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364A - 전자 어셈블리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어셈블리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364A
KR20220145364A KR1020227032644A KR20227032644A KR20220145364A KR 20220145364 A KR20220145364 A KR 20220145364A KR 1020227032644 A KR1020227032644 A KR 1020227032644A KR 20227032644 A KR20227032644 A KR 20227032644A KR 20220145364 A KR20220145364 A KR 20220145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gear
electronic assembly
spur gear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3353B1 (ko
Inventor
쩌콴 정
제 리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45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two parallel pins and one arm
    • E05D3/122Gear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70/00Apparatus relating to physics, e.g. instru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80/00Electrical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전자 어셈블리(1)는 샤프트 어셈블리(2) 및 대향 설치된 하우징(3)을 포함한다. 샤프트 어셈블리(2)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 제1 회전 부재(20) 및 회전 유닛(30)을 포함한다. 제1 회전 부재(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된다. 각 제1 회전 부재(20)의 일단은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회전 연결되고, 각 제1 회전 부재(20)의 타단은 하우징(3)에 연결된다. 회전 유닛(3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된다. 각 회전 유닛(30)은 제2 회전 부재(31) 및 가동 플레이트(32)를 포함한다. 제2 회전 부재(31)의 일단은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회전 연결되고, 제2 회전 부재(31)의 타단은 가동 플레이트(32)에 연결된다. 가동 플레이트(32)의 일단은 하우징(3)에 연결된다. 적은 부품을 이용하여 제1 회전 부재(20)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 및 하우징(3)에 연결되고, 제2 회전 부재(31)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 및 가동 플레이트(32)에 연결된다. 따라서 하우징(3) 및 가동 플레이트(32)가 만곡될 수 있어 전자 어셈블리(1)의 만곡 기능을 실현하고, 낙하에 의한 변위의 누적량을 줄이고, 샤프트 어셈블리(2)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샤프트 어셈블리(2)의 정밀도를 확보한다. 전자 장치(4)가 추가로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 어셈블리 및 전자 장치
본 출원은 전자 제품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어셈블리 및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제품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전자 제품은 휴대성과 다양한 조작성으로 인해 많은 사용자의 호감을 받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전자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기대와 요구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전자 장치에서, 샤프트 어셈블리는 전자 장치의 회전을 제어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현재 샤프트 어셈블리는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기 때문에, 누적된 간극이 많아지고, 낙하에 의한 변위가 많아져, 샤프트 어셈블리의 품질이 저하되고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의 제1 양태에서 전자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전자 어셈블리는 샤프트 어셈블리 및 대향 설치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샤프트 어셈블리는 제1 샤프트 케이스, 제1 회전 부재 및 회전 유닛을 포함한다.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샤프트 케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된다. 제1 회전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샤프트 케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된다. 각 제1 회전 부재의 일단은 제1 샤프트 케이스에 회전 연결되고, 각 제1 회전 부재의 타단은 하우징에 연결된다. 회전 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샤프트 케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된다. 각 회전 유닛은 제2 회전 부재 및 가동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제2 회전 부재의 일단은 제1 샤프트 케이스에 회전 연결되고, 제2 회전 부재의 타단은 가동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가동 플레이트의 일단은 하우징에 연결된다.
제2 양태에서,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스크린 및 본 출원의 제1 양태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스크린은 전자 어셈블리의 가동 플레이트에 장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에 필요한 도면을 소개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샤프트 케이스의 제1 측벽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샤프트 케이스 및 회전 유닛의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 플레이트 및 하우징의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 플레이트 및 하우징의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의 부분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샤프트 케이스, 제2 샤프트 케이스 및 제1 회전 부재의 부분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샤프트 케이스 및 제2 회전 부재의 부분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메커니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제1 브라켓(first bracket), 제1 내부 기어(first internal gear) 및 제1 스퍼 기어(first spur gear)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제2 브라켓, 제2 내부 기어 및 제2 스퍼 기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제1 내부 기어, 제2 내부 기어, 제1 스퍼 기어 및 제2 스퍼 기어의 협동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퍼 기어 및 제2 스퍼 기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의 부분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의 부분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제한부 및 제2 제한부의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제한부 및 제2 제한부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 상태에 있는 전자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C-C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힌 상태에 있는 전자 장치의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D-D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다양한 개선 및 윤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선 및 윤색도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전자 어셈블리는 샤프트 어셈블리 및 대향 설치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샤프트 어셈블리는 제1 샤프트 케이스, 제1 회전 부재 및 회전 유닛을 포함한다.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샤프트 케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된다. 제1 회전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샤프트 케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된다. 각 제1 회전 부재의 일단은 제1 샤프트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회전 부재의 타단은 하우징에 연결된다. 회전 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샤프트 케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된다. 각 회전 유닛은 제2 회전 부재 및 가동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제2 회전 부재의 일단은 제1 샤프트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회전 부재의 타단은 가동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가동 플레이트의 일단은 하우징에 연결된다.
제1 샤프트 케이스는 대향 설치된 제1 측벽 및 대향 설치된 제2 측벽을 포함한다. 각 제2 측벽은 대향 설치된 제1 측벽에 연결된다. 제1 회전 부재는 제1 측벽에 회전 연결되고, 제2 회전 부재는 제2 측벽에 회전 연결된다.
제1 측벽에 있어서의 제2 회전 부재의 회전 중심의 정투영은 제1 회전 부재의 회전 중심과 이격된다.
가동 플레이트는 제1 슬라이딩부를 갖고, 제2 회전 부재는 제2 슬라이딩부를 갖는다. 제1 슬라이딩부와 제2 슬라이딩부는 서로 협동하여, 가동 플레이트가 제2 회전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한다.
가동 플레이트의 일단에 제1 회전부가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에 제2 회전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는 서로 협동하여, 가동 플레이트의 일단이 하우징에 회전 연결되도록 한다.
제1 회전부에 회전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회전부는 회전 부재를 갖고, 제1 회전부는 회전 구멍을 통해 회전 부재에 슬리브됨으로써, 가동 플레이트의 일단이 하우징에 회전 연결되도록 한다.
전자 어셈블리는 제1 측벽에 연결된 제2 샤프트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제1 회전 부재는 제1 측벽과 제2 샤프트 케이스 사이에 설치된다.
제1 측벽은 제1 위치 결정부를 갖고, 제2 샤프트 케이스는 제2 위치 결정부를 갖는다. 제1 위치 결정부와 제2 위치 결정부는 서로 협동하여 제2 샤프트 케이스가 제1 측벽에 연결되도록 한다. 제1 회전 부재는 제1 위치 결정부 또는 제2 위치 결정부에 슬리브되어 있다.
제2 측벽은 제3 회전부를 갖고, 제2 회전 부재는 제4 회전부를 갖는다. 제3 회전부와 제4 회전부는 서로 협동하여 제2 회전 부재가 제2 측벽에 회전 연결되도록 한다.
제1 샤프트 케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치된 제1 회전 부재는 제1 회전 부재(A) 및 제1 회전 부재(B)이다. 전자 어셈블리는 동기화 메커니즘(synchronization mechanism)을 더 포함한다. 동기화 메커니즘은 제1 회전 부재(A) 및 제1 회전 부재(B)에 연결되어, 제1 회전 부재(A)와 제1 회전 부재(B)가 동기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동기화 메커니즘은 제1 기어 및 제2 기어를 포함한다. 제1 회전 부재(A)는 제1 기어에 회전 연결되고, 제1 기어는 제2 기어에 회전 연결되며, 제2 기어는 제1 회전 부재(B)에 회전 연결된다.
