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746A - 떫은 맛이 저감되어 전반적인 관능이 향상된 유청분리단백질 및 전해질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조성물 - Google Patents

떫은 맛이 저감되어 전반적인 관능이 향상된 유청분리단백질 및 전해질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746A
KR20220139746A KR1020210046125A KR20210046125A KR20220139746A KR 20220139746 A KR20220139746 A KR 20220139746A KR 1020210046125 A KR1020210046125 A KR 1020210046125A KR 20210046125 A KR20210046125 A KR 20210046125A KR 20220139746 A KR20220139746 A KR 20220139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beverage
composition
concentrate
electrolyte
beverag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홍
김용빈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른손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른손라이프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른손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210046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9746A/ko
Publication of KR20220139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6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578Calc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Potass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1Magnes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14Sod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24Dairy protein
    • A23V2250/54252Whey prote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청분리단백질, 과일 농축액 및 효소처리스테비아를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및 기능성 음료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떫은 맛이 저감되어 전반적인 관능이 향상된 유청분리단백질 및 전해질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조성물{Functional beverage improved overall sensory and diminished bitter taste comprising whey protein isolate and electrolyte, and the functional beverage composition therefor}
본 발명은 기능성 음료 조성물, 및 기능성 음료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떫은 맛이 저감되어 전반적인 관능이 향상된 유청분리단백질 및 전해질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체내에는 전해질 형태로 체내를 구성하는 물질들이 존재하는데, 운동이나 활동을 통해 체내에서는 수분을 땀, 소변, 대변 등의 형태로 체외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몸에 필요한 전해질 등도 함께 배출된다.
또한, 운동이나 활동외에, 수면 중이나 일상 생활에서도 꾸준히 체내 수분이 소실되며, 한국인은 특히 물 섭취량이 적어 체내 수분이 부족하여 이에 대한 보충이 필요하다.
한편, 웰빙 열풍과 함께 단백질 보충을 위한 음료로써, 유청분리단백질 (whey protein isolate)을 포함하는 음료가 개발되고 있으나, 특유의 떫은 맛으로 인해 기호도가 극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단백질과 수분의 보충이 동시에 가능하면서, 떫은 맛을 없애고, 단맛 및 전반적이 관능을 향상시켜 기호도를 극대화하고, 수분 및 단백질의 동시 공급을 통해 근육량의 증가와 체내 수분량(체수분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체중 감량 및 비만 개선/치료/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기능성 음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0616133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단백질과 수분 보충이 충분히 가능하여 근육량의 증가와 체내 수분량(체수분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BMI/FFMI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을 뿐 아니라, 체중 감량 및 비만 개선/치료/예방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청분리단백질, 과일 농축액 및 효소처리스테비아를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료는, 단백질과 수분 보충이 충분히 가능하여 근육량의 증가와 체내 수분량(체수분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BMI/FFMI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료는, 떫은 맛을 없애고, 단맛 및 전반적이 관능을 향상시켜 기호도를 극대화하고, 더 나아가 체중 감량 및 비만 개선/치료/예방 측면에서도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실험예 1-2에 따른, 단맛, 떫은맛 및 전반적인 관능의 각각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실험예 1-3 및 1-4에 따른, BMI, FFMI 지수 테스트 각각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실험예 2-1에 따른, BMI, FFMI 지수 테스트 각각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실험예 2-2에 따른, 체중 및 체수분량 증감율 각각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유청분리단백질, 과일 농축액 및 효소처리스테비아를 포함하며, 전해질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유청분리단백질의 떫은 맛을 과일 농축액 및 효소처리스테비아, 전해질 등으로 개선시킴으로 관능을 극도로 향상되고, 수분 및 단백질의 동시 보충이 가능할 뿐 아니라, 비만의 개선,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땀, 소변 등을 통해 수분과 함께 체외로 배출되는 전해질을 효율적으로 보충가능할 뿐 아니라, 전해질 보충과 함께 체내에 유청분리단백질를 제공함으로서 근육량이 증가 및 체수분량 증가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및 기능성 음료는, 액체 성상은 물론, 이를 제조하기 위한 분말이나, 상기 액체 성상으로부터 건조된 분말제형이나 겔 제형 등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 기능성 음료 조성물 >
