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320B1 -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320B1
KR101634320B1 KR1020150147309A KR20150147309A KR101634320B1 KR 101634320 B1 KR101634320 B1 KR 101634320B1 KR 1020150147309 A KR1020150147309 A KR 1020150147309A KR 20150147309 A KR20150147309 A KR 20150147309A KR 101634320 B1 KR101634320 B1 KR 101634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re
fine powder
prepare
beverage
omeg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선
이향만
Original Assignee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주)산엔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주)산엔들 filed Critical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7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1/0035
    • A23L1/300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68Docosahexaenoic ac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임계 반용매 및 마이크로 코어를 이용하여 저장 안전성 및 생체이용률이 향상된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식물성 오메가-3 함유 미세분말은 들기름을 고정한 마이크로 코어를 초임계 반용매 상에서 고속교반하여 미립자화한 후 경화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오메가-3 함유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은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를 제조하는 제 1단계; 들기름을 포함하는 유화액에 상기 제 1단계의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를 침지하여 고정화된 마이크로 코어를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고정화된 마이크로 코어에 알지네이트 용액과 탄산나트륨을 투입한 후, 가교하여 혼화용액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의 혼화용액을 초임계 반용매 상에서 고속교반하여 미립자화하여 겔입자를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의 겔입자를 경화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미세분말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상기 미세분말을 물과 희석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rink using Functional powder containing vegetable omega-3}
본 발명은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임계 반용매 및 마이크로 코어를 이용하여 저장 안전성 및 생체이용률이 향상된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들깨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일년생 초본 식물로서, 여러 가지 유용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의약작물, 유지작물 및 잎채소로 사용되고 있다. 즉, 들깨의 종실에는 오메가-3 계열의 지방산인 알파-리놀렌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두뇌활동 및 고혈압, 알레르기성 질환 등의 성인병을 일으키는 에이코사노이드 합성을 억제하고, 학습능력 향상 및 수명 연장 효과 등의 생체 조절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종실자체는 통깨로서 들깨차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있고, 종실로부터 추출한 오일은 식용이나 약제 첨가용, 공업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오메가-3 지방산이란 주로 등푸른 생선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불포화 지방산으로 EPA, DHA, 리놀렌산(linolenic acid) 등이 여기에 속한다. 오메가-3 지방산은 체내에서는 합성되지 않아 음식물로부터 섭취해야만 한다. DHA는 뇌세포의 주성분으로 뇌 세포막 지질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는 뇌세포활동에 반드시 필요한 정보전달 에너지대사 및 단백질 합성, 기억, 학습능력을 도와주며 뇌장애를 예방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혈소판응집을 억제하고 혈액응고 시간을 연장하여 혈전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뇌졸증, 심장병, 동맥경화, 고혈압 등 순환기계 질병의 예방에 효과적이다. 또한 DHA는 모두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수치를 낮춰주어 혈전을 방지하고 혈관을 튼튼하게 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고혈압, 동맥경화 등 심혈관 질환을 예방해 준다고 보고되고 있다. 