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017A -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017A
KR20220132017A KR1020227031811A KR20227031811A KR20220132017A KR 20220132017 A KR20220132017 A KR 20220132017A KR 1020227031811 A KR1020227031811 A KR 1020227031811A KR 20227031811 A KR20227031811 A KR 20227031811A KR 20220132017 A KR20220132017 A KR 20220132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dhesive sheet
acrylate
light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6973B1 (ko
Inventor
다이키 노자와
신야 후쿠다
가호루 이시이
마코토 이네나가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32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수지 부재를 첩합하기 위해 이용하는 점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광경화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단차 흡수성과 내발포 신뢰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점착 시트로서, 파장 365㎚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이고, 또한, 파장 405㎚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60% 이상의 수지 부재 (X)를 첩합하기 위해 이용하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로서, 이하의 (1)~(3)의 모든 특성을 구비하는 점착층 (Y)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를 제안한다. (1) 겔분율이 0~60%의 범위 내에 있다. (2) 파장 39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9% 이하이고, 또한, 파장 41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다. (3) 파장 405㎚의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PHOTO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HOTO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LAMINATE, PRODUCTION METHOD FOR PHOTO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LAMINATE, AND PRODUCTION METHOD FOR IMAGE DISPLAY PANEL LAMINATE}
본 발명은, 자외선을 투과시키지 않는 자외선 커트성을 가지는 수지 부재를 첩합(貼合)하기 위해 이용하는 점착 시트로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되는 성능(「광경화성」이라고 칭함)을 구비하고 있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디스플레이(ELD) 등의 화상 표시 패널과, 그 전면측(시인측)에 배치하는 보호 패널이나 터치 패널 부재와의 사이의 공극을 접착제로 충전함으로써, 입사광이나 표시 화상으로부터의 출사광의 공기층 계면에서의 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 사이의 공극을 점착제로 충전하는 방법으로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액상의 접착 수지 조성물을 당해 공극에 충전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또한,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 사이의 공극을,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는, 자외선에 의해 1차 가교된 점착 시트를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에 첩합 후,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개재하여 점착 시트에 자외선 조사하여 2차 경화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첩합면에 단차부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투명 양면 접착성 시트를 개재하여 첩합할 때, 당해 단차부에 추종하여 구석구석까지 충전할 수 있고, 게다가 접착성 시트 내에 발생하는 변형을 완화할 수 있어, 처리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고온이나 고습 환경하에서의 내발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투명 양면 접착성 시트로서, 1종 이상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와, 파장 365㎚의 몰 흡광 계수가 10 이상이고, 또한 파장 405㎚의 몰 흡광 계수가 0.1 이하인 자외선 중합 개시제 (A)와, 파장 405㎚의 몰 흡광 계수가 10 이상인 가시광 중합 개시제 (B)를 함유하고, 인장법(引張法)으로 구하는 60℃에 있어서의 동적 저장 탄성률 (E')를, 전단법으로 구하는 60℃에 있어서의 동적 저장 탄성률 (G')로 나눈 값(E'/G')이 10 이상인, B 스테이지 상태의 투명 양면 접착성 시트가 제안되고 있다.
국제공개 2010/027041호 공보 일본특허 제4971529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2014-152295호 공보
상기와 같이 광경화성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2개의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첩착(貼着)하는 경우, 2개의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당해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1차 첩착한 후, 일방의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고, 당해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통하여 당해 점착 시트를 자외선 경화시켜 2차 첩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피착면의 요철을 메우면서 1차 첩착할 수 있고, 게다가, 최종적으로 자외선 경화시킴으로써 접착 신뢰성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첩합하는 부재(「첩합 부재」라고도 칭함)의 피착면에 요철이 있는 경우의 "단차 흡수성"과, 첩합 후의 "내발포 신뢰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탑재용 화상 표시 장치 등에 있어서는, 유리의 비산 방지를 위해 수지제의 프론트 패널이 이용되고, 그 내부측에, 도전 부재나 편광판 등의 수지 부재가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프론트 패널이나 그 내부측에 배치되는 도전 부재나 편광판 등의 수지 부재가 자외선 폭로에 의해 황변되는 등의 열화를 방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들 자외선에 폭로되는 측의 수지 부재에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여 자외선을 흡수하는 성능을 가지게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당해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통하여 당해 점착 시트를 자외선 경화시킬 수는 없다.
이 때문에, 수지제의 프론트 패널을 첩합할 때에는, 내발포 신뢰성을 가질 정도로 충분히 경화된, 광경화성을 가지지 않는 비광경화성 점착 시트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비광경화성 점착 시트는, 단차 흡수성의 점에 있어서 반드시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자외선을 투과하지 않는 자외선 커트성을 가지는 수지 부재와 첩합할 수 있고, 첩합 부재의 피착면에 요철이 있는 경우의 단차 흡수성과, 첩합 후의 내발포 신뢰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외선을 투과하지 않는 자외선 커트성을 가지는 수지 부재, 즉, 파장 365㎚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이고, 또한, 파장 405㎚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60% 이상인 수지 부재 (X)를 첩합하기 위해 이용하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로서,
이하의 (1)~(3)의 모든 특성을 구비하는 점착층 (Y)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를 제안한다.
(1) 겔분율(광조사 전 겔분율 X1)이 0~60%의 범위 내에 있다.
(2) 파장 39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9% 이하이고, 또한, 파장 41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다.
(3) 파장 405㎚의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광경화성 점착 시트와, 파장 365㎚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이고, 또한, 파장 405㎚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60% 이상인 수지 부재 (X)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를 제안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는, 광경화 전의 겔분율이 0~60%이기 때문에, 피착면의 요철 등의 단차를 메우는 단차 흡수성을 얻을 수 있는 한편, 파장 39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9% 이하이며, 파장 405㎚의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첩합하는 수지 부재 (X)가, 파장 365㎚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이고, 또한, 파장 405㎚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60% 이상이어도, 파장 405㎚를 포함한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킬 수 있어, 응집력을 높여 첩합 후의 내발포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는, 파장 41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점에서, 투명성이 요구되는 광학 부재의 첩합에 필요한 충분히 낮은 황색도 (YI)를 달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차 흡수성을 얻을 수 있는 한편, 당해 광경화성 점착 시트의 점착층 (Y)는, 수지 부재 (X)의 외측으로부터 당해 수지 부재 (X)를 개재하여 파장 405㎚의 광을 조사하였을 때에, 겔분율의 차로서 10% 이상 커지는 광경화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수지 부재 (X)의 외측으로부터 당해 수지 부재 (X)를 개재하여 파장 405㎚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당해 점착층 (Y)를 경화시킬 수 있고, 응집력을 높여 첩합 후의 내발포 신뢰성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러한 실시 형태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와 관련된 점착 시트(「본 점착 시트」라고 칭함)는, 소정의 특성을 구비한 점착층 (Y)를 가지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이다.
본 점착 시트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한 점착 시트이다. 이 때, 본 점착 시트는, 광경화될 여지가 남겨진 상태로 경화(「가경화」라고도 칭함)된 것이어도 되고, 아직 경화되어 있지 않고, 또한, 광경화성을 가지는 미경화(「미경화」라고 칭함)의 것이어도 된다.
본 점착 시트가, 가경화된 또는 미경화의 것이면, 당해 본 점착 시트를 피착체로 첩합한 후, 본 점착 시트를 광경화(「본경화」라고도 칭함)할 수 있고, 그 결과, 응집력을 높여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서술의 가경화된 또는 미경화이고, 또한, 본경화시킬 수 있는 성질, 즉, 파장 405㎚의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가지는 본 점착 시트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다음의 (1)~(3)에 나타내는 점착층 (Y)를 가지는 점착 시트를 들 수 있다.
(1) 점착층 (Y)는, 겔분율이 60% 이하가 되도록 가경화되며, 하술하는 가시광 개시제 (c)를 함유함으로써, 당해 가시광 개시제 (c)에 의한 본경화가 가능한 점착층이다.
(2) 점착층 (Y)는, 하술하는 가시광 개시제 (c) 중 수소 인발형의 가시광 개시제 (c-2)에 의해 겔분율이 60% 이하가 되도록 가경화되며, 당해 가시광 개시제 (c-2)에 의한 본경화가 가능한 점착층이다.
(3) 점착층 (Y)는, 미경화인채로 시트 형상을 보지(保持)하고, 하술하는 가시광 개시제 (c)를 함유함으로써, 당해 가시광 개시제 (c)에 의한 본경화가 가능한 점착층이다.
상기 (1)의 점착층 (Y)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가시광 개시제 (c)와, 관능기 (i)을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와, 당해 관능기 (i)와 반응하는 관능기 (ii)를 가지는 화합물과, 그 외, 필요에 따라,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특히 다관능 모노머) 등의 가교제 (b)와, 또한 필요에 따라 실란 커플링제 (d)를 포함하는 조성물(후술하는 본 수지 조성물의 일례)을, 가열 또는 양생시켜, 점착층 (Y)를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당해 방법에 의하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중의 관능기 (i)과, 당해 화합물 중의 관능기 (ii)가 반응하여, 화학적인 결합이 형성됨으로써 경화(가교)되어, 점착층 (Y)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점착층 (Y)를 형성함으로써, 가시광 개시제 (c)가 활성을 가진 채 점착층 (Y) 중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관능기 (i)과 관능기 (ii)의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 카르복실기와 아지리딜기, 히드록실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 아미노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 카르복실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히드록실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 아미노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카르복실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가 수산기를 가지고(하술하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하고), 또한, 상기 화합물이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경우가 특히 적합한 예이다.
또한, 상기 관능기 (ii)를 가지는 화합물은, 추가로, (메타)아크릴로일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에 의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구체적으로는, 하술하는 활성 에너지선 가교성 구조 부위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광경화(가교)성을 유지한 채 점착층 (Y)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가 수산기를 가지고(하술하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하고), 상기 화합물이,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경우(2-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1,1-(비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이 특히 바람직한 예이다.
이와 같이, 당해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에 의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끼리의 가교 반응을 이용함으로써, 가교제 (b)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광경화(가교) 후의 응집력이 효율 좋게 오르기 쉬워 신뢰성이 우수한 등의 이점이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외의 점에 대한 바람직한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나, 상기 가교제 (b), 상기 가시광 개시제 (c) 및 실란 커플링제 (d)의 바람직한 형태 등에 대해서는 하술한다.
