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091A - 워크 가공용 시트 - Google Patents

워크 가공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091A
KR20220136091A KR1020220016144A KR20220016144A KR20220136091A KR 20220136091 A KR20220136091 A KR 20220136091A KR 1020220016144 A KR1020220016144 A KR 1020220016144A KR 20220016144 A KR20220016144 A KR 20220016144A KR 20220136091 A KR20220136091 A KR 20220136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yer
surface layer
preferable
tensile 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타로 야마구치
슈헤이 와타나베
나오토 오다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200607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58902A/ja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3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1/6836Wafer tapes, e.g. grinding or dicing support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7Additives being an antistatic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2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used during dicing or gr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5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used to support diced chips prior to moun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갖는 워크 가공용 시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기재(11)와 점착제층(12)을 구비하는 워크 가공용 시트(1)로서, 기재(11)가 표면층(111)과 이면층(113)과 중간층(112)을 구비하고, 단변(短邊) 15㎜인 단책상(短冊狀)으로 기재(11)를 재단하여 이루어지는 시험편의 파단 신도가, MD 및 CD 방향에 대해서 각각 600% 이상이며, 기재(11)를 그 C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25% 신장 시의 인장 응력에 대한 기재(11)를 M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25% 신장 시의 인장 응력의 비(R25%)가 1.3 이하이며, 기재(11)를 그 C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50% 신장 시의 인장 응력에 대한 기재(11)를 M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50% 신장 시의 인장 응력의 비(R50%)가 1.3 이하인 워크 가공용 시트.

Description

워크 가공용 시트{WORKPIECE PROCESSING SHEET}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 등의 워크의 가공에 사용되는 워크 가공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 갈륨비소 등의 반도체 웨이퍼나 각종 패키지류는, 대경(大徑)인 상태로 제조되고, 칩으로 절단(다이싱)되며, 박리(픽업)된 후에, 다음 공정인 마운트 공정으로 옮겨진다. 이때, 반도체 웨이퍼 등의 워크는, 기재 및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이하, 「워크 가공용 시트」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상에 적층된 상태로, 백 그라인드, 다이싱, 세정, 건조, 익스팬딩, 픽업, 마운팅 등의 가공이 행해진다.
상기 픽업의 공정에서는, 칩의 픽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워크 가공용 시트에 있어서의 칩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의 면으로부터, 칩을 개개로 밀어올리는 것을 행할 경우가 있다. 특히, 픽업할 때의 칩끼리의 충돌을 억제함과 동시에, 픽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상, 워크 가공용 시트를 연신(익스팬드)시켜, 칩끼리를 이간(離間)시키는 것이 행해진다. 그 때문에, 워크 가공용 시트에는, 양호한 익스팬드를 가능하게 하는, 우수한 유연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는,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갖는 워크 가공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기재층과 표면층을 포함하는 다이싱용 기체(基體) 필름으로서, 상기 표면층이, 소정의 폴리스티렌계 수지와, 소정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역디엔 탄화수소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을 함유하는 기체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6146616호
그러나, 근년, 반도체 장치의 미세화에 수반하여, 워크 가공용 시트에서 취급하는 칩이 점점 미소한 것이 되고 있다. 그 때문에, 워크 가공용 시트에는, 그러한 미소한 칩에 대해서도 양호한 픽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종래의 워크 가공용 시트보다 우수한 익스팬드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갖는 워크 가공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로 본 발명은, 기재와, 상기 기재에 있어서의 편면측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워크 가공용 시트로서, 상기 기재가, 상기 점착제층에 대하여 근위(近位)에 위치하는 표면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대하여 원위(遠位)에 위치하는 이면층과, 상기 표면층과 상기 이면층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비하고, 단변(短邊)이 15㎜인 단책상(短冊狀)으로 상기 기재를 재단하여 이루어지는 시험편에 대해서, 23℃의 환경 하에서, 척간 거리 100㎜, 인장 속도 200㎜/min으로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파단 신도가, MD 방향으로 인장할 경우 및 CD 방향으로 인장할 경우의 양방에 대해서, 600% 이상이며, 상기 기재를 그 C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25% 신장 시의 인장 응력에 대한, 상기 기재를 M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25% 신장 시의 인장 응력의 비(R25%)가, 1.3 이하이며, 상기 기재를 그 C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50% 신장 시의 인장 응력에 대한, 상기 기재를 M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50% 신장 시의 인장 응력의 비(R50%)가,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가공용 시트를 제공한다(발명 1).
상기 발명(발명 1)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는, 기재가 상술한 3층을 구비하는 것임과 함께, 상술한 파단 신도 및 인장 응력의 비의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갖는 것이 된다.
상기 발명(발명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 상기 중간층 및 상기 이면층의 각각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함과 동시에, 상기 표면층 및 상기 이면층의 각각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2).
상기 발명(발명 2)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중간층은, 상기 표면층 및 상기 이면층의 각각보다 적은 함유량(단위: 질량%)으로 상기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3).
상기 발명(발명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 상기 중간층 및 상기 이면층의 각각이, 폴리에틸렌을 함유하고, 상기 중간층에 함유되는 폴리에틸렌은, 상기 표면층 및 상기 이면층에 함유되는 각각의 폴리에틸렌과는, JIS K7210-1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멜트 플로 레이트(MFR)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4).
상기 발명(발명 1 ∼ 4)에 있어서는, 다이싱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5).
본 발명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는,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의 단면도가 나타난다. 도 1에 나타나는 워크 가공용 시트(1)는, 기재(11)와, 기재(11)에 있어서의 편면측에 적층된 점착제층(12)을 구비한다.
