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982B1 - 생화학적 미네랄 재조합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생화학적 미네랄 재조합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982B1
KR102537982B1 KR1020220088907A KR20220088907A KR102537982B1 KR 102537982 B1 KR102537982 B1 KR 102537982B1 KR 1020220088907 A KR1020220088907 A KR 1020220088907A KR 20220088907 A KR20220088907 A KR 20220088907A KR 102537982 B1 KR102537982 B1 KR 102537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distillate
hot water
gyps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호
Original Assignee
윤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호 filed Critical 윤석호
Priority to KR1020220088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화학적 미네랄 재조합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생화학적 미네랄 재조합 복합성분을 함유하여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이 강력하고,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어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Description

생화학적 미네랄 재조합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R TREATMENT OF SEVERE DERMATOPATHY CONTAINING BIOCHEMICAL MINERAL RECOMBINANT COMPLEX INGREDIENTS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생화학적 미네랄 재조합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생화학적 미네랄 재조합 복합성분을 함유하여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이 강력하고,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어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적합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 건선, 루푸스 등과 같은 중증 피부질환은 난치성 질환으로서 치료나 개선이 쉽지 않으며, 특히 현대사회에서 서구화된 식습관, 환경오염 등이 심해짐에 따라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질환이다.
특히 '아토피(atopy)'는 1925년 코카(Coca)라는 학자가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로, 음식물이나 기타 흡입성 물질에 대한 선천성 알러지(allergy) 반응을 의미한다. 'atopy'는 그리스어로 '알 수 없는', '괴상한'이라는 뜻으로 그 의미에서도 알 수 있듯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고, 치료가 힘든 난치성 질환이다.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보통 습진(eczema), 고초열(hayfever), 천식(asthma), 알레르기(allergy) 등을 잘 일으키는 유전적 경향을 보이는 체질을 가진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되는 만성 피부염으로 흔히 태열이라 부르고 유아 습진으로 시작, 만성, 재발성 경과를 보인다.
아토피의 발생 원인은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유전적, 면역학적 요인이 깊숙이 관계되리라 생각되며 동시에 환경적, 사회적, 정신적 요인 등 다양한 주변인자들도 연관이 있으리라고 생각되고 있다.
오늘날 일반적인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는 소양감의 조절, 2차 병변 발생의 방지를 목적으로 하고, 약물투여 방법에 따라 외용 방법, 내복 방법, 그리고 면역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외용 방법으로는 피부를 세정하는 방법, 스테로이드 계열의 연고제를 바르는 방법, 그리고 보습제를 바르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스테로이드는 일종의 부신피질 호르몬제로서 효과는 매우 빠르지만, 장기간 사용했을 때 피부의 위축이나 소아 환자에서 성장지연의 가능성 등 각종 부작용이 문제되고 있다. 보습제는 건조한 피부에 수분을 공급 및 유지하기 위한 화장품류를 바르는 것을 말한다. 내복 방법으로 주로 사용하는 아토피 치료약은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계 의약품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면역 방법은 신체의 면역력을 자연적으로 길러줄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조정하거나 유도하는 것이다
일반의약품 조성물은 종래의 개발된 생약추출물 또는 생약제제를 함유하여 아토피성질환 및 기타 피부질환(건선, 습진) 등의 치료를 하는데, 스테로이드 및 항히스타민 성분으로 인한 피부 침착, 착색 및 심한 가려움증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며, 사용을 중지할 시 확장성 질환에 대한 심각한 부작용과 3차 세균 감염으로 발전될 수 있다.
소아와 성인기의 면역 체계의 특성이 아토피의 발생 및 병리적 특성과 연관될 수 있다. 우리나라 신생아의 70-80%가 태열을 경험한다. 이들 중의 대부분은 자연스럽게 소아기에 접어들면서 치료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일부 보고에 의하면 이들 중의 20-30%는 소아 아토피로 진행이 된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면역계의 자연스러운 변화인데, 즉 유아기의 특이면역이 소아기에 접어들면서 자연면역이 회복이 되면서 아토피는 치유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 시기의 면역학적인 특징은 자연면역이 활발하게 성장을 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즉, 아이들이 감기와 같은 발열증상들을 경험하면서 자연 면역계가 성장하는 과정인 것이다. 그러므로 아이들이 감기나 발열증상이 있을 때 해열제나 항생제를 오·남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성인의 경우, 이 시기는 자연 면역계와 특이 면역 모두 어느 정도는 성숙되어 있는 시기다. 즉, 건강하든 건강하지 않든 면역계는 어느 정도 고착화되어 있는 것이다.