제1 회전 부재의 둘레 측면에 복수의 호브 톱니(hobbed teeth)를 갖는다. 복수의 호브 톱니는 제1 회전 부재의 적어도 1/4 둘레 측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동기화 메커니즘은 제1 브라켓과 제1 브라켓에 연결된 제2 브라켓, 제1 내부 기어 및 제2 내부 기어, 제1 스퍼 기어 및 제2 스퍼 기어를 포함한다.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은 제1 샤프트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 제1 브라켓 내에 제1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제2 브라켓 내에 제2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제1 내부 기어는 제1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고 제1 브라켓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제2 내부 기어는 제2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고 제2 브라켓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제1 회전 부재(A)는 제1 내부 기어에 연결되고, 제1 회전 부재(B)는 제2 내부 기어에 연결된다. 제1 내부 기어 내에 제1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제2 내부 기어 내에 제2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제1 스퍼 기어(spur gear)는 제1 수납 공간 내에 설치된 제1 서브 스퍼 기어와 제1 수납 공간 밖에 설치된 제2 서브 스퍼 기어를 포함한다. 제1 서브 스퍼 기어는 제1 내부 기어에 회전 연결된다. 제2 스퍼 기어는 제2 수납 공간 내에 설치된 제3 서브 스퍼 기어와 제2 수납 공간 밖에 설치된 제4 서브 스퍼 기어를 포함한다. 제3 서브 스퍼 기어는 제2 내부 기어에 회전 연결되고, 제4 서브 스퍼 기어는 제2 서브 스퍼 기어에 회전 연결된다. 제1 회전 부재(A)가 회전하는 경우, 제1 내부 기어, 제2 내부 기어, 제1 스퍼 기어 및 제2 스퍼 기어는 서로 협동하여 제1 회전 부재(A)와 제1 회전 부재(B)가 동기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서브 스퍼 기어의 직경은 제1 서브 스퍼 기어의 직경보다 크고, 제4 서브 스퍼 기어의 직경은 제3 서브 스퍼 기어의 직경보다 크다.
제1 샤프트 케이스 내에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가 더 설치되고, 배플 플레이트, 제1 측벽 및 대향 설치된 제2 측벽은 둘러싸여 제3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전자 어셈블리는 제3 수용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댐핑 메커니즘(damping mechanism)을 더 포함한다. 댐핑 메커니즘은 탄성 부재, 제1 제한부 및 제2 제한부를 포함한다. 제1 제한부의 일단은 제1 측벽을 관통하고 또한 제1 기어에 연결되고, 제1 제한부의 타단은 탄성 부재의 일단에 당접된다. 제2 제한부의 일단은 제1 측벽을 관통하고 또한 제2 기어에 연결되고, 제2 제한부의 타단은 탄성 부재의 일단에 당접된다. 탄성 부재의 타단은 배플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탄성 부재는 압축 상태에 있다.
댐핑 메커니즘은 제3 제한부를 더 포함한다. 제3 제한부의 일단은 탄성 부재에 연결되고, 제3 제한부의 타단은 제1 제한부 및 제2 제한부에 당접된다.
제3 제한부에 가까운 제1 제한부의 측면은 제1 평면이고, 제1 제한부에 가까운 제3 제한부의 측면은 제2 평면이다. 제1 평면의 일부에는 돌출된 제1 돌출부가 있고, 제1 돌출부는 제1 평면에 연결된 제1 경사면을 갖는다. 제2 평면의 일부에는 돌출된 제2 돌출부가 있고, 제2 돌출부는 제2 평면에 연결된 제2 경사면을 갖는다. 전자 어셈블리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제1 평면은 제2 평면에 당접되고, 제1 경사면은 제2 경사면에 당접된다. 전자 어셈블리가 회전하는 경우, 제1 제한부는 제2 경사면에 당접된다.
제1 돌출부는 제1 경사면에 연결된 제3 평면을 더 포함하고, 제3 평면은 제1 평면과 평행된다. 제2 돌출부는 제2 경사면에 연결된 제4 평면을 더 포함하고, 제4 평면은 제2 평면과 평행된다. 전자 어셈블리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된 경우, 제2 평면은 제4 평면에 당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가 더 제공된다.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스크린 및 본 출원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스크린은 전자 어셈블리의 가동 플레이트에 장착된다.
플렉서블 스크린에 가까운 제1 샤프트 케이스의 한쪽에 회피홈이 형성된다. 회피홈은 전자 장치가 만곡될 때에 플렉서블 스크린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을 설명하기 전에, 관련 기술에 있어서의 기술적 과제를 상세하게 소개한다.
플렉서블 전자 장치에서, 샤프트 어셈블리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의 회전을 제어하는 중요한 구조 부품 중 하나이다. 샤프트 어셈블리의 종류는 여러가지이며, 일반적으로 샤프트 어셈블리가 포함하는 플렉서블 스크린을 지원하는 플레이트의 수량으로 명명된다. 예를 들면, 2 플레이트 - 샤프트 어셈블리(2-plate shaft Assemble), 4 플레이트 - 샤프트 어셈블리 및 5 플레이트 - 샤프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5 플레이트 - 샤프트 어셈블리와 같이 샤프트 어셈블리가 많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인접한 2개의 플레이트 사이에 일정한 틈새가 생기게 되고, 예를 들면, 5 플레이트-샤프트 어셈블리는 4 플레이트-샤프트 어셈블리보다 틈새가 하나 더 많아, 단차도 하나 더 많고, 플렉서블 스크린의 표면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틈새는 틈새에 대응하는 플렉서블 스크린이 강성 지지를 받지 못하도록 한다. 다음, 틈새는 또한 두개의 인접한 플레이트 사이의 플러쉬에 영향을 미치므로 플렉서블 스크린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높이 차이가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플렉서블 스크린의 표면 효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4 플레이트 - 샤프트 어셈블리에 대하여, 관련 기술의 4 플레이트 - 샤프트 어셈블리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 수가 많고, 각 두개의 부품 사이에 조립 공차가 있어 샤프트 어셈블리에 누적 간극이 많아짐을 초래하고, 이로 인한 치수 체인(dimensional chain)이 커지고, 낙하에 의한 변위가 많아져 샤프트 어셈블리의 품질이 저하된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출원에서는 전자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제1 회전 부재와 제2 회전 부재는 서로 협동하여 전자 어셈블리가 회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샤프트 어셈블리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샤프트 어셈블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어셈블리(1)가 제공된다. 전자 어셈블리(1)는 샤프트 어셈블리(2) 및 대향 설치된 하우징(3)을 포함한다. 샤프트 어셈블리(2)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 제1 회전 부재(20) 및 회전 유닛(30)을 포함한다. 하우징(3)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된다. 제1 회전 부재(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된다. 각 제1 회전 부재(20)의 일단은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회전 부재(20)의 타단은 하우징(3)에 연결된다. 회전 유닛(3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된다. 각 회전 유닛(30)은 제2 회전 부재(31) 및 가동 플레이트(32)를 포함한다. 제2 회전 부재(31)의 일단은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회전 부재(31)의 타단은 가동 플레이트(32)에 연결된다. 가동 플레이트(32)의 일단은 하우징(3)에 연결된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1)는 주로 샤프트 어셈블리(2) 및 대향 설치된 하우징(3)을 포함한다. 즉, 전자 어셈블리(1)는 샤프트 어셈블리(2) 및 하우징(3)의 총칭이다. 샤프트 어셈블리(2)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를 포함한다. 우선, 제1 샤프트 케이스(10)는 샤프트 어셈블리(2)의 다른 회전 부품의 캐리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회전 부품은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설치되고, 제1 샤프트 케이스(10) 상의 어떤 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제1 샤프트 케이스(10)는 샤프트 어셈블리(2) 내의 다른 부품을 설치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일부 부품을 제1 샤프트 케이스(10) 내에 설치하여 공간을 절약한다. 또한, 제1 샤프트 케이스(10)는 전자 어셈블리(1) 및 전자 장치(4)의 보호 케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샤프트 케이스(10)는 전자 장치(4)의 하우징의 일부로서 기능하고, 전자 장치(4) 내의 부품을 보호한다. 도 2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와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한쪽의 구조만을 도시하고 있고,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다른 한쪽의 구조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한쪽의 구조와 동일하고,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상기 한쪽과 대칭되게 설치된다.
