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309A - 돌아 눕기 보조 패드 및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돌아 눕기 보조 패드 및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309A
KR20220146309A KR1020217004854A KR20217004854A KR20220146309A KR 20220146309 A KR20220146309 A KR 20220146309A KR 1020217004854 A KR1020217004854 A KR 1020217004854A KR 20217004854 A KR20217004854 A KR 20217004854A KR 20220146309 A KR20220146309 A KR 20220146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upport surface
user
width
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카즈 도요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카
Publication of KR2022014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근력이 저하된 사용자에 대하여, 돌아 눕기의 일련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고, 자력으로 돌아 눕기의 실현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돌아 눕기 보조 용구 및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매트리스, 요 또는 깔개 위에 올려놓아 사용되는 돌아 눕기 보조 패드에 있어서, 이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신장 방향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상반신 측이 올려 놓이는 제1 패드와, 사용자의 하반신 측의 허리 엉덩이부가 적어도 올려 놓이는 제2 패드를 적어도 구비하고, 제1 패드는 소정 두께의 쿠션재로 형성되어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 등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제2 패드는 소정 두께의 쿠션재로 형성되고, 제2 패드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사용자의 골반의 폭 보다도 좁은 폭으로 형성된 제2 지지면이 마련되며, 제2 패드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는 제2 지지면의 단부로부터 바깥 쪽을 향하여 경사면 형상 또는 계단 형상으로 내리막 경사진 한 쌍의 제2 경사부가 제2 지지면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어 있고, 제2 지지면은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의 허리 엉덩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2 경사부는 돌아 눕기 동작 할 때의 사용자 대퇴골의 대전자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돌아 눕기 보조 패드 및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
본 발명은 돌아 눕기(寢返り) 보조 패드 및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병이 요구되는 사람(要介護者)의 자립을 촉진하기 위해, 간병이 요구되는 사람 등의 사용자가 스스로의 힘으로 돌아 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돌아 눕기 보조 패드 및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초고령 사회가 진행하는 최근, 간병이 요구되는 사람의 자립을 촉진하는 자립 지원 간병이 중요시 되고 있다. 간병이 요구되는 사람의 자립 지원 프로그램으로는, 반듯하게 누운 상태로부터 돌아 눕기를 하여 앉은 자세를 거쳐 일어설 때까지의 마루 위(床上) 동작(기거 동작)에 관한 것과, 마루를 벗어난(離床) 후의 동작(재활, 일상 동작)에 관한 것으로 크게 구분하여 실시되고 있다.
이 가운데, 마루 위 동작은 가장 중요한 기본 동작이며, 자립의 시작으로 되는 것이기 때문에, 마루 위 동작을 원활하게 행하도록 하기 위한 지원 방법 및 지원 용구에 대하여, 다양한 제안 및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반듯하게 누운 상태로부터 일어설 때까지의 마루 위 동작에 있어서는, 먼저 반듯하게 누운 자세(반듯이 누운 상태)로부터 옆을 향하여 누운 자세(옆으로 누운 상태)로 자세를 바꾸는 것, 즉, 돌아 눕기를 필요로 한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는 돌아 눕기 방향의 어깨부나 상완부(上腕部)를 선택적으로 매트리스에 가라앉히는 것으로써, 매트리스로 들어간 어깨부가 돌아 눕기의 회전축으로 되어 돌아 눕기가 촉진된다는 식견에 기초하여, 돌아 눕기 쉬운 구조의 매트리스가 기재되어 있다. 이 매트리스는, 매트리스의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 등 및 허리를 지지하는 중앙 블록과, 매트리스의 폭 방향 양단부에 배치되어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 어깨부를 지지하는 단부 블록을 가지며, 중앙 블록은 단부 블록의 바깥 쪽 가장자리부 보다도 유연하게 형성되고, 단부 블록은 중앙 블록과 접하는 방향을 향하여 그 겉보기 경도가 점차 낮아지는 경도 구배가 형성되도록 조정하는 동시에,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 어깨부와 접하는 위치의 겉보기 경도가 중앙 블록의 겉보기 경도 보다도 낮도록 조정하는 경도 조정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8-57712호 공보
반듯이 누운 상태로부터 옆으로 누운 상태로 자세를 바꿀 때의 돌아 눕기 동작으로는, 머리부의 돌림 → 상반신의 돌림 → 골반의 돌림 → 하지부의 돌림 동작으로 이루어진 굴곡 선회(屈曲回旋) 타입과, 하지부의 돌림 → 하지부의 돌림과 동시 또는 그 후의 골반의 돌림 → 상반신의 돌림 → 머리부의 돌림 동작으로 이루어진 신전 선회(伸展回旋) 타입으로 크게 구별된다. 이 가운데, 상반신의 돌림에 있어서, 특히 어깨부의 돌림 동작은 돌아 눕기 동작 중에서 가장 부하가 걸리는 동작이다. 그러므로, 어깨부의 돌림 동작이 저해되지 않고, 돌리기 쉬운 상태로 하는 것으로써, 어떠한 선회 타입에 있어서도 돌아 눕기가 용이하게 되기 쉽다. 그러한 점에서, 상술한 특허문헌 1의 매트리스에서는, 단부 블록에 마련된 경도 조정 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어깨부나 상완부가 단부 블록의 저경도로 조정된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가라앉기 쉬워지고, 그 부분으로 가라앉은 어깨부가 돌아 눕기의 회전축으로 되어 돌아 눕기가 촉진되고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자들은 일반적으로 하반신 및 복부의 근력이 부족한 간병이 요구되는 사람에 있어서는, 상반신을 동작의 기점으로 하는 굴곡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 동작을 행하는 일이 많고, 상반신의 돌림 동작은 실현 가능하여도 골반의 돌림 동작은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돌아 눕기를 시도 할 때에, 침대 옆의 펜스 등을 손으로 잡는 등을 하여 상반신이 옆을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후, 하반신을 좀처럼 옆을 향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단념하고 상반신을 원래의 반듯하게 되돌아오는 동작으로 되기 때문에, 돌아 눕기가 완수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이, 하반신을 돌리기 위한 근력이 저하된 사용자가 자력으로 돌아 눕기를 시도하는 경우에는, 골반의 돌림 동작이 큰 장애물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상술한 특허문헌 1의 매트리스는 어깨부의 돌림 동작에만 착안한 것으로, 골반의 돌림 동작에도 착안하여 돌아 눕기를 완수시키는 것에 대한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편, 일반적으로 건강을 위해서는 수면에 의한 회복이 필수인 바, 최근에는 '수면의 질'을 높이는 것이 주목되어, 수면 중의 자연스러운 돌아 눕기가 수면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요소의 하나로서 주목 받고 있다. 이 경우, 즉 수면 중에는 상반신을 동작의 기점으로 하는 굴곡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 뿐만 아니라, 하반신을 동작의 기점으로 하는 신전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 및 이들로 분류되지 않는 다양한 타입의 돌아 눕기 동작이 무의식 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타입의 돌아 눕기 동작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원활한 돌아 눕기를 가능하게 하는 용구나 매트리스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근력이 저하된 사용자가 곤란해 하고 있는 골반의 돌림 동작을 용이하게 하고, 자력으로 돌아 눕기의 실현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돌아 눕기 보조 용구 및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근력이 저하된 사용자에 대해, 돌아 눕기의 일련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고, 자력으로 돌아 눕기의 실현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돌아 눕기 보조 용구 및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타입의 돌아 눕기 동작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원활하게 자연스럽게 돌아 눕기 하는 것이 가능한 돌아 눕기 보조 용구 및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매트리스, 요 또는 깔개 위에 올려놓아 사용되는 돌아 눕기 보조 패드에 있어서,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신장(身長) 방향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상반신 측이 올려 놓이는 제1 패드와, 사용자의 하반신 측의 허리 엉덩이부(腰臀部))가 적어도 올려 놓이는 제2 패드를 적어도 구비하고, 제1 패드는, 소정 두께의 쿠션재로 형성되어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 등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제2 패드는, 소정 두께의 쿠션재로 형성되고, 제2 패드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사용자의 골반의 폭 보다도 좁은 폭으로 형성된 제2 지지면이 마련되며, 제2 패드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는, 제2 지지면의 단부로부터 바깥 쪽을 향하여 경사면 형상 또는 계단 형상으로 내리막 경사진 한 쌍의 제2 경사부가, 제2 지지면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어 있고, 제2 지지면은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의 허리 엉덩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며, 제2 경사부는 돌아 눕기 동작 할 때의 사용자 대퇴골의 대전자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듯하게 누운 자세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반신 측은 제1 패드에 지지되며, 하반신 측은 제2 패드에 지지된다. 이 가운데, 머리부와 척추를 중심으로 하는 등부분은 제1 패드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하반신의 천추를 중심으로 하는 허리 엉덩이부 부분은 제2 패드의 제2 지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반신을 동작의 기점으로 하여 굴곡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를 하는 경우에는, 상반신을 돌린 후에 골반의 돌림이 행해지지만, 이 골반을 돌릴 때에는, 돌아 눕기 방향에 있어서 돌림 동작에 가장 힘을 필요로 하는 대퇴골의 대전자 및 그 근방에 있는 엉덩이뼈 등의 골반 주변부가 제2 경사부에 지지된다. 제2 경사부는 제2 지지면의 단부로부터 내리막 경사져 있기 때문에, 돌아 눕기 방향에 있는 대퇴골의 대전자 등의 골반 주변부가 제2 경사부에 접지한 점과 사용자의 신체 축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골반의 돌림에 필요한 힘(토크)이 작아지고, 골반의 돌림으로부터 하지부의 돌림으로 연동하는 하반신 측의 돌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하반신의 돌림에 관한 부하가 저감되기 때문에, 하반신의 돌림에 관여하는 근력이 저하된 사용자이어도 자력으로 돌아 눕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반신을 동작의 기점으로 하는 신전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를 하는 경우에는, 하반신 측으로부터 돌림이 시작되는 바, 골반을 돌릴 때에 돌아 눕기 방향에 있는 대퇴골의 대전자 및 그 근방에 있는 엉덩이뼈 등의 골반 주변부가 제2 경사부에 지지된다. 제2 경사부는 제2 지지면의 단부로부터 내리막 경사져 있기 때문에, 돌아 눕기 방향에 있는 대퇴골의 대전자 등의 골반 주변부가 제2 경사부에 접지한 점과 사용자의 신체 축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골반의 돌림에 필요한 힘(토크)이 작아지게 되고, 하반신 측의 돌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제1 패드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사용자의 어깨 폭 이하의 폭으로 형성된 제1 지지면이 마련되고, 제1 패드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는, 제1 지지면의 단부로부터 바깥 쪽을 향하여 경사면 형상 또는 계단 형상으로 내리막 경사진 한 쌍의 제1 경사부가, 제1 지지면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고, 제1 지지면은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 등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제1 경사부는 돌아 눕기 동작할 때의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반듯하게 누운 자세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반신 측은 제1 패드에 지지되며, 하반신 측은 제2 패드에 지지된다. 이 가운데, 머리부와 척추를 중심으로 하는 등 부분은 제1 지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하반신의 천추를 중심으로 하는 엉덩이부 부분은 제2 지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반신을 동작의 기점으로 하는 굴곡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를 하는 경우에는, 상반신을 돌릴 때에, 돌아 눕기 방향에 있어서 돌림 동작에 가장 힘을 필요로 하는 어깨가 제1 경사부에 지지된다. 제1 경사부는 제1 지지면의 단부로부터 내리막 경사져 있기 때문에, 어깨가 제1 경사부에 접지한 점과 사용자의 신체 축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상반신 측 돌림에 필요한 힘(토크)이 작아지고, 상반신 측의 돌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반신 측의 돌림에 이어서, 골반을 돌릴 때에는, 돌아 눕기 방향에 있어서 돌림 동작에 가장 힘을 필요로 하는 대퇴골의 대전자 및 그 근방에 있는 엉덩이뼈 등의 골반 주변부가 제2 경사부에 지지된다. 제2 경사부도 제2 지지면의 단부로부터 내리막 경사져 있기 때문에, 돌아 눕기 방향에 있는 대퇴골의 대전자 등의 골반 주변부가 제2 경사부에 접지한 점과 사용자의 신체 축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골반의 돌림에 필요한 힘(토크)이 작아지고, 골반의 돌림으로부터 하지부의 돌림으로 연동하는 하반신 측의 돌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반신뿐만 아니라 하반신의 돌림도 부하가 저감되기 때문에, 자력으로 돌아 눕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반신을 동작의 기점으로 하는 신전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를 하는 경우에는, 하반신 측으로부터 돌림이 시작되는 바, 골반을 돌릴 때에 돌아 눕기 방향에 있는 대퇴골의 대전자 및 그 근방에 있는 엉덩이뼈 등의 골반 주변부가 제2 경사부에 지지된다. 제2 경사부는 제2 지지면의 단부로부터 내리막 경사져 있기 때문에, 돌아 눕기 방향에 있는 대퇴골의 대전자 등의 골반 주변부가 제2 경사부에 접지한 점과 사용자의 신체 축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골반의 돌림에 필요한 힘(토크)이 작아지고, 하반신 측의 돌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하반신 측의 돌림에 연동하여 상반신의 돌림으로 전환하면, 돌림 동작에 있어서 가장 힘을 필요로 하는 돌아 눕기 방향에 있는 어깨가 제1 경사부에 지지된다. 제1 경사부는 제1 지지면의 단부로부터 내리막 경사져 있기 때문에, 어깨가 제1 경사부에 접지한 점과 사용자의 신체 축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상반신 측의 돌림에 필요한 힘(토크)이 작아지고, 상반신 측의 돌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신전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에 있어서도, 상반신뿐만 아니라 하반신의 돌림도 부하가 저감되기 때문에, 자력으로 돌아 눕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제1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1)와, 제2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2)가 다른 것도 바람직하다. 