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706A - 전동기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기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706A
KR20220133706A KR1020210039165A KR20210039165A KR20220133706A KR 20220133706 A KR20220133706 A KR 20220133706A KR 1020210039165 A KR1020210039165 A KR 1020210039165A KR 20210039165 A KR20210039165 A KR 20210039165A KR 20220133706 A KR20220133706 A KR 20220133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onnector
case
pai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248B1 (ko
Inventor
김동식
양천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1003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248B1/ko
Priority to CN202180096321.4A priority patent/CN117083789A/zh
Priority to PCT/KR2021/017491 priority patent/WO2022203156A1/ko
Publication of KR20220133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Abstract

전동기 구동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는 조작 모듈이 연결되는 전동기 구동 장치로서, 제 1 면이 형성되는 제 1 케이스;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제 1 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에 상기 조작 모듈이 결합되는 제 2 케이스; 상기 제 1 면에 배치되고 일측에 제 1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 1 회로기판; 상기 제 2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 2 회로기판; 상기 제 1 회로기판과 수직한 상태로 상기 제 2 회로기판의 일측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1 고정 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기 구동 장치{APPARATUS FOR DRIVING MOTOR}
본 발명은 전동기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결합용 구성없이도 조립이 용이한 전동기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 구동 장치는 사용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받아 자체 내에서 전압과 주파수를 가변 시켜 전동기에 공급함으로써 전동기의 속도를 고효율로 제어하는 일련을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전동기 구동 장치는 전세계 적으로 에너지 절감 및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으로 계속적으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종래보다 향상된 성능을 탑재하고 보다 소형화된 전동기 구동 장치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전동기 구동 장치는 케이스가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구동을 위한 회로부가 수용된다.
회로부는 파워보드, 필터보드, 제어보드 및/또는 캡보드와 같은 다수 개의 주요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이러한 다수 개의 회로 기판은 상호 간 전기적인 신호 연결을 위해 와이어 또는 꺽쇠 구조물과 같은 도체로써 상호 연결되거나, 와이어와 커넥터로 구성된 케이블로써 상호 연결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복잡한 종래의 기판 연결구조는 전동기 구동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작업 시간을 늘릴 뿐만 아니라, 자동화 공정 상에 필요한 조립의 자동화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나아가, 와이어 또는 케이블은 전동기 구동장치 내부에서 안테나와 같이 노이즈 신호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제거하기 위한 시도가 있어왔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공보 제10-2213128호에서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제거하도록 일부 회로기판을 다른 회로기판과 수직하게 배치하고 커넥터로 연결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부 회로기판과 다른 회로기판을 커넥터로만 연결하는 경우 와이어 또는 케이블에 따른 단점을 극복할 수 있지만, 진동 또는 충격 환경에서 수직으로 배치된 회로기판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해 작동 품질의 저하가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13128호(전동기 구동 장치)
본 발명은, 진동 또는 충격 환경에서도 수직으로 배치된 회로기판이 케이스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전동기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으로 배치된 회로기판이 별도의 결합을 위한 조립 나사 없이도 케이스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전동기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회로기판이 수직으로 배치된 회로기판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 전동기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는, 조작 모듈이 연결되는 전동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제 1 면이 형성되는 제 1 케이스;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제 1 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에 상기 조작 모듈이 결합되는 제 2 케이스; 상기 제 1 면에 배치되고 일측에 제 1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 1 회로기판; 상기 제 2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 2 회로기판; 상기 제 1 회로기판과 수직한 상태로 상기 제 2 회로기판의 일측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1 고정 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고정 부재는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단; 및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단의 내측 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고정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로기판의 일측은 상기 한 쌍의 제 1 고정 돌기 사이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단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제 1 고정 돌기에는 상기 제 2 회로기판의 일측을 상기 한 쌍의 제 1 고정 돌기의 사이로 유도하도록 제 1 가이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회로기판의 타측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 2 케이스 내부에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 2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고정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 부재는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단; 및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단의 내측 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 2 고정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로기판의 타측은 상기 한 쌍의 제 2 고정 돌기 사이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단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제 2 고정 돌기에는 상기 제 2 회로기판의 타측을 상기 한 쌍의 제 2 고정 돌기 사이로 유도하도록 제 2 