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772A - 화장 시트 및 화장판 - Google Patents

화장 시트 및 화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772A
KR20220124772A KR1020227027306A KR20227027306A KR20220124772A KR 20220124772 A KR20220124772 A KR 20220124772A KR 1020227027306 A KR1020227027306 A KR 1020227027306A KR 20227027306 A KR20227027306 A KR 20227027306A KR 20220124772 A KR20220124772 A KR 20220124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ecorative sheet
matting
resin
surface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이세야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4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2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2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wood grain eff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2Gloss-reduc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8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nother layer of paper or cardboard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높은 내상성을 유지하면서, 내오염성·내테이프성도 우수한 화장 시트 및 화장판을 제공한다. 화장 시트에 있어서,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의 면 상에 형성된 광택 소거층과, 상기 기재의 상기 광택 소거층 측의 면 상에 형성된 표면 보호층을 구비하고, 상기 광택 소거층 및 상기 표면 보호층은 자외선 경화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광택 소거층은 구상 필러를 함유하고 있다.

Description

화장 시트 및 화장판
본 발명은, 화장 시트 및 화장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택 소거층의 수지의 구분 도포에 의해 엠보스감을 표현하고, 손 감촉감을 재현한 화장 시트에 있어서, 광택 소거층의 내상성의 낮음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비해, 광택 소거층에 입경을 한정한 무기 필러를 넣음으로써, 의장성과 우수한 감촉감에 더하여 높은 내상성을 겸비한 화장 시트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65030호 공보
그러나, 광택 소거층이 우레탄 수지와 자외선 경화 수지의 혼합 수지인 화장 시트는, 내후성에서는 우수하지만, 내오염성 및 내테이프성이 충분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높은 내상성을 유지하면서, 내오염성·내테이프성도 우수한 화장 시트 및 화장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화장 시트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의 면 상에 형성된 광택 소거층과, 상기 기재의 상기 광택 소거층 측의 면 상에 형성된 표면 보호층을 구비하고, 상기 광택 소거층 및 상기 표면 보호층은 자외선 경화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광택 소거층은 구상 필러를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높은 내상성을 유지하면서, 내오염성·내테이프성도 우수한 화장 시트 및 화장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 및 화장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고, 두께와 평면 치수의 관계, 각 층의 두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르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구성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구성 부품의 재질, 형상 및 구조 등을 하기의 것으로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이 규정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변경을 추가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화장 시트)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의 기본 구성에 대해서,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10)의 일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10)는, 기재층(2)의 한쪽의 면측에, 하지 착색층(3), 무늬 모양층(4), 광택 소거층(5) 및 표면 보호층(7)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기재층)
기재층(2)은, 화장 시트(10)의 기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재층(2)으로서, 원지층이 사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원지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박엽지가 사용된다. 박엽지는, 예를 들어 평량이 20g/㎡ 이상 100g/㎡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2)에는, 박엽지뿐만 아니라, 티타늄지, 상질지, 크라프트지 등을 적용할 수 있고,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재층(2)으로서, 종이 기재만을 사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다른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재층(2)으로서,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층(2)은, 종이 기재와 수지 재료의 적층 구조여도 된다.
또한, 기재층(2)이 수지 재료인 경우, 수지 재료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대표되는 것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에는, 예를 들어 산화티타늄이나 탄산칼슘 등의 무기 재료를 첨가제로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스테르 중 적어도 1종을 사용함으로써, 무기 재료의 분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함으로써, 무기 재료의 분산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기재층(2)이 수지 필름인 경우, 수지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로 하는 필름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에는, 상술한 무기 재료를 첨가제로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기재층(2)이 수지 필름인 경우, 기재층(2)은 1축 혹은 2축으로 연신된 수지 필름이어도 된다. 1축 혹은 2축으로 연신된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기재층(2)은, 내부에 공극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하지 착색층)
하지 착색층(3)은, 기재층(2) 상에 형성되고, 화장 시트(10)에 원하는 색채에 의한 의장성을 부여함과 함께, 화장 시트(10)를 부착할 수 있는 하지의 색·모양을 은폐하기 위한 층이다. 하지 착색층(3)은, 예를 들어 잉크의 솔리드 칠 등에 의해 형성된다.
하지 착색층(3)은, 기재층(2)의 전체 면을 피복하도록 하여 마련된다. 또한, 하지 착색층(3)은, 은폐성 등, 필요에 따라 2층 이상의 다층으로 해도 된다.