상반신 측의 제1 패드의 경사부와 하반신 측의 제2 패드의 경사부의 경사 각도(θ)를 다르게 하는 것으로써, 돌아 눕기에 관한 돌림 타이밍이나 부하의 저감 작용을 상반신 측과 하반신 측에서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근력이나 소망하는 돌아 눕기 타입 등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경사부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경사 각도(θ1)란, 단면을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1 지지면의 단부를 경사 시점으로 하고, 이 경사 시점과 제1 경사부를 구성하는 가장 하단의 단부 끝단을 가장 짧은 직선으로 연결한 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경사면으로 하고, 이 경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경사부가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경사 각도(θ2)란, 단면을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2 지지면의 단부를 경사 시점으로 하고, 이 경사 시점과 제2 경사부를 구성하는 가장 하단의 단부 끝단을 가장 짧은 직선으로 연결한 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경사면으로 하고, 이 경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경사부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경사 각도(θ1)란, 단면을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1 지지면의 단부의 경사 시점과 제1 패드의 저면 단부(제1 경사부의 저면 단부)의 경사 종점을 가장 짧은 직선으로 연결한 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경사면으로 하고, 이 경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제2 경사부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경사 각도(θ2)란, 단면을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2 지지면의 단부의 경사 시점과 제2 패드의 저면 단부(제2 경사부의 저면 단부)의 경사 종점을 가장 짧은 직선으로 연결한 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경사면으로 하고, 이 경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제2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2) 보다도 제1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1)가 큰(θ1>θ2)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반신 측의 돌림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높이는 동시에, 하반신 측을 부드럽게 돌려서 돌아 눕기 하는 것이 가능한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제1 지지면의 폭(W1)은 제2 지지면의 폭(W2) 보다도 넓은(W1>W2)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반신 측의 제1 패드 보다도 하반신 측의 제2 패드 쪽이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폭 방향 중앙 가까이에 경사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골반을 돌리려고 하면, 돌아 눕기 방향의 골반 주변부가 이 제2 경사부에 신속하게 접지하여 지지되고, 골반을 낮은 토크로 돌림 개시하는 타이밍이 빠르게 설정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굴곡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를 할 때에는, 상반신 측이 돌아간 후의 골반의 돌림 동작의 움직임이 촉진된다. 또한, 신전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를 할 때에는, 골반의 돌림이 원활하게 시작되고, 상반신 측의 돌림으로 연동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골반의 돌림 동작 및 하지부의 돌림 동작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하반신 측의 돌림 동작(이하, 하반신 측의 돌림 동작이라 한다)과 상반신의 돌림 동작이 보다 낮은 토크로 연동하기 때문에, 자력으로 돌아 눕기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제1 지지면의 높이(H1)는 제2 지지면의 높이(H2) 보다도 높은(H1>H2)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반신 측의 제1 패드와 하반신 측의 제2 패드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 단차가 사용자의 엉덩이부로부터 요추부에 이르는 신체의 라인을 따르면서, 이들을 지지하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수면 자세가 얻어지는 동시에, 사용자가 돌아 눕기 할 때에, 이 단차에 의해 골반의 돌림 동작의 움직임이 촉진된다. 그러므로, 굴곡 선회 타입 및 신전 선회 타입의 어떠한 돌아 눕기 동작에 있어서도, 상반신의 돌림 동작과 하반신 측의 돌림 동작이 보다 자연스럽게 연동하기 때문에, 자력으로 돌아 눕기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제1 지지면의 폭(W1)이 제2 지지면의 폭(W2) 보다도 넓고(W1>W2), 제1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1)와 제2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2)는 대략 동일한(θ1=θ2)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반신 측의 제1 패드 보다도 하반신 측의 제2 패드 쪽이,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폭 방향 중앙 가까이에 경사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골반을 돌리려고 하면, 돌아 눕기 방향의 골반 주변부가 이 제2 경사부에 신속하게 접지하여 지지되고, 그러므로, 사용자가 굴곡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를 할 때에는, 상반신 측이 돌아간 후의 골반의 돌림 동작의 움직임이 촉진된다. 한편, 신전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 동작을 할 때에는, 하반신 측의 돌림이 원활하게 시작되고, 상반신 측의 돌림으로 연동하기 쉬워진다. 또한, 두 경사부의 경사 각도를 대략 동일하게(θ1=θ2) 하는 것으로, 상반신 측과 하반신 측의 회전력을 비슷하게 설정 가능하다. 이들에 의해, 상반신의 돌림 동작과 하반신 측의 돌림 동작이 연동하는 동시에, 상반신 측과 하반신 측의 돌림 토크의 균형이 양호하게 되어, 자력으로 돌아 눕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제1 지지면의 폭(W1)이 제2 지지면의 폭(W2) 보다도 넓고(W1>W2), 제1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1)와 제2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2)는 대략 동일한(θ1=θ2) 동시에, 제1 지지면의 높이(H1)는 제2 지지면의 높이(H2) 보다도 높은(H1>H2)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반신 측의 제1 패드와 하반신 측의 제2 패드 사이에 추가로 단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 단차가 사용자의 엉덩이부로부터 요추부에 이르는 신체의 라인을 따르면서, 이들을 지지하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수면 자세가 얻어지는 동시에, 사용자가 돌아 눕기 할 때에, 이 단차에 의해 골반의 돌림 동작의 움직임이 촉진된다. 또한, 제1 지지면의 폭(W1)을 제2 지지면의 폭(W2) 보다도 넓게(W1>W2)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굴곡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를 할 때에는, 상반신 측이 돌아간 후의 골반의 돌림 동작의 움직임이 촉진되고, 신전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를 할 때에는, 골반의 돌림이 원활하게 시작되고, 하반신 측으로부터 상반신 측으로의 돌림의 연동이 용이해진다. 또한, 두 경사부의 경사 각도를 대략 동일하게(θ1=θ2) 하는 것으로, 상반신 측과 하반신 측의 회전력을 같도록 설정 가능하다. 이들에 의해, 상반신의 돌림 동작과 하반신 측의 돌림 동작이 연동하는 동시에, 상반신 측과 하반신 측의 돌림 토크의 균형이 양호하게 되어, 자력으로 돌아 눕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제1 지지면의 폭(W1)과 제2 지지면의 폭(W2)이 대략 동일하고(W1=W2), 제1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1)와 제2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2)가 대략 동일하고(θ1=θ2), 제1 지지면의 높이(H1)는 제2 지지면의 높이(H2) 보다도 높은(H1>H2)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반신 측의 제1 패드와 하반신 측의 제2 패드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 단차가 사용자의 엉덩이부로부터 요추부에 이르는 신체의 라인을 따르면서, 이들을 지지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돌아 눕기 할 때에, 이 단차에 의해 골반의 돌림 동작의 움직임이 촉진된다. 그러므로, 상반신의 돌림 동작과 하반신 측의 돌림 동작이 연동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자력으로 돌아 눕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제1 패드와 제2 패드 사이에 소정 두께를 가진 쿠션재로 이루어진 제3 패드가 적어도 배치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체격이나 신체 움직임의 용이성 등에 따라 조정된 돌아 눕기 보조 패드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제2 패드의 다리 측에 소정 두께를 가진 쿠션재로 이루어진 제3 패드가 배치되고, 이 제3 패드는 제1 패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제2 패드의 양측에 제1 패드가 배치된 형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가 얻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떠한 방향으로 누워서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는, 상술한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구비한 매트리스에 있어서, 이 돌아 눕기 보조 패드가 쿠션재로 형성된 베이스층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돌아 눕기 보조 패드가 내장된 매트리스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는, 제1 패드와 제2 패드가 베이스층 위에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베이스층 위에 있어서, 돌아 눕기 보조 패드가 배치되는 바람직한 위치가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는, 베이스층의 폭이 제1 패드 및 제2 패드의 폭 보다도 넓고, 베이스층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 쪽에는 높이 방향으로 돌출한 단부 블록이 베이스층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단부 블록이 마련되는 것으로써, 사용자가 돌아 눕기 할 때에 베이스층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안전하게 매트리스 위에서 돌아 눕기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는,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위에 쿠션재로 형성된 상층이 적어도 한 층 이상 적층되어 있고, 상층을 구성하는 쿠션재의 경도는 제1 패드를 구성하는 쿠션재의 경도 보다도 낮은 것인 것도 바람직하다. 상층의 쿠션재로서, 제1 패드의 쿠션재의 경도 보다도 낮은 것이 선택되는 것으로써,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기능은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신체가 유연한 상층과 접촉하기 때문에, 매트리스의 수면 기분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 돌아 눕기 보조 패드 및이를 구비한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1) 하반신의 돌림에 관한 부하, 특히 골반의 돌림에 관한 부하가 저감되기 때문에, 하반신의 돌림에 관여하는 근력이 저하된 사용자이어도 자력으로 돌아 눕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상반신의 돌림 동작과 골반의 돌림 동작을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근력이 저하된 사용자에 대해 자력으로 돌아 눕기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다양한 타입의 돌아 눕기 동작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면 중의 자연스러운 돌아 눕기가 촉진되어 수면의 질 향상에 기여 가능하다.
(4) 반듯하게 누운 자세(반듯이 누운 상태)에 있어서, 흉추를 열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수면 시 호흡이 쉬워지게 되어, 수면의 질 향상에 기여 가능하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a) 사시도, (b) 도 1(a)의 A-A'선 단면도 및 (c) 도 1(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에 있어서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의 어깨 및 골반과 접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반듯이 누운 자세의 상반신이 회전 할 때의 토크(T=F×L)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a)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사용했을 때의 토크를 나타내는 설명도 및 (b) 비교예로서 통상의 매트리스를 사용했을 때의 토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a) 사시도, (b) 도 10(a)의 C-C'선 단면도 및 (c) 도 10(a)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예를 나타내는 (a) 사시도, (b) 도 11(a)의 E-E'선 단면도 및 (c) 도 11(a)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a) 사시도, (b) 도 12(a)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돌아 눕기 보조 패드가 내장된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a) 분해 사시도, (b) 도 13(a)의 제1 패드의 머리 측에서 본 측면도 및 (c) 도 13(a)의 제2 패드의 다리 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돌아 눕기 동작의 부하를 정량하기 위하여 이용한 (a) 시뮬레이터 및 (b) 이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돌아 눕기 동작에 관한 토크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1에 있어서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와 토크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실시예 2에 있어서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경사 구조와 토크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실시예 3에 있어서 시험된 5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비교예 1~4에 있어서 시험된 4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4에 있어서 시험된 3개의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는, 사용자의 상반신 측이 올려 놓이는 제1 패드(3)와, 사용자의 하반신 측이 올려 놓이는 제2 패드(4)로 이루어지며, 제1 패드(3)와 제2 패드(4)가 신장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하란, 돌아 눕기 보조 패드(2)를 매트리스나 깔개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상태에서의 상하 방향, 즉, 도 1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폭 방향이란, 돌아 눕기 보조 패드(2)를 사용하는 상태에서의 폭 방향, 즉, 도 2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말하며, 길이 방향이란, 돌아 눕기 보조 패드(2)를 사용하는 상태에서의 길이 방향(신장 방향), 즉, 도 2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사용자의 상반신 측이 올려 놓이는 제1 패드(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패드(3)는 그 폭 방향 중앙부에 길이 방향(신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략 평편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지지면(31)과, 그 제1 지지면(31)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바깥 쪽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진 한 쌍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경사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패드(3)에 있어서 제1 지지면(31)의 폭 방향 길이(W1)와 제1 경사부(32)의 경사 각도(θ1)는 제1 패드(3)에 소망하는 작용을 가져오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지지면(31)의 폭 방향 길이(W1)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으로써, 상반신 측의 돌림을 개시하는 타이밍이나 돌림 개시 토크, 반듯이 누운 상태에 있어서 등의 지지 안정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1 경사부(32)의 경사 각도(θ1)와 협동시키는 것으로 돌림 동작 중의 토크를 조정하여 원하는 상반신 측의 낮은 부하의 돌림 동작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지지면(31)의 폭 방향 길이(W1)는 사용자의 상반신 측의 지지 안정성이 확보되는 범위로 하는 바, 그 범위 내에서 제1 지지면(31)의 폭 방향 길이(W1)를 작게 설정할수록, 상반신 측의 돌림에 필요한 힘(토크)이 작아지고, 돌림 동작도 빨리 시작된다. 또한, 제1 경사부(32)의 경사 각도(θ1)를 크게 설정할수록, 상반신 측의 돌림에 필요한 토크는 작아진다. 그에 따라, 제1 지지면(31)의 폭 방향 길이(W1)와 제1 경사부(32)의 경사 각도(θ1) 각각의 설정치의 조합에 의해, 상반신 측의 돌림 용이성을 돌아 눕기 패턴이나 사용자의 체형 등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제1 지지면(31) 및 제1 경사부(32)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패드(3)의 제1 지지면(31)은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 신체 중, 등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지지면(31)은, 폭 방향 길이(W1)가 25cm, 길이 방향(신장 방향)의 길이가 90cm, 높이(H1)(제1 지지면(31) 부분의 쿠션재의 두께)가 3cm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의 머리 및 척추를 중심으로 하는 등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1 지지면(31)의 폭 방향 길이(W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의 어깨부(S)가 제1 지지면(31)의 바깥 쪽의 제1 경사부(32)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는 관계로부터, 제1 지지면(31)의 폭 방향 길이(W1)는 사용자(B)의 어깨 폭(SW) 이하의 폭, 바람직하게는 사용자(B)의 한 쪽 어깨 봉우리로부터 다른 쪽의 어깨 봉우리까지의 길이(어깨 봉우리 폭) 이하로 형성된다. 또한, 사용자(B)의 어깨부(S)란 어깨 봉우리 근방이며, 적어도 어깨 봉우리로부터 상완골의 대결절까지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B)의 어깨 폭(SW)이란 한 쪽의 어깨로부터 다른 쪽의 어깨까지의 길이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삼각근부의 윤곽이 가장 외측으로 돌출한 위치에 있어서, 시상면 대하여 수직으로 측정한 신체의 최대 가로 지름이다. 제1 지지면(31)의 폭 방향 길이(W1)는, 사용자의 어깨 폭 이하의 폭, 바람직하게는 어깨 봉우리 폭 이하로 하는 동시에, 안정적으로 사용자(B)의 상반신을 지지 가능하도록 하는 관점으로부터, 사용자(B)의 좌우 견갑골 하각 사이의 길이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5cm~40c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cm~35c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cm~30cm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면(31)의 폭 방향 길이(W1)와 제2 지지면(41)의 폭 방향 길이(W2)가 동일한 구성(W1=W2)의 경우에는, 제1 지지면(31)의 폭 방향 길이(W1)는, 제2 지지면(41)의 폭 방향 길이(W2)의 최대 설정치이며, 사용자(B)의 골반 폭(PW) 이하로 설정된다. 