양의학과 한의학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이 생기는 원인에 대해 '몸 안에 뭉친 열이 독을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몸속 깊숙이 숨어 있던 열독이 피부층까지 올라와 각종 트러블을 일으키는 것이다. 따라서 열독이 풀리지 않는 한 아토피 피부염은 계속 재발할 수밖에 없다. 특히 임신 중에 맵고 짠 음식이나 과도한 카페인, 알코올, 인스턴트, 기름진 음식 등을 많이 섭취했거나, 자궁 안에 노폐물이 많이 쌓였거나, 자궁이 약한 경우 태내에 열이 쌓여 태아에게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다고 보고 있다. 열독은 피부 이상만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몸의 면역력을 떨어뜨려 각종 합병증을 유발시키므로 단순히 증상만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을 찾아 근본적인 치료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이 되는 열독을 풀어주고, 알레르기에 대항할 수 있는 자생력을 키우는 등 근본치료를 해야 재발을 막을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염증세포들은 주로 대식세포, 호산구와 같은 속발반응에 관여하는 세포들이며 이들은 아토피성 피부염의 급성기에 존재하던 세포들에서 생성된 IL-1 과 TNF-α과 같은 사이토카인(cytokine)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피부에 침투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질환은 TH1/TH2 면역 반응과 큰 연관이 있다. 항원이 제시되면 원시 T 세포(naive T cell)은 인터루킨(interleukin, IL)-12, IL-18, 또는 IL-4에 노출되어 TH1이나 TH2 세포로 분화된다. TH1 세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gamma, IFN-γ)와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를 분비하며 TH2를 억제하는 반면, TH2 세포는 IL-4, IL-5, IL-13 등을 분비하며 TH1 반응을 억제한다. 특히, IL-8은 주로 염증과 연관이 되는 사이토카인인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진 IL-8은 국소적 염증에 중요한 매개 변수가 된다.
최근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중증 피부질환에 관한 식물, 광물, 동물성의 천연물 소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현황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아토피 피부염에 뛰어난 효능을 보이는 동시에 부작용이 없고 사용이 용이한 의약 조성물이나, 화장품 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 등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팀은 다양한 약재와 천연 소재들을 연구하고 실험하여 아토피성 피부질환과 같은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에 효능이 있는 성분을 발견하였으며, 또한 이를 열수 추출 시 일정 온도 이상에서 휘발되는 증류성분을 냉각 회수하면 정유성분, 방향족성분 및 항산화성분이 풍부한 열수 증류 분획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에 가장 좋은 효능을 나타내는 생화학적 미네랄 재조합 복합성분을 배합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화학적 미네랄 재조합 복합성분을 함유하여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부작용이 없어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위와 같은 위와 같은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백선피 2-8 중량부, 백반 2-8 중량부 및 석고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은 백선피 3-7 중량부, 백반 3-7 중량부 및 석고 3-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백선피 2-8 중량부, 백반 2-8 중량부, 석고 2-8 중량부 및 망초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은 백선피 3-7 중량부, 백반 3-7 중량부, 석고 3-7 중량부 및 망초 3-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증 피부질환은 염증성 피부질환, (자가)면역성 피부질환 또는 염증을 동반한 면역성 피부질환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피부질환은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건선(psoriasis),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지루성 피부염(seborrheic dermatitis), 습진(eczema) 및 한포진(pompholyx)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중증 피부질환은 아토피 피부염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재들의 학명 또는 상기 약재들의 기원식물의 학명은 하기와 같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백선피(白鮮皮): Dictamnus dasycarpus Turcz.
