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785A -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785A
KR20220144785A KR1020220129977A KR20220129977A KR20220144785A KR 20220144785 A KR20220144785 A KR 20220144785A KR 1020220129977 A KR1020220129977 A KR 1020220129977A KR 20220129977 A KR20220129977 A KR 20220129977A KR 20220144785 A KR20220144785 A KR 20220144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indoor
unit
teva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986B1 (ko
Inventor
손길수
하종권
한광식
김영진
서범석
안병옥
전홍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44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prior to normal operation, e.g. pre-heating or pre-coo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5Testing of complete machines, e.g. washing-machines or mobile ph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2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inlet and outlet arranged on the same side, e.g. for mounting in a wall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04Refrigerant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4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refrigerant at the inlet of the evapo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공기 조화기의 설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설치 불량 내용을 시운전에 근거한 진단을 통해 사용자 또는 설치 담당자에게 명확하게 전달하고 객관성 및 정확성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기의 설치 및 후속 조치를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은, 공기 조화기의 진단을 위한 시운전 명령을 수신하고; 공기 조화기의 조립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제 1 시운전을 수행하며; 공기 조화기의 배관 연결 및 냉매량을 진단하기 위한 제 2 시운전을 수행하고; 제 1 시운전 및 제 2 시운전의 결과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기의 상태를 진단하며; 진단 결과를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마련되는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DIAGNOSIS METHOD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공기 조화기의 설치 문제 및 정상 동작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가 두 대 이상 연결되는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특성상 실외기와 실내기를 연결해주는 배관의 설치 여부를 점검하는 배관 점검 방식 위주로 실시되고 있다.
이 경우, 공기 조화기의 냉매 완전 누설이나 서비스 밸브가 완전 잠겨있는 경우와 같이 냉매 사이클의 완전한 구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만 공기 조화기의 설치 불량을 감지할 수 있어서, 공기 조화기의 진단에 큰 제약이 되고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의 설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설치 불량 내용을 시운전에 근거한 진단을 통해 사용자 또는 설치 담당자에게 명확하게 전달하고 객관성 및 정확성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기의 설치 및 후속 조치를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은, 공기 조화기의 진단을 위한 시운전 명령 및 자가 진단 명령 가운데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와; 공기 조화기의 조립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제 1 시운전 단계와; 공기 조화기의 배관 연결 및 냉매량을 진단하기 위한 제 2 시운전 단계와; 제 1 시운전 단계 및 제 2 시운전 단계의 운전 결과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기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마련되는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판정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제 1 시운전 단계는 공기 조화기의 통신 상태 및 부품 조립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제 2 시운전 단계는 공기 조화기의 고압 막힘 에러와 냉매 부족 에러를 판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제 2 시운전 단계는, 실외기의 압축기를 운전하기 이전의 실내기의 실내 열 교환기의 입구 온도(Teva_in)와 실외기의 압축기를 운전한 이후의 실내기의 실내 열 교환기의 입구 온도(Teva_in+1)의 차((Teva_in)-(Teva_in+1))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보다 작으면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에 배관 연결 에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압축기를 운전하기 이전의 실내 열 교환기의 입구 온도(Teva_in)와 압축기를 운전한 이후의 실내 열 교환기의 입구 온도(Teva_in+1)의 차((Teva_in)-(Teva_in+1))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고, 실내 열 교환기의 입구 온도(Teva_in)와 출구 온도(Teva_out)의 차((Teva_out)-(Teva_in))가 기준 과열도보다 높으면 냉매 부족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제 2 시운전 단계는, 실내 공기 온도(Tair_in)와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의 차((Tair_in)-(Teva_in))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Ka) 이하이고 또 실내 공기 온도(Tair_in)와 실내 열교환기 출구 온도(Teva_out)의 차((Tair_in)-(Teva_out))도 미리 설정된 또 다른 기준 값(Kb) 이하이면 실외기의 고압 막힘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제 2 시운전에서 냉매 부족 에러를 판정하는 조건은,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가 미리 설정된 기준 증발 온도(γ) 이하일 때 냉매 부족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제 1 판정 조건과; 실내 열 교환기 중간 온도(Teva_mid)와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의 차((Teva_mid)?(Teva_in))가 미리 설정된 기준 증발기 과열도(δ) 이상일 때 냉매 부족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제 2 판정 조건과; 압축기 토출 온도(Tdis)와 실외 열 교환기 출구 온도(Tcond)의 차((Tdis)-(Tcond))가 미리 설정된 토출 과열도(ε) 이상일 때 냉매 부족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제 3 판정 조건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압축기의 운전 시간이 미리 정해진 설정 시간을 경과하면 실내 공기 온도(Tair_in)와 실외 공기 온도(Tair_out),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 실내 열 교환기 중간 온도(Teva_mid), 실외 열 교환기 온도(Tcond), 압축기 토출 온도(Tdis)를 검출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제 1 판정 조건과 제 2 판정 조건, 제 3 판정 조건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판정 조건을 만족하면 냉매 부족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제 1 판정 조건의 미리 설정된 기준 증발 온도(γ)는, γ=(Tair_out?35)*0.01*C1+(Tair_in-27)*0.01*C2+C3으로 정의되는 값이다. 여기서, Tair_out은 실외 공기 온도이고, Tair_in은 실내 공기 온도이며, C1과 C2, C3는 상수 값이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압축기를 운전할 때 시운전하는 실내기의 수에 대응하도록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변경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제 1 시운전 및 제 2 시운전의 진행 과정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제 1 시운전 및 제 2 시운전의 진행 과정을 백분율(%)로 표시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제 1 시운전 및 제 2 시운전의 진행 과정 및 완료 시점을 음성 안내로 표시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제 1 시운전 및 제 2 시운전을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구분하고, 제 1 시운전 및 제 2 시운전의 진행 과정을 복수의 단계 가운데 어느 단계인지를 표시하여 나타낸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표시부가 복수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고; 제 1 시운전 및 제 2 시운전의 진행 과정을 복수의 발광 소자의 점등을 통해 표시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자가 진단 명령에 의해 수행되는 자가 진단 모드일 때, 자가 진단 결과를 나타내는 문구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제 1 시운전 단계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마련되는 실내 팬을 운전하여 실내기에 마련되는 온도 검출부를 포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시운전을 진행하지 않았을 경우 공기 조화기의 잠김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여 운전이 제한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시운전을 수행하는 도중에 에러가 발생하면 시운전을 재진행하고, 시운전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으면 잠김 상태가 해제되지 않아 공기 조화기의 사용을 제한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자가 진단 명령에 의해 수행되는 자가 진단 모드일 때, 시운전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도 공기 조화기의 잠김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시운전 명령에 의해 수행되는 시운전 모드 또는 자가 진단 명령에 의해 수행되는 자가 진단 모드가 종료되면,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원격지의 서버로 세트/설치 정보를 전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시운전 모드 또는 자가 진단 모드에 의해 에러 발생이 검출되면,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공기 조화기의 에러의 조치 방법과 에러의 해결을 위해 필요한 부품 정보를 제공하여 에러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시한다.