본 발명은, 음료 조성물, 구체적으로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유청분리단백질, 과일 농축액 및 효소처리스테비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유청분리단백질(whey protein isolate)은 우유로부터 분리된 일체의 단백질을 의미하며, 우유로부터 커드(curd)를 분리하고 남은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유로부터 커드(curd)를 분리하고 남은 수용액인 유청(whey)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청으로부터 분리된 단백질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청분리단백질은, 당업계에서 유청분리단백질로 인식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청분리단백질을 포함함에 따라 고품질의 단백질을 체내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더 나아가, 상기 유청분리단백질은 특유의 떫은 맛을 가지고 있어, 음료에 포함되는 경우 관능적 측면에서 매우 불리한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과일 농축액, 효소처리스테비아 및 전해질 중 1종 이상을 포함시킴에 따라 이러한 유청분리단백질은 떫은 맛을 없애고, 관능을 극대화 하는 한편, 체내 단백질 및 수분 공급을 효율화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과일은, 배 및 자몽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과일 농축액은, 배 농축액 및 자몽 농축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농축액은 상기 과일의 주성분이 포함되도록 공지의 방법으로 농축한 농축액 일체를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일에 대하여, 효소처리, 농축, 증발, 여과 및 저온살균 중 하나이상의 과정을 처리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배 농축액이 포함되는 경우, 총 조성물의 부피 100% 대비 0.5~1.5%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자몽 농축액이 포함되는 경우, 총 조성물의 부피 100% 대비 0.3~1%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과일 농축액은, 총 조성물의 부피 100% 대비 0.3~5%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당도가 많이 올라가 칼로라가 상승하게 되며, 당도 상승에 따른 관능이 저하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추가로 본 명세서의 목적인 BMI/FFMI/체수분량에 좋지 않은 결과를 미칠수 있는 바, 상기 범위가 관능 및 비만 개선 등의 효능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테비아는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의 명칭으로의 스테비아 또는 상기 식물 스테비아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감미료 화합물로의 스테비아일 수 있으며, 달리 지칭하지 않는 경우, 화합물로의 스테비아로써,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스테비올 글리코시드와 동일한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효소처리 스테비아는, 식물체 스테비아로부터 추출된 감미료 화합물인 스테비올 배당체에 대하여 효소를 처리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효소는 당전이효소(cyclodextrin glucosyl transferase) 등이 바람직한데, 이는 단백질의 떫은 맛 개선과 조성물의 전반적 관능, 천연 감미를 통한 건강한 단맛을 제공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효소 처리는 덱스트린과 함께 상기 효소를 배양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효소처리 스테비아는 총 조성물의 부피 100% 대비 0.001~ 5%, 바람직하게는 0.05~0.13%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전반적인 관능 밸런스를 고려한 함량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전해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해질은 칼슘, 칼륨, 마그네슘 및 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는 물질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화칼륨, L-글루탐산나트륨, 젖산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해질은, 총 조성물의 부피 100% 대비 0.001~ 3%, 바람직하게는 0.01~0.2%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질이 과량 첨가되는 경우, 조성물에 침전이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 외, 본 발명의 목적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포함 가능한 향신료, 감미료 등의 추가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에 대한 용제로써 물, 바람직하게는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물은, 본 발명의 필수 성분이나, 추가의 임의 성분을 포함한 성분들을 포함한 총 성분이 100 부피%가 되도록 잔량으로 포함되는 것 일 수 있다.
< 기능성 음료 >
본 발명은 상술한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는, 상술한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대한 일체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기능성 음료나 그 제조방법에 대한 공지의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는, 유청분리단백질, 염화칼륨, L-글루탐산나트륨, 젖산칼슘, 염화마그네슘, 배농축액, 자몽농축액, 효소처리스테비아, D-솔비톨, 효소처리루틴-엠, 레드파우더-엘씨, 자몽향 엠에프 및 파인애플향 엠에프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및 기능성 음료는, 체내에 수분 및 단백질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체내 수분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비만의 치료, 예방, 및/또는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기능성 음료 조성물 및 기능성 음료를 활용한 비만의 치료,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및 치료, 예방, 및/또는 개선 용도를 그 범위로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술하나, 본 발명이 하기 내용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분야에서 필요한 정도에 의해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함량은 부피 기준이며, 조성물의 잔부는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이다.
