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379B1 -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379B1
KR102589379B1 KR1020180100430A KR20180100430A KR102589379B1 KR 102589379 B1 KR102589379 B1 KR 102589379B1 KR 1020180100430 A KR1020180100430 A KR 1020180100430A KR 20180100430 A KR20180100430 A KR 20180100430A KR 102589379 B1 KR102589379 B1 KR 102589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rotrusion
disposed
pad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3922A (ko
Inventor
송윤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80100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379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10945 priority patent/WO2020045960A1/ko
Priority to CN202410006489.7A priority patent/CN117896602A/zh
Priority to EP19854356.3A priority patent/EP3846434A4/en
Priority to CN201980056107.9A priority patent/CN112640416B/zh
Priority to CN202410003799.3A priority patent/CN117896600A/zh
Priority to US17/266,360 priority patent/US11539867B2/en
Priority to CN202410002669.8A priority patent/CN117896599A/zh
Priority to JP2021510211A priority patent/JP2021536589A/ja
Priority to CN202410005173.6A priority patent/CN117896601A/zh
Publication of KR20200023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922A/ko
Priority to US18/074,883 priority patent/US11800210B2/en
Priority to US18/224,836 priority patent/US20230362467A1/en
Priority to KR1020230134695A priority patent/KR20230148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6Supporting or m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4Assemblies of printed circuits
    • H05K2201/041Stacked PCBs, i.e. having neither an empty space nor mounted components in betwee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63Holes or slots in insulating substrate no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72Hole or recess under component or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hole and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51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센서 구동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센서 구동 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Sensor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있다. 한편, 최근의 카메라 모듈에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촬영자의 손떨림에 의해 영상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오토 포커스 기능이나 손떨림 보정 기능을 위해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센서 구동 장치의 크기를 줄이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 지고 있다.
(특허문헌 1) JP 2008-203402 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센서 구동 장치의 크기를 줄이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센서 구동 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바디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이격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바디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3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와 이격되는 제4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제3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제1 방향과 다른 제4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돌출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상기 제4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일단과 타단은 상기 바디의 외측면이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3 방향은 광축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제4 방향은 상기 바디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을 지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의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제2 연장부와, 상기 제3 돌출부와 제2 연장부와, 상기 제4 돌출부의 제2 연장부는 상기 바디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판은 일단이 상기 제1 돌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드부는, 상기 상기 제1 돌출부의 상기 제2 연장부에서 벤딩 형성되는 제1 패드 유닛과, 상기 제1 패드 유닛에서 벤딩 형성되는 제2 패드 유닛과, 상기 제2 패드 유닛에서 벤딩 형성되는 제3 패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판은 일단이 상기 제1 돌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패드부와, 일단이 상기 제2 돌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2 패드부와, 일단이 상기 제3 돌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3 패드부와, 일단이 상기 제4 돌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4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패드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바디와 광축 방향으로 비오버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1 구동부와 대응하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구동 유닛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모서리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4개의 제1 구동 유닛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변의 중심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2개의 제1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1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제1 구동 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 사이에 배치되는 홀더와,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바디가 배치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제1 패드부와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구동 유닛이 배치되는 제3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제2 구동 유닛이 배치되는 제4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기판과 상기 제4 기판은 상기 이미지 센서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 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센서 구동 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둘레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구동 유닛과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센서 구동 장치.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구동 유닛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제1 변의 양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개의 제1 구동 유닛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제1 변과 마주보는 제2 변의 양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개의 제1 구동 유닛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제3 변과 제4 변의 중앙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개의 제1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판은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구동 유닛 중 하나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연장부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제2 기판의 위에 배치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의 내부에 배치되는 액체 렌즈부;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구동부와 대면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의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일단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벤딩된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일단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벤딩된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센서 구동 장치의 크기를 줄이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의 전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동작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홀더에 