또한, 제1 지지면(31)의 길이 방향(신장 방향) 길이는, 사용자(B)의 머리로부터 등을 지지 가능하도록 적절하게 설정된다. 게다가, 제1 지지면(31)의 높이(H1)는, 상반신의 돌림에 필요한 힘을 저감하여 적당한 돌아 눕기가 가능하도록 후술하는 경사 각도(θ1)와 함께 적절하게 설정된다. 또한, 제1 지지면(31)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평편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 신체의 등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그 형상은 평편한 면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패드(3)의 한 쌍의 제1 경사부(32)는, 제1 지지면(31)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고, 돌아 눕기 동작 할 때의 사용자(B)의 어깨 및 상완 전체가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패드(3)의 제1 지지면(31)에 사용자(B)의 등이 지지되는 바, 제1 지지면(31)에 지지되지 않고, 어깨부(S) 및 이 어깨부(S)와 연속하는 등측 부분으로 이루어진 영역(이하, 어깨 주변부(SA)라 한다)은, 제1 지지면(31)의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32)와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B)가 상반신을 돌릴 때에, 돌아 눕기 방향에 있는 어깨 주변부(SA)는 제1 경사부(32)에 지지된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B)가 돌아 눕기 동작 할 때, 돌아 눕기 방향에 있는 사용자의 어깨부(S)를 포함한 어깨 주변부(SA)와 제1 경사부(32)의 접지점(G)과 사용자의 신체 축(X)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상반신의 돌림에 필요한 힘이 작아지기 때문에, 상반신 측의 돌림이 촉진된다. 여기에서, 어깨 주변부(SA)란, 적어도 사용자(B)의 어깨부(S)(어깨 봉우리로부터 상완골의 대결절까지의 영역)를 포함하는 부분에 있어서, 제1 지지면(31)에 지지되지 않는 부분이므로, 제1 지지면(31)의 폭 방향 길이(W1)의 설정에 따라서는, 사용자(B)의 상완골의 대결절로부터 등측의 견갑골 하각에 이르는 영역이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경사부(32)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곡면 구조나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계단 형상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계단 형상 구조로 하는 경우의 경사부는 대략 수직한 경사면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계단 형상 구조나, 제1 지지면(31)의 단부로부터 연속하는 최초의 경사면이 수직하게 형성된 후에 예각의 경사면으로 변화하는 구조 등으로 하여도 좋다. 이들과 같이 제1 경사부(32)를 계단 형상의 경사면으로 하는 것으로, 돌아 눕기 패턴이나 사용자의 체형 등에 따라서, 상반신 측의 돌림 용이성을 보다 세밀하게 조정 가능하다. 또한, 제1 경사부(32)의 경사 각도가, 제1 패드(3)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점차적(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하는 구조도 포함된다. 또한, 제1 경사부(32)는,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 신체 중, 적어도 어깨 주변부(SA)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그러므로, 제1 지지면(31)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마련되지 않아도 좋고, 사용자(B)의 어깨 주변부(SA)에만 제1 경사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제1 패드(3)의 제1 경사부(32)에 의한 작용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반드시 누운 자세의 사용자의 상반신이 회전 할 때의 토크(T=F×L)를 나타내는 도인 바, 도 3(a)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사용했을 때의 토크를, 도 3(b)에는 통상의 평편한 매트리스를 사용했을 때의 토크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에서는 돌아 눕기 동작에 필요한 힘을 회전 중심(신체 축)(X)에 대한 토크(비틀림 강도)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토크(T)는, 회전 원의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F)과 접지점(G)과 회전 중심(X)의 거리(L)의 곱(T=F×L)으로 나타낸다. 그러므로, 접지점(G)과 회전 중심(X)의 거리(L)를 짧게 하는 것으로써 토크(T)의 값은 저감한다. 도 3(b)에는 통상의(경사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매트리스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 예에 따르면, 사용자(B)의 어깨 주변부(SA)가 매트리스에 접지하는 위치(G)는, 어깨부(S)의 비교적 외측이다. 한편,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패드(3)에 제1 경사부(32)를 마련하는 것으로써, 사용자(B)의 어깨 주변부(SA)가 제1 패드(3)에 접지하는 위치(G)는, 도 3(b) 보다도 내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접지점(G)이 회전 중심(X)에 가깝고, 접지점(G)과 회전 중심(X)의 거리(L)가 짧아져 토크(T)는 저감한다. 그러므로, 상반신 측의 돌림에 걸리는 부하가 작아지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상반신 측의 돌림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패드(3)의 제1 경사부(32)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1)는, 각도(θ1)가 커지게 되면, 어깨 주변부(SA)의 접지점(G)과 회전 중심(X)의 거리(L)가 짧아지기 때문에, 상반신 측 돌림에 걸리는 힘이 저감하지만, 그 한편으로 돌림 동작이 너무 용이해지면 반듯이 누운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B) 신체가 불안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면 기분에도 기여하는 반듯이 누운 상태 안정성과 돌아 눕기(돌림) 용이성을 양립시키는 경사 각도(θ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경사 각도(θ1)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경사부(32)가 평면 형상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40도 미만이 바람직하고, 30도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5~20도가 더욱 바람직하고, 10~15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경사부(32)가, 본 실시 형태와 같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계단 형상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경사 각도(θ1)는, 단면을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1 지지면(31)의 단부를 경사 시점으로 하고, 이 경사 시점과 제1 경사부(32)를 구성하는 가장 하단의 단부 끝단을 가장 짧은 직선으로 연결한 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경사면으로 하고, 이 경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경사 각도(θ1)로 한다. 또한, 제1 경사부(32)가 곡면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경사 각도(θ1)는, 단면을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1 지지면(31)의 단부의 경사 시점과 제1 패드(3)의 저면 단부(제1 경사부(32)의 저면 단부)의 경사 종점을 가장 짧은 직선으로 연결한 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경사면으로 하고, 이 경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경사 각도(θ1)로 한다. 또한, 제1 경사부(32)의 경사 각도가, 제1 패드(3)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점차적(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구조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경사 각도(θ1)는 사용자(B)의 어깨 주변부(SA)를 지지하는 부분의 경사면의 각도이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하반신 측이 올려 놓이는 제2 패드(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패드(4)는 그 폭 방향 중앙부에 길이 방향(신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평편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지지면(41)과, 그 제2 지지면(41)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바깥 쪽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진 한 쌍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경사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패드(4)에 있어서 제2 지지면(41)의 폭 방향 길이(W2)와 제2 경사부(42)의 경사 각도(θ2)는 제2 패드(4)에 소망하는 작용을 가져오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지지면(41)의 폭 방향 길이(W2)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으로써, 하반신 측(골반)의 돌림을 개시하는 타이밍이나 돌림 개시 토크, 반듯이 누운 상태에 있어서 골반부의 지지 안정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2 경사부(42)의 경사 각도(θ2)와 협동시키는 것으로 돌림 동작의 토크를 조정하고, 원하는 하반신 측의 낮은 부하의 돌림 동작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제2 지지면(41)의 폭 방향 길이(W2)는 사용자의 하반신 측의 지지 안정성이 확보되는 범위로 하는 바, 그 범위 내에서 제2 지지면(41)의 폭 방향 길이(W2)를 작게 설정할수록 하반신 측의 돌림에 필요한 힘(토크)이 작아지고, 돌림 동작도 빨리 시작된다. 또한, 경사 각도(θ2)를 크게 설정할수록 하반신 측의 돌림에 필요한 토크는 작아진다. 그 때문에, 제2 지지면(41)의 폭 방향 길이(W2)와 제2 경사부(42)의 경사 각도(θ2) 각각의 설정치의 조합에 의해, 하반신 측의 돌림 용이성을 돌아 눕기 패턴이나 사용자의 체형 등에 따라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제2 지지면(41) 및 제2 경사부(4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패드(4)의 제2 지지면(41)은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 신체 중, 허리 엉덩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지지면(41)은, 폭 방향 길이(W2)가 13cm, 길이 방향(신장 방향)의 길이가 90cm, 높이(H2)(제2 지지면(41) 부분의 쿠션재의 두께)가 3cm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의 천추를 중심으로 하는 허리 엉덩이부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2 지지면(41)의 폭 방향 길이(W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 대퇴골의 대전자가 제2 지지면(41)의 바깥 쪽의 제2 경사부(42)에 대향하도록 배치 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2 지지면(41)의 폭 방향 길이(W2)는 사용자(B)의 골반 폭(PW) 이하의 폭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사용자(B)의 골반 폭(PW)이란 한 쪽의 상전장골극(上前腸骨棘)(P)으로부터 다른 쪽의 상전장골극(P)까지의 길이이다. 또한, 상전장골극(P)이란 골반을 구성하는 엉덩이뼈의 장골능선의 앞쪽 가장자리에 있는 돌기부이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면(41)의 폭 방향 길이(W2)는, 사용자(B)의 골반 폭(PW) 이하의 폭으로 하는 동시에, 사용자(B)의 하반신을 안정적으로 지지 가능하도록 하는 관점으로부터, 사용자(B) 신체의 적어도 상후장골극(上後腸骨棘)(골반의 장골능선의 뒤쪽 가장자리에 있는 돌기부) 사이의 폭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5cm~30c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cm~25cm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cm~20cm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지지면(41)의 길이 방향(신장 방향)의 길이는, 사용자(B)의 하반신을 지지 가능하도록 적절하게 설정된다. 게다가, 제2 지지면(41)의 높이(H2)는, 하반신의 돌림에 필요한 힘을 저감 가능하도록 후술하는 경사 각도(θ2)와 함께 적절하게 설정된다. 또한, 제2 지지면(41)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평편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 신체의 등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그 형상은 평편한 면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패드(4)의 한 쌍의 제2 경사부(42)는, 제2 지지면(41)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마련되어 있어, 돌아 눕기 동작 할 때의 사용자(B) 대퇴골의 대전자가 적어도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패드(4)의 제2 지지면(41)에 사용자(B)의 상후장골극 사이를 중심으로 하는 허리 엉덩이부가 지지되는 바, 제2 지지면(41)에 지지되지 않는 대퇴골의 대전자 및 골반의 상전장골극(P) 및 이 상전장골극(P)과 연속하는 둔부측 부분으로 이루어진 영역(이하, 골반 주변부(PA)라 한다)은, 제2 지지면(41)의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진 제2 경사부(42)와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B)가 하반신을 돌릴 때에, 돌아 눕기 방향에 있는 골반 주변부(PA)는 제2 경사부(42)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B)가 돌아 눕기 동작 할 때, 돌아 눕기 방향에 있는 사용자 대퇴골의 대전자를 포함한 골반 주변부(PA)와 제2 경사부(42)의 접지점(G)과 사용자의 신체 축(X)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골반의 돌림에 필요한 힘이 작아지기 때문에, 하반신 측의 돌림이 촉진된다. 이 하반신 측의 돌림이 촉진되는 작용에 대해서는, 도 3의 도 3(a)에 나타낸 제1 패드(3)의 제1 경사부(32)에 의한 작용과 마찬가지이다. 여기에서, 골반 주변부(PA)란, 적어도 사용자(B) 대퇴골의 대전자 및 골반의 상전장골극(P)을 포함하는 부분에 있어서, 제2 지지면(41)에 지지되지 않는 부분이므로, 제2 지지면(41)의 폭 방향 길이(W2)의 설정에 따라서는, 사용자(B)의 골반의 상전장골극(P)으로부터 둔부 측의 상후장골극에 이르는 영역이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경사부(42)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곡면 구조나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계단 형상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계단 형상 구조로 하는 경우의 경사면은 대략 수직한 경사면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계단 형상 구조나, 제2 지지면(41)의 단부로부터 연속하는 최초의 경사면이 수직으로 형성된 후에 예각의 경사면으로 변화하는 구조 등으로 하여도 좋다. 이들과 같이 제2 경사부(42)를 계단 형상의 경사면으로 하는 것으로, 돌아 눕기 패턴이나 사용자의 체형 등에 따라서, 하반신 측의 돌림 용이성을 보다 세밀하게 조정 가능하다. 또한, 제2 경사부(42)의 경사 각도가 제2 패드(4)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점차적(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하는 구조도 포함된다. 또한, 제2 경사부(42)는,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 신체 중, 적어도 골반 주변부(PA)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그러므로, 제2 지지면(41)의 길이 방향에 걸쳐 마련되지 않아도 좋고, 사용자(B)의 골반 주변부(PA)에만 제2 경사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제2 패드(4)의 제2 경사부(42)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2)는, 각도(θ2)가 커지게 되면, 골반 주변부(PA)의 접지점(G)과 회전 중심(X)의 거리(L)가 짧아지기 때문에, 골반의 돌림 토크가 저감하고, 그 결과로서 하반신의 돌림에 걸리는 힘이 저감하지만, 그 한편으로 골반의 돌림 동작이 너무 용이해지면 반듯이 누운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B) 신체가 불안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반듯이 누운 상태 안정성과 돌아 눕기(돌림) 용이성을 양립시키는 경사 각도(θ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경사 각도(θ2)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경사부(42)가 평면 형상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35도 미만이 바람직하고, 5~20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10~15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경사부(42)가, 본 실시 형태와 같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계단 형상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경사 각도(θ2)는, 단면을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2 지지면(41)의 단부를 경사 시점으로 하고, 이 경사 시점과 제2 경사부(42)를 구성하는 가장 하단의 단부 끝단을 가장 짧은 직선으로 연결한 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경사면으로 하고, 이 경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경사 각도(θ2)로 한다. 또한, 제2 경사부(42)가 곡면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경사 각도(θ2)는, 단면을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2 지지면(41)의 단부의 경사 시점과 제2 패드(4)의 저면 단부(제2 경사부(42)의 저면 단부)의 경사 종점을 가장 짧은 직선으로 연결한 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경사면으로 하고, 이 경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경사 각도(θ2)로 한다. 