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133B1 -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133B1
KR100616133B1 KR1020020070961A KR20020070961A KR100616133B1 KR 100616133 B1 KR100616133 B1 KR 100616133B1 KR 1020020070961 A KR1020020070961 A KR 1020020070961A KR 20020070961 A KR20020070961 A KR 20020070961A KR 100616133 B1 KR100616133 B1 KR 100616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icrocapsules
protein
prepare
protein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2987A (ko
Inventor
박지용
조영희
심현규
이재호
최기현
최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20070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133B1/ko
Publication of KR2004004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23D9/04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22Emulsifier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 산화에 불안정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유지 예를 들어 O/W/O 다중유화한 어유를 단백질계 피복물질과 트란스글루타미나제 (transglutaminase) 효소를 이용한 겔화반응에 의해 미세캡슐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유지함유 미세캡슐은 식품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단백질계 피복물질 내에 포집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산화안정성이 확보되어 장기저장이 가능하고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소화기관에서의 조절방출에 의해 영양원의 체내 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of Microcapsule Comprising Oil and Fat}
도 1은 트란스글루타미나제 효소 처리 후, 각 단백질 용액의 점도 변화에 대한 그래프.
도 2는 단백질계 피복물질에 따른 수중유적(O/W)형 유화액의 유화안정성 대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지함유 미세캡슐의 제조공정도.
도 4는 유화제에 따른 O/W/O형 다중유화액의 안정성에 대한 그래프.
도 5는 온도에 따른 미세캡슐의 수용성 변화에 대한 그래프.
도 6a는 실시예 4로부터 제조된 미세캡슐의 형태를 관찰한 SEM 사진.
도 6b는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미세캡슐의 형태를 관찰한 SEM 사진.
도 7은 유지함유 미세캡슐의 산화안정성에 대한 그래프.
도 8은 펩신(pH 2.2)에서 유지함유 미세캡슐로부터 유지의 조절방출에 대한 그래프.
본 발명은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 산화에 불안정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유지, 예를 들어 O/W/O 다중유화한 어유를 단백질계 피복물질과 트란스글루타미나제 (transglutaminase) 효소를 이용한 겔화반응에 의해 미세캡슐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고도불포화지방산이 여러 가지 생리작용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그 영양학적, 의학적 가치가 밝혀지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도코사헥산 (docosahexaenoic acid : 이하 "DHA"라 약칭함) 및 이코사펜타엔산 (eicosapentanoic acid : 이하 "EPA"라 약칭함)과 같은 불포화지방산은 뇌세포의 구성성분으로서 출생시부터 초기 아동기 동안에 두뇌발달을 촉진하여 발달과 기억, 학습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성장 촉진, 신경계의 눈의 반사능 향상 및 암 예방 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탁월한 기능을 갖고 있는 DHA 및 EPA를 함유한 유지를 기능성식품 및 의약품에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유아용 분유, 된장, 참치통조림 등의 제품에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EPA 함량이 높은 어유의 정제농축물이 건강보조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DHA 및 EPA를 다량으로 함유한 어유나 식물성유는 산소나 광선에 불안정하여 저장 중 쉽게 산화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냄새를 발생시키며 그 자체의 독특한 비린내가 문제가 되어 이에 대한 개선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즉, 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유화제 첨가 및 당류에 혼합하여 분말화하는 방법 등이 검토되고, 비린내 제거를 위해 탈취기술의 개발 및 마스킹제에 의한 방법 등 이 연구되고 있으나, 이들 문제를 모두 해결하기 위해 유지를 미세캡슐화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유지의 미세캡슐화에 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안(Ahn) 등은 어유에 레시틴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DHA 및 EPA의 산화안정성을 향상시켰으나, 어유의 관능적 특성을 개선하지 못하였다 (한국식품과학회지, 1991, 23(5): 578-581).
또한 마루야마 (Maruyama) 등 (일본 특개소 63-023736)은 젤라틴과 아라비아 검을 피복물질로 하고, 코아세르베이션 (coacervation) 방법을 이용하여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어유를 캡슐화하여 식품과 의약품에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칸도르 (Kandor) 등 (일본 특개평 02-103289)은 장용성 피복물질인 에틸 셀룰로오스 (ethyl cellulos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멜리테이트 (cellulose acetate trimellitate)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cellulose acetate phthalate)를 이용하여 무미, 무취의 어유함유 미세캡슐을 제조하였다.
