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314A -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314A
KR20130077314A KR1020110145954A KR20110145954A KR20130077314A KR 20130077314 A KR20130077314 A KR 20130077314A KR 1020110145954 A KR1020110145954 A KR 1020110145954A KR 20110145954 A KR20110145954 A KR 20110145954A KR 20130077314 A KR20130077314 A KR 20130077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ginseng
skin improvem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7423B1 (ko
Inventor
김남권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45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4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건조 피부의 보습력 향상, 아토피 증상 개선, 알레르기 증상 개선, 주름 개선, 피부톤 향상, 미백, 가려움증 개선, 피부 장벽기능 향상, 피부 면역 기능 개선 및 염증 증상 개선이 우수하면서도 안전성이 뛰어나고 부작용이 적은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과 각각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는 물리적, 화학적으로 외계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동시에 전신의 대사에 필요한 생화학적 기능을 영위하는 생명유지에 필수 불가결한 기관이다. 비교적 흔한 피부질환에는 아토피 피부염, 접촉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두드러기, 무좀, 완선, 건선, 단순포진/대상포진, 피부건조증, 주부습진, 여드름 등이 있다.
이러한 피부질환의 외인으로는 외계로부터 직접 피부에 작용하는 마찰, 압박, 타박 등의 기계적 자극을 비롯하여, 동물성, 식물성 및 광물성의 독물, 그 밖에 약품, 방사선, 온열, 한랭, 또는 세균, 사상균, 원충,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이나 피부기생동물 등을 들 수 있으며, 내인으로는 위장장애, 간장병, 신장병, 물질대사장애, 혈액질환, 내장종양, 내분비장애 등을 들 수 있다. 유전성 피부질환 및 모반, 모반증 등은 그 원인이 유전자에 의한 것이므로 내인성 피부병에 포함된다.
피부질환 중, 특히 아토피 피부염은 아토피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피부질환으로서, 흔히 태열이라 불리는 만성피부질환의 하나이며 심한 소양감을 동반하는 재발성 만성 피부염이다. 최근 수십년 동안 환경오염 등에 의한 공기 매개성 알레르기 유발물질(allergen)의 증가와 건조성 피부를 형성시키는 조건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유병율이 계속 상승하고 있으며, 전 세계 인구의 10 내지 20%가 이 피부염으로 고통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주로 유아와 소아기에 발병하여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만성 재발성 피부염으로, 극심한 소양감과 건조 피부, 홍반, 부종, 삼출 등을 동반하는 피부질환이다. 국내 아토피 피부염의 유병율에 대한 한 연구에 따르면, 소아의 경우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받은 유병율을 28.22%로 보고하였고, 다른 연구에서는 성인 아토피 피부염의 자각적 유병율을 약 3.09%로 보고한 바 있다. 주증상은 가려움증 및 피부 건조증이고, 면역학적 특성을 보여 다른 알레르기 질환인 두드러기,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세포의 노화는 생리적 자연현상으로서, 피부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 단위인 피부 세포의 분열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재생되는 기간이 점점 길어지게 되며, 그 결과 피부는 탄력을 잃고, 노화 각질이 쌓이고 건조해지면서 주름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진행된다. 현재, 노화로 인한 피부를 회복시키기 위해 수술이나 연고 및 비타민 C 요법 등을 사용하고 있지만 우리의 오랜 숙원인 팽팽하고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하기는 역부족이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질환을 개선시키거나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피부 건조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들, IgE의 생성을 억제하는 면역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 항균 및/또는 항염증 성분들을 이용하는 방법,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방법 등이 있고 이 중에서 두 가지 이상을 복합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 염증성 피부염 등을 포함하는 피부질환의 치료에는 보통 스테로이드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스테로이드제는 면역기능 저하, 피부의 박화나 위축, 홍조 등의 다양한 부작용을 발현할 수 있고, 장기 복용시에는 스테로이드성 여드름, 스테로이드성 피부(피부위축, 모세혈관 확장, 자반), 스테로이드성 주사, 입주위 피부염, 다모, 색소탈실, 선조, 수포성 피부염, 피부출혈 등이 나타날 수 있는 등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몇 년 전부터 천연물을 이용한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제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그 중에는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androgen) 억제작용 및 그에 따른 피지분비증가 억제 작용에 대한 피부 개선제로서의 기능 등을 가진 경우도 있고, 피부에 대한 치료제로서의 실질적인 효과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메디칼 스킨 케어(medical skin care)라 해서, 의학적 치료와 스킨 케어가 접목된 피부 치료방법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일본 등지에서도 피부 치료를 위해 개발되고 있으나, 이 방법은 알레르기 피부질환, 여드름, 기미, 주근깨 등을 개선시킬 뿐 여전히 많은 피부질환은 극복되지 않은 채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피부 개선, 보습, 주름개선 등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생약들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피부 개선제로 개발된 예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0126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62587호에는 매우 다양한 식물 소재를 사용한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으나, 양자 모두 발효 방법에 특징이 있는 기술로서, 특정 식물의 단독 또는 혼합 추출물의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를 본 것이 아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99139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99870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87563호 등에는 매우 다양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대부분 가려움증이나 염증 등을 경감시켜 줄 뿐이어서 그 치료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어 실제로는 그 적용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앞서 기술한 아토피 피부염을 치유하거나 개선하는 방법들은 가려움증 저감 또는 항염증 등 한두 가지의 증상에 대한 완화나 개선을 목적으로 하며 복합 감염 등 심각한 부작용이 올 수도 있으며 인공합성 물질의 사용으로 증세가 악화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여러 가지 한약재를 포함하는 것들은 주로 경구용 약제 또는 건강보조식품으로 아토피 피부염 완화에 이로울 수 있으나 다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여러 가지 천연 한약 재료를 이용한 경우에는 부작용의 개선 방법이 상호 다를 수도 있고 호전되는 시기가 각기 다르며 재발 방지 효과도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효과를 가지면서도 피부 자극이 없고 안전하게 조성한 한방 조성물이 요망된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991399호 2. 한국등록특허 제10-0999870호 3. 한국등록특허 제10-0987563호
