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758B1 - 광경화형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도전부재의 부식 억제 방법 - Google Patents

광경화형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도전부재의 부식 억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758B1
KR102535758B1 KR1020207001359A KR20207001359A KR102535758B1 KR 102535758 B1 KR102535758 B1 KR 102535758B1 KR 1020207001359 A KR1020207001359 A KR 1020207001359A KR 20207001359 A KR20207001359 A KR 20207001359A KR 102535758 B1 KR102535758 B1 KR 102535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dhesive sheet
conductive member
sensitive adhesive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988A (ko
Inventor
신야 후쿠다
마사야 미네모토
마코토 이네나가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21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9J1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8Metal shee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광경화성을 가지는 점착 시트, 그 중에서도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도전부재에 첩합하여 광경화한 후에 당해 도전부재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는 광경화형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광을 수광하면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개시제, 및, 365㎚의 흡광 계수가 20㎖/g·㎝ 이하의 금속 부식 방지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가지며,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공)중합체인 도전부재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경화형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도전부재의 부식 억제 방법
본 발명은, 광경화 성능을 가지는 광경화형 점착 시트, 그 중에서도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도전부재에 첩합(貼合)되어 광경화한 후에 당해 도전부재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는 광경화형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 모바일 단말(PDA), 게임기, 텔레비전(TV), 카 네비게이션, 터치 패널, 펜 태블릿 등의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EL 디스플레이(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EPD), 간섭 변조 디스플레이(IMOD) 등의 평면형 또는 곡면을 가지는 화상 표시 패널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시인성 확보나 파손 방지 등을 위해, 각 구성 부재 사이에 공극을 마련하지 않고, 각 구성 부재 사이를 점착 시트나 액상 점착제로 첩합하여 일체화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액정 모듈의 시인측과 표면 보호 패널의 사이에 터치 패널이 개재되어 삽입되어서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표면 보호 패널과 액정 모듈의 시인측의 사이에 액상 점착제나 점착 시트를 배치하고, 터치 패널과 다른 구성 부재, 예를 들면 터치 패널과 액정 모듈, 터치 패널과 표면 보호 패널을 첩합하여 일체화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 사이의 공극을 점착제로 충전하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액상의 접착 수지 조성물을 당해 공극에 충전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점착 시트를 당해 공극에 첩합한 후, 화상 표시 유닛을 개재하여 점착 시트에 자외선 조사하여 점착제를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이용되는 점착 시트는, 가령 점착 시트가 박육(薄肉)이어도, 피착체의 인쇄 단차나 계면에 이물이 존재하였을 경우 등에 있어서의 요철 추종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또한 고온·고습 환경 하 등에 있어서의 내(耐)발포 신뢰성도 양립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최근, 화상 표시 장치의 박육화에 수반하여 점착제도 박육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광경화성을 가지는 점착 시트는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8에는, 아크릴계 폴리머 및 금속 부식 방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 시트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제공개 2010/027041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072481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16684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4-177611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4-177612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004048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7-110062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150396호 공보
터치 패널은, 통상, 주석 도프 산화인듐(ITO)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된 미세 배선이나 투명 도전층을 가지는 상부 전극판 및 하부 전극판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투명 도전층의 주위에는, 투명 도전층에 의해 검지된 손가락이나 터치 펜 등의 위치 정보를 집약하여 통신하기 위해서, 금속 재료로 형성된 도체 패턴을 가진다.
이들의 투명 도전층이나 도체 패턴은, 주석 도프 산화인듐(ITO)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였다.
그러나, ITO는, 표면 저항이 높고 굽힘에 취약하다고 하는 문제를 안고 있었기 때문에, 최근의 화상 표시 장치의 대(大)화면화, 플렉시블화, 폴더블화에 수반하여, ITO의 대체 재료로서, 표면 저항이 낮고 굽힘에도 강한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가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도체 패턴에 관해서도, 화상 표시 장치의 협액자화에 수반하여 세선(細線)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 도체 패턴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은은, ITO와 비교하여 내부식성이 뒤떨어진다고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도전부재에 광경화형 점착 시트를 첩합하여, 2개의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당해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적층한 후, 광을 조사하여 당해 점착 시트를 경화시켜서 화상 표시 장치를 제조하면,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의 부식이 특히 진행되어 버린다고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이처럼,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도전부재에 광경화형 점착 시트를 첩합하여, 광경화시켰을 시의 금속 재료의 부식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점착 시트에 포함되는 광개시제가 광에 의해 활성화하여 라디칼을 발생하고, 이 라디칼이 금속 재료 중의 은과 반응하기 때문에,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의 부식이 진행되는 것을 알아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특히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도전부재에 첩합하여 광경화한 후에 당해 도전부재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광경화형 점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도전부재에 첩합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광경화형 점착 시트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광을 수광하면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개시제, 및, 365㎚의 흡광 계수가 20㎖/g·㎝ 이하의 금속 부식 방지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가지며,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형 점착 시트를 제안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광경화형 점착 시트를,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도전부재에 적층한 후, 광조사하여 당해 점착 시트를 경화시키면, 광조사 할 때에, 당해 점착 시트 중의 금속 부식 방지제로 도전부재의 은에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조사에 의해 광개시제로부터 발생한 라디칼이 도전부재의 은과 반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도전부재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광경화형 점착 시트는, 예를 들면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 도체 패턴을 가지는 도전부재 등의 각종 도전부재를 첩합하는데에도 바람직한 점착 시트로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널을 가지는 화상 표시 장치용의 점착 시트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내(耐)은 부식 신뢰성의 평가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A)는 내은 부식 신뢰성 평가용 샘플의 상면도, (B)는 내은 부식 신뢰성 평가용 샘플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경화형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와 관련되는 광경화형 점착 시트(이하, 「본 점착 시트」라고도 칭한다.)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광을 수광하면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개시제, 및, 365㎚의 흡광 계수가 20㎖/g·㎝ 이하의 금속 부식 방지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본 점착제 조성물」이라고 칭한다)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가진다.
여기에서, 「광경화형 점착 시트」란, 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하는 성질을 구비한 점착 시트의 의미이다.
또한, 「(공)중합체」란 단독 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포괄하는 의미이며,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포괄하는 의미이며, 「(메타)아크릴로일」이란,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또한, 「광」이란, 구체적으로는, 파장 200㎚~780㎚의 파장 영역의 광을 의미하고, 「광경화형」란, 이러한 파장 영역에서의 경화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특허문헌 3~8에 개시된 점착 시트는, 그 제조 시에 있어서, 광개시제를 이용하여 경화되어 있으므로, 당해 광개시제는 실활하고 있으며, 제조 후에는, 당해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점착제층 중에 광을 수광하면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개시제는 존재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점착 시트 형성 후에는, 라디칼을 발생시킬 수 없으며, 또한, 라디칼에 기인하는 부식 과제도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본 점착 시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하는 성질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특허문헌 3~8에 개시된 점착 시트와는 달리, 광을 수광하면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개시제가 점착제층 중에 실활하는 일 없이 존재하고 있는 점을 특징 중 하나로 하는 것이다.