오메가-3는 또한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low-density lipoproteins)의 수치를 낮추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high-density lipoproteins)의 수치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오메가-3 지방산의 경우, 공기중 산소에 의해 쉽게 산화되어 산패 및 역취를 발생 시키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어 종래에는 주로 캡슐화하여 투약하는 제형이 일반적이며 제품형태 또한 매우 한정적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위해 고안된 것이 분말 형태의 제품군들인데 대다수 지지체에 오메가-3 유지들을 미세하게 부착 또는 고정화 시켜 놓은 것이며 이들 또한 상온 방치시 지지체 표면으로 유지들이 방출 되며 결국 공기중의 산소에 의한 산화가 쉽게 일어나 산패 및 역취를 발생 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 식물성 오메가-3 유지인 알파 리놀렌산의 경우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콜레스테릴 에스터에 에스테르 결합 상태로 존재하며 인지질에는 소량만이 에스테르 결합을 하고 있어 식물성 식이 지방 섭취시 체내흡수율 및 생체 이용률이 낮은 실정이며 현재까지 이를 개선한 제품 형태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15-002051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오메가-3 함유 식물성 식이지방의 제형 다양성 및 저장 안정성 향상 그리고 체내흡수율 및 생체 이용률의 증대를 제공할 수 있는 초임계 반용매 및 마이크로 코어를 이용한 식물성 오메가-3 함유 서방성 미세분말 및 이를 이용한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는 음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식물성 오메가-3 함유 미세분말은 들기름을 고정한 마이크로 코어를 초임계 반용매 상에서 고속교반하여 미립자화한 후 경화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오메가-3 함유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은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를 제조하는 제 1단계; 들기름을 포함하는 유화액에 상기 제 1단계의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를 침지하여 고정화된 마이크로 코어를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고정화된 마이크로 코어에 알지네이트 용액과 탄산나트륨을 투입한 후, 가교하여 혼화용액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의 혼화용액을 초임계 반용매 상에서 고속교반하여 미립자화하여 겔입자를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의 겔입자를 경화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미세분말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상기 미세분말을 물과 희석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식물성 오메가-3 함유 미세분말은 식물성 오메가-3함유 식이지방의 제형 다양성 제공(유화분말 원료 사용으로써 수중 분상형 에멀젼, 가용화된 드링크 등)하며, 유지 산화방지에 의한 저장 안정성 향상, 생체 친화형 유화제를 이용한 체내흡수율 및 생체 이용률 증대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식물성 오메가-3 함유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는 가루 형상을 손쉽게 희석하여 음용할 수 있으므로, 간편한 방법으로 오메가-3를 섭취할 수 있어 오메가-3의 섭취 가능성을 늘리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물성 오메가-3 함유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는 상기 제시된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 1단계(S10)에서는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를 제조한다.
상기 제 1단계(S10)의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 제조방법은 제 1-1단계 ~ 제 1-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1단계는 정제수에 알지네이트를 첨가 교반하여 알지네이트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정제수 99ml에 1g 알지네이트를 첨가 교반하여 1% 알지네이트 용액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 1-2단계는 상기 제 1-1단계의 알지네이트 용액을 발효주정에 서서히 첨가하며, 고속교반하여 알긴산 결정입자를 제조한 다음 건조한다. 구체적로, 95% 발효주정 1L에 서서히 첨가하며 6000rpm에서 고속교반하여 알긴산 결정입자들을 제조한 후, 여과하여 결정화된 입자들을 40℃ 저온에서 건조한다.
다음으로, 제 1-3단계는 상기 건조한 알긴산 결정입자를 수산화나트륨 포화수용액에 침지시켜 팽윤한 후, 여과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한 알긴산 입자를 NaOH 포화수용액에 침지 시켜 하루동안 팽윤 시킨후 여과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4단계는 상기 제 1-3단계의 여과한 알긴산 결정입자를 구연산 수용액으로 충분히 세척한 다음, 재건조하여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0.1N 구연산 수용액으로 충분히 세척 후 40℃ 저온에서 재건조하여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 2단계(S20)에서는 상기 제 1단계의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에 식물성 오메가-3 함유 식이지방을 고정화하여 고정화된 마이크로 코어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단계(S20)의 고정화된 마이크로 코어 제조방법은 제 2-1단계 ~ 제 2-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1단계에서는 식물성 오메가-3를 함유한 식이지방인 들기름에 레시틴을 배합하고, 정제수를 첨가 교반하여 유화액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식물성 오메가-3 함유 식이지방인 들기름 9g에 레시틴 1g을 배합하고 여기에 정제수 10ml를 첨가 교반하여 유화액 20g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2단계에서는 상기 제 2-1단계의 유화액에 상기 제 1단계의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를 침지한 후, 가열한 다음 냉각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화액에 상기 제조된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를 침지해 60℃까지 가열한 후 자연 냉각 시키는 방식의 열유도상분리법으로 고정화한다.
