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554A -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 정보관리시스템, 작업기계용 정보처리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 정보관리시스템, 작업기계용 정보처리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554A
KR20220143554A KR1020217034053A KR20217034053A KR20220143554A KR 20220143554 A KR20220143554 A KR 20220143554A KR 1020217034053 A KR1020217034053 A KR 1020217034053A KR 20217034053 A KR20217034053 A KR 20217034053A KR 20220143554 A KR20220143554 A KR 20220143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havior
operator
information
shovel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슌스케 오오츠키
šœ스케 오오츠키
스스무 아이자와
요시히사 키요타
단팅 리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43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4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06V20/597Recognising the driver's state or behaviour, e.g. attention or drowsine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쇼벨(100)에서는, 쇼벨(100)의 주변의 소정 영역 내로의 장해물의 침입이나 쇼벨(100)의 불안정상태가 검지되면, 검지된 위험이 쇼벨(100)의 오퍼레이터에게 알려지고, 알림 후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의 행동이 검출되어, 검지된 위험의 내용, 및 검출된 오퍼레이터의 행동에 근거하여, 당해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안전에 대한 기여도로 정량평가한 안전행동평갓값이 산출된다.

Description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 정보관리시스템, 작업기계용 정보처리프로그램
본 발명은,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 정보관리시스템, 작업기계용 정보처리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쇼벨 등의 작업기계에 있어서, 주변으로의 사람의 침입 등의 위험을 검지하고, 이 위험의 발생을 오퍼레이터에게 경고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85091호
그러나, 위험을 인식한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평가함으로써, 작업현장의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작업현장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는,
작업기계의 상태 또는 주변환경에 관한 위험을 검지하는 위험검지수단과,
상기 위험검지수단에 의하여 검지된 위험을 상기 작업기계의 오퍼레이터에게 알리는 알림수단과,
상기 알림수단에 의한 알림 후에 있어서의 상기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검출하는 행동검출수단과,
상기 위험검지수단에 의하여 검지된 위험의 내용, 및 상기 행동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오퍼레이터의 행동에 근거하여, 당해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안전에 대한 기여도로 정량평가한 안전행동평갓값을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정보관리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가 각각 탑재된 복수의 작업기계와, 당해 복수의 작업기계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 가능한 정보관리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정보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정보관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작업기계로부터 수신한 상기 안전행동평갓값을 축적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계용 정보처리프로그램은,
작업기계의 상태 또는 주변환경에 관한 위험을 검지하는 위험검지수단을 구비하는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를,
상기 위험검지수단에 의하여 검지된 위험을 상기 작업기계의 오퍼레이터에게 알리는 알림수단,
상기 알림수단에 의한 알림 후에 있어서의 상기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검출하는 행동검출수단,
상기 위험검지수단에 의하여 검지된 위험의 내용, 및 상기 행동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오퍼레이터의 행동에 근거하여, 당해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안전에 대한 기여도로 정량평가한 안전행동평갓값을 산출하는 산출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현장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하나의 쇼벨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물체검지부에 의한 검지범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안전행동평가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행동평가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관리시스템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안전행동평가정보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쇼벨의 구성]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쇼벨(100)은,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계의 일례이며,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위험이 발생했을 때의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100)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쇼벨(100)은, 하부주행체(1)와, 선회기구(2)를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하부주행체(1)에 탑재되는 상부선회체(3)와, 어태치먼트로서의 붐(4), 암(5) 및 버킷(6)과,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캐빈(10)을 구비한다. 어태치먼트는, 작업요소(예를 들면, 버킷, 크러셔, 크레인장치 등)가 마련되어 있으면,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부주행체(1)는, 예를 들면, 좌우 한 쌍의 크롤러를 포함하고, 각각의 크롤러가 주행유압모터(도시하지 않음)로 유압구동됨으로써, 쇼벨(100)을 주행시킨다.
상부선회체(3)는, 선회유압모터 혹은 전동기(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구동됨으로써, 하부주행체(1)에 대하여 선회한다.
붐(4)은, 상부선회체(3)의 전부(前部)중앙에 부앙(俯仰) 가능하게 피봇장착(樞着)되고, 붐(4)의 선단에는, 암(5)이 상하회동(回動) 가능하게 피봇장착되며, 암(5)의 선단에는, 버킷(6)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피봇장착된다. 붐(4), 암(5) 및 버킷(6)은, 각각,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및 버킷실린더(9)에 의하여 유압구동된다.
캐빈(10)은,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조종실이며, 예를 들면 상부선회체(3)의 전부좌측에 탑재된다.
도 2는, 쇼벨(100)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쇼벨(100)은, 상기 구성 외에, 컨트롤러(30)와, 촬상장치(40)와, 동작·자세상태센서(42)와, 차내 카메라(43)와, 조작장치(45)와, 표시장치(50)와, 음성출력장치(60)와, 외부알림장치(70)와, 통신기기(8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는, 컨트롤러(30), 촬상장치(40), 동작·자세상태센서(42), 차내 카메라(43), 조작장치(45), 표시장치(50) 및 음성출력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촬상장치(40)는, 상부선회체(3)의 상부에 장착되고, 쇼벨(100)의 주변을 촬영하여 그 화상을 컨트롤러(30)에 출력한다. 촬상장치(40)는, 후방카메라(40B), 좌측방카메라(40L), 우측방카메라(40R)를 포함한다.
후방카메라(40B)는, 상부선회체(3)의 후단상부에 장착되고, 상부선회체(3)의 후방을 촬상한다.
좌측방카메라(40L)는, 상부선회체(3)의 좌단상부에 장착되고, 상부선회체(3)의 좌측방을 촬상한다.
