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602A - 나복근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복근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8602A
KR20180128602A KR1020170063923A KR20170063923A KR20180128602A KR 20180128602 A KR20180128602 A KR 20180128602A KR 1020170063923 A KR1020170063923 A KR 1020170063923A KR 20170063923 A KR20170063923 A KR 20170063923A KR 20180128602 A KR20180128602 A KR 20180128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pic dermatitis
juice
present
preven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유제근
김근태
임은경
이승제
김가연
구태규
박안나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3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8602A/ko
Publication of KR20180128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Y10S514/85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복근(root of Raphanus sativus)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나복근 즙은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된 피부의 두께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아토피 피부염증 관련 표지인자인 CCL17 및 CCL27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β, IL-6 및 IL-8의 발현을 현저하게 저해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나복근 즙은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건강기능식품,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또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나복근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juice of radish roo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나복근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유전적, 환경적, 면역학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피부 가장 바깥에서 보호벽 역할을 하는 각질층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건조한 기후에서 더욱 심해지는 알레르기 질환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전 세계적으로 약 10~20%의 유병률을 보이며, 생후 1개월에서 1년 사이의 유아에게서 주로 발병하고 3세가 되면 어느 정도 완화되나 생활환경, 개인차 등에 의해 다시 재발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주요 증상은 심한 가려움증, 피부건조, 발진, 진물, 부스럼딱지, 비늘 같은 껍질이 있는 피부(인비늘) 등으로 주로 만성 피부염증이 동반된다. 긁고 싶은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가려움증은 히스타민(histamine)과 같은 가려움 매개 물질에 의해서 유도되는데, 정상인의 경우 긁으면 그 증상이 쉽게 완화되지만, 아토피 환자의 경우 긁으면 긁을수록 더욱 긁고 싶은 감정이 형성되어 더욱 더 심하게 긁게 된다. 아토피 환자의 이러한 긁는 행동으로 인해서 피부장벽이 붕괴되고 2차 감염을 유발하여 염증이 더욱 악화된다. 아토피 피부염은 일시적으로 완화될 수 있지만, 환경 및 식품 등의 자극원에 의해서 재발되어 악화될 수 있으며, 악화와 완화가 반복된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주로 유전적인 요소가 많고 면역 반응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그 외에 건조한 피부, 정상인에 비해 쉽게 피부 가려움증을 느끼는 특성, 세균, 바이러스 및 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 정서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 등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아토피 피부염에 동반되는 염증은 과도한 면역세포 작용으로 인해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 tumor necrosis factor-α)와 인터루킨-1(IL-1, interleukin-l)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하이드록시 라디칼(·OH), 슈퍼옥사이드 라디칼(·O2-), 과산화수소(H2O2) 등과 같은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을 대량생산하기 때문에 주변 조직의 손상을 야기한다.