본 발명을 통하여 건조 피부의 보습력 향상, 아토피 증상 개선, 알레르기 증상 개선, 주름 개선, 피부톤 향상, 미백, 가려움증 개선, 피부 장벽기능 향상, 피부 면역기능 향상 및 염증 증상 개선이 우수하면서도 안전성이 뛰어나고 부작용이 적은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들 각각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추출물은 조추출액, 조추출액의 건조물, 조추출액의 농축물. 조추출액의 분획물, 분획물의 건조물 및 분획물의 농축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은 맥문동 : 인삼 : 오미자 : 어성초의 중량비율이 1 내지 8 : 1 내지 4 : 1 내지 4 : 1 내지 8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은 맥문동 : 인삼 : 오미자 : 어성초의 중량비율이 1 : 1 : 1 : 2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추출물은 정단계ahrck 방법, 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가용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담체, 희석제 및 부형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과립제, 레모네이드제, 산제, 시럽제, 액제, 엑스제, 엘릭서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전제, 침제, 정제, 주정제, 캡슐제, 틴크제, 환제, 경피흡수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에어로솔제, 연고제, 첩부제, 파스타제, 카타플라스마제, 크림제, 유제, 페이스트제제, 비수용성용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및 주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총 중량대비 5 내지 20배 중량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80℃ 내지 120℃에서 1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농축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농축물을 분쇄하여 분말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추출물은 조추출액, 조추출액의 건조물, 조추출액의 농축물. 조추출액의 분획물, 분획물의 건조물 및 분획물의 농축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은 맥문동 : 인삼 : 오미자 : 어성초의 중량비율이 1 내지 8 : 1 내지 4 : 1 내지 4 : 1 내지 8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은 맥문동 : 인삼 : 오미자 : 어성초의 중량비율이 1 : 1 : 1 : 2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가용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담체, 희석제 및 부형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총 중량대비 5 내지 20배 중량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80℃ 내지 120℃에서 1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의 농축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농축물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은 건조 피부의 보습력 향상, 아토피 피부염 증상 개선, 알레르기 증상 개선, 주름 개선, 피부톤 향상, 미백, 가려움증 개선, 피부 장벽기능 향상, 피부 면역 기능 향상 및 염증 증상 개선이 우수하면서도 안전성이 뛰어나고 부작용이 적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건조 피부의 보습력 향상, 아토피 증상 개선, 알레르기 증상 개선, 주름 개선, 피부톤 향상, 미백, 가려움증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피부 면역 기능 향상 및 염증 증상 개선이 우수하면서도 안전성이 뛰어나고 부작용이 적은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 배양한 결과이다. (a)는 비교예, (b)는 실시예 1을 처리한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를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a)는 비교예, (b)는 실시예 1을 처리한 결과이다.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를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필라그린 및 SPT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western blotting사진이다. (a)는 비교예, (b)는 실시예 1을 처리한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를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필라그린 및 SPT의 발현 정도를 상대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a)는 비교예, (b)는 실시예 1을 처리한 결과이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를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COX-2 및 AP-1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western blotting사진이다. (a)는 비교예, (b)는 실시예 1을 처리한 결과이다.
도 6은 실시예 1 및 비교예를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COX-2 및 AP-1의 발현 정도를 상대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a)는 비교예, (b)는 실시예 1을 처리한 결과이다.
도 7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동물 실험에서, 실험 초기의 각 군별 동물의 피부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A는 control(미투여), B는 비교군(비교예 투여), C는 실험군(실시예 1 투여)이다.
도 8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동물 실험에서, 투여 1주차의 각 군별 동물의 피부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A는 control(미투여), B는 비교군(비교예 투여), C는 실험군(실시예 1 투여)이다.
도 9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동물 실험에서, 투여 2주 차의 각 군별 동물의 피부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A는 control(미투여), B는 비교군(비교예 투여), C는 실험군(실시예 1 투여)이다.
도 10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동물 실험에서, 투여 3주 차의 각 군별 동물의 피부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A는 control(미투여), B는 비교군(비교예 투여), C는 실험군(실시예 1 투여)이다.
도 11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동물 실험에서, 투여 4주 차의 각 군별 동물의 피부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A는 control(미투여), B는 비교군(비교예 투여), C는 실험군(실시예 1 투여)이다.
도 12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동물 실험에서, 투여 기간에 따른 피부 염증 정도를 점수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동물 실험에서, 투여 기간에 따른 면역글로불린 E(IgE)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동물 실험에서, 인터루킨(IL)-4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동물 실험에서, 인터루킨(IL)-5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동물 실험에서, 인터루킨(IL)-6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동물 실험에서, 면역글로불린M(IgM)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동물 실험에서, 면역글로불린G1(IgG1)6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동물 실험에서, 인터페론감마(IFN-γ)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과 그 각각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맥문동(Liriope platyphyllla)은 소엽맥문동 및 동속근연 식물의 괴근으로,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상록으로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맛은 감미고하고 성질은 차다. 폐, 위, 심경에 들어간다. 주로 소염, 강장, 진해, 거담제 및 강심제로 사용한다. 맥문동의 괴근에는 여러 종류의 스테로이드계 사포닌(saponin)이 함유되어 있고, 그 아글리콘(aglycone)은 ruscogenin이다. 또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베타시토스테롤베타디글루코사이드(β-sitosterol-β-d-glucoside)를 함유하고 있다. 맥문동의 과실에는 캠프페롤-3-글루코갈락토사이드(kaempferol-3-glucogalactoside)라는 오피오사이드(ophioside)를 함유하고 있다. 맥문동은 혈당을 낮추며, 백색포도구균, 대장균에 대하여도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Panax ginseng)은 오가피과 인삼속 식물인 인삼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신농본초경에서는 기를 크게 보하고 비장과 페장의 기운을 북돋우며, 갈증을 멎게하고, 정신을 평안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현대 약리학적으로는 중추신경계 조절, 면역증강, 강심, 혈당강하 등의 효능이 있다고 한다.
