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999A -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999A
KR20220141999A KR1020210048200A KR20210048200A KR20220141999A KR 20220141999 A KR20220141999 A KR 20220141999A KR 1020210048200 A KR1020210048200 A KR 1020210048200A KR 20210048200 A KR20210048200 A KR 20210048200A KR 20220141999 A KR20220141999 A KR 20220141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negative electrode
shaft
positive electrod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450B1 (ko
Inventor
심근섭
Original Assignee
심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근섭 filed Critical 심근섭
Priority to KR1020210048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450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1Catch- space electrodes, e.g. slotted-box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전극판을 분해하지 않으면서 음전극판의 손상이 없이 음전극판에 부착된 먼지를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는 다수개로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게 수평으로 배열되는 양전극판(10)과, 상기 양전극판(10)과 양전극판(10)의 사이에 하나씩 구비되는 다수개의 음전극판(20)과, 상기 양전극판(10)과 음전극판(20)의 중앙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양전극판(10)과 음전극판(20)이 장착되고 음극축(31)과 양극축(32)이 구비되는 연결축부(30)와, 상기 연결축부(30)의 일단에 연결되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상기 연결축부(30)를 회전시켜 상기 음전극판(20)을 청소하는 청소모터(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STRUCTURE OF DUST COLLECTING PART FOR ELECTRIC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전극판을 분해하지 않으면서 음전극판의 손상이 없이 음전극판에 부착된 먼지를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 방, 쇼핑몰, 공장, 사무실 등 밀폐된 공간에서 공기중에 발생하는 미세한 이물질, 습증기, 연기, 매연 등의 고농도 먼지는 사람들의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고농도 먼지는 밀폐된 공간에서 흡연, 고기 또는 생선 굽기와 같은 요리, 청소, 용접, 그라인딩, 내연기간 등을 할 때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고농도 먼지를 밀폐된 공간에서 제거하기 위해 전기 집진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집진기는 공기청정기나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 집진기의 일예를 도 9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집진기(100)는 대전부(110)와 대전부(110)의 하류에 설치되는 집진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대전부(110)는 방전 전극(111)과 대응 전극(113)으로 구성된다. 방전 전극(111)은 한 쌍의 대응 전극(113)의 중앙에 설치되는 와이어 전극으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텅스텐 와이어가 사용된다. 한 쌍의 대응 전극(113)은 방전 전극(111)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된다. 방전 전극(111)과 대응 전극(113) 사이에 수 kV, 예를 들면, 3 내지 7kV의 전압을 인가하면 방전 전극(111)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여 방전 전극(111)과 대응 전극(113) 사이에 반구 형태의 전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집진부(120)는 평판 형상의 복수의 양전극판(121)과 음전극판(122)이 일정 간격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양전극판(121)은 적층 필름의 표면에 카본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되며, 음전극판(122)은 알루미늄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진부(120)의 양전극판(121)과 음전극판(122) 사이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면, 양전극판(121)과 음전극판(122)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된다. 여기서, 양전극판(121)과 음전극판(122)은 두 전극의 전위차를 기준으로 전위가 높은 쪽(high level)을 양전극, 전위가 낮은 쪽(low level)을 음전극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전기장에 의해 상기 대전부(110)의 앞쪽에 설치된 팬(미도시)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가 대전부(110)를 통과하면 공기 중의 먼지는 양(+)극성을 갖도록 대전된다. 양 극성을 띠도록 대전된 먼지는 집진부(120)를 통과하는 동안 음전극판(122)에 부착되어 공기로부터 제거된다. 그에 따라 상기 집진부(120)에서는 먼지가 제거된 깨끗한 공기가 배출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전기 집진기의 집진부는 그 음전극판의 외면에 먼지가 부착되면서 적층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집진 효율이 떨어져 음전극판에 부착된 먼지를 청소하여 제거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음전극판에 부착된 먼지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음전극판과 양전극판을 모두 분해해서 개별적으로 청소해야 하여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밀한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양전극판과 음전극판을 분해 및 조립하고 이를 긁개 등으로 먼지를 긁어내어 제거하는 중에 음전극판이 쉽게 손상되어 그 수명이 