상기 (2)의 점착층 (Y)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가시광 개시제 (c)로서, 하술하는 수소 인발형의 가시광 개시제 (c-2)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수소 인발형 개시제는, 한번 여기되어도, 당해 개시제 중 반응하지 않은 것은 기저 상태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가시광 개시제로서 다시 이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수소 인발형의 가시광 개시제를 이용함으로써, 가시광 조사에 의한 가경화 후에 있어서도, 당해 가시광 개시제에 의한 가시광 경화(가교)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점 및 가시광 개시제 (c-2)의 바람직한 형태 등에 대해서는 하술한다.
상기 (3)의 점착층 (Y)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하술하는 매크로 모노머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지 성분으로서 매크로 모노머를 구비한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매크로 모노머를 이용함으로써, 실온 상태에서는, 가지 성분끼리가 서로 끌어 당겨 조성물(후술하는 본 수지 조성물의 일례)로서 물리적 가교를 한 것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미경화(가교)인 채로 시트 형상을 보지시킬 수 있고, 가시광 개시제 (c)를 포함하는 점착층 (Y)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점 및 가지 성분으로서 매크로 모노머를 구비한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형태 등에 대해서는 하술한다.
본 점착 시트는, 후술하는 수지 부재 (X)를 첩합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점착 시트는, 상기 점착층 (Y)의 단층 구성이어도, 상기 점착층 (Y)를 가지는 2층 이상의 다층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다층인 경우에는, 적어도 최표층이 상기 점착층 (Y)이면 되고, 모든 점착층이 상기 점착층 (Y)여도 된다.
<점착층 (Y)>
상기 점착층 (Y)는, 다음의 (1)~(3)의 모든 특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통상 상태 즉 광조사 전의 상태의 겔분율(「광조사 전 겔분율 X1」이라고 칭함)이 0~60%의 범위 내에 있다.
(2) 파장 39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9% 이하이고, 또한, 파장 41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다.
(3) 파장 405㎚의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하고 있다.
점착층 (Y)는, 가열에 의해 연화 내지 유동되는 핫 멜트성을 가지고 있으면, 첩합 부재의 피착면에 요철 등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단차의 구석구석까지 점착제를 보다 한층 용이하게 충전시킬 수 있고, 단차 흡수성을 더 높일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는, 점착층 (Y)는, 상기 (3)의 점착층 (Y)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분율)
점착층 (Y)의 겔분율(광조사 전 겔분율 X1)은 0~6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 (Y)의 겔분율이 60% 이하이면, 광조사에 의해 경화될 여지가 있는 미가교 성분이 충분히 많이 있으며(가경화 상태 또는 미경화 상태에 있으며), 그만큼 유연하고, 또한, 본경화할 때에, "광조사 후 겔분율 X2-광조사 전 겔분율 X1"을 10% 이상으로 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점착층 (Y)의 겔분율은 0~6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55% 이하, 그 중에서도 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점착층 (Y)의 겔분율(광조사 전 겔분율 X1)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본 수지 조성물의 중합 시 및 점착 시트의 가공 시에 잔존 촉매를 충분히 제거하거나, 혹은 중합 금지제, 산화 방지제를 사용하는 등에 의해, 본경화 전에 열, 광 등에 의한 의도하지 않은 경화(가교) 반응이 진행되지 않도록 하면 되고, 또한, 광조사에 의해 가경화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가경화시키기 위해 조사하는 광의 적산 광량을 충분히 작게 하여, 미가교 성분이 충분히 많아지도록 하면 된다. 단, 이러한 방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점착층 (Y)는, 파장 405㎚의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광경화성의 정도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 부재 (X)의 외측으로부터 당해 수지 부재 (X)를 개재하여, 파장 405㎚의 광을 조사하였을 때에, 겔분율의 차로서 10% 이상, 그 중에서도 15% 이상, 그 중에서도 20% 이상, 그 중에서도 30% 이상, 그 중에서도 50% 이상 커지는 광경화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장 405㎚의 광을 조사」란, 자외선 광량계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파장 405㎚을 감광 피크로 하여, 320~470㎚의 파장 범위까지 저변이 확대되는 광 감도를 가지는 광을 조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중에서도, 점착층 (Y)는, 상기 수지 부재 (X)의 외측으로부터, 예를 들면 수지 부재 (X)를 개재하여, 파장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 3000(mJ/cm2)인 광을 조사하였을 때, 광조사 전의 겔분율(광조사 전 겔분율 X1)과 광조사 후의 겔분율(「광조사 후 겔분율 X2」라고 칭함)과의 차(광조사 후 겔분율 X2-광조사 전 겔분율 X1)가 10% 이상이 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광조사 전 겔분율 X1이 40%인 경우, 파장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 3000(mJ/cm2)인 광을 조사한 후의 점착층 (Y)의 겔분율(「광조사 후 겔분율 X2」라고 칭함)이 50% 이상이 되는 것 같은 광경화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화 전후의 점착층 (Y)의 겔분율차 10% 이상이면, 가혹한 고온 고습 환경 등에 있어서도 고응집력이 되어, 내발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광조사 전후의 점착층 (Y)의 겔분율차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5% 이상, 그 중에서도 20% 이상, 그 중에서도 30% 이상, 그 중에서도 5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광조사 전후의 점착층 (Y)의 겔분율차가 상기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기 위해서는, 파장 405㎚에 광개시제에 의한 흡수가 있으면 된다. 단, 이러한 방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파장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란, 단위 면적당에 받는 조사 에너지의 총량이며, 고압 수은 램프 등에 의해 조사된 광 중, 자외선 적산 광량계 「UIT-250」(우시오전기주식회사제(製)) 및 수광기 「UVD-C405」(우시오전기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측정된 광조사 에너지의 총량을 가리키고, 수광기의 감광 특성(405㎚를 감광 피크로 하여, 320~470㎚의 파장 범위까지 저변이 확대되는 광 감도를 가짐)에 따른 파장 영역에서의 적산 광량을 가리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구해지는 적산 광량을 말한다.
(광선 투과율)
점착층 (Y)는, 파장 39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9% 이하이고, 또한, 파장 41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장 400㎚ 전후의 자외~가시광 영역에 흡수를 가지는 광개시제를 배합한 점착제 배합물에 대해서는, 광개시제의 광흡수가 크고, 그 흡수에 유래하는 파장 39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낮을수록 감광성이 좋아 경화는 진행되기 쉬워진다.
한편 파장 41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일정 이상으로 높지 않으면, 점착층 (Y)가 황착색되어 광학 부재에 사용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상의 기준으로서, 파장 39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9% 이하이면, 점착층 (Y)가, 충분한 가시광 경화성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파장 41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면, 투명성이 요구되는 광학 부재의 첩합에 필요한 충분히 낮은 황색도 (YI)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점착층 (Y)는, 파장 390㎚에서의 상기 광선 투과율이 8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88%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파장 41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85% 이상, 그 중에서도 9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점착층 (Y)의 광선 투과율을 상기한 바와 같이 하기 위해서는, 가시광에 흡수가 있는 개시제 중, 흡수 피크의 저변이 390㎚까지는 충분히 도달하고 있는 것에 비해, 410㎚에서는 흡수 피크가 작아지는 흡광 피크 특성을 가지는 것을 이용하면 된다. 단, 이러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 탄성률)
점착층 (Y)의 저장 탄성률 (G')는, 온도 25℃, 주파수 1Hz에 있어서, 0.9×105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점탄성 특성을 가짐으로써, 본 점착 시트는, 피착면의 요철 등의 단차를 메우는데 특히 우수한 단차 흡수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점착층 (Y)의 저장 탄성률 (G')는, 온도 25℃, 주파수 1Hz에 있어서, 0.9×105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8×105Pa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점착층 (Y)는 또한, 파장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 3000(mJ/cm2)인 광을 조사한 후의 저장 탄성률 (G')가, 온도 120℃, 주파수 1Hz에 있어서, 0.7×104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화 후의 점착층 (Y)의 저장 탄성률 (G')가 상기 범위가 되면, 수지 부재 (X)와의 적층체를 고온 시험, 고온 고습 시험 등에 제공하였을 때에, 수지 부재 (X)로부터의 아웃 가스 성분에 의해 점착층 (Y)가 발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광경화 후의 점착층 (Y)의 저장 탄성률 (G')는, 온도 120℃, 주파수 1Hz에 있어서, 0.7×104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104Pa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2.0×104Pa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런데, 터치 패널 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 장치 등에 있어서는, 프론트 패널/점착층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로서, 유리 센서, 필름 센서, 편광판 유리(내부에 센서가 내장된 온셀형이나 인셀형) 등이 모듈 설계에 따라 사용이 구분되어 있으며, 센서 부재의 구성에 따라 환경 시험에서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정도는 상이하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실험 검토의 결과, 점착층 (Y)가, 수지 부재 (X)/점착층 (Y)/유리 센서의 구성으로 첩합 사용되는 경우에는, 점착층 (Y)의 저장 탄성률 (G')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범위대로인 한편, 수지 부재 (X)/점착층 (Y)/필름 센서의 구성으로 첩합 사용되는 경우에는, 필름 센서가 통상 100㎛ 이하의 박육이며 강성이 작고, 실란커플링제에 의한 신뢰성 향상 효과는, 유리재에 의한 신뢰성 향상 효과와 비교하면 낮기 때문에, 습열 환경 시험에 있어서 유리 센서의 경우보다 발포가 발생하기 쉬워, 추가로 높은 수준의 저장 탄성률 (G')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 즉, 점착층 (Y)가, 수지 부재 (X)/점착층 (Y)/필름 센서의 구성으로 첩합 사용되는 경우의 광경화 후의 점착층 (Y)의 저장 탄성률 (G'), 즉, 파장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 3000(mJ/cm2)인 광을 조사하였을 때의 점착층 (Y)의 저장 탄성률 (G')의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2.0×104Pa 이상이며, 그 중에서도 5.0×104Pa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8.0×104Pa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점착층 (Y)의 조성)
점착층 (Y)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 및 가시광 개시제 (c), 필요에 따라 추가로 가교제 (b), 필요에 따라 추가로 실란 커플링제 (d), 필요에 따라 추가로 그 밖의 재료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본 수지 조성물」이라고 칭함)로 형성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는, 광경화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의미하고, 「(메타)아크릴로일」이란,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을 의미하고,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각각 포괄하는 의미이다. 「(공)중합체」란, 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또한, 「시트」란, 시트, 필름, 테이프를 개념적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단독 중합체 외에,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단독 중합체 외에,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로서,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성분, 예를 들면 (a)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이하 「공중합성 모노머 A」라고도 칭한다.), (b) 수산기 함유 모노머(이하 「공중합성 모노머 B」라고도 칭한다.), (c)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이하 「공중합성 모노머 C」라고도 칭한다.), (d)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이하 「공중합성 모노머 D」라고도 칭한다.), (e)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이하 「공중합성 모노머 E」라고도 칭한다.), (f) 비닐 모노머(이하 「공중합성 모노머 F」라고도 칭한다.), (g) 측쇄의 탄소수가 1~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이하 「공중합성 모노머 G」라고도 칭한다.) 및 (h) 매크로 모노머(이하 「공중합성 모노머 H」라고도 칭한다.)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과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측쇄의 탄소수가 4~18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 측쇄의 탄소수가 4~18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세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의 중에서도, 탄소수가 4~18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A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말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말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숙신산, 크로톤산,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산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도 된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B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류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도 된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C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아미노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N-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N,N-디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도 된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D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도 된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E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프로판(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메타)아크릴아미드, 말레산 아미드, 말레이미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도 된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F로서는, 비닐기를 분자 내에 가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화합물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12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류 및 분자 내에 히드록실기, 아미드기 및 알콕실알킬기 등의 관능기를 가지는 관능성 모노머류 및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류 및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및 라우르산 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 모노머 및 스티렌, 클로로스티렌, 클로로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그 밖의 치환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모노머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중에서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당해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이외의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F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G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i-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중에서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당해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이외의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G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H로서의 매크로 모노머는, 말단의 관능기와 고분자량 골격 성분을 가지는 고분자 단량체이며, 중합에 의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가 되었을 때에 측쇄의 탄소수가 20 이상이 되는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성 모노머 H를 이용함으로써,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가지 