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067A - 열간 가공용 금형용 강, 열간 가공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열간 가공용 금형용 강, 열간 가공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067A
KR20220143067A KR1020227031729A KR20227031729A KR20220143067A KR 20220143067 A KR20220143067 A KR 20220143067A KR 1020227031729 A KR1020227031729 A KR 1020227031729A KR 20227031729 A KR20227031729 A KR 20227031729A KR 20220143067 A KR20220143067 A KR 20220143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teel
hardness
hot working
thermal condu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지 야마나카
타카유키 히라시게
시호 후쿠모투
Original Assignee
히다찌긴조꾸가부시끼가이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긴조꾸가부시끼가이사 filed Critical 히다찌긴조꾸가부시끼가이사
Publication of KR20220143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06Surface hard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21D1/25Hardening, combined with annealing between 300 degrees Celsius and 600 degrees Celsius, i.e. heat refining ("Vergü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74Methods of treatment in inert gas, controlled atmosphere, vacuum or pulverulent material
    • C21D1/76Adjusting the composition of the atmosp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5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with diffusion of elements, e.g. decarburising, nitri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particular articles not mentioned below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고경도와 고열전도율을 겸비하는 열간 가공용 금형을 제작할 수 있는 금형용 강과 열간 가공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질량%로, C:0.45~0.65%, Si:0.1~0.6%, Mn:0.1~2.5%, Cr:1.0~6.0%, Mo 및 W는 단독 또는 복합으로 (Mo+1/2W):1.2~3.5%, V:0.1~0.5%, Ni:0.15~0.6%, Cu:0.1~0.6%, Al:0.1~0.6%,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의 성분 조성을 가지는 열간 가공용 금형용 강이다. 또한, 상기의 성분 조성을 가지는 열간 가공용 금형과 그 제조 방법이다.

Description

열간 가공용 금형용 강, 열간 가공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열간 가공용 금형용 강, 열간 가공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경량화와 충돌 안전성 향상을 목적으로, 인장 강도가 1GPa를 초과하는 초고장력 강판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인장 강도가 1.2GPa 이상의 강판을 냉간 프레스로 성형하고자 하면, 성형 하중이나 스프링 백의 증대, 성형성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최근에는 핫 스탬프(핫 프레스 또는 핫 스탬핑이라고도 칭한다) 공법이 주목받고 있다. 핫 스탬프 공법에서는, 강판을 오스테나이트 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 프레스 성형하여, 금형을 하사점(bottom dead point)에서 유지하여 급냉시켜 담금질한다.
핫 스탬프 공법의 이점으로서, 금형으로 급랭하는 다이??칭(die quenching)에 의한 담금질에 의해, 1.5GPa 정도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초고장력 강판의 성형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스프링 백이 거의 생기지 않는 등 성형성이 우수하다는 이점도 들 수 있다.
그러나, 핫 스탬프 공법은 생산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즉, 다이??칭을 위한 하사점 유지 등에 시간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아진다. 그 대책으로 높은 열전도율의 금형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다이??칭에서는 강판의 열을 금형에 흡수시키고 있는데, 금형의 열전도율이 높을수록 하사점 유지의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핫 스탬프용 금형에서는, 내마모성을 높이기 위해서 높은 경도가 요구되고 있으며 핫 스탬프용 금형용 강에서는, 금형으로 했을 때에 고(高)경도와 고(高)열전도율을 겸비할 것이 요구된다.
