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093A - 선반 - Google Patents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093A
KR20220133093A KR1020220028038A KR20220028038A KR20220133093A KR 20220133093 A KR20220133093 A KR 20220133093A KR 1020220028038 A KR1020220028038 A KR 1020220028038A KR 20220028038 A KR20220028038 A KR 20220028038A KR 20220133093 A KR20220133093 A KR 20220133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tool rest
lathe
tool
spi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야 오다
Original Assignee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33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 B23Q5/40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by feed shaft, e.g. lead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00General-purpose turning-machines or devices, e.g. centre lathes with feed rod and lead screw; Sets of turning-machines
    • B23B3/16Turret lathes for turning individually-chucked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00General-purpose turning-machines or devices, e.g. centre lathes with feed rod and lead screw; Sets of turning-machines
    • B23B3/06Turning-machines or devices characterised only by the special arrangement of constructiona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7/00Automatic or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e.g. controlled by cams; Equipment therefor; Features common to automatic and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one or more working-spindles
    • B23B7/02Automatic or semi-automatic machines for turning of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007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while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013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23Q5/10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driven essentially by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00General-purpose turning-machines or devices, e.g. centre lathes with feed rod and lead screw; Sets of turning-machines
    • B23B3/30Turning-machines with two or more working-spindles, e.g. in fixed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0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0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for lat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24General aspects of limiting the carriage movement in la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 정밀도가 높은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공작물(W1)을 파지(把持)하여 제1 주축 중심선(CL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제1 주축(31)과, 제1 주축(31)에 파지된 공작물(W1)에 절입함으로써 공작물(W1)을 가공하는 공구(T1)가 장착되는 제1 공구대(5)와, 제1 주축 중심선(CL1)과는 직교하는 X1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공구대(5)를 X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1축 볼 나사(502)와, X1축 볼 나사(502)의, X1축 방향에서의 일단측 부분에 배치되고, X1축 볼 나사(502)의 X1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X1축 서포트 베어링(504)을 구비하고, 제1 공구대(5)는, X1축 볼 나사(502)에 맞물리고, X1축 볼 나사(502)의 회전에 의해 X1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X1축 볼 나사 너트(512)를 가지는 것이며, 공구(T1)의 절입 방향은, X1축 볼 나사 너트(512)가 X1축 서포트 베어링(504)에 접근하는 방향이다.

Description

선반{LATHE}
본 발명은, 주축(主軸)과 공구대를 구비한 선반에 관한 것이다.
공작물을 파지(把持)하여 회전 가능한 주축과, 그 주축에 파지된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구가 설치된 공구대를 구비한 선반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선반은, 공구가 공작물에 절입하는 절입 방향으로 공구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주축에 파지되어 회전하고 있는 공작물을 가공하고 있다. 공구대에는, 피구동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구동부는, 축 방향의 이동이 이동 규제부에 의해 규제된 구동축에 맞물려 있다. 구동축이 그 축 주위에 회전함으로써, 피구동부는 그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동축의 축 방향은, 절입 방향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구동축이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면, 공구대는 회전 방향을 따라 절입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일본특표 2002-50948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선반은, 공구대가 절입 방향으로 이동하여 공구가 공작물에 절입할 때, 구동축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와 공구대의 피구동부가 크게 이격하기 때문에, 열에 의해 구동축이 그 축 방향으로 신축(伸縮)하면, 공구의 절입량이 변화되어, 가공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가공 정밀도가 높은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는 본 발명의 선반은, 공작물을 파지하여 주축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주축과,
상기 주축에 파지된 상기 공작물에 절입함으로써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구가 장착되는 공구대와,
상기 주축 중심선과는 직교하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구대를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상기 축 방향에서의 일단측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의 상기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대는, 상기 구동축에 맞물리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피구동부를 가지는 것이며,
상기 공구의 절입 방향은, 상기 피구동부가 상기 이동 규제부에 접근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선반에 의하면, 상기 공구가 절입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피구동부가 상기 이동 규제부에 접근하므로, 상기 공작물의 가공 시에는 상기 이동 규제부와 피구동부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써, 가령 상기 구동축이 열에 의해 그 축 방향으로 신축해도, 상기 공구의 상기 공작물로의 절입량이 변화하기 어려워지므로, 상기 공작물의 가공 정밀도가 높아진다.
여기서, 이 선반은, 상기 주축의 전방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을 상기 주축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부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은 볼 나사라도 되고, 상기 피구동부는 그 볼 나사에 맞물린 볼 나사 너트라도 된다. 또한, 상기 이동 규제부는, 롤링 베어링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의 절입 방향은, 상기 피구동부가 상기 모터에 접근하는 방향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모터의 출력축과 상기 구동축은,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된 것이라도 된다.
이 선반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부는, 상기 공구대에서의 상기 절입 방향측 부분에 배치된 것이라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피구동부가 상기 이동 규제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므로, 상기 구동축이 그 축 방향으로 신축되어도, 상기 공구의 상기 공작물로의 절입량이 변화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상기 공작물의 가공 정밀도가 더욱 높아진다.
이 선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공구대보다 상기 절입 방향측에 배치된 것이라도 된다.
상기 공구대보다 상기 절입 방향과는 반대측에 상기 모터를 배치하면, 상기 공작물을 파지하는 상기 주축보다 한쪽 측에, 상기 공구대 및 상기 모터 등이 나란히 배치되게 되므로 이 선반이 대형화하기 쉽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이 선반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이 선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대는, 상기 주축 중심선보다 이 선반의 배면측에 배치된 것이며, 상기 모터는, 상기 공구대보다 이 선반의 정면측에 배치된 태양이라도 된다.
