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478A - 생약 지표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생약 지표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478A
KR20220132478A KR1020220081339A KR20220081339A KR20220132478A KR 20220132478 A KR20220132478 A KR 20220132478A KR 1020220081339 A KR1020220081339 A KR 1020220081339A KR 20220081339 A KR20220081339 A KR 20220081339A KR 20220132478 A KR20220132478 A KR 20220132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distillate
hot water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노성일
이육노
오병래
Original Assignee
코스바이오사이언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바이오사이언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바이오사이언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1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2478A/ko
Publication of KR20220132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폰시린 등 생약 지표성분을 포함함으로써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이 강력하고,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으며, 피부감작성이 낮아 안전하고, 장기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여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 방부제, 첨가제 등의 사용을 피할 수 있어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적합한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약 지표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R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INDEX COMPONENTS OF CRUDE DRUGS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생약 지표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폰시린 등 생약의 지표성분을 함유하여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이 강력하고,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으며, 피부감작성이 낮아 안전하고, 장기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여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 방부제, 첨가제 등의 사용을 피할 수 있어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적합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atopy)'는 1925년 코카(Coca)라는 학자가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로, 음식물이나 기타 흡입성 물질에 대한 선천성 알러지(allergy) 반응을 의미한다. 'atopy'는 그리스어로 '알 수 없는', '괴상한'이라는 뜻으로 그 의미에서도 알 수 있듯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고, 치료가 힘든 난치성 질환이다.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보통 습진(eczema), 고초열(hayfever), 천식(asthma), 알레르기(allergy) 등을 잘 일으키는 유전적 경향을 보이는 체질을 가진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되는 만성 피부염으로 흔히 태열이라 부르고 유아 습진으로 시작, 만성, 재발성 경과를 보인다.
아토피의 발생 원인은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유전적, 면역학적 요인이 깊숙이 관계되리라 생각되며 동시에 환경적, 사회적, 정신적 요인 등 다양한 주변인자들도 연관이 있으리라고 생각되고 있다.
오늘날 일반적인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는 소양감의 조절, 2차 병변 발생의 방지를 목적으로 하고, 약물투여 방법에 따라 외용 방법, 내복 방법, 그리고 면역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외용 방법으로는 피부를 세정하는 방법, 스테로이드 계열의 연고제를 바르는 방법, 그리고 보습제를 바르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스테로이드는 일종의 부신피질 호르몬제로서 효과는 매우 빠르지만, 장기간 사용했을 때 피부의 위축이나 소아 환자에서 성장지연의 가능성 등 각종 부작용이 문제되고 있다. 보습제는 건조한 피부에 수분을 공급 및 유지하기 위한 화장품류를 바르는 것을 말한다. 내복 방법으로 주로 사용하는 아토피 치료약은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계 의약품 혹은 한방 소재 치료약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면역 방법은 신체의 면역력을 자연적으로 길러줄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조정하거나 유도하는 것이다
일반의약품 조성물은 종래의 개발된 생약추출물 또는 생약제제를 함유하여 아토피성질환 및 기타 피부질환(건선, 습진) 등의 치료를 하는데, 스테로이드 및 항히스타민 성분으로 인한 피부 침착, 착색 및 심한 가려움증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며, 사용을 중지할 시 확장성 질환에 대한 심각한 부작용과 3차 세균 감염으로 발전될 수 있다.
소아와 성인기의 면역 체계의 특성이 아토피의 발생 및 병리적 특성과 연관될 수 있다. 우리나라 신생아의 70-80%가 태열을 경험한다. 이들 중의 대부분은 자연스럽게 소아기에 접어들면서 치료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일부 보고에 의하면 이들 중의 20-30%는 소아 아토피로 진행이 된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면역계의 자연스러운 변화인데, 즉 유아기의 특이면역이 소아기에 접어들면서 자연면역이 회복이 되면서 아토피는 치유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 시기의 면역학적인 특징은 자연면역이 활발하게 성장을 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즉, 아이들이 감기와 같은 발열증상들을 경험하면서 자연 면역계가 성장하는 과정인 것이다. 그러므로 아이들이 감기나 발열증상이 있을 때 해열제나 항생제를 오·남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성인의 경우, 이 시기는 자연 면역계와 특이 면역 모두 어느 정도는 성숙되어 있는 시기다. 즉, 건강하든 건강하지 않든 면역계는 어느 정도 고착화되어 있는 것이다.
