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158A -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158A
KR20240041158A KR1020220120341A KR20220120341A KR20240041158A KR 20240041158 A KR20240041158 A KR 20240041158A KR 1020220120341 A KR1020220120341 A KR 1020220120341A KR 20220120341 A KR20220120341 A KR 20220120341A KR 20240041158 A KR20240041158 A KR 20240041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dispos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철내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1158A/ko
Priority to PCT/KR2023/014215 priority patent/WO2024063522A1/ko
Publication of KR20240041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1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5Arrangements wherein electric components are disposed between and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wo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e.g. Cordwood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05K1/185Components encapsulated in the insulating substrate of the printed circuit or incorporated in internal layers of a multilay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렌즈가 배치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 하측에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티프너(stiffener)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티프너의 상면에 결합되는 다리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있다. 한편, 최근의 카메라 모듈에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촬영자의 손떨림에 의해 영상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오토 포커스 기능이나 손떨림 보정 기능을 위해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장치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7538호(2011. 02. 2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렌즈가 배치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 하측에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티프너(stiffener)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티프너의 상면에 결합되는 다리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렌즈가 배치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 하측에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티프너(stiffener)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티프너의 상면에 결합되는 다리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영역의 형성 영역만큼 인쇄회로기판의 크기가 축소되므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티프너 상에 브라켓이 솔더링되는 구조로 인하여, 브라켓의 평탄도 유지가 용이하고, 브라켓, 인쇄회로기판 및 스티프너 간 결합력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만큼 카메라 모듈의 광축 방향 길이가 짧아질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이 보다 소형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변형예.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 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카메라 모듈에 결합된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 등과 대응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는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은, 외력에 의해 이미지 센서에 발생되는 진동(움직임)을 상쇄하도록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틸트시키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손떨림 보정'은'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사시도이다.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광학기기로 호칭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본체(1), 디스플레이부(2) 및 카메라 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에서 본체(1), 디스플레이부(2) 및 카메라 모듈(1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본체(1)는 광학기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본체(1)는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체(1)는 적어도 일부에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1)는 카메라 모듈(10)을 수용할 수 있다. 본체(1)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2)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1)의 일면에 디스플레이부(2) 및 카메라 모듈(10)이 배치되고 본체(1)의 타면(일면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면)에 카메라 모듈(10)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는 본체(1)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는 본체(1)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는 카메라 모듈(10)과 동일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2)는 본체(1)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는 본체(1)에서 카메라 모듈(10)이 배치된 면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는 카메라 모듈(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본체(1)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본체(1)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적어도 일부가 본체(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 모듈(10)은 본체(1)의 일면 및 본체(1)의 타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홀더(100), 브라켓(200), 인쇄회로기판(300) 및 스티프너(stiffener)(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카메라 모듈(10)에서 렌즈 홀더(100), 브라켓(200), 인쇄회로기판(300) 및 스티프너(stiffener)(4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홀더(10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11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렌즈 홀더(100)의 내부에는 상기 렌즈(110)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홀더(100)의 상, 하면에는 상기 공간을 개구시키는 홀(102)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렌즈(110)가 광축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홀더(100)는 내부에 상기 렌즈(110)를 수용한다는 점에서, 렌즈 배럴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렌즈(110)는 상기 렌즈 홀더(100) 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110)는 상기 공간 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렌즈(110)는 적어도 1매 이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렌즈(11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공간 내에서 광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 사이에는 스페이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110)는 후술하는 이미지 센서(330)와 얼라인먼트(alignment)될 수 있다. 상기 렌즈(110)는 상기 이미지 센서(330)와 광축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렌즈(110)의 광축은 상기 이미지 센서(330)의 광축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00)은 상기 렌즈 홀더(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00)의 상면은 상기 렌즈 홀더(1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00)은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11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상기 브라켓(200)의 상면에는 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212)을 통하여 상기 렌즈(110)와 상기 이미지 센서(330)가 광축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00)은 상판(210)과 측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210)은 상기 브라켓(2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판(210)의 상면은 상기 렌즈 홀더(1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판(210) 중앙에는 상기 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판(220)은 상기 브라켓(20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판(220)은, 상기 상판(210)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판(220)은 상기 상판(210)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판(220)의 하단에는 높이가 상이한 2 이상의 단차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110)와 상기 이미지 센서(330) 사이에는 적외선 필터(IR filter, Infrared Ray filiter)(2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필터(230)는 상기 브라켓(200) 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필터(230)는 상기 상판(2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00)에는 상기 렌즈(110)를 이동시켜 광학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오토포커싱(Auto-Focusing; AF) 기능, 손떨림 보정 내지 영상 흔들림 방지(Optical Image Stabilizer, OIS)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며 상기 렌즈(110)가 결합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코일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제1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추가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보빈과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일과 상기 마그네트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보빈이 상기 렌즈(1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은 오토 포커싱 기능을 위한 제1코일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위한 제2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코일의 외측에는 상기 제2코일과 마주하는 제2마그네트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1마그네트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보빈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코일과 상기 제2마그네트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보빈이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상기 브라켓(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구동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자부품은 캐패시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제1변, 상기 제1변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2변, 상기 제1변 및 상기 제2변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3변, 상기 제3변과 대향하며 상기 제1변 및 상기 제2변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4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변과 상기 제2변의 길이는 상기 제3변과 상기 제4변의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캐비티(cavity)(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3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캐비티(3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으로부터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홈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캐비티(3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310)의 단면 형상은 상기 이미지 센서(33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310)에는 이미지 센서(3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330)는 상기 렌즈(110)과 광축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330)의 상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33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과 와이어(32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320)는 일단이 상기 이미지 센서(330) 상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32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에는 금속 패드(3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드(3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 내 회로 패턴이 상방으로 노출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패드(35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드(350)는 상기 제2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드(350)에는 상기 브라켓(200)의 하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00)의 하단 일부는 상기 금속 패드(350) 상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00)과 상기 금속 패드(350)의 결합에 의해, 상기 브라켓(200) 내 상기 제1코일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서브 기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기판(50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과 FPCB(51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브 기판(50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기판(500)에는 외부의 전원 또는 기타 다른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기판(500)과의 연결을 위한 상기 FPCB(510)는 일단이 상기 금속 패드(350)가 배치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제2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FPCB(510)의 일단은 상기 금속 패드(350)에 상기 브라켓(200)과 함께 솔더링(soldering)될 수 있다.