또한, 상술한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서, 에러 발생 시 부품 정보의 제공을 통해 에러 해결을 위해 필요한 부품의 정보를 미리 숙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의 설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설치 불량 내용을 시운전에 근거한 진단을 통해 사용자 또는 설치 담당자에게 명확하게 전달하고 객관성 및 정확성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기의 설치 및 후속 조치를 유도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설치 과정에서의 설치 품질의 향상 및 완성도를 높여 고객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설치 단계에서 시운전이 정상 완료 된 이후에도 소비자와 서비스 기사가 별도의 자가 진단 모드를 항시 활용하여 냉매량 정상 여부를 판단 할 수 있어 사용 기간 중에도 제품 점검이 가능하다.
또한, 시운전 모드 또는 자가 진단 모드가 모두 종료된 후에는 네트워크 모듈(262)을 통한 통신망(예를 들면 와이파이)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특정 서버로 공기 조화기의 세트/설치 관련 정보를 전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제품과 서버 간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시운전 모드 또는 자가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동안 에러가 발생하면, 서비스 기사가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품 고유 정보(S/N)를 확인하면, 해당 시운전 에러의 조치 방법과 해당 불량 부품 고유 정보(데이터베이스 코드, 3D 이미지 등)를 서비스 기사에게 전달하여 정확한 조치를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고 교체가 필요한 부품에 대해서도 발주가 가능하다.
사용자가 제품 사용 중 문제가 발생 할 경우는 해당 운전 정보를 서버 및 소비자 모바일 단말기에 알림 형태로 전달하며, 서비스 콜 발생 시 서비스 기사가 공기 조화기 세트의 운전 상태 및 정보를 사전 숙지 후 사용자를 방문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불량 부품 교체가 필요한 경우 방문 전 사전 준비도 가능하여 추가 방문을 줄일 수 있고, 서비스 비용 절감 및 고객 신뢰성을 확보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냉매 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시운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자가 진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진단 제어 방법 가운데 제 1 시운전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진단 제어 방법 가운데 제 2 시운전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a는 도 3a에 나타낸 진단 제어 방법(시운전 모드) 가운데 제 1 판정 단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b는 도 3a에 나타낸 진단 제어 방법(시운전 모드) 가운데 제 1 판정 단계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3a에 나타낸 진단 제어 방법(시운전 모드) 가운데 제 2 판정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3a에 나타낸 진단 제어 방법(시운전 모드)의 제 2 판정 단계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냉매 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100) 및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실외기(100)에 복수의 실내기(15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실외기(100)는 압축기(102)와 4웨이 밸브(104), 실외 열 교환기(106), 전자 팽창 밸브(154), 어큐뮬레이터(110)를 포함한다. 압축기(102)의 토출 측(102a)에는 4웨이 밸브(104)가 연결되는데, 이 4웨이 밸브(104)는 냉방 운전일 때 압축기(102)의 토출 냉매가 실외 열 교환기(106)의 일측으로 흐르도록 제어되고 난방 운전일 때 압축기(102)의 토출 냉매가 실내기(150)의 일 측으로 흐르도록 제어된다. 실외 열 교환기(106)의 타 측은 실내기(150)에 연결된다. 실외 열 교환기(106)의 인접한 곳에는 실외 팬(106a)이 설치된다. 압축기(102)의 흡입 측(102b)과 4웨이 밸브(104) 사이에는 어큐뮬레이터(110)가 마련된다. 압축기(102)의 토출 측 냉매 관에는 압축기 토출 온도 검출부(112)가 설치된다. 실외기(100)의 어느 한 곳에 실외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실외 온도 검출부(114)가 설치된다. 압축기(102)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로서, 실내기(150)에서 요구하는 능력에 대응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압축기(102)의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도 1에는 복수의 실내기(150)가 도시되어 있는데, 다만 일부 실내기(150)는 스탠드형 실내기이고 일부 실내기(150)는 벽걸이형 실내기일 수 있다. 각 실내기(150)의 냉매 사이클 구조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즉, 각 실내기(150) 마다 실내 열 교환기(152)가 마련된다. 실내 열 교환기(152)의 인접한 곳에는 실내 팬(152a)이 설치된다. 또한 실내 열 교환기(152)의 양 측(입구와 출구)이 냉매 관에는 실내 열 교환기(152)의 입구 온도와 중간 온도, 출구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실내 열 교환기 온도 검출부(156)가 설치된다. 또는, 실내 열 교환기(152)의 입구 온도와 중간 온도만을 검출하거나, 실내 열 교환기의 입구 온도만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실내기(150)의 어느 한 곳에 실내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실내 온도 검출부(158)가 설치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실외기(100)의 경우, 실외기 제어부(202)에는 실외 온도 검출부(114)와 압축기 토출 온도 검출부(112), 전류 검출부(204), 저장부(206), 시운전 진행률 제어부(208), 압축기 구동 제어부(210), 실외 팬 제어부(212), 4웨이 밸브 제어부(214), 전자 팽창 밸브 제어부(260)가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실외기(100)에는 실외기(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실외기 전력 공급부(216)가 마련된다. 실외 온도 검출부(114)와 압축기 토출 온도 검출부(112)는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전류 검출부(204)는 실외기(100)의 운전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저장부(206)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시 발생하는 데이터(온도 검출 값, 밸브 개도 값 등)를 저장하고,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한다. 시운전 진행률 제어부(208)는 시운전이 진행되는 정도를 파악하여 그 시운전 진행률 정보를 실외기 제어부(202)에 제공한다. 실외기 제어부(202)는 시운전 진행률 정보를 실내기(150)에 전달함으로써 실내기(150)에서 진행률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압축기 구동 제어부(210)는 압축기(102)의 운전을 제어하고, 실외 팬 제어부(212)는 실외 팬(106a)의 운전(온/오프)과 회전 속도를 제어하며, 4웨이 밸브 제어부(214)는 4웨이 밸브(104)의 개방/폐쇄 및 개도 조절 등을 수행한다. 전자 팽창 밸브 제어부(260)는 실외기 제어부(202)의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전자 팽창 밸브(154)의 개도를 제어한다.
