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9680A - 카메라 조립체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조립체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9680A
KR20220119680A KR1020227025327A KR20227025327A KR20220119680A KR 20220119680 A KR20220119680 A KR 20220119680A KR 1020227025327 A KR1020227025327 A KR 1020227025327A KR 20227025327 A KR20227025327 A KR 20227025327A KR 20220119680 A KR20220119680 A KR 20220119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amera
axis
circuit board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 왕
홍보 루오
쿠니 리
링후웨이 정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9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04N5/225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257
    • H04N5/2328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1Rol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5Folded back on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카메라 조립체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카메라 조립체는 카메라 및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카메라는 제 1 축, 제 2 축 및 제 3 축 중 적어도 하나를 중심으로 스윙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3 축은 카메라의 광축으로서 사용된다. 연성 회로 기판의 연장 방향에서, 연성 회로 기판의 일 단부는 카메라의 회로 기판에 연결되고, 연성 회로 기판의 타 단부는 메인보드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성 회로 기판의 양 단부 사이에는 응력을 해제하기 위한 굴곡 여분 구조체가 배치된다. 여분 구조체는 제 1 축, 제 2 축, 또는 제 3 축 중 적어도 하나를 중심으로 회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카메라가 액추에이터의 구동 하에서 스윙하는 경우, 스윙으로 인한 연성 회로 기판의 변형은 연성 회로 기판의 연장 방향으로 각 횡단면에 분산된다. 각 횡단면의 변형은 눈에 뛰지 않으며; 액추에이터가 카메라를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카메라는 적시에 적소로 조정될 수 있고, 연성 회로 기판의 작은 재료 응력이 극복되는 한 이미지 흔들림 방지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조립체 및 전자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12월 26일자로 중국 국가 지식 재산권국에 출원되고 명칭이 "카메라 조립체 및 전자 장치(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인 중국 특허 출원 제 201911371359.9 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문헌은 그 전체가 본원에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출원은 이미지 흔들림 방지 촬영(image stabilization shooting) 기술의 분야와 관련되며, 특히 카메라 조립체 및 전자 장치와 관련된다.
이동 단말기, 대시보드 카메라(dashboard), 액션 카메라(action camera), 드론 플랫폼(drone platform)과 같은 전자 장치는 촬영 과정에서 흔들리기 쉬우며, 전자 장치의 카메라도 또한 흔들린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 장치에서, 통상적으로 카메라에는 액추에이터로서 모터 등이 구성된다. 액추에이터는, 전자 장치의 흔들림 상태에 기초하여, 카메라를 역회전 구동해서 재설정하여, 흔들림 방지 촬영의 목적을 달성한다.
전술한 전자 장치에서, 카메라는 연성 회로 기판에 연결되고, 연성 회로 기판은 카메라를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카메라의 회전 과정에서, 연성 회로 기판은 카메라에 의해 구동되어 굴곡된다. 그러나, 연성 회로 기판의 재료 특성에 의해 유발된 응력은 극복하기 어렵기 때문에, 회전 과정에서 카메라의 저항이 크고, 카메라가 적시에 적소로 구동될 수 없으며, 흔들림 방지 효과가 불량하다.
본 출원은 액추에이터가 카메라를 스윙(swing)하도록 구동할 때 극복될 필요가 있는 카메라에 연결된 연성 회로 기판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카메라의 흔들림 방지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카메라 조립체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카메라 조립체가 제공된다. 카메라 조립체는 전자 장치에 사용되고,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장치는 사용 상태에서 쉽게 흔들리고 이미지 캡처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대시보드 카메라, 액션 카메라 또는 드론 플랫폼일 수 있다. 카메라의 액추에이터가 카메라를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극복될 필요가 있는, 카메라에 연결된 연성 회로 기판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카메라의 흔들림 방지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카메라 조립체는 카메라 및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카메라는 제 1 축, 제 2 축 및 제 3 축 중 적어도 하나를 중심으로 스윙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3 축은 카메라의 광축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연성 회로 기판의 연장 방향에서, 연성 회로 기판의 일 단부는 카메라의 회로 기판에 연결되고, 연성 회로 기판의 타 단부는 메인보드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카메라의 회로 기판과 메인보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한다. 연성 회로 기판의 양 단부 사이에 응력을 해제하기 위한 굴곡 여분 구조체가 있으며, 여분 구조체는 제 1 축, 제 2 축 또는 제 3 축 중 적어도 하나를 중심으로 회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카메라가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될 때, 카메라의 회로 기판은 연성 회로 기판을 스윙 및 변형하도록 구동한다. 변형은 연성 회로 기판의 연장 방향으로 각 횡단면에 분산되고, 각 횡단면에서의 변형 누적이 적다. 액추에이터가 카메라를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연성 회로 기판의 작은 재료 응력이 극복되기만 하면 되고, 그에 따라 카메라는 조정될 필요가 있는 재설정 각도에 기초하여 적시에 조정될 수 있고, 촬영 동안의 흔들림 방지 효과가 개선된다.
여분 구조체는 복수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분 구조체의 특정 구현예는 여분 구조체가 나선 섹션을 포함하는 것이다. 나선 섹션은 탄성 구조체이다. 연성 회로 기판의 일 단부가 카메라에 의해 구동되어 변형될 때 발생되는 응력이 나선 섹션으로 해제된 후에, 응력은 나선 섹션에 의해 완전히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나선 섹션이 특정 체적을 갖는 경우, 나선 섹션의 길이는 길다. 변형이 나선 섹션에 분산된 후에는, 각 횡단면에서의 변형 누적이 적다. 이것은 액추에이터가 카메라를 구동할 때 극복될 필요가 있는 연성 회로 기판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여분 구조체는 인출 섹션을 더 포함한다. 인출 섹션의 양 단부 중 일 단부는 카메라의 회로 기판에 연결되고, 인출 섹션의 타 단부는 나선 섹션에 연결된다. 인출 섹션은 카메라의 회로 기판과 나선 섹션 사이에서 사전에 버퍼 기능(buffer function)을 실행할 수 있다.
인출 섹션의 연장 방향이 설정되는 경우, 특정 구현예에서, 인출 섹션은 제 1 축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인출 섹션이 제 1 축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카메라가 제 1 축을 중심으로 스윙할 때, 인출 섹션의 변형이 더 작다. 유사하게, 인출 섹션은 대안적으로 제 2 축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나선 섹션의 배향이 구체적으로 설정되고, 인출 섹션이 제 1 축 또는 제 2 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나선 섹션은 인출 섹션의 중심축 주위로 나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카메라가 제 1 축 및 제 2 축을 중심으로 스윙할 때, 나선 섹션은 쉽게 비틀리지 않고, 발생된 재료 응력이 더 작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여분 구조체는 하기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는 패널, 백플레인 및 주위 벽을 포함한다. 패널 및 백플레인은 제 3 축의 방향으로 배열되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주위 벽은 패널을 백플레인에 연결한다. 여분 구조체는 주위 벽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권취된 권취 섹션을 포함한다. 카메라가 제 3 축을 중심으로 스윙할 때, 권취 섹션은 조임 및 풀림을 반복하고, 그에 따라 연성 회로 기판의 각 부분의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이 권취 섹션의 탄성 구조체를 사용하여 흡수될 수 있다. 또한, 권취 섹션은 주위 벽을 따라 배치되고, 추가적인 외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여분 구조체는 인출 섹션을 더 포함한다. 인출 섹션의 일 단부는 카메라의 회로 기판에 연결되고, 인출 섹션의 타 단부는 권취 섹션에 연결된다. 인출 섹션은 카메라의 회로 기판과 권취 섹션 사이에서 사전에 버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카메라 조립체는 인클로저를 더 포함한다. 인클로저는 주위 벽 주위에 배치되고, 인클로저와 주위 벽 사이에는 갭이 존재한다. 권취 섹션은 주위 벽과 인클로저 사이의 갭에 위치되어, 외부 물체로 인해 유발되는 권취 섹션에 대한 물리적 손상을 회피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여분 구조체는 연장 섹션을 더 포함한다. 권취 섹션의 연장 방향에서, 카메라의 회로 기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권취 섹션의 일 단부의 측부는 연장 섹션의 일 단부에 연결된다. 카메라가 제 1 축 또는 제 2 축을 중심으로 스윙할 때, 연장 섹션과 권취 섹션 사이의 접합부의 변형이 두께 방향으로 누적되고, 변형 누적이 적다. 연장 섹션의 타 단부는 인클로저 외부로 연장되어, 권취 섹션이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여분 구조체의 다른 특정 구현예는 여분 구조체가 뱀형상 굴곡 섹션을 포함하는 것이다. 뱀형상 굴곡 섹션은 서로 연속적으로 대향하고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서브섹션을 포함한다. 2개의 서브섹션 사이에 위치된 각 서브섹션의 일 단부는 굴곡 연결부를 통해 일 측부에서 서브섹션의 대응하는 단부에 연결되고, 서브섹션의 타 단부는 굴곡 연결부를 통해 타 측부에서 서브섹션의 대응하는 단부에 연결된다. 뱀형상 굴곡 섹션은 탄성 구조체이다. 연성 회로 기판의 일 단부가 카메라에 의해 구동되어 변형될 때 발생되는 응력은 뱀형상 굴곡 섹션으로 해제된 후에는 뱀형상 굴곡 섹션에 의해 완전히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뱀형상 굴곡 섹션은 작은 체적을 갖고, 뱀형상 굴곡 섹션의 길이는 연장 방향으로 길다. 뱀형상 굴곡 섹션에 변형이 분산된 후에는, 각 횡단면에서의 변형 누적이 적다. 이것은 액추에이터가 카메라를 구동할 때 극복될 필요가 있는 연성 회로 기판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여분 구조체는 인출 섹션을 더 포함한다. 인출 섹션의 일 단부는 카메라의 회로 기판에 연결되고 인출 섹션의 타 단부는 뱀형상 굴곡 섹션에 연결된다. 인출 섹션은 카메라의 회로 기판과 뱀형상 굴곡 섹션 사이에서 사전에 버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인출 섹션의 특정 구현예는 인출 섹션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갭이 인출 섹션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인출 섹션이 인출 섹션의 연장 방향 주위로 비틀릴 때, 비틀림을 통해 발생되는 응력은 갭에서 해제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인출 섹션은 제 1 축 또는 제 2 축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인출 섹션이 제 1 축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카메라가 제 1 축을 중심으로 스윙할 때, 인출 섹션의 변형이 더 작다. 유사하게, 인출 섹션은 대안적으로 제 2 축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뱀형상 굴곡 섹션의 각 서브섹션은 복수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뱀형상 굴곡 섹션의 각 서브섹션의 연장 방향은 인출 섹션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다. 인출 섹션이 뱀형상 굴곡 섹션을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뱀형상 굴곡 섹션의 각 서브섹션의 변형은 주로 두께 방향으로 누적되고, 변형 누적이 적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서브섹션의 적어도 일부에서, 각각의 서브섹션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갭이 서브섹션의 중간부에 배치된다. 각각의 서브섹션이 서브섹션의 중심축 주위로 비틀릴 때, 누적된 응력은 갭에서 해제될 수 있다.