상기 주축 중심선보다 상기 배면측에 배치된 상기 공구대의 더욱 배면측에 상기 모터를 배치하면, 상기 모터나 상기 모터의 지지 구조 등이 배면측으로 돌출하므로, 이 선반이 대형화하기 쉽다. 본 태양에 의하면 상기 공구대보다 상기 정면측에 상기 모터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이 선반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이 선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대는, 상기 주축 중심선보다 이 선반의 정면측에 배치된 것이며, 상기 모터는, 상기 공구대보다 이 선반의 배면측에 배치된 태양이라도 된다.
상기 주축 중심선보다 상기 정면측에 배치된 상기 공구대의 더욱 정면측에 상기 모터를 배치하면, 상기 모터나 상기 모터의 지지 구조 등이 정면측으로 돌출하므로, 이 선반이 대형화하기 쉽다. 본 태양에 의하면 상기 공구대보다 상기 배면측에 상기 모터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이 선반을 소형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는 상기 주축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모터는 서보 모터라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 정밀도가 높은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NC 선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NC 선반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NC 선반의 내부 구성을 간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NC 선반의 외관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배전반실을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NC 선반의 정면측 외장(外裝)의 일부를 절결(切缺)하여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NC 선반의 공구대 베이스와 제1 공구대와 가이드 부시를 도 2에서의 우측으로부터 본 우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도 1에 나타낸 NC 선반의 공구대 베이스와 제1 공구대의 하측 부분의 구성을 간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b)는, 동 도면 (a)의 상태로부터, 중간 베이스가 -X1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NC 선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 7과 마찬가지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NC(Numerical Control) 선반에 적용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NC 선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나타낸 NC 선반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NC 선반(1)은, 토대가 되는 다리 위에, 절삭실(11)과, 주축대실(12)과, 조작 패널(15)을 구비하고 있다. 이 NC 선반(1)은, 선반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도 1에서는, 도면의 왼쪽 앞쪽이 NC 선반(1)의 정면측이 되고, 도면의 우측 안쪽이 NC 선반(1)의 배면측이 된다. 그리고, 도 2에는, NC 선반(1)에 의해 가공이 완료한 제품을 NC 선반(1)의 외부까지 반송(搬送)하는 배출 컨베이어(9)의 하류단부(下流端部)도 나타나 있다. 절삭실(11)은, 정면측에서 볼 때 NC 선반(1)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절삭실(11)의 정면측에는 절삭실(11) 내를 관찰하기 위한 창문(111)이 설치되어 있다. 주축대실(12)은 정면측에서 볼 때NC 선반(1)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절삭실(11)과 주축대실(12)은 이격하고 있고, 그 사이에는, 후술하는 가이드 부시 지지대(41)(도 3 참조)나 제1 공구대(5)(도 3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 이 절삭실(11)과 주축대실(12) 사이의 부분을 중간부로 칭한다. 중간부의 정면측은, 공구대 정면 커버(131)로 덮어져 있다. 또한, 중간부의 상단(上端)은, 공구대 천정 커버(132)로 덮어져 있다. 이 공구대 천정 커버(132)에는, 복수의 루버(louver)(13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구대 정면 커버(131) 및 공구대 천정 커버(132)는, 중간부로부터 절삭실(11) 측으로 약간 돌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구대 정면 커버(131) 및 공구대 천정 커버(132)는, 절삭실(11)의, 도 2에서의 좌단(左端) 부분도 덮고 있다. 조작 패널(15)은, 주축대실(12)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 패널(15)은, NC 선반(1)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 장치이다. NC 선반(1)의 조작자는, 신규 가공에서의 동작 확인 등에 의해, 창문(111)으로부터 절삭실(11) 내를 보고 가공 동작 등을 시인(視認)하면서, 조작 패널(15)을 사용하여 NC 선반(1)을 조작한다. 이 때, 절삭실(11) 내의 시인과 조작 패널(15)의 조작을 반복하여 가공 동작 등을 조정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공구대 정면 커버(131)는, 공구대 정면 커버(131) 중, 정면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정면 부분과 조작 패널(15) 측의 측면 부분 사이에 큰 모따기(chamfering) 형상(131a)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NC 선반(1)의 조작자가 절삭실(11)로부터 조작 패널(15) 혹은 그와 반대로 시선(視線)을 이동할 때, 공구대 정면 커버(131)가 방해되기 어렵기 때문에, 시선 이동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NC 선반(1)의 조작자가 창문(111)을 보면서 조작 패널(15)에 손을 뻗으면서 조작할 때나, 절삭실(11) 측으로부터 조작 패널(15) 측으로 이동하면서 조작 패널(15)로 손을 뻗을 때, 공구대 정면 커버(131)에 의해 손의 동작이 방해받기 어려우므로, NC 선반(1)의 조작성도 향상하고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NC 선반의 내부 구성을 간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NC 선반(1)의 내부에는, NC 장치(2)와, 제1 주축대(3)와, 가이드 부시(4)와, 제1 공구대(5)와, 제2 주축대(6)와, 제2 주축용 공구대(7)가 설치되어 있다. NC 장치(2)에는, NC 프로그램이 보존되어 있다. NC 장치(2)는, 이 NC 프로그램에 따라, 제1 주축대(3), 제1 공구대(5), 제2 주축대(6) 및 제2 주축용 공구대(7)를 수치 제어에 의해 이동시키는 컴퓨터이다. 또한, 제1 공구대(5)에는, 공구(T1) 자체가 회전하는 회전 공구가 장착되는 경우가 있고, 동일하게 제2 주축용 공구대(7)에도 공구(T2) 자체가 회전하는 회전 공구를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NC 장치(2)는, 회전 공구의 회전도 제어한다. 그리고, NC 프로그램을 사용한 동작 외에, 도 1에 나타낸 조작 패널(15)로부터 NC 장치(2)에 직접 지령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서도 NC 선반(1)을 동작시킬 수 있다.