현저히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2019-0055906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2019.05.2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전극판을 분해하지 않으면서 음전극판의 손상이 없이 음전극판에 부착된 먼지를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는,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고, 전압이 인가되어 양전극을 띠는 다수개의 양전극판과; 상기 양전극판과 양전극판의 사이에 구비되고, 전압이 인가되면 음전극을 띠면서 집진을 하는 다수개의 음전극판과; 수평으로 긴 축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양전극판과 음전극판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상기 양전극판과 음전극판에 장착되며, 상기 양전극판에 양극의 전압을 연결하면서 상기 음전극판에 음극의 전압을 연결하는 연결축부와; 상기 연결축부의 일단에 스핀들이 장착되고, 전기의 공급에 의해 상기 연결축부와 이에 장착된 상기 양전극판과 음전극판을 회전시켜 상기 음전극판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축부는, 상기 청소모터의 스핀들에 장착되고 수평으로 구비되며 상기 음전극판이 접촉되고 음극의 전압이 연결되는 음극축과, 상기 음극축과 이격되게 수평으로 구비되고 상기 양전극판이 접촉되며 양극의 전압이 연결되는 양극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의 상기 연결축부는, 상기 양극축과 음극축의 일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절연부싱과, 상기 양극축과 음극축의 타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절연부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극축은, 그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기가 접속될 수 있는 제1 접속링과, 상기 제1 접속링의 외측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과 연결되는 돌출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축은, 그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기가 접속될 수 있는 제2 접속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의 상기 제1 접속링은, 상기 양극축의 단부가 상기 제1 절연부싱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1 접속링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노출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링은, 상기 음극축의 단부가 상기 제2 절연부싱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접속링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노출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음극축은, 상기 제2 노출홈에 노출된 상기 음극축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제2 절연부싱을 가압하는 제1 가압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양극축은, 상기 제1 노출홈에 노출된 상기 양극축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절연부싱을 가압하는 제2 가압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의 상기 양전극판과 음전극판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전극판은, 상기 음극축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관통되도록 상기 양전극판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음전극판은, 상기 양극축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관통되도록 상기 음전극판에 형성되는 제2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의 상기 연결축부는,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측으로 상기 음극축에 끼워지고 상기 음전극판과 음전극판의 사이에 밀착되며 통전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1 통전링과, 상기 제2 관통공의 내측으로 상기 양극축에 끼워지고 상기 양전극판과 양전극판의 사이에 밀착되며 통전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2 통전링과, 상기 제1 통전링의 둘레로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측에 끼워지고 상기 음전극판과 음전극판의 사이에 밀착되며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절연링과, 상기 제2 통전링의 둘레로 상기 제2 관통공의 내측에 끼워지고 상기 양전극판과 양전극판의 사이에 밀착되며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절연링과, 상기 제1 절연링과 제2 절연링의 둘레로 상기 양전극판과 음전극판의 사이에 끼워지고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외측지지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음전극판을 분해하지 않으면서 음전극판의 손상이 없이 음전극판에 부착된 먼지를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음전극판의 유지 관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그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 구조의 양전극판을 조립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 구조의 음전극판을 조립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전기 집진기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는 다수개로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게 수평으로 배열되는 양전극판(10)과, 상기 양전극판(10)과 양전극판(10)의 사이에 하나씩 구비되는 다수개의 음전극판(20)과, 상기 양전극판(10)과 음전극판(20)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양전극판(10)과 음전극판(20)이 장착되고 음극축(31)과 양극축(32)이 구비되는 연결축부(30)와, 상기 연결축부(30)의 일단에 연결되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상기 연결축부(30)를 회전시켜 상기 음전극판(20)을 청소하는 청소모터(40)를 포함한다.
