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5261A - 도포구 - Google Patents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5261A
KR20220125261A KR1020227025132A KR20227025132A KR20220125261A KR 20220125261 A KR20220125261 A KR 20220125261A KR 1020227025132 A KR1020227025132 A KR 1020227025132A KR 20227025132 A KR20227025132 A KR 20227025132A KR 20220125261 A KR20220125261 A KR 20220125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application
nail
slit
coat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야코 다케다
히데유키 노지리
Original Assignee
위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위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5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8Manicure or pedicure sets, e.g. combinations without case, etui,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029/002French manic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도포 부재와 비도포 부재 사이에 형성된 손톱끝부가 삽입 가능한 슬릿부를 갖고, 간이하게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도포액을 도포 가능한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도포구는, 도포액을 함침 가능 또는 도포액이 함침된 도포부와, 도포부에 맞닿거나 또는 소정 거리만큼 이간하여 대향 배치되고, 도포액을 함침 또는 투과시키지 않는 비도포부와, 도포부와 비도포부 사이에 배치되고, 손톱끝부를 삽입 가능한 슬릿부와, 슬릿부의 내측면을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도포부의 외측면으로서, 삽입된 손톱끝부의 표면에 면 맞닿아 도포액을 도포 가능한 도포면을 갖는다.

Description

도포구
본 발명은 도포구 (塗布具) 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손톱끝부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손톱끝부에 소정 폭으로 매니큐어 (도포액) 를 도포하는 프렌치 네일에 있어서, 일정한 폭으로 매니큐어를 도포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특히, 자기 자신이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매니큐어를 예쁘게 도포하는 것은 곤란하고, 나아가서는, 주로 사용하는 손이 아닌 손으로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매니큐어를 예쁘게 도포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였다.
예를 들어, 브러시를 사용하여 매니큐어를 손톱끝부에 도포하는 경우, 도포 라인이 비뚤어지거나 도포 라인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매니큐어가 삐져나오거나 하여, 일정한 폭으로 매니큐어를 예쁘게 도포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특히, 브러시로 도포하려면 미묘한 움직임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는 손이 아닌 손으로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매니큐어를 예쁘게 도포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였다.
또, 예를 들어, 마스킹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손톱에 마스킹 테이프를 붙이고, 매니큐어를 도포한 후, 마스킹 테이프를 떼어냄으로써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매니큐어를 도포 가능하지만, 작업이 번잡하고 손이 많이 가는 것, 마스킹 테이프를 떼어낼 때에 도포가 된 매니큐어가 벗겨지고 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예를 들어, 액체를 흡수 유지하는 다공질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포 주체에, 손가락끝을 유도하는 네일 가이드부와, 이 네일 가이드에 연이어 형성되고 표면을 도포용으로 평면으로 한 네일 도포부를 갖는 네일 아트용 도포구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04332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기술은, 손톱끝을 네일 가이드부에 맞닿게 하여 매니큐어를 도포하기 때문에, 매니큐어의 라인의 형상은 손가락끝의 외측 가장자리 형상에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손가락끝을 네일 가이드부에 맞닿게 하여 매니큐어를 도포하기 때문에, 매니큐어의 폭을 조정할 수 없어, 매니큐어의 폭이 손톱끝부보다 좁은 폭이 되어 버리거나, 손톱끝부보다 넓은 폭이 되어 버리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프렌치 네일에 있어서, 손톱끝부의 표면뿐만 아니라, 이면에도 네일을 도포하는 경우가 있어, 이 경우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포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도포 부재와 비도포 부재 사이에 형성된 손톱끝부가 삽입 가능한 슬릿부를 갖고, 간이하게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도포액을 도포 가능한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포액을 함침 가능 또는 도포액을 함침시킨 도포부와, 상기 도포부에 맞닿거나 또는 소정 거리만큼 이간하여 대향 배치되고, 도포액을 함침 또는 투과시키지 않는 비도포부와, 상기 도포부와 상기 비도포부 사이에 배치되고, 손톱끝부가 삽입 가능한 슬릿부와, 상기 슬릿부의 내측면을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도포부의 외측면으로서, 삽입된 손톱끝부의 표면에 면 맞닿아 상기 도포액을 도포 가능한 도포면을 갖는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는, 삽입된 손톱끝부와 그 도포구의 상대 이동을 가이드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도포구는, 상기 비도포부의 외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슬릿부에 손톱끝부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손가락끝이 맞닿는 영역에 배치되는 손가락 가이드부를 추가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가이드부는, 상기 슬릿부에 손톱끝부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그 도포구를 손톱끝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시킨 경우, 손가락끝에 맞닿아 그 도포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 및 상기 비도포부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상이고, 상기 슬릿부에 있어서의 개구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端部) 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에 있어서의 개구부는, 상기 도포부측으로 불룩해지는 곡선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비도포부보다 유연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슬릿부에 손톱끝부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그 도포구와 손톱끝부가 상대 이동되면, 손톱끝부의 표면에 가압되어 변형되고, 상기 도포면이 손톱끝부의 표면에 면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도포구는, 상기 도포부 및 비도포부를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수용하는 외통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슬릿부의 개구부는, 상기 외통부로부터 노출된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비도포부는, 상기 외통부에 연결 또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도포구는, 도포액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도포액을 상기 도포부에 공급 가능한 공급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비도포부는, 외부로부터의 조작을 상기 공급부에 전달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비도포부로부터 전달된 조작에 대응하여, 수용하는 도포액을 상기 도포부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포 부재와 비도포 부재 사이에 형성된 손톱끝부가 삽입 가능한 슬릿부를 갖고, 간이하게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도포액을 도포 가능한 도포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의 도포구를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a) 도포구의 상면도, (b) 도포구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의 도포구에 있어서의 사용 양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실시형태의 도포구를 구성하는 도포 부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포 부재의 슬릿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형상을 설명하는 상면도로서, (a) 실시형태의 슬릿부에 있어서의 상면도, (b) 내지 (g) 변형예의 슬릿부에 있어서의 상면도이다.
도 5 는, 도포 부재의 구성 및 슬릿부의 형상을 설명하는 단면도로서, (a) 실시형태의 슬릿부에 있어서의 단면도, (b) 내지 (f) 변형예의 슬릿부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실시형태의 도포구에 있어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다른 손가락 손톱에 대한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사용 전의 양태, (b) 집게손가락 손톱에 대한 사용 양태, (c) 새끼손가락 손톱에 대한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실시형태의 도포구에 있어서의 사용 방법 및 손톱끝부의 도포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는, 도포구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도포 부재의 동작 (변형) 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 사용 개시 전, (b) 내지 (d) 사용시, (e) 사용 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변형예의 도포구에 있어서의 사용 방법 및 손톱끝부의 도포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은, 변형예의 도포구를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a) 도포구의 상면도, (b) 도포구의 정면도이다.
도 12 는, 도포부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a) 도포부의 상면도, (b) 도포구의 측면도이다.
도 13 은, 비도포부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a) 비도포부의 상면도, (b) 비도포부의 L-L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도포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 에 의해, 본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포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실시형태의 도포구를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a) 도포구의 상면도, (b) 도포구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의 도포구에 있어서의 사용 양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실시형태의 도포구를 구성하는 도포 부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포 부재의 슬릿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형상을 설명하는 상면도로서, (a) 실시형태의 슬릿부에 있어서의 상면도, (b) 내지 (g) 변형예의 슬릿부에 있어서의 상면도이다. 도 5 는, 도포 부재의 구성 및 슬릿부의 형상을 설명하는 단면도로서, (a) 실시형태의 슬릿부에 있어서의 단면도, (b) 내지 (f) 변형예의 슬릿부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실시형태의 도포구에 있어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다른 손가락 손톱에 대한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사용 전의 양태, (b) 집게손가락 손톱에 대한 사용 양태, (c) 새끼손가락 손톱에 대한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실시형태의 도포구에 있어서의 사용 방법 및 손톱끝부의 도포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는, 도포구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도포 부재의 동작 (변형) 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 사용 개시 전, (b) 내지 (d) 사용시, (e) 사용 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변형예의 도포구에 있어서의 사용 방법 및 손톱끝부의 도포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은, 변형예의 도포구를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a) 도포구의 상면도, (b) 도포구의 정면도이다. 도 12 는, 도포부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a) 도포부의 상면도, (b) 도포구의 측면도이다. 도 13 은, 비도포부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a) 비도포부의 상면도, (b) 비도포부의 L-L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 에 의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포구 (1)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구 (1) 는, 도포 부재 (10) 와, 도포액 (110) 을 수용하는 수용부 (120) 와, 수용부 (120) 에 수용된 도포액 (110) 을 도포 부재 (10) (도포부 (11)) 에 공급 가능한 공급부 (60) 와, 도포 부재 (10), 수용부 (120) 및 공급부 (60) 를 수용하는 외통부 (100) 를 갖는다.