가이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회로기판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측에 제 3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 3 회로기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로기판은 상기 제 3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4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 및 상기 제 3 커넥터와 상기 제 4 커넥터는 상기 제 1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4 커넥터가 상기 제 3 커넥터에 결합 시 상기 제 3 회로기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 3 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3 커넥터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지지 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회로기판은 상기 제 3 회로기판 상의 상기 제 3 커넥터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홈부; 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선단면이 상기 제 3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및 상기 홈부의 테두리부의 양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홈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몸체가 상기 홈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돌기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고정부에는 상기 테두리부를 상기 복수의 고정부 사이로 유도하도록 지지부 가이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회로기판은 타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돌출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 5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케이스에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제 2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내부면에 연장 형상되는 복수의 제 1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조작 모듈은 상기 제 1 면의 이면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관통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 4 회로기판; 및 상기 제 4 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 2 케이스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제 5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6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통홀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관통홀로 유도되도록 제 1 관통홀 가이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회로기판이 상기 제 1 면 측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선단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 2 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커넥터 또는 상기 제 4 커넥터와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2 관통홀 측으로 돌출되는 탄성대; 상기 탄성대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선단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는, 제 1 고정 부재 및 제 2 고정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 환경에서도 수직으로 배치된 회로기판이 케이스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는,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수직으로 배치된 회로기판이 별도의 결합을 위한 조립 나사 없이도 케이스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회로기판이 수직으로 배치된 회로기판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제 1 고정 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제 1 고정 부재에 제 2 회로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제 2 고정 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제 2 고정 부재에 제 2 회로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지지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지지 부재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지지 부재를 타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지지 부재를 측면도이다.
도 9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지지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지지 부재가 제 1 회로기판에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조작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가압 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제 1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접속이라는 표현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물론 다른 구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은, 진동 또는 충격 환경에서도 수직으로 배치된 회로기판이 별도의 결합을 위한 조립 나사 없이도 케이스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전동기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복수의 회로기판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회로기판이 수직을 배치된 회로기판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 전동기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표시된 전동기 구동 장치의 상부를 향하는 방향을 상측 방향, 조작 모듈이 결합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는 제 1 케이스(120) 및 제 2 케이스(110)를 구비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는 제 1 케이스(120) 및 제 2 케이스(110)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에 제 1 회로기판(130) 및 제 2 회로기판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120)는 전방에 제 1 면(125)이 형성되는 프레임(122) 및 방열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122)의 제 1 면(125)에는 후술하는 제 1 회로기판(130)이 제 1 면(125)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22)의 후방면 즉 제 1 면(125)의 이면에는 방열부(124)가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124)는 후술하는 제 1 회로기판(130) 및 제 2 회로기판(14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한다.
방열부(124)의 일측에는 팬이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다. 팬은 외부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방열부(124) 측으로 공급한다. 이를 통해 방열부(124)로 전달된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방열부(1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2)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출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케이스(120)의 제 1 면(125)의 전방에는 제 1 면(125)을 폐쇄하는 제 2 케이스(110)가 배치된다.
