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538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538A
KR20110017538A KR1020090075052A KR20090075052A KR20110017538A KR 20110017538 A KR20110017538 A KR 20110017538A KR 1020090075052 A KR1020090075052 A KR 1020090075052A KR 20090075052 A KR20090075052 A KR 20090075052A KR 20110017538 A KR20110017538 A KR 20110017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camera module
lens
holder
lens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1656B1 (ko
Inventor
김응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5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6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점 고정식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초점이 고정된 카메라 모듈에서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하고, 렌즈배럴과 렌즈홀더의 나사 결합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일측에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통과시키는 입사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복수의 렌즈가 수용된 원통형상의 렌즈배럴과, 상기 렌즈배럴이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렌즈배럴의 수평방향 흔들림을 방지하는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배럴의 수직방향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렌즈배럴을 감싸도록 하여 렌즈홀더에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카메라, 초점 무조정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초점 고정식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초점이 고정된 카메라 모듈에서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하고, 렌즈배럴과 렌즈홀더의 나사 결합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크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센서의 픽셀사이즈가 소형화되고 모듈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에 대한 관리와 렌즈 광축의 틸트(tilt)나 시프트(Shift) 등의 카메라 모듈의 기구적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마운트 구조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곳은 홀더인데, 홀더는렌즈 어세이(Ass'y)와 센서를 기구적으로 연결해주고 센서를 이물질과 기타 충격 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렌즈 배럴과 홀더의 체결할 때, 신뢰성에 가장 영향을 미친다.
종래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4)과 홀더(3)를 체결하기 위해서 나사체결 방식, 즉 렌즈배럴(4)의 나사산(4')과 홀더(3)의 나사산(3')을 상호 결합하여 체결되는데, KS 규격의 미터나사 규격에 따라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렌즈 배럴(4)과 홀더(3) 사이의 형합 토크(torque) 규격이 기준 규격 미달일 경우, 렌즈 배럴(4)과 홀더(3) 사이의 고정력이 떨어져서 틸트(tilt)로 인해 부분 해상도가 떨어지거나 본딩(bonding) 전 풀림으로 인해 해상도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렌즈 배럴(4)과 홀더(3) 사이의 형합 토그 규격이 기준 규격 이상일 경우, 렌즈 배럴(4)과 홀더(3) 사이의 나사산(3', 4') 마찰로 인해 이물질이 발생하거나 초점 조정이 불가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물질이 홀더(3) 내부로 떨어져 이물질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초점 무조정 카메라 모듈에서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불량 발생이 방지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 초점 조정이 용이하게 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또 다 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일측에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통과시키는 입사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복수의 렌즈가 수용된 원통형상의 렌즈배럴과, 상기 렌즈배럴이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렌즈배럴의 수평방향 흔들림을 방지하는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배럴의 수직방향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렌즈배럴을 감싸도록 하여 렌즈홀더에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렌즈 홀더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 선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렌즈홀더와 고정부재가 접하는 부위에는 본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렌즈 홀더의 내부 저면에는 단이 져 있으며,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단이 진 면에 안착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나사산이 없이 렌즈 배럴과 홀더를 체결함으로써, 나사산 결합에 의한 이물질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즈 배럴을 누르는 힘만으로 간단하게 렌즈의 초점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통과시키는 입사공(41)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할 수 있는 복수의 렌즈가 포함된 렌즈배럴(40)과, 상기 렌즈배럴(40)이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렌즈배럴(40)의 수평방향 흔들림을 방지하는 렌즈홀더(30와, 상기 렌즈배럴(40)의 수직방향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렌즈배럴(30)의 상부를 감싸도록 하여 상기 렌즈홀더(3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50)는 상기 렌즈배럴(40)의 입사공(41)과 연통하는 관통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홀더(30)에는 상기 고정부재(50)의 일측 선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설명 부호 10은 기판이고, 20은 기판에 설치된 이미지 센서이며, 상기 이미지 센서와 기판의 결합관계는 널리 알려진 기술사항이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도 3을 참조하여 그 결합구조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렌즈(미도시)가 포함된 렌즈배럴(40)은 렌즈홀더(30)의 내부에 안착되어 설치되는데, 도면상으로 렌즈홀더(30)의 저면은 단이 져 있고, 상기 렌즈배럴(40)은 도면상으로 그 하부면이 상기 렌즈홀더(30)의 단이 진 면(42)에 안착하여 설치된다. 상기 렌즈홀더(30)의 저면은 도면상으로 상기 렌즈홀더(30) 내부의 바닥면이라고 할 수 있고, 렌즈배럴(40)의 하부면은 상기 렌즈홀더(30)의 저면과 접하는 부위라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초점 무조정 방식 카메라 모듈로서 최초 제조시에 고정된 초점으로 카메라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렌즈홀더(30)의 저면에 단을 형성할 때, 원하는 초점거리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렌즈배럴(40)을 안착 설치함으로서 원하는 고정된 초점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제조함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렌즈홀더(30)의 단이 진 면(42)에 상기 렌즈배럴(40)을 안착 설치 한 후, 도면상으로 렌즈배럴(40)의 상부측으로 감싸도록 하여 상기 렌즈홀더(30)의 삽입홈(31)에 일측선단이 삽입고정 되도록 고정부재(50)를 설치한다. 상기 고정부(50)의 도면상으로 상부면에는 상기 렌즈배럴(40)의 입사구(41)와 연통하는 관통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관통구멍(51)과 입사구(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치가 실질적으로 거의 일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0)의 내부측 상면은 상기 랜즈배럴(40)의 상부면과 접하게 되고, 상기 고정부재(50)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한 후, 상기 고정부재(50)의 일측 선단과 렌즈홀더(30)가 접하는 부위에 접착제(52)를 이용하여 본딩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렌즈홀더(30) 저면의 단이 진 면(42)의 높이에 따라 고정초점은 이미 결정된 것이나, 제작공차에 의해 미세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부재(50)를 수직방향으로 가압 할 때 미세하게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부재(50)의 일측 선단이 렌즈홀더(30)의 삽입홈(31)에 삽입된 후 그 접하는 부위에 접착제(52)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사산이 없이 렌즈 배럴과 홀더를체결함으로써, 형합 토그(torque) 규격 미달 시 발생되는 해상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형합 토그 규격 이상 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한 이물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찰에 의한 이물질을 방지함으로써, 이물질로 인해 카메라 모듈의 화상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50)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먼지등의 불순물 유입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카메라 모듈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Claims (4)