뱀형상 굴곡 섹션과 인출 섹션의 다른 특정 끼워맞춤 방식은 뱀형상 굴곡 섹션의 각 서브섹션의 연장 방향이 인출 섹션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것이다. 인출 섹션이 뱀형상 굴곡 섹션을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뱀형상 굴곡 섹션의 각 서브섹션의 변형은 주로 두께 방향으로 누적되고, 변형 누적이 적다.
특정 구현예에서, 인접한 2개의 서브섹션마다 굴곡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2개의 서브섹션 사이에 위치된 각 서브섹션을 연결하는 2개의 굴곡 연결부는 서브섹션의 중심축의 양측에 위치되어, 연장 방향에서의 뱀형상 굴곡 섹션의 길이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횡단면에서의 변형 누적이 더 적어진다.
다른 특정 구현에서, 각각의 굴곡 연결부는 인접한 서브섹션의 연장 방향으로 측부를 따라 연장된다. 2개의 인접한 서브섹션이 2개의 서브섹션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스윙할 때, 굴곡 연결부의 변형은 주로 두께 방향으로 누적되고, 변형 누적이 적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전자 장치는 메인보드와, 전술한 기술 해결책에서 제공된 카메라 조립체를 포함한다. 연성 회로 기판의 연장 방향에서, 카메라의 회로 기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연성 회로 기판의 단부는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메인보드와 카메라의 회로 기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한다.
전술한 카메라 조립체는 전자 장치에 사용된다. 따라서, 카메라가 흔들리는 환경에서 이미지를 캡처하는 데 사용되고, 카메라가 연성 회로 기판의 여분 구조체를 사용하여 제 1 축, 제 2 축 및 제 3 축 중 적어도 하나를 중심으로 스윙하는 경우, 연성 회로 기판에 의해 발생되는 재료 응력은 여분 구조체에서 해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추에이터가 카메라를 구동할 때 유발되는 저항이 감소되고, 전자 장치가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할 때 흔들림 방지 효과가 개선된다.
도 1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의 분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의 조립 후의 개략도이고;
도 1c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에 있어서의 카메라와 연성 회로 기판의 끼워맞춤의 개략도이고;
도 2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 시각에서 본 다른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고;
도 2b는 다른 시각에서 본 도 2a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고;
도 3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 시각에서 본 다른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고;
도 3b는 다른 시각에서 본 도 3a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고;
도 4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고;
도 4b는 다른 시각에서 본 도 4a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고;
도 5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 시각에서 본 다른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고;
도 5b는 다른 시각에서 본 도 5a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고;
도 6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 시각에서 본 다른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고;
도 6b는 다른 시각에서 본 도 6a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며;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카메라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하게 추가로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에서, 용어 "연성 회로 기판"은 연성 인쇄 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기판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회로가 형성되는 임의의 연성 기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카메라 조립체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카메라 조립체의 응용 시나리오가 먼저 설명된다. 카메라 조립체는 사용 상태에서 쉽게 흔들리고 이미지 캡처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대시보드 카메라, 액션 카메라 및 드론 플랫폼에 사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바코드 스캐너, RFID 리더 또는 POS 단말기이다. 카메라 조립체는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해 전술한 전자 장치에서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카메라 조립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1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의 분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의 조립 후의 개략도이고, 도 1c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에 있어서의 카메라(500)와 연성 회로 기판(600)의 끼워맞춤의 개략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카메라 조립체는 하우징(100), 베이스(200), 제 1 스윙체(swing body)(300), 제 2 스윙체(400), 카메라(500) 및 연성 회로 기판(400)을 포함한다. 베이스(200), 제 1 스윙체(300) 및 제 2 스윙체(400) 각각은 주위 벽 구조체(예를 들어, 직사각형 프레임 형태임)를 갖는다. 하우징(100)은 베이스(200)의 외측에 슬리브 결합되어 베이스(200)에 고정된다. 베이스(200)는 제 1 스윙체(300)의 외측에 슬리브 결합된다. 베이스(200)의 평행하고 대향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의 중간에는 액슬 구멍(axle hole)(210a) 및 액슬 구멍(210b)이 배치된다. 제 1 스윙체(300)의 평행하고 대향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의 중간에는 액슬 구멍(310a) 및 액슬 구멍(310b)이 배치된다. 액슬 구멍(210a)은 회전 샤프트를 통해 액슬 구멍(310a)에 맞춰지고, 액슬 구멍(210b)은 회전 샤프트를 통해 액슬 구멍(310b)에 맞춰지며, 그에 따라 제 1 스윙체(300)가 제 1 축(L1)을 중심으로 베이스(200)에 대해 스윙할 수 있다. 제 1 스윙체(300)는 제 2 스윙체(400)의 외측에 슬리브 결합된다. 제 1 스윙체(300)의 평행하고 대향하는 다른 2개의 측면 프레임에는 액슬 구멍(320a) 및 액슬 구멍(320b)이 배치된다. 제 2 스윙체(400)의 평행하고 대향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에는 액슬 구멍(410a) 및 액슬 구멍(410b)이 배치된다. 액슬 구멍(320a)은 회전 샤프트를 통해 액슬 구멍(410a)에 맞춰지고, 액슬 구멍(320b)은 회전 샤프트를 통해 액슬 구멍(410b)에 맞춰지며, 그에 따라 제 2 스윙체(400)가 제 2 축(L2)을 중심으로 제 1 스윙체(300)에 대해 스윙할 수 있다. 제 2 축(L2)은 제 1 축(L1)에 수직이다. 카메라(500)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패널(panel)(520), 백플레인(backplane)(540) 및 4개의 측벽(510a, 510b, 510c 및 510d)에 의해 형성된 주위 벽(510)을 포함한다. 패널(520) 및 백플레인(540)은 제 3 축(L3)의 방향으로 배열되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제 3 축(L3)은 제 1 축(L1) 및 제 2 축(L2) 모두에 수직이다. 측벽(510a, 510b, 510c 및 510d)에 의해 형성된 주위 벽(510)은 패널(520)과 백플레인(540)을 연결하며, 측벽(510a) 및 측벽(510c)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측벽(510b) 및 측벽(510d)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카메라(500)는 렌즈(530)를 더 포함하며, 렌즈(530)는 패널(520)의 중간에 배치되고, 렌즈(530)의 조명 방향은 백플레인(540)으로부터 멀어진다. 제 2 스윙체(400)는 카메라(500)의 4개의 측벽(510a, 510b, 510c 및 510d)의 외측에 슬리브 결합된다(따라서, 제 2 스윙체(400)는 인클로저(enclosure)로도 지칭되며, 소위 "인클로저"는 주위 벽(510) 주위로 연장되는 인클로저이고, 인클로저의 형태는 제 2 스윙체(400)의 구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제 2 스윙체(400)의 4개의 측면 프레임은 각각 카메라(500)의 측벽(510a, 510b, 510c 및 510d)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측벽(510a, 510b, 510c 또는 510d)의 표면에는 이격 범프(spaced bump)가 배치되어, 제 2 스윙체(400)의 측면 프레임과 측벽(510a, 510b, 510c 및 510d) 사이에 갭이 유지된다. 또한, 측벽(510a, 510b, 510c 및 510d)은 제 2 스윙체(400)의 측면 프레임에 (예를 들어, 클램핑을 통해)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센서 등에 의해 검출된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은 모터와 같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카메라(500)를 제 1 축(L1) 또는 제 2 축(L2)을 중심으로 베이스(200)에 대해 스윙하도록 구동하여, 카메라(500)가 가능한 한 원래의 공간적 위치에 유지되게 해서, 이미지 흔들림 방지 촬영의 목적을 달성한다. 카메라(500)가 제 1 축(L1) 또는 제 2 축(L2)을 중심으로 스윙할 때, 카메라(500)의 렌즈는 대략 제 3 축(L3)의 방향을 향하도록 유지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 3 축(L3)은 카메라(500)의 광축으로 지칭된다. 일부 다른 경우에, 액추에이터는 카메라(500)를 제 3 축(L3)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는 카메라(500)가 복수의 축을 중심으로 스윙할 수 있도록 구현하기 위한 당업계에 알려진 일반적인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카메라(500)를 복수의 축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다른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는 세부사항이 설명되지 않는다.