또한, 장(Chang)과 하(Ha)는 (한국식품과학회지, 2000, 32(3): 646-653) 한천과 옥수수전분 (waxy corn starch)을 이용하여 고도 정제된 어유를 캡슐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장(Chang)과 임(Lim) (한국 공개특허 제2000-0026177호)은 알긴산나트륨과 키토산을 이용하여 생체적합성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하고 있는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유지의 미세캡슐화공정에서는 주로 탄수화물 소재의 피복물질이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피복물질 자체의 영양학적, 생리학적 기능성을 고려하여 단백질을 피복물질로 사용하여 미세캡슐화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의 단백질을 이용한 캡슐화 방법은 열변성과 유해한 가교제 (cross-linking agent)를 이용하는 겔화방법 등인데, 이들 방법은 열에 약한 유지에 적합하지 않으며 식품에 이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새로운 캡슐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백질계 피복물질을 사용하여 미세캡슐화를 하는 경우 발생하는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지를 단백질계 피복물질과 트란스글루타미나제 효소를 이용한 겔화반응으로 미세캡슐화하여 유지함유 미세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증류수에 단백질계 피복물질을 녹여 단백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단백질 용액에 트란스글루타미나제 효소를 첨가하여 효소가 첨가된 단백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결과물과 유지를 혼합하여 수중유적형 (O/W형) 유화액을 제조하고, 옥배유에 유화제를 녹여 외부연속상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외부연속상에 상기 수중유적형 유화액을 첨가하여 O/W/O형 다중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다중유화액을 항온수조에서 겔화반응시켜 미세캡슐이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f) 상기 결과물을 여과하여 미세캡슐을 추출하는 단계;
(g) 상기 결과물을 세척하는 단계; 및
(h) 상기 결과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 단백질계 피복물질이 분리대두단백질 (isolated soy protein), 유청분리단백질 (whey protein isolate), 케이신 (casein) 또는 밀단백질 (soluble wheat protein)이고, 상기 유지가 어유, 식물성유, 중쇄지방산 또는 지용성 영양성분이고, 상기 단백질계 피복물질의 함량이 단백질 용액에 대하여 4 내지 14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0중량%이고, 상기 (e) 단계의 겔화반응은 37℃의 온도하에서 4 내지 20시간동안, 바람직하게는 4시간동안 이루어지며, 상기 (g) 단계의 세척은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유지함유 미세캡슐을 제조하기 위하여 증류수에 단백질계 피복물질을 녹여 단백질 용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단백질 용액에 트란스글루타미나제 효소를 첨가하여 효소가 첨가된 단백질 용액을 제조한다.
이때 단백질계 피복물질로는 분리대두단백질, 유청분리단백질, 케이신 또는 밀단백질을 사용하고, 제조된 단백질 용액에서 단백질계 피복물질의 함량은 4 내지 14중량%, 바람직하게는 10중량%가 되도록 한다.
또한 효소는 정제된 분말상의 트란스글루타미나제 효소를 0.5M 트리스-아세트산 완충용액 (tris-acetic acid buffer, pH 7.0)에 용해하여 액상으로 변환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트란스글루타미나제 효소를 이용한 유지함유 미세캡슐을 제조하기에 앞서 캡슐에 보다 바람직한 피복물질과 겔형성에 적합한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단백질 용액과 효소를 이용하여 단백질 겔을 제조한다.
이는 상기 단백질계 피복물질을 포함하는 단백질 용액에 액상의 트란스글루타미나제 효소를 첨가한 다음, 항온수조에서 일정온도를 유지하며 정치함으로써 단백질 용액의 점성 및 탄성이 증가하고, 일정시간 이상 정치하였을 때 단백질 겔이 얻어지는 것으로부터 겔형성에 가장 적합한 온도 및 단백질계 피복물질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겔화 온도에 따른 겔 형성 여부를 관찰하였을 때 37℃에서 겔 형성이 가장 용이함을 확인할 수 있고, 분리대두단백질이 피복물질로서 가장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상기 결과물과 유지를 혼합하여 수중유적형 유화액을 제조하고, 옥배유에 유화제를 녹여 외부연속상을 제조한다.
