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815A - 히트 파이프 내부용 금속 심지의 권축 방법 - Google Patents

히트 파이프 내부용 금속 심지의 권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815A
KR20220144815A KR1020227029955A KR20227029955A KR20220144815A KR 20220144815 A KR20220144815 A KR 20220144815A KR 1020227029955 A KR1020227029955 A KR 1020227029955A KR 20227029955 A KR20227029955 A KR 20227029955A KR 20220144815 A KR20220144815 A KR 20220144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ck
end plug
crimp
heat pip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9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엠 그로스
Original Assignee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컴퍼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컴퍼니 엘엘씨 filed Critical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컴퍼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144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4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tubes having a capillary structure
    • F28D15/046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tubes having a capillary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construction of the capillary structure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24Promoting flow of the coolant
    • G21C15/257Promoting flow of the coolant using heat-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6Fastening; Joining by welding
    • F28F2275/061Fastening; Joining by welding by diffusion bon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12Fastening; Joining by methods involving deformation of the elements
    • F28F2275/122Fastening; Joining by methods involving deformation of the elements by crimping, caulking or clin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히트 파이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심지 조립체가 개시된다. 심지 조립체는 심지 수용 영역을 포함한 단부 플러그, 심지, 및 권축부를 포함한다. 심지의 일부분은 심지 수용 영역 주위에 위치한다. 권축부는 심지의 일부분과 심지 수용 영역 주위에 위치한다. 단부 플러그, 심지의 일부분, 및 권축부는 확산 접합된다.

Description

히트 파이프 내부용 금속 심지의 권축 방법
정부 계약
본 발명은, 에너지부가 부여한 계약 번호 FOA-1817 하에 정부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정부는 본 발명에 대해 소정의 권리를 갖는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2월 21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979,822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열 전달 시스템에 사용되는 히트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히트 파이프의 작동 유체를 히트 파이프의 응축기 영역으로부터 증발기 영역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히트 파이프 내의 심지에 관한 것이다.
히트 파이프는 일차 측(증발기 섹션)에서 이차 측(응축기 섹션)으로 열을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밀폐된 2상 열 전달 구성 요소이다. 도 1은, 예시로서, 전술한 증발기 섹션(102) 및 응축기 섹션(106)을 포함한 히트 파이프(100)를 그 사이에 연장된 단열 섹션(104)과 함께 나타낸다. 히트 파이프(100)는 작동 유체(예컨대, 물, 액체 칼륨, 나트륨) 및 심지 구조(108)를 추가로 포함한다. 작동 시, 작동 유체는 증발기 섹션(102)에서 열을 흡수하고 증발하도록 구성된다. 증발의 잠재 열을 운반하는 포화 증기는, 단열 섹션(104)을 통해 응축기 섹션(106)을 향해서 흐른다. 응축기 섹션(106)에서, 증기는 응축되어 잠재 열을 방출한다. 그 다음, 응축된 액체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심지 구조(108)를 통해 증발기 섹션(102)으로 복귀한다. 작업 유체의 전술한 흐름 경로는 도 1의 화살표에 의해 나타나 있다. 상 변화 공정 및 2상 흐름 순환은, 증발기와 응축기 섹션 사이의 온도 구배가 유지되는 한, 계속된다. 비등 및 응축에 대한 매우 높은 열 전달 계수로 인해, 히트 파이프는 매우 효과적인 열 전도체이다.
원자로 시스템에서, 히트 파이프의 증발기 섹션을 핵 연료를 함유한 반응기 코어 내에 배치함으로써 히트 파이프를 활용하고, 응축기 섹션은 열 교환기 근처에 배치한다. 핵 연료는 작동 유체를 증발시키고, 열 교환기는 응축기 섹션의 잠재 열을 흡수한다. 원자력 응용에서의 예시적인 히트 파이프는 미국 특허 제5,684,848호, 미국 특허 제6,768,781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6/0027536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그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된다.
원자로 시스템에서 히트 파이프의 또 다른 예시적인 용도는 마이크로-반응기이며, 이는 10 MWe 미만을 발생시키고 원격 응용을 위해 배치될 수 있는 핵 반응기이다. 이들 마이크로-반응기는 비교적 작은 컨테이너에 패키징되고, 작업자의 적극적인 개입 없이 작동하며, 재급유/교체 없이 종래의 원자력 발전소보다 더 긴 기간 동안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반응기 중 하나는 웨스팅하우스 전기 회사가 설계한 eVinci 마이크로 반응기 시스템이다. eVinci 시스템은 히트 파이프 냉각 반응기 전력 시스템으로서, 히트 파이프를 사용하여 열 에너지를 반응기 코어에서 열 교환기로 효율적으로 이동시키는, 수동 열 제거 장치로서 작용한다.
마이크로-반응기에 사용되는 히트 파이프는 극단적인 작동 온도(>850℃)를 경험하며, 이들 온도를 견딜 수 있고 여전히 적절하게 기능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 내부 심지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심지는, 튜브형 구조로 함께 롤링되고 확산 접합되는 와이어 메시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심지 튜브는, 히트 파이프 내의 작동 유체가 (잠재적 열이 방출되고 작동 유체가 심지에 의해 흡수된 후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그의 축을 따라 (모세관 작용으로 작동 유체를 증발기 섹션을 향해 다시 전달하는 것)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강성은 유지된다.