[본 점착제 조성물]
본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광을 수광하면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개시제, 및, 365㎚의 흡광 계수가 20㎖/g·㎝ 이하의 금속 부식 방지제, 및 필요에 따라 가교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단독 중합체 외, 이와 공중합성을 가지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와 공중합 가능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및 그 외의 비닐 모노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금속부재의 부식 억제를 위해,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지 않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지 않는」이란,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의 뜻이며, 완전하게 포함하지 않을 경우 뿐만 아니라,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중에, 공중합성 모노머 A가 0.5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1질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이하에 예시한 모노머 등을, 필요에 따라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일례로서, 측쇄의 탄소수가 4~18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이하 「공중합성 모노머 A」라고도 칭한다.)와, 이와 공중합 가능한 이하의 B~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노머 성분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매크로 모노머(이하 「공중합성 모노머 B」라고도 칭한다.)
·측쇄의 탄소수가 1~3의 (메타)아크릴레이트(이하 「공중합성 모노머 C」라고도 칭한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이하 「공중합성 모노머 D」라고도 칭한다.)
·그 외의 비닐 모노머(이하 「공중합성 모노머 E」라고도 칭한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일례로서, (a) 공중합성 모노머 A와 공중합성 모노머 B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나, (b) 공중합성 모노머 A와, 공중합성 모노머 B 및/또는 공중합성 모노머 C와, 공중합성 모노머 D 및/또는 공중합성 모노머 E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도 특히 바람직한 예시로서 들 수 있다.
(공중합성 모노머 A)
상기 측쇄의 탄소수 4~18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공중합성 모노머 A)로서는, 예를 들면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세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베헤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A는, 공중합체의 전체 모노머 성분 중에, 3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35질량% 이상 또는 88질량%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40질량% 이상 또는 85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공중합성 모노머 B)
상기 매크로 모노머(공중합성 모노머 B)는, 중합에 의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가 되었을 때에 측쇄의 탄소수가 20 이상이 되는 모노머이다. 공중합성 모노머 B를 이용함으로써,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공중합성 모노머 B와, 그 이외의 모노머의 선택이나 배합 비율에 의해,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주쇄와 측쇄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매크로 모노머(공중합성 모노머 B)로서는, 골격 성분이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비닐계 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크로 모노머의 골격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A, 후술의 공중합성 모노머 C, 후술의 공중합성 모노머 D 등으로 예시되는 것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매크로 모노머는, 라디칼 중합성기 또는 히드록실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에폭시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티올기 등의 관능기를 가지는 것이다.
매크로 모노머로서는, 다른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라디칼 중합성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기는 하나 또는 두개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그 중에서도 하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매크로 모노머가 관능기를 가지는 경우도 관능기는 하나 또는 두개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그 중에서도 하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라디칼 중합성기와 관능기는 어느 일방이어도, 양방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공중합성 모노머 B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2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800 이상 또는 8000 이하, 그 중에서도 1000 이상 또는 7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매크로 모노머는, 일반적으로 제조되어 있는 것(예를 들면, 동아합성사제 매크로 모노머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B는, 공중합체의 전체 모노머 성분 중에 5질량% 이상 30질량% 이하, 그 중에서도 6질량% 이상 또는 25질량%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8질량% 이상 또는 20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성 모노머 C)
상기 측쇄의 탄소수가 1~3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공중합성 모노머 C)로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i-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도 된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C는, 공중합체의 전체 모노머 성분 중에 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3질량% 이상 또는 65질량%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5질량% 이상 또는 60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공중합성 모노머 D)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공중합성 모노머 D)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류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도 된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D는, 공중합체의 전체 모노머 성분 중에 0질량% 이상 30질량% 이하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질량% 이상 또는 25질량%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0질량% 이상 또는 20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공중합성 모노머 E)
상기 그 외의 비닐 모노머(공중합성 모노머 E)로서는, 공중합성 모노머 A~D를 제외하고, 비닐기를 분자 내에 가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로서는, 분자 내에 아미드기나 알콕실알킬기 등의 관능기를 가지는 관능성 모노머류 및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류 및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및 라우린산 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 모노머 및 스티렌, 클로로스티렌, 클로로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그 외의 치환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모노머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도 된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 E는, 공중합체의 전체 모노머 성분 중에 0질량% 이상 30질량% 이하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질량% 이상 또는 25질량%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0질량% 이상 또는 20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에 든 것 외, (메타)아크릴산 글리시딜, α-에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타)아크릴산-3,4-에폭시부틸 등의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메타)아크릴아미드, N-t-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다이아세톤(메타)아크릴아미드, 말레이미드 등의 아미드기 또는 이미드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비닐피롤리돈, 비닐피리딘, 비닐카르바졸 등의 복소환계 염기성 모노머 등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아미드기와 카르복실기, 및, 히드록실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관능기의 조합에 의한 화학적인 결합을 가지거나, 또는, 가지 성분으로서 매크로 모노머를 구비한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가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측쇄의 탄소수가 4~18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와 공중합 가능한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상기에 든 공중합성 모노머 중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실기를 가지지 않는 친수성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친수성의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메틸아크릴레이트나 극성기를 가지는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당해 극성기로서는, 카르복실기 이외의 극성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특히,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나,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가장 전형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모노머 성분(a)와, 유기 관능기 등을 가지는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타)아크릴레이트, 아세트산 비닐,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불소화 (메타)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모노머 성분(b)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을 공중합시켜서 얻어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10만 이상 150만 이하, 그 중에서도 15만 이상 또는 130만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20만 이상 또는 12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응집력이 높은 점착 조성물을 얻고 싶은 경우에는, 분자량이 클수록 분자쇄의 서로 얽힘에 의해 응집력이 얻어지는 관점에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70만 이상 150만 이하, 특히 80만 이상 또는 13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동성이나 응력 완화성이 높은 점착 조성물을 얻고 싶은 경우에는, 질량 평균 분자량은 10만 이상 70만 이하, 특히 15만 이상 또는 6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점착 시트 등을 성형할 때에 용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분자량이 큰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10만 이상 70만 이하, 특히 15만 이상 또는 60만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20만 이상 또는 5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개시제>
본 점착제 조성물은, 광을 수광하면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서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유기계 가교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광개시제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켜서 계(系) 중의 중합 반응의 기점이 되기 때문이다.
본 점착 시트는, 광조사에 의해 광개시제로부터 발생하는 라디칼이 도전부재의 은과 반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점착제 조성물은, 광을 수광하면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개시제는, 라디칼 발생기구에 의해 크게 2개로 분류되며, 광개시제 자신의 단결합을 개열 분해하여 라디칼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개열형 광개시제와, 광여기한 개시제와 계 중의 수소 공여체가 여기착체를 형성하여, 수소 공여체의 수소를 전이시킬 수 있는 수소 인발형 광개시제로 대별된다.