제 1 케이스(120)와 제 2 케이스(110) 사이에는 외부와 구획되는 내부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제 2 케이스(110)는 후방면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나,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면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에는 후술하는 제 1 회로기판(130) 및 제 2 회로기판(140)이 수용된다. 또한, 제 2 케이스(110)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부(124)와 함께 제 1 회로기판(130) 및 제 2 회로기판(14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한편, 제 2 케이스(110)의 내부 전방 측에는 제 1 면(125)에 대향하는 제 2 면(111)이 형성된다. 제 2 면(111)에는 제 2 케이스(110) 내부의 수용공간과 외부가 관통될 수 있는 복수의 제 1 관통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120) 및 제 2 케이스(110)에 의해 형성된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회로기판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회로기판(130)은 제 1 케이스(120)의 제 1 면(125)에 고정된 상태로 수용된다. 제 1 회로기판(130)은 제 1 면(125)에 고정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된 다양한 부품 또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사결합으로 고정되거나, 제 1 면(125)으로부터 돌출된 원뿔 모양의 기둥(123)이 제 1 회로기판(130)을 관통하여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제 1 고정 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제 1 고정 부재에 제 2 회로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100)의 제 1 회로기판(130)의 일측에는 제 1 커넥터(132)가 구비된다. 제 1 회로기판(130)은 제 1 커넥터(132)를 통하여 다른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커넥터(132)는 제 1 면(125)에 수직한 방향으로 다른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 1 회로기판(130)은 전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회로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여 전동기 구동을 위한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를 생성하는 기능과, 입력 전압을 평활시키는 DC-링크 평활 기능과, DC-링크 전압과 인버터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력 회로의 기능을 위해 제 1 회로기판(130)에는 아이지비티(IGBT), 파워릴레이(Power relay),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ate Driver IC), Hall-CT, DC Ractor, 스너버 콘덴서(Snubber Capacitor)이 주요 부품으로 실장될 수 있다.
제 2 회로기판(140)은 제 1 케이스(120) 및 제 2 케이스(110)에 의해 형성된 내부의 수용공간에 제 1 면(125)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100)의 제 2 회로기판(140)에는 제 2 커넥터(142)가 일측에 배치된다. 제 2 커넥터(142)는 제 1 커넥터(132)에 결합됨으로써 제 1 회로기판(130)과 제 2 회로기판(1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142)는 제 2 회로기판(140)을 제 1 면(125)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 2 커넥터(142)를 제 1 커넥터(132)에 결합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 2 회로기판(140)은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회로는 작동 지령과 속도 지령 그리고 전압과 전류 정보를 사용하여 전동기 제어를 위한 신호(PWM)를 발생시키는 제어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회로의 기능을 위해 제 2 회로기판(140)에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이 주요 부품으로 실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100)는 제 1 회로기판(130) 및 제 2 회로기판(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회로기판(1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3 회로기판(150)은 제 1 회로기판(130)의 전방 측에 이격되고 제 1 회로기판(13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3 회로기판(150)은 필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필터 회로는 인버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성분 저감시키는 필터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필터 회로의 기능을 위하여 제 3 회로기판(150)에는 EMC Choke, X-Capacitor, Y-Capacitor, Transformer가 주요 부품으로 실장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 1 회로기판(130) 내지 제 3 회로기판(150)은 다른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회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3 회로기판(150)이 제 1 회로기판(130)의 전방 측에 고정되기 위하여는 제 1 회로기판(130)이 제 1 케이스(120)에 고정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회로기판(150)에는 제 2 회로기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 3 커넥터(152)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제 3 커넥터(152)와 결합하는 제 4 커넥터(144)가 제 2 회로기판(140)에 구비될 수 있다.
제 3 커넥터(152)는 제 3 회로기판(15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 때, 제 3 회로기판(150)에는 제 1 커넥터(132)가 전방 측으로 드러나도록 커팅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팅부(154)와 제 3 커넥터(152)에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회로기판(140) 상에는 제 4 커넥터(144)가 제 2 커넥터(142)보다 제 2 회로기판(140)의 내측에 배치된다. 즉, 제 2 회로기판(140)의 일측부는 상부 측이 후방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2 회로기판(140)을 제 1 면(125)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 1 커넥터(132)와 제 2 커넥터(142) 및 제 3 커넥터(152)와 제 4 커넥터(144)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2 회로기판(140)이 제 1 회로기판(130)과 제 3 회로기판(150)에 연결될 상태에서 제 1 케이스(120)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100)는 제 1 고정 부재(160)를 구비한다.