시스템이 적절히 기능하기 위해서는, 심지 튜브의 일 단부가 히트 파이프의 내부 단부에 밀봉되어야 한다. 이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심지를 단부 플러그에 결합시키고, 그 다음 단부 플러그를 히트 파이프에 용접하는 것이다. 심지 튜브가 단부 플러그에 결합될 경우, 작동 심지의 예상 압력 차이보다 큰 압력을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압력 차이는 심지의 기공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결국 롤형 심지의 층의 갯수 및 확산 접합 공정에 따라 달라진다.
심지는 일반적으로 매우 얇은 벽(~0.014 인치)을 가지며, 고체 금속으로 구성되지 않으므로, 표준 얇은 벽 튜브/용접 방법은 심지를 단부 플러그에 결합시키는 데 쉽게 사용될 수 없다. 또한, 용접 방법을 사용하려는 시도는 심지를 박리시켜, 필요에 따라 내부 압력을 유지하는 심지 능력을 효과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에 대한 기하학적 제약으로 인해 스웨이징 방법을 사용하려는 시도는 가능하지 않다.
본 개시의 목적은, 히트 파이프의 응축기 섹션으로부터 히트 파이프의 증발기 섹션으로 작동 유체를 흡수하고 전달하는 것과 같이, 의도된 설계 기능을 수행하는 심지의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고 작동 심지의 예상 압력 차이보다 더 큰 압력을 유지하도록, 단부 플러그에 심지를 융합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심지 수용 영역, 심지, 및 권축부를 포함한 단부 플러그를 포함하여 히트 파이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심지 조립체가 개시된다. 심지의 일부분은 심지 수용 영역 주위에 위치한다. 권축부는 심지의 일부분과 심지 수용 영역 주위에 위치한다. 단부 플러그, 심지의 일부분, 및 권축부는 확산 접합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증발기 영역, 단열 영역, 응축기 영역, 및 심지 조립체를 포함한 히트 파이프가 개시된다. 심지 조립체는 제1 체결 부분을 포함한 단부 플러그, 및 제1 체결 부분과 중첩하도록 구성된 제2 체결 부분을 포함한 심지를 포함한다. 심지 조립체는, 제1 체결 부분 및 제2 체결 부분과 중첩하도록 구성된 제3 체결 부분을 포함한 권축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체결 부분, 제2 체결 부분, 및 제3 체결 부분은 확산 접합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히트 파이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심지 조립체를 구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권축부 위로 심지의 일부분을 슬라이딩하는 단계, 심지/권축부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심지/권축부 조립체를 단부 플러그의 심지 수용 영역 위로 슬라이딩하는 단계,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 주위에 권축 장치를 위치시키는 단계, 권축 장치를 사용하여 권축부를 권축하는 단계, 및 외부 열원을 사용하여 권축부, 심지, 및 단부 플러그를 확산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 설명된 양태의 다양한 특징은, 그 이점과 함께, 다음과 같은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한 다음의 설명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히트 파이프를 통해 이동하는 히트 파이프의 작동 유체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단부 플러그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권축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양태에 따라, 심지 위에 위치한 권축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양태에 따라, 단부 플러그의 심지 수용 영역 위에 위치한 심지/권축부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6a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양태에 따른 클램핑 장치를 나타낸다.
도 6b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양태에 따라, 클램핑 장치의 클램 쉘 클램프의 상부도를 나타낸다.
도 6c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양태에 따라, 클램핑 장치의 클램 쉘 클램프의 전방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양태에 따라, 권축 장치가 개방 위치에 있는 클램 쉘 클램프의 수용 표면 내의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양태에 따라, 권축 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는 클램 쉘 클램프의 수용 표면 내의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양태에 따라,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에 압력을 인가하는 권축 장치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양태에 따라, 권축된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에 열을 인가하는 외부 열 공급원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양태에 따라, 압력 시험을 거치는 심지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양태에 따라,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양 단부에서 단부 플러그에 확산 접합된 심지를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양태에 따라, 심지 조립체를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대응하는 참조 숫자는 여러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본원에 기재된 예시는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를 하나의 형태로 나타내며, 이러한 예시는 임의의 방식으로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현예의 전체 구조, 기능, 제조 및 용도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이 제시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태를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잘 알려진 작동, 구성 요소 및 요소는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독자는 본원에 설명되고 나타낸 구현예가 비제한적인 예시임을 이해할 것이고,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특정 구조적 및 기능적 세부 사항은 대표적이고 예시적인 것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변형 및 변경은 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단부 플러그(200)를 나타낸다. 단부 플러그(200)는 환형 단면 형상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단부 플러그(200)는 다른 단면 형상, 예컨대 사각형 단면 형상, 직사각형 단면 형상 또는 단부 플러그(200)가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히트 파이프의 단면 형상과 유사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부 플러그(200)는 예로서 강 또는 구리와 같은 히트 파이프의 높은 작동 온도를 견디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단부 플러그(200)는 제1 단부(202), 제2 단부(206), 및 제1 단부(202)와 제2 단부(206) 사이에 위치한 중간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202)는 용접, 접착제, 패스너 또는 임의의 다른 다양한 적절한 연결부에 의해 히트 파이프의 내부 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제1 단부(202)는 제2 단부(206) 및 중간 부분(204)과 비교하여 가장 큰 단면적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제1 단부(202)는 제2 단부(206) 또는 중간 부분(204)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면적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제1 단부(202)는 제2 단부(206) 및 중간 부분(204)과 비교하여 최소 단면적을 포함한다.