또한, 제2 경사부(42)의 경사각이, 제2 패드(4)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점차적(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구조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경사 각도(θ2)는, 사용자(B)의 골반 주변부(PA)를 지지하는 부분의 경사면의 각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2)는, 제1 패드(3)의 제1 지지면(31)의 폭 방향 길이(W1) 및 제1 경사부(32)의 경사 각도(θ1), 및 제2 패드(4)의 제2 지지면(41)의 폭 방향 길이(W2) 및 제2 경사부(42)의 경사 각도(θ2)의 각 설정치의 조합에 의해, 원하는 돌아 눕기 타입에 따른 돌아 눕기가 용이하게 되도록 설계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에 대하여, 제1 패드(3)와 제2 패드(4)에 따른 각 구성의 관계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에 있어서, 제1 패드(3)의 제1 경사부(32)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1)와 제2 패드(4)의 제2 경사부(42)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2)는 다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패드의 경사부의 경사 각도(θ)를 다르게 하는 것으로써, 돌아 눕기에 따른 부하의 저감 작용을 상반신 측과 하반신 측에서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B)의 근력이나 체형, 돌아 눕기 타입 등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주로 굴곡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를 촉진시키는 관점으로부터, 제2 패드(4)의 제2 경사부(42)의 경사 각도(θ2) 보다도 제1 패드(3)의 제1 경사부(32)의 경사 각도(θ1) 쪽이 큰(θ1>θ2)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돌아 눕기 동작 시작이 되는 상반신의 돌림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높이는 동시에 반듯이 누운 자세의 하반신의 안정성을 높이고, 골반의 돌림을 완화시켜서 연동시키는 돌아 눕기 동작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 1에 나타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에 대해서는, 제1 경사부(32)의 경사 각도(θ1)가 15도, 제2 경사부(42)의 경사 각도(θ2)가 10도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에 있어서, 제1 패드(3)의 제1 지지면(31)의 폭 방향 길이(W1)와, 제2 패드(4)의 제2 지지면(41)의 폭 방향 길이(W2)는, 도 4에 나타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와 같이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제1 지지면의 폭(W1)을 제2 지지면의 폭(W2) 보다도 넓게(W1>W2)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반신 측의 제1 패드(3) 보다도 하반신 측의 제2 패드(4) 쪽이,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의 폭 방향 중앙 가까이에 경사부가 위치하도록 되어, 골반의 돌림 개시 타이밍이 빨라지기 때문에, 상반신의 돌림 동작과 하반신 측의 돌림 동작이 보다 낮은 토크로 연동하고, 자력으로 돌아 눕기가 보다 용이해진다. 구체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 1에 나타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에 대해서는, 제1 지지면(31)의 폭(W1)이 25cm, 제2 지지면(41)의 폭(W2)이 13cm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촉진해야 할 돌아 눕기 타입 등에 따라서는, 제1 지지면의 폭(W1)을 제2 지지면의 폭(W2) 보다도 좁게(W1<W2)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에는 제1 패드(3)의 제1 경사부(32)의 경사 각도(θ1)와, 제2 패드(4)의 제2 경사부(42)의 경사 각도(θ2)가 다른(θ1≠θ2) 구성을 가진 본 실시 형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의 다른 형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에서는, 제1 패드(3)의 제1 지지면(31)의 폭(W1)과 제2 패드(4)의 제2 지지면(41)의 폭(W2)은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W1=W2) 바, 제1 경사부(32)의 경사 각도(θ1)와, 제2 경사부(42)의 경사 각도(θ2)를 다르게 하기 때문에, 제1 지지면(31)의 높이(H1)는 제2 지지면(41)의 높이(H2) 보다도 높게(H1>H2)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제2 패드(4)의 제2 경사부(42)의 경사 각도(θ2) 보다도 제1 패드(3)의 제1 경사부(32)의 경사 각도(θ1) 쪽이 큰(θ1>θ2)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반신 측의 제1 패드(3)의 제1 지지면(31)과 하반신 측의 제2 패드(4)의 제2 지지면(41) 사이에 단차가 생기기 때문에, 이 단차를 따라서 사용자(B)의 엉덩이부로부터 요추부에 이르는 부분이 지지되어 자연스러운 수면 자세가 얻어지기 쉬워지는 동시에, 사용자(B)가 돌아 눕기 동작 할 때에, 이 단차에 의해 골반의 돌림이 용이하게 되어 하반신 측의 돌림 동작의 움직임이 촉진 된다. 그러므로, 상반신의 돌림 동작과 하반신 측의 돌림 동작이 연동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자력으로 돌아 눕기가 용이해진다. 또한, 도 4에는 제1 지지면(31)의 폭(W1)과 제2 지지면(41)의 폭(W2)이 대략 동일한 길이인 경우(W1=W2)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그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지지면의 폭(W1)을 제2 지지면의 폭(W2) 보다도 넓게(W1>W2) 되도록 형성하거나, 반대로 좁게(W1<W2) 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를 구성하는 제1 패드(3) 및 제2 패드(4)는, 각각 상술한 소정 두께(높이)를 가진 쿠션재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패드(3)를 형성하는 제1 쿠션재로는, 사용자가 반듯이 누운 상태로 누운 상태에서 현저하게 두께 방향으로 변형하여 제1 경사부(32)의 경사를 크게 변형시키는 일이 없는 정도의 경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또한, 제1 패드(3)를 구성하는 제1 지지면(31)과 제1 경사부(32)를 다른 경도의 쿠션재로 각각 형성하고, 이들을 조합시켜 제1 패드(3)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지지면(31)을 형성하는 쿠션재로서, 제1 경사부(32)를 형성하는 쿠션재 보다도 유연한 쿠션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제1 지지면(31)은 체압 분산성이 우수하고, 제1 지지면(31)에 접하는 사용자(B) 신체를 유연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제1 경사부(32)는 사용자의 어깨부(S)를 너무 가라앉지 못하게 하고, 접지점(G)과 회전 중심(X)의 거리(L)를 짧게 유지하면서, 상반신의 돌림 동작을 촉진한다. 게다가, 제1 지지면(31) 및 제1 경사부(32)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복수의 다른 쿠션재를 조합시켜서 각각에 상당하는 부분을 얻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복수의 쿠션재를 적층시켜서 제1 지지면(31)에 상당하는 부분을 얻거나, 제1 경사부(32)에 상당하는 부분 중, 어깨 주변부(SA)와 그 외의 부분에서 다른 쿠션재를 조합시켜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패드(3)를 구성하는 제1 지지면(31)과 제1 경사부(32)를 동일한 쿠션재로 형성한 경우에는, 제1 지지면(31)에 슬릿 가공 등을 실시하여 겉보기 경도를 저감시켜 유연화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패드(4)를 형성하는 제2 쿠션재로는, 사용자가 반듯이 누운 상태로 누운 상태에서 현저하게 두께 방향으로 변형하여 제2 경사부(42)의 경사를 크게 변형시키는 일이 없는 정도의 경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또한, 제2 패드(4)를 구성하는 제2 지지면(41)과 제2 경사부(42)를 다른 경도의 쿠션재로 각각 형성하고, 이들을 조합시켜 제2 패드(4)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2 지지면(41)을 형성하는 쿠션재로서, 제2 경사부(42)를 형성하는 쿠션재 보다도 유연한 쿠션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제2 지지면(41)은 체압 분산성이 우수하고, 제2 지지면(41)에 접하는 사용자(B) 신체를 유연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골반의 돌림 동작 시에는 제2 경사부(42)는 사용자의 골반 주변부(PA)와 접지하는 부분을 너무 가라앉지 못하게 하고, 접지점(G)과 회전 중심(X)의 거리(L)를 짧게 유지하면서, 하반신의 돌림 동작을 촉진한다. 게다가, 제2 지지면(41) 및 제2 경사부(42)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복수의 다른 쿠션재를 조합시켜 각각에 상당하는 부분을 얻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복수의 쿠션재를 적층시켜서 제2 지지면(41)에 상당하는 부분을 얻거나, 제2 경사부(42)에 상당하는 부분 중, 골반 주변부(PA)와 그 외의 부분에서 다른 쿠션재를 조합시켜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패드(4)를 구성하는 제2 지지면(41)과 제2 경사부(42)를 동일한 쿠션재로 형성한 경우에는, 제2 지지면(41)에 슬릿 가공 등을 실시하여 겉보기 경도를 저감시켜, 유연화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제1 및 제2 쿠션재로는, 상술한 경도를 가지며 쿠션성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발포체, 삼차원 망상 구조체 및 면 성형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취급 및 가공의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 수지 발포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발포체로서 구체적으로는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올레핀 또는 발포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쿠션재는 서로 동일한 소재이어도 좋고, 다른 소재이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패드(3)와 제2 패드(4)는 다른 쿠션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제1 패드(3)와 제2 패드(4)는 둘 모두의 배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둘 모두의 인접면에 있어서 면 파스너 등의 결합 수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어도 좋고,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돌아 눕기 보조 패드(2)가 올려 놓이는 매트리스나 깔개, 후술하는 베이스층(6)에 결합 수단이나 접착제 등으로 제1 패드(3)와 제2 패드(4)가 각각 고정되어 있어도 좋고, 이 때, 제1 패드(3)와 제2 패드(4)는 소정의 간극을 가지도록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게다가, 제1 패드(3)와 제2 패드(4)가 동일한 쿠션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패드(3)와 제2 패드(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돌아 눕기 보조 패드(2)는, 제1 패드(3)와 제2 패드(4)로 구성되어 있지만, 소정 두께를 가진 쿠션재로 이루어진 제3 패드를 제1 패드(3)와 제2 패드(4) 사이나 제1 패드(3)의 머리 측, 제2 패드(4)의 다리 측에 적어도 1개 마련하여도 좋다. 주로 사용자(B)의 머리부, 허리부 또는 다리부를 별도 지지하는 제3 패드를 마련하는 것으로써, 사용자(B)의 수면 기분 취향이나 체형 등에 따라, 머리부, 허리부 또는 다리부를 지지하는 쿠션재를 별도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면 기분을 높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제3 패드가 제2 패드(4)의 다리 측에 마련된, 본 실시 형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의 다른 형태의 예를 도 5에 나타낸다. 이 돌아 눕기 보조 패드(2)는, 제2 패드(4)의 다리 측에 마련된 제3 패드가 하지부를 지지하는 바, 제3 패드는 제1 패드(3)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패드(3)가 구비한 제1 지지면(31)과 제1 경사부(32)를 제3 패드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패드(3)와 제3 패드를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사용자가 어떠한 방향으로 누워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B)가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의 위에 반듯하게 누운 자세를 취한다. 이 때, 사용자(B)의 상반신 측이 제1 패드(3)에 지지되며, 하반신 측이 제2 패드(4)에 지지되도록 하고, 제1 패드(3)의 제1 경사부(32)에 대향하도록 사용자(B)의 어깨부(S)를 포함한 어깨 주변부(SA)가 위치하고, 제2 패드(4)의 제2 경사부(42)에 대향하여 사용자(B) 대퇴골의 대전자를 포함한 골반 주변부(PA)가 위치하도록 사용자(B)의 가로눕는 위치를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머리부와 척추를 중심으로 하는 등 부분은 제1 지지면(3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하반신의 천추를 중심으로 하는 엉덩이부 부분은 제2 지지면(32)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굴곡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를 하는 경우, 도 6(b) 내지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B)가 돌아 눕기 방향으로 상반신를 돌리려고 하면, 어깨 주변부(SA)가 제1 경사부(32)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B)가 돌아 눕기 동작 할 때에, 돌아 눕기 방향에 있는 사용자의 어깨 주변부(SA)와 제1 경사부(32)의 접지점(G)과 사용자의 신체 축(X)의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상반신의 돌림에 필요한 힘이 작아지게 되어 상반신의 돌림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도 6(c) 내지 도 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반신의 돌림 동작에 연동하여 하반신 측의 돌림 동작이 행해진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는, 제1 지지면(31)의 폭(W1) 보다도 제2 지지면(41)의 폭(W2)이 좁기 때문에, 하반신 측의 제2 패드(4)의 제2 경사부(42) 쪽이,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의 폭 방향 중앙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어, 빠른 타이밍으로 골반의 돌림이 낮은 토크에서 시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B)의 상반신 측의 돌림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이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의 제2 경사부(42)에 접지된 골반의 돌림 동작의 움직임이 시작되어, 제2 경사부(42) 위에서의 돌림 동작이 진행된다. 이에 따라, 상반신의 돌림 동작과 하반신 측의 돌림 동작이 연동하기 때문에, 자력으로 돌아 눕기가 용이해지고 있다. 그리고,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B)가 돌아 눕기 방향으로 골반을 돌리려고 하면, 돌림에서 가장 힘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B) 대퇴골의 대전자를 향하여 골반 주변부(PA)가 제2 경사부(42)에 지지되기 때문에, 돌아 눕기 방향에 있는 사용자의 골반 주변부(PA)와 제2 경사부(42)의 접지점(G)과 사용자의 신체 축(X)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이에 따라, 골반의 돌림에 필요한 힘이 작아지고, 하반신 측의 돌림도 용이하게 되고, 도 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아 눕기가 완료된다. 또한, 신전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의 경우에는, 하반신과 상반신의 연동 순서가 반대로 되지만, 상반신의 돌림에 기여하는 제1 패드(3)의 작용과 하반신의 돌림에 미치는 제2 패드(4)의 작용은, 상기한 굴곡 선회 타입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0)는, 사용자의 상반신 측이 올려 놓이는 제1 패드(30)와, 사용자의 하반신 측이 올려 놓이는 제2 패드(40)로 이루어지고, 제1 패드(30)와 제2 패드(40)가 신장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의 상반신 측이 올려 놓이는 제1 패드(30)는, 그 폭 방향 중앙부에 길이 방향(신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략 평편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지지면(310)과, 그 제1 지지면(310)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바깥 쪽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진 한 쌍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경사부(3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패드(40)는, 그 폭 방향 중앙부에 길이 방향(신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략 평편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지지면(410)과, 그 제2 지지면(410)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바깥 쪽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진 한 쌍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경사부(42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20)에 대하여, 제1 패드(30)와 제2 패드(40)에 따른 각 구성의 관계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20)에 있어서, 제1 패드(30)의 제1 경사부(320)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10)와 제2 패드(40)의 제2 경사부(420)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20)는 대략 동일한 각도로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제1 패드(30)의 제1 지지면(310)의 폭 방향 길이(W10)와 제2 패드(40)의 제2 지지면(410)의 폭 방향 길이(W20)는, 제1 지지면의 폭(W1)이 제2 지지면의 폭(W2) 보다도 넓게(W1>W2)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반신 측의 제1 패드(30) 보다도 하반신 측의 제2 패드(40) 쪽이, 돌아 눕기 보조 패드(20)의 폭 방향 중앙 가까이에 경사부가 위치하도록 되고, 골반을 돌리려고 하면, 돌아 눕기 방향의 골반 주변부가 이 제2 경사부(420)에 신속하게 접지하여 지지되고, 하반신이 낮은 토크로 돌림 개시하는 타이밍이 빠르게 설정된다. 