또한, 본 출원의 하우징(3)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된다. 본 출원에 따른 하우징(3) 및 제1 샤프트 케이스(10)는 함께 전자 장치(4)의 하우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의 일부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된다. 하우징(3)의 나머지 부분은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대향하는 양측에 연결된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제3 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1 샤프트 케이스(10)는 하우징(3)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되고, 하우징(3)은 제1 샤프트 케이스(10)를 어느 정도로 보호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샤프트 어셈블리(2)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대향하는 양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제1 회전 부재(20)를 더 포함한다. 제1 회전 부재(20)는 회전 가능한 부재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20)는 샤프트 어셈블리(2)의 케이스에 회전 연결되고, 즉 제1 회전 부재(20)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20)의 타단은 하우징(3)에 고정 연결된다. 따라서 제1 회전 부재(20)가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대해 회전할 때, 제1 회전 부재(20)는 하우징(3)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구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전 부재(20)의 일부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되고, 제1 회전 부재(20)의 나머지 부분은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연결되도록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다른 측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제1 회전 부재(20)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또는, 제1 회전 부재(20)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회전 부재(20)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회전 부재(20)의 타단은 하우징(3)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1 회전 부재(20)의 타단은 하우징(3)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샤프트 어셈블리(2)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대향하는 양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치된 회전 유닛(30)을 더 포함한다. 각 회전 유닛(30)은 제2 회전 부재(31) 및 가동 플레이트(32)를 포함한다. 제2 회전 부재(31)도 회전 가능한 부재이다. 제2 회전 부재(31)의 일단은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회전 연결된다. 즉, 제2 회전 부재(31)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 부재(31)의 타단은 가동 플레이트(32)에 연결된다. 전자 장치(4)에서, 플렉서블 스크린(5)은 하우징(3)에 설치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 스크린(5)의 저면은 강성 구조로 지지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 플렉서블 스크린(5)은 가동 플레이트(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가동 플레이트(32)의 일단은 하우징(3)에 연결되고, 가동 플레이트(32)의 타단은 제2 회전 부재(31)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하우징(3)이 회전력을 받을 때, 제1 회전 부재(20)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하우징(3)의 회전을 구동할 수 있다. 하우징(3)의 회전은 가동 플레이트(3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가동 플레이트(32)도 제2 회전 부재(31)의 작용하에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가동 플레이트(32)에 설치된 플렉서블 스크린(5)의 회전을 구동하여 플렉서블 스크린(5)의 만곡 기능을 실현한다. 선택적으로, 제2 회전 부재(31)의 일단은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직접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제2 회전 부재(31)의 일단은 제2 샤프트 케이스(40)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회전 부재(31)의 타단은 가동 플레이트(32)에 고정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제2 회전 부재(31)의 타단은 가동 플레이트(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동 플레이트(32)의 일단은 하우징(3)에 고정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가동 플레이트(32)의 일단은 하우징(3)에 회전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샤프트 어셈블리(2)가 2개의 가동 플레이트(32)를 포함하기 때문에, 본 출원의 샤프트 어셈블리(2)는 2 플레이트 - 샤프트 어셈블리(2)로 간주될 수 있다. 또는, 대향 설치된 하우징(3)을 고려하면, 본 출원의 샤프트 어셈블리(2)는 4 플레이트 - 샤프트 어셈블리(2)로 간주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1)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1 회전 부재(20)와 제2 회전 부재(31)의 협동만을 이용하고, 제1 회전 부재(20)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 및 하우징(3)에 연결되고, 제2 회전 부재(31)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 및 가동 플레이트(32)에 연결되며, 가동 플레이트(32)는 하우징(3)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어셈블리(1)의 만곡 기능을 실현하고, 낙하에 의한 변위의 누적량을 줄이고, 샤프트 어셈블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샤프트 케이스(10)는 대향 설치된 제1 측벽(11) 및 대향 설치된 제2 측벽(12)을 포함한다. 각 제2 측벽(12)은 대향 설치된 제1 측벽(11)에 연결된다. 제1 회전 부재(20)는 제1 측벽(11)에 회전 연결되고, 제2 회전 부재(31)는 제2 측벽(12)에 회전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회전 부재(20) 및 제2 회전 부재(31)를 각각 서로 다른 측벽에 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서브 회전 부재와 제2 회전 부재(31)가 동일한 측벽에 배치될 때, 회전 중에 충돌이 발생하는 위험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 부재(20) 및 제2 회전 부재(31)를 각각 서로 다른 측벽에 설치되는 것은, 후속 슬라이더 크랭크 운동(slider crank movement)에 유리하다.
도 2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샤프트 케이스의 제1 측벽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측벽(11)에 있어서의 제2 회전 부재(31)의 회전 중심의 정투영(도 5의 D2에 도시된 바와 같음)은 제1 회전 부재(20)의 회전 중심(도 5의 D1에 도시된 바와 같음)과 간격을 둔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1)에 있어서, 플렉서블 스크린(5)은 나중에 가동 플레이트(32) 및 하우징(3)에 설치될 수 있고, 전자 어셈블리(1)의 만곡을 제어함으로써 플렉서블 스크린(5)의 만곡이 실현된다. 플렉서블 스크린(5)이 만곡된 후의 형태는 통상적으로 「U형 스크린」 및 「물방울형 스크린」의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U형 스크린"은 플렉서블 스크린(5)이 자모 U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물방울형 스크린"은 플렉서블 스크린(5)이 물방울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즉, 플렉서블 스크린(5)은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는 구조를 갖는다. 「U형 스크린」은 전자 장치(4) 전체를 두껍게 할 수 있고, 「물방울형 스크린」은 전자 장치(4) 전체를 얇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벽(11)에 있어서의 제2 회전 부재(31)의 회전 중심의 정투영이 제1 회전 부재(20)의 회전 중심과 겹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회전 부재(20)와 제2 회전 부재(31)는 동축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스크린(5)이 설치된 후에, 플렉서블 스크린(5)은 "U형 스크린"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측벽(11)에 있어서의 제2 회전 부재(31)의 회전 중심의 정투영과 제1 회전 부재(20)의 회전 중심은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 부재(20)의 회전 중심과 제2 회전 부재(31)의 회전 중심은 겹치지 않고, 제1 회전 부재(20)와 제2 회전 부재(31)는 동축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회전 부재(20)와 제2 회전 부재(31)가 회전할 때, 슬라이더 크랭크 운동이 이루어지며, 가동 플레이트(32)는 회전 암 및 하우징(3)에 대하여 어느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고, 위치 거리가 형성되며, 결국 물방울형 스크린이 형성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샤프트 케이스 및 회전 유닛의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 플레이트(32)는 제1 슬라이딩부(33)를 갖는다. 제2 회전 부재(31)는 제2 슬라이딩부(34)를 갖는다. 제1 슬라이딩부(33)와 제2 슬라이딩부(34)는 서로 협동하여, 가동 플레이트(32)가 제2 회전 부재(31)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슬라이더 크랭크 운동에 의해 물방울형 스크린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 크랭크 운동을 실현하기 위해, 본 출원에서는 가동 플레이트(32)를 제어하고 보상하거나 또는 하우징(3)을 보상함으로써, 즉 제1 샤프트 케이스(10)로부터 멀리 떨어진 가동 플레이트(32)의 일단 또는 하우징(3)의 일단과 제1 샤프트 케이스(10) 사이의 거리를 증가함으로써, 전자 어셈블리(1)는 정상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나중에 물방울형 스크린을 실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플레이트(32)를 제어하고 보상함으로써 실현된다. 구체적으로, 가동 플레이트(32)는 제1 슬라이딩부(33)를 갖고, 제2 회전 부재(31)는 제2 슬라이딩부(34)를 갖는다. 제1 슬라이딩부(33)와 제2 슬라이딩부(34)의 협동에 의해, 가동 플레이트(32)가 제2 회전 부재(31)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제1 슬라이딩부(33)는 슬라이딩 홈 또는 슬라이딩 블록일 수 있고, 제2 슬라이딩부(34)는 슬라이딩 블록 또는 슬라이딩 홈일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33)가 슬라이딩 홈인 경우, 제2 슬라이딩부(34)는 슬라이딩 블록이고, 제1 슬라이딩부(33)가 슬라이딩 블록인 경우, 제2 슬라이딩부(34)는 슬라이딩 홈임을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예시로서, 제1 슬라이딩부(33)는 슬라이딩 홈이고, 제2 슬라이딩부(34)는 슬라이딩 블록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 플레이트 및 하우징의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 플레이트(32)의 일단에 제1 회전부(35)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3)에 제2 회전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회전부(35)와 제2 회전부(36)는 서로 협동하여, 가동 플레이트(32)의 일단이 하우징(3)에 회전 연결되도록 한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슬라이더 크랭크 운동이 수행 될 때, 가동 플레이트(32) 및 하우징(3)은 모두 회전한다. 본 출원은 가동 플레이트(32)를 보상함으로써 실현된다. 물방울형 스크린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출원에서, 슬라이더 크랭크 운동 후에, 가동 플레이트(32)는 회전 암 및 하우징(3)에 대하여 어느 각도로 기울어지며, 즉, 가동 플레이트(32)도 하우징(3)에 대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플레이트(32)의 일단에 제1 회전부(35)를 설치하고, 하우징(3)에 제2 회전부(36)를 설치하며, 제1 회전부(35)와 제2 회전부(36)의 협동에 의해 가동 플레이트(32)가 하우징(3)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제1 회전부(35)는 가이드 레일 또는 슬라이딩 홈일 수 있고, 제2 회전부(36)는 슬라이딩 홈 또는 가이드 레일일 수 있다. 제1 회전부(35)가 가이드 레일인 경우에, 제2 회전부(36)는 슬라이딩 홈이고, 제1 회전부(35)가 슬라이딩 홈인 경우에, 제2 회전부(36)는 가이드 레일임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전부(35)는 가이드 레일이고, 제2 회전부(36)는 슬라이딩 홈이다.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도 8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 플레이트 및 하우징의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전부(35)에 회전 구멍(37)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회전부(36)는 회전 부재(38)를 갖는다. 제1 회전부(35)는 회전 구멍(37)을 통해 회전 부재(38)에 슬리브됨으로써, 가동 플레이트(32)의 일단이 하우징(3)에 회전 연결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다른 실현 방법이 추가로 제공된다. 즉, 제1 회전부(35)에 회전 구멍(37)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회전부(36)는 회전 부재(38)를 갖는다. 제1 회전부(35)가 회전부재(38)에 슬리브됨으로써, 제1 회전부는 회전부재(38)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가동 플레이트(32)의 일단이 하우징(3)에 회전 연결되도록 하고, 가동 플레이트(32)는 하우징(3)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도 9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의 부분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샤프트 케이스, 제2 샤프트 케이스 및 제1 회전 부재의 부분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어셈블리(1)는 제1 측벽(11)에 연결된 제2 샤프트 케이스(40)를 더 포함한다. 제1 회전 부재(20)는 제1 측벽(11)과 제2 샤프트 케이스(4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출원에서 제2 샤프트 케이스(40)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샤프트 케이스(40)는 제1 측벽(11)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 측벽(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20)는 제1 측벽(11)과 제2 샤프트 케이스(4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회전 부재(20)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제1 회전 부재(20)가가 외부 물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샤프트 케이스(40)와 제1 측벽(11)은 서로 협동하여, 제1 회전 부재(20)가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간접적으로 회전 연결되도록 한다.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측벽(11)은 제1 위치 결정부(13)를 갖고, 제2 샤프트 케이스(40)는 제2 위치 결정부(14)를 갖는다. 제1 위치 결정부(13)와 제2 위치 결정부(14)는 서로 협동하여 제2 샤프트 케이스(40)가 제1 측벽(11)에 연결되도록 한다. 제1 회전 부재(20)는 제1 위치 결정부(13) 또는 제2 위치 결정부(14)에 슬리브되어 있다.