우측방카메라(40R)는, 상부선회체(3)의 우단상부에 장착되고, 상부선회체(3)의 우측방을 촬상한다.
이들 후방카메라(40B), 좌측방카메라(40L) 및 우측방카메라(40R)의 각각은, 상부선회체(3)의 상부에 있어서, 광축이 경사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되고, 쇼벨(100) 근방의 지면부터 쇼벨(100)의 원방(遠方)까지를 포함하는 상하방향의 촬상범위(화각)를 갖는다.
후방카메라(40B), 좌측방카메라(40L) 및 우측방카메라(40R)는, 상부선회체(3)의 상면에 장착되어도 된다. 이들 카메라(40B, 40L, 40R)는, 상부선회체(3)의 측면단부로부터는 돌출되지 않는 양태로, 상부선회체(3)의 일부가 비치도록, 광축이 경사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되어도 된다.
촬상하고자 하는 대상과 상부선회체(3)의 일부가 동시에 화상으로서 취득되므로, 촬상화상은, 쇼벨(100)에 마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취득된 화상인 것을 직관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 촬상하고자 하는 대상과 쇼벨(100)의 거리감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동작·자세상태센서(42)는, 쇼벨(100)의 동작상태나 자세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이며, 검출결과를 컨트롤러(30)에 출력한다. 동작·자세상태센서(42)는, 붐각도센서와, 암각도센서와, 버킷각도센서와, 3축 관성센서(IMU: Inertial Measurement Unit)와, 선회각도센서와, 가속도센서를 포함한다.
이들 센서는, 붐 등의 실린더의 스트로크센서, 로터리인코더 등의 회전정보를 취득하는 센서로 구성되어도 되고, IMU로 취득되는 가속도(속도, 위치도 포함해도 된다)에 의하여 대체되어도 된다.
암각도센서는, 붐(4)을 기준으로 하는 암(5)의 회동각도(이하, "암각도"라고 칭한다)를 검출한다.
버킷각도센서는, 암(5)을 기준으로 하는 버킷(6)의 회동각도(이하, "버킷각도"라고 칭한다)를 검출한다.
IMU는, 붐(4) 및 암(5)의 각각에 장착되고, 소정의 3축을 따른 붐(4) 및 암(5)의 가속도, 및, 소정의 3축 둘레의 붐(4) 및 암(5)의 각가속도를 검출한다.
선회각도센서는, 상부선회체(3)의 소정의 각도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선회각도를 검출한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선회체(3)에 마련된 GPS나 IMU센서에 근거하여 선회각도가 검출되어도 된다.
가속도센서는, 상부선회체(3)의 선회축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장착되고, 상부선회체(3)의 당해 위치에 있어서의 가속도를 검출한다. 이로써, 가속도센서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상부선회체(3)가 선회하고 있는지, 혹은, 하부주행체(1)가 주행하고 있는지 등이 판별될 수 있다.
차내 카메라(43)는, 캐빈(10)의 조종석 부근에 마련되고, 캐빈(10) 내의 오퍼레이터의 동작을 촬영한다. 이 차내 카메라(43)는, 취득한 화상으로부터 오퍼레이터의 시선(눈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도록, 오퍼레이터의 얼굴을 정면측으로부터 촬영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조작장치(45)는, 캐빈(10)의 조종석 부근에 마련되고, 오퍼레이터가 각 동작요소(하부주행체(1), 상부선회체(3), 붐(4), 암(5) 및 버킷(6) 등)의 조작을 행하는 조작수단이다. 환언하면, 조작장치(45)는, 각 동작요소를 구동하는 각각의 유압액추에이터의 조작을 행하는 조작수단이다. 조작장치(45)는, 예를 들면 레버나 페달, 각종 버튼 등을 포함하고, 이들의 조작내용에 따른 조작신호를 컨트롤러(30)에 출력한다.
또, 조작장치(45)는, 촬상장치(40), 동작·자세상태센서(42), 차내 카메라(43), 표시장치(50), 음성출력장치(60), 외부알림장치(70), 통신기기(80) 등의 조작을 행하는, 각종 설정수단을 포함하는 조작수단이기도 하며, 이들 각부(各部)에 대한 조작지령을 컨트롤러(30)에 출력한다.
표시장치(50)는, 캐빈(10) 내의 조종석의 주변에 마련되고, 컨트롤러(30)에 의한 제어하에,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는 각종 화상정보를 표시한다. 표시장치(50)는, 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나 유기EL(Electroluminescence)디스플레이이며, 조작장치(45)의 적어도 일부를 겸하는 터치패널식이어도 된다.
음성출력장치(60)는, 캐빈(10) 내의 조종석의 주변에 마련되고, 컨트롤러(30)에 의한 제어하에, 오퍼레이터에게 통지(알림)하는 각종 음성정보를 출력한다. 음성출력장치(60)는, 예를 들면, 스피커나 버저 등이다.
외부알림장치(70)는, 쇼벨(100)의 주변의 작업자나 작업현장의 감독자 등을 향하여 알림을 행한다. 외부알림장치(70)는, 예를 들면, 쇼벨(100)의 주변의 작업자 등을 향하여 점등 혹은 점멸 등 하는 광원(등화기(燈火器))을 포함해도 된다. 또, 외부알림장치(70)는, 쇼벨(100)의 주변의 작업자 등을 향하여 화상정보(문자정보나 묘화정보 등)를 제시하는 외부를 대상으로 한 표시장치를 포함해도 된다. 또, 외부알림장치(70)는, 쇼벨(100)의 주변의 작업자 등을 향하여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나 버저 등의 외부를 대상으로 한 음성출력장치를 포함해도 된다.