도포구 (1) 는, 손가락 (200) 의 손톱 (210) 에 있어서의 손톱끝부 (220) 의 표면에 소정 폭의 라인을 형성하도록 도포액 (110) 을 도포하는 도포구이다. 도포구 (1) 는, 도포 부재 (10) 에 있어서의 슬릿부 (20) (후술) 에 삽입된 손톱끝부 (220) 의 표면에 소정 폭의 라인을 형성하도록 도포액 (110) 을 도포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에서, 손톱끝부 (220) 는, 손톱 (210) 의 선단 부분이고, 손가락 (200) 의 손가락끝 (201) 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이다.
도포구 (1) 는, 비도포부 (15) 의 단면 (端面) 에 형성되고, 도포시에 있어서 손가락끝 (201) 이 맞닿게 되는 손가락 가이드부 (15a) (후술) 를 갖는다. 도포시에 있어서, 손가락끝 (201) 은, 손가락 가이드부 (15a) 에 맞닿음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포구 (1) 에 있어서, 도포 부재 (10) (도포부 (11)) 에는, 공급부 (60) 로부터 도포액 (110) 이 공급된다. 상세하게는, 도포 부재 (10) (도포부 (11)) 에는, 공급부 (60) 를 개재하여, 수용부 (120) 에 수용된 도포액 (110) 이 공급된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 부재 (10) 는, 도포부 (11) 와, 비도포부 (15) 와, 슬릿부 (20) 와, 도포면 (22) 과, 손가락 가이드부 (15a) 를 갖는다.
도포 부재 (10) 는, 도포부 (11) 와 비도포부 (15) 를 소정 간격의 슬릿부 (20) 가 형성되도록 맞닿거나 또는 소정 거리만큼 이간하여 대향 배치하여 형성된다.
또, 도포 부재 (10)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통부 (100) (선단부 (101)) 에 수용 배치되어 있다. 도포 부재 (10) 는, 슬릿부 (20) 의 개구부 (21) (후술) 가 외통부 (100) 로부터 외부에 노출되도록 외통부 (100) 에 수용 배치된다. 또, 도포 부재 (10) 는, 도포부 (11) 및 비도포부 (15) 를 일부가 선단부 (101) 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외통부 (100) 에 수용 배치된다. 도포 부재 (10) (도포부 (11)) 는, 예를 들어, 외통부 (100) 로부터 0 ∼ 20 ㎜ 돌출되어 수용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12 참조).
또, 도포 부재 (10) 는, 도포부 (11) 의 단부 또는 비도포부 (15) 의 단부의 일방이 보다 돌출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포 부재 (10) 는, 도포부 (11) 의 단면이 비도포부 (15) 의 단면보다 0 ∼ 15 ㎜정도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로서, 비도포부 (15) 가 외통부 (100) 로부터 1 ∼ 5 ㎜ 돌출되어 배치되고, 도포부 (11) 가 비도포부 (15) 로부터 추가로 0 ∼ 15 ㎜ 돌출되어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2 참조).
또, 도포 부재 (10)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도포부 (15) 가 외통부 (100) 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외통부 (100) 에 수용 배치되어 있다. 비도포부 (15) 는, 외부로부터의 가압 조작 등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공급부 (60) 에 대해 외부로부터의 조작을 전달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포 부재 (10)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포부 (11) 및 비도포부 (15) 가 외통부 (100) 의 길이 방향 (제 1 방향) 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상이고,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포 부재 (10) 의 형상은, 원통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각기둥(통)상, 원뿔상, 각뿔상, 입방체상, 구체상이나 타원체상 등이어도 된다.
도포 부재 (10) 의 직경은, 예를 들어, 5 내지 15 ㎜,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3 ㎜,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1 ㎜ 이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성, 외관이나, 후술하는 외통부의 내경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 도포 부재 (10) 의 길이는, 예를 들어, 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 이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성, 외관, 사용 양태 (사용 기간, 일회용 등) 나 외통부 (100) 의 길이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도포부 (11) 는, 도포액을 함침 가능 또는 도포액 (110) 을 함침시킨 부재이다. 도포부 (11) 는, 비도포부 (15) 와 맞닿거나 또는 소정 거리만큼 이간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다. 도포부 (11) 는, 비도포부 (15) 와 함께 슬릿부 (20) 를 형성한다. 또, 도포부 (11) 는, 외측면으로서, 슬릿부 (20) 의 내측면을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도포면 (22) 을 갖는다.
도포부 (11) 는, 삽입된 손톱끝부 (220) 의 형상 및 이동에 대응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포부 (11) 는, 예를 들어, 다른 손가락 (200) 의 크기나 형상이 상이한 손톱끝부 (220) 가 슬릿부 (20) 에 삽입된 경우, 삽입된 손톱끝부 (220) 에 대응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도포부 (11) 는, 슬릿부 (20) 에 손톱끝부 (220) 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도포구 (1) 와 손톱끝부 (220) 가 상대 이동되면, 손톱끝부 (220) 의 표면에 가압되어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포부 (11) 는, 슬릿부 (20) 에 삽입된 손톱끝부 (220) 의 형상 및 이동에 대응하여 변형되고, 도포면 (22) 이 손톱끝부 (220) 의 표면에 면 맞닿은 상태를 유지한다.
도포부 (11)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도포부 (15) 보다 유연성이 높다. 도포부 (11)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비도포부 (15) 보다 탄성 변형성 (압축 및 신축) 이 높다. 도포부 (11) 는, 소재, 형상이나 슬릿부 (20) 의 형상 등을 조정함으로써, 비도포부 (15) 보다 유연성이 높은 양태로 조정된다. 도포부 (11) 는, 슬릿부 (20) 에 삽입된 손톱끝부 (220) 의 크기, 형상 및 이동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유연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도포부 (11) 는, 예를 들어, 모세관력에 의해 도포액 (110) 을 함침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부 (11) 는, 예를 들어, 성형한 섬유체 (펠트, 합성 섬유) 나, 복잡한 단면 형상이 있는 합성 수지체에 의해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도포부 (11) 는, 예를 들어, 연속 기포를 갖는 다공질체 등의 합성 수지체나, 기모체나 식모체 등의 섬유체이고, 바람직하게는 각종 섬유를 집속하고 합성 수지로 접착하여 얻어지는 섬유속체 등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공률이 5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포율이 50 ∼ 90 % 인 섬유속체이다. 이 경우, 섬유 굵기는, 2 ∼ 30 데니어이고, 바람직하게는 5 ∼ 25 데니어이다.