<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 제조 >
실시예 1: 과일농축액 및 효소처리스테비아를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
1) 배 농축액의 제조
실온 보관(1~35℃)한 배를 세척(수세) 후 분쇄하였다. 그 후, 벨트프레스를 활용하여 착즙 후 원심분리(5,000 rpm)하였다. 원심분리된 액을 50℃로 4시간 효소분해(당전이효소(cyclodextrin glucosyl transferase) 사용) 후 90℃로 10분 동안 효소처리(당전이효소(cyclodextrin glucosyl transferase) 사용) 를 하였다.
그 후, 수득된 액을 여과 후 70~75 Brix로 농축하였고 100℃에서 살균 후, 메시(200메시)를 통한 여과 후, 금속검출기를 활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이를 보관(냉동 -18℃ 이하)하였다가 사용하였다.
2) 자몽 농축액
본 발명의 자몽 농축액은, (주)코맥스인터내셔널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원과를 세척 후 추출하여, 이를 펙티나아제로 효소처리 (5~7℃, 15시간)하였다. 그 후, 이를 원심분리 후 사전농축 (74℃, 40초) 후 20℃로 식힌 후 필터링하였다. 그 후, 증발(88~90℃, 6분)시킨 후 저온살균(92℃, 40초)하고, 그 후 10℃로 냉각시켰다.
3) 효소처리 스테비아의 제조
스테비올 배당체(스테비아)와 덱스트린, 정제수를 계량하여 배양(당전이효소 (cyclodextrin glucosyl transferase)활용)하여 효소실활 후 여과(규조토)하였다. 그 후, 농축과정을 거쳐 재차 여과 후 분무건조(탈철)시켜 효소처리 스테비아를 제조하였다.
조성물의 총함량 100부피%를 기준으로, 상기에서 수득한 배 농축액 0.8%, 자몽 농축액 0.5%, 효소처리 스테비아  0.09% 및 유청분리단백질 3.6 %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청분리단백질은 Milk Specialties Company의 수용성 단백질 원료인 WPI 사용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성분 외에 나머지 성분은 정제수이다. (이하 동일)
실시예 2: 과일농축액, 효소처리스테비아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에, 하기 4종의 전해질을 각 0.01%씩 총 0.04%의 함량으로 포함시켜, 전해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염화칼륨 : 제조사 자체 개발 원료
- L-글루탐산나트륨 : (주)대상에서 구입
- 젖산칼슘 : (주)주피터 인터내셔널에서 구입
- 염화마그네슘 : (주)빅솔에서 구입
비교예 1-1: 설탕 및 과당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설탕은, CJ제일제당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처리를 통해 제조된 것이다.
원당입자를 세밀로 반죽, 원심분리 후 세당과 세밀로 분리하였으며, 상기 분리된 세당을 수용액으로 용해 후 당액내 소석회유와 혼합정제 CO2 가스를 포충시켜 만들어진 탄산칼슘 침전물이 분순물을 흡착하였다. 그 후 당액 여과 후 흡착된 불순물을 분리, 탈당 여과 후 폐 cake화하였다. 그 후, - 불순물 제거 과정을 거친 후 최종 정제 당액을 열교환 예비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된 순수 당액을 증발, 결정 형성 후 완성입자와 밀 분리 분리하고, 완성입자를 수분 제거, 건조 후 규격에 맞게 선별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설탕 2.86% 및 과당 2.86%를 각각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비교예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수크랄로스 및 아세설팜칼륨를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
수크랄로스 (sucralose)는 TECHNO(FUJIAN) FOOD에서 구입해서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랄로오스는 원료 물질을 아세틸화 공정을 통해 염소처리 후 탈아세틸화 작업 진행후, 분리, 농축, 정제 과정을 통해 제조된 것이다.