오미자는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나무의 열매로 지름 약 1cm의 공 모양이며, 짙은 붉은 빛깔이다. 특징은 단맛·신맛·쓴맛·짠맛·매운맛의 5가지 맛이 나며, 그 중에서도 신맛이 가장 강하다. 오미자는 시잔드린, 고미신, 시트럴, 사과산, 시트르산 등의 성분이 들어 있어 심장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 주어 강장제로 쓰이며, 폐 기능을 강하게 하고 진해·거담 작용이 있어서 기침이나 갈증 등에 대하여 치료 효과가 있다. 오미자는 오래전부터 수렴, 자양, 강장, 진해약, 해주독, 목마름, 수렴고삽, 익기생진, 보신염심 등의 약효를 가져 생약원료로 한방에서 사용해오던 재료이며, 오미자주의 원료로 오래전부터 사용하여 체내 섭취에 따른 인체 안정성이 이미 확인되어 있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백과사전에는 약모밀로 되어 있으며, 십약, 중약, 즙약 등으로 불리며 이외에 30여 가지의 이명이 있고, 별명으로 메밀나물이라고도 한다. 어성초는 항균작용이 있고, 항염, 진통, 조직재생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한방에서는 '피를 막게 하고 독을 없앤다'하여 청혈 해독제라 불리고 있다. 봄, 가을에 전초를 채취하여 세정한 후 말려서 청혈해독, 수종, 중풍, 폐렴, 맥대, 습진, 중이염 및 고혈압 치료에 쓰이며 강력한 항균효과를 지닌다. 실제로, katharrh 구균이나 influenza A형에 대한 항바이러스 작용이 우수하며, 또한 이뇨작용, 강심작용, 고혈압 예방 및 모세혈관 강화 작용이 매우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조물을 통째로 추출할 수도 있고,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예컨대 길이 3 내지 20 ㎝, 오미자 제외) 추출하거나, 또는 분쇄하거나 분말로 갈아서 추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효과적으로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적당히 부수어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방법으로는 온탕추출법, 열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이산화탄소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 저온압착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추출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추출법 등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각 성분을 별도로 추출하여 혼합하거나, 상기 약재를 혼합한 후 추출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고(혼합추출), 각각의 성분별로 추출한 후 추출물을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며, 약재를 혼합한 후 혼합 추출하는 것이 제조 효율이나 경제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추출물은 조추출액, 조추출액의 건조물, 조추출액의 농축물. 조추출액의 분획물, 분획물의 건조물 및 분획물의 농축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언급한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나, 조추출액, 조추출액의 건조물, 조추출액의 농축물. 조추출액의 분획물, 분획물의 건조물 또는 분획물의 농축물이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추출물의 제조, 보관 및 취급과 제형 제조에 있어 편리성을 제공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추출물은 각 단계별로 얻어진 추출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어느 단계의 추출물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적용하는가에 따라 소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함량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용매 추출 후 여과하여 바로 수득한 상기 조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80.0 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0.05 중량% 미만으로 함유시키면 본 발명이 목적하는 피부 개선 효과가 충분치 않을 수 있고, 이와 반대로 80.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없어 비경제적일 뿐 아니라 제품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감압농축장치와 동결건조기 등을 통해 추출물 내 유효성분의 함량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킨 건조물 또는 농축물은 경우 바람직한 사용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20.0 중량%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용매에 의한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피부 개선은 건조 피부의 보습력 향상, 아토피 피부염 증상 개선, 알레르기 증상 개선, 주름 개선, 피부톤 향상, 미백, 가려움증 개선, 피부 장벽기능 향상, 피부 면역기능 향상 및 염증 증상 개선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은 맥문동 : 인삼 : 오미자 : 어성초의 중량비율이 1 내지 8 : 1 내지 4 : 1 내지 4 : 1 내지 8 인 것(원료의 건조 중량 대비 기준)을 특징으로 한다.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혼합 비율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보다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상기 범위 내로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 맥문동 : 인삼 : 오미자 : 어성초의 중량비율을 1 : 1 : 1 : 2 로 혼합하는 경우(원료의 건조 중량 대비 기준)가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에 대응하는 범위 내라면, 각각의 추출물을 각기 대응하는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가용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칙적으로 추출물의 용매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나, 물,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가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정제수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이 본 발명의 효과 및 제형 안정성 면에서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추출물은 담체, 희석제 및 부형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과립제, 레모네이드제, 산제, 시럽제, 액제, 엑스제, 엘릭서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전제, 침제, 정제, 주정제, 캡슐제, 틴크제, 환제, 경피흡수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에어로솔제, 연고제, 첩부제, 파스타제, 카타플라스마제, 크림제, 유제, 페이스트제제, 비수용성용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및 주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더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제제화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술한 제형 내 유효성분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함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환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효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1일 투여량이 0.5 내지 500 ㎎/k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kg일 수 있다. 상기한 투여량은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높거나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이 상기 투여 용량 미만이면 유의성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없을 수 있으며, 그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상용량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하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추출물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총 중량대비 5 내지 20배 중량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록 상기 용매의 양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보다 용매의 양이 더욱 많은 경우에는 유효 성분의 농도가 낮거나 추출에 드는 에너지나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이보다 더 적은 경우에는 초기 재료 투입량 대비 최종 추출물의 수율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80℃ 내지 120℃에서 1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록 상기 시간과 온도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나 유효 성분의 실질적인 용출을 위해서는 80℃ 내지 120℃에서 1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95℃ 내지 115℃에서 3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유효 성분의 용출면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상기 온도보다 더 낮거나 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유효성분의 실질적인 용출이 감소하고, 상기 온도보다 더 높거나 시간이 긴 경우에는 추출 공정의 시간이나 효율이 저하되거나 유효성분이 파괴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이 혼합되거나 맛이 변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농축하는 단계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농축물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 농축, 건조, 분쇄하는 방법은 추출물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여과, 농축, 건조, 분쇄방법이면 특정한 방법에 국한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여과과정에서는 추출된 유효성분이 여과액 속에 포함될 수 있으면서 불순물은 제거할 수 있는 적당한 크기의 필터를 사용하고, 여과에서 분쇄의 일련의 과정은 유효성분의 파괴를 막기 위하여 60℃이하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먼저,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 각각 분량에 물을 일정량 첨가한 후 환류장치 하에서 약 1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끓이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여 그 여액을 취하고 물을 첨가하여 총 량을 조정한 다음, 저온에서 1일 내지 12일간 방치하여 생성된 침전물들을 막 여과를 실시함으로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생약재 내 존재하는 유효성분의 충분한 추출을 위하며, 상기 과정에 의해 1회 추출한 생약재에 다시 한번 용매를 가하여 다시 한번 추출하는 과정을 부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추출한 추출물과 두 번째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하여 동시에 여과 및 농축과정을 거친다면 더욱 효율적이고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 각각에 대한 설명은 상기 약학 조성물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조물을 통째로 추출할 수도 있고,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예컨대 길이 3 내지 20 ㎝, 오미자 제외) 추출하거나, 또는 분쇄하거나 분말로 갈아서 추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효과적으로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적당히 부수어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방법으로는 온탕추출법, 열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이산화탄소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 저온압착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추출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추출법 등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각 성분을 별도로 추출하여 혼합하거나, 상기 약재를 혼합한 후 추출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고(혼합추출), 각각의 성분별로 추출한 후 추출물을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며, 약재를 혼합한 후 혼합 추출하는 것이 제조 효율이나 경제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추출물은 조추출액, 조추출액의 건조물, 조추출액의 농축물. 