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3592A - 단열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단열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3592A
KR20220123592A KR1020220025937A KR20220025937A KR20220123592A KR 20220123592 A KR20220123592 A KR 20220123592A KR 1020220025937 A KR1020220025937 A KR 1020220025937A KR 20220025937 A KR20220025937 A KR 20220025937A KR 20220123592 A KR20220123592 A KR 20220123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lit
outer container
welding
heat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바사 이세키
마사타카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220123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A47J41/0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 A47J41/028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made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65D81/384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07Table-ware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06Laser 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ackage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탈기용의 슬릿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단열 용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일단이 개구된 금속제의 외부 용기(2) 및 내부 용기를 가지고, 외부 용기(2)의 내측에 내부 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서로의 개구단측이 접합됨과 아울러, 외부 용기(2) 및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진공 단열층이 마련된 단열 용기(1A)로서, 외부 용기(2)의 저면에 마련된 탈기용의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한 용접자국을 가지고, 용접자국은, 외부 용기(2)의 저면에 마련된 오목부(5)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단열 용기 및 그 제조 방법{An insulate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열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단이 개구된 금속제의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를 가지고, 외부 용기의 내측에 내부 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서로의 개구단측이 접합됨과 아울러,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진공 단열층이 마련된 단열 용기가 있다. 이러한 단열 용기는, 보온·보냉 기능을 가지는 물통이나 머그 등의 음료용 용기, 보온 기능을 가지는 푸드 컨테이너나 조리기 등에 넓게 이용되어 있다.
상술한 단열 용기에서는,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와의 서로의 개구단끼리를 맞댄 상태로, 이 맞댄 부분을 용접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또, 감압(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의 저면에 마련된 탈기(脫氣)용의 구멍부을 납재에 의해 씰링하는 것에 의해서,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진공 단열층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진공 단열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감압된 상태에서, 외부 용기에 마련된 탈기용의 슬릿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9/0231145호 명세서
그렇지만, 용접에 의해 씰링된 슬릿은, 그 용접자국에 의해 외형이 나빠져 버린다. 한편,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 슬릿의 폭이나 길이를 작게 하면, 이 슬릿을 통해 탈기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어져, 제조 효율이 나빠져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탈기용의 슬릿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단열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일단이 개구된 금속제의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를 가지고, 상기 외부 용기의 내측에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서로의 개구단측이 접합됨과 아울러,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진공 단열층이 마련된 단열 용기로서,
상기 외부 용기의 저면에 마련된 탈기용의 슬릿을 용접에 의해 씰링한 용접자국을 가지고,
상기 용접자국은, 상기 외부 용기의 저면에 마련된 오목부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2〕상기 용접자국은, 상기 오목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단차부의 외주측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에 기재된 단열 용기.
〔3〕상기 오목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저면에 링 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용접자국은, 상기 오목부의 내측의 윤곽을 형성하는 단차부의 내주측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에 기재된 단열 용기.
〔4〕상기 용접자국은, 상기 오목부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열 용기.
〔5〕일단이 개구된 금속제의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를 가지고, 상기 외부 용기의 내측에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서로의 개구단측이 접합됨과 아울러,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진공 단열층이 마련된 단열 용기로서,
상기 외부 용기에 마련된 탈기용의 슬릿을 용접에 의해 씰링한 용접자국을 가지고,
상기 용접자국은, 문자, 숫자, 기호, 도형 또는 이들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도안의 윤곽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6〕일단이 개구된 금속제의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를 가지고, 상기 외부 용기의 내측에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서로의 개구단측이 접합됨과 아울러,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진공 단열층이 마련된 단열 용기로서,
상기 외부 용기에 마련된 탈기용의 슬릿을 용접에 의해 씰링한 용접자국을 가지고,
상기 용접자국은, 커버 부재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7〕상기 외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는, 티탄, 알루미늄, 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열 용기.
