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426A - 액세스 포트 - Google Patents

액세스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426A
KR20220142426A KR1020227008725A KR20227008725A KR20220142426A KR 20220142426 A KR20220142426 A KR 20220142426A KR 1020227008725 A KR1020227008725 A KR 1020227008725A KR 20227008725 A KR20227008725 A KR 20227008725A KR 20220142426 A KR20220142426 A KR 20220142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al direction
wall portion
access port
connection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히로 야기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42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08Subcutaneous access sites for injecting or remov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2039/0036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characterised by a septum having particular features, e.g. having venting channels or being made from antimicrobial or self-lubricating elastom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2039/0036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characterised by a septum having particular features, e.g. having venting channels or being made from antimicrobial or self-lubricating elastomer
    • A61M2039/0081Means for facilitating introduction of a needle in the septum, e.g. guides, special construction of sept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08Subcutaneous access sites for injecting or removing fluids
    • A61M2039/022Subcutaneous access sites for injecting or removing fluids being accessible from all sides, e.g. due to a cylindrically-shaped sept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08Subcutaneous access sites for injecting or removing fluids
    • A61M2039/0235Subcutaneous access sites for injecting or removing fluids having an additional inlet, e.g. for a guidewire or a catheter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08Subcutaneous access sites for injecting or removing fluids
    • A61M2039/0238Subcutaneous access sites for injecting or removing fluids having means for locating the implanted device to insure proper injection, e.g. radio-emitter, protuberances, radio-opaque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58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vascular access, e.g. blood stream ac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having a particular valve, seal or sept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73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introducing catheters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76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introducing or removing fluids into or ou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82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with implanted tubes connected to the port

Abstract

카테터(C)와 접속해서 사용되는 액세스 포트(10)는 액체 수용부(11a)를 포함하는 포트 본체(11)와, 액체 수용부(11a)를 덮는 격막체(60)를 구비하고 있다. 포트 본체(11)는 액체 수용부(11a)에 접속하여 액체 수용부(11a)를 카테터(C)의 내부에 연통시키는 접속 통로(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접속 통로(40)가 액체 수용부 (11a)로 접속하는 접속 위치(P)에서의 접속 통로(40)의 축 방향(D1)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격막체(60)의 액체 수용부(11a)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60a)과 액체 수용부(11a)의 내면 사이의 상기 축 방향(D1)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길이(L)가 상기 축 방향(D1)을 따라 액체 수용부(11a)의 반분을 초과하는 경사 영역(S) 내에서 상기 접속 위치(P)로부터 이간됨에 따라 차츰 작아져 간다.

Description

액세스 포트
본 발명은 액세스 포트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체내에 유치한 카테터를 사용한 치료는 목적의 병변부의 근방으로부터 약제의 투여 등을 행할 수 있는 점에서 왕성히 행해지고 있다. 카테터는 그 일단이 환자의 피하에 매설된 액세스 포트에 접속되고, 타단이 목적의 병변부의 근방에 배치된다. 액세스 포트의 내강과 카테터의 내강은 접속 통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액세스 포트의 내강에 약제를 도입하면 접속 통로 및 카테터를 통해 약제를 목적의 병변부의 근방까지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JP6057916B2에는 카테터와 함께 사용되는 액세스 포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환자의 체내에 유치된 카테터 내에 지름이 더 작은 마이크로 카테터를 통과시켜 마이크로 카테터의 선단을 말초 혈관 영역까지 나아가게 해서 목적의 병변부의 더 근방으로부터 약제의 투여 등을 행하는 것이 요망되어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 카테터를 카테터 내에 통과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우선 천자침을 사용해서 액세스 포트의 격막을 천자하고, 천자침의 내강, 액세스 포트의 내강, 및 접속 통로를 통해 마이크로 카테터를 카테터의 내강에 삽입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는, 우선 마이크로 카테터보다 가늘고 탄성이 강한 가이드 와이어를 상기 천자침의 내강, 액세스 포트의 내강, 및 접속 통로를 통해 카테터의 내강에 삽입하고, 가이드 와이어를 가이드로 해서 마이크로 카테터를 카테터의 내강에 삽입하는 것이 생각된다.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카테터의 내강에 삽입할 때에는 액세스 포트 및 카테터는 환자의 피하에 매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도 접속 통로도 직접 관찰할 수 없다. 따라서,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조작해서 그 선단을 회전시키면서 접속 통로의 위치를 탐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안정되고, 또한 용이하게 접속 통로로 삽입할 수 없다.
본건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안정되고, 또한 용이하게 접속 통로로 삽입 가능한 액세스 포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세스 포트는 카테터와 접속해서 사용되는 액세스 포트이며, 액체 수용부를 포함하는 포트 본체와, 상기 포트 본체에 유지되어 상기 액체 수용부를 덮는 격막체를 구비하고, 상기 포트 본체는 상기 액체 수용부에 접속하여 상기 액체 수용부를 상기 카테터의 내부에 연통시키는 접속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통로가 상기 액체 수용부로 접속하는 접속 위치에서의 상기 접속 통로의 축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격막체의 상기 액체 수용부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과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면 사이의 상기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액체 수용부의 반분을 초과하는 경사 영역 내에서 상기 접속 위치로부터 이간됨에 따라 차츰 작아져 간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경사 영역은 상기 접속 위치로부터 이간되는 측이 되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반분의 영역을 포함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서는 상기 접속 통로의 축 방향을 따른 상기 단면에 있어서 상기 경사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 수용부의 상기 내면이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격막체로부터 이간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의 상기 내면은 상기 액체 수용부를 형성(구획)하는 저면 및 상기 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액체 수용부를 형성(구획)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저면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격막체로부터 이간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의 상기 저면은 상기 접속 통로가 개구한 측벽면에 접속한 접속 저면과,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저면에 대해서 상기 접속 위치로부터 이간되는 측에 위치하는 주저면을 포함하고, 상기 주저면은 상기 접속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격막체로부터 이간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고, 상기 접속 저면은 상기 접속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격막체에 접근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벽부를 갖고, 상기 저벽부의 두께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접속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차츰 얇아져 가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벽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갖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저벽부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저면과 대면하는 대향 유도면을 가진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접속 통로는 상기 대향 유도면과 상기 저면 사이가 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개구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대향 유도면은 상기 대향 유도면이 상기 저면과 대면하는 방향과 상기 축 방향의 양쪽에 수직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상기 저면으로부터 이간되도록 오목한 오목면을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오목면은 상기 접속 통로를 형성(구획)하는 벽면에 접속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의 상기 내면은 상기 대향 유도면과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된 접속 저면과,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저면에 대해서 상기 접속 위치로부터 이간되는 측에 위치하는 주저면을 포함하고, 상기 주저면은 상기 접속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격막체로부터 이간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고, 상기 접속 저면은 상기 접속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격막체에 접근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벽부와, 상기 저벽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액체 수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1쌍의 평탄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통로는 상기 1쌍의 평탄벽부 사이가 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개구하고, 상기 1쌍의 평탄벽부는 상기 저벽부로부터 상기 측벽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접속 통로를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상 측면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벽부와, 상기 저벽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액체 수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갖고, 상기 측벽부는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1쌍의 평탄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통로는 상기 1쌍의 평탄벽부 사이가 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으로 개구하고, 상기 저벽부는 상기 저벽부로부터 상기 측벽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를 향해 선상으로 연장되는 유도 리브를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벽부와, 상기 저벽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액체 수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갖고, 상기 격막체는 상기 저벽부로부터 상기 측벽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액체 수용부와는 반대측으로 개구한 환형상의 환형상 유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포트 본체는 상기 저벽부로부터 상기 측벽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상 유지 돌기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저면 및 측면을 형성하는 기부재와, 상기 