제 1 고정 부재(160)의 개수는 제 1 케이스(120)의 구조 또는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 1 고정 부재(160)는 제 2 커넥터(142) 및 제 4 커넥터(144)가 제 1 커넥터(132) 및 제 3 커넥터(152)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 외에 제 1 고정 부재(160)에 끼움 결합되어 제 1 케이스(120)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100)의 제 1 고정 부재(160)는 한 쌍의 제 1 지지단(162) 및 한 쌍의 제 1 고정 돌기(164)를 구비한다.
한 쌍의 제 1 지지단(162)은 제 1 면(125)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제 1 지지단(162)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한 쌍의 제 1 지지단(162) 사이에는 제 2 회로기판(140)의 후방 측 모서리가 배치된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회로기판(140)의 후방 측 모서리 상부 측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되는 위치는 제 1 케이스(120)의 구조나 제 1 케이스(120)에 배치되는 구성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 부재(160)의 개수에 따라서 복수의 위치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제 1 지지단(162)의 전방 측 단부에는 한 쌍의 제 1 지지단(162) 사이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고정 돌기(164)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 2 회로기판(140)의 후방 측 모서리가 한 쌍의 제 1 고정 돌기(164) 사이 끼움 결합된다.
이 때, 한 쌍의 제 1 지지단(162)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한 쌍의 제 1 고정 돌기(164)가 제 2 회로기판(140)의 후방 측 모서리를 양쪽에서 가압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 2 회로기판(140)은 제 1 면(125)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 1 커넥터(132), 제 3 커넥터(152) 및 제 1 고정 부재(160)에 결합되어 제 1 케이스(120)에 고정된다.
제 1 고정 부재(160)가 제 1 면(125)에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결합을 위한 구성, 예를 들면 나사가 체결되지 않더라도 진동 또는 충격 환경에서 제 2 회로기판(140)이 제 1 회로기판(130) 및 제 3 회로기판(150)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100)의 제 1 고정 돌기(183)에는 제 1 가이드면(165)이 형성된다.
제 1 가이드면(165)은 한 쌍의 제 1 고정 돌기(164) 사이로 제 2 회로기판(140)의 후방 측 모서리가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립을 하는 자 또는 로봇이 제 2 회로기판(140)을 결합할 때 일부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제 2 회로기판(140)의 후방 측 모서리가 제 1 가이드면(165)을 따라 제 1 고정 부재(16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결합 작업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회로기판(140)의 후방 측 모서리 중 제 1 고정 부재(160)에 결합되는 위치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결합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41)는 제 2 커넥터(142) 및 제 4 커넥터(144)가 제 1 커넥터(132) 및 제 3 커넥터(152)에 각각 연결되기 전에 제 1 고정 부재(16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조립을 하는 사람 또는 로봇은 결합부(141)가 한 쌍의 제 1 고정 돌기(164)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후방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제 2 커넥터(142) 및 제 4 커넥터(144)를 제 1 커넥터(132) 및 제 3 커넥터(152)에 각각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조립을 하는 사람 또는 로봇은 보다 쉽게 제 2 회로기판(140)이 고정되는 위치를 파악하여 용이하게 결합부(141)를 제 2 회로기판(140)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고정 부재(160)의 의하여 정렬된 상태에서 제 2 커넥터(142) 및 제 4 커넥터(144)를 쉽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결합부(141)가 돌출된 정도에 따라서 제 1 케이스(120)의 제 1 면(125)에는 결합부(141)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제 2 고정 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제 2 고정 부재에 제 2 회로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100)는 제 2 회로기판(140)의 전방 측 모서리가 제 2 케이스(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 2 고정 부재(170)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고정 부재(170)는 제 2 케이스(110)의 제 2 면(111)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2 회로기판(140)의 전방 측 모서리에는 제 2 고정 부재(17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돌출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고정 부재(170)는 제 1 고정 부재(160)와 마찬가지도 한 쌍의 제 2 지지단(172) 및 한 쌍의 제 2 고정 돌기(174)를 구비하고, 제 2 고정 돌기(183)에는 제 2 가이드면(175)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고정 부재(170)에 대한 설명 중 제 1 고정 부재(160)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지지단(172)의 제 2 면(111) 측 단부에는 리브(176)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176)는 제 2 지지단(172)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더라도 파손이 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고정 부재(170)의 내구성이 증가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지지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지지 부재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지지 부재를 타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지지 부재를 측면도이다. 도 9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지지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지지 부재가 제 1 회로기판에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100)는 지지 부재(1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 부재(180)는 제 3 회로기판(150)이 제 1 회로기판(130)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제 3 회로기판(150)을 지지한다.