도포부 (11) 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우레탄 등의 섬유를 묶어 접착하여 정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도포부 (11) 는, 도포액 (110) 을 침투 또는 함침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공을 갖는 스펀지상이 되도록 제조된다. 기포율은, 사용되는 도포액 (110) 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를 들어, 50 ∼ 90 % 로 조정된다. 도포부 (11) 에 있어서, 예를 들어, 섬유는 도포 부재 (10) 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의 가압력에 대해서는 잘 변형되지 않지만, 도포 부재 (10) 의 직경 방향으로의 가압력에 대해서는 변형되기 쉽다. 도포부 (11) 는, 슬릿부 (20) 에 손톱끝부가 삽입된 경우, 만곡상의 손톱끝부 (220) 에 있어서의 볼록부에 의해 외측면 (도포면 (22)) 이 가압되지만, 함침된 잉크 (또는 공기) 가 밀려나와 변형되기 때문에, 외측면 (도포면 (22)) 이 손톱끝부 (220) 의 표면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된다. 또, 도포부 (11) 는, 슬릿부 (20) 로부터 손톱끝부가 빼내어진 경우, 도포액 (110) (또는 공기) 이 다시 함침되어 복원된다는 반발 탄성을 갖는다. 이로써, 도포부 (11) 는, 슬릿부 (20) 에 손톱끝부 (220) 를 삽입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손톱끝부 (220) 의 형상이나 이동에 대응하여 도포면 (22) 이 변형되도록 구성됨과 함께, 슬릿부 (20) 로부터 손톱끝부 (220) 를 빼낸 경우에는, 통상 상태로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또, 도포부 (11) 의 소재로서, 예를 들어, 올레핀계 소재를 사용해도 되고, 이 경우, PES6-80 (밀도 80 ㎏/㎥) ∼ PES6-220 (밀도 2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소재로서, 예를 들어, PP (폴리프로필렌) 와 PE (폴리에틸렌) 의 혼합물, 예를 들어, PP : PE = 50 : 50 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이 경우, 섬유의 굵기는 3 ∼ 10 데니어, 바람직하게는 5 ∼ 7 데니어이다.
또, 도포액 (110) 은, 예를 들어, 안료 잉크, 염료 잉크, 도료나 매니큐어액 등이다. 안료 잉크는, 예를 들어, 유성 안료 잉크, 수성 안료 잉크, 무용제 안료 잉크, 겔상 안료 잉크, 에멀션 안료 잉크 등이다. 또, 염료 잉크는, 예를 들어, 유성 염료 잉크, 수성 염료 잉크, 무용제 염료 잉크, 겔상 염료 잉크, 에멀션 염료 잉크 등이다. 또, 도료는, 유성 도료, 수성 도료, 무용제 도료, 래커, 합성 수지 도료, 주정 도료 등이다. 매니큐어액은, 상기 서술한 안료 잉크, 염료 잉크, 도료에 포함되는 것인데, 예를 들어, 유성 매니큐어액, 수성 매니큐어액, 무용제 매니큐어액 등이다. 매니큐어액은, 아크릴이나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의 합성 수지를 착색하고 유기 용제에 용해시킨 일반적인 매니큐어액이어도 되고, 유기 용제 등을 포함하지 않는 수성 매니큐어액이어도 된다.
도포액 (110)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안료 잉크, 염료 잉크, 도료나 매니큐어액이고,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안료 잉크, 염료 잉크, 도료나 매니큐어액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성계의 안료 잉크, 염료 잉크, 도료나 매니큐어액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포액 (110) 으로서, 수성 안료 잉크가 사용된다. 도포액 (110) 의 색은, 백색, 적색, 홍색 등 어느 색이어도 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해도 된다. 또, 도포액 (110) 은, 펄이나 라메 등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비도포부 (15) 는, 도포액 (110) 을 함침 또는 투과시키지 않는 부재이다. 비도포부 (15) 는, 도포부 (11) 에 맞닿거나 또는 소정 거리만큼 이간하여 대향 배치된다. 비도포부 (15) 는, 도포부 (11) 와 함께 슬릿부 (20) 를 형성한다.
또, 비도포부 (15) 의 단면 (단면 (5a) 의 전부 또는 일부) 은, 손가락 가이드부 (15a) 를 구성한다. 상세하게는, 비도포부 (15) 의 외측면인 단면은, 슬릿부 (20) 에 손톱끝부 (220) 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손가락끝 (201) 이 맞닿는 영역인 손가락 가이드부 (15a) 를 구성한다.
비도포부 (15) 는, 도포부 (11) 와는 별개의 부재이고, 도포액 (110) 을 함침 또는 투과시키지 않는 부재이다. 비도포부 (15) 는, 맞닿은 손가락끝 (201) 에 도포액 (110) 을 부착시키지 않는다. 또, 비도포부 (15) 는, 공급부 (60) 로부터 공급되는 도포액 (110) 을 함침 또는 투과시키지 않는다.
비도포부 (15) 는, 도포액 (110) 을 함침 또는 투과시키지 않는 부재이고, 예를 들어, 고무, 수지나 금속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 비도포부 (15) 는, 고무, 수지, 비닐이나 금속 등에 의해 구성되는 시트나 판상의 부재를 전체 표면에 배치하는 것으로도 형성 가능하다.
비도포부 (15) 는, 도포부 (11) 보다 변형성이 낮아지도록 재질이나 형상이 조정된다. 비도포부 (15) 는, 손톱끝부 (220) 가 슬릿부 (20) 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된 경우, 변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도포부 (15)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조작을 공급부 (60) 에 전달 가능하게 배치된다. 비도포부 (15) 는, 외통부 (100) 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외통부 (100) 에 수용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도포부 (15) 는, 외부로부터의 가압 조작 등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공급부 (60) 에 대해 외부로부터의 조작을 전달 가능하게 구성된다.
슬릿부 (20) 는, 도포 부재 (10) 의 단면 (5) 에 있어서의 표면에서부터 내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슬릿부 (20) 는, 도포부 (11) 와 비도포부 (15) 사이에 배치된다. 슬릿부 (20) 는, 손톱끝부 (220) 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슬릿부 (20) 는, 도포 부재 (10) 의 단면 (5) 에 형성되는 개구부 (21) 를 갖는다. 또, 슬릿부 (20) 의 내측면을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도포부 (11) 의 외측면은, 삽입된 손톱끝부 (220) 의 표면에 면 맞닿아 도포액 (110) 을 도포 가능한 도포면 (22) 을 구성한다.
슬릿부 (20) 의 개구부 (21) 는, 도포 부재 (10) 의 단면 (5)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에 배치된다. 슬릿부 (20) 는, 개구부 (21) 가 외통부 (100) 로부터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또, 슬릿부 (20) 는, 개구부 (21) 가 외통부 (100) (선단부 (101)) 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되는 단면 (5) 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릿부 (20) 의 개구부 (21) 는, 도포부 (11) 측으로 불룩해지는 곡선상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릿부 (20) 의 형상은, 개구부 (21) 가 곡선상이고, 개구부 (21) 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의 깊이도 동일한 깊이인 형상이다. 여기에서, 슬릿부 (20) 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개구부 (21) 는 더욱 만곡된 곡선상이나 직선상이어도 되고, 개구부 (21) 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중앙측이 깊고, 양단측이 얕은 형상이어도 된다. 또, 슬릿부 (20) 의 단면 형상 (예를 들어, 도 5 참조) 은, 깊이 방향과 평행한 단면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깊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단면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도포 부재 (10) 의 변형예로서, 상이한 형상의 슬릿부 (20) 를 갖는 예에 대하여 후술한다.
슬릿부 (20) 의 폭 (도포부 (11) 와 비도포부 (15) 사이의 거리) 은 손톱끝부 (220) 를 삽입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 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슬릿부 (20) 의 폭을 조정함으로써, 도포면 (22) 이 비도포부 (15) 에 맞닿지 않는 상태를 유지 가능하다.
슬릿부 (20) 의 깊이 (단면 (5) 에서부터 바닥면 (27) 까지의 거리, 손가락 가이드부 (15a) 를 포함하는 면에서부터 바닥면 (27) 까지의 거리) 는, 도포 라인의 폭에 대응한 깊이로 설정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 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슬릿부 (20) 의 위치, 형상, 폭 및 깊이는, 손톱끝부 (220) 에 대한 도포성에 따라 설정된다. 슬릿부 (20) 의 위치, 형상, 폭 및 깊이는, 삽입되는 손톱끝부 (220) 크기 (손가락의 종류 등), 도포 라인의 폭 외에, 도포부 (11) 의 변형성 (탄력 변형성, 손톱끝부의 표면에 대한 추종성 등) 을 시점으로 하여 조정된다.