기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기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격막체를 유지하는 덮개 부재를 갖고, 상기 기부재는 상기 저면을 적어도 형성하는 바닥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액체 수용부를 둘러싸는 환형상의 환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환형상 부재는 상기 접속 위치에 대응해서 형성되어 상기 액체 수용부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환형상 부재는 X선 불투과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면과 상기 접속 통로를 형성하는 표층 부재를 갖고, 상기 표층 부재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면과 상기 접속 통로 사이를 이음매 없이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표층 부재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면은 깔때기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서는 상기 접속 통로의 상기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의 내면은 상기 포트 본체의 상기 내면에 대향하는 하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양 외방에 있어서 상기 격막체에 접근하도록 상기 하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서는 상기 접속 통로의 상기 축 방향에 수직인 상기 단면에 있어서 상기 내면은 U자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서는 상기 접속 위치를 통과하는 상기 접속 통로의 상기 축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저면은 상기 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접속 통로의 상기 축 방향을 따른 상기 단면에 있어서 상기 격막체의 상기 액체 수용부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은 상기 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격막체의 상기 액체 수용부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로부터 이간되는 측에 위치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에 대해서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에 접근하는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면에 대해서 경사진 제 2 면을 갖고, 상기 축 방향을 따른 상기 제 1 면의 길이는 상기 축 방향을 따른 상기 제 2 면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 1 면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간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고, 상기 제 1 면의 상기 축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상기 제 2 면의 상기 축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보다 커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내장된 금속 코일을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주위가 되는 위치에 서로로부터 이간되어 설치된 적어도 2개의 금속 코일을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격막체의 상기 액체 수용부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은 상기 2개의 금속 코일 사이가 되는 영역에 노출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각 금속 코일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한 적어도 2개의 발광체를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발광체의 발광면은 노출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벽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갖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금속 코일은 상기 측벽부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액세스 포트에 있어서 각 금속 코일의 축선은 상기 측벽부가 상기 저벽부로부터 연장되어 올라가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안정되고, 또한 용이하게 접속 통로로 삽입 가능한 액세스 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액세스 포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액세스 포트를 격막체의 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액세스 포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Ⅰ-Ⅰ선을 따른 액세스 포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격막체 및 덮개 부재를 격막체 타측면의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액세스 포트와 자기장 발생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의료 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액세스 포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액세스 포트를 격막체의 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액세스 포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Ⅱ-Ⅱ선을 따른 액세스 포트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Ⅲ-Ⅲ선을 따른 액세스 포트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내는 격막체 및 덮개 부재를 격막체 타측면의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액세스 포트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Ⅳ-Ⅳ선을 따른 액세스 포트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액세스 포트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 및 도 2에는 액세스 포트(10)의 사시도 및 평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는 액세스 포트(10)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5에는 액세스 포트(10)의 일부를 이루는 기부재(12)의 분해 사시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6에는 액세스 포트(10)의 격막체(60) 및 덮개 부재(50)의 사시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7에는 액세스 포트(10)를 사용해서 구성되는 의료 시스템(90)을 나타내는 회로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액세스 포트의 전체 구성>
액세스 포트(10)는 카테터(C)와 접속된 상태로 환자의 피하에 매설되어 사용된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세스 포트(10)는 액체 수용부(11a)를 포함하는 포트 본체(11)와, 포트 본체(11)에 유지되어 액체 수용부(11a)를 덮는 격막체(60)를 구비한다. 격막체(60)에 전용의 천자침을 찔러 액체 수용부(11a) 내에 약제를 도입함으로써 카테터(C)를 통해 목적의 병변부 근방에 약제를 닿게 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트 본체(11)는 액체 수용부(11a)의 내면(저면(11b) 및 측면(11c))을 형성(구획)하는 기부재(12)와, 기부재(12)에 고정되어 기부재(12)와의 사이에서 격막체(60)를 유지하는 덮개 부재(50)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재(12)는 액체 수용부(11a)의 저면(11b)을 형성(구획)하는 저벽부(20)와, 저벽부(20)로부터 연장되어 액체 수용부(11a)의 측면(11c)을 형성(구획)하는 측벽부(30)를 갖는다. 저벽부(20)는 전체적으로 평판한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30)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저벽부(20)의 일측면의 대략 중앙에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재(12)는 액체 수용부(11a)에 접속하여 액체 수용부(11a)를 카테터(C)의 내부(내강)(Ca)에 연통시키는 접속 통로(40)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접속 통로(40)는 기부재(12)의 상기 측면(11c)에 개구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통로(40)의 내면(40a)은 측벽부(30)에 형성된 접속 통로 개구(41)와, 접속 통로 개구(41)에 접속된 접속 포트(42)에 의해 형성(구획)되어 있다. 접속 통로 개구(41)는 환형상의 측벽부(3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 구멍이며, 측벽부(30)의 내면(30a) 및 외면(30b)에 개구하고 있다. 접속 포트(42)는 그 일단이 측벽부(30)의 외면(30b)측으로부터 접속 통로 개구(41)에 삽입되어 측벽부(30)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접속 포트(42)의 타단에는 카테터(C)의 일단이 접속된다. 또한, 접속 통로(40)는 접속 포트(42)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그 경우 카테터(C)의 일단은 접속 통로 개구(41)에 삽입되어도 좋다.
덮개 부재(50)는 기부재(12)의 측벽부(30)를 외면(30b)측으로부터 덮는 환형상의 덮개 본체부(51)를 포함한다. 덮개 본체부(51)는, 또한 측벽부(30)의 외측에 있어서 저벽부(20)를 측벽부(30)가 세워서 설치된 측으로부터 덮는다.
덮개 부재(50)는, 또한 측벽부(30)의 저벽부(20)와는 반대측이 되는 끝면(이하, 「측벽부 일측 끝면」이라고도 칭한다)(30c)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환형상의 덮개 환형상 가장자리부(52)를 갖는다. 덮개 환형상 가장자리부(52)는 덮개 본체부(51)의 저벽부(20)와는 반대측이 되는 단부로부터 환형상의 덮개 본체부(51)의 내측을 향하고, 측벽부 일측 끝면(30c)을 따라 연장된다.
도 3,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막체(60)는 전체적으로 평판한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격막체(60)는 실리콘 고무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격막체(60)는 측벽부 일측 끝면(30c) 상에 액체 수용부(11a)를 덮도록 배치된다. 격막체(60)는 액체 수용부(11a)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이하, 「격막체 일측면」이라고도 칭한다)(60a)과, 액체 수용부(11a)측이 되는 면(이하, 「격막체 타측면」이라고도 칭한다)(60b)을 갖는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막체(60)의 외측 가장자리부(61)는 측벽부 일측 끝면(30c)과 덮개 환형상 가장자리부(52)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고, 기부재(12)와 덮개 부재(50) 사이를 액밀하게 실링한다. 격막체(60)의 중앙부(62)는 액체 수용부(11a)에 대면해서 배치된다. 덮개 환형상 가장자리부(52)가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중앙부(62)가 노출되고, 상기 중앙부(62)에 천자침을 찌를 수 있다.
그런데 환자의 체내에 유치된 카테터 내에 지름이 더 작은 마이크로 카테터를 통과시켜 마이크로 카테터의 선단을 말초 혈관 영역까지 나아가게 해서 목적의 병변부의 더 근방으로부터 약제의 투여 등을 행하는 것이 요망되어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 카테터를 카테터 내에 통과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우선 천자침을 사용해서 액세스 포트의 격막체를 천자하고, 천자침의 내강, 액세스 포트의 내강(액체 수용부), 및 접속 통로를 통해 마이크로 카테터를 카테터의 내강에 삽입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는, 우선 마이크로 카테터보다 가늘고 탄성이 강한 가이드 와이어를 상기 천자침의 내강, 액세스 포트의 내강(액체 수용부), 및 접속 통로를 통해 카테터의 내강에 삽입하고, 가이드 와이어를 가이드로 해서 마이크로 카테터를 카테터의 내강에 삽입하는 것이 생각된다.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카테터의 내강에 삽입할 때에는 액세스 포트 및 카테터는 환자의 피하에 매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도 접속 통로도 직접 관찰할 수 없다. 따라서,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조작해서 그 선단을 회전시키면서 접속 통로의 위치를 탐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안정되고, 또한 용이하게 접속 통로로 삽입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해서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트는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안정되고, 또한 용이하게 접속 통로로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경사 영역>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즉, 액세스 포트(10)는 접속 통로(40)가 액체 수용부(11a)로 접속하는 접속 위치(P)에서의 접속 통로(40)의 축 방향(D1)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도 4 참조) 격막체 일측면(60a)과 액체 수용부(11a)의 내면 사이의 상기 축 방향(D1)에 수직인 방향(D2)으로의 길이(L)가 상기 접속 위치(P)로부터 이간됨에 따라 차츰 작아져 가는 경사 영역(S)을 갖는다. 바꿔 말하면 경사 영역(S) 내에서는 상기 축 방향(D1)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수직인 방향(D2)에서의 격막체 일측면(60a)과 액체 수용부의 내면의 거리(L)는 상기 접속 위치(P)에 접근함에 따라 차츰 커져 간다.
이와 같은 경사 영역(S)에 있어서는 격막체 일측면(60a)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액체 수용부(11a)에 삽입된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은 상기 접속 위치(P)에 근접하는 방향으로(따라서, 접속 통로(4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안내되기 쉬워진다.
또한, 경사 영역(S)은 상기 축 방향(D1)을 따라 액체 수용부(11a)의 반분을 초과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부(11a)에 삽입된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이 액체 수용부(11a)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도달했을 경우이어도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은 접속 통로(4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안내되기 쉬워진다.