- 백반(白礬): Alumen
- 석고(石膏): Gypsum
- 망초(芒硝): Natrii Sulfas
- 용뇌(龍腦): Bomeolum
상기 백선피는 프락시넬론(Fraxinellone) 및/또는 딕탐닌(dictamnine)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백반은 알루미늄(Al) 및/또는 황산알루미늄칼륨수화물(KAl(SO4)2·12H2O)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석고는 칼슘(C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망초는 나트륨(N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용뇌는 이소보르네올(isoborneol) 및/또는 D-보르네올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프락시넬론, 딕탐닌, 황산알루미늄칼륨수화물, 알루미늄, 칼슘, 나트륨, 이소보르네올 및 D-보르네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지표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백선피 2-8 중량부, 백반 2-8 중량부, 석고 2-8 중량부 및 용뇌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은 백선피 3-7 중량부, 백반 3-7 중량부, 석고 3-7 중량부 및 용뇌 3-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백선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 백반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 및 석고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백선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7 중량부, 백반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7 중량부 및 석고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백선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 백반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 석고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 및 망초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백선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7 중량부, 백반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7 중량부, 석고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7 중량부 및 망초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백선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 백반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 석고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 및 용뇌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백선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7 중량부, 백반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7 중량부, 석고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7 중량부 및 용뇌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3-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백선피 2-8 중량부, 백반 2-8 중량부, 석고 2-8 중량부, 망초 2-8 중량부 및 용뇌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백선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 백반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 석고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 망초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 및 용뇌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a) 백선피 2-8 중량부, 백반 2-8 중량부, 석고 2-8 중량부 및 망초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가열하고 여과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열수 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수관으로 액화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액화된 것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혼합물을 80-100 ℃로 8-48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열수 추출물을 90-100 ℃로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4-10 ℃의 냉각수관으로 액화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는 8,000-14,000 rpm 및 2-8 ℃에서 10-50분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d) 상기 가열 후 잔류한 추출물 10-30 중량부를 상기 증류액 70-90 중량부에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혼합물이 백선피 2-8 중량부, 백반 2-8 중량부, 석고 2-8 중량부 및 용뇌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만 다르고, 그 외의 방법 및 단계들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혼합물이 백선피 2-8 중량부, 백반 2-8 중량부 및 석고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만 다르고, 그 외의 방법 및 단계들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a) 백선피, 백반, 석고 및 망초를 각각 가열하고 여과하여 각각의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각 열수 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수관으로 액화시키는 단계; (c) 상기 액화된 것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각각의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백선피의 증류액 2-8 중량부, 백반의 증류액 2-8 중량부, 석고의 증류액 2-8 중량부 및 망초의 증류액 2-8 중량부를 서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백선피, 백반, 석고 및 망초를 각각 80-100 ℃로 8-48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각 열수 추출물을 90-100 ℃로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4-10 ℃의 냉각수관으로 액화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는 8,000-14,000 rpm 및 2-8 ℃에서 10-50분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백선피, 백반, 석고 및 용뇌를 사용하는 점만 다르고, 그 외의 방법 및 단계들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백선피, 백반 및 석고를 사용하는 점만 다르고, 그 외의 방법 및 단계들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수득한 증류액을 한외 여과막 또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정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증류액 또는 상등액의 밀도는 약 1 kg/L, 즉 정제수의 밀도와 근사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증류액 또는 상등액의 함량 단위인 '중량부(parts by weight)'는 '부피부(parts by volume)'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전술된 방법에 따라 추출되는 열수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온 추출, 액상 추출, 농축 액상 추출, 동결건조 및 분무건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추출 