성분으로서 매크로 모노머를 도입하고,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지 성분으로서 매크로 모노머를 구비한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1)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공중합성 모노머 H와, 그 이외의 모노머의 선택이나 배합 비율에 의해,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주쇄와 측쇄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매크로 모노머의 골격 성분은, 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 또는 비닐계 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측쇄의 탄소수가 4~18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A, 상기의 공중합성 모노머 B,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G 등에 예시되는 것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1)의 줄기 성분은, 소수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와, 친수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소수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는, 극성기를 가지지 않는 알킬에스테르(단, 메틸아크릴레이트를 제외함)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세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베헤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소수성의 비닐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비닐, 스티렌, t-부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알킬비닐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친수성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메틸아크릴레이트나 극성기를 가지는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나,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나,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말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말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숙신산, 크로톤산,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산, 말레산 모노메틸, 이타콘산 모노메틸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메타)아크릴산 글리시딜, α-에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타)아크릴산 3,4-에폭시부틸 등의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H로서의 상기 매크로 모노머는, 라디칼 중합성기, 히드록실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에폭시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또는 티올기 등의 관능기를 가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크로 모노머로서는, 다른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라디칼 중합성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기는 1개 혹은 2개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그 중에서도 1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매크로 모노머가 관능기를 가지는 경우에도 관능기는 1개 혹은 2개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그 중에서도 1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라디칼 중합성기와 관능기는 어느 일방이어도, 양방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라디칼 중합성기와 관능기를 양방 함유하는 경우는, 다른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중합물 유닛과의 부가하는 관능기 또는 다른 모노머와 공중합하는 라디칼 중합성기 중 어느 것 이외의 관능기 혹은 라디칼 중합성기는 2개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매크로 모노머의 말단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등의 라디칼성 중합기 외에, 히드록실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에폭시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티올기 등의 관능기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다른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라디칼 중합성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기는 1개 혹은 2개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그 중에서도 1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매크로 모노머가 관능기를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관능기는 1개 혹은 2개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그 중에서도 1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라디칼 중합성기와 관능기는, 어느 일방이어도, 양방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라디칼 중합성기와 관능기를 양방 함유하는 경우에는, 다른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중합물 유닛과의 부가하는 관능기 또는 다른 모노머와 공중합하는 라디칼 중합성기의 어느 이외의 관능기 혹은 라디칼 중합성기는 2개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매크로 모노머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2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800 이상 혹은 8000 이하, 그 중에서도 1000 이상 혹은 7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크로 모노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1)을 구성하는 공중합체 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매크로 모노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본 점착 시트의 가열 용융 온도(핫 멜트 온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30℃~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40℃ 이상 혹은 110℃ 이하, 그 중에서도 50℃ 이상 혹은 1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매크로 모노머가 이와 같은 유리 전이 온도(Tg)이면, 분자량을 조정함으로써, 우수한 가공성이나 보관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50℃ 내지 80℃ 부근에서 핫 멜트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매크로 모노머의 유리 전이 온도란, 당해 매크로 모노머 자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의미하고,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실온 상태에서는, 가지 성분끼리가 서로 끌어 당겨 점착제 조성물로서 물리적 가교를 한 것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게다가, 적당한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상기 물리적 가교가 풀려 유동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매크로 모노머의 분자량이나 함유량을 조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매크로 모노머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 중에 5질량%~30질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6질량% 이상 혹은 25질량% 이하, 그 중에서도 8질량% 이상 혹은 20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매크로 모노머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1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80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800 이상 혹은 7500 미만, 그 중에서도 1000 이상 혹은 7000 미만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는, 활성 에너지선 가교성 구조 부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가교성 구조란, 예를 들면 후술하는 가시광 개시제 (c)의 존재하에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의 일부분, 또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이외의 경화 성분과 반응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 부위이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가교성 구조 부위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는 관능기 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가지는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구조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의 폴리머쇄가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짐으로써, 가교제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라도, 폴리머쇄끼리가 직접 중합할 수 있어, 저장 탄성률 (G')를 높은 수준으로 올릴 수 있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함에 있어서는, 파장 405㎚의 광을 포함하고 있는 임의의 광원을 사용하면 되고, 경화 속도, 조사 장치의 입수의 용이성, 가격 등으로부터 가시광 LED 광원, 고압 수은 램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는 관능기 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가지는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구조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미리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에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를 공중합한 후, 이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예를 들면 2-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 및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는 모노머 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을,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경화성을 유지한 채 반응시키면 된다.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는, 활성 에너지선 가교성 구조 부위를 가지고, 또한, 탄소수 10~24의 직쇄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2)로서는, 예를 들면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알킬기의 탄소수 10),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탄소수 12), 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탄소수 13), 헥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탄소수 16),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탄소수 18), 베헤닐(메타)아크릴레이트(탄소수 22)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탄소수 10~24의 알킬기를 가지는 직쇄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모노머 (a) 중에서도, 저유전율화 및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점에서,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20의 알킬기를 가지는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타크릴레이트이다.
탄소수 10~24의 직쇄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모노머 (a)의 함유량은, (공)중합 성분 전체에 대하여 50~94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60~83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0~80중량%이다.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유전율이 높아지거나, 수지의 열안정성이 저하되거나 할 우려가 없다.
[가교제 (b)]
상기 가교제 (b)로서는, 적어도 이중 결합 가교를 가지는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로일기,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카르보디이미드기, 옥사졸린기, 아지리딘기, 비닐기, 아미노기, 이미노기, 아미드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가교제를 들 수 있고,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특히, 가교제를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해, 총계의 배합량이 동일한 경우여도, 높은 저장 탄성률 (G')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교제 (b)를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제 (b)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와 화학 결합한 양태도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 특히,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관능은 2개 이상의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필요에 따라 3개 이상, 4개 이상의 가교성 관능기를 가져도 된다.
또한,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탈보호 가능한 보호기로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글리시딜에테르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폴리에톡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폴리프로폭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F 폴리에톡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글리콜의 ε-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에톡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자외선 경화형의 다관능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외에,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메타)아크릴계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도, 고응집력의 부여의 관점에서는, 형성되는 가교 구조에 있어서의 가교점간 거리가 짧고 가교밀도가 조밀한 구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알킬렌옥사이드 미변성의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며,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b-1)이 바람직하다.
당해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b-1)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혼합물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가교제로서,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b-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용성의 관점에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a)는, 극성 성분으로서 친수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a)가 극성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b-1)과의 상용성이 양호해져, 혼합 시에 혼합되기 쉬워지고, 미가교의 상태로 장시간 보관하였을 때의 상분리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헤이즈값이 상승할 우려가 없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로서는, 상기 서술한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상기 서술한 공중합성 모노머 A~G로부터 친수성 모노머를 적절히 선택한 것, 그 중에서도, 상기 서술한 친수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혹은, 적어도 공중합성 모노머 G로부터 선택되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모노머 성분과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가, 적어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고, 또한, (공중합성 모노머 A~G로부터 선택되는) 친수성 모노머의 합계량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 전체 중 10질량부 이상을 차지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1)은, 골격 성분(줄기 성분)으로서, 상기 서술한 측쇄의 탄소수가 4~18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상기 친수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 (b)의 함유량은,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 100질량부에 대하여 0.5~50질량부, 그 중에서도 1질량부 이상 혹은 40질량부 이하, 그 중에서도 5질량부 이상 혹은 30질량부 이하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 개시제 (c)]
가시광 개시제 (c)는, 가시광선, 적어도 390㎚, 405㎚ 및 410㎚의 파장을 가지는 광선, 예를 들면 380㎚~700㎚의 파장 영역의 광선의 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의 반응의 기점이 되는 가시광 개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가시광 개시제 (c)는, 가시광선의 조사에 의해서만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가시광 영역 이외의 파장 영역의 광선의 조사에 의해서도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가시광 개시제 (c)는, 파장 405㎚에서의 흡광 계수가 10mL/(g·/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5mL/(g·/cm) 이상, 그 중에서도 25mL/(g·/c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파장 405㎚에서의 흡광 계수가 10mL/(g·/cm) 이상임으로써, 가시광선의 조사에 의한 경화(가교)가 충분히 진행될 수 있다.
한편, 파장 405㎚에서의 흡광 계수의 상한으로서는, 1×104mL/(g·/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3mL/(g·/c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파장 405㎚에서의 흡광 계수가 10mL/(g·/cm) 미만의 광개시제와 병용해도 된다.