광개시제는, 현재 공지의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파장 380㎚ 이하의 자외선에 감응하는 광개시제가, 경화(가교) 반응 제어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파장 380㎚로부터 장파장의 광에 감응하는 광개시제는, 높은 광반응성을 얻을 수 있는 점, 및, 감응하는 광이, 본 점착 시트의 심부(深部)까지 도달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중의 개열형 광개시제는, 광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할 때에 분해하여 다른 화합물이 되고, 한번 여기되면 개시제로서의 기능을 가지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경화(가교) 반응이 종료한 후의 점착제 중에 활성종으로서 잔존할 일이 없으며, 그 후 점착제가 광에 노출되었을 경우에 다시 라디칼을 발생시킬 일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수소 인발형 광개시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라디칼 발생 반응 시에, 개열형 광개시제와 같은 분해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반응 종료 후에 휘발 성분이 되기 어려워, 피착체에의 데미지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하다.
상기 개열형 광개시제로서는, 광에 대한 감응성이 높고, 또한, 반응 후에 분해물이 되어 소색하는 점에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에톡시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 인발형 광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4-메틸-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4-페닐벤조페논,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4-(메타)아크릴로일옥시벤조페논, 4-[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벤조페논, 4-(메타)아크릴로일옥시-4'-메톡시벤조페논, 2-벤조일벤조산 메틸, 벤조일포름산 메틸, 비스(2-페닐-2-옥소아세트산)옥시비스에틸렌, 4-(1,3-아크릴로일-1,4,7,10,13-펜타옥소트리데실)벤조페논,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3-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안트라퀴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er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캠퍼퀴논이나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벤조페논, 4-메틸-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4-페닐벤조페논,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4-(메타)아크릴로일옥시벤조페논, 4-[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벤조페논, 4-(메타)아크릴로일옥시-4'-메톡시벤조페논, 2-벤조일벤조산 메틸, 벤조일포름산 메틸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 든 광개시제는, 어느 1종 또는 그 유도체를 사용하여도 되고, 그들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광개시제에 추가하여 증감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증감제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광개시제에 이용되는 증감제이면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족 아민이나 안트라센 유도체, 안트라퀴논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티오크산톤 유도체,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등이나, 벤조페논, 크산톤, 티오크산톤, 미힐러케톤, 9,10-페난트렌퀴논 등의 방향족 케톤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개시제나 증감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에 결합된 상태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광개시제나 증감제를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에 결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교제를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에 결합시키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광개시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전형적으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이상 10질량부 이하, 그 중에서도 0.2질량부 이상 또는 5질량부 이하, 그 중에서도 0.5질량부 이상 또는 3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조정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단, 다른 요소와의 밸런스에서 이 범위를 넘어도 된다.
<금속 부식 방지제>
본 점착제 조성물이 함유하는 금속 부식 방지제는, 함유하는 금속 부식 방지제에 따라 본 점착제 조성물의 광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관점에서, 365㎚의 흡광 계수가 20㎖/g·㎝ 이하, 그 중에서도 10㎖/g·㎝ 이하, 그 중에서도 5㎖/g·㎝ 이하, 그 중에서도 1㎖/g·㎝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특성을 가지는 금속 부식 방지제로서는, 나프탈렌 골격, 안트라센 골격, 티아졸 골격 및 티아디아졸 골격에서 선택되는 어느 골격도 가지지 않는, 금속 부식 방지제가 바람직하다. 금속 부식 방지제가, 이러한 골격을 가지지 않음으로써, 상기 범위의 흡광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점착제 조성물이 함유하는 금속 부식 방지제는, 친수성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부식 방지제가 친수성이면, 동일하게 친수성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점착제층에 있어서 움직이기 쉽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은 원자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보호 피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광조사에 의해 광개시제로부터 발생하는 라디칼의 금속부재, 특히 은으로의 공격(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25℃에 있어서의 금속 부식 방지제의 수(水)용해도는 20g/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g/L 이상, 그 중에서도 특히 100g/L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점착제 조성물이 함유하는 금속 부식 방지제로서는, 365㎚에 있어서의 흡광 계수가 20㎖/g·㎝ 이하이며, 또한, 친수성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금속 부식 방지제 중에서도, 트리아졸계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벤조트리아졸, 1,2,3-트리아졸 및 1,2,4-트리아졸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벤조트리아졸로서는, 치환 또는 무치환 중 어느 벤조트리아졸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1,2,3-벤조트리아졸, 메틸-1H-벤조트리아졸 등의 알킬벤조트리아졸, 카르복시벤조트리아졸,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5-아미노벤조트리아졸, 5-페닐티올벤조트리아졸, 5-메톡시벤조트리아졸, 니트로벤조트리아졸, 클로로벤조트리아졸, 브로모벤조트리아졸, 플루오로벤조트리아졸 등의 할로게노벤조트리아졸, 구리벤조트리아졸, 은벤조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실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점착제 조성물에의 분산성이나 첨가 용이함, 금속 부식 방지 효과의 관점에서, 1,2,3-벤조트리아졸, 1-[N,N-비스(2-에틸헥실)아미노메틸]벤조트리아졸, 1-[N,N-비스(2-에틸헥실)아미노메틸]메틸벤조트리아졸, 2,2'-[[(메틸-1H-벤조트리아졸-1-일)메틸]이미노]비스에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1,2,4-트리아졸은, 융점이 약 120℃의 고체인 한편, 1,2,3-트리아졸은 융점이 약 20℃로 실온에서 대략 액체 상태이다. 따라서, 1,2,3-트리아졸은, 점착제 조성물 중에 혼합할 때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으며, 또한, 마스터배치화하기 쉬운 등의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파장 365㎚에 있어서의 흡광 계수는, 측정 파장의 광을 흡수하지 않는 용매(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등)로 희석한 용액을, 석영 셀에 넣어, 그 흡광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구할 수 있다.
이 때, 흡광 계수는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한다.
α365=A365×d/c
α365 : 파장 365㎚에서의 흡광 계수[㎖/(g·㎝)]
A365 : 파장 365㎚에서의 흡광도
c : 용액 농도[g/㎖]
d : (석영 셀의)광로 길이[㎝]
또한, 흡광 계수를 계산할 때에, 투과율의 측정 결과로부터 환산한 흡광도를 이용하여도 된다.
