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484B1 - 마이크로 카테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484B1
KR102177484B1 KR1020180130106A KR20180130106A KR102177484B1 KR 102177484 B1 KR102177484 B1 KR 102177484B1 KR 1020180130106 A KR1020180130106 A KR 1020180130106A KR 20180130106 A KR20180130106 A KR 20180130106A KR 102177484 B1 KR102177484 B1 KR 102177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pace
catheter
tube por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240A (ko
Inventor
이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에스와이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에스와이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에스와이메드
Priority to KR1020180130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48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means of electrically-heated probes
    • A61B18/0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345Micromachines, nanomachines, micro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29L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025/0042Microcatheters, cannula or the like having outside diameters around 1 mm or l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인체에 삽입되어 인체의 내부 공간과 인체의 외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카테터에 있어서, 소정의 약액이 유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인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튜브부; 및 상기 제1 튜브부의 외면의 일부가 포위되게 상기 제1 튜브부에 연결되며,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소정의 열을 방출하는 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카테터 {MICRO CATHETER}
본 발명은 마이크로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삽입되어 인체의 내부 공간과 인체의 외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마이크로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Catheter)는 일반적으로 인체의 장기 또는 혈관과 인체의 외부를 연결하는 고무 또는 금속제 관을 말하며, 시술자가 인체 내부의 시술지점에 삽입을 한 상태에서, 약물을 주입하거나, 인체의 내용액을 배출하는데 사용되거나, 해당 지점의 시술을 위한 다양한 도구를 인체의 내부로 삽입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카테터 중에서 마이크로 카테터는 통 90~150cm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으며, 직경은 1mm 이하로 구성된 카테터를 말하는 것으로서, 주로 간암색전술, 뇌혈관용 코일과 스텐트 전달 및 말초혈관 코일 전달에 활용되며, 이외에도 작은 혈관에 약물을 넣거나 폐색을 위해 코일 등을 넣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마이크로 카테터를 이용한 폐색 방법은 부피가 큰 코일을 직접적으로 목표 지점까지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로 인한 오 작동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로 소정의 수술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 카테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인체에 삽입되어 인체의 내부 공간과 인체의 외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카테터에 있어서, 소정의 약액이 유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인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튜브부; 및 상기 제1 튜브부의 외면의 일부가 포위되게 상기 제1 튜브부에 연결되며,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소정의 열을 방출하는 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튜브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인 제2 공간을 제공하는 제2 튜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튜브부는, 상기 제1 튜브부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제2 튜브부에 의해 은닉되도록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1 튜브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튜브부는, 상기 제1 튜브부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제2-1 공간을 제공하는 제2-1 튜브부 및 상기 제1 튜브부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제2-2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2-1 튜브부와 이격되는 제2-2 튜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2-1 튜브부와 상기 제2-2 튜브부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튜브부에 의해 은닉되도록 상기 제1 튜브부와 상기 제2 튜브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발열부에 연결되어 상기 발열부로 소정의 전류를 전달하는 매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개부는, 상기 발열부가 기준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튜브부에 연결되는 면적보다 기준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튜브부에 연결되는 면적이 더 좁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1 튜브부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배치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1 모체가 나선 모양으로 형태 변형되어 형성되고, 상기 매개부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1 튜브부의 외면의 일부가 포위되게 제2 모체가 나선 모양으로 형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체는, 상기 제2 모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튜브부와 상기 제2 튜브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튜브부를 지지하는 강성보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강성보완부는 일단부가 상기 발열부에 연결되는 상기 매개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매개부가 기준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튜브부에 연결되는 면적보다 기준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튜브부에 연결되는 면적이 더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성보완부는, 편조 형태로 상기 제1 튜브부의 외면을 포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성보완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강성직물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2 강성직물부가 편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강성직물부는, 도전체로 이루어져 상기 매개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 따르면, 오 작동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효과적으로 혈관 폐색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에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도 1의 X-X'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가 사용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가 벤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통해 약액이 유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통해 혈관 폐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00)는 인체에 삽입되어 인체의 내부 공간과 인체의 외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카테터에 있어서, 정의 약액이 유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인 제1 공간(S110)을 제공하는 제1 튜브부(110) 및 기 제1 튜브부(110)의 외면의 일부가 포위되게 상기 제1 튜브부(110)에 연결되며,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소정의 열을 방출하는 발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터(100)는 상기 제1 튜브부(11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인 제2 공간(S130)을 제공하는 제2 튜브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터(100)는 상기 제2 튜브부(130)에 의해 은닉되도록 상기 제1 튜브부(110)와 상기 제2 튜브부(13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발열부(120)에 연결되어 상기 발열부(120)로 소정의 전류를 전달하는 매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터(100)는 상기 제1 튜브부(110)와 상기 제2 튜브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튜브부(130)를 지지하는 강성보완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튜브부(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튜브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튜브부(11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제1 튜브부(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의 튜브일 수 있다.
