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113A - 마찰 힌지 - Google Patents

마찰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7113A
KR20220137113A KR1020227031360A KR20227031360A KR20220137113A KR 20220137113 A KR20220137113 A KR 20220137113A KR 1020227031360 A KR1020227031360 A KR 1020227031360A KR 20227031360 A KR20227031360 A KR 20227031360A KR 20220137113 A KR20220137113 A KR 20220137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hole
locking pin
symmetry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1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페 비르크 코포에드
헨리크 린드버그
라스 보이바드
토마스 마크
한스 보예-닐센
Original Assignee
린드버그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드버그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린드버그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2013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6Lock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0Friction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부분, 예를 들어 안경테의 관자놀이 바아와 테두리 또는 관자놀이 바아의 2개의 섹션을 선회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힌지에 관한 것으로,
힌지는:
- 제1 부분의 말단부에 제공되는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로서, 플랜지들은 거리 x만큼 이격되고, 제1 구멍은 상부 플랜지에 제공되며, 상기 구멍은 직경 y를 갖는,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
- 제2 부분의 말단부에 제공되는 관통 제2 구멍으로서, 관통 구멍은 내부 원통형 벽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은 직경 z를 가지며, 제2 부분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의 거리 k는 x보다 작은, 제2 구멍;
-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관통 제2 구멍에 배열되는 부싱으로서, 상기 부싱은 대칭축을 갖고, 대칭축을 따른 부싱의 범위는 거리 k와 같거나 더 크지만 거리 x보다 작으며, 상기 부싱은 대칭축에 수직인 직경 l을 갖는 내부 개구를 갖는, 부싱;
- 잠금 핀으로서, 상기 잠금 핀은 헤드 섹션 및 대칭축을 형성하는 원통형 몸체 섹션을 가지며, 헤드 섹션은 대칭축에 수직인 횡단면에서 헤드 섹션이 제1 구멍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치수를 갖고, 대칭축을 따른 몸체 섹션의 연장은 x와 같거나 더 크며, 대칭축에 수직인 몸체 섹션의 직경 n은 l과 같거나 더 큰, 잠금 핀;을 포함하여,
부싱을 제2 부분의 말단부의 구멍에 삽입하고, 제2 부분의 말단부를 제1 부분의 말단부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에 삽입함에 따라, 상부 플랜지의 구멍은 부싱의 내부 개구와 겹쳐져, 잠금 핀의 몸체 섹션은 부싱의 내부 개구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이에 의해 2개의 부분을 선회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찰 힌지
본 발명은 2개의 부분, 예를 들어 안경테의 관자놀이 바아와 테두리를 선회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힌지 뿐만 아니라 이러한 힌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속하는 안경은 렌즈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는 테두리가 있는 안경, 렌즈의 둘레의 일부만 둘러싸는 반-테두리가 있는 안경, 및 관자놀이 바아가 테두리 없이 렌즈에 직접 부착되는 테두리가 없는 안경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발명은 2개의 부분, 예를 들어 안경테의 관자놀이 바아와 테두리 또는 관자놀이 바아의 2개의 섹션을 선회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힌지는:
- 제1 부분의 말단부에 제공되는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로서, 플랜지들은 거리 x만큼 이격되고, 제1 구멍은 상부 플랜지에 제공되며, 상기 구멍은 직경 y를 갖는,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
- 제2 부분의 말단부에 제공되는 관통 제2 구멍으로서, 관통 구멍은 내부 원통형 벽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은 직경 z를 가지며, 제2 부분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의 거리 k는 x보다 작은, 제2 구멍;
-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관통 제2 구멍에 배열되는 부싱으로서, 상기 부싱은 대칭축을 갖고, 대칭축을 따른 부싱의 범위는 거리 k와 같거나 더 크지만 거리 x보다 작으며, 상기 부싱은 대칭축에 수직인 직경 l을 갖는 내부 개구를 갖는, 부싱;
