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042A -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절연막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절연막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042A
KR20220130042A KR1020220033296A KR20220033296A KR20220130042A KR 20220130042 A KR20220130042 A KR 20220130042A KR 1020220033296 A KR1020220033296 A KR 1020220033296A KR 20220033296 A KR20220033296 A KR 20220033296A KR 20220130042 A KR20220130042 A KR 20220130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resin composition
polymer
photosensitive resin
positive photosen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태훈
윤혁민
김동명
이선희
박아름
장근석
이석현
오누리
송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ublication of KR20220130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9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photodegradable, e.g. positive electron resis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9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photodegradable, e.g. positive electron resists
    • G03F7/0392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photodegradable, e.g. positive electron resists the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present in a chemically amplified positive photoresist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42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03Preparatory processes
    • C08G73/1007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 C08G73/101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ontaining chain terminating or branching agents
    • C08G73/1014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ontaining chain terminating or branching agents in the form of (mono)anhydr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39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comprising halogen-containing sub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42Copolyimides derived from at least two different tetracarboxylic compounds or two different diamino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46Polyimid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bond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67Wholly aromatic polyimides, i.e. having both tetracarboxylic and diamino moieties aromatically bound
    • C08G73/1071Wholly aromatic polyimid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bond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5/06Copolymers with vinyl aromat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16Diazonium salts or compounds
    • G03F7/021Macromolecular diazonium compounds; Macromolecular additives, e.g. b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2Quinonediazi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2Quinonediazides
    • G03F7/0226Quinonediazides characterised by the non-macromolecular additiv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2Quinonediazides
    • G03F7/023Macromolecular quinonediazides; Macromolecular additives, e.g. b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2Quinonediazides
    • G03F7/023Macromolecular quinonediazides; Macromolecular additives, e.g. binders
    • G03F7/0233Macromolecular quinonediazides; Macromolecular additives, e.g. binders characterised by the polymeric binders or the 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the macromolecular quinonediaz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36Amides or imides
    • C08F222/40Imides, e.g. cyclic imides
    • C08F222/404Imides, e.g. cyclic imides substituted imides comprising oxygen other than the carboxy 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절연막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포함하여, 감도가 우수하고, 내화학성, 내열성, 및 흡습성이 우수한 포지티브 감광성 수지 조성물, 절연막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절연막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POSITIV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INSULATION LAY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감도가 우수한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절연막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장에서는 디스플레이 기기 중에서 다양한 이유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특히 AMOLED(Active matrix OLED)가 각광받고 있다.
통상적으로 OLED 소자는 유기절연막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절연막의 형성에는 일반적으로 폴리이미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폴리이미드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중에서, 폴리아믹 에스테르는 알킬로 치환하는 기술이 적용되었으나, 알킬로 치환된 폴리아믹 에스테르는 용해도 조절이 어렵고 감도가 낮아 이에 대한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감도, 잔막율, 접착력, 내화학성, 흡습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체를 포함하는 절연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 신뢰성이 우수한 상기 절연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폴리아미드산 에스테르, 폴리아미드산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구조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 반복단위 중 수산기를 적어도 1 이상 포함하는 제2 폴리머; 감광제; 및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제1폴리머의 수산기(OH기) 당량에 대한 상기 제2폴리머의 수산기(OH기) 당량은 1:0.04 내지 1:74의 비율인,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유기기이고,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30의 유기기 또는 하기 화학식 3의 치환기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5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m은 1 또는 2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절연막은 상기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절연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감도, 잔막율, 접착력, 내화학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상기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패턴막은 습윤환경에서의 두께변화율이 미미하며, 상기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 표시장치는 구동상태에서 휘도가 3% 떨어지는 시간(T97)이 1,000시간 이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감도로 인하여 생산성 향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이 형성된 ITO(Indium Tin oxide) 기판 위에 패턴(Pattern)막을 형성하고, EL(Electroluminescent Lighting) 및 알루미늄이 증착된 것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제조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제조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원자 또는 화학식과 연결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산 에스테르, 폴리아미드산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구조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 반복단위 중 수산기를 적어도 1 이상 포함하는 제2 폴리머; 감광제; 및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폴리머의 수산기(OH기) 당량에 대한 상기 제2폴리머의 수산기(OH기) 당량은 1:0.04 내지 1:74의 비율이다. 상기와 같이 제1 폴리머의 수산기의 당량에 대한 제2 폴리머의 수산기 당량(제1 폴리머:제2 폴리머)이 1:0.04 내지 1:74일 경우, 종래의 통상적인 폴리이미드계 감광성 수지 조성물 대비 현저하게 향상된 감도 특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우수한 흡습성, 접착력, 내열특성, 잔막율 및 내화학성을 갖는 경화막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폴리머 및 제2 폴리머의 수산기 당량 비율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감도 개선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경화막의 내열 특성 및 흡습성, 소자의 신뢰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감도, 잔막율, 접착력, 내화학성, 내열성이 모두 우수하고, 흡습성이 낮은 특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화학식 2]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유기기이고,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30의 유기기 또는 하기 화학식 3의 치환기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3에서 R5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m은 1 또는 2의 정수이다.