그러므로, 사용자(B)가 굴곡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 동작을 할 때에는, 상반신 측이 돌아간 후의 골반의 돌림 동작의 움직임이 촉진된다. 또한, 신전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 동작을 할 때에는, 골반의 돌림이 원활하게 시작되고, 상반신 측의 돌림으로 연동하기 용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반신의 돌림 동작과 하반신 측의 돌림 동작이 원활하게 연동하는 동시에, 상반신 측과 하반신 측의 돌림 동작의 토크 밸런스가 양호하게 되어, 자력으로 돌아 눕기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20)의 다른 형태의 예를 도 8에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0)에서는, 제1 패드(30)의 제1 지지면(310)의 높이(H10)와 제2 패드(40)의 제2 지지면(410)의 높이(H20)는 대략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H10=H20) 바, 도 8에 나타낸 다른 예에 있어서는, 제1 지지면(310)의 높이(H10)는 제2 지지면(410)의 높이(H20) 보다도 높게(H1>H2)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반신 측의 제1 패드(30)의 제1 지지면(310)과 하반신 측의 제2 패드(40)의 제2 지지면(410) 사이에 추가로 단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 단차를 따라서 사용자(B)의 엉덩이부로부터 요추부에 이르는 부분이 지지되어, 자연스러운 수면 자세가 얻어지기 쉬워지는 동시에, 사용자(B)가 돌아 눕기 동작 할 때에, 상반신 측이 돌아간 후, 이 단차와 제1 패드(30)의 제1 경사부(320)와 제2 패드(40)의 제2 경사부(420) 사이에 형성된 단차의 협동에 의해 골반의 돌림 동작의 움직임이 추가로 촉진된다. 그러므로, 상반신의 돌림 동작과 하반신 측의 돌림 동작이 연동하기 때문에, 자력으로 돌아 눕기가 용이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돌아 눕기 보조 패드(20)를 구성하는 제1 패드(30) 및 제2 패드(40)에 관한 그 외의 설명 및 제3 패드 등의 그 외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제1 패드(3) 및 제2 패드(4) 등과 마찬가지이며, 그 작용 효과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1)는, 사용자의 상반신 측이 올려 놓이는 제1 패드(301)와, 사용자의 하반신 측이 올려 놓이는 제2 패드(401)로 이루어지고, 제1 패드(301)와 제2 패드(401)가 신장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의 상반신 측이 올려 놓이는 제1 패드(301)는, 그 폭 방향 중앙부에 길이 방향(신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략 평편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지지면(311)과, 그 제1 지지면(311)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바깥 쪽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진 한 쌍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경사부(3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패드(401)는 그 폭 방향 중앙부에 길이 방향(신장 방향)으로 연장하여 대략 평편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지지면(411)과, 그 제2 지지면(411)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바깥 쪽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진 한 쌍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경사부(42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21)에 대하여, 제1 패드(301)와 제2 패드(401)에 관한 각 구성의 관계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21)에 있어서, 제1 패드(301)의 제1 경사부(321)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11)와 제2 패드(401)의 제2 경사부(421)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21)는 대략 동일한 각도이며, 제1 패드(301)의 제1 지지면(311)의 폭(W11)과 제2 패드(401)의 제2 지지면(411) 폭(W21)은 대략 동일한 폭 길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패드(301)의 제1 지지면(311)의 높이(H11)와 제2 패드(401)의 제2 지지면(411)의 높이(H21)에 대해서는, 제1 지지면(311)의 높이(H11)는 제2 지지면(411)의 높이(H21) 보다도 높게(H1>H2)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반신 측의 제1 패드(301)의 제1 지지면(311)과 하반신 측의 제2 패드(401)의 제2 지지면(411)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 단차를 따라서 사용자(B)의 엉덩이부로부터 요추부에 이르는 부분이 지지되어 자연스러운 수면 자세를 얻기 쉬워지는 동시에, 사용자(B)가 돌아 눕기 동작 할 때에, 상반신 측이 돌아간 후, 이 단차와, 제1 패드(301)의 제1 경사부(321)와 제2 패드(401)의 제2 경사부(421) 사이에 형성된 단차의 협동에 의해 골반의 돌림 동작의 움직임이 촉진된다. 그러므로, 상반신의 돌림 동작과 하반신 측의 돌림 동작이 연동하기 때문에, 자력으로 돌아 눕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돌아 눕기 보조 패드(21)를 구성하는 제1 패드(301) 및 제2 패드(401)에 관한 그 외의 설명 및 그 외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제1 패드(3) 및 제2 패드(4) 등과 마찬가지이며, 그 작용 효과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2)는, 2개의 제1 패드(302)와, 1개의 제2 패드(402)로 이루어지며, 제1 패드(302), 제2 패드(402), 제1 패드(302)의 순으로 신장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의 상반신 측 또는 다리부가 올려 놓이는 제1 패드(302)는, 그 폭 방향 중앙부에 길이 방향(신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략 평편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지지면(312)과, 그 제1 지지면(312)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바깥 쪽을 향하여 계단 형상으로 내리막 경사진 한 쌍의 단부로 형성되어 있는 제1 경사부(3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허리 엉덩이부가 올려 놓이는 제2 패드(402)는, 그 폭 방향 중앙부에 길이 방향(신장 방향)으로 연장하여 대략 평편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지지면(412)과, 그 제2 지지면(412)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바깥 쪽을 향하여 계단 형상으로 내리막 경사진 한 쌍의 단부로 형성되어 있는 제2 경사부(42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패드(302)의 제1 지지면(312)은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 신체 중, 등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지지면(312)은, 폭 방향 길이(W12)가 39cm, 길이 방향(신장 방향)의 길이가 65cm, 높이(H12)(제1 지지면(312) 부분의 쿠션재의 두께)가 4cm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의 머리부와 척추를 중심으로 하는 등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1 지지면(312)의 폭 방향 길이(W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의 어깨부(S)가 제1 지지면(312)의 바깥 쪽의 제1 경사부(322)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는 관계로부터, 제1 지지면(312)의 폭 방향 길이(W12)는 사용자(B)의 어깨 폭(SW) 이하의 폭, 바람직하게는 어깨 봉우리 폭 이하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패드(302)는, 제2 패드(402)의 길이 방향 단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떠한 방향으로도 돌아 눕기 보조 패드(22)를 사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B) 신체의 머리 및 척추를 중심으로 하는 등과 사용자(B)의 다리부가 제1 패드(302)의 제1 지지면(312)에 지지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패드(302)의 한 쌍의 제1 경사부(322)는, 제1 지지면(312)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마련되어 있어, 돌아 눕기 동작 할 때의 사용자(B)의 어깨 및 상완 전체가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경사부(322)는 1개의 단부로 형성되어 있지만, 2개 이상의 단부로 이루어진 다단 구조이어도 좋고, 각 단부의 폭이나 기울기를 각각 변화시킨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단부의 폭이나 기울기, 단부의 수 등을 조정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제1 경사부(322)의 경사 각도(θ12)를 바람직한 각도로 조정 가능한 동시에, 돌아 눕기 패턴이나 사용자의 체형 등에 따라서 상반신 측의 돌림 용이성을 보다 세밀하게 조정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패드(302)의 제1 경사부(322)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12)란,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을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1 지지면(312)의 단부의 경사 시점과, 제1 경사부(322)를 구성하는 가장 하단의 단부 선단을 가장 짧은 직선으로 연결한 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경사면으로 했을 때의, 이 경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말한다. 경사 각도(θ12)가 커지면, 사용자(B)의 어깨 주변부(SA)의 접지점(G)과 회전 중심(X)의 거리(L)가 짧아지기 때문에, 상반신 측의 돌림에 걸리는 힘이 저감하지만, 그 한편으로 돌림 동작이 너무 용이해지면 반듯이 누운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B) 신체가 불안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면 기분에도 기여하는 반듯이 누운 상태 안정성과 돌아 눕기(돌림) 용이성을 양립시키는 경사 각도(θ1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경사 각도(θ12)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경사부(322)가 계단 형상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40도 미만이 바람직하고, 5~30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10~20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경사부(322)를 구성하는 각 단부의 높이나 폭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경사 각도(θ12)는 단면을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1 지지면(312)의 단부의 경사 시점과, 제1 경사부(322)를 구성하는 가장 하단의 단부 선단을 가장 짧은 직선으로 연결한 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경사면으로 했을 때의, 이 경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2 패드(402)의 제2 지지면(412)은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 신체 중, 허리 엉덩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지지면(412)은 폭 방향 길이(W22)가 27cm, 길이 방향(신장 방향)의 길이가 55cm, 높이(H22)(제2 지지면(412) 부분의 쿠션재의 두께)가 4cm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의 천추를 중심으로 하는 허리 엉덩이부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2 지지면(412)의 폭 방향 길이(W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 대퇴골의 대전자가 제2 지지면(412)의 바깥 쪽의 제2 경사부(422)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2 지지면(412)의 폭 방향 길이(W22)는 사용자(B)의 골반 폭(PW) 이하의 폭으로 형성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패드(402)의 한 쌍의 제2 경사부(422)는 제2 지지면(412)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돌아 눕기 동작 할 때의 사용자(B) 대퇴골의 대전자가 적어도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경사부(422)는 1개의 단부로 형성되어 있지만, 2개 이상의 단부로 이루어진 다단 구조이어도 좋고, 각 단부의 폭이나 기울기를 각각 변화시킨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단부의 폭이나 기울기, 단부의 수 등을 조정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제2 경사부(422)의 경사 각도(θ22)를 바람직한 각도로 조정 가능한 동시에, 돌아 눕기 패턴이나 사용자의 체형 등에 따라서, 하반신 측의 돌림 용이성을 보다 세밀하게 조정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패드(402)의 제2 경사부(422)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22)란,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을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2 지지면(412)의 단부의 경사 시점과, 제2 경사부(422)를 구성하는 가장 하단의 단부 끝단을 가장 짧은 직선으로 연결한 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경사면으로 했을 때의, 이 경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말한다. 경사 각도(θ22)가 커지면, 골반 주변부(PA)의 접지점(G)과 회전 중심(X)의 거리(L)가 짧아지기 때문에, 골반의 돌림 토크가 저감하고, 그 결과로서 하반신의 돌림에 걸리는 힘이 저감하지만, 그 한편으로 골반의 돌림 동작이 너무 용이하게 되면 반듯이 누운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B) 신체가 불안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반듯이 누운 상태 안정성과 돌아 눕기(돌림) 용이성을 양립시키는 경사 각도(θ2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경사 각도(θ22)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경사부(422)가 계단 형상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30도 미만이 바람직하고, 4~20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4~10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경사부(422)를 구성하는 각 단부의 높이나 폭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경사 각도(θ22)는 단면을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2 지지면(412)의 단부의 경사 시점과 제2 경사부(422)를 구성하는 가장 하단의 단부 끝단을 가장 짧은 직선으로 연결한 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경사면으로 했을 때의, 이 경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이다.
또한, 도 11에는 본 실시 형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22)의 다른 형태의 예로서, 제2 경사부(422)의 구성을 변화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1에 나타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2)에는, 제2 경사부(422)의 폭 방향 길이를 짧게 하는 것에 의해, 제2 경사부(422)의 경사 각도(θ22)가 도 10에 나타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2)의 실시 형태에 비해 크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정을 행하는 것으로써, 하반신 측의 돌림 용이성을 보다 높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2)가 얻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22)는, 주로 굴곡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를 촉진시키는 관점으로부터, 제2 패드(402)의 제2 경사부(422)의 경사 각도(θ22) 보다도 제1 패드(302)의 제1 경사부(322)의 경사 각도(θ12) 쪽이 크게(θ1>θ2)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돌아 눕기 동작의 시작이 되는 상반신의 돌림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높이는 동시에 반듯이 누운 자세의 하반신의 안정성을 높여, 골반의 돌림을 완화시켜서 연동시키는 돌아 눕기 동작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 10, 도 11에 나타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2)에 대해서는, 제1 경사부(322)의 경사 각도(θ12)가 10~20도, 제2 경사부(422)의 경사 각도(θ22)가 5~15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22)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면의 폭(W12)이 제2 지지면의 폭(W22) 보다도 넓게(W1>W2)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반신 측의 제1 패드(302) 보다도 허리 엉덩이부 측의 제2 패드(402)의 쪽이, 돌아 눕기 보조 패드(22)의 폭 방향 중앙 가까이에 경사부가 위치하도록 되어, 골반의 돌림 개시 타이밍이 빨라지기 때문에, 상반신의 돌림 동작과 하반신 측의 돌림 동작이, 보다 낮은 토크로 연동하여 자력으로 돌아 눕기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 10, 도 11에 나타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2)에 대해서는, 제1 지지면(312)의 폭(W12)이 39cm, 제2 지지면(412)의 폭(W22)이 27cm로 형성되어 있다 .