- 잠금 핀으로서, 상기 잠금 핀은 헤드 섹션 및 대칭축을 형성하는 원통형 몸체 섹션을 가지며, 헤드 섹션은 대칭축에 수직인 횡단면에서 헤드 섹션이 제1 구멍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치수를 갖고, 대칭축을 따른 몸체 섹션의 범위는 x와 같거나 더 크며, 대칭축에 수직인 몸체 섹션의 직경 n은 l과 같거나 더 큰, 잠금 핀;을 포함하여,
부싱을 제2 부분의 말단부의 구멍에 삽입하고, 제2 부분의 말단부를 제1 부분의 말단부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에 삽입함에 따라, 상부 플랜지의 구멍은 부싱의 내부 개구와 겹쳐져, 잠금 핀의 몸체 섹션은 부싱의 내부 개구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이에 의해 2개의 부분을 선회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당업계에서, 안경의 테두리과 관자놀이 바아 사이에 힌지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힌지가 제조에 바람직한 특정 안경테에 따라 다양한 상이한 특성을 갖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힌지의 바람직한 측면들 중 하나는 관자놀이 바아를 안경의 테두리에 대해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로 유지하는 힌지의 능력으로, 이와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는 테두리에 대해 관자놀이 바아를 선회시키기 위해 약간의 힘이 필요하지만 관자놀이 바아는 스스로 선회할 수 없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필요한 힘이 안경테의 어떤 부분에도 변형되거나 해로운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수의 다양한 디자인이 고려되었지만, 이러한 모든 디자인에서 힌지 구조물은 스프링을 포함하는 비교적 복잡한 구조물 또는 원하는 마찰을 만들어 관자놀이 바아를 테두리에 대해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관자놀이 바아를 테두리에 연결하는 나사를 충분히 조여 얻은 순수한 마찰에 의존한다.
이러한 선행 기술의 해결책들의 공통적인 점은 그들이 다소 복잡하거나 마모 및 찢김(tear)으로 인해 일정 시간 후에 재조정되어야 하므로 관자놀이 바아와 테두리 사이의 연결이 느슨해지고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도입부에 의해 기술된 유형의 힌지는 US 4,428,094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힌지에서, 부싱과 제2 구멍 사이 또는 부싱과 잠금 핀 사이에서 회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요소와 관련하여 회전이 발생하는지 여부가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상호 회전은 부싱이 핀과 구멍 모두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회전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힘의 제어가 없기 때문에 단점이다. 더욱이, 힌지 부분의 마모는 다른 요소와 관련하여 움직이는 요소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어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매우 오랜 기간에 걸쳐 힌지식으로 연결된 부재들 사이에서 동일한 마찰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개시가 없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테두리에 대해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관자놀이 바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비교적 작고, 컴팩트하며, 눈에 거슬리지 않으며, 또한 단순한 방식으로 생성되는 힌지 구조물을 제공하여 선행 기술의 단점을 경감시킴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매우 오랜 기간에 걸쳐 힌지식으로 연결된 부재들 사이에서 동일한 마찰을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이 문제를 도입부에 의해 기재된 바와 같이 힌지를 제공함으로써 해결하고, 이러한 힌지는 제2 구멍의 벽의 표면 거칠기가 잠금 핀의 거칠기 값 Ra보다 큰 거칠기 값 Ra를 가져 부싱의 내부 개구와 잠금 핀 사이보다 부싱과 제2 구멍의 벽 사이에 더 높은 마찰을 갖는다는 점에서 특유하다.
특히, 부싱과 부싱이 위치하는 구멍 사이의 비교적 타이트한 끼워맞춤과 잠금 핀과 부싱 사이의 타이트한 끼워맞춤은 관자놀이 바아가 테두리에 대해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즉 힌지에서 생성된 마찰로 인해 테두리에 대해 관자놀이 바아를 선회시키기 위해 약간의 조작이 필요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상당한 마찰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힌지로 연결된 부재들 사이의 마찰은 매우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된다. 탄성/탄력 재료가 힌지 구조물 내부에 압축 하에 유지된다는 사실은 탄성 재료가 표면에 대해 압력을 가하여 원하는 마찰을 유지하므로 마모 후에도 원하는 마찰을 제공하고 유지할 것이다.
동시에, 잠금 핀이 부분적으로 부싱에 의해 유지되고 부분적으로 제1 부분의 말단부에 있는 상부 플랜지에 제공된 구멍에 의해 유지된다는 점에서 구조물이 비교적 단순하다.
