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522Y1 -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 - Google Patents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522Y1
KR200471522Y1 KR2020130008333U KR20130008333U KR200471522Y1 KR 200471522 Y1 KR200471522 Y1 KR 200471522Y1 KR 2020130008333 U KR2020130008333 U KR 2020130008333U KR 20130008333 U KR20130008333 U KR 20130008333U KR 200471522 Y1 KR200471522 Y1 KR 200471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ervical
spine
user
thorac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효주
Original Assignee
장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효주 filed Critical 장효주
Priority to KR2020130008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5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5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는, 사용자의 경추가 C형 커브를 이루도록,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상기 경추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경추지지부보다 낮게 제작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안착부; 상기 경추지지부의 타측으로부터 사용자의 척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사용자의 경추와 흉추 중 지면과 이격되는 부위를 지지하는 연장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를 이용하면, 머리보다 경추를 높게 지지하여 경추를 C형 커브로 유지할 수 있고, 경추와 인접한 일부 흉추까지 지지함으로써 해당 부위의 척추 후방 인대에 스트레스가 인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좌우측 견갑골 사이만을 지지함으로써 좌우측 견갑골이 앞으로 모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 {Pillow for supporting cervical and thoracic vertebrae}
본 고안은 경추와 흉추 사이가 꺾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추뿐만 아니라 경추에 인접한 일부 흉추까지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견갑골 사이만을 지지함으로써 견갑골이 모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수면은 매일 반복되어 생명이 지속하는 동안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고, 특히, 신체의 성장과 재생, 생체적 회복, 면역력 강화 및 재충전 등 생명과 건강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수많은 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고려해 보면, 수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않다. 이와 같은 수면의 중요성이 인식됨에 따라 숙면을 취하기 위한 수면 환경이 연구되고 있는바, 이상적인 수면 환경 중에서 침구류, 특히, 베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이하, 인체의 외관상 수면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 부위를 일반적 관점으로 살펴보면, 머리는 크고 무거우며 그에 비해 목은 가늘고 짧고, 가슴부위는 옆으로 견관절을 통하여 좌우 상지가 위치하여 넓으며, 허리는 일반적으로 가늘지만 비만 상태가 되면 굵어진다. 또한, 둔부는 뒤로 튀어나왔으며 옆으로는 양쪽 하지가 위치하여 넓고 고관절 부위가 가장 넓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면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인체의 부위를 그 골격을 기준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체는 척추를 중심 골격으로 하여 7개의 경추, 12개의 흉추, 5개의 요추 및 천골과 미골로 이어지며, 위로는 두개골이 위치하고 가슴부위는 등 쪽의 흉추와 늑골이 관절을 이룬다. 또한, 타원형으로 구부러진 양쪽 늑골은 가슴부위 앞쪽에 위치한 흉골의 양쪽과 각각 관절을 이루며, 이 흉골의 최상부에서 좌우로 쇄골이 관절을 이룬다. 이 쇄골과 견갑골의 견봉이 관절을 이루고, 이 견갑골은 늑골의 등 쪽, 늑골의 2번에서 7번 사이에 위치하며 늑골을 따라 근육으로 이어져 전진 혹은 후퇴 및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 견갑골과 쇄골이 관절을 이루는 아랫부분에 관절와가 위치하며 이 관절와는 상완골두과 관절을 이룬다.
이때, 옛날의 전통 베개들은 사용자의 머리만을 받치도록 구성되므로, 전통 베개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목이 앞으로 꺾이는 현상 즉, 경추가 일자 또는 역'C'자 형을 이루도록 변형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어, 목디스크가 유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 들어서는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 지지용 베개가 다양한 구조로 제안되고 있다. 상기 경추 지지용 베개는 사용자의 머리만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경추 부위를 보다 높게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경추가 'C'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목디스크 발생률을 줄이는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경추 지지용 베개는, 사용자의 경추 부위만을 지지하므로 경추와 흉추의 연결 부위가 지면과 이격됨으로 인해, 경추와 흉추가 연결되는 부위의 척추 후방 인대에 스트레스가 인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사용자의 등판까지 지지하도록 넓게 제작되는 베개도 제안된바 있으나, 사용자의 등판 전체를 지지하는 경우 견갑골이 앞으로 모아지게 되어 어깨 및 승모근에 긴장이 유발된다는 단점이 발생된다.