여전히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한다. 카메라(500)는 백플레인(540)의 내측에 배치된 회로 기판(회로 기판은 도 1c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B로 표시됨)을 더 포함하며, 회로 기판(B)은 백플레인(54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는 2개의 연성 회로 기판(600)을 포함한다. 먼저, 연성 회로 기판(600) 중 하나가 설명에 사용된다. 연성 회로 기판(600)은 인출 섹션(630), 권취 섹션(610) 및 연장 섹션(620)을 포함한다. 인출 섹션(630)의 일 단부는 고정 위치(N1)(도면에는 도시되지 않고, 고정 위치(N1)도 또한 연성 회로 기판(600)의 일부임)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고정 위치(N1)는 회로 기판(B)의 측면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로 기판(B)의 측면에 인접한 측벽(510c)까지 연장된다. 권취 섹션(610)은 측벽(510c)의 중간부로부터 측벽(510d)을 통과하여 측벽(510a)의 중간부까지 연장되고; 권취 섹션(610)은 측벽(510c)의 측부(m)(도 1a 참조, 측부(m)는 권취 섹션(61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됨)에 위치되고, 회로 기판(B)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인출 섹션(630)의 단부에 연결되며; 권취 섹션(610)은 제 2 스윙체(400)의 주위 벽 구조체와 카메라(500)의 측벽(510) 사이의 갭에 위치된다. 연장 섹션(620)의 일 단부는 측벽(510a)의 일 단부 상에 위치되고 백플레인(540)에 근접한 권취 섹션(610)의 측부(n)에 연결된다(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m)는 권취 섹션(61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됨). 이러한 방식으로, 연장 섹션(620)은 하우징(100)의 외부로 제 2 스윙체(400), 베이스(200) 및 하우징(100)의 측면 프레임을 우회하며, 연장 섹션(620)은 베이스(200) 및 하우징(100)을 우회한 후에, 측벽(510a)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되고, 권취 섹션(61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연장 섹션(620)의 일 단부는 고정 위치(M1)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고정 위치(M1)는 전자 장치의 메인보드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고정 위치(M1)는 에지 커넥터를 통해 메인보드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정 위치(M1)는 먼저 하우징(100) 외부의 패키지 하우징에 고정되고, 패키지 하우징 상에 고정된 커넥터의 인터페이스에 고정되며; 커넥터의 다른 인터페이스가 메인보드에 고정된다. 유사하게, 고정 위치(N1)는 또한 회로 기판(B)에 유사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카메라(500)의 회로 기판(B)은 연성 회로 기판을 통해 전자 장치의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연성 회로 기판(600)은 전술한 연성 회로 기판(60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2개의 연성 회로 기판(600)은 제 2 스윙체(400)와 측벽(510a, 510b, 510c 또는 510d) 사이의 갭의 공간을 충분히 이용하도록 측벽(510a)의 중간 수직면에 대해 대칭이며, 그에 따라 회로 기판(B)은 외부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보다 많은 라인들을 갖는다. 연성 회로 기판(600) 중 하나만이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상대적인 위치 관계 및 형상과 같은 상기에 한정된 요소들은 모두 연성 회로 기판(600)이 자연 상태에 있을 때 당겨지지 않은 연성 회로 기판(600)에 대한 것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대응하는 실시예에 제공된 카메라 조립체에서, 각각의 연성 회로 기판(600)에 대해, 카메라(500)가 (전자 장치의 메인보드에 대해) 제 1 축(L1)을 중심으로 스윙하는 경우:
인출 섹션(630)은 두께 방향으로 비틀려서 변형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축(L2)의 방향으로, 인출 섹션(630)의 일 단부가 회로 기판(B)에 대해 상승되고, 인출 섹션(630)의 타 단부가 회로 기판(B)에 대해 하강된다. 또한, 비틀림에 의해 유발된 인출 섹션(630)의 변형은 권취 섹션(610)으로 전달된다. 권취 섹션(610)의 연장 방향(p)으로의 권취 섹션(610)의 길이는 길고, 발생된 변형은 권취 섹션(610)의 연장 방향(p)으로 각 부분에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권취 섹션(610)의 연장 방향(p)의 각 횡단면에는 변형이 적고, 변형으로 인해 발생되는 응력도 작다. 또한, 권취 섹션(610)은 변형을 연장 섹션(620)으로도 전달하고; 연장 섹션(620)의 연장 방향(p)에서, 변형은 연장 섹션의 각 횡단면에 분산된다. 각 횡단면의 변형은 작고, 액추에이터가 극복할 필요가 있는 연성 회로 기판(600)의 재료 응력이 작다. 결론적으로, 인출 섹션(630), 권취 섹션(610) 및 연장 섹션(620)은 연장 방향으로 고정되지 않고, 특정의 변형 여유도(degree of deformation redundancy)를 가지며, 굴곡 방식으로 연장되어 굴곡 여분 구조체를 형성한다("여분 구조체(redundant structure)"는 하기와 같이 이해되어야 한다: 여분 구조체의 연장 경로는 비선형이고, 여분 구조체의 양 단부 사이의 부분은 고정되지 않고, 여분 구조체는 특정의 변형 여유도를 가지며;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여분 구조체를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600)의 각 부분의 변형이 여분 구조체의 각 부분에 분산될 수 있고, 발생된 응력이 여분 구조체에서 해제될 수 있음). 연성 회로 기판(600)의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은 여분 구조체의 각 부분에서 해제될 수 있고,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1 축(L1)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극복될 필요가 있는 응력이 감소된다. 또한, 인출 섹션(630)의 기능은 하기와 같다: 연성 회로 기판(600)의 측부(m)가 회로 기판(B)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1 축(L1)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회로 기판(B)은 권취 섹션(610)의 일 단부를 권취 섹션(610)의 폭 방향(q)으로 비틀어서 변형시키도록 구동하며, 권취 섹션(610)의 폭 방향(q)으로의 비틀림에 의해 유발된 변형 누적이 많고, 액추에이터가 극복할 필요가 있는 응력도 또한 크다. 또한, 장기간 사용 후에, 권취 섹션(610)이 쉽게 찢어진다. 이것은 권취 섹션(610)에서의 라인 신호 전송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인출 섹션(630)이 배치된 후에,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1 축(L1)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인출 섹션(630)의 변형은 주로 두께 방향으로 누적되고, 변형 누적이 적으며, 액추에이터에 의해 극복될 필요가 있는 인출 섹션(630)도 또한 작아서, 먼저 재료 응력을 해제한다. 이것은 권취 섹션(610)과 인출 섹션(630) 사이에 "유연성" 연결을 구현하는 것과 동등하다. 또한, 권취 섹션(610)이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신에 측벽(510c), 측벽(510d) 및 측벽(510a)을 따라 굴곡되어 연장되는 기능은 하기와 같다: 권취 섹션(610)이 측벽(510c)의 길이 방향으로 계속 연장되는 경우,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1 축(L1)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권취 섹션(610)의 대부분의 변형은 폭 방향(q)으로 누적되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극복될 필요가 있는 응력은 크다. 그러나, 권취 섹션(610)이 측벽(510c), 측벽(510d) 및 측벽(510a)을 따라 굴곡되어 연장되는 경우,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1 축(L1)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하면, 연장 방향(p)으로의 변형이 권취 섹션(610)의 코너에서 일어난다. 여기서의 변형은 주로 권취 섹션(610)의 두께 방향으로 집중되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극복될 필요가 있는 권취 섹션(610)의 응력이 감소된다. 또한, 권취 섹션(610)이 측벽(510c), 측벽(510d) 및 측벽(510a)을 따라 굴곡되어 연장되는 경우, 카메라 조립체의 외부 공간이 절약된다.