실내기(150)의 경우, 실내기 제어부(252)에는 실내 열 교환기 온도 검출부(156)와 실내 온도 검출부(158), 입력부(254), 실내 팬 제어부(256), 표시부(258)가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실내기(150)에는 실내기(150)에 전력을 공급하는 실외기 전력 공급부(260)가 마련된다. 실내 열 교환기 온도 검출부(156)와 실내 온도 검출부(158)는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입력부(254)는 사용자 또는 설치 담당자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해 명령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조화기의 기본적인 운전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튼 또는 키들과 함께, 특히 시운전 명령을 발생시키기 위한 시운전 버튼(254a)을 포함한다. 실내 팬 제어부(256)는 실내 팬(152a)의 운전(온/오프)과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표시부(258)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고 또 공기 조화기의 운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내 메시지나 경고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기(150)에 마련된다. 특히 표시부(258)는 시운전 진행률 및 시운전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소비자)가 시운전 결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실내기(150)가 스탠드형일 경우 표시부(258)는 엘시디(LCD) 패널일 수 있으며, 실내기(150)가 벽걸이형일 경우 표시부(258)는 엘이디(LED)와 같은 발광 소자일 수 있다. 또한 표시부(258)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58)가 엘시디 패널인 경우, 현재까지의 진단 제어의 시운전 진행 상황을 백분율(%)로 표시하거나 시운전 전체를 0-99단계로 구분하여 각각의 진행 단계를 표시할 수 있으며, 그 밖에 그래프 등의 방법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점검 결과를 <정상> 또는 <점검>이라는 문구로 구분해서 표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점검>은 정상적인 상태가 아니어서 점검이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표시부(258)가 엘이디인 경우, 복수의 엘이디를 설치하고 점등되는 엘이디의 수를 통해 시운전의 진행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58)가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우, 스피커를 통해 진행 정도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고, 점검 결과를 <정상> 또는 <점검>이라는 문구로 구분해서 표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점검>은 정상적인 상태가 아니어서 점검이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마지막으로 원격지의 서버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네트워크 모듈(262)이 실내기에 포함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실외기(100)와 실내기(150)는 상호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며, 복수의 실내기(150)들 역시 상호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양방향 통신을 통해 실외기(100)와 복수의 실내기(150)들은 운전 중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시운전 모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자가 진단 모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의 시운전 모드는 공기 조화기를 새로 구입하여 설치한 경우 또는 철거 후 재설치한 경우에 공기 조화기 세트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자가 진단 모드는 공기 조화기의 설치 후 사용하는 동안 공기 조화기의 설치 상태에 문제가 없는지를 사용자(또는 서비스 기사)가 직접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서비스 기사도 자가 진단 모드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도 시운전 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의 진단 제어 방법은 도 2에 나타낸 실외기 제어부(202) 및 실내기 제어부(252)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3a에 나타낸 시운전 모드는, 사용자(소비자) 또는 설치 담당자가 실내기(150)의 입력부(254)에 마련되는 시운전 버튼(254a)을 조작하여 시운전 명령을 발생시키면, 실내기 제어부(252)는 시운전 명령을 수신하여 실외기 제어부(202)에 전달한다(302). 이로써 실내기 제어부(252)와 실외기 제어부(202)는 시운전 명령이 발생하였음을 공유하게 된다.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시운전)은, 제 1 시운전 단계(304)와 제 2 시운전 단계(306), 제 1 판정 단계(308), 제 2 판정 단계(310)를 포함한다. 제 1 시운전 단계(304)는, 실내기(150)의 실내 팬(152a)을 운전하면서 실외기(100) 및 실내기(150)의 여러 가지 기계 장치들과 전장 부품들의 조립 상태 및 구동 상태 등을 확인한다. 제 2 시운전 단계(306)는 실외기(100)의 압축기(102)를 운전하면서 실외기(100)와 각 실내기(150) 사이에 정상적인 냉매의 흐름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한다. 제 1 판정 단계(308)는 제 1 시운전 단계(304) 및 제 2 시운전 단계(306)의 운전 결과에 근거하여 고압 막힘 에러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고압 막힘 에러는 밸브 잠김이나 팽창밸브 록킹(Locking)과 같은 냉매 순환을 방해하는 구속 조건이 존재할 때 발생하는 에러이다. 제 2 판정 단계(310)는 각 실내기(150)로 필요한 양의 냉매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판정 단계(310)는 냉매가 막힘없이 정상적으로 순환하는지를 먼저 판정하고, 이후 각 실내기(150)로 공급되는 냉매의 양이 충분한지를 판정하기 위한 냉매 부족 판정 단계이다. 제 1 판정 단계(308)와 제 2 판정 단계(310)는 하나의 판정 단계로 통합 운영될 수도 있다.