통신기기(80)는, 소정의 무선통신규격에 근거하여, 소정의 통신네트워크(예를 들면, 기지국을 말단으로 하는 휴대전화 네트워크나 인터넷망 등)를 통하여, 원격의 외부기기나 다른 쇼벨(100) 등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디바이스이다.
컨트롤러(30)는, 쇼벨(100)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쇼벨(100)의 구동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이다. 컨트롤러(30)는, 캐빈(10) 내에 탑재된다. 컨트롤러(30)는, 그 기능이 임의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그 조합에 의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CPU, RAM, ROM, I/O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또, 컨트롤러(30)는,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부로서, 물체검지부(301)와, 불안정검지부(302)와, 행동검출부(303)와, 행동평가부(304)와, 정보출력부(305)를 포함한다. 추가로, 컨트롤러(3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내부메모리에 규정되는 기억영역으로서의 기억부(310)를 포함한다.
물체검지부(301)는, 촬상장치(40)에 의한 촬상화상에 근거하여, 쇼벨(100)의 주변의 소정 영역(예를 들면 쇼벨(100)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의 소정의 검지대상을 검지하고, 당해 소정 영역 내로의 검지대상의 침입을 검지한다. 구체적으로, 물체검지부(301)는, 이미 알려진 각종 화상처리수법이나 기계학습베이스의 식별기 등을 적용함으로써, 촬상화상 내의 검지대상을 인식함과 함께, 인식한 검지대상의 실재위치나 그 크기를 특정한다. 검지대상은, 쇼벨(100)의 주변에 존재 혹은 침입할 수 있는 장해물이다. 이 검지대상에는, 쇼벨(100)의 주변의 작업자 등의 사람, 쇼벨(100)의 주변에서 작업을 행하는 다른 작업기계나 차량, 쇼벨(100)의 주변에 임시 적재 공재(工材) 등이 포함된다.
도 3은, 물체검지부(301)의 검지범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체검지부(301)는, 후방카메라(40B), 좌측방카메라(40L) 및 우측방카메라(40R)의 각각에 대응하는 검지범위(MAB, MAL, MAR)를 갖는다.
여기에서, 물체검지부(301)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설정조작에 따라, 컨트롤러(30)의 리소스의 범위 내에서, 하나의 검지부의 검지성능에 관한 소정의 성능항목을 높이고, 그 대신에, 하나의 검지부 혹은 다른 검지부의 검지성능을 저하시키는 등 하여, 검지성능을 변경할 수 있다. 검지성능에는, 감시대상을 검지 가능한 범위(검지범위), 검지정밀도, 검지주기마다의 검지빈도(즉, 검지주기 내에 있어서 감시대상의 검지를 행하는 횟수) 등의 성능항목이 포함된다.
또, 물체검지부(301)는, 쇼벨(100)의 주변의 소정영역 내에 검지대상을 검지한 경우, 그 취지를 오퍼레이터에게 알리기 위한 화상이나 음성을, 표시장치(50) 및/또는 음성출력장치(60)에 출력시킨다. 이 경우의 출력양태는, 검지된 검지대상의 종별이나, 검지대상과 쇼벨(100)의 거리 등에 따라 변화시켜도 된다. 또, 물체검지부(301)는, 이 알림출력의 개시 후, 소정의 조건(예를 들면 소정영역 내에 검지대상이 검지되지 않게 되는 등)에 근거하여, 출력을 정지(해제)한다.
불안정검지부(30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쇼벨(100)의 동작에 관한 안정도가 소정 기준을 하회하는 상태(이하, "불안정상태"라고 한다.)가 발생한 것을 검지한다. 구체적으로, 불안정검지부(302)는, 쇼벨(100)의 상태(동작상태, 제어상태 등)에 관련되는 정보를, 쇼벨(100)에 탑재되는 각종 센서(예를 들면, 촬상장치(40), 동작·자세상태센서(42), 차내 카메라(43), 조작장치(45) 등), 각종 액추에이터(예를 들면, 유압제어를 행하는 전자밸브 등), 각종 제어장치(예를 들면, 컨트롤러(30)의 다른 기능부 등)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불안정검지부(302)는, 취득한 정보에 근거하여, 쇼벨(100)의 동작에 관한 안정도가 소정 기준을 하회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함으로써, 쇼벨(100)의 불안정상태가 발생한 것을 검지한다.
쇼벨(100)의 불안정상태에는, 예를 들면, 굴삭작업 시나 평탄화 작업 시의 지면으로부터 어태치먼트에 부가되는 반력 등에 의하여, 쇼벨(100)(하부주행체(1))이 전방 혹은 후방으로 미끄러질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슬라이딩불안정상태)가 포함된다.
또, 쇼벨(100)의 불안정상태에는, 예를 들면, 굴삭반력 등에 의하여, 쇼벨(100)(하부주행체(1))의 전부 혹은 후부가 부상해 버릴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부상불안정상태)가 포함된다.
또, 쇼벨(100)의 불안정상태에는, 예를 들면, 쇼벨(100)의 어태치먼트의 공중동작(버킷(6)이 접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동작) 중의 어태치먼트의 관성모멘트의 변화 등에 의하여, 차체(하부주행체(1), 선회기구(2) 및 상부선회체(3))에 진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진동불안정상태)가 포함된다.
또, 불안정검지부(302)는, 쇼벨(100)의 불안정상태를 검지한 경우, 그 취지를 오퍼레이터에게 알리기 위한 화상이나 음성을, 표시장치(50) 및/또는 음성출력장치(60)에 출력시킨다. 이 경우의 출력양태는, 검지된 불안정상태의 종별이나 그 정도 등에 따라 변화시켜도 된다. 또, 불안정검지부(302)는, 이 알림출력의 개시 후, 소정의 조건(예를 들면 불안정상태가 해소되는 등)에 근거하여, 출력을 정지(해제)한다.