결합된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 등과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의 전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과, 이미지 센서(300)와, 제1 구동부(400)와, 필터(600)와, 제2 구동부(800)와, 홀더(900)와, 와이어(1000)와, 렌즈 홀더(1100)과 렌즈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이 때, 렌즈 모듈은 제1 렌즈(1200)부와, 제2 렌즈부(1300)와, 액체 렌즈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10) 센서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구동 장치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과, 제1 구동부(400)와, 제2 구동부(8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카메라모듈(10)은 광학 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광학 기기는 카메라 모듈(10), 디스플레이부, 통신모듈, 메모리 저장부,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실장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제1 기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00)에는 제2 기판(2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00)은 제2 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판(100)에는 홀더(9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기판(100)은 제1 개구부와(110)와, 커넥터(120)와, 소자(102)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4)와, 외부 커넥터(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00)은 제1 개구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부(110)에는 제2 기판(200)의 바디(2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구부(110) 는 제2 기판(200)의 바디(21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110)는 제2 기판(20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110)는 제2 기판(200)의 바디(210)와, 이미지 센서(300)와, 제1 구동부(400)와, 제3 기판(500)과 필터(600)와, 제4 기판(700)과, 제2 구동부(800)와, 홀더(900)의 적어도 일부와, 와이어(1000)와, 렌즈 홀더(1100)와, 제1 렌즈부(1200)와, 제2 렌즈부(1300)와, 액체 렌즈부(140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1 기판(100)은 커넥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20)는 제1 기판(1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120)는 개구부(110)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120)는 개구부(110)의 장변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120)는 제2 기판(200)의 패드부(22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120)는 제2 기판(200)의 패드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120)는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20)는 제1 내지 제4 커넥터(122, 124, 126, 1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커넥터(122, 124, 126, 128)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3 커넥터(122, 126)는 개구부(110)의 제1 장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및 제4 커넥터(124, 128)는 개구부(110)와 제1 장변과 마주보는 제2 장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22)는 제1 패드부(22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커넥터(124)는 제2 패드부(22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커넥터(126)는 제3 패드부(22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 커넥터(128)는 제4 패드부(22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판(100)은 소자(102)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102)는 수동 소자 및 능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넓이 및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소자(102)는 복수의 회로 소자를 의미하며, 제1 기판(10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면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회로 소자(102)는 렌즈 모듈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 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기판(100)은 FPCB(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00)은 FPCB(104)를 포함하는 RFPCB(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구성될 수 있다. FPCB(104)는 카메라 모듈(10)이 장착되는 공간이 요구하는 바에 따라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제1 기판(100)은 외부 커넥터(106)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커넥터(106)는 제1 기판(100)을 카메라 모듈(10) 외부의 전원 또는 기타 다른 장치(예를 들어, application processor)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제2 기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200)은 제1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20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개구부(11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기판(200)은 제1 기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판(20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구동부(400) 및 제2 구동부(80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기판(20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구동부(400)와 제2 구동부(800)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 제2 기판(20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구동부(400)와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기판(200)은 바디(210)와, 돌출부(224)와, 패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200)은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바디(210)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바디(210)는 제1 기판(100)의 제1 개구부(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210)는 제1 개구부(11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바디(210)에는 이미지 센서(300)와, 제1 구동부(400) 중 적어도 일부와, 와이어(100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디(210)의 상면에는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이 배치될 수 있다.
바디(210)는 제2 개구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구부(202)에는 이미지 센서(3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개구부(202)는 이미지 센서(30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바디(210)는 홀(20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0)의 홀(204)은 와이어(100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바디(210)의 홀(204)에는 와이어(1000)가 융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기판(200)은 돌출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24)는 바디(210)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4)는 바디(210)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4)는 바디(210)의 외측면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4)는 바디(210)로부터 광축 방향, 위 방향 또는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4)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의 절곡 각도(a)는 둔각일 수 있다. 