상기 스티프너(4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티프너(4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티프너(4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티프너(400)의 상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하면과 상기 이미지 센서(33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스티프너(400)를 통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330)가 결합된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상기 스티프너(400)는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티프너(400)의 단면적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티프너(4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과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30)과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영역은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제1변, 제3변 및 제4변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의 폭(A)은 0.2mm 내지 0.3mm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200)은 다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250)는 상기 브라켓(200)의 하면에서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다리부(250)는 상기 측판(220) 보다 하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리부(2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과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250)는 상기 스티프너(400)의 제2영역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250)의 하면은 상기 스티프너(4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250)의 하면은 상기 스티프너(400)의 상면에 솔더링(Soldering)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250)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2영역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2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제1변, 제3변 및 제4변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200)의 단면이 장방형으로 형성된다할 때, 상기 브라켓(200)은 상기 다리부(250)가 형성되는 제5변과, 상기 제5변에 이웃하며 마찬가지로 상기 다리부(250)가 형성되는 제6변 및 제7변과, 상기 제5변에 대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금속 패드(350) 상에 솔더링되는 제8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250)가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5변, 상기 제6변 및 상기 제7변의 하면은 상기 제8변의 하면 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250)의 측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다리부(250)의 측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제2영역의 형성 영역만큼 인쇄회로기판의 크기가 축소되므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티프너 상에 브라켓이 솔더링되는 구조로 인하여, 브라켓의 평탄도 유지가 용이하고, 브라켓, 인쇄회로기판 및 스티프너 간 결합력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만큼 카메라 모듈의 광축 방향 길이가 짧아질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이 보다 소형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변형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서는 인쇄회로기판(300) 상에 금속 패드(350)가 복수로 구비되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300)의 형상 및 스티프너(400)와의 배치 구조에 따른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금속 패드(35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제1변 및 제2변에 인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스티프너(400)의 제2영역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제3변의 외측과, 제4변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200) 또한 다리부(250)가 제6변 및 제7변에만 형성되고, 제5변 및 제8변의 경우 하면이 상기 복수의 금속 패드(350) 상에 각각 솔더링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브라켓(30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00) 간 복수의 결합 영역에 의해, 상기 복수의 금속 패드(35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AF 기능을 위한 제1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OIS 기능을 위한 제2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내부에 렌즈가 배치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 하측에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티프너(stiffener)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티프너의 상면에 결합되는 다리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는 금속 패드가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하면 중 일부는 상기 금속 패드 상에 솔더링(soldering)되는 카메라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하면은 상기 스티프너의 상면에 솔더링(soldering)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캐비티(cavity)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에는 상기 렌즈와 마주하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렌즈와 결합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및 상기 제1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마그넷이 구비되고,
    상기 제1코일은 상기 금속 패드를 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드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측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과 이격되는 카메라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다리부와 결합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폭은 0.2mm 내지 0.3mm인 카메라 모듈.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제1변, 상기 제1변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2변, 상기 제1변과 상기 제2변에 이웃한 제3변 및 상기 제3변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4변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1변과 상기 제3변과 상기 제4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금속 패드는 상기 제2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제1변, 상기 제1변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2변, 상기 제1변과 상기 제2변에 이웃한 제3변 및 상기 제3변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4변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3변과 상기 제4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금속 패드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변과 상기 제2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2.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렌즈가 배치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 하측에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티프너(stiffener)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티프너의 상면에 결합되는 다리부가 형성되는 광학기기.
KR1020220120341A 2022-09-22 2022-09-22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40041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341A KR20240041158A (ko) 2022-09-22 2022-09-22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PCT/KR2023/014215 WO2024063522A1 (ko) 2022-09-22 2023-09-20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341A KR20240041158A (ko) 2022-09-22 2022-09-22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158A true KR20240041158A (ko) 2024-03-29

Family

ID=9045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341A KR20240041158A (ko) 2022-09-22 2022-09-22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1158A (ko)
WO (1) WO202406352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538A (ko) 2009-08-14 2011-0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496B1 (ko) * 2011-12-01 2018-02-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492754B1 (ko) * 2018-04-25 2023-01-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기기
CN110611753A (zh) * 2018-06-15 2019-12-24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及该镜头模组的组装方法
US11555978B2 (en) * 2018-07-05 2023-01-17 Mcnex Co., Ltd. Camera module with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KR20210061799A (ko) * 2019-11-20 2021-05-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538A (ko) 2009-08-14 2011-0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63522A1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5459B1 (ko) 카메라 모듈
US9041820B2 (en) Camera module
KR102589379B1 (ko)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2569642B1 (ko)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75550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광학기기 및 듀얼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US11693213B2 (en) Optical system
KR102700151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79709B1 (ko)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US12096107B2 (en) Sensor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KR20220050866A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230061307A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102520227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056649A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220104133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09414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40065061A (ko)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20240041158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481507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614773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장치
KR102704943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92720A (ko)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89905B1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KR102490115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JP2023541178A (ja) カメラ装置及び光学機器
KR20240135595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