행동검출부(303)는, 차내 카메라(43) 및 조작장치(45)의 출력에 근거하여, 캐빈(10) 내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검출한다.
검출되는 오퍼레이터의 행동에는, 오퍼레이터의 시선이 포함된다. 행동검출부(303)는, 오퍼레이터의 눈의 움직임을 차내 카메라(43)에 의하여 촬영하고, 그 화상정보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기준점을 각막반사, 동점을 동공으로 하거나, 혹은 기준점을 눈구석, 동점을 홍채로 하여 이들의 위치관계를 이용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시선을 검출한다.
또, 검출되는 오퍼레이터의 행동에는, 조작장치(45)에 대한 오퍼레이터의 조작내용이 포함된다. 행동검출부(303)는, 조작장치(45)의 출력에 근거하여, 오퍼레이터에 의한 쇼벨(100)의 조작내용을 검출한다.
행동평가부(304)는, 행동검출부(303)에 의하여 검출된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쇼벨(100)의 주변에 있어서의 안전에 기여하는지 아닌지의 관점에서 평가한다. 구체적으로, 행동평가부(304)는,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안전에 대한 기여도로 정량평가한 안전행동평갓값을 산출하고, 이것을 안전행동평가정보(3101)로서 기억부(310)에 기억시킨다. 안전행동평갓값의 산출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정보출력부(305)는, 행동평가부(304)에 의하여 안전행동평갓값으로서 산출되어, 기억부(310)에 기억된 안전행동평가정보(3101)를, 적절히 출력한다. 예를 들면, 정보출력부(305)는, 안전행동평가정보(3101)를 표시장치(50)에 표시시킨다.
이때의 출력양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안전행동평갓값만을 표시장치(50)에 표시시켜도 된다.
혹은,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310)에 축적된, 동일한 오퍼레이터에 관한 복수의 안전행동평가정보(3101)(안전행동평갓값)를, 소정의 시간단위(도 4의 예에서는 일. 주나 월 등이어도 된다)마다의 변화를 비교하는 그래프로 통합하여 출력해도 된다. 이 경우, 오퍼레이터가 행동했을 때의 위험의 종별마다 그래프를 나누는 편이 좋다.
또, 정보출력부(305)는, 안전행동평가정보(3101)를, 시인할 수 있는 형식으로 출력해도 되고,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프린터에 의하여 종이 매체에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쇼벨(100)의 캐빈(10) 내에 마련한 프린터로부터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되며, 작업을 관리하는 관리센터 등에 마련된 프린터로 통신기기(80)에 의하여 정보를 송신하여 당해 프린터로부터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정보출력부(305)는, 안전행동평가정보(3101)를 출력할 때에, 이 안전행동평가정보(3101)가 취득되었을 때의 작업에 관련되는 작업관련정보를, 아울러 출력해도 된다(도 4 참조). 작업관련정보란, 작업정보, 일시(日時)정보, 기후정보, 위치정보, 기체정보, 오퍼레이터정보 등이다. 정보출력부(305)는, 이 작업관련정보를 적절히 취득하여, 기억부(310)에 기억한다.
작업정보에는, 작업(공사)명이나 작업장소, 작업내용, 쇼벨의 오너, 작업의 하청업자, 중간업자, 작업에 관련되는 엔드유저 등의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정보출력부(305)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장치(45)를 통한 입력조작에 근거하여, 작업정보를 취득한다.
일시정보에는, 일자, 요일, 시각이 포함된다. 정보출력부(305)는, 컨트롤러(30)내의 계시 수단(예를 들면 RTC(Real Time Clock))에 의하여, 일시정보를 취득한다.
기후정보는, 쇼벨(100)이 작업하고 있는 장소 및 일시에 있어서의 기후의 정보이며, 맑음, 구름, 비, 눈 등의 날씨구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정보출력부(305)는, 통신기기(80)를 통하여, 기후에 관한 서버나 웹사이트로부터 원하는 기후정보를 취득한다. 혹은, 정보출력부(305)는, 조도센서나 빗방울감지센서 등을 포함하고, 이들 센서에 의하여 출력되는 조도나 비의 유무 등에 근거하여, 기후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위치정보는, 쇼벨(100)의 위치의 정보이며, 그 경도 및 위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 위치정보는, 더 고도의 정보를 포함해도 되며, GeoHash 등의 지오코드정보여도 된다. 정보출력부(305)는, 예를 들면,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전지구위성측위시스템)장치를 포함하고, 쇼벨(100)의 상공의 위성으로부터의 신호 등에 근거하여, 당해 쇼벨(100)의 위치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기체정보는, 쇼벨(100)을 특정하기 위한 당해 쇼벨(100)의 식별정보이며, 예를 들면, 미리 규정되는 기계번호, 쇼벨ID 등이다. 정보출력부(305)는, 예를 들면, 기억부(310) 등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기계번호 등을 읽어냄으로써, 기체정보를 취득한다.
오퍼레이터정보는, 쇼벨(100)을 조종하고 있는 오퍼레이터를 특정하기 위한 당해 오퍼레이터의 식별정보이며, 미리 규정되는 오퍼레이터ID 등이다. 정보출력부(305)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장치(45)를 통한 입력조작에 근거하여, 오퍼레이터정보를 취득한다.
작업관련정보(작업정보, 일시정보, 기후정보, 위치정보, 기체정보, 오퍼레이터정보 등)는, 조작장치(45)를 통한 입력조작(직접 정보를 입력하거나, 미리 설정정보로부터 선택하는 것도 된다)이나, 통신기술이나 정보처리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취득되어도 된다.