거칠기 값들을 구별하여(differentiate) 부싱과 제2 구멍 사이의 마찰과 부싱과 잠금 핀 사이의 마찰을 구별함으로써, 힌지의 선회 가능한 이동 중에 어느 부분이 어느 부분에 대해 이동할지 제어할 수 있다. 거칠기 값 Ra는 2개의 부분 사이의 표면 마찰을 나타내며, 이와 같이 다른 2개의 부분 사이보다 2개의 부분 사이에 마찰이 더 높음에 따라, 마찰이 가장 낮은 부분, 즉 거칠기 값이 가장 낮은 부분이 더 높은 거칠기(더 높은 마찰)가 움직이기 시작하기 전에 서로에 대해 움직일 것이라는 것이 명백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실시예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잠금 핀과 부싱 사이에서 힌지 메커니즘의 선회 동안 움직임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힌지 요소에 사용되는 재료 및 요소의 특성과 재료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장기간에 걸쳐 마찰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본 출원에 속하는 안경은 렌즈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는 테두리가 있는 안경, 렌즈의 둘레의 일부만 둘러싸는 반-테두리가 있는 안경, 및 관자놀이 바아가 테두리 없이 렌즈에 직접 부착되는 테두리가 없는 안경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마찰은 대칭축에 수직인 잠금 핀의 몸체 섹션의 직경이 l보다 크다는 점에서 더 증가되고, 부싱이 변형될 수 있어, 초과의 재료가 x와 k 사이의 길이에서의 차이에 의해 생성된 공간으로 짜내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잠금 핀의 원통형 몸체 섹션을 부싱에 삽입하면 부싱 재료가 제2 부분의 구멍 밖으로 짜내어지도록 제2 부분의 구멍에 의해 제자리에 단단히 유지되는 부싱이 변형되고, 이에 의해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추가적인 탄성 베어링을 형성한다. 또한, 변형은 잠금 핀, 부싱 및 제2 부분 사이의 마찰 결합(frictional engagement)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하부 플랜지에는 잠금 핀의 말단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홈이 제공되며, 상기 홈은 상부 플랜지와 마주하는 하부 플랜지의 면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잠금 핀의 말단부에 대한 안내(guidance) 및 조종(steering)은 잠금 핀이 제1 부분의 상부 플랜지에 제공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고 제2 부분의 구멍을 통과함에 따라 잠금 핀의 말단부가 하부 플랜지에 생성된 홈에 유지되도록 제1 부분의 하부 플랜지에 생성된다. 동시에, 잠금 핀의 헤드 섹션은 상부 플랜지에 제공된 구멍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힌지의 2개의 부분은 잠금 핀에 의해 안정적이고 안전한 방식으로 함께 선회 잠금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대칭축에 수직인 부싱의 외경 l2은 제2 구멍에 배열되지 않을 때 제2 구멍의 직경 z보다 크다.
끼워져야 하는 구멍보다 큰 직경을 갖는 부싱을 제공함으로써, 부싱은 구멍에 장착하는 동안 변형될 필요가 있다. 부싱을 장착/설치하는 동안, 초과 재료의 일부가 구멍의 양쪽 테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동시에 구멍에 배열될 때 부싱의 짜내어짐으로 인해 부싱의 내경이 삽입되지 않은 원래의 부싱보다 작다.
또한, 잠금 핀이 부싱에 삽입될 때, 잠금 핀은 또한 여분의 부싱 재료가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탄성 베어링을 제공하기 위해 구멍 밖으로 추가의 초과 재료가 짜내어지도록 부싱을 변형할 것이다. 부싱의 치수를 정확하게 치수설정하고(dimensioning) 동시에 적절한 재료 속성을 선택함으로써, 재료의 항복 응력(yield stress)이 달성되도록 부싱의 탄성 재료의 변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부싱의 실질적으로 균질한(homogenous) 변형이 발생하여 베어링이 제1 부분의 말단부와 제2 부분의 말단부 사이의 공간에 고르게 분포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잠금 핀의 헤드 섹션은 상부 플랜지에 제공된 제1 구멍에 압입 끼워맞춤된다(press-fit).