양의학과 한의학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이 생기는 원인에 대해 '몸 안에 뭉친 열이 독을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몸속 깊숙이 숨어 있던 열독이 피부층까지 올라와 각종 트러블을 일으키는 것이다. 따라서 열독이 풀리지 않는 한 아토피 피부염은 계속 재발할 수밖에 없다. 특히 임신 중에 맵고 짠 음식이나 과도한 카페인, 알코올, 인스턴트, 기름진 음식 등을 많이 섭취했거나, 자궁 안에 노폐물이 많이 쌓였거나, 자궁이 약한 경우 태내에 열이 쌓여 태아에게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다고 보고 있다. 열독은 피부 이상만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몸의 면역력을 떨어뜨려 각종 합병증을 유발시키므로 단순히 증상만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을 찾아 근본적인 치료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이 되는 열독을 풀어 주고, 알레르기에 대항할 수 있는 자생력을 키우는 등 근본치료를 해야 재발을 막을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염증세포들은 주로 대식세포, 호산구와 같은 속발반응에 관여하는 세포들이며 이들은 아토피성 피부염의 급성기에 존재하던 세포들에서 생성된 IL-1 과 TNF-α과 같은 사이토카인(cytokine)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피부에 침투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질환은 TH1/TH2 면역 반응과 큰 연관이 있다. 항원이 제시되면 원시 T 세포(naive T cell)은 인터루킨(interleukin, IL)-12, IL-18, 또는 IL-4에 노출되어 TH1이나 TH2 세포로 분화된다. TH1 세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gamma, IFN-γ)와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를 분비하며 TH2를 억제하는 반면, TH2 세포는 IL-4, IL-5, IL-13 등을 분비하며 TH1 반응을 억제한다. 특히, IL-8은 주로 염증과 연관이 되는 사이토카인인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진 IL-8은 국소적 염증에 중요한 매개 변수가 된다.
최근 아토피성 피부염 및 피부질환에 관한 식물, 광물, 동물성의 천연물 소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현황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아토피 피부염에 뛰어난 효능을 보이는 동시에 부작용이 없고 사용이 용이한 의약 조성물이나, 화장품 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 등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팀은 한방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약재와 천연 소재들을 연구하고 실험하여, 폰시린 등의 지표성분을 포함하는 생약이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에 효능이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또한 이를 열수 추출 시 일정 온도 이상에서 휘발되는 증류성분을 냉각 회수하면 정유성분, 방향족성분 및 항산화성분이 풍부한 열수 증류 분획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에 가장 좋은 효능을 나타내는 지표성분들을 배합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약 지표성분을 함유하여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부작용이 없어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위와 같은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폰시린(Poncirin); 및 마트린(Matrine), 옥시마트린(Oxymatrine), 나린진(Naringin), 라인(Rhein), 세노사이드(Sennoside), 바이칼린(Baicalin), 포시시아사이드(Forsythiaside), 제니포사이드(Geniposide) 및 크리소파놀(Chrysopha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한다.