열간 단조나 다이 캐스팅 분야에서도, 금형의 수명 장기화나 제조 효율의 추가 향상을 달성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고열전도율과 고경도를 겸비하는 금형용 강이 요구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고경도의 금형을 얻으려면 금형용 강의 합금량을 늘릴 필요가 있는데, 합금량이 많아지면 금형의 열전도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경도와 열전도율은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합금량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최적의 성분 조성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서는, 경도와 열전도율을 겸비한 금형용 강의 성분 조성이 제안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에도, 온열간 프레스, 다이캐스팅, 또는 온열간 단조 등에 사용되는 금형의 소재로서 유용하고, 열전도율이 뛰어나며 내마모성도 우수한 열간 공구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7-438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8-24931호 일본 특허공보 제574430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7-53023호
특허문헌 1, 2의 금형용 강, 및 특허문헌 3, 4의 열간 공구강은, 경도와 열전도율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그러나, 금형용 강이나 열간 공구강의 담금질 템퍼링 특성이나, 핫 스탬프용 등의 금형의 작업면이 질화 처리되어 사용되는 것 등을 고려했을 때 종래의 금형용 강이나 열간 공구강의 경우 경도가 부족한 경우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최근에는 핫 스탬프용 등의 금형으로서 52HRC 이상의 고경도화도 달성할 수 있는 금형용 강이 요구되어 오고 있지만, 특허문헌 1~3에서는 52HRC 이상의 고경도는 안정적으로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금형용 강의 최고 경도를 얻을 수 있는 템퍼링 온도가 일반적으로 575℃부근에 있는 바, 금형용 강의 최고 경도가 52HRC을 만족하지 못하면 질화 처리나 사용시의 승온에 의해 금형의 경도가 52HRC 미만에서 더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도와 열전도율을 종래보다 높은 수준으로 겸비하고, 그 경도가 유지되는 금형을 제작할 수 있는 열간 가공용 금형용 강과 열간 가공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상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합금량을 제어하여 고경도 및 고열전도율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그 달성한 고경도를 유지할 수 있는(즉, 연화 저항이 큰) 성분 조성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열간 가공용 금형용 강에 도달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금형용 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고경도 및 고열전도율을 달성할 수 있으며, 연화 저항에도 뛰어난 열간 가공용 금형과 그 제조 방법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질량%로, C:0.45~0.65%, Si:0.1~0.6%, Mn:0.1~2.5%, Cr:1.0~6.0%, Mo 및 W는 단독 또는 복합으로 (Mo+1/2W):1.2~3.5%, V:0.1~0.5%, Ni:0.15~0.6%, Cu:0.1~0.6%, Al:0.1~0.6% 이하,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의 성분 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가공용 금형용 강이다.
바람직하게는, 575℃로 템퍼링했을 때, 경도가 52HRC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질량%로, C:0.45~0.65%, Si:0.1~0.6%, Mn:0.1~2.5%, Cr:1.0~6.0%, Mo 및 W는 단독 또는 복합으로 (Mo+1/2W):1.2~3.5%, V:0.1~0.5%, Ni:0.15~0.6%, Cu:0.1~0.6%, Al:0.1~0.6% 이하,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의 성분 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가공용 금형이다.
바람직하게는, 경도가 52HRC 이상이며, 열전도율이 25W/(m·K)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작업면에 질화층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의 열간 가공용 금형용 강에, 1020~1080℃의 담금질 온도 및 540~620℃의 템퍼링 온도에 의한 담금질 템퍼링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가공용 금형의 제조 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담금질 템퍼링을 실시한 후에, 작업면에 질화 처리를 추가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간 가공용으로 가장 적합한 금형용 강이 얻어진다. 또한, 이 금형용 강을 사용함으로써, 고경도와 고열전도율을 겸비하고, 그 고경도가 유지되는 열간 가공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예 및 비교예의 금형용 강을 담금질한 후, 500~650℃에서 템퍼링하여, 그 템퍼링 온도마다의 경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예 및 비교예의 금형용 강을 담금질한 후, 45~52HRC의 경도로 템퍼링하여, 그 열 전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열간 가공용 금형이, 금형용 강에 담금질 템퍼링을 실시해 제작되는 것이나, 그 작업면에 질화 처리를 실시해 제작되는 것을 생각했을 때 열간 가공용 금형의 고경도와 고열전도율을 동시에 달성하는데 최적의 금형용 강의 성분 조성이 있음을 밝혀낸 데에 있다. 특히 52HRC 이상의 고경도와 25W/(m·K) 이상의 고열전도율을 동시에 달성하는데 최적의 성분이 있는 것을 밝혀낸 데에 있다.