또는 제조되는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온 추출의 경우, 생약재 원료들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혼합하고 C1-6의 알코올을 이용하여 1-5시간 동안 50-80 ℃로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성물은 생화학적 미네랄 재조합 복합성분을 함유하여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이 강력하고,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에 대한 독성이 없으며, 여러 성분들이 최적으로 배합됨에 따라 단일 성분 대비 상승작용 효과(synergistic effect)를 나타내기 때문에,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cell)에 대한 독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 또는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예방'이란 질환 또는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릴 수 있는 개체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 또는 '개선'이란 개체에서 (a) 질환 또는 질병의 발전(악화)의 억제, (b) 질환 또는 질병의 경감, 또는 (c) 질환 또는 질환의 제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아토피 피부염'이란 아토피성의 피부염, 피부질환, 건선, 습진, 가려움증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약재'란 생약, 약초 또는 한약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약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자연에서 채취할 수 있는 모든 초(草)·목(木)·곡(穀) 등을 포괄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열수 추출물, 가온 추출물, 액상 추출물, 농축 액상 추출물, 동결건조 분말 및 분무건조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피 흡수제(외용피부연고제), 물비누, 비누, 에센스, 젤, 액체세정료, 로션, 폼, 유연수, 화장수,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팩, 맛사지 크림, 에몰리언트(emollient)크림, 에몰리언트(emollient)로션, 화장수에센스, 수렴화장수(astringent), 수용성 리퀴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바디용로션,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 트리트먼트, 스킨로션, 밀크로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품으로 허용되는 유화제, 각종 오일 성분(지방, 오일, 에스테르, 실리콘 오일 등), 농후제, 방부제, 향유, 킬레이트화제, 물과 같은 통상적인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제형 전체 조성에 대하여 0.005-95 wt%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란 해당 성분이 지표성분으로 함유된 약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약재란 약재를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공정을 거쳐 얻은 것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생화학적 미네랄 재조합 복합성분'이란 복수의 약재들 또는 약재로부터 얻은 성분들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 가공 또는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재 또는 이로부터 얻은 성분은 미네랄 성분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조, 가공 또는 추출 방법은 생화학적 재조합 방법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제조예와 실험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의 효과가 하기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제조예: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백선피 40 g, 백반 40 g, 석고 40 g 및 망초 40 g의 생약재 원료들을 정제수로 충분히 세척한 후 혼합하였다. 정제수 20 L를 채운 열탕 증류기에 생약재 원료들을 투입하고 약 80-100 ℃로 30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에 사용된 생약재들은 여과하여 제거하고, 열수 추출물을 약 90-100 ℃로 가열하면서 약 4-10 ℃의 냉각수관을 이용하여 증류액을 획득하였다. 증류액을 12,000 rpm 및 4 ℃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백선피 40 g, 백반 40 g, 석고 40 g 및 용뇌 40 g의 생약재 원료들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백선피 40 g, 백반 40 g, 석고 40 g 및 망초 40 g의 생약재 원료들을 정제수로 충분히 세척한 후 혼합하고 에탄올(95 w/w%)을 이용하여 3시간 동안 70 ℃로 가온 추출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백선피 50 g, 백반 50 g, 석고 50 g 및 용뇌 10 g의 생약재 원료들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백선피 10 g, 백반 10 g, 석고 10 g 및 망초 120 g의 생약재 원료들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백선피 160 g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백반 160 g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석고 160 g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용뇌 160 g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백선피, 백반, 석고 및 망초의 생약재 원료들을 정제수로 충분히 세척한 후, 각 원료를 정제수 20 L를 채운 열탕 증류기에 별개로 투입하고 약 80-100 ℃로 30시간 동안 가열하여 각각의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에 사용된 생약재들은 여과하여 제거하고, 각 열수 추출물을 약 90-100 ℃로 가열하면서 약 4-10 ℃의 냉각수관을 이용하여 각각의 증류액을 획득하였다. 각 증류액을 12,000 rpm 및 4 ℃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각각의 상등액을 취하였다. 백선피 상등액 0.4 L, 백반 상등액 0.4 L, 석고 상등액 0.4 L 및 망초 상등액 0.4 L을 서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백선피 40 g, 백반 40 g 및 석고 40 g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독성 평가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독성을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96-well plate를 사용하여 1% FBS(Fetal bovine serum)를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인간 각질형성세포(human keratinocyte cell line, HaCaT)를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세포가 배양 접시에 60% 정도 차면 세럼이 들어있지 않은 배지로 바꾸어 16-24시간 배양한 후에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을 포함한 배지로 교환해주었다. 48시간 뒤에 MTT(Tetrazolium-based colorimetric) 용액을 10%로 함유한 배지로 교환해주었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뒤 배지를 제거하고 DMSO(Dimethyl sulfoxide)로 배양접시 밑에 남아있는 침전물을 녹여주었다. ELISA leader로 57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과 같았다. 도 1에서 C, C1 및 C2는 각각 대조군 및 실시예 1 내지 2의 조성물을 의미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항산화 활성 평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산화질소(NO)의 소거능을 시험하였다.