상기 제1 튜브부(1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인 제1 공간(S11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S110)으로 소정의 약액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튜브부(110)는 상기 제2 튜브부(130)가 제공하는 제2 공간(S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튜브부(110)는 후술하는 제2-1 공간(S131), 제2-2 공간(132) 및 상기 배치 공간(S12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튜브부(110)는 상기 제1 튜브부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제2 튜브부(130)에 의해 은닉되도록 상기 제2 공간(S13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튜브부(110)는 상기 제1 튜브부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발열부(120)에 의해 은닉되도록 상기 배치 공간(S120)에 배치될 수 있다.
발열부(120)에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상기 발열부(120)는 소정의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120) 상기 제1 튜브부(110) 일부 외면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발열부(120)는 제1 모체가 나선 모양으로 상기 제1 튜브부(110)를 에워싸도록 형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체는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모체는 백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모체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튜브부(110) 일부 외면은 상기 발열부(120)에 의해 포위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120)는 상기 제1 튜브부(110)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배치 공간(S12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120)는 상기 발열부(1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공간(S130)에 배치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1 튜브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120)의 일단부는 후술하는 제2-1 튜브부(131)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발열부(120)의 타단부는 후술하는 제2-2 튜브부(13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120)는 상기 매개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발열부(120)의 타단부는 상기 매개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발열부(120)는 상기 매개부(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튜브부(13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튜브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2 튜브부(13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제2 튜브부(13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의 튜브일 수 있다.
상기 제2 튜브부(13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인 제2 공간(S13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튜브부(130)는 상기 제1 튜브부(110)를 에워쌀 수 있으며, 상기 제1 튜브부(110)를 외부 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2 튜브부(130)는 상기 제1 튜브부(11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제2-1 공간(S131)을 제공하는 제2-1 튜브부(131) 및 상기 제1 튜브부(11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제2-2 공간(132)을 제공하며 상기 제2-1 튜브부(131)와 이격되는 제2-2 튜브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1 튜브부(131)와 상기 제2-2 튜브부(132)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1 튜브부(131)와 상기 제2-2 튜브부(132)는 상기 발열부(12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120)는 상기 제2-1 튜브부(131)와 상기 제2-2 튜브부(132)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발열부(120)는 소정의 열을 인체의 혈관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1 튜브부(131)의 타단부는 상기 발열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1 튜브부(131)의 타단부와 상기 제1 튜브부(110) 사이에는 상기 발열부(120)의 일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1 튜브부(131)의 일단부와 상기 제1 튜브부(110) 사이에는 상기 발열부(120)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2-1 튜브부(131)의 타단부는 상기 제1 튜브부(1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발열부(120)가 상기 제2-1 튜브부(131)의 일단부를 벗어나게 돌출되어, 상기 발열부(120)가 인체를 상해 입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매개부(140)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1 튜브부(110)의 외면의 일부가 포위되게 제2 모체가 나선 모양으로 형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체는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모체는 백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모체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모체는 상기 제2 모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모체와 상기 제2 모체는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모체와 상기 제2 모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백금 재질의 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모체와 상기 제2 모체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발열부(120)가 기준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튜브부(110)에 연결되는 면적보다 상기 매개부(140)가 기준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튜브부(110)에 연결되는 면적이 더 작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매개부(140)가 연결되는 제1 튜브부(110)와 상기 제2 튜브부(130) 부분은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어, 혈관의 구조에 대응하여 카텐터가 혈관 상에서 용이하게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120)는 상기 매개부(140)보다 밀도가 높게 상기 제1 튜브부(110)에 연결되기 때문에, 방사선에 따른 마커 기능을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120)는 더 밀도 있게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140)는 상기 제1 튜브부(110)와 상기 제2 튜브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140)는 상기 발열부(120)로 소정의 전류를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제2 튜브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140)는 외부 요인(일례로, 혈액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튜브부(110)가 수축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140)의 일단부는 상기 발열부(120)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매개부(140)의 타단부는 상기 강성보완부(150)의 일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강성보완부(150)는 상기 제1 튜브부(110)와 상기 제2 튜브부(130)가 쉽게 벤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튜브부(110)와 