지지 부재(1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부품이 설치됨에 따라 구조적으로 제 3 회로기판(150)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 배치될 수 없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 3 회로기판(150)을 지지한다.
이 때, 지지 부재(180)는 제 3 커넥터(152)가 제 3 회로기판(150)의 일면에 배치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타면 측에 지지 부재(18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3 회로기판(150)을 가운데 두고 제 3 커넥터(152)와 지지 부재(180)가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180)가 제 3 회로기판(150)을 지지함에 따라, 사용자가 제 2 회로기판(140)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제 3 커넥터(152)에 제 4 커넥터(144)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지지 부재(180)는 제 3 회로기판(150)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 1 회로기판(13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100)의 제 1 회로기판(130)에는 지지 부재(180)가 결합할 수 있는 홈부(134)가 형성되고, 지지 부재(180)는 몸체(182), 지지부(184) 및 복수의 고정부(187)를 구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34)의 형상은 D의 형상으로 제 1 회로기판(130)의 중심부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홈부(134)의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홈부(134)는 지지 부재(180)가 제 3 커넥터(152)의 이면에 배치되도록 제 3 회로기판(150)의 제 3 커넥터(152)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 때, 몸체(182)는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단면이 제 1 회로기판(130)에 형성된 홈부(134)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몸체(182)는 홈부(134)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82)의 전방면에는 전방으로 지지부(18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지지부(184)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제 1 회로기판(130)과 제 3 회로기판(150)이 이격되어야 하는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84)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부(184) 사이에는 격벽(189)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격벽(189)은 지지부(184)의 강성을 높여 제 3 회로기판(15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82)의 측면에는 고정부(187)가 돌출된다. 고정부(187)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87)는 홈부(134)의 테두리부의 전방면과 후방면을 지지한다.
이 때,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87)는 몸체(182)의 좌우 측에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측에는 두 개의 고정부(187)가 형성되고 전방 측에는 세 개의 고정부(187)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고정부(187)는 교호하여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전방 측에 배치되는 고정부(187)는 제 3 커넥터(152)가 제 4 커넥터(144)에 결합되는 상태에서 제 3 회로기판(1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좌우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고정부(187)의 후방면과 제 1 회로기판(130)의 전방면이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도 8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부(187)에는 지지 부재(18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경사면, 즉 가이드면(188)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면(188)에 의하여 홈부(134)의 테두리부가 유도되어 몸체(182)가 홈부(134)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면(188)은 전방 측 고정부(187)는 후방면에 형성되고 후방 측 고정부(187)는 전방면에 형성된다.
도 8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84)의 전방에는 제 3 회로기판(150)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185)이 형성된다. 이 때, 지지부(184)의 전방에는 지지부(184)가 홈부(134)에 끼움 결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부 가이드면(186)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 가이드면(186)은 제 1 회로기판(130) 및 제 3 회로기판(150)이 이격 배치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 부재(180)를 교체할 때, 제 3 회로기판(150)의 후방면이 일정부분 쳐지더라도 제 3 회로기판(150)의 후방면을 유도하여 지지 부재(180)가 홈부(134)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지 부재(180)를 제 3 회로기판(150)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쉽게 교체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
도 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100)의 지지 부재(180)는 돌기(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83)는 몸체(182)의 측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좌우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돌출되는 돌기(183)의 개수나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한편, 몸체(182)의 돌기(183)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홈부(134)의 내주면에 안착홈(135)이 형성된다.