또한, 비만세포(mast cell)는 아토피 피부염을 비롯한 대부분의 알레르기성 질환에서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을 일으키는 핵심 세포로 알려져 있다. 비만세포가 활성화되면, TNF-α, IL-1과 IL-6 등 염증성 사이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s)의 생성뿐만 아니라 히스타민과 같은 가려움 유발물질(pruritogen)을 방출한다. 이와 같이 비만세포 유래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염증반응을 더욱 촉진시키는 동시에 히스타민과 같은 가려움 유발물질의 분비를 더욱 촉진시켜 피부장벽을 붕괴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부작용 없이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가려움 매개물질을 억제시킬 수 있는 물질을 발굴한다면, 아토피 피부염을 비롯한 각종 알레르기성 질환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처방은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등과 같은 약물요법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스테로이드제(부신피질호르몬제)는 크게 소염작용과 면역억제 작용이 있고 효과가 우수하지만, 장기간 바르면 피부약화, 전신 호르몬증상, 중독성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최근 연구중인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방향은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는 것과 새로운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항히스타민제만으로는 알레르기 반응을 완벽하게 차단하지는 못한다. 이는 알레르기 반응을 야기하는 화학전달물질이 히스타민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토피성 피부염에 효과가 있으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를 위한 조성물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무(Raphanus sativus)는 쌍떡잎 식물 양귀비목 십자화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식물로, 단백질과 전분을 분해하는 디아스타제(diastase)와 산화효소(oxidase), 체내에서 발생하는 과산화수소를 분해하는 카탈라아제(catalase) 등의 단백질 분해효소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소화 효능이 뛰어나다. 또한, 비타민 C, 철, 식이섬유 등도 함유하고 있어 니코틴을 중화하는 해독작용이 뛰어나며, 담을 삭여주는 거담작용, 노폐물 제거작용, 소염작용, 이뇨작용 등을 가지고 있어 감기나 기침에 효과가 있으며, 혈압을 내려주며, 담석을 용해하는 효능이 있어 담석증을 예방해 주기도 한다. 또한, 무는 즙을 내어 먹으면 지해(止咳), 지혈(止血), 인후통(咽喉痛), 소독 및 해열에 도움이 되고, 삶아서 먹으면 담증(痰症)을 없애주고 식적(食積)을 제거해준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706817호에는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산화를 위한 동물사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361148호에는 '무 마쇄액을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및 약학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나복근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나복근 즙이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된 피부의 두께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아토피 피부염증 관련 표지인자인 CCL17 및 CCL27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β, IL-6 및 IL-8의 발현을 현저하게 저해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나복근(root of Raphanus sativus)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복근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복근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나복근 즙은 아토피 피부염증 표지인자인 CCL17 및 CCL27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또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TNF-α 및 IFN-γ를 처리한 HaCaT 세포에서 나복근 즙 및 나복근 추출물 처리에 따른 CCL17 및 CCL27 발현 변화를 분석한 결과로, (A)는 mRNA 발현 수준을 RT-PCR로 확인한 결과이며, (B)는 단백질 발현 수준을 ELISA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TNF-α 및 IFN-γ를 처리한 섬유아세포(A) 및 HaCaT 세포(B)에서 나복근 즙의 세포독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TNF-α 및 IFN-γ를 처리한 HaCaT 세포에서 나복근 즙 처리에 따른 CCL17, CCL27, IL-1β, IL-6 및 IL-8 발현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4는 TNF-α 및 IFN-γ를 처리한 HaCaT 세포에서 나복근 즙의 상처 치유 어세이 결과를 보여주는 세포 사진이다.
도 5는 3차원 인공피부모델에서 나복근 즙의 아토피 개선 효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복근(root of Raphanus sativus)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나복근'은 학명 Raphanus sativus를 가지는 식물의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무청을 제외한 무(radish)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나복근 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β, IL-6, IL-8 및 TARC(Thymus and activation regulated chemokine), CTACK(Cutaneous T cell-attracting chemokine)의 케모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TARC 및 CTACK은 각각 CCL17(chemokine (c-c motif) ligand 17), CCL27(chemokine (c-c motif) ligand 27)과 동일한 용어이며, 대표적인 아토피성 피부염증 표지인자이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복근(root of Raphanus sativus)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제, 외용제, 좌제 및 주사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나복근 즙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나복근 즙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복근(root of Raphanus sativus)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피부외용 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 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1. 나복근 즙 제조
나복근(root of Raphanus sativus)을 물에 세척하여 세절한 후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NO 2.)를 사용하여 잔여물을 걸러준 후, 나복근 즙을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만들어 시료로 사용하였다.
2. 나복근 추출물 제조
나복근을 물에 세척하여 세절한 후, 건조기를 이용하여 48시간 동안 건조시켜 분쇄기로 분쇄한다. 나복근의 분쇄 분말에 94.5% 에탄올을 1:8의 비율로 혼합하고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여과지로 2번 반복 여과하였으며, 감압 농축하여 분말형태로 만들어 시료로 사용하였다.