상기 기재(11)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12)에 대하여 근위에 위치하는 표면층(111)과, 점착제층(12)에 대하여 원위에 위치하는 이면층(113)과, 표면층(111)과 이면층(113)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112)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에서는, 단변이 15㎜인 단책상으로 기재(11)를 재단하여 이루어지는 시험편에 대해서, 23℃의 환경 하에서, 척간 거리 100㎜, 인장 속도 200㎜/min으로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파단 신도가, MD 방향으로 인장할 경우 및 CD 방향으로 인장할 경우의 양방에 대해서, 600% 이상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에서는, 기재(11)를 그 C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25% 신장 시의 인장 응력에 대한, 기재(11)를 M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25% 신장 시의 인장 응력의 비(R25%)가, 1.3 이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에서는, 기재(11)를 그 C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50% 신장 시의 인장 응력에 대한, 상기 기재를 M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50% 신장 시의 인장 응력의 비(R50%)가, 1.3 이하이다.
일반적으로, 워크 가공용 시트는, 상기 시트 상에서 웨이퍼의 다이싱이 행해지고, 계속해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점착제층의 경화가 행해지고, 또한, 익스팬드된 상태로 칩의 픽업이 행해진다. 통상, 상기 다이싱 시에는 기재에도 노치가 들어간다. 그 때문에, 종래의 워크 가공용 시트는, 익스팬드를 행했을 때에, 매우 파단하기 쉬운 것이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는, 기재(11)가 상술한 물성을 충족시키는 것임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다이싱을 행한 후에도, 익스팬드 공정에서 파단이 일어나기 어렵다. 특히, 인장 응력의 비(R25%) 및 인장 응력의 비(R50%)가 각각 상기 범위가 되고, 즉, MD 방향으로 인장했을 경우와 CD 방향으로 인장했을 경우에 인장 응력의 차가 비교적 작음으로써, 기재(11)의 일부분에의 응력의 집중이 억제되어, 파단하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는,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재(11)가, 표면층(111), 중간층(112) 및 이면층(113)과 같은 3층을 적어도 구비하는 것임으로써,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확보하면서도, 그 외의 원하는 성능을 워크 가공용 시트(1)에 부여하기 쉬운 것이 된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면층(111)이나 이면층(113)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부여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층(111) 및 이면층(113)을, 탄성률이 비교적 높은 설계로 함으로써, 기재(11)의 제막 시에, 금속 롤에의 첩부를 억제하여, 높은 제막성을 부여할 수 있다.
1. 워크 가공용 시트의 구성
(1) 기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재(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층(111), 중간층(112) 및 이면층(113)을 구비한다. 이들 층의 조성에 관해서는, 기재(11)가 상술한 물성을 충족시키는 것이 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11)를 구성하는 각 층의 재료로서는, 그러한 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보다 양호한 익스팬드성을 실현하고, 절삭편의 발생도 억제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적어도 1종을 주재(主材)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표면층(111)과 이면층(113)은, 다른 조성이어도 되고, 완전히 동일한 조성이어도 된다.
(1-1) 폴리올레핀계 수지
상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란, 올레핀을 단량체로 하는 호모폴리머 혹은 코폴리머, 또는 올레핀과 올레핀 이외의 분자를 단량체로 하는 코폴리머로서 중합 후의 수지에 있어서의 올레핀 단위에 의거하는 부분의 질량 비율이 1.0질량% 이상인 수지를 말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구성하는 고분자는 직쇄상이어도 되고, 측쇄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고분자는, 방향환, 지방족환을 갖고 있어도 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구성하는 올레핀 단량체로서는, 탄소수 2 ∼ 8의 올레핀 단량체, 탄소수 3 ∼ 18의 α-올레핀 단량체, 환상 구조를 갖는 올레핀 단량체 등이 예시된다. 탄소수 2 ∼ 8의 올레핀 단량체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2-부텐, 옥텐 등이 예시된다. 탄소수 3 ∼ 18의 α-올레핀 단량체로서는,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옥타데센 등이 예시된다. 환상 구조를 갖는 올레핀 단량체로서는, 노르보르넨, 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테트라시클로도데센 그리고 이들 유도체 등이 예시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 중에서도, 에틸렌을 주된 중합 단위로서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주된 중합 단위로서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의 적어도 일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예를 들면,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및 블록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및 블록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각각, 출시되어 있는 시판품을 이용해도 된다. 호모 폴리프로필렌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모두 Prime Polymer Co., Ltd. 제품인 제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E111G」, 제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E-100GV」, 제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E-100GPL」, 제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E-200GP」 등을 들 수 있다. 랜덤 폴리프로필렌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모두 Prime Polymer Co., Ltd. 제품인 제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B221WA」, 제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B241」, 제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E222」, 제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E-333GV」 등을 들 수 있다. 블록 폴리프로필렌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모두 Prime Polymer Co., Ltd. 제품인 제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E701G」, 제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E702G」, 제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E702MG」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으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특히, 상기 폴리에틸렌으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시판품의 예로서는,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제품인 제품명 「노바텍 LL」, Prime Polymer Co., Ltd. 제품인 네오젝스 시리즈나 울트라젝스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의 멜트 플로 레이트(MFR)는, 1g/10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g/10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3g/10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멜트 플로 레이트는, 10g/10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g/10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8g/10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멜트 플로 레이트가 이러한 범위임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가 보다 양호한 익스팬드성을 얻기 쉬운 것이 된다. 또, 상기 멜트 플로 레이트는, JIS K7210:2014에 준거하여, 온도 190℃ 및 하중 2.16㎏으로 측정한 것이다.