광개시제는, 라디칼 발생 기구에 의해 크게 2개로 분류되고, 광개시제 자신의 단결합을 개열 분해하여 라디칼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개열형 광개시제와, 광여기한 개시제와 계(系) 중의 수소 공여체가 여기 착체를 형성하고, 수소 공여체의 수소를 전이시킬 수 있는 수소 인발형 광개시제로 크게 구별된다.
이들 중의 개열형 광개시제는, 광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킬 때에 분해되어 별도의 화합물이 되고, 한번 여기되면 반응 개시제로서의 기능을 가지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가교 반응이 종료한 후의 점착제 중에 활성종으로서 잔존하는 경우가 없어, 점착제에 예기치 않은 광열화 등을 초래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광개시제 특유의 착색에 대해서는, 종래에는 점착제에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개열형 가시광 개시제 (c-1)을 첨가하는 경우, 착색의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가시광 개시제 (c)로서는, 반응 분해물의 가시광선 영역의 흡수가 사라져, 소색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소 인발형의 광개시제는, 복수회 광조사되어도 반응 개시제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라디칼 발생 반응 시에, 개열형 광개시제와 같은 분해물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반응 종료 후에 휘발 성분이 되기 어려워, 피착체에 대한 데미지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하다.
따라서, 가시광에 의해 여기되어 중합을 개시하는 수소 인발형 가시광 중합 개시제 (c-2)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개열형 가시광 개시제 (c-1)로서는, 예를 들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2-히드록시-1-[4-{4-(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파논), 페닐글리옥실산 메틸,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디메틸아미노)-2-[(4-메틸페닐)메틸)-1-[4-(4-모르폴리노)페닐]-1-부탄온,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에톡시페닐포스핀옥사이드나, 그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반응 후에 분해물이 되어 소색되는 점에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에톡시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 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 인발형 가시광 개시제 (c-2)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2-페닐-2-옥소아세트산)옥시비스에틸렌, 페닐글리옥실산 메틸에스테르, 옥시-페닐-아세트산 2-[2-옥소-2-페닐-아세톡시-에톡시]에틸에스테르와 옥시-페닐-아세트산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에스테르의 혼합물,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3-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안트라퀴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er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캠퍼퀴논이나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페닐글리옥실산 메틸에스테르, 옥시-페닐-아세트산 2-[2-옥소-2-페닐-아세톡시-에톡시]에틸에스테르와 옥시-페닐-아세트산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에스테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시광 개시제 (c)는, 상기에 예로 든 물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 예로 든 가시광 개시제 (c) 중 어느 1종 또는 그 유도체를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가시광 개시제 (c) 외에, 자외선 등의 다른 광선의 조사에 의해서만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것을 혼합해도 된다.
가시광 개시제 (c)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층 (Y) 중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0질량부, 그 중에서도 0.5질량부 이상 혹은 5질량부 이하, 그 중에서도 1질량부 이상 혹은 3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 개시제 (c)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가시광선에 대한 적당한 반응 감도를 얻을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 (d)]
실란 커플링제 (d)는, 접착성의 향상, 그 중에서도 유리재에 대한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기, 아크릴옥시기, 메타크릴옥시기와 같은 불포화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과 함께, 알콕시기와 같은 가수분해 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의 구체예로서는,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층 (Y)에 있어서는, 접착성이 양호하며, 황변 등의 변색이 적은 것 등의 관점에서,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1종만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 (d)의 함유량은, 점착층 (Y) 100질량부에 대하여 0.1~5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2질량부 이상 혹은 3.0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실란커플링제와 마찬가지로, 유기 티타네이트 화합물 등의 커플링제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 밖의 재료]
점착층 (Y)를 형성하는 본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이외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광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불활성화제, 금속 부식 방지제, 노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흡습제, 발포제, 소포제, 무기 입자, 점도 조정제, 점착 부여 수지, 광 증감제, 형광제 등의 각종의 첨가제, 반응 촉매(3급 아민계 화합물, 4급 암모늄계 화합물, 라우릴산 주석 화합물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외, 통상의 점착제 조성물에 배합되는 공지의 성분을 적절히 함유해도 된다.
또한, 각 성분을 2종류 이상 병용해도 된다.
상기의 중에서도, 특히, 점착층 (Y)를 형성하는 본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층 (Y)는, 파장 405㎚의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당해 광경화를 저해하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본 점착 시트가 구비하는 성질을 해치지 않고, 우수한 자외선 커트성을 겸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투명성, 자외선 흡수성 및 상용성의 관점에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수지 조성물의 바람직한 조성 양태]
점착층 (Y)를 형성하는 바람직한 본 수지 조성물의 일례로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와, 상기 가교제 (b)와, 가시광 개시제 (c)와, 필요에 따라, 실란커플링제를 함유하는 조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가시광 개시제 (c)로서, 파장 405㎚에서의 흡광 계수가 10mL/(g·/cm) 이상의 가시광 개시제 (c)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가시광 개시제 (c)로서, 상기 개열형 가시광 개시제 (c-1) 및/또는 수소 인발형 가시광 개시제 (c-2)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는,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 카르복실기와 아지리딜기, 히드록실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 아미노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카르복실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관능기의 조합에 의한 화학적인 결합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가, 상기 서술한 측쇄의 탄소수가 4~18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상기 친수성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또한, 가교제 (b)가,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b-1)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 (Y)를 형성하는 바람직한 본 수지 조성물의 일례로서, 가지 성분으로서 매크로 모노머를 구비한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1)과, 상기 가교제 (b)와, 가시광 개시제 (c)와, 필요에 따라, 실란커플링제를 함유하는 조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가시광 개시제 (c)로서, 파장 405㎚에서의 흡광 계수가 10mL/ (g·/cm) 이상의 가시광 개시제 (c)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가시광 개시제 (c)로서, 상기 개열형 가시광 개시제 (c-1) 및/또는 수소 인발형 가시광 개시제 (c-2)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1)은, 골격 성분(줄기 성분)으로서, 상기 서술한 측쇄의 탄소수가 4~18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상기 친수성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제 (b)가,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b-1)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 (Y)를 형성하는 바람직한 본 수지 조성물의 한층 더 다른 일례로서, 가지 성분으로서 매크로 모노머를 구비하고, 또한, 활성 에너지선 가교성 구조 부위를 가지는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1)과, 상기 가교제 (b)와, 상기 가시광 개시제 (c)와, 필요에 따라, 실란커플링제를 함유하는 조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가시광 개시제 (c)로서, 파장 405㎚에서의 흡광 계수가 10mL/(g·/cm) 이상의 가시광 개시제 (c)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가시광 개시제 (c)로서, 상기 개열형 가시광 개시제 (c-1) 및/또는 수소 인발형 가시광 개시제 (c-2)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1)은, 골격 성분(줄기 성분)으로서, 상기 서술한 측쇄의 탄소수가 4~18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상기 친수성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제 (b)가,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b-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성의 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점착층 (Y)를 형성하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 또는 (a-1)을 베이스 수지로 하는 점착층 (Y)는, 실온 상태에서 시트 형상을 유지하면서 자착성을 나타낼 수 있고, 첩합 부재의 피착면의 단차의 구석구석까지 점착제를 충전시킬 수 있다. 게다가, 가시광 개시제 (c)에 의해, 가시광 조사에 의해 광경화시킬 수 있고, 광경화에 의해 응집력을 높여 내발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란커플링제를 배합함으로써, 접착성, 특히 유리재에 대한 접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1)을 베이스 수지로 하는 점착층 (Y)는, 상기에 추가해, 가열하면 용융 내지 유동되는 핫 멜트성을 가지므로, 보다 높은 단차 흡수성을 가질 수 있다.
점착층 (Y)를 형성하는 바람직한 본 수지 조성물의 한층 더 다른 일례로서, 활성 에너지선 가교성 구조 부위를 가지고, 또한, 탄소수 10~24의 직쇄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2)와, 상기 가교제 (b)와, 상기 가시광 개시제 (c)와, 필요에 따라, 실란커플링제를 함유하는 조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가시광 개시제 (c)로서, 파장 405㎚에서의 흡광 계수가 10mL/(g·/cm) 이상의 가시광 개시제 (c)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가시광 개시제 (c)로서, 상기 개열형 가시광 개시제 (c-1) 및/또는 수소 인발형 가시광 개시제 (c-2)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성의 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면, 광경화될 여지가 남겨진 상태로 가경화된, 또는 미경화의 점착층 (Y)를 형성할 수 있고, 그 후, 1회 또는 2회 이상의 가시광 조사에 의해 광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 점착 시트를 피착체로 첩합한 후, 본 점착 시트를 가시광 조사에 의해 광경화(「본경화」)시킬 수 있고, 당해 본경화에 의해 응집력을 높여 내발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상온에서의 유동성이 높아 보관성에 난점이 있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에 대하여, 가경화에 의해 보관성을 높이는 공정을 거친 경우에도, 첩합 후의 가시광 경화의 후 공정에 의해 경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실란커플링제를 배합함으로써, 접착성, 특히 유리재에 대한 접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적층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층 (Y)를 적층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점착층 (Y)가, 최외층인 표리층인 것이 내발포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때, 표리층으로서의 점착층 (Y)의 두께는,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층 (Y)의 두께가, 15㎛ 이상이면, 신뢰성 시험에 있어서, 피착체 부재로부터 발생하는 아웃 가스압에 밀려 발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적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보관 안정성을 겸비시키는 관점에서, 당해 점착층 (Y)보다 점도가 높은 다른 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즉, 매크로 모노머를 구비한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점착층 (Y)는, 광경화 전은 미가교 상태에 있으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사용하면, 이러한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성분의 작용에 의해, 광경화 전의 점착층 (Y)가 비교적 점도가 낮은 층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는, 당해 점착층 (Y)보다 점도가 높은 다른 층 (Z)을, 당해 점착층 (Y)에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점착층 (Y)/층 (Z)/점착층 (Y)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성이면, 우수한 보관 안정성을 겸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관 안정성의 관점에서, 상기 다른 층 (Z)의 점도는, 온도 70℃~100℃의 범위에 있어서, 1~10kPa·s인 것이 바람직하고, 1.5~5kPa·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점도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또한, 본 점착 시트가, 상기와 같은 다층 구성인 경우, 추가로 내충격 흡수성을 겸비시키는 관점에서는, 본 점착 시트의 405㎚ 광조사 후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2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점착 시트가, 이와 같은 비교적 낮은 Tg를 가짐으로써, 저온 점착 특성(저온 박리 강도 등)이 향상되어, 내충격 흡수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내충격 흡수성의 관점에서는, 상기 점착층 (Y)와 적층되는 다른 층의 405㎚ 광조사 후의 Tg는, 15℃ 미만, 그 중에서도 10℃ 미만, 특히 5℃ 미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Tg는, 동적 점탄성의 Tanδ의 피크 온도로 측정되는 값이며, 상세하게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이형 필름을 가지는 점착 시트>
본 점착 시트는, 이형 필름을 가지는 점착 시트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형 필름 상에 단층 또는 다층의 시트 형상의 점착층을 성형하여 이형 필름을 가지는 점착 시트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형 필름의 재질로서는, 공지의 이형 필름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이형 필름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아크릴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불소 수지 필름 등의 필름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이형 처리한 것이나, 이형지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점착 시트의 양측에 이형 필름을 적층하는 경우, 일방의 이형 필름은, 타방의 이형 필름과 동일한 적층 구성 내지 재료의 것이어도, 상이한 적층 구성 내지 재료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동일한 두께여도, 상이한 두께여도 된다.