KR 10-0685801 B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머리보다 경추를 높게 지지하여 경추의 변형을 방지하되, 경추와 흉추가 연결되는 부위까지 지지함으로써 해당 부위의 척추 후방 인대에 스트레스가 인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좌우측 견갑골 사이만을 지지함으로써 좌우측 견갑골이 앞으로 모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는, 사용자의 경추가 C형 커브를 이루도록,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상기 경추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경추지지부보다 낮게 제작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안착부; 상기 경추지지부의 타측으로부터 사용자의 척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사용자의 경추와 흉추 중 지면과 이격되는 부위를 지지하는 연장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장지지부는, 경추가 상기 경추지지부에 안착되도록 하늘을 보고 누운 사용자의 흉추 중 지면과 이격되는 흉추를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제작된다.
상기 연장지지부는, 사용자의 좌우측 견갑골 사이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 견갑골 사이에 위치하는 흉추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장지지부는 연장방향 끝단으로 갈수록 높이는 점진적으로 낮아지고 폭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최대 높이가 상기 경추지지부 높이의 1/2 이하로 설정된다.
상기 머리안착부와 상기 경추지지부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지지부는 폭이 상기 경추지지부 폭의 1/3 이하로 제작되어 상기 경추지지부의 가운데 부위에 마련된다.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를 이용하면, 머리보다 경추를 높게 지지하여 경추를 C형 커브로 유지할 수 있고, 경추와 인접한 일부 흉추까지 지지함으로써 해당 부위의 척추 후방 인대에 스트레스가 인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좌우측 견갑골 사이만을 지지함으로써 좌우측 견갑골이 앞으로 모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포함되는 연장지지부가 사용자의 흉추를 지지하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를 옆으로 베었을 때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의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는, 일반 경추용 베개와 같이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200)와,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안착부(100)를 기본 구조로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사용자가 하늘을 보는 방향으로 똑바로 누웠을 때 경추가 C형 커브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경추지지부(200)가 머리안착부(100)보다 높게 제작되며, 상기 경추지지부(200)의 상면은 경추의 형상에 맞추어 곡면으로 제작된다. 또한, 머리안착부(100)의 가운데 부위에는 사용자의 뒷머리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의 안착홈(1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경추가 C형 커브를 유지할 수 있도록 머리안착부(100)보다 경추지지부(200)가 높게 제작된 베게는 종래의 경추용 베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200)는 상당히 높게 제작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경추지지부(200)에 자신의 경추를 안착시켰을 때 경추와 흉추가 연결되는 부위 즉, 경추 중 흉추 측에 가까운 일부의 경추와, 흉추 중 경추 측에 가까운 일부의 흉추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해당 부위가 전방으로 꺾이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머리와 경추 일부만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경추와 흉추가 연결되는 부위(더 명확하게는 경추와 흉추 중 상기 경추지지부(200)에 의해 지지되지 아니하고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부위)까지 지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척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지지부(300)를 추가로 구비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는, 경추지지부(200) 중 머리안착부(100)가 구비된 측의 반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머리안착부(100)와 경추지지부(200)를 베고 누운 사용자의 경추와 흉추 중 지지되지 아니하고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부위를 지지하는 연장지지부(300)가 추가로 구비된다는 점에 있어, 종래의 경추용 베개와 구성상의 가장 큰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연장지지부(300)가 추가로 구비되면 사용자가 하늘을 보는 방향으로 똑바로 누워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를 베었을 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지지부(300)가 사용자의 경추와 흉추 연결부위를 지지하므로, 경추와 흉추가 전체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는 장점 즉, 사용자의 경추 및 흉추가 전방으로 굽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의 경추용 베개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경추는 C형 커브를 유지하도록 안정적으로 지지되지만, 경추와 흉추가 연결되는 부위는 지면으로부터 떠 있게 되어 전방으로 굽혀지게 되고, 이에 따라 경추 및 흉추의 후방 인대에 스트레스가 가해지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를 이용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뒷머리와 경추, 흉추가 