잠금 핀의 헤드를 제1 부분의 상부 플랜지에 있는 구멍에 압입 끼워맞춤함으로써, 잠금 핀이 구멍에서 회전할 수 없도록 잠금 핀이 구멍에 대해 고정됨과 동시에 잠금 핀이 힌지 구조물에 안전하게 유지되어 사용하는 동안 힌지의 무결성(integrity)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부싱의 제공 및 일부 실시예에서 상이한 부분들 사이의 상대 마찰의 설계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 핀이 제1 부분에 대해 강제로 회전하지 않도록 선회하는 부분들 사이의 마찰 결합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제1 부분에 제공된 잠금 핀과 제2 부분에 제공된 구멍 사이의 힌지에 매우 안정적이고 안전한 연결이 생성된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부분은 티타늄으로 만들어지고 부싱은 쇼어 A 경도가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인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재료 선택을 통해, 티타늄 고유의 강도 특성으로 인해 우수한 강도 특성을 동시에 갖는 매우 가벼운 구조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쇼어 A 경도가 50 이상인 중합체 재료로부터 부싱을 선택함으로써, 힌지 조인트의 마모 및 찢김을 무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힌지 구조물에 대해 길고 안정적인 서비스 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많은 중합체 중에서, 폴리아미드 유형의 중합체 재료, 특히 PA6 또는 PA11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탄성 금속 재료로 제조된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안경테는 렌즈를 끼우기에 적합한 테두리, 및 테두리의 양쪽에 배열된 2개의 관자놀이 바아를 포함하고, 관자놀이 바아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개의 힌지에 의해 테두리에 연결된다.
이미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힌지 구조물로 만들어진 안경테는 힌지 구조물과 관련하여 언급된 것과 동일한 이점을 얻고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으로,
도 1은 전체 테두리가 있는 안경테의 일 예를 보여주고,
도 2는 무테 안경의 일 예를 보여주며,
도 3은 잠금 핀이 삽입되기 전의 힌지 구조물을 보여주고,
도 4는 잠금 핀이 홈에 끼워진 후의 힌지 구조물을 보여주며,
도 5는 부싱을 보여준다.
도 1에는 안경테(frames for eyeglasses)(1)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안경테는 일반적으로 교정 렌즈(6)를 고정하기 위한 테두리 수단이 제공되는 한 쌍의 테두리(rim)(2)를 포함한다. 테두리(2)로부터 일반적으로 2개의 관자놀이 바아(3)가 연장되어 안경(1)이 예를 들어 귀 위에 관자놀이 바아(temple bar)를 배열하고 코 상에 코 바아(nose bar)(4)를 배열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지탱될 수 있다. 관자놀이 바아(3)의 길이방향 범위가 테두리(2)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위치로 관자놀이 바아가 선회될 수 있도록 관자놀이 바아(3)와 테두리(2) 사이에 힌지(5)를 제공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보관을 위해 수행된다.
도 2에는 관자놀이 바아(3)가 렌즈(6) 상에/렌즈(6)에 직접 장착되는 무테 유형의 한 쌍의 안경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힌지 구조물(hinge construction)(5)은 착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테두리(2)에 대해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관자놀이 바아(3)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경우에, 관자놀이 바아(3)들 사이의 상대 거리는 안경을 착용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관자놀이 바아가 사용자의 머리의 측면 상에 압착되도록(squeeze)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규하고 진보적이며 다수의 유리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힌지 구조물(5)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힌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안경도 본 발명에 포함될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원리는 잠금 핀(locking pin)의 삽입 전후의 힌지 구조물을 통한 횡단면을 도시하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에서 힌지 구조물은 예를 들어 관자놀이 바아인 제1 부분(10)을 포함한다. 제1 부분은 상부 플랜지(flange)(12) 및 하부 플랜지(14)가 제공된 말단부(distal end)에 있다. 플랜지들 사이의 거리는 x이다. 상부 플랜지(12)에는 제1 구멍(16)이 제공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멍이 직경 y를 갖는다. 하부 플랜지(14)에는 홈(recess)(18)이 제공된다. 제1 구멍(16)을 통해 잠금 핀(20)을 삽입할 때, 잠금 핀의 몸체 섹션(22), 특히 잠금 핀의 몸체 섹션의 말단부(22')는 도 4를 참조하여 예시된 바와 같이 홈(18)에 끼워질 것이다.