액추에이터가 (전자 장치의 메인보드에 대해) 카메라(500)를 제 2 축(L2)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하는 경우:
권취 섹션(610)과 인출 섹션(630)의 연결 단부는 권취 섹션(610)의 측부(m) 주위로 회전하고, 권취 섹션(610)과 인출 섹션(630)의 접합부에서 주로 두께 방향으로 변형이 누적되고, 횡단면에서의 변형 누적이 적다. 또한, 권취 섹션(610)의 굴곡부는 권취 섹션(610)의 연장 방향(p)의 축을 중심으로 비틀린다. 여기서, 횡단면의 변형은 주로 두께 방향으로 누적되고, 변형 누적이 적다. 연성 회로 기판(600)의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의 적어도 일부는 해제되고,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2 축(L2)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연성 회로 기판(600)의 작은 응력이 극복되기만 하면 된다.
액추에이터가 (전자 장치의 메인보드에 대해) 카메라(500)를 제 3 축(L3)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하는 경우:
연성 회로 기판(600)의 변형은, 권취 섹션(610)이 제 3 축(L3)을 중심으로 조여지거나 느슨해질 때, 연장 방향(p)에 수직인 횡단면의 변형이 권취 섹션(610)의 두께 방향으로 누적되도록 주로 반영되며, 변형 누적이 적다. 또한, 전술한 변형은 권취 섹션(610)의 연장 방향으로 각 횡단면에서 분산 및 해제된다.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3 축(L3)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연성 회로 기판(600)의 작은 응력이 극복되기만 하면 된다. 권취 섹션(610)이 조여질 때 특정 공간을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해, 권취 섹션(610)과 주위 벽(510)의 표면 사이에 특정 갭이 확보될 수 있다.
전술한 배치를 통해,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1 축(L1), 제 2 축(L2) 및 제 3 축(L3)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극복될 필요가 있는 연성 회로 기판(600)의 응력에 대한 저항이 작고, 카메라(500)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될 때 지정된 위치에 적시에 도달할 수 있으며, 카메라(500)의 촬영 동안에 이미지 흔들림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권취 섹션(610)은 주위 벽(510)과 제 2 스윙체(400) 사이에 숨겨지고, 추가적인 외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하우징(100) 외부의 물체에 스크래치가 생겨서 권취 섹션(610)에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다. 또한, 권취 섹션(610)은 탄성 구조체이며, 그에 따라 연성 회로 기판의 다른 부분에서 발생되는 응력이 권취 섹션(610)에서 해제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에 기초하여, 권취 섹션(610)은 주위 벽(510)의 표면을 따라 카메라(500)의 둘레부 주위로 반 턴(turn)만큼 연장되거나, 카메라(500) 둘레부 주위로 반 턴 초과만큼, 예를 들어 0.5 내지 3.5 턴만큼, 구체적으로 0.5 턴, 1 턴, 1.5 턴, 2 턴, 2.5 턴, 3 턴, 3.5 턴 중 어느 하나만큼 연장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2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 시각에서 본 다른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고, 도 2b는 다른 시각에서 본 도 2a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다. 도 2b에서, 연성 회로 기판(600)의 궤적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연성 회로 기판(600)의 가려진 부분이 여전히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 사이의 차이점은, 권취 섹션(610)이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에서 카메라(500)의 주위 벽(510)과 제 2 스윙체(400) 사이의 갭에 배치되는 대신에, 권취 섹션(610')(도 1c의 권취 섹션에 대응함)이 하우징(100)의 외부에 배치되고 하우징(100)의 둘레 표면 주위로 연장된다(다시 말해서, 제 3 축(L3) 주위로 연장됨)는 점에 있다.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1 축(L1), 제 2 축(L2) 및 제 3 축(L3)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하는 경우, 연성 회로 기판(600)의 응력 해제 원리에 대해서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의 관련 원리 설명을 참조한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서, 연성 회로 기판(600)의 수량이 하나로 감소된다. 그러나, 2개의 대칭인 연성 회로 기판(600)이 대안적으로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고정 위치(M1) 및 권취 섹션(610)에 연결된 연장 섹션(620')의 굴곡부만이 보유된다. 그러나, 연장 섹션(620')은 대안적으로 도 1a 내지 도 1c의 연장 섹션(620)의 형태로 또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연성 회로 기판(600)의 다른 파라미터, 변형 등에 대해서는 도 1a 내지 도 1c에 대응하는 실시예를 참조한다.
예를 들어, 도 3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 시각에서 본 다른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고, 도 3b는 다른 시각에서 본 도 3a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 사이의 차이점은, 카메라 조립체의 연성 회로 기판(600)이 인출 섹션(640) 및 나선 섹션(650)을 포함한다는 점에 있다. 인출 섹션(640)의 일 단부는 고정 위치(N1)(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고, 고정 위치(N1)는 카메라(500)의 회로 기판(B)의 제 1 축(L1)의 방향으로의 일 단부의 측부에 연결된다. 또한, 인출 섹션(640)은 회로 기판(B)으로부터 멀어지는 제 1 축(L1)의 방향으로 연장된다(도 3b 참조, 인출 섹션(640)의 연장 방향은 인출 섹션(640)의 중심축(C1)의 연장 방향이고, 중심축(C1)은 예를 들어 제 1 축(L1)에 평행함). 나선 섹션(650)의 시작 단부는 중심축(C1)에 평행한 인출 섹션(640)의 측부(k)에 연결된다. 또한, 나선 섹션(650)은 인출 섹션(640)의 중심축(C1) 주위로 약 반 턴만큼 나선형으로 연장되며, 나선 섹션(650)의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축(L1)을 둘러싼다. 나선 섹션(650)의 말단부는 고정 위치(M1)에 고정되고, 고정 위치(M1)는 전자 장치의 메인보드에 고정되어, 회로 기판(B)과 메인보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한다. 소위 "나선 섹션"은 나선 축 주위로 연장되는 연성 회로 기판의 섹션이고, 연성 회로 기판의 각 부분의 외부면은 나선 축에 평행(또는 대략 평행)하다. 소위 "나선 연장"은 나선 축 주위로의 연장이다.