제1 단부(202)는 제1 직경(d1) 및 제1 길이(L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직경(d1)은 0.750"일 수 있고, 제1 길이(L1)은 0.25"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1 직경(d1) 대 제1 길이(L1)의 비율은 3:1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1 직경(d1) 대 제1 길이(L11)의 비율은 예시로서 3:1 초과, 예컨대 4:1, 4.5:1, 또는 5:1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1 직경(d1) 대 제1 길이(L11)의 비율은 예시로서 3:1 미만, 예컨대 2:1, 1.5:1, 또는 1.25:1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중간 부분(204)은 제2 직경(d2) 및 제2 길이(L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2 직경(d2)은 0.615"일 수 있고, 제1 길이(L2)는 0.15"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2 직경(d2) 대 제2 길이(L2)의 비율은 약 4.1:1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2 직경(d2) 대 제2 길이(L2)의 비율은 예시로서 4.1:1 초과, 예컨대 5:1, 5.5:1, 또는 6:1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2 직경(d2) 대 제2 길이(L2)의 비율은 예시로서 4.1:1 미만, 예컨대 3:1, 2.5:1, 또는 2:1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직경(d1) 대 제2 직경(d2)의 비율은 약 1.2:1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직경(d1) 대 제2 직경(d2)의 비율은 예시로서 1.2:1 초과, 예컨대 1.5:1, 2:1, 또는 2.5:1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직경(d1) 대 제2 직경(d2)의 비율은 예시로서 1.2:1 미만, 예컨대 1.1:1, 1.05:1, 또는 1:1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길이(L1) 대 제2 길이(L2)의 비율은 약 1.7:1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길이(L1) 대 제2 길이(L2)의 비율은 예시로서 1.7:1 초과, 예컨대 2:1, 2.25:1, 또는 2.5:1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길이(L1) 대 제2 길이(L2)의 비율은 예시로서 1.7:1 미만, 예컨대 1.5:1, 1.25:1, 또는 1:1일 수 있다.
제2 단부(206)는 그의 길이를 따라 단차형 구성을 정의한다. 다른 방식으로 말하면, 제2 단부(206)는 내부에 정의된 홈(210)을 포함하여 제2 단부(206)가 제1 단차형 영역(208)과 제2 단차형 영역 또는 홈(210)을 포함하도록 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단부(206)는 내부에 정의된 두 개의 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2 단부는 내부에 정의된 하나의 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2 단부는 내부에 정의된 세 개 이상의 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차형 영역(208)은 제3 직경(d3)과 제3 길이(L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3 직경(d3)은 0.542"일 수 있고, 제3 길이(L3)은 0.1"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3 직경(d3) 대 제3 길이(L3)의 비율은 약 5.4:1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3 직경(d3) 대 제3 길이(L3)의 비율은 예시로서 5.4:1 초과, 예컨대 5.5:1, 6:1, 또는 6.5:1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3 직경(d3) 대 제3 길이(L3)의 비율은 예시로서 5.4:1 미만, 예컨대 5:1, 4.5:1, 또는 4:1일 수 있다.
홈(210)은 제4 직경(d4) 및 제4 길이(L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4 직경(d3)은 0.512"일 수 있고, 제4 길이(L4)은 0.1"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4 직경(d4) 대 제4 길이(L4)의 비율은 약 5.1:1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4 직경(d4) 대 제4 길이(L4)의 비율은 예시로서 5.1:1 초과, 예컨대 5.5:1, 6:1, 또는 6.5:1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4 직경(d4) 대 제4 길이(L4)의 비율은 예시로서 5.1:1 미만, 예컨대 5:1, 4.5:1, 또는 4:1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제3 직경(d3) 대 제4 직경(d4)의 비율은 약 1.1:1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3 직경(d3) 대 제4 직경(d4)의 비율은 예시로서 1.1:1 초과, 예컨대 1.25:1, 1.5:1, 또는 2:1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3 직경(d3) 대 제4 직경(d4)의 비율은 예시로서 1.1:1 미만, 예컨대 1.075:1, 1.05:1, 또는 1.025:1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제3 길이(L3) 대 제4 길이(L4)의 비율은 약 1:1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3 길이(L3) 대 제4 길이(L4)의 비율은 예시로서 1:1 초과, 예컨대 1.25:1, 1.5:1, 또는 1.75:1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3 길이(L3) 대 제4 길이(L4)의 비율은 예시로서 1:1 미만, 예컨대 0.75:1, 0.5:1, 또는 0.25:1일 수 있다.