다음으로 제 3단계(S30)에서는 상기 제 2단계의 고정화된 마이크로 코어에 알지네이트 용액과 탄산나트륨을 투입한 후, 가교하여 혼화용액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단계의 고정화된 마이크로 코어에 알지네이트 용액 10g을 탄산나트륨과 가교시켜 제조한 마이크로 코어-로딩 알지네이트 겔로 이루어진 혼화용액을 제조한다.
이때 용액의 점성을 300 내지 500cp(centipois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화용액의 점성이 300cp 미만이거나 500cp 초과일 경우 하기 진행될 겔입자 형성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4단계(S40)에서는 상기 제 3단계의 혼화용액을 초임계 반용매 상에서 고속교반하여 미립자화하여 겔입자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4단계(S40)의 겔입자 제조방법은 제 4-1단계 ~ 제 4-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4-1단계에서는 상기 제 3단계의 혼화용액을 32℃, 100bar 조건의 초임계 반용매 상에서 고속 교반하여 미립자상으로 분산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된 마이크로 코어-로딩 알지네이트 겔 혼화용액을 32℃, 100 내지 150bar 압력의 초임계 반용매 상에서 고속 교반하여 미립자상으로 분산 시키며 30분간 유지한다.
상기 압력은 반용매 조성비에서 이산화탄소 내 에탄올 함량이 20% 이상을 유지하며 혼화하기 위해서는 임계온도 이상에서 100bar 이상의 압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100 내지 150bar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임계 반용매는 이산화탄소 및 발효주정을 사용하며 조성비는 80:20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 4-2단계에서는 상기 제 4-1단계의 미립자상을 수거한 다음 여과하여, 습윤상태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분산 후 분리단에서 이산화탄소를 자연 해리시킨 다음 압력을 해제하고, 에탄올상의 마이크로 코어-로딩 알지네이트 겔 미립자를 수거한 후 여과하여 미립자를 회수하며, 습윤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제 5단계(S50)에서는 상기 제 4단계의 겔입자를 경화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미세분말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5단계(S50)의 미세분말 제조방법은 제 5-1단계 ~ 제 5-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5-1단계에서는 상기 제 4단계의 겔입자를 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상에 침지시켜 경화한 후 여과한다. 구체적으로, 미립자화가 완료된 마이크로 코어-로딩 알지네이트 겔 입자들을 과량의 탄산나트륨 포화수용액상에 침지시켜 10분간 경화 시킨후 여과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5-2단계에서는 상기 제 5-1단계의 여과한 겔입자를 구연산 수용액으로 충분히 세척한 후 동결건조하여 미세분말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한 겔입자를 0.1N 구연산 수용액으로 충분히 세척 후 동결건조 시켜 식물성 오메가-3 함유 식이지방의 마이크로 코어-로딩 알지네이트 미립자 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제 1단계(S10) 내지 제 5단계(S50)를 통하여, 즉, 들기름을 고정한 마이크로 코어를 초임계 반용매 상에서 고속교반하여 미립자화한 후 경화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 식물성 오메가-3 함유 미세분말이 제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6단계(S60)에서는 상기 식물성 오메가-3 함유 미세분말을 물과 희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6단계(S60)에서는 상기 제 5단계(S50)의 미세분말을 물에 희석하여 음용 가능한 음료로 제조한다.
상기 미세분말을 혼합하는 용매인 물은 탄산수, 이온음료 등 섭취하고자 하는 사람의 기호에 맞게 다양하게 설계변경 가능하다.