또, 슬릿부 (20) 는, 삽입된 손톱끝부 (220) 와 도포구 (1) (도포 부재 (10)) 의 상대 이동을 가이드 가능하다. 또, 슬릿부 (20) 에 손톱끝부 (220) 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도포구 (1) 와 손톱끝부 (220) 가 상대 이동되면, 슬릿부 (20) 를 형성하는 도포부 (11) 가 손톱끝부 (220) 의 표면에 가압되어 변형된다. 슬릿부 (20) 는, 손톱끝부 (220) 의 이동에 대응하여, 슬릿부 (20) 의 내측면인 도포면 (22) 이 손톱끝부 (220) 의 표면에 면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변형된다. 그 때문에, 도포구 (1) 는, 손톱끝부 (220) 에 바람직하게 소정 폭의 도포 라인을 형성 가능하다.
또, 슬릿부 (20) 는, 삽입된 손톱끝부 (220) 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손톱끝부 (220) 의 표면에 도포액 (110) 을 도포 가능하게 구성된다. 슬릿부 (20) 는, 삽입된 손톱끝부 (220) 를 사이에 두기 때문에, 도포구 (1) 의 이동을 바람직하게 가이드 가능함과 함께, 손톱끝부 (220) 의 표면에 도포액 (110) 을 도포 가능하다. 슬릿부 (20) 는, 삽입된 손톱끝부 (220) 를 사이에 두기 때문에, 도포구 (1) 를 천천히 조금씩 이동시킬 수 있어, 손톱끝부 (220) 에 원하는 도포액 (110) 의 라인을 간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포면 (22) 은, 슬릿부 (20) 의 내측면을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도포부 (11) 의 외측면이다. 도포면 (22) 은, 삽입된 손톱끝부 (220) 의 표면에 면 맞닿아 도포액 (110) 을 도포 가능한 부분이다. 도포면 (22) 은, 슬릿부 (20) 의 내측면 (도포부 (11) 의 외측면) 으로서, 손가락 가이드부 (15a) 에 손가락끝 (201) 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삽입된 손톱끝부 (220) 의 표면에 맞닿아 도포액을 도포 가능한 도포면이다.
도포면 (22) 은, 손톱끝부 (220) 의 이동에 대응한 도포부 (11) 의 변형에 의해, 손톱끝부 (220) 의 표면에 면 맞닿은 상태가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포면 (22) 의 형상은, 곡면상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평면상, 파상 (波狀), 하나 또는 복수의 돌출부를 갖는 형상이어도 된다. 또, 도포면 (22) 과 비도포부 (15) 사이의 거리 (슬릿부 (20) 의 폭) 는, 손톱끝부 (220) 를 삽입 가능한 거리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포면 (22) 은, 슬릿부 (20) 의 위치, 형상, 폭 및 깊이에 따라, 형상이나 변형성이 상이하다. 도포면 (22) 은, 손톱끝부 (220) 에 대한 도포성에 따라 설정된다. 도포면 (22) 은, 삽입되는 손톱끝부 (220) 크기 (손가락의 종류 등), 도포 라인의 폭 등에 따라, 슬릿부 (20) 의 위치, 형상, 폭 및 깊이를 조정함으로써 적합한 형태로 조정된다. 또, 마찬가지로, 도포면 (22) 에 손톱끝부 (220) 의 표면에 대한 추종성이 조정된다. 또, 도포면 (22) 의 깊이 방향의 길이 (단면 (5) 에서부터 슬릿부 (20) 의 바닥면까지의 거리) 에 의해, 도포 라인의 폭이 설정된다.
손가락 가이드부 (15a) 는, 비도포부 (15) 의 외측면 (단면) 에 배치된다. 손가락 가이드부 (15a) 는, 슬릿부 (20) 에 손톱끝부 (220) 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손가락끝 (201) 이 맞닿는 영역에 배치된다. 손가락 가이드부 (15a) 는, 도포 부재 (10) 의 단면 (5) 에 있어서의 슬릿부 (20) 의 개구부 (21) 근방에 배치된다. 손가락 가이드부 (15a) 는, 도포액 (110) 이 투과 또는 침투하지 않는 비도포부 (15) 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맞닿은 손가락끝 (201) 에 도포액 (110) 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손가락 가이드부 (15a) 는, 슬릿부 (20) 에 있어서의 개구부 (21) 의 근방에, 그 개구부 (21) 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손가락 가이드부 (15a) 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는, 슬릿부 (20) 의 개구부 (21) 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를 구성한다.
손가락 가이드부 (15a) 는, 슬릿부 (20) 에 손톱끝부 (220) 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그 도포구 (1) 를 손톱끝부 (220) 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시킨 경우, 손가락끝 (201) 에 맞닿아 도포구 (1) 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손가락 가이드부 (15a) 는, 손톱끝부 (220) 에 도포액 (110) 을 도포하는 작업에 있어서, 도포구 (1) 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손가락 가이드부 (15a) 는, 손톱끝부 (220) 에 도포액 (110) 을 도포하는 작업에 있어서, 도포구 (1) 의 손가락끝 (201) 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타방의 단부로의 도포구 (1) 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손가락 가이드부 (15a) 는, 도포액 (110) 이 투과 또는 침투하지 않는 비도포부 (15) 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톱끝부 (220) 에 도포액 (110) 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구 (1) 의 이동에 있어서, 그 손가락 가이드부 (15a) 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손가락끝 (201) 에 도포액 (110) 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손가락 가이드부 (15a)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도포부 (15) 가 외부로부터의 조작을 공급부 (60) 에 전달 가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비도포부 (15) 를 가압 조작하는 조작부로서 기능한다. 작업자가 손가락 가이드부 (15a) 를 가압함으로써, 비도포부 (15) 가 공급부 (60) 측으로 이동하여, 공급부 (60) (가압 받아들임부 (61)) 에 가압 조작이 전달된다.
여기에서, 도 4 및 도 5 에 의해, 도포 부재 (10) 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로 슬릿부 (20) 의 형상이 상이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a) 내지 (g) 에 의해, 슬릿부 (20) 에 있어서의 개구부 (21) 의 형상이 상이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 에는, 본 실시형태의 도포 부재 (10) 에 있어서의 상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도포 부재 (10) 에 있어서의 슬릿부 (20) 는, 개구부 (21) 의 형상이 도포부 (11) 측으로 불룩해지는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도포 부재 (10) 는, 손톱끝부 (220) 의 형상에 대응한 곡면상의 슬릿부 (20) 를 갖는다.
계속해서, 도 4(b) 에는, 변형예 A 의 도포 부재 (10A) 에 있어서의 상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A 의 도포 부재 (10A) 에 있어서의 슬릿부 (20A) 는, 개구부 (21A) 의 형상이 도포부 (11A) 측으로 더욱 불룩해지는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 A 에 있어서의 슬릿부 (20A) 는, 개구부 (21A) 가 본 실시형태의 개구부 (21) 보다 만곡 정도가 큰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 A 의 도포 부재 (10A) 는, 보다 만곡된 손톱끝부 (220) 의 형상에 대응한 곡면상의 슬릿부 (20A) 를 갖는다.