제2 폴리머로서 상기 화학식 2 또는 3과 같이 반복단위 중 수산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사용할 경우, 특히 감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의 R1 내지 R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화학식 3의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의 반복단위 중 화학식 3의 치환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될 경우, 화학식 3의 치환기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경화막의 접착력 및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폴리머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이 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폴리머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구체적으로 1종만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폴리머는 상기 화학식 1의 R1이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는 2종 이상의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머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이 방향족 고리 구조를 포함하는 반복단위와 상기 R1이 방향족 고리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 반복단위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머는 상기 R1이 방향족 고리 구조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R1이 방향족 고리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 반복단위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이 방향족 고리 구조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4와 같이 표시될 수 있으며, R1이 방향족 고리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 반복단위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5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7
[화학식 5]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5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 유기기이다.
상기 제2 폴리머에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혼합비에 있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만 포함될 수도 있고,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만 포함될 수도 있다. 제2 폴리머에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보다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몰 비율이 높을수록 투과도 측면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으나, 잔막율이 상대적으로 저하될 수 있어, 보다 필요한 특성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1 내지 80몰%, 상세하게는 10 내지 50몰%, 더욱 상세하게는 10 내지 30몰%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수준의 몰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폴리머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이외에도 하기 화학식 6 내지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머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반복단위가 포함되지 않더라도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감도 개선 효과가 뛰어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 폴리머가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화학식 6 내지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하나 이상의 반복단위가 함께 포함되면 잔막율 개선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at00009
[화학식 7]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6에서, R2는 아릴기 또는 알킬기일 수 있고, 아릴기인 경우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감도개선 시 발생되는 트레이드오프(Trade off), 즉 잔막율 및 접착력 저하 등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6에서,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머가 상기 화학식 6 내지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폴리머의 전체 반복단위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6 내지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합이 30 몰% 이하인 것이 좋다. 상기 화학식 6 내지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합이 30 몰%보다 많이 제2 폴리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감도개선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각각 독립적으로 1,000 내지 5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g/mol 미만인 경우 잔막율 및 접착력 불량, 내열성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50,000g/mol 초과인 경우 감도 개선이 되지 않고 패턴 형성부에 잔사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머는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화학식 9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pat00011
[화학식 9]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8 및 화학식 9에서, R3는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 내지 8가 유기기이고, R4는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 내지 8가 유기기이며,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유기기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이고, c 및 d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 이며, a+b는 1 이상이며, 상기 a,b,c 또는 d가 0인 경우 해당 치환기는 수소원자이고, 상기 m, n은 화학식 8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와 화학식 9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각각의 0 내지 100의 몰비를 나타내며, m+n=100 이다.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의 중량비는 50:50 내지 95:5일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머와 상기 제2 폴리머의 중량비가 50:50 내지 95:5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감도, 잔막율, 접착력, 내화학성, 내열성이 특히 모두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감광제는 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감광제가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감광성이 떨어져 기판 상의 감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50 중량부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감도가 저하되고, 패턴부에 잔사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감광제는 예를 들어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감광제가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인 경우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의 감광도가 우수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포지티브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페놀성 수산기 함유 가교성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내화학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페놀성 수산기 함유 가교성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10 내지 27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10 내지 화학식 27에서, R'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하기 화학식 28의 치환기 중 하나이며, 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하기 화학식 28의 치환기이며, 하기 화학식 28에서, n은 1 내지 6의 정수이고, R7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다.
