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351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1351A KR20220131351A KR1020227031608A KR20227031608A KR20220131351A KR 20220131351 A KR20220131351 A KR 20220131351A KR 1020227031608 A KR1020227031608 A KR 1020227031608A KR 20227031608 A KR20227031608 A KR 20227031608A KR 20220131351 A KR20220131351 A KR 202201313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transparent member
- display unit
- concave mirror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60K35/233—Head-up displays [HUD] controlling the size or position in display areas of virtual imag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or the dri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60K35/53—Movable instruments, e.g. slid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3—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reflectors
-
- B60K2370/1529—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correcting geometrical aberrations, distor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02B2027/015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with mechanical means other than scaning means for positioning the whole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표시 장치(10)는, 화상 표시광을 생성하는 표시부(14)와, 화상 표시광이 투명 부재(30)를 향하여 투사되도록 화상 표시광을 반사하는 요면경(凹面鏡)(16)과, 요면경(16)에서 표시부(14)까지의 거리가, 요면경(16)으로부터 투명 부재(30)를 향하는 화상 표시광이 평행광이 되는 기준 거리 이하가 되는 범위에서 표시부(14)를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1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허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용 표시 장치로서 헤드 업 디스플레이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헤드 업 디스플레이는, 화상 표시광을 차량의 윈드실드 등에 투사하고, 화상 표시광에 기초하는 허상을 차 밖의 풍경에 중첩하여 표시한다. 윈드실드에는 표면과 이면이 있고, 표면과 이면의 각각에서 반사하여 시인되는 화상 표시광이 어긋나 중첩되어, 이중상으로 보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이중상의 발생을 억제하기 때문에, 표면에서 반사하는 제1 광선과 이면에서 반사하는 제2 광선의 광로가 일치하도록 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전술의 선행 기술에서는, 윈드실드 등의 투명 부재의 표면과 이면이 평행한 것을 전제로 하고 있어, 투명 부재의 제조 오차 등에 의해 표면과 이면이 엄밀하게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중상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중상의 발생을 억제한 표시 장치를 적절히 조정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어느 태양(態樣)의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광을 생성하는 표시부와, 화상 표시광이 투명 부재를 향하여 투사되도록 화상 표시광을 반사하는 요면경(凹面鏡)과, 요면경에서 표시부까지의 거리가, 요면경으로부터 투명 부재를 향하는 화상 표시광이 평행광이 되는 기준 거리 이하가 되는 범위에서 표시부를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이상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이나 본 발명의 구성 요소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상호 치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태양으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중상의 발생을 억제한 표시 장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비평행한 투명 부재에 의한 이중상의 발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비평행한 투명 부재에 의한 이중상의 해소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를 기준 위치보다도 원방(遠方)에 배치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비평행한 투명 부재에 의한 이중상의 발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비평행한 투명 부재에 의한 이중상의 해소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를 기준 위치보다도 원방(遠方)에 배치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장치(10)는, 소위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표시 장치(10)는, 차량의 윈드실드 등인 투명 부재(30)에 화상 표시광을 투사하여 유저(E)의 전방에 허상(40)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10)는, 조명부(12)와, 표시부(14)와, 요면경(16)과, 구동 기구(18)를 구비한다. 