안착홈(135)의 개수는 돌기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안착홈(135)의 모양은 돌기가 안착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돌기(183)의 형상에 대응되어
이에 따라, 도 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82)가 홈부(134)에 결합된 상태에서 돌기(183)가 안착홈(135)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몸체(182)가 홈부(13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조작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가압 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제 1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는 전동기 구동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하여 조작 모듈(200)을 구비한다. 조작 모듈(200)은 사용자가 전동기 구동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 2 케이스(110)의 전방에 결합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모듈(200)은 하우징(210), 커버(220), 제 4 회로기판(240) 및 조작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제 2 케이스(110)의 전방에 결합된다. 하우징(2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10)의 전방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나, 결합되는 구조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210)의 전방 측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커버(220)가 배치된다. 커버(220)는 하우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220)의 전방 측에는 사용자가 전동기 구동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부(230)가 배치된다. 조작부(230)는 버튼부, 디스플레이부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220)와 하우징(2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제 4 회로기판(240)이 배치된다. 제 4 회로기판(240)은 제 2 회로기판(14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조작부(230)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전동기 구동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4 회로기판(240)이 제 2 회로기판(140)에 연결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100)의 제 2 회로기판(140)에는 제 5 커넥터(146)가 구비되고, 제 4 회로기판(240)에는 제 6 커넥터(242)가 구비된다.
제 5 커넥터(146)는 제 2 커넥터(142) 및 제 4 커넥터(144)가 배치된 모서리의 반대 방향 모서리에 배치된다.
이 때, 제 5 커넥터(146)가 별도의 와이어나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제 4 회로기판(24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 2 케이스(110)에는 전방면에 복수의 제 1 관통홀(112)이 형성된다. 제 5 커넥터(146)는 복수의 제 1 관통홀(112) 중 어느 한 관통홀을 통하여 제 2 케이스(1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 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커넥터(146)가 외부에 배치되기 위하여 제 2 회로기판(140)의 전방 측에는 복수의 돌출부(145)가 형성될 수 있고, 제 5 커넥터(146)는 복수의 돌출부(145) 중 어느 한 돌출부(145)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45)는 제 2 케이스(110)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관통홀(112)을 관통한다. 이 때, 제 1 관통홀(112)은 길이 연장된 형태의 홀로 형성되고, 양단에는 돌출부(145)가 유도되어 제 1 관통홀(112)을 관통할 수 있도록 제 1 관통홀 가이드면(11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부 오차가 있더라도 용이하게 돌출부(145)가 제 1 관통홀 가이드면(113)을 따라서 제 1 관통홀(112)을 관통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100)는 조립 과정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모듈(200)이 제 2 케이스(110)에 결합되고, 제 1 회로기판(130), 제 2 회로기판(140) 및 제 3 회로기판(150)이 제 1 케이스(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완성된 전동기 구동 장치(100)로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관통홀 가이드면(113)이 형성됨에 따라서 일부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결합 불량 또는 커넥터의 접촉 불량이 없이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5 커넥터(146)는 제 4 회로기판(240)의 제 6 커넥터(242)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210)에는 제 1 관통홀(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관통홀(212)이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관통홀(212)의 형상이나 개수는 제 1 관통홀(1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나, 복수의 돌출부(145)가 제 1 관통홀(112)을 통과한 뒤 제 2 관통홀(212)을 통과하여 하우징(210) 및 커버(22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면 형상이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제 2 관통홀(212)에도 제 1 관통홀(112)과 마찬가지로 제 2 관통홀 가이드면(213)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 1 관통홀 가이드면(113)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이 때, 상술한 내부 공간에 돌출부(145)가 배치됨에 따라서 제 5 커넥터(146)도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제 6 커넥터(242)는 제 4 회로기판(240)의 후방면에 배치되고 하우징(210)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제 5 커넥터(146)와 결합하게 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100)의 조작 모듈(200)은 가압 부재(2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압 부재(250)는 제 2 회로기판(140)을 후방 측으로 가압하여, 제 2 커넥터(142) 및 제 4 커넥터(144)가 제 1 커넥터(132) 및 제 3 커넥터(15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250)는 제 2 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커넥터 또는 상기 제 4 커넥터와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100)의 가압 부재(250)는 지지대(252), 탄성대(254) 및 가압돌기(256)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대(252)는 하우징의 전방면으로부터 내부 공간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때, 하우징의 전방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제 2 회로기판(140)의 돌출부(145)가 제 2 관통홀(212)을 관통하여 조작 모듈(2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 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52)의 전단부 측면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탄성대(254)가 돌출 형성된다. 이 때, 탄성대(254)의 선단부 후방면에는 가압돌기(256)가 돌출 형성된다.