[화학식 28]
Figure pat00014
상기 용매는 일반적으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용매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감마부티로락톤(gamma-buturolactone; GBL), N-메틸피롤리돈(N-Methyl-2-Pyrrolidinone; NMP),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PGMEA), 에틸락테이트(ethyl lactate; EL), 메틸-3-메톡시프로피오네이트(methyl 3-methoxypropionate; MMP),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PGME), 다이에틸렌글리콜에틸메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methyl Ethyl Ether; MEDG), 다이에틸글리콜부틸메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butyl methyl ether; MBDG), 다이에틸렌글리콜다이메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DMDG), 다이에틸렌글리콜다이에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diethyl ether; DEDG)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열산 발생제 및 UV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흡습성 등이 향상되어, 더욱 우수한 패널 신뢰성 확보가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막은 상기 포지티브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막은 반도체용 전자 부품의 표면 보호막 또는 층간 절연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절연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표시장치 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층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전극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며 패턴화 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전극의 에지(edge) 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전극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며 패턴화 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전극의 에지(edge) 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제1 폴리머 합성]
(합성예 1)
건조 질소 기류하에, 디아민으로 2,2-Bis(3-amino-4-hydroxyphenyl)-hexafluoropropane 80 mol, 1,3-Bis(4-aminophenoxy)Phenyl 20 mol을 감마부티로락톤에 용해시킨후, 교반하면서 이무수물 4,4'-Oxydiphthalic Anhydride (ODPA) 70 mol을 넣고 용해시킨 후 70℃에서 4시간 교반시켰다. 이후, 프탈산 무수물(PA) 60 mol을 넣어 70℃에서 2시간 교반시킨다. 추가로 180℃에서 4시간 교반 후 반응 종료하여, 폴리이미드 폴리머를 얻었다.
(합성예 2)
상기 합성예 1에 대하여, 디아민으로 2,2-Bis(3-amino-4-hydroxyphenyl)-hexafluoropropane 80 mol, 1,3-Bis(4-aminophenoxy)Phenyl 20 mol을 대신하여, 2,2-Bis(3-amino-4-hydroxyphenyl)propane 60 mol, 4,4'-Oxydianiline 4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3)
상기 합성예 1에 대하여, 디아민으로 2,2-Bis(3-amino-4-hydroxyphenyl)-hexafluoropropane 80 mol, 1,3-Bis(4-aminophenoxy)Phenyl 20 mol을 대신하여, 2,2-Bis(3-amino-4-hydroxyphenyl)-hexafluoropropane 50 mol, 1,3-Bis(4-aminophenoxy)Phenyl 5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4)
상기 합성예 1에 대하여, 디아민으로 2,2-Bis(3-amino-4-hydroxyphenyl)-hexafluoropropane 80 mol, 1,3-Bis(4-aminophenoxy)Phenyl 20 mol을 대신하여, 3,3'-Dihydroxy-4,4'-diamino-biphenyl 70 mol, 1,3-Bis(3-aminophenoxy)benzene 3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5)
상기 합성예 1에 대하여, 이무수물로 4,4'-Oxydiphthalic Anhydride (ODPA) 70 mol을 대신하여, 1,4-Bis(3,4-dicarboxyphenoxy)benzene dianhydride 7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6)
건조 질소 기류하에, 디아민으로 2,2-Bis(3-amino-4-hydroxyphenyl)-hexafluoropropane 80 mol, 1,3-Bis(4-aminophenoxy)Phenyl 20 mol을 감마부티로락톤에 용해시킨후, 교반하면서 이무수물 4,4'-Oxydiphthalic Anhydride (ODPA) 70 mol을 넣고 용해시킨 후 70℃에서 4시간 교반시켰다. 이후, 프탈산 무수물(PA) 60 mol을 넣어 70℃에서 2시간 교반시킨다. 디메틸포름아미드디메틸아세탈(DFA) 30mol을 추가하여 180℃에서 4시간 교반 후 반응 종료하여, 폴리이미드 폴리머를 얻었다.