하지 착색층(3)의 구성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와, 염료, 안료 등의 착색제를 용제 중에 용해, 분산하여 이루어지는 인쇄 잉크나 코팅제를 사용할 수 있다. 매트릭스로서는, 예를 들어 유성의 질화면 수지, 2액형 우레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비닐계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고무계 수지 등의 각종 합성 수지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 티타늄 화이트, 아연화, 벵갈라, 황연, 감청, 카드뮴 레드 등의 무기 안료나, 아조 안료, 레이크 안료, 안트라퀴논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이소인돌리논 안료, 디옥사진 안료 등의 유기 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톨루엔, 크실렌,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물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 착색층(3)의 두께는, 원하는 의장성이 충분히 발현되는 정도의 두께이면 된다. 하지 착색층(3)의 두께는, 예를 들어 2㎛ 이상 20㎛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 착색층(3)의 두께를 상술한 범위 내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백색이나 담색으로 착색하는 경우라도 기재층(2)의 색이나 오염에 대하여 충분한 은폐성을 발현할 수 있고, 또한, 하지 착색층(3)을 구성하는 잉크층 사이의 밀착 강도의 저하를 방지하고, 충분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무늬 모양층)
무늬 모양층(4)은, 하지 착색층(3) 상에 형성되고, 의장성을 부여하기 위한 무늬를 부가하기 위한 층이다. 무늬로서는, 예를 들어 나무결, 코르크, 돌결, 타일, 도자기, 추상 무늬 등, 화장 시트(10)를 사용하는 개소에 적합한 무늬를 선택할 수 있다.
무늬 모양층(4)의 구성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하지 착색층(3)과 마찬가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무늬 모양층(4)의 두께는, 원하는 의장성이 충분히 발현되는 정도의 두께이면 된다. 무늬 모양층(4)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 이상 10㎛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무늬 모양층(4)의 두께」란, 잉크가 인쇄된 부분의 두께를 말한다. 무늬 모양층(4)은, 하지 착색층(3)의 전체 면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무늬 모양층(4)으로부터 하지 착색층(3)이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무늬 모양층(4)의 두께를 상술한 범위 내로 함으로써, 무늬를 선명하게 표현하거나, 무늬에 계조를 붙임으로써 의장성을 높이거나 할 수 있고, 또한, 복수색을 겹쳐서 인쇄한 때에 상층의 색과 하층의 색이 겹침으로써 한정된 색으로 표현 가능한 색채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광택 소거층)
광택 소거층(5)은, 무늬 모양층(4) 상에 형성되고, 무늬 모양층(4)의 전체를 피복하는 층이다. 또한, 광택 소거층(5)은, 광택 소거층(5)을 통하여 하지 착색층(3) 및 무늬 모양층(4)의 무늬를 투시할 수 있을 정도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료(예를 들어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즉, 광택 소거층(5)은, 광투과성(투광성)을 갖는다.
광택 소거층(5)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 수지(UV 경화형 수지)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택 소거층(5)은, 경도가 높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표면에 노출한 광택 소거층(5)에 의해, 화장 시트(10)의 내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고형분을 용해하기 위한 용제로서는,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광택 소거층(5)을 형성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는, 광택 소거제(광택 조정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택 소거제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 알루미나(α-알루미나 등), 탄산칼슘, 황산바륨, 카올리나이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등의 무기물의 입자, 혹은 폴리카르보네이트, 나일론, 우레탄 수지 등의 유기물의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구상 필러(6)는,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등의 무기 화합물의 필러이다. 무기 화합물의 필러를 사용함으로써 유기 화합물의 필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경도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수지층의 경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광택 소거층(5)에 제1 구상 필러(6)를 사용함으로써, 내상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택 소거층(5)을 형성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는, 평균 입자경이 광택 소거층(5)의 층 두께와 거의 동등한 입경의 제1 구상 필러(6)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광택 소거층(5)의 두께가 7.0㎛인 경우, 제1 구상 필러(6)의 평균 입자경은, 3.0㎛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택 소거층(5)의 층 두께 이하의 입경의 제1 구상 필러(6)를 사용함으로써, 광택 소거층(5)으로부터 제1 구상 필러(6)가 탈피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평균 입자경」이란, 메디안 직경(D50 입경)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광택 소거층(5)의 광택도는, 입사각 60도에서 1.5 이상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택도」란, JIS Z-8741에 준한 경면 광택도 측정법에 의해 측정되는 광택도를 말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택 소거층(5)과 표면 보호층(7)의 광택 차에 의해, 실제의 나무결에 가까운 우수한 의장성을 실현시키고 있다. 광택도가 4.0 이하이면 표면 보호층(7)과의 광택 차에서 우수한 의장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경험칙으로부터, 광택 소거층(5)의 광택도가 1.5 미만이 되는 것은 일어나기 어렵다.