A365=-Log(T365/100)
T365 : 파장 365㎚에서의 광선 투과율[%]
본 점착제 조성물이 함유하는 금속 부식 방지제는, 광조사에 의해 광개시제로부터 발생하는 라디칼의 공격(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 상기 광개시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10~200질량부의 비율로 금속 부식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0질량부 이상 또는 100질량부 이하, 그 중에서도 25질량부 이상 또는 80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금속 부식 방지제의 블리드 아웃이나 금속 부식 방지 효과 등의 관점에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질량부 이상 5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금속 부식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1질량부 이상 또는 1질량부 이하, 그 중에서도 0.2질량부 이상 또는 0.5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가교제)
본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가교제를 포함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가교하는 방법으로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중에 도입한 수산기나 카르복실기 등의 반응성기와 화학 결합할 수 있는 가교제를 첨가하고, 가열이나 양생에 의해 반응시키는 방법이나, 가교제로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광개시제 등의 반응 개시제를 첨가하고,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해 가교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점착제 조성물 중의 카르복실기 등의 극성 관능기를 반응에 의해 소비하지 않고, 극성 성분 유래가 높은 응집력이나 점착 물성을 유지할 수 있는 관점에서, 자외선 등의 광조사에 의한 가교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로일기,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카르보디이미드기, 옥사졸린기, 아지리딘기, 비닐기, 아미노기, 이미노기, 아미드기, N-치환(메타)아크릴아미드기, 알콕시실릴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가교제를 들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가교성 관능기는, 탈보호 가능한 보호기로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가교 반응 제어의 용이함의 관점에서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자외선 경화형의 다관능 모노머류 외,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아크릴 올리고머류나, 다관능 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2종 이상의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글리시딜, α-에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타)아크릴산-3,4-에폭시부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2-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메타)아크릴산 2-(0-[1'-메틸프로필리덴아미노]카르복시아미노)에틸, 2-[(3,5-디메틸피라졸릴)카르보닐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블록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각종 실란커플링제를 들 수 있다.
2종 이상의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가교제는, 일방의 관능기를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와 반응시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에 결합된 구조를 취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것에 의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에,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로일기나 비닐기 등의 이중 결합성의 가교성 관능기를 화학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가교제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에 결합됨으로써, 가교제의 블리드 아웃이나, 본 점착 시트의 예기치 못한 가소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가교제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에 결합됨으로써, 광가교 반응의 반응 효율이 촉진되는 점에서, 보다 응집력이 높은 경화물을 얻을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본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의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하는 단관능 모노머를 추가로 함유하여도 된다. 이러한 단관능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테르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디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페닐(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메타)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피착체에의 밀착성이나 습열 백화 억제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나, (메타)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함유량은, 본 점착제 조성물의 유연성과 응집력을 밸런스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이상 10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05질량부 이상 또는 8질량부 이하, 그 중에서도 0.1질량부 이상 또는 5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점착 시트가 다층인 경우에는,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층 중, 중간층이나 기재가 되는 층에 대해서는, 가교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넘어 있어도 된다. 중간층이나 기재가 되는 층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함유량은,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이상 40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질량부 이상 또는 30질량부 이하, 그 중에서도 2질량부 이상 또는 25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외의 성분>
본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광개시제, 금속 부식 방지제 및 가교제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가교제, 광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불활성화제, 금속 부식 방지제(상기한 금속 부식 방지제를 제외한다), 노화방지제, 대전방지제, 흡습제, 발포제, 소포제, 무기 입자, 점도 조정제, 점착 부여 수지, 광증감제, 형광제 등의 각종의 첨가제, 반응 촉매(3급 아민계 화합물, 4급 암모늄계 화합물, 라우릴산 주석 화합물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통상의 점착제 조성물에 배합되는 공지의 성분을 적절히 함유하여도 된다.
<본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본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광개시제 및 금속 부식 방지제, 필요에 따라 가교제, 추가로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성분을 각각 소정량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들의 혼합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각 성분의 혼합 순서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점착제 조성물 제조 시에 열처리 공정을 넣어도 되며, 이 경우에는, 미리, 본 점착제 조성물의 각 성분을 혼합하고 나서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종의 혼합 성분을 농축하여 마스터배치화한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혼합할 때의 장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만능 혼련기, 플래너터리 믹서, 반바리 믹서, 니더, 게이트 믹서, 가압 니더, 3개 롤, 2개 롤을 이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용제를 이용하여 혼합하여도 된다. 또한, 본 점착제 조성물은,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무용제계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용제계로 하여 사용함으로써 용제가 잔존하지 않고, 내열성 및 내광성이 높아진다고 하는 이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점착 시트의 층구성 및 두께>
본 점착 시트는 본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가지는 광경화형 점착 시트이다.
이러한 점착제층은, 단층이어도 다층이어도 되고, 또한, 다층인 경우에는, 소위 기재층과 같은 다른 층이 개재하여도 된다. 점착제층이 다른 층을 가지는 다층 구성인 경우에는, 본 점착 시트의 표면층이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점착 시트가 다층인 경우,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지만, 본 점착 시트 전체의 두께에 대하여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이면, 도전부재에 대한 내부식 신뢰성, 내발포 신뢰성, 경화 특성이 양호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점착 시트의 두께는, 10㎛ 이상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5㎛ 이상 또는 4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20㎛ 이상 또는 3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점착 시트의 물성>
본 점착 시트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투명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광학적으로 투명」이란, 전광선 투과율은 80% 이상인 것을 의도하고, 85% 이상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점착 시트는, 광을 수광하면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가지기 때문에, 피착체에의 첩합 후에, 광조사함으로써, 당해 점착제층이 경화하는 성질을 가진다.
이처럼, 본 점착 시트는, 그 제조 후에 있어서도, 점착제층 중의 광개시제가 활성을 가지는 상태에 있다. 이러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바람직한 방법으로서는, 다음 (1) 또는 (2)를 들 수 있다.
(1) 본 점착 시트의 제조 시에 있어서, 가(假)경화(1차 가교) 상태에서 시트 형상을 보지(保持)하면서, 또한, 광경화성(광활성)을 구비시킨다.
(2) 본 점착 시트의 제조 시에 있어서, 미(未)경화(가교) 상태에서 시트 형상을 보지하면서, 또한, 광경화성(광활성)을 구비시킨다.
상기 (1)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광중합 개시제와, 관능기(ⅰ)을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와, 당해 관능기(ⅰ)과 반응하는 관능기(ⅱ)를 가지는 화합물과, 그 외, 필요에 따라 (메타)아크릴로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점착제)을, 가열 또는 양생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당해 방법에 의하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중의 관능기(ⅰ)과, 당해 화합물 중의 관능기(ⅱ)가 반응하여, 화학적인 결합이 형성됨으로써 경화(가교)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광중합 개시제가 활성을 가진 채 점착제층 중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상기 서술한 개열형 광개시제 및 수소 인발형 광개시제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 관능기(ⅰ)과 관능기(ⅱ)의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드기(관능기(ⅰ))와 카르복실기(관능기(ⅱ)), 히드록실기(관능기(ⅰ))와 이소시아네이트기(관능기(ⅱ))가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가 수산기를 가지고,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공중합성 모노머 D)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로서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또한, 상기 화합물이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한 예이다.