잠금 핀(22)은 헤드 섹션(24)을 더 포함한다. 헤드 섹션(24)은 대칭축(26)에 수직인 치수를 가져, 도 4를 참조하여 예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핀이 잠금 위치로 삽입될 때 잠금 핀(20)의 헤드 섹션(24)과 상부 플랜지에 제공된 구멍(16) 사이에 꼭 맞고 꽉 끼는 끼워맞춤(snug and tight fit)이 생성될 수 있다. 몸체 섹션(22)의 범위는 헤드 섹션(24)이 구멍(16)에 적절하게 꼭 맞고 꽉 끼는 끼워맞춤 위치에 있을 때 잠금 핀(20)의 몸체 섹션(22)의 말단부(22')가 하부 플랜지(14)에 제공된 홈(18)과 맞물리는 정도로 형성된다.
힌지의 나머지 부분은 제2 부분(30)을 포함한다. 제2 부분의 말단부에는 제2 구멍(32)이 제공된다. 제2 구멍(32)은 구멍이 내부 원통형 벽(34)을 형성하도록 관통 구멍(through-going aperture)이다. 제2 구멍은 직경 z를 갖는다. 또한, 제2 부분의 두께(k), 즉 제2 부분의 상부측과 하부측 사이의 거리는 k이고, 이때 k는 제1 부분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들(12, 14) 사이의 거리 x보다 작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부분(10)의 플랜지들(12, 14) 사이에 제2 부분(30)을 약간의 유격으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부분(30)의 제2 구멍에는 부싱(bushing)(40)이 배열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부싱은 제2 부분(30)의 두께보다 크지만 제1 부분(10)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들(12, 14) 사이의 거리 x보다 작은 대칭축(26)을 따른 범위를 갖는다.
또한, 부싱(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축에 수직인 직경 a를 갖는 내부 개구(inner opening)(42)를 갖는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면, 잠금 핀(20)은 잠금 핀(20)의 몸체 섹션(22)이 부싱(40)의 개구(42) 내부에 끼워지도록 제1 구멍(16)을 통해 삽입된다. 또한, 잠금 핀(20)의 몸체 섹션(22)의 말단부(22')는 하부 플랜지(14)의 홈(18)에 수용된다. 잠금 핀(20)을 삽입하는 동안, 부싱(40)은 변형되어 여분의(extra) 부싱 재료가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공간으로 강제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여분의 부싱 재료(44)는 제1 및 제2 부분들(10, 30) 사이에 베어링을 생성하여 2개의 부분들(10, 30) 사이에 안정적이고 견고하며 탄력적인 연결이 생성된다. 잉여 부싱 재료는 잠금 핀의 바로 근처에 유지되며 변형으로 인해 부싱 재료가 분해되지(disintegrate) 않을 것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어떠한 변형도 분해 또는 고장을 일으키지 않도록 잠금 핀으로부터 힘을 천천히 가하고/가하거나 부싱 재료를 조심스럽게 가열하고/가열하거나 부싱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부싱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싱은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polyamide)와 같은 탄성 중합체 재료(resilient polymer material)로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특히, PA6은 경도(hardness), 강도(strength), 연성(ductility), 내구성 및 내화학성(wearability and resistance to chemicals)으로 잘 알려져 있어, PA6은 이러한 종류의 베어링에 대한 보편적인 중합체 재료로 어느 정도 간주된다. 또한, 추가로 유도된 폴리아미드 PA11이 사용될 수 있고, 이때 PA11은 더 높은 경도 및 연성을 갖고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하기 더 어려울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긴 서비스 수명을 제공하는 우수한 마모 특성을 제공한다.