또한, 파에오니플로린(Paeoniflorin), 카우레노익 애씨드(Kaurenoic acid), 망기페린(Mangiferin), 마그노플로린(Magnoflorine), 베르베린(Berberine), 루틴(Rutin), 라폰티신(Rhaponticin), 스피레오시드(Spiraeoside), 칼로파낙스사포닌(Kalopanaxsaponin), 이소임페라토린(Isoimperatorin), 바르발로인(Barbaloin), 악티게닌(Arctigenin), 하파고사이드(Harpagoside), 헤스페리딘(Hesperidin), 아이소람네틴(Isorhamnetin) 및 루테올린(Luteol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지표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지표성분을 포함하는 약재를 각각 3-7 중량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지실 3-5 중량부; 및 고삼 3-5 중량부, 해동피 3-5 중량부, 대황 3-5 중량부, 센나엽 3-5 중량부, 황금 4-6 중량부, 연교 5-7 중량부, 백선피 3-5 중량부, 치자 3-5 중량부 및 황백 5-7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열수 추출물을, 상기 증류액 70-90 중량부 대비 10-30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목단피 3-5 중량부, 작약 4-6 중량부, 독활 3-5 중량부, 지모 4-6 중량부, 괴화 3-5 중량부, 양파 3-5 중량부, 백지 4-6 중량부, 황련 3-5 중량부, 현삼 3-5 중량부, 진피 1-3 중량부, 청피 3-5 중량부 및 국화 4-6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지실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및 고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해동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대황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센나엽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황금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4-6 중량부, 연교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5-7 중량부, 백선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치자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및 황백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5-7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목단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작약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4-6 중량부, 독활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지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4-6 중량부, 괴화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양파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백지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4-6 중량부,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현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진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1-3 중량부, 청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및 국화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4-6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a) 폰시린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재와, 마트린, 옥시마트린, 나린진, 라인, 세노사이드, 바이칼린, 포시시아사이드, 제니포사이드 또는 크리소파놀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c) 상기 가열 후 잔류한 추출물 10-30 중량부를 상기 증류액 70-90 중량부에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약재들을 정제수에 투입하고 추출기를 사용하여 80-100 ℃로 8-48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것을 여과하여 상기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추출물을 90-100 ℃로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4-10 ℃의 냉각수관으로 액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화된 것을 8,000-14,000 rpm 및 2-8 ℃에서 10-5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상기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파에오니플로린, 카우레노익 애씨드, 망기페린, 마그노플로린, 베르베린, 루틴, 라폰티신, 스피레오시드, 칼로파낙스사포닌, 이소임페라토린, 바르발로인, 악티게닌, 하파고사이드, 헤스페리딘, 아이소람네틴 또는 루테올린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재 중 하나 이상을 더 혼합하여 열수 추출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지실 3-5 중량부; 및 고삼 3-5 중량부, 해동피 3-5 중량부, 대황 3-5 중량부, 센나엽 3-5 중량부, 황금 4-6 중량부, 연교 5-7 중량부, 백선피 3-5 중량부, 치자 3-5 중량부 및 황백 5-7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물은 목단피 3-5 중량부, 작약 4-6 중량부, 독활 3-5 중량부, 지모 4-6 중량부, 괴화 3-5 중량부, 양파 3-5 중량부, 백지 4-6 중량부, 황련 3-5 중량부, 현삼 3-5 중량부, 진피 1-3 중량부, 청피 3-5 중량부 및 국화 4-6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a) 폰시린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재와, 마트린, 옥시마트린, 나린진, 라인, 세노사이드, 바이칼린, 포시시아사이드, 제니포사이드 또는 크리소파놀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재 중 하나 이상을 각각 열수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각 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시켜 각각의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약재들의 증류액을 서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약재들 각각을 정제수에 투입하고 추출기를 사용하여 80-100 ℃로 8-48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것을 여과하여 상기 각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각 추출물을 90-100 ℃로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4-10 ℃의 냉각수관으로 액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화된 것을 8,000-14,000 rpm 및 2-8 ℃에서 10-5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상기 각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파에오니플로린, 카우레노익 애씨드, 망기페린, 마그노플로린, 베르베린, 루틴, 라폰티신, 스피레오시드, 칼로파낙스사포닌, 이소임페라토린, 바르발로인, 악티게닌, 하파고사이드, 헤스페리딘, 아이소람네틴 또는 루테올린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재 중 하나 이상의 증류액을 더 혼합하되, 상기 파에오니플로린 내지 루테올린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재의 