도 3b에 나타낸 자가 진단 모드는, 설치가 완료된 이후의 실제 사용 단계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자가 진단 모드는 시운전 모드와는 다른 별도의 진입 방법으로 수행된다. 또한 시운전 모드와는 달리 자가 진단 모드에서는 제 2 시운전 단계의 제 1 판정은 생략하고 제 2 판정 단계만을 수행한다. 여기서 자가 진단 모드란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된 공기 조화기에 대해, 사용자가 실제 사용 중 수행하는 점검 모드를 말한다. 자가 진단 결과에 따라 <정상> 및 <점검> 여부를 실내기의 표시부(258)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며, 시운전 모드와는 달리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잠김 상태로 전환되지는 않는다. 사용자(소비자) 또는 설치 담당자가 실내기(150)의 입력부(254)에 마련되는 자가 진단 버튼(254b)을 조작하여 자가 진단 명령을 발생시키면, 실내기 제어부(252)는 자가 진단 명령을 수신하여 실외기 제어부(202)에 전달한다(352). 이로써 실내기 제어부(252)와 실외기 제어부(202)는 자가 진단 명령이 발생하였음을 공유하게 된다.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자가 진단)은, 제 1 시운전 단계(354)와 제 2 시운전 단계(356), 판정 단계(360)를 포함한다. 제 1 시운전 단계(354) 및 제 2 시운전 단계(356)는 각각 시운전 모드의 제 1 시운전 단계(304) 및 제 2 시운전 단계(306)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제 1 시운전 단계(354)는, 실내기(150)의 실내 팬(152a)을 운전하면서 실외기(100) 및 실내기(150)의 여러 가지 기계 장치들과 전장 부품들의 조립 상태 및 구동 상태 등을 확인한다. 제 2 시운전 단계(356)는 실외기(100)의 압축기(102)를 운전하면서 앞서 설명한 고압 막힘 에러 및 냉매 부족 에러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한다. 다만 판정 단계(360)는 제 1 판정 단계와 제 2 판정 단계의 구분없이 고압 막힘 에러를 먼저 판정한 다음 냉매 부족 에러를 판정하는 과정이 하나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진단 제어 방법 가운데 제 1 시운전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시운전 단계(304)에서는, 먼저 실외기(100)와 실내기(150)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고, 통신 상태의 확인이 완료되면 실내 팬(152a)을 운전하면서 부품 오조립 상태를 확인한다(402). 통신 상태의 확인은 해당 부품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발생하는 응답 신호의 확인을 통해 가능하다. 부품 오조립 상태의 확인 역시 해당 부품들이 정상적으로 조립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응답의 확인을 통해 가능하다. 만약 통신 상태 및 부품 조립 상태가 모두 정상이면(402의 ‘예’) 실내 팬(152a)을 운전하여 실내기(150)가 설치되어 있는 공조 공간으로 송풍을 실시한다. 이 때 각 실내기(150)의 모든 전자 팽창 밸브(154)를 초기화하고, 실외기(100)의 4웨이 밸브(104)는 폐쇄한다. 실내 팬(152a)의 운전은 미리 설정된 시간(tn1)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며(406의 ‘아니오’), 실내 팬(152a)의 운전 경과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tn1)에 도달하면 제 2 시운전 단계(306)로 진입한다(406의 ‘예’). 여기서 압축기(102)가 정지된 상태에서 실내 팬(152a)을 미리 설정된 시간(tn1) 동안 운전하는 것은 이후 단계에서 실내기(150)의 온도 검출부(즉, 실내 열 교환기 온도 검출부(156)와 실내 온도 검출부(158))를 공조 공간의 온도까지 포화시켜서 판정 오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앞서 설명한 실외기(100)와 실내기(150)의 통신 상태 및 부품 오조립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402)에서, 만약 통신 상태 및 부품 조립 상태가 모두 정상이 아니면(402의 ‘아니오’) 후술하게 될 제 1 판정 단계(308)의 606으로 이동한다(도 6 참조).
도 5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진단 제어 방법 가운데 제 2 시운전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시운전 단계(306)에서는, 먼저 압축기(102)를 운전하기 전에 실내 열 교환기 온도 검출부(156)를 통해 실내 열 교환기(152) 입구의 온도(Teva_in)를 측정하고, 시운전하려는 실내기(150)의 수를 확인한다(502). 시운전하려는 실내기(150)의 수는 운전하는 실내기(150)와의 통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실내기(150)가 스탠드형 실내기와 벽걸이형 실내기로 구성되는 경우, 스탠드형 실내기와 벽걸이형 실내기가 모두 시운전되면 시운전하는 실내기(150)의 수는 2가 되며, 스탠드형 실내기와 벽걸이형 실내기 가운데 어느 하나의 실내기(150) 만이 시운전되면 시운전하는 실내기(150)의 수는 1이 된다. 이어서 실내기(150)의 전자 팽창 밸브(154)를 개방하고, 시운전하는 실내기(150)의 수에 대응하는 운전 주파수(Cf/Cfm)로 압축기(102)를 운전한다(504). 여기서 압축기(102)의 운전 주파수 Cf는 시운전하는 실내기(150)가 하나인 단독 운전에서의 압축기(150)의 운전 주파수이고, 압축기(102)의 운전 주파수 Cfm은 시운전하는 실내기(150)가 복수인 다실 운전에서의 압축기(150)의 운전 주파수이다. 압축기(102)를 운전할 때, 이전에 시운전했던 실내기(150)의 수와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기(150)의 수가 같은지를 비교한다(506). 만약 이전에 시운전했던 실내기(150)의 수와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기(150)의 수가 같지 않다면(506의 ‘아니오’)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기(150)의 수에 대응하도록 압축기(102)의 운전 주파수(Cf/Cfm)를 변경한다. 즉 이전에 시운전했던 실내기(150)의 수보다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기(150)의 수가 더 많으면 압축기(102)의 운전 주파수(Cf/Cfm)를 증가시키고, 반대로 이전에 시운전했던 실내기(150)의 수보다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기(150)의 수가 더 적으면 압축기(102)의 운전 주파수(Cf/Cfm)를 감소시킨다. 이처럼 단독 운전과 다실 운전의 경우를 구분하여 압축기(102)의 운전 주파수를 달리하는 것은 실내기(150)에서 요구하는 운전 용량의 합에 따라 압축기(102)의 운전 주파수를 달리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진단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고 판정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전에 시운전했던 실내기(150)의 수와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기(150)의 수가 같은지를 비교하는 단계(506)에서, 만약 이전에 시운전했던 실내기(150)의 수와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기(150)의 수가 같다면(506의 ‘예’) 운전 주파수(Cf/Cfm)의 변경 없이 압축기(102)의 운전을 계속한다. 압축기(102)의 운전은 압축기(102)이 운전 경과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tn2)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고(510), 압축기(102)이 운전 경과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tn2)에 도달하면(510의 ‘예’) 제 1 판정 단계(308)로 진입한다. 참고로, 압축기(102)가 운전하는 동안 시운전하는 실내기(150)의 전자 팽창 밸브(154)를 미리 설정된 고정 개도로 개방한 채 유지하여 실내기(150) 쪽으로 일정한 양의 냉매가 공급되도록 한다. 시운전하는 실내기(150)의 전자 팽창 밸브(154)의 개도는 공기 조화기의 모델에 따라 진단에 필요한 적절한 개도를 유지하도록 그 적정 개도 값을 저장부(206)에 미리 저장해둔다.