조명부(12)는, 화상 표시광을 생성하기 위한 광원으로서, 표시부(14)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광을 생성한다. 조명부(12)는, LED(Light Emitting Diode)나 LD(Laser Diode) 등의 발광 소자와, 발광 소자로부터의 출력광의 강도 분포나 각도 분포를 조정하기 위한 광학 소자를 갖는다. 조명부(12)는, 예를 들면, 거의 고른 밝기의 백색광을 표시부(14)에 제공한다. 조명부(12)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발광 소자로부터의 출력광을 정돈하기 위해, 예를 들면, 라이트 터널, 프레넬 렌즈, 광 확산판 등의 광학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표시부(14)는, 조명부(12)로부터의 조명광을 변조하여 화상 표시광을 생성한다. 표시부(14)는, 화상 표시광을 생성하기 위한 투과형의 화상 표시 소자를 포함하고, 투과형의 액정 패널과 같은 표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화상 표시 소자는, 예를 들면, 화상 신호를 취득하여,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표시 내용의 화상 표시광을 생성한다. 표시부(14)는, 화상 표시광의 방향이나 배광각을 갖추기 위한 광학 소자를 추가로 포함해도 좋다. 표시부(14)는, 예를 들면, 투과형 액정 패널 이외의 DMD(Digital Mirror Device)나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방식 등의 LSM(Laser Scanning Module)과 같은 프로젝션 유닛과,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시트나 광 확산 시트와 같은 투과형 스크린을 조합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요면경(16)은, 표시부(14)로부터의 화상 표시광을 투명 부재(30)를 향하여 반사시킨다. 요면경(16)은, 표시부(14)가 기준 위치(20)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요면경(16)으로부터 투명 부재(30)를 향하는 화상 표시광이 평행광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부(14)가 기준 위치(20)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표시부(14)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출사하는 제1 광선(L1)과 제2 광선(L2)이 평행하게 되어 투명 부재(30)에 입사한다. 여기에서, 기준 위치(20)에 배치되는 표시부(14)와 요면경(16)의 사이의 거리를 「기준 거리(d0)」라고도 한다. 기준 거리(d0)는, 표시부(14)로부터 요면경(16)을 향하여 화상 표시광이 진행하는 방향을 따른 거리이다.
구동 기구(18)는, 표시부(14)를 화살표 X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병진 이동시켜, 요면경(16)에서 표시부(14)까지의 거리를 변화시킨다. 구동 기구(18)에 의해 표시부(14)가 이동하는 방향(X)은, 표시부(14)로부터 요면경(16)을 향하여 화상 표시광이 진행하는 방향과 평행하다. 구동 기구(18)는, 요면경(16)의 표시부(14)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d0) 이하가 되는 범위에서 표시부(14)를 이동시킨다. 구동 기구(18)는, 표시부(14)가 기준 위치(20)보다도 요면경(16)에 가까운 위치를 향하는 제1 방향(X1)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구동 기구(18)는, 표시부(14)가 기준 위치(20)보다도 요면경(16)으로부터 먼 위치를 향하는 제2 방향(X2)으로의 이동을 불가(不可)로 한다. 구동 기구(18)에 의한 표시부(14)의 이동 범위는, 구동 기구(18)의 기계적인 구조인 하드웨어에 의해 제한되어도 좋고, 구동 기구(18)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한되어도 좋다.
구동 기구(18)는, 조작부(50)와 접속되어 있고, 조작부(50)로의 입력 조작에 따라서 구동한다. 조작부(50)는, 표시 장치(10)가 구비하는 전용의 조작 버튼이어도 좋고, 표시 장치(10)가 설치되는 차량 등에 형성되는 조작 버튼이어도 좋다. 조작부(50)는, 예를 들면, 차량의 센터 콘솔 등에 배치되는 내비게이션 장치용의 조작 버튼이나 터치 패널이어도 좋다. 조작부(50)는, 휴대 전화나 스마트 폰,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장치여도 좋고, 모바일 장치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동 기구(18)에 조작 정보가 송신되어도 좋다.
구동 기구(18)는, 투명 부재(30)의 평행도의 오차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이중상을 조정하기 위해 표시부(14)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유저(E)는, 표시 장치(10)를 설치한 후, 투명 부재(30)를 통하여 표시되는 허상(40)을 시인하면서 조작부(50)를 조작한다. 유저(E)는, 예를 들면, 허상(40)으로서 이중상이 지각되는 경우에 이중상이 해소되도록 조작부(50)를 조작한다. 이하, 표시 장치(10)에 있어서 생기는 이중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투명 부재(30)의 표면(32)과 이면(34)이 평행하고, 표면(32)과 이면(34)의 사이의 두께(t)가 균일한 경우를 나타낸다. 요면경(16)으로부터 투명 부재(30)에 입사하는 광선(L1, L2)은, 투명 부재(30)의 표면(32) 또는 이면(34)에서 반사하여 유저(E)를 향한다. 제1 광선(L1)은, 투명 부재(30)의 표면(32)에서 반사하여 유저(E)를 향한다. 제2 광선(L2)은, 투명 부재(30)의 표면(32)에서 굴절하여, 이면(34)에서 반사하여 유저(E)를 향한다.