조추출액의 분획물, 분획물의 건조물 및 분획물의 농축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추출물은 조추출액, 조추출액의 건조물, 조추출액의 농축물. 조추출액의 분획물, 분획물의 건조물 및 분획물의 농축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언급한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나, 조추출액, 조추출액의 건조물, 조추출액의 농축물. 조추출액의 분획물, 분획물의 건조물 또는 분획물의 농축물이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추출물의 제조, 보관 및 취급과 제형 제조에 있어 편리성을 제공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추출물은 각 단계별로 얻어진 추출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어느 단계의 추출물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적용하는가에 따라 소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함량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용매 추출 후 여과하여 바로 수득한 상기 조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80.0 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0.05 중량% 미만으로 함유시키면 본 발명이 목적하는 피부 개선 효과가 충분치 않을 수 있고, 이와 반대로 80.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없어 비경제적일 뿐 아니라 제품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감압농축장치와 동결건조기 등을 통해 추출물 내 유효성분의 함량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킨 건조물 또는 농축물은 경우 바람직한 사용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20.0 중량%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용매에 의한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개선은 건조 피부의 보습력 향상, 아토피 피부염 증상 개선, 알레르기 증상 개선, 주름 개선, 피부톤 향상, 미백, 가려움증 개선, 피부 장벽기능 향상, 피부 면역기능 향상 및 염증 증상 개선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은 맥문동 : 인삼 : 오미자 : 어성초의 중량비율이 1 내지 8 : 1 내지 4 : 1 내지 4 : 1 내지 8 인 것(원료의 건조 중량 대비 기준)을 특징으로 한다. 그 중에서 맥문동 : 인삼 : 오미자 : 어성초의 중량 비율을 1 : 1 : 1 : 2 로 혼합하는 경우(원료의 건조 중량 대비 기준)가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에 대응하는 범위 내라면, 각각의 추출물을 각기 대응하는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가용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칙적으로 추출물의 용매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나, 물,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가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정제수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이 본 발명의 효과 및 제현 안정성 면에서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담체, 희석제 및 부형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장수, 수용성 리퀴드, 에멀전, 크림, 에센스. 젤 및 팩으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쉐도우,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헤어토너,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비누,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팩 및 헤어트리트먼트로 이루어진 헤어용 화장료 제형; 및 비누, 화장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젤, 바디젤, 바디샤워, 샤워폼 및 샤워젤 등으로 제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형화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더 포함하며, 예컨데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상술한 제형 내 유효성분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함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환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효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1일 투여량이 0.5 내지 500 ㎎/k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kg일 수 있다. 상기한 투여량은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높거나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이 상기 투여 용량 미만이면 유의성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그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상용량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하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추출물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총 중량대비 5 내지 20배 중량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보다 용매의 양이 더욱 많은 경우에는 유효 성분의 농도가 낮거나 추출에 드는 에너지나 시간이 많이 소모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이보다 더 적은 경우에는 초기 재료 투입량 대비 최종 추출물의 수율이 감소한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80℃ 내지 120℃에서 1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중에서도 95℃ 내지 115℃에서 3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상기 온도보다 더 낮거나 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유효성분의 추출이 효과적이지 않고, 상기 온도보다 더 높거나 시간이 긴 경우에는 추출 공정의 시간이나 효율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유효성분이 파괴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이 혼합되거나 맛이 변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상기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의농축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농축물을 분쇄하여 분말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 농축, 건조, 분쇄하는 방법은 추출물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여과, 농축, 건조, 분쇄방법이면 특정한 방법에 국한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여과과정에서는 추출된 유효성분이 여과액 속에 포함될 수 있으면서 불순물은 제거할 수 있는 적당한 크기의 필터를 사용하고, 여과에서 분쇄의 일련의 과정은 유효성분의 파괴를 막기 위하여 60℃이하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먼저,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 각각 분량에 물을 일정량 첨가한 후 환류장치 하에서 약 1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끓이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여 그 여액을 취하고 물을 첨가하여 총량을 조정한 다음, 저온에서 1일 내지 12일간 방치하여 생성된 침전물들을 막 여과를 실시함으로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생약재 내 존재하는 유효성분의 충분한 추출을 위하며, 상기 과정에 의해 1회 추출한 생약재에 다시 한번 용매를 가하여 다시 한번 추출하는 과정을 부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추출한 추출물과 두 번째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하여 동시에 여과 및 농축과정을 거친다면 더욱 효율적이고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하였다.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를 시중에서 구입하여 맥문동 40g, 인삼 40g, 오미자 40g 및 어성초 80g을 추출기에 넣은 다음, 정제수를 2.7L 가하고 112℃ 에서 3시간 가온 추출하여 추출액 1.5L 를 수득하였다.
비교예는 어성초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제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맥문동(g) 40 40
인삼(g) 40 40
오미자(g) 40 40
어성초(g) 80 -
고형분 측정기로 전탕액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추출액의 농도는 10.3%, 비교예 추출액의 농도는 9.8% 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각각의 추출물을 여과포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냉동 건조한 다음, 이를 4℃ 에서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 시험예 ]
1. 실험의 준비 및 실험 방법
1) 실험동물의 준비
웅성(雄性) 8주령의 NC/Nga atopy mice를 중앙실험동물에서 공급받아 실험당일까지 고형사료와 물을 공급하고 실온 22±2℃, 상대습도 50~55%, 조도 200 lux(8시 점등, 20시 소등)를 계속 유지하면서 1주일간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시약의 준비
본 실험에 사용된 시약으로 디에틸피로카보네이트(diethyl pyrocarbonate, DEPC), 염화암모늄(NH4Cl), 탄산수소칼륨(KHCO3),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화 나트륨(Na2EDTA), 완전보조제(complete adjuvant), 클로로포름(chloroform), 콜라게나제(collagenase) IV, 배지 RPMI-1640,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적혈구용혈액(ACK lysis solution), 브롬화 에티듐(ethidium bromide, EtBr), 둘베코즈 인산완충식염수(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D-PBS), 디엠이엠 배지(Dulbecco's minimum essential medium, DMEM), 포름알데하이드(formaldehyde), 염화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MgCl2) 및 아가로스(agarose)는 Sigma 사(USA) 제품을,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은 Gibco BRL사(USA) 제품을, RNase 저해제(RNase inhibitor), Taq 중합효소(Taq polymerase), 마구잡이시발체(random primer),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Deoxynucleotide triphosphate, dNTP) 및 Moloney murine leukemia virus reverse transcriptase(M-MLV RT)는 Promega 사(USA) 제품을, 인터루킨-4(IL-4), 인터루킨 5(IL-5), 인터루킨 6(IL-6) 및 인터페론감마(IFN-γ)의 ELISA kit는 BD(USA)사 제품을, 면역글로블린 E(IgE), 면역글로블린M(IgM) 및 면역글로블린G1(IgG1)의 ELISA kit는 고마바이오텍(Korea) 제품을, RNAzolB는 invitrogen 사(USA) 제품을 사용하였고, 그 외 사용된 시약은 Duksan(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3) 인간 각질 형성 세포주 배양, 실시예와 비교예의 처리
실험에 사용한 인간 각질 형성 세포주 (Human kerationocyte HaCaT cell line)는 DMEM 배지에 10% fetal bovine serum(FBS; Gibco CO., USA), 1% 페니실린-스테렙토마이신(penicilin-streptomycin, Gibco Co., USA) 을 첨가하여 37℃, 5%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세포를 75mm plate에 약 80%의 confluency에 도달할 때까지 배양하였다.