상기 유지로는 DHA 또는 EPA 등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어유, 식물성유, 중쇄지방산 또는 지용성 영양성분을 사용하고, 유지의 저장성을 높이고 이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유지를 핵 물질 (core material)인 분산상으로 사용하여, 상기 결과물인 트란스글루타미나제 효소가 첨가된 단백질 용액에 분산시켜 수중유적형 유화액을 제조한다. 이는 유상인 유지를 수상인 단백질 용액에 서서히 적하시키면서 균질기로 10분간 균질화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단백질 용액은 그 자체로도 유화액을 안정화시키는 기능성을 가지고 있 기 때문에 별도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비교적 안정한 유화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옥배유에는 유화제를 1 내지 3중량% 첨가하여 외부연속상을 제조한다.
다음, 상기 외부연속상에 상기 수중유적형 유화액을 첨가하여 다중유화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다중유화액을 항온수조에서 겔화반응시켜 미세캡슐이 생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한 방법과 같이 수중유적형 유화액을 제조한 후에 이를 캡슐화하기 위한 단계로 먼저 다중유화액을 제조한다. 이는 상기 수중유적형 유화액을 옥배유에 적하시키며 균질기로 10분간 균질화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다중유화액을 37℃ 항온수조에서 4시간 동안 정치하면서 단백질의 겔화를 유도하여 미세캡슐을 제조한다.
그런 다음, 상기 결과물을 여과하여 미세캡슐을 추출한 후, 세척 및 건조과정을 거쳐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를 마무리한다. 이는 여과를 통해 미세캡슐과 옥배유를 분리한 다음, 분리된 미세캡슐의 표면에 남아 있는 옥배유를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세척한 후, 동결건조하는 것이다. 이때 알코올은 젖은 상태의 겔을 좀더 단단한 형태의 겔로 고정화시키며 겔 외부에 남아있는 잔여 옥배유를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단백질 용액 및 효소 제조
분리대두단백질, 케이신, 유청분리단백질 및 밀단백질을 각각 증류수에 용해 하여, 각각의 단백질에 대하여 5중량% 및 10중량%의 단백질 용액 즉, 모두 8가지의 단백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효소는 정제된 분말상의 Streptoverticillium mobaraense 유래 트란스글루타미나제 효소 (Ajinomoto, Japan) 4mg을 1mL의 0.5M 트리스-아세트산 완충용액 (pH 7.0)에 용해하여 액상으로 변환하였다.
실시예 2 : 캡슐에 적합한 단백질계 피복물질과 겔형성에 적합한 단백질의 농도 선택(1)
캡슐에 적합한 단백질계 피복물질과 겔형성에 적합한 단백질의 농도를 선택하기 위하여, 단백질 겔을 제조하였다. 먼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각의 5중량% 단백질 용액 200mL에 액상의 트란스글루타미나제 5mL를 첨가 (4×103unit/g)한 후, 균질기로 100rpm의 저속에서 10분간 혼합한 후, 37℃ 항온수조에서 정치하면서 각 단백질 용액의 점성 증가정도를 관찰하였다. 또한, 어유를 분산상으로 하여 수중유적형 유화액을 제조한 후 유화안정성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3 : 캡슐에 적합한 단백질계 피복물질과 겔형성에 적합한 단백질의 농도 선택(2)
캡슐에 적합한 단백질계 피복물질과 겔형성에 적합한 단백질의 농도를 선택하기 위하여, 먼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각의 10중량% 단백질 용액 200mL에 액상의 트란스글루타미나제 5mL를 첨가 (4×103unit/g)한 후, 균질기로 100rpm의 저속에서 10분간 혼합한 후, 37℃ 항온수조에서 정치하면서 각 단백질 용액의 점성증가 정도를 관찰하였다. 또한, 어유를 분산상으로 하여 수중유적형 유화액을 제조한 후 유화안정성을 관찰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및 실시예 3으로부터 관찰되는 결과를 보면, 점성증가 정도의 경우 분리대두단백질 용액에서 점성의 증가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밀단백질 용액과 유청분리단백질 용액은 처리 60분까지도 점성의 변화가 없었다. 케이신 용액에서는 처리 30분 후, 점성의 증가가 60cp 정도까지 증가하였으나, 이후 큰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다 (도 1 참조).