제2 단부(206)는 또한 테이퍼 영역(2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테이퍼 영역(214)은 편평한 섹션이거나 실질적으로 편평한 섹션(216) 및 편평한 섹션(216)으로부터 연장된 테이퍼형 섹션(218)을 포함할 수 있다. 집합적으로, 제1 단차형 영역(208), 홈(210), 편평한 섹션(216), 및 테이퍼형 섹션(218)은 심지 수용 영역(212)을 정의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편평한 섹션(216)은 제5 직경(d5) 및 제5 길이(L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5 직경(d5)은 제1 단차형 영역(208)의 직경, 즉, d3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5 직경(d5)은 홈(210)의 직경, 즉, d4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제5 길이(L5)는 0.03 인치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5 길이(L5)는 제3 길이(L3) 또는 제4 길이(L4) 중 하나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형 섹션(218)은 편평한 섹션(216)으로부터 제6 직경(dL6)을 향해 제6 길이(L6)에 걸쳐 각도 α로 연장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6 직경(d6)은 0.53"일 수 있고, 제6 길이는 0.07"일 수 있고, 각도 α는 5°일 수 있다. 제6 직경(d6)이 0.53 인치 초과(예컨대 0.535 인치) 또는 0.53 인치 미만(예컨대 0.5 인치)인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가 고려된다. 제6 길이(L6)가 0.07 인치 초과(예컨대 0.1 인치) 또는 0.07 인치 미만(예컨대 0.05 인치)인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가 고려된다. 각도 α가 5° 초과(예컨대 10°) 또는 0.53 인치 미만(예컨대 3°)인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가 고려된다.
일 양태에서, 단부 플러그(200)는, 직경(C1)을 포함하는 보어(220)가 완전히 관통하여 정의된, 중공형 단부 플러그(200)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보어 직경(C1)은 0.25인치이다. 보어 직경(C1)이 0.25 인치 초과(예컨대 0.4 인치) 또는 0.25 인치 미만(예컨대 0.1 인치)인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가 고려된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단부 플러그(200)는 내부에 정의된 보어(220)가 없는 고형 단부 플러그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보어(220)는 제1 단부(202)를 통해서만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보어(220)는 제1 단부(202)와 제2 단부(206)를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보어(220)는 심지 수용 영역(212)을 통해서만 연장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권축부(300)가 나타나 있다. 권축부(300)는 제7 길이(L7), 내경(di) 및 외경(do)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권축부(300)의 제7 길이(L7)는, 심지 수용 영역(212)을 정의하는 제1 단차형 영역(208), 홈(210), 편평한 섹션(216), 및 테이퍼형 섹션(218)의 집합 길이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7 길이(L7)는 0.5 인치일 수 있다. 제7 길이(L7)가 0.5 인치 초과(예컨대 0.75 인치) 또는 0.5 인치 미만(예컨대 0.25 인치)인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가 고려된다. 일 양태에서, 권축부(300)는 복수의 권축부(300)가 심지 수용 영역(212)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권축부(300)는 예로서 강철 또는 구리와 같은 히트 파이프의 높은 작동 온도를 견디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 또는 제조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축부(300)의 내부 직경(di)은, 권축부(300)가 심지(400) 위로 슬라이딩하여 심지/권축부 조립체(308)를 생성하도록 설계된다. 내경(di)은, 심지(400)가 권축부(300) 위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충분한 필요한 간격을 갖지만 심지(400) 둘레에 또한 꼭 맞도록 하는 크기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내경(di)은 0.580 인치일 수 있고 외경은 0.640 인치일 수 있어서, 0.06 인치의 두께를 생성한다. 권축부(300)의 두께가 0.06 인치 초과(예컨대 0.1 인치) 또는 0.06 인치 미만(예컨대 0.05 인치)인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가 고려된다.
일단 권축부(300)가 심지/권축부 조립체(308)를 형성하기 위해 심지(400) 주위에 위치하면, 심지/권축부 조립체(308)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플러그(200)의 심지 수용 영역(212) 위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테이퍼 영역(214)은 심지 수용 영역(212) 주위에 심지/권축부 조립체(308)를 위치시키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되고, 단부 플러그(200)의 중간 섹션(204)은 심지/권축부 조립체(308)와 접경하도록 구성되어 심지/권축부 조립체(308)가 심지 수용 영역(212)을 지나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설계와 달리, 심지 수용 영역(212), 특히 제1 단부(208)와 홈(210)의 프로파일은 직선형이어서, 심지(400)와 심지 수용 영역(212) 사이의 균일한 표면 접촉을 허용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플러그(200)의 심지 수용 영역(212) 주위에 위치한 심지/권축부 조립체(308)는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310)를 정의한다.
이제 도 6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권축 장치(500)가 나타나 있다. 권축 장치(500)는 한 쌍의 클램 쉘 클램프(502, 504) 및 한 쌍의 막대(510)를 포함하며, 이는 클램 쉘 클램프(502, 504)가 이격된 위치(도 6a 참조)와 클램핑된 위치(도 8 참조)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 클램 쉘 클램프(502, 504)는, 각각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310)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구성되는, 수용 표면(506, 508)을 포함한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 쉘 클램프(502)(또는 클램 쉘 클램프(504))는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31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는 길이(L8)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길이는 0.5 인치일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권축이 심지(400) 및 심지 수용 영역(212) 주위에 위치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8 길이(L8)는 권축부(300) 길이, , L7과 일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8 길이(L8)는 권축부(300)의 길이보다 클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전체 권축부(300)가 수용 표면(506, 508) 내에 위치함을 확실히 알 수 있다.