또한, 이 최적의 금형용 강의 성분 조성에 있어서, 고경도와 고열전도율을 동시에 달성하는데 최적의 담금질 템퍼링 조건을 밝혀낸 데에 있다. 특히 템퍼링 온도에 대해 540~620℃의 온도 범위(바람직하게는 575℃부근)로 함으로써, 최적의 성분 조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금형용 강은 52HRC 이상의 고경도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후의 질화 처리나 사용중의 승온 환경에서도 금형이 잘 연화되지 않는(연화의 정도가 작은)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열간 가공용 금형은 예를 들어 열간 단조용 금형, 다이캐스팅용 금형, 열간 압출 금형, 핫 스탬프용 금형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핫 스탬프용 금형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 요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간 가공용 금형용 강은, 질량%(이하, 그냥 "%"로 표기한다. )로, C:0.45~0.65%, Si:0.1~0.6%, Mn:0.1~2.5%, Cr:1.0~6.0%, Mo 및 W는 단독 또는 복합으로 (Mo+1/2W):1.2~3.5%, V:0.1~0.5%, Ni:0.15~0.6%, Cu:0.1~0.6%, Al:0.1~0.6%,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의 성분 조성을 가진다.
·C:0.45~0.65%
C는 담금질에 의해 소지(素地)(매트릭스)에 고용(固溶)시켜 금형의 경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또한, 후술하는 Cr나 Mo, V 등의 탄화물 형성 원소와 탄화물을 형성해 금형의 경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그러나, C량이 너무 많으면, 1차 탄화물의 조대화 등으로 인해 금형의 인성(靭性)이 저하된다. 따라서, C는 0.45~0.65%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47% 이상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49% 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0.63%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60%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8% 이하이다.
·Si:0.1~0.6%
Si는, 용제 공정에서 탈산제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소지에 고용시켜 금형의 경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그러나, Si가 너무 많으면, 용제 후에 있어서 강 중의 편석 경향이 강해지고 또한 응고 조직도 조대화되어, 금형의 인성 저하로 이어진다. 그리고, 담금질 템퍼링 후의 금형의 열전도율을 현저히 낮추는 원소이다. 따라서, Si는 0.1~0.6%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14% 이상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7% 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0.4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5% 이하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다.
·Mn:0.1~2.5%
Mn는 용제 공정에서 탈산제나 탈황제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소지의 강화나, 담금질성, 담금질 템퍼링 후의 인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그러나, Mn가 너무 많으면 금형의 열전도율이 현저히 저하된다. 따라서, Mn는 0.1~2.5%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15% 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2% 이하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다.
·Cr:1.0~6.0%
Cr는 소지에 고용시켜 경도를 상승시키는 원소이다. 또한, 탄화물을 형성하는 것으로도 경도를 상승시키는 원소이며, 후술하는 Mo, V와 마찬가지로, 템퍼링시의 2차 경화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특히 Cr는 Mo, V에 비해, 템퍼링 연화 저항을 크게 할 수 있는(템퍼링 온도를 높게 해도 2차 경화로 얻어진 경도의 저하 비율을 작게 할 수 있는) 원소이다. 통상, 금형은 금형용 강에 담금질 템퍼링을 실시해 사용 경도로 조정되는 바, 열간 가공용 금형의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템퍼링 온도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Cr의 함유량을 1.0% 이상으로 함으로써, 템퍼링 온도가 높은 경우라도 52HRC 이상의 경도를 달성할 수 있고, 또한 열전도율이 25W/(m·K) 이상의 열간 가공용 금형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경도를 유지한 데다가 열전도율이 28W/(m·K) 이상으로까지 더욱 향상된 열간 가공용 금형을 얻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의 경도 및 열전도율은 실온(상온)에서 측정했을 때의 값이다.
또한, Cr의 함유량을 높임으로써 금형용 강의 질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담금질 템퍼링 후의 금형의 작업면에 질화 처리를 추가 실시함으로써 연화 저항의 향상에 의한 금형의 경도 유지 또한 도모할 수 있었고, 게다가 금형의 내마모성(작업면의 경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Cr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금형용 강의 합금량이 많아진다는 것 자체로 인해 금형의 열전도율을 높이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Cr는 1.0~6.0%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5.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미만이다. 그리고, 특히 열전도율의 향상을 중시하고 싶은 경우, Cr는 4.0% 이하나 3.5 이하로 할 수도 있다.