〔8〕일단이 개구된 금속제의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를 가지고, 상기 외부 용기의 내측에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서로의 개구단측이 접합됨과 아울러,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진공 단열층이 마련된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용기의 저면에 탈기용의 슬릿을 형성하는 공정과,
감압된 상태에서, 상기 슬릿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을, 상기 외부 용기의 저면에 마련된 오목부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9〕상기 오목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단차부의 외주측을 따라서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8〕에 기재된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10〕상기 외부 용기의 저면에 링 모양의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의 내측의 윤곽을 형성하는 단차부의 내주측을 따라서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8〕에 기재된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11〕상기 오목부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복수의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8〕~〔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12〕일단이 개구된 금속제의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를 가지고, 상기 외부 용기의 내측에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서로의 개구단측이 접합됨과 아울러,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진공 단열층이 마련된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용기에 탈기용의 슬릿을 형성하는 공정과,
감압된 상태에서, 상기 슬릿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을, 문자, 숫자, 기호, 도형 또는 이들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도안의 윤곽을 따라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13〕상기 슬릿을 레이저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8〕~〔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14〕상기 외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는, 티탄, 알루미늄, 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8〕~〔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탈기용의 슬릿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단열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단열 용기를 상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단열 용기를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단열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단열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단열 용기의 저부측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단열 용기의 다른 구성을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단열 용기를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단열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단열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내는 단열 용기의 저부측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단열 용기를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단열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단열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도 5에 나타내는 단열 용기(1A)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단열 용기(1A)를 상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단열 용기(1A)를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단열 용기(1A)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단열 용기(1A)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단열 용기(1A)의 저부측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A)는, 도 1~도 4에 나타내는 것처럼, 일단이 개구된 금속제의 외부 용기(2) 및 내부 용기(3)를 구비하고 있다. 단열 용기(1A)는 외부 용기의 내측에 내부 용기(3)를 수용한 상태로, 서로의 개구단측이 접합됨과 아울러, 외부 용기(2)와 내부 용기(3)의 사이에 진공 단열층(4)이 마련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용기(2) 및 내부 용기(3)의 개구단끼리를 맞댄 상태로, 이 맞댄 부분을 용접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또, 도 4에서는, 외부 용기(2)와 내부 용기(3)와의 맞댐 부분(경계)이 도시되어 있지만, 접합 후는, 이 맞댄 부분이 용접에 의해 용융됨으로써, 맞댄 부분의 전체 둘레(全周)에 걸쳐 용접 비드가 형성되게 된다. 또, 이 용접 비드에 대해서는, 용접 후에 연삭 및 연마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평활한 면으로 마무리된다.
외부 용기(2) 및 내부 용기(3)에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스테인리스 외에도, 티탄, 알루미늄, 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의 금속이 이용되고 있다. 또, 외부 용기(2)와 내부 용기(3)와의 접합에는,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 등의 용접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A)에서는, 이러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온이나 보냉과 같은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단열 용기(1A)에서는, 내압(진공압)과 외압(대기압)의 차에 의해 외부 용기(2) 및 내부 용기(3)에 대해서 항상 장력이 가해진 상태가 되고, 이들 외부 용기(2) 및 내부 용기(3)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외부 용기(2) 및 내부 용기(3)의 판두께를 얇게 했을 경우에도, 단열 용기(1A)의 강성(剛性)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이 단열 용기(1A)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A)는 뚜껑 부착 용기의 용기 본체로서, 이 단열 용기(1A)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탈착되는 덮개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단열 용기(1A)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A)는, 전체로서 저부를 갖는 대략 원통 모양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단열 용기(1A)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외부 용기(2)의 외면에는, 도장이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A)에서는, 외부 용기(2)의 저면에 탈기용의 슬릿(S)을 형성하고, 감압된 상태에서, 이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것에 의해서, 외부 용기(2)와 내부 용기(3)와의 사이에 진공 단열층(4)을 형성하고 있다.
슬릿(S)은, 예를 들면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슬릿(S)의 씰링에는,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 등의 용접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릿(S)의 폭에 대해서는, 0.02mm~1.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mm~0.2m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슬릿(S)의 폭은, 외부 용기(2)의 기재 판두께의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슬릿(S)의 폭이 외부 용기(2)의 기재 판두께의 80%를 초과하면, 슬릿(S)의 씰링에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외부 용기(2)의 기재 그 자체를 녹임으로써 슬릿(S)을 씰링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용접봉(溶接棒)과 같은 씰링을 위한 용가재(溶加材)가 필요하다.