기재(11)를 구성하는 층 중 어느 것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할 경우, 상기 층 중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량은, 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2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유량은, 10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9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가 보다 양호한 익스팬드성을 갖기 쉬운 것이 된다.
또, 표면층(111), 중간층(112) 및 이면층(113) 모두가 폴리에틸렌을 함유할 경우, 중간층(112)에 함유되는 폴리에틸렌은, 표면층(111) 및 이면층(113)에 함유되는 각각의 폴리에틸렌과는, JIS K7210-1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멜트 플로 레이트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중간층(112)에 함유되는 폴리에틸렌의 멜트 플로 레이트가, 표면층(111) 및 이면층(113)에 함유되는 각각의 폴리에틸렌의 멜트 플로 레이트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가 보다 양호한 익스팬드성을 얻기 쉬운 것이 된다.
(1-2)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상술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것으로서, 기재(11)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고무계 엘라스토머,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아크릴계 엘라스토머, 염화비닐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술한 엘라스토머 중에서도, 양호한 익스팬드성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특히, 표면층(111) 및 이면층(113)의 적어도 일방이,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란, 올레핀 또는 그 유도체(올레핀계 화합물)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서, 상온을 포함하는 온도역에서는 고무상의 탄성을 가짐과 함께, 열가소성을 갖는 재료를 의미한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예로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부텐·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부텐·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α-올레핀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부텐·α-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기재(11)를 구성하는 층 중 어느 것이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할 경우, 상기 층 중에 있어서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은, 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유량은, 9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7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가 보다 양호한 익스팬드성을 얻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양호한 익스팬드성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특히, 중간층(112)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란, 스티렌 또는 그 유도체(스티렌계 화합물)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서, 상온을 포함하는 온도역에서는 고무상의 탄성을 가짐과 함께, 열가소성을 갖는 재료를 의미한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티렌-공역디엔 공중합체 및 스티렌-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스티렌-공역디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스티렌-공역디엔 공중합체의 구체예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BS),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SIS), 스티렌-에틸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미수첨(未水添) 스티렌-공역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SEP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등의 수첨 스티렌-공역디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수소 첨가물(수첨물)이어도 미수첨물이어도 되지만, 수소 첨가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에서도, 양호한 익스팬드성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수첨 스티렌-공역디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특히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가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에 있어서의 스티렌 또는 스티렌계 화합물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스티렌 비율)은, 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우수한 제막성을 달성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8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6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달성하기 쉬워진다.
기재(11)를 구성하는 층 중 어느 것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할 경우, 상기 층 중에 있어서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은, 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유량은, 9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7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가 보다 양호한 익스팬드성을 얻기 쉬운 것이 된다.
(1-3) 대전 방지제
기재(11)를 구성하는 각 층은,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특히, 표면층(111) 및 이면층(113)의 각각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는,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갖기 쉬운 것이 되고, 워크 가공용 시트(1)로부터 박리 시트나 워크를 분리할 때에 있어서의 박리 대전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중간층(112)도 대전 방지제를 함유해도 되지만, 다이싱 시의 절삭편의 발생을 억제하기 쉽다는 관점에서는, 중간층(112)은,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중간층(112)은, 표면층(111) 및 이면층(113)의 각각보다 적은 함유량(단위: 질량%)으로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그 함유량이 적은 중간층(112)이, 표면층(111)과 이면층(113) 사이에 존재함으로써, 다이싱 시에, 다이싱 블레이드가 중간층(112)에 도달했을 경우에, 중간층(112)으로부터의 절삭편의 발생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대전 방지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대전 방지제의 예로서는, 저분자형 대전 방지제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절삭편의 발생을 억제하기 쉽고, 또한, 표면층(111)이나 이면층(113)으로부터의 블리드 아웃이 생기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가 바람직하다.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로서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폴리에테르폴리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등, 폴리에테르 유닛을 갖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고, 이들 공중합체에는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류 금속염 등의 금속염이나, 이온 액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표면층(111) 중에 있어서의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은, 3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이 3질량% 이상임으로써, 양호한 대전 방지성을 발휘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표면층(111) 중에 있어서의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은, 4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3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이 40질량% 이하임으로써, 절삭편의 발생을 억제하기 쉬운 것이 된다.
이면층(113) 중에 있어서의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은, 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3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이 10질량% 이상임으로써, 양호한 대전 방지성을 발휘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이면층(113) 중에 있어서의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은,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4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이 50질량% 이하임으로써, 절삭편의 발생을 억제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층(112)은,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중간층(112)은, 표면층(111) 및 이면층(113)의 각각보다 적은 함유량(단위: 질량%)으로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112)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할 경우, 중간층(112) 중에 있어서의 그 함유량은,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3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112) 중의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이 5질량% 이하임으로써, 절삭편의 발생을 억제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 상기 함유량의 하한치로서는, 예를 들면, 0.01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1-4) 산변성 수지
기재(11)를 구성하는 각 층은, 산변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특히, 표면층(111)이, 산변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산변성 수지」란, 산성분에 유래하는 구조가 고분자쇄에 부가된 것을 의미한다. 산성분에 유래하는 구조는, 산무수물의 형태로 되어 있어도 되고, 카르복시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표면층(111)이 상기와 같이 산변성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기재(11)와 점착제층(12)과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픽업 시에 점착제가 칩측에 남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산변성 수지의 주쇄(主鎖)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지에 의하면, 표면층(111)과 점착제층(12)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쉬운 것이 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양방을 의미한다. 다른 유사 용어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4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프로필, (메타)아크릴산n-부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산에틸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아크릴산에틸이 바람직하다.
표면층(111)이 산변성 수지를 함유할 경우, 표면층(111) 중에 있어서의 산변성 수지의 함유량은, 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표면층(111)과 점착제층(12)과의 밀착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상기 함유량은, 3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술한 물성을 충족시키기 쉬운 것이 된다.