이와 같이, 광택 소거층(5)을, 광택 소거층(5)의 층 두께와 거의 동등한 입경의 제1 구상 필러(6)를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만을 사용하여 구성함으로써, 내마모성·내상성이 우수하고, 제1 구상 필러(6)가 탈피하기 어려운 화장 시트(10)를 얻을 수 있다.
(표면 보호층)
표면 보호층(7)은, 광택 소거층(5)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광택 소거층(5)의 일부를 피복하는 층이다. 이에 의해, 나무결의 도관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표면 보호층(7)은, 표면 보호층(7) 및 광택 소거층(5)을 통하여 무늬 모양층(4)의 무늬를 투시할 수 있을 정도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료(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즉, 표면 보호층(7)은, 광택 소거층(5)과 동일하게, 광투과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늬 모양층(4) 상에, 투명 또는 반투명한 광택 소거층(5), 표면 보호층(7)을 갖기 때문에, 화장 시트(10)의 최표면층으로부터 무늬 모양층(4)의 무늬를 투시할 수 있다. 또한, 광택 소거층(5)의 일부를 피복하는 표면 보호층(7)을 가짐으로써, 화장 시트(10)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면 보호층(7)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 수지(UV 경화형 수지)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층(7)은, 경도가 높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화장 시트(10)의 최표면층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화장 시트(10)의 내마모성이나, 내상성, 내용제성 등의 표면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고형분을 용해하기 위한 용제로서는,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면 보호층(7)의 재료로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 대신에,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 보호층(7)을 형성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는, 평균 입자경이 40㎛ 이상 80㎛ 이하의 제2 구상 필러(8)를 첨가해도 된다. 표면 보호층(7)에 제2 구상 필러(8)를 첨가함으로써, 화장 시트(10)의 표면이 나무의 판의 표면에 가까운 감촉감이 될 수 있다. 제2 구상 필러(8)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필러 또는 우레탄계 필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보호층(7)은, 광택 소거층(5)의 10% 이상 90% 이하의 면적을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택 소거층(5)을 내상성이나 내오염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했기 때문에, 표면 보호층(7)의 면적이 광택 소거층(5)의 면적 10% 이상이면, 화장 시트(10)를 내상성이나 내오염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광택 소거층(5) 및 표면 보호층(7)은, 무늬 모양층(4)의 무늬를 투시할 수 있을 정도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료(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보호층(7)의 면적이 광택 소거층(5)의 면적의 90% 이하여도, 화장 시트(10)의 의장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표면 보호층(7)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환, 사각형, 육각형 등의 규칙적으로 나열한 정형의 형상으로 해도 되고, 부정형인 무늬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무늬 모양층(4)의 무늬와 동조시킨 형상으로 해도 되고, 이에 의해 무늬를 리얼하게 보일 수 있다.
또한, 화장 시트(10)의 최표면층인 표면 보호층(7)의 표면에 엠보스 가공(엠보스 판을 사용한 요철 부형)을 행하여, 엠보스 모양을 부형(부여)해도 된다. 이 경우, 표면 보호층(7)의 표면에 부형된 엠보스 모양에 의해, 촉감에 의한 입체감을 보다 느끼게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엠보스 가공에서는, 예를 들어 심도 15㎛ 이상의 오목부를 엠보스 롤과, 경도가 50도 이상 90도 미만의 고무제의 백 롤 사이를 통과시켜서, 화장 시트(10)에 요철 형상을 실시하게 해도 된다. 경도의 계측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JIS K-6253에 나타내는 측정 방법을 들 수 있다. 엠보스 모양으로서는, 예를 들어 나무결판 도관 홈, 석판 표면 요철, 천 표면 텍스쳐, 배껍질 무늬, 모래 무늬, 헤어라인, 스트라이프 홈 등이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10)는,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1)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0)는, 광택 소거층(5) 및 표면 보호층(7)이 자외선 경화형 수지만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다 높은 내오염성, 내테이프성을 실현할 수 있다.