돌출부(224)의 적어도 일부는 바디(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24)의 적어도 일부는 바디(210)의 상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24)의 적어도 일부는 바디(21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24)는 제1 연장부(222)와, 제2 연장부(225)와, 패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222)는 바디(210)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25)는 제1 연장부(22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25)는 제1 연장부(222)와 광축에 수직인 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돌출부(224)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24)는 제1 내지 제4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돌출부는 바디(210)의 제1 변(212) 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제3 및 제4 돌출부는 바디(210)의 제1 변(212)과 마주보는 제2 변(216)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돌출부는 바디(2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제3 및 제4 돌출부는 바디(210)의 타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돌출부는 바디(210)의 단변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돌출부는 각각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돌출부는 각각 제1 연장부(222)와, 제2 연장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의 제1 연장부(2221)는 바디(2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의 제1 연장부(2221)는 바디(210)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1)는 제1 연장부(2221)로부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1)는 바디(21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돌출부의 제1 연장부(2222)는 바디(2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의 제1 연장부(2222)는 바디(210)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2)는 제1 연장부(2222)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2)는 바디(21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3 돌출부의 제1 연장부(2223)는 바디(210)의 타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 돌출부의 제1 연장부(2223)는 바디(210)로부터 제3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3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3)는 제1 연장부(2223)로부터 제1 방향과 다른 제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3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3)는 바디(21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4 돌출부의 제1 연장부(2224)는 바디(210)의 타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4 돌출부의 제1 연장부(2224)는 바디(210)로부터 제3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4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4)는 제1 연장부(2224)로부터 제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4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4)는 바디(21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방향과, 제3 방향은 광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과, 제4 방향은 바디(210)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을 지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은 제2 기판(200)의 바디(210)의 제1 단변(212)을 기준으로 위쪽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방향은 제1 단변(212)과 마주보는 제2 단변(216)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 때, 제3 방향은 제2 기판(200)의 바디(210)의 제2 단변(216)을 기준으로 위쪽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4 방향은 제2 단변(216)에 대응하는 제1 단변(212)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방향 내지 제4 방향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도 상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돌출부의 제1 연장부(2221)의 제1 방향은 제2 기판(200)의 바디(210)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이고, 제1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1)의 제2 방향은 제2 기판(200)의 바디(210)를 기준으로 위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3 돌출부의 제1 연장부(2223)의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아래쪽 방향이고, 제4 방향은 제1 방향과 제3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방향과 제4 방향은 같은 방향을 의미할 수도 있고, 다른 방향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2 기판(200)은 패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220)는 일단이 돌출부(224)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 기판(100)의 커넥터(120)와 결합될 수 있다. 패드부(220)의 타단은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부(220)는 제1 패드 유닛(226)과, 제2 패드 유닛(227)과, 제3 패드 유닛(2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 유닛은(226)의 일단은 바디(210)의 단변(212, 216)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단은 바디(210)의 장변(214, 218)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드 유닛(227)은 제1 기판(100)의 제1 개구부(110)와 광축 방향으로 비오버랩될 수 있다. 제3 패드 유닛(227)은 제1 기판(100)의 제1 개구부(1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드 유닛(226)과 제2 패드 유닛(227)은 전체적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드부(220)는 복수의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패드 유닛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패드 유닛은 바디(210)와 광축 방향으로 비오버랩될 수 있다. 제1 패드 유닛(226)과, 제2 패드 유닛(227)은 제1 기판(100)의 제1 개구부(11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패드부(220)는 제1 내지 제4 패드부(2201, 2202, 2203, 22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패드부(2201, 2202, 2203, 2204)는 각각 제1 패드 유닛(226)과, 제2 패드 유닛(227)과, 제3 패드 유닛(2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부(2201)의 제1 패드 유닛(2261)는 제1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패드부(2201)의 제1 패드 유닛(2261)는 제1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1)로부터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드부(2201)의 제1 패드 유닛(2261)은 제1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1)와 소정의 각도(b)를 이룰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각도(b)는 예각일 수 있다. 제1 패드부(2201)의 제2 패드 유닛(2271)은 제1 패드 부의 제1 패드 유닛(2261)으로부터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드부(2201)의 제2 패드 유닛(2271)은 제1 패드부(2201)의 제1 패드 유닛(2261)과 소정의 각도(c)를 이룰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제1 패드부(2201)의 제3 패드 유닛(2281)은 제1 패드부(2201)의 제2 패드 유닛(2271)으로부터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드부(2201)의 제3 패드 유닛(2281)은 제1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드부(2201)의 제3 패드 유닛(2281)은 제1 커넥터(122)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패드부(2202)의 제1 패드 유닛(2262)는 제2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패드부(2202)의 제1 패드 유닛(2262)는 제2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2)로부터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드부(2202)의 제1 패드 유닛(2262)은 제2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2)와 소정의 각도(b)를 이룰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각도(b)는 예각일 수 있다. 제2 패드부(2202)의 제2 패드 유닛(2272)은 제2 패드 부의 제1 패드 유닛(2262)으로부터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드부(2202)의 제2 패드 유닛(2272)은 제2 패드부(2202)의 제1 패드 유닛(2262)과 소정의 각도(c)를 이룰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제2 패드부(2202)의 제3 패드 유닛(2282)은 제2 패드부(2202)의 제2 패드 유닛(2272)으로부터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드부(2202)의 제3 패드 유닛(2282)은 제1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드부(2202)의 제3 패드 유닛(2282)은 제2 커넥터(124)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패드부(2203)의 제1 패드 유닛(2263)는 제3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3)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패드부(2203)의 제1 패드 유닛(2263)는 제3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3)로부터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제3 패드부(2203)의 제1 패드 유닛(2263)은 제3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3)와 소정의 각도(b)를 이룰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각도(b)는 예각일 수 있다. 제3 패드부(2203)의 제2 패드 유닛(2273)은 제3 패드 부의 제1 패드 유닛(2263)으로부터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제3 패드부(2203)의 제2 패드 유닛(2273)은 제3 패드부(2203)의 제1 패드 유닛(2263)과 소정의 각도(c)를 이룰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제3 패드부(2203)의 제3 패드 유닛(2283)은 제3 패드부(2203)의 제2 패드 유닛(2273)으로부터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제3 패드부(2203)의 제3 패드 유닛(2283)은 제1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패드부(2203)의 제3 패드 유닛(2283)은 제3 커넥터(126)와 결합될 수 있다.