또한, 박리력이 상이한 이형 필름이나 두께가 상이한 이형 필름을 본 점착 시트의 양측에 적층할 수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은, 파장 410㎚ 이하에서의 광의 광선 투과율이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점착 시트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파장 410㎚ 이하에서의 광의 광선 투과율이 40% 이하의 이형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가시광의 조사에 의해 광중합이 진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점착 시트의 일방 또는 양방면에 적층하는 이형 필름은, 파장 410㎚ 이하에서의 광의 광선 투과율이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30% 이하, 그 중에서도 2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파장 410㎚ 이하에서의 광의 광선 투과율이 40% 이하인 이형 필름, 즉 가시광 및 자외광의 투과를 일부 차단하는 작용을 가지는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계의 캐스트 필름이나 연신 필름의 일방의 면에, 재박리성을 가지는 미(微)점착 수지를 도포하고, 타방의 면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도료를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자외선 흡수층을 구비한 적층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계의 캐스트 필름이나 연신 필름의 일방의 면에,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한 재박리성을 가지는 미점착 수지를 도포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계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캐스트 필름이나 연신 필름에, 재박리성을 가지는 미점착 수지를 도포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계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의 편면 혹은 양면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다층의 캐스트 필름이나 연신 필름의 일방의 면에, 재박리성을 가지는 미점착 수지를 도포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계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캐스트 필름이나 연신 필름의 일방의 면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도료를 도포하여 자외선 흡수층을 마련하고, 추가로 그 자외선 흡수층의 위에 재박리성을 가지는 미점착 수지를 도포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계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캐스트 필름이나 연신 필름의 일방의 면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도료를 도포하여 자외선 흡수층을 마련하고, 타방의 면에 재박리성을 가지는 미점착 수지를 도포한 것을 들 수 있다.
추가로 또한, 일방의 면에 재박리성을 가지는 미점착 수지를 도포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계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의 타방면과, 별도 준비한 수지 필름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접착층 내지 점착층을 개재하여 적층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필름은, 대전 방지층이나 하드 코팅층, 앵커층 등, 필요에 따라 다른 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형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예를 들면 가공성 및 핸들링성의 관점에서는, 25㎛~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38㎛ 이상 혹은 250㎛ 이하, 그 중에서도 50㎛ 이상 혹은 2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점착 시트는, 상기와 같이 피착체나 이형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본 수지 조성물을 직접적으로 압출 성형하는 방법이나, 형틀에 주입함으로써 성형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피착체인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 사이에 본 수지 조성물을 직접 충전함으로써, 본 점착 시트의 양태로 할 수도 있다.
<본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본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 및 가시광 개시제 (c), 필요에 따라 추가로 가교제 (b), 필요에 따라 추가로 실란 커플링제 (d), 필요에 따라 추가로 그 밖의 재료를 각각 소정량 혼합하여 본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면 된다.
이들의 혼합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 성분의 혼합 순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조성물 제조 시에 열처리 공정을 넣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미리, 본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을 혼합하고 나서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종의 혼합 성분을 농축하여 마스터 배치화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혼합할 때의 장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만능 혼련기, 플래너터리 믹서, 반바리 믹서, 니더, 게이트 믹서, 가압 니더, 3개 롤, 2개 롤을 이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용제를 이용하여 혼합해도 된다.
또한, 본 수지 조성물은,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무용제계로서 사용할 수 있다. 무용제계로서 사용함으로써 용제가 잔존하지 않아, 내열성 및 내광성이 높아진다고 하는 이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도, 본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 가교제 (b) 및 가시광 개시제 (c)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점착 시트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조제한 본 수지 조성물을, 기재 시트 또는 이형 시트 상에 도포(도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적층 구성의 본 점착 시트는, 상기 본 수지 조성물을, 기재 시트 또는 이형 시트 상에 도포(도공)하여, 제 1 번째의 층을 형성하고, 형성한 제 1 번째의 층 상에 당해 본 수지 조성물을 도포(도공)하여, 제 2 번째의 층을 형성하는 것을 반복하는 방법이나,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 1 번째와 제 2 번째의 층을 형성해 두고, 그 후, 각각의 도포(도공)면끼리를 첩합하는 방법이나, 당해 본 수지 조성물을 다층 코팅이나 공압출 성형에 의해 제 1 번째의 층과 제 2 번째의 층을 동시에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도포(도공)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인 도공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롤 코팅, 다이 코팅, 그라비아 코팅, 콤마 코팅, 스크린 인쇄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고, 점착층 (Y)를 가경화시켜, 광경화되는 여지를 남겨, 점착층 (Y)의 겔분율을 0~60%로 하면 된다. 단, 반드시, 광을 조사하여 점착층 (Y)를 가경화시키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열 또는 양생에 의해 점착층 (Y)를 가경화시켜도 되며, 또한, 미경화인 채여도 된다.
<본 점착 시트의 용도>
본 점착 시트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수지 부재 (X)를 첩합하기 위해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특성을 구비한 수지 부재 (X)와, 본 점착 시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점착 시트 적층체(「본 점착 시트 적층체」라고 칭함)로서 제공할 수 있다.
본 점착 시트 적층체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가시광 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본 점착 시트를 제작하고, 당해 본 점착 시트를 상기 수지 부재 (X)에 적층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단, 본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이러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지 부재 (X))
수지 부재 (X)로서는, 365㎚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이고, 또한, 405㎚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부재 (X)가, 365㎚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이고, 또한, 405㎚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60% 이상이면, 자외선의 투과를 충분히 차단(컷트)하고, 수지 부재 (X) 자신 및 그 이면측(시인측면과 반대면)에 위치하는 광학 부재(예를 들면, 편광 필름이나 위상차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의 광열화를 억제하고, 또한, 광학 부재에 요구되는 레벨로 황색도 (YI)를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 부재 (X)로서, 수지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고, 자외선 흡수제를 이용하여 상기 광선 투과율을 가지도록 조정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 수지로서 함유하는 재료를 들 수 있다.
이 때, 「주성분 수지」란, 수지 부재 (X)를 구성하는 수지의 중에서 가장 함유 질량이 많은 수지를 의미한다.
본 점착 시트는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수지 부재 (X)와 화상 표시 패널 (P)를 본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첩합하여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를 형성하고, 당해 수지 부재 (X)측으로부터,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 3000(mJ/cm2)이 되는 광을, 수지 부재 (X)를 통하여 본 점착 시트에 조사함으로써, 점착층 (Y)를 광경화시켜, 광경화 전후의 겔분율차를 10% 이상으로 하여 응집시켜,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점착 시트 적층체는, 예를 들면 화상 표시 패널(P)과 첩합하여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점착 시트 적층체와, 화상 표시 패널 (P)가 첩합된 구성을 구비한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는, 예를 들면 본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수지 부재 (X)와 화상 표시 패널 (P)를 적층한 후, 당해 수지 부재 (X)의 외측으로부터 당해 수지 부재 (X)를 개재하여 파장 405㎚의 광을 조사하여, 본 점착 시트의 점착층 (Y)를 본경화시켜 상기 수지 부재 (X)와 화상 표시 패널 (P)를 첩합함으로써,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수지 부재 (X)와 화상 표시 패널 (P)를 적층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수지 부재 (X) 또는 화상 표시 패널 (P) 중 어느 일방을 본 점착 시트와 적층시킨 후에, 타방을 본 점착 시트와 적층시켜도 되고, 또한, 수지 부재 (X) 및 화상 표시 패널 (P)를 동시에, 본 점착 시트와 적층시켜도 된다.
(화상 표시 패널 (P))
상기의 화상 표시 패널 (P)로서, 예를 들면 편광 필름 그 외 위상차 필름 등의 다른 광학 필름, 액정 재료 및 백라이트 시스템으로 구성되는(통상, 본 조성물 또는 점착 물품의 화상 표시 패널에 대한 피착면은 광학 필름이 되는) 것이며, 액정 재료의 제어 방식에 의해 STN 방식이나 VA 방식이나 IPS 방식 등이 있지만, 어느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은, 터치 패널 기능을 TFT-LCD 내에 내장한 인셀형이여도, 편광판과 컬러 필터를 마련한 유리 기판 사이에 터치 패널 기능을 내장한 온셀형이어도 된다.
본 점착 시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목적물을 첩착한 상태의 점착층 (Y), 즉 광(본)경화 후의 당해 점착층 (Y)는, 내발포 신뢰성의 관점에서, 본 수지 조성물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당해 점착층 (Y)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부위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이용하거나, 관능기 (i)을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와, 당해 관능기 (i)과 반응하는 관능기 (ii)를 가지는 화합물에 의한 화학적인 결합을 구비시키거나, 알킬렌옥사이드 미변성의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이들에 기인하는 가교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어구의 설명 등>>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보호 패널 등과 같이 「패널」이라고 표현하는 경우, 판체, 시트 및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X~Y」(X, Y는 임의의 숫자)라고 기재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X 이상 Y 이하」의 뜻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크다」 혹은 「바람직하게는 Y보다 작다」의 뜻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X 이상」(X는 임의의 숫자)이라고 기재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크다」의 뜻을 포함하고, 「Y 이하」(Y는 임의의 숫자)라고 기재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Y보다 작다」의 뜻도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비교예>
실시예, 비교예에 이용한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광경화성 점착 시트 Y)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로서,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메틸=1:1로 이루어지는, 말단 관능기가 메타크릴로일기의 매크로 모노머(수 평균 분자량 3000)를 13.5질량부, 라우릴아크릴레이트를 43.7질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40질량부, 및 아크릴아미드 2.8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질량 평균 분자량: 16만)를 준비했다.