제1 주축대(3)는, 도 1에 나타낸 주축대실(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주축대(3)에는, 제1 주축(31)이 탑재되어 있다. 이 제1 주축(31)은, 주축의 일례에 상당한다. 제1 주축대(3)는, 제1 주축(31)과 함께 Z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Z1축 방향은, 수평 방향이며, 도 3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 상, 도 3에서의 우측을 「전」, 도 3에서의 좌측을 「후」로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 NC 선반(1)에 있어서는, 전방향(前方向)은, +Z1 방향과 일치하고 있고, 후방향은 -Z1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제1 주축(31)은, 그 전단부(前端部)에 콜릿(collet) 등의 제1 파지부(把持部)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주축(31)은, 그 후단으로부터 제1 주축(31)의 내부에 삽입된 봉형(棒形)의 공작물(W1)을 제1 파지부에 의해 해방 가능하게 파지한다. 제1 주축(31)은, 공작물(W1)을 파지하여 제1 주축 중심선(CL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이 제1 주축 중심선(CL1)은, 주축 중심선의 일례에 상당한다. 제1 주축 중심선(CL1)의 방향은 Z1축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제1 주축(31)에는 빌트인 모터 등의 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그 모터가 NC 장치(2)로부터의 지령을 받음으로써, 제1 주축(31)은, 제1 주축 중심선(CL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로써, 제1 주축(31)에 의해 파지된 공작물(W1)은, 제1 주축 중심선(CL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가이드 부시(4)는, 제1 주축(31)의 전방에서, 가이드 부시 지지대(41)에 의해 NC 선반(1)의 다리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부시(4)는, 제1 주축(31)의 내부를 관통한 공작물(W1) 전단측 부분을 Z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가이드 부시(4)의, 공작물(W1)을 지지하고 있는 부분은, 제1 주축(31)과 동기하여 제1 주축 중심선(CL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즉, 제1 주축 중심선(CL1)은, 가이드 부시(4)에 지지된 공작물(W1)의 회전 중심선이기도 하다. 가이드 부시(4)에 의해, 가공 시의 공작물(W1)의 휨이 억제되므로, 특히 가늘고 긴 공작물(W1)을 고정밀도로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시(4)의 전면(前面) 부분은, 절삭실(11) 내에 노출되어 있다.
제1 공구대(5)는, 제1 주축 중심선(CL1)보다 NC 선반(1)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공구대(5)는, Z1축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수평 방향을 향한 X1축 방향과, 수직 방향을 향한 Y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 제1 공구대(5)는, 공구대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3에서는, 상하 방향이 X1축 방향이며, 지면(紙面)에 직교하는 방향이 Y1축 방향이다. 제1 공구대(5)에는, 공작물(W1)을 가공하는 공구(T1)가 장착된다. 도 3에는, 제1 공구대(5)에 공구(T1)가 장착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제1 공구대(5)에는, 외경(外徑) 가공용 바이트, 절단 가공용 바이트 등을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공구(T1)가 Y1축 방향으로 나란히 장착되어 있다. 제1 공구대(5)에 설치된 후술하는 제1 공구대 테이블(52)(도 7 참조)이 Y1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 복수 종류의 공구(T1)로부터 임의의 공구(T1)가 선택된다. 그리고, 제1 공구대(5)가 절입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그 공구(T1)가 제1 주축(31)에 파지된 공작물(W1)에 절입하여 공작물(W1)을 가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공구(T1)의 절입 방향은 NC 선반(1)의 정면 방향이며, 도 3에 있어서는 -X1 방향으로서 나타나 있다. 이 제1 공구대(5)의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술한다. 그리고, 전방 부분를 제외한 제1 공구대(5)의 대부분의 부분은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방 부분과 공구(T1)는 절삭실(1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주축대(6)는, 가이드 부시(4)보다 전방으로서, 도 1에 나타낸 절삭실(1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주축대(6)에는, 제2 주축(61)이 탑재되어 있다. 제2 주축대(6)는, X2축 방향 및 Z2축 방향으로 제2 주축(61)과 함께 이동 가능하다. 이 X2축 방향은 전술한 X1축 방향과 동일 방향이며, Z2축 방향은 전술한 Z1축 방향과 동일 방향이다. 제2 주축(61)은, 그 후단부에 콜릿 등의 제2 파지부를 가지고 있다. 제1 주축(31)을 사용한 가공이 완료한 공작물(W1)의 선단(先端)을 제2 주축(61)으로 척킹하고, 제1 주축(31)과 제2 주축(61)을 동기 회전시켜 절단 가공용 바이트에 의해 절단 동작을 행한다. 또는, 제1 주축(31)을 사용한 가공이 완료한 공작물을 제2 주축(61)으로 척킹하고, 제1 주축(31)의 척킹을 푼 상태에서 제2 주축(61)을 회전시켜 절단 가공용 바이트에 의해 절단 동작을 행한다. 이로써, 절단된 공작물(W2)이 제2 주축(61)에 전달된다. 제2 주축(61)은, 제1 주축(31)으로부터 전달된 절단된 공작물(W2)을 제2 파지부에 의해 해방 가능하게 파지한다. 제2 주축(61)은, 절단된 공작물(W2)을 파지하여 제2 주축 중심선(CL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이 제2 주축 중심선(CL2)의 방향은 Z2축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제2 주축(61)에는 빌트인 모터 등의 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그 모터가 NC 장치(2)로부터의 지령을 받음으로써, 제2 주축(61)은, 제2 주축 중심선(CL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로써, 제2 주축(61)에 의해 파지된 절단된 공작물(W2)은, 제2 주축 중심선(CL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제2 주축(61)은, 제1 주축(31)과 면대칭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므로, 대향 주축으로 불리우는 경우가 있다.