본 출원에서, 제1 측벽(11)은 제1 위치 결정부(13)를 갖고, 제2 샤프트 케이스(40)는 제2 위치 결정부(14)를 갖는다. 제1 위치 결정부(13)와 제2 위치 결정부(14)는 서로 협동하여 제2 샤프트 케이스(40)가 제1 측벽(11)에 연결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제1 위치 결정부(13)는 홈 또는 범프일 수 있고, 제2 위치 결정부(14)는 범프 또는 홈일 수 있다. 제1 위치 결정부(13)가 홈인 경우에, 제2 위치 결정부(14)는 범프이고, 제1 위치 결정부(13)가 범프인 경우에, 제2 위치 결정부(14)는 홈임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로서, 제1 위치 결정부(13)는 홈이고, 제2 위치 결정부(14)는 범프이다. 또한, 제1 회전 부재(20)는 제1 위치 결정부(13) 또는 제2 위치 결정부(14)에 슬리브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 부재(20)는 범프에 슬리브되어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회전 부재(20)는 제2 샤프트 케이스(40)의 제2 위치 결정부(14)에 슬리브될 수 있고, 따라서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간접 회전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샤프트 케이스 및 제2 회전 부재의 부분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측벽(12)은 제3 회전부(15)를 갖고, 제2 회전 부재(31)는 제4 회전부(16)를 갖는다. 제3 회전부(15)와 제4 회전부(16)는 서로 협동하여, 제2 회전 부재(31)가 제2 측벽(12)에 회전 연결되도록 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제2 측벽(12)에는 제3 회전부(15)가 설치되고, 제2 회전 부재(31)에는 제4 회전부(16)가 설치된다. 제3 회전부(15)와 제4 회전부(16)는 서로 협동하여, 제2 회전 부재(31)가 제2 측벽(12)에 회전 연결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제3 회전부(15)는 회전홈 또는 회전축일 수 있고, 제4 회전부(16)는 회전축 또는 회전홈일 수 있다. 제3 회전부(15)가 회전홈인 경우에, 제4 회전부(16)는 회전축이고, 제3 회전부(15)가 회전축인 경우에, 제4 샤프트 어셈블리(2)는 회전홈임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로서, 제3 회전부(15)는 회전홈이고, 제4 회전부(16)는 회전축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벽(12)에는 서로 대향하는 회전홈이 설치되고, 제2 회전 부재(31)의 대향하는 양측에도 회전축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을 회전홈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제2 회전부재(31)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도 12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대향하는 양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치된 제1 회전 부재(20)는 제1 회전 부재(A)(21) 및 제1 회전 부재20(B)(22)이다. 전자 어셈블리(1)는 동기화 메커니즘(50)을 더 포함한다. 동기화 메커니즘(50)은 제1 회전 부재(A)(21) 및 제1 회전 부재20(B)(22)에 연결되어, 제1 회전 부재(A)(21)와 제1 회전 부재20(B)(22)가 동기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의 제1 회전 부재(20)의 수량은 대칭된다. 즉, 제1 회전 부재(20)(즉, 제1 회전 부재(A)(21) 및 제1 회전 부재(B)20(22)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다. 본 출원에서, 동기화 메커니즘(50)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동기화 메커니즘(50)은 제1 회전 부재(A)(21) 및 제1 회전 부재20(B)(22)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회전 부재(A)(21)가 회전할 때, 동기화 메커니즘(50)을 통해 제1 회전 부재20(B)(22)도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대향하는 양측에 있는 하우징(3)과 가동 플레이트(32)도 함께 회전할 수 있어, 전자 어셈블리(1)가 회전할 때의 대칭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 동기화 메커니즘은 제1 기어(51) 및 제2 기어(52)를 포함한다. 제1 회전 부재(A)(21)는 제1 기어(51)에 회전 연결되고, 제1 기어(51)는 제2 기어(52)에 회전 연결된다. 제2 기어(52)는 제1 회전 부재20(B)(22)에 회전 연결된다.
본 출원에서는, 동기화 메커니즘(50)의 두가지 실시형태가 제공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동기화 메커니즘은 제1 기어(51) 및 제2 기어(52)를 포함한다. 제1 기어(51)는 제1 회전 부재(A)(21) 및 제2 기어(52)에 각각 회전 연결된다. 제2 기어(52)는 제1 회전 부재20(B)(22) 및 제1 기어(51)에 회전 연결된다. 제1 회전 부재(A)(21)가 회전할 때, 제1 회전 부재20(B)(22)는 제1 기어(51) 및 제2 기어(52)의 전동을 통해 동기 회전할 수 있다.