이상에 의해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안정되고, 또한 용이하게 접속 통로(40)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경사 영역(S)은 상기 접속 위치(P)로부터 이간되는 측이 되는 액체 수용부(11a)의 반분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부(11a)에 삽입된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이 액체 수용부(11a) 의 중심보다 상기 접속 위치(P)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도달해도 상기 선단은 접속 통로(4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안내되기 쉬워진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축 방향(D1)을 따른 상기 단면에 있어서(도 4 참조) 격막체 일측면(60a)은 전체적으로 상기 축 방향(D1)을 따라 넓어져 있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 축 방향(D1)을 따른 상기 단면에 있어서(도 4 참조) 경사 영역(S)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부(11a)의 내면(여기에서는 저면(11b))은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사 영역(S)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부(11a)의 내면(저면(11b))은 상기 축 방향(D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P)에 접근함에 따라 격막체(60)로부터 이간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부(11a)의 저면(11b)은 접속 통로(40)가 개구한 측벽면(30d)에 접속한 접속 저면(11d)과, 상기 축 방향(D1)에 있어서 접속 저면(11d)에 대해서 상기 접속 위치(P)로부터 이간되는 측에 위치하는 주저면(11e)을 포함한다. 주저면(11e)은 접속 저면(11d)에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주저면(11e)은 상기 접속 위치(P)에 접근함에 따라 격막체(60)로부터 이간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주저면(11e)에 의해 상기 경사 영역(S)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저면(11e)의 영역에 있어서의 저벽부(20)의 두께(T)가 상기 축 방향(D1)을 따라 상기 접속 위치(P)에 접근함에 따라 차츰 얇아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주저면(11e)은 상기 접속 위치(P)에 접근함에 따라 격막체(60)로부터 이간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접속 저면>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트(10)는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더 안정되고, 또한 용이하게 접속 통로(40)에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한 추가적인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저면(11d)은 접속 위치(P)에 접근함에 따라 격막체(60)에 접근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접속 저면(11d)은 상기 축 방향(D1)에 있어서 주저면(11e)에 대해서 상기 접속 위치(P)에 접근하는 측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접속 저면(11d)에 의해 주저면(11e)에 의해 상기 접속 위치(P)를 향해 안내된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을 상기 접속 위치(P)에 더 접근함에 따라 격막체(6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즉, 측벽부(30)에 형성된 접속 통로 개구(41)를 향해) 안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더 안정되고, 또한 용이하게 접속 통로(40)에 삽입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대향 유도면>
또한,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트(10)는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안정되고, 또한 용이하게 접속 통로(40)에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한 추가적인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30)는 저벽부(20)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된 돌출부(31)를 포함한다. 돌출부(31)는 저면(11b)과 대면하는 대향 유도면(31a)을 갖는다. 그리고 돌출부(31)는 대향 유도면(31a)과 저면(11b) 사이가 되는 위치에 접속 통로 개구(41)가 개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돌출부(31)의 대향 유도면(31a)과 저면(11b)의 대향 유도면(31a)에 대면하는 영역에 의해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을 접속 통로 개구(41)로 효율 좋게 향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선단의 가동 영역이 대향 유도면(31a)과 저면(11b) 사이로 제한되고, 상기 선단이 대향 유도면(31a)과 저면(11b) 사이가 되는 위치에 개구하는 접속 통로 개구(41)를 향하게 되기 쉬워진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 유도면(31a)은 접속 저면(11d)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저면(11d)은 접속 통로 개구(41)에 접근함에 따라 격막체(60)에 접근하는 측을 향하도록(따라서, 대향 유도면(31a)에 접근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대향 유도면(31a)이 이와 같은 접속 저면(11d)과 대면해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의 가동 영역이 접속 통로 개구(41)에 접근함에 따라 좁아지고, 대향 유도면(31a)과 접속 저면(11d) 사이가 되는 위치에 개구하는 접속 통로 개구(41)를 향하게 되기 쉬워진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 유도면(31a)은 대향 유도면(31a)이 저면(11b)과 대면하는 방향과 상기 축 방향(D1)의 양방에 수직인 폭 방향(D3)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저면(11b)으로부터 이간되도록 오목한 오목면(31b)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오목면(31b)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이 들어가면 상기 선단의 가동 범위는 오목면(31b)으로 둘러싸인 영역 내로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축 방향(D1)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 오목면(31b)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과 접속 통로 개구(41)가 겹쳐 있을 경우(도 4 참조) 상기 선단이 접속 통로 개구(41)를 향하게 되기 더 쉬워진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면(31b)은 접속 통로(40)를 형성(구획)하는 벽면(40a)에 접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오목면(31b)을 따라 접속 통로 개구(41)를 향해 이동하는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을 접속 통로(40) 내를 향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상기 선단이 접속 통로 개구(41)가 개구하는 측벽면(30d)과 간섭해서 접속 통로(40) 내에 진입하는 것이 방해된다는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재(12)는 저면(11b)과 측면(11c)의 일부를 형성하는 바닥 부재(13)와, 바닥 부재(13)에 지지되어 액체 수용부(11a)를 둘러싸는 환형상의 환형상 부재(14)를 갖는다. 환형상 부재(14)는 측면(11c)의 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1)는 환형상 부재(14)의 상기 접속 위치(P)에 대응하는 위치에 액체 수용부(11a)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바닥 부재(13)와 별체로서 제작된 환형상 부재(14)에 돌출부(31)를 형성함으로써 측벽부(30)에 상기 돌출부(31)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환형상 부재(14)는 X선 불투과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세스 포트(10)가 환자의 피하에 매설된 상태이어도 X선 촬상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환형상 부재(14)로 둘러싸인 영역(즉,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액체 수용부(11a)에 삽입하기 위한 천자침을 찔러야 하는 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
<평탄벽부>
또한,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트(10)는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안정되고, 또한 용이하게 접속 통로로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한 추가적인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30)는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1쌍의 평탄벽부(32, 32)를 포함한다. 1쌍의 평탄벽부(32, 32)는 접속 통로 개구(41)가 상기 1쌍의 평탄벽부(32, 32) 사이가 되는 위치에 있어서 액체 수용부(11a)의 측면(11c)에 개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1쌍의 평탄벽부(32, 32)는 저벽부(20)로부터 측벽부(30)가 연장되는 방향(도시된 예에서는 D2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접속 통로 개구(41)를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상 측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1쌍의 평탄벽부(32, 32)에 의해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을 접속 통로(40)로 효율 좋게 향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쌍의 평탄벽부(32, 32)에 의해 접속 통로 개구(41)를 향해 안내될 뿐만 아니라, 상기 선단의 가동 영역이 접속 통로 개구(41)에 접근함에 따라 좁아진다.
<유도 리브>
또한,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트(10)는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안정되고, 또한 용이하게 접속 통로(40)로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한 추가적인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부(20)는 저벽부(20)로부터 측벽부(3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도시된 예에서는 D2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 접속 위치(P)를 향해 선상으로 연장되는 유도 리브(21)를 갖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유도 리브(21)가 접속 위치(P) 근방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도 리브(21)에 의해 액체 수용부(11a) 내에 삽입된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을 접속 위치(P)를 향해(따라서, 접속 통로 개구(41)를 향해) 효율 좋게 안내할 수 있다.