제2 주축용 공구대(7)는, 가이드 부시(4)의 약간 전방이면서, 가이드 부시(4) 및 제1 주축 중심선(CL1)에 대하여 NC 선반(1)의 정면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주축용 공구대(7)는, Y2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 Y2축 방향은 전술한 Y1축 방향과 동일 방향이다. 제2 주축용 공구대(7)에는, 제2 주축(61)에 파지된 절단된 공작물(W2)을 가공하는 공구(T2)가 장착된다. 도 3에는, 제2 주축용 공구대(7)에 공구(T2)가 장착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또한, 제2 주축용 공구대(7)에는, 가공이 완료한 공작물을 받아들이는 도시하지 않은 받아들임장치도 탑재되어 있다. 제2 주축용 공구대(7)에는, 드릴이나 엔드 밀 등의 복수 종류의 공구(T2)가 나란히 장착된다. 그리고, 도 3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공구(T2)는 X2축 방향뿐만 아니라 Y2축 방향으로도 나란히 장착되어 있다. 제2 주축용 공구대(7)가 Y2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 복수 종류의 공구(T2)로부터 임의의 공구(T2)가 선택된다. 그리고, 제2 주축대(6)가 -Z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주축(61)에 파지된 절단된 공작물(W2)의 후단측(後端側) 부분이 가공된다. 그리고, 제2 주축용 공구대(7)는, 도 1에 나타낸 절삭실(11)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NC 선반의 외관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NC 선반(1) 배면의 하측 부분에는, 배전반실(14)이 설치되어 있다. 배전반실(14)은, 통상은 배전반 커버(141)에 의해 덮어져 있다. 도 4에는 배전반 커버(141)를 분리하여, 그 배전반 커버(141)를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시킨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 4에 있어서 원으로 둘러싸서 확대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전반실(14) 내에는, 앰프나 콘트롤러 등이 유닛화된 전장 유닛(142)이 복수 배치되어 있다. 이 전장 유닛(142)은, 도 4에서의 지면 바로 앞쪽 부분이 나사 고정되어 있고, 그 나사를 푸는 것에 의해, 도 4에서의 지면 바로 앞쪽으로 전장 유닛(142)을 빼낼 수 있다. 이로써, 전장 유닛(142)의 유지보수나 고장 시에는, 필요한 전장 유닛(142)을 배전반실(14)로부터 빼낼 수 있다. 또한, 이 전장 유닛(142)에는, NC 선반(1)에 설치된 각종 액추에이터나 전기 부품 등에 연결되는 케이블(143)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서는, 케이블(143)은, 배전반실(14) 근방에 있는 부분만이 나타나고 나머지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케이블(143)은, 배전반실(14)의 좌우측면에 2개씩 설치된 케이블 엔트리부(145)를 통하여 배전반실(14) 내의 전장 유닛(142)에 접속되어 있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배전반실을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 엔트리부(145)는, 엔트리 고정구(1451)와, 상측 유지체(1452)와, 하측 유지체(1453)로 구성되어 있다. 엔트리 고정구(1451), 상측 유지체(1452) 및 하측 유지체(1453)는, 나사에 의해 배전반실(14)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측 유지체(1452)와 하측 유지체(1453)는,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대향하고 있는 부분은 각각 스폰지형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143)은, 상측 유지체(1452)의 스폰지형 부재와 하측 유지체(1453)의 스폰지형 부재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또한, 하측 유지체(1453)에는, 케이블(143)의, 배전반실(14)의 밖에 인출되어 있는 부분을 결속 밴드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Ω형상의 홈이 형성된 유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하측 유지체(1453)는, 엔트리 고정구(1451)를 배전반실(14)로부터 분리한 후, 나사를 푸는 것에 의해, 배전반실(14)로부터 빼낼 수 있다. 도 5에서는, 엔트리 고정구(1451)가 분리되고, 상측의 케이블 엔트리부(145)의 하측 유지체(1453)가 빼내어진 모습이 나타나 있다. 하측 유지체(1453)를 배전반실(14)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전장 유닛(142)(도 4 참조) 중 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을 배전반실(14) 내로부터 빼낼 때, 케이블(143)이 방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전장 유닛(142)을 배전반실(14) 내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성이 높아지고 있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NC 선반의 정면측 외장의 일부를 절결하여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공구대(5)의 상단부는, 공구대 천정 커버(132)에 의해 덮어져 있다. 또한, 절삭실(11)과 중간부 사이에는, 중간벽(133)이 형성되어 있다. 절삭실(11) 내에서는, 원활하게 가공을 행할 목적 및 가공에 따른 열을 냉각시킬 목적으로, 대량의 쿨런트액을 주로 가공 부위를 향하여 토출하고 있다. 절삭실(11) 내에 토출된 쿨런트액은, 회수되어 NC 선반(1) 내에서 순환 이용된다. 중간부와 절삭실(11)은, 중간벽(133)과 제1 공구대(5)의 전면(前面)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쿨런트액이 중간부나 주축대실(12) 측으로 유입되는 것은 기본적으로 방지되어 있다. 