작업관련정보는 서로 관련지어져 기억되어도 된다.
[쇼벨의 동작]
계속해서, 위험발생 시의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평가하는 행동평가처리를 실행할 때의 쇼벨(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이 행동평가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행동평가처리는, 위험이 발생했을 때의 쇼벨(100)의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안전면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그 결과를 오퍼레이터본인을 포함하는 작업관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함으로써, 작업현장의 안전성을 평가하며, 나아가서는 작업현장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처리이다. 이 행동평가처리는, 컨트롤러(30)이 내부의 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CPU상에서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행동평가처리가 실행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컨트롤러(30)는, 쇼벨(100)을 구동하여 작업을 개시한다(스텝 S1). 이때, 캐빈(10) 내의 표시장치(50)에는, 촬상장치(40)로 촬영한 쇼벨(100) 주변의 영상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컨트롤러(30)는, 쇼벨(100)의 상태 또는 그 주변환경에 관한 위험이 검지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2).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위험으로서, 쇼벨(100) 주변의 소정 영역 내로의 장해물(사람, 다른 작업기계, 공재 등)의 침입과, 쇼벨(100)의 불안정상태(슬라이딩불안정상태, 부상불안정상태, 진동불안정상태 등)의 검지가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30)의 물체검지부(301)가, 촬상장치(40)에 의한 촬상화상에 근거하여, 쇼벨(100)의 주변의 소정 영역 내로의 장해물의 침입을 검지한다. 물체검지부(301)는, 촬상화상으로부터 장해물의 위치나 크기를 특정한다.
또, 컨트롤러(30)의 불안정검지부(302)가, 동작·자세상태센서(42)에 의한 검출결과 등에 근거하여, 쇼벨(100)의 불안정상태를 검지한다. 다만, 불안정검지부(302)는, 쇼벨(100)의 불안정상태를 일으킬 수 있는 소정의 불안정동작이 검지된 경우에, 불안정상태가 발생했다고 판정해도 된다.
그리고, 위험은 검지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 No), 컨트롤러(30)는, 상술한 스텝 S1로 처리를 이행하여, 작업을 속행한다.
스텝 S2에 있어서, 쇼벨(100)의 상태 또는 그 주변환경에 관한 위험이 검지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 Yes), 컨트롤러(30)는, 검지된 위험을 오퍼레이터에게 알린다(스텝 S3).
구체적으로, 컨트롤러(30)는, 캐빈(10) 내의 음성출력장치(60)로부터의 경보음의 출력이나, 표시장치(50)에서의 경보정보의 표시에 의하여, 위험이 검지된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알린다. 이때의 알림양태는, 검지된 위험의 종별이나 그 정도 등에 따라 변화시켜도 된다(예를 들면, 검지된 장해물과 쇼벨(100)의 거리에 따라, 경보음의 크기를 변경하는 등).
다음으로, 컨트롤러(30)는,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검출한다(스텝 S4).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30)의 행동검출부(303)가, 차내 카메라(43)에 의한 촬상화상에 근거하여, 오퍼레이터의 시선을 검출하여, 오퍼레이터의 시인 대상을 특정한다. 또, 행동검출부(303)는, 조작장치(45)의 출력에 근거하여, 오퍼레이터에 의한 쇼벨(100)의 조작내용을 검출한다.
다음으로, 컨트롤러(30)는, 스텝 S4에서 검출된 오퍼레이터의 행동에 근거하여, 당해 오퍼레이터의 안전행동평갓값을 산출한다(스텝 S5). 안전행동평갓값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발생한 위험 시에 오퍼레이터가 취한 행동을, 쇼벨(100)의 주변에 있어서의 안전에 대한 기여도로 정량평가한 수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전행동평갓값이 높을수록 안전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 스텝 S5에서는, 컨트롤러(30)의 행동평가부(304)가, 스텝 S2에서 검지된 위험의 내용과, 스텝 S4에서 검출된 오퍼레이터의 행동에 근거하여, 안전행동평갓값을 산출한다. 여기에서, 위험의 내용이란, 위험의 종별(본 실시형태에서는, 장해물의 존재와, 쇼벨(100)의 불안정상태), 위험의 정도(예를 들면, 장해물의 종류(사람인지 사물인지), 장해물과 쇼벨(100)의 거리 등) 등이다.
구체적으로, 행동평가부(304)는, 룰베이스를 이용하여 안전행동평갓값을 산출한다. 즉, 행동평가부(304)는, 오퍼레이터의 행동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평가행동에 합치(合致)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합치한 경우에는 그 평가행동에 할당된 점수를 가점 또는 감점한다. 이것을 모든 오퍼레이터의 행동에 대하여 행하고, 그때의 총득점으로서, 안전행동평갓값을 산출한다.
안전행동평갓값이 가점되는 평가행동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표시장치(50)를 시인하여 촬상장치(40)의 영상을 확인한다.
·쇼벨(100)의 동작을 신중하게(완만하게) 한다.
·쇼벨(10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캐빈(10) 외를 육안으로 확인한다.
·외부알림장치(70)를 동작시켜 쇼벨(100)의 주변을 향하여 위험을 알린다.
·주변에 장해물을 검지한 경우에, 장해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차체(하부주행체(1), 상부선회체(3), 어태치먼트 등)를 동작시킨다. 혹은, 차체를 장해물에 가까이 하지 않고 작업을 계속한다.