3.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배양된 HaCaT 세포에 TNF-α 및 IFN-γ를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 환경을 조성한 뒤, 상기 제조된 나복근 즙 및 나복근 추출물(50, 100 ㎍/㎖)과 시중제품(ATO AI, 아토아이, 한국)을 처리하고 37℃, 5% CO2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의 세포에 RiboEX RNA purification 용액(진올바이오테크놀로지, 한국)을 첨가하여 RNA를 분리하고, 클로로폼(chloroform) 및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첨가한 후, 냉장 원심분리기를 통해 원심분리하여 RNA만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RNA를 주형으로 RT-PCR을 수행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RT-PCR 산물은 2% 아가로스(agarose) 겔 전기영동을 통해 분석하였고, Image J(1.47, Wayne Rasban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A)로 정량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 정보는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4. 효소면역측정법(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배양된 HaCaT 세포에 TNF-α 및 IFN-γ를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 환경을 조성한 뒤, 상기 제조된 나복근 즙 및 나복근 추출물(50, 100 ㎍/㎖)을 처리하여 37℃, 5% CO2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세포 배양 상층액을 취한 후 CCL17 ELISA 키트(Human TARC ELISA kit, Abcam, USA) 및 CCL27 ELISA 키트(Human CTACK ELISA kit)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CCL17 및 CCL27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5. MTT 어세이
HaCaT 세포와 인간 섬유아세포(Fibroblast 세포)를 12-웰 배양용기에 세포수 1×105 개/㎖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TNF-α 및 IFN-γ를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 환경을 조성한 다음, 상기 제조된 나복근 즙(10, 25, 50, 100, 200 ㎍/㎖)을 처리하고 37℃, 5% CO2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MTT 용액을 30 ㎕씩 처리하고, 37℃, 5% CO2의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 배지를 제거하여 DMSO(dimethyl sulfoxide) 150 ㎕를 처리하고, 96-웰 배양용기에 100 ㎕씩 옮겨서 흡광도 측정기(Bio-Rad Laboratories Inc., 일본)로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6. 상처 치유 분석법(Wound healing assay)
HaCaT 세포를 6-웰 배양용기에 세포수 1×105 개/㎖로 분주하고 각 웰에 90% 이상 배양된 것을 확인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멸균된 플라스틱 200 ㎕ 팁을 이용하여 단일 세포층을 스크래치(scrach)내어 상처부위(wound area)를 만들어준다. 각 웰에 다시 배지를 넣어주고, 배지에 TNF-α 및 IFN-γ를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 환경을 조성한 다음, 상기 제조된 나복근 즙(50, 100 ㎍/㎖)과 시중제품을 처리하여 37℃, 5% CO2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가 제거된 실선 안의 영역으로 세포가 이주되는 정도를 실험 군별로 비교 관찰하였다.
7. 3차원 인공피부모델 제작(3D cell culture)
인간 섬유아세포와 콜라겐을 혼합하고, 6-웰 배양용기의 내부에 8.0 ㎛ 포어(pore) 사이즈의 배양삽입체(SPLInsertTM, SPL Lifesciences Inc., Korea)를 장착한 후, 상기 혼합물을 배양삽입체 내부의 바닥에 분주하여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함으로써 진피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진피층 상부에 HaCaT 세포를 분주하고, 배양삽입체 외부에는 배지를 넣은 후 37℃, 5% CO2의 조건에서 2주 동안 배양하여 피부의 표피층을 제조하였다. 배양삽입체 외부의 배지에는 TNF-α 및 IFN-γ를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 환경을 조성하고, saline, 나복근 즙(40 ㎍/㎖) 및 시중제품을 14일 동안 각각 처리하였다. 그 후, 파라핀 블록 제작 방법을 통해 표본을 제작한 후,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염색(H&E staining)하여 표피층의 단면을 실험 군별로 비교 관찰하였다.