탄성대(254)는 가압돌기(256)가 돌출부(145)의 전방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제 2 관통홀(212)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145)의 전방면을 가압돌기(256)를 통해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가압 부재(250)를 구비함으로써 제 2 회로기판(140)은 별도의 나사 없이도 보다 견고하게 제 2 회로기판(140)을 제 2 케이스(110) 내부에 제 1 면(125)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 장치의 결합 구조는 전동기 구동 장치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 내부에 회로기판에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치되는 경우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장치 구조로 사용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전동기 구동 장치 152 제 3 커넥터
110 제 2 케이스 160 제 1 고정 부재
112 복수의 제 1 관통홀 170 제 2 고정 부재
113 제 1 관통홀 가이드면 180 지지 부재
120 제 1 케이스 184 지지부
130 제 1 회로기판 187 복수의 고정부
132 제 1 커넥터 200 조작 모듈
134 홈부 210 하우징
135 안착홈 212 복수의 제 2 관통홀
140 제 2 회로기판 213 제 2 관통홀 가이드면
141 결합부 220 커버
142 제 2 커넥터 230 조작부
144 제 4 커넥터 240 제 4 회로기판
145 복수의 돌출부 242 제 6 커넥터
146 제 5 커넥터 250 탄성 부재
150 제 3 회로기판

Claims (14)

  1. 조작 모듈이 연결되는 전동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제 1 면이 형성되는 제 1 케이스;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제 1 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에 상기 조작 모듈이 결합되는 제 2 케이스;
    상기 제 1 면에 배치되고 일측에 제 1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 1 회로기판;
    상기 제 2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 2 회로기판;
    상기 제 1 회로기판과 수직한 상태로 상기 제 2 회로기판의 일측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1 고정 부재; 를 포함하는, 전동기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부재는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단; 및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단의 내측 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고정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로기판의 일측은 상기 한 쌍의 제 1 고정 돌기 사이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단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전동기 구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고정 돌기에는 상기 제 2 회로기판의 일측을 상기 한 쌍의 제 1 고정 돌기의 사이로 유도하도록 제 1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전동기 구동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기판의 타측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 2 케이스 내부에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 2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고정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 부재는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단; 및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단의 내측 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 2 고정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로기판의 타측은 상기 한 쌍의 제 2 고정 돌기 사이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단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전동기 구동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 고정 돌기에는 상기 제 2 회로기판의 타측을 상기 한 쌍의 제 2 고정 돌기 사이로 유도하도록 제 2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전동기 구동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기판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측에 제 3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 3 회로기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로기판은 상기 제 3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4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 및 상기 제 3 커넥터와 상기 제 4 커넥터는 상기 제 1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4 커넥터가 상기 제 3 커넥터에 결합 시 상기 제 3 회로기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 3 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3 커넥터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지지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전동기 구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기판은 상기 제 3 회로기판 상의 상기 제 3 커넥터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홈부; 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선단면이 상기 제 3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및 상기 홈부의 테두리부의 양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부; 를 포함하는, 전동기 구동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홈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몸체가 상기 홈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돌기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전동기 구동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부에는 상기 테두리부를 상기 복수의 고정부 사이로 유도하도록 지지부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전동기 구동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기판은 타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돌출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 5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케이스에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제 2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내부면에 연장 형상되는 복수의 제 1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조작 모듈은 상기 제 1 면의 이면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관통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 4 회로기판; 및 상기 제 4 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 2 케이스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제 5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6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동기 구동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관통홀로 유도되도록 제 1 관통홀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전동기 구동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기판이 상기 제 1 면 측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선단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전동기 구동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 2 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커넥터 또는 상기 제 4 커넥터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전동기 구동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2 관통홀 측으로 돌출되는 탄성대; 상기 탄성대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선단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 를 포함하는, 전동기 구동 장치.