또한 유화안정성의 경우 분리대두단백질, 케이신, 유청분리단백질, 밀단백질의 순으로 유화안정성이 우수하였다 (도 2 참조).
상기의 결과로부터 분리대두단백질이 트란스글루타미나제 효소를 이용한 미세캡슐 제조에 가장 적합한 피복물질이고, 겔형성에 적합한 단백질 용액의 농도는 10중량%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 본 발명에 따른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
먼저, 첨부된 도 3에 따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10중량% 분리대두단백질 용액 200mL에 액상의 트란스글루타미나제 5mL를 첨가 (4×103unit/g)한 후, 균질기로 100rpm의 저속에서 10분간 혼합하여 효소가 첨가된 단백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 상기 결과물과 40중량% DHA를 포함하고 있는 어유를 1 : 2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균질기를 이용하여 9,500rpm에서 10분간 균질화하여 수중유적형 유화 액을 제조하였다.
다음, HLB 값이 다른 3종류의 유화제 Span 80, Span 60 및 PGPR을 준비하고, 유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것 보다는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유화안정성이 증가한다는 보고에 따라 Span 80/PGPR 혼합물(Span 80 : PGPR = 1 : 1, 중량비), Span 60/ PGPR 혼합물(Span 60 : PGPR = 1 : 1, 중량비)을 준비하여, 이들을 각각 옥배유에 2.5중량% 첨가하여 외부연속상을 제조한 다음, 수중유적형 유화액과 각각의 외부연속상이 1 : 4의 중량비로 혼합되도록 상기 수중유적형 유화액을 외부연속상에 서서히 적하시키면서 균질기를 이용하여 9,500rpm에서 10분간 균질화하여 다중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다중유화액의 유화안정성은 유화제의 혼합사용시 매우 우수하였으며, 단독 사용의 경우는 Span 80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안정한 다중유화액이 제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4 참조).
그런 다음, 상기 다중유화액을 37℃ 항온수조에서 4시간동안 정치하면서 단백질의 겔화를 유도하여 미세캡슐을 생성시킨 다음, 제조된 미세캡슐을 여과를 통해 옥배유와 분리하고 캡슐의 표면에 남아 있는 옥배유는 에탄올로 세척한 후, 동결건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세캡슐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캡슐의 수율면에서 유화제의 혼합사용시와 PGPR 단독 사용시에 캡슐이 전혀 생성되지 않았으며, Span 80을 사용시 79.6±3.4g/450mL로 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Span 60은 이보다 낮은 52.8±4.25g/450mL의 수율을 보였다.
비교예 : 열변성을 이용한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
먼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10중량% 분리대두단백질 용액 200mL와 40중량% DHA를 포함하고 있는 어유를 1 : 2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균질기를 이용하여 9,500rpm에서 10분간 균질화하여 수중유적형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다음, 유화제 Span 80을 옥배유에 2.5중량% 첨가하여 외부연속상을 제조한 다음, 수중유적형 유화액과 외부연속상이 1 : 4의 중량비로 혼합되도록 상기 수중유적형 유화액을 외부연속상에 서서히 적하시키면서 균질기를 이용하여 9,500rpm에서 10분간 균질화하여 다중유화액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다중유화액의 온도를 85℃로 올려서 40분동안 가열하면서 분리대두단백질의 열변성을 유도하여 미세캡슐을 생성시킨 다음, 제조된 미세캡슐을 여과를 통해 옥배유와 분리하고 캡슐의 표면에 남아 있는 옥배유는 에탄올로 세척한 후, 동결건조하여 미세캡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제조된 미세캡슐의 물리적 특성 측정
제조된 미세캡슐의 저장안정성 및 캡슐 내부물질의 조절방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미세캡슐의 형태, 크기 및 수용성등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 4로부터 제조된 미세캡슐이 23.4±2.27㎛이고, 비교예에서 제조된 미세캡슐이 24.6±2.18㎛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온도에 따른 미세캡슐의 수용성을 비교한 결과, 실시예 4로부터 제조된 미세캡슐은 매우 낮은 수용성을 보였으며, 물의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고, 반면에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미세캡슐은 매우 높은 수용성을 보였으며, 물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 라 수용성이 증가하였다 (도 5 참조).