증류액은 상기 (a) 및 (b)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지실과, 고삼, 해동피, 대황, 센나엽, 황금, 연교, 백선피, 치자 및 황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각각 열수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얻는 단계이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지실의 증류액 3-5 중량부와, 상기 고삼의 증류액 3-5 중량부, 해동피의 증류액 3-5 중량부, 대황의 증류액 3-5 중량부, 센나엽의 증류액 3-5 중량부, 황금의 증류액 4-6 중량부, 연교의 증류액 5-7 중량부, 백선피의 증류액 3-5 중량부, 치자의 증류액 3-5 중량부 및 황백의 증류액 5-7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서로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목단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작약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4-6 중량부, 독활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지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4-6 중량부, 괴화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양파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백지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4-6 중량부,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현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진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1-3 중량부, 청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및 국화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4-6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목단피 내지 국화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은 상기 (a) 및 (b)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지표성분을 포함하는 약재는 각각 3-7 중량부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수득한 증류액을 한외 여과막 또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정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증류액 또는 상등액의 밀도는 약 1 kg/L, 즉 정제수의 밀도와 근사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증류액 또는 상등액의 함량 단위인 '중량부(parts by weight)'는 '부피부(parts by volume)'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위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성물은 폰시린 등 생약 지표성분을 함유하여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이 강력하고,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에 대한 독성이 없으며, 피부감작성이 낮아 안전하고, 장기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여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 방부제, 첨가제 등의 사용을 피할 수 있어,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cell)에 대한 독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산화질소(NO)의 생성량 감소 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IL-8, TNF-α)에 대한 감소 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 또는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예방'이란 질환 또는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릴 수 있는 개체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 또는 '개선'이란 개체에서 (a) 질환 또는 질병의 발전(악화)의 억제, (b) 질환 또는 질병의 경감, 또는 (c) 질환 또는 질환의 제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개선 또는 치료 효능을 갖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아토피 피부염'이란 아토피성의 피부염, 피부질환, 건선, 습진, 가려움증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약재'란 생약 또는 한약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약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자연에서 채취할 수 있는 모든 초(草)·목(木)·곡(穀) 등을 포괄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란 해당 성분이 지표성분으로 함유된 생약 또는 한약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생약 또는 한약재란 생약 또는 한약재를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공정을 거쳐 얻은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지표성분은 생약 또는 한약재에 함유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기 표 1과 같은 생약재로부터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표성분을 얻기 위해 하기 표 1에 기재된 생약재 이외의 원료를 사용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자명하게 포함될 것이다.
지표성분 지표성분이 함유된 생약재
마트린 (Matrine) 고삼, 해동피
옥시마트린 (Oxymatrine)
나린진 (Naringin) 지실
폰시린 (Poncirin)
라인 (Rhein) 대황
세노사이드 (Sennoside) 대황, 센나엽
바이칼린 (Baicalin) 황금
포시시아사이드 (Forsythiaside) 연교
제니포사이드 (Geniposide) 백선피, 치자
크리소파놀 (Chrysophanol) 황백, 대황
파에오니플로린 (Paeoniflorin) 목단피, 작약
카우레노익 애씨드 (Kaurenoic acid) 독활
망기페린 (Mangiferin) 지모, 방기, 산조인
마그노플로린 (Magnoflorine)
베르베린 (Berberine) 황백, 황금
루틴 (Rutin) 괴화
라폰티신 (Rhaponticin) 대황
스피레오시드 (Spiraeoside) 양파
칼로파낙스사포닌 (Kalopanaxsaponin) 해동피
이소임페라토린 (Isoimperatorin) 백지
바르발로인 (Barbaloin) 황련, 황금, 황백, 노회
악티게닌 (Arctigenin) 연교
하파고사이드 (Harpagoside) 현삼
헤스페리딘 (Hesperidin) 진피, 청피
아이소람네틴 (Isorhamnetin) 백지, 괴화