상기 제2 튜브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강성보완부(150)는 일단부가 상기 발열부(120)에 연결되는 상기 매개부(140)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140)가 기준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튜브부(110)에 연결되는 면적보다 상기 강성보완부(150)가 기준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튜브부(110)에 연결되는 면적이 더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120)가 기준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튜브부(110)에 연결되는 면적보다 상기 강성보완부(150)가 기준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튜브부(110)에 연결되는 면적이 더 작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튜브부(110)와 상기 제2 튜브부(130)는 상기 혈관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매개부(140)가 용이하게 벤딩되기 때문에, 상기 카테터는 혈관의 구조에 대응되어 미리 정해진 경로로 용이하게 방향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강성보완부(150)가 상기 제1 튜브부(110)와 상기 제2 튜브부(130)를 지지하기 때문에, 상태의 상기 카테터가 미리 정해진 경로 상에서 효과적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강성보완부(150)는 편조 형태로 상기 제1 튜브부(110)의 외면을 포위할 수 있다.
상기 강성보완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강성직물부(151)와 적어도 하나의 제2 강성직물부(152)가 편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강성직물부(152)는 도전체로 이루어져 상기 매개부(140)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강성직물부(152)의 일단부는 상기 매개부(140)의 타단부에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연결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복 수개의 제1 강성직물부(151)와 하나의 제2 강성직물부(152)가 편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복 수개의 제1 강성직물부(151)와 복 수개의 제2 강성직물부(152)가 편조될 수 있다.
상기 강성보완부(150)는 상기 제1 튜브부(110)와 상기 제2 튜브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강성보완부(150)는 상기 매개부(140)의 타단부부터 상기 제1 튜브부(110)와 상기 제2 튜브부(130)의 타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기준 길이는 각 각의 구성이 상기 제1 튜브부(110)에 연결되는 면적을 비교하기 위한 상대적인 기준 값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한 길이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에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발열부(120)의 일단부는 상기 제2-1 공간(S131)에 배치되어 상기 제2-1 튜브부(131)의 타단부의 내면과 상기 제1 튜브부(110)의 외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120)의 타단부는 상기 제2-2 공간(132)에 배치되어 사기 제2-2 튜브부(132)의 내면과 상기 제1 튜브부(110)의 외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120)는 상기 제2-1 튜브부(131)와 상기 제2-2 튜브부(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120)의 일부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2-1 튜브부(131)의 외면과 상기 제2-2 튜브부(132)의 외면을 연결하여 균일한 면을 형성하는 가상의 면인 기준면(A10)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면(A10)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기준면(A1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발열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발열부(120)는 상기 기준면(A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발열부(120)로 인해 인체가 상처 입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X-X'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튜브부(130)의 내면의 일부는 상기 제1 튜브부(110)의 외면과 직접 연결 또는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튜브부(130)의 내면의 일부는 상기 강성보완부(150)와 직접 연결 또는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강성보완부(150)는 상기 제2 튜브부(130)의 내면과 상기 제1 튜브부(110)의 외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강성보완부(150)는 상기 제2 튜브부(130)의 내면으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튜브부(130)의 내면의 일부는 상기 강성보완부(150)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함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튜브부(130)가 상기 강성보완부(150) 상에서 혹은 상기 제1 튜브부(110) 상에서 슬립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구는 상술한 카테터 및 상기 카테터로 소정의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강성보완부(150)의 제2 강성직물부(152)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강성직물부(152)로 소정의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가 사용되는 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가 사용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인체의 외부에서부터 혈관을 따라 인체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카테터는 간암색전술에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카테터(100)의 일단부(상기 제1 튜브부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튜브부의 일단부)가 간(L10)에 위치되는 암세포(C10) 부근의 위치될 때까지 상기 카테터(100)가 간동맥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가 벤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카테터(100)가 벤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혈액이 유동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제1 혈관(V11), 상기 제1 혈관(V11)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혈관(V11)이 제공하는 공간과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제2 혈관(V12) 및 상기 제1 혈관(V11)과 연결되며 상기 상기 제1 혈관(V11)이 제공하는 공간과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제3 혈관(V13)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경로는 제1 혈관(V11)과 제2 혈관(V12)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경로는 상기 카테터(100)가 지나가야 되는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혈관(V12)과 상기 제3 혈관(V13)을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혈관(V12)과 상기 제3 혈관(V13)은 갈림 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혈관(V11)의 내부를 이동하는 상기 카테터(100)가 상기 제1 혈관(V11)을 다 지나 직진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혈관(V12)의 내벽에 충돌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카테터(100)가 계속 직진되는 경우, 상기 매개부(140)가 연결되는 상기 제1 튜브부 및 상기 제2 튜브부부분이 벤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카테터(100)에 의해 상기 제2 혈관(V12)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다.