10% FBS(fetal bovine serum)과 100 unit/ml의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Raw 264.7 대식세포를 1×106 cell/ml의 농도로 96-well plate에 접종하고, 37 ℃, 5% CO2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날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지로 교환한 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50 μl씩 세포에 처리하였다. 30분간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 후 50 μl(1 μg/ml)의 LPS(lipopolysaccharide)를 함유한 배지를 처리하고 인큐베이터(5% CO2,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대조군으로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를 사용하였다. Griess reagent I (NED solution)과 Griess reagent II (Sulfaniliamide solution)을 동량으로 혼합하여 넣은 후,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microplate reader로 540 nm에서의 광밀도(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다. 산화질소(NO)의 농도는 아질산나트륨 (Sodium Nitrate)의 표준곡선(0-100 μM)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았다.
구분 NO 생성량(%)
음성대조군 30
양성대조군 100
실시예 1 62
실시예 2 57
비교예 1 67
비교예 2 68
비교예 3 72
비교예 4 65
비교예 5 73
비교예 6 81
비교예 7 78
실시예 1-1 62
실시예 1-2 64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LPS에 의해 촉진된 NO의 생성량을 40-50% 이상 감소시켰기 때문에 우수한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추출방법, 조성 또는 배합비율에 따라 활성에 차이가 있으며, 각 원료들의 단일 추출물 대비 상승작용 효과(synergistic effect)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억제 활성 평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염 활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2와 같이 배양한 RAW 264.7 세포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먼저 처리한 다음 LPS(lipopolysaccharide)를 1 μg/ml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ELISA 키트로 IL-8(interleukin-8)을 측정하였다. Avidin이 결합된 검출용 항체를 사용하여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를 사용하였다.
또한, TNF-α 발현을 분석하기 위하여 웨스턴블랏 분석(Western blot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이 처리된 배지에서 자란 세포들을 PBS로 씻어내고 0.05% 트립신-EDTA를 처리한 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취한 다음 lysis buffer로 용해한 후, 세포 내 잔사물을 분리시키고 동량의 단백질을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SDS-Polyacrylamide gel elecrophoresis)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을 니트로섬유소막(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전이시킨 후, 항체와 2차항체 반응을 실시하고 ECL(enhanced chemiluminoesence) 용액을 처리한 다음 X-ray 필름에 감광시켜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IL-8의 분비량과 TNF-α의 발현량은 하기 표 2와 같았다.
구분 IL-8 TNF-α
음성대조군 18 21
양성대조군 100 100
실시예 1 52 63
실시예 2 49 65
비교예 1 55 66
비교예 2 57 72
비교예 3 79 70
비교예 4 61 73
비교예 5 60 81
비교예 6 80 79
비교예 7 73 72
실시예 1-1 56 65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LPS에 의해 촉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8과 TNF-α의 생성량을 약 40-50% 이상 감소시켰기 때문에 우수한 항염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추출방법, 조성 또는 배합비율에 따라 활성에 차이가 있으며, 각 원료들의 단일 추출물 대비 상승작용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아토피 피부염 개선효능 관능평가
본 발명의 조성물로 제조된 화장품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개선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5-10세 어린이 10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공지된 통상적인 부형제(유화제, 분산제, 보존제)와 혼합하여 제조한 로션을 아토피 피부염이 발병한 부위에 1일 2회, 0.5~1 g/회 정도 펴발라 주었다. 평가는 1개월 사용 후 5점 만점 만족척도로 평가하도록 하고, 그 평균값은 하기 표 3과 같았다.