·Mo 및 W는 단독 또는 복합으로 (Mo+1/2W):1.2~3.5%
Mo 및 W는, Cr와 마찬가지로, 소지에 고용시켜 경도를 상승시키는 원소이고, 또한 탄화물을 형성하는 것으로도 경도를 상승시키는 원소이며, 템퍼링시의 2차 경화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또한, 담금질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기도 하다. W는 Mo의 약 2배의 원자량이기 때문에 (Mo+1/2W)로 규정할 수 있다(당연히 어느 한쪽만 첨가해도 되고, 양쪽 모두를 첨가할 수도 있다). 단, Mo나 W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금형용 강의 합금량이 많아진다 것 자체로 인해, 금형의 열전도율이 낮아진다. 따라서, Mo 및 W는, (Mo+1/2W)의 Mo 당량의 관계식이고, 1.2~3.5%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9% 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3.4%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2% 이하이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W는 고가의 원소이기 때문에 W의 전부를 Mo로 바꿀 수 있다. 이 때, Mo:1.2~3.5%가 된다(바람직한 범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단, W는 불순물로서 포함될 수 있다.
·V:0.1~0.5%
V는, Cr와 마찬가지로 탄화물을 형성하는 것으로도 경도를 상승시키는 원소이며, 템퍼링시의 2차 경화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단, V량이 너무 많으면 금형용 강의 합금량이 많아진다고 하는 것 자체로 인해 금형의 열전도율이 낮아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금형의 강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Ni, Cu, Al를 첨가하고 있는 영향으로, 열전도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V를 0.1~0.5%로 제한하는 것이 고열전도율과 고경도 특성을 양립시키기 위해서 중요하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0.4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이하이다.
·Ni:0.15~0.6%
Ni는, 금형의 인성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Al와 결합해 Ni-Al계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 및 석출하고, 2차 경화하는 것에 의해 금형용 강의 강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Ni량이 너무 많으면 금형용 강의 합금량 증가에 따라 열전도율이 대폭 낮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Ni는 0.15~0.6%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45% 이하이다.
·Cu:0.1~0.6%
Cu도 Ni와 마찬가지로 Al와 결합해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 및 석출하고, 2차 경화하는 것에 의해 금형용 강의 강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소이다. 단, Cu량이 너무 많으면 Ni와 마찬가지로 금형용 강의 합금량이 많아진다는 것 자체로 인해 금형의 열전도율이 낮아진다. 따라서, Cu는 0.1~0.6%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45% 이하이다.
·Al:0.1~0.6%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Al는, Ni나 Cu와 결합해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한다. 이 Al의 함유량이 너무 낮으면 금속간 화합물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강도 향상 효과를 얻지 못하고, 한편 Al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금형의 열전도율이 대폭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Al는 0.1~0.6%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이하이다.
더욱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간 화합물을 과부족 없이 형성 및 석출시키기 위해 Ni/Al가 1.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Ni/Al의 상한은 1.7이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5이다.
또한, 더욱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간 화합물을 과부족 없이 형성 및 석출시키기 위해서 Cu/Al가 1.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Cu/Al의 상한은 1.7이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5이다.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
금형용 강의 합금량이 많아지면 금형의 열전도율이 낮아지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의 원소종 이외의 잔부는 실질적으로 Fe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여기에 명시하지 않는 원소종(예를 들면, P, S, Ca, Mg, O(산소), N(질소) 등의 원소종)은, 불가피적으로 강 중에 잔류할 가능성이 있는 원소이며, 이들의 원소를 불순물로서 포함하는 것은 허용된다. 이 때, P는 너무 많으면, 템퍼링 등의 열처리시에 구 오스테나이트 입계로 편석되어 금형의 인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P는 0.05% 이하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로 규제한다. 그리고, S는 너무 많으면 강괴를 분괴할 때 등에 있어서 열간 가공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S는, 0.01% 이하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8% 이하로 규제한다.