·쇼벨(100)의 불안정상태가 검지된 경우에, 이 불안정상태를 해소시키도록 쇼벨(100)을 동작시킨다. 예를 들면, 굴삭지점과 쇼벨본체가 비교적 가까워지도록 하여, 무게중심이 멀어지기 어렵게 한다. 또, 주행속도나 조작속도를 완만하게 한다 등.
안전행동평갓값이 감점되는 평가행동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쇼벨(100)의 굴삭동작을 그대로 속행시킨다(조작내용에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
평가행동은, 검지된 위험의 내용(종별이나 그 정도 등)에 따라 내용이 상이해도 된다. 또, 동일한 평가행동이더라도, 위험의 내용에 따라 상이한 점수가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각 평가행동에는, 안전에 대한 기여도에 따른 점수가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면, "쇼벨(10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평가행동에는, "쇼벨(100)의 동작을 완만하게 한다" 평가행동보다, 쇼벨(100)과 장해물의 접촉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는 점에서, 큰 가점점수가 할당되어 있어도 된다.
다만, 평가행동의 설정은, 예를 들면 나이브베이즈, 뉴럴네트워크(neural network) 등의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것으로 해도 된다.
산출된 안전행동평갓값은, 안전행동평가정보(3101)로서 기억부(310)에 기억된다. 이때, 기억되는 안전행동평갓값은, 그 평가가 이루어졌을 때의 작업에 관련되는 상술한 작업관련정보와 대응지어져, 기억부(310)에 기억된다. 작업관련정보는, 정보출력부(305)에 의하여 미리 또는 필요에 따라 취득되고, 기억부(310)에 기억된다.
그 후, 적어도 스텝 S2에서 검지된 위험이 해소되고, 쇼벨(100)이 건전한 상태로 복귀하면, 컨트롤러(30)는, 스텝 S5에서 산출된 안전행동평갓값을 출력한다(스텝 S6).
이 스텝에서는, 컨트롤러(30)의 정보출력부(305)가, 스텝 S5에서 산출된 안전행동평갓값을, 예를 들면 동일한 오퍼레이터에 관한 과거의 안전행동평갓값과 통합한 그래프로 하는 등 하여(도 4 참조), 표시장치(50)에 표시하거나, 또는 도시하지 않은 프린터로부터 출력한다.
다만, 이 스텝 S6에서의 결과출력은, 예를 들면 작업종료 후에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컨트롤러(30)는, 쇼벨(100)에 의한 작업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 S7),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7; No), 상술한 스텝 S1로 처리를 이행하여, 작업을 속행한다. 이로써, 작업이 종료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 위험의 검지 및 그 알림과, 오퍼레이터의 행동의 검출 및 그 평가가, 순차 실행되어 반복된다.
또,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쇼벨(100)의 엔진 등의 동력원이 정지되는 등 하여, 적어도 어태치먼트 등의 액추에이터를 조작해도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되어 있는 등, 작업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7; Yes), 컨트롤러(30)는, 행동평가처리를 종료한다. 다만, 축전수단을 구비하는 경우는, 액추에이터를 조작해도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촬상장치(40)나 컨트롤러(30)를 기동하여, 상술한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기술적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쇼벨(100)의 상태 또는 주변환경에 관한 위험이 검지되었을 때에, 이 위험이 오퍼레이터에게 알려져, 이 알림 후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의 행동이 검출된다. 그리고, 검지된 위험의 내용과 오퍼레이터의 행동에 근거하여, 당해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안전에 대한 기여도로 정량평가한 안전행동평갓값이 산출된다.
이로써, 위험이 발생했을 때의 쇼벨(100)의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안전면의 관점에서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작업현장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산출된 안전행동평갓값은, 시인할 수 있는 형식으로 출력되므로, 오퍼레이터본인이나 작업의 관계자가 이 안전행동평갓값을 보고, 작업현장의 안전성의 향상에 반영시킬 수 있다.
또, 동일한 오퍼레이터에 관한 안전행동평갓값이, 소정의 시간단위(예를 들면, 날)마다의 변화를 비교하는 그래프로서 출력되므로, 이 오퍼레이터의 안전행동의 변화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변형예]
계속해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는, 복수의 쇼벨(100)에서 취득된 안전행동평가정보가 관리서버로 관리되어, 정보단말에서 열람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다만,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관리시스템(200)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관리시스템(200)은, 서로 동일하게 구성된 복수의 쇼벨(100)(본 변형예에서는, 100A, 100B, 100C, 100D, …)과, 관리서버(400)와, 정보단말(50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다만, 도 6에서는, 쇼벨(100A) 이외의 쇼벨(100(100B, 100C, 100D))의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복수의 쇼벨(100)은, 각각이 구비하는 통신기기(80)에 의하여, 통신네트워크(150)를 통하여 서로 각종 정보를 송수신 가능함과 함께, 관리서버(400) 및 정보단말(500)의 각각 모두 통신네트워크(150)를 통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관리서버(400)는, 본 발명에 관한 정보관리장치의 일례이며, 예를 들면, 복수의 쇼벨(100)이 작업하는 작업현장 외에 마련되는 관리센터 등에 설치되는 서버장치이다. 이 관리서버(400)는, 정보관리시스템(200)을 운용하는 사업자 혹은 그 관련사업자가 운영하는 자사서버여도 되며, 이른바 클라우드서버여도 된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400)는, 통신기기(410)와, 제어장치(420)를 구비한다.
통신기기(410)는, 통신네트워크(150)를 통하여, 복수의 쇼벨(100)의 각각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장치(420)는, 관리서버(400)에 있어서의 각종 동작을 제어한다. 이 제어장치(420)는, EEPROM 등의 내부메모리에 규정되는 기억영역으로서의 기억부(421)를 포함하고, 당해 기억부(421)에 각종 정보를 기억하여 관리한다. 예를 들면, 기억부(421)에는, 각 쇼벨(100)에서 산출된 안전행동평갓값(안전행동평가정보(3101))이, 안전행동평가정보(4210)로서 기억(축적)된다.