제4 패드부(2204)의 제1 패드 유닛(2264)는 제4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4)와 연결될 수 있다. 제4 패드부(2204)의 제1 패드 유닛(2264)는 제4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4)로부터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제4 패드부(2204)의 제1 패드 유닛(2264)은 제4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4)와 소정의 각도(b)를 이룰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각도(b)는 예각일 수 있다. 제4 패드부(2204)의 제2 패드 유닛(2274)은 제4 패드 부의 제1 패드 유닛(2264)으로부터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제4 패드부(2204)의 제2 패드 유닛(2274)은 제4 패드부(2204)의 제1 패드 유닛(2264)과 소정의 각도(c)를 이룰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제4 패드부(2204)의 제3 패드 유닛(2284)은 제4 패드부(2204)의 제2 패드 유닛(2274)으로부터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제4 패드부(2204)의 제3 패드 유닛(2284)은 제1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패드부(2204)의 제3 패드 유닛(2284)은 제4 커넥터(128)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기판(200)은 이미지 센서(300)가 배치되는 제1 영역(210)과, 제1 영역(210)의 일단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벤딩된 제2 영역(222)과, 제2 영역(222)의 일단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벤딩된 제3 영역(2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222)은 제1 구동부(400)와 광축에 수직인 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이미지 센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00)는 제2 기판(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00)는 제2 기판(200)에 형성된 제2 개구부(20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미지 센서(300)는 별도의 지지 부재에 실장되어, 제2 개구부(202)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00)는 제2 기판(200)의 제2 개구부(202)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00)는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센서(300)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픽셀 어레이를 통해 광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신호에 상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합성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제1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400)는 제2 기판(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부(400)는 제2 구동부(800)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제1 구동부(400)와 제2 구동부(800)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1 기판(100)에 대해 제2 기판(200)을 이동 또는 회전 시킬 수 있다. 제1 구동부(400)는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과, 제3 기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은 제2 기판(200)의 바디(2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은 각각 N극과 S극으로 자화된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은 이미지 센서(300)의 둘레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은 이미지 센서(300)의 제1 변의 양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개의 제1 구동 유닛(410, 440)과, 이미지 센서(300)의 상기 제1 변과 마주보는 제2 변의 양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개의 제1 구동 유닛(430, 460)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제3 변과 제4 변의 중앙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개의 제1 구동 유닛(420, 45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은 이미지 센서(300)의 모서리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4개의 제1 구동 유닛(410, 430, 440, 460)과 이미지 센서(300)의 변의 중심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2개의 제1 구동 유닛(420, 45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은 제2 기판(200)의 바디(210)의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3 변(214)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2개의 제1 구동 유닛(410, 440)과, 제2 기판(200)의 바디(210)의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3 변(214)과 마주보는 제4 변(218)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2개의 제1 구동 유닛(430, 460)과, 제2 기판(200)의 바디(210)의 제1 변(212)의 중앙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변(212)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1개의 제1 구동 유닛(420)과, 제2 기판(200)의 바디(210)의 제2 변(216)의 중앙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변(216)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1개의 제1 구동 유닛(45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은 제2 기판(200)의 일부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은 제2 기판(200)의 돌출부(224)와, 패드부(220)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 중 하나(410)는 제1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1)의 일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420)는 제2 연장부(225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 중 하나(410)는 제1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1)와 제1 패드부(2201)의 제1 패드 유닛(2261) 사이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420)는 제1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1)와 제2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2) 사이에 배치되고, 또 다른 하나(430)는 제2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2)와 제2 패드부(2202)의 제1 패드 유닛(2262) 사이에 배치되고, 또 다른 하나(440)는 제3 패드부(2203)의 제1 패드 유닛(2263)와 제3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3) 사이에 배치되고, 또 다른 하나(450)는 제3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3)와 제4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4) 사이에 배치되고, 또 다른 하나(460)는 제4 돌출부의 제2 연장부(2254)와 제4 패드부(2204)의 제1 패드 유닛(226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500)에는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500)은 제3 개구부(502)와, 복수의 홀(510, 520, 530, 540, 550, 5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개구부(502)은 이미지 센서(30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3 개구부(502)에는 필터(6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500)의 복수의 홀(510, 520, 530, 540, 550, 560)에는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500)의 복수의 홀(510, 520, 530, 540, 550, 560) 각각은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 각각과 대응대는 위치에 형성되고,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기판(500)은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3 기판(500)은 외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슬릿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판(500)의 복수의 슬릿 또는 홀은 제2 기판(200)의 홀(204)과, 홀더(900)의 암(912)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와이어(100)가 홀더(900)의 암(912)과 제2 기판(200)의 홀(204)에 연결되는 경우 간섭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기판(500)의 슬릿은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거나, 제3 기판(500)의 홀은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필터(6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600)는 제1 렌즈부(1200), 액체 렌즈부(1400) 및 제2 렌즈부(1300)를 통과한 광에 대해 특정 파장 범위에 해당하는 광을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600)는 적외선(IR) 차단 필터 또는 자외선(UV) 차단 필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터(600)는 이미지 센서(3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600)는 제3 기판(5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 있다. 필터(600)는 제3 기판(500)의 제3 개구부(502)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필터(600)는 제3 기판(500)의 내부 홈 또는 단차에 배치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제2 구동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부(800)는 제1 구동부(400)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구동부(800)는 제1 구동부(400)와 대향 또는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동부(800)는 복수의 제2 구동 유닛(810, 820, 830, 840, 850, 860)과, 제4 기판(7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구동 유닛(810, 820, 830, 840, 850, 860)은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과 각각 대향 또는 대면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구동 유닛(810, 820, 830, 840, 850, 860)은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과 각각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구동 유닛(810, 820, 830, 840, 850, 860)은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구동 유닛(810, 820, 830, 840, 850, 860)은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구동 유닛(810, 820, 830, 840, 850, 860)은 제4 기판(7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구동 유닛(810, 820, 830, 840, 850, 860)은 패턴 코일(Fine Pattern Coil)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기판(700)에는 복수의 제2 구동 유닛(810, 820, 830, 840, 850, 860)이 배치될 수 있다. 