그러나, 제1 공구대(5)의 상단 부분에 있는 간극을 통하여 공구대 천정 커버(132) 내에 액상(液狀) 또는 미스트(mist)상의 쿨런트액이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구대 천정 커버(132)에는, NC 선반(1)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복수의 루버(132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구대 천정 커버(132) 내에 쿨런트액이 침입하면, 그 쿨런트액이 NC 선반(1)의 외부로 유출할 우려가 있고, NC 선반(1)이 배치된 주위에서의 냄새나 끈적임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중간부를 경유하여 주축대실(12) 내에 쿨런트액이 들어 갈 우려도 있다. 주축대실(12) 내에 쿨런트액이 들어가면, 도 3에 나타낸 제1 주축대(3)나 제1 주축(31)의 수명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고 또한, 이들이 끈적끈적 붙어서 유지보수하기 어려워질 우려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공구대 천정 커버(132)의 Z1축 방향에서의 중앙 근방에, 그 천정면으로부터 아래로 현수(懸垂)한 칸막이판(1321)을 형성하고, 그 칸막이판(1321)보다 후(-Z1 방향)측 부분에만 루버(1322)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가령 공구대 천정 커버(132) 내에 쿨런트액이 침입해도, 칸막이판(1321)에 의해 차단되어, 칸막이판(1321)보다 후측에 그 쿨런트액이 들어가기 어렵다. 그 결과, NC 선반(1)의 외부로 쿨런트액이 유출하는 것이나 주축대실(12) 측에 쿨런트액이 들어가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NC 선반의 공구대 베이스와 제1 공구대와 가이드 부시를 도 2에서의 우측으로부터 본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이 도 7에는, NC 선반(1)의 외형을 나타내는 선이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공구대(5)는, 공구대 베이스(50)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공구대(5)는, X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중간 베이스(51)와, 제1 중간 베이스(51)에 탑재되어 Y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공구대 테이블(52)을 가지고 있다. 제1 공구대 테이블(52)은, 제1 중간 베이스(51)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에서는,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 Z1축 방향으로 되고, 지면 바로 앞쪽이 전방측이 된다. 제1 공구대(5)의 제1 중간 베이스(51)는 중간부에 배치되고, 제1 공구대 테이블(52)의 전방 부분은 절삭실(11) 내에 배치되어 있다. 공구대 베이스(50)는, 토대인 도시하지 않은 다리 위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중간 베이스(51)는, X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공구대 베이스(50)에 장착되어 있다. 제1 공구대 테이블(52)은, Y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1 중간 베이스(51)에 장착되어 있다. 제1 공구대 테이블(52)에는, 도시하지 않은 Y1축 볼 나사 너트가 고정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Y1축 모터의 출력축에는 도시하지 않은 Y1축 볼 나사가 연결되어 있다. Y1축 볼 나사는, 외주(外周)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Y1축 볼 나사 너트는, 내부에 볼이 순환하고 있고, 그 볼은 Y1축 볼 나사에 형성된 홈에 맞물려(나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Y1축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Y1축 볼 나사가 회전하고, 제1 공구대 테이블(52)은, Y1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7에서는, 제1 공구대 테이블(52)이 Y1축 방향에서의 원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그리고, 공구대 베이스(50)와 가이드 부시 지지대(41)를 일체적으로 구성해도 된다.
공구대 베이스(50)에는, X1축 모터(501)가 고정되어 있다. 이 X1축 모터(501)는, 모터의 일례에 상당한다. X1축 모터(501)는, 제1 공구대(5)보다 NC 선반(1)의 정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X1축 모터(501)는, 가이드 부시(4) 및 제1 주축(31)(도 3 참조)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X1축 모터(501)의 X1 출력축(5011)(도 8 참조)에는,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된 X1축 볼 나사(502)가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 구조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술한다. X1축 모터(501) 내의 스테이터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로터와 함께 X1 출력축(5011)이 회전하고, X1 출력축(5011)에 연결된 X1축 볼 나사(502)가 회전한다. X1축 볼 나사(502)는, 제1 주축 중심선(CL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주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X1축 볼 나사(502)는, X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X1축 방향은, 축 방향의 일례에 상당하고, X1축 볼 나사(502)는, 구동축의 일례에 상당한다. 제1 중간 베이스(51)는, X1축 볼 나사 너트(512)를 가지고 있다. 이 X1축 볼 나사 너트(512)는, 피구동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X1축 볼 나사 너트(512)는, 내부에 볼이 순환하고 있고, 그 볼은 X1축 볼 나사(502)에 형성된 홈에 맞물려 있다. 