또한,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 쉘 클램프(502)(또는 클램프 쉘 클램프(504))는 반경(r1)을 포함하여, 수용 표면(506, 508)이 클램핑된 위치에서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310)에 대해 집합적으로 꼭 맞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음).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반경(r1)은 0.597 인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반경(r1)은 권축부(300)의 외경, do와 동일하거나,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축 장치(500)는 클램 셸 클램프(504)의 수용 표면(508) 내에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3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단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310)가 수용 표면(508) 내에 위치하면, 클램 쉘 클램프(504)는 클램 쉘 클램프(502)의 수용 표면(506)이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310) 주위에 위치하도록 막대(510)를 따라 슬라이딩 구성된다(도 8).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수용 표면(506, 508) 사이에 일단 클램핑되면, 권축 장치(500)는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310)에 압력을 인가하여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310)를 권축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여,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310)가 권축되면, 퍼니스와 같은 외부 열 공급원이 권축된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310)에 열을 인가하도록 구성되고, 단부 플러그(200), 심지(400), 및 권축부(300)를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310)에서 확산 접합시킨다. 심지(400)를 단부 플러그(200)에 확산 접합시키면, 심지를 작동 심지의 예상 압력 차이보다 큰 압력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심지(400)를 단부 플러그(200)에 확산 접합하면, 히트 파이프의 응축기 섹션으로부터 히트 파이프의 증발기 섹션으로 작동 유체를 흡수하고 전달하는 것과 같이, 의도된 설계 기능을 수행하는 심지(400)의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심지 수용 영역 내의 홈(210)의 사용은, 단부 플러그(200)에 확산 접합될 경우에 심지(400)를 따라 압력 분포를 허용한다. 예를 들어, 제1 단차형 영역(208)을 따라 위치하는 심지(400)의 일부분은 제1 힘을 권축부(300)로부터 경험하게 되는 반면에, 홈(210)을 따라 위치하는 심지(400)의 일부분은, 심지(400)가 홈(210) 내로 처질 경우에 제1 힘보다 작은 제2 힘을 권축부(300)로부터 경험한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따라 심지 조립체가 나타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권축부(300), 심지(400), 및 단부 플러그(200)는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310)에서 함께 확산 접합된다. 일단 조립되면, 플러그/심지/권축부 배열이 의도된 용도에 적합한지 보증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압력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다.
이제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히트 파이프(600)가 나타나 있다. 히트 파이프(600)는 증발기 섹션(602), 응축기 섹션(606),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단열 섹션(604)을 포함한다. 히트 파이프(600)는 두 개의 단부 플러그(200)를 포함하며, 각각은 히트 파이프(600)의 대향 단부 상에 위치한다. 제1 단부(202)는 용접, 접착제, 패스너 또는 임의의 다른 다양한 적절한 연결부에 의해 히트 파이프(600)의 내부 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심지(400)는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310)에서 단부 플러그(200) 각각에 확산 접합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히트 파이프(600)의 하나의 단부만이 단부 플러그(200)에 확산 접합되는 심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플러그(200)는, 심지가 히트 파이프(600) 내에 중심이 설정되도록 히트 파이프(600)의 측벽(602)으로부터 멀리 일정 거리(ds)에 심지(400)를 유지한다. 단부 플러그(200)는 또한 하나의 단부 플러그(200)로부터 다른 하나의 단부 플러그(200)까지 히트 파이프(600)의 길이를 따라 심지(400)의 선형 구성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이제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심지 조립체(700)를 구성하는 방법이 나타나 있다. 방법은, 예시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지의 일부분 위로 권축부를 슬라이딩시키켜 심지/권축부 조립체(702)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예시로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플러그의 심지 수용 영역 위로 심지/권축부 조립체를 슬라이딩하여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704)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예시로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706) 주위에 권축 장치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방법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축부(708)를 권축하기 위해 권축 장치를 사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방법은 예시로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열원을 사용하여 권축, 심지, 및 단부 플러그를 확산 접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원에 설명된 주제의 다양한 양태가 다음의 실시예에 제시된다.
실시예1 - 히트 파이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심지 조립체로서, 심지 수용 영역을 포함한 단부 플러그, 상기 심지 수용 영역 주위에 일부분이 위치한 심지, 상기 심지의 일부분 및 상기 심지 수용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권축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부 플러그, 상기 심지의 일부분, 및 상기 권축부는 확산 접합되는, 심지 조립체.
실시예2 - 실시예1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중공형 단부 플러그를 포함하는, 심지 조립체.
실시예3 - 실시예1 또는 실시예2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환형 단부 플러그를 포함하는, 심지 조립체.
실시예4 - 실시예1 내지 실시예3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금속 단부 플러그를 포함하는, 심지 조립체.
실시예5 - 실시예1 내지 실시예4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상기 심지 수용 영역은 비-테이프형 영역, 및 상기 비-테이프형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테이퍼형 영역을 포함하는, 심지 조립체.
실시예6 - 실시예5에 있어서, 상기 비-테이프형 영역은 내부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심지 조립체.
실시예7 - 실시예5 또는 실시예6에 있어서, 상기 비-테이프형 영역은 내부에 정의된 두 개의 홈을 포함하는, 심지 조립체.
실시예8 - 실시예1 내지 실시예7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환형 심지를 포함하는, 심지 조립체.
실시예9 - 실시예1 내지 실시예8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상기 심지가 상기 심지 수용 영역을 지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중간 섹션을 포함하는, 심지 조립체.
실시예10 - 실시예9에 있어서, 상기 중간 섹션은 상기 권축부가 상기 심지 수용 영역을 지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심지 조립체.
실시예11 - 증발기 영역, 단열 영역, 응축기 영역, 및 심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로서, 상기 심지 조립체는 제1 체결 부분을 포함한 단부 플러그, 상기 제1 체결 부분과 중첩하도록 구성된 제2 체결 부분을 포함한 심지, 및 상기 제1 체결 부분과 상기 제2 체결 부분과 중첩하도록 구성된 제3 체결 부분을 포함한 권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체결 부분, 상기 제2 체결 부분, 및 상기 제3 체결 부분은 확산 접합되는, 히트 파이프.