(1-5) 그 외의 성분
기재(11)를 구성하는 층은, 상술한 성분 이외의 그 외의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특히, 상기 수지 조성물에는, 일반적인 워크 가공용 시트의 기재에 이용되는 성분을 함유시켜도 된다.
그러한 성분의 예로서는, 난연제, 가소제, 활제(滑劑), 산화 방지제, 착색제, 적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 이온 포착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제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기재가 원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6) 기재의 표면 처리
기재(1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12)이 적층되는 면에는, 상기 점착제층(12)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프라이머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조면화 처리(매트 가공)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조면화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엠보스 가공법, 샌드 블라스트 가공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7) 기재의 제법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재(11)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T 다이법, 환(丸) 다이법 등의 용융 압출법; 캘린더법; 건식법, 습식법 등의 용액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효율적으로 기재를 제조하는 관점에서, 용융 압출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T 다이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11)를 용융 압출법에 의해 제조할 경우, 각 층을 구성하는 성분을 각각 혼련하여, 얻어진 혼련물로부터 직접, 또는 일단 펠렛을 제조한 후, 공지된 압출기를 이용하여, 복수층을 동시에 압출하여 제막하면 된다.
(1-8) 기재의 물성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재(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변이 15㎜인 단책상으로 기재(11)를 재단하여 이루어지는 시험편에 대해서, 23℃의 환경 하에서, 척간 거리 100㎜, 인장 속도 200㎜/min으로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파단 신도가, MD 방향으로 인장할 경우 및 CD 방향으로 인장할 경우의 양방에 대해서, 600% 이상이다.
여기에서, 보다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달성하기 쉽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파단 신도는, MD 방향으로 인장할 경우 및 CD 방향으로 인장할 경우의 양방에 대해서, 특히 6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7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파단 신도의 상한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MD 방향으로 인장할 경우 및 CD 방향으로 인장할 경우의 양방에 대해서, 1000% 이하여도 되고, 특히 80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보다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달성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상기 시험편을 MD 방향으로 인장할 경우에 있어서의 파단 신도는, 6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7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파단 신도의 상한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00% 이하여도 되고, 특히 80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보다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달성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상기 시험편을 CD 방향으로 인장할 경우에 있어서의 파단 신도는, 6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7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파단 신도의 상한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00% 이하여도 되고, 특히 800% 이하여도 된다.
또, 이상의 파단 신도의 측정 방법의 상세는 후술하는 시험예에 기재된 바와 같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재(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재(11)를 그 C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25% 신장 시의 인장 응력에 대한, 기재(11)를 M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25% 신장 시의 인장 응력의 비(R25%)가, 1.3 이하이다.
여기에서, 보다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달성하기 쉽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인장 응력의 비(R25%)는, 1.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인장 응력의 비(R25%)의 하한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0.8 이상이어도 되고, 특히 0.9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재(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재(11)를 그 C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50% 신장 시의 인장 응력에 대한, 기재(11)를 M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50% 신장 시의 인장 응력의 비(R50%)가, 1.3 이하이다.
여기에서, 보다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달성하기 쉽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인장 응력의 비(R50%)는, 1.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인장 응력의 비(R50%)의 하한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0.8 이상이어도 되고, 특히 0.9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더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달성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기재(11)를 그 C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10% 신장 시의 인장 응력에 대한, 기재(11)를 M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10% 신장 시의 인장 응력의 비(R10%)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인장 응력의 비(R10%)의 하한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0.8 이상이어도 되고, 특히 0.9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기재(11)를 그 M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10% 신장 시의 인장 응력은, 6.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장 응력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 응력이 이러한 범위임으로써, 상술한 인장 응력의 비(R10%)를 충족시키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기재(11)를 그 M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25% 신장 시의 인장 응력은, 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장 응력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 응력이 이러한 범위임으로써, 상술한 인장 응력의 비(R25%)를 충족시키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기재(11)를 그 M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50% 신장 시의 인장 응력은, 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장 응력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 응력이 이러한 범위임으로써, 상술한 인장 응력의 비(R50%)를 충족시키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기재(11)를 그 C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10% 신장 시의 인장 응력은, 6.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장 응력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 응력이 이러한 범위임으로써, 상술한 인장 응력의 비(R10%)를 충족시키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기재(11)를 그 C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25% 신장 시의 인장 응력은, 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장 응력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 응력이 이러한 범위임으로써, 상술한 인장 응력의 비(R25%)를 충족시키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기재(11)를 그 C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50% 신장 시의 인장 응력은,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장 응력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 응력이 이러한 범위임으로써, 상술한 인장 응력의 비(R50%)를 충족시키기 쉬운 것이 된다.
또, 이상의 인장 응력의 측정 방법의 상세는 후술하는 시험예에 기재된 바와 같다.
(1-9) 기재의 각 층의 두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면층(111)의 두께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층(111)의 두께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층(111)의 두께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워크 가공용 시트(1)가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달성하기 쉬워짐과 함께, 워크 가공용 시트(1)에 원하는 성능을 부여하기 쉬운 것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중간층(112)의 두께는,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층(112)의 두께는,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112)의 두께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워크 가공용 시트(1)가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달성하기 쉬워짐과 함께, 워크 가공용 시트(1)에 원하는 성능을 부여하기 쉬운 것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면층(113)의 두께는,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ㄴ또한, 이면층(113)의 두께는,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층(113)의 두께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워크 가공용 시트(1)가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달성하기 쉬워짐과 함께, 워크 가공용 시트(1)에 원하는 성능을 부여하기 쉬운 것이 된다.