그리고, X1축 모터(501)를 구동하고, X1축 볼 나사(502)가 회전함으로써, 제1 중간 베이스(51)는, X1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7에서는, 제1 중간 베이스(51)가 X1축 방향에서의 원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다음으로, 제1 공구대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의 (a)는, 도 1에 나타낸 NC 선반의 공구대 베이스와 제1 공구대의 하측 부분의 구성을 간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의 (a)에는, 도 7과 마찬가지로, 중간 베이스가 X1축 방향에서의 원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8의 (b)는, 동 도면 (a)의 상태로부터, 중간 베이스가 -X1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이들 도 8의 (a)에는, 가이드 부시(4)와 공작물(W1)이 파선으로 나타나고, 도 8의 (b)에는, 가이드 부시(4)와 절단된 공작물(W2)이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공구대 테이블(52)은, 테이블 기체(基體)(520)와, 공구(T1)가 고정되는 공구 고정부(521)와, Y1축 슬라이딩부(522)를 가지고 있다. 테이블 기체(520)는, 공구 고정부(521)와 Y1축 슬라이딩부(522)가 고정된, 제1 공구대 테이블(52)의 기간(基幹)이 되는 부재이다. 또한, 제1 중간 베이스(51)는, 전술한 Y1축 모터 및 X1축 볼 나사 너트(512) 이외에, 베이스 기체(510)와, X1축 슬라이딩부(513)와, Y1축 레일(514)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 기체(510)는, 제1 중간 베이스(51)가 가지고 있는 다른 부재가 고정된, 제1 중간 베이스(51)의 기간이 되는 부재이다. Y1축 레일(514)은, 도의 8 (a)의 지면에 직교하는 Y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Y1축 레일(514)에, Y1축 슬라이딩부(522)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제1 공구대 테이블(52)은, 제1 중간 베이스(51)에 대하여 Y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Y1축 모터의 구동에 의해 Y1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공구대 베이스(50)에는, X1축 레일(505)이 고정되어 있다. X1축 레일(505)은, X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X1축 레일(505)에, X1축 슬라이딩부(513)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제1 중간 베이스(51)는, 공구대 베이스(50)에 대하여 X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공구대 베이스(50) 내에는 X1축 커플링(503)이 배치되어 있다. X1축 커플링(503)은, X1축 모터(501)의 X1 출력축(5011)과 X1축 볼 나사(502)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공구대 베이스(50) 내에는 X1축 서포트 베어링(504)도 배치되어 있다. 이 X1축 서포트 베어링(504)은, 이동 규제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X1축 서포트 베어링(504)은, X1축 볼 나사(502)의, 축 방향에서의 일단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X1축 서포트 베어링(504)은, 외륜과 내륜 사이에 전동체(轉動體)를 가지는, 소위 롤링 베어링이다. 그리고, X1축 서포트 베어링(504)의 외륜은 공구대 베이스(50)에 고정되고, 내륜에는 X1축 볼 나사(502)가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X1축 볼 나사(502)는, X1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공구대 베이스(50)에 고정되어 있다. 즉, X1축 볼 나사(502)는, X1축 방향을 중심으로 한 회전 이외의 이동이, X1축 서포트 베어링(504)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X1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X1축 볼 나사(502)가 회전함으로써, X1축 볼 나사(502)에 맞물려 있는 X1축 볼 나사 너트(512)가 회전 방향을 따라 +X1 방향 또는 -X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제1 중간 베이스(51)는, 제1 공구대 테이블(52)과 함께 X1축 볼 나사 너트(512)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제1 공구대(5)가, +X1 방향 또는 -X1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X1축 모터(501)를 구동하여, 제1 공구대(5)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공구(T1)가 공작물(W1)에 절입한다. 즉, 이 -X 방향은, 절입 방향의 일례에 상당한다. -X 방향은, X1축 볼 나사 너트(512)가 X1축 서포트 베어링(504)에 접근하는 방향이다. 또한, -X 방향은, X1축 볼 나사 너트(512)가 X1축 모터(501)에 접근하는 방향이기도 하다. 공구(T1)로서 절단 가공용 바이트를 사용하고, 그 절단 가공용 바이트의 선단이, 제1 주축 중심선(CL1)에 도달하는 것에 의해, 공작물(W1)은 절단된다. 도 8의 (b)에는, 공구(T1)의 날끝이 제1 주축 중심선(CL1)에 도달하여, 공작물(W1)의 전방 부분이 절단되어 절단된 공작물(W2)이 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그리고, 통상은, 공작물(W1)이 절단되기 전에, 도 3에 나타낸 제2 주축(61)이 공작물(W1)의 전방 부분을 파지하고 나서 공작물(W1)이 절단됨으로써, 절단된 공작물(W2)이 제2 주축(61)에 전달된다. 그리고, 절단된 공작물(W2)의, 후방측(-Z측) 부분을 가공하는 경우에는, 그 절단된 공작물(W2)은, 제2 주축(61)에 파지되어 도 3에 나타낸 공구(T2)에 의해 후방 부분의 가공이 행해진다.