상기 양전극판(10)은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전압이 인가되어 양전극을 띠는 공지의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양전극판(10)은 회전시에 원심력이 균일하게 발생되도록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전극판(10)은 그 내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관통공(1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관통공(11)은 상기 음극축(31)이 이격된 상태로, 즉 통전되지 않도록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관통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음전극판(20)은 상기 양전극판(10)과 양전극판(10)의 사이에 하나씩 구비되는 것으로, 전압이 인가되면 음전극을 띠면서 집진을 하는 공지의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음전극판(20)은 회전시에 원심력이 균일하게 발생되도록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전극판(20)은 그 내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관통공(2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관통공(21)은 상기 양극축(32)이 이격된 상태로, 즉 통전되지 않도록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관통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축부(30)는 수평으로 긴 축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양전극판(10)과 음전극판(20)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상기 양전극판(10)과 음전극판(20)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양전극판(10)에 양극의 전압을 연결하면서 상기 음전극판(20)에 음극의 전압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청소모터(40)가 연결되어 상기 청소모터(4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축부(30)는 상기 청소모터(40)의 스핀들(41)에 장착되고 수평으로 구비되며 상기 음전극판(20)이 접촉되고 음극의 전압이 연결되는 음극축(31)과, 상기 음극축(31)과 이격되게 수평으로 구비되고 상기 양전극판(10)이 접촉되며 양극의 전압이 연결되는 양극축(32)과, 상기 양극축(32)과 음극축(31)의 일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절연부싱(33)과, 상기 양극축(32)과 음극축(31)의 타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절연부싱(34)을 포함한다.
상기 음극축(31)은 외부에서 음극의 전압이 연결되어 상기 음전극판(20)에 접촉되게 관통되면서 상기 음전극판(20) 전체로 음극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음극축(31)은 그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기가 접속될 수 있는 제1 접속링(311)과, 상기 제1 접속링(311)의 외측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41)과 연결되는 돌출연결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속링(311)은 전원접속용 브러시가 접촉되어 음극의 외부 전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접속링(311)은 그 내측에 형성되는 제1 노출홈(311a)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노출홈(311a)은 상기 양극축(32)의 단부가 상기 제1 절연부싱(33)의 외면에 노출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연결부(312)는 상기 청소모터(40)의 스핀들(41)과 연결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음극축(31)은 상기 제2 노출홈(321a)에 노출된 상기 음극축(31)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1 가압너트(3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너트(313)는 상기 음극축(31)을 상기 제2 절연부싱(34)의 외면에 고정하면서 상기 제2 절연부싱(34)을 가압하여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양극축(32)은 외부에서 양극의 전압이 연결되어 상기 양전극판(10)에 접촉되게 관통되면서 상기 양전극판(10) 전체로 양극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양극축(32)은 그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기가 접속될 수 있는 제2 접속링(321)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속링(321)은 전원접속용 브러시가 접촉되어 양극의 외부 전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접속링(321)은 그 내측에 형성되는 제2 노출홈(321a)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노출홈(321a)은 상기 음극축(31)의 단부가 상기 제2 절연부싱(34)의 외면에 노출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양극축(32)은 상기 제1 노출홈(311a)에 노출된 상기 양극축(32)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2 가압너트(3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압너트(322)는 상기 양극축(32)을 상기 제1 절연부싱(33)의 외면에 고정하면서 상기 제1 절연부싱(33)을 가압하여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절연부싱(33)과 제2 절연부싱(34)은 상기 음극축(31)과 양극축(32)의 양단이 절연되도록 하면서 상기 음극축(31)과 양극축(32)이 절연된 상태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축부(30)는 상기 제1 관통공(11)의 내측으로 상기 음극축(31)에 끼워지고 상기 음전극판(20)과 음전극판(20)의 사이에 밀착되며 통전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1 통전링(35)과, 상기 제2 관통공(21)의 내측으로 상기 양극축(32)에 끼워지고 상기 양전극판(10)과 양전극판(10)의 사이에 밀착되며 통전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2 통전링(36)과, 상기 제1 