(합성예 7)
상기 합성예 6에 대하여, 디아민으로 2,2-Bis(3-amino-4-hydroxyphenyl)-hexafluoropropane 80 mol, 1,3-Bis(4-aminophenoxy)Phenyl 20 mol을 대신하여, 2,2-Bis(3-amino-4-hydroxyphenyl)propane 60 mol, 4,4'-Oxydianiline 4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8)
상기 합성예 6에 대하여, 디아민으로 2,2-Bis(3-amino-4-hydroxyphenyl)-hexafluoropropane 80 mol, 1,3-Bis(4-aminophenoxy)Phenyl 20 mol을 대신하여, 2,2-Bis(3-amino-4-hydroxyphenyl)-hexafluoropropane 50 mol, 1,3-Bis(4-aminophenoxy)Phenyl 5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9)
상기 합성예 6에 대하여, 디아민으로 2,2-Bis(3-amino-4-hydroxyphenyl)-hexafluoropropane 80 mol, 1,3-Bis(4-aminophenoxy)Phenyl 20 mol을 대신하여, 3,3'-Dihydroxy-4,4'-diamino-biphenyl 70 mol, 1,3-Bis(3-aminophenoxy)benzene 3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10)
상기 합성예 6에 대하여, 이무수물로 4,4'-Oxydiphthalic Anhydride (ODPA) 70 mol을 대신하여, 1,4-Bis(3,4-dicarboxyphenoxy)benzene dianhydride 7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11)
건조 질소 기류 하에, 디아민으로 2,2-Bis(3-amino-4-hydroxyphenyl)propane 70 mol, 4,4'-Oxydianiline 20 mol을 NMP에 용해시켰다. 여기에 이무수물 4,4'-Oxydiphthalic Anhydride (ODPA) 100mol을 더하고, 30℃에서 2시간 교반했다. 그 후, 3-아미노페놀 20 mol을 더해 40℃에서 2시간 교반을 계속했다. 또한 피리딘을 톨루엔에 20 중량%로 희석하여 용액에 더하여 냉각관을 부계 외에 물을 톨루엔과 함께 공비로 제거하면서 용액의 온도를 120℃로 2시간, 또한 18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이 용액의 온도가 실온까지 저하하면, 물에 용액을 투입하고 백색의 분체를 얻었다. 이 분체를 여과로 모아 또한 물로 3 회 세정을 했다. 세척 후, 백색 분체를 50℃의 진공 건조기로 72 시간 건조시켰다. 이렇게 하여 폴리이미드 폴리머를 얻었다.
(합성예 12)
상기 합성예 11에 대하여, 디아민으로 2,2-Bis(3-amino-4-hydroxyphenyl)propane 70 mol, 4,4'-Oxydianiline 20 mol을 대신하여, 3,3'-Diamino-4,4'-dihydroxydiphenyl Sulfone 60 mol, 4,4'-Oxydianiline 3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13)
상기 합성예 11에 대하여, 디아민으로 2,2-Bis(3-amino-4-hydroxyphenyl)propane 70 mol, 4,4'-Oxydianiline 20 mol을 대신하여, 2,2-Bis(3-amino-4-hydroxyphenyl)-hexafluoropropane 50 mol, 1,3-Bis(4-aminophenoxy)Phenyl 4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14)
상기 합성예 11에 대하여, 디아민으로 2 디아민으로 2,2-Bis(3-amino-4-hydroxyphenyl)propane 70 mol, 4,4'-Oxydianiline 20 mol을 대신하여, 3,3'-Dihydroxy-4,4'-diamino-biphenyl 70 mol, 1,3-Bis(3-aminophenoxy)benzene 2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15)
상기 합성예 11에 대하여, 이무수물로 4,4'-Oxydiphthalic Anhydride (ODPA) 100 mol을 대신하여, 1,4-Bis(3,4-dicarboxyphenoxy)benzene dianhydride 10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비교합성예 1)
상기 합성예 1에 대하여, 디아민으로 2,2-Bis(3-amino-4-hydroxyphenyl)-hexafluoropropane 80 mol, 1,3-Bis(4-aminophenoxy)Phenyl 20 mol을 대신하여, 4,4'-Oxydianiline 80 mol, 1,3-Bis(4-aminophenoxy)Phenyl 2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제2 폴리머 합성]
(합성예 16)
건조 질소 기류 하,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100 mol을 DMF에 용해시킨 후,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10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용액을 55 ℃까지 천천히 상승시켜, 이 온도로 48시간 동안 유지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건조공정을 통하여,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완전히 제거하여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얻었다.