또한, 상기 관능기(ⅱ)를 가지는 화합물은, 추가로 (메타)아크릴로일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당해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에 의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광경화(가교)성을 유지한 채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가 수산기를 가지고,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로서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또한, 상기 화합물이,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경우, 예를 들면 상기 화합물이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또는 1,1-(비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인 경우가 특히 바람직한 예이다.
이처럼, 당해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에 의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끼리의 가교 반응을 이용함으로써, (메타)아크릴로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광경화(가교) 후의 응집력이 효율적으로 오르기 쉬워 신뢰성이 우수한 등의 이점이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1)의 다른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기 서술한 수소 인발형 개시제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수소 인발형 개시제는, 한번 여기되어도, 개시제 중 반응하지 않은 것은 기저 상태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광중합 개시제로서 다시 이용 가능하다. 이처럼, 수소 인발형 광개시제를 이용함으로써, 점착 시트의 제조 후에 있어서도, 당해 광중합 개시제에 의한 광경화(가교)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2)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서술한 매크로 모노머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지 성분으로서 매크로 모노머를 구비한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매크로 모노머를 이용함으로써, 실온 상태에서는, 가지 성분끼리가 서로 가까이 끌어 당겨서 조성물(점착제)로서 물리적 가교를 한 것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미경화(가교)인 채로 시트 상태를 보지시킬 수 있고, 광을 수광하면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가지는 점착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상기 서술한 개열형 광개시제 및 수소 인발형 광개시제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본 점착 시트의 사용 형태>
본 점착 시트는, 피착체에 본 점착제 조성물을 직접 도포하고, 시트상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이형 필름 상에 단층 또는 다층의 시트상으로 성형한 이형 필름를 구비한 점착 시트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형 필름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아크릴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불소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폴리올레핀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형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예를 들면 가공성 및 핸들링성의 관점에서는, 25㎛~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38㎛ 이상 또는 250㎛ 이하, 그 중에서도 50㎛ 이상 또는 2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점착 시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피착체나 이형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본 점착제 조성물을 직접적으로 압출 성형하는 방법이나, 형(型)에 주입함으로써 성형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도전부재 등의 부재 사이에 본 점착제 조성물을 직접 충전함으로써, 점착 시트의 양태로 할 수도 있다.
<본 점착 시트를 이용한 도전부재의 부식 억제 방법>
본 점착 시트를,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도전부재, 예를 들면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 도전부재에 적층한 후, 광조사 할 때에, 당해 점착 시트 중의 금속 부식 방지제로 도전부재의 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피복함으로써, 상기 광조사에 의해 광개시제로부터 발생한 라디칼이 도전부재의 은과 반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점착 시트는, 이러한 도전부재의 부식 억제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점착 시트의 용도>
본 점착 시트는,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도전부재, 예를 들면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 도전부재에 첩합하기 위하여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 모바일 단말(PDA), 게임기, 텔레비전(TV),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터치 패널, 펜 태블릿 등의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EL 디스플레이(OLED), 무기 EL 디스플레이,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EPD), 간섭 변조 디스플레이(IMOD) 등의 화상 표시 패널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등에 있어서,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도전부재를 첩합하는데에도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도전부재는, 절연 보호막(패시베이션막)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본 점착 시트는, 특히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도전부재, 예를 들면 투명 도전층의 도전층면에 첩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본 점착 시트 중 어느 일방의 점착제층면과 투명 도전층의 도전층면이 첩합된 구성을 가지는 것이면 된다.
본 점착 시트가 양면 점착 시트인 경우에는, 본 적층체는 본 점착 시트의 양방의 점착제층면과 투명 도전층의 도전층면이 첩합된 구성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투명 도전층은, 그 도전막의 도전층면을 덮도록 올레핀계 폴리머, 우레탄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아크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또는 무기 글라스 등에 의한 절연 보호막(패시베이션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본 점착 시트는, 투명 도전층면과 직접 첩합되지 않는다(투명 도전층면과 직접 접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본 점착제 조성물 중의 금속 부식 방지제 성분은 수용성이 높고, 습열 환경 하에 있어서, 본 점착 시트가 흡습하였을 때에 투명 도전층으로 이동하기 쉽기 때문에, 우수한 금속 부식 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본 점착 시트에 의하면, 절연 보호막의 유무에 관계 없이, 피착체의 금속 이온에 의한 점착제층의 변색이나 변질 뿐만 아니라, 피착체에 대한 우수한 금속 부식 방지 효과도 가질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층으로서는, 적어도 편면의 표층에 도전층을 가지는 것이면 되며, 투명 기재의 표층에 도전물질이 증착이나 스퍼터, 코팅 등에 의해 마련된 투명 도전층을 들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의 도전층에 이용되는 도전물질은,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이면 되며, 도전물질이 패턴 형성되는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글라스,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전형적으로는, 적어도 편면의 표층에 도전층을 가진다. 또한, 전형적으로는, 투명 도전층에는 주변부를 둘러치도록 구리나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도체 패턴(배선 패턴)이 형성된다.
(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본 점착 시트는,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도전부재, 예를 들면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 도전부재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와, 다른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의 사이를, 본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적층하여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라고 칭한다)를 구성하는데에도 적합하다.
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는, 본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상기 2개의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적층한 후, 적어도 일방의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경화형 점착 시트를 광경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형 필름/본 점착 시트/터치 패널, 화상 표시 패널/본 점착 시트/터치 패널, 화상 표시 패널/본 점착 시트/터치 패널/본 점착 시트/보호 패널, 편광 필름/본 점착 시트/터치 패널, 편광 필름/본 점착 시트/터치 패널/본 점착 시트/보호 패널 등의 구성을 들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로서는, 보호 패널에 터치 패널 기능을 내재시킨 구조체나, 화상 표시 패널에 터치 패널 기능을 내재시킨 구조체도 포함한다.
따라서, 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는, 예를 들면 이형 필름/본 점착 시트/보호 패널, 이형 필름/본 점착 시트/화상 표시 패널, 화상 표시 패널/본 점착 시트/보호 패널 등의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본 점착 시트와, 이와 인접하는 터치 패널, 보호 패널, 화상 표시 패널, 편광 필름 등의 부재의 사이에 상기 도전층을 개입하는 모든 구성을 들 수 있다. 단, 이들의 적층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로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전자 유도 방식 등의 방식의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정전 용량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 패널의 재질로서는, 글라스 외,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등의 지환식 폴리올레핀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페놀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의 플라스틱이어도 된다.