상기의 수크랄로스 1.5% 및 아세설팜칼륨 1.5%를 혼합하여 비교예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
상기 비교예 1-2의 조성물에, 하기 4종의 전해질을 각 0.01%씩 총 0.04% 의 함량으로 포함시켜, 전해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염화칼륨 : 제조사 자체 개발 원료
- L-글루탐산나트륨 : (주)대상에서 구입
 - 젖산칼슘 : (주)주피터 인터내셔널에서 구입
- 염화마그네슘 : (주)빅솔에서 구입
< 실험예 1: 과일농축액 및 스테비아 첨가에 따른 떫은 맛과 관능 개선 평가 >
과일농축액 및 스테비아 첨가에 따른 떫은 맛과 관능 개선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1과 비교예 1-2에 대하여, 각각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1-1 : 각 조성물의 열량 측정
각 조성물의 열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1-1 비교예1-2
열량 85 kcal 125 kcal 55 kcal
실험예 1-2 : 단맛, 떫은맛 및 전반적인 관능 평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약 30명의 관능평가 시험단을 구성하였다.
성별 연령 인원수
50세 이상 2
40~50세 미만 4
30~50세 미만 2
20~30세 미만 1
남성 소계 9
50세 이상 1
40~50세 미만 5
30~50세 미만 11
20~30세 미만 4
여성 소계 21
총 계 30
상기 시험단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1과 비교예 1-2의 각각의 조성물을 섭취 후 (1일 3회, 매 회 340 ml, 식사 후 30분 내 섭취, 식사 후 약 10~20분 정도의 간단한 운동을 병행하도록 함, 이하 섭취 방법 모두 동일), 단맛, 떫은맛 및 전반적인 관능의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5점 척도 관능평가 진행하여 그 평균 값을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1-1 비교예1-2
단맛 2.5 3.4 3.4
떫은맛 2.4 3.5 3.6
전반적 관능 4.0 3.4 3.3
상기 실험결과를 통해,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비교예 대비 떫은 맛이 적게 나타났으며, 전반적 관능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2의 경우, 단맛을 올려주나 떫은 맛 개선에 효과가 없어 전체적인 관능에서는 선호도가 떨어졌다. 따라서, 타 조성물보다 과일농축액과 효소처리 스테비아의 조성인 실시예 1이 떫은 맛 개선과 전반적인 관능 개선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3 : BMI 지수 측정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약 30명의 BMI, FFMI 지수 테스트 시험단을 구성하였다.
성별 연령 샘플군 비교A 비교B 총 계
50세 이상 1 1 0 2
40~50세 미만 2 2 2 6
30~50세 미만 2 1 1 4
20~30세 미만 0 2 1 3
남성 소계 5 6 4 15
50세 이상 1 1 1 3
40~50세 미만 1 1 1 3
30~50세 미만 2 1 3 6
20~30세 미만 1 1 1 3
여성 소계 5 4 6 15
총 계 10 10 10 30
상기 시험단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1과 비교예 1-2의 각각의 조성물을 4주간 매 끼 1병씩 섭취 후 관련 인바디 체수분량 측정 결과의 변화를 정리하였다.
비만 정도를 알아보는 지표인 BMI(Body Mass Index = 체질량지수)를 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 식 1 >
Figure pat00001
BMI 지수에 따른 비만 정도의 분류는 다음과 같으며, BMI지수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판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실험결과는 표 6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1-1 비교예1-2
체중증감량 평균 -1.2% 0.8% -0.4%
BMI증감량 평균 -1.2% 0.8% -0.4%
FFMI증감량 평균 0.5% -0.9% 0.2%
실험결과,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전반적으로 체중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BMI 지수 역시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 1-1의 조성물은 전반적으로 체중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BMI 지수 역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1-2의 조성물은 전반적으로 체중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BMI 지수 역시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감소 폭이 미미 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조성물이 체중의 감소를 보이며 비만도 지수인 BMI가 하락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반면 비교예의 조성물은 설탕/과당 배합은 열량이 높아 체중을 증가시켜 비만도를 높이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4 : FFMI 지수 측정
상기 실험예 1-3의 평가단에 대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1과 비교예 1-2의 각각의 조성물을 4주간 매 끼 1병씩 섭취 후 관련 인바디 체수분량 측정 결과의 변화를 정리하였다.