계속해서, 도 4(c) 에는, 변형예 B 의 도포 부재 (10B) 에 있어서의 상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B 의 도포 부재 (10B) 에 있어서의 슬릿부 (20B) 는, 개구부 (21B) 의 위치가 본 실시형태의 도포 부재 (10) 보다 도 4(c) 에 있어서의 좌측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슬릿부 (20B) 는, 도포부 (11B) 가 도포 부재 (10) 의 도포부 (11) (도 4(a) 참조) 에 비해 폭 (직경 방향의 길이) 이 좁아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 B 에 있어서의 도포부 (11B)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포부 (11) 보다 변형성이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4(d) 에는, 변형예 C 의 도포 부재 (10C) 에 있어서의 상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4(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C 의 도포 부재 (10C) 에 있어서의 슬릿부 (20C) 는, 개구부 (21C) 의 형상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4(e) 에는, 변형예 A1 의 도포 부재 (10A1) 에 있어서의 상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4(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A1 의 도포 부재 (10A1) 에 있어서의 슬릿부 (20A1) 는, 개구부 (21A1) 의 양단측에 있어서 도포부 (11A1) 와 비도포부 (15A1) 가 맞닿아 있는 형상이다. 변형예 A1 에 있어서의 슬릿부 (20A1) 는, 중앙부에 있어서는 도포부 (11A1) 와 비도포부 (15A1) 가 이간되고, 양단측에 있어서는 도포부 (11A1) 와 비도포부 (15A1) 가 서로 맞닿아,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포부 (11A) 측의 도포면 (21A1) 에 있어서의 만곡 정도를 크게 하여, 도포면 (22A1) 의 양단측이 비도포부 (15A1) 에 맞닿도록 하고 있다. 변형예 A1 에 의하면, 개구부 (21A1) 의 양단측에 있어서 도포부 (11A1) 와 비도포부 (15A1) 가 맞닿아 있기 때문에, 도포액 (110) 을 도포하기 어려운 손톱끝부 (220) 의 양단측에도 바람직하게 도포액 (110) 을 도포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f) 에는, 변형예 A2 의 도포 부재 (10A2) 에 있어서의 상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4(f)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A2 의 도포 부재 (10A2) 에 있어서의 슬릿부 (20A2) 는, 개구부 (21A2) 의 중앙부에 있어서는 폭이 좁고, 양단측에 있어서 폭이 넓게 되어 있는 형상이다. 변형예 A 와 비교하여, 변형예 A2 에 있어서의 슬릿부 (20A2) 는, 중앙부에 있어서는 도포부 (11A2) 와 비도포부 (15A2) 가 근접하여 배치되고, 양단측에 있어서는 도포부 (11A2) 와 비도포부 (15A2) 가, 보다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포부 (11A2) 측의 도포면 (22A2) 에 있어서의 만곡 정도를 작게 함과 함께, 비도포부 (15A2) 를 도포부 (11A2) 에 근접하여 배치하고 있다. 변형예 A2 에 의하면, 개구부 (21A2) 에 있어서의 양단측의 폭이 넓게 되어 있기 때문에, 손톱끝부 (220) 가 삽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 변형예 A2 에 의하면, 개구부 (21A2) 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폭이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한 손톱끝부 (220) 를 확실하게 사이에 두도록 하여 바람직하게 도포액 (110) 을 도포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g) 에는, 변형예 A3 의 도포 부재 (10A3) 에 있어서의 상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4(g)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A3 의 도포 부재 (10A3) 에 있어서의 슬릿부 (20A3) 는, 개구부 (21A3) 의 양단측에 있어서의 폭이 매우 넓게 되어 있는 형상이다. 또, 비도포부 (15A3) 는, 원통상 (상면에서 볼 때에는 원형) 이다. 변형예 A 와 비교하여, 변형예 A3 에 있어서의 슬릿부 (20A3) 는, 양단측에 있어서는 도포부 (11A3) 와 비도포부 (15A3) 가, 보다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비도포부 (15A3) 를 도포부 (11A3) 의 경 (徑) (직경) 보다 작은 경 (직경) 의 원통상 (상면에서 볼 때에는 원형) 으로 하고 있다. 변형예 A3 에 의하면, 개구부 (21A3) 에 있어서의 양단측의 폭이 매우 넓게 되어 있기 때문에, 손톱끝부 (220) 가, 보다 삽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 변형예 A3 에 의하면, 비도포부 (15A3) 를 원통상 (상면에서 볼 때에는 원형) 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손톱끝부 (220) 의 내측면을 비도포부 (15A3) 의 측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손톱끝부 (220) 를 슬릿부 (20A3) 의 일단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손톱끝부 (220) 에 바람직하게 도포액 (110) 을 도포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a) 내지 (f) 에 의해, 슬릿부 (20) 의 깊이나 형상 등이 상이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 에는, 본 실시형태의 도포 부재 (10) 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a) 에 있어서의 A-A 단면도) 가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이하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단면도는, 각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시하지 않은 상면도에 있어서의 도 4(a) 의 A-A 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도포 부재 (10) 에 있어서의 슬릿부 (20) 는, 도포부 (11) 의 내측면과, 비도포부 (15) 의 내측면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바닥면 (27) 이 양 내측면과 직교하도록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릿부 (20) 의 바닥면 (27) 은, 도포부 (11) 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포부 (11) 는, 도포 부재 (10) 의 단면 (5) 과 반대측의 단면 (6) 측이 직경 방향에 있어서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D 의 도포 부재 (10D) 는, 본 실시형태의 도포 부재 (10) 와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지만, 슬릿부 (20D) 가 본 실시형태의 슬릿부 (20) 보다 깊이가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한 변형예이다. 변형예 D 의 도포 부재 (10D) 는,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도포 부재 (10) 보다 폭이 좁은 도포 라인을 형성 가능하다.
계속해서, 도 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E 의 도포 부재 (10E) 는, 본 실시형태의 도포 부재 (10) 와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지만, 도포부 (11E) 의 길이 (도포 부재 (10E)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가 비도포부 (15E) 의 길이보다 긴 점에서 상이한 변형예이다. 도포 부재 (10E) 에 있어서, 도포부 (11) 의 단면 (11aE) 이 비도포부 (15) 의 단면인 손가락 가이드부 (15a) 보다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 (도 5(c) 에 있어서의 상측에 배치) 되어 있는 점에서, 본 실시형태와 상이한 변형예이다. 변형예 D 의 도포 부재 (10D) 는,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도포 부재 (10) 보다 폭이 넓은 도포 라인을 형성 가능하다. 변형예 D 의 도포 부재 (10D) 는, 예를 들어, 손톱끝부 (220) 에 더하여, 손톱의 중앙부의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폭이 넓은) 도포 라인을 형성 가능하다.
계속해서, 도 5(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F 의 도포 부재 (10F) 는, 본 실시형태의 도포 부재 (10) 와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지만, 슬릿부 (20F) 의 바닥면 (27F) 이 비도포부 (15F) 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한 변형예이다. 비도포부 (15F) 는, 도포 부재 (10F) 의 단면 (5) 과 반대측의 단면 (6F) 측이 직경 방향에 있어서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5(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G 의 도포 부재 (10G) 는, 도포부 (11G) 와 비도포부 (15G) 가 접착부 (19) 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도포 부재 (10) 와 상이한 변형예이다. 또, 도포 부재 (10G) 는, 슬릿부 (20G) 의 폭이 본 실시형태의 슬릿부 (20) 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한 변형예이다. 또, 도포 부재 (10G) 에 있어서, 슬릿부 (20G) 의 바닥면 (27G) 은, 접착부 (19) 의 상면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에서, 접착부 (19) 는, 도포액 (110) 을 투과 또는 함침 가능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포액 (110) 을 투과 또는 함침시키지 않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계속해서, 도 5(f)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H 의 도포 부재 (10H) 는, 도포부 (11H) 의 외측면인 도포면 (22H) 이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점에서 상이한 변형예이다. 도포 부재 (10H) 는, 슬릿부 (20H) 에 있어서의 도포부 (11H) 측의 내측면 (도포면 (22H)) 이 단면 (5H) 측으로 향함에 따라 비도포부 (15H) 로부터 이간되도록 경사져 있는 점에서 상이한 변형예이다. 변형예 H 의 도포 부재 (10H) 는,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도포 부재 (10) 보다 손톱끝부 (220) 의 선단측에 대한 도포를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부 (60) 는, 비도포부 (15) 로부터 전달된 조작에 대응하여, 수용부 (120) 에 수용되는 도포액 (110) 을 도포부 (11) 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된다.
공급부 (60) 는, 가압 받아들임부 (61) 와, 가압 받아들임부 (61) 에 연결되고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덮개부 (63) 와, 수용부 (120) 의 통액공 (122) 으로부터의 도포액 (110) 을 흡수함과 함께 도포부 (11) 에 도포액 (110) 을 공급 가능한 흡액부 (65) 를 갖는다.