(합성예 17)
상기 합성예 16에 대하여, 모노머로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100 mol을 대신하여, 하이드록시 에틸 말레이미드 10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18)
상기 합성예 16에 대하여, 모노머로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100 mol을 대신하여,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50 mol, 하이드록시 에틸 말레이미드 5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19)
상기 합성예 16에 대하여, 모노머로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100 mol을 대신하여,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80 mol, 페닐 말레이미드 2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20)
상기 합성예 16에 대하여, 모노머로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100 mol을 대신하여,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80 mol, 스타이렌 2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21)
상기 합성예 16에 대하여, 모노머로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100 mol을 대신하여, 하이드록시 스타이렌 10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22)
상기 합성예 16에 대하여, 모노머로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100 mol을 대신하여, 하이드록시 스타이렌 50 mol,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5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23)
상기 합성예 16에 대하여, 모노머로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100 mol을 대신하여, 하이드록시 스타이렌 90 mol, 페닐 말레이미드 1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24)
상기 합성예 16에 대하여, 모노머로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100 mol을 대신하여,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69 mol, 페닐 말레이미드 31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25)
상기 합성예 16에 대하여, 모노머로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100 mol을 대신하여,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65 mol, 페닐 말레이미드 35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26)
상기 합성예 16에 대하여, 모노머로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100 mol을 대신하여,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50 mol, 페닐 말레이미드 5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27)
상기 합성예 16에 대하여, 모노머로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100 mol을 대신하여,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30 mol, 페닐 말레이미드 7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28)
상기 합성예 16에 대하여, 모노머로 하이드록시 페닐 말레이미드 100 mol을 대신하여, 하이드록시 스타이렌 60 mol, 페닐 말레이미드 40 mo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비교합성예 2)
건조 질소 기류 하, 페놀 193g, 37wt% 포르말린 142g, 옥살산 0.97g(0.5%)을 반응기에 투입한 후 100℃에서 6시간 반응시킨 후 생성물을 감압 농축하여 노볼락 페놀 수지를 얻었다.
[제조예 3 : 감광제 합성]
(합성예 29)
건조 질소 기류하, Ballast로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4,4'-[1-[4-[1-[4-히드록시페닐]-1-메틸에틸]페닐]에틸리덴]비스페놀 1 mol과 5-나프토퀴논디아지드술폰산 클로라이드 2 mol을 상온에서 1,4-디옥산에 용해시켰다. 여기에 트리에틸아민을 35℃이상이 되지 않도록 적하했다. 적하 후 40℃에서 2 시간 교반했다. 트리에틸아민염을 여과하고 노액을 물에 투입했다. 그 후, 석출한 침전물을 여과하고, 1% 염산수에서 세척했다. 그 후, 물에서 3회 세정했다. 이 침전물을 진공 건조기로 건조하여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A]
Figure pat00015
(합성예 30)
상기 합성예 29에 대하여, Ballast로 4,4'-[1-[4-[1-[4-히드록시페닐]-1-메틸에틸]페닐]에틸리덴]비스페놀을 대신하여, 하기 화학식 B로 표시되는 물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29와 동일한 방법으로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B]
Figure pat00016
(합성예 31)
상기 합성예 29에 대하여, Ballast로 4,4'-[1-[4-[1-[4-히드록시페닐]-1-메틸에틸]페닐]에틸리덴]비스페놀을 대신하여, 하기 화학식 C로 표시되는 물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29와 동일한 방법으로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C]
Figure pat00017
[제조예 4 : 감광성 폴리이미드 수지 조성물 제조]
실시예 1 내지 48, 비교예 1 내지 4 및 참고예 1 내지 14의 조성을 하기 표 1 내지 표 3의 조성비에 따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상기 표 2에서 가교성 화합물인 화학식 D 내지 화학식 F는 하기와 같이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D]
Figure pat00020
[화학식 E]
Figure pat00021
[화학식 F]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실험예 1 : 감광성 폴리이미드 수지 조성물의 물성 평가]
상기 제조예 4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8, 비교예 1 내지 4 및 참고예 1 내지 14에 대하여 감도, 잔막율, 접착력, 내화학성, 내열성, 흡습성, 구동 신뢰성 등의 물성을 하기 기준에 따라 측정하여 하기 표 4 내지 표 6, 8에 나타내었다. 글래스(glass) 기판 상에 스릿코터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48, 비교예 1 내지 4 및 참고예 1 내지 14에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뒤, VCD (진공건조) 공정을 40 Pa 압력까지 진행하고, 120 ℃로 2분간 핫 플레이트상에서 프리베이크하여 두께가 3.0 ㎛인 막을 형성하였다.