평가 항목 평균 점수
피부저자극 4.3
각질피부 개선효과 3.9
가려움 개선효과 4.2
염증 완화효과 3.7
가장 만족 5점, 만족 4점, 보통 3점, 불만족 2점, 매우 불만족 1점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중증 피부질환에 우수한 개선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백선피 2-8 중량부, 백반 2-8 중량부 및 석고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백선피 2-8 중량부, 백반 2-8 중량부, 석고 2-8 중량부 및 망초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백선피 2-8 중량부, 백반 2-8 중량부, 석고 2-8 중량부 및 용뇌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삭제
  5. 백선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 백반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 석고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 및 망초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a) 백선피 2-8 중량부, 백반 2-8 중량부 및 석고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가열하고 여과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열수 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수관으로 액화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액화된 것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a) 백선피 2-8 중량부, 백반 2-8 중량부, 석고 2-8 중량부 및 망초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가열하고 여과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열수 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수관으로 액화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액화된 것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a) 백선피 2-8 중량부, 백반 2-8 중량부, 석고 2-8 중량부 및 용뇌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가열하고 여과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열수 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수관으로 액화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액화된 것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삭제
  12. (a) 백선피, 백반, 석고 및 망초를 각각 가열하고 여과하여 각각의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각 열수 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수관으로 액화시키는 단계;
    (c) 상기 액화된 것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각각의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백선피의 증류액 2-8 중량부, 백반의 증류액 2-8 중량부, 석고의 증류액 2-8 중량부 및 망초의 증류액 2-8 중량부를 서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삭제
  14. 제8 항, 제9 항, 제10 항 또는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가열은 80-100 ℃로 8-48시간 동안 이루어지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가열은 90-100 ℃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수관은 4-10 ℃이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원심분리는 8,000-14,000 rpm 및 2-8 ℃에서 10-50분간 이루어지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 삭제
KR1020220088907A 2022-07-19 2022-07-19 생화학적 미네랄 재조합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537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907A KR102537982B1 (ko) 2022-07-19 2022-07-19 생화학적 미네랄 재조합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907A KR102537982B1 (ko) 2022-07-19 2022-07-19 생화학적 미네랄 재조합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982B1 true KR102537982B1 (ko) 2023-05-30

Family

ID=8652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907A KR102537982B1 (ko) 2022-07-19 2022-07-19 생화학적 미네랄 재조합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9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0755A (ko) * 2010-04-29 2011-11-04 김길순 아토피 예방 및 개선용 크림 제조방법.
KR20180104516A (ko) * 2017-03-13 2018-09-21 (주)하늘마음바이오 건선, 아토피, 지루성피부염, 습진, 백반, 두드러기, 한포진, 여드름, 탈모, 모발손상, 두피염증, 비듬의 천연생약 치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20190047866A (ko) * 2017-10-30 2019-05-09 (주)네이처포 피부 개선용 쿨링 크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0755A (ko) * 2010-04-29 2011-11-04 김길순 아토피 예방 및 개선용 크림 제조방법.
KR20180104516A (ko) * 2017-03-13 2018-09-21 (주)하늘마음바이오 건선, 아토피, 지루성피부염, 습진, 백반, 두드러기, 한포진, 여드름, 탈모, 모발손상, 두피염증, 비듬의 천연생약 치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20190047866A (ko) * 2017-10-30 2019-05-09 (주)네이처포 피부 개선용 쿨링 크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8602A (ko) 나복근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270736B1 (ko)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20220287931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bentonite as active ingredient
KR102537982B1 (ko) 생화학적 미네랄 재조합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중증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28589A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537948B1 (ko) 천연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705354B1 (ko) 고사리삼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13659B1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CN101695470B (zh) 化妆品用组合物、含有该组合物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102490086B1 (ko) 천연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19839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강화 조성물
KR102514502B1 (ko) 꽃송이버섯, 동충하초, 및 송로버섯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가려움증, 및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2585932B1 (ko) 천연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36704A (ko) 기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144566B1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3687B1 (ko) 목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50095012A (ko) 코디세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 또는 예방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20758B1 (ko)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10024A1 (ko) 천연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9458B1 (ko) 백기생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32478A (ko) 생약 지표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US10953066B2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ulc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