<환형상 유지홈 및 환형상 유지 돌기부>
또한,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트(10)는 격막체(60)가 포트 본체(1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우선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막체(60)의 격막체 일측면(60a)에는 환형상의 제 1 환형상 유지홈(63)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환형상 유지홈(63)은 격막체(60)의 외측 가장자리부(61)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환형상 유지홈(63)은 저벽부(20)로부터 측벽부(3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도시된 예에서는 D2 방향)으로 연장되어 액체 수용부(11a)와는 반대측에 개구하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트 본체(11)의 덮개 부재(50)에는 환형상의 제 1 환형상 유지 돌기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환형상 유지 돌기부(53)는 덮개 환형상 가장자리부(52)로부터, 저벽부(20)로부터 측벽부(3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환형상 유지 돌기부(53)는 제 1 환형상 유지홈(63) 내에 연장되어 들어가 있다. 이것에 의해 격막체(60)에 천자침을 찌를 때나 격막체(60)로부터 천자침을 뽑을 때 등에 격막체(6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격막체(60)가 포트 본체(11)로부터 탈락한다는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막체(60)의 격막체 타측면(60b)에는 환형상의 제 2 환형상 유지홈(64)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환형상 유지홈(64)은 격막체(60)의 외측 가장자리부(61)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환형상 유지홈(64)은 저벽부(20)로부터 측벽부(3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액체 수용부(11a)측에 개구하고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트 본체(11)의 기부재(12)에는 환형상의 제 2 환형상 유지 돌기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환형상 유지 돌기부(54)는 측벽부 일측 끝면(30c)으로부터, 저벽부(20)로부터 측벽부(3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환형상 유지 돌기부(54)는 제 2 환형상 유지홈(64) 내에 연장되어 들어가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격막체(60)에 천자침을 찌를 때나 격막체(60)로부터 천자침을 뽑을 때 등에 격막체(6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격막체(60)가 포트 본체(11)로부터 탈락한다는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는 기부재(12)는 바닥 부재(13)와, 바닥 부재(13)와는 별체로서 형성된 환형상 부재(14)를 갖는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환형상 유지 돌기부(54)는 환형상 부재(14)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환형상 유지 돌기부(54)를 바닥 부재(13)와는 별체의 환형상 부재(14)에 형성함으로써 바닥 부재(13)의 형상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제 2 환형상 유지 돌기부(54)의 형상이나 치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금속 코일 및 발광체>
또한,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트(10)는 피하에 매설된 액세스 포트(10)의 위치를 검출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트 본체(11)는 내장된 금속 코일(70)을 갖는다. 금속 코일(70)에는 발광체(7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금속 코일(70)은 발광체(71), 콘덴서(72), 및 저항(73)과 함께 병렬 회로(74)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금속 코일(70)에 자기장이 인가되어 회로(74)에 전류가 흐르면 발광체(71)가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금속 코일(70) 및 발광체(71)가 액세스 포트(10)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액세스 포트(10) 근방에 자기장을 인가해서 금속 코일(70)에 전류가 흐르면 발광체(71)가 발광한다. 그리고 발광체(71)가 발광하는 광에 의해 환자의 피하에 매설된 액세스 포트(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이와 같은 액세스 포트(10)에 의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발생 장치(80)와 함께 피하에 매설된 액세스 포트(10)의 위치를 검출 가능한 의료 시스템(90)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트(10)가 금속 코일(70)을 포함하므로 X선 촬상 기술을 사용함으로써도 환자의 피하에 매설된 액세스 포트(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금속 코일(70) 및 발광체(71)는 덮개 부재(50)에 매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발광체(71)가 발하는 광이 액세스 포트(10)의 외에 닿기 쉬워진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금속 코일(70) 및 발광체(71)는 그 전체가 덮개 부재(50) 내에 매입되어 있으며, 덮개 부재(50)의 표면에 노출되는 부분이 없다. 이것에 의해 금속 코일(70) 및 발광체(71)가 액세스 포트(10)가 매설된 환자의 체액이나 액체 수용부(11a)에 수용된 약제 등과 접촉한다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에서 도시된 예에서는 덮개 부재(50)는 투광성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 부재(50) 내의 발광체(71)가 발하는 광을 덮개 부재(50)(액세스 포트(10))의 외에 닿게 할 수 있다. 또한, 발광체(71)의 발광면(71s)은 덮개 부재(50)(액세스 포트(10))의 외표면에 가능한 한 접근해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면(71s)이 상기 외표면에 접근하고 있을수록 발광체(71)가 발하는 광이 액세스 포트(10)의 외에 닿기 쉬워진다. 따라서, 액세스 포트(10)가 환자의 피하에 매설된 상태로 발광체(71)가 발하는 광을 환자의 피부 표면까지 닿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즉, 발광체(71)가 발하는 광이 환자의 주위의 사람에 의해 시인되기 쉬워진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포트 본체(11)는 2개의 금속 코일(70a, 70b)과, 각 금속 코일(70a, 70b)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한 적어도 2개의 발광체(71a, 71b)를 갖는다. 일방의 금속 코일(70a) 및 상기 금속 코일(70a)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발광체(71a)와, 타방의 금속 코일(70b) 및 상기 금속 코일(70b)에 접속한 발광체(71b)는 액체 수용부(11a)의 주위가 되는 위치에 서로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격막체 일측면(60a)은 금속 코일(70a, 70b) 및 발광체(71a, 71b) 중 2개의 세트 사이가 되는 영역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트(10)가 환자의 피하에 매설된 상태이어도 액세스 포트(10)의 근방에 자기장을 인가해서 발광체(71a, 71b)를 발광시키면 노출된 격막체 일측면(60a)의 위치를(즉,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액체 수용부(11a)에 삽입하기 위한 천자침을 찔러야 하는 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각 금속 코일(70)의 축선(70x)은 측벽부(30)가 저벽부(20)로부터 연장되어 올라가는 방향(도시된 예에서는 D2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포트 본체(11)를 구성하는 기부재(12)나 덮개 부재(50)는 측벽부(30)나 덮개 본체부(51) 등 측벽부(30)가 저벽부(20)로부터 연장되어 올라가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있다. 따라서, 축선(70x)이 연장되는 방향을 측벽부(30)가 저벽부(20)로부터 연장되어 올라가는 방향을 따르게 하면 포트 본체(11)에 금속 코일(70)을 내장시키는 것에 의한 포트 본체(11)의 치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발광체(71)는 각 금속 코일(70)의 축선(70x)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발광체(71)를 배치하면 금속 코일(70) 및 발광체(71)를 포트 본체(11)에 내장시키는 것에 의한 포트 본체(11)의 치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벽부(30)가 저벽부(20)로부터 연장되어 올라가는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 발광체(71)를 격막체(60)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격막체(60)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금속 코일(70) 및 발광체(71)를 포함하는 회로(74)는 덮개 부재(50)의 덮개 본체부(51)에 형성된 수용실(5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콘덴서(72)나 저항(73)은 금속 코일(7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회로(74)를 수용실(55) 내에 콤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발생 장치(80)로서는 임의의 장치를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자기장 발생 장치(8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금속 코일(81)과, 전원(82)과, 스위치(83)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된 회로(84)를 포함하는 장치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자기장 발생 장치(80)에 의하면 스위치(83)를 닫음으로써 금속 코일(81)에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8~도 13을 참조하여 액세스 포트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8 및 도 9에는 액세스 포트(100)의 사시도 및 평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10에는 액세스 포트(100)의 분해 사시도가, 도 11 및 도 12에는 액세스 포트(100)의 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13에는 액세스 포트(100)의 격막체(160) 및 덮개 부재(150)의 사시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8~도 13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속 통로(40)의 상기 축 방향(D1)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도 11 참조) 액체 수용부(11a)의 저면이 상기 축 방향(D1)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한편, 격막체(160)의 액체 수용부(11a)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격막체 일측면)(160a)이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점이 상이하다. 또한, 액세스 포트(100)가 액체 수용부(11a)의 내면과 접속 통로(40)를 형성하는 표층 부재(115)를 포함하는 점이 상이하다. 그러나 다른 구성은 도 1~도 7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8~도 13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도 7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8~도 13을 참조해서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액세스 포트의 전체 구성>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세스 포트(100)는 액체 수용부(11a)를 포함하는 포트 본체(111)와, 포트 본체(111)에 유지되어 액체 수용부(11a)를 덮는 격막체(160)를 구비한다.
포트 본체(111)는 기부재(112)와, 기부재(112)에 지지되어 액체 수용부(11a)의 내면을 형성(구획)하는 표층 부재(115)와, 기부재(112)에 고정되어 기부재(112) 및 표층 부재(115)와의 사이에서 격막체(160)를 유지하는 덮개 부재(150)를 갖는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재(112)는 전체적으로 평판상의 저벽부(120)와, 저벽부(120)로부터 연장된 측벽부(130)를 갖는다. 측벽부(130)는 전체적으로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저벽부(120)의 일측면의 대략 중앙에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측벽부(130)에는 후술하는 표층 부재(115)의 접속 포트부(117)를 삽입 통과하는 관통 구멍(133)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33)은 환형상의 측벽부(13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측벽부(130)의 내면(130a) 및 외면(130b)에 개구하고 있다.
측벽부(130)의 상기 축 방향(D1)에 있어서 관통 구멍(133)으로부터 이간되는 측에서는 그 저벽부(20)와는 반대측이 되는 끝면(측벽부 일측 끝면)(130c)이 상기 축 방향(D1)에 있어서 관통 구멍(133)으로부터 이간됨에 따라 저벽부(120)에 접근하는 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150)는 기부재(112)의 측벽부(130)를 외면(130b)측으로부터 덮는 환형상의 덮개 본체부(151)를 포함한다. 덮개 본체부(151)는 측벽부(130)의 외측에 있어서 저벽부(120)를 측벽부(130)가 세워서 설치된 측으로부터 덮는다.