(2) 점착제층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12)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피착체에 대한 충분한 점착력(특히, 워크의 가공을 행하기 위해 충분해지는 상대 워크 점착력)을 발휘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점착제층(12)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예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비닐에테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원하는 점착력을 발휘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12)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지 않는 점착제여도 되지만,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는 점착제(이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12)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점착제층(12)을 경화시켜, 워크 가공용 시트(1)의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을 용이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특히,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가공 후의 워크를 상기 워크 가공용 시트(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점착제층(12)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로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는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어도 되고, 활성 에너지선 비경화성 폴리머(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지 않는 폴리머)와 적어도 1개 이상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기를 갖는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와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는 폴리머와, 적어도 1개 이상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기를 갖는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와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는 폴리머는, 측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는 관능기(활성 에너지선 경화성기)가 도입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이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중합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중합체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 단위를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와, 그 관능기에 결합하는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기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양방을 의미한다. 다른 유사 용어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중합체」에는 「공중합체」의 개념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관능기 함유 모노머 단위를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와 함께, 그 외의 모노머를 중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관능기 함유 모노머 및 그 외의 모노머, 그리고 상술한 불포화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국제공개 제2018/084021호에 개시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2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15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겔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법(GPC법)에 의해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이다.
상술한 활성 에너지선 비경화성 폴리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불포화기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키기 전의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비경화성 폴리머 성분으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2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15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적어도 1개 이상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기를 갖는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면, 다가 알코올과 (메타)아크릴산의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한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점착제에 대하여, 광중합개시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에는, 활성 에너지선 비경화성 폴리머 성분 또는 올리고머 성분이나, 가교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12)의 두께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12)의 두께는,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12)의 두께가 상술한 범위임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가 원하는 점착성을 발휘하기 쉬운 것이 된다.
(3) 박리 시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에서는, 점착제층(12)에 있어서의 기재(11)와는 반대측의 면(이하, 「점착면」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워크에 첩부할 때까지의 동안, 상기 면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상기 면에 박리 시트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박리 시트의 구성은 임의이며, 플라스틱 필름을 박리제 등에 의해 박리 처리한 것이 예시된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박리제로서는,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저렴하고 안정된 성능이 얻어지는 실리콘계가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 시트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16㎛ 이상 250㎛ 이하여도 된다.
(4) 그 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에서는, 점착제층(12)에 있어서의 기재(11)와는 반대측의 면에 접착제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는, 다이싱·다이본딩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트에서는, 접착제층에 있어서의 점착제층(12)과는 반대측의 면에 워크를 첩부하고, 상기 워크와 함께 접착제층을 다이싱함으로써, 개편화된 접착제층이 적층된 칩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칩은, 이 개편화된 접착제층에 의해, 상기 칩이 탑재되는 대상에 대하여 용이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열가소성 수지와 저분자량의 열경화성 접착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나, B 스테이지(반경화상)의 열경화형 접착 성분을 함유하는 것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에서는, 점착제층(12)에 있어서의 점착면에 보호막 형성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는, 보호막 형성 겸 다이싱용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에서는, 보호막 형성층에 있어서의 점착제층(12)과는 반대측의 면에 워크를 첩부하고, 상기 워크와 함께 보호막 형성층을 다이싱함으로써, 개편화된 보호막 형성층이 적층된 칩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워크로서는, 편면에 회로가 형성된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통상, 상기 회로가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보호막 형성층이 적층된다. 개편화된 보호막 형성층은, 소정의 타이밍에 경화시킴으로써,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보호막을 칩에 형성할 수 있다. 보호막 형성층은, 미경화의 경화성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워크 가공용 시트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박리 시트 상에 점착제층(12)을 형성한 후, 상기 점착제층(12)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와는 반대측의 면에 기재(11)의 편면을 적층함으로써, 워크 가공용 시트(1)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점착제층(12)의 형성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제층(12)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성 조성물, 및 원하는 바에 따라 용매 또는 분산매를 더 함유하는 도포액을 조제한다. 그리고, 박리 시트의 박리성을 갖는 면(이하, 「박리면」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에 상기 도포액을 도포한다. 계속해서, 얻어진 도막을 건조시킴으로써, 점착제층(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도포액의 도포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바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롤 코팅법, 블레이드 코팅법, 다이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 도포액은, 도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면 그 성상(性狀)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점착제층(12)을 형성하기 위한 성분을 용질로서 함유할 경우도 있으면, 분산질로서 함유할 경우도 있다. 또한, 박리 시트는 공정 재료로서 박리해도 되고, 피착체에 첩부할 때까지의 동안, 점착제층(12)을 보호하고 있어도 된다.
점착제층(12)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성 조성물이 상술한 가교제를 함유할 경우에는, 상기의 건조 조건(온도, 시간 등)을 바꿈으로써, 또는 가열 처리를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도막 내의 폴리머 성분과 가교제와의 가교 반응을 진행시켜, 점착제층(12) 내에 원하는 존재 밀도로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가교 반응을 충분히 진행시키기 위해, 점착제층(12)과 기재(11)를 첩합한 후, 예를 들면 23℃, 상대습도 50%의 환경에 수일간 정치하는 등의 양생(養生)을 행해도 된다.