상기의 성분 조성을 가진 금형용 강에 담금질 템퍼링을 실시함으로써 경도와 열전도율이 우수한 본 발명의 열간 가공용 금형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간 가공용 금형의 경도는, 실온(상온)에서 측정한 값으로, 예를 들면 52HRC 이상이라는 충분한 경도를 달성할 수가 있어 금형에 우수한 내마모성을 부여시킬 수 있다. 그리고 템퍼링 온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금형의 경도를 바람직하게는 53HRC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금형의 경도의 상한을 규정할 필요는 없다. 단, 상기의 성분 조성을 가진 금형용 강의 경우, 그 2차 경화의 피크 경도(대략 540~620℃의 템퍼링 온도의 범위에 있다) 내지 60HRC 정도인 것이 현실적이다. 그리고, 이 경도의 상한에 대해, 2차 경화의 피크 경도가 60HRC 정도인 것과 상관없이 58HRC 이하로 하는 것이, 즉, 상기의 피크 경도를 초과하여 템퍼링 온도를 높게 할 수 있는 점에서(즉, 열전도율을 높게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금형은, 상기의 성분 조성을 가진 금형용 강에 담금질 템퍼링을 실시해 금형의 경도를 52HRC로 조정했을 때의 열전도율이 25W/(m·K) 이상이다. 한편, 이 열전도율은, 실온(상온)에서 측정한 값이다. 바람직하게는 28W/(m·K) 이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본 발명의 금형은, 열전도율을 더 높이고 싶은 경우 경도를 52HRC 미만으로 함으로써 열전도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열전도율을 가질 뿐만 아니라 금형의 경도를 52HRC 초과로 조질(調質)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금형의 경도가 45HRC 이상 48HRC 이하일 때 열전도율이 30W/(m·K)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2W/(m·K)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4W/(m·K)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금형의 경도가 53HRC 이상 55HRC 이하일 때 열전도율이 25W/(m·K)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7W/(m·K)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형은, 575℃에서 템퍼링했을 때에 52HRC 이상의 경도를 나타내는 열처리 특성을 가진 금형용 강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 열처리 특성을 확인할 때, 템퍼링 전의 담금질 온도는, 예를 들면 1030℃로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금형용 강은 상기의 열처리 특성을 가진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핫 스탬프 공법에 사용중(예를 들면, 100~400℃인 금형으로 고경도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높은 열전도율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금형의 열전도율의 상한을 특정할 필요는 없다. 단, 템퍼링 온도를 높여 나가서(예를 들면, 600℃을 넘는 온도로 조정해서) 금형의 경도가 저하되는 것을 생각하면, 대략 50W/(m·K) 정도인 것이 현실적이다. 바람직하게는 47W/(m·K)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5W/(m·K) 이하이다. 그리고, 금형이 52HRC 이상의 경도를 유지하고 있을 때이면, 열전도율의 상한은 대략 40W/(m·K) 정도인 것이 현실적이다. 바람직하게는 38W/(m·K) 이하이다.
본 발명의 열간 가공용 금형은, 바람직하게는, 그 작업면에 질화층을 가지는 것이다.
상술한 대로, 본 발명의 열간 가공용 금형은, 고경도 및 고열전도율을 겸비한 것이다. 그리고, 이 금형의 작업면이 질화층을 추가로 가짐으로써 금형의 내마모성(작업면의 경도)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금형용 강이 가지는 담금질 템퍼링 특성에 의해 질화 처리시의 금형 본체의 경도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작업면이라 함은 열간 가공 중의 피가공재와 접하는 금형의 면을 말한다.
본 발명의 열간 가공용 금형의 제조 방법은, 상기의 금형용 강에 담금질 템퍼링을 실시하는 것이다.
상기의 성분 조성을 가진 금형용 강에 담금질 템퍼링을 실시할 때, 담금질 온도는 목표 경도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예를 들면 대략 1020~1080℃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50℃이하이다.