또한, 도 2~도 4에서는, 슬릿(S)이 도시되어 있지만,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한 후는, 이 슬릿(S)을 따라서 용접 비드가 형성되게 된다. 또, 이 용접 비드에 대해서는, 용접 후에 연삭 및 연마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평활한 면으로 마무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A)는, 외부 용기(2)의 저면에, 탈기용의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한 용접자국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용접자국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슬릿(S)과 같은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A)에서는, 이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 외부 용기(2)의 저면에 마련된 오목부(5)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슬릿(S)을 형성하고, 이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한 용접자국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단열 용기(1A)는, 외부 용기(2)의 저면 중앙부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 모양으로 오목하게 한 오목부(5)를 가지고 있다. 슬릿(S)은 이 오목부(5)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용접자국은, 오목부(5)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형성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A)에서는, 탈기용의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접자국이 오목부(5)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름으로써, 이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오목부(5)는, 외부 용기(2)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 용기(1A)를 낙하시켰을 경우에 충돌하기 쉬운 외부 용기(2)의 저면 외주부에 비해,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한 용접 부분의 변형 등의 파손 리스크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A)에서는, 오목부(5)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슬릿(S)이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슬릿(S)은, 오목부(5)의 윤곽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A)에서는, 이러한 슬릿(S)을 복수 마련함으로써, 진공 단열층(4)을 형성할 때에, 이들 복수의 슬릿(S)을 통해 탈기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큰 슬릿을 1개 마련하는 경우보다도,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한 후의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슬릿(S)에 대해서는, 반드시 복수 마련할 필요는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1개 마련하는 것만으로도 된다.
또, 슬릿(S)의 길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외부 용기(2)의 저면에 마련된 원형 모양의 오목부(5)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원호 모양으로 마련하는 경우, 그 오목부(5)의 반경의 크기에 의해 길이가 바뀌지만, 그 각도 범위가 180°(둘레의 반) 이하가 되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각도 범위가 90°(둘레의 1/4) 이하가 되는 길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원호 모양의 슬릿(S)의 각도 범위가 180°(둘레의 반)를 초과하면, 외부 용기(2)의 저면에 있어서 슬릿(S)을 사이에 둔 내측 부분(오목부(5)의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오목부(5)의 외측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기재의 두께 방향으로 어긋나도록 변형해 버리기 때문에, 다음 공정에서의 슬릿(S)의 씰링이 곤란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A)에서는,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 오목부(5)의 윤곽을 형성하는 단차부(6)의 외주측을 따라서 슬릿(S)이 마련되어 있다.
단차부(6)는, 도 5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것처럼, 외부 용기(2)의 저면과 오목부(5)의 저면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부분이다. 단차부(6)의 외주측은, 외부 용기(2)의 저면과의 접속 부분(6a)에 있어서 볼록한 모양으로 만곡되어 있다. 단차부(6)의 내주측은, 오목부(5)의 저면과의 접속 부분(6b)에 있어서 오목한 모양으로 만곡되어 있다. 슬릿(S)은 단차부(6)의 외주측의 접속 부분(6a)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단차부(6)는 상술한 외부 용기(2)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한 변형이 작아, 슬릿(S)을 마련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단차부(6)의 외주측은, 단차부(6)의 내주측 보다도 용접 후의 연삭 및 연마 가공을 실시하기 쉽다.
한편, 단차부(6)의 내주측은, 외부 용기(2)의 저면에 있어서 재치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파손 리스크가 작고, 경우에 따라서는, 단차부(6)의 내주측의 접속 부분(6b)을 따라서 슬릿(S)을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슬릿(S)을 형성할 때는, 단열 용기(1A)를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면서, 외부 용기(2)의 저면에 마련된 오목부(5)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것에 의해, 오목부(5)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슬릿(S)을 정밀도 좋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슬릿(S)을 씰링할 때는, 감압(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 씰링 전의 단열 용기(1A)를 수용하고, 슬릿(S)을 통해 외부 용기(2)와 내부 용기(3)와의 사이를 탈기한다. 