이 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1kg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프로폭시화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화학사제, NK 에스테르 ATM-4PL) 90g, 가시광 개시제로서 개열형 가시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인,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파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4-메틸벤조페논의 혼합물(Lamberti사제 Esacure KTO46) 15g을 첨가하고, 균일 혼합하여, 광경화성 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표면이 박리 처리되어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수지제, 다이아호일 MRV, 두께 100㎛) 상에, 두께 150㎛가 되도록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 후, 표면이 박리 처리되어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수지제, 다이아호일 MRQ, 두께 75㎛)을 피복하여, 이형 필름을 가지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을 제작했다.
또한,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은, 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한 점착 시트였다.
(수지 부재 X)
수지 부재 (X)로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판(미쯔비시가스화학사제, 유피론시트 MR58)이며, 두께 1.0㎜(첩합 구성 P에서 사용) 및 1.5㎜(첩합 구성 Q 및 첩합 구성 R에서 사용)의 것을 이용했다.
어느 두께의 것도, 365㎚에서의 광선 투과율 0%, 405㎚에서의 광선 투과율 83%였다.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이형 필름을 가지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의 일방의 면의 박리 필름을 벗기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판(수지 부재 X)의 일방의 면에 롤 첩합하여, 수지 부재 (X)/광경화성 점착 시트 Y1의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X/Y1 적층체」라고도 칭함)를 얻었다.
[실시예 2]
광경화성 점착 시트 Y의 가교제의 종류를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화학사제, NK 에스테르 ATMM3)로 변경하고, 배합부 수를 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1kg에 대하여 70g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하여, 광경화성 점착 시트 Y2 및 X/Y2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광경화성 점착 시트 Y2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한 점착 시트였다.
[실시예 3]
광경화성 점착 시트 Y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조성을,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메틸=1:1로 이루어지는, 말단 관능기가 메타크릴로일기의 매크로 모노머(수 평균 분자량 3000)를 12.7질량부, 라우릴아크릴레이트를 41.1질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37.6질량부, 아크릴아미드 2.6질량부 및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6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히드록시기 함유 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질량 평균 분자량: 16만) 100질량부에 대하여, 2-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 6.5질량부를 부가 반응시켜 얻어진,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활성 에너지선 가교성 구조 부위를 가지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경화성 점착 시트 Y3 및 X/Y3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광경화성 점착 시트 Y3은, 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한 점착 시트였다.
[실시예 4]
광경화성 점착 시트로서, 가시광 개시제로서 수소 인발형 가시광 개시제인, 페닐글리옥실산 메틸에스테르(BASF사제, Irgacure MBF)를 이용하여, 미리,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 100(mJ/cm2)이 되도록 광을 조사하여 1차 경화(가교)시킨 것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경화성 점착 시트 Y4 및X/Y4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광경화성 점착 시트 Y4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한 점착 시트였다.
[실시예 5]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로서,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메틸=1:1로 이루어지는, 말단 관능기가 메타크릴로일기의 매크로 모노머(수 평균 분자량 3000)를 13.5질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73.7질량부, 아크릴아미드 2.8질량부 및 메틸아크릴레이트 10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질량 평균 분자량: 26만)를 사용하고, 가교제의 종류를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화학사제, NK 에스테르 ATMM3L)로 변경하고, 배합부 수를 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1kg에 대하여 70g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경화성 점착 시트 Y5 및 X/Y5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광경화성 점착 시트 Y5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한 점착 시트였다.
[실시예 6]
가교제의 배합량을 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1kg에 대하여 120g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경화성 점착 시트 Y6 및 X/Y6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광경화성 점착 시트 Y6은, 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한 점착 시트였다.
[실시예 7]
가교제의 종류를, 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1kg에 대하여,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화학사제, NK 에스테르 ATMM3L)와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화학사제, NK 에스테르 A9570W)를 각각 90g, 30g의 병용으로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경화성 점착 시트 Y7및 X/Y7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광경화성 점착 시트 Y7은, 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한 점착 시트였다.
[실시예 8]
가교제의 종류를, 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1kg에 대하여,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화학사제, NK 에스테르 ATMM3L)와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화학사제, NK 에스테르 A9570W) 각각 120g, 40g의 병용으로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경화성 점착 시트 Y8및 X/Y8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광경화성 점착 시트 Y8은, 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한 점착 시트였다.
[실시예 9]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메틸=1:1로 이루어지는, 말단 관능기가 메타크릴로일기의 매크로 모노머(수 평균 분자량 3,000)를 13.5질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73.7질량부, 아크릴아미드 2.8질량부 및 메틸아크릴레이트 10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질량 평균 분자량: 26만) 1kg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화학사제, NK 에스테르 ATMM3L)와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화학사제, NK 에스테르 A9570W)를, 각각 75g, 25g의 양으로 병용하고, 가시광 개시제로서 개열형 가시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인,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파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4-메틸벤조페논의 혼합물(Lamberti사제 Esacure KTO46) 15g을 첨가하며, 실란커플링제로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g(신에츠실리콘주식회사제 KBM403)을 균일 혼합하여, 광경화성 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표면이 박리 처리되어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케미컬사제, 다이아호일 MRV, 두께 100㎛) 상에, 두께 25㎛가 되도록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 후, 표면이 박리 처리되어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케미컬사제, 다이아호일 MRQ, 두께 75㎛)을 피복하여, 이형 필름을 가지는 표리층용 점착 시트 Y9a를 제작했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 표리층용 점착 시트 Y9a에서 이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1kg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화학사제, NK 에스테르 ATMM3L) 30g, 가시광 개시제로서 개열형 가시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인,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파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4-메틸벤조페논의 혼합물(Lamberti사제 Esacure KTO46) 15g을 첨가하고, 균일 혼합하여, 광경화성 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표면이 박리 처리되어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케미컬사제, 다이아 호일 MRV, 두께 100㎛) 상에, 두께 100㎛가 되도록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 후, 표면이 박리 처리되어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케미컬사제, 다이아 호일 MRQ, 두께 75㎛)을 피복하여, 이형 필름을 가지는 중간층용 점착 시트 Y9b를 제작했다.
중간층용 점착 시트 Y9b의 양측의 PET 필름을 순차 박리 제거함과 함께, 2매의 표리층용 점착 시트 Y9a의 점착면을, 중간층용 점착 시트 Y9b의 양 표면에 순차 첩합하고, (표리층용 점착 시트 Y9a)/(중간층용 점착 시트 Y9b)/(표리층용 점착 시트 Y9a)로 이루어지는 2종 3층의 적층체(총 두께 150㎛)인 광경화성 점착 시트 Y9 및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X/Y9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0]
상기 중간층용 점착 시트 Y9b에 이용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메틸=1:1로 이루어지는, 말단 관능기가 메타크릴로일기의 매크로 모노머(수 평균 분자량 3,000)를 13.5질량부, 라우릴아크릴레이트를 43.7질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40질량부, 및 아크릴아미드 2.8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질량 평균 분자량: 16만)로 변경하여 중간층용 점착 시트 Y10b를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표리층용 점착 시트 Y9a)/(중간층용 점착 시트 Y10b)/(표리층용 점착 시트 Y9a)로 이루어지는 2종 3층의 적층체(총 두께 150㎛)인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0 및 X/Y10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0은, 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한 점착 시트였다.
[비교예 1]
광경화성 점착 시트로서, 광개시제로서 수소 인발형 개시제인, 2,4,6-트리메틸벤조페논과 4-메틸벤조페논의 혼합물(Lamberti사제, Esacure TZT)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1 및 X/Y11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2]
광경화성 점착 시트로서, 광개시제로서 수소 인발형 개시제인, 1-〔4-(4-벤조일페닐설파닐)페닐〕-2-메틸-2-(4-메틸페닐술포닐)프로판-1-온(Lamberti사제, sacure1001M)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2 및 X/Y12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3]
광경화성 점착 시트로서, 광경화성을 가지지 않는, 시판의 비경화성 광학용 투명 점착 시트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3 및 X/Y13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4]
수지 부재 X로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판(두께 1.0㎜, 365㎚에서의 광선 투과율 45%, 405㎚에서의 광선 투과율 91%)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4 및 X/Y14 적층체를 얻었다.
<평가>
본 명세서 중에 표시되는 평가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동적 저장 탄성률 (G')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150㎛의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Y14(이형 필름 없음)의 각각에 대하여, 8매 겹쳐 1200㎛로 하고,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레오미터(에코세이키주식회사제 「MARS」)를 이용하여, 점착 지그: Φ25㎜ 패럴렐 플레이트, 변형: 0.5%, 주파수 1Hz, 승온 속도: 3℃/min의 조건으로 측정했다.
(2) 분광 투과율
수지 부재 (X)에 대하여, 분광 광도계(시마즈제작소제 UV2000)를 이용하여, 파장 300㎚~800㎚의 분광 투과율(%T)을 측정했다. 이러한 분광 투과율을 광선 투과율이라고 했다.
(3) 겔분율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Y14(이형 필름 없음)의 각각에 대하여, 미리 질량 (X)를 측정한 SUS 메시(#200)로 파우치 형상으로 싸고, 파우치의 입구를 접어 닫고, 이 패키지의 질량(Y)을 측정한 후, 100ml의 아세트산 에틸에 침지시켜 23℃ 24시간 어두운 곳에서 보관한 후, 패키지를 취출하여 70℃에서 4.5시간 가열하여 부착되어 있는 아세트산 에틸을 증발시켜, 건조한 패키지의 질량 (Z)를 측정하고, 구한 질량을 하기 식에 대입하여, 겔분율 X1을 구했다.