가) 감도
상기와 같이 형성된 막에 소정 패턴 마스크(pattern mask)를 사용하여 Broadband에서의 강도가 20 ㎽/㎠인 자외선을 감도가 2.5㎛ Contact Hole CD기준 Dose량을 조사한 후, 테트라메틸 암모늄히드록시드 2.38 중량%의 수용액으로 23 ℃에서 1분간 현상한 후, 초순수로 1분간 세정하였다. 그 다음, 오븐속에서 250℃로 60분간 경화시켜 두께가 2.0 ㎛인 패턴 막을 얻었다. 감도가 100mJ 이하인 경우를 ○, 100mJ 초과 ~ 120mJ 이하인 경우를 △, 120mJ 초과인 경우를 × 로 표시하였다.
나) 잔막율
상기 가)의 감도 측정시 형성된 막 두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잔막율 = 경화후 두께/프리베이크후 두께로 나타내며, 잔막율이 60% 이상인 경우를 ○, 50% 이상 ~ 60% 미만인 경우를 △, 50% 미만은 경우를 × 로 표시하였다.
다) 접착력
상기 가)의 감도 측정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패턴(Pattern)막을 형성하되 붙어있는 Dot pattern 최소 CD를 기준으로 접착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Dot pattern 최소CD가 5㎛ 이상에서 접착력이 확보되는 경우를 ○, 10㎛ 이상에서 접착력이 확보되는 경우를 △, 15㎛ 이상에서 접착력이 확보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를 X로 표시하였다.
라) 내화학성
상기 제조된 기판을 메틸피롤리돈(NMP)에 60℃/120초 동안 침지하고, 침지 전후의 경화막 두께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경화막 두께 변화율이 150 Å 미만은 ◎, 150 이상 내지 300Å 미만은 ○, 300 이상 내지 600Å 미만은 △, 600Å 이상은 X로 표기하였다.
마) 내열성
내열성은 TG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가)의 감도 측정시 형성된 패턴(Pattern)막을 샘플링 한 후, TGA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900 ℃까지 분당 10 ℃씩 승온하였다. 5 중량% Loss 온도가 300 ℃ 초과인 경우를 ○, 5 중량% Loss 온도가 280~300 ℃인 경우를 △, 5 중량% Loss 온도가 280 ℃ 미만인 경우를 × 로 나타내었다.
바) 흡습성
상기 가)의 감도 측정 시 형성된 패턴(Pattern)막을 85℃, 85% RH기준 항온, 항습 오븐에 240시간 정제 후, 오븐 투입 전,후의 막 두께 변화를 기준으로 흡습성을 평가하였다. 두께 변화율이 250Å 미만일 경우 ◎, 250Å 초과 300Å 미만은 ○, 300 이상 내지 600Å 미만은 △, 600Å 이상은 X로 표기하였다.
사) OLED 구동 신뢰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이 형성된 ITO(Indium Tin oxide) 기판(1) 위에 패턴(Pattern)막(2)을 형성하고, EL(Electroluminescent Lighting) 및 Al(3)이 증착된 것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가)의 감도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 1에 도시된 패턴된 ITO 기판 위에 패턴(Pattern)막을 형성하고, EL을 증착한다. 상부에 Cathode 전극으로 Al을 증착하고, Encapsulation 공정을 진행한다. 85℃, 85% RH기준, 소자 On 상태에서 3% 휘도 Drop되는 시간(T97)을 평가하였다. 1100시간 이상 확보되는 경우를 ◎, 1000시간 이상 1100 시간 미만 확보되는 경우를 ○, 900시간 내지 1000 시간일 경우 △, 900시간 미만인 경우를 X로 표시하였다.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실험예 2: 수산기 당량 비율에 따른 감광성 폴리이미드 수지 조성물의 물성 평가]
하기 표 7의 조성비에 따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들에 대한 감도 등의 물성 평가를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하기 표 7의 함량 단위는 중량부이다.