정보단말(500)은, 예를 들면, 유저가 소지하는 태블릿이나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이다. 유저는, 정보단말(500)을 통하여 정보관리시스템(200) 내의 각종 작업기록에 액세스하여, 열람할 수 있다. 다만, 정보단말(500)은, 정치형(定置型) 혹은 휴대형의 컴퓨터단말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정보단말(500)은, 통신기기(510)와, 표시장치(520)와, 제어장치(530)를 구비한다.
통신기기(510)는, 통신네트워크(150)를 통하여, 복수의 쇼벨(100)의 각각 및 관리서버(400)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표시장치(520)는, 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나 유기EL(Electroluminescence)디스플레이이며, 조작수단을 겸하는 터치패널식이어도 된다. 제어장치(530)는, 정보단말(500)에 있어서의 각종 동작을 제어한다.
정보관리시스템(200)에서는, 복수의 쇼벨(100)의 각각이 상기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하게 동작하면서, 각 쇼벨(100)이 취득한 안전행동평갓값(안전행동평가정보(3101))을 관리서버(400)에 송신함으로써, 모든 안전행동평갓값이 안전행동평가정보(4210)로서 관리서버(400)에 축적된다.
정보단말(500)을 소지하는 유저는, 통신네트워크(150)를 통하여, 관리서버(400)에 축적된 안전행동평가정보(4210)를 열람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단말(500)의 제어장치(530)는, 통신네트워크(150)를 통하여 관리서버(400)로부터 원하는 안전행동평가정보(4210)를 수신하고,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또는 일시(一時)기억)하여, 이것을 표시장치(520)에 표시시킨다.
이때의 표시양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오퍼레이터마다 안전행동평가를 하나의 그래프로 통합하여 표시해도 된다. 혹은,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사에 참가하는 사업자마다, 당해 사업자에 소속하는 복수의 오퍼레이터에 관한 안전행동평갓값을, 오퍼레이터마다 비교할 수 있도록 하나의 그래프로 통합하여 표시(출력)해도 된다. 이로써, 복수의 오퍼레이터를 안전면의 관점에서 상대평가할 수 있다.
다만, 각 쇼벨(100)로부터 관리서버(400)에 정보를 송신하는 타이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일련의 작업이 종료된 후여도 된다.
또, 안전행동평갓값과 작업관련정보와 대응짓기는, 당해 안전행동평갓값이 산출된 각 쇼벨(100)에서 행해도 되고, 관리서버(400)에서 행해도 된다. 관리서버(400)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작업관련정보를 쇼벨(100)로부터 관리서버(400)로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작업관련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구성(쇼벨(100)에 있어서의 정보출력부(305)의 일부기능)을 관리서버(400)에 마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정보단말(500)에 있어서의 정보의 표시(출력)와 동일한 표시를, 관리서버(400)에서 행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관리서버(400)의 제어장치(420)가, 상술한 정보단말(500)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한 정보를, 당해 관리서버(400)에 마련된 표시장치나 프린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출력할 수 있으면 된다.
또, 안전행동평갓값의 산출을 관리서버(400)에서 행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관리서버(400)에는, 산출에 필요한 정보(상술한 평가행동 등)가 미리 저장되어 있고, 각 쇼벨(100)로부터 위험의 내용 및 오퍼레이터의 행동의 정보를 취득하여, 안전행동평갓값을 산출하면 된다.
[그 외]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쇼벨(100)의 상태 또는 주변환경에 관한 위험으로서, 쇼벨(100)의 주변으로의 장해물의 침입과, 쇼벨(100)의 불안정상태를 검지하는 것으로 했지만,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의 부주의주행 등, 이들 이외의 위험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그 위험을 검지 가능한 구성이 필요하면, 당해 구성이 쇼벨(100)에 마련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촬상장치(40)의 촬상화상에 근거하여, 쇼벨(100)의 주변의 장해물을 검지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촬상장치(40)의 촬상화상 대신에, 혹은, 더하여, 다른 센서, 예를 들면, 밀리파레이더,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스테레오카메라 등의 검출결과(거리화상 등)에 근거하여 쇼벨(100)의 주변의 장해물을 검지해도 된다. 이 경우, 이들의 다른 센서가 쇼벨(100)에 마련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계는, 쇼벨 이외의 작업기계, 예를 들면, 휠로더나 아스팔트피니셔, 포크리프트, 크레인 등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정보관리시스템은, 이들의 상이한 작업기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외에,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세부(細部)는,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 정보관리시스템 및 작업기계용 정보처리프로그램은, 작업현장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용하다.