8. 통계처리
실험결과는 3회 반복실험의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했으며, 통계분석은 (ANOVA와 Student's t-test)로 분석하였고, p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1. 나복근 즙 또는 나복근 추출물의 CCL17 및 CCL27 발현 변화 분석
CCL17(chemokine (c-c motif) ligand 17) 및 CCL27(chemokine (c-c motif) ligand 27)은 아토피 피부염에서 T 림프구를 염증부위로 동원하는 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아토피 피부염의 객관적인 지표(바이오마커)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나복근 즙 또는 나복근 추출물의 CCL17/CCL27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RT-PCR과 ELISA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TNF-α 및 IFN-γ만 처리하여 CCL17/CCL27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한 군 대비 나복근 즙 또는 나복근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CCL17 및 CCL27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나복근 즙 처리군이 나복근 추출물 처리군보다 CCL17 및 CCL27 유전자 발현의 감소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
실시예 2. 나복근 즙의 세포독성 분석
본 발명의 나복근 즙의 세포 독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MTT 어세이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섬유아세포(도 2A)와 HaCaT 세포(도 2B)에서 나복근 즙을 처리한 경우와 처리하지 않은 경우 모두에서 세포 증식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나복근 즙은 100 ㎍/㎖까지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나복근 즙의 아토피 피부염 관련 사이토카인 발현 영향 분석
본 발명의 나복근 즙의 아토피 피부염 표지인자인 CCL17, CCL27과 염증반응 관련 사이토카인인 IL-1β, IL-6, IL-8 유전자 발현의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RT-PCR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나복근 즙과 시중제품을 처리한 군은 TNF-α 및 IFN-γ를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 환경을 조성한 군과 비교하여 CCL17, CCL27, IL-1β, IL-6 및 IL-8의 발현이 모두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시중제품 처리군 대비 나복근 즙 처리군에서 염증관련 유전자의 발현 저해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3).
실시예 4. 나복근 즙의 피부재생 유도 효과 분석
본 발명의 나복근 즙의 피부재생 유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처 치유(Wound healing) 분석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중제품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플라스틱 팁으로 긁은 직후와 비교하여 약간의 이동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나복근 즙을 농도별로 처리한 세포에서는 플라스틱 팁으로 긁은 직후와 비교하여 세포의 이동이 현저하게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특히, 100 ㎍/㎖의 나복근 즙을 처리한 세포에서 가장 많은 세포 이동이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나복근 즙은 HaCaT 세포의 이동 능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고 특히, 100 ㎍/㎖의 나복근 즙을 처리한 세포에서 시중제품을 처리한 세포 대비 세포의 이동 능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3차원 인공피부모델에서 나복근 즙의 아토피 개선 효과 분석
본 발명의 나복근 즙의 아토피 개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3차원 인공피부모델을 제조하고,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염색(H&E staining)하여 표피층의 단면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TNF-α 및 IFN-γ를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 환경을 조성한 군은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피부 표피층이 매우 두꺼워져 있음을 확인하였고, 나복근 즙과 시중제품을 처리한 군은 TNF-α 및 IFN-γ를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 환경을 조성한 군과 비교하여 피부 표피층이 얇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나복근 즙을 처리한 군과 시중제품을 처리한 군의 실험결과를 비교한 결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110> Hannam University Institute For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juice of radish root as effective component <130> PN17153 <160> 1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aggtcttgaa gcctcctca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agttcagaca aggggatggg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aaggtagggg aggaggagag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agcttgtctg agagtggctt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ggagaatgac ctgagcacct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ggaggtggag agctttcagt 2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7 agtcctgatc cagttcctgc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aagctgcgca gaatgagatg 20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9 tgagcatcta cggtttgctg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0 tgcttgtctg gaacaactgc 20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1 ggacttcgag caagagatgg 20 <210> 1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2 agcactgtgt tggcgtacag 20

Claims (4)

  1. 나복근(root of Raphanus sativus)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복근 즙은 TARC(Thymus and activation regulated chemokine), CTACK(Cutaneous T cell-attracting chemokine), IL-1β(Interleukin-1β), IL-6(Interleukin-6) 및 IL-8(Interleukin-8)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나복근(root of Raphanus sativus)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나복근(root of Raphanus sativus)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63923A 2017-05-24 2017-05-24 나복근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28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923A KR20180128602A (ko) 2017-05-24 2017-05-24 나복근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923A KR20180128602A (ko) 2017-05-24 2017-05-24 나복근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602A true KR20180128602A (ko) 2018-12-04

Family