KR1020210039165A 2021-03-25 2021-03-25 전동기 구동 장치 KR102548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165A KR102548248B1 (ko) 2021-03-25 2021-03-25 전동기 구동 장치
CN202180096321.4A CN117083789A (zh) 2021-03-25 2021-11-25 电动机驱动装置
PCT/KR2021/017491 WO2022203156A1 (ko) 2021-03-25 2021-11-25 전동기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165A KR102548248B1 (ko) 2021-03-25 2021-03-25 전동기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706A true KR20220133706A (ko) 2022-10-05
KR102548248B1 KR102548248B1 (ko) 2023-06-26

Family

ID=8339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165A KR102548248B1 (ko) 2021-03-25 2021-03-25 전동기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48248B1 (ko)
CN (1) CN117083789A (ko)
WO (1) WO20222031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727B1 (ko) * 2023-05-25 2023-07-10 김상환 인버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9988U (ko) * 1986-08-29 1988-03-15
JPH089653A (ja) * 1994-06-16 1996-01-12 Hitachi Ltd インバータ装置
JPH1075030A (ja) * 1996-08-31 1998-03-17 Omron Corp 配線基板構造
KR20020047878A (ko) * 2000-12-14 2002-06-22 윤종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102213128B1 (ko) 2019-02-25 2021-02-05 엘에스일렉트릭(주) 전동기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207B1 (ko) * 2018-05-02 2020-02-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9988U (ko) * 1986-08-29 1988-03-15
JPH089653A (ja) * 1994-06-16 1996-01-12 Hitachi Ltd インバータ装置
JPH1075030A (ja) * 1996-08-31 1998-03-17 Omron Corp 配線基板構造
KR20020047878A (ko) * 2000-12-14 2002-06-22 윤종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102213128B1 (ko) 2019-02-25 2021-02-05 엘에스일렉트릭(주) 전동기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727B1 (ko) * 2023-05-25 2023-07-10 김상환 인버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083789A (zh) 2023-11-17
WO2022203156A1 (ko) 2022-09-29
KR102548248B1 (ko) 202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35519B (zh) 电气设备壳体以及电力转换装置
US5905647A (en) Inverter with incorporated filter circuit and improved component cooling arrangement
US6563710B1 (en) Electronic device, panel device, and supporting rail
WO2014057622A1 (ja) 電力変換装置
KR960003050A (ko) 인버터 장치
CN106466845B (zh) 机器人控制装置、机器人以及机器人系统
JP6719021B2 (ja) 電力変換装置
KR20220133706A (ko) 전동기 구동 장치
KR102213128B1 (ko) 전동기 구동장치
KR101715993B1 (ko) 모터 구동 장치
JP6723141B2 (ja) コンデンサユニット、電動圧縮機
EP3525336B1 (en) Capacitor unit, and electric compressor
US11923781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JP6488980B2 (ja) 電力変換装置
JP6743857B2 (ja) 電力変換装置
CN212991940U (zh) 电器的固线结构、线控装置、家电设备和插线板
JP2019140805A (ja) 電力変換装置
WO2020008843A1 (ja) 電力変換装置
JP7439986B2 (ja) 電力変換装置
JP6854874B1 (ja) 電力変換装置
CN219042166U (zh) 一种电机控制器
JP7465954B2 (ja) 電力変換装置
JP4442219B2 (ja) 照明装置
JP7412243B2 (ja) 回転電機装置
WO2023286257A1 (ja) 電力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