도 12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회전 부재(20)의 둘레 측면에 복수의 호브 톱니(23)를 갖는다. 복수의 호브 톱니(23)는 제1 회전 부재(20)의 적어도 1/4의 둘레 측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본 출원에 있어서, 제1 회전 부재(20)의 둘레 측면에 복수의 호브 톱니(23)를 설치할 수 있다. 호브 톱니(23)와 제1 기어(51)의 맞물림 및 호브 톱니(23)와 제2 기어(52)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 연결이 실현된다. 전자 어셈블리(1)의 일측이 통상 적어도 90° 회전하기 때문에, 본 출원에 있어서, 복수의 호브 톱니(23)는, 제1 회전 부재(20)의 적어도 1/4의 둘레 측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회전 각도에 따라 호브 톱니(23)의 개수를 선택하며, 따라서 제1 회전 부재(2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도 1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메커니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제1 브라켓, 제1 내부 기어 및 제1 스퍼 기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제2 브라켓, 제2 내부 기어 및 제2 스퍼 기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제1 내부 기어, 제2 내부 기어, 제1 스퍼 기어 및 제2 스퍼 기어의 협동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출원에서, 동기화 메커니즘(50)이 추가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동기화 메커니즘(50)은 제1 샤프트 케이스(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동기화 메커니즘(50)은 제1 브라켓(60)과 제1 브라켓(60)에 연결된 제2 브라켓(70), 제1 내부 기어(62) 및 제2 내부 기어(72), 제1 스퍼 기어(80) 및 제2스퍼 기어(83)를 포함한다. 제1 브라켓(60) 및 제2 브라켓(70)은 제1 샤프트 케이스(10) 내에 설치되고, 제1 브라켓(60) 내에 제1 수용 공간(61)이 형성되고, 제2 브라켓(70) 내에 제2 수용 공간(71)이 형성된다. 제1 내부 기어(62)는 제1 수용 공간(61) 내에 수용되고 제1 브라켓(6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제2 내부 기어(72)는 제2 수용 공간(71) 내에 수용되고 제2 브라켓(7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제1 회전 부재(A)(21)는 제1 내부 기어(62)에 연결되고, 제1 회전 부재20(B)(22)는 제2 내부 기어(72)에 연결된다. 제1 내부 기어(62) 내에 제1 수납 공간(63)이 형성되고, 제2 내부 기어(72) 내에 제2 수납 공간(73)이 형성된다. 제1 스퍼 기어(80)는 제1 수납 공간(63) 내에 설치된 제1 서브 스퍼 기어(81)와 제1 수납 공간(63) 밖에 설치된 제2 서브 스퍼 기어(82)를 포함한다. 제1 서브 스퍼 기어(81)는 제1 내부 기어(62)에 회전 연결된다. 제2 스퍼 기어(83)는 제2 수납공간(73) 내에 설치된 제3 서브 스퍼 기어(84) 및 제2 수납 공간(73) 밖에 설치된 제4 서브 스퍼 기어(85)를 포함한다. 제3 서브 스퍼 기어(84)는 제2 내부 기어(72)에 회전 연결된다. 제4 서브 스퍼 기어(85)는 제2 서브 스퍼 기어(82)에 회전 연결된다. 제1 회전 부재(A)(21)가 회전할 때, 제1 내부 기어(62), 제2 내부 기어(72), 제1 스퍼 기어(80) 및 제2 스퍼 기어(83)는 서로 협동하여, 제1 회전 부재(A)(21)와 제1 회전 부재20(B)(22)가 동기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제1 브라켓(60)은 제1 내부 기어(62) 및 제1 스퍼 기어(80)의 탑재에 사용되며, 제2 브라켓(70)은 제2 내부 기어(72) 및 제2 스퍼 기어(83)의 탑재에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제1 브라켓(60)은 제2 브라켓(70)에 연결될 수 있어, 기어쌍을 형성하는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동기화 메커니즘(50)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1 내부 기어(62) 및 제2 내부 기어(72)가 더 제공된다. 내부 기어는 원주 내부에 톱니가 있는 기어이다. 본 출원에서, 제1 내부 기어(62)는 제1 수용 공간(61) 내에 설치되고 제1 브라켓(6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제1 회전 부재(A)(21)는 제1 내부 기어(62)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내부 기어(62)의 회전은 제1 회전 부재(A)(21)의 회전을 구동할 수 있으며, 제1 회전 부재(A)(21)가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간접적으로 회전 연결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2 내부 기어(72)는 제2 수용 공간(71) 내에 설치되고 제2 브라켓(7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제1 회전 부재20(B)(22)는 제2 내부 기어(72)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내부 기어(72)의 회전은 제1 회전 부재20(B)(22)의 회전을 구동할 수 있으며, 제1 회전 부재20(B)(22)가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간접적으로 회전 연결되도록 한다. 제1 수용 공간(61)은 제1 내부 기어(62)를 수용하는 데에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내부 기어(62)의 회전 방향은 제1 내부 기어(62)의 톱니의 배열 방향과 일치한다. 제2 수용 공간(71)은 제2 내부 기어(72)를 수용하는 데에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2 내부 기어(72)의 회전 방향은 제2 내부 기어(72)의 톱니의 배열 방향과 일치하다.
본 출원에서, 제1 스퍼 기어(80) 및 제2 스퍼 기어(83)가 더 제공된다. 제1 스퍼 기어(80)는 제1 수납 공간(63) 내에 설치된 제1 서브 스퍼 기어(81)와 제1 수납 공간(63) 밖에 설치된 제2 서브 스퍼 기어(82)를 포함한다. 제1 내부 기어(62)의 톱니가 원주 내부에 있기 때문에, 제1 스퍼 기어(80)의 일부는 제1 수납 공간(63) 내에 설치되고 제1 내부 기어(62)에 회전 연결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기어쌍을 형성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스퍼 기어(80)의 나머지 부분은 제1 수납 공간(63) 밖에 설치된다. 제2 스퍼 기어(83)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제2 스퍼 기어(83)는 제2 수납 공간(73) 내에 설치된 제3 서브 스퍼 기어(84) 및 제2 수납 공간(73) 밖에 설치된 제4 서브 스퍼 기어(85)를 포함한다. 제2 내부 기어(72)의 톱니가 원주 내부에 있기 때문에, 제2 스퍼 기어(83)의 일부는 제2 수납 공간(73) 내에 설치되고 제2 내부 기어(72)에 회전 연결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기어쌍이 형성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2 스퍼 기어(83)의 나머지 부분은 제2 수납 공간(73) 밖에 설치되고, 제1 수납 공간(63) 밖에 설치된 제1 스퍼 기어(80)의 나머지 부분에 회전 연결된다. 즉, 제4 서브 스퍼 기어(85)와 제2 서브 스퍼 기어(82)는 서로 회전 연결되어 기어쌍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동기화 메커니즘(50)는 2개의 내부 기어 및 2개의 스퍼 기어, 총 4개의 기어의 상호 협동을 이용하여 3개의 기어쌍을 형성한다. 제1 내부 기어(62)와 제1 서브 스퍼 기어(81)는 제1 기어쌍을 형성하고, 제2 서브 스퍼 기어(82)와 제4 서브 스퍼 기어(85)는 제2 기어쌍을 형성하며, 제3 서브 스퍼 기어(84) 및 제2 내부 기어(72)는 제3 기어쌍을 형성함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A)(21)의 회전은 제1 내부 기어(62)가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제1 내부 기어(62)와 제1 서브 스퍼 기어(81)는 동기 회전하며, 제1서브 스퍼 기어(81)와 제2 서브 스퍼 기어(82)는 동기 회전하고, 제2 서브 스퍼 기어(82)와 제4 서브 스퍼 기어(85)는 동기 회전하고, 제4 서브 스퍼 기어(85)와 제3 서브 스퍼 기어(84) 는 동기 회전하고, 제3 서브 스퍼 기어(84)와 제2 내부 기어(72)는 동기 회전한다. 제2 내부 기어(72)가 제1 회전 부재20(B)(22)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제1 회전 부재(A)(21)와 제2 회전 부재31(B)의 동기 회전이 실현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동기화 메커니즘(50)은 구조가 간단하고, 3개의 기어쌍을 이용하여 제1 회전 부재(A)(21)와 제2 회전 부재31(B)의 동기 회전을 실현할 수 있다. 기어쌍의 수량이 감소됨에 따라 누적된 백래시(backlash)가 감소되고, 동기화 메커니즘(50)의 동기 효과가 향상됨과 동시에 동기화 메커니즘의 구조 정밀도가 확보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 1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퍼 기어 및 제2 스퍼 기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서브 스퍼 기어(82)의 직경은 제1 서브 스퍼 기어(81)의 직경보다 크고, 제4 서브 스퍼 기어(85)의 직경은 제3 서브 스퍼 기어(84)의 직경보다 크다.