통전링(35)의 둘레로 상기 제1 관통공(11)의 내측에 끼워지고 상기 음전극판(20)과 음전극판(20)의 사이에 밀착되며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절연링(37)과, 상기 제2 통전링(36)의 둘레로 상기 제2 관통공(21)의 내측에 끼워지고 상기 양전극판(10)과 양전극판(10)의 사이에 밀착되며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절연링(38)과, 상기 제1 절연링(37)과 제2 절연링(38)의 둘레로 상기 양전극판(10)과 음전극판(20)의 사이에 끼워지고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외측지지링(39)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통전링(35)은 상기 제1 관통공(11)의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로 상기 음전극판(20)과 음전극판(20) 사이를 지지하면서 이들 사이를 통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통전링(36)은 상기 제2 관통공(21)의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로 상기 양전극판(10)과 양전극판(10) 사이를 지지하면서 이들 사이를 통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절연링(37)은 상기 양전극판(10)이 상기 음극축(31)에 닿아서 통전이 되지 않도록 절연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절연링(38)은 상기 음전극판(20)이 상기 양극축(32)에 닿아서 통전이 되지 않도록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측지지링(39)은 상기 양전극판(10)과 음전극판(20)의 사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양전극판(10)과 음전극판(20)의 사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연결축부(30)는 양단에 베이링(B)이 구비되어 하우징이나 케이스 등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청소모터(40)는 상기 연결축부(30)의 일단에 스핀들(41)이 장착되는 것으로, 전기의 공급에 의해 상기 연결축부(30)와 이에 장착된 상기 양전극판(10)과 음전극판(20)을 회전시켜 상기 음전극판(20)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양전극과 음전극은 편의상 표시한 것으로, 두 전극의 전위차를 기준으로 전위가 높은 쪽(high level)을 양전극, 전위가 낮은 쪽(low level)을 음전극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전위차에 따라 극성이 상호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양전극판
11 : 제1 관통공
20 : 음전극판
21 : 제2 관통공
30 : 연결축부
31 : 음극축
311 : 제1 접속링 311a : 제1 노출홈
312 : 돌출연결부 313 : 제1 가압너트
32 : 양극축
321 : 제2 접속링 321a : 제2 노출홈
322 : 제2 가압너트
33 : 제1 절연부싱 34 : 제2 절연부싱
35 : 제1 통전링 36 : 제2 통전링
37 : 제1 절연링 38 : 제2 절연링
39 : 외측지지링
40 : 청소모터
41 : 스핀들

Claims (5)

  1.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고, 전압이 인가되어 양전극을 띠는 다수개의 양전극판(10)과;
    상기 양전극판(10)과 양전극판(10)의 사이에 구비되고, 전압이 인가되면 음전극을 띠면서 집진을 하는 다수개의 음전극판(20)과;
    수평으로 긴 축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양전극판(10)과 음전극판(20)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상기 양전극판(10)과 음전극판(20)에 장착되며, 상기 양전극판(10)에 양극의 전압을 연결하면서 상기 음전극판(20)에 음극의 전압을 연결하는 연결축부(30)와;
    상기 연결축부(30)의 일단에 스핀들(41)이 장착되고, 전기의 공급에 의해 상기 연결축부(30)와 이에 장착된 상기 양전극판(10)과 음전극판(20)을 회전시켜 상기 음전극판(20)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모터(4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축부(30)는,
    상기 청소모터(40)의 스핀들(41)에 장착되고 수평으로 구비되며 상기 음전극판(20)이 접촉되고 음극의 전압이 연결되는 음극축(31)과,
    상기 음극축(31)과 이격되게 수평으로 구비되고 상기 양전극판(10)이 접촉되며 양극의 전압이 연결되는 양극축(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부(30)는,
    상기 양극축(32)과 음극축(31)의 일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절연부싱(33)과,
    상기 양극축(32)과 음극축(31)의 타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절연부싱(3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극축(31)은,
    그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기가 접속될 수 있는 제1 접속링(311)과,
    상기 제1 접속링(311)의 외측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41)과 연결되는 돌출연결부(312)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축(32)은,
    그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기가 접속될 수 있는 제2 접속링(3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링(311)은,
    상기 양극축(32)의 단부가 상기 제1 절연부싱(33)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1 접속링(311)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노출홈(311a)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링(321)은,
    상기 음극축(31)의 단부가 상기 제2 절연부싱(34)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접속링(321)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노출홈(321a)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음극축(31)은,
    상기 제2 노출홈(321a)에 노출된 상기 음극축(31)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제2 절연부싱(34)을 가압하는 제1 가압너트(3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양극축(32)은,