도 6a는 도 3a에 나타낸 진단 제어 방법(시운전 모드) 가운데 제 1 판정 단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앞서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압축기(102)의 운전 경과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tn2)에 도달하면(510의 ‘예’) 제 1 판정 단계(308)로 진입하는데, 제 1 판정 단계(308)에서는 먼저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기(150)의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1)를 검출한다(602). 이어서, 압축기(102)를 운전하기 전에 검출한 실내 열 교환기 입구의 온도(Teva_in)(도 5의 502 참조)와 현재의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1)(602 참조)의 차((Teva_in)-(Teva_in+1))를 미리 설정된 기준 값(Ta)와 비교한다(604). 만약 (Teva_in)-(Teva_in+1)이 기준 값(Ta)보다 작으면(604의 ‘예’) 실내 팬(152a)과 압축기(102)의 운전을 정지하며 표시부(258)에 제 1 판정 결과를 배관 연결 에러로 표시한다(606). (Teva_in)-(Teva_in+1)이 기준 값(Ta)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은 시운전하는 실내기(150)로 정상적인 냉매의 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결국 실외기(100)와 시운전하는 실내기(150) 사이의 배관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나타낸다. 또한 이는 서비스 밸브(미도시)의 잠김이나 전자 팽창 밸브(154)의 잠김에 의한 냉매 구속 조건이 아님을 의미한다. 즉, 고압 막힘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다. 반대로 (Teva_in)-(Teva_in+1)이 기준 값(Ta)보다 작은 것은 실외기(100)와 실내기(150) 사이에 오배관 등의 이유로 냉매의 순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함을 의미한다. 참고로, 앞서 도 4에 나타낸 실외기(100)와 실내기(150)의 통신 상태 및 부품 오조립 상태 확인 단계(402)에서 통신 상태 및 부품 조립 상태가 모두 정상이 아닌 경우에도(402의 ‘아니오’) 도 6의 단계 606에서 해당 에러를 표시부(258)를 통해 표시한다. 단계 604에서, 만약 (Teva_in)-(Teva_in+1)이 기준 값(Ta)보다 크거나 같으면(604의 ‘아니오’) 고압 막힘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 2 판정 단계(310)로 진입한다.
도 6b는 도 3a에 나타낸 진단 제어 방법(시운전 모드) 가운데 제 1 판정 단계(308)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b에 나타낸 제 1 판정 단계(308)의 또 다른 실시 예는 고압 막힘 판정 단계로서, 공기 조화기 시스템 내에 막힘이 발생하거나 냉매가 완전 누설되는 등의 두 가지 조건에 의해 각 실내기(150)로 냉매가 순환하지 않는 상태를 검출한다. 공기 조화기 시스템 내에서, 냉매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압축기(102)의 운전 상태가 지속되면 압축기(102)가 소손되는 등의 심각한 고장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에 시운전 모드에서 고압 막힘에 상응하는 운전 상태가 검지되면 공기 조화기 시스템의 운전을 멈추고 해당 에러를 표시 한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실내 공기 온도(Tair_in)를 검출한다(652). 압축기(102)의 운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압축기 운전 기준 시간(tn)에 도달할 때까지 압축기(102)의 운전을 계속한다(654). 만약 압축기(102)의 운전 시간이 압축기 운전 기준 시간(tn)에 도달하면(654의 ‘예’), 압축기 주파수(Cf)가 압축기 목표 주파수(Cf2)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확인한다(656). 만약 압축기 주파수(Cf)가 압축기 목표 주파수(Cf2)보다 크면(656의 ‘예’),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와 실내 열 교환기 출구 온도(Teva_out)를 검출한다(658). 실내 공기 온도(Tair_in)와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의 차((Tair_in)-(Teva_in))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Ka) 이하이고 또 실내 공기 온도(Tair_in)와 실내 열교환기 출구 온도(Teva_out)의 차((Tair_in)-(Teva_out))도 미리 설정된 또 다른 기준 값(Kb) 이하이면(660의 ‘예’) 실외기(100)의 해당 전자 팽창 밸브가 막혀 있거나 또는 냉매가 완전 누설 되었다고 판정하고 압축기(102)의 운전을 정지한 후(662) 해당 에러를 표시부(258)를 통해 표시한다(664). 반대로 실내 공기 온도(Tair_in)와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의 차((Tair_in)-(Teva_in))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Ka)을 초과하고 또 실내 공기 온도(Tair_in)와 실내 열교환기 출구 온도(Teva_out)의 차((Tair_in)-(Teva_out))도 미리 설정된 또 다른 기준 값(Kb)을 초과하면(660의 ‘아니오’) 고압 막힘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냉매량을 판정하는 제 2 판정 단계(310)로 진입한다.
도 7은 도 3a에 나타낸 진단 제어 방법 가운데 제 2 판정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제 2 판정 단계(310)는 앞서 도 6의 제 1 판정 단계(308)에서 (Teva_in)-(Teva_in+1)이 기준 값(Ta)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604의 ‘아니오’)에 연속하여 수행된다. 먼저, (Teva_in)-(Teva_in+1)이 기준 값(Ta)보다 크거나 같을 때 압축기(102)의 운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tc(예를 들면 5분)이고(702의 ‘예’)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기(150)의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와 실내 열 교환기 출구 온도(Teva_out)를 검출한다(704).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기(150)의 수가 1이고(706의 ‘예’) 해당 실내기(150)의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와 실내 열 교환기 출구 온도(Teva_out)의 차((Teva_out)-(Teva_in))가 기준 과열도(Tok)보다 낮으면(708의 ‘예’), 제 2 판정을 종료하고 실내 팬(152a)과 압축기(102)의 운전을 정지하며 표시부(258)에 제 2 판정 결과를 <정상>으로 표시한다(710).