덮개 부재(150)는, 또한 측벽부 일측 끝면(130c)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환형상의 덮개 환형상 가장자리부(152)를 갖는다. 덮개 환형상 가장자리부(152)는 덮개 본체부(151)의 저벽부(120)와는 반대측이 되는 단부로부터 환형상의 덮개 본체부(151)의 내측을 향하고, 측벽부 일측 끝면(130c)을 따라 연장된다.
격막체(160)는 전체적으로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격막체(160)는 실리콘 고무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격막체(160)는 측벽부 일측 끝면(130c) 상에 액체 수용부(11a)를 덮도록 배치된다. 격막체(160)는 액체 수용부(11a)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격막체 일측면)(160a)과, 액체 수용부(11a)의 측이 되는 면(격막체 타측면) (160b)을 갖는다.
격막체(160)의 외측 가장자리부(161)는 측벽부 일측 끝면(130c)과 덮개 환형상 가장자리부(152)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고, 기부재(112)와 덮개 부재(150) 사이를 액밀하게 실링하고 있다. 격막체(160)의 중앙부(162)는 액체 수용부(11a)에 대면해서 배치된다. 덮개 환형상 가장자리부(152)가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중앙부(162)가 노출되고, 상기 중앙부(162)에 천자침을 찌를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층 부재(115)는 저벽부(120) 및 측벽부(130)의 내면을 덮고, 액체 수용부(11a)의 내면을 형성하는 표층 부재 본체부(116)와, 표층 부재 본체부(116)에 접속되어 접속 통로(40)를 형성하는 접속 포트부(117)를 포함한다. 접속 포트부(117)의 일단은 표층 부재 본체부(116)에 접속하고 있다. 접속 포트부(117)는 표층 부재 본체부(116)의 내면(116a) 상의 접속부 위치(P)에 있어서 액체 수용부(11a)에 개구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포트부(117)는 측벽부(130)에 형성된 관통 구멍(133)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접속 포트부(117)의 타단은 측벽부(13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 포트부(117)의 타단에는 카테터(C)의 일단이 접속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축 방향(D1)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도 11 참조) 표층 부재 본체부(116)의 내면(116a)은 상기 축 방향(D1)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격막체>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트(100)도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안정되고, 또한 용이하게 접속 통로로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막체(160)는 접속 통로(40)의 상기 축 방향(D1)을 따른 단면에 수직인 방향(도시된 예에서는 후술하는 방향(D4))을 따라 연장되는 굴곡부(165)를 갖는다. 격막체(160)의 중앙부(162)에 있어서 격막체 일측면(160a)은 상기 축 방향(D1)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165)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1 면(160c)과, 상기 축 방향(D1)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165)의 타측에 위치하여 제 1 면(160c)에 대해서 경사지는 제 2 면(160d)을 갖는다. 제 1 면(160c)은 상기 축 방향(D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P)로부터 이간되는 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제 2 면(160d)은 제 1 면(160c)에 대해서 상기 축 방향(D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P)에 접근하는 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면(160c)은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제 1 면(160c)은 상기 축 방향(D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P)에 접근함에 따라 액체 수용부(11a)의 내면으로부터 이간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세스 포트(100)의 상기 축 방향(D1)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도 11 참조) 표층 부재 본체부(116)의 내면(116a)은 상기 축 방향(D1)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축 방향(D1)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격막체 일측면(160a)의 일부인 제 1 면(160c)은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내면(116a) 및 제 1 면(160c)에 의해 액세스 포트(100)에 경사 영역(S)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사 영역(S)에 있어서는 격막체 일측면(160a)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액체 수용부(11a)에 삽입된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은 상기 접속 위치(P)에 근접하는 방향으로(따라서, 접속 통로(4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안내되기 쉽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 2 면(160d)의 상기 축 방향(D1)에 대한 경사 각도는 제 1 면(160c)의 상기 축 방향(D1)에 대한 경사 각도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액세스 포트(100)가 환자의 피하에 매설된 상태이어도 제 1 면(160c)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 방향(D1)을 따른 제 2 면(160d)의 길이(Ld)는 상기 축 방향(D1)을 따른 제 1 면(160c)의 길이(Lc)보다 짧다. 이것에 의해 제 1 면(160c)을 (즉,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액체 수용부(11a)에 삽입하기 위한 천자침을 찔러야 하는 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표층 부재>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트(100)는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안정되고, 또한 용이하게 접속 통로로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한 추가적인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즉,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층 부재 본체부(116)의 내면(116a)(액체 수용부(11a)의 내면)과 접속 포트부(117)의 내면(접속 통로(40)를 형성하는 벽면(40a))은 이음매 없이 접속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표층 부재(115)는 액체 수용부(11a)의 내면과 접속 통로(40) 사이를 이음매 없이 접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이 표층 부재 본체부(116)의 내면(116a)이나 접속 포트부(117)와 간섭해서 접속 통로(40) 내에 진입하는 것이 방해된다는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표층 부재 본체부(116)의 내면(116a)은 깔때기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통로(40)의 상기 축 방향(D1)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표층 부재 본체부(116)의 내면(116a)은 격막체 타측면(160b)을 따른 방향(D4)에 있어서의 양 외방에 있어서 격막체(160)에 접근하도록 격막체 타측면 (160b)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바꿔 말하면 접속 통로(40)의 상기 축 방향(D1)에 수직인 상기 단면에 있어서 표층 부재 본체부(116)의 내면(116a)은 U자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표층 부재 본체부(116)의 내면(116a)에 의해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의 가동 영역이 상기 방향(D4)에 있어서 좁혀지고, 상기 접속 위치(P)를 향하게 되기 쉬워진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표층 부재(115)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세스 포트(100)가 환자의 피하에 매설된 상태이어도 X선 촬상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표층 부재 본체부(116)에 의해 형성되는 액체 수용부(11a)의 위치(즉,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액체 수용부(11a)에 삽입하기 위한 천자침을 찔러야 하는 영역을) 및 접속 포트부(117)의 위치(즉, 접속 위치(P))를 파악할 수 있다.
<환형상 유지홈 및 환형상 유지 돌기부>
또한,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트(100)도 격막체(160)가 포트 본체(11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우선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막체(160)의 격막체 일측면(160a)에는 환형상의 제 1 환형상 유지홈(163)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환형상 유지홈(163)은 격막체(160)의 외측 가장자리부(161)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환형상 유지홈(163)은 기부재(112)의 저벽부(120)로부터 측벽부(13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액체 수용부(11a)와는 반대측에 개구하고 있다. 또한,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트 본체(111)의 덮개 부재(150)에는 환형상의 제 1 환형상 유지 돌기부(153)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환형상 유지 돌기부(153)는 덮개 환형상 가장자리부(152)로부터, 저벽부(120)로부터 측벽부(13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환형상 유지 돌기부(153)는 제 1 환형상 유지홈(163) 내에 연장되어 들어가 있다. 이것에 의해 격막체(160)에 천자침을 찌를 때나 격막체(160)로부터 천자침을 뽑을 때 등에 격막체(16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격막체(160)가 포트 본체(111)로부터 탈락한다는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막체(160)의 격막체 타측면 (160b)에는 환형상의 제 2 환형상 유지홈(164)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환형상 유지홈(164)은 격막체(160)의 외측 가장자리부(161)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환형상 유지홈(164)은 기부재(112)의 저벽부(120)로부터 측벽부(13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액체 수용부(11a)측에 개구하고 있다. 또한,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층 부재 본체부(116)의 가장자리부는 저벽부(120)로부터 측벽부(13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환형상 유지 돌기부(154)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환형상 유지 돌기부(154)는 제 2 환형상 유지홈(164) 내에 연장되어 들어가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격막체(160)에 천자침을 찌를 때나 격막체(160)로부터 천자침을 뽑을 때 등에 격막체(16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격막체(160)가 포트 본체(111)로부터 탈락한다는 우려가 저감된다.
이상, 도 1~도 13을 참조해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 100)에 대해서 설명해왔지만 액세스 포트(10, 100)의 구성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도 13에 나타내는 액세스 포트의 구성에는 여러 가지의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0)에 있어서 격막체(160)는 굴곡부(165)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바꿔 말하면 격막체 일측면(160a)은 제 1 면(160c)에 대해서 경사지는 제 2 면(160d)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 100)는 발광체(71)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자기장 발생 장치(80)는 자기장 발생 장치(80)에 의해 자기장을 인가했을 때에 액세스 포트(10, 100)의 금속 코일(70)에 의한 상기 자기장의 흐트러짐을 검출해서 통지하는 통지 기능을 갖고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자기장 발생 장치(80)의 통지 기능에 의해 자기장 발생 장치(80)의 근방에 금속 코일(70)이 존재하는 것을(따라서, 액세스 포트(10, 100)의 격막체(60, 160)가 존재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 100)는 3 이상의 금속 코일(70) 또는 3세트 이상의 금속 코일(70) 및 발광체(71)를 갖고 있어도 좋다. 액체 수용부(11a)의 주위가 되는 위치에 3 이상의 금속 코일(70) 또는 3세트 이상의 금속 코일(70) 및 발광체(71)가 서로로부터 이간되어 설치되어 있으면 액체 수용부(11a)의 위치(즉,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액체 수용부(11a)에 삽입하기 위한 천자침을 찔러야 하는 영역)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 100)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 1개의 금속 코일(70)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금속 코일(70)에는 2 이상의 발광체(71a, 71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발광체(71a, 71b)는 격막체(60, 16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부(20)로부터 측벽부(3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 액체 수용부(11a)를 둘러싸도록 금속 코일(70)을 배치해도 좋다.