이 실시형태의 NC 선반(1)에 의하면, 공구(T1)가 절입 방향으로 이동하면, X1축 볼 나사 너트(512)가 X1축 서포트 베어링(504)에 접근하므로, 공작물(W1)의 가공 시에는 X1축 서포트 베어링(504)과 X1축 서포트 베어링(504)이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이 실시형태의 NC 선반(1)에서는, 공구(T1)가 공작물(W1)에 접촉하여 가공할 때, X1축 볼 나사 너트(512)가 X1축 서포트 베어링(504)에 접근하고 있다. 공작물(W1)의 가공 시에는, 절삭 시의 마찰 열 등의 열이 발생하여, X1축 볼 나사(502)가 X1축 방향으로 다소 신장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공 개시로부터 가공 종료까지 장척(長尺)의 공작물(W1)로부터 다수의 제품을 제조하므로, 가공 초기와 가공 후기에서는, X1축 볼 나사(502)의 길이가 다소 상이하여, 공구(T1)의 절입량이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NC 선반(1)에서는, 비록 X1축 볼 나사(502)가 열에 의해 그 X1축 방향으로 신축해도, 가공 시에 X1축 볼 나사 너트(512)와 X1축 서포트 베어링(504)이 근접하고 있으므로, 공구(T1)의 절입량에 변화가 쉽게 생기지 않아, 결과적으로 공작물(W1)의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X1축 모터(501)를 제1 공구대(5)보다 배면측에 배치하면, X1축 모터(501)나 X1축 모터(501)의 지지 구조 등이 배면측으로 돌출하여 NC 선반(1)이 대형화하기 쉽다. 즉, 제1 공구대(5)보다 공구(T1)의 절입 방향과는 반대측에 X1축 모터(501)를 배치하면, 제1 주축보다 배면측에, 제1 공구대(5) 및 X1축 모터(501)가 나란히 배치되므로 NC 선반(1)이 대형화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의 NC 선반(1)에서는, 제1 공구대(5)를, 제1 주축 중심선(CL1)보다 NC 선반(1)의 배면측에 배치하고, X1축 모터(501)는, 제1 공구대(5)보다 NC 선반(1)의 정면측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NC 선반(1)이 소형화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X1축 모터(501)를, 제1 공구대(5)보다 공구(T1)의 절입 방향측에 배치함으로써, NC 선반(1)을 소형화하고 있다. 또한, X1축 볼 나사 너트(512)를, X1축 모터(501)나 X1축 서포트 베어링(504)이 배치되어 있는, 제1 공구대(5)에서의 정면측 부분(절입 방향측 부분)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X1축 볼 나사(502)가 짧아도, 제1 중간 베이스(51)를 X1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X1축 볼 나사 너트(512)를, 제1 공구대(5)에서의 정면측 부분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X1축 볼 나사 너트(512)가 X1축 서포트 베어링(504)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X1축 볼 나사(502)가 그 축 방향으로 신축해도, 공구(T1)의 공작물(W1)로의 절입량이 변화하기 어렵다. 이로써, 공작물(W1)의 가공 정밀도가 더욱 높아진다. 또한, 공구(T1)의 날끝이, X1축 방향에 있어서, X1축 볼 나사 너트(512)와 중첩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X1축 볼 나사 너트(512)와 공구(T1) 사이에 있는 베이스 기체(510)나 제1 공구대 테이블(52) 등이 열에 의해 X1축 방향으로 신축해도, 가공 위치인 공구(T1)의 날끝에서는 신축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는다. 이에 의해서도 가공 정밀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공구(T1)의 날끝과 X1축 볼 나사 너트(512)가 X1축 방향에 있어서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 가공 정밀도는 높아지지만, 공구(T1)의 날끝과 X1축 볼 나사 너트(512)는 X1축 방향에 있어서 중첩함으로써, 가공 정밀도가 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어서, 지금까지 설명한 NC 선반(1)의 변형예에 대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 요소의 명칭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지금까지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9는, NC 선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 7과 마찬가지의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이 도 9에는, X1축 커플링(503)과 X1축 서포트 베어링(504)과 X1 출력축(5011)도 2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변형예의 NC 선반(1)은, 주로 제1 공구대(5)와 X1축 모터(501)의 위치 관계가 도 7에 나타낸 NC 선반(1)과 상이하다. 이 변형예에서는, NC 선반(1)의 정면측에 제1 공구대(5)가 배치되어 있다. X1축 모터(501)는, 제1 공구대(5)보다 NC 선반(1)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X1축 모터(501)는, 가이드 부시(4) 및 제1 주축(31)(도 3 참조)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X1 축 모터(501)의 X1 출력축(5011)에는,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된 X1축 볼 나사(502)가 연결되어 있다. X1축 볼 나사(502)는, 제1 주축 중심선(CL1)과 직교하는 X1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주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에서는, 제1 중간 베이스(51)가 X1축 방향에서의 원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X1축 모터(501)를 구동하여, 제1 공구대(5)를 도 9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X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공구(T1)가 공작물(W1)에 절입한다. 즉, 이 변형예에서는, +X 방향이 절입 방향의 일례에 상당한다. +X 방향은, X1축 볼 나사 너트(512)가 X1축 서포트 베어링(504)에 접근하는 방향이다. 또한, +X 방향은, X1축 볼 나사 너트(512)가 X1축 모터(501)에 접근하는 방향이기도 하다. 이상 설명한 변형예에 있어서도, X1축 볼 나사 너트(512)는, 제1 공구대(5)에서의 절입 방향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X1축 모터(501)는, 제1 공구대(5)보다 절입 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공구대(5)는, 제1 주축 중심선(CL1)보다 NC 선반(1)의 정면측에 배치되고, X1축 모터(501)는, 제1 공구대(5)보다 이 선반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서도, 앞서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범위에서 각종 변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X1축 모터(501)의 X1 출력축(5011)과 X1축 볼 나사(502)를, 동일 축선 상에 배치하고, X1축 커플링(503)으로 직접 연결하였지만, X1 출력축(5011)과 X1축 볼 나사(502)를 어긋난 위치에 배치하고, 구동 벨트나 기어 등의 구동 전달 요소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연결해도 된다. 또한, X1축 방향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되고, Y1축 방향도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또한, X1축 방향은 수직 방향이라도 되고, Y1축 방향은 수평 방향이라도 된다.
그리고, 이상 설명한 각 변형예의 기재 각각에만 포함되어 있는 구성 요건이라도, 그 구성 요건을, 다른 변형예에 적용해도 된다.