만약 단계 706에서,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기(150)의 수가 복수이고(706의 ‘아니오’) 복수의 실내기(150) 각각의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와 실내 열 교환기 출구 온도(Teva_out)의 차((Teva_out)-(Teva_in))가 또 다른 기준 과열도(Tokm)보다 낮으면(712의 ‘예’), 제 2 판정을 종료하고 실내 팬(152a)과 압축기(102)의 운전을 정지하며 표시부(258)에 제 2 판정 결과를 <정상>으로 표시한다(710). 만약, 단계 708과 712에서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와 실내 열 교환기 출구 온도(Teva_out)의 차((Teva_out)-(Teva_in))가 기준 과열도(Tok 또는 Tokm)보다 높거나 같으면(708 및 712의 ‘아니오’), 앞서 설명한 단계 606의 제 1 판정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606)로 진행하여 표시부(258)를 통해 냉매 부족 에러를 표시한다. 공기 조화기의 냉매 사이클에서 순환하는 냉매의 양이 부족하면 냉매의 액상에서 기상으로의 상변화(Phase Transition)가 이루어지는 실내 열 교환기(152)의 특성 상 냉매가 부족 할 경우 실내 열 교환기(152)를 지나는 냉매의 기상 비율이 증가하여 실내 열 교환기 출구 온도(Teva_out)가 상승하며, 실내 열 교환기(152)의 입구 측의 경우 유입되는 액 냉매의 유량이 적어 압력이 하강해 온도가 동반 하락하게 되면서 결국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는 하강하고 실내 열 교환기 출구 온도(Teva_out)는 상승하면서 과열도가 정상 수준보다 크게 벌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와 실내 열 교환기 출구 온도(Teva_out)의 차((Teva_out)-(Teva_in))가 기준 과열도(Tok 또는 Tokm)보다 높거나 같으면(708 및 712의 ‘아니오’) 냉매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실내기(150)가 벽걸이형인 경우에는 단독 과열도(Tok)만을 적용한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시운전을 진행하지 않았을 경우 공기 조화기의 잠김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여 운전이 제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시운전을 수행하는 도중에 에러가 발생하면 시운전을 재진행하고, 시운전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으면 잠김 상태가 해제되지 않아 공기 조화기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도 8은 도 3a에 나타낸 진단 제어 방법(시운전 모드)의 제 2 판정 단계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3a에 나타낸 시운전 모드의 제 2 판정 단계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실내 열 교환기(152)의 입구 온도와 중간 온도만을 검출하거나, 실내 열 교환기의 입구 온도만을 검출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진단 제어 방법에서는 모두 세 가지의 판정 조건을 적용하고 이 가운데 두 가지 이상의 판정 조건이 만족되면 냉매량 부족으로 판정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기(102)를 미리 설정된 시간 tc(예를 들면 5분) 이상 운전한다. 압축기(102)의 운전 시간이 tc에 도달하면(802의 ‘예’), 다음과 같은 온도를 검출한다.
실내 공기 온도(Tair_in)
실외 공기 온도(Tair_out)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
실내 열 교환기 중간 온도(Teva_mid)
실외 열 교환기 온도(Tcond)
압축기 토출 온도(Tdis)
위와 같은 온도가 검출되면 제 1에러 판정을 위한 제 1 조건과 제 2 조건, 제 3 조건의 판정을 실시한다(806). 먼저 제 1 조건의 판정을 위해,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가 기준 증발 온도(γ) 이하인지를 확인한다. 기준 증발 온도(γ)는 γ=(Tair_out?35)*0.01*C1+(Tair_in-27)*0.01*C2+C3으로 정의되는 값이다. 여기서 C1과 C2, C3는 상수 값으로서, 공기 조화기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이와 같은 제 1 판정 조건은 실내 열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를 측정하여 냉매 부족을 판정하는 방법으로서, 냉매가 부족한 경우 실내 열교환기 입구 온도가 떨어지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압축기(102)의 기동 후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한 값 이하이면 냉매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정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한 값은 실내 공기 온도(Tair_in)와 실외 공기 온도(Tair_out)에 따라서 달라진다.
이어서 제 2 조건의 판정을 위해, 실내 열 교환기 중간 온도(Teva_mid)와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의 차((Teva_mid)?(Teva_in))를 통해 냉매 부족을 판정한다. 즉, 실내 열 교환기 중간 온도(Teva_mid)와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의 차((Teva_mid)?(Teva_in))가 기준 증발기 과열도(δ)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이와 같은 제 2 판정 조건은, 실내 열 교환기 중간 온도(Teva_mid)와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의 차((Teva_mid)-(Teva_in))가 기준 증발기 과열도(δ)보다 높으면 실내기(150)를 순환하는 냉매의 양이 부족한 것으로 판정한다. 공기 조화기의 냉매 사이클에서 순환하는 냉매의 양이 부족하면 냉매의 액상에서 기상으로의 상변화(Phase Transition)가 이루어지는 실내 열 교환기(152)의 특성 상 냉매가 부족 할 경우 실내 열 교환기(152)를 지나는 냉매의 기상 비율이 증가하여 실내 열 교환기 출구 온도(Teva_out)가 상승하고, 실내 열 교환기(152)의 입구 측은 유입되는 액 냉매의 유량이 적어 압력이 하강하므로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 역시 동반 하락한다. 결국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는 하강하고 실내 열 교환기 출구 온도(Teva_out)는 상승하면서 과열도가 정상 수준과 비교하여 크게 차이가 난다. 비록 실내 열 교환기(152)의 출구 쪽이 아닌 중간부에 온도 검출부가 부착되어 있더라도, 실내 열 교환기 중간 온도(Teva_mid)와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의 차이는 냉매 부족 시 정상 수준보다 더 커지기 때문에 실내 열 교환기 출구 온도(Teva_out) 대신 실내 열 교환기 중간 온도(Teva_mid)를 이용하여 냉매 부족을 판정한다.