30 컨트롤러
40 촬상장치
42 동작·자세상태센서
43 차내 카메라
45 조작장치
50 표시장치
60 음성출력장치
80 통신기기
100 쇼벨
200 정보관리시스템
301 물체검지부
302 불안정검지부
303 행동검출부
304 행동평가부
305 정보출력부
310 기억부
400 관리서버
420 제어장치
421 기억부
500 정보단말
3101 안전행동평가정보
4210 안전행동평가정보

Claims (9)

  1. 작업기계의 상태 또는 주변환경에 관한 위험을 검지하는 위험검지수단과,
    상기 위험검지수단에 의하여 검지된 위험을 상기 작업기계의 오퍼레이터에게 알리는 알림수단과,
    상기 알림수단에 의한 알림 후에 있어서의 상기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검출하는 행동검출수단과,
    상기 위험검지수단에 의하여 검지된 위험의 내용, 및 상기 행동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오퍼레이터의 행동에 근거하여, 당해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안전에 대한 기여도로 정량평가한 안전행동평갓값을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하는,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수단에 의하여 산출된 안전행동평갓값을, 시인할 수 있는 형식으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동일한 오퍼레이터에 관한 안전행동평갓값을, 소정의 시간단위마다의 변화를 비교하는 그래프로서 출력하는,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수단은, 상기 행동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오퍼레이터의 행동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평가행동에 합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합치한 경우에는 당해 합치한 평가행동에 할당된 점수를 가점 또는 감점함으로써, 상기 안전행동평갓값을 산출하는,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검지수단은,
    상기 작업기계의 주변의 소정 영역 내로의 장해물의 침입을 검지하는 물체검지수단과,
    상기 작업기계의 불안정상태를 검지하는 불안정검지수단을 포함하는,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해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작업기계에 탑재되어 있는,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가 각각 탑재된 복수의 작업기계와, 당해 복수의 작업기계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 가능한 정보관리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정보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정보관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작업기계로부터 수신한 상기 안전행동평갓값을 축적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는, 정보관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작업기계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퍼레이터에 관한 안전행동평갓값을, 오퍼레이터마다 비교하는 그래프로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정보관리시스템.
  9. 작업기계의 상태 또는 주변환경에 관한 위험을 검지하는 위험검지수단을 구비하는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를,
    상기 위험검지수단에 의하여 검지된 위험을 상기 작업기계의 오퍼레이터에게 알리는 알림수단,
    상기 알림수단에 의한 알림 후에 있어서의 상기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검출하는 행동검출수단,
    상기 위험검지수단에 의하여 검지된 위험의 내용, 및 상기 행동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오퍼레이터의 행동에 근거하여, 당해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안전에 대한 기여도로 정량평가한 안전행동평갓값을 산출하는 산출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작업기계용 정보처리프로그램.
KR1020217034053A 2020-03-27 2020-03-27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 정보관리시스템, 작업기계용 정보처리프로그램 KR202201435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14029 WO2021192224A1 (ja) 2020-03-27 2020-03-27 作業機械用情報処理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作業機械用情報処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554A true KR20220143554A (ko) 2022-10-25

Family

ID=7788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053A KR20220143554A (ko) 2020-03-27 2020-03-27 작업기계용 정보처리장치, 정보관리시스템, 작업기계용 정보처리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43795B2 (ko)
EP (1) EP4130396A4 (ko)
KR (1) KR20220143554A (ko)
CN (1) CN113748245A (ko)
WO (1) WO20211922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8032A (zh) * 2017-07-31 2020-04-10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挖土机
JP7444730B2 (ja) * 2020-08-13 2024-03-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作業支援装置及び作業支援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5091A (ja) 2005-09-22 2007-04-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現場の安全管理装置及びこれに適用される作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5251B2 (ja) * 2006-04-25 2010-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環境サービスシステム
JP5133755B2 (ja) * 2008-03-28 2013-01-3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運転評価システム及び運転評価方法
CN105339579B (zh) * 2013-06-27 2017-05-10 山特维克矿山工程机械有限公司 用于控制冲击式钻凿过程的布置
EP3063042A1 (en) * 2013-11-03 2016-09-07 Desarrollo Tecnológico Agroindustrial Dynamic rollover protection system
JP6364747B2 (ja) * 2013-11-14 2018-08-01 オムロン株式会社 監視装置および監視方法
JP2017156972A (ja) * 2016-03-01 2017-09-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評価装置、管理装置、評価システム、及び評価方法
DE102016011530A1 (de) * 2016-09-23 2018-03-29 Liebherr-Mining Equipment Colmar Sas Verfahren zum Assistieren eines Baggerführers beim Beladen eines Transportgerätes sowie Assistenzsystem
JP7028002B2 (ja) * 2017-12-06 2022-03-02 新東工業株式会社 産業機械起動制御システム、起動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02917B1 (ko) * 2017-12-18 2021-09-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안전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5091A (ja) 2005-09-22 2007-04-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現場の安全管理装置及びこれに適用される作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0396A1 (en) 2023-02-08
EP4130396A4 (en) 2023-05-10
US20220056673A1 (en) 2022-02-24
CN113748245A (zh) 2021-12-03
WO2021192224A1 (ja) 2021-09-30
US11643795B2 (en)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3640B2 (ja) 作業機械用情報処理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作業機械用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8084161A1 (ja) 作業機械用安全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安全管理方法
CN112955610A (zh) 挖土机、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程序、终端装置、显示方法、显示程序
US11643795B2 (en) Work machin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work machin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6325814B2 (ja) 車両系建設機械インターロックシステム
WO2020218455A1 (ja) ショベル
US20220154431A1 (en) Shove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7463354B2 (ja) ショベル
CN113557341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程序、作业机械
CN113661296A (zh) 施工机械、支援系统
CN110578347A (zh) 作业机器自保护系统
US20220064911A1 (en) Work machi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terminal, and program
CN114667379B (zh) 报告生成装置以及报告生成方法
US20210158409A1 (en) Information output method and assist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JP2022157923A (ja) ショベル
JP7349947B2 (ja) 情報処理装置、作業機械、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643266B1 (ko) 라이다와 카메라를 이용한 건설기계 안전관리 시스템
WO2023190047A1 (ja) 映像記録装置
CN114729521B (zh) 作业机械的远程操作辅助系统
CN114729523B (zh) 工作区域提示装置以及工作区域提示方法
US202400441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2020143476A (ja) 作業機械用画像取得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端末、作業機械用画像取得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