가압 받아들임부 (61) 는, 도포 부재 (10) (도포부 (11), 비도포부 (15)) 와 수용부 (120) 사이에 배치된다. 가압 받아들임부 (61)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도포부 (15) 에 대한 가압 조작을 받아들인다. 구체적으로는, 가압 받아들임부 (61) 는, 가압 조작을 받아 이동하는 비도포부 (15) 에 의해 가압되어 수용부 (120) 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가압 받아들임부 (61) 는, 통상 상태에 있어서, 스펀지재 등에 의해 구성되는 흡액부 (65) 에 의해 통상 위치 (도 1 에 나타내는 위치) 에 유지되고 있지만, 비도포부 (15) 의 이동에 의해 수용부 (120) 측의 공급 위치로 이동된다. 가압 받아들임부 (61) 가 공급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덮개부 (63) 도 후술하는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덮개부 (63) 는, 연결된 가압 받아들임부 (61) 와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덮개부 (63) 는, 흡액부 (65) 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 통과된 연결부 (62) 에 의해 가압 받아들임부 (61) 에 연결된다. 덮개부 (63) 는, 가압 받아들임부 (61) 가 통상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 (120) 의 통액공 (122) 을 막는 폐쇄 위치에 위치하여, 수용부 (120) 에 수용되는 도포액 (110) 의 흡액부 (65) 측으로의 통액을 규제한다. 덮개부 (63) 는, 가압 받아들임부 (61) 가 공급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 (120) 의 통액공 (122) 을 막지 않는 개방 위치에 위치한다. 이로써, 수용부 (120) 에 수용되는 도포액 (110) 은, 통액공 (122) 을 통해, 흡액부 (65) 에 공급된다.
흡액부 (65) 는, 수용부 (120) 의 통액공 (122) 으로부터의 도포액 (110) 을 흡수함과 함께 도포부 (11) 에 도포액 (110) 을 공급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액부 (65) 는, 가압 받아들임부 (61) 및 덮개부 (63) 를 소정 위치에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흡액부 (65) 는, 비도포부 (15) 에 대한 가압 조작에 의해 덮개부 (63) 가 개방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통액공 (122) 으로부터 공급되는 도포액 (110) 을 흡수하고 유지한다. 그리고, 흡액부 (65) 는, 유지한 도포액 (110) 을 도포부 (11) 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된다. 흡액부 (65) 는, 도포부 (11) 에 직접 맞닿아 도포액 (110) 을 공급해도 되고, 도포부 (11) 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액성의 공급 부재 (도시 생략) 를 개재하여 도포부 (11) 에 간접적으로 도포액 (110) 을 공급해도 된다.
계속해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액 (110) 을 수용하는 수용부 (120) 는, 외통부 (100) 에 있어서의 본체부 (105) 에 수용 배치된다. 수용부 (120) 는, 상기 서술한 공급부 (60) 를 개재하여, 도포액 (110) 을 도포부 (11) 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수용부 (120) 는, 공급부 (60) 와 유닛화되어 있다. 도포액 (110) 이 없어졌을 때에 있어서, 간이하게 일체적으로 교환 가능하다. 또, 사용 개시 전에 수용부 (120) 를 교환함으로써, 다른 색이나 성상의 도포액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부 (100) 는, 도포 부재 (10), 수용부 (120) 및 공급부 (60) 를 수용한다. 외통부 (100) 는, 선단부 (101) 와, 본체부 (105) 를 갖는다.
선단부 (101) 는, 도포 부재 (10) 를 유지한다. 선단부 (101) 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지부 (130) 에 의해 도포 부재 (10) 를 유지한다. 선단부 (101) 는, 단면 (5) 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도포 부재 (10) 를 유지한다. 또, 선단부 (101) 는, 그 선단부 (101) 의 단부로부터 단면 (5) 측의 단부를 돌출시킨 상태로 도포 부재 (10) 를 유지한다.
도 6 내지 도 9 에 의해, 도포구 (1) 에 있어서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 작업자는, 도포구 (1) 를 소정 각도로 유지하고, 손톱끝부 (220) 를 슬릿부 (20) 에 삽입한다. 슬릿부 (20) 에 있어서의 개구부 (21) 의 형상이 곡선상이기 때문에, 손톱끝부 (220) 가 스무스하게 삽입된다.
이로써, 슬릿부 (20) 는, 손톱끝부 (220) 가 삽입되면, 손톱끝부 (220) 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변형된다. 슬릿부 (20) (도포부 (11)) 는, 도포면 (22) 이 손톱끝부 (220) 의 표면에 바람직하게 면 맞닿도록 변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a) 에 나타내는 통상 상태로부터 도 7(b) 또는 도 7(c) 에 나타내는 사용 상태로 변형된다.
도 7(b) 는, 집게손가락의 손톱끝부 (220A) 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슬릿부 (20) (도포부 (11)) 는, 폭넓은 손톱끝부 (220A) 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된다.
도 7(c) 는, 새끼손가락의 손톱끝부 (220B) 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슬릿부 (20) (도포부 (11)) 는, 폭이 좁고 만곡 정도가 큰 손톱끝부 (220B) 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된다.
상기 서술로부터, 도포구 (1) 는, 슬릿부 (20) (도포부 (11)) 가 바람직하게 변형됨으로써, 크기나 형상이 상이한 손톱끝부에 대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6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 작업자는, 손가락끝 (201) 을 손가락 가이드부 (15a) 에 맞닿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손톱끝부 (220) 의 선단 (외측 가장자리) 은, 슬릿부 (20) 의 바닥면 (27) 에 맞닿지 않는다.
계속해서, 도포 작업자는, 슬릿부 (20) 에 손톱끝부 (220) 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도포구 (1) 를 손톱끝부 (220) 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로써, 도포구 (1) 는, 손톱끝부 (220) 에 소정 폭으로 곡선상의 도포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포구 (1) 는, 손톱끝부 (220) 의 표면 전체에 도포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9(a) 내지 (e) 에 의해, 도포 작업자가 슬릿부 (20) 에 손톱끝부 (220) 의 일단측으로부터 삽입하여, 도포구 (1) 를 손톱끝부 (220) 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회동 (回動) 하도록 타단측까지 이동시킨 경우 (도 8 참조) 에 있어서의 도포 부재의 동작 (변형) 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포 작업자가 손톱끝부 (220) 의 일단측을 슬릿부 (20) 의 일단 (20a) 측에 삽입함으로써, 도포 부재 (10) 는, 도 9(a) 의 통상 상태에서 도 9(b) 의 변형 상태로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부 (20) (도포부 (11)) 는, 그 일단 (20a) 측의 폭이 넓어지도록 변형된다. 슬릿부 (20) (도포부 (11)) 는, 도포면 (22) 이 일단 (20a) 측에 삽입된 손톱끝부 (220) 의 표면에 면 맞닿도록 변형된다.
계속해서, 도포 작업자가 도포구 (1) 를 손톱끝부 (220) 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단측으로부터 선단부측으로 회동 이동시킴으로써, 도포 부재 (10) 는, 도 9(b) 의 변형 상태에서 도 9(c) 의 변형 상태로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부 (20) (도포부 (11)) 는, 손톱끝부 (220) 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된다. 슬릿부 (20) (도포부 (11)) 는, 도포면 (22) 이 손톱끝부 (220) 의 표면 전체에 면 맞닿도록 변형된다.
계속해서, 도포 작업자가 도포구 (1) 를 손톱끝부 (220) 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선단부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회동 이동시킴으로써, 도포 부재 (10) 는, 도 9(c) 의 변형 상태에서 도 9(d) 의 변형 상태로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부 (20) (도포부 (11)) 는, 타단 (20b) 측의 폭이 넓어지도록 변형된다. 슬릿부 (20) (도포부 (11)) 는, 도포면 (22) 이 타단 (20b) 측에 삽입되어 있는 손톱끝부 (220) 의 표면에 면 맞닿도록 변형된다.
계속해서, 도포 작업자가 손톱끝부 (220) 의 타단측을 슬릿부 (20) 의 타단 (20b) 측으로부터 빼냄으로써, 도포 부재 (10) 는, 도 9(d) 의 변형 상태에서 도 9(e) 의 통상 상태로 변화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포구 (1) 에 있어서의 도포 부재 (10) (도포부 (11), 슬릿부 (20)) 는, 슬릿부 (20) 에 삽입된 손톱끝부 (220) 의 크기, 형상 및 이동에 대응하여, 도포면 (22) 이 손톱끝부 (220) 의 표면에 면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10 에 의해, 변형예 J 의 도포구 (1J) 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포구 (1J) 는, 슬릿부 (20J) 의 깊이가 본 실시형태의 슬릿부 (20) 보다 얕고, 비도포부 (15J) 의 단면 (손가락 가이드부 (15Ja), 도시 생략) 이 도포부 (11J) 의 단면보다 높은 (길이 방향으로 돌출) 변형예이다. 도포구 (1J) 는, 도포 영역이 좁은 도포 라인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변형예이다.