상기 제2 혈관(V12)으로 진입된 상기 카테터(100)는 상기 강성보완부(150)에 의해 쉽게 벤딩되지 않고 상기 제2 혈관(V12) 및 상기 제2 혈관(V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통해 약액이 유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미리 정해진 경로로 이동되어 소정의 대상 위치에 카테터(100)의 일단부가 위치 되는 경우, 소정의 약액(F10)이 제1 공간(S110) 상에서 유동되어 상기 카테터(100)의 일단부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대상 위치는 소정의 암세포(C10) 근방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약액(F10)에 의해 상기 암세포만(C10)을 타겟팅하여 치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통해 혈관 폐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부를 통해 소정의 전류가 상기 제2 강성직물부(152), 상기 매개부(140) 및 상기 발열부(120)로 유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발열부(120)가 소정의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개부(140) 및 상기 제2 강성직물부(152)에서도 소정의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튜브부(130)에 의해 상기 매개부(140) 및 상기 제2 강성직물부(152)가 포위되기 때문에, 상기 매개부(140) 및 상기 제2 강성직물부(152)에서 방출되는 열은 혈관(V10)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열부(120)에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상기 발열부(120)는 약 7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발열부(120)의 온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7(b)를 참조하면,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발열부(120)에서 열을 방출 한 뒤에 상기 카테터(100)는 인체 외부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카테터(100)가 위치 이동된 후에, 발열부(120)에 의해 가열된 혈관(V10)은 수축될 수 있다.
또한, 발열부(120)에 의해 가열된 혈관은 혈전으로 인해 폐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정의 피가 암세포(C10)로 유동되지 못하여 암세포(C10)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카테터 110 : 제1 튜브부
120 : 발열부 130 : 제2 튜브부
140 : 매개부 150 : 강성보완부

Claims (9)

  1. 삭제
  2. 인체에 삽입되어 인체의 내부 공간과 인체의 외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카테터에 있어서,
    소정의 약액이 유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인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튜브부;
    상기 제1 튜브부의 외면의 일부가 포위되게 상기 제1 튜브부에 연결되며,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소정의 열을 방출하는 발열부; 및
    상기 제1 튜브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인 제2 공간을 제공하는 제2 튜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튜브부는,
    상기 제1 튜브부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제2 튜브부에 의해 은닉되도록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1 튜브부의 직경 방향으로의 외측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1 튜브부에 연결되는,
    카테터.