(2)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0)는, 광택 소거층(5)이 제1 구상 필러(6)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다 높은 내후성을 실현할 수 있다.
(3)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0)는, 표면 보호층(7)에 제2 구상 필러(8)를 첨가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촉감이 향상된다.
<제2 실시 형태>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판에 대해서,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판(20)의 일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화장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판(20)은, 상술한 화장 시트(10)의 기재층(2)의 다른 쪽의 면을, 화장판용 기재(9)에 접합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판(20)은, 기재층(2)의 한쪽의 면측에, 하지 착색층(3), 무늬 모양층(4), 광택 소거층(5) 및 표면 보호층(7)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고, 기재층(2)의 다른 쪽의 면 상에, 화장판용 기재(9)가 마련되어 있다.
(화장판용 기재)
화장판용 기재(9)로서는, 종래의 일반 화장재에 사용되고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종이 기재로서, 박지, 티타늄지, 함침지를 사용해도 된다.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부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금속 중화물(아이오노머) 등의 올레핀계 공중합체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트)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수지, 6-나일론, 6,6-나일론, 6,10-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스티렌, AS 수지, ABS 수지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등의 불소계 수지 등, 혹은 그것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공중합체, 복합체, 적층체 등을 사용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실시예
[실시예 1]
평량 30g/㎡의 박엽지의 표면에, 질화면계 그라비아 인쇄 잉크를 도포하고, 하지 착색과 은폐성 부여를 겸한 1색의 하지 착색층(3)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하지 착색층(3) 상에 질화면계 그라비아 인쇄 잉크를 도포하여, 도관 모양을 제외하는 3색의 나무결 무늬층과, 해당 나무결 무늬층에 동조한 1색의 도관 무늬층을 순차 인쇄하고, 무늬 모양층(4)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무늬 모양층(4) 상에, 평균 입자경이 1.0㎛인 실리콘계 필러(제1 구상 필러(6))를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를 층 두께가 7.0㎛, 건조 후 도포량이 3.0g/㎡가 되도록 도공하고, 광택 소거층(5)을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광택 소거층(5) 상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광택 소거층(5)의 표면 면적 비율로 20%를 덮도록 그라비아법에 의해 도포하여, 표면 보호층(7)을 형성하였다.
이상에 의해, 실시예 1의 화장 시트(10)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2]
광택 소거층(5)에 포함되는 제1 구상 필러(6)의 평균 입자경을 3.0㎛로 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재료·수순으로 실시예 2의 화장 시트(10)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광택 소거층(5)에 포함되는 제1 구상 필러(6)의 평균 입자경을 8.0㎛로 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재료·수순으로 실시예 3의 화장 시트(10)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표면 보호층(7)에 아크릴계 필러(제2 구상 필러(8))를 첨가하고, 제2 구상 필러(8)의 평균 입자경을 40㎛로 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재료·수순으로 실시예 4의 화장 시트(10)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광택 소거층(5)에 포함되는 제1 구상 필러(6)의 평균 입자경을 3.0㎛로 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재료·수순으로 실시예 5의 화장 시트(10)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
광택 소거층(5)에 포함되는 제1 구상 필러(6)의 평균 입자경을 7.0㎛로 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재료·수순으로 실시예 6의 화장 시트(10)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
광택 소거층(5)에 포함되는 제1 구상 필러(6)의 평균 입자경을 8.0㎛로 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재료·수순으로 실시예 7의 화장 시트(10)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
표면 보호층(7)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필러를 우레탄계 필러로 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재료·수순으로 실시예 8의 화장 시트(10)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9]
표면 보호층(7)으로서 자외선 경화 수지를 화장 시트의 표면의 면적 비율로 1%를 차지하도록 도포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재료·수순으로 실시 예 9의 화장 시트(10)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
표면 보호층(7)으로서 자외선 경화 수지를 화장 시트의 표면 면적 비율로 95%를 차지하도록 도포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재료·수순으로 실시예 10의 화장 시트(10)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1]
표면 보호층(7)에 포함되는 제2 구상 필러(8)의 평균 입자경을 20㎛로 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재료·수순으로 실시예 11의 화장 시트(10)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2]
표면 보호층(7)에 포함되는 제2 구상 필러(8)의 평균 입자경을 90㎛로 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재료·수순으로 실시예 12의 화장 시트(10)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실리콘계 필러를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 대신에, 실리콘계 필러를 함유하는 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하여 광택 소거층(5)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자외선 경화 수지 대신에, 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하여 표면 보호층(7)을 형성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재료·수순으로 비교예 1의 화장 시트(10)를 형성하였다.