이 상태에서, 챔버에 마련된 창부(窓部)를 통해 외부로부터 챔버 내의 단열 용기(1A)에 대해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 때, 단열 용기(1A)를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면서, 외부 용기(2)의 저면에 마련된 슬릿(S)을 따라서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것에 의해, 오목부(5)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슬릿(S)을 정밀도 좋게 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슬릿(S)의 형성 및 씰링에 대해서는, 고정된 레이저광의 조사 위치에 대해서 단열 용기(1A)를 움직이는 방법이어도 되고, 고정된 단열 용기(1A)에 대해서 레이저광을 주사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그런데, 종래와 같은 감압(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의 저면에 마련된 탈기용의 구멍부을 납재에 의해 씰링하는 방법에서는, 납재를 용융시키기 위해서 단열 용기를 가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에 스테인리스보다도 경량인 순(純)티탄을 이용하는 경우, 순티탄에 적합한 납재는, 800℃ 정도까지 가열하여 용융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어닐링(annealing)에 의해서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스테인리스와 같은 두께에서는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씰링 방법에서는, 스테인리스를 이용하는 경우보다도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A)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술한 슬릿(S)을 씰링할 때에, 단열 용기(1A)를 가열할 필요가 없고, 외부 용기(2) 및 내부 용기(3)에 순티탄을 이용하는 경우에 어닐링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 용기(2) 및 내부 용기(3)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단열 용기(1A)를 가열하는데 필요한 전력이나 시간이 불필요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A)에서는, 탈기용의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열 용기(1A)에서는, 상술한 외부 용기(2)의 저면 중앙부에 원형 모양의 오목부(5)가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오목부(5)의 형상에 대해서는, 이러한 형상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외부 용기(2)의 저면 중앙부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타원형 모양으로 오목하게 한 오목부(5A)가 마련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도, 오목부(5A)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슬릿(S)을 형성하고, 이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한다. 특히, 오목부(5A)에서는, 타원의 직선 부분의 단(端)으로부터 단까지 슬릿(S)을 형성하고, 이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함으로써, 그 용접자국을 보다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단열 용기(1B)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7은, 단열 용기(1B)를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단열 용기(1B)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9는, 단열 용기(1B)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단열 용기(1B)의 저부측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열 용기(1A)와 동등한 부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도면에 있어서 같은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B)는, 도 7~도 9에 나타내는 것처럼, 외부 용기(2)의 저면 중앙부를 원형 링 모양으로 오목하게 한 오목부(5B)와, 오목부(5B)의 내측에 위치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 모양의 볼록부(7)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B)에서는,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 이 오목부(5B)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슬릿(S)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용접자국은, 오목부(5B)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형성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B)에서는, 탈기용의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접자국이 오목부(5B)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름으로써, 이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오목부(5B)는, 외부 용기(2)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 용기(1B)를 낙하시켰을 경우에 충돌하기 쉬운 외부 용기(2)의 저면 외주부에 비해,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한 용접 부분의 변형 등의 파손 리스크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B)에서는, 오목부(5B)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슬릿(S)이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슬릿(S)은, 오목부(5B)의 윤곽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B)에서는, 이러한 슬릿(S)을 복수 마련함으로써, 진공 단열층(4)을 형성할 때에, 이들 복수의 슬릿(S)을 통해 탈기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큰 슬릿을 1개 마련하는 경우보다도,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한 후의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슬릿(S)에 대해서는, 반드시 복수 마련할 필요는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1개 마련하는 것만으로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B)에서는,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 오목부(5B)의 내측의 윤곽을 형성하는 단차부(61)의 내주측을 따라서 슬릿(S)이 마련되어 있다.
단차부(61)는, 도 10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것처럼, 볼록부(7)와 오목부(5B)의 저면과의 사이를 접속 부분이다. 단차부(61)의 내주측은, 볼록부(7)와의 접속 부분(6c)에 있어서 볼록한 모양으로 만곡되어 있다. 단차부(61)의 외주측은, 오목부(5B)의 저면과의 접속 부분(6d)에 있어서 오목한 모양으로 만곡되어 있다. 슬릿(S)은, 단차부(61)의 내주측의 접속 부분(6c)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단차부(61)는, 상술한 외부 용기(2)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한 변형이 작고, 슬릿(S)을 마련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단차부(61)의 내주측은, 단차부(61)의 외주측 보다도 용접 후의 연삭 및 연마 가공을 실시하기 쉽다.