BMI지수를 보완한 FFMI지수를 식 2 및 식 3에 따라 계산하였다.
< 식 2 >
Figure pat00003
< 식 3 >
근육량(kg) = 체중(kg) - (체중(kg) X 지방량)
남성 FFMI의 기준은 하기 표 7과 같으며, 여성 FFMI의 기준은 하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실험결과는 표 6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전반적으로 체지방량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FFMI 지수 역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1의 조성물은 전반적으로 제지방량이 감소하나, FFMI 지수는 감소하였으며, 비교예 1-2의 조성물은 전반적으로 제지방량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FFMI 지수 역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비교예의 조성 대비 비만도를 올리지 않고 근육량을 개선하여 FFMI 수치 개선에 도움을 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전해질 첨가에 따른 떫은 맛과 관능 개선 평가>
과일농축액 및 스테비아 첨가에 따른 떫은 맛과 관능 개선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2 및 비교예 2에 대하여, 각각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2-1 : 단맛, 떫은맛 및 전반적인 관능 평가
실험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맛, 떫은맛 및 전반적인 관능 평가를 수행하여, 표 9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2 실시예 1 비교예2 비교예 1-2
단맛 2.6 3.1 3.1 3.2
떫은맛 2.4 3.4 2.8 4.0
전반적 관능 4.1 3.5 3.6 3.1
상기 실험결과, 전해질을 포함한 조성이 전해질을 포함하지 않은 조성 대비 떫은 맛의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전해질이 포함된 조성에서도 과일농축액 및 스테비아가 포함된 천연감미로 조성한 조성물이 수크랄로스, 아세셀펌칼륨 등이 합성감미로 조성한 조성물 대비 떫은 맛의 정도와 전반적인 관능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전해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천연감미의 조성이 떫은 맛을 잡는데 상승효과를 나타내며 전반적 관능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험예 2-2 : 체수분량 측정
하기 기준으로 약 40명의 시험단을 구성하였다.
성별 연령 샘플군 비교A 비교B 비교C 총 계
50세 이상 1 0 0 1 2
40~50세 미만 1 1 1 1 4
30~50세 미만 2 3 2 2 9
20~30세 미만 1 1 1 1 4
남성 소계 5 5 4 5 19
50세 이상 1 1 0 0 2
40~50세 미만 0 1 1 1 3
30~50세 미만 3 2 3 2 10
20~30세 미만 1 1 2 2 6
여성 소계 5 5 6 5 21
총 계 10 10 10 10 40
상기 시험단에 대하여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2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을 4주간 매 끼 1병씩 섭취 후, 체수분량 증감율을 측정하여 표 11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2 실시예 1 비교예2 비교예 1-2
체중증감량 평균 -0.5% -0.7% -0.6% -0.4%
체수분량증감량 평균 0.4% -0.5% 0.2% -0.6%
실험 결과, 실시예 2의 조성물 섭취 시, 전반적으로 체수분량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실시예 1의 조성물 섭취 시 역시 전반적으로 체수분량이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교예2의 조성물 섭취 군에서는, 전반적으로 체수분량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전해질이 조성된 조성물 섭취군에서 체중이 감소함에도 체수분량이 증가 또는 유지되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실시예의 조성물의 경우, 섭취시 체중이 감소되지만, 지방감소와 근육량 증가를 통해 근육이 보유하는 수분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땀, 소변 등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과 함께 전해질이 배출되는데 전해질을 배합하여 이를 보충함으로서 수분의 보충과 함께 전해질 역시 보충할 수 있는 조성을 구성하였다. 체수분량의 증가를 위해서는 비만도를 낮추고 근육량을 늘려야 증가하는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해질 보충과 함께 WPI를 제공함으로서 근육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체수분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 가능하다.