아울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미세캡슐의 형태는 2가지 모두 구형을 이루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차이점을 보면 실시예 4로부터 제조된 미세캡슐은 표면이 매끄럽고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는 안정한 형태를 보인 반면 (도 6a 참조),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미세캡슐은 표면이 매우 거칠고, 수분제거시 형성된 미세한 구멍이 표면 곳곳에서 발견되었다 (도 6b 참조).
실시예 6 : 제조된 미세캡슐의 산화안정성 측정
제조된 미세캡슐의 산화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ρ-anisidine 시약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미세캡슐과 캡슐을 하지 않은 유지를 50℃에서 16일동안 보관하면서 이틀간격으로 ρ-anisidine값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ρ-anisidine 시약은 알데하이드와 같은 산화물질과 반응하여 노란색을 띄는 것으로, ρ-anisidine값의 증가는 산화물질 함량의 증가를 나타낸다.
그 결과, 캡슐을 하지 않은 유지에서는 ρ-anisidine값이 저장 2일째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저장기간 동안 계속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미세캡슐은 모두 저장기간 동안 ρ-anisidine값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도 7 참조).
실시예 7 : 제조된 미세캡슐의 조절방출 측정
상기 실시예 5에서 측정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미세캡슐은 수용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저장안정성은 높으나, 캡슐의 외벽이 깨지지 않으면 캡슐 내부에 포집된 영양원의 체내 이용률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조된 미세캡슐의 체내 이용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액의 상태에서 상기 실시예 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미세캡슐의 내부로부터 유지의 방출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실시예 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미세캡슐 10g을 펩신용액(pH 2.2) 20mL에 첨가한 후 37℃ 항온기에서 4시간동안 정치하였다. 다음, 처리한 시료를 30분 간격으로 꺼내서 캡슐에서 방출된 유지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에서 제조된 미세캡슐에서는 2시간까지 유지가 급격히 방출되었으나,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미세캡슐에서는 처리시간동안 서서히 유지가 방출되는 양상을 보였다 (도 8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단백질계 피복물질과 트란스글루타미나제 효소를 이용한 겔화반응에 의해 제조된 유지함유 미세캡슐은 식품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단백질계 피복물질 내에 포집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산화안정성이 확보되어 장기저장이 가능하고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소화기관에서의 조절방출에 의해 영양원의 체내 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8)

  1. (a) 증류수에 분리대두단백질(isolated soy protein)을 녹여 단백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a) 단계의 단백질 용액에 트란스글루타미나제 (transglutaminase) 효소를 첨가하여 효소가 첨가된 단백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b) 단계의 결과물과 어유, 식물성유, 중쇄지방산 및 지용성 영양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유지를 혼합하여 수중유적형 (O/W형) 유화액을 제조하고, 옥배유에 유화제를 녹여 외부연속상을 제조하는 단계;
    (d) (c) 단계의 외부연속상에 (c) 단계의 수중유적형 유화액을 첨가하여 O/W/O형 다중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e) (d) 단계의 다중유화액을 항온수조에서 겔화반응시켜 미세캡슐이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f) (e) 단계의 결과물을 여과하여 미세캡슐을 추출하는 단계;
    (g) (f) 단계의 결과물을 세척하는 단계; 및
    (h) (g) 단계의 결과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두단백질의 함량은 (a) 단계의 단백질 용액에 대하여 4 내지 14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두단백질의 함량은 (a) 단계의 단백질 용액에 대하여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겔화반응은 37℃의 온도하에서 4 내지 20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겔화반응은 37℃의 온도하에서 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의 세척은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
KR1020020070961A 2002-11-15 2002-11-15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 KR100616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961A KR100616133B1 (ko) 2002-11-15 2002-11-15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961A KR100616133B1 (ko) 2002-11-15 2002-11-15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987A KR20040042987A (ko) 2004-05-22
KR100616133B1 true KR100616133B1 (ko) 2006-08-28

Family