1: NC 선반
5: 제1 공구대(공구대)
31: 제1 주축(주축)
502: X1축 볼 나사(구동축)
504: X1축 서포트 베어링(이동 규제부)
512: X1축 볼 나사 너트(피구동부)
CL1: 제1 주축 중심선(주축 중심선)
T1: 공구
W1: 공작물

Claims (5)

  1. 공작물을 파지(把持)하여 주축(主軸)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주축;
    상기 주축에 파지된 상기 공작물에 절입(切入)함으로써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구가 장착되는 공구대;
    상기 주축 중심선과는 직교하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구대를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의, 상기 축 방향에서의 일단측(一端側)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의 상기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대는, 상기 구동축에 맞물리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피구동부를 가지는 것이며,
    상기 공구의 절입 방향은, 상기 피구동부가 상기 이동 규제부에 접근하는 방향인,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부는, 상기 공구대에서의 상기 절입 방향측 부분에 배치된 것인, 선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공구대보다 상기 절입 방향측에 배치된 것인,
    선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대는, 상기 주축 중심선보다 상기 선반의 배면측에 배치된 것이며,
    상기 모터는, 상기 공구대보다 상기 선반의 정면측에 배치된 것인,
    선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대는, 상기 주축 중심선보다 상기 선반의 정면측에 배치된 것이며,
    상기 모터는, 상기 공구대보다 상기 선반의 배면측에 배치된 것인,
    선반.
KR1020220028038A 2021-03-24 2022-03-04 선반 KR202201330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49511A JP2022148001A (ja) 2021-03-24 2021-03-24 旋盤
JPJP-P-2021-049511 2021-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093A true KR20220133093A (ko) 2022-10-04

Family

ID=8093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038A KR20220133093A (ko) 2021-03-24 2022-03-04 선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86887B2 (ko)
EP (1) EP4063067A3 (ko)
JP (1) JP2022148001A (ko)
KR (1) KR20220133093A (ko)
CN (1) CN115121817A (ko)
TW (1) TW20223730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9489A (ja) 1997-01-20 2002-03-26 ドゥラクー、ジャン−ミッシェル 塊状ブロックとスライド式コラムを有する工作機械装置及び本装置を組み込んだ機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8588A (en) * 1976-03-10 1977-09-12 Okuma Mach Works Ltd Value control lathe
US4195538A (en) * 1978-05-18 1980-04-01 Hardinge Brothers, Inc. Machine tool feed screw assembly
JPS5682148A (en) 1979-12-07 1981-07-04 Yoshizo Kitano Biaxial nc lathe
JPS6186104A (ja) 1984-10-04 1986-05-01 Citizen Watch Co Ltd 自動旋盤
US5349731A (en) * 1991-05-07 1994-09-27 Hardinge Brothers, Inc. Temperature compensated and shock resistant machine tool
US5782151A (en) * 1995-08-07 1998-07-21 Kitagawa Iron Works Co., Ltd. Workpiece transfer apparatus
JP3927285B2 (ja) * 1997-07-08 2007-06-06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スライド装置
DE20021676U1 (de) 2000-12-21 2001-05-17 Chen Hsi Kuan CNC-Drehmaschine mit verkürzten Werkzeug- und Werktisch-Zustellzeiten in Spindelachse
JP5515639B2 (ja) * 2009-11-02 2014-06-11 村田機械株式会社 工作機械
DE102009058649A1 (de) * 2009-12-16 2011-06-22 Adams, Heinz, 66740 Bohr-Fräsmaschine mit zusätzlichem Drehwerkzeug-Schlitten, Drehaufnahme, Drehwerkzeug und Drehtisch zum Drehen
ES2342652B1 (es) * 2009-12-22 2011-06-13 Soraluce, S. Coop. Caña retraible para maquinas herramientas y uso de dicha caña retraible en maquinas herramienta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9489A (ja) 1997-01-20 2002-03-26 ドゥラクー、ジャン−ミッシェル 塊状ブロックとスライド式コラムを有する工作機械装置及び本装置を組み込んだ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37303A (zh) 2022-10-01
CN115121817A (zh) 2022-09-30
EP4063067A2 (en) 2022-09-28
US11986887B2 (en) 2024-05-21
US20220305562A1 (en) 2022-09-29
EP4063067A3 (en) 2022-10-12
JP2022148001A (ja)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6188B2 (en) Machine tool
JP7097220B2 (ja) 工作機械
KR20040027366A (ko) 복합가공공작기계 및 복합가공공작기계에 있어서의 가공방법
US5351376A (en) Machine tool
JP2012525983A (ja) 同期加工システム及び同期加工方法
CN108655739B (zh) 数控自动车床
US7290316B2 (en) Automatic screw machine with multi-axis drive control
JPWO2005065870A1 (ja) 自動旋盤
WO2019202779A1 (ja) 工作機械
WO2016013307A1 (ja) 工作機械、工具ユニット、及び加工方法
KR20220133093A (ko) 선반
JP3691570B2 (ja) レーザー複合加工装置
CN110814762A (zh) 高效数控车铣复合机
JP5361563B2 (ja) 旋盤
US6807887B2 (en) Multiple-spindle bar machine
JP2019198909A (ja) 工作機械
EP4316703A1 (en) Machine tool
JP2020182991A (ja) 工作機械
WO2022160341A1 (en)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for machining mechanical part
JPH05318206A (ja) Nc旋盤及びその制御方法
CN215746500U (zh) 一种工件转换加工便捷的cnc数控钻孔机
CN114161170B (zh) 一种油缸加工专用多轴车铣复合中心及其工作方法
WO2022160347A1 (en) Assembly and apparatus for machining mechanical part
JPH10337601A (ja) 管状の被加工物加工用工作機械
JP4562261B2 (ja) ラック旋盤のボールねじ送り装置および送り補正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