도 1의 예에서는, 투명 부재(30)에 입사하는 제1 광선(L1)과 제2 광선(L2)이 평행하고, 투명 부재(30)의 표면(32)과 이면(34)이 평행하기 때문에, 유저(E)를 향하는 제1 광선(L1)과 제2 광선(L2)의 방향(각도)이 일치한다. 그 결과, 유저(E)는, 제1 광선(L1)과 제2 광선(L2)의 어긋남에 의한 이중상을 지각하는 일 없이 허상(40)을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부재(30)가 엄밀하게 평행하면, 표시부(14)를 기준 위치(20)에 배치함으로써 이중상을 해소할 수 있다. 이 때, 유저(E)에서 허상(40)까지의 거리, 즉, 유저(E)가 허상(40)을 지각하는 거리(허상 거리라고도 함)는, 무한원(遠)이다.
도 2는, 비평행한 투명 부재(30a)에 의한 이중상의 발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투명 부재(30a)는, 도 1의 투명 부재(30)와 상이하여, 표면(32a)과 이면(32b)이 비평행하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부재(30a)의 하측의 두께(t1a)가 작고, 투명 부재(30a)의 상측의 두께(t2a)가 커지는 바와 같은 쐐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투명 부재(30a)의 쐐기 형상을 강조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투명 부재(30a)의 표면(32a)과 이면(32b)의 사이의 비평행도는, 매우 작아도 좋다. 투명 부재(30a)의 비평행도는, 예를 들면, 투명 부재(30)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의 제조 오차 등에 따라 생기는 정도의 미소한 값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0.1도 이하나 0.01도 이하여도 좋다.
도 2의 예에서는, 표시부(14)가 기준 위치(20)에 배치되어 있어, 투명 부재(30)에 입사하는 제1 광선(L1)과 제2 광선(L2)이 평행하다. 그렇다면, 표면(32a)과 이면(32b)이 비평행하기 때문에, 유저(E)를 향하는 제1 광선(L1)과 제2 광선(L2)의 사이에 방향(각도)의 어긋남이 생긴다. 그 결과, 유저(E)는, 제1 광선(L1)과 제2 광선(L2)의 어긋남에 의한 이중상이 발생한 허상(42)을 시인하게 된다.
도 3은, 비평행한 투명 부재(30a)에 의한 이중상의 해소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투명 부재(30a)는, 도 2와 동일하다. 도 3에서는, 표시부(14)의 위치가 상이하여, 기준 위치(20)보다도 요면경(16)의 근처인 근방 위치(21)에 표시부(14)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요면경(16)에서 표시부(14)까지의 거리(d1)가 기준 거리(d0)보다도 짧다. 구동 기구(18)에 의해 표시부(14)를 기준 위치(20)로부터 제1 방향(X1)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표시부(14)를 근방 위치(21)에 배치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표시부(14)가 기준 위치(20)보다도 요면경(16)에 가까운 근방 위치(21)에 배치되기 때문에, 요면경(16)으로부터 투명 부재(30a)를 향하는 제1 광선(L1a)과 제2 광선(L2a)이 비평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광선(L1a) 및 제2 광선(L2a)은, 투명 부재(30)를 향하여 발산하도록 진행한다. 이 때, 투명 부재(30)를 향하는 제1 광선(L1a) 및 제2 광선(L2a)의 발산각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투명 부재(30a)로부터 유저(E)를 향하는 제1 광선(L1a)과 제2 광선(L2a)의 방향(각도)을 일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1 광선(L1a)과 제2 광선(L2a)의 어긋남에 의한 이중상을 지각하는 일 없이 허상(44)을 시인할 수 있다. 이 때, 유저(E)가 시인하는 허상(44)의 허상 거리는, 무한원이 아니라 유한이 된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110)에 있어서 표시부(114)를 기준 위치(20)보다도 원방에 배치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요면경(16)에서 표시부(114)까지의 거리(d2)가 기준 거리(d0)보다도 길다. 도 4의 표시 장치(110)는, 전술의 실시 형태와 상이하여, 표시부(114)를 기준 위치(20)로부터 제2 방향(X2)으로 이동 가능하여, 표시부(114)를 원방 위치(22)에 배치할 수 있다. 전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부(14)를 기준 위치(20)로부터 제2 방향(X2)으로 이동 불가하여, 표시부(14)를 원방 위치(22)에 배치할 수 없다.