겔분율(%)=[(Z-X)/(Y-X)]×100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X/Y1~Y14 적층체의 각각에 대하여, 수지 부재 (X)측으로부터,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 3000(mJ/cm2)이 되도록 광을 조사한 후, 광경화성 점착 시트의 수지 부재 (X)측 표면의 점착층 개소로부터 샘플을 채취하고,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겔분율 X2를 구했다. 그리고, X2-X1을 산출했다.
(4) 단차 흡수성
58㎜×110㎜×두께 0.8㎜의 유리의 주연부(긴 변측 3㎜, 짧은 변측 15㎜)에, 두께 22~24㎛의 인쇄를 실시하고, 중앙의 오목부가 52㎜×80㎜의 인쇄 단차를 가지는 유리판을 준비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이형 필름을 가지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Y14 각각에 대하여, 일방의 이형 필름을 벗기고, 소다라임 글라스(54㎜×82㎜×두께 0.5㎜)의 전체 면에 롤 첩합한 후, 남는 다른 일방의 이형 필름을 벗기고, 상기 인쇄 단차를 가지는 유리판의 액자 형상의 인쇄 단차에, 점착 시트가 걸리도록 하여 진공 프레스를 이용하여 진공 압착(온도 25℃, 프레스압 0.13MPa)하여 평가 샘플을 작성했다.
평가 샘플을, 60℃, 0.2MPa, 20min의 조건으로 오토클레이프 처리한 후,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합격 여부를 판정했다.
○(good): 단차 주변부에, 미소 기포가 전혀 발견되지 않음
×(poor): 단차 주변부에, 미소 기포가 발견됨
(5) 황색도 (YI)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X/Y1~Y14 적층체의 각각에 대하여, 수지 부재 (X)측으로부터,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 3000(mJ/cm2)이 되도록 광을 조사했다.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란, 자외선 적산 광량계 「UIT-250」(우시오전기주식회사제), 및 수광기 「UVD-C405」(우시오전기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수지 부재 (X)의 고압 수은 램프로 조사하는 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에 광량계를 설치하여 측정한, 수지 부재 (X)를 투과하여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Y14)에 조사되는 적산 광량이다.
이 후, 분광 측색계(스가시험기(주)) 「SC-T」를 이용하여, JIS K7103에 의거하여 X/Y1~Y14 적층체의 황색도 (YI)를 측정하고,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합격 여부를 판정했다.
○(good): YI가 2 미만
×(poor): YI가 2 이상
(6) 내UV 신뢰성(ΔYI)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X/Y1~Y14 적층체에 대하여, 수지 부재 (X)측으로부터,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 3000(mJ/cm2)이 되도록 광을 조사했다.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란, 자외선 적산 광량계 「UIT-250」(우시오전기주식회사제), 및 수광기 「UVD-C405」(우시오전기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수지 부재 (X)의 고압 수은 램프로 조사하는 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에 광량계를 설치하여 측정한, 수지 부재 (X)를 투과하여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Y14)에 조사되는 적산 광량이다.
이 후, UVB 형광 램프(G15T8E 산쿄전기주식회사제, 방사 조도 70μW/cm2)를 이용하여, 거리 20cm, 72hr의 조사 시험을 실시했다.
조사 전후의 X/Y1~Y14 적층체의 황색도 (YI)의 변화량 ΔYI로부터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합격 여부를 판정했다.
○(good): ΔYI가 0.2 미만
×(poor): ΔYI가 0.2 이상
(7) 내발포 신뢰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X/Y 적층체 각각에 대하여, Y면측에 남는 다른 일방의 이형 필름을 벗기고, 그 노출면에 다음의 3종류의 부재를 핸드 롤러로 첩착하고, 첩합되었을 때의 내발포 신뢰성을 각각 평가했다.
또한, X/Y 적층체는, 각각의 부재의 사이즈로 커팅하여 사용했다.
구체적인 첩합 구성은, X/Y 적층체/부재 P(첩합 구성 P), X/Y 적층체/부재 Q(첩합 구성 Q) 및 X/Y 적층체/부재 R(첩합 구성 R)의 3종류이다.
부재 P: 소다라임 글라스 54㎜×82㎜×두께 0.55㎜
부재 Q: 소다라임 글라스 100㎜×180㎜×두께 0.55㎜
부재 R: PET 필름 100㎜×180㎜×두께 100㎛
또한, 부재 P(첩합 구성 P)에 대해서는, 온도 60℃, 기압 0.2MPa, 30분의 조건으로 오토 클레이브 처리를 실시하여 마무리 첩착을 행하고, 부재 Q 및 R(첩합 구성 Q 및 R)에 대해서는, 온도 80℃, 기압 0.2MPa, 30분의 조건으로 오토 클레이브 처리를 실시하여 마무리 첩착을 행했다.
상기 마무리 첩착 후, 수지 부재 (X)측으로부터,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 3000(mJ/cm2)이 되도록 광을 조사하여, 내발포 신뢰성 평가 샘플을 제작했다.
상기 평가 샘플을, 85℃, 85% R.H. 환경하에 24hr 폭로하고, 발포나 박리 등 외관 불량이 확인되지 않은 것을 「○(good)」, 발포나 박리가 확인된 것을 「×(poor)」라고 판정했다.
또한, 첩합 구성 P 또는 Q(일면 유리 부재)와 첩합 구성 R(양면 수지 부재)에서 발포나 박리 등 외관 불량이 확인되지 않은 것을 「◎(very good)」으로 하고, 첩합 구성 P, Q 및 R 중 어느 것에서 발포나 박리 등 외관 불량이 확인된 것을 「○(good)」라고 하고, 첩합 구성 P, Q 및 R의 모두에서 발포나 박리가 확인된 것을 「×(poor)」라고 종합 판정했다.
(8) 장기 보관 후의 헤이즈(가교제와의 상용성의 지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광경화성 점착 시트 Y 각각에 대하여, 시트를 제작하고 나서 2개월 이상 경과한 후, 점착 시트 Y의 이형 필름을 벗겨 노출된 양면의 점착면을 2매의 소다라임 글라스(두께 0.55㎜)에 의해 사이에 끼우도록 첩합하고,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 3000(mJ/cm2)이 되도록 광을 조사한 후, 헤이즈 값을 측정했다.
헤이즈 값의 측정은, 헤이즈 미터(니혼덴쇼쿠고교사제, NDH5000)를 이용하여 JIS K7136에 준하여 행했다.
헤이즈값이 0.5 미만이었던 것을 「○(good)」, 0.5 이상 1.0 미만이었던 것을 「△(satisfactory)」, 1.0 이상이었던 것을 「×(poor)」라고 판정했다.
(9) 광경화 후의 Tg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150㎛의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Y14(이형 필름 없음)의 각각에 대하여, 미리,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 3000(mJ/cm2)이 되도록 광을 조사한 후,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Y14를 각각 8매 겹쳐 1200㎛로 하고,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레오미터(에코세이키주식회사제 「MARS」)를 이용하여, 점착 지그: Φ25㎜ 패럴렐 플레이트, 변형: 0.5%, 주파수 1Hz, 승온 속도: 3℃/min의 조건으로 측정하고, 얻어진 Tanδ의 값이 피크가 되는 온도를 Tg로서 측정했다.
(10) 점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150㎛의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Y14(이형 필름 없음)의 각각에 대하여, 8매 겹쳐 1200㎛로 하고,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레오미터(에코세이키주식회사 제품 「MARS」)를 이용하여, 점착 지그: Φ25㎜ 패럴렐 플레이트, 변형: 0.5%, 주파수 1Hz, 승온 속도: 3℃/min의 조건으로, 70℃, 100℃ 각각에 있어서의 광경화 전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복소 점도를 측정했다.
(11) 보관성
가로세로 50㎜×50㎜로 재단한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Y14를, 가로세로 100㎜×100㎜이며 두께 100㎛의 PET 필름 2매의 사이에 끼워 적층체를 제작하고, 23℃ 50%의 환경하에서 300시간 방치 후에 적층체로부터 점착제가 밀려 나왔는지 육안 관찰을 행했다.
제작한 적층체를 육안 관찰하여, 점착제가 전체적으로 밀려 나온 것을 「×(poor)」, 점착제가 모서리부만 밀려 나온 것을 「△(satisfactory)」, 점착제가 밀려 나오지 않은 것을 「○(good)」라고 판정했다.
Figure pat00001
<고찰>
실시예 1~10의 수지 부재 (X)/광경화성 점착 시트 (Y1~Y10)의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X/Y1~Y10 적층체)는, 수지 부재 (X)측으로부터, 파장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 3000(mJ/cm2)이 되도록 광을 조사하였을 때에,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Y10은, 겔분율의 차가 10% 이상 커지도록 충분히 경화할 수 있고, 동적 저장 탄성률 (G')가 120℃, 1Hz에 있어서, 0.7×104Pa 이상의 고온 응집력을 보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양호한 내발포 신뢰성이 얻어졌다. 특히, 터치 센서가 유리 센서인 경우를 상정한 시험에 있어서 양호한 내발포 신뢰성이 얻어졌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3, 7, 9, 10은, 동적 저장 탄성률 (G')가 120℃, 1Hz에 있어서, 2.0×104Pa 이상의 고온 응집력을 보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터치 센서가 필름 센서의 경우를 상정한 시험에 있어서도 양호한 내발포 신뢰성이 얻어졌다.
또한, 실시예 8은, 터치 센서가 필름 센서인 경우를 상정한 시험에 있어서는 양호한 내발포 신뢰성이 얻어졌지만, 터치 센서가 유리 센서인 경우를 상정한 시험에 있어서는 유리의 박리가 발생했다. 이것은 동적 저장 탄성률 (G')가 120℃, 1Hz에 있어서 지나치게 높아져, 택, 접착 성능이 저하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실시예 2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를 구성하는 친수성 모노머의 함유량이 10질량부 이하인 점에서, 장기 보관 중에 상분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장기 보관 후의 헤이즈가 「△(satisfactory)」였다.
실시예 1~10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단차 흡수성은 양호하며, 인쇄 단차를 가지는 커버 부재에 대해서도, 터치 센서의 종류에 따라 실용에 견딜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실시예 4, 9, 10은, 점도(70℃)가, 1.5kPa·s 이상으로 높기 때문에, 장기 보관 후에 있어서도 풀(糊)의 밀려 나옴이 발견되지 않고 보관성이 우수했다.