  제1폴리머 제2폴리머 감광제 가교성 화합물 제1폴리머와 제2폴리머의
수산기 당량 비율
구조 함량 구조 함량 구조 함량 구조 함량
실시예 49 합성예1 95 합성예16 5 합성예
31
15 화학식 F 15 1:0.7
실시예 50 합성예2 90 합성예17 10 합성예
31
15 화학식 F 15 1:1.5
실시예 51 합성예3 80 합성예18 20 합성예
31
15 화학식 F 15 1:3.4
실시예 52 합성예4 70 합성예19 30 합성예
31
15 화학식 F 15 1:5.8
실시예 53 합성예5 60 합성예20 40 합성예
31
15 화학식 F 15 1:9
실시예 54 합성예6 50 합성예21 50 합성예
31
15 화학식 F 15 1:13.5
비교예 5 비교
합성예1
80 합성예16 20 합성예
31
15 화학식 F 15 0:57.5
비교예 6 합성예1 100 비교
합성예
2
0 합성예
31
15 화학식 F 15 7:0
비교예 7 합성예1 42 비교
합성예 2
58 합성예
31
15 화학식 F 15 1:74.6
비교예 8 합성예1 40 비교
합성예 2
60 합성예
31
15 화학식 F 15 1:107.3
비교예 9 합성예1 30 비교
합성예 2
70 합성예
31
15 화학식 F 15 1:166.8
비교예 10 합성예1 20 비교
합성예
2
80 합성예
31
15 화학식 F 15 1:216.0
  감도 잔막율 접착력 내화학성 내열성 흡습성 구동신뢰성
실시예 49 O O O O O
실시예 50 O O O O O
실시예 51 O O O O O
실시예 52 O O O O O O O
실시예 53 O O O O O O O
실시예 54 O O O O O O O
비교예 5 X X O X O O O
비교예 6 X O O X O O O
비교예 7 X X O X O O O
비교예 8 X X O X O O O
비교예 9 X X O X O O O
비교예 10 O O O O X X X
상기 표 8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1 폴리머가 수산기를 포함하지 않아, 제1 폴리머 및 제2 폴리머의 수산기 당량 비율이 낮은 경우 감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제2 폴리머의 수산기 당량이 과도할 경우, 감도는 개선되었으나, 내화학성 또는 내열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고, 흡습 및 구동 신뢰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제1 폴리머 및 제2 폴리머의 수산기 당량 비율이 적정 수준으로 조절된 실시예 49 내지 54는 감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열특성 및 구동 신뢰성 등 또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ITO 기판
2: 패턴막
3: EL & Al

Claims (20)

  1. 폴리아미드산 에스테르, 폴리아미드산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구조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
    반복단위 중 수산기를 적어도 1 이상 포함하는 제2 폴리머;
    감광제; 및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폴리머의 수산기(OH기) 당량에 대한 상기 제2 폴리머의 수산기(OH기) 당량은 1:0.04 내지 1:74의 비율인,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27

    [화학식 2]
    Figure pat00028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유기기이고,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30의 유기기 또는 하기 화학식 3의 치환기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29

    상기 화학식 3에서 R5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m은 1 또는 2의 정수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R1 내지 R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화학식 3의 치환기를 포함하는 포티지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는, 상기 R1이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는 2종 이상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는,
    상기 R1이 방향족 고리 구조를 포함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상기 R1이 방향족 고리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pat00030

    [화학식 5]
    Figure pat00031

    상기 화학식 5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 유기기이다.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6 내지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1종 이상의 반복단위를 더 포함하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6]
    Figure pat00032

    [화학식 7]
    Figure pat00033

    상기 화학식 6에서,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의 전체 반복단위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6 내지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합이 30 몰% 이하인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각각 독립적으로 1,000 내지 50,000 g/mol인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화학식 9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8]
    Figure pat00034

    [화학식 9]
    Figure pat00035

    상기 화학식 8 및 화학식 9에서, R3는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 내지 8가 유기기이고, R4는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 내지 8가 유기기이며,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유기기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이고, c 및 d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 이며, a+b는 1 이상이며,
    상기 a,b,c 또는 d가 0인 경우 해당 치환기는 수소원자이고,
    상기 m, n은 화학식 8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와 화학식 9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각각의 몰비를 나타내며, m+n=100 이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와 상기 제2 폴리머의 중량비는 50:50 내지 95:5인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감광제는 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제는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페놀성 수산기 함유 가교성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성 수산기 함유 가교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0 내지 화학식 27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Figure pat00036

    상기 화학식 10 내지 화학식 27에서, R'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하기 화학식 28의 치환기 중 하나이며, 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하기 화학식 28의 치환기이며,
    하기 화학식 28에서, n은 1 내지 6의 정수이고, R7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다.