도 4의 예에서는, 투명 부재(30b)가 비평행하지만, 도 3과는 투명 부재(30b)의 두께(t1b, t2b)의 대소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부재(30b)의 하측의 두께(t1b)가 크고, 투명 부재(30b)의 상측의 두께(t2b)가 작아지는 바와 같은 쐐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표시부(114)를 기준 위치(20)보다도 원방의 원방 위치(22)에 배치함으로써, 투명 부재(30b)로부터 유저(E)를 향하는 제1 광선(L1b) 및 제2 광선(L2b)의 방향(각도)을 일치시킬 수 있어, 제1 광선(L1b) 및 제2 광선(L2b)의 어긋남에 의한 이중상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의 예에서는, 제1 광선(L1b) 및 제2 광선(L2b)은, 투명 부재(30b)를 향하여 수속(收束)하도록 진행한다. 그 결과, 유저(E)에 시인되는 허상(46)의 허상 거리는, 무한원보다도 먼 상태인 「오버 인피니티」가 되어, 유저(E)는 허상(46)에 핀트를 맞출 수 없게 된다. 즉, 유저(E)는 선명한 화상을 시인할 수 없고, 유저(E)가 무리하게 핀트를 맞추려고 함으로써 유저(E)의 눈에 과대한 부담이 걸린다. 유저(E)의 눈의 부담을 고려하면, 이러한 상태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버 인피니티가 되어 허상에 핀트가 맞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표시부(14)가 기준 위치(20)보다도 원방에 배치되는 것을 불가로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비평행한 투명 부재(30b)가 사용되는 경우, 제1 광선(L1b)과 제2 광선(L2b)의 어긋남에 의한 이중상을 해소할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오버 인피니티가 되어 허상에 핀트가 맞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저(E)의 눈에 과대한 부담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구동 기구(18)는, 투명 부재(30)의 표면(32)과 이면(34)이 평행한 것을 전제로 한 표시부(14)의 기준 위치(20)로부터, 표시부(14)의 위치를 요면경(16)에 가까운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요면경(16)으로부터 먼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조정을 제한한다. 환언하면, 구동 기구(18)는, 요면경(16)에 대한 표시부(14)의 위치를, 유저가 허상을 무한원으로서 지각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고, 유저가 허상을 유한 거리로서 지각하는 방향으로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오버 인피니티가 되는 방향으로의 조정을 제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1과 같이 엄밀하게 평행한 투명 부재(30)인 경우, 도 3과 같이 하측의 두께(t1a)가 상대적으로 작은 쐐기 형상인 투명 부재(30a)인 경우, 요면경(16)에서 표시부(14)까지의 거리를 구동 기구(18)에 의해 변화시킴으로써, 이중상을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4와 같이 하측의 두께(t1b)가 상대적으로 쐐기 형상인 투명 부재(30a)의 경우, 이중상을 해소할 수는 없지만, 허상 거리가 오버 인피니티가 되어 유저(E)가 허상에 핀트를 맞출 수 없게 되는 상황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요면경(16)에서 표시부(14)까지의 거리가 고정되어 있는 표시 장치나, 요면경(16)에서 표시부(14)까지의 거리의 변화에 제약이 없는 표시 장치에 비해, 더욱 적합한 허상을 유저(E)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전술의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술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표시예에 나타내는 구성을 적절히 조합한 것이나 치환한 것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전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투명 부재(30)와 표시부(14)의 사이의 광로에 요면경(16)만이 배치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부(14)와 요면경(16)의 사이에 다른 광학 소자가 추가되어도 좋고, 반사경이나 볼록 렌즈 등이 추가되어도 좋다. 표시부(14)와 요면경(16)의 사이에 볼록 렌즈가 추가되는 경우, 볼록 렌즈를 통과하여 요면경(16)에서 반사된 후의 화상 표시광이 평행광이 되도록 표시부(14)의 기준 위치(20)가 설정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이중상의 발생을 억제한 표시 장치를 조정할 수 있다.