상기 미세분말과 물의 희석시 비율은 미세분말 1중량부에 대하여 물 3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이 3중량부 미만으로 희석될 경우 음료의 점성이 높아 음용에 불편함이 있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1회 음용 시 충분한 오메가-3 섭취가 어려워, 오메가-3의 섭취 효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를 제조하는 제 1단계
S20. 상기 제 1단계의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에 식물성 오메가-3 함유 식이지방을 고정화하여 고정화된 마이크로 코어를 제조하는 제 2단계
S30. 상기 제 2단계의 고정화된 마이크로 코어에 알지네이트 용액과 탄산나트륨을 투입한 후, 가교하여 혼화용액을 제조하는 제 3단계
S40. 상기 제 3단계의 혼화용액을 초임계 반용매 상에서 고속교반하여 미립자화하여 겔입자를 제조하는 제 4단계
S50. 상기 제 4단계의 겔입자를 경화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미세분말을 제조하는 제 5단계
S60. 상기 미세분말을 물과 희석하는 제 6단계

Claims (8)

  1. 삭제
  2.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를 제조하는 제 1단계;
    들기름을 포함하는 유화액에 상기 제 1단계의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를 침지하여 고정화된 마이크로 코어를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고정화된 마이크로 코어에 알지네이트 용액과 탄산나트륨을 투입한 후, 가교하여 혼화용액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의 혼화용액을 초임계 반용매 상에서 고속교반하여 미립자화하여 겔입자를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의 겔입자를 경화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미세분말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상기 미세분말을 물과 희석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의 제조는,
    정제수에 알지네이트를 첨가 교반하여 알지네이트 용액을 제조하는 제 1-1단계;
    상기 제 1-1단계의 알지네이트 용액을 발효주정에 서서히 첨가하며, 고속교반하여 알긴산 결정입자를 제조한 다음 건조하는 제 1-2단계;
    상기 제 1-2단계의 건조한 알긴산 결정입자를 수산화나트륨 포화수용액에 침지시켜 팽윤한 후, 여과하는 제 1-3단계;
    상기 제 1-3단계의 여과한 알긴산 결정입자를 구연산 수용액으로 충분히 세척한 다음, 재건조하여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를 제조하는 제 1-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고정화된 마이크로 코어의 제조는,
    식물성 오메가-3함유 식이지방인 들기름에 레시틴을 배합하고, 정제수를 첨가 교반하여 유화액을 제조하는 제 2-1단계;
    상기 2-1단계의 유화액에 상기 제 1단계의 다공성 마이크로 코어를 침지한 후, 가열한 다음 냉각시키는 제 2-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혼화용액은,
    상기 제 2단계의 고정화된 마이크로 코어에 알지네이트 용액 10g을 탄산나트륨과 가교시켜 제조한 마이크로 코어-로딩 알지네이트 겔로 이루어진 혼화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의 겔입자 제조는,
    상기 제 3단계의 혼화용액을 32℃, 100bar 조건의 초임계 반용매 상에서 고속 교반하여 미립자상으로 분산시키는 제 4-1단계;
    상기 제 4-1단계의 미립자상을 수거한 다음 여과하여, 습윤상태를 유지하는 제 4-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의 미세분말 제조는,
    상기 제 4단계의 겔입자를 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상에 침지시켜 경화한 후 여과하는 제 5-1단계;
    상기 제 5-1단계의 여과한 겔입자를 구연산 수용액으로 충분히 세척한 후 동결건조 시키는 제 5-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에서 미세분말과 물의 희석 비율은 미세분말 1중량부에 대하여 물 3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KR1020150147309A 2015-10-22 2015-10-22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KR101634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309A KR101634320B1 (ko) 2015-10-22 2015-10-22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309A KR101634320B1 (ko) 2015-10-22 2015-10-22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320B1 true KR101634320B1 (ko) 2016-06-28

Family

ID=5636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309A KR101634320B1 (ko) 2015-10-22 2015-10-22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3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8489A (zh) * 2018-04-17 2018-09-28 东北林业大学 一种超临界反溶剂制备山里红叶提取物超细微粉的方法
KR20190062780A (ko) 2017-11-29 2019-06-07 농업회사법인 에파솔 주식회사 들깨 유래 α-리놀렌산을 함유한 고기능성 청량음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4011A (ja) * 1996-03-01 2002-02-05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ンザス 近臨界および超臨界非溶媒を用いる粒子析出と被覆方法と装置