본 발명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2)를 구성하는 제1 패드(302) 및 제2 패드(402)는 소정 두께(높이)를 가진 쿠션재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패드(302)를 구성하는 제1 지지면(312)과 제1 경사부(322)는 동일한 쿠션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다른 경도의 쿠션재로 각각 형성하고, 이들을 조합시켜서 제1 패드(302)를 얻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0에는 제1 패드(302)를 구성하는 제1 지지면(312)과 제1 경사부(322)가 동일한 쿠션재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1에는 제1 패드(302)를 구성하는 제1 지지면(312)과 제1 경사부(322)가 다른 쿠션재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제1 지지면(312) 및 제1 경사부(322) 중 어떠한 것에 대해서도 복수의 다른 쿠션재를 조합시켜서 각각에 상당하는 부분을 얻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복수의 쿠션재를 적층시켜서 제1 지지면(312)에 상당하는 부분을 얻거나, 복수의 쿠션재를 계단 형상으로 적층시켜서 제1 경사부(322)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에는 제1 지지면(312)이 복수의 쿠션재를 적층시켜서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2 패드(402)에 대해서도, 제1 패드(302)와 마찬가지로, 제2 지지면(412)과 제2 경사부(422)는 동일한 쿠션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다른 경도의 쿠션재로 각각 형성하고, 이들을 조합시켜서 제2 패드(402)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에는 제2 패드(402)를 구성하는 제2 지지면(412)과 제2 경사부(422)가 동일한 쿠션재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1에는 제2 패드(402)를 구성하는 제2 지지면(412)과 제2 경사부(422)가 다른 쿠션재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제2 지지면(412) 및 제2 경사부(422) 중 어떠한 것에 대해서도 복수의 다른 쿠션재를 조합시켜서 각각에 상당하는 부분을 얻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복수의 쿠션재를 적층시켜서 제2 지지면(412)에 상당하는 부분을 얻거나, 복수의 쿠션재를 계단 형상으로 적층시켜서 제2 경사부(422)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에는 제2 지지면(412)이 복수의 쿠션재를 적층시켜서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 패드(302)와 제2 패드(402)는 돌림 동작의 용이성이나 체압 분산성 등의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서, 동일한 쿠션재로 형성하는 것도, 다른 쿠션재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에는 제1 패드(302)와 제2 패드(402)가 다른 쿠션재에 의해 별개의 몸체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에는 제1 패드(302)와 제2 패드(402)가 동일한 복수의 쿠션재를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2종류의 쿠션재가 상하로 적층되는 것으로써, 일체적으로 돌아 눕기 보조 패드(2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돌아 눕기 보조 패드(22)를 구성하는 제1 패드(302) 및 제2 패드(402)에 관한 그 외의 설명 및 제3 패드 등의 그 외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제1 패드(3) 및 제2 패드(4) 등과 마찬가지이며, 그 작용 효과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3)는, 2개의 제1 패드(303)와, 1개의 제2 패드(403)로 이루어지며, 제1 패드(303), 제2 패드(403), 제1 패드(303)의 순으로 신장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의 상반신 측 및 다리부가 올려 놓이는 제1 패드(303)는, 그 폭 방향 중앙부에 길이 방향(신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략 평편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지지면(31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허리 엉덩이부가 올려 놓이는 제2 패드(403)는, 그 폭 방향 중앙부에 길이 방향(신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략 평편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지지면(413)과, 그 제2 지지면(413)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바깥 쪽을 향하여 계단 형상으로 내리막 경사진 한 쌍의 단부로 형성되어 있는 제2 경사부(4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는 제1 패드(303)는 2개의 구비되어 있지만, 상반신용의 1개의 제1 패드(303)와 하반신용의 1개의 제2 패드(403)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패드(303)의 제1 지지면(313)은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 신체 중, 등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지지면(313)은 폭 방향 길이(W13)가 39cm, 길이 방향(신장 방향)의 길이가 65cm, 높이(H13)(제1 지지면(313) 부분의 쿠션재의 두께)가 3cm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의 머리 및 척추를 중심으로 하는 등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1 지지면(313)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평편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 신체의 등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그 형상은 평편한 면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제2 패드(403)의 제2 지지면(413)은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 신체 중, 허리 엉덩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지지면(413)은 폭 방향 길이(W23)가 27cm, 길이 방향(신장 방향)의 길이가 55cm, 높이(H23)(제2 지지면(413) 부분의 쿠션재의 두께)가 3cm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의 천추를 중심으로 하는 허리 엉덩이부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2 지지면(413)의 폭 방향 길이(W23)는,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B) 대퇴골의 대전자가 제2 지지면(413)의 바깥 쪽의 제2 경사부(423)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2 지지면(413)의 폭 방향 길이(W23)는 사용자(B)의 골반 폭(PW) 이하의 폭으로 형성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패드(403)의 한 쌍의 제2 경사부(423)는, 제2 지지면(413)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마련되어 있어, 돌아 눕기 동작 할 때의 사용자(B) 대퇴골의 대전자가 적어도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경사부(423)는 1개의 단부로 형성되어 있지만, 2개 이상의 단부로 이루어진 다단 구조로 하여도 좋고, 각 단부의 폭이나 기울기를 각각 변화시킨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단부의 폭이나 기울기, 단부 수 등을 조정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제2 경사부(422)의 경사 각도(θ23)를 바람직한 각도로 조정 가능한 동시에, 돌아 눕기 패턴이나 사용자의 체형 등에 따라서, 하반신 측의 돌림 용이성을 보다 세밀하게 조정 가능하다. 게다가, 제2 경사부(423)는 계단 형상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평면이나 곡면 등의 경사면 형상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패드(403)의 제2 경사부(423)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23)란,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을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2 지지면(413)의 단부의 경사 시점과, 제2 경사부(423)를 구성하는 가장 하단의 단부 끝단을 가장 짧은 직선으로 연결한 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경사면으로 했을 때의, 이 경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이다. 경사 각도(θ23)가 커지면, 골반 주변부(PA)의 접지점(G)과 회전 중심(X)의 거리(L)가 짧아지기 때문에, 골반의 돌림 토크가 저감하고, 그 결과로서 하반신의 돌림에 걸리는 힘이 저감하지만, 그 한편으로 골반의 돌림 동작이 너무 용이하게 되면 반듯이 누운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B) 신체가 불안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반듯이 누운 상태 안정성과 돌아 눕기(돌림) 용이성을 양립시키는 경사 각도(θ23)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경사 각도(θ23)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경사부(423)가 계단 형상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30도 미만이 바람직하고, 5~25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10~20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3)의 사용에 관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B)가 반듯하게 누운 자세에서는, 사용자(B)의 머리부와 척추를 중심으로 하는 등 부분은 제1 패드(303)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하반신의 천추를 중심으로 하는 허리 엉덩이부 부분은 제2 패드의 제2 지지면(413)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반신을 동작의 기점으로 하는 굴곡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를 하는 경우에는, 상반신을 돌린 후에 골반의 돌림이 행해지지만, 이 골반 돌림의 경우에, 돌아 눕기 방향에 있어서 돌림 동작에 가장 힘을 필요로 하는 대퇴골의 대전자 및 그 근방에 있는 엉덩이뼈 등의 골반 주변부(PA)가 제2 경사부(423)에 지지된다. 제2 경사부(423)는 제2 지지면(413)의 단부로부터 내리막 경사져 있기 때문에, 돌아 눕기 방향에 있는 대퇴골의 대전자 등의 골반 주변부(PA)가 제2 경사부에 접지하는 점과 사용자의 신체 축의 거리가 가까워져 골반의 돌림에 필요한 힘이 작아지고, 골반의 돌림으로부터 하지부의 돌림으로 연동하는 하반신 측의 돌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하반신의 돌림에 관한 부하가 저감되기 때문에, 돌아 눕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반신을 동작의 기점으로 하는 신전 선회 타입의 돌아 눕기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하반신 측으로부터 돌림이 시작되는 바, 골반을 돌릴 때에, 돌아 눕기 방향에 있는 대퇴골의 대전자 및 그 근방에 있는 엉덩이뼈 등의 골반 주변부(PA)가 제2 경사부(423)에 지지된다. 제2 경사부(423)는 제2 지지면(413)의 단부로부터 내리막 경사져 있기 때문에, 돌아 눕기 방향에 있는 대퇴골의 대전자 등의 골반 주변부가 제2 경사부(413)에 접지된 점과 사용자의 신체 축의 거리가 가까워져, 골반의 돌림에 필요한 힘이 작아지고, 하반신 측의 돌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3)를 구성하는 제1 패드(303) 및 제2 패드(403)는 소정 두께(높이)를 가진 쿠션재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패드(403)를 구성하는 제2 지지면(413)과 제2 경사부(423)는 동일한 쿠션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다른 경도의 쿠션재로 각각 형성하고, 이들을 조합시켜서 제2 패드(403)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로, 제2 지지면(413) 및 제2 경사부(423) 중 어떠한 것에 대해서도, 복수의 다른 쿠션재를 조합시켜서 각각에 상당하는 부분을 얻는 것도 가능하므로, 예를 들면, 복수의 쿠션재를 적층시켜서 제2 지지면(413)에 상당하는 부분을 얻거나, 복수의 쿠션재를 계단 형상으로 적층시켜서 제2 경사부(423)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패드(303)와 제2 패드(403)는, 돌림 동작의 용이성이나 체압 분산성 등의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서, 동일한 쿠션재로 형성하는 것도, 다른 쿠션재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에는 제1 패드(303)와 제2 패드(403)가 다른 쿠션재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제1 패드(303)와 제2 패드(403)가 동일한 복수의 쿠션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일예로서,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2종류의 시트 형상의 쿠션재가 상하로 적층되는 것에 의해, 돌아 눕기 보조 패드(23)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돌아 눕기 보조 패드(23)를 구성하는 제1 패드(303) 및 제2 패드(403)에 관한 그 외의 설명 및 제3 패드 등의 그 외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제1 패드(3) 및 제2 패드(4) 등 및 제5 실시 형태의 제1 패드(302) 및 제2 패드(402) 등과 마찬가지이며, 그 작용 효과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돌아 눕기 보조 패드(2)가 내장된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1)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1)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의 순으로 베이스층(6), 돌아 눕기 보조 패드(2) 및 단부 블록(7), 상층(5)이 적층되어 개략 구성되어 있다. 돌아 눕기 보조 패드(2)는 베이스층(6)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올려 놓여 있어, 단부 블록(7)은 베이스층(6)의 폭 방향 양단 부분에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베이스층(6)의 길이 방향에 걸쳐 올려 놓여 있다. 베이스층(6), 돌아 눕기 보조 패드(2) 및 단부 블록(7), 상층(5)으로 하는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1)를 구성하는 부재는, 각각의 배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각 구성 부재가 접하는 면에 있어서 결합 수단이나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우선, 베이스층(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1)의 베이스층(6)은 비교적 경질로 사용자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 가능한 쿠션재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베이스층(6)은, 일예로서, 폭 방향 길이가 91cm, 길이 방향의 길이가 195cm, 높이 2cm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층(6)의 쿠션재로는, 그 경도가 제1 패드(31) 및 제2 패드(41)를 구성하는 쿠션재와 동등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층(6)의 쿠션재로는 상술한 경도를 가지며, 쿠션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발포체, 삼차원 망상 구조체 및 면 성형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되며, 취급 및 가공의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 수지 발포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발포체로서, 구체적으로는,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올레핀 또는 발포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1)에 내장된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에 한정되지 않고, 제2~제5 실시 형태를 당연히 포함하는 것 외에, 상술한 모든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단부 블록(7)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부 블록(7)이 마련되는 것으로써, 사용자(B)가 돌아 눕기 할 때에 돌아 눕기 보조 패드(2)로부터 지나치게 돌아서 베이스층(6)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전하게 매트리스 위에서 돌아 눕기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부 블록(7)은, 일예로서, 폭 방향 길이가 10cm, 길이 방향의 길이가 195cm, 높이 3cm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부 블록(7)의 재료를 비교적 경질인 쿠션재로 형성하는 것으로써, 사용자가 단부 블록(7)의 부분에 손을 짚었을 때에 버텨주거나, 단부 블록(7)의 부분에 앉았을 때에 각 패드의 경사부(32, 42)와 단부 블록(7)으로 형성되는 오목부에 엉덩이부가 유지되는 동시에 단부 블록(7)에 대퇴 뒤쪽 부근이 지지되기 때문에, 앉은 상태의 균형을 잡기 쉽고, 끝단 앉은 자세 안정성 및 일어남 안정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단부 블록(7)의 쿠션재로는 JIS K6401 "내하중용 연질 폴리우레탄 폼"에 준거하여 측정된 경도가 180~440N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300N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10~250N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단부 블록(7)의 쿠션재로는 상술한 경도를 가지며, 쿠션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발포체, 삼차원 망상 구조체 및 면 성형체가 적절하게 이용되고, 취급 및 가공의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 수지 발포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발포체로서, 구체적으로는,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올레핀 또는 발포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단부 블록(7)은 베이스층(6)에 올려 놓인 상태로 배치되어 있지만, 단부 블록(7)이 베이스층(6) 위에 올려 놓이지 않고, 베이스층(6)의 길이 방향 단부와 접하는 상태로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베이스층(6)의 윗면 보다도 단부 블록(7)의 윗면이 돌출하고 있을 필요가 있으므로, 단부 