ID=37339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961A KR100616133B1 (ko) 2002-11-15 2002-11-15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1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746A (ko) 2021-04-08 2022-10-17 주식회사 바른손라이프사이언스 떫은 맛이 저감되어 전반적인 관능이 향상된 유청분리단백질 및 전해질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810B1 (ko) * 2005-07-29 2007-04-17 서울향료(주) 난황, 난백 및 대두단백을 이용한 마이크로캡슐 및 그의제조방법
KR101275896B1 (ko) * 2012-02-07 2013-06-1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화 혼합물의 겔상물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겔상물
KR102269129B1 (ko) * 2019-07-12 2021-06-2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리유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15088843B (zh) * 2022-06-30 2024-01-30 广州御天宏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用于减肥饮料的油脂微囊粉及其制备方法、减肥饮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858A (ko) * 1994-09-01 1996-04-20 조광현 미세캡슐화된 dna를 첨가한 dha우유의 제조방법
KR20010049964A (ko) * 1999-08-05 2001-06-15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지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비들렛의 제조 방법
US6325951B1 (en) * 1997-01-31 2001-12-04 Givaudan Roure Flavors Corporation Enzymatically protein-encapsulating oil particles by complex coacervation
WO2002089764A2 (en) * 2001-05-10 2002-11-14 Croda International Plc Gelatin substitu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858A (ko) * 1994-09-01 1996-04-20 조광현 미세캡슐화된 dna를 첨가한 dha우유의 제조방법
US6325951B1 (en) * 1997-01-31 2001-12-04 Givaudan Roure Flavors Corporation Enzymatically protein-encapsulating oil particles by complex coacervation
KR20010049964A (ko) * 1999-08-05 2001-06-15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지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비들렛의 제조 방법
WO2002089764A2 (en) * 2001-05-10 2002-11-14 Croda International Plc Gelatin substitut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 method [the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 technology" vol.31" no.5" 1262-1267" 1999" ***] gelling the rapeseed protein quality in which gelation is difficult using the transglutaminase.<UNREGNOUN>현은희 겔형성이 어려운 유채단백질을 트랜스글루타미나제를 이용하여 겔화하는 방법[한국식품과학회지, Vol.31, No.5, 1262-1267, 1999, 현은희]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746A (ko) 2021-04-08 2022-10-17 주식회사 바른손라이프사이언스 떫은 맛이 저감되어 전반적인 관능이 향상된 유청분리단백질 및 전해질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987A (ko) 200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4905B1 (en) Microcapsules including pea protein
JP5896954B2 (ja) カプセル化されたマイクロカプセルの集塊およびその製造
US5013569A (en) Infant formula
JP2006506410A (ja) 複数の殻を有する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それらの調製方法
AU2003303023B2 (en) Complex coacervate encapsulate comprising lipophilic core
JPH07508417A (ja) マイクロカプセル封入油又は脂肪製品
JP2005522313A5 (ko)
JP2006510359A6 (ja) 親油性コアを含む複合コアセルベートカプセル
US8460727B2 (en) Chia-based fatty acids food product, rich in omega-3, with good stability
KR100616133B1 (ko) 유지함유 미세캡슐 제조방법
Cittadini et al. Encapsulation techniques to increase lipid stability
JPH0424979B2 (ko)
JPH0732872B2 (ja) 高度不飽和脂肪酸油脂類封入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法
Homroy et al. Role of encapsulation on the bioavailability of omega‐3 fatty acids
KR101634320B1 (ko)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KR100708810B1 (ko) 난황, 난백 및 대두단백을 이용한 마이크로캡슐 및 그의제조방법
JPS6115733A (ja)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KR101526689B1 (ko) 바이오폴리머 마이크로캡슐 및 그 제조방법
Nejatian et al. Improving the storage and oxidative stability of essential fatty acids by different encapsulation methods; a review
Asha et al. Microencapsulation of Fish Nutrients for High Value Product Development
KR20220084121A (ko) 영양학적 및 약학적 조성물의 단백질 캡슐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