[비교예 2]
자외선 경화 수지 대신에, 열경화형 수지와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광택 소거층을 형성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재료·수순으로 비교예 2의 화장 시트(10)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실리콘계 필러를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 대신에, 실리콘계 필러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여 광택 소거층을 형성하였다.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재료·수순으로 비교예 3의 화장 시트(10)를 제작하였다.
(평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 시트(10)에 대해서, 내상성 평가, 내오염성 평가, 내테이프성 평가 및 촉감 평가를 행하였다.
[내상성 평가]
1㎠의 스틸 울을 화장 시트(10)의 표면에 배치하고, 스틸 울에 100g의 하중을 가하여, 동일 개소를 10 왕복시킨 후, 눈으로 보아 화장 시트(10)의 표면 상태를 관찰하고, 이하의 ◎, ○, △, ×의 4단계로 평가하였다.
◎: 흠집 및 광택 변화를 확인할 수 없다
○: 흠집은 확인할 수 없지만, 시험 개소의 일부에 대하여 지극히 경미한 광택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 흠집은 확인할 수 없지만, 시험 개소 전체의 광택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 시험 개소 전체의 광택 변화에 추가하여, 일부의 무늬 모양층(4)의 결손을 확인할 수 있다
[내오염성 평가]
JAS(일본 농림 규격: Japanese Agricultural Standards)에 규정되는 오염 A 시험에 준거하여 화장 시트(10)의 내오염성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오염물로서 적색 크레용을 사용하였다. 적색 크레용을 닦아낸 후, 눈으로 보아 화장 시트(10)의 표면 상태를 관찰하고, 이하의 ◎, ○, ×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 적색 크레용이 전혀 남아있지 않다
○: 적색 크레용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
×: 적색 크레용이 남아있다
[내테이프성 평가]
니치반제 24mm 폭 셀로판 테이프(등록 상표)를 화장 시트(10)의 표면에 부착하고, 60℃ 환경 하에서 3일간 정치한 후, 45°의 각도로 급격하게 박리하여, 눈으로 보아 화장 시트(10)의 표면 상태를 관찰하고, 이하의 ◎, ×의 2단계로 평가하였다.
◎: 화장 시트의 표면이 박리되어 있지 않다
×: 화장 시트의 표면이 박리되었다
[촉감 평가]
피험자 10명에게 화장 시트의 표면을 손가락으로 만지게 하여, 표면의 거칠음 상태를 평가하였다. 판유리와 같은 평활한 표면을 ×, 나무의 판의 표면에 가깝게 느끼는 것을 ◎로 하여, ×, ○, ◎의 3단계로 평가하고, 가장 많았던 평가를 채용하였다.
◎: 표면이 나무의 판의 표면에 가깝게 느낀다
○: 표면의 일부분이 나무의 판의 표면에 가깝게 느낀다
×: 표면이 평활하여 판유리와 같이 느낀다
(평가 결과)
이하의 표 1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 시트의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표 2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내상성, 내오염성, 내테이프성 및 촉감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 중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2,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평가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12와 같이 광택 소거층(5)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3과 같이 광택 소거층(5)에 우레탄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높은 내상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2와 비교예 2의 평가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12와 같이 광택 소거층(5)에 자외선 경화 수지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비교예 2와 같이 광택 소거층(5)에 열경화형 수지와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혼합물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높은 내오염성 및 높은 내테이프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내지 3과, 실시예 1, 5, 7을 각각 비교한 평가 결과로부터, 표면 보호층(7)에 필러를 첨가함으로써 촉감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원지층
3: 하지 착색층
4: 무늬 모양층
5: 광택 소거층
6: 제1 구상 필러
7: 표면 보호층
8: 제2 구상 필러
9: 화장판용 기재
10: 화장 시트
20: 화장판

Claims (9)

  1.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의 면 상에 형성된 광택 소거층과,
    상기 기재의 상기 광택 소거층 측의 면 상에 형성된 표면 보호층을
    구비하고,
    상기 광택 소거층 및 상기 표면 보호층은 자외선 경화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광택 소거층은 제1 구상 필러를 함유하고 있는 화장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상 필러의 평균 입자경은, 상기 광택 소거층의 층 두께 이하인 화장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상 필러의 평균 입자경은, 3.0㎛ 이상 7.0㎛ 이하의 범위 내인 화장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층은, 상기 광택 소거층의 10% 이상 90% 미만의 면적을 피복하고 있는 화장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층은, 제2 구상 필러를 함유하고 있는 화장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상 필러는, 아크릴계 필러 또는 우레탄계 필러인 화장 시트.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상 필러의 평균 입자경은, 40㎛ 이상 80㎛ 이하의 범위 내인 화장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 소거층의 광택도는, JIS Z-8741에 준거한 경면 광택도 측정법에 의해 측정되는 광택도이고, 입사각 60도에서 1.5 이상 4.0 이하인 화장 시트.
