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802A - 래싱 브릿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래싱 브릿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802A
KR20220139802A KR1020220041843A KR20220041843A KR20220139802A KR 20220139802 A KR20220139802 A KR 20220139802A KR 1020220041843 A KR1020220041843 A KR 1020220041843A KR 20220041843 A KR20220041843 A KR 20220041843A KR 20220139802 A KR20220139802 A KR 20220139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hing bridge
bridge frame
container
pillar
l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아
권성철
김진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3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8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래싱 브릿지 구조물은 서로 인접하는 컨테이너들 사이에 마련되고, 선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래싱 브릿지 프레임;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의 양단에서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라; 및 상기 필라 및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필라 및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 사이의 오픈된 영역을 커버하는 외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래싱 브릿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LASHING BRIDGE STRUCTURE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래싱 브릿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운반선과 같은 선박은 다수의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특화된 선박이다. 이러한 컨테이너 운반선에는, 일반적으로 사이즈에 따라 선미 또는 중앙부 가까이에 거주구(Deck House)가 설치되고, 거주구의 상단에는 네비게이션 데크(Navigation Deck)가 마련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데크에는 견시 및 측면 장애물 확인을 위하여 컨테이너 운반선의 양현쪽으로 돌출된 브리지 윙(Bridge Wing)이 설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 운반선의 갑판 아래에는 다수의 컨테이너를 수납하기 위한 화물창들이 마련되고, 갑판 상에는 다수의 컨테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래싱(Lashing)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갑판 상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들은 전방의 시야 화보를 위해 선수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은 높이로 적재될 수 있다.
컨테이너 운반선의 갑판 상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들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컨테이너들에 의해 수선 상부의 측면/정면 면적 증가하며, 이로 인해 컨테이너 운반선의 운항시 공기 저항이 증가하여 컨테이너 운반선의 추진 효율이 감소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컨테이너와 래싱 브릿지의 래싱 브릿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줄여 공기 저항이 감소될 수 있는 래싱 브릿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래싱 브릿지 구조물은 서로 인접하는 컨테이너들 사이에 마련되고, 선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래싱 브릿지 프레임;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의 양단에서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라; 및 상기 필라 및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필라 및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 사이의 오픈된 영역을 커버하는 외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의 양단에서, 상기 필라는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체의 갑판과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과 상기 필라를 지지하는 받침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은 고박 라인을 통하여 컨테이너에 연결되어 컨테이너를 고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은 상술한 래싱 브릿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래싱 브릿지 구조물은 컨테이너와 래싱 브릿지의 래싱 브릿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의 바람에 의한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 브릿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래싱 브릿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I-I' 라인에 따른 일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래싱 브릿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II-II' 라인에 따른 일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래싱 브릿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III-III' 라인에 따른 일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래싱 브릿지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박(1)은 선체(10), 선체(10)에 마련되는 선실(20), 및 엔진 케이싱(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선박(1)이 컨테이너 운반선인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선박(1)은 컨테이너 운반선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갑판(14) 상에 대형 화물을 선적할 수 있는 모든 선종을 포괄할 수 있다.
선체(10)는, 길이 방향으로 선수(11), 중앙부(12), 선미(13)로 나뉘며, 단면을 기준으로는 상면인 갑판(14), 하면인 선저판(17), 좌우면인 선측외판(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수(11)에는 구상선수(111)가 돌출될 수 있으며, 중앙부(12)의 갑판(14)에는 선실(20)이 탑재되고, 선미(13)의 갑판(14)에는 엔진 케이싱(30)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선체(10)에서 선수(11)와 중앙부(12) 및 선미(13)의 내부에는 컨테이너(C)가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인 인홀드(18)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만 선미(13)에는 선체(10)의 추진을 위한 엔진(132)이 마련되는 엔진룸(131)이 구비되므로, 선미(13)에는 엔진룸(131)을 제외한 부분에 인홀드(18)가 마련된다.