10 : 표시 장치
12 : 조명부
14 : 표시부
16 : 요면경
18 : 구동 기구
20 : 기준 위치
21 : 근방 위치
30 : 투명 부재
32 : 표면
34 : 이면
40 : 허상
12 : 조명부
14 : 표시부
16 : 요면경
18 : 구동 기구
20 : 기준 위치
21 : 근방 위치
30 : 투명 부재
32 : 표면
34 : 이면
40 : 허상
Claims (3)
- 화상 표시광을 생성하는 표시부와,
상기 화상 표시광이 투명 부재를 향하여 투사되도록 상기 화상 표시광을 반사하는 요면경(凹面鏡)과,
상기 요면경에서 상기 표시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요면경으로부터 상기 투명 부재를 향하는 상기 화상 표시광이 평행광이 되는 기준 거리 이하가 되는 범위에서 상기 표시부를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요면경에서 상기 표시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하가 되는 범위에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요면경에서 상기 표시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를 초과하는 범위에서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거리는, 상기 투명 부재의 표면과 이면이 평행하고, 상기 표시 장치의 유저가, 상기 투명 부재에 투사된 상기 화상 표시광을, 무한원(遠)에 있는 허상으로서 지각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요면경에서 상기 표시부까지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206570A JP7517130B2 (ja) | 2020-12-14 | 2020-12-14 | 表示装置 |
JPJP-P-2020-206570 | 2020-12-14 | ||
PCT/JP2021/034703 WO2022130724A1 (ja) | 2020-12-14 | 2021-09-22 | 表示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1351A true KR20220131351A (ko) | 2022-09-27 |
Family
ID=8205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31608A KR20220131351A (ko) | 2020-12-14 | 2021-09-22 |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899207B2 (ko) |
EP (1) | EP4261594A4 (ko) |
JP (1) | JP7517130B2 (ko) |
KR (1) | KR20220131351A (ko) |
CN (1) | CN115280217B (ko) |
WO (1) | WO2022130724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092050A (ja) | 2016-12-06 | 2018-06-14 |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48146A (en) * | 1991-06-17 | 1992-09-15 |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 High brightness telltale for a head-up display |
JPH0786063B2 (ja) | 1991-12-25 | 1995-09-20 |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 カウンタースタッカーにおける印刷物の計数区分装置 |
MA40472A (fr) * | 2014-08-18 | 2017-06-28 | Seiko Epson Corp | Dispositif de guidage de lumière et appareil d'affichage d'image virtuelle |
JP6569898B2 (ja) * | 2015-06-30 | 2019-09-04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
US9958677B2 (en) * | 2015-12-25 | 2018-05-01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Head-up display and mobile object equipped with head-up display |
US10871655B2 (en) * | 2016-02-12 | 2020-12-22 | Maxell, Ltd. | Image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
JP6604287B2 (ja) * | 2016-08-05 | 2019-11-13 | 株式会社デンソー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JP2018030424A (ja) * | 2016-08-24 | 2018-03-01 | 三菱電機株式会社 | 車両用表示装置 |
JP6569999B2 (ja) * | 2016-09-14 | 2019-09-04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表示装置 |
JP6780477B2 (ja) | 2016-12-05 | 2020-11-04 |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
JP6644265B2 (ja) * | 2017-06-30 | 2020-02-12 |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 虚像表示装置 |
JP6579180B2 (ja) * | 2017-11-14 | 2019-09-25 |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 虚像表示装置 |