모두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경추 및 흉추의 후방 인대에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경추용 베개를 베고 누웠을 때 흉추 전체가 지면으로부터 뜨는 것이 아니라 경추와 인접한 흉추(일반적으로 1번 흉추부터 5번 흉추)가 지면으로부터 뜨고 7번 흉추나 8번 흉추와 같이 가운데 위치하는 흉추는 지면에 안착되는바, 상기 연장지지부(300)는 경추와 인접한 몇 개의 흉추만을 지지하고 지면에 안착되는 흉추는 지지하지 아니하도록, 연장방향 끝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형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척추의 좌우측에는 척추를 바로 세우기 위한 직립근이 위치되는데, 일반적으로 경추 부위의 직립근보다 흉추 부위의 직립근이 더욱 크게 발달하여 있으므로, 상기 연장지지부(300)가 과도하게 넓게 제작되면 흉추 좌우의 직립근을 지지할 뿐 흉추를 직접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지지부(300)는 경추지지부(200)와 연결된 부위는 비교적 넓게 제작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람의 척추는 경추와 흉추가 연결되는 부위에서 급격하게 뒤로 휘어지는 모습을 가지므로, 상기 연장지지부(300)가 과도하게 높게 제작되면 사용자의 흉추가 상기 연장지지부(300)에 안착되었을 때 과도하게 뒤로 젖혀지거나, 흉추와 인접한 측의 경추 즉, 6번 경추 및 7번 경추가 경추지지부(200)에 안착되지 못하고 떠 있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지지부(300)는 경추지지부(200)와 연결된 부위 즉, 가장 높은 부위가 상기 경추지지부(200)보다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하늘을 보고 바닥에 누웠을 때 1번 흉추의 높이는 경추의 최대 높이의 1/2 이하인 것이 정상이므로, 상기 연장지지부(300) 중 경추지지부(200)와 연결된 지점의 높이는 경추지지부(200) 높이의 1/2 이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장지지부(300)의 최대 높이가 경추지지부(200) 1/2 이하로 설정되면, 사용자가 하늘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똑바로 누워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를 베었을 때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의 상면 전체에 걸쳐 사용자의 경추 및 흉추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므로, 사용자의 경추나 흉추의 후방 인대에 스트레스가 인가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포함되는 연장지지부가 사용자의 흉추를 지지하는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연장지지부(300)가 경추지지부(200)와 동일한 폭으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등판 전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면, 상기 연장지지부(300)가 사용자의 흉추(10)만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좌우측 견갑골(20)까지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좌우측 견갑골(20)이 전방으로 구부정하게 모아지게 되어 어깨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지지부(300)는 사용자의 좌우측 견갑골(20) 사이의 간격보다 폭이 좁게 제작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장지지부(300)가 사용자의 좌우측 견갑골(20) 사이의 간격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면, 사용자가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를 베었을 때 상기 연장지지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견갑골(20)은 지지하지 아니하고 흉추(10)만을 지지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좌우측 견갑골(20)이 후방으로 젖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어깨가 모아짐으로 인해 발생되는 어깨 통증이 예방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추 디스크 발생 시 승모근 인대의 영향으로 인해 등 부위에 통증이 수반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흉추(10)는 지지되고 좌우측 견갑골(20)은 후방으로 젖혀지게 되면 승모근 부위가 스트레칭되어 통증이 완화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사람이 하늘을 보는 방향으로 지면에 똑바로 누웠을 때, 일반적으로 12개의 흉추(10) 중 경추와 인접한 5~6개의 흉추(10)들은 지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되어 떠 있는 상태가 되고, 그 이후의 일부 흉추(10)들은 지면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지지부(300)는 지면으로부터 떠 있는 흉추(10)들만을 지지할 수 있는 길이 즉, 적어도 5번 흉추(10)까지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현재의 척추 상태 등에 따라 6번 흉추(10)까지 지지하거나 7번 이상의 흉추(10)까지도 지지할 수 있도록 길게 제작될 수도 있고, 반대로 연장지지부(300)에 의해 지지될 필요가 있는 흉추(10)의 수가 적은 경우 상기 연장지지부(300)는 4번 흉추(10)까지 지지하거나 3번 흉추(10)까지 지지할 수 있도록 짧게 제작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장지지부(300)는, 경추가 상기 경추지지부(200)에 안착되도록 하늘을 보고 누운 사용자의 흉추(10) 중 지면과 이격되는 흉추(10)를 지지할 수 있는 거리만큼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장지지부(300)가 사용자의 흉추(10) 중 경추와 인접한 측의 일부만을 지지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연장지지부(300)는 사용자의 흉추(10) 전체를 지지하도록 길게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장지지부(300)가 사용자의 흉추(10) 전체를 지지하도록 길게 제작되는 경우, 상기 연장지지부(300)의 각 부위 높이는 사용자의 흉추(10) 형상에 맞추어 적절하게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를 옆으로 베었을 때의 사용상태도이다.