  9. 화장판용 기재와,
    상기 화장판용 기재에 접합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 시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KR1020227027306A 2020-02-20 2021-02-01 화장 시트 및 화장판 KR202201247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27030A JP2021130260A (ja) 2020-02-20 2020-02-20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JP-P-2020-027030 2020-02-20
PCT/JP2021/003530 WO2021166618A1 (ja) 2020-02-20 2021-02-01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772A true KR20220124772A (ko) 2022-09-14

Family

ID=7739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306A KR20220124772A (ko) 2020-02-20 2021-02-01 화장 시트 및 화장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83986A1 (ko)
EP (1) EP4108452A4 (ko)
JP (1) JP2021130260A (ko)
KR (1) KR20220124772A (ko)
CN (1) CN115103767A (ko)
AU (1) AU2021223438B2 (ko)
WO (1) WO202116661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5030A (ja) 2016-03-17 2017-09-21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74323A (zh) * 2006-05-17 2007-11-21 金星洙 稻壳的用途及人造木材
JP5042932B2 (ja) * 2008-07-16 2012-10-03 倉敷紡績株式会社 木質感を有する多層押出成形体
JP5471719B2 (ja) * 2010-03-30 2014-04-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成形品
JP6255882B2 (ja) * 2013-10-16 2018-01-10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CN103613911A (zh) * 2013-11-20 2014-03-05 上海琥达投资发展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又可循环的热固性树脂复合材料及其应用
JP6503886B2 (ja) * 2015-05-22 2019-04-24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CN107848253B (zh) * 2015-07-24 2020-04-17 凸版印刷株式会社 装饰片及装饰板
KR102426530B1 (ko) * 2016-11-02 2022-07-29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화장재
JP6838377B2 (ja) * 2016-12-13 2021-03-03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7074070B2 (ja) * 2016-12-22 2022-05-24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材
JP6932927B2 (ja) * 2017-01-05 2021-09-08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5030A (ja) 2016-03-17 2017-09-21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23438B2 (en) 2023-10-19
CN115103767A (zh) 2022-09-23
EP4108452A4 (en) 2024-03-13
JP2021130260A (ja) 2021-09-09
EP4108452A1 (en) 2022-12-28
US20230083986A1 (en) 2023-03-16
AU2021223438A1 (en) 2022-09-01
WO2021166618A1 (ja)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2337B2 (en) Enhanced graphic, anti-slip floor signage
JP4650960B2 (ja) 装飾シート
WO2017168980A1 (ja) 化粧シート
JP7396407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2022118012A (ja) 化粧材、化粧材の製造方法、化粧材を用いた積層体
JP3997802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2012040700A (ja) 耐指紋性マット面を有する装飾物品
JP6820164B2 (ja) 装飾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124772A (ko) 화장 시트 및 화장판
JP7040656B2 (ja) 化粧材、積層体及び化粧材の製造方法
JP2000343649A (ja) 化粧シート
JP2015214031A (ja) 転写フィルムおよび装飾成形品
JP2018126949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2000062081A (ja) 化粧シート
JP6791739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491804A (zh) 书写板
JPH0483700A (ja) 転写箔
WO2022209543A1 (ja) 化粧材
JP3158696U (ja) 転写シール
JPH08300595A (ja) 木目柄装飾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木目柄ラミネート製品の製造方法
JP6972535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2022170524A (ja) 化粧シート、化粧板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H09174790A (ja) プラスチック化粧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KR200348866Y1 (ko) 보드용 물펜 필기용 기판 시트
JP2004216684A (ja) 化粧用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