그리고, 이 담금질 온도에 의한 담금질을 실시한 금형용 강에 예를 들어 540~620℃의 템퍼링 온도에 의한 템퍼링을 실시함으로써 안정되게 52HRC 이상의 경도를 달성하면서 열전도율이 25W/(m·K) 이상인 금형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52HRC 이상의 경도를 유지하려면 템퍼링 온도의 상한은 600℃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95℃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90℃이하이다. 또 템퍼링 온도의 하한은 550℃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555℃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60℃이상이다.
2차 경화의 피크 경도를 나타내는 575℃부근의 템퍼링 온도에서 52HRC 이상의 경도를 달성할 수 있는 열처리 특성을 기준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이 열처리 특성의 기준을 충족하는 본 발명의 금형용 강은 540~620℃의 넓은 템퍼링 온도역에서도 45HRC 이상의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피크 경도가 예를 들어 53HRC 이상, 54HRC 이상, 55HRC 이상과 같이, 52HRC를 초과하여 높은 것에 의해 넓은 템퍼링 온도역에서 52HRC 이상의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넓은 템퍼링 온도역에서 25W/(m·K) 이상의 열전도율을 얻을 수 있고, 특히 575℃이상의 템퍼링 온도에서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금형용 강은 담금질 템퍼링에 의해 소정의 경도를 지닌 열간 가공용 금형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이 사이에서 금형용 강은 절삭이나 천공과 같은 각종 기계 가공 등에 의해 열간 가공용 금형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 기계 가공의 타이밍은, 담금질 템퍼링 전의 경도가 낮은 상태(즉, 소둔(annealing)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담금질 템퍼링 후에 마무리 가공을 해도 무방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의 마무리 가공도 모두 합쳐 담금질 템퍼링을 실시한 후의 프리하든(prehardening) 상태에서 상기의 기계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열간 가공용 금형의 제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담금질 템퍼링을 실시한 후의 금형의 작업면에 질화 처리를 추가로 실시하는 것이다.
상술한 대로, 상기의 성분 조성을 가진 금형용 강에 담금질 템퍼링을 실시함으로써, 예를 들면 경도를 52HRC로 조질했을 때의 열전도율이 25W/(m·K)인 금형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 조성을 가진 금형용 강은 질화 특성도 뛰어나므로 이 담금질 템퍼링을 실시한 후의 금형의 작업면에 질화 처리를 추가 실시하는 것에 의해 금형의 내마모성(작업면의 경도)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금형용 강이 지닌 담금질 템퍼링 특성에 의해 질화 처리시의 금형 본체의 경도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질화 처리의 조건에는, 예컨대 가스 질화 처리나 염욕 질화 처리와 같은 기존에 알려진 각종 질화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표 1의 성분 조성을 가지는 10kg의 강괴를 용제했다. 그리고, 이 강괴를 1160℃로 가열해 해머 단조로 연신한 후에 방랭하고, 이 방랭 후의 강재에 870℃의 소둔 처리를 실시하여 본 발명예인 No.1~6의 강, 및 비교예인 No.7~9의 강을 제작했다.
Figure pct00001
<템퍼링 경도의 평가>
No.1~9의 금형용 강에, 103℃의 담금질 온도에 의한 담금질을 실시했다. 이 때, 냉각 조건은, 본 발명 강 및 비교 강이라고 하는 금형용 강이 실제의 핫 스탬프용 금형의 크기일 때의 냉각 속도를 상정해, 반랭 시간을 40분으로 했다(반랭 시간이라 함은, 담금질 온도에서부터 (담금질 온도+실온)/2의 온도까지의 냉각에 필요한 시간을 말한다). 그리고, 이 담금질 후의 금형용 강에, 500~650℃의 템퍼링 온도에 의한 템퍼링을 실시했다. 템퍼링은 2회 실시하고 각각의 온도에서 2시간 유지했다. 템퍼링 온도는 25℃씩 총 7 조건으로 했다. 그리고, No.1~9의 각각에 대해 템퍼링 온도마다 그 중심부의 실온에서의 록웰 경도(C스케일)를 측정했다. 결과를 도 1~도 3에 나타낸다.