동기화 메커니즘(50)이 작동할 때, 즉, 제1 내부 기어(62)와 제2 내부 기어(72)가 동기 회전할 때, 제1 스퍼 기어(80)와 제2 스퍼 기어(83) 사이의 거리에 약간의 편차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제1 내부 기어(62)와 제2 내부 기어(72)가 90° 회전할 때, 제2 서브 스퍼 기어(82)와 제1 서브 스퍼 기어(81)의 직경이 동일하고, 제4 서브 스퍼 기어(85)와 제3 서브 스퍼 기어(84)의 직경과 동일한 경우, 제2 서브 스퍼 기어(82)와 제4 서브 스퍼 기어(85) 사이에 일정한 틈새가 생겨 완전히 맞물릴 수 없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는 제2 서브 스퍼 기어(82)의 직경은 제1 서브 스퍼 기어(81)의 직경보다 크고, 제4 서브 스퍼 기어(85)의 직경은 제3 서브 스퍼 기어(84)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제1 내부 기어(62)와 제2 내부 기어(72)가 어느 각도로 회전하든, 제2 서브 스퍼 기어(82)와 제4 서브 스퍼 기어(85)는 완전히 맞물릴 수 있고, 동기화 메커니즘(50)의 동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9를 함께 참조하면, 도 19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의 부분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샤프트 케이스(10) 내에 배플 플레이트(17)가 더 설치된다. 배플 플레이트(17), 제1 측벽(11) 및 대향 설치된 제2 측벽(12)은 둘러싸여 제3 수용 공간(18)을 형성한다. 전자 어셈블리(1)는 제3 수용 공간(1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댐핑 메커니즘(90)을 더 포함한다. 댐핑 메커니즘(90)은 탄성 부재(94), 제1 제한부(91) 및 제2 제한부(92)를 포함한다. 제1 제한부(91)의 일단은 제1 측벽(11)을 관통하고 또한 제1 기어(51)에 연결되고, 제1 제한부(91)의 타단은 탄성 부재(94)의 일단에 당접된다. 제2 제한부(92)의 일단은 제1 측벽(11)을 관통하고 또한 제2 기어(52)에 연결되고, 제2 제한부(92)의 타단은 탄성 부재(94)의 일단에 당접된다. 탄성 부재(94)의 타단은 배플 플레이트(17)에 연결되고, 탄성 부재(94)는 압축 상태에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배플 플레이트(17)가 더 제공되고, 배플 플레이트(17), 제1 측벽(11) 및 제2 측벽(12)은 둘러싸여 제3 수용 공간(18)을 형성한다. 제3 수용 공간(18)에 댐핑 메커니즘(90)이 더 설치된다. 댐핑 메커니즘(90)는 전자 어셈블리(1)가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댐핑 메커니즘(90)은 작은 외력이 가해질 때 전자 어셈블리(1)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몇몇 상이한 실시예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한부(91)는 제1 기어(51)에 연결되어 제1 기어(51)가 회전할 때 제1 제한부(91)도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제2 제한부(92)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탄성 부재(94)의 일단은 제1 제한부(91) 및 제2 제한부(92)에 당접되고, 탄성 부재(94)의 타단은 배플 플레이트(17)에 연결되고, 탄성 부재(94)는 압축 상태로 유지된다. 즉, 전자 어셈블리(1)가 전개 상태에 있는지, 그렇지 않으면 만곡 상태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탄성 부재(94)는 압축 상태에 있다. 탄성 부재(94)는 제1 제한부(91) 및 제2 제한부(92)에 반발력을 제공하고, 반발력의 방향은 제1 측벽(11)에 수직된다. 전자 어셈블리(1)가 작은 외력을 받으면, 상기 외력은 반발력에 의해 상쇄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어셈블리(1)는 회전하지 않는다. 하우징(3)에 가해지는 힘이 일정한 값보다 큰 경우에만, 반발력이 상쇄되어 전자 어셈블리(1)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20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의 부분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댐핑 메커니즘(90)은 제3 제한부(93)를 더 포함한다. 제3 제한부(93)의 일단은 탄성 부재(94)에 연결되고, 제3 제한부(93)의 타단은 제1 제한부(91) 및 제2 제한부(92)에 당접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제한부(91), 제2 제한부(92) 및 탄성 부재(94) 사이에 제3 제한부(93)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제3 제한부(93)의 일단은 탄성 부재(94)에 연결되고, 제3 제한부(93)의 타단은 제1 제한부(91) 및 제2 제한부(92)에 당접된다. 따라서, 제3 제한부(93)를 통해 제1 제한부(91) 및 제2 제한부(92)에 반발력을 전달하고, 제3 제한부(93)는 제1 제한부(91) 및 제2 제한부(92)에 당접됨으로써, 댐핑 메커니즘(90)의 구조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21 내지 도 22를 함께 참조하면, 도 21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제한부 및 제2 제한부의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제한부 및 제2 제한부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제한부(93)에 가까운 제1 제한부(91)의 측면은 제1 평면(911)이고, 제1 제한부(91)에 가까운 제3 제한부(93)의 측면은 제2 평면(931)이다. 제1 평면(911)의 일부에는 돌출된 제1 돌출부(912)가 있고, 제1 돌출부(912)는 제1 평면(911)에 연결된 제1 경사면(913)을 갖는다. 제2 평면(931)의 일부에는 돌출된 제2 돌출부(932)가 있고, 제2 돌출부(932)는 제2 평면(931)에 연결된 제2 경사면(933)을 갖는다. 전자 어셈블리(1)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제1 평면(911)은 제2 평면(931)에 당접되고, 제1 경사면(913)은 제2 경사면(933)에 당접된다. 전자 어셈블리(1)가 회전할 때, 제1 제한부(91)는 제2 경사면(933)에 당접된다. 선택적으로, 제1 평면(911) 및 제2 평면(931)은 제1 측벽(11)에 평행된다. 또는, 제1 평면(911) 및 제2 평면(931)은 전자 어셈블리(1)의 회전 방향에 평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한부(91)는 제1 돌출부(912)를 가질 수 있고, 제1 돌출부(912)는 제1 경사면(913)을 갖는다. 제3 제한부(93)는 제2 돌출부(932)를 갖고, 제2 돌출부(932)는 제2 경사면(933)을 갖는다. 따라서, 전자 어셈블리(1)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제1 평면(911)은 제2 평면(931)에 당접되고, 제1 경사면(913)은 제2 경사면(933)에 당접되고, 탄성 부재(94)의 반발력 은 제3 제한부(93)의 제2 평면(931)을 통해 제1 제한부(91)의 제1 평면(911)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작은 외력으로 인한 전자 어셈블리(1)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 어셈블리(1)가 회전하기 시작할 때, 하우징(3)은 제1 회전 부재(A)(21)의 회전을 구동하고, 제1 회전 부재(A)(21)는 제1 기어(51)의 회전을 구동하고, 제1 기어(51)는 제1 제한부(91)의 회전을 구동한다. 이 때, 제1 평면(911)은 제2 평면(931)으로부터 멀어지며, 제1 제한부(91)만이 제2 경사면(933)에 당접된다. 선택적으로, 제1 제한부(91)의 제1 경사면(913)은 제2 경사면(933)에 당접되거나, 또는 제1 제한부(91)의 다른 부분은 제2 경사면(933)에 당접된다. 따라서, 제2 경사면(933)에 의해 제1 제한부(91)에 가해지는 반발력은 회전력으로 분해될 수 있고, 회전력은 전자 어셈블리(1)가 외력을 받는 것을 멈출 때 전자 어셈블리(1) 스스로 전개 상태로 복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어셈블리(1)에 외력을 가하여 전자 어셈블리(1)를 30° 회전시킨 후에, 외력을 제거하면, 전자 어셈블리(1)는 스스로 전개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한부(91)가 회전할 때, 제2 경사면(933)과 제1 돌출부(91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3 제한부(93)는 배플 플레이트(17)를 향해 이동할 수 있으며, 탄성 부재(94)를 더 압축시켜 탄성 부재(94)의 반발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2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돌출부(912)는 제1 경사면(913)에 연결된 제3 평면(912)을 더 포함하고, 제3 평면(912)은 제1 평면(911)에 평행된다. 제2 돌출부(932)는 제2 경사면(933)에 연결된 제4 평면(934)을 더 포함하고, 제4 평면(934)은 제2 평면(931)에 평행된다. 전자 어셈블리(1)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되었을 때, 제2 평면(931)은 제4 평면(934)에 당접된다. 선택적으로, 제3 평면(912) 및 제4 평면(934)은 제1 측벽(11)에 평행된다. 또는, 제3 평면(912) 및 제4 평면(934)은 전자 어셈블리(1)의 회전 방향에 평행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돌출부(912)는 제1 경사면(913)에 연결된 제3 평면(912)을 더 포함하고, 제2 돌출부(932)는 제2 경사면(933)에 연결된 제4 평면(934)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전자 어셈블리(1)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되었을 때, 제2 평면(931)은 제4 평면(934)에 당접된다. 이 때, 반발력은 제4 평면(934)을 통해 제2 평면(931)으로 전달되어, 계속하여 작은 외력으로 인한 전자 어셈블리(1)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어셈블리(1)에 외력을 가하여 전자 어셈블리(1)를 60° 회전시킨 후에, 외력을 제거하면, 전자 어셈블리(1)는 우선 자동으로 전개 상태로 복귀할 수 없고, 다음 작은 외력으로 인한 전자 어셈블리(1)의 회전을 진일보로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제한부(91) 및 제3 제한부(93)의 구조만이 설명되었다. 제2 제한부(92)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제한부(92)의 평면 위에도 돌출부를 설치할 수 있고, 돌출부는 경사면 및 평면을 갖는다. 이런 경우에 제3 제한부(93)에도 돌출부가 설치될 수 있고, 돌출부는 경사면 및 평면을 갖는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1 제한부(91), 제2 제한부(92) 및 제3 제한부(93)는 축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자 어셈블리(1)의 감쇠 효과 및 위치 제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어셈블리(1) 이외에,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 장치(4)를 제공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장치(4) 및 전자 어셈블리(1)는 모두 본 출원의 발명의 포인트를 실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자 장치(4)는 상기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도 2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 상태에 있는 전자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C-C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힌 상태에 있는 전자 장치의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D-D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는 플렉서블 스크린(5) 및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1)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스크린(5)은 전자 어셈블리(1)의 가동 플레이트(32)에 장착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전자 장치(4)는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팜 컴퓨터,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팔찌, 보수계 등 이동 단말기 및 디지털 텔레비전, 데스크탑 컴퓨터 등 고정 단말기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전자 장치(4)에 있어서, 플렉서블 스크린(5)이 안쪽으로 접히도록, 플렉서블 스크린(5)은 가동 플레이트(32)에 탑재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4)가 만곡될 때, 플렉서블 스크린(5)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하우징(3)에 의해 보호된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하우징(3)이 외력에 의해 만곡되면, 하우징(3)은 가동 플레이트(32)가 함께 만곡되도록 구동할 수 있고, 가동 플레이트(32)는 가동 플레이트(32)에 장착된 플렉서블 스크린(5)이 만곡되도록 구동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전자 장치(4)에 있어서,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어셈블리(1)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4)를 구부릴 수 있고, 물방울형 스크린의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낙하에 의한 변위의 누적량을 줄이고, 전자 장치(4)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자 장치(4)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27을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스크린(5)에 가까운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일측에 회피홈(95)이 형성된다. 회피홈(95)은 전자 장치(4)가 만곡될 때에 플렉서블 스크린(5)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장치(4)가 만곡되는 과정에서, 플렉서블 스크린(5)의 만곡 부위는 제1 샤프트 케이스(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변위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출원에 있어서, 플렉서블 스크린(5)에 가까운 제1 샤프트 케이스(10)의 일측에 회피홈(95)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스크린(5)이 만곡될 때, 회피홈(95)은 제1 샤프트 케이스(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변위를 갖는 플렉서블 스크린(5)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어, 플렉서블 스크린(5) 만곡될 때에 제1 샤프트 케이스(10)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고, 플렉서블 스크린(5)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 본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소개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출원의 원리 및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며, 상기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방법 및 핵심 사상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사상에 따라 구체적인 실시예 및 적용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내용은 본 출원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1: 전자 어셈블리