3. 워크 가공용 시트의 사용 방법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는, 반도체 웨이퍼 등의 워크의 가공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의 점착면을 워크에 첩부한 후, 워크 가공용 시트(1) 상에서 워크의 가공을 행할 수 있다. 상기 가공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는, 백 그라인드 시트, 다이싱 시트, 익스팬드 시트, 픽업 시트 등으로서 사용되어진다. 여기에서, 워크의 예로서는, 반도체 웨이퍼, 반도체 패키지 등의 반도체 부재, 유리판 등의 유리 부재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나타낸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는, 상술한 워크 가공용 시트 중에서도, 특히 다이싱 시트, 익스팬드 시트 또는 픽업 시트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가 상술한 접착제층을 구비할 경우에는, 상기 워크 가공용 시트(1)는, 다이싱·다이본딩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가 상술한 보호막 형성층을 구비할 경우에는, 상기 워크 가공용 시트(1)는, 보호막 형성 겸 다이싱용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12)이, 상술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로 구성될 경우에는, 사용 시에, 다음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워크 가공용 시트(1) 상에서 워크의 가공이 완료되어, 가공 후의 워크를 워크 가공용 시트(1)로부터 분리할 경우에, 상기 분리 전에 점착제층(12)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점착제층(12)이 경화되어, 가공 후의 워크에 대한 점착 시트의 점착력이 양호하게 저하해, 가공 후의 워크의 분리가 용이해진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 기재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가공용 시트(1)에 있어서의 기재(11)와 점착제층(12) 사이, 또는 기재(1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12)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다른 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표면층(111)에 있어서의 중간층(112)과는 반대측의 면, 표면층(111)과 중간층(112) 사이, 중간층(112)과 이면층(113) 사이, 및 이면층(113)에 있어서의 중간층(112)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각각 다른 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기재의 제작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노바텍 FX3B」) 45질량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웰넥스 RFX4V」) 16질량부, 산변성 수지(SK functional polymer사 제품, 제품명 「BONDINE LX4110」, 아크릴산에틸 함유량: 5질량%, 산성분량: 3질량%) 15질량부, 및 대전 방지제(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제품명 「펠렉트론 PVH」) 25질량부를 각각 건조시킨 후, 이축 혼련기로 혼련함으로써, 표면층용 펠렛을 얻었다.
또한,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노바텍 FX3B」) 28질량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웰넥스 RFX4V」) 39질량부, 및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SAHI KASEI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터프텍 H1041」,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 비율: 30wt%) 33질량부를 각각 건조시킨 후, 이축 혼련기로 혼련함으로써, 중간층용 펠렛을 얻었다.
또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웰넥스 RFX4V」) 70질량부, 및 대전 방지제(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제품명 「펠렉트론 PVH」) 30질량부를 각각 건조시킨 후, 이축 혼련기로 혼련함으로써, 이면층용 펠렛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3종의 펠렛을 이용하여, 소형 T 다이 압출기(Toyo Seiki Seisaku-sho, Ltd. 제품, 제품명 「라보플라스토밀」)에 의해 공압출 성형하고, 두께 4㎛의 표면층과, 두께 64㎛의 중간층과, 두께 12㎛의 이면층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기재를 얻었다.
(2) 점착성 조성물의 조제
아크릴산n-부틸 62질량부와, 메타크릴산메틸 10질량부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28질량부를, 용액 중합법에 의해 중합시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를 얻었다. 계속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를 구성하는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에 대하여 80몰%에 상당하는 양의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MOI)를 첨가함과 함께, 주석 함유 촉매로서의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DBTDL)를,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0.13질량부의 양으로 첨가했다. 그 후, 50℃에서 24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측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기가 도입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를 얻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측정한 바, 50만이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측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기가 도입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100질량부(고형분 환산, 이하 같음)와, 광중합개시제로서의 2-히드록시-1-{4-[4-(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BASF사 제품, 제품명 「Omnirad 127」) 2질량부와, 가교제로서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OSOH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콜로네이트 L」) 1질량부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여,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액을 얻었다.
(3) 점착제층의 형성
두께 38㎛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에 실리콘계의 박리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LINTEC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SP-PET381031」)의 박리면에 대하여, 상기 공정 (2)에서 얻어진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액을 도포하고, 가열에 의해 건조시킴으로써, 박리 시트 상에, 두께 5㎛의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4) 점착 시트의 제작
상기 공정 (1)에서 얻어진 기재에 있어서의 표면층 측의 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상기 코로나 처리면과, 상기 공정 (3)에서 얻어진 적층체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측의 면을 첩합함으로써, 워크 가공용 시트를 얻었다.
여기에서, 상술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겔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GPC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측정 조건>
·측정 장치: TOSOH CORPORATION 제품, HLC-8320
·GPC 칼럼(이하의 순으로 통과): TOSOH CORPORATION 제품
TSK gel superH-H
TSK gel superHM-H
TSK gel superH2000
·측정 용매: 테트라히드로퓨란
·측정 온도: 40℃
〔실시예 2〕
표면층 및 이면층용 수지로서의 저밀도 폴리에틸렌(Ube Industries, Ltd. 제품, 제품명 「F244N」, 멜트 플로 레이트: 2g/10min) 및 중간층용 수지로서의 저밀도 폴리에틸렌(Ube Industries, Ltd. 제품, 제품명 「F522A」, 저밀도 폴리에틸렌, 멜트 플로 레이트: 5g/10min)을, 소형 T 다이 압출기(Toyo Seiki Seisaku-sho, Ltd. 제품, 제품명 「라보플라스토밀」)에 의해 공압출 성형하고, 두께 21㎛의 표면층과, 두께 28㎛의 중간층과, 두께 21㎛의 이면층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기재를 얻었다. 상기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워크 가공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3〕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노바텍 FX3B」) 28질량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웰넥스 RFX4V」) 45질량부, 및 대전 방지제(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제품명 「펠렉트론 PVH」) 30질량부를 각각 건조시킨 후, 이축 혼련기로 혼련함으로써, 표면층용 펠렛을 얻었다.