상기에서 마련한 비교예 및 실시예 1을 각각 증류수에 희석하여 1%(w/v)의 stock을 만들어, 배지 내 최종 농도가 0.01, 0.02, 0.05, 0.1%가 되도록 처리하여,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비교예 및 실시예 1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4) 세포 생존능력 시험( Cell viability test )
세포 생존능력 시험은 cell counting assay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추출물 시료(실시예 1 및 비교예)를 각각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처리된 배지와 시약을 제거하였다. 200㎕의 트립신-이디티에이 완충액(Trypsin-EDTA buffer, TE buffer)를 처리한 후 incubator에서 2~3분 동안 방치하였다. 1.8㎖의 인산완충식염수를 첨가한 후 세포를 plate에서 떨어뜨린 후 10㎕의 트리판 블루(Trypan blue)와 10㎕의 세포액을 잘 섞은 후 실온에서 3~4분 동안 반응시켰다.
혈구계수기(Hemacytometer)에 덮개 유리(cover glass)를 올려놓은 후 hemacytometer와 cover glass사이의 틈에 반응물을 10㎕ 취하여 주입한 후 현미경을 이용하여 염색되지 않은 세포와 염색된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5)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 분석
각 조건별 시료를 처리한 세포 추출물을 취한 다음, 96 well plate에 세포 추출물 100㎕와 500U tyrosinase 20㎕ 및 1.5mM L-DOPA 80㎕(A)를 각각 가하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tyrosinase 대신 인산완충식염수(PBS)를 참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 Blank 값(B)과 시료용액 대신 lysis buffer를 첨가하고 위와 같이 tyrosinase를 첨가(C)한 것과 인산완충식염수를 첨가(D)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값으로부터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타이로시네이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6) 필라그린 ( Filaggrin ) 과 세린팔미토일 트랜스퍼레이즈( serine palmitoyl transferase, SPT ) 발현 분석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배양 및 시험한 세포로부터 트리졸(Trizol, invitrogen CO., USA)을 이용하여 total RNA를 추출한 다음, one step RNA PCR kit(AMV) (Takara Bio Inc., Japan)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준하여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이하 RT-PCR) 분석을 시행하였다. PCR 증폭은 GeneAmp® PCR System 2700(Applied Biosystems, USA)을 이용하여 94℃에서 30초 동안 열변성(denaturation) 시킨 후, 60℃에서 30초 동안 서냉복원(annealing)을 하고, 72℃에서 75초 동안 DNA 중합효소에 의한 확장(extension)이 되도록 하였다. 상기 반응에서 얻어지는 증폭 산물은 필라그린(filaggrin)과 β-액틴(actin)이 각기 약 400bp와 300bp이다. 이때, filaggrin에 대한 프라이머는 바이오니아사(Korea)의 5'-GGTAGATAGATCTGGACACTCAGGG-3'를 사용하였으며, internal control으로는 β-액틴을 이용하여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세린팔미토일 트랜스퍼레이즈(serine palmitoyl transferase, SPT) 발현을 분석하기 위하여, SPT의 mRNA 수준을 Dorfman과 Lichtenstein의 방법에 따라 RT-PCR로 분석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배양 및 시험한 세포로부터 트리졸을 이용하여 total RNA를 추출하고,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 (Fermentas, USA)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준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RT-PCR은 1㎕ template, 10㎕ PCR master mix(Qiagen, USA), 1㎕ β-actin과 7㎕ 증류수로 총 부피를 20㎕로 한 PCR mix로 PCR을 수행하였다. 상기 PCR 수행 조건은 denature (95℃, 15초), annealing, extension(60℃, 60초)으로 45 cycle을 수행하였으며, mRNA의 양은 comparative CT method를 이용하여 각각의 template의 변이에 기인하는 증폭양을 normalization하였고, 또한 house keeping gene인 β-actin을 각 유전자의 기준으로 정하여 정량을 유도하였고, 대조시료에서의 각 유전자를 표준기(calibrator)로 정하여 정량을 하였다.
7) 단백질 추출 및 COX -2, AP -1의 Western 분석
COX-2와 AP-1의 발현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배양 및 시험한 세포에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를 처리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상기 라이시스 버퍼는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0.1% 트리톤(Triton) X-100, 20mM Tris-Cl(pH7.4), 1mM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1mM 에틸렌글리콜비스(2-아미노에틸에테르)4-아세트산(ethylene glycol bis(2-aminoethyl ether) tetraacetic acid, EGTA), 150mM 염화나트륨(NaCl).
30㎍의 단백질을 10%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polyacrylamide gel)에 전기영동한 후,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단백질을 이동시키고, COX-2, AP-1, Actin 부분의 membrane을 blocking solution(탈지분유를 1×TBS-T 용액에 5 %로 희석)으로 1시간 동안 blocking 시킨다. 1차 항체를 4℃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세척 후 2차 항체를 반응시킨 후 ECL western blotting detection system을 이용하였다.
8) 염증유발 실험
NC/Nga mice는 실험군별로 각각 6마리를 실험하였으며 각 케이지별로 3마리씩 사육하였다. 즉 물을 제공한 대조군 6마리, 비교예를 제공한 비교군 6마리, 및 실시예 1를 제공한 실험군 6마리로, 총 NC/Nga mice 18마리에 cage 6개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실험 동물 모두에 1-클로로-2,4-디니트로벤젠(1-chloro 2,4-dinitrobenzene, DNCB)을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먼저 NC/Nga mice의 등 부위를 깨끗이 제모한 후 피부의 미세 상처가 치유되도록 24시간 방치하였다. 실험 4일 전 1% DNCB 용액(acetone:olive oil=3:1) 200㎕를 등 부위에 도포하고, 실험 시작일부터 종료일까지 4주간 일주일에 2번씩 0.2% DNCB용액 150㎕를 등 부위에 도포하여 염증을 유발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된 쥐에게 4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기간 동안 대조군은 음용수만을 투여하였고, 비교군은 어성초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를 혼합한 음용수를, 실험군은 실시예 1을 혼합한 음용수를 제공하였다. 상기 비교군 및 실험군의 음용수는 증류수 150g에 추출물 150㎎을 첨가(0.1% 희석)하여 제공하였으며, 이는 실험 동물 한 마리당 추출물 50㎎을 공급하는 양에 해당한다.