또한, 금속 코일(70)은 포트 본체(11)의 어느 부분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코일(70)은 기부재(12)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금속 코일(70)은 측벽부(30)에 내장되어도 좋다. 이 경우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재(12)를 바닥 부재(13)와 바닥 부재(13)와는 별체의 환형상 부재(14)로 구성하고, 금속 코일(70)을 환형상 부재(14)에 내장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금속 코일(70)이 상기 환자의 체액이나 액체 수용부(11a)에 수용되는 약제에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금속 코일(70)을 기부재(12)에 내장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발광체(71)의 발광면(71s)은 액세스 포트(10, 100)의 표면(액체 수용부(11a)측을 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노출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액세스 포트(10, 100)가 환자의 피하에 매설된 상태로 발광체(71)가 발하는 광을 환자의 피부 표면까지 닿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발광체(71)가 발하는 광이 환자의 주위의 사람에 의해 시인되기 쉬워진다. 또한, 발광체(71)의 발광면(71s)이 액세스 포트(10, 100)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을 경우 금속 코일(70) 및 발광체(71)를 포함하는 회로(74)를 수용하는 공간 중 금속 코일(70)을 포함하는 금속 부재를 수용하는 부분은 액밀하게 실링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상기 금속 부재와, 액세스 포트(10, 100)가 매설된 환자의 체액이나 액체 수용부(11a)에 수용된 약제 등의 접촉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액세스 포트(10, 100)는 카테터(C)와 접속해서 사용되는 액세스 포트이며, 액체 수용부(11a)를 포함하는 포트 본체(11, 111)와, 포트 본체(11, 111)에 유지되어 액체 수용부(11a)를 덮는 격막체(60, 160)를 구비하고 있다. 포트 본체(11, 111)는 액체 수용부(11a)에 접속하여 액체 수용부(11a)를 카테터(C)의 내부에 연통시키는 접속 통로(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접속 통로(40)가 액체 수용부(11a)로 접속하는 접속 위치(P)에서의 접속 통로(40)의 축 방향(D1)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격막체(60, 160)의 액체 수용부(11a)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60a, 160a)과 액체 수용부(11a)의 내면 사이의 상기 축 방향(D1)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길이(L)가 상기 축 방향(D1)을 따라 액체 수용부(11a)의 반분을 초과하는 경사 영역(S) 내에서 상기 접속 위치(P)로부터 이간됨에 따라 차츰 작아져 간다.
이와 같은 액세스 포트(10, 100)에 의하면 경사 영역(S)에 있어서 격막체 일측면(60a, 160a)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액체 수용부(11a)에 삽입된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은 상기 접속 위치(P)에 근접하는 방향으로(따라서, 접속 통로(4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안내되기 쉬워진다. 또한, 경사 영역(S)이 상기 축 방향(D1)을 따라 액체 수용부(11a)의 반분을 초과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액체 수용부(11a)에 삽입된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이 액체 수용부(11a)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도달했을 경우이어도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은 접속 통로(4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안내되기 쉬워진다. 이상에 의해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안정되고, 또한 용이하게 접속 통로(40)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 100)에 있어서 경사 영역(S)은 상기 접속 위치(P)로부터 이간되는 측이 되는 액체 수용부(11a)의 반분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부(11a)에 삽입된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이 액체 수용부(11a)의 중심보다 상기 접속 위치(P)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도달해도 상기 선단은 접속 통로(4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안내되기 쉬워진다.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에서는 접속 통로(40)의 상기 축 방향(D1)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경사 영역(S)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부(11a)의 내면이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액체 수용부(11a)에 의해 경사 영역(S)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에 있어서 포트 본체(11)의 내면은 액체 수용부(11a)를 형성(구획)하는 저면(11b) 및 상기 저면(11b)으로부터 연장되어 액체 수용부(11a)를 형성(구획)하는 측면(11c)을 포함하고, 상기 저면(11b)은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저면(11b)에 의해 경사 영역(S)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에 있어서 포트 본체(11)는 액체 수용부(11a)의 저면(11b)을 형성하는 저벽부(20)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저벽부(20)의 두께(T)는 상기 축 방향(D1)을 따라 상기 접속 위치(P)에 접근함에 따라 차츰 얇아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저면(11b)은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에 있어서 포트 본체(11)의 상기 저면(11b)은 접속 통로(40)가 개구한 측벽면(30d)에 접속한 접속 저면(11d)과, 상기 축 방향(D1)에 있어서 접속 저면(11d)에 대해서 상기 접속 위치(P)로부터 이간되는 측에 위치하는 주저면(11e)을 포함한다. 그리고 주저면(11e)은 상기 접속 위치(P)에 접근함에 따라 격막체(60)로부터 이간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주저면(11e)에 의해 경사 영역(S)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에 있어서 접속 저면(11d)은 상기 접속 위치(P)에 접근함에 따라 격막체(60)에 접근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접속 저면(11d)에 의해, 주저면(11e)에 의해 상기 접속 위치(P)를 향해 안내된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을 상기 접속 위치(P)에 더 접근함에 따라 격막체(6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즉, 측벽부(30)에 형성된 접속 통로(40)의 개구(41)를 향해) 안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더 안정되고, 또한 용이하게 접속 통로(40)로 삽입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에 있어서 포트 본체(11)는 액체 수용부(11a)의 저면(11b)을 형성하는 저벽부(20)와, 액체 수용부(11a)의 측면(11c)을 형성하는 측벽부(30)를 갖고 있다. 그리고 측벽부(30)는 저벽부(20)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고, 또한 저면(11b)과 대면하는 대향 유도면(31a)을 가진 돌출부(31)를 갖고 있다. 또한, 접속 통로(40)는 대향 유도면(31a)과 상기 저면(11b) 사이가 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11c)에 개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돌출부(31)의 대향 유도면(31a)과 저면(11b)의 대향 유도면(31a)에 대면하는 영역에 의해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이 접속 통로 개구(41)로 효율 좋게 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선단의 가동 범위가 대향 유도면(31a)과 저면(11b) 사이로 제한되고, 상기 선단이 대향 유도면(31a)과 저면(11b) 사이가 되는 위치에 개구하는 접속 통로(40)의 개구(41)를 향하게 되기 쉬워진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에 있어서 대향 유도면(31a)은 대향 유도면(31a)이 상기 저면(11b)과 대면하는 방향과 상기 축 방향(D1)의 양방에 수직인 폭 방향(D3)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상기 저면(11b)으로부터 이간되도록 오목한 오목면(31b)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오목면(31b)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이 들어가면 상기 선단의 가동 범위는 오목면(31b)으로 둘러싸인 영역 내로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선단이 접속 통로(40)의 개구(41)를 향하게 되기 더 쉬워진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에 있어서 상기 오목면(31b)은 접속 통로(40)를 형성(구획)하는 벽면(40a)에 접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오목면(31b)을 따라 접속 통로 개구(41)를 향해 이동하는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을 접속 통로(40) 내를 향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상기 선단이 접속 통로 개구(41)가 개구하는 측벽면(30d)과 간섭해서 접속 통로(40) 내에 진입하는 것이 방해된다는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에 있어서 포트 본체(11)의 내면은 대향 유도면(31a)과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된 접속 저면(11d)과, 상기 축 방향(D1)에 있어서 접속 저면(11d)에 대해서 상기 접속 위치(P)로부터 이간되는 측에 위치하는 주저면(11e)을 포함한다. 그리고 주저면(11e)은 상기 접속 위치(P)에 접근함에 따라서 격막체(60)로부터 이간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또한, 접속 저면(11d)은 상기 접속 위치(P)에 접근함에 따라 격막체(60)에 접근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대향 유도면(31a)이 이와 같은 접속 저면(11d)과 대면해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의 가동 영역이 상기 접속 위치(P)에 접근함에 따라 좁아지고, 대향 유도면(31a)과 저면(11b) 사이가 되는 위치에 개구하는 접속 통로(40)를 향하게 되기 쉬워진다.