또한,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노바텍 FX3B」) 38질량부, 및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웰넥스 RFX4V」) 62질량부를 각각 건조시킨 후, 이축 혼련기로 혼련함으로써, 중간층용 펠렛을 얻었다.
또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웰넥스 RFX4V」) 65질량부, 및 대전 방지제(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제품명 「펠렉트론 PVH」) 35질량부를 각각 건조시킨 후, 이축 혼련기로 혼련함으로써, 이면층용 펠렛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3종의 펠렛을 이용하여, 소형 T 다이 압출기(Toyo Seiki Seisaku-sho, Ltd. 제품, 제품명 「라보플라스토밀」)에 의해 공압출 성형하고, 두께 4㎛의 표면층과, 두께 68㎛의 중간층과, 두께 8㎛의 이면층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기재를 얻었다. 상기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워크 가공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1〕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Du Pont-Mitsui Polychemicals Co. Ltd. 제품, 제품명 「뉴크렐 N0903HC」)를, 소형 T 다이 압출기(Toyo Seiki Seisaku-sho, Ltd. 제품, 제품명 「라보플라스토밀」)에 의해 압출 성형함으로써, 두께 80㎛의 EMAA 필름을 얻었다. 상기 EMAA 필름을 기재로서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워크 가공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제작한 EMAA 필름의 편면에 대해, 하기의 조건으로 전자선 조사를 행했다. 이 전자선 조사 후의 EMAA 필름을 기재로서 이용함과 함께, 상기 기재에 있어서의 전자선 조사를 행한 면에 대하여 점착제층을 적층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워크 가공용 시트를 얻었다.
전자선 조사의 조사 조건
조사량: 110kGy
조사 횟수: 1회
적산 조사량: 110kGy
〔시험예 1〕(파단 신도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기재를 15㎜ × 150㎜의 시험편으로 재단했다. 이때, 150㎜의 변(邊)이 기재의 MD 방향(기재의 제조 시의 흐름 방향)과 평행해지며, 또한, 15㎜의 변이 기재의 CD 방향(상기 MD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재단을 행했다(이하, 상기 시험편을, 「MD 방향 시험편」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그리고, 상기 MD 방향 시험편에 대해서, JIS K7127:1999에 준거하여, 파단 신도를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MD 방향 시험편을, 인장 시험기(Shimadzu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오토 그래프 AG-Xplus 100N」)로, 척간 거리 100㎜로 설정한 후, 23℃의 환경 하, 200㎜/min의 속도로, 기재의 장변 방향(MD 방향)으로 시험편을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하고, 파단 신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MD 방향에 따른 파단 신도로서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MD 방향과 CD 방향을 교체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기재를 재단함으로써, 시험편을 얻었다(이하, 상기 시험편을, 「CD 방향 시험편」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그리고, 상기 CD 방향 시험편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파단 신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CD 방향에 따른 파단 신도로서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2〕(인장 응력 및 그 비의 측정)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제작한 MD 방향 시험편에 대해서, JIS K7127:1999에 준거하여, 인장 시험기(Shimadzu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오토 그래프 AG-Xplus 100N」)를 이용하여, 척간 거리를 100㎜로 하고, 23℃의 환경 하, 200㎜/min의 속도로, MD 방향 시험편을 장변 방향(M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하고, 인장 신도(%)를 0%부터 150%까지 상승시켰을 때의, 인장 응력(㎫)의 변동을 측정했다. 그리고, 인장 신도(%)가 10%, 25% 및 50%의 신장 시에 있어서의 인장 응력(㎫)을 기록했다. 이들 인장 응력을, MD 방향에 따른 인장 응력으로서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제작한 CD 방향 시험편에 대해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장변 방향(C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하고, 인장 신도(%)를 0%부터 150%까지 상승시켰을 때의, 인장 응력(㎫)의 변동을 측정했다. 그리고, 인장 신도(%)가 10%, 25% 및 50%의 신장 시에 있어서의 인장 응력(㎫)을 기록했다. 이들 인장 응력을, CD 방향에 따른 인장 응력으로서 표 2에 나타낸다.
그리고, 10% 신장 시에 있어서의 CD 방향에 따른 인장 응력에 대한, 10% 신장 시에 있어서의 MD 방향에 따른 인장 응력의 비(R10%)를 산출했다. 마찬가지로, 25% 신장 시에 대한 인장 응력의 비(R25%), 및 50% 신장 시에 대한 인장 응력의 비(R50%)를 산출했다. 이들 결과도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3〕(익스팬드성의 평가)
그라인더(DISCO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DFG8540」)를 이용하여, 두께가 350㎛가 될 때까지, 6인치 실리콘 웨이퍼의 편면을 연삭했다. 상기 연삭면에 대해,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워크 가공용 시트로부터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노출된 점착제층의 노출면을 첩부했다.
첩부로부터 20분 후, 다이싱 장치(DISCO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DFD6362」)를 이용하여, 이하의 다이싱 조건으로 다이싱을 행함으로써, 실리콘 웨이퍼를 칩으로 개편화했다.
다이싱 조건
칩 사이즈: 5㎜ × 5㎜
커팅 높이
Z1: 0.135㎜
Z2: 0.060㎜
블레이드: 이하의 Z1 및 Z2, 모두 DISCO CORPORATION 제품
Z1: 제품명 「ZH05-SD3000-50DD」
Z2: 제품명 「NBC-SD3000-50BB」
블레이드 회전 수
Z1: 30000rpm
Z2: 45000rpm
절삭 스피드: 20㎜/sec
절삭수량: 1.0L/min
절삭수 온도: 20℃
그 후, 자외선 조사 장치(LINTEC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RAD-2000」)를 이용하여, 워크 가공용 시트의 점착제층에 대해, 기재를 개재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자외선을 조사하고(광량 160mJ/㎠), 점착제층을 경화시켰다.