9) 피부 손상도 측정
NC/Nga mice의 피부 손상도는 아토피성 피부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상적 육안 평가법피부손상정도지표(Clinical skin severity score)을 이용하였다. 육안평가 결과는 홍반(erythema), 가려움과 건조피부(Pruritus & Dry Skin), 부종과 혈종(Edema & escoriation), 미란(Erosion), 및 태선화(Lichenification)의 5가지 항목을 각각 평가한 점수의 총합으로 나타내었다. 이 각각의 항목은 없음(0), 약함(1), 중증도(2), 심함(3)으로 나누어서 채점하였다.
10) 혈청내 면역글로불린E( IgE ) 정량
혈청내 면역글로불린E(immunoglobulin E, IgE)는 0주, 1주, 2주, 3주, 4주에 생쥐의 눈에서 모세관(capillary tube)를 이용하여 약 100㎕의 혈액을 채혈한 후 원심분리기로 혈청을 분리하여 IgE 량을 ELISA kit로 측정하였다.
11) 혈청내 인터루킨( IL )-4,5,6 및 면역글로불린M( IgM ), 면역글로불린G1(IgG1), 인터페론감마 ( IFN -γ) 정량
추출물 투여 4주 후 NC/Nga 생쥐를 에틸에테르(ethyl ether)로 마취한 후 심장 천자법으로 혈액을 채혈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혈청 중 인터루킨(interlukin, IL)-4, 5, 6 및 면역글로불린M(immunoglobulin M, IgM), 면역글로불린G1(immunoglobulin G1, IgG1), 인터페론감마(interferon-γ, IFN-γ) 양을 각각 ELISA kit로 정량하였다.
2. 추출물이 세포에 미치는 영향
1)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 피부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를 각각 0, 0.01, 0.02, 0.05, 0.1%의 농도로 배지에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의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두 가지 경우 모두 세포 생존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았고, 세포 성장도 대조군(대조군의 배양 사진은 미도시)과 같이 아무런 영향없이 잘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타이로시네이즈 ( tyrosinase ) 억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
추출물이 tyrosinase 억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비교예 및 실시예 1을 인간각질형성세포 HaCaT cell에 각각 0.01, 0.02, 0.05, 0.1% 농도별로 배양배지에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a)는 비교예를 처리한 실험 결과이고, (b)는 실시예 1을 처리한 실험 결과이다.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비교예(a)에서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tyrosinase 억제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반대로 실시예 1(b)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억제 활성이 증가함을 보였다.
즉, 실시예 1에 의해 tyrosinase 활성이 억제되면서 멜라닌과 그 밖에 다른 색소들의 생성을 억제시켜 피부 노화시 생성될 수 있는 반점 등의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피부 장벽 조절 인자에 미치는 영향
추출물이 피부 장벽 기능 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비교예와 실시예 1을 각각 0.01, 0.02, 0.05, 0.1% 농도별로 처리하여 필라그린(filaggrin)과 세린팔미토일 트랜스퍼레이즈(SPT)의 mRNA 발현을 reverse transcription(RT) PCR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a)는 비교예를 처리한 실험 결과이고, (b)는 실시예 1을 처리한 실험 결과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비교예(a)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filaggrin의 발현양이 감소하였으나, 실시예 1(b)에서는 filaggrin 발현양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다가 0.05%에서 가장 높은 발현양을 보였다. 또한 SPT의 발현양 역시 비교예(a)에서는 0.01%에서 잠시 증가하는 듯 하였으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실시예 1(b)에서는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며 0.05%에서 가장 높은 발현양을 보였다.
이를 종합하면 비교예는 피부 장벽 조절 인자의 발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쳐서 그에 노출되면 피부에 자극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실시예 1은 피부 장벽 조절 인자의 발현에는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 1은 피부 장벽 조절인자인 filaggrin과 SPT의 양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피부의 수분 유지 기능을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4) 피부 항염증 반응 인자에 미치는 영향
추출물이 피부 항염증 반응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비교예와 실시예 1을 각각 0.01, 0.02, 0.05, 0.1% 농도별로 처리하여 COX-2의 발현과 COX-2의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중 하나인 AP-1의 발현을 western blotting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a)는 비교예를 처리한 실험 결과이고, (b)는 실시예 1을 처리한 실험 결과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것처럼, 비교예(a)에서는 0.02% 처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농도 의존적으로 COX-2의 발현이 증가하였, AP-1 역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발현양이 증가하였다. 반면, 실시예 1(b)에서는 0.02% 처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농도 의존적으로 COX-2의 발현이 감소하였고, AP-1도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확연히 감소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실시예 1은 피부 염증 반응 인자를 감소시켜 피부 염증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피부염 동물 모델에 대한 추출물의 피부 염증 증상 개선 효능 평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쥐에 대하여 음용수에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비교예를 첨가한 비교군 및 실시예 1을 첨가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염증 증상의 개선 정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도 7 내지 도 11에 나타냈다. 각 사진에서 A는 대조군, B는 비교군, C는 실험군의 동물 사진이다.
상기 실험 방법에 따라 NC/Nga mice에 DNCB를 처리하였을 때 4일 후부터 처리 부위에 피부 발진이 확연히 나타나기 시작했다(도 7 참조). 투여 1주 후에는, 대조군(A)은 피부 발진이 심해졌으며 비교군(B)과 실험군(C) 역시 대조군(A) 보다는 약하지만 피부 발진이 진행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8 참조). 투여 2주 후에는, 대조군(A)의 피부 발진은 더욱 악화 되었으나, 비교군(B)과 실험군(C) 모두에서 피부 발진이 조금씩 개선되는 증상을 관찰할 수 있었고, 특히 실험군(C)에서의 개선 정도가 다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9 참조). 투여 3주 후에는, 대조군(A)의 피부 발진이 더 이상 악화되지는 않았으나, 비교군(B)과 실험군(C)에서 피부 발진이 상당히 많이 회복됨을 볼 수 있었다(도 10 참조). 투여 4주 후에는, 대조군(A)의 피부 발진도 다소 개선됨을 볼 수 있었으며 비교군(B)과 실험군(C)에서 피부발진이 거의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11 참조).