한편, 단차부(61)의 외주측은, 외부 용기(2)의 저면에 있어서 재치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파손 리스크가 작고, 경우에 따라서는, 단차부(61)의 외주측의 접속 부분(6d)을 따라서 슬릿(S)을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슬릿(S)을 형성할 때는, 단열 용기(1B)를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면서, 외부 용기(2)의 저면에 마련된 오목부(5B)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것에 의해, 오목부(5B)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슬릿(S)을 정밀도 좋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슬릿(S)을 씰링할 때는, 감압(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 씰링 전의 단열 용기(1B)를 수용하고, 슬릿(S)을 통해 외부 용기(2)와 내부 용기(3)와의 사이를 탈기한다. 이 상태에서, 챔버에 마련된 창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챔버 내의 단열 용기(1B)에 대해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 때, 단열 용기(1B)를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면서, 외부 용기(2)의 저면에 마련된 슬릿(S)을 따라서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것에 의해, 오목부(5B)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슬릿(S)을 정밀도 좋게 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B)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술한 슬릿(S)을 씰링할 때에, 단열 용기(1B)를 가열할 필요가 없고, 외부 용기(2) 및 내부 용기(3)에 순티탄을 이용했을 경우에 어닐링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 용기(2) 및 내부 용기(3)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단열 용기(1B)를 가열하는데 필요한 전력이나 시간이 불필요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B)에서는, 탈기용의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열 용기(1B)는, 상술한 오목부(5B)의 내측의 윤곽을 형성하는 단차부(61)의 내주측을 따라서 슬릿(S)이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상기 단열 용기(1A)와 마찬가지로, 오목부(5B)의 외측의 윤곽을 형성하는 단차부(62)의 외주측을 따라서 슬릿(S)이 마련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통상의 제조 공정에서는, 상술한 단차부(61, 62) 중 어느 다른 쪽에 슬릿(S)을 마련한 후에, 이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한다. 그렇지만, 이 용접 개소에 결합이 생겨, 외부 용기(2)와 내부 용기(3)와의 사이를 적절히 탈기할 수 없었던 경우, 같은 용접 개소에 슬릿(S)을 재차 마련하고, 이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것은 금속의 물성상 곤란하다. 이 경우, 불량품으로서 파기하기 때문에, 수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용접 개소에 결함이 생겼을 경우는, 상술한 단차부(61, 62)의 어느 한 쪽에 슬릿(S)을 마련한 후에, 이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같은 용접 개소에 슬릿(S)을 재차 마련할 필요가 없고, 불량품으로서 파기할 필요도 없어지기 때문에, 수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술한 단차부(61, 62) 중, 내측의 단차부(61)(볼록부(7))의 높이를 외측의 단차부(62)(외부 용기(2)의 저면)의 높이보다 낮게 했을 경우, 내측의 단차부(61)를 따라서 슬릿(S)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외측의 단차부(62)(외부 용기(2)의 저면) 설치면에 접촉되고, 내측의 단차부(61)(볼록부(7))가 설치면에 비접촉이 되기 때문에, 설치면과의 접촉에 의한 용접 부분의 변형 등의 파손 리스크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열 용기(1B)에서는, 상술한 외부 용기(2)의 저면 중앙부에 링 모양의 오목부(5B)가 마련되고, 그 내측에 볼록부(7)가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볼록부(7) 대신에, 오목부(5B)의 저면 중앙부를 원형 모양으로 오목하게 한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단열 용기(1C)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1은, 단열 용기(1C)를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단열 용기(1C)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열 용기(1A)와 동등한 부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도면에 있어서 같은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C)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외부 용기(2)의 저면에 마련된 오목부(5)의 저면에 도안(F)을 가지고 있다. 도안(F)은, 문자, 숫자, 기호, 도형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C)에서는,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 이 도안(F)의 윤곽을 따라서 슬릿(S)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용접자국은, 도안(F)의 윤곽을 따라서 형성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C)에서는, 탈기용의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안(F)은, 오목부(5)의 저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용기(2)의 저면 외주부에 비해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한 변형 등의 파손 리스크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C)에서는, 도안(F)의 윤곽을 따라서 복수의 슬릿(S)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안(F) 중, 「THERMOS」의 「R, O」와, 「2020/92」의 「0, 9」에 대해서는, 2개의 슬릿(S)으로 분할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이외는, 1개의 슬릿(S)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C)에서는, 이러한 도안(F)에 맞춰 복수의 슬릿(S)을 마련함으로써, 진공 단열층(4)을 형성할 때에, 이들 복수의 슬릿(S)을 통해 탈기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슬릿(S)에 대해서는, 모든 도안(F)을 따라서 마련할 필요는 없고, 일부의 도안(F)을 따라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슬릿(S)을 형성할 때는, 오목부(5)의 저면에 마련된 도안(F)을 따라서 레이저광을 주사하면서 조사한다. 