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296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296B1
KR101628296B1 KR1020090073718A KR20090073718A KR101628296B1 KR 101628296 B1 KR101628296 B1 KR 101628296B1 KR 1020090073718 A KR1020090073718 A KR 1020090073718A KR 20090073718 A KR20090073718 A KR 20090073718A KR 101628296 B1 KR101628296 B1 KR 101628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lens barrel
rib
camera modu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155A (ko
Inventor
정철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3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296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상부에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통과시키는 입사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원통 형상의 렌즈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 수용부의 상부 테두리 외측으로 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렌즈 배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내경이 리브의 외경보다 작으며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리브의 하면이 상단면에 접착되며,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조정체, 외주면의 상측부에 상기 조정체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정체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조정체의 내측에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 렌즈, 렌즈 배럴, 홀더, 조정체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크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센서의 픽셀사이즈가 소형화되고 모듈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에 대한 관리와 렌즈 광축의 틸트(tilt)나 시프트(Shift) 등의 카메라 모듈의 기구적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마운트 구조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곳은 홀더인데, 홀더는 렌즈 배럴과 센서를 기구적으로 연결해주고 센서를 이물질과 기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렌즈 배럴과 홀더를 체결할 때, 신뢰성에 가장 영향을 미친다.
종래에는 렌즈 배럴과 홀더를 체결하기 위해서 나사 결합 방식을 이용하는데, 나사 결합 시 나사산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이물질이 홀더 내부로 떨어져 이물질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물질이 홀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상부에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통과시키는 입사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원통 형상의 렌즈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 수용부의 상부 테두리 외측으로 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렌즈 배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내경이 리브의 외경보다 작으며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리브의 하면이 상단면에 접착되며,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조정체, 외주면의 상측부에 상기 조정체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정체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조정체의 내측에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홀더의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조정체와 홀더의 나사 결합 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홀더의 외부로 떨어져 이물질로 인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초점 위치에서 조정체와 홀더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접착제가 홀더의 외주면에 도포되어, 접착제가 홀더 내부로 흘러 발생되는 화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착제 경화 시 발생되는 가스가 홀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 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10), 조정체(20) 및 홀더(30)를 포함한다.
렌즈 배럴(10)은 상부에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통과시키는 입사공(11)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광축 방향으로 적층되어 광 이미지를 이미지 센서(40)로 전 달하는 복수의 렌즈(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는 원통 형상의 렌즈 수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수용부(12)의 상부 테두리 외측으로는 리브(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리브(13)는 조정체(20)의 상단면에 접촉되게 하기 위해서, 렌즈 배럴(10)의 리브(13)는 그 외경이 조정체(20)의 내경보다 크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조정체(2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내경이 렌즈 배럴(10)의 리브(13)의 외경보다 작으며, 조정체(20)의 상단면(21)이 리브(13)의 하면과 접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조정체(20)와 렌즈 배럴(10)의 접착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체(20)의 상단면(21)과 리브(13)의 면접 영역(A)에 UV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때, 면접 영역(A)은 조정체(20)의 상단면(21) 전체로서, 접착제는 상단면(21) 전체에 도포될 수도 있고 상단면(21)의 일부 영역에만 도포될 수도 있다.
조정체(20)의 내주면에는 홀더(30)의 나사부(31)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22)는 내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내주면의 하측 일부에 나사부(22)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나사부(22)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센서(40) 사이의 초점을 맞추는 과정에서 필요한 초점 거리 허용 범위를 포함하는 한도 내에서 최소로 형성하도록 한다.
조정체(20)의 외주면에는 광축 방향(x)으로 복수의 걸림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센서(40) 사이의 초점을 맞추는 과정에서 외부 지 그(jig)(도시하지 않음)가 걸림홈(23)에 걸려지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23)을 조정체(20)의 외주면에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지그를 이용하여 조정체(20)를 홀더(30)에 나사 결합함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카메라 모듈의 초점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홀더(30)는 단턱(32)을 기준으로 외주면에 나사부(31)가 형성되는 상측부와 이미지 센서(40)가 내장된 직육면체의 하측부로 구분된다.
이미지 센서(40)는 복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이미지로 변환하는 센서로서, 본 발명에서는 조정체(20)와 홀더(30)의 나사 결합을 이용하여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센서(40) 사이의 초점을 맞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조립 및 초점 조정 방법을 설명한다.
렌즈 배럴(10)은 조정체(20)의 상측으로부터 조정체(20)의 내부로 삽입되고, A 영역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렌즈 배럴(10)은 조정체(20)에 고정된다.
그리고, 조정체(20)의 하측으로부터 홀더(30)가 조정체(20)의 내측으로 결합된다. 이때, 홀더(30)의 내주면은 렌즈 배럴(10)의 외주면과 면접되거나, 홀더(30)의 내주면은 렌즈 배럴(10)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마주보게 조립된다.
사용자는 조정체(20)를 회전시키거나 홀더(30)를 회전시키면서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센서(40) 사이의 초점을 확인하고,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센서(40) 사이의 초점 위치로 조정체(20)와 홀더(30)를 나사 결합시킨다.
초점 위치로 조정체(20)와 홀더(30)를 나사 결합한 후, 조정체(20)의 하단부(24)와 단턱(32) 사이의 영역(B)에 UV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를 도포한다. 그러면, 초점 위치에서 조정체(20)와 홀더(30)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홀더(30)의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조정체(20)와 홀더(30)의 나사 결합 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홀더의 외부로 떨어져 이물질로 인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초점 위치에서 조정체(20)와 홀더(3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접착제가 홀더(30)의 외주면에 도포되어, 접착제가 홀더 내부로 흘러 발생되는 화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착제 경화시 발생되는 가스가 홀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Claims (5)