화상 표시 패널은, 편광 필름 그 외 위상차 필름 등의 다른 광학 필름, 액정 재료 및 백라이트 시스템으로 구성되는(통상, 본 점착제 조성물 또는 점착 물품 화상 표시 패널에 대한 피착면은 광학 필름이 된다.) 것이고, 액정 재료의 제어방식에 의해 STN 방식이나 VA 방식이나 IPS 방식 등이 있지만, 어느 방식이어도 된다.
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무기 EL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마이크로 일렉트로메카니컬 시스템(MEMS) 디스플레이 등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어구의 설명>
본 명세서에 있어서 「X~Y」(X, Y는 임의의 숫자)라고 표현하는 경우,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 한 「X 이상 Y 이하」의 뜻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크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Y보다 작다」의 뜻도 포함한다.
또한, 「X 이상」(X는 임의의 숫자) 또는 「Y 이하」(Y는 임의의 숫자)라고 표현하였을 경우, 「X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Y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취지의 의도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a)로서, 가지 성분이 메틸메타크릴레이트(7질량부) 및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7질량부)로 이루어지는 매크로 모노머(수평균 분자량 2500)이며, 줄기 성분이 라우릴아크릴레이트(43질량부),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40질량부) 및 아크릴아미드(3질량부)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A-1, 질량 평균 분자량 15만) 1㎏과, 가교제(b)로서,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드(B-1) 100g과, 광개시제(c)로서, 2,4,6-트리메틸벤조페논과 4-메틸벤조페논의 혼합물(C-1) 10g과, 금속 부식 방지제(d)로서, 1,2,3-트리아졸(D-1, 흡광 계수 0.3㎖/g·㎝, 수용해도>1000g/L) 3g을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 1을 제조하였다.
당해 수지 조성물 1을, 박리 처리한 2매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케미컬사제, 「다이아 호일 MRF」, 두께 75㎛/미쓰비시케미컬사제, 「다이아 호일 MRT」, 두께 38㎛)으로 끼워, 두께 150㎛가 되도록 온도 80℃에서 시트상으로 부형하여, 투명 양면 점착 시트 1을 제조하였다.
또한, 투명 양면 점착 시트 1은, 광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다.
[실시예 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a)로서의 상기 (A-1) 1㎏과, 가교제(b)로서의 상기 (B-1) 100g과, 광개시제(c)로서의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C-2) 10g과, 금속 부식 방지제(d)로서의 상기 (D-1) 5g을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 2를 제조하였다.
당해 수지 조성물 2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트상으로 부형하여, 투명 양면 점착 시트(2)를 제조하였다.
또한, 투명 양면 점착 시트(2)는, 광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다.
[실시예 3]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a)로서의 상기 (A-1) 1㎏과, 가교제(b)로서, 글리세린디메타크릴레이트(B-2) 100g과, 광개시제(c)로서의 상기 (C-1) 10g과, 금속 부식 방지제(d)로서, 1,2,4-트리아졸(D-2, 흡광 계수 0.3㎖/g·㎝, 수용해도>1000g/L) 1g을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 3을 제조하였다.
당해 수지 조성물 3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트상으로 부형하여, 투명 양면 점착 시트 3을 제조하였다.
또한, 투명 양면 점착 시트 3은, 광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다.
[실시예 4]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a)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65질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32질량부) 및 아크릴아미드(3질량부)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A-2, 질량 평균 분자량 40만) 1㎏과, 가교제(b)로서의 상기 (B-1) 20g과, 광개시제(c)로서, 2,4,6-트리메틸벤조페논과 4-메틸벤조페논의 혼합물(C-1) 10g과, 금속 부식 방지제(d)로서의 상기 (D-1) 3g을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 4를 제조하였다.
당해 수지 조성물 4를, 박리 처리한 2매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다이아 호일 MRF」, 두께 75㎛/ 「다이아 호일 MRT」, 두께 38㎛)으로 끼워, 두께 150㎛가 되도록 온도 60℃에서 시트상으로 부형하여, PET 필름을 개재하여 파장 365㎚의 적산광량이 800mJ/㎠이 되도록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조사함으로써, 투명 양면 점착 시트 4를 제조하였다.
또한, 투명 양면 점착 시트 4는, 자외선의 조사량을 조절하여, 반경화 상태, 즉, 추가로 광경화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긴 상태의 것이다.
[실시예 5]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a)로서의 상기 (A-1) 1㎏과, 가교제(b)로서의 상기 (B-1) 50g과, 광개시제(c)로서의 상기 (C-1) 10g과, 금속 부식 방지제(d)로서의 1,2,3-벤조트리아졸(D-3, 흡광 계수 0.8㎖/g·㎝, 수용해도 20g/L) 5g을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 5를 제조하였다.
당해 수지 조성물 5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트상으로 부형하여, 투명 양면 점착 시트 5를 제조하였다.
또한, 투명 양면 점착 시트 5는, 광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다.
[비교예 1]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a)로서, 가지 성분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질량부로 이루어지는 매크로 모노머(수평균 분자량 2500)에 있어서, 줄기 성분이 n-부틸아크릴레이트(81질량부) 및 아크릴산(4질량부)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A-3, 질량 평균 분자량 30만) 1㎏과, 가교제(b)로서의 상기 (B-2) 100g과, 광개시제(c)로서의 상기 (C-1) 10g을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 6을 제조하였다. 금속 부식 방지제(d)는 첨가하지 않았다.
당해 수지 조성물 6을, 박리 처리한 2매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다이아 호일 MRF」, 두께 75㎛/ 「다이아 호일 MRT」, 두께 38㎛)으로 끼워, 두께 150㎛가 되도록 온도 80℃에서 시트상으로 부형하여, 투명 양면 점착 시트 6을 제조하였다.
또한, 투명 양면 점착 시트 6은, 광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다.
[비교예 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a)로서의 상기 (A-1) 1㎏과, 가교제(b)로서의 상기 (B-1) 100g과, 광개시제(c)로서의 상기 (C-1) 10g을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 7을 제조하였다. 금속 부식 방지제(d)는 첨가하지 않았다.
당해 수지 조성물 7을,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시트상으로 부형하여, 투명 양면 점착 시트 7을 제조하였다.
또한, 투명 양면 점착 시트 7은, 광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다.
[비교예 3]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a)로서의 상기 (A-1) 1㎏과, 가교제(b)로서의 상기 (B-1) 100g과, 광개시제(c)로서의 상기 (C-2) 10g을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 8을 제조하였다. 금속 부식 방지제(d)는 첨가하지 않았다.
당해 수지 조성물 8을,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시트상으로 부형하여, 투명 양면 점착 시트 8을 제조하였다.
또한, 투명 양면 점착 시트 8은, 광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다.
[비교예 4]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a)로서의 상기 (A-3) 1㎏과, 가교제(b)로서의 상기 (B-2) 100g과, 광개시제(c)로서의 상기 (C-1) 10g과, 금속 부식 방지제(d)로서의 상기 (D-1) 3g을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 9를 제조하였다.