제4 기판(700)의 하면에는 복수의 제2 구동 유닛(810, 820, 830, 840, 850, 860)이 배치될 수 있다. 제4 기판(700)은 제4 개구부(702)와, 단자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개구부(702)는 이미지 센서(30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단자부(710)는 제4 기판(700)의 측면에서 광축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710)의 일단은 제4 기판(70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타단은 제1 기판(100)의 제1 개구부(110)에 형성된 홈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부(710)는 제4 기판(700)과 제1 기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홀더(90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900)는 제1 구동부(400)와 제2 구동부(8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900)는 제1 기판(100) 상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홀더(900)는 제1 기판(100)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홀더(900)는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과, 복수의 제2 구동 유닛(810, 820, 830, 840, 850, 860)과, 제2 기판(200)의 돌출부(224)와, 패드부(220)와 광축 방향으로 비오버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기판(100) 상에 고정 배치되는 홀더(900)가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과 복수의 제2 구동 유닛(810, 820, 830, 840, 850, 860)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홀더(900)는 지지부(910)와, 중앙부(920)와, 암(912)(Arm)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910)는 제1 기판(100)의 상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910)는 중앙부(920)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아래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6개의 영역에서 지지부(910)가 제1 기판(10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지지부(9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910)는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과, 복수의 제2 구동 유닛(810, 820, 830, 840, 850, 860)과, 제2 기판(200)의 돌출부(224)와, 패드부(22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910)는 제2 기판(200)의 제1 단변(212)과 제2 단변(216)에 인접하는 제2 기판(2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 유닛과, 제1 장변(214)과 제2 장변(218)에 인접하는 제2 기판(200)의 상면에 배치되는 2개의 제2 지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지지 유닛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지지 유닛은 제4 기판(700)의 단자부(710)가 배치되도록 지지부(910)의 중앙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920)는 육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920)는 제1 기판(100)의 제1 개구부(11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중앙부(920)는 제5 개구부(9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개구부(922)는 중앙부(92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개구부(922)는 이미지 센서(300)와 필터(600)와 렌즈 모듈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5 개구부(922)는 제4 개구부(702)와 제3 개구부(5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개구부(922)는 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중앙부(920)는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과, 복수의 제2 구동 유닛(810, 820, 830, 840, 850, 860)과, 제2 기판(200)의 돌출부(224)와, 패드부(22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부(920)는 외측면과 제5 개구부(922) 사이에 배치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920)의 홀은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과, 복수의 제2 구동 유닛(810, 820, 830, 840, 850, 860) 중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중앙부(920)의 홀은 복수의 제1 구동 유닛(410, 420, 430, 440, 450, 460) 중 2개의 제1 구동 유닛(420, 450) 및 제2 구동 유닛(810, 820, 830, 840, 850, 860) 중 2개의 제2 구동 유닛(820, 850)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에, 2개의 제1 구동 유닛(420, 450) 및 2개의 제2 구동 유닛(820, 85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암(912)은 지지부(910)에서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암(912)는 지지부(910)에서 홀더(900)의 내측 영역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암(912)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암(912)에 형성된 홀에는 와이어(1000)가 결합될 수 있다. 암(912)은 각각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암은 4개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와이어(1000)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와이어(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000)는 제2 기판(200)과 홀더(900)와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1000)의 일단은 제2 기판(200)의 홀(204)에 결합되고, 타단은 홀더(900)의 암(912)의 홀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1000)는 광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1000)는 제2 기판(200)의 이동 또는 회전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와이어(1000)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는 4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와이어(100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홀더(110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홀더(1100)는 제1 개구를 갖는 제1 측면(1102)과, 상기 제1 개구와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대면하는 제2 개구를 갖는 제2 측면(1104)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홀더(1100)는 상부가 하부가 개방되는 관통 홀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렌즈부(1200)와, 액체 렌즈부(1400)와, 제2 렌즈부(1300)는 렌즈 홀더(110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 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부(1200)와 제2 렌즈부(1300)는 고체 렌즈부일 수 있다. 제1 렌즈부(1200)는 렌즈 홀더(1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홀에 결합되고, 제2 렌즈부(1300)는 렌즈 홀더(1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홀에 결합될 수 있다. 액체 렌즈부(1400)는 상기 상부 홀과 상기 하부 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개구 및/또는 제2 개구에 배치 및 결합되거나,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 배치 및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의 외부로부터 제1 렌즈(1200)로 입사하는 광은 액체 렌즈부(1400)를 지나 제2 렌즈부(1300)로 입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제1 렌즈부(1200) 및 제2 렌즈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부(1200)는 렌즈 홀더(1100)의 상부 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부(1300)는 렌즈 홀더(1100)의 하부 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부(1200)와 제2 렌즈부(130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부(1100)의 전면에는 노출렌즈(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노출 렌즈의 전방에는 커버 글래스(cover glass)가 배치될 수 있다. 노출 렌즈는 렌즈 홀더(900) 외부로 돌출되므로 외부에 노출되어 표면이 손상될 수 있다. 만약, 렌즈의 표면이 손상될 경우, 카메라 모듈(10)에서 촬영되는 이미지의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노출 렌즈의 표면손상을 방지 및 억제하기 위해, 커버 글래스를 배치시키거나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노출렌즈의 표면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렌즈부(1200) 또는 제2 렌즈부(1300)를 구성하는 렌즈보다 강성이 높은 내마모성 재질로 노출 렌즈를 구성하는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액체 렌즈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렌즈부(1400)는 렌즈 홀더(1100)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 렌즈부(1400)는 렌즈 홀더(1100)의 측벽(1102, 1104)에 형성된 제1 개구 또는 제2 개구에 삽입되거나 배치될 수 있따. 액체 렌즈부(1400)는 개별 전극 연결 기판(1410)와, 액체 렌즈(1420)와, 스페이서(1430)와, 공통 전극 연결 기판(1440)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 전극 연결 기판(1410)은 액체 렌즈부(1400)의 개별 전극을 제1 기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개별 전극 연결 기판(1410)은 FPCB로 구현될 수 있다. 액체 렌즈(1420)는 서로 다른 두 액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1430)는 액체 렌즈(1420)를 둘러싸면서 결합될 수 있고, 액체 렌즈(142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430)는 렌즈 홀더(1100)에의 삽입 또는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 과정에서 그리퍼(gripper)와 접촉할 수 있다.