  1. 상부에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통과시키는 입사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원통 형상의 렌즈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 수용부의 상부 테두리 외측으로 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렌즈 배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내경이 상기 렌즈 배럴의 리브의 외경보다 작으며 상기 리브의 하면이 상단면에 접착되며,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광축 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된 조정체, 및
    외주면의 상측부에 상기 조정체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조정체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며,
    상기 홀더의 외주면의 나사부와 상기 조정체의 내주면의 나사부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조정체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조정체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와 상기 조정체의 상단면이 면접되는 면의 일부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외주면의 하측으로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체의 하단부와 상기 홀더의 단턱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내주면은 상기 렌즈 배럴의 외주면과 면접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내주면은 상기 렌즈 배럴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090073718A 2009-08-11 2009-08-11 카메라 모듈 KR101628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718A KR101628296B1 (ko) 2009-08-11 2009-08-11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718A KR101628296B1 (ko) 2009-08-11 2009-08-11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155A KR20110016155A (ko) 2011-02-17
KR101628296B1 true KR101628296B1 (ko) 2016-06-08

Family

ID=4377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718A KR101628296B1 (ko) 2009-08-11 2009-08-11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011B1 (ko) * 2010-05-18 2012-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KR102400658B1 (ko) * 2015-07-27 2022-05-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054048B1 (ko) * 2017-09-29 2019-12-09 김도현 블랙박스용 렌즈마운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1883A (ko) * 2006-09-05 2008-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렌즈배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155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3572B2 (en) Optical imaging module with fixed-focus lens
US9363424B2 (en) Camera module having a guide unit
KR20150092867A (ko) 카메라 모듈
KR101779498B1 (ko) 카메라 모듈
KR102455015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7760450B2 (en) Lens system
US7312936B2 (en) Digital image-capturing device
KR101628296B1 (ko) 카메라 모듈
US7724454B2 (en) Lens module with filter fastening member
US7688532B1 (en) Lens system
KR100891177B1 (ko) 카메라 모듈
KR101170734B1 (ko) 카메라 모듈
KR101834953B1 (ko) 카메라 모듈
KR101611457B1 (ko) 카메라 모듈
KR20100009410A (ko)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KR20110045791A (ko) 카메라모듈
KR101743054B1 (ko) 카메라 모듈
KR101661656B1 (ko) 카메라 모듈
KR20090078475A (ko) 카메라 모듈
US10989892B2 (en) Lens module
KR102354687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1625519B1 (ko) 카메라 모듈
KR101592431B1 (ko) 카메라 모듈
KR101646238B1 (ko) 카메라 모듈
KR101117181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