당해 수지 조성물 9를,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시트상으로 부형하여, 투명 양면 점착 시트 9를 제조하였다.
또한, 투명 양면 점착 시트 9는, 광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다.
[비교예 5]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a)로서의 상기 (A-1) 1㎏과, 가교제(b)로서의 상기 (B-2) 100g과, 광개시제(c)로서의 상기 (C-1) 10g과, 금속 부식 방지제(d)로서,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D-4, 흡광 계수 90㎖/g·㎝, 수용해도 20g/L) 5g을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 10을 제조하였다.
당해 수지 조성물 10을,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시트상으로 부형하여, 투명 양면 점착 시트 10을 제조하였다.
또한, 투명 양면 점착 시트 10은, 광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다.
[비교예 6]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a)로서의 상기 (A-1) 1㎏과, 가교제(b)로서의 상기 (B-2) 100g과, 광개시제(c)로서의 상기 (C-1) 10g과, 금속 부식 방지제(d)로서, 메르캅토벤조티아졸(D-5, 흡광 계수 65㎖/g·㎝, 수용해도 0.3g/L) 5g을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 11을 제조하였다.
당해 수지 조성물 11을,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시트상으로 부형하여, 투명 양면 점착 시트 11을 제조하였다.
또한, 투명 양면 점착 시트 11은, 광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광경화형의 투명 양면 점착 시트 1~11에 대해서, 하기 서술하는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각종 평가>
(1) 단차 흡수성
상기 투명 양면 점착 시트 1~11을, 이형 필름을 적층한 채 톰슨 타발기를 이용하여 50×80㎜로 커트했다. 편측의 이형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면을, 주연부 5㎜에 두께 40㎛의 인쇄를 실시한 소다라임글라스(82㎜×53㎜×두께 0.5㎜)의 인쇄면에, 점착 시트의 4변이 인쇄 단차에 걸리도록 하고 진공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프레스 압착하였다(온도 25℃, 프레스압 0.04㎫). 이어서, 남은 이형 필름을 벗기고, 인쇄 단차가 없는 소다라임글라스(82㎜×53㎜×두께 0.5㎜)를 프레스 첩합한 후, 오토클레이브 처리(60℃, 게이지압 0.2㎫, 20분)를 실시하여 마무리 첩착(貼着)하여, 단차를 구비한 글라스/점착 시트/글라스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당해 적층체를 육안 관찰하여, 인쇄 단차 근방에서 점착 시트가 추종하지 않고 기포가 남은 것을 「×(poor)」, 기포가 없이 외관 양호하게 첩합된 것을 「○(good)」이라고 판정하였다.
(2) 내발포 신뢰성
단차 흡수성 평가에서 제조한 단차를 구비한 글라스/점착 시트/글라스 적층체 중, 기포가 없이 평활하게 첩합된 샘플에 대해서, 글라스측으로부터, 파장 365㎚의 적산광량이 2000mJ/㎠이 되도록 고압 수은 램프로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실온에서 12시간 정치(靜置)한 후, 65℃ 90% RH의 환경에서 500시간 보관한 후 외관을 육안 평가하였다.
환경 시험 후에 점착 시트의 변형, 발포 또는 박리가 생긴 것을 「×(poor)」, 점착 시트의 변형, 발포 및 박리 모두 생기지 않은 것을 「○(good)」이라고 판정하였다.
(3) 내은 부식성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도전부재로서, 은나노 와이어 필름(C3nano사제 Activegrid Film, 기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두께 50㎛), 표면 저항값 50Ω/□, 오버코팅층 구비, 전광선 투과율>91%, 헤이즈≤0.9%, b*≤1.3)을 준비하였다.
은나노 와이어 필름을 세로 45×가로 80㎜로 커트하고, 은 페이스트(후지쿠라카세이사제 도다이트 D-550)를, 전극 사이가 50㎜가 되도록 세로방향에 약 3~5㎜ 폭으로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시트의 세로폭 9㎜가 되도록 가로방향으로 커트하였다. 이 9㎜×80㎜×5개의 은 페이스트 전극을 구비한 은나노 와이어 필름을, 소다라임글라스 상에 평행하게 나란히 놓았다.
이 상에, 50㎜ 폭으로 커트한 투명 양면 점착 시트 1~11의 편면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전극 사이에 점착 시트가 위치하도록 롤로 첩합한 후, 오토클레이브 처리(60℃, 게이지압 0.2㎫, 20분)를 실시하여 마무리 첩착하고, 박리 필름을 구비한 점착 시트측으로부터, 파장 365㎚의 적산광량이 2000mJ/㎠이 되도록 고압 수은 램프로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켜서 샘플을 얻었다.
이 샘플에 대해서, 다음 (1)(2) 중 어느 하나의 환경 하에서 환경시험을 행하여, 전극 사이의 저항값 상승을 확인하였다.
(1) 65℃ 90% RH×300h의 습열 환경(표 중의 「ΩUP%(습열)」).
(2) UV페이드 미터(500mW/㎡, BPT 63℃)×300h의 UV조사 환경(표 중의 「ΩUP%(UV)」).
그리고, 상기 환경시험의 종합 평가로서, 습열 환경, UV 환경 모두 저항값 상승이 10%를 넘거나 또는 단선한 것을 「×(poor)」이라고 판정하고, 습열 환경 및 UV 환경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항값 상승이 10% 이하로 억제된 것을 「○(good)」이라고 판정하고, 습열 환경 및 UV 환경 모두 저항값 상승이 1% 이하로 억제된 것을 「◎(very good)」이라고 판정하였다.