이어서 제 3 조건의 판정을 위해, 압축기 토출 온도(Tdis)와 실외 열 교환기 출구 온도(Tcond)의 차((Tdis)-(Tcond))를 통해 냉매 부족을 판정한다. 즉, 압축기 토출 온도(Tdis)와 실외 열 교환기 출구 온도(Tcond)의 차((Tdis)-(Tcond))가 토출 과열도(ε)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제 3 판정 조건은, 냉매가 부족한 상태에서 압축기(102)를 운전하면 압축기 토출 온도(Tdis)가 상승하게 되어 압축기 토출 온도(Tdis)와 실외 열 교환기 출구 온도(Tcond)의 차((Tdis)-(Tcond))가 정상 수준보다 더 커지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 1 판정 조건과 제 2 판정 조건, 제 3 판정 조건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조건이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되면(811의 ‘예’), 실내 팬(152a)과 압축기(102)의 운전을 정지하며 표시부(258)에 제 2 판정 결과를 냉매 부족 에러로 표시한다(814). 반대로, 제 1 판정 조건과 제 2 판정 조건, 제 3 판정 조건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조건이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811의 ‘아니오’), 냉매 부족이 아닌 것으로 최종 판정하고, 실내 팬(152a)과 실외 팬(106a) 및 압축기(102)의 운전을 종료하며, 표시부(258)에 <정상>을 표시한다(812).
도 8에서는, 제 1 판정 조건과 제 2 판정 조건, 제 3 판정 조건의 판정 단계를 하나의 단계로 표시하였으나, 제 1 판정 조건과 제 2 판정 조건, 제 3 판정 조건의 판정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 따라 일부 판정 단계가 생략되거나 그 순서가 바뀔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조건의 판정 단계에서, 만약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가 기준 증발 온도(γ) 이하이면 냉매가 부족한 것으로 판정하고 제 3 조건의 판정을 진행할 수 있다. 반대로, 제 1 조건의 판정 단계에서, 만약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가 기준 증발 온도(γ) 이하가 아니면, 제 2 조건의 판정을 진행할 수 있다.
제 2 조건의 판정 단계에서는, 만약 실내 열 교환기 중간 온도(Teva_mid)와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의 차((Teva_mid)?(Teva_in))가 기준 증발기 과열도(δ) 이상이면, 제 3 조건의 판정을 진행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 조건의 판정 단계에서, 실내 열 교환기 중간 온도(Teva_mid)와 실내 열 교환기 입구 온도(Teva_in)의 차((Teva_mid)?(Teva_in))가 기준 증발기 과열도(δ) 이상이 아니면, 냉매 부족이 아닌 것으로 최종 판정하고, 실내 팬(152a)과 실외 팬(106a) 및 압축기(102)의 운전을 종료하며, 표시부(258)에 <정상>을 표시할 수 있(812).
제 3 조건의 판정 단계에서는, 만약 압축기 토출 온도(Tdis)와 실외 열 교환기 출구 온도(Tcond)의 차((Tdis)-(Tcond))가 토출 과열도(ε)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냉매 부족이 아닌 것으로 최종 판정하고, 실내 팬(152a)과 실외 팬(106a) 및 압축기(102)의 운전을 종료하며, 표시부(258)에 <정상>을 표시할 수 있다(812). 반대로, 제 3 조건의 판정 단계에서, 압축기 토출 온도(Tdis)와 실외 열 교환기 출구 온도(Tcond)의 차((Tdis)-(Tcond))가 토출 과열도(ε) 이상인 경우에는, 실내 팬(152a)과 압축기(102)의 운전을 정지하며 표시부(258)에 제 2 판정 결과를 냉매 부족 에러로 표시할 수 있다(814).
100 : 실외기
102 : 압축기
104 : 4웨이 밸브
106 : 실외 열 교환기
106a : 실외 팬
154 : 전자 팽창 밸브
110 : 어큐뮬레이터
150 : 실내기
152 : 실내 열 교환기
152a : 실내 팬
156 : 실내 열 교환기 온도 검출부
158 : 실내 온도 검출부
202 : 실외기 제어부
204 : 전류 검출부
206 : 저장부
208 : 시운전 진행률 제어부
210 : 압축기 구동 제어부
212 : 실외 팬 제어부
214 : 4웨이 밸브 제어부
262 : 네트워크 모듈
254a : 시운전 버튼
254b : 자가 진단 버튼

Claims (20)

  1. 실내 열 교환기, 실내 팬 및 상기 실내 열 교환기의 입구 측에 마련되는 온도 검출부를 포함하는 실내기;
    상기 실내기와 적어도 하나의 배관에 의해 연결되고, 실외 열 교환기 및 압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를 제어하여 시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시운전의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기의 상태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의 통신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실내 팬을 운전하고, 상기 실내 팬을 운전한 이후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기 이전에 상기 온도 검출부에서 측정된 상기 실내 열 교환기의 입구 온도(Teva_in)와 상기 압축기를 운전한 이후에 상기 온도 검출부에서 측정된 상기 실내 열 교환기의 입구 온도(Teva_in+1)를 비교하여 밸브 막힘 에러를 판정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막힘 에러는,
    서비스 밸브 막힘 시에 발생되는 공기 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팬을 운전한 이후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기 이전에 측정된 상기 실내 열 교환기의 입구 온도(Teva_in)와 상기 압축기를 운전한 이후에 측정된 상기 실내 열 교환기의 입구 온도(Teva_in+1)의 차((Teva_in)-(Teva_in+1))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보다 작으면, 상기 밸브 막힘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공기 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 막힘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냉매의 부족 여부를 판정하는 공기 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운전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는 공기 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운전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시운전을 진행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잠김 상태를 유지하는 공기 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운전을 수행하기 위한 시운전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시운전의 판정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운전의 진행 과정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시운전의 진행 과정을 백분율(%)로 표시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내기가 복수 개로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11. 실내 열 교환기, 실내 팬 및 상기 실내 열 교환기의 입구 측에 마련되는 온도 검출부를 포함하는 실내기 및 상기 실내기와 적어도 하나의 배관에 의해 연결되고, 실외 열 교환기 및 압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의 통신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시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실내 팬을 운전하고;
    상기 실내 팬을 운전한 이후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기 이전에 상기 온도 검출부에서 측정된 상기 실내 열 교환기의 입구 온도(Teva_in)와 상기 압축기를 운전한 이후에 상기 온도 검출부에서 측정된 상기 실내 열 교환기의 입구 온도(Teva_in+1)를 비교하여 밸브 막힘 에러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막힘 에러는,
    서비스 밸브 막힘 시에 발생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막힘 에러를 판정하는 것은,
    상기 실내 팬을 운전한 이후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기 이전에 측정된 상기 실내 열 교환기의 입구 온도(Teva_in)와 상기 압축기를 운전한 이후에 측정된 상기 실내 열 교환기의 입구 온도(Teva_in+1)의 차((Teva_in)-(Teva_in+1))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보다 작으면, 상기 밸브 막힘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밸브 막힘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냉매의 부족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시운전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시운전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시운전을 진행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잠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시운전이 완료되면 상기 시운전의 판정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시운전의 진행 과정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운전의 진행 과정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시운전의 진행 과정을 백분율(%)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시운전을 수행하기 위한 시운전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0220129977A 2012-07-03 2022-10-11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KR102560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2310 2012-07-03