또한, 중합체는 부싱을 통해 잠금 핀(20)을 삽입함으로써 변형될 충분한 탄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힌지 구조물을 생성하도록 충분한 내마모성 및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50 내지 60 범위의 쇼어 A 경도(shore A hardness)(ASTMD2240 및 ASTMD1414에 따름)를 갖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다양한 치수가 선회하는 부분들 사이에 충분한 마찰이 설정되는 것을 보장하지만, 특히 제2 구멍의 내벽의 표면 거칠기는 부싱과 잠금 핀의 몸체 섹션(22) 사이의 표면 거칠기보다 높게 선택될 수 있다. 잠금 핀(20)의 몸체 섹션(22)과 부싱의 내부 개구 사이보다 부싱과 제2 부분 사이에 표면 거칠기 값(surface roughness value)(Ra)을 더 높게 선택하여, 잠금 핀의 몸체 섹션(22)과 부싱의 내부 개구 사이에서 선회 가능한 움직임이 발생하도록 힌지가 설계된다. 완전성(completeness)을 위해, 거칠기 매개변수는 ISO4287:1997(유럽 표준)에 해당하는 BS EN ISO4287:2000(영국 표준)에 따라 설정된다. 매개변수 Ra는 거칠기 프로파일(roughness profile)의 산술 평균이다.
1 ... 안경테 2 ... 테두리
3 ... 관자놀이 바아 4 ... 코 바아
5 ... 힌지 구조물 6 ... 렌즈
10 ... 제1 부분 12 ... 상부 플랜지
14 ... 하부 플랜지 16 ... 제1 구멍
18 ... 홈 20 ... 잠금 핀
22 ... 몸체 섹션 24 ... 헤드 섹션
26 ... 대칭축 30 ... 제2 부분
32 ... 제2 구멍 40 ... 부싱

Claims (8)

  1. 2개의 부분, 예를 들어 안경테의 관자놀이 바아와 테두리 또는 관자놀이 바아의 2개의 섹션을 선회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힌지로서,
    상기 힌지는:
    - 제1 부분의 말단부에 제공되는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로서, 플랜지들은 거리 x만큼 이격되고, 제1 구멍은 상부 플랜지에 제공되며, 상기 구멍은 직경 y를 갖는,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
    - 제2 부분의 말단부에 제공되는 관통 제2 구멍으로서, 관통 구멍은 내부 원통형 벽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은 직경 z를 가지며, 제2 부분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의 거리 k는 x보다 작은, 제2 구멍;
    -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관통 제2 구멍에 배열되는 부싱으로서, 상기 부싱은 대칭축을 갖고, 대칭축을 따른 부싱의 범위는 거리 k와 같거나 더 크지만 거리 x보다 작으며, 상기 부싱은 대칭축에 수직인 직경 l을 갖는 내부 개구를 갖는, 부싱;
    - 잠금 핀으로서, 상기 잠금 핀은 헤드 섹션 및 대칭축을 형성하는 원통형 몸체 섹션을 가지며, 상기 헤드 섹션은 대칭축에 수직인 횡단면에서 헤드 섹션이 제1 구멍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치수를 갖고, 대칭축을 따른 몸체 섹션의 연장은 x와 같거나 더 크며, 대칭축에 수직인 몸체 섹션의 직경 n은 l과 같거나 더 큰, 잠금 핀;을 포함하여,
    상기 부싱을 제2 부분의 말단부의 구멍에 삽입하고, 제2 부분의 말단부를 제1 부분의 말단부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에 삽입함에 따라, 상부 플랜지의 구멍은 부싱의 내부 개구와 겹쳐져, 상기 잠금 핀의 몸체 섹션은 부싱의 내부 개구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이에 의해 2개의 부분을 선회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힌지에 있어서,
    제2 구멍의 벽의 표면 거칠기는 잠금 핀의 거칠기 값 Ra보다 큰 거칠기 값 Ra을 가져, 부싱의 내부 개구와 잠금 핀 사이보다 부싱과 제2 구멍의 벽 사이에 더 큰 마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축에 수직인 잠금 핀의 몸체 섹션의 직경 n은 l보다 크고, 상기 부싱은 변형될 수 있어, 초과 재료가 x와 k 사이의 길이에서의 차이에 의해 생성된 공간으로 짜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랜지에는 잠금 핀의 말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제공되며, 상기 홈은 상부 플랜지를 향하는 하부 플랜지의 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멍에 배열되지 않은 때, 대칭축에 수직인 부싱의 외경 l2는 제2 구멍의 직경 z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핀의 헤드 섹션은 상부 플랜지에 제공된 제1 구멍에 압입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부분은 티타늄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부싱은 쇼어 A 경도가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인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재료는 폴리아미드: PA6 또는 PA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8. 탄성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 테두리가 있는 또는 테두리가 없는 안경테로서, 상기 안경테는 렌즈를 끼울 수 있거나 렌즈에 장착되는 테두리, 및 테두리의 양쪽에 배열된 2개의 관자놀이 바아를 포함하고, 양쪽의 관자놀이 바아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개의 힌지에 의해 테두리 또는 렌즈에 연결되거나, 각각의 관자놀이 바아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힌지를 포함하는, 안경테.