2: 샤프트 어셈블리
3: 하우징
4: 전자 장치
5: 플렉서블 스크린
10: 제1 샤프트 케이스
11: 제1 측벽
12: 제2 측벽
13: 제1 위치 결정부
14: 제2 위치 결정부
15: 제3 회전부
16: 제4 회전부
17: 배플 플레이트
18: 제3 수용 공간
20: 제1 회전 부재
21: 제1 회전 부재(A)
22: 제1 회전 부재(B)
23: 호브 톱니
30: 회전 유닛
31: 제2 회전 부재
32: 가동 플레이트
33: 제1 슬라이딩부
34: 제2 슬라이딩부
35: 제1 회전부
36: 제2 회전부
37: 회전 구멍
38: 회전 부재
40: 제2 샤프트 케이스
50: 동기화 메커니즘
51: 제1 기어
52: 제2 기어
60: 제1 브라켓
61: 제1 수용 공간
62: 제1 내부 기어
63: 제1 수납 공간
70: 제2 브라켓
71: 제2 수용 공간
72: 제2 내부 기어
73: 제2 수납 공간
80: 제1 스퍼 기어
81: 제1 서브 스퍼 기어
82: 제2 서브 스퍼 기어
83: 제2 스퍼 기어
84: 제3 서브 스퍼 기어
85: 제4 서브 스퍼 기어
90: 댐핑 메커니즘
91: 제1 제한부
911: 제1 평면
912: 제1 돌출부
913: 제1 경사면
914: 제3 평면
92: 제2 제한부
93: 제3 제한부
931: 제2 평면
932: 제2 돌출부
933: 제2 경사면
934: 제4 평면
94: 탄성 부재
95: 회피홈

Claims (20)

  1. 전자 어셈블리로서,
    샤프트 어셈블리 및 대향 설치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는 제1 샤프트 케이스, 제1 회전 부재 및 회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샤프트 케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전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샤프트 케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되고, 각 상기 제1 회전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샤프트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상기 제1 회전 부재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 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샤프트 케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되고, 각 상기 회전 유닛은 제2 회전 부재 및 가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샤프트 케이스에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타단은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 케이스는 대향 설치된 제1 측벽 및 대향 설치된 제2 측벽을 포함하고, 각 상기 제2 측벽은 대향 설치된 상기 제1 측벽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 부재는 상기 제1 측벽에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 부재는 상기 제2 측벽에 회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회전 중심의 정투영은 상기 제1 회전 부재의 회전 중심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는 제1 슬라이딩부를 갖고, 상기 제2 회전 부재는 제2 슬라이딩부를 갖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와 제2 슬라이딩부는 서로 협동하여,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2 회전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일단에 제1 회전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에 제2 회전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는 서로 협동하여,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회전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에 회전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회전부는 회전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회전부는 회전 구멍을 통해 상기 회전 부재에 슬리브됨으로써,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회전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측벽에 연결된 제2 샤프트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부재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샤프트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제1 위치 결정부를 갖고, 상기 제2 샤프트 케이스는 제2 위치 결정부를 갖고, 상기 제1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2 위치 결정부는 서로 협동하여 상기 제2 샤프트 케이스가 제1 측벽에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제1 회전 부재는 상기 제1 위치 결정부 또는 상기 제2 위치 결정부에 슬리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벽은 제3 회전부를 갖고, 상기 제2 회전 부재는 제4 회전부를 갖고, 상기 제3 회전부와 상기 제4 회전부는 서로 협동하여 상기 제2 회전 부재가 상기 제2 측벽에 회전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 케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치된 상기 제1 회전 부재는 제1 회전 부재(A) 및 제1 회전 부재(B)이고,
    상기 전자 어셈블리는 동기화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기화 메커니즘은 상기 제1 회전 부재(A) 및 상기 제1 회전 부재(B)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 부재(A)와 상기 제1 회전 부재(B)가 동기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메커니즘은 제1 기어 및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부재(A)는 상기 제1 기어에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제2 기어에 회전 연결되며,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제1 회전 부재(B)에 회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부재의 둘레 측면에 복수의 호브 톱니(hobbed teeth)를 갖고, 상기 복수의 호브 톱니는 상기 제1 회전 부재의 적어도 1/4 둘레 측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메커니즘은 제1 브라켓과 제1 브라켓에 연결된 제2 브라켓, 제1 내부 기어 및 제2 내부 기어, 제1 스퍼 기어 및 제2 스퍼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샤프트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브라켓 내에 제1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 내에 제2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내부 기어는 상기 제1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브라켓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2 내부 기어는 상기 제2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브라켓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회전 부재(A)는 상기 제1 내부 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 부재(B)는 상기 제2 내부 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내부 기어 내에 제1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내부 기어 내에 제2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퍼 기어(spur gear)는 상기 제1 수납 공간 내에 설치된 제1 서브 스퍼 기어와 상기 제1 수납 공간 밖에 설치된 제2 서브 스퍼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스퍼 기어는 상기 제1 내부 기어에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2 스퍼 기어는 상기 제2 수납 공간 내에 설치된 제3 서브 스퍼 기어와 상기 제2 수납 공간 밖에 설치된 제4 서브 스퍼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서브 스퍼 기어는 상기 제2 내부 기어에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4 서브 스퍼 기어는 상기 제2 서브 스퍼 기어에 회전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 부재(A)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내부 기어, 상기 제2 내부 기어, 상기 제1 스퍼 기어 및 상기 제2 스퍼 기어는 서로 협동하여 상기 제1 회전 부재(A)와 상기 제1 회전 부재(B)가 동기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스퍼 기어의 직경은 상기 제1 서브 스퍼 기어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4 서브 스퍼 기어의 직경은 상기 제3 서브 스퍼 기어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 케이스 내에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가 더 설치되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 상기 제1 측벽 및 대향 설치된 상기 제2 측벽은 둘러싸여 제3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전자 어셈블리는 상기 제3 수용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댐핑 메커니즘(damping mechanism)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댐핑 메커니즘은 탄성 부재, 제1 제한부 및 제2 제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한부의 일단은 상기 제1 측벽을 관통하고 또한 상기 제1 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제한부의 타단은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에 당접되고, 상기 제2 제한부의 일단은 상기 제1 측벽을 관통하고 또한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제한부의 타단은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에 당접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은 상기 배플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메커니즘은 제3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제한부의 일단은 상기 탄성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제한부의 타단은 상기 제1 제한부 및 상기 제2 제한부에 당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한부에 가까운 상기 제1 제한부의 측면은 제1 평면이고, 상기 제1 제한부에 가까운 상기 제3 제한부의 측면은 제2 평면이며,
    상기 제1 평면의 일부에는 돌출된 제1 돌출부가 있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평면에 연결된 제1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2 평면의 일부에는 돌출된 제2 돌출부가 있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평면에 연결된 제2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전자 어셈블리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평면은 상기 제2 평면에 당접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제2 경사면에 당접되며,
    상기 전자 어셈블리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제한부는 상기 제2 경사면에 당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경사면에 연결된 제3 평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평면은 상기 제1 평면과 평행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경사면에 연결된 제4 평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평면은 상기 제2 평면과 평행되고,
    상기 전자 어셈블리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된 경우, 상기 제2 평면은 상기 제4 평면에 당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어셈블리.