갑판(14)에는 인홀드(18)로 컨테이너(C)가 유입되도록 개방된 해치코밍(141)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해치코밍(141)의 상단에는 해치커버(142)가 덮일 수 있다. 해치커버(142) 위에는 컨테이너(C)가 상방으로 적재되는데, 해치커버(142) 위에서 컨테이너(C)가 적재되는 공간은 본 명세서에서 온데크(19)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해치커버(142)의 좌우측 끝단에 적재되는 컨테이너(C)는, 해치커버(142)와 함께 스툴(143)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스툴(143)은 선측외판(15)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 구조물로서, 온데크(19)에서 가장 좌현 및 우현에 마련되는 컨테이너(C)를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선수(11)의 갑판(14)에는 워터 브레이커(WB)(water break)가 마련되어, 갑판(14) 위로 들이치는 해수(=그린 워터, green water)가 컨테이너(C)를 타격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워터 브레이커(WB)는 선박(1)의 항해에 따른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경사진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선수(11) 갑판(14)의 둘레에는 불워크(146)(bulwark)가 마련되며, 불워크(146)에는 계류를 위한 무어링 라인(mooring line)(도시하지 않음)이 관통되는 초크(chock)(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갑판(14)에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의 래싱 브릿지 구조물(RB)이 마련된다. 래싱 브릿지 구조물(RB)은 온데크(19)에 높게 적재된 컨테이너(C)가 쓰러지지 않도록 고박하기 위한 구성으로, 온데크(19)의 상방에 적재된 컨테이너(C)는 별도의 고박라인을 통해 래싱 브릿지 구조물(RB)에 고정될 수 있다.
인홀드(18)도 마찬가지지만, 온데크(19)는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홀드로 분할될 수 있는데, 래싱 브릿지 구조물(RB)은 각 홀드마다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래싱 브릿지 구조물(RB)의 배치나 형태, 높이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갑판(14)과 선측외판(15) 및 선저판(17)으로 둘러싸이는 선체(10)의 내부에는 선측내판이 마련된다. 선측내판은 적어도 일부가 선측외판(15)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으로 선측외판(15)이 파손되더라도 해수가 인홀드(18)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체(10)의 내부에는 이중저판(182)이 마련되며, 이중저판(182)은 적어도 일부가 선저판(17)과 평행하게 마련되어 이중저를 구성해 하방에서의 충격에 대비할 수 있다.
이중저판(182)과 선저판(17)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중앙 부분에는 해수 등의 유체가 이동하는 파이프(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는 공간인 파이프덕트(184)가 마련될 수 있다.
선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인홀드(18)는 갑판(14), 선측외판(15), 선저판(17)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형성될 수 있는데, 정확하게는 갑판(14), 선측내판, 이중저판(182)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형성된다.
이 경우 선체(10)의 내부 공간 중 인홀드(18) 외측 공간은, 밸러스트 수를 저장하여 선체(10)의 흘수를 낮추는 밸러스트 탱크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밸러스트 탱크는 만재 상태에서는 비워져 있을 수 있다.
인홀드(18)의 좌우 하단에는 선측외판(15)의 하단과 선저판(17)의 좌우측이 곡면으로 연결되는 것을 고려하여, 계단 형태의 벤치가 마련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C)의 적재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인홀드(18)에는 셀 가이드(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컨테이너(C)가 인입될 때 컨테이너(C)의 적재 위치를 가이드해줄 수 있으며, 셀 가이드는 인홀드(18)에서 좌우 방향으로 컨테이너(C)가 적재되는 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셀 가이드는 상단이 좌우 방향으로 지그재그 모양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상단에는 컨테이너(C)의 인입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가면서 벌어지는 경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선실(20)은 선박의 가시 거리 확보를 위하여 선체(10)의 중앙부(12)에 마련될 수 있다. 선실(20)이 선체(10)의 중앙부(12)에 마련되면, 선실(20)과 엔진 케이싱(30) 사이에 컨테이너(C)를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선체(10)의 중앙부(12)의 선실(20)과 선미(13)의 엔진 케이싱(30)이 컨테이너(C)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구조는 2 island type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선실(20)은 선체의 선수(11) 또는 선미(13)에 마련될 수도 있다.
엔진 케이싱(30)은 선체(10)의 선미(13)에 탑재되며, 엔진 케이싱(30)은 엔진(132)에서 발생하는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 연돌(31)(funnel)이 마련될 수 있다. 엔진 케이싱(30)의 높이는 온데크(19)에 적재되는 최상단의 컨테이너(C)보다 높아야 한다.
하기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래싱 브릿지 구조물(RB)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싱 브릿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래싱 브릿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I-I' 라인에 따른 일부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래싱 브릿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II-II' 라인에 따른 일부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래싱 브릿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III-III' 라인에 따른 일부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래싱 브릿지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래싱 브릿지 구조물(RB)은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 받침 구조물(300), 필라(400) 및 외부 플레이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은 서로 인접하는 컨테이너들(C)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은 래싱 브릿지 구조물(RB)의 베이스를 이루며, 선체(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은 복수의 수평 래싱 브릿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과 복수의 수직 래싱 브릿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은 선체(10)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기둥(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은 와이어와 같은 고박 라인(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컨테이너(C)와 연결되어, 온데크(19) 상의 컨테이터(C)를 고박할 수 있다.