KR1020227031360A 2020-02-26 2021-02-26 마찰 힌지 KR202201371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2070123 2020-02-26
DKPA202070123 2020-02-26
PCT/DK2021/050057 WO2021170195A1 (en) 2020-02-26 2021-02-26 Friction hin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113A true KR20220137113A (ko) 2022-10-11

Family

ID=77489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1360A KR20220137113A (ko) 2020-02-26 2021-02-26 마찰 힌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96733A1 (ko)
EP (1) EP4111255A4 (ko)
JP (1) JP2023515177A (ko)
KR (1) KR20220137113A (ko)
CN (1) CN115151857A (ko)
BR (1) BR112022014941A2 (ko)
MX (1) MX2022010558A (ko)
WO (1) WO2021170195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8668A (en) * 1951-12-15 1958-04-01 American Optical Corp Ophthalmic mountings
DE1117911B (de) * 1957-12-11 1961-11-23 American Optical Corp Gelenkverbindung fuer Brillengestelle
US3042961A (en) * 1960-03-16 1962-07-10 Arthur J Tieri Ophthalmic mounting hinges
IT1160626B (it) * 1977-09-22 1987-03-11 Obe Werk Kg Cerniera per occhiali con regolazione di movimento
FR2492993A1 (fr) * 1980-10-28 1982-04-30 Chevassus Veuve Henri Perfectionnement aux charnieres de lunettes
IT8630817V0 (it) * 1986-11-24 1986-11-24 Visottica Spa Cerniera per occhiali con inserto elastico di frizione.
FR3094801A1 (fr) * 2019-04-08 2020-10-09 Vrm Lunetterie Articulation de lun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11255A1 (en) 2023-01-04
BR112022014941A2 (pt) 2022-09-27
US20230096733A1 (en) 2023-03-30
MX2022010558A (es) 2022-11-30
WO2021170195A1 (en) 2021-09-02
CN115151857A (zh) 2022-10-04
JP2023515177A (ja) 2023-04-12
EP4111255A4 (en)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9085B2 (ja) 眼鏡ヒンジ
US8414120B2 (en) Eyeglass frame, an eyeglass hinge,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hinge for an eyeglass frame
US6210002B1 (en) Lens holding mechanism of spectacles
US6540351B1 (en) Arrangement comprising an endpiece, a temple headpiece and a hinge for spectacles
JP2007537467A (ja) 眼鏡
KR19990029689A (ko)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KR20220137113A (ko) 마찰 힌지
WO2020143047A1 (zh) 眼镜腿组件及眼镜
US6948811B2 (en) Eyeglass frame, a hinge, an eyeglas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inge
US7832854B2 (en) Device for fixing mount members to spectacle lenses, and spectacles, particularly of the type devoid of lens-holding rims, including said fixing device
JPS6230403B2 (ko)
KR10136931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EP1489452B1 (en) Screwless hinge structure for eyeglasses
JPH08227057A (ja) 眼鏡のレンズ保持機構一体式スクリューレス蝶番
US10962801B2 (en) Screwless hinge for a pair of eyeglasses
EP1835327A1 (en) Hinge, particularly for a frame for spectacles
KR10246197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JPWO2004003635A1 (ja) 眼鏡丁番
KR102566429B1 (ko) 안경테의 탄성 힌지조립체
KR200367300Y1 (ko) 안경테, 힌지 및 안경
JP3200295B2 (ja) リムレス眼鏡におけるフレーム要素の取付構造
JP6765698B1 (ja) ねじ無し蝶番
JP2000089169A (ja) 眼鏡レンズ止着機構
TWM654166U (zh) 眼鏡
JP2952482B1 (ja) フロント傾動可能な眼鏡フレー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