루테올린 (Luteolin) 국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액상 추출물, 농축 액상 추출물, 동결건조 분말 및 분무건조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피 흡수제(외용피부연고제), 물비누, 비누, 에센스, 젤, 액체세정료, 로션, 폼, 유연수, 화장수,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팩, 맛사지 크림, 에몰리언트(emollient)크림, 에몰리언트(emollient)로션, 화장수에센스, 수렴화장수(astringent), 수용성 리퀴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바디용로션,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 트리트먼트, 스킨로션, 밀크로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제형 전체 조성에 대하여 0.005-95 wt%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제조예와 실험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의 효과가 하기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제조예: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지실 40 g, 고삼 40 g, 해동피 40 g, 대황 40 g, 센나엽 40 g, 황금 50 g, 연교 60 g, 백선피 40 g, 치자 40 g 및 황백 60g의 생약재 원료들을 정제수로 충분히 세척한 후 혼합하였다. 정제수 20 L를 채운 열탕 증류기에 생약재 원료들을 투입하고 약 80-100 ℃로 30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에 사용된 생약재들은 여과하여 제거하고, 열수 추출물을 약 90-100 ℃로 가열하면서 약 4-10 ℃의 냉각수관을 이용하여 증류액을 획득하였다. 증류액을 12,000 rpm 및 4 ℃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가열 후 잔류한 열수 추출물 3 L를 상기 증류액 7 L와 혼합하여 원심분리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생약재 원료로서
목단피 40 g, 작약 50 g, 독활 40 g, 지모 50 g, 괴화 40 g, 양파 40 g, 백지 50 g, 황련 40 g, 현삼 40 g, 진피 20 g, 청피 40 g 및 국화 50 g을 더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지실, 고삼, 해동피, 대황, 센나엽, 황금, 연교, 백선피, 치자 및 황백의 생약재 원료들을 정제수로 충분히 세척한 후, 각 원료를 정제수 20 L를 채운 열탕 증류기에 별개로 투입하고 약 80-100 ℃로 30시간 동안 가열하여 각각의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에 사용된 생약재들은 여과하여 제거하고, 각 열수 추출물을 약 90-100 ℃로 가열하면서 약 4-10 ℃의 냉각수관을 이용하여 각각의 증류액을 획득하였다. 각 증류액을 12,000 rpm 및 4 ℃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각각의 상등액을 취하였다. 지실 상등액 0.4 L, 고삼 상등액 0.4 L, 해동피 상등액 0.4 L, 대황 상등액 0.4 L, 센나엽 상등액 0.4 L, 황금 상등액 0.5 L, 연교 상등액 0.6 L, 백선피 상등액 0.4 L, 치자 상등액 0.4 L 및 황백 상등액 0.6 L을 서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독성 평가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독성을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96-well plate를 사용하여 1% FBS(Fetal bovine serum)를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인간 각질형성세포(human keratinocyte cell line, HaCaT)를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세포가 배양 접시에 60% 정도 차면 세럼이 들어있지 않은 배지로 바꾸어 16-24시간 배양한 후에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을 포함한 배지로 교환해주었다. 48시간 뒤에 MTT(Tetrazolium-based colorimetric) 용액을 10%로 함유한 배지로 교환해주었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뒤 배지를 제거하고 DMSO(Dimethyl sulfoxide)로 배양접시 밑에 남아있는 침전물을 녹여주었다. ELISA leader로 57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과 같았다. 도 1 내지 3에서 C1, C1+E, C2 및 C3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의미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항산화 활성 평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산화질소(NO)의 소거능을 시험하였다.
10% FBS(fetal bovine serum)과 100 unit/ml의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Raw 264.7 대식세포를 1×106 cell/ml의 농도로 96-well plate에 접종하고, 37 ℃, 5% CO2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날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지로 교환한 후,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을 50 μl씩 세포에 처리하였다. 30분간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 후 50 μl(1 μg/ml)의 LPS(lipopolysaccharide)를 함유한 배지를 처리하고 인큐베이터(5% CO2,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대조군으로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를 사용하였다. Griess reagent I (NED solution)과 Griess reagent II (Sulfaniliamide solution)을 동량으로 혼합하여 넣은 후,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microplate reader로 540 nm에서의 광밀도(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다. 산화질소(NO)의 농도는 아질산나트륨 (Sodium Nitrate)의 표준곡선(0-100 μM)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LPS에 의해 촉진된 NO의 생성량을 40-50% 이상 감소시켰기 때문에 우수한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억제 활성 평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염 활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와 같이 배양한 RAW 264.7 세포에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을 먼저 처리한 다음 LPS(lipopolysaccharide)를 1 μg/ml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ELISA 키트로 IL-8(interleukin-8)을 측정하였다. Avidin이 결합된 검출용 항체를 사용하여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를 사용하였다.
또한, TNF-α 발현을 분석하기 위하여 웨스턴블랏 분석(Western blot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이 처리된 배지에서 자란 세포들을 PBS로 씻어내고 0.05% 트립신-EDTA를 처리한 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취한 다음 lysis buffer로 용해한 후, 세포 내 잔사물을 분리시키고 동량의 단백질을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SDS-Polyacrylamide gel elecrophoresis)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을 니트로섬유소막(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전이시킨 후, 항체와 2차항체 반응을 실시하고 ECL(enhanced chemiluminoesence) 용액을 처리한 다음 X-ray 필름에 감광시켜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IL-8의 분비량과 TNF-α의 발현량은 도 3과 같았으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LPS에 의해 촉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8과 TNF-α의 생성량을 35-55% 이상 감소시켰기 때문에 우수한 항염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피부감작성 평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감작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동물실험을 실시하였다.