먼저, 도포 작업자는, 도포구 (1J) 에 있어서의 슬릿부 (20J) 에 손톱끝부 (220) 를 삽입한다. 슬릿부 (20J) 에 있어서의 개구부 (21) 의 형상이 곡선상이기 때문에, 손톱끝부 (220) 가 스무스하게 삽입된다.
계속해서, 도포 작업자는, 손가락끝 (201) 을 손가락 가이드부 (15a) 에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손톱끝부 (220) 의 선단 (외측 가장자리) 은, 슬릿부 (20J) 의 바닥면에 맞닿는다.
계속해서, 도포 작업자는, 슬릿부 (20J) 에 손톱끝부 (220) 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도포구 (1J) 를 손톱끝부 (220) 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회동하도록 이동시킨다. 이로써, 손톱끝부 (220) 에 소정 폭으로 곡선상의 도포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손톱끝부 (220) 의 전부가 아니라, 손톱끝부 (220) 의 외측 가장자리측에 소정 폭의 도포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 에 의해, 변형예 K 의 도포구 (1K)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포구 (1K) 는, 비도포부 (15K) 가 외통부 (100K) (선단부 (101K)) 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도포구 (1) 와 상이한 변형예이다. 도포구 (1K) 는, 비도포부 (15K) 와 외통부 (100K) 를 일체적으로 형성 가능한 도포구이다.
또, 변형예 K 의 도포구 (1K) 에 있어서, 비도포부 (15K) 의 단면인 손가락 가이드부 (15Ka) 와, 외통부 (100K) (선단부 (101K)) 의 단부는, 연속된 동일면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 가이드부 (15Ka) 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도포부 (15K) 의 단면인 손가락 가이드부 (15Ka) 와, 외통부 (100K) (선단부 (101K)) 의 단부가 동일면을 구성하지 않도록 해도 되고,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도포구 (1) 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와 동일하게 해도 된다.
또, 변형예 K 의 도포구 (1K) 는, 공급부 (60K) 를 동작시키는 별도의 부재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도포구 (1K) 는, 공급부 (60K), 수용부 (120K) 및 외통부 (100K) 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나 형상 등을 조정하여, 손가락 가이드부 (15Ka) 에 대한 가압 조작에 의해, 비도포부 (15K) 및 외통부 (100K) 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이동하여 공급부 (60K) 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 (변형예를 포함함) 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구는, 도포액을 함침 가능 또는 도포액을 함침시킨 도포부와, 도포부에 맞닿거나 또는 소정 거리만큼 이간하여 대향 배치되고, 도포액을 함침 또는 투과시키지 않는 비도포부와, 도포부와 비도포부 사이에 배치되고, 손톱끝부가 삽입 가능한 슬릿부와, 슬릿부의 내측면을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도포부의 외측면으로서, 삽입된 손톱끝부의 표면에 면 맞닿아 도포액을 도포 가능한 도포면을 갖는다. 이로써, 도포 작업자는, 슬릿부에 손톱끝부를 삽입함으로써, 간이하게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도포액을 도포할 수 있다.
또, 슬릿부는, 삽입된 손톱끝부와 그 도포구 (도포 부재) 의 상대 이동을 가이드 가능하다. 이로써, 도포 작업자는, 삽입된 손톱끝부와 그 도포구 (도포 부재) 를 상대 이동시키는 것, 예를 들어, 도포구를 손톱끝부의 외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간이하게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도포액을 도포할 수 있다.
또, 도포구는, 비도포부의 외측면에 있어서의 슬릿부에 손톱끝부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손가락끝이 맞닿는 영역에 배치되는 손가락 가이드부를 추가로 갖는다. 이로써, 도포 작업자는, 간이하게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도포액을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포 작업자는, 주로 사용하는 손이 아닌 손으로 작업한 경우라도 간이하게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도포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이로부터, 도포구는, 손가락끝에 도포액을 부착시키지 않고, 손톱끝부에 도포 라인을 형성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손가락 가이드부는, 슬릿부에 손톱끝부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도포구를 손톱끝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시킨 경우, 손가락끝에 맞닿아 그 도포구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로써, 도포 작업자는, 간이하게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도포액을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포 작업자는, 주로 사용하는 손이 아닌 손으로 작업한 경우라도 간이하게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도포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이로부터, 도포구는, 손가락끝에 도포액을 부착시키지 않고, 손톱끝부에 도포 라인을 형성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 부재 (도포부 및 비도포부) 는, 길이 방향 (제 1 방향) 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상이고, 슬릿부는, 길이 방향 (제 1 방향) 에 있어서의 단면 (단부) 에 배치된다. 또, 도포구는, 도포 부재 (도포부 및 비도포부) 를 일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수용하는 외통부를 추가로 갖고, 슬릿부의 개구부는, 외통부로부터 노출된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슬릿부에 손톱끝부를 삽입함으로써, 간이하게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도포액을 도포할 수 있다. 또, 이로써, 도포구는, 펜형의 도포구가 되어, 도포 작업성이 향상된다. 특히 펜형의 도포구에 익숙한 도포 작업자에게는 바람직한 양태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슬릿부에 있어서의 개구부는, 도포부측으로 불룩해지는 곡선상이다. 이로써, 도포 작업자는, 슬릿부에 손톱끝부를 간이하게 삽입 가능하다. 이로써, 도포구는, 도포 작업을 간이하게 하고,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도포액을 도포하는 작업을 간이하게 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구는, 슬릿부에 의해 (도포부와 비도포부에 의해) 삽입된 손톱끝부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손톱끝부의 표면에 도포액을 도포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로써, 도포구는, 손톱끝부의 표면에 도포액을 도포 가능함과 함께, 슬릿부에 의해 삽입된 손톱끝부를 사이에 두고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도포 작업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포 작업자는, 도포구를 손톱끝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회동하도록 이동시켜 도포액을 도포하지만, 손톱끝부가 슬릿부에 끼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도포구가 흔들리거나 하기 어려워, 예쁜 도포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슬릿부 (도포부, 비도포부 및 도포면) 는, 손가락 가이드부와 함께, 도포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구는, 도포부가 비도포부보다 유연성이 높아지도록 구성된다. 도포부는, 소재, 형상이나 슬릿부의 형상 등을 조정함으로써, 비도포부보다 탄성 변형성 (압축 및 신축) 이 높아지도록 조정된다. 도포부는, 슬릿부에 삽입된 손톱끝부의 크기, 형상 및 이동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유연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도포 작업자는, 슬릿부에 손톱끝부를 삽입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도포액을 도포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구는, 도포부가 슬릿부에 손톱끝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그 도포구와 손톱끝부가 상대 이동되면, 손톱끝부의 표면에 가압되어 변형되고, 도포면이 손톱끝부의 표면에 면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도포 작업자는, 슬릿부에 손톱끝부를 삽입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도포액을 도포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구는, 도포액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에 수용된 도포액을 도포부에 공급 가능한 공급부를 갖는다. 이로써, 도포구는, 장기간 사용 가능하다. 또, 도포구는, 도포부에 도포액을 바람직하게 유지 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게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도포액을 도포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구는, 비도포부가 외부로부터의 조작을 공급부에 전달 가능하게 배치되고, 공급부가 비도포부로부터 전달된 조작에 대응하여, 수용하는 도포액을 도포부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로써, 도포구는, 도포 작업자가 비도포부 (손가락 가이드부) 를 가압함으로써, 도포부에 도포액을 공급 시킬 수 있다. 도포구는, 예를 들어, 도포 작업 중에 간이한 조작으로 도포부에 도포액을 공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로써, 도포구는, 보다 도포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포구는, 비도포부가 외통부 (선단부) 에 연결 또는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도포구는, 비도포부를 외통부와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성이 우수하다. 또, 도포구는, 비도포부의 단면인 손가락 가이드부와, 외통부 (선단부) 의 단부를 연속된 동일면을 구성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손가락 가이드부 (15Ka) 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도포구는, 보다 간이하게 손톱끝부에 일정한 폭으로 도포액을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릿부는, 1 개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여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릿부의 개구부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외주는, 대략 동일한 형상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상이한 만곡 정도의 외주여도 된다. 요컨대, 슬릿부의 대향 배치되는 내측면은, 서로 상이한 곡면 형상이어도 된다. 또, 바꾸어 말하면, 슬릿부의 내측면을 구성하는 도포부의 외측면 (도포면) 과, 슬릿부의 내측면을 구성하는 비도포부의 외측면은, 서로 상이한 곡면 형상이어도 된다. 