실시예12 - 실시예11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상기 응축기 영역, 상기 단열 영역, 및 상기 증발기 영역을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히트 파이프.
실시예13 - 실시예11 또는 실시예12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중공형 단부 플러그를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
실시예14 - 실시예11 내지 실시예13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환형 플러그를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
실시예15 - 실시예11 내지 실시예14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금속 단부 플러그를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
실시예16 - 실시예11 내지 실시예15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부분은 비-테이퍼 영역, 및 상기 비-테이프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테이퍼 영역을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
실시예17 - 실시예16에 있어서, 상기 비-테이프형 영역은 내부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
실시예18 - 실시예16에 있어서, 상기 비-테이프형 영역은 내부에 정의된 두 개의 홈을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
실시예19 - 실시예11 내지 실시예18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환형 심지를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
실시예20 - 실시예11 내지 실시예19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상기 제2 체결 부분이 상기 제1 체결 부분을 지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심지와 접경하도록 구성된 중간 섹션을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
실시예21 - 실시예20에 있어서, 상기 중간 섹션은 상기 제3 체결 부분이 상기 제1 체결 부분을 지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권축부와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히트 파이프.
실시예22 - 실시예11 내지 실시예21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제1 단부 플러그이고, 상기 심지 조립체는 제2 단부 플러그를 추가로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
실시예23 - 실시예22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 플러그와 상기 제2 단부 플러그는 상기 히트 파이프 내에서 상기 심지를 중심에 오도록 구성되는, 히트 파이프.
실시예24 - 히트 파이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심지 조립체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심지의 일부분을 권축부 위로 슬라이딩시키는 단계, 심지/권축부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단부 플러그의 심지 수용 영역 위로 상기 심지/권축부 조립체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 주위에 권축 장치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권축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권축부를 권축하는 단계, 외부 열 공급원을 사용하여 상기 권축부, 상기 심지, 및 상기 단부 플러그를 확산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전술한 개시로부터 명백하게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개시 전체에 걸쳐, “처리”, “컴퓨팅”, “계산”, “결정”, “표시”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논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유사한 전자 컴퓨팅 장치의 동작 및 프로세스를 지칭하며, 이는 컴퓨터 시스템의 레지스터 및 메모리 내에서 물리적인(전자적인) 양으로 표시되는 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 또는 다른 이러한 정보 저장 장치, 전송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물리적인 양으로 유사하게 표시되는 다른 데이터로 조작 및 변환한다.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는 여기에서 “구성된”, “구성 가능한”, “작동 가능한/작동되는”, “조정된/조정 가능한”, “가능한”, “구성 가능한/구성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당업자는, 문맥상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로 구성된”은 일반적으로 활성 상태 구성 요소 및/또는 비활성 상태 구성 요소 및/또는 대기 상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당업자는 일반적으로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예를 들어, 첨부된 청구범위의 본문)가 일반적으로 “개방형” 용어로 의도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예를 들어,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갖는”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포함함”이라는 용어는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특정 수의 도입된 청구범위 인용이 의도되는 경우, 이러한 의도는 청구범위에 명시적으로 인용될 것이며, 이러한 인용이 없는 경우, 이러한 의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의 첨부된 청구범위는 청구범위 인용을 도입하기 위한 도입 문구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의 용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구의 사용은, 단수 표현에 의한 청구 인용의 도입이 이러한 도입된 청구 인용을 포함하는 임의의 특정 청구범위를 그러한 하나의 청구범위만을 포함하는 청구범위로 제한한다는 것을, 동일한 청구범위가 “하나 이상”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도입 문구 및 단수 표현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예를 들어, 단수 표현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청구범위 인용을 도입하는 데 사용되는 정관사의 사용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도입된 청구범위 인용의 특정 수가 명시적으로 인용된 경우에도, 당업자는 이러한 인용이 적어도 인용된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예를 들어, 다른 수식어가 없이 “두 개 인용”의 있는 그대로의 인용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두 개 인용, 또는 두 개 이상의 인용을 의미함). 또한, “A, B, 및 C 등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관례가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관례를 이해할 수 있는 의미로 의도된다(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와 B 함께, A와 C 함께, B와 C 함께, 및/또는 A, B, 및 C 함께 등을 갖는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 “A, B, 및 C 등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관례가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관례를 이해할 수 있는 의미로 의도된다(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와 B 함께, A와 C 함께, B와 C 함께, 및/또는 A, B, 및 C 함께 등을 갖는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 일반적으로, 설명, 청구범위 또는 도면에 관계없이, 둘 이상의 대안적인 용어를 제시하는 이접적인 단어 및/또는 문구는, 문맥상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중 하나, 용어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용어 모두를 포함할 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더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문구 “A 또는 B”는 일반적으로 “A” 또는 “B” 또는 “A 및 B”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당업자는 그 안에 인용된 작동이 일반적으로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작동 흐름도가 시퀀스(들)로 제시되지만, 다양한 작동은 도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대체 순서의 예는, 문맥상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중첩, 인터리브, 중단, 재정렬, 증분, 준비, 보충, 동시, 역방향, 또는 다른 변형된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맥상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반응하는”, “관련된”, 또는 다른 과거형 형용사 같은 용어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변형을 배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하나의 양태”, “일 양태”, “일례”, “하나의 예시” 등에 대한 임의의 언급은 그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주목할 가치가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위치에서 “하나의 양태에서”, “일 양태에서”, “일례로”, 및 “하나의 예시에서” 문구의 출현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양태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양태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참조되고/참조되거나 임의의 출원 데이터 시트에 열거된 임의의 특허 출원, 특허, 비특허 공개, 또는 기타 공개 자료는, 통합된 자료가 본원과 일치하지 않는 정도까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이와 같이, 그리고 필요한 정도로, 여기에 명시적으로 설명된 개시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 임의의 상충되는 자료를 대체한다.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고 언급되지만, 여기에 기재된 기존의 정의, 진술, 또는 다른 개시 자료와 충돌하는 임의의 자료 또는 그것의 일부는 통합된 자료와 기존 개시 자료 간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만 포함될 것이다.