JP2002541320A (ja) * 1999-04-02 2002-12-03 サントル・ナショナル・ドゥ・ラ・ルシェルシュ・シャンティフィク 粒子をコーティングするための方法
KR20140057057A (ko) * 2012-11-02 2014-0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Cu-MOF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선택적 CO2 흡착체 및 불균일 에스터 교환 반응 촉매
KR20150020513A (ko) 2013-08-13 2015-02-26 (주)다인내추럴 지용성 물질의 미세캡슐화 방법 및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물질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4011A (ja) * 1996-03-01 2002-02-05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ンザス 近臨界および超臨界非溶媒を用いる粒子析出と被覆方法と装置
JP2002541320A (ja) * 1999-04-02 2002-12-03 サントル・ナショナル・ドゥ・ラ・ルシェルシュ・シャンティフィク 粒子をコーティングするための方法
KR20140057057A (ko) * 2012-11-02 2014-0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Cu-MOF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선택적 CO2 흡착체 및 불균일 에스터 교환 반응 촉매
KR20150020513A (ko) 2013-08-13 2015-02-26 (주)다인내추럴 지용성 물질의 미세캡슐화 방법 및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물질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780A (ko) 2017-11-29 2019-06-07 농업회사법인 에파솔 주식회사 들깨 유래 α-리놀렌산을 함유한 고기능성 청량음료
CN108578489A (zh) * 2018-04-17 2018-09-28 东北林业大学 一种超临界反溶剂制备山里红叶提取物超细微粉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50684B (zh) 一种富含不饱和脂肪酸的油凝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Geranpour et al. Recent advances in the spray drying encapsulation of essential fatty acids and functional oils
AU2020373489B2 (en) Microcapsule,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Gallardo et al. Microencapsulation of linseed oil by spray drying for functional food application
CN102525923B (zh) 类胡萝卜素乳液及微胶囊的制备方法
Kouamé et al. Novel trends and opportunities for microencapsulation of flaxseed oil in foods: A review
CN104544092A (zh) 一种亚麻籽油微囊粉及其制备工艺
KR100758664B1 (ko) 불포화지방산 함유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이 방법에의해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CN105010574A (zh) 一种新型亚麻籽油/葡萄籽油/山茶油微胶囊粉末及其制备方法
CN105707266B (zh) 竹笋膳食纤维奶冻及其制备方法
CN1899052A (zh) 调节血脂奶粉的制备方法
CN103534343A (zh) 油体的提取及用途
Pattnaik et al. Amelioration of the stability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bioactive enriched vegetable oil: blending, encapsulation, and its application
KR101634320B1 (ko)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CN111328882A (zh) 一种仿人乳脂肪球结构乳液及其制备方法
CN106858601A (zh) 表没食子儿茶素没食子酸酯卵清蛋白共价物稳定化鱼油制剂及制备方法
Lai et al. Influence of wall materials and homogenization pressure on microencapsulation of rice bran oil
Perța-Crișan et al. Food-grade oleogels: Trends in analysis, characterization, and applicability
Homroy et al. Role of encapsulation on the bioavailability of omega‐3 fatty acids
Akhtar et al. Soy protein isolate–maltodextrin–pectin microcapsules of himalayan walnut oil: Complex coacervation under variable pH systems and characterization
Liu et al. Natural egg yolk emulsion as wall material to encapsulate DHA by two-stage homogenization: Emulsion stability, rheology analysis and powder properties
CN113826712A (zh) 一种甜杏仁油微胶囊粉末油脂及其制备方法
KR101943086B1 (ko)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된 탈지대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산 함유 음료의 유화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유화 조성물
KR101634314B1 (ko) 식물성 오메가-3 함유 기능성 미세분말 제조방법
JPWO2017170505A1 (ja) 高耐熱性付与用乳化安定剤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