사람이 수면을 취하는 동안에는 잠자는 자세를 수십 번 바꾸게 되는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를 옆으로 베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를 옆으로 베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머리안착부(100)와 경추지지부(200)는 사용자의 머리와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폭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연장지지부(300)가 경추지지부(200)와 동일한 폭으로 넓게 제작되면,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누웠을 때 사용자의 어깨가 연장지지부(300) 상에 안착되어 높게 위치되므로, 경추가 과도하게 꺾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지지부(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늘을 보고 똑바로 누웠을 때에는 사용자의 경추와 흉추 연결부위를 지지하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에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적절한 폭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즉, 머리안착부(100)와 경추지지부(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좌측이나 우측으로 돌아눕더라도 사용자의 머리와 경추를 지지할 수 있는 폭으로 제작되고, 상기 연장지지부(300)는 사용자가 똑바로 누웠을 때에만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고 사용자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아누웠을 때에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경추지지부(200) 폭의 1/3 이하의 폭을 갖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연장지지부(300)는 사용자가 머리안착부(100) 및 경추지지부(200)의 가운데 부위를 베었을 때 사용자의 흉추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경추지지부(200)의 가운데 부위에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는, 사용자가 베었을 때 쿠션감을 느낄 수 있도록 라텍스 등과 같은 탄성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경추나 흉추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나무나 압축고무와 같이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흉추 20 : 견갑골
100 : 머리안착부 110 : 안착홈
200 : 경추지지부 300 : 연장지지부

Claims (5)

  1. 사용자의 경추가 C형 커브를 이루도록,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200);
    상기 경추지지부(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경추지지부(200)보다 낮게 제작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안착부(100);
    상기 경추지지부(200)의 타측으로부터 사용자의 척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사용자의 경추와 흉추 중 지면과 이격되는 부위를 지지하는 연장지지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지지부(300)는, 경추가 상기 경추지지부(200)에 안착되도록 하늘을 보고 누운 사용자의 흉추 중 지면과 이격되는 흉추를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제작되며,
    상기 연장지지부(300)는, 사용자의 좌우측 견갑골 사이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 견갑골 사이에 위치하는 흉추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장지지부(300)는 연장방향 끝단으로 갈수록 높이는 점진적으로 낮아지고 폭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최대 높이가 상기 경추지지부(200) 높이의 1/2 이하이며,
    상기 머리안착부(100)와 상기 경추지지부(200)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지지부(300)는 폭이 상기 경추지지부(200) 폭의 1/3 이하로 제작되어 상기 경추지지부(200)의 가운데 부위에 마련되고,
    상기 머리안착부(100)의 가운데 부분에는 사용자의 뒷머리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의 안착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10) 양측은 평평하게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경추 지지부(200)는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경우 사용자의 옆머리는 상기 머리 안착부(100)의 양측부에 안착되고, 목은 상기 경추지지부(200)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30008333U 2013-10-10 2013-10-10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 KR200471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333U KR200471522Y1 (ko) 2013-10-10 2013-10-10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333U KR200471522Y1 (ko) 2013-10-10 2013-10-10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522Y1 true KR200471522Y1 (ko) 2014-02-28

Family

ID=5148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333U KR200471522Y1 (ko) 2013-10-10 2013-10-10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5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439B1 (ko) 2015-02-04 2016-08-11 주식회사 메드릭스 경추와 흉추의 만곡을 유지하는 쿠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441A (ko) * 2007-07-11 2009-01-15 강직원 경추 받침 베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441A (ko) * 2007-07-11 2009-01-15 강직원 경추 받침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439B1 (ko) 2015-02-04 2016-08-11 주식회사 메드릭스 경추와 흉추의 만곡을 유지하는 쿠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211B1 (ko) 요추지지방석
US8931837B2 (en) Thoracic back support
EP0741533B1 (en) Backrest device
US8893334B1 (en) Orthopedic pillows
KR101381423B1 (ko) 기능성 베개
JP7248672B2 (ja) 首の痛みのためのヘッドレストクッションアセンブリ
JPH0224126B2 (ko)
US20120180219A1 (en) Anatomically-correct support systems and methods for a reclining person
CN204393927U (zh) 分段式床垫
KR100685801B1 (ko) 종합 베개
KR101931519B1 (ko) 척추 질환의 예방을 위한 좌석 장치
US20130226238A1 (en) Vertebrae Support Device and Method
JP6231865B2 (ja) マットレス
KR200471522Y1 (ko)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
KR101093555B1 (ko) 앉은 자세 교정기구
CN203563945U (zh) 一种护脊靠垫
CN204351483U (zh) 凹形力学颈椎康复枕头
CN209269132U (zh) 人体工学床垫
CN201684051U (zh) 多功能脊椎平衡坐卧养生垫
TWM504517U (zh) 用於預防脊椎疾病的坐式裝置
CN2383417Y (zh) 一种护腰坐具
CN104545202A (zh) 设有柔软弹性层调节安装固定结构的枕头
CN215899267U (zh) 一种靠睡支架
JP2015205015A (ja)
KR200387395Y1 (ko) 종합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