도 3a 및 도 3b에 대응하는 실시예에 제공된 카메라 조립체에서,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1 축(L1)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하는 경우:
인출 섹션(640)이 회로 기판(B)에 의해 비틀려서 회전하면, 인출 섹션(640)은 중심축(C1)을 축으로 하여 비틀려서 변형된다. 인출 섹션(640)의 측부(k)는 나선 섹션(650)의 시작 단부에 연결되고, 나선 섹션(650)은 중심축(C1) 주위로 나선을 이루기 때문에, 비틀림 및 변형에 의해 유발된 인출 섹션(640)에 누적된 응력은 나선 섹션(650)으로 해제되고, 나선 섹션(650)은 조여지거나 느슨해진다. 나선 섹션(650)의 횡단면의 변형은 주로 두께 방향으로 누적되고, 나선 섹션(650)의 길이가 길어서, 나선 섹션(650)의 연장 방향으로 변형이 분산되며, 나선 섹션(650)의 단일 횡단면에서의 변형 누적이 적다. 따라서,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1 축(L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할 때, 인출 섹션(640)은 연성 회로 기판(600)의 작은 응력을 극복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인출 섹션(640)이 제 1 축(L1)을 따라 연장될 때 발생되는 비틀림 및 변형은 인출 섹션(640)이 제 1 축(L1)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연장될 때 발생되는 것보다 작다. 또한, 나선 섹션(650)이 인출 섹션(640)의 중심축(C1) 주위로 연장되기 때문에, 나선 섹션(650)은 나선 섹션(650)의 연장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쉽게 비틀리지 않는다.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2 축(L2)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하는 경우:
한편으로, 회로 기판(B)에 근접한 인출 섹션(640)의 일 단부가 회로 기판(B)의 구동 하에서 스윙하며, 그에 따라 인출 섹션(640)은 중심축(C1)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굴곡되고, 인출 섹션(640)의 횡단면의 변형은 주로 두께 방향으로 누적된다. 다른 한편으로, 회로 기판(B)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인출 섹션(640)의 일 단부가 나선 섹션(650)의 시작 단부를 함께 스윙하도록 구동하고, 스윙에 의해 유발된 변형은 나선 섹션(650)의 연장 방향으로 전달되며, 그에 따라 변형은 나선 섹션(650)의 연장 방향으로 각 횡단면에 분산된다. 또한, 나선 섹션(650)의 횡단면의 변형도 또한 두께 방향으로 누적되고, 횡단면에서의 변형 누적이 적다.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2 축(L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할 때, 인출 섹션(640)은 연성 회로 기판(600)의 작은 응력을 극복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나선 섹션(650)이 인출 섹션(640)의 중심축(C1) 주위로 연장되기 때문에, 나선 섹션(650)은 나선 섹션(650)의 연장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쉽게 비틀리지 않는다.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3 축(L3)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하는 경우:
인출 섹션(640)은 나선 섹션(650)의 시작 단부를 제 3 축(L3)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하고, 나선 섹션(650)의 시작 단부는 나선 섹션(650)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이동하며, 나선 섹션(650)의 시작 단부의 변형은 나선 섹션(650)의 나머지 부분에 분산되고, 나선 섹션(650)의 단일 횡단면적에서의 변형은 작다.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3 축(L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할 때, 인출 섹션(640)은 연성 회로 기판(600)의 작은 응력을 극복하기만 하면 된다.
결론적으로, 나선 섹션(650)과 인출 섹션(640)은 공동으로 굴곡 여분 구조체를 형성하며, 그에 따라 연성 회로 기판(600)에 의해 발생되는 변형은 각 횡단면에 분산되고,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구동할 때 유발되는 저항은 감소되며, 이미지 흔들림 방지 촬영 효과가 개선된다. 나선 섹션(650)은 탄성 구조체이다. 인출 섹션(640)이 카메라(500)에 의해 구동되어 변형될 때 발생되는 응력은 나선 섹션에 의해 완전히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나선 섹션은 체적이 작을 때 긴 연장 길이를 갖는다. 변형이 나선 섹션(650)에서 분산된 후에는 각 횡단면에서의 변형 누적이 적다. 이것은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구동할 때 극복될 필요가 있는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나선 섹션(650)이 인출 섹션(640)의 중심축(C1) 주위로 약 반 턴만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것은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4a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의 변형된 구조이고, 도 4b는 다른 시각에서 본 도 4a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 사이의 차이점은, 나선 섹션(650)이 나선 섹션(650)의 길이를 더욱 연장하도록 인출 섹션(640)의 중심축(C1) 주위로 하나 초과의 턴만큼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그에 따라 인출 섹션(640)에 의해 발생되는 변형이 나선 섹션(650)의 각 횡단면에 분산되어 작아진다는 점에 있다. 예를 들어, 나선 섹션(650)이 인출 섹션(640)의 중심축(C1) 주위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턴의 양은 0.5 턴 내지 4 턴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5 턴, 1 턴, 1.5 턴, 2 턴, 2.5 턴, 3 턴, 4 턴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 섹션(640)의 중심축(C1)을 따라 인출 섹션(640)에 갭(G1)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카메라(500)가 제 1 축(L1)을 중심으로 스윙하는 경우, 인출 섹션(640)이 중심축(C1)을 중심으로 비틀리고 변형될 때 원래 발생되는 응력은 갭(G1)에서 해제될 수 있고, 액추에이터가 카메라를 제 1 축(L1)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극복될 필요가 있는 응력은 더 작다. 그러나, 갭(G1)이 인출 섹션(640)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한, 갭(G1)은 반드시 중심축(L1)에 위치되는 것은 아니다. "중간부"는 중간축과, 중간축의 좌측 및 우측 부근의 영역을 포함하고, 갭(G1)은 중심축(C1)에 평행하다("평행"은 대략 평행, 예를 들어 끼인각이 25°이하인 것; 또는 완전 평행, 다시 말해서 끼인각이 0°와 동일한 것을 의미할 수 있음). 또한, 도 3a 내지 도 4b에서, 자연 상태에서는 인출 섹션(640)이 백플레인(540)의 표면과 평행하다. 그러나, 이것은 예시일 뿐이다. 인출 섹션(640)도 또한 제 2 축(L2)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어느 정도 굴곡될 수 있다. 또한, 중심축(C1)이 제 1 축(L1)에 평행하다는 것은 예시일 뿐이다. 예를 들어, 중심축(C1)과 제 1 축(L1) 사이에 끼인각(예를 들어, 30° 이하)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 시각에서 본 다른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고, 도 5b는 다른 시각에서 본 도 5a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다. E 방향 및 F 방향은 모두 제 1 축(L1)에 평행하고, E 방향 및 F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 사이의 차이점은, 연성 회로 기판(600)이 인출 섹션(S1)과, 순차적으로 평행하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복수의 서브섹션(S2, S3, S4 및 S5)을 포함한다는 점에 있다. 예를 들어, 인출 섹션(S1) 및 각 서브섹션은 제 1 축(L1) 및 제 2 축(L2)에 평행하고, 인출 섹션(S1)의 연장 방향(즉, 인출 섹션(S1)의 중심축의 방향, 인출 섹션(S1)의 중심축의 위치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에서의 인출 섹션(S1) 상의 갭(G2)의 위치 참조)과 각 서브섹션의 연장 방향(즉, 서브섹션의 중심축의 방향, 중심축의 위치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의 각 서브섹션에서의 갭(G2)의 위치 참조)은 동일하다(예를 들어, 방향이 제 1 축(L1)과 평행함). E 방향에서의 인출 섹션(S1)의 일 단부는 고정 위치(N1)(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고, 고정 위치(N1)는 카메라(500)의 회로 기판(B)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F 방향에서의 인출 섹션(S1)의 일 단부는 굴곡 연결부(K1)를 통해 F 방향에서의 서브섹션(S2)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E 방향에서의 서브섹션(S2)의 일 단부는 굴곡 연결부(K2)를 통해 E 방향에서의 서브섹션(S3)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F 방향에서의 서브섹션(S3)의 일 단부는 굴곡 연결부(K3)를 통해 F 방향에서의 서브섹션(S4)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E 방향에서의 서브섹션(S4)의 일 단부는 굴곡 연결부(K4)를 통해 E 방향에서의 서브섹션(S5)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그에 따라 서브섹션(S2, S3, S4 및 S5)은 뱀형상 굴곡 섹션을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뱀형상 굴곡 섹션 및 인출 섹션(S1)은 여분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여분 구조체는 전체적으로 제 2 축(L2)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으로 연장된다. F 방향에서의 서브섹션(S5)의 일 단부는 고정 위치(M1)에 고정되고, 고정 위치(M1)는 전자 장치의 메인보드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 기판(B)과 메인보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한다. 또한, 갭(G2)은 각각의 연성 회로 기판(600)의 각 서브섹션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된다.
도 5a 및 도 5b에 대응하는 실시예에 제공된 카메라 조립체에서, 카메라(500)가 (전자 장치의 메인보드에 대해) 제 1 축(L1)을 중심으로 스윙하는 경우:
인출 섹션(S1)은 회로 기판(B)에 의해 구동되어 인출 섹션(S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비틀리고, 인출 섹션(S1)은 비틀림에 의해 유발된 변형을 인출 섹션(S1)의 서브섹션(S2, S3, S4 및 S5)으로 순차적으로 전달한다. 인출 섹션(S1)의 비틀린 변형이 다른 서브섹션에 분산된 후에, 연성 회로 기판(600)의 연장 방향으로의 각 횡단면의 변형은 작다. 도 5a 및 도 5b에서, 연성 회로 기판(600)의 연장 방향은 인출 섹션(S1) 및 서브섹션(S2, S3, S4 및 S5)의 연장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갭(G2)은 인출 섹션(S1)의 중심축 및 서브섹션(S2, S3, S4 및 S5)의 중심축에 배치되기 때문에, 인출 섹션(S1) 및 서브섹션의 각 층이 비틀릴 때, 응력은 갭(G2)에서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갭(G2)은 반드시 인출 섹션(S1)의 중심축에 완전히 위치되는 것은 아니며, 갭(G2)이 인출 섹션(S1)의 중간부에 위치되는 한, 응력을 해제하는 기능이 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소위 "중간부"는 인출 섹션(S2)의 중심축과, 중심축의 좌측 및 우측 부근의 영역을 포함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1 축(L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할 때, 인출 섹션(640)은 연성 회로 기판(600)의 작은 응력을 극복하기만 하면 된다.