Figure 112020004610490-pct00001
상기 실시예, 비교예 및 지금까지 발명이 행한 시험 결과로부터,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와, 광을 수광하면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개시제와, 365㎚의 흡광 계수가 20㎖/g·㎝ 이하의 금속 부식 방지제, 그 중에서도 트리아졸계 화합물의 금속 부식 방지제를 함유하는 광경화형 점착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이 점착 시트를,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도전부재에 적층한 후, 광조사하여 당해 점착 시트를 경화시키면, 광조사하였을 때, 당해 점착 시트 중의 금속 부식 방지제로 도전부재의 은에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조사에 의해 광개시제로부터 발생한 라디칼이 도전부재의 은과 반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도전부재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실시예 1~5의 투명 양면 점착 시트는, 광경화형 점착 시트의 특징인 고단차 흡수성과, UV 경화 후의 높은 내발포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내은 부식성에도 우수한 것이며, 은 배선이나 은 메시에 비교하여 표면적이 크게 부식되기 쉬운 은 나노 와이어에 대해서도, 첩합 후의 환경시험에서의 저항값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 중에서도, 광개시제에 개열형을 사용하고, 또한, 금속 부식 방지제를 포함한 실시예 2는, 매우 우수한 내은 부식 성능을 나타냈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 1에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에 산을 포함하며, 또한, 금속 부식 방지제를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내은 부식성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비교예 2 및 3에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에는 산을 함유하지 않지만, 금속 부식 방지제를 사용하고 있지 않아, 내은 부식성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비교예 4에서는, 금속 부식 방지제를 사용하고 있지만,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에는 산을 포함하기 때문에, 내은 부식을 완전하게는 억제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비교예 5 및 6에서는, 파장 365㎚에 있어서의 흡광 계수가 큰 금속 부식 방지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금속 부식 방지제가 점착 시트의 광경화를 저해하여, 후 UV 경화 후의 내발포 신뢰성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Claims (12)

  1.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광을 수광하면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개시제, 및, 365㎚의 흡광 계수가 20㎖/g·㎝ 이하의 금속 부식 방지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가지고,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공)중합체이며,
    상기 광개시제의 함유량은,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이고,
    상기 금속 부식 방지제는 1,2,3-트리아졸 및 1,2,4-트리아졸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형 점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가 개열형 광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형 점착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식 방지제의 25℃에 있어서의 수용해도가 20g/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형 점착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00질량부의 비율로 금속 부식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형 점착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가, 아미드기와 카르복실기, 및, 히드록실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관능기의 조합에 의한 화학적인 결합을 가지거나, 또는, 가지 성분으로서 매크로 모노머를 구비한 그래프트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형 점착 시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경화형 점착 시트와,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도전부재를 가지는 광경화형 점착 시트를 구비한 도전부재.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경화형 점착 시트에 있어서,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도전부재에 첩합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부재용 광경화형 점착 시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투명 도전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부재용 광경화형 점착 시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절연 보호막(패시베이션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부재용 광경화형 점착 시트.
  10.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도전부재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와, 다른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항에 기재된 광경화형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상기 2개의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적층한 후, 적어도 일방의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경화형 점착 시트를 광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
  11. 은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를 구비한 도전부재에 광경화형 점착 시트를 적층한 후, 광조사하여 당해 점착 시트를 경화시킨 후의 상기 도전부재의 부식 억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에,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경화형 점착 시트를 적층한 후, 광조사 할 때에, 당해 점착 시트 중의 금속 부식 방지제로 도전부재의 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피복함으로써, 상기 광조사에 의해 광개시제로부터 발생한 라디칼이 도전부재의 은과 반응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부재의 부식 억제 방법.
  12. 삭제
KR1020207001359A 2017-06-23 2018-06-13 광경화형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도전부재의 부식 억제 방법 KR102535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2867 2017-06-23
JP2017122867 2017-06-23
PCT/JP2018/022589 WO2018235696A1 (ja) 2017-06-23 2018-06-13 光硬化型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構成用積層体、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導電部材の腐食抑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988A KR20200021988A (ko) 2020-03-02
KR102535758B1 true KR102535758B1 (ko) 2023-05-23

Family

ID=6473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359A KR102535758B1 (ko) 2017-06-23 2018-06-13 광경화형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도전부재의 부식 억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123422A1 (ko)
JP (1) JP7184035B2 (ko)
KR (1) KR102535758B1 (ko)
CN (2) CN116004127A (ko)
TW (1) TW201905133A (ko)
WO (1) WO2018235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971B1 (ko) * 2017-08-08 2023-08-14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1903906B1 (ko) * 2017-09-22 2018-10-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보호층용 무용제형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JP7334441B2 (ja) * 2018-03-29 2023-08-29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それを用いた導電部材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7484104B2 (ja) * 2018-08-09 2024-05-1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光硬化性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US10844211B2 (en) * 2018-10-01 2020-11-24 Intrepid Automation Membrane materials for photoreactive additive manufacturing
US11445619B2 (en) * 2020-10-28 2022-09-13 Matrix Electronic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high-temperature lamination of printed circuit boards
KR20220143215A (ko) * 2021-04-15 2022-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결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5920A (ja) 2011-08-05 2013-02-21 Dic Corp 紫外線硬化型粘着剤用樹脂組成物、粘着剤及び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5175B2 (ja) 2008-08-29 2013-05-0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成膜装置、成膜方法及び記憶媒体
JP2010072481A (ja) 2008-09-19 2010-04-02 Fuji Xerox Co Ltd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トナー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5455362B2 (ja) 2008-12-25 2014-03-26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学部材
JP5625625B2 (ja) 2010-08-30 2014-11-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金属貼付用粘着シート
JP5948075B2 (ja) 2012-02-15 2016-07-06 株式会社寺岡製作所 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接着用シート、光硬化型接着剤組成物並びに光学用部材
JP6271156B2 (ja) 2013-02-14 2018-01-3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光学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
JP6508869B2 (ja) 2013-02-14 2019-05-0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光学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
US20140226085A1 (en) * 2013-02-14 2014-08-14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ptical component and touch panel
JP6407527B2 (ja) 2013-02-14 2018-10-1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層、粘着シート、光学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
JP5421493B1 (ja) 2013-07-17 2014-02-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タッチパネル
EP3099839A4 (en) * 2014-01-29 2017-10-11 Entegris, Inc. Post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formulations and method of use
KR20160140782A (ko) * 2014-03-28 2016-12-07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
JP6632846B2 (ja) * 2014-09-30 2020-01-2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US20160174553A1 (en) * 2014-12-20 2016-06-23 Medivators Inc. Disinfectant peracetic acid solutions
JP2017003943A (ja) * 2015-06-16 2017-01-05 日立化成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及び画像表示装置
JP6554344B2 (ja) 2015-06-30 2019-07-3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2017110062A (ja) 2015-12-15 2017-06-22 日立化成株式会社 粘着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硬化物及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5920A (ja) 2011-08-05 2013-02-21 Dic Corp 紫外線硬化型粘着剤用樹脂組成物、粘着剤及び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04127A (zh) 2023-04-25
JPWO2018235696A1 (ja) 2020-05-21
JP7184035B2 (ja) 2022-12-06
US20200123422A1 (en) 2020-04-23
CN110785470B (zh) 2023-07-21
CN110785470A (zh) 2020-02-11
TW201905133A (zh) 2019-02-01
WO2018235696A1 (ja) 2018-12-27
KR20200021988A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5758B1 (ko) 광경화형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도전부재의 부식 억제 방법
KR102500178B1 (ko)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TWI752000B (zh) 導電構件用黏著片材、導電構件積層體及圖像顯示裝置
KR102573795B1 (ko)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CN112912457B (zh) 粘合剂树脂组合物、粘合片、活性能量射线固化性粘合片、光学构件、图像显示装置用层叠体和图像显示装置
CN108473835B (zh) 导电构件用粘合片、导电构件层叠体及图像显示装置
TWI833833B (zh) 黏著劑樹脂組合物、黏著片材、活性能量線硬化性黏著片材、光學構件、圖像顯示裝置用積層體及圖像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