레이저광의 주사는, 고정된 레이저광의 조사 위치에 대해서 단열 용기(1C)를 주사하는 방법이어도 되고, 고정된 단열 용기(1C)에 대해서 레이저광을 주사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도안(F)의 윤곽을 따라서 슬릿(S)을 정밀도 좋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슬릿(S)을 씰링할 때는, 감압(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 씰링 전의 단열 용기(1C)를 수용하고, 슬릿(S)을 통해 외부 용기(2)와 내부 용기(3)와의 사이를 탈기한다. 이 상태에서, 챔버에 마련된 창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챔버 내의 단열 용기(1C)에 대해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 때, 오목부(5)의 저면에 마련된 도안(F)을 따라 레이저광을 주사하면서 조사한다. 레이저광의 주사는, 고정된 레이저광의 조사 위치에 대해서 단열 용기(1C)를 주사하는 방법이어도 되고, 고정된 단열 용기(1C)에 대해서 레이저광을 주사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도안(F)의 윤곽을 따라서 슬릿(S)을 정밀도 좋게 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C)의 제조 방법에서는, 단열 용기(1C)를 가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외부 용기(2) 및 내부 용기(3)에 순티탄을 이용했을 경우에, 외부 용기(2) 및 내부 용기(3)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단열 용기(1C)를 가열하는데 필요한 전력이나 시간이 불필요해진다.
또, 예를 들면 로트 번호나 기업 로고를 단열 용기(1C)의 저면에 표기하는 경우, 지금까지는 레이저에 의한 각인을 실시하는 것이나, 로트 번호를 기재한 씰을 붙이는 등의 공정을 필요로 한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C)에서는, 도안(F)을 로트 번호나 기업 로고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이들 공정이 불필요해져, 코스트 다운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C)에서는, 탈기용의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열 용기(1C)에서는, 상술한 오목부(5)의 저면에 마련된 도안(F)을 따라서 슬릿(S)이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도안(F)에 대해서는, 외부 용기(2)의 저면에 한정하지 않고, 외부 용기(2)의 외주면(측면)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도, 도안(F)을 따라서 마련된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함으로써,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단열 용기(1D)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3은, 단열 용기(1D)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열 용기(1A)와 동등한 부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도면에 있어서 같은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D)는, 도 13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슬릿(S)(용접자국)을 외부 용기(2)의 외관으로부터 확인할 수 없게 되는 위치에 마련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이 단열 용기(1D)는, 외부 용기(2)의 몸통부(胴部)의 상단 부분(어깨부(肩部))에 전체 둘레에 걸쳐 장착된 커버 부재(어깨부재)(1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D)에서는, 이 커버 부재(10)에 의해 피복된 외부 용기(2)의 몸통부의 어깨부에 위치하고, 탈기용의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한 용접자국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용접자국은, 커버 부재(10)에 의해 피복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D)에서는, 탈기용의 슬릿(S)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접자국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커버 부재(10)에 의해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뚜껑 부착 용기의 용기 본체에 대해서 본 발명의 단열 용기를 적용했을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보온·보냉 기능을 가지는 물통이나 머그 등의 음료용 용기, 보온 기능을 가지는 푸드 컨테이너나 조리기 등,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열 용기에 대해서 본 발명을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A, 1B, 1C…단열 용기 2…외부 용기
3…내부 용기 4…진공 단열층
5, 5A, 5B…오목부 6, 61, 62…단차부
7…볼록부 10…어깨부재
F…도안 S…슬릿

Claims (14)

  1. 일단이 개구된 금속제의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를 가지고, 상기 외부 용기의 내측에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서로의 개구단측이 접합됨과 아울러,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진공 단열층이 마련된 단열 용기로서,
    상기 외부 용기의 저면에 마련된 탈기용의 슬릿을 용접에 의해 씰링한 용접자국을 가지고,
    상기 용접자국은, 상기 외부 용기의 저면에 마련된 오목부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자국은, 상기 오목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단차부의 외주측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저면에 링 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용접자국은, 상기 오목부의 내측의 윤곽을 형성하는 단차부의 내주측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자국은, 상기 오목부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5. 일단이 개구된 금속제의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를 가지고, 상기 외부 용기의 내측에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서로의 개구단측이 접합됨과 아울러,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진공 단열층이 마련된 단열 용기로서,
    상기 외부 용기에 마련된 탈기용의 슬릿을 용접에 의해 씰링한 용접자국을 가지고,
    상기 용접자국은, 문자, 숫자, 기호, 도형 또는 이들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도안의 윤곽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6. 일단이 개구된 금속제의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를 가지고, 상기 외부 용기의 내측에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서로의 개구단측이 접합됨과 아울러,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진공 단열층이 마련된 단열 용기로서,