상기 실험 결과를 점수화하여 평가한 결과(Clinical skin severity score)를 도 12에 나타냈다. 도 12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투여 2주후 대조군(A)(8.5) 보다 비교군(B)(3.8) 및 실험군(C)(3.5)의 피부 손상이 더욱 감소하였다. 투여 3주차에는 대조군(A)의 피부손상도는 9.5로 투여 2주차 때보다 다소 심해진 반면, 비교군(B)(3.1)과 실험군(C)(2.8)에서는 모두 피부 발진 및 손상 정도가 지속적으로 회복되어 갔다. 마지막 주인 투여 4주차에는, 대조군(A)에서도 피부 손상도가 6.5 정도로 되어 투여 3주차 때보다 많은 회복을 보였으나, 비교군(B)(1.5)과 실험군(C)(1.2)은 거의 정상으로 개선되었다. 또한 전체 실험 과정을 통해 실험군(C)에서 피부 염증 완화 및 회복이 초기부터 빠르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고, 회복 정도 또한 비교군(B)에 비하여 실험군(C)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4. 피부염 동물 모델에서 추출물이 염증인자 면역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쥐에 대하여 음용수에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비교예를 첨가한 비교군 및 실시예 1을 첨가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혈청 내 여러 염증인자 및 면역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1) 면역글로불린E(IgE)에 대한 결과
면역글로불린E(IgE)에 대한 결과는 도 13에 나타내었다. 실험 초기에는 아토피 피부염 유발로 인하여 대조군, 비교군 및 실험군 모두에서 면역글로불린의 수치가 서로 유사한 정도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대조군(control)의 혈청 중 IgE 생성량은 투여 3주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4주차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비교군에서 혈청 중 IgE 생성량은 1주차에 피부염 유발로 인해 급격히 증가한 후 투여시간경과에 따라 크게 감소되었다. 실험군의 IgE 생성량은 1주차에 피부염 유발로 인해 급격히 증가한 후 투여시간경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크게 감소되었다(p<0.01). 특히 실험군은 비교군과 동일한 경향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실험군의 혈청 중 IgE 생성량 감소폭은 더 컸다. 각 실험 기간별 면역글로불린 IgE의 구체적인 수치는 하기 표와 같다.
0주 1주 2주 3주 4주
대조군 (ng/㎖) 152.9±12.80 258.4±14.54 286.7±11.14 312.5±16.12 225.4±12.21
비교군 (ng/㎖) 145.9±10.12 214.5±11.87 174.2±10.52 132.2±11.45 105.3±11.02
실험군 (ng/㎖) 161.5±9.89 195.5±10.74 155.1±10.20 122.4±11.31 85.3±9.25
2) 인터루킨-4(IL-4)에 대한 결과
인터루킨-4(IL-4)에 대한 결과는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대조군은 45.25±4.85 pg/㎖, 비교군은 25.12±2.9 pg/㎖, 실험군은 20.35±3.54 pg/㎖로 나타났다. 비교군과 실험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p<0.01) 감소를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도 실험군에서의 IL-4 감소폭이 더 컸다.
3) 인터루킨-5(IL-5)에 대한 결과
인터루킨-5(IL-5)에 대한 결과는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5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대조군은 215.63±5.22 pg/㎖, 비교군은 156.52±4.12 pg/㎖, 실험군은 145.66±4.52 pg/㎖로 나타났다. 비교군과 실험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p<0.01) 감소를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도 실험군에서의 IL-5 감소폭이 더 컸다.
4) 인터루킨-6(IL-6)에 대한 결과
인터루킨-6(IL-6)에 대한 결과는 도 16에 나타내었다. 도 16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대조군은 450.12±4.25 pg/㎖, 비교군은 256.45±4.75 pg/㎖, 실험군은 241.54±5.23 pg/㎖로 나타났다. 비교군과 실험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p<0.01) 감소를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도 실험군에서의 IL-6 감소폭이 더 컸다.
5) 면역글로불린M(IgM)에 대한 결과
면역글로불린M(IgM)에 대한 결과는 도 17에 나타내었다. 도 17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대조군은 585.15±45.58 ㎍/㎖, 비교군은 325±19.21 ㎍/㎖, 실험군은 288±25.25 ㎍/㎖로 나타났다. 비교군과 실험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p<0.01) 감소를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도 실험군에서의 IL-4 감소폭이 더 컸다.
6) 면역글로불린G1(IgG1)에 대한 결과
면역글로불린G1(IgG1)에 대한 결과는 도 18에 나타내었다. 도 18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대조군은 2,784±255.85 ㎍/㎖, 비교군은 1,958±125.25 ㎍/㎖, 실험군은 1,754±165.73 ㎍/㎖로 나타났다. 비교군과 실험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p<0.01) 감소를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도 실험군에서의 IgG1 감소폭이 더 컸다.
7) 인터페론감마(IFN-γ)에 대한 결과
인터페론감마(IFN-γ)에 대한 결과는 도 19에 나타내었다. 도 19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대조군은 815.15±58.52 pg/㎖, 비교군은 1,158±85.65 pg/㎖, 실험군은 1,298±128.54 pg/㎖로 나타났다. 비교군과 실험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p<0.01) 증가를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도 실험군에서의 IFN-γ 증가폭이 더 컸다.
5. 제형예
통상의 의약품 및 화장품의 제형방법에 따라 하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다양한 제형의 의약품 및 화장품 제조한다. 하기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관련 규정을 준수하는 제형예로 조성하였으나, 규정 내에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하여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형예 1> 산제
대한약전 제제총칙 중 산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포당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제조한다.
성분명 함량 (단위: mg)
실시예 1 추출물
유당
탈크
200
100
10
<제형예 2> 정제
대한약전 제제총칙 중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정당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성분명 함량 (단위: mg)
실시예 1 추출물
옥수수전분
유당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00
100
100
2
<제형예 3> 캅셀제
대한약전 제제총칙 중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캅셀당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성분명 함량 (단위: mg)

캅셀제1
실시예 1 추출물
결정성 셀룰로오스
유당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00
30
100
2


캅셀제2
(연질)
실시예 1 추출물
아연
니코틴산아미드
소맥배아유
레시틴
밀납
100
2.5
2.0
290
10
20
<제형예 4> 액제
대한약전 제제총칙 중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가 되도록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하여 제조한다.
성분명 함량 (단위: mg)
실시예 1 추출물
만니톨
정제수
200
10
적량
총합 100㎖
<제형예 5> 주사제
하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최종부피가 2㎖가 되도록 제조한 후 2ml 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 (단위: mg)
실시예 1 추출물
소듐 메타비설파이트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주사용 멸균증류수
100
3.0
0.8
0.1
적량
총량 2㎖
<제형예 7> 유연 화장수
통상적인 화장수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혼합하여 유연화장수를 제조한다.
성분명 함량 (단위: 중량%)
실시예 1 추출물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PEG 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EDTA-2NA
벤조페논-9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에탄올
옥틱도데세스-16
폴리솔베이트 20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3.0
5.0
3.0
1.0
0.1
0.3
0.02
0.04
5.0
10.0
0.2
0.1
미량
잔량
합계 100
<제형예 8> 수렴 화장수
통상적인 화장수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혼합하여 수렴화장수를 제조한다.