카메라(500)가 (전자 장치의 메인보드에 대해) 제 2 축(L2)을 중심으로 스윙하는 경우:
카메라(500)의 회로 기판(B)은 인출 섹션(S1)을 웨이브 방식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하고, 인출 섹션(S1)은 스윙을 다른 서브섹션(S2, S3, S4 및 S5)으로 전달하여, 스윙으로 인해 발생되는 재료 응력을 해제한다. 또한, 서브섹션의 각 층의 연장 방향에서, 각 횡단면에서의 변형 누적은 주로 두께 방향으로 집중되고, 횡단면에서의 변형 누적은 적다. 따라서,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2 축(L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할 때, 인출 섹션(640)은 연성 회로 기판(600)의 작은 응력을 극복하기만 하면 된다.
카메라(500)가 (전자 장치의 메인보드에 대해) 제 3 축(L3)을 중심으로 스윙하는 경우:
회로 기판(B)은 인출 섹션(S1)을 제 3 축(L3)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하고, 인출 섹션(S1)은 스윙을 서브섹션(S2, S3, S4 및 S5)으로 전달한다. 인출 섹션(S1)이 서브섹션에 연결된 후에 인출 섹션(S1)의 길이가 증가되기 때문에, 스윙에 의해 유발되는 변형이 횡단면에 분산될 때, 각 횡단면의 변형은 작다. 따라서,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3 축(L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할 때, 액추에이터는 연성 회로 기판(600)의 작은 응력을 극복하기만 하면 된다.
결론적으로, (S2, S3, S4 및 S5)에 의해 형성되는 뱀형상 굴곡 섹션과 인출 섹션(S1)은 연성 회로 기판(600)의 굴곡 여분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를 공동으로 형성한다. 인출 섹션(S1)이 회로 기판(B)의 구동 하에서 변형될 때, 전술한 변형이 뱀형상 굴곡 섹션으로 전달되어, 각각의 연성 회로 기판(600)의 각 횡단면의 변형을 감소시키고,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유발되는 저항을 감소시킨다. 뱀형상 굴곡 섹션은 탄성 구조체이다. 연성 회로 기판(600)의 일 단부가 카메라(500)에 의해 구동되어 변형될 때 발생되는 응력은 뱀형상 굴곡 섹션으로 해제된 후에는 뱀형상 굴곡 섹션에 의해 완전히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뱀형상 굴곡 섹션은 작은 체적을 갖고, 뱀형상 굴곡 섹션의 길이는 연장 방향으로 길다. 뱀형상 굴곡 섹션에 변형이 분산된 후에는, 각 횡단면에서의 변형 누적이 적다. 이것은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구동할 때 극복될 필요가 있는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각각의 서브섹션 상의 갭(G2)은 설정되지 않을 수 있거나, 대응하는 서브섹션의 중심축과 평행한 한, 대응하는 서브섹션의 중심축에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평행"은 완전히 평행하거나 대략 평행할 수 있음). 인출 섹션(S1) 상의 갭(G2)은 유사하게 배치된다. 인출 섹션(S1) 및 서브섹션의 각 층의 중심축은 제 1 축(L1)과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의 뱀형상 굴곡 섹션은 4개의 서브섹션만을 나타낸다. 이것은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소위 "뱀형상 굴곡 섹션"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 뱀형상 굴곡 섹션은 서로에 대해 연속적으로 대향하고 평행한 복수의 서브섹션을 포함한다(평행은 대략 평행, 예를 들어 끼인각이 25°이하인 것일 수 있거나; 완전 평행, 다시 말해서 끼인각이 0°인 것일 수 있음). 2개의 서브섹션(예를 들어, S2 및 S4) 사이에 위치된 각 서브섹션(예를 들어, S3)의 일 단부는 굴곡 연결부(예를 들어, K1)를 통해 일 측부에서 서브섹션(예를 들어, S2)의 대응하는 단부에 연결되고, 서브섹션의 타 단부는 굴곡 연결부(예를 들어, K3)를 통해 타 측부에서 서브섹션(예를 들어, S4)의 대응하는 단부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6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 시각에서 본 다른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고, 도 6b는 다른 시각에서 본 도 6a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의 3차원 도면이다. U 방향 및 V 방향은 모두 제 2 축(L2)에 평행하고, U 방향 및 V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E 방향 및 F 방향은 모두 제 2 축(L2)에 평행하고, E 방향 및 F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 사이의 차이점은, 연성 회로 기판(600)이 인출 섹션(660)과, 순차적으로 평행하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복수의 서브섹션(W1, W2 및 W3)과, 굴곡 연결부(V1 및 V2)를 포함한다는 점에 있다. 예를 들어, 서브섹션(W1, W2 및 W3)은 제 1 축(L1) 및 제 2 축(L2)에 평행하고, 제 3 축(L3)의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서브섹션의 중심축(C2)은 제 2 축(L2)에 평행하다. 서브섹션(W1)의 I 방향에서의 일 단부에 있어서의 F 방향에서의 측부는 굴곡 연결부(V1)를 통해 서브섹션(W2)의 I 방향에서의 일 단부에 있어서의 F 방향에서의 측부에 연결된다. 서브섹션(W2)의 U 방향에서의 일 단부에 있어서의 E 방향에서의 측부는 굴곡 연결부(V2)를 통해 서브섹션(W3)의 U 방향에서의 일 단부에 있어서의 E 방향에서의 측부에 연결되고, 서브섹션(W3)의 타 단부는 고정 위치(M1)에 고정된다. 고정 위치(M1)는 메인보드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출 섹션(660)의 일 단부는 고정 위치(N1)(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된다. 고정 위치(N1)는 카메라(500)의 회로 기판(B)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출 섹션(660)의 타 단부는 굴곡 연결부(V1)로부터 멀리 떨어진 서브섹션(W1)의 일 단부에서 서브섹션(W1)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측부(t)에 연결된다. 각각의 서브섹션의 연장 방향(즉, 각각의 서브섹션의 중심축(C2)의 연장 방향)은 예를 들어 인출 섹션(660)의 연장 방향(즉, 인출 섹션(660)의 중심축(C3) 방향)에 수직이다("수직"은 대략 수직을 의미하거나; 엄밀하게 수직일 수 있으며, 예들 들어 끼인각이 75° 이상 90° 이하임). 서브섹션(W1, W2 및 W3)과 굴곡 연결부(V1 및 V2)는 뱀형상 굴곡 섹션을 형성하고, 제 1 축(L1)은 서브섹션 중 2개의 서브섹션 사이를 통과하며, 그에 따라 뱀형상 굴곡 섹션의 구조체의 일부는 제 1 축(L1)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인출 섹션(660) 및 뱀형상 굴곡 섹션은 연성 회로 기판(600)의 굴곡 여분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뱀형상 굴곡 섹션 전체는, 예를 들어 F 방향에서의 카메라(500)의 일 측부에 위치되고, 제 2 축(L2)의 방향으로의 굴곡 연결부(V1)의 길이는 제 2 축(L2)의 방향으로의 서브섹션(W1) 및 서브섹션(W2)의 길이보다 짧으며, 제 2 축(L2)의 방향으로의 굴곡 연결부(V2)의 길이는 제 2 축(L2)의 방향으로의 서브섹션(W2) 및 서브섹션(W3)의 길이보다 짧다.
도 6a 및 도 6b에 대응하는 실시예에 제공된 카메라 조립체에서, 카메라(500)가 (전자 장치의 메인보드에 대해) 제 1 축(L1)을 중심으로 스윙하는 경우:
서브섹션(W1)은 인출 섹션(660)에 의해 구동되어 굴곡 연결부(V1)를 중심으로(제 1 축(L1)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스윙하고, 서브섹션(W)은 제 1 축(L1)에 대략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굴곡된다. 서브섹션(W1)의 횡단면의 변형은 주로 두께 방향으로 누적되고, 변형 누적이 적다. 또한, 서브섹션(W1)의 스윙은 서브섹션(W2) 및 서브섹션(W3)으로 전달되고, 서브섹션(W2) 및 서브섹션(W3)의 횡단면의 변형도 또한 주로 두께 방향으로 누적된다. 서브섹션(W1)의 스윙이 서브섹션(W2) 및 서브섹션(W3)으로 전달된 후에는, 각 횡단면의 변형이 감소된다.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1 축(L1)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극복될 필요가 있는 연성 회로 기판의 재료 응력은 작다.