본 발명예인 No.1~7은 550~600℃의 템퍼링 온도의 범위 내에서 52HRC 이상의 템퍼링 경도를 달성했다. 이에 반해, 비교예인 No.7~9는 500~650℃의 템퍼링 온도 범위에서 모두 템퍼링 경도가 52HRC를 밑돌고 있었다.
<열전도율의 평가>
이어서, No.1~9의 열전도율을 측정했다. 열전도율 측정시의 시료의 템퍼링 경도는, 본 발명예인 No.1~6이 52HRC, 비교예인 No.7, 8, 9가 각각 51HRC, 50HRC, 45HRC였다. 측정 요령은, 우선 금형을 직경 10mm×두께 2mm의 원반 모양의 시험편으로 가공하고, 이 시험편의 열확산율 및 비열을 레이저 플래시법에 의해 측정했다. 그리고, 이 측정한 열확산율 및 비열의 값을 이용해, 하기의 식으로부터 실온에서의 열전도율을 산출했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열전도율λ(W/(m·K))=ρ·α·Cp
(ρ:실온 밀도, α:열확산율, Cp:비열)
도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예인 No.1~6은 25W/(m·K) 이상의 열전도율을 달성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한편 비교예인 No.7~9도 열전도율은 본 발명과 동등한 수준이지만 애당초 피크 경도는 52HRC에 이르지 못했다. 이 때문에, 비교예와 같은 금형용 강이면 열전도율을 조정하고 싶을 때(구체적으로는 열전도율을 올리기 위해 템퍼링 온도를 높였을 때), 경도가 더 저하되어 여러 가지 요구 특성의 금형에 대응할 수 없다. 이에 반해, 본 발명예의 금형용 강은, 충분한 피크 경도 이외에도 템퍼링 연화 저항에도 우수하기 때문에, 고열전도율과 고경도 특성을 겸비하는 본 발명예가 열간 가공용 금형 용도에 유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질량%로, C:0.45~0.65%, Si:0.1~0.6%, Mn:0.1~2.5%, Cr:1.0~6.0%, Mo 및 W는 단독 또는 복합으로 (Mo+1/2W):1.2~3.5%, V:0.1~0.5%, Ni:0.15~0.6%, Cu:0.1~0.6%, Al:0.1~0.6%,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의 성분 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가공용 금형용 강.
  2. 제 1 항에 있어서,
    575℃로 템퍼링했을 때, 경도가 52HRC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가공용 금형용 강.
  3. 질량%로, C:0.45~0.65%, Si:0.1~0.6%, Mn:0.1~2.5%, Cr:1.0~6.0%, Mo 및 W는 단독 또는 복합으로 (Mo+1/2W):1.2~3.5%, V:0.1~0.5%, Ni:0.15~0.6%, Cu:0.1~0.6%, Al:0.1~0.6%,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의 성분 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가공용 금형.
  4. 제 3 항에 있어서,
    경도가 52HRC 이상이며, 열전도율이 25W/(m·K)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가공용 금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작업면에 질화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가공용 금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열간 가공용 금형용 강에, 1020~1080℃의 담금질 온도 및 540~620℃의 템퍼링 온도에 의한 담금질 템퍼링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가공용 금형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담금질 템퍼링을 실시한 후에, 작업면에 질화 처리를 추가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가공용 금형의 제조 방법.