성분명 함량 (단위: 중량%)
실시예 1 추출물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알란토인
DL-판테놀
이.디.티.에이-2NA
벤조페논-9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에탄올
폴리솔베이트 20
위치하젤 추출물
구연산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1.5
2.0
2.0
0.2
0.2
0.02
0.04
3.0
15.0
0.3
2.0
미량
미량
잔량
합계 100
<제형예 8> 영양크림
통상적인 화장수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혼합하여 영양크림를 제조한다.
성분명 함량 (단위: 중량%)
실시예 1 추출물물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
밀납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경화식물유
스쿠알란
광물유
트리옥타노인
디메치콘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글리세린
베타인
트리에타올아민
소듐히아루로네이트
방부제, 향, 색소
정제수
3.0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합계 100
<제형예 9> 에센스
통상적인 화장수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혼합하여 에센스를 제조한다.
성분명 함량 (단위: 중량%)
실시예 1 추출물
글리세린
베타인
피이지 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이.디.티.에이-2Na
벤조페논 - 9
히드록시에칠 셀룰로오스
소듐히아루로네이트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옥틸도데칸올
옥틸도데세스 -16
에탄올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5.0
10.0
5.0
2.0
0.1
0.3
0.02
0.04
0.1
8.0
0.2
0.18
0.3
0.4
6.0
미량
잔량
합계 100
<제형예 10> 마사지팩
통상적인 화장수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혼합하여 마사지팩를 제조한다.
성분명 함량 (단위: 중량%)
실시예 1 추출물
폴리비닐알콜
셀룰로오스 검
글리세린
피이지1500
사이크로데스트린
DL - 판테놀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니코틴아미드
에탄올
피이지 40 경화피마자유
향, 색소, 방부제
증류수
3.0
15.0
0.15
3.0
2.0
0.15
0.4
0.1
0.3
0.5
6.0
0.3
미량
잔량
합계 100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 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0)

  1.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추출액, 조추출액의 건조물, 조추출액의 농축물. 조추출액의 분획물, 분획물의 건조물 및 분획물의 농축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은 맥문동 : 인삼 : 오미자 : 어성초의 중량비율이 1 내지 8 : 1 내지 4 : 1 내지 4 : 1 내지 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은 맥문동 : 인삼 : 오미자 : 어성초의 중량비율이 1 : 1 : 1 :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가용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담체, 희석제 및 부형제 중에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과립제, 레모네이드제, 산제, 시럽제, 액제, 엑스제, 엘릭서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전제, 침제, 정제, 주정제, 캡슐제, 틴크제, 환제, 경피흡수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에어로솔제, 연고제, 첩부제, 파스타제, 카타플라스마제, 크림제, 유제, 페이스트제제, 비수용성용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및 주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7.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총 중량대비 5 내지 20배 중량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80℃ 내지 120℃에서 1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농축물을 분쇄하여 분말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추출액, 조추출액의 건조물, 조추출액의 농축물. 조추출액의 분획물, 분획물의 건조물 및 분획물의 농축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은 맥문동 : 인삼 : 오미자 : 어성초의 중량비율이 1 내지 8 : 1 내지 4 : 1 내지 4 : 1 내지 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추출물은 맥문동 : 인삼 : 오미자 : 어성초의 중량비율이 1 : 1 : 1 :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가용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담체, 희석제 및 부형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7.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맥문동, 인삼, 오미자 및 어성초의 총 중량대비 5 내지 20배 중량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80℃ 내지 120℃에서 1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약학조성물 제조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농축물을 분쇄하여 분말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10145954A 2011-12-29 2011-12-29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67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954A KR101367423B1 (ko) 2011-12-29 2011-12-29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954A KR101367423B1 (ko) 2011-12-29 2011-12-29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314A true KR20130077314A (ko) 2013-07-09
KR101367423B1 KR101367423B1 (ko) 2014-02-28

Family

ID=4899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954A KR101367423B1 (ko) 2011-12-29 2011-12-29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42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417B1 (ko) * 2014-01-29 2014-08-18 고결 아토피 면역체계 강화 및 항암 효과가 있는 한방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03920A (ko) * 2016-07-01 2018-01-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릴리오페사이드 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8044122A1 (ko) * 2016-09-01 2018-03-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약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KR101907921B1 (ko) * 2017-12-22 2018-10-1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8203668A1 (ko) * 2017-05-04 2018-11-08 이종열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90075660A (ko) * 2017-12-21 2019-07-01 농업회사법인(주)하늘호수 특정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KR102349786B1 (ko) * 2021-10-05 2022-01-10 여지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539B1 (ko) 2002-12-10 2005-04-18 이진형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34689A (ko) * 2005-03-22 2005-04-14 유인권 건강증진 약초입욕제의 제조방법
KR101483440B1 (ko) * 2008-05-02 2015-01-19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146206B1 (ko) * 2010-06-09 2012-05-24 (주) 존스킨코스메틱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417B1 (ko) * 2014-01-29 2014-08-18 고결 아토피 면역체계 강화 및 항암 효과가 있는 한방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15115778A1 (ko) * 2014-01-29 2015-08-06 고결 아토피 면역체계 강화 및 항암 효과가 있는 한방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03920A (ko) * 2016-07-01 2018-01-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릴리오페사이드 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8044122A1 (ko) * 2016-09-01 2018-03-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약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US11666619B2 (en) 2016-09-01 2023-06-06 K-Lab Corp. Composition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including herbal medicine mixed extract
WO2018203668A1 (ko) * 2017-05-04 2018-11-08 이종열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90075660A (ko) * 2017-12-21 2019-07-01 농업회사법인(주)하늘호수 특정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KR101907921B1 (ko) * 2017-12-22 2018-10-1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9124862A1 (ko) * 2017-12-22 2019-06-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349786B1 (ko) * 2021-10-05 2022-01-10 여지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423B1 (ko) 201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423B1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3566702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iseases such as asthma or atopy, comprising baicalein as active ingredient
WO2019132625A1 (ko)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6982A (ko)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36094B1 (ko) 피부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92373A (ko) 소아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생약 조성물
KR101892626B1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05354B1 (ko) 고사리삼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128589A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842786B1 (ko) 생약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JP2016160198A (ja) 黒生姜含有組成物
US2021034645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urple corn extrac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ease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4566B1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61340B1 (ko)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00850B1 (ko) 소맥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면역반응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69089B1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184670B1 (ko) 진세노사이드 Rg3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419587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2547208B1 (ko) 인삼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면역 강화용 조성물
KR102209969B1 (ko) 절패모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