용어 “포함하다” (및 “포함한다” 및 “포함하는”과 같은 포함하다의 임의의 형태), “갖다” (및 “갖는다” 및 “갖는”과 같은 갖다의 임의의 형태), “포함하다” (및 “포함한다” 및 “포함하는”과 같은 포함하다의 임의의 형태) 및 “함유하다” (및 “함유한다” 및 “함유하는”과 같은 함유하다의 임의의 형태)는 개방형 연결 동사이다. 결과적으로,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한다”, “갖는다”, “포함한다” 또는 “함유한다”는 것은 이들 하나 이상의 요소를 소유하지만, 이들 하나 이상의 요소만 소유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갖는”, “포함하는” 또는 “포함하는”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장치의 요소는 하나 이상의 특징을 소유하지만, 이들 하나 이상의 특징만 소유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약하면, 여기에 설명된 개념을 사용함으로써 초래되는 수많은 이점이 설명되었다. 하나 이상의 형태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이는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완전하거나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교시에 비추어 변형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형태는 원리 및 실제 응용을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고 설명되어, 이에 의해 당업자가 다양한 형태 및 고려된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변형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본원에 제출된 청구범위가 전체 범주를 정의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히트 파이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심지 조립체로서, 상기 심지 조립체는,
    심지 수용 영역을 포함한 단부 플러그;
    상기 심지의 일부분이 상기 심지 수용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심지; 및
    상기 심지의 일부분 및 상기 심지 수용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권축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부 플러그, 상기 심지의 일부분, 및 상기 권축부는 확산 접합되는, 심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중공형 단부 플러그를 포함하는, 심지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환형 단부 플러그를 포함하는, 심지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금속 단부 플러그를 포함하는, 심지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 수용 영역은 비-테이프형 영역, 및 상기 비-테이프형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테이퍼형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비-테이프형 영역은 내부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심지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환형 심지를 포함하는, 심지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상기 심지가 상기 심지 수용 영역을 지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중간 섹션을 포함하는, 심지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섹션은 상기 권축부가 상기 심지 수용 영역을 지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심지 조립체.
  9. 히트 파이프로서,
    증발기 영역;
    단열 영역;
    응축기 영역; 및
    심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심지 조립체는,
    제1 체결 부분을 포함한 단부 플러그;
    상기 제1 체결 부분과 중첩하도록 구성된 제2 체결 부분을 포함한 심지; 및
    상기 제1 체결 부분 및 상기 제2 체결 부분와 중첩되도록 구성된 제3 체결 부분을 포함한 권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체결 부분, 상기 제2 체결 부분, 및 상기 제3 체결 부분은 확산 접합되는, 히트 파이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상기 응축기 영역, 상기 단열 영역, 및 상기 증발기 영역을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히트 파이프.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중공형 단부 플러그를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환형 플러그를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금속 단부 플러그를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부분은 비-테이프형 영역, 및 상기 비-테이프형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테이퍼형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비-테이프형 영역은 내부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환형 심지를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상기 제2 체결 부분이 상기 제1 체결 부분을 지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심지와 접경하도록 구성된 중간 섹션을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섹션은 상기 제3 체결 부분이 상기 제1 체결 부분을 지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권축부와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히트 파이프.
  18. 제9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러그는 제1 단부 플러그이고, 상기 심지 조립체는 제2 단부 플러그를 추가로 포함하는, 히트 파이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 플러그와 상기 제2 단부 플러그는 상기 히트 파이프 내에서 상기 심지를 중심에 오도록 구성되는, 히트 파이프.