공통 전극 연결 기판(1440)은 액체 렌즈부(1400)의 공통 전극을 제1 기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공통 전극 연결 기판(1440)은 연성회로기판(FPCB) 또는 단일 메탈 기판(전도성 메탈 플레이트)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액체 렌즈(1420)의 공통 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출된 패드 및 제1 기판(100)의 공통 전극용 패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출된 패드를 제외한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메탈 기판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공통 전극 연결 기판(1440) 및 개별 전극 연결 기판(1410)은 각각 제1 기판(100)을 향해 벤딩될 수 있다. 개별 전극 연결 기판(1410)은 개별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 패드를 통해 제1 기판(100) 상에 형성된 전극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패드와 전극 패드는 전도성 에폭시(conductive epoxy) 또는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공통 전극 연결 기판(1440)은 공통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 패드를 통해 제1 기판(100) 상에 형성된 전극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공통 전극 연결 기판(1440) 및 개별 전극 연결 기판(1410)과 연결되는 전극 패드는 각각 제1 패드 부재 및 제2 패드 부재로 정의될 수 있고, 제1 패드 부재 및 제2 패드 부재는 액체 렌즈의 중심에서 제1 기판(100)상에 배치되는 소자(1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공통 전극 연결 기판(1440)과 개별 전극 연결 기판(1410)을 통해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의해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의 계면이 변형되어 액체 렌즈부(1400)의 곡률 및/또는 초점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계면의 변형, 곡률변경이 제어되면, 액체 렌즈부(1400)와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0) 및 광학 기기는 오토포커싱(Auto-Focusing; AF) 기능, 손떨림 보정 내지 영상 흔들림 방지(Optical Image Stabilizer, OIS)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동작도이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구동부(400)와 제2 구동부(800)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2 기판(200)은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적어도 2회 절곡되는 제2 기판(200)의 돌출부(224)와 패드부(220)가 x축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구동부(400)와 제2 구동부(800)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2 기판(200)은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적어도 2회 절곡되는 제2 기판(200)의 돌출부(224)와 패드부(220)가 y축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구동부(400)와 제2 구동부(800)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2 기판(200)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적어도 2회 절곡되는 제2 기판(200)의 돌출부(224)와 패드부(22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적어도 2회 절곡되는 제2 기판(200)의 돌출부(224)와 패드부(220)으로 인해 스프링 강성이 줄어 텐션(tension)이 감소한다. 따라서, 센서 구동 장치의 사이즈를 줄이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강성의 대칭 구조로 센서 구동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카메라 모듈(10)의 크기를 줄이고 소비 전력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카메라 모듈 100: 제1 기판
200: 제2 기판 300: 이미지 센서
400: 제1 구동부 500: 제3 기판
600: 필터 700: 제4 기판
800: 제2 구동부 900: 홀더
1000: 와이어 1100: 렌즈 홀더
1200: 제1 렌즈부 1300: 제2 렌즈부
1400: 액체 렌즈부

Claims (21)

  1. 제1기판;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2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기판은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의 제1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바디의 상기 제1외측면의 반대편의 제2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3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제1벤딩축을 갖도록 절곡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제2벤딩축을 갖도록 절곡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돌출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제3벤딩축을 갖도록 절곡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3돌출부의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제4벤딩축을 갖도록 절곡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벤딩축과 상기 제4벤딩축 각각은 광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1벤딩축은 상기 제2벤딩축과 수직하고,
    상기 제3벤딩축은 상기 제4벤딩축과 수직하고,
    상기 제1돌출부의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3돌출부의 상기 제1연장부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센서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은 상기 바디의 상기 제1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돌출부와 이격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제1벤딩축을 갖도록 절곡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상기 제2벤딩축과 평행한 벤딩축을 갖도록 절곡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은 상기 바디의 상기 제2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3돌출부와 이격되는 제4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돌출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제3벤딩축을 갖도록 절곡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3돌출부의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상기 제4벤딩축과 평행한 벤딩축을 갖도록 절곡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3돌출부의 상기 제1연장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센서 구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제2연장부와, 상기 제3돌출부와 제2연장부는 상기 바디와 광축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센서 구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은 일단이 상기 제1돌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패드부를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부는 상기 제1돌출부의 상기 제2연장부에서 벤딩 형성되는 제1패드 유닛과, 상기 제1패드 유닛에서 벤딩 형성되는 제2패드 유닛과, 상기 제2패드 유닛에서 벤딩 형성되는 제3패드 유닛을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은 일단이 상기 제3돌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3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드부와 상기 제3패드부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바디와 광축방향으로 비오버랩(non-overlap)되는 센서 구동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3돌출부의 상기 제1연장부 각각은 상기 광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센서 구동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와 대응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2기판의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구동 유닛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모서리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4개의 제1구동 유닛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변의 중심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2개의 제1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1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제1구동 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 사이에 배치되는 홀더; 및