    상기 외부 용기에 마련된 탈기용의 슬릿을 용접에 의해 씰링한 용접자국을 가지고,
    상기 용접자국은, 커버 부재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는, 티탄, 알루미늄, 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
  8. 일단이 개구된 금속제의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를 가지고, 상기 외부 용기의 내측에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서로의 개구단측이 접합됨과 아울러,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진공 단열층이 마련된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용기의 저면에 탈기용의 슬릿을 형성하는 공정과,
    감압된 상태에서, 상기 슬릿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을, 상기 외부 용기의 저면에 마련된 오목부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단차부의 외주측을 따라서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의 저면에 링 모양의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의 내측의 윤곽을 형성하는 단차부의 내주측을 따라서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윤곽 또는 그 근방을 따라서 복수의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12. 일단이 개구된 금속제의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를 가지고, 상기 외부 용기의 내측에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한 상태로 서로의 개구단측이 접합됨과 아울러,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진공 단열층이 마련된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용기에 탈기용의 슬릿을 형성하는 공정과,
    감압된 상태에서, 상기 슬릿을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을, 문자, 숫자, 기호, 도형 또는 이들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도안의 윤곽을 따라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13.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및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을 레이저 용접에 의해 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14.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및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는, 티탄, 알루미늄, 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220025937A 2021-03-01 2022-02-28 단열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235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31656 2021-03-01
JP2021031656A JP2022132919A (ja) 2021-03-01 2021-03-01 断熱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592A true KR20220123592A (ko) 2022-09-08

Family

ID=83023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937A KR20220123592A (ko) 2021-03-01 2022-02-28 단열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132919A (ko)
KR (1) KR20220123592A (ko)
CN (1) CN114987949A (ko)
TW (1) TWI806449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31145A1 (en) 2018-01-29 2019-08-01 Ronald K.Y. Mak Methods and systems for forming vacuum insulated containe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12596T2 (de) * 1991-02-01 1996-05-02 Nippon Oxygen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doppelwandiger isolierender metallischer Behälter.
TWI672116B (zh) * 2018-08-01 2019-09-21 沃拓創意股份有限公司 雙開口保溫杯及其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31145A1 (en) 2018-01-29 2019-08-01 Ronald K.Y. Mak Methods and systems for forming vacuum insulated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87949A (zh) 2022-09-02
TWI806449B (zh) 2023-06-21
JP2022132919A (ja) 2022-09-13
TW202239361A (zh) 202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7899B2 (en) Composite circular slicer knife
JPH11221667A (ja) 金属製真空二重容器の製造方法
JP5146926B2 (ja) 金属製真空断熱容器
US20170166382A1 (en) Processing Method for a Vacuum Container and a Vacuum Container
KR20220123592A (ko) 단열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JPH11164784A (ja) 金属製真空二重容器
JPH01115052A (ja) 角形密閉式電池
JP6761362B2 (ja) 飲料二重容器
KR20220123593A (ko)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ES2297703T3 (es) Recipiente y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 recipiente.
TWI841922B (zh) 絕熱容器的製造方法
US11060342B2 (en) Vacuum insulated glazing unit
JP2793123B2 (ja) ステンレス製真空断熱容器の製造方法
JPH0274223A (ja) 保冷・保温用金属製二重容器の製造方法
JP2525717B2 (ja) 溶接継目のない液化ガス容器の製造方法
CN111806841B (zh) 隔热容器以及带盖容器
JP2020132270A (ja) 断熱容器
JP5806561B2 (ja) 電磁接触器の製造方法
CN115067776A (zh) 一种异形双层金属保温壶制造工艺及保温壶
JP3581639B2 (ja) チタン製真空断熱二重容器の製造方法
US1176673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tal based component and a single-piece, metal based component
JP2928198B2 (ja) 金属製真空二重壁容器
JP2928200B2 (ja) 金属製真空二重壁容器
JP2023073309A (ja) 携帯用魔法瓶の製造方法
JPH07284452A (ja) 金属製二重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金属製二重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