블록(7)의 높이(두께)는 적어도 베이스층(6)의 높이 보다도 크게 형성된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단부 블록(7)은 베이스층(6)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있지만, 어느 한쪽의 단부에만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단부 블록(7)은 베이스층(6)의 길이 방향에 걸쳐 마련되어 있지만, 길이 방향의 중앙 주변에만 마련하듯이, 베이스층(6)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로,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1)의 보형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베이스층(6)의 폭 방향의 단부에 단부 블록(7)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층(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층(5)은 상술한 돌아 눕기 보조 패드(2), 단부 블록(7) 및 베이스층(6)의 윗면을 피복하는 층이며, 돌아 눕기 보조 패드(2), 단부 블록(7) 및 베이스층(6) 보다도 유연한 쿠션재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층(5)은, 폭 방향 길이가 91cm, 길이 방향의 길이가 195cm,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의 윗면으로부터의 높이가 6cm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층(5)의 쿠션재로는,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의 작용 효과를 유지하면서, 추가로, 사용자(B)의 수면 기분나 체압 분산성을 높이는 관점으로부터 JIS K6401 "내하중용 연질 폴리우레탄 폼"에 준거하여 측정된 경도가 50~160N인 것이 바람직하고, 70~150N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140N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층(5)의 쿠션재로는, 상기 경도를 가지며, 쿠션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발포체, 삼차원 망상 구조체 및 면 성형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되며, 취급 및 가공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 수지 발포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발포체로서, 구체적으로는,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올레핀 또는 발포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3(b) 및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층(5)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편한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층(5)과 베이스층(6) 사이에는, 단부 블록(7)과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의 제1 경사부(32) 및 제2 경사부(42)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 경사부(32) 및 제2 경사부(42)에 의한 상반신 측과 하반신 측의 각각의 회전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의 상층(5)은 사용자(B)의 어깨 주변부(SA) 또는 골반 주변부(PA)의 돌림 동작을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도록 늘어남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층(5)의 형상 중, 그 하면 측에 대하여 상술한 공간, 즉 베이스층(6)과 단부 블록(7)과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의 제1 경사부(32) 및 제2 경사부(42)로 둘러싸인 공간과 대략 결합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베이스층(6)과 단부 블록(7)과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의 제1 경사부(32) 및 제2 경사부(42)로 둘러싸인 공간 중, 일부의 공간만 남기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공간(베이스층(6)과 단부 블록(7)과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의 제1 경사부(32) 및 제2 경사부(42)로 둘러싸인 공간)에 상층(5)과는 다른 쿠션재를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그 경우에는 상층(5)의 쿠션재와 같은 정도 또는 그 보다도 유연한 쿠션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층(5)의 적층이나, 상기 공간에 배치된 쿠션재에 의해,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의 각 경사부(32, 42)가 피복되고, 각 경사부(32, 42)가 도모하는 작용 효과가 저하하는 경우에는, 제1 패드(3)의 제1 경사부(32)나 제2 패드(4)의 제2 경사부(42)의 각 경사 각도를 크게 설계 조정하면 좋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층(5)은 돌아 눕기 보조 패드(2), 단부 블록(7) 및 베이스층(6)의 윗면을 피복하고 있지만,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의 제1 지지면(31) 및 제2 지지면(41)은 피복되지 않으며, 이러한 지지면은 노출되고, 제1 경사부(32) 및 제2 경사부(42)를 피복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상층(5)은 적어도 2개로 분할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또는, 다른 형태로서, 상층(5)이 제1 지지면(31) 및/또는 제2 지지면(41)만을 피복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1)는, 베이스층(6)의 위에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와, 단부 블록(7)이 적층되고, 추가로 상층(5)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지만, 단부 블록(7) 또는 상층(5)을 생략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단부 블록(7) 및 상층(5)을 생략하고, 베이스층(6)의 위에 돌아 눕기 보조 패드(2)가 적층되는 것만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10)를 도 14에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10)는, 베이스층(60)의 위에 돌아 눕기 보조 패드(2)가 적층되어 개략 구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베이스층(60)은, 제1 패드(3)를 배치하는 제1 베이스부(60a)와, 제2 패드(4)를 배치하는 제2 베이스부(60b)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두께(높이)가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베이스부(60a)가 두껍고(높고), 제2 베이스부(60b)가 얇게(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제1 패드(3)와 제2 패드(4)의 경계에 단차(60c)가 발생하고 있다. 이 단차가 낮은 부분에 배치되는 제2 패드(4)는, 이 단차만큼 제2 패드(4)의 제2 지지면(41)의 윗면까지의 높이가 증가하기 때문에, 제2 경사부(42)의 내리막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사용자(B)의 하반신 측의 돌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단차(60c)가 너무 크면 돌아 누우려 하는 힘이 너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제2 패드(4)의 경사 각도(θ2) 등의 조건에 따라서 단차(60c)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는 베이스층(60)은 제2 패드(4)를 배치하는 제2 베이스부(60b)의 쪽을 제1 베이스부(60a) 보다도 낮은 구조로 하고 있지만, 제1 패드(3)를 배치하는 제1 베이스부(60a)의 쪽을 제2 베이스부(60b) 보다도 낮게 하는 구조로 하고, 경사 각도(θ1) 등의 조건에 따르는 크기의 단차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1 패드(3)의 제1 지지면(31) 및 제2 패드(4)의 제2 지지면(41)의 폭이나 높이를 변화시킨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10)는, 베이스층(60)의 위에 돌아 눕기 보조 패드(2)가 적층된 구성으로만 하고 있지만, 상술한 단부 블록(7) 및/또는 상층(5)이 추가로 적층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어떻게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1.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경사부의 경사 각도와 토크 값의 검토
발명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아 눕기 동작을 회전 운동으로 간주하고, 돌아 눕기 동작에 필요한 힘을 토크(T)로 정량하는 것을 시험하였다. 토크(T)는, 회전원의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F)과 접지점(G)과 회전 중심(X)의 거리(L)의 곱(T=F×L)으로 나타낸다. 그래서, 도 15(a)에 나타낸 인체를 모방한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였다. 이 시뮬레이터는 어깨부 및 가슴부를 모방한 상반신 부분과, 엉덩이부를 모방한 하반신 부분이, 회전축을 구비한 허리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허리부의 회전축은 가만히 둔 하반신 부분에 대하여 회전 각도 40도까지는 상반신 부분만 회전하고, 회전 각도가 40도를 초과하면 상반신부의 회전으로 하반신부의 회전이 연동하도록 구성하였다. 어깨부와 엉덩이부에는 추가 각각 11kg 및 16kg 탑재되고, 회전 중심(X)의 끝단에는 토크 미터(WISRETEC사 제조, 모델 번호 : WRG3-135)가 장착되어 있다. 우선, 이 시뮬레이터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 시뮬레이터를 평편한 면 위에 놓고, 토크 미터의 일단에 래칫 핸들을 연결하고, 회전시켜 토크를 측정한 바, 시뮬레이터의 토크에 의한 돌아 눕기 완료까지의 그래프와 생체 데이터인 근전 전위에 의한 돌아 눕기 완료까지의 그래프는 유사한 형상을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이 시뮬레이터의 유효성을 확인 가능하였기 때문에, 그래서, 이 시뮬레이터를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반듯이 누운 상태를 모방하여, 측정 대상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소정 위치에 놓고, 토크 미터의 일단에 래칫 핸들을 연결하여 회전시켜서 토크를 측정하였다. 시뮬레이터의 상반신 부분 및 하반신 부분이 옆을 향하게 될 때까지, 즉 돌아 눕기가 완료될 때까지의 토크를 측정하는 동시에, 시뮬레이터의 움직임을 검토하였다. 측정 대상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제1 패드(3)의 제1 지지면(31)의 폭(W1)과, 제2 패드(4)의 제2 지지면(41)의 폭(W2)을 각각 25cm로 하고, 제1 패드(3)의 제1 지지면(31)의 높이(H1)(제1 지지면(31) 부분의 쿠션재의 두께)와 제2 패드(4)의 제2 지지면(41)의 높이(H2)(제2 지지면(41) 부분의 쿠션재의 두께)를 각각 3cm로 하여, 제1 경사부(32)와 제2 경사부(42)의 경사 각도 만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제1 경사부(32)의 경사 각도(θ1)와 제2 경사부(42)의 경사 각도(θ2)는 동일한 각도(θ1=θ2)로 하였다. 또한, 제1 경사부(32)와 제2 경사부(42)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경사면으로 형성하였다. 제1 패드(3) 및 제2 패드(4)의 각 경사부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0°(평탄면), 5°, 10° 및 15°로 하였다. 결과를 도 16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도 16에 있어서, 종축은 토크 미터로 측정한 토크(Nm)의 값이며, 횡축은 경과 시간이다. 흰색 원형의 표시는 경사 각도 0°, 삼각형의 표시는 경사 각도 5°, 흰색 사각형의 표시는 경사 각도 10° 및 원형 표시는 경사 각도 15°를 나타낸다. 또한, 그래프 횡축의 하측에 나타낸 일러스트는, 각 시간에 있어서 시뮬레이터의 움직임에 대응시킨 사용자(B)의 돌아 눕기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그래프에 따르면, 시뮬레이터를 돌리는 방향으로 경사 각도를 마련하는 것으로써, 시뮬레이터의 돌림 시(돌아 눕기 시)의 토크의 값이 낮아지는 것이 나타나며, 경사 각도를 10°이상으로 하는 것으로써, 분명한 토크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2]
2.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경사 구조와 토크 값의 검토
상술한 실시예 1에서 이용한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복합 경사 구조)와, 제1 패드와 제2 패드로 형성되지만, 각 지지면의 폭 및 각 경사부의 경사 각도가 각각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돌아 눕기 보조 패드(단순 경사 구조)의 돌아 눕기 동작에 관한 토크를 측정하였다. 또한, 제1 경사부(32)와 제2 경사부(42) 모두 각 경사부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돌아 눕기 보조 패드(2)는, 제1 패드(3)와 제2 패드(4)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지면의 폭 및 각 경사부의 경사 각도(θ)가 각각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다(복합 경사 구조). 비교를 위해, 제1 경사부(32) 및 제2 경사부(42)를 가지지 않은 평편한 돌아 눕기 보조 패드(경사 없음)의 돌아 눕기 동작에 관한 토크도 측정하였다. 또한, 각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구성하는 쿠션재는 모두 동일하고, 토요 퀄리티원(닝보)(東洋佳嘉(寧波)) 스펀지제품 유한공사의 우레탄 폼(품번 M3200)을 이용하였다. 결과를 도 17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제1 지지면 폭
W1
제2 지지면 폭
W2
제1 경사부의
경사 각도 θ1
제2 경사부의
경사 각도 θ2
복합 경사 구조
(제1 실시 형태)
25cm 13cm 15° 10°
단순 경사 구조 25cm 25cm 15° 15°
경사 없음
(비교예)
없음 없음
도 17에 있어서, 종축은 토크 미터로 측정한 토크(Nm)의 값이고, 횡축은 경과 시간이다. 원형의 표시는 복합 경사 구조, 흰색 원형 표시는 단순 경사 구조, 흰색 사각형의 표시는 비교예(경사 없음)를 나타낸다. 또한, 그래프 횡축의 하측에 나타낸 일러스트는, 각 시간에 있어서 시뮬레이터의 움직임에 대응시킨 사용자(B)의 돌아 눕기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그래프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경사면이 없는 비교예의 평편한 돌아 눕기 보조 패드에 비해, 돌아 눕기 동작에 있어서 토크의 최대 값이 크게 저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상반신의 돌림 동작과 하반신의 돌림 동작을 개별적으로 조정하여 연동시키는 구조(복합 경사 구조)로 하는 것, 즉, 제1 지지면의 폭(W1)>제2 지지면의 폭(W2), 제1 경사부의 경사 각도(θ1)>제2 경사부의 경사 각도(θ2)로 하는 것으로써, 상반신 측의 돌림뿐만 아니라 하반신 측의 돌림에 이르기까지, 돌아 눕기 동작에 있어서 토크의 값이 보다 크게 전체적으로 저감하는 것으로 나타나, 돌아 눕기가 용이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3]
3. 본 발명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평가
이하 표 2 및 도 18(a)~(e)에 나타낸 사양으로 5종류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 3a~3e를 각각 제작하고, 돌아 눕기 보조 패드로서 사용했을 때의 돌아 눕기 용이성 및 수면 기분에 관한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여기에서, 도 18(a)에 나타낸 실시예 3a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상기 실시예 2에 있어서 시험된 복합 경사 구조(제1 실시 형태)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이고, 도 18(b)에 나타낸 실시예 3b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상기 실시예 2에 있어서 시험된 단순 경사 구조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와 동일한 것이다. 또한, 도 18(c)에 나타낸 실시예 3c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제3 실시 형태로서 상술된 돌아 눕기 보조 패드(21)에, 도 18(d)에 나타낸 실시예 3d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제4 실시 형태로서 상술한 돌아 눕기 보조 패드(22)에, 도 18(e)에 나타낸 실시예 3e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제5 실시 형태로서 상술한 돌아 눕기 보조 패드(23)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3a~3e의 각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구성하는 쿠션재는 모두 동일하고, 토요 퀄리티원(닝보) 스펀지제품 유한공사의 우레탄 폼(품번 M3200)을 이용하였다.
제작한 패드를 바닥면에 놓고, 이하 표 3에 나타낸 40~50대의 5명의 남성을 피험자로 하여 이하 항목에 대한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방법 및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돌아 눕기성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폭 방향의 중심에 척추 위치를 맞추고, 피험자의 상반신 측이 제1 패드에 지지되며, 하반신 측이 제2 패드에 지지된 반듯이 누운 상태(위를 향해)의 상태로부터, 굴곡 선회 동작(머리부의 돌림 → 상반신의 돌림 → 골반의 돌림 → 하지부의 돌림 동작)으로 돌아 눕기를 하고, 돌아 눕기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 있어서 비교예로서 이용한 경사부가 없는 평편한 패드(후술하는 비교예 1과 동일)의 돌아 눕기 용이성을 기준으로 하여, 이 평편한 패드와 비교하여, 매우 돌아 눕기 쉬운 경우를 "◎", 돌아 눕기 쉬운 경우를 "○", 약간 돌아 눕기 쉬운 경우를 "△", 같은 정도의 경우를 "×"로 피험자 마다 평가하였다. 피험자 5명의 평가 중, 가장 많은 수의 평가를 돌아 눕기성의 평가 결과로 하였다. 또한, 가장 많은 수의 평가가 복수인 경우에는, 우수한 쪽의 평가를 평가 결과로 하였다. 마찬가지로, 신장 선회 동작(하지부의 돌림 → 하지부의 돌림과 동시 또는 그 후의 골반의 돌림 → 상반신의 돌림 → 머리부의 돌림 동작)에서의 돌아 눕기도 행하고, 돌아 눕기 용이성의 평가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2) 수면 기분(寢心地)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폭 방향의 중심에 척추 위치를 맞추고, 피험자의 상반신 측이 제1 패드에 지지되고, 하반신 측이 제2 패드에 지지된 반듯이 누운 상태(위를 향해)로 누운 상태에 있어서 수면 자세의 안정성에 대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수면 자세가 안정되어 있는 경우를 "○", 약간 불안정한 경우를 "△", 불안정한 경우를 "×"로 피험자 마다 평가하였다. 피험자 5명의 평가 중, 가장 많은 수의 평가를 수면 기분의 평가 결과로 하였다. 또한, 가장 많은 수의 평가가 복수인 경우에는, 우수한 쪽의 평가를 평가 결과로 하였다.