ID=6466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923A KR20180128602A (ko) 2017-05-24 2017-05-24 나복근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8602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195B1 (ko) 2018-12-20 2019-05-30 주식회사 보타닉센스 자스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190113529A (ko)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보타닉센스 요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030127B1 (ko) 2019-01-10 2019-10-08 주식회사 보타닉센스 운데칸 또는 운데칸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076938B1 (ko) 2019-08-19 2020-02-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르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936B1 (ko) 2019-08-12 2020-02-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티아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939B1 (ko) 2019-08-19 2020-02-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에틸바닐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937B1 (ko) 2019-08-19 2020-02-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시멘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1029B1 (ko) 2019-08-12 2020-02-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베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9903B1 (ko) 2019-08-20 2020-03-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캠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5164A (ko) 2019-01-04 2020-07-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아일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200085165A (ko) 2019-01-04 2020-07-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네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200085572A (ko) 2019-01-07 2020-07-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헵타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WO2021167121A1 (ko) * 2020-02-18 2021-08-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네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529A (ko)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보타닉센스 요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1984195B1 (ko) 2018-12-20 2019-05-30 주식회사 보타닉센스 자스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200085164A (ko) 2019-01-04 2020-07-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아일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200085165A (ko) 2019-01-04 2020-07-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네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200085572A (ko) 2019-01-07 2020-07-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헵타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030127B1 (ko) 2019-01-10 2019-10-08 주식회사 보타닉센스 운데칸 또는 운데칸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WO2020145619A1 (ko) 2019-01-10 2020-07-16 주식회사 보타닉센스 운데칸 또는 운데칸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076936B1 (ko) 2019-08-12 2020-02-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티아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1029B1 (ko) 2019-08-12 2020-02-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베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938B1 (ko) 2019-08-19 2020-02-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르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937B1 (ko) 2019-08-19 2020-02-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시멘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939B1 (ko) 2019-08-19 2020-02-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에틸바닐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9903B1 (ko) 2019-08-20 2020-03-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캠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67121A1 (ko) * 2020-02-18 2021-08-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네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8602A (ko) 나복근 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9938B1 (ko) 케피어 그레인 유래 미세소포체의 용도
KR20120061725A (ko) 낙석등 및 목단피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67423B1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356670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iseases such as asthma or atopy, comprising baicalein as active ingredient
WO2019132625A1 (ko)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3679765A (zh) 白鲜皮提取物及其应用
KR101782268B1 (ko) 생약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83600B1 (ko) 신규한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균주 및 이의 용도
JP2011178770A (ja) 皮膚の色素沈着を抑制する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KR101538743B1 (ko)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4249B1 (ko) 사상자 추출물 및 카퍼트리펩타이드-1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6094B1 (ko) 피부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53005A (ko)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KR101924054B1 (ko) 피뿌리풀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화합물 스테차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24470A (ko) 섬기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05903A (ko) 고사리삼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42786B1 (ko) 생약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KR102144566B1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60570A (ko) 꽃송이버섯, 동충하초, 및 송로버섯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가려움증, 및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190088758A (ko) 금강송 간벌 부산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아토피 조성물
KR101739425B1 (ko)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27907B1 (ko) 무산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개선용 조성물
KR20180113182A (ko) 나한과 잔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