  1. 일측에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통과시키는 입사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복수의 렌즈가 수용된 원통형상의 렌즈배럴과,
    상기 렌즈배럴이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렌즈배럴의 수평방향 흔들림을 방지하는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배럴의 수직방향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렌즈배럴을 감싸도록 하여 렌즈홀더에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 선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와 고정부재가 접하는 부위에는 본딩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내부 저면에는 단이 져 있으며,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단이 진 면에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090075052A 2009-08-14 2009-08-14 카메라 모듈 KR101661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052A KR101661656B1 (ko) 2009-08-14 2009-08-14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052A KR101661656B1 (ko) 2009-08-14 2009-08-14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538A true KR20110017538A (ko) 2011-02-22
KR101661656B1 KR101661656B1 (ko) 2016-09-30

Family

ID=4377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052A KR101661656B1 (ko) 2009-08-14 2009-08-14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6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5111B2 (en) 2015-08-04 2020-10-06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20240041158A (ko) 2022-09-22 2024-03-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3541A (ja) * 2006-09-28 2008-04-10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080098849A (ko) * 2007-05-07 2008-11-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3541A (ja) * 2006-09-28 2008-04-10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080098849A (ko) * 2007-05-07 2008-11-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5111B2 (en) 2015-08-04 2020-10-06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20240041158A (ko) 2022-09-22 2024-03-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656B1 (ko) 2016-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7881B2 (en) Camera module
US11218623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a housing with an adhesion surface
US20130242183A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60215055A1 (en) Camera lens module
TWI586163B (zh) 攝影模組
KR20090047307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0891177B1 (ko) 카메라 모듈
KR20080011754A (ko)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 모듈
KR101170734B1 (ko) 카메라 모듈
KR20110017538A (ko) 카메라 모듈
KR101628296B1 (ko) 카메라 모듈
KR101055474B1 (ko) 카메라모듈
KR100769713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0752708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20120029875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026830B1 (ko) 카메라 모듈
KR101625519B1 (ko) 카메라 모듈
KR20100113732A (ko) 카메라 모듈
KR101592431B1 (ko) 카메라 모듈
KR101022888B1 (ko) 카메라 모듈
US20120162491A1 (en)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46238B1 (ko) 카메라 모듈
KR100813230B1 (ko) 카메라 모듈
KR20120032351A (ko) 카메라 모듈
KR20120020409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