이들의 형상은, 손톱끝부에 대한 도포성을 시점으로 하여,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포부의 단면은 평면상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곡면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구 (1L) 에 있어서의 비도포부 (15L) 측으로부터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도포부 (11L) 에 있어서의 단면의 외측 가장자리가, 중앙부가 돌출된 곡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슬릿부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홈이 깊고, 단부 측이 얕게 되어, 손톱끝부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어, 손톱끝부에 도포액을 바람직하게 도포할 수 있다. 또, 도 12 에 있어서는, 비도포부 (15L) 가 외통부 (100L) 로부터 1 ∼ 5 ㎜ 돌출되어 배치되고, 도포부 (11L) 가 비도포부 (15L) 로부터 추가로 0 ∼ 15 ㎜ 돌출되어 배치된다. 도포 부재 (10) (도포부 (11)) 는, 외통부 (100) 로부터 0 ∼ 20 ㎜ 돌출되어 수용 배치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도포부의 단면은, 비도포부의 폭 방향 (직경 방향, 각 도면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 에 평행한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곡면상이나 폭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상이한 복수의 평면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도포부 (15) 의 단면 (손가락 가이드부 (15a)) 은, 도포부 (11L) 측 (슬릿측) 으로 향함에 따라 타방의 단부측 (도 13 에 있어서 하방) 을 향하도록 경사진 곡면 또는 평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손가락 가이드부 (15aL) 는, 도포부 (11L) 측 (슬릿측) 의 일부가, 측면에서 볼 때 (L-L 단면) 에 있어서 하방으로 향하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손가락 가이드부 (15aL) 는 맞닿게 되는 손가락끝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이고, 손가락끝을 손가락 가이드부 (15aL) 에 맞닿게 한 상태에 있어서 손톱끝부의 표면이 도포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손톱끝부의 표면을 도포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로써, 도포구는, 손톱끝부에 도포액을 바람직하게 도포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도포부는, 외면에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홈부를 가져도 된다. 복수의 홈부는, 비도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폭 방향 (외주 방향) 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길이 방향이나 폭 방향에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하나 또는 복수의 홈부는, 도포액을 유지 가능하게 형성된다. 홈부는, 도포부에 공급되는 도포액을 유지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 도포구 (도포 부재) 는, 홈부에 유지된 도포액을 이용하여 손톱끝부에 도포 라인을 형성한다. 홈부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도포액을 유지하고, 도포구 (도포부) 에 있어서의 도포 시간을 조정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도포부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조작은 가압 조작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잡아당김 조작, 슬라이드 조작, 회전 조작, 비틂 조작 등, 공급부를 받아들일 수 있게 설정된 조작 내용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서술한 도포구는, 도포부로부터의 도포액의 증발을 억제 가능하고, 그 도포구에 착탈 가능한 캡부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
1 : 도포구
5 : 단면
10 : 도포 부재
11 : 도포부
15 : 비도포부
15a : 손가락 가이드부
20 : 슬릿부
21 : 개구부
22 : 도포면
60 : 공급부
100 : 외통부
101 : 선단부
110 : 도포액
120 : 수용부
220 : 손톱끝부

Claims (12)

  1. 도포액을 함침 가능 또는 도포액을 함침시킨 도포부와,
    상기 도포부에 맞닿거나 또는 소정 거리만큼 이간하여 대향 배치되고, 도포액을 함침 또는 투과시키지 않는 비도포부와,
    상기 도포부와 상기 비도포부 사이에 배치되고, 손톱끝부가 삽입 가능한 슬릿부와,
    상기 슬릿부의 내측면을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도포부의 외측면으로서, 삽입된 손톱끝부의 표면에 면 맞닿아 상기 도포액을 도포 가능한 도포면을 갖는 도포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는,
    삽입된 손톱끝부와 그 도포구의 상대 이동을 가이드 가능한 도포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포부의 외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슬릿부에 손톱끝부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손가락끝이 맞닿는 영역에 배치되는 손가락 가이드부를 추가로 갖는 도포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가이드부는,
    상기 슬릿부에 손톱끝부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그 도포구를 손톱끝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시킨 경우, 손가락끝에 맞닿아 그 도포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도포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 및 상기 비도포부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상이고,
    상기 슬릿부에 있어서의 개구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배치되는 도포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에 있어서의 개구부는, 상기 도포부측으로 불룩해지는 곡선상인 도포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비도포부보다 유연성이 높은 도포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슬릿부에 손톱끝부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그 도포구와 손톱끝부가 상대 이동되면, 손톱끝부의 표면에 가압되어 변형되고, 상기 도포면이 손톱끝부의 표면에 면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는 도포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 및 비도포부를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수용하는 외통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슬릿부의 개구부는, 상기 외통부로부터 노출된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도포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포부는, 상기 외통부에 연결 또는 고정되어 있는 도포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포액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도포액을 상기 도포부에 공급 가능한 공급부를 갖는 도포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포부는, 외부로부터의 조작을 상기 공급부에 전달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비도포부로부터 전달된 조작에 대응하여, 수용하는 도포액을 상기 도포부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는 도포구.
KR1020227025132A 2020-11-05 2021-10-29 도포구 KR202201252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85468A JP2022074977A (ja) 2020-11-05 2020-11-05 塗布具
JPJP-P-2020-185468 2020-11-05
PCT/JP2021/040179 WO2022097591A1 (ja) 2020-11-05 2021-10-29 塗布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261A true KR20220125261A (ko) 2022-09-14

Family

ID=8145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132A KR20220125261A (ko) 2020-11-05 2021-10-29 도포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2022074977A (ko)
KR (1) KR20220125261A (ko)
WO (1) WO202209759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332A (ja) 2005-01-25 2006-08-10 Aubex Corp ネイルアート用塗布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28729A6 (es) * 1991-03-08 1992-07-01 Garcia Rodriguez Manuel Dispositivo aplicador de esmalte de unas.
FR2836029B1 (fr) * 2002-02-21 2004-05-07 Oreal Dispositif pour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ongles
JP6145272B2 (ja) * 2012-01-13 2017-06-07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CN110891458B (zh) * 2017-10-26 2023-01-24 奥汀福图斯有限公司 眼线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332A (ja) 2005-01-25 2006-08-10 Aubex Corp ネイルアート用塗布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74977A (ja) 2022-05-18
WO2022097591A1 (ja) 2022-05-12
JP2024040267A (ja) 202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7098B1 (en) Decorating and cutting device with cutting device blade biasing
TWI635967B (zh) ball-point pen
EP1857013A1 (en) Applicator for nail art
JP6145272B2 (ja) 塗布具
JP2010284927A (ja) 塗布具
KR20220125261A (ko) 도포구
US20160250884A1 (en) Pressure fluctuation buffering mechanism and applicator
EP3805008A1 (en) Writing implement
EP1083061A1 (en) Writing implement
JP2021028163A (ja) 筆記具
JP6696130B2 (ja) ペン先
JP2015080856A (ja) 圧力変動緩衝機構及び塗布具
KR102510452B1 (ko) 액체 화장료 보유·공급용 패드
EP4011640A1 (en) Writing implement
JP7042556B2 (ja) 筆記具
JPS6337100Y2 (ko)
JP2021132833A (ja) 塗布具
JPH09193598A (ja) 白板消し具
WO2024075805A1 (ja) 筆記具
JP7224136B2 (ja) 筆記具
JP2014037074A (ja) 液体塗布具
WO2022075421A1 (ja) 筆記具用繊維束体、それを用いたペン先、筆記具
JPH0744241Y2 (ja) 頭髪用塗布具の先端部材
JP2010149441A (ja) 液体塗布具
CN112074418B (zh) 笔及笔用替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