비교예 1 및 2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1 및 Y12의 파장 39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으로 높고, 수지 부재 (X)측으로부터, 파장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 3000(mJ/cm2)이 되도록 광을 조사하였을 때의, 광개시제의 광흡수에 의한 여기 및 경화(가교) 반응의 진행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충분히 점착층 (Y)를 경화할 수 없어, 내발포 신뢰성 시험 시에 기포가 발생했다.
비교예 3은, 광경화성 점착 시트 Y13의 겔분율이 88%, 동적 저장 탄성률 (G')(25℃)이 1.1×105Pa로 높기 때문에, 단차 흡수성이 나빠, 기포가 발생했다.
비교예 4는, 수지 부재 (X)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으며, 파장 365㎚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45%로 높기 때문에, 내UV 신뢰성 시험에 있어서의 황변이 진행되었다.

Claims (15)

  1. 이하의 (1)~(3)의 모든 특성을 구비하는 점착층 (Y)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
    (1) 겔분율(「광조사 전 겔분율 X1」이라고 칭함)이 0~60%의 범위 내에 있다.
    (2) 파장 39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9% 이하이고, 또한, 파장 41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다.
    (3) 온도 25℃, 주파수 1Hz에 있어서, 저장 탄성률 (G')가, 0.9×105Pa 이하이다.
    (4) 파장 405㎚의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파장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 3000(mJ/cm2)인 광을 조사한 후의 저장 탄성률 (G')가, 온도 120℃, 주파수 1Hz에 있어서, 0.7×104Pa 이상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에 있어서의 광경화성은, 파장 405㎚의 광을 조사하였을 때에, 겔분율의 차로서 10% 이상 커지는 광경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파장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 3000(mJ/cm2)인 광을 조사하였을 때, 광조사 전의 겔분율(광조사 전 겔분율 X1)과 광조사 후의 겔분율(「광조사 후 겔분율 X2」라고 칭함)과의 차(광조사 후 겔분율 X2-광조사 전 겔분율 X1)가 10% 이상이 되는 광경화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Y)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가시광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Y)가, 실란커플링제를 함유하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 카르복실기와 아지리딜기, 히드록실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 아미노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카르복실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관능기의 조합에 의한 화학적인 결합이 형성되어 있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가, 가지 성분으로서 매크로 모노머를 구비한 그래프트 공중합체인 광경화성 점착 시트.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개시제가, 수소 인발형 가시광 개시제인 광경화성 점착 시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인발형 가시광 개시제가, 페닐글리옥실산 메틸에스테르, 옥시-페닐-아세트산 2-[2-옥소-2-페닐-아세톡시-에톡시]에틸에스테르와 옥시-페닐-아세트산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에스테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인 광경화성 점착 시트.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가, 측쇄의 탄소수가 4~18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친수성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광경화성 점착 시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Y)는, 가교제를 함유하거나, 혹은, 가교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인 광경화성 점착 시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알킬렌옥사이드 미변성의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인 광경화성 점착 시트.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활성 에너지선 가교성 구조 부위를 가지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파장 405㎚에서의 적산 광량이 3000(mJ/cm2)인 광을 조사한 후의 당해 점착층 (Y)의 저장 탄성률 (G')가, 온도 120℃, 주파수 1Hz에 있어서, 2.0×104Pa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Y)는, 가열에 의해 연화 내지 유동되는 핫 멜트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점착 시트.
KR1020227031811A 2017-08-08 2018-08-06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566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52882 2017-08-08
JPJP-P-2017-152882 2017-08-08
JPJP-P-2017-152883 2017-08-08
JP2017152883 2017-08-08
JP2018103231 2018-05-30
JPJP-P-2018-103230 2018-05-30
JP2018103230 2018-05-30
JPJP-P-2018-103231 2018-05-30
KR1020207006755A KR102573795B1 (ko) 2017-08-08 2018-08-06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PCT/JP2018/029334 WO2019031426A1 (ja) 2017-08-08 2018-08-06 光硬化性粘着シート、光硬化性粘着シート積層体、光硬化性粘着シ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パネル積層体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755A Division KR102573795B1 (ko) 2017-08-08 2018-08-06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017A true KR20220132017A (ko) 2022-09-29
KR102566973B1 KR102566973B1 (ko) 2023-08-14

Family

ID=6527224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1809A KR102566971B1 (ko) 2017-08-08 2018-08-06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227031811A KR102566973B1 (ko) 2017-08-08 2018-08-06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237006171A KR102566966B1 (ko) 2017-08-08 2018-08-06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207006755A KR102573795B1 (ko) 2017-08-08 2018-08-06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1809A KR102566971B1 (ko) 2017-08-08 2018-08-06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171A KR102566966B1 (ko) 2017-08-08 2018-08-06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207006755A KR102573795B1 (ko) 2017-08-08 2018-08-06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4) KR102566971B1 (ko)
CN (3) CN110997845B (ko)
TW (2) TWI822414B (ko)
WO (1) WO20190314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928A (ko) * 2019-10-01 2022-05-27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점착성 편광 적층 필름, 점착 시트, 적층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EP4047066A4 (en) * 2019-10-16 2023-11-22 Koza Novel Materials Korea Co., Ltd. CURABLE COMPOSITION
KR20230114744A (ko) * 2020-12-10 2023-08-01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적층체 및 적층 구조체
WO2023188926A1 (ja) * 2022-03-29 2023-10-05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構成用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WO2024106385A1 (ja) * 2022-11-18 2024-05-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WO2024106388A1 (ja) * 2022-11-18 2024-05-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WO2024106389A1 (ja) * 2022-11-18 2024-05-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7041A (ko) 2008-08-29 2010-03-10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성막 장치, 성막 방법 및 기억 매체
JP4971529B2 (ja) 2010-09-06 2012-07-11 三菱樹脂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構成用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この積層体を用いてなる画像表示装置
JP2014152295A (ja) 2013-02-12 2014-08-25 Mitsubishi Plastics Inc 透明両面接着性シート
KR20170008804A (ko) * 2014-08-12 2017-01-24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투명 점착 시트
KR20170098702A (ko) * 2016-02-22 2017-08-30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표시체 및 그들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8898Y2 (ko) 1972-10-11 1976-09-24
JP3775760B2 (ja) * 1995-04-28 2006-05-17 日本化薬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硬化物、物品及び接着方法
WO2000046315A1 (fr) * 1999-02-08 2000-08-10 Hitachi Chemical Co., Ltd. Adhesif, structure de connexion d'electrodes, et procede de connexion d'electrodes
US6887917B2 (en) * 2002-12-30 2005-05-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JP2009170065A (ja) * 2008-01-21 2009-07-30 Ricoh Co Ltd 多層光記録媒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多層光記録媒体
TW201420718A (zh) * 2012-09-20 2014-06-01 Mitsubishi Rayon Co 光硬化型黏著劑組成物、硬化物、黏著片及顯示面板與其製造方法
TW201522553A (zh) * 2013-11-26 2015-06-16 Emulsion Technology Co Ltd 光硬化型黏著劑組成物、黏著片及積層體
JP2015157884A (ja) * 2014-02-21 2015-09-03 三菱樹脂株式会社 透明両面粘着シート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6199701A (ja) * 2015-04-13 2016-12-0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接合体製造方法
WO2016194957A1 (ja) * 2015-06-02 2016-12-08 三菱樹脂株式会社 光硬化型粘着シート、粘着シート及び画像表示装置
JP6727786B2 (ja) * 2015-10-16 2020-07-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KR20240017413A (ko) * 2016-02-08 2024-02-07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투명 양면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 적층체
KR102407621B1 (ko) * 2016-12-02 2022-06-10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광경화성 조성물, 점착 시트, 점착 시트 적층체, 경화물,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JP6699544B2 (ja) * 2016-12-28 2020-05-2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粘着シート、粘着剤層付き積層体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
KR102535758B1 (ko) * 2017-06-23 2023-05-23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광경화형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도전부재의 부식 억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7041A (ko) 2008-08-29 2010-03-10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성막 장치, 성막 방법 및 기억 매체
JP4971529B2 (ja) 2010-09-06 2012-07-11 三菱樹脂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構成用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この積層体を用いてなる画像表示装置
JP2014152295A (ja) 2013-02-12 2014-08-25 Mitsubishi Plastics Inc 透明両面接着性シート
KR20170008804A (ko) * 2014-08-12 2017-01-24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투명 점착 시트
KR20170098702A (ko) * 2016-02-22 2017-08-30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표시체 및 그들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795B1 (ko) 2023-09-01
TWI785086B (zh) 2022-12-01
CN110997845A (zh) 2020-04-10
CN110997845B (zh) 2022-01-11
KR102566966B1 (ko) 2023-08-14
KR20230030047A (ko) 2023-03-03
TW202309226A (zh) 2023-03-01
CN111909622B (zh) 2022-04-29
KR20220129682A (ko) 2022-09-23
KR102566971B1 (ko) 2023-08-14
KR20200036015A (ko) 2020-04-06
CN111909622A (zh) 2020-11-10
TWI822414B (zh) 2023-11-11
CN111876091B (zh) 2023-04-14
KR102566973B1 (ko) 2023-08-14
CN111876091A (zh) 2020-11-03
WO2019031426A1 (ja) 2019-02-14
TW201920565A (zh) 2019-06-01
TW202307167A (zh)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3795B1 (ko)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TWI830400B (zh) 雙面黏著片材、含圖像顯示裝置構成用構件之積層體、積層體形成套組及雙面黏著片材之用途
JP6361734B2 (ja) 透明粘着シート
JP6866956B2 (ja) 光硬化性粘着シート積層体、光硬化性粘着シ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パネル積層体の製造方法
JP6866880B2 (ja) 光硬化性粘着シート
JP7260033B2 (ja) 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構成用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8044164A (ja) 光硬化型粘着シート、粘着シート及び画像表示装置
KR102627869B1 (ko) 광경화성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JP7415366B2 (ja) 光硬化性粘着シート、粘着シート積層体、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20230133297A (ko) 이형 필름 구비 점착 시트, 이형 필름 구비 화상 표시장치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2020164575A (ja) 両面粘着シート、離型フィルム付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
TWI842162B (zh) 光硬化性黏著片材
KR20180126761A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20230114744A (ko) 적층체 및 적층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