또한, 제 1 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에 있어서 포트 본체(11)는 액체 수용부(11a)의 저면(11b) 및 측면(11c)을 형성하는 기부재(12)와, 기부재(12)에 고정되어 기부재(12)와의 사이에서 격막체(60)를 유지하는 덮개 부재(50)를 갖고 있다. 기부재(12)는 저면(11b)을 적어도 형성하는 바닥 부재(13)와, 바닥 부재(13)에 지지되어 액체 수용부(11a)를 둘러싸는 환형상의 환형상 부재(14)를 갖고 있다. 그리고 환형상 부재(14)는 상기 접속 위치(P)에 대응해서 형성되어 액체 수용부(11a)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1)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바닥 부재(13)와 별체로서 제작된 환형상 부재(14)에 돌출부(31)를 형성함으로써 측벽부(30)에 상기 돌출부(31)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제 1 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에 있어서 환형상 부재(14)는 X선 불투과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세스 포트(10)가 환자의 피하에 매설된 상태이어도 X선 촬상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환형상 부재(14)로 둘러싸인 영역 (즉,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액체 수용부(11a)에 삽입하기 위한 천자침을 찔러야 하는 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에 있어서 포트 본체(11)는 액체 수용부(11a)의 저면(11b)을 형성하는 저벽부(20)와, 저벽부(20)로부터 연장되어 액체 수용부(11a)의 측면(11c)을 형성하는 측벽부(30)를 갖고 있다. 그리고 측벽부(30)는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1쌍의 평탄벽부(32, 32)를 포함한다. 또한, 접속 통로(40)는 1쌍의 평탄벽부(32, 32) 사이가 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11c)에 개구하고 있다. 또한, 1쌍의 평탄벽부(32, 32)는 저벽부(20)로부터 측벽부(3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접속 통로(40)를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상 측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1쌍의 평탄벽부(32, 32)에 의해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을 접속 통로(40)로 효율 좋게 향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쌍의 평탄벽부(32, 32)에 의해 상기 선단의 가동 영역이 접속 통로(40)에 접근함에 따라 좁아지고, 또한 접속 통로(40)를 향해 안내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에 있어서 포트 본체(11)는 액체 수용부(11a)의 저면(11b)을 형성하는 저벽부(20)와, 저벽부(20)로부터 연장되어 액체 수용부(11a)의 측면(11c)을 형성하는 측벽부(30)를 갖고 있다. 측벽부(30)는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1쌍의 평탄벽부(32, 32)를 포함하고, 접속 통로(40)는 1쌍의 평탄벽부(32, 32) 사이가 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11c)에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저벽부(20)는 저벽부(20)로부터 측벽부(3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P)를 향해 선상으로 연장되는 유도 리브(21)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액세스 포트(10)에 의하면 유도 리브(21)에 의해 액체 수용부(11a) 내에 삽입된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을 접속 위치(P)를 향해 효율 좋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 1 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에 있어서 포트 본체(11)는 액체 수용부(11a)의 저면(11b)을 형성하는 저벽부(20)와, 저벽부(20)로부터 연장되어 액체 수용부(11a)의 측면(11c)을 형성하는 측벽부(30)를 갖고 있다. 그리고 격막체(60)는 저벽부(20)로부터 측벽부(3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액체 수용부(11a)와는 반대측에 개구한 환형상의 환형상 유지홈(63)을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포트 본체(11)는 저벽부(20)로부터 측벽부(3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상 유지 돌기부(53)를 갖고 있다. 환형상 유지홈(63)에 환형상 유지 돌기부(53)를 끼워 넣음으로써 격막체(60)에 천자침을 찌를 때나 격막체(60)로부터 천자침을 뽑을 때 등에 격막체(6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격막체(60)가 포트 본체(11)로부터 탈락한다는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제 2 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0)에 있어서 포트 본체(111)는 액체 수용부(11a)의 내면과 접속 통로(40)를 형성하는 표층 부재(115)를 갖고 있다. 그리고 표층 부재(115)는 액체 수용부(11a)의 내면과 접속 통로(40) 사이를 이음매 없이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이 액체 수용부(11a)의 내면이나 접속 포트부(117)와 간섭해서 접속 통로(40) 내에 진입하는 것이 방해된다는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제 2 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0)에 있어서 표층 부재(115)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세스 포트(100)가 환자의 피하에 매설된 상태이어도 X선 촬상 기술을 사용하면 표층 부재(115)에 의해 형성되는 액체 수용부(11a)의 위치를(즉,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액체 수용부(11a)에 삽입하기 위한 천자침을 찔러야 하는 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 2 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0)에서는 접속 통로(40)의 상기 축 방향(D1)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포트 본체(111)의 내면은 격막체(160)의 표층 부재 본체부(116)의 내면에 대향하는 면(160b)을 따른 방향(D4)에 있어서의 양 외방에 있어서 격막체(160)에 접근하도록 상기 내면에 대향하는 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통로(40)의 축 방향(D1)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포트 본체(111)의 내면(116a)은 U자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포트 본체(111)의 내면(116a)에 의해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의 가동 영역이 좁아지고, 상기 접속 통로(40)를 향하게 되기 쉬워진다.
또한, 제 2 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0)에 있어서 접속 통로(40)의 상기 축 방향(D1)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격막체(160)의 액체 수용부(11a)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160a)은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면(160a)에 의해 액세스 포트(100)에 경사 영역(S)이 형성된다. 그리고 격막체(160)의 상기 반대측이 되는 면(160a)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액체 수용부(11a)에 삽입된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은 상기 접속 통로(4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안내되기 쉬워진다.
또한, 제 2 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0)에 있어서 격막체(160)의 액체 수용부(11a)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160a)은 상기 축 방향(D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P)로부터 이간되는 측에 위치하는 제 1 면(160c)과, 제 1 면(160c)에 대해서 상기 축 방향(D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P)에 접근하는 측에 위치하는 제 1 면(160c)에 대해서 경사진 제 2 면(160d)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축 방향(D1)을 따른 제 1 면(160c)의 길이(Lc)는 상기 축 방향(D1)을 따른 제 2 면(160d)의 길이(Ld)보다 길다. 또한, 제 1 면(160c)은 상기 축 방향(D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P)에 접근함에 따라 액체 수용부(11a)의 내면으로부터 이간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또한, 제 1 면(160c)의 상기 축 방향(D1)에 대한 경사 각도는 제 2 면(160d)의 상기 축 방향(D1)에 대한 경사 각도보다 크다.
제 1 면(160c)의 상기 경사 각도가 제 2 면(160d)의 상기 경사 각도보다 큼으로써 액세스 포트(100)가 환자의 피하에 매설된 상태이어도 제 1 면(160c)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 1 면(160c)의 상기 길이(Lc)가 제 2 면(160d)의 상기 길이(Ld)보다 김으로써 제 1 면(160c)을(즉,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액체 수용부(11a)에 삽입하기 위한 천자침을 찔러야 하는 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 100)에 있어서 포트 본체(11, 111)는 내장된 금속 코일(70)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환자의 피하에 매설된 액세스 포트(10, 100)의 위치를 자기장 발생 장치(80) 또는 X선 촬상 기술을 사용해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 100)에 있어서 포트 본체(11, 111)는 액체 수용부(11a)의 주위가 되는 위치에 서로로부터 이간되어 설치된 적어도 2개의 금속 코일(70a, 70b)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환자의 피하에 매설된 액세스 포트(10, 100)의 위치를 자기장 발생 장치(80) 또는 X선 촬상 기술을 사용해서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 100)에 있어서 격막체(60, 160)의 액체 수용부(11a)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60a, 160a)은 상기 2개의 금속 코일(70a, 70b) 사이가 되는 영역에 노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환자의 피하에 매설된 액세스 포트(10, 100)의 격막체(60, 160)의 위치를(즉, 마이크로 카테터나 가이드 와이어를 액체 수용부(11a)에 삽입하기 위한 천자침을 찔러야 하는 영역을) 자기장 발생 장치(80) 또는 X선 촬상 기술을 사용해서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 100)에 있어서 포트 본체(11, 111)는 각 금속 코일(70a, 70b)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한 적어도 2개의 발광체(71a, 71b)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액세스 포트(10, 100)의 근방에 자기장을 인가하면 금속 코일(70a, 70b)과 발광체(71a, 71b)를 포함하는 회로(74)에 전류가 흐르고, 발광체(71a, 71b)가 발광한다. 그리고 발광체(71a, 71b)가 발광하는 광에 의해 환자의 피하에 매설된 액세스 포트(10, 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에 의한 액세스 포트(10, 10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발광체(71a, 71b)의 발광면(71s)은 노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세스 포트(10)가 환자의 피하에 매설된 상태로 발광체(71)가 발하는 광을 환자의 피부 표면까지 닿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발광체(71)가 발하는 광이 환자의 주위 사람에 의해 시인되기 쉬워진다.
또한, 변형예에 의한 액세스 포트(10)에 있어서 포트 본체(11)는 액체 수용부(11a)의 저면(11b)을 형성하는 저벽부(20)와, 액체 수용부(11a)의 측면(11c)을 형성하는 측벽부(30)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금속 코일(70a, 70b)은 측벽부(30)에 내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부(11a)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액세스 포트(10, 100)에 있어서 각 금속 코일(70a, 70b)의 축선(70x)은 측벽부(30, 130)가 저벽부(20, 120)로부터 연장되어 올라가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포트 본체(11, 111)를 구성하는 기부재(12, 112)나 덮개 부재(50, 150)는 측벽부(30)가 저벽부(20)로부터 연장되어 올라가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있다. 따라서, 축선(70x)이 연장되는 방향을 측벽부(30, 130)가 저벽부(20, 120)로부터 연장되어 올라가는 방향을 따르게 하면 포트 본체(11, 111)에 금속 코일(70)을 내장시키는 것에 의한 포트 본체(11, 111)의 치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복수의 실시형태와 그 변형예를 설명해 왔지만 당연히 상이한 실시형태나 상이한 변형예로서 설명된 복수의 구성을 적당히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및 100: 액세스 포트 11 및 111: 포트 본체
11a: 액체 수용부 11b: 저면
11c: 측면 11d: 접속 저면
11e: 주저면 12: 기부재
13: 바닥 부재 14: 환형상 부재
20: 저벽부 21: 유도 리브
30: 측벽부 31: 돌출부
31a: 대향 유도면 31b: 오목면
32: 평탄벽부 40: 접속 통로
40a: 벽면 50 및 150: 덮개 부재
60 및 160: 격막체 70, 70a, 및 70b: 금속 코일
71, 71a, 및 71b: 발광체 115: 표층 부재
160c: 제 1 면 160d: 제 2 면

Claims (11)

  1. 카테터와 접속해서 사용되는 액세스 포트로서,
    액체 수용부를 포함하는 포트 본체와,
    상기 포트 본체에 유지되어 상기 액체 수용부를 덮는 격막체를 구비하고,
    상기 포트 본체는 상기 액체 수용부에 접속하여 상기 액체 수용부를 상기 카테터의 내부에 연통시키는 접속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통로가 상기 액체 수용부로 접속하는 접속 위치에서의 상기 접속 통로의 축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격막체의 상기 액체 수용부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과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면 사이의 상기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액체 수용부의 반분을 초과하는 경사 영역 내에서 상기 접속 위치로부터 이간됨에 따라 차츰 작아져 가는 액세스 포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벽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갖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저벽부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저면과 대면하는 대향 유도면을 가진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접속 통로는 상기 대향 유도면과 상기 저면 사이가 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개구하고 있는 액세스 포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유도면은 상기 대향 유도면이 상기 저면과 대면하는 방향과 상기 축 방향의 양방에 수직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상기 저면으로부터 이간되도록 오목한 오목면을 갖고 있는 액세스 포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벽부와, 상기 저벽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액체 수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갖고,
    상기 측벽부는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1쌍의 평탄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통로는 상기 1쌍의 평탄벽부 사이가 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개구하고,
    상기 저벽부는 상기 저벽부로부터 상기 측벽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를 향해 선상으로 연장되는 유도 리브를 갖는 액세스 포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면과 상기 접속 통로를 형성하는 표층 부재를 갖고,
    상기 표층 부재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면과 상기 접속 통로 사이를 이음매없이 접속되어 있는 액세스 포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통로의 상기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의 내면은 상기 포트 본체의 상기 내면에 대향하는 하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양 외방에 있어서 상기 격막체에 접근하도록 전방 하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액세스 포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통로의 상기 축 방향에 수직인 상기 단면에 있어서 상기 내면은 U자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액세스 포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체의 상기 액체 수용부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로부터 이간되는 측에 위치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에 대해서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에 접근하는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면에 대해서 경사진 제 2 면을 갖고,
    상기 축 방향을 따른 상기 제 1 면의 길이는 상기 축 방향을 따른 상기 제 2 면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 1 면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간되는 측을 향하도록 상기 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고,
    상기 제 1 면의 상기 축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상기 제 2 면의 상기 축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보다 큰 액세스 포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내장된 금속 코일을 갖는 액세스 포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주위가 되는 위치에 서로로부터 이간되어 설치된 적어도 2개의 금속 코일과, 상기 금속 코일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한 적어도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액세스 포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벽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갖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금속 코일은 상기 측벽부에 내장되어 있는 액세스 포트.
KR1020227008725A 2020-02-17 2021-02-03 액세스 포트 KR202201424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24533 2020-02-17
JPJP-P-2020-024533 2020-02-17
PCT/JP2021/003854 WO2021166643A1 (ja) 2020-02-17 2021-02-03 アクセスポ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426A true KR20220142426A (ko) 2022-10-21

Family

ID=7739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725A KR20220142426A (ko) 2020-02-17 2021-02-03 액세스 포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25137A1 (ko)
EP (1) EP4108269A1 (ko)
JP (1) JPWO2021166643A1 (ko)
KR (1) KR20220142426A (ko)
CN (1) CN115103705A (ko)
TW (1) TW202138022A (ko)
WO (1) WO20211666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82221B1 (fr) * 1985-05-21 1987-09-25 Applied Precision Ltd Dispositif implantable d'injection chronique d'une substance, notamment therapeutique
US7191011B2 (en) * 2003-04-07 2007-03-13 Advanced Neuromodulation Systems, Inc. Access port indicator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20090105688A1 (en) * 2007-09-19 2009-04-23 Mcintyre Jon T Implantable access port with luminous guide and identification system
JP3142990U (ja) * 2008-04-22 2008-07-03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セスポート
WO2013094644A1 (ja) 2011-12-21 2013-06-27 テルモ・クリニカルサプライ株式会社 皮下埋め込み型薬液注入具
AU2012390698B2 (en) * 2012-09-28 2018-05-10 Terumo Kabushiki Kaisha Connector
WO2014116810A1 (en) * 2013-01-23 2014-07-31 C.R. Bard, Inc. Low-profile access port
JP6617398B2 (ja) * 2014-08-28 2019-12-1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ガイドチューブ
JP6818269B2 (ja) * 2015-07-01 2021-01-20 公立大学法人奈良県立医科大学 体内埋込型カテーテルポート、および、体内埋込型カテーテルポ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166643A1 (ko) 2021-08-26
CN115103705A (zh) 2022-09-23
US20230025137A1 (en) 2023-01-26
TW202138022A (zh) 2021-10-16
EP4108269A1 (en) 2022-12-28
WO2021166643A1 (ja)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4069B2 (en) Injector
CN106109020B (zh) 用于标识和定位植入设备的系统和方法
AU2019210508B2 (en) Electro-magnetic needle catheter insertion system
US20170165465A1 (en) Venous access port assemby with x-ray discernable indicia
AU2006299623A1 (en) Implantable medical device
CN103533881A (zh) 可再用的体内装置、系统及其组装方法
ES2644871T3 (es) Unidad de extracción de fluidos corporales, en particular de sangre
CN113950342A (zh) 流体输注系统
WO2018064610A1 (en) Video needle syringe
CN114258286B (zh) 医疗装置、体外单元、送电片材及医疗器具
KR20220142426A (ko) 액세스 포트
US20090105541A1 (en) Endoscopic capsule
EA200400779A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относящиеся к контейнеру в сборе дл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WO2021166642A1 (ja) アクセスポート
JP2013172780A (ja) 器具案内装置
EP3597098A1 (en) Flexible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equipped with same
US20230263953A1 (en) Medical device, medical instrument component and medical instrument
JP7233514B2 (ja) 医療装置、体外ユニット、送電シートおよび医療器具
KR102177484B1 (ko) 마이크로 카테터
JP2022036148A (ja) 医療装置、体外ユニット、送電シートおよび医療器具
EP3295860A1 (en) Insertion-apparatus tip cover and insertion apparatus
JP2022036151A (ja) 医療装置、体外ユニット、送電シートおよび医療器具
CN114929324A (zh) 供电装置及医疗装置
JP2021045501A (ja) 液体注入ポートシステム、及び、液体注入ポート
CN116195981A (zh) 医疗装置、识别血管的方法和制造血管定位系统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