카메라(500)가 (전자 장치의 메인보드에 대해) 제 2 축(L2)을 중심으로 스윙하는 경우:
서브섹션(W1)은 인출 섹션(660)에 의해 구동되어 굴곡 연결부(V1)를 중심으로(제 2 축(L2)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스윙하고, 서브섹션(W1)의 스윙은 서브섹션(W2) 및 서브섹션(W3)으로 전달된다. 변형은 주로 굴곡 연결부(V1) 및 굴곡 연결부(V2)에서 일어나고, 서브섹션(W1, W2 및 W3) 및 굴곡 연결부(V1 및 V2)의 횡단면에서의 변형은 주로 두께 방향으로 누적되고, 변형 누적이 적다.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2 축(L2)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극복될 필요가 있는 연성 회로 기판의 재료 응력은 작다.
카메라(500)가 (전자 장치의 메인보드에 대해) 제 3 축(L3)을 중심으로 스윙하는 경우:
서브섹션(W1)은 인출 섹션(660)에 의해 구동되어 굴곡 연결부(V1)를 중심으로(제 2 축(L2)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스윙한다. 서브섹션(W1)의 스윙이 서브섹션(W2) 및 서브섹션(W3)으로 전달된 후에, 변형은 서브섹션(W1, W2 및 W3) 및 굴곡 연결부(V1 및 V2)의 각 횡단면에 분산되고, 각 횡단면의 변형은 작다.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제 3 축(L3)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극복될 필요가 있는 연성 회로 기판의 재료 응력은 작다.
결론적으로, 뱀형상 굴곡 섹션과 인출 섹션(660)은 연성 회로 기판(600)의 굴곡 여분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를 공동으로 형성한다. 인출 섹션(660)이 회로 기판(B)의 구동 하에서 변형될 때, 변형이 뱀형상 굴곡 섹션으로 전달되어 각각의 연성 회로 기판(600)의 각 횡단면의 변형을 감소시키고,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유발되는 저항을 감소시킨다. 또한, 뱀형상 굴곡 섹션은 탄성 구조체이다. 연성 회로 기판(600)의 일 단부가 카메라(500)에 의해 구동되어 변형될 때 발생되는 응력은 뱀형상 굴곡 섹션으로 해제된 후에 뱀형상 굴곡 섹션에 의해 완전히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뱀형상 굴곡 섹션은 작은 체적을 갖고, 뱀형상 굴곡 섹션의 길이는 연장 방향으로 길다. 뱀형상 굴곡 섹션에 변형이 분산된 후에는, 각 횡단면에서의 변형 누적이 적다. 이것은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구동할 때 극복될 필요가 있는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도 6a 및 도 6b에 제공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서브섹션의 중심축(C2)은 제 2 축(L2)에 평행하지 않을 수 있거나, 제 2 축(L2)과 소정 각도(예를 들어, 30° 이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축(L1)과 제 2 축(L2)은 상호 교환 가능하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 시각에서 본 다른 카메라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7을 참조한다. 도 7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와, 도 1a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 사이의 차이점은, 연성 회로 기판(600)이 인출 섹션(671), 서브섹션(672) 및 서브섹션(673)을 포함한다는 점에 있다. 인출 섹션(671)의 일 단부는 고정 위치(N1)에 고정되고, 고정 위치(N1)는 카메라(500)의 회로 기판(B)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출 섹션(671)은 카메라(500)의 백플레인에 평행한 방향으로 하우징(100)의 외부로 연장되고, 인출 섹션(671)의 타 단부는 서브섹션(672)의 일 단부와 연결되도록 굴곡되고, 서브섹션(672)은 제 3 축(L3)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브섹션(672)의 타 단부는 서브섹션(673)의 일 단부에 연결되도록 굴곡되고, 서브섹션(673)은 제 1 축(L1)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브섹션(673)의 타 단부는 고정 위치(M1)에 고정되고, 고정 위치(M1)는 메인보드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출 섹션(671), 서브섹션(672) 및 서브섹션(673)은 굴곡 여분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순차적으로 굴곡 및 연결된다. 여분 구조체는 직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신에 굴곡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여분 구조체의 중간에서의 임의의 지점은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굴곡되고 변형될 수 있다. 카메라(500)가 제 1 축(L1), 제 2 축(L2) 및 제 3 축(L3) 중 하나 이상을 중심으로 스윙하는 경우, 응력은 여분 구조체에 분산될 수 있고,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스윙하도록 구동할 때 극복될 필요가 있는 저항은 감소된다.
도 1a 내지 도 7에 도시된 다양한 카메라 조립체에서, 연성 회로 기판(600)은 힘이 가해지지 않은 자연 상태에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카메라(500)가 제 1 축(L1), 제 2 축(L2) 및 제 3 축(L3)을 중심으로 스윙할 때 액추에이터에 의해 극복될 필요가 있는 연성 회로 기판(600)의 응력에 대해서만 설명된다. 카메라(500)가 전술한 3개의 축 중 어느 2개의 축을 중심으로 스윙하는 경우, 이러한 경우에, 연성 회로 기판(600)의 변형은 전술한 2개의 축에 대응하는 연성 회로 기판(600)의 변형의 조합이며, 액추에이터는 큰 응력을 극복할 필요 없이 카메라(500)를 유연하게 스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이것은 카메라(500)가 전술한 3개의 축을 중심으로 동시에 스윙하는 경우에도 유사하다.
전술한 실시예 각각에서, 연성 회로 기판(600)은 고정 위치(M1) 및 고정 위치(N1)를 포함한다. 고정 위치(M1)는 메인보드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고정 위치(N1)는 카메라(500)의 회로 기판(B)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고정 위치(M1) 및 고정 위치(N1)는 각각 연성 회로 기판(600)의 연장 방향에서의 양 단부이다. 다시 말해서, 고정 위치(M1)는 연성 회로 기판(B)의 연장 방향에서의 일 단부이고, 고정 위치(N1)는 연성 회로 기판(B)의 연장 방향에서의 타 단부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여분 구조체의 연장 방향에서의 일 단부(예를 들어, 도 1c의 인출 섹션(630)의 일 단부)는 고정 위치(M1)에 직접 연결되고, 타 단부(예를 들어, 도 1b의 연장 섹션(620)의 일 단부)는 고정 위치(N1)에 연결된다. 일부의 다른 경우에, 연결 섹션은 여분 구조체와 고정 위치(M1) 사이 및 여분 구조체와 고정 위치(N1) 사이에 추가로 존재할 수 있고, 여분 구조체의 단부를 대응하는 고정 위치에 연결할 수 있다.
동일한 발명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전자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카메라 조립체 및 메인보드를 포함한다. 카메라로부터 멀리 떨어진 카메라 조립체의 연성 회로 기판의 단부(자유 단부)는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자 장치는 사용 상태에서 쉽게 흔들리고 이미지 캡처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대시보드 카메라, 액션 카메라 또는 드론 플랫폼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바코드 스캐너, RFID 리더 또는 POS 단말기이다. 카메라 조립체는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해 전술한 전자 장치에서 사용된다. 도 1a 내지 도 6a를 참조한다. 카메라 조립체가 전자 장치에 사용된다. 따라서, 카메라(500)가 흔들리는 환경에서 이미지를 캡처하는 데 사용되고, 카메라(500)가 연성 회로 기판(600)의 여분 구조체를 사용하여 제 1 축(L1), 제 2 축(L2) 및 제 3 축(L3) 중 적어도 하나를 중심으로 스윙하는 경우, 연성 회로 기판(600)에 의해 발생되는 모든 재료 응력은 여분 구조체에서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추에이터가 카메라(500)를 구동할 때 유발되는 저항이 감소되고, 전자 장치가 카메라(500)를 사용하여 촬영할 때 흔들림 방지 효과가 개선된다.
전술한 설명은 본 출원의 특정 구현예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된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따른다.