    상기 제1 노출홈(311a)에 노출된 상기 양극축(32)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절연부싱(33)을 가압하는 제2 가압너트(3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극판(10)과 음전극판(20)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전극판(10)은,
    상기 음극축(31)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관통되도록 상기 양전극판(10)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1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음전극판(20)은,
    상기 양극축(32)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관통되도록 상기 음전극판(20)에 형성되는 제2 관통공(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부(30)는,
    상기 제1 관통공(11)의 내측으로 상기 음극축(31)에 끼워지고 상기 음전극판(20)과 음전극판(20)의 사이에 밀착되며 통전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1 통전링(35)과,
    상기 제2 관통공(21)의 내측으로 상기 양극축(32)에 끼워지고 상기 양전극판(10)과 양전극판(10)의 사이에 밀착되며 통전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2 통전링(36)과,
    상기 제1 통전링(35)의 둘레로 상기 제1 관통공(11)의 내측에 끼워지고 상기 음전극판(20)과 음전극판(20)의 사이에 밀착되며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절연링(37)과,
    상기 제2 통전링(36)의 둘레로 상기 제2 관통공(21)의 내측에 끼워지고 상기 양전극판(10)과 양전극판(10)의 사이에 밀착되며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절연링(38)과,
    상기 제1 절연링(37)과 제2 절연링(38)의 둘레로 상기 양전극판(10)과 음전극판(20)의 사이에 끼워지고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외측지지링(3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
KR1020210048200A 2021-04-14 2021-04-14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 KR102512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200A KR102512450B1 (ko) 2021-04-14 2021-04-14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200A KR102512450B1 (ko) 2021-04-14 2021-04-14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999A true KR20220141999A (ko) 2022-10-21
KR102512450B1 KR102512450B1 (ko) 2023-03-20

Family

ID=8380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200A KR102512450B1 (ko) 2021-04-14 2021-04-14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4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7897A (en) * 1972-12-05 1975-04-15 Appliance Dev Corp Electric particle precipitator
US5084077A (en) * 1989-12-20 1992-01-28 Ltv Lufttechnik Gmbh Apparatus for gas purification
JPH0824710A (ja) * 1994-07-20 1996-01-30 Kinchu Cho 静電式電子集塵機
JPH08215605A (ja) * 1995-02-10 1996-08-27 Katsuo Ito 電気集塵機
KR20190055906A (ko) 2017-11-16 2019-05-2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7897A (en) * 1972-12-05 1975-04-15 Appliance Dev Corp Electric particle precipitator
US5084077A (en) * 1989-12-20 1992-01-28 Ltv Lufttechnik Gmbh Apparatus for gas purification
JPH0824710A (ja) * 1994-07-20 1996-01-30 Kinchu Cho 静電式電子集塵機
JPH08215605A (ja) * 1995-02-10 1996-08-27 Katsuo Ito 電気集塵機
KR20190055906A (ko) 2017-11-16 2019-05-2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450B1 (ko) 202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11284A (zh) 一种电气自动化除尘设备
KR101957095B1 (ko) 전기집진 기능을 갖는 소형 공기청정기
KR102535510B1 (ko)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
CN107588447A (zh) 旋转静电油烟废气净化器
JPH0622443Y2 (ja) 空気清浄器の集塵装置
KR20220141999A (ko)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
WO2006024220A1 (fr) Purificateur d'air demontable
JP3216699B2 (ja) 空気清浄装置
JP3585996B2 (ja) 電気集塵装置
EP0271457A2 (en) An electrostatic air cleaner particularly for kitchen forced suction hoods
CN218423398U (zh) 晕极齿除尘装置及带有该装置的除尘系统
KR20160078239A (ko) 링 커넥터 구조의 집진 셀 구조체 및 링 커넥터 구조의 집진 전극의 제조 방법
US3877897A (en) Electric particle precipitator
CN112170014A (zh) 一种介质阻挡放电的除尘消毒机
JP3178634U (ja) 空気清浄機
KR200312737Y1 (ko) 전기집진기용 조립식 셀
JP2582975B2 (ja) 集塵セル
CN115069416B (zh) 静电除尘装置及空气净化器
CN219040969U (zh) 电连接组件及空气消毒器
KR102521422B1 (ko)
JP7405545B2 (ja) 電気集塵装置及び空気清浄装置
CN111328296B (zh) 用于紧凑型空气清洁器的静电除尘器和使用该静电除尘器的紧凑型空气清洁器
CN211623767U (zh) 带净化功能的风扇
CN107774443B (zh) 静电除油烟装置
KR200178327Y1 (ko) 음이온 발생식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