KR1020227031729A 2020-03-16 2021-03-16 열간 가공용 금형용 강, 열간 가공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430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45361A JP2021147624A (ja) 2020-03-16 2020-03-16 熱間加工用金型用鋼、熱間加工用金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20-045361 2020-03-16
PCT/JP2021/010616 WO2021187484A1 (ja) 2020-03-16 2021-03-16 熱間加工用金型用鋼、熱間加工用金型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067A true KR20220143067A (ko) 2022-10-24

Family

ID=7777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1729A KR20220143067A (ko) 2020-03-16 2021-03-16 열간 가공용 금형용 강, 열간 가공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99300A1 (ko)
EP (1) EP4123047A1 (ko)
JP (1) JP2021147624A (ko)
KR (1) KR20220143067A (ko)
CN (1) CN115279932B (ko)
WO (1) WO2021187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45029B (zh) * 2022-12-22 2024-05-14 本钢板材股份有限公司 一种耐腐蚀刃具钢及其制备方法及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4300B2 (ko) 1978-10-03 1982-09-20
JP2017043814A (ja) 2015-08-28 2017-03-02 大同特殊鋼株式会社 金型用鋼および金型
JP2017053023A (ja) 2015-09-11 2017-03-16 大同特殊鋼株式会社 金型用鋼及び成形具
JP2018024931A (ja) 2015-09-02 2018-02-15 大同特殊鋼株式会社 金型用鋼及び成形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3531B2 (ja) * 2007-11-13 2013-02-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冷間金型用鋼および金型
JP2009242819A (ja) * 2008-03-28 2009-10-22 Daido Steel Co Ltd 鋼、金型用鋼及びこれを用いた金型
JP2009242319A (ja) * 2008-03-31 2009-10-22 Daikin Ind Ltd 多官能含フッ素化合物及び該化合物の製造方法
JP5744300B1 (ja) 2014-11-11 2015-07-08 日本高周波鋼業株式会社 熱間工具鋼
JP7172275B2 (ja) * 2018-08-17 2022-11-16 日立金属株式会社 ホットスタンプ用金型用鋼、ホットスタンプ用金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011618A (ja) * 2019-07-08 2021-02-04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熱伝導率に優れる熱間工具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4300B2 (ko) 1978-10-03 1982-09-20
JP2017043814A (ja) 2015-08-28 2017-03-02 大同特殊鋼株式会社 金型用鋼および金型
JP2018024931A (ja) 2015-09-02 2018-02-15 大同特殊鋼株式会社 金型用鋼及び成形具
JP2017053023A (ja) 2015-09-11 2017-03-16 大同特殊鋼株式会社 金型用鋼及び成形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47624A (ja) 2021-09-27
CN115279932A (zh) 2022-11-01
CN115279932B (zh) 2023-12-29
US20230099300A1 (en) 2023-03-30
WO2021187484A1 (ja) 2021-09-23
EP4123047A1 (en) 202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2070B2 (ja) 高温熱伝導度に優れた長寿命ダイカスト用熱間金型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43531B2 (ja) 冷間金型用鋼および金型
WO2009088027A1 (ja) 冷間金型用鋼および冷間プレス用金型
JP2013213255A (ja) 熱間金型鋼
JP5929963B2 (ja) 鋼の焼入方法
KR20140110720A (ko) 열전도도가 향상된 다이케스팅 및 핫스템핑용 자동차용 금형강 및 그 제조방법
JP7172275B2 (ja) ホットスタンプ用金型用鋼、ホットスタンプ用金型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154260A1 (en) Free-cutting alloy tool steel
JP5029942B2 (ja) 靭性に優れた熱間工具鋼
US6841122B2 (en) Hot working die steel excelling in molten corrosion resistance and strength at elevated temperature and member for high temperature use formed of the hot working die steel
KR20220143067A (ko) 열간 가공용 금형용 강, 열간 가공용 금형 및 그 제조 방법
JP2014025103A (ja) 熱間工具鋼
JP2017066460A (ja) 時効硬化性鋼
KR20140087279A (ko)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냉간공구강
JP2005336553A (ja) 熱間工具鋼
KR100834535B1 (ko) 고경도 고인성 열간공구강의 제조방법
JP5345415B2 (ja) 被削性、熱処理変寸特性、衝撃特性に優れた冷間プレス金型用鋼およびプレス金型
KR102550394B1 (ko) 열간 공구강 및 열간 공구
JPH0853735A (ja) 軸受用鋼
JP4997709B2 (ja) ブローチ加工性に優れた窒化部品用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20316038A1 (en) Steel for hot stamp die, hot stamp di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305891B2 (ja) 熱間鍛造金型用鋼および熱間鍛造金型
TW202321480A (zh) 高溫強度及韌性優良的熱加工工具鋼
KR20230017943A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냉간공구강
CN118147533A (zh) 一种铁工冷锯锯片基体钢及其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