Claims (17)

  1. 카메라 조립체에 있어서,
    제 1 축, 제 2 축 및 제 3 축 중 적어도 하나를 중심으로 스윙할 수 있는 카메라로서, 상기 제 3 축은 상기 카메라의 광축인, 상기 카메라와,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연장 방향에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일 단부는 상기 카메라의 회로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타 단부는 메인보드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양 단부 사이에 응력을 해제하기 위한 굴곡 여분 구조체가 있으며, 상기 여분 구조체는 상기 제 1 축, 상기 제 2 축 또는 상기 제 3 축 중 적어도 하나를 중심으로 회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카메라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분 구조체는 나선 섹션을 포함하는
    카메라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분 구조체는 인출 섹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출 섹션의 일 단부는 상기 카메라의 회로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인출 섹션의 타 단부는 상기 나선 섹션에 연결되는
    카메라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섹션은 상기 인출 섹션의 중심축 주위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카메라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패널, 백플레인 및 주위 벽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 및 상기 백플레인은 상기 제 3 축의 방향으로 배열되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주위 벽은 상기 패널을 상기 백플레인에 연결하고,
    상기 여분 구조체는 상기 주위 벽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권취된 권취 섹션을 포함하는
    카메라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여분 구조체는 인출 섹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출 섹션의 일 단부는 상기 카메라의 회로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인출 섹션의 타 단부는 상기 권취 섹션에 연결되는
    카메라 조립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조립체는 인클로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주위 벽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인클로저와 상기 주위 벽 사이에는 갭이 존재하고, 상기 권취 섹션은 상기 주위 벽과 상기 인클로저 사이의 갭에 위치되는
    카메라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여분 구조체는 연장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권취 섹션의 연장 방향에서, 상기 카메라의 회로 기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권취 섹션의 일 단부의 측부는 상기 연장 섹션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장 섹션의 타 단부는 상기 인클로저 외부로 연장되는
    카메라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분 구조체는 뱀형상 굴곡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뱀형상 굴곡 섹션은 서로 연속적으로 대향하고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서브섹션을 포함하고, 2개의 서브섹션 사이에 위치된 각 서브섹션의 일 단부는 굴곡 연결부를 통해 일 측부에서 서브섹션의 대응하는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서브섹션의 타 단부는 굴곡 연결부를 통해 타 측부에서 서브섹션의 대응하는 단부에 연결되는
    카메라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여분 구조체는 인출 섹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출 섹션의 일 단부는 상기 카메라의 회로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인출 섹션의 타 단부는 상기 뱀형상 굴곡 섹션에 연결되는
    카메라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섹션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갭이 상기 인출 섹션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조립체.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뱀형상 굴곡 섹션의 각 서브섹션의 연장 방향은 상기 인출 섹션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카메라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섹션의 적어도 일부에서, 각각의 서브섹션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갭이 상기 서브섹션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조립체.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뱀형상 굴곡 섹션의 각 서브섹션의 연장 방향은 상기 인출 섹션의 연장 방향과 수직인
    카메라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서브섹션마다 굴곡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2개의 서브섹션 사이에 위치된 각 서브섹션을 연결하는 2개의 굴곡 연결부는 상기 서브섹션의 중심축의 양측에 위치되는
    카메라 조립체.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각각의 굴곡 연결부는 인접한 서브섹션의 연장 방향으로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카메라 조립체.
  17. 전자 장치에 있어서,
    메인보드와,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메라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연장 방향에서, 상기 카메라의 회로 기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일 단부는 상기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KR1020227025327A 2019-12-26 2020-12-23 카메라 조립체 및 전자 장치 KR202201196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371359.9 2019-12-26
CN201911371359.9A CN113055554B (zh) 2019-12-26 2019-12-26 一种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PCT/CN2020/138565 WO2021129652A1 (zh) 2019-12-26 2020-12-23 一种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680A true KR20220119680A (ko) 2022-08-30

Family

ID=7650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327A KR20220119680A (ko) 2019-12-26 2020-12-23 카메라 조립체 및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2003844B2 (ko)
EP (1) EP4072117A4 (ko)
JP (1) JP2023508664A (ko)
KR (1) KR20220119680A (ko)
CN (1) CN113055554B (ko)
WO (1) WO20211296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30183A (ja) * 2021-02-25 2022-09-06 日本電産株式会社 揺れ補正ユニット、光学ユニットおよびスマートフォン
JP2022181060A (ja) * 2021-05-25 2022-12-07 日本電産株式会社 配線部材、揺れ補正ユニットおよびスマートフォン
CN115811640B (zh) * 2021-09-10 2024-07-09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用于摄像模组的线路板及相应的摄像模组
CN114244982A (zh) * 2021-12-14 2022-03-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7666250A (zh) * 2022-08-30 2024-03-08 荣耀终端有限公司 镜片承载装置、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CN116033267B (zh) * 2022-10-13 2023-10-24 荣耀终端有限公司 防抖机构、摄像模组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203Y2 (ja) * 1991-12-27 1999-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カメラ装置
JPH08201880A (ja) * 1995-01-31 1996-08-09 Whitaker Corp:The 電気接続体
JP4260568B2 (ja) * 2003-07-31 2009-04-30 京セラ株式会社 カメラ装置および画像処理制御方法
KR101082615B1 (ko) * 2006-08-23 2011-11-10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이미지 블러 보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5380849B2 (ja) * 2008-02-07 2014-01-08 船井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1573073B1 (ko) 2009-06-03 201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의 손떨림 보정 장치
JP5593118B2 (ja) * 2010-04-30 2014-09-1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102483557B (zh) * 2010-07-07 2015-09-23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相机驱动装置
JP2012085175A (ja) * 2010-10-13 2012-04-26 Ricoh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撮像装置、撮影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40023822A (ko) 2012-08-17 2014-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213375B2 (en) * 2012-09-06 2015-12-15 Apple Inc. Enclosure assembly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6129016B2 (ja) 2013-08-06 2017-05-1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撮影用光学装置
WO2015045791A1 (ja) * 2013-09-25 2015-04-0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104994304B (zh) * 2015-07-31 2018-04-2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光学防抖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7396529B (zh) * 2016-05-17 2020-03-20 天津远度科技有限公司 Fpc绕线方法、承载装置以及云台
CN107390456B (zh) * 2016-05-17 2020-03-20 天津远度科技有限公司 云台绕线方法
JP6989275B2 (ja) * 2017-03-30 2022-01-0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206723741U (zh) * 2017-04-07 2017-12-08 深圳市大疆灵眸科技有限公司 云台结构及相机组件
JP6959777B2 (ja) * 2017-07-12 2021-11-0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207560456U (zh) * 2017-12-19 2018-06-29 深圳市哈博森科技有限公司 一种两轴云台fpc
CN108668067A (zh) * 2018-08-09 2018-10-16 昆山丘钛微电子科技有限公司 摄像头可旋转的移动终端
KR102589379B1 (ko) * 2018-08-27 2023-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CN108777762B (zh) * 2018-08-30 2020-09-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移动终端的摄像模组
JP7323283B2 (ja) * 2018-11-30 2023-08-08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
CN109375334A (zh) * 2018-12-24 2019-02-22 上海比路电子股份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防抖系统以及摄像装置
CN110290238B (zh) * 2019-06-11 2021-01-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JP7309493B2 (ja) * 2019-07-16 2023-07-18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110661951B (zh) * 2019-09-30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1416925A (zh) * 2020-03-20 2020-07-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模组结构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9652A1 (zh) 2021-07-01
EP4072117A1 (en) 2022-10-12
CN113055554A (zh) 2021-06-29
JP2023508664A (ja) 2023-03-03
EP4072117A4 (en) 2023-01-18
CN113055554B (zh) 2023-01-10
US12003844B2 (en) 2024-06-04
US20220329712A1 (en)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9680A (ko) 카메라 조립체 및 전자 장치
CN110967783B (zh) 驱动液态镜头的马达组件、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US11638352B2 (en) Circuit board having multiple degrees of freedom and anti-shaking miniature actuator
KR20210118129A (ko) 액체 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보이스 코일 모터 및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비한 렌즈 어셈블리
KR102143746B1 (ko) 표시 장치
US20200379238A1 (en) Periscope lens module and prism device applied to periscope lens module
US9197802B2 (en) Camera module
CN210807408U (zh) 照相装置、电子设备及其给摄像元件供电的装置
WO2021104024A1 (zh) 电子设备
CN112543888B (zh) 驱动装置及光学单元
US10901171B2 (en) Lens driving mechanism
CN102035427A (zh) 致动器、相机模组及便携式电子装置
US11740486B2 (en) Lens driving device
JP6953571B2 (ja) セ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アセンブリの曲げ治具及び支持部品
WO2023202504A1 (zh) 摄像模组及电子设备
KR102494326B1 (ko) 카메라 모듈
WO2018029857A1 (ja)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WO2023284276A1 (zh) 弹性电路板
JP2009288642A (ja) 雲台付き撮像装置
CN114257726A (zh) 摄像模组及电子设备
WO2022036810A1 (zh) 镜头模组
JP4661248B2 (ja) レンズ保持枠用の配線板を備えるカメラ
JP2595203Y2 (ja) カメラ装置
KR102280025B1 (ko) 신호 전달 모듈 및 카메라 장치
KR102280052B1 (ko) 신호 전달 모듈 및 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