그 후, 다이싱에 의해 얻어진 칩 및 링 프레임이 첩부된 워크 가공용 시트를, 익스팬드 장치(Hugle Electronics Inc. 제품, 제품명 「HS-1840」)에 설치하고, 링 프레임을 1㎜/sec의 속도로, 워크 가공용 시트가 파단할 때까지 당겨 떨어뜨림을 행했다. 그리고, 파단 시의 당겨 떨어뜨림량(㎜)을 기록했다. 또, 장치의 당겨 떨어뜨림 한계(80㎜)에 도달해도 파단하지 않았던 것에 대해서는, 「>80㎜」라고 기록했다. 또한, 이하의 기준에 의거하여, 익스팬드성을 평가했다. 파단 시의 당겨 떨어뜨림량 및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 파단 시의 당겨 떨어뜨림량이 20㎜ 이상이었다.
×: 파단 시의 당겨 떨어뜨림량이 20㎜ 미만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표 2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제조한 워크 가공용 시트는, 우수한 익스팬드성을 나타냈다.
본 발명의 워크 가공용 시트는, 반도체 웨이퍼 등의 워크의 가공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워크 가공용 시트
11: 기재
111: 표면층
112: 중간층
113: 이면층
12: 점착제층

Claims (5)

  1. 기재와, 상기 기재에 있어서의 편면측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워크 가공용 시트로서,
    상기 기재가, 상기 점착제층에 대하여 근위(近位)에 위치하는 표면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대하여 원위(遠位)에 위치하는 이면층과, 상기 표면층과 상기 이면층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비하고,
    단변(短邊)이 15㎜인 단책상(短冊狀)으로 상기 기재를 재단하여 이루어지는 시험편에 대해서, 23℃의 환경 하에서, 척간 거리 100㎜, 인장 속도 200㎜/min으로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파단 신도가, MD 방향으로 인장할 경우 및 CD 방향으로 인장할 경우의 양방에 대해서, 600% 이상이며,
    상기 기재를 그 C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25% 신장 시의 인장 응력에 대한, 상기 기재를 M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25% 신장 시의 인장 응력의 비(R25%)가, 1.3 이하이며,
    상기 기재를 그 C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50% 신장 시의 인장 응력에 대한, 상기 기재를 MD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 시험을 행했을 경우에 측정되는 50% 신장 시의 인장 응력의 비(R50%)가,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가공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 상기 중간층 및 상기 이면층의 각각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함과 동시에,
    상기 표면층 및 상기 이면층의 각각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가공용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중간층은, 상기 표면층 및 상기 이면층의 각각보다 적은 함유량(단위: 질량%)으로 상기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가공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 상기 중간층 및 상기 이면층의 각각이, 폴리에틸렌을 함유하고,
    상기 중간층에 함유되는 폴리에틸렌은, 상기 표면층 및 상기 이면층에 함유되는 각각의 폴리에틸렌과는, JIS K7210-1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멜트 플로 레이트(MFR)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가공용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이싱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가공용 시트.
KR1020220016144A 2021-03-31 2022-02-08 워크 가공용 시트 KR202201360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60043 2021-03-31
JPJP-P-2021-060043 2021-03-31
JPJP-P-2022-006073 2022-01-19
JP2022006073A JP2022158902A (ja) 2021-03-31 2022-01-19 ワーク加工用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091A true KR20220136091A (ko) 2022-10-07

Family

ID=8340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144A KR20220136091A (ko) 2021-03-31 2022-02-08 워크 가공용 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136091A (ko)
CN (1) CN115141569A (ko)
TW (1) TW2022395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6616B2 (ja) 2013-10-31 2017-06-1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ダイシング用基体フィルム、ダイシングフィルム、及び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6616B2 (ja) 2013-10-31 2017-06-1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ダイシング用基体フィルム、ダイシングフィルム、及び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39586A (zh) 2022-10-16
CN115141569A (zh)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9736A (ko) 다이싱 다이본딩 필름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EP3125276A1 (en) Base film for dicing sheet, dicing sheet including said bas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id base film
TWI642717B (zh) 切割膜片
JP5603453B1 (ja) 半導体ウェハ保護用粘着テープ
EP3073516A1 (en) Dicing-sheet base film, dicing sheet containing said bas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base film
KR101908390B1 (ko) 반도체 가공시트용 기재필름, 반도체 가공시트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TWI791485B (zh) 隱形切割用黏著片及半導體裝置的製造方法
KR102382843B1 (ko) 스텔스 다이싱용 점착 시트 및 이를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TW201813756A (zh) 雷射切割用輔助片
US20110076490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retaining elements and method of producing elements
KR20220136091A (ko) 워크 가공용 시트
TWI827719B (zh) 電漿切割用切割片
KR20210149599A (ko) 반도체 가공용 점착 시트
JP6535047B2 (ja) 半導体加工用粘着テープ
JP2022158902A (ja) ワーク加工用シート
KR20220136043A (ko) 워크 가공용 시트
KR20220136044A (ko) 워크 가공용 시트
JP7492354B2 (ja) ワーク加工用シート
WO2018083986A1 (ja) ステルスダイシング用粘着シート
JP2022156391A (ja) ワーク加工用シート
EP3073515A1 (en) Dicing-sheet base film and base-film manufacturing method
KR20220136042A (ko) 워크 가공용 시트
JP2021153098A (ja) ワーク加工用シート
TW202311043A (zh) 黏著膠帶
JP2023141976A (ja) ワーク加工用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