    상기 제2기판과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상기 제2연장부와 상기 제3돌출부의 상기 제2연장부 각각은 상기 광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센서 구동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제1구동 유닛이 배치되는 제3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제2구동 유닛이 배치되는 제4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3기판과 상기 제4기판은 상기 이미지 센서와 광축방향으로 오버랩 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17. 제1기판;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
    상기 제2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제2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둘레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기판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제1구동 유닛과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제2기판은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의 제1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바디의 상기 제1외측면의 반대편의 제2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3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제1벤딩축을 갖도록 절곡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제2벤딩축을 갖도록 절곡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돌출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제3벤딩축을 갖도록 절곡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3돌출부의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제4벤딩축을 갖도록 절곡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벤딩축과 상기 제4벤딩축 각각은 광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1벤딩축은 상기 제2벤딩축과 수직하고,
    상기 제3벤딩축은 상기 제4벤딩축과 수직하고,
    상기 제1돌출부의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3돌출부의 상기 제1연장부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센서 구동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구동 유닛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제1변의 양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1구동 유닛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제1변의 반대편의 제2변의 양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1구동 유닛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제3변과 제4변의 중앙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1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센서 구동 장치;
    상기 센서 구동 장치의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배치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0. 제19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21. 삭제
KR1020180100430A 2018-08-27 2018-08-27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2589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430A KR102589379B1 (ko) 2018-08-27 2018-08-27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JP2021510211A JP2021536589A (ja) 2018-08-27 2019-08-27 センサー駆動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EP19854356.3A EP3846434A4 (en) 2018-08-27 2019-08-27 SENSOR TRAINER AND CAMERA MODULE
CN201980056107.9A CN112640416B (zh) 2018-08-27 2019-08-27 传感器驱动装置和相机模块
CN202410003799.3A CN117896600A (zh) 2018-08-27 2019-08-27 传感器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设备
US17/266,360 US11539867B2 (en) 2018-08-27 2019-08-27 Sensor driving device having substrate with electromagnetic driving unit and protrusion part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PCT/KR2019/010945 WO2020045960A1 (ko) 2018-08-27 2019-08-27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CN202410006489.7A CN117896602A (zh) 2018-08-27 2019-08-27 传感器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设备
CN202410005173.6A CN117896601A (zh) 2018-08-27 2019-08-27 传感器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设备
CN202410002669.8A CN117896599A (zh) 2018-08-27 2019-08-27 传感器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设备
US18/074,883 US11800210B2 (en) 2018-08-27 2022-12-05 Sensor driving device having substrate with electromagnetic driving unit and protrusion part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US18/224,836 US20230362467A1 (en) 2018-08-27 2023-07-21 Sensor driving device having substrate with electromagnetic driving unit and protrusion part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KR1020230134695A KR20230148407A (ko) 2018-08-27 2023-10-10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430A KR102589379B1 (ko) 2018-08-27 2018-08-27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4695A Division KR20230148407A (ko) 2018-08-27 2023-10-10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922A KR20200023922A (ko) 2020-03-06
KR102589379B1 true KR102589379B1 (ko) 2023-10-16

Family

ID=696446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430A KR102589379B1 (ko) 2018-08-27 2018-08-27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20230134695A KR20230148407A (ko) 2018-08-27 2023-10-10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4695A KR20230148407A (ko) 2018-08-27 2023-10-10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539867B2 (ko)
EP (1) EP3846434A4 (ko)
JP (1) JP2021536589A (ko)
KR (2) KR102589379B1 (ko)
CN (5) CN117896601A (ko)
WO (1) WO20200459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5554B (zh) * 2019-12-26 2023-01-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KR20210115867A (ko) * 2020-03-16 2021-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81580A (ko) * 2020-12-09 2022-06-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서 구동 장치