받침 구조물(300)은 갑판(14)과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받침 구조물(300)은 해치 코밍(141) 상에 마련되어,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과 필라(4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 구조물(300)은 그 일부가 선체(1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받침 구조물(300)은 적어도 2개로 마련되고, 선체(10)의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받침 구조물(300)이 2개로 마련된 경우, 받침 구조물(300)은 선체(10)의 폭 방향에서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의 양단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받침 구조물(300)이 3개 이상으로 마련된 경우,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의 양단과 함께 래싱 브릿지 프레임의 중간에도 받침 구조물(300)이 배치될 수 있다.
필라(400)는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라(400)는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의 양단에서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과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라(400)는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의 양단에서, 컨테이너(C)와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필라(400)와 컨테이너(C) 사이의 거리는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과 컨테이너(C)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외부 플레이트(500)는 일종의 플레이트로, 선체(1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부 플레이트(500)는 필라(400)와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외부 플레이트(500)는 필라(400)와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 사이의 오픈된 영역을 커버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래싱 브릿지 구조물(RB)과 컨테이너(C) 사이의 거리는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과 컨터이너(C)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외부 플레이트(500)에 의하여, 필라(400)와 컨테이너(C) 사이의 영역만이 노출되므로, 서로 인접하는 컨테이터들(C) 사이에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만이 마련되어 래싱 브릿지 프레임(200)과 컨테이너(C) 사이의 오픈된 공간이 넓은 경우에 비하여, 작은 영역만이 오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C)와 래싱 브릿지 구조물(RB)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컨테이너(C)와 래싱 브릿지 구조물(RB) 사이의 오픈된 공간이 감소하면, 측면풍에 의한 공기 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운반선과 같은 선박(1)의 운항시 공기 저항이 감소하면, 선박의 추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한 것이나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기술을 조합한 것을 새로운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선박
10: 선체
14: 갑판
20: 선실
30: 엔진 케이싱
C: 컨테이너
RB: 래싱 브릿지
200: 래싱 브릿지 프레임
300: 받침 구조물
400: 필라
500: 외부 플레이트

Claims (5)

  1. 서로 인접하는 컨테이너들 사이에 마련되고, 선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래싱 브릿지 프레임;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의 양단에서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라; 및
    상기 필라 및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필라 및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 사이의 오픈된 영역을 커버하는 외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래싱 브릿지 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의 양단에서, 상기 필라는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는 래싱 브릿지 구조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갑판과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과 상기 필라를 지지하는 받침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래싱 브릿지 구조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싱 브릿지 프레임은 고박 라인을 통하여 컨테이너에 연결되어 컨테이너를 고박하는 래싱 브릿지 구조물.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의 래싱 브릿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선박.
KR1020220041843A 2021-04-08 2022-04-04 래싱 브릿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1398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139 2021-04-08
KR20210046139 2021-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802A true KR20220139802A (ko) 2022-10-17

Family

ID=8380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843A KR20220139802A (ko) 2021-04-08 2022-04-04 래싱 브릿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98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7785B2 (en) Ship
CN111746725B (zh) 液化气体运输船
CN111098982A (zh) 一种大型集装箱船的绑扎桥结构
JP2010269690A (ja) コンテナ船における排ガス設備及びコンテナ船
KR102447030B1 (ko) 저속비대선형 컨테이너 운반선
JP7078229B2 (ja) 燃料供給船
JP2010184631A (ja) 船舶
KR20220139802A (ko) 래싱 브릿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90004791A (ko) 선박의 거주 구역 구조 및 화물 운반선
JP2018030467A (ja) バラ積み船
KR20130084447A (ko) 컨테이너선용 래싱브리지
KR102434966B1 (ko) 선박
JP2009190717A (ja) コンテナ船
CN212290215U (zh) 一种具有独立液舱的新型液化气船
WO2018099906A1 (en) Container ship with reinforced hull
KR102549721B1 (ko) 컨테이너 선박
JP2010163059A (ja) コンテナ船
JP2018138436A (ja) 船舶
KR20220125749A (ko) 선박용 공기 저항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WO2012091454A2 (ko) 수상운송장치
JP2002316688A (ja) 貨物船
JP2005219559A (ja) 貨物船
KR101031266B1 (ko) 밸러스트 시스템
WO2023199859A1 (ja) 船舶
JP5148834B2 (ja) オープンバルカー型貨物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