    [화학식 28]
    Figure pat00037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감마부티로락톤(gamma-buturolactone; GBL), N-메틸피롤리돈(N-Methyl-2-Pyrrolidinone; NMP),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PGMEA), 에틸락테이트(ethyl lactate; EL), 메틸-3-메톡시프로피오네이트(methyl 3-methoxypropionate; MMP),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PGME), 다이에틸렌글리콜에틸메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methyl Ethyl Ether; MEDG), 다이에틸글리콜부틸메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butyl methyl ether; MBDG), 다이에틸렌글리콜다이메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DMDG), 다이에틸렌글리콜다이에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diethyl ether; DEDG)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열산 발생제 및 UV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체를 포함하는 절연막.
  20. 제19항의 절연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220033296A 2021-03-17 2022-03-17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절연막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201300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4811 2021-03-17
KR1020210034811 2021-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042A true KR20220130042A (ko) 2022-09-26

Family

ID=8332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296A KR20220130042A (ko) 2021-03-17 2022-03-17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절연막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04292A1 (ko)
JP (1) JP2024510332A (ko)
KR (1) KR20220130042A (ko)
CN (1) CN116997859A (ko)
TW (1) TW202302752A (ko)
WO (1) WO20221971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327A1 (ja) * 2022-03-23 2023-09-28 東レ株式会社 ポジ型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物、有機el表示装置、硬化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6243A (ja) * 2005-12-07 2007-06-21 Nissan Chem Ind Ltd ポジ型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膜
JP2011033779A (ja) * 2009-07-31 2011-02-17 Kyocera Chemical Corp ポジ型感光性樹脂組成物
JP5831092B2 (ja) * 2011-09-27 2015-12-09 東レ株式会社 ポジ型感光性樹脂組成物
KR20140086733A (ko) * 2012-12-28 2014-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절연막 및 상기 절연막을 포함하는 표시 소자
KR101626587B1 (ko) * 2014-07-02 2016-06-02 주식회사 이녹스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폴리아믹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경화된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327A1 (ja) * 2022-03-23 2023-09-28 東レ株式会社 ポジ型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物、有機el表示装置、硬化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97859A (zh) 2023-11-03
TW202302752A (zh) 2023-01-16
US20240004292A1 (en) 2024-01-04
JP2024510332A (ja) 2024-03-06
WO2022197110A1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701B1 (ko) 폴리이미드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102256B1 (ko)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지티브형폴리이미드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486568B1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US20240004292A1 (en) Positive photoresist resin composition and insulating film and display device based thereon
KR20090096365A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폴리이미드 조성물
KR20160149040A (ko) 감광성 폴리이미드 조성물
KR20210086527A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CN114989433B (zh) 一种树脂、正型感光性树脂组合物及应用
EP4184246A1 (en) Positiv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KR20140087645A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EP4383008A1 (en) Positiv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2252996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수지막 및 전자 소자
KR101333690B1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2337564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수지막 및 전자 소자
KR102288385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수지막 및 전자 소자
KR102319968B1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수지막 및 전자 소자
US6670090B1 (en) Positive working photosensitive composition, article and process for forming a relief pattern
CN114524938B (zh) 一种聚合物、感光树脂组合物及其制备的固化膜与电子元件
US20220334478A1 (en) Positiv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KR102149966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수지막 및 전자 소자
KR20240015965A (ko) 경화막, 이를 형성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표시장치
KR102149967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감광성 수지막
KR20230028187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40009689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경화막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00026591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수지막 및 전자 소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