 비해 고로쇠 특유의 맛 또는 향과 영양 성분이 훨씬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기호식품인 누룽지의 가치를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고로쇠 농축액에 함유되어 있는 당분은 설탕 등과는 달리 인체에 유익한 천연자당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소비자가 부담 없이 누룽지를 섭취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여 누룽지 제조에 사용하되, 단계별로 당도가 각각 다르게 제조된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도록 하여, 누룽지의 당도에 대한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여러 계층의 소비자들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단계별 당도가 다른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위에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여 특별한 기술적 변경 없이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유사하거나 균등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고로쇠 수액을 채취 및 수집하는 첫째 단계(S10)와.
    상기 첫째 단계에서 채취 및 수집된 고로쇠 수액을 농축시켜서 고로쇠 농축액을 제조하는 둘째 단계(S20)와,
    쌀과 물 또는 쌀과 고로쇠 수액을 사용하여 누룽지용 밥을 제조하는 셋째 단계(S30)와,
    상기 둘째 단계(S20)에서 제조된 상기 고로쇠 농축액과, 상기 셋째 단계(S30)에서 제조된 상기 누룽지용 밥을 혼합하여 누룽지 최종재를 제조하는 넷째 단계(S40)와,
    상기 넷째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누룽지 최종재를 소정의 크기 및 형태로 만든 후 누룽지 제조장치의 성형가열부에 투입하고, 투입된 상기 누룽지 최종재를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다섯째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둘째 단계에서 제조되는 상기 고로쇠 농축액은 그 당도가 3브릭스 이상 20브릭스 이하가 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둘째 단계에서 제조되는 상기 고로쇠 농축액은 단계별 당도의 차이가 3브릭스가 되도록 제조하되, 그 당도가 5, 8, 11, 14, 17 또는 20브릭스인 것 중에서 하나 이상 또는 전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둘째 단계에서 제조되는 상기 고로쇠 농축액은 단계별 당도의 차이가 5브릭스가 되도록 제조하되, 그 당도가 5, 10, 15 또는 20브릭스인 것 중에서 하나 이상 또는 전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넷째 단계(S40)에서 제조되는 상기 누룽지 최종재는 상기 셋째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누룽지용 밥 200g에 대하여 상기 둘째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고로쇠 농축액을 15 내지 30ml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넷째 단계(S40)에서 제조되는 상기 누룽지 최종재는 상기 셋째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누룽지용 밥이 보통의 밥일 경우, 상기 누룽지용 밥 200g에 대하여 상기 둘째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고로쇠 농축액을 20 내지 25ml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섯째 단계(S50)를 거쳐 제조된 누룽지를 선별 및 포장하는 여섯째 단계(S60)를 더 포함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8. 상기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하여 제조된 누룽지.
KR1020210055465A 2021-04-29 2021-04-29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 KR20220148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465A KR20220148439A (ko) 2021-04-29 2021-04-29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465A KR20220148439A (ko) 2021-04-29 2021-04-29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439A true KR20220148439A (ko) 2022-11-07

Family

ID=8404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465A KR20220148439A (ko) 2021-04-29 2021-04-29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8439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3194A (ko) 2006-03-13 2007-09-18 손정희 고로쇠 수액을 함유하는 누룽지
KR20120110276A (ko) 2011-03-29 2012-10-10 장수희 피톤치드가 존재하는 비타민누룽지 제조방법
KR20170108430A (ko) 2016-03-17 2017-09-27 안성들풀영농조합법인 머루즙과 천마가 함유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20190124425A (ko) 2018-04-26 2019-11-05 이은정 키토산 누룽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키토산 누룽지
KR20210039769A (ko) 2019-10-02 2021-04-12 굿데이영농조합법인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3194A (ko) 2006-03-13 2007-09-18 손정희 고로쇠 수액을 함유하는 누룽지
KR20120110276A (ko) 2011-03-29 2012-10-10 장수희 피톤치드가 존재하는 비타민누룽지 제조방법
KR20170108430A (ko) 2016-03-17 2017-09-27 안성들풀영농조합법인 머루즙과 천마가 함유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20190124425A (ko) 2018-04-26 2019-11-05 이은정 키토산 누룽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키토산 누룽지
KR20210039769A (ko) 2019-10-02 2021-04-12 굿데이영농조합법인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04648B (zh) 苹果红茶的制作方法
CN109699976B (zh) 一种带红玫瑰花瓣的高脆度薯泥脆片的制作方法
CN107927219B (zh) 即食膨化茶叶及其制备方法
CN102845535A (zh) 一种黑豆腐竹的制作方法
CN101292729A (zh) 一种黑木耳深加工技术
CN105380239A (zh) 一种保鲜红薯粉丝的加工制备方法
CN102415531B (zh) 一种发酵蔬果风味天然彩色米线及其制备方法
CN101416692A (zh) 全素多味果酱制作技术
CN103535606A (zh) 一种蛋白质高钙馒头及其制备方法
CN105361027A (zh) 一种猕猴桃休闲食品制备方法
CN108056436A (zh) 一种玫瑰花茶果冻的加工方法
KR101759147B1 (ko)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CN110432372A (zh) 一种刺梨牛轧糖的制作方法
CN109673943A (zh) 一种白莲米粉及其制备工艺
KR20220148439A (ko)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
CN106538984B (zh) 一种梅汁糟卤蛋及其制备方法
CN107692188A (zh) 一种黑木耳营养粉及其加工方法
KR20190110175A (ko) 콩을 이용한 간식용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5394656A (zh) 一种土豆脆片食品制备方法
CN102813145B (zh) 一种荔枝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CN105994820A (zh) 一种瓜蒌有机茶的制备工艺
KR101276664B1 (ko) 미나리잼의 제조방법
CN109303305A (zh) 一种低温烘烤生产乳白花生仁的方法
KR102646722B1 (ko) 첨가물이 주입된 건조 무화과 제조방법
CN109303308A (zh) 一种低温烘烤生产花生碎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