  20. 히트 파이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심지 조립체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권축부를 심지의 일부분 위로 슬라이딩하여, 심지/권축부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단부 플러그의 심지 수용 영역 위로 상기 심지/권축부 조립체를 슬라이딩시켜,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러그/심지/권축부 인터페이스 주위에 권축 장치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권축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권축부를 권축하는 단계; 및
    외부 열 공급원을 사용하여 상기 권축부, 상기 심지, 및 상기 단부 플러그를 확산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29955A 2020-02-21 2021-02-16 히트 파이프 내부용 금속 심지의 권축 방법 KR202201448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79822P 2020-02-21 2020-02-21
US62/979,822 2020-02-21
PCT/US2021/018142 WO2021167871A1 (en) 2020-02-21 2021-02-16 Metal wick crimping method for heat pipe intern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815A true KR20220144815A (ko) 2022-10-27

Family

ID=74867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955A KR20220144815A (ko) 2020-02-21 2021-02-16 히트 파이프 내부용 금속 심지의 권축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709022B2 (ko)
EP (1) EP4107463B1 (ko)
JP (1) JP2023515100A (ko)
KR (1) KR20220144815A (ko)
AU (1) AU2021224784A1 (ko)
BR (1) BR112022016576B1 (ko)
CA (1) CA3168686A1 (ko)
TW (1) TWI774250B (ko)
WO (1) WO20211678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07463B1 (en) 2020-02-21 2023-11-15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Metal wick crimping method for heat pipe internals
WO2024086779A1 (en) * 2022-10-20 2024-04-25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Manufacture of heat pipe wicks utilizing in-situ rolling and hydroform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0189A (en) * 1970-12-09 1972-08-01 Noren Products Inc Method of forming a heat pipe
US3786861A (en) 1971-04-12 1974-01-2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Heat pipes
US3821969A (en) * 1972-05-31 1974-07-02 Underground Prod Inc Plug
US4196504A (en) * 1977-04-06 1980-04-08 Thermacore, Inc. Tunnel wick heat pipes
US4351388A (en) * 1980-06-13 1982-09-28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Inverted meniscus heat pipe
DE3433984C2 (de) * 1984-09-15 1986-07-2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Wärmerohr aus Aluminium oder Stahl
FR2604771B1 (fr) * 1986-10-06 1989-01-27 Framatome Sa Dispositif de bouchage etanche d'un orifice traversant une paroi
JPH0731027B2 (ja) * 1992-09-17 1995-04-10 伊藤 さとみ ヒートパイプおよび放熱装置
US5684848A (en) 1996-05-06 1997-11-04 General Electric Company Nuclear reactor heat pipe
US6382309B1 (en) * 2000-05-16 2002-05-07 Swales Aerospace Loop heat pipe incorporating an evaporator having a wick that is liquid superheat tolerant and is resistant to back-conduction
US6768781B1 (en) 2003-03-31 2004-07-27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moving thermal energy from a nuclear reactor
US20130048250A1 (en) 2011-08-26 2013-02-28 Himanshu Pokharna Heat pipe made of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4107463A1 (en) * 2013-01-02 2014-07-10 Cunningham David W Lighting fixtrue and light-emitting diode light source assembly
WO2014176069A2 (en) 2013-04-25 2014-10-30 Los Alamos National Security, Llc Mobile heat pipe cooled fast reactor system
CN107278089B (zh) * 2016-04-07 2019-07-19 讯凯国际股份有限公司 热导结构
US10107562B2 (en) * 2016-09-03 2018-10-23 Kunshan Jue-Chung Electronics Co., Ltd. Heat pipe and sealing method thereof
US20190113289A1 (en) * 2017-10-12 2019-04-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aling a heat pipe
CN109764708A (zh) * 2019-01-28 2019-05-17 刘康 热管及其制造方法、包含该热管的设备
EP4107463B1 (en) 2020-02-21 2023-11-15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Metal wick crimping method for heat pipe inter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09022B2 (en) 2023-07-25
EP4107463B1 (en) 2023-11-15
WO2021167871A1 (en) 2021-08-26
AU2021224784A2 (en) 2022-10-06
CA3168686A1 (en) 2021-08-26
TW202140980A (zh) 2021-11-01
US20230070156A1 (en) 2023-03-09
BR112022016576B1 (pt) 2024-02-27
EP4107463A1 (en) 2022-12-28
BR112022016576A2 (pt) 2022-10-11
TWI774250B (zh) 2022-08-11
JP2023515100A (ja) 2023-04-12
AU2021224784A1 (en)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4815A (ko) 히트 파이프 내부용 금속 심지의 권축 방법
RU2649154C2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KR101841218B1 (ko) 태양에너지 수집기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07850399B (zh) 配管构件、热管以及冷却装置
JP2013016482A5 (ja) 超伝導体ケーブル及びクライオスタットを備えた装置
US20160327312A1 (en) Linear receivers for solar collectors
US4440156A (en) Solar heat collector
Bopche et al. Determination of view factors by contour integral technique
CN108469194B (zh) 一种双管嵌套式热管及其制造方法
JP2023522942A (ja) 中空のマンドレルおよび鞘を使用しでヒートパイプのウィックを製造するための内部液圧成形方法
CN103344144A (zh) 一种复合型槽道热管
US11650016B2 (en) Method of installing a heat pipe wick into a container of differing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CN104976908B (zh) 柔性热管
CN205783917U (zh) 一种中温太阳能集热管
JP5547465B2 (ja) 真空断熱配管
JP2012127605A (ja)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279777B (zh) 一种适于大温差的螺旋式内管真空集热管
Jani et al. An overview on different tube shape in heat exchanger
RU2431102C2 (ru) Теплообменная поверхность, представляющая собой металлическую трубку с оребрением в виде спирали из металлической проволоки
GR20190100183A (el) Παραβολικος ηλιακος συλλεκτης κενου με κοιλο απορροφητη
JP2002349786A (ja) 真空断熱多重管
CN104930733A (zh) 螺旋真空集热管
JP2003053424A (ja) ロングパイプ及びロングパイプの製造方法
Bowman et al. Analytical comparison of standard fins and heat-pipe fins
CN105423572A (zh) 一种直通式全玻璃真空高温集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