  19. 전자 장치로서,
    플렉서블 스크린 및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은 상기 전자 어셈블리의 가동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에 가까운 제1 샤프트 케이스의 한쪽에 회피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피홈은 상기 전자 장치가 만곡될 때에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227032644A 2020-04-30 2021-03-03 전자 어셈블리 및 전자 장치 KR102653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371220.0A CN113586594B (zh) 2020-04-30 2020-04-30 电子组件、电子设备
CN202010371220.0 2020-04-30
PCT/CN2021/078897 WO2021218368A1 (zh) 2020-04-30 2021-03-03 电子组件、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364A true KR20220145364A (ko) 2022-10-28
KR102653353B1 KR102653353B1 (ko) 2024-04-02

Family

ID=7823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644A KR102653353B1 (ko) 2020-04-30 2021-03-03 전자 어셈블리 및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77920A1 (ko)
EP (1) EP4099666A4 (ko)
JP (1) JP7441962B2 (ko)
KR (1) KR102653353B1 (ko)
CN (3) CN114962433B (ko)
WO (1) WO20212183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5277B (zh) * 2019-02-25 2021-11-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转动装置、壳体及电子装置
CN114962433B (zh) * 2020-04-30 2023-03-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组件、电子设备
CN114203049B (zh) * 2021-12-23 2023-11-28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弯折支撑机构、柔性显示装置及弯折治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625A (ko) * 2014-09-01 2016-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21350A (ko) * 2015-04-09 201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CN207777905U (zh) * 2017-12-06 2018-08-2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KR20190062107A (ko) * 2017-11-28 2019-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0714976A (zh) * 2018-07-13 2020-01-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式电子设备及折叠式电子设备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9674A (ja) * 2001-06-01 2002-12-13 Mg:Kk ヒンジユニット
JP2013118437A (ja) * 2011-12-01 2013-06-13 Kyocera Corp 折り畳み式電子機器
KR101861077B1 (ko) * 2016-06-02 2018-06-05 주식회사 이랜텍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M551804U (zh) * 2017-06-08 2017-11-11 First Dome Corp 鉸鏈及具有該鉸鏈的折疊式電子裝置
CN107731100B (zh) * 2017-10-25 2020-05-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式显示设备
CN108322567B (zh) 2018-02-01 2019-11-0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KR102085235B1 (ko) * 2018-05-28 2020-03-05 (주) 프렉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40815B1 (ko) 2018-06-01 2023-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611726B (zh) * 2018-06-14 2024-05-2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柔性屏移动终端铰链及柔性屏移动终端
CN208651418U (zh) * 2018-07-13 2019-03-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CN208421694U (zh) * 2018-07-13 2019-0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208421695U (zh) * 2018-07-13 2019-0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208656822U (zh) * 2018-07-13 2019-03-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KR20200011100A (ko) * 2018-07-24 2020-02-03 (주)오라컴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구조
CN109270987B (zh) * 2018-08-29 2020-09-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转轴及具有该转轴的电子设备
TWI687795B (zh) * 2018-09-27 2020-03-11 兆利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折疊式裝置的轉軸模組
CN209545628U (zh) * 2018-11-06 2019-10-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9379517B (zh) * 2018-11-06 2021-03-12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
CN209591356U (zh) * 2018-11-06 2019-11-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TWI681284B (zh) * 2018-12-25 2020-01-0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樞轉機構及可撓式電子裝置
CN109780403B (zh) * 2019-01-29 2020-08-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转动连接组件及折叠式终端设备
TWI695666B (zh) * 2019-07-09 2020-06-0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樞轉機構及可撓式電子裝置
CN110273916A (zh) * 2019-07-12 2019-09-24 东莞市劲丰电子有限公司 基于两轴转五轴的柔性屏外折同步转动机构
CN211239890U (zh) * 2019-10-12 2020-08-11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应用于内折柔性屏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终端
CN110784570B (zh) * 2019-10-29 2021-04-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CN110995892B (zh) * 2019-10-31 2021-10-26 华为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0714978A (zh) * 2019-11-15 2020-01-21 东莞市宏联电子有限公司 一种转动机构和柔性屏设备
CN110778598B (zh) * 2019-11-26 2024-04-30 昆山玮硕恒基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折叠屏内折同步转动机构及电子设备
CN112995368B (zh) * 2019-12-13 202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铰链和移动终端
CN114962433B (zh) * 2020-04-30 2023-03-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组件、电子设备
CN115059684B (zh) * 2020-04-30 2024-05-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转轴套件、电子设备
CN112150921B (zh) * 2020-09-16 2022-02-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CN114205430B (zh) * 2020-09-17 2022-11-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转轴机构及可折叠电子设备
CN115370655A (zh) * 2021-05-18 2022-11-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转动模组和电子设备
TWI769106B (zh) * 2021-10-28 2022-06-2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鉸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625A (ko) * 2014-09-01 2016-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21350A (ko) * 2015-04-09 201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20190062107A (ko) * 2017-11-28 2019-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207777905U (zh) * 2017-12-06 2018-08-2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CN110714976A (zh) * 2018-07-13 2020-01-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式电子设备及折叠式电子设备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8368A1 (zh) 2021-11-04
CN114962433A (zh) 2022-08-30
CN113586594B (zh) 2022-06-07
JP2023517550A (ja) 2023-04-26
JP7441962B2 (ja) 2024-03-01
KR102653353B1 (ko) 2024-04-02
EP4099666A4 (en) 2023-08-02
CN115199638A (zh) 2022-10-18
CN113586594A (zh) 2021-11-02
US20220377920A1 (en) 2022-11-24
EP4099666A1 (en) 2022-12-07
CN115199638B (zh) 2024-02-13
CN114962433B (zh)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5364A (ko) 전자 어셈블리 및 전자 장치
CN114321596B (zh) 折叠机构、电子设备
WO2021007750A1 (zh) 折叠装置及电子设备
EP4286985A2 (en) Electronic device and foldable assembly
EP4207142A1 (en) Foldabl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9310850B2 (en) Synchronous movement device applied to dual-shaft system
US20230049603A1 (en) Rotary Shaft Kit and Electronic Device
US11163339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EP4318177A1 (en)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N113314037A (zh) 柔性显示面板、电子装置以及铰链
KR20240053073A (ko) 회전축 기구 및 전자 장치
CN113586593A (zh) 同步机构、转轴套件、电子设备
JP2008095935A (ja) 平行二軸ヒンジモジュール
CN215521602U (zh) 一种枢纽器和电子设备
EP4269824A1 (en) Synchronization mechanism, rotating shaft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WO2024067615A1 (zh) 电子设备和折叠机构
EP4286986A1 (en) Rotating shaft mechanism, support device and folding screen apparatus
WO2024061020A1 (zh) 转动机构和可折叠电子设备
CN115695595A (zh) 折叠机构及电子设备
CN117469263A (zh) 转轴结构及电子设备
CN116677706A (zh) 铰链机构和电子设备
CN117749924A (zh) 折叠装置、壳体组件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