< 제조예: 기능성 음료의 제조>
하기와 같은 조성으로,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재료명 배합비율 (%)
(MSC) 배농축액 SP-7435 0.8000
자몽농축액(이스라엘, 클리어) 0.5000
유청분리단백(미국) 3.6000
(MSC) 효소처리스테비아(알에이#6339) 0.0900
하비스커스농축액(중국) 0.1000
함수구연산 0.0500
비타민B복합물 0.0110
D-솔비톨(액상) 3.5000
소포제 0.0012
정제소금(99%) 0.0100
타우린 0.0800
비타민C 0.0010
염화칼륨 0.0100
L-글루탐산나트륨 0.0100
젖산칼륨 0.0100
염화마그네슘 0.0100
(MSC)효소처리루틴-엠#5596 0.0020
(MSC)레트파우더-엘씨 #5139 0.0150
(MSC)자몽향 엠에프-140069 0.0800
(MSC)파인애플향 엠에프-090767 0.0200
정제수 91.0998
100

Claims (7)

  1. 유청분리단백질, 과일 농축액 및 효소처리스테비아를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칼슘, 칼륨, 마그네슘 및 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질을 더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과일 농축액은 배 농축액 및 자몽 농축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기능성 음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분 및 단백질을 동시에 공급하기 위한 것인, 기능성 음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비만을 개선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것인, 기능성 음료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유청분리단백질, 염화칼륨, L-글루탐산나트륨, 젖산칼슘, 염화마그네슘, 배농축액, 자몽농축액, 효소처리스테비아, D-솔비톨, 효소처리루틴-엠, 레드파우더-엘씨, 자몽향 엠에프 및 파인애플향 엠에프를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KR1020210046125A 2021-04-08 2021-04-08 떫은 맛이 저감되어 전반적인 관능이 향상된 유청분리단백질 및 전해질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조성물 KR202201397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125A KR20220139746A (ko) 2021-04-08 2021-04-08 떫은 맛이 저감되어 전반적인 관능이 향상된 유청분리단백질 및 전해질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125A KR20220139746A (ko) 2021-04-08 2021-04-08 떫은 맛이 저감되어 전반적인 관능이 향상된 유청분리단백질 및 전해질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746A true KR20220139746A (ko) 2022-10-17

Family

ID=8380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125A KR20220139746A (ko) 2021-04-08 2021-04-08 떫은 맛이 저감되어 전반적인 관능이 향상된 유청분리단백질 및 전해질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974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133B1 (ko) 2002-11-15 2006-08-28 주식회사 그린바이오텍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133B1 (ko) 2002-11-15 2006-08-28 주식회사 그린바이오텍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4772B1 (en) Sweet beverages and sweetening compositions
US7402328B2 (en) Stable sodium-free or low-sodium aqueous solution of agreeable saltiness taste
BR112012014660B1 (pt) Bebida isotônicas e reidratantes e método para sua produção
EP2760296A2 (en) Nutrition beverages
KR101811122B1 (ko) 떫은맛이 저감된 아로니아원액과 l-아르기닌을 주원료로하는 젤리 또는 음료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4605438B (zh) 一种健脾和胃的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EP2923583A1 (en) Nutrition beverages
EP3541201B1 (en) Taste improvement for stevia sweetened beverages with miracle fruit
WO2010131591A1 (ja) ポリアミンを含有する飲食品の製造方法
JP2006191924A (ja) 精製緑茶抽出物の製造方法
JP2011177110A (ja) コーヒー飲料
KR20220139746A (ko) 떫은 맛이 저감되어 전반적인 관능이 향상된 유청분리단백질 및 전해질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조성물
JP2001346556A (ja) 果実酸を含有する飲料
KR100692519B1 (ko) 냉온음료용 과립 홍삼 생맥산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120083B (zh) 一种白果香橼露及其制备方法
CN113498838B (zh) 一种蜜炼陈皮柑汁膏及其制备方法
KR101700942B1 (ko) 스포츠 음료 조성물
KR101806020B1 (ko) 스피룰리나 함유 건강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495050A (zh) 一种蜂蜜饮料
CN108157718A (zh) 一种蜂蜜饮料
CN108740023B (zh) 一种含有姜汁的乳蛋白饮品及其制备方法
JP2002253163A (ja) 豆乳製品
CN112868804A (zh) 一种成人奶粉的制备方法
CN107865276B (zh) 运动饮料及其制备方法
EP1699302B1 (en) Calcium-fortified protein-based beverage containing calcium (lactate) gluconate ci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