본 실시 형태의 돌아 눕기 패드 3a~3e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3a 실시예 3b 실시예 3c 실시예 3d 실시예 3e
도 18(a) 도 18(b) 도 18(c) 도 18(d) 도 18(e)
구성 제1 패드 경사부의 형상 경사면
형상
경사면
형상
경사면
형상
계단 형상 경사부
없음
경사 각도 θ1[deg] 15 15 15 20 -
지지면 폭 W1[cm] 25 25 25 39 39
지지면 높이 H1[cm] 3 3 3 4 4
제2 패드 경사부의 형상 경사면
형상
경사면
형상
경사면
형상
계단 형상 계단 형상
경사 각도 θ2[deg] 10 15 15 10 18
지지면 폭 W2[cm] 13 25 25 27 27
지지면 높이 H2[cm] 3 3 2 4 4
제1 패드 지지면 폭 W1과 제2 패드 지지면 폭 W2의
관계
W1>W2 W1=W2 W1=W2 W1>W2 W1>W2
제1 패드 경사부 각도 θ1과 제2 패드 경사부 각도 θ2의 관계 θ1>θ2 θ1=θ2 θ1=θ2 θ1>θ2 -
제1 패드 지지면 높이 H1과 제2 패드 지지면 높이 H2의 관계 H1=H2 H1=H2 H1>H2 H1=H2 H1=H2
평가 돌아 눕기성 굴곡 선회
신전 선회
수면 기분
시험자 연령대 성별 신장[cm] 체중[kg] BMI
A 50대 남성 174 65 21.5
B 50대 남성 173 67 22.4
C 50대 남성 168 72 25.5
D 50대 남성 170 65 22.5
E 40대 남성 172 63 21.3
실시예 3의 평가 결과에 의해,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안정된 수면 기분을 유지하면서, 돌아 눕기성이 향상하는 것이 분명하였다. 또한, 실시예 3a와 실시예 3d의 평가 결과에 의해, 경사부의 형태가 경사면 형상 또는 계단 형상의 모든 경우에도 돌아 눕기성이 향상되고, 수면 기분의 안정감도 차이가 없는 것이 분명하였다. 또한, 실시예 3b 및 실시예 3a, 3c 및 3d의 비교로부터, 제1 패드의 경사 각도(θ1)>제2 패드의 경사 각도(θ2)이지만, 제1 패드의 지지면 높이(H1)>제2 패드의 지지면 높이(H2)인 것으로써, 돌아 눕기성이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4. 기타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평가
이하 표 4 및 도 19(a)~(d)에 나타낸 사양으로, 4종류의 비교예 1~4의 패드를 각각 제작하고, 돌아 눕기 보조 패드로서 사용했을 때의 돌아 눕기 용이성 및 수면 기분에 관한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5명의 피험자 및 시험 방법 및 평가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여기에서, 도 19(a)에 나타낸 비교예 1의 패드는 상기 실시예 2에 있어서 비교예로서 이용한 경사부 없는 평편한 패드와 동일한 것이며, 종래 제품의 평편한 매트리스이다. 도 19(b)에 나타낸 비교예 2의 패드는, 제1 패드(3)는 경사부를 가지지만, 제2 패드는 경사부를 가지지 않은 평편한 패드이며, 제2 패드의 폭 길이는 골반의 폭을 초과하는 길이의 것이다. 또한, 도 19(c) 및 도 19(d)에 나타낸 비교예 3, 4의 패드는 모두 경사부를 전부 가지지 않은 것이다. 또한, 비교예 1~4의 각 패드를 구성하는 쿠션재는 모두 동일하고, 토요 퀄리티원(닝보) 스펀지제품 유한 공사의 우레탄 폼(품번 M3200)을 이용하였다. 비교예 1~4의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도 19(a) 도 19(b) 도 19(c) 도 19(d)
구성 제1 패드 경사부의 형상 경사부 없음 경사면 형상 경사부 없음 경사부 없음
경사 각도 θ1[deg] - 15 - -
지지면 폭 W1[cm] 93 25 25 25
지지면 높이 H1[cm] 3 3 3 3
제2 패드 경사부의 형상 경사부 없음 경사부 없음 경사부 없음 경사부 없음
경사 각도 θ2[deg] - - - -
지지면 폭 W2[cm] 93 50 25 13
지지면 높이 H2[cm] 3 3 3 3
제1 패드 지지면 폭 W1과 제2 패드 지지면 폭 W2의
관계
W1=W2 W1<W2 W1=W2 W1>W2
제1 패드 경사부 각도 θ1과 제2 패드 경사부 각도 θ2의
관계
- - - -
제1 패드 지지면 높이 H1과 제2 패드 지지면 높이 H2의
관계
H1=H2 H1=H2 H1=H2 H1=H2
평가 돌아 눕기성 굴곡 선회 × ×
신전 선회 × ×
수면 기분 × ×
실시예 3 및 비교예 1~4의 평가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으로써, 안정된 수면 기분을 유지하면서, 돌아 눕기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3과 비교예 2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상반신 측의 회전 동작에 작용하는 제1 패드에 경사부가 있어도, 하반신 측의 회전 동작에 작용하는 제2 패드에 경사부가 없으면, 돌아 눕기성이 저하하는 것이 분명하였다. 또한, 비교예 3이나 비교예 4와 같이, 경사부를 가지지 않은 패드는, 각 패드의 지지면의 단부 근방 및 단부로부터 바깥쪽에 있어서 신체의 유지 안정성이 저하하고, 수면 기분이 나빠지는 것이 분명하였다.
[실시예 4]
5. 본 발명에 따른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의 평가
이하 표 5 및 도 20(a)~(c)에 나타낸 사양으로, 3종류의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 4a~4c를 각각 제작하고, 제작한 매트리스를 바닥면에 놓고,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로서 사용했을 때의 돌아 눕기 용이성 및 수면 기분에 관한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5명의 피험자 및 시험 방법 및 평가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도 20(a)에 나타낸 실시예 4a의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는 상기 실시예 3a로서 제작된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이용한 것이고, 도 20(b)에 나타낸 실시예 4b의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는 상기 실시예 3d로서 제작된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이용한 것이고, 도 20(c)에 나타낸 실시예 4c의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는 상기 실시예 3e로서 제작된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이용한 것이다. 모든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도, 하측으로부터 상측의 순으로 베이스층(6), 각 돌아 눕기 보조 패드 및 단부 블록(7), 상층(5)을 적층하는 것으로써 제작하고, 돌아 눕기 보조 패드(2)는베이스층(6)의 폭 방향 중앙 부분에 올려놓고, 단부 블록(7)은 베이스층(6)의 폭 방향의 양단 부분에 돌아 눕기 보조 패드(2)와 소정의 간격을 두어 베이스층(6)의 길이 방향에 걸쳐 올려놓아 제작하였다. 상층(5)을 구성하는 쿠션재로는, 크기가 폭 91cm, 신장 방향의 길이 185cm, 두께 7cm의 우레탄 폼(품번 MF-20, 이노악(イノアック) 코퍼레이션사 제품)을 이용하고, 베이스층(6)을 구성하는 쿠션재로는, 크기가 폭 91cm, 신장 방향의 길이 185cm, 두께 2cm의 우레탄 폼(품번 MF-50, 이노 악 코퍼레이션사 제품)을 이용하였다. 또한, 단부 블록(7)을 구성하는 쿠션재로는, 실시예 4a에 대해서는 크기가 폭 10cm, 신장 방향의 길이 185cm, 두께 3cm의 우레탄 폼(품번 MF-55, 이노악 코퍼레이션사 제품)을 이용하고, 실시예 4b 및 4c에 대해서는 크기가 폭 10cm, 신장 방향의 길이 185cm, 두께 4cm의 우레탄 폼(품번 MF-55, 이노악 코퍼레이션사 제품)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4a~4c의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4a 실시예 4b 실시예 4c
도 20(a) 도 20(b) 도 20(c)
구성 돌아 눕기 보조 패드 실시예 3a 실시예 3d 실시예 3e
평가 돌아 눕기성 굴곡 선회
신전 선회
수면 기분
실시예 4a~4c의 평가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적용한 매트리스는, 안정된 수면 기분을 구비한 동시에 돌아 눕기성도 우수한 것이 분명하였다. 이와 같이, 돌아 눕기 보조 패드 위에, 비교적 두꺼운 상층(5)이 적층된 경우에 있어서도, 돌아 눕기성 향상에 관한 효과를 잃어버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한 형태도 기술적 범위에 포함하는 것이다.
1, 10 :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
2, 20, 21, 22, 23 : 돌아 눕기 보조 패드
3, 30, 301, 302, 303 : 제1 패드
31, 310, 311, 312, 313 : 제1 지지면
32, 320, 321, 322 : 제1 경사부
4, 40, 401, 402, 403, 4' : 제2 패드
41, 410, 411, 412, 413 : 제2 지지면
42, 420, 421, 422, 423 : 제2 경사부
5 : 상층
6, 60 : 베이스층
60a : 제1 베이스부
60b : 제2 베이스부
60c : 단차
7 : 단부 블록
W1, W10, W11, W12, W13 : 제1 지지면의 폭
W2, W20, W21, W22, W23 : 제2 지지면의 폭
H1, H10, H11, H12, H13 : 제1 지지면의 높이
H2, H20, H21, H22, H23 : 제2 지지면의 높이
θ1, θ10, θ11, θ12 : 제1 경사부의 경사 각도
θ2, θ20, θ21, θ22, θ23 : 제2 경사부의 경사 각도
B : 사용자
S : 사용자의 어깨
SW : 어깨 폭
SA : 어깨 주변부
P : 사용자 골반의 상전장골극
PW : 골반의 폭
PA : 골반 주변부
F : 회전원의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L : 접지점과 회전 중심의 거리
G : 접지점
X : 회전 중심(신체 축)

Claims (15)

  1. 매트리스, 요 또는 깔개 위에 올려놓아 사용되는 돌아 눕기 보조 패드에 있어서,
    상기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신장 방향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상반신 측이 올려 놓이는 제1 패드와, 사용자의 하반신 측의 허리 엉덩이부가 적어도 올려 놓이는 제2 패드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제1 패드는 소정 두께의 쿠션재로 형성되어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 등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패드는 소정 두께의 쿠션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패드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사용자의 골반의 폭 보다도 좁은 폭으로 형성된 제2 지지면이 마련되며,
    상기 제2 패드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2 지지면의 단부로부터 바깥 쪽을 향하여 경사면 형상 또는 계단 형상으로 내리막 경사진 한 쌍의 제2 경사부가 상기 제2 지지면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면은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의 허리 엉덩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2 경사부는 돌아 눕기 동작 할 때의 사용자 대퇴골의 대전자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아 눕기 보조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사용자의 어깨 폭 이하의 폭으로 형성된 제1 지지면이 마련되고,
    상기 제1 패드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 지지면의 단부로부터 바깥 쪽을 향하여 경사면 형상 또는 계단 형상으로 내리막 경사진 한 쌍의 제1 경사부가 상기 제1 지지면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지면은 반듯이 누운 자세의 사용자 등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경사부는 돌아 눕기 동작할 때의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아 눕기 보조 패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1)와 상기 제2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2)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아 눕기 보조 패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2) 보다도 상기 제1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1)가 큰(θ1>θ2)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아 눕기 보조 패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면의 폭(W1)은 상기 제2 지지면의 폭(W2) 보다도 넓은(W1>W2)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아 눕기 보조 패드.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면의 높이(H1)는 상기 제2 지지면의 높이(H2) 보다도 높은(H1>H2)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아 눕기 보조 패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면의 폭(W1)은 제2 지지면의 폭(W2) 보다도 넓고(W1>W2),
    상기 제1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1)와 상기 제2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2)는 대략 동일한(θ1=θ2)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아 눕기 보조 패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면의 높이(H1)는 상기 제2 지지면의 높이(H2) 보다도 높은(H1>H2)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아 눕기 보조 패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면의 폭(W1)과 상기 제2 지지면의 폭(W2)은 대략 동일하고(W1=W2),
    상기 제1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1)와 상기 제2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2)가 대략 동일하고(θ1=θ2),
    상기 제1 지지면의 높이(H1)는 상기 제2 지지면의 높이(H2) 보다도 높은(H1>H2)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아 눕기 보조 패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 사이에 소정 두께를 가진 쿠션재로 이루어진 제3 패드가 적어도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아 눕기 보조 패드.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드의 다리 측에 소정 두께를 가진 쿠션재로 이루어진 제3 패드가 배치되고, 상기 제3 패드는 제1 패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아 눕기 보조 패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돌아 눕기 보조 패드를 구비한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돌아 눕기 보조 패드는 쿠션재로 형성된 베이스층의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가 베이스층 위에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폭이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제2 패드의 폭 보다도 넓고,
    상기 베이스층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 쪽에는 높이 방향으로 돌출한 단부 블록이 상기 베이스층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아 눕기 보조 패드의 위에, 쿠션재로 형성된 상층이 적어도 한 층 이상 적층되어 있고,
    상기 상층을 구성하는 쿠션재의 경도는 상기 제1 패드를 구성하는 쿠션재의 경도 보다도 낮은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
KR1020217004854A 2020-03-02 2021-02-08 돌아 눕기 보조 패드 및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 KR202201463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34582 2020-03-02
JP2020034582 2020-03-02
JP2020149249 2020-09-04
JPJP-P-2020-149249 2020-09-04
PCT/JP2021/004551 WO2021176956A1 (ja) 2020-03-02 2021-02-08 寝返り補助パッド及び寝返り補助マットレ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309A true KR20220146309A (ko) 2022-11-01

Family

ID=7761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854A KR20220146309A (ko) 2020-03-02 2021-02-08 돌아 눕기 보조 패드 및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1176956A1 (ko)
KR (1) KR20220146309A (ko)
CN (1) CN115666329A (ko)
TW (1) TW202139952A (ko)
WO (1) WO20211769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0823B (zh) * 2021-11-24 2023-02-28 韦波 一种重症患者的辅助翻身装置
CN115337154B (zh) * 2022-09-07 2023-09-22 衡阳市中心医院 一种防压疮让位式侧翻身辅助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7712A (ja) 2016-10-07 2018-04-12 株式会社タイカ マットレス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2847B2 (ja) * 1995-11-30 1999-09-27 和彦 中川 健康クッション
JP2003024185A (ja) * 2001-07-17 2003-01-28 Masazumi Ishida 寝返り補助手段を有する床擦れ予防マットレス
JP2003325591A (ja) * 2002-05-08 2003-11-18 Paramount Bed Co Ltd 褥瘡予防用オーバーレイマットレ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7712A (ja) 2016-10-07 2018-04-12 株式会社タイカ マットレ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66329A (zh) 2023-01-31
WO2021176956A1 (ja) 2021-09-10
JPWO2021176956A1 (ko) 2021-09-10
TW202139952A (zh)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7303B2 (en) Therapeutic pillow
EP2559358B1 (en) Lumbar support seat
US20200375382A1 (en) Pillow for healthy ergonomic positioning of the neck and spine
US20080184491A1 (en) Pressure relieving body support apparatus
KR20220146309A (ko) 돌아 눕기 보조 패드 및 돌아 눕기 보조 매트리스
CN103249333B (zh) 枕头
CN111065297A (zh) 缓解颈痛的头枕垫子组
EP3386349B1 (en) Efficient mattress having low pressure and alignment
JP6535229B2 (ja) 仰側臥位対応ベッド
US11369532B2 (en) Adjustable anatomical support and seat cushion apparatus for wheelchairs
KR20060102600A (ko) 종합 베개
JP6231865B2 (ja) マットレス
US20030014818A1 (en) Orthopedic body segment support
CN205625452U (zh) 矫形枕
JP4517241B2 (ja) 仰側臥対応三層構造マットレス
KR101093555B1 (ko) 앉은 자세 교정기구
JP2018175673A (ja) 屈曲可能なマットレス
CN209269132U (zh) 人体工学床垫
DK2015656T3 (en) Foam mattress with seat
JP2022500176A (ja) 多層式睡眠システム
JP2015043825A (ja) 腰枕の製造方法及び腰枕
JP2022067342A (ja) 寝返り補助パッド及び寝返り補助マットレス
KR200471522Y1 (ko)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
US20220226174A1 (en) Adjustable anatomical support and seat cusion apparatus for wheeling chairs
WO2020201805A2 (en) An adjustable wheelchair seat cush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