KR102483616B1 (ko) * 2021-02-01 2023-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5694089A (zh) * 2021-07-27 2023-02-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致动器、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US20230069902A1 (en) * 2021-09-07 2023-03-09 Apple Inc. Moveable flex circuit for cameras with moveable image senso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80B1 (ko) * 2005-12-20 2007-10-29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용 카메라모듈 패키지 및 이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
JP2008203402A (ja) * 2007-02-19 2008-09-04 Konica Minolta Opto Inc センサ装置、および撮像装置
US20180203203A1 (en) * 2015-07-10 2018-07-19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US10033917B1 (en) * 2015-11-13 2018-07-24 Apple Inc. Dynamic optical shift/tilt len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7653B2 (en) * 2001-10-19 2007-12-11 Nokia Corporation Image stabilizer for a microcamera module of a handheld device,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microcamera module of a handheld device
US7679647B2 (en) * 2004-07-21 2010-03-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exible suspension for image stabilization
KR100594150B1 (ko) * 2004-10-18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떨림 보정 장치
JP2007058090A (ja) * 2005-08-26 2007-03-08 Sony Corp 像ぶれ補正装置、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US7773119B2 (en) * 2006-04-28 2010-08-10 Konica Minolta Opto, Inc. Drive apparatus, image pickup unit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2009010259A (ja) * 2007-06-29 2009-01-15 Fujifilm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撮像装置
JP2009128521A (ja) * 2007-11-21 2009-06-11 Fujifilm Corp フレキシブル配線板及び撮像装置
KR20110106148A (ko) 2010-03-22 2011-09-28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발광 램프가 장착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액츄에이터
JP2012085175A (ja) * 2010-10-13 2012-04-26 Ricoh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撮像装置、撮影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853827B1 (ko) 2011-04-29 2018-05-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5791982B2 (ja) * 2011-07-06 2015-10-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撮像装置、および信号読み出し方法
KR102003043B1 (ko) * 2012-12-28 2019-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소형 카메라 장치
KR102217098B1 (ko) * 2014-04-17 2021-02-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674412B2 (en) 2014-08-01 2017-06-06 Flir Commercial Systems, Inc. Multi-sensor camera with apertured circuit-carrying substrate
CN107111097B (zh) * 2014-12-26 2019-12-17 三美电机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以及摄像机搭载装置
CN107615160B (zh) * 2015-05-29 2020-06-16 三美电机株式会社 致动器、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JP2017199989A (ja) 2016-04-26 2017-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11536930B2 (en) * 2016-05-24 2022-12-27 Microsoft Licensing Technology, LLC. Suspended actuator
US10046566B2 (en) 2016-08-02 2018-08-14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cleaning components used to clean inkjet printheads in inkjet printers
US20180041668A1 (en) * 2016-08-05 2018-02-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gital camera focus assembly
KR102507615B1 (ko) * 2016-12-16 2023-03-09 허친슨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서스펜션에서의 센서 이동 구조
US10920755B2 (en) * 2017-05-05 2021-02-16 Hutchinson Technology Incorporated Shape memory alloy actuators and methods thereof
US10447920B2 (en) * 2017-07-05 2019-10-15 Intel Corporation Micro-saccadic actuation for an event camera
US10863094B2 (en) * 2017-07-17 2020-12-08 Apple Inc. Camera with image sensor shif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80B1 (ko) * 2005-12-20 2007-10-29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용 카메라모듈 패키지 및 이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
JP2008203402A (ja) * 2007-02-19 2008-09-04 Konica Minolta Opto Inc センサ装置、および撮像装置
US20180203203A1 (en) * 2015-07-10 2018-07-19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US10033917B1 (en) * 2015-11-13 2018-07-24 Apple Inc. Dynamic optical shift/tilt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40416B (zh) 2024-01-23
JP2021536589A (ja) 2021-12-27
CN117896601A (zh) 2024-04-16
WO2020045960A1 (ko) 2020-03-05
CN117896599A (zh) 2024-04-16
EP3846434A4 (en) 2022-08-31
US20230101433A1 (en) 2023-03-30
CN112640416A (zh) 2021-04-09
CN117896602A (zh) 2024-04-16
US20230362467A1 (en) 2023-11-09
US11800210B2 (en) 2023-10-24
KR20230148407A (ko) 2023-10-24
KR20200023922A (ko) 2020-03-06
US20210321024A1 (en) 2021-10-14
CN117896600A (zh) 2024-04-16
US11539867B2 (en) 2022-12-27
EP3846434A1 (en)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9379B1 (ko)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TWI581029B (zh) 攝影模組以及包含該模組的可攜式電子裝置
CN110933271B (zh) 透镜移动装置
US20160103331A1 (en) Lens Moving Apparatus
US9964775B2 (en) Lens moving apparatus
KR101908658B1 (ko)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N116430536A (zh) 透镜移动装置
KR20240065061A (ko)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2580308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40038689A (ko) 카메라 모듈,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1349422B1 (ko) 카메라 모듈
KR102609414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20220286591A1 (en) Sensor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US20220113456A1 (en) Camera module
KR20220132518A (ko) 카메라 모듈
CN118338110A (zh) 传感器驱动装置
CN118338109A (zh) 传感器驱动装置
KR20240041158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20049929A (ko) 렌즈구동장치
KR20240064611A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90050272A (ko)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