동물실험 대상으로서 5-6 주령의 300 g 이상 기니픽 수컷 24 마리를 사용하였다. 1차 감작 시 시험 물질의 농도는 피내주사 부위에 부분적 괴사나 전신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로 설정하고, 2차 감작 시 시험물질의 농도는 피부자극시험 결과 가벼운 염증을 유발하는 농도로 설정하며, 야기시 시험물질의 농도는 무자극 최대농도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예비실험을 통해 1차 감작 농도는 5 %, 2차 감작 농도는 90 %, 야기 농도는 45 %로 각각 설정하였다.
(1) 1차 감작 (Day 0)
투여 전, 투여부위를 제모하고 기니픽 피부의 상부, 중부, 하부에 좌우대칭으로 각 1개소에 0.1 mL씩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을 피내 주사하였다.
(2) 2차 감작 (Day 8)
투여 당일, 기니픽 등쪽에 제모를 실시한다.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을 0.2 mL를 여과지(WhatmanTM filter paper, 2 x 4 cm)에 묻힌 후, 기니픽 등쪽(shoulder region)에 붙이고 비자극성 비닐(TegadermTM 1624W, 3M)로 덮은 다음 비자극성 테이프(MicroporeTM 1530-1, 3M)로 bandaging하여 48 ± 2 시간 동안 폐쇄첩포하였다. 부형제대조군의 경우는 동일한 방법으로 부형제(멸균생리식염수)를 적용하였다.
(3) 야기 (Day 21)
투여 전날 유도 시 투여했던 부위와 다른 부위의 좌, 우측 측복부에 제모를 실시하였다. 투여 당일,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과 부형제를 각각 0.1 mL씩 여과지(2 x 2 cm)에 묻히고 모든 시험동물의 좌측 측복부에는 시험물질이 묻은 여과지를, 우측 측복부에는 부형제가 묻은 여과지를 붙인다. 그 후 비자극성 비닐(TegadermTM 1624W, 3M)을 이용해 덮은 다음 비자극성 테이프(MicroporeTM 1530-1, 3M)로 bandaging하여 24 ± 2 시간 동안 폐쇄첩포 하였다.
(4) 투여부위 관찰 및 평가
유발 첩포 제거 후 21 ± 2 시간째 모든 동물의 투여부위와 그 주변을 면도하고 약 3시간 뒤인 24 ± 2 시간째 투여부위를 관찰하고 피부반응을 평가하였다. 이 후 첩포 제거 48 ± 2 시간째 한번 더 관찰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피부감작성 평가는 유발부위를 관찰하여 하기 표 2의 Magnusson and Kligman의 피부 반응 평가 기준에 따라 피부반응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감작률(Sensitisation rate)을 산정하였다.
점수 증상
0 무반응
1 홍반이 적용부위에 흩어져 나타남
2 홍반이 적용부위 전체에 나타남
3 전체적으로 강한 홍반 및 부종이 나타남
[식 1]
감작률 (%) = (양성반응을 보인 동물 수 / 전체동물 수) X 100
이렇게 산정된 감작률을 이용하여 하기 표 3의 Magnusson and Kligman의 피부감작성 평가기준에 따라 피부감작성 등급을 분류하고 최종 감작률 30% 이상일 경우 피부감작성 양성으로 평가하였다.