KR1020120072310 2012-07-03
KR1020210164830A KR102455220B1 (ko) 2012-07-03 2021-11-25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830A Division KR102455220B1 (ko) 2012-07-03 2021-11-25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785A true KR20220144785A (ko) 2022-10-27
KR102560986B1 KR102560986B1 (ko) 2023-07-31

Family

ID=5026670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054A KR102206199B1 (ko) 2012-07-03 2013-06-10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KR1020210164830A KR102455220B1 (ko) 2012-07-03 2021-11-25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KR1020220129977A KR102560986B1 (ko) 2012-07-03 2022-10-11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054A KR102206199B1 (ko) 2012-07-03 2013-06-10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KR1020210164830A KR102455220B1 (ko) 2012-07-03 2021-11-25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1099106B2 (ko)
KR (3) KR102206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081B1 (ko) * 2015-02-25 2021-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조 장치 및 상기 공조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2145700A1 (ko) * 2020-12-29 2022-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050A (ko) * 1999-05-04 2000-12-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저압측 막힘 판단방법
JP3211412B2 (ja) * 1992-10-20 2001-09-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凍空調機器およびその水分管理方法
JP2004085043A (ja) * 2002-08-26 2004-03-18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KR20070120546A (ko) * 2005-04-07 2007-12-24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의 냉매량 판정 시스템
KR20080020845A (ko) * 2006-09-01 2008-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100058106A (ko) * 2008-11-24 201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8375A (ko) * 2009-01-30 2010-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44B2 (ja) * 1980-07-08 1985-01-25 株式会社東芝 空気調和機のための湿度検出装置
JP3517433B2 (ja) 1993-07-07 2004-04-12 Smc株式会社 構造部材用連結機構
JP3071135B2 (ja) 1995-11-13 2000-07-31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458984B2 (ja) 1995-11-15 2003-10-2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100238656B1 (ko) 1997-11-29 2000-01-15 윤종용 설치 점검 기능을 가진 멀티 인버터 공조 기기 및 테스트 방법
JP3071135U (ja) 1999-04-15 2000-08-29 博之 古賀 三角型紙マスク
KR100326126B1 (ko) 1999-08-05 2002-02-27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성능검사방법
SG88804A1 (en) * 1999-12-07 2002-05-21 Sanyo Electric Co Air conditioner
JP3596750B2 (ja) 1999-12-10 2004-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ルチエアコンの制御方法
US6442953B1 (en) 2000-11-27 2002-09-03 Uview Ultraviolet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performance of air-conditioning systems
JP2002221348A (ja) 2001-01-24 2002-08-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100484869B1 (ko) * 2003-01-13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시스템의 운전제어방법
JP2005049001A (ja) 2003-07-28 2005-0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US6981384B2 (en) 2004-03-22 2006-01-03 Carrier Corporation Monitoring refrigerant charge
KR20060059621A (ko) 2004-11-29 2006-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를 시운전하는 장치
KR20070017269A (ko) 2005-08-06 2007-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에어컨시스템의 배관점검운전방법 및 배관점검방법
JP2007263539A (ja) 2006-03-30 2007-10-11 Daikin Ind Ltd 空調室外機
CN100451473C (zh) 2006-10-12 2009-01-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具有制冷剂缺少故障检测功能的空调器及故障检测方法
KR20100056204A (ko) 2008-11-19 201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냉매 누설 진단방법
JP5396246B2 (ja) * 2009-11-18 2014-0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用空調装置
CN102519119A (zh) 2011-12-04 2012-06-27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带故障自诊断功能的空调器及其故障自诊断方法
JP3211412U (ja) 2017-02-20 2017-07-13 台灣奥黛莉股▲ふん▼有限公司 リラックスブラジャー構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1412B2 (ja) * 1992-10-20 2001-09-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凍空調機器およびその水分管理方法
KR20000073050A (ko) * 1999-05-04 2000-12-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저압측 막힘 판단방법
JP2004085043A (ja) * 2002-08-26 2004-03-18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KR20070120546A (ko) * 2005-04-07 2007-12-24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의 냉매량 판정 시스템
KR20080020845A (ko) * 2006-09-01 2008-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100058106A (ko) * 2008-11-24 201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8375A (ko) * 2009-01-30 2010-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220B1 (ko) 2022-10-18
KR102560986B1 (ko) 2023-07-31
KR20140018782A (ko) 2014-02-13
US11835428B2 (en) 2023-12-05
US20210348986A1 (en) 2021-11-11
US20190285516A1 (en) 2019-09-19
KR20210149657A (ko) 2021-12-09
KR102206199B1 (ko) 2021-01-25
US11099106B2 (en)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207B1 (ko)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KR102560986B1 (ko)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CN103293010B (zh) 空调器冷媒的检测方法、装置及系统
JP3980601B2 (ja) マルチエアコンシステム及びマルチエアコンシステムの配管連結点検方法
US20150184880A1 (en) Monitoring system
KR101929854B1 (ko)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방법
KR20100056204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냉매 누설 진단방법
CN109237721A (zh) 用于空调的电子膨胀阀故障检测方法
KR101496599B1 (ko) 열원 장치
KR20180112587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9405173A (zh) 一种电子膨胀阀内漏的检测方法及多联机空调系统
WO2019116437A1 (ja) 空気調和機
KR19990043509A (ko) 설치 점검 기능을 가진 멀티 인버터 공조 기기 및 테스트 방법
CN109282424A (zh) 空调器控制方法、空调器控制装置
KR102150441B1 (ko) 공기조화장치
EP3872408B1 (en) Water filling method for an air conditioner
KR20140141127A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KR20060029565A (ko) 멀티 에어컨 시스템 및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연결탐색방법
KR100656162B1 (ko)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진단방법
KR2021009441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30304686A1 (en) Heat Pump Fault Detection System
KR2010008184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시운전방법
KR20220095071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