JP7021939B2 (ja) * | 2017-12-27 | 2022-02-17 | マクセル株式会社 | 情報表示装置 |
JP6695062B2 (ja) * | 2018-03-29 | 2020-05-20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表示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移動体 |
CN108594438A (zh) * | 2018-06-19 | 2018-09-28 | 惠州市华阳多媒体电子有限公司 | 一种可配合偏光墨镜使用并消除重影的hud光路系统 |
JP2020016675A (ja) | 2018-07-23 | 2020-01-30 |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 虚像表示装置 |
DE102019210952B3 (de) | 2018-08-30 | 2019-11-14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Blickfeldanzeigesystem und Windschutzscheibe für ein Kraftfahrzeug |
JP2020073963A (ja) * | 2019-09-24 | 2020-05-14 |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 虚像表示装置 |
-
2020
- 2020-12-14 JP JP2020206570A patent/JP7517130B2/ja active Active
-
2021
- 2021-09-22 CN CN202180020351.7A patent/CN115280217B/zh active Active
- 2021-09-22 KR KR1020227031608A patent/KR2022013135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9-22 EP EP21906089.4A patent/EP4261594A4/en active Pending
- 2021-09-22 WO PCT/JP2021/034703 patent/WO2022130724A1/ja unknown
-
2022
- 2022-09-16 US US17/932,693 patent/US1189920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092050A (ja) | 2016-12-06 | 2018-06-14 |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30724A1 (ja) | 2022-06-23 |
EP4261594A4 (en) | 2024-05-29 |
CN115280217B (zh) | 2024-03-08 |
US20230015386A1 (en) | 2023-01-19 |
JP7517130B2 (ja) | 2024-07-17 |
CN115280217A (zh) | 2022-11-01 |
US11899207B2 (en) | 2024-02-13 |
EP4261594A1 (en) | 2023-10-18 |
JP2022093857A (ja) | 2022-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61253B1 (ko) | 시선 추적기를 구비하는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 |
WO2010116726A1 (ja) | ビーム走査型表示装置 | |
US9651773B2 (en) | Optical devic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device | |
JP6738543B2 (ja) | 表示装置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 |
US11226490B2 (en) |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 |
WO2018225309A1 (ja) | 虚像表示装置、中間像形成部および画像表示光生成ユニット | |
KR102384718B1 (ko) | 허상 표시 장치 | |
WO2017138430A1 (ja) | 表示装置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 |
JPWO2011046034A1 (ja) | 画像投射装置、画像投射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 |
KR102087800B1 (ko) | 허상 표시 장치 | |
JPWO2018042865A1 (ja) | 画像表示装置及び投射光学系 | |
US10216079B2 (en) | Scanning projector screen, and scanning projector system | |
CN113661432A (zh) | 平视显示装置 | |
JP2017142284A (ja) | 表示装置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 |
KR20220131351A (ko) | 표시 장치 | |
JP2017227803A (ja) | 画像投写装置及び画像位置調整装置 | |
JP2019159275A (ja) |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システム、移動体、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2014197062A (ja) | プロジェクタ | |
JP2019078796A (ja) | 車両用表示装置 | |
JP7111070B2 (ja)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
US20230014232A1 (en) | Image displaying device | |
JP6593393B2 (ja) | 虚像表示装置 | |
JP2015219389A (ja) | 虚像表示装置及び画像形成素子 | |
JP2018194820A (ja) | 虚像形成装置及び移動体 | |
JP2020016897A (ja) | 虚像表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