감작율 (%) 등급 분류
0-8 매우 약함
9-28 약함
29-64 보통
65-80 강함
81-100 매우 강함
하기 표 4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한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들의 피부감작성 시험결과로서, 하기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피부감작성이 거의 없어 안전한 아토피 개선 또는 치료제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시험결과
실시예 1 음성
실시예 2 음성
실시예 3 음성
실시예 4 음성
실험예 5: 장기 보존 안정성 평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장기 보존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 0.1 ml을 Letheen agar에 도말하고 30 ℃에서 48시간 동안 방치하여 세균 번식 여부를 확인하였고,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 0.1 ml을 Sabouraud Dextrose agar에 도말하고 25 ℃에서 72시간 동안 방치하여 진균 번식 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조성물의 제조 직후와 방치 이후의 세균 및 진균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들은 제조 직후 뿐만 아니라 방치 이후에도 세균과 진균이 번식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별도의 방부제 없이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하여도 미생물이 번식하지 않아 장기 보관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 방부제, 첨가제 등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지실 3-5 중량부; 및
    고삼 3-5 중량부, 해동피 3-5 중량부, 대황 3-5 중량부, 센나엽 3-5 중량부, 황금 4-6 중량부, 연교 5-7 중량부, 백선피 3-5 중량부, 치자 3-5 중량부 및 황백 5-7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목단피 3-5 중량부, 작약 4-6 중량부, 독활 3-5 중량부, 지모 4-6 중량부, 괴화 3-5 중량부, 양파 3-5 중량부, 백지 4-6 중량부, 황련 3-5 중량부, 현삼 3-5 중량부, 진피 1-3 중량부, 청피 3-5 중량부 및 국화 4-6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지실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및
    고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해동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대황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센나엽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황금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4-6 중량부, 연교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5-7 중량부, 백선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치자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및 황백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5-7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3 항에 있어서,
    목단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작약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4-6 중량부, 독활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지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4-6 중량부, 괴화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양파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백지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4-6 중량부,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현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진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1-3 중량부, 청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5 중량부 및 국화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4-6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a) 지실 3-5 중량부; 및
    고삼 3-5 중량부, 해동피 3-5 중량부, 대황 3-5 중량부, 센나엽 3-5 중량부, 황금 4-6 중량부, 연교 5-7 중량부, 백선피 3-5 중량부, 치자 3-5 중량부 및 황백 5-7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약재들을 정제수에 투입하고 추출기를 사용하여 80-100 ℃로 8-48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것을 여과하여 상기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추출물을 90-100 ℃로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4-10 ℃의 냉각수관으로 액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화된 것을 8,000-14,000 rpm 및 2-8 ℃에서 10-5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상기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a) 지실과, 고삼, 해동피, 대황, 센나엽, 황금, 연교, 백선피, 치자 및 황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각각 열수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각 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시켜 각각의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지실의 증류액 3-5 중량부와, 상기 고삼의 증류액 3-5 중량부, 해동피의 증류액 3-5 중량부, 대황의 증류액 3-5 중량부, 센나엽의 증류액 3-5 중량부, 황금의 증류액 4-6 중량부, 연교의 증류액 5-7 중량부, 백선피의 증류액 3-5 중량부, 치자의 증류액 3-5 중량부 및 황백의 증류액 5-7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서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약재들 각각을 정제수에 투입하고 추출기를 사용하여 80-100 ℃로 8-48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것을 여과하여 상기 각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각 추출물을 90-100 ℃로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4-10 ℃의 냉각수관으로 액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화된 것을 8,000-14,000 rpm 및 2-8 ℃에서 10-5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상기 각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20081339A 2021-03-22 2022-07-01 생약 지표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32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339A KR20220132478A (ko) 2021-03-22 2022-07-01 생약 지표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397 2021-03-22
KR1020220081339A KR20220132478A (ko) 2021-03-22 2022-07-01 생약 지표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397 Division 2021-03-22 2021-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478A true KR20220132478A (ko) 2022-09-30

Family

ID=8345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339A KR20220132478A (ko) 2021-03-22 2022-07-01 생약 지표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24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05097B1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알로에 발효 및 가수분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KR100863890B1 (ko) 차가버섯, 말굽잔나비버섯, 신령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855718A (zh) 青蒿提取物及其应用
CN113679765A (zh) 白鲜皮提取物及其应用
KR20130077314A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4435A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13659B1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CN115429725B (zh) 用于抗氧化、抗炎、皮肤镇静的化妆品组合物
KR101026873B1 (ko) 항염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220132478A (ko) 생약 지표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90012B1 (ko) 일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2490086B1 (ko) 천연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537948B1 (ko) 천연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2237B1 (ko) 천연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537982B1 (ko) 생화학적 미네랄 재조합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585932B1 (ko) 천연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44566B1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10024A1 (ko) 천연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602924B1 (ko) 대추나무주홍하늘소 유충의 똥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외용약
KR20210150831A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에 효과적인 알로에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KR100900197B1 (ko)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억제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60007076A (ko)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건선, 로사시아, 지루성 피부염 등의 피부질환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항염증 및 면역조절 효과를 보유한 천연추출물제제 bsasm
KR20200064204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