  3. 인체에 삽입되어 인체의 내부 공간과 인체의 외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카테터에 있어서,
    소정의 약액이 유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인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튜브부;
    상기 제1 튜브부의 외면의 일부가 포위되게 상기 제1 튜브부에 연결되며,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소정의 열을 방출하는 발열부; 및
    상기 제1 튜브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인 제2 공간을 제공하는 제2 튜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튜브부는,
    상기 제1 튜브부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제2 튜브부에 의해 은닉되도록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1 튜브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튜브부는,
    상기 제1 튜브부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제2-1 공간을 제공하는 제2-1 튜브부 및 상기 제1 튜브부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제2-2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2-1 튜브부와 이격되는 제2-2 튜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2-1 튜브부와 상기 제2-2 튜브부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카테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튜브부에 의해 은닉되도록 상기 제1 튜브부와 상기 제2 튜브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발열부에 연결되어 상기 발열부로 소정의 전류를 전달하는 매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개부는,
    상기 발열부가 기준 길이의 상기 제1 튜브부에 연결되는 면적보다 상기 매개부가 기준 길이의 상기 제1 튜브부에 연결되는 면적이 더 작도록, 상기 제1 튜브부에 연결되는,
    카테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1 튜브부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배치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1 모체가 나선 모양으로 형태 변형되어 형성되고,
    상기 매개부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1 튜브부의 외면의 일부가 포위되게 제2 모체가 나선 모양으로 형태 변형되어 형성되는,
    카테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체는,
    상기 제2 모체와 일체로 형성된,
    카테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부와 상기 제2 튜브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튜브부를 지지하는 강성보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강성보완부는
    일단부가 상기 발열부에 연결되는 상기 매개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매개부가 기준 길이의 상기 제1 튜브부에 연결되는 면적보다 상기 강성보완부가 기준 길이의 상기 제1 튜브부에 연결되는 면적이 더 넓도록, 상기 제1 튜브부에 연결되는,
    카테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보완부는,
    편조 형태로 상기 제1 튜브부의 외면을 포위하는,
    카테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보완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강성직물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2 강성직물부가 편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강성직물부는,
    도전체로 이루어져 상기 매개부에 연결되는,
    카테터.
KR1020180130106A 2018-10-29 2018-10-29 마이크로 카테터 KR102177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106A KR102177484B1 (ko) 2018-10-29 2018-10-29 마이크로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106A KR102177484B1 (ko) 2018-10-29 2018-10-29 마이크로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240A KR20200048240A (ko) 2020-05-08
KR102177484B1 true KR102177484B1 (ko) 2020-11-11

Family

ID=7067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106A KR102177484B1 (ko) 2018-10-29 2018-10-29 마이크로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4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472A (ja) 2006-03-06 2007-09-20 Terumo Corp カテーテル
US20140058277A1 (en) 2011-03-09 2014-02-27 Nanyang Polytechnic Blood flow rate measurement system
US20180289925A1 (en) * 2017-04-10 2018-10-11 Syntheon Variflex, Llc Thermally Controlled Variable-Flexibility Cathete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150A (ja) * 1992-05-19 1994-03-08 Kobe Steel Ltd カテーテル用ガイドワイヤ及び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472A (ja) 2006-03-06 2007-09-20 Terumo Corp カテーテル
US20140058277A1 (en) 2011-03-09 2014-02-27 Nanyang Polytechnic Blood flow rate measurement system
US20180289925A1 (en) * 2017-04-10 2018-10-11 Syntheon Variflex, Llc Thermally Controlled Variable-Flexibility Cathete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240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9747B2 (ja) アブレーション器具
JP7003061B2 (ja) カテーテル感知および潅注
US10350006B2 (en) Prevention of kinks in catheter irrigation tubes
JP3635086B2 (ja) 放熱装置
CN108366820A (zh) 能量递送系统及其用途
CN109152599B (zh) 气囊导管
US7384407B2 (en) Small vessel ultrasound catheter
US6500149B2 (en) Apparatus for deployment of micro-coil using a catheter
CN104994799B (zh) 少量力的取栓装置
RU2761734C2 (ru) Отклоня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CN111629682A (zh) 定向聚焦的消融设备
US20180333192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heated ablation balloon
KR102177484B1 (ko) 마이크로 카테터
JP4740150B2 (ja) 医療用ワイヤ
US20150209107A1 (en) Cooled microwave denervation catheter configuration
US20210038303A1 (en) Microwave ablation probe
TW202203842A (zh) 氣球導管及氣球導管系統
EP3173120B1 (en) Balloon catheter
TW202203857A (zh) 氣球導管及氣球導管系統
US20220273359A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tumors using a treatment object and powering of the treatment object
JP7461606B2 (ja) 食道用送液カテーテル及び食道用送液カテーテル製造用中間部品
JP6905230B2 (ja) 塞栓術装置
JP5156893B2 (ja) 高周波治療